KR200418109Y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8109Y1
KR200418109Y1 KR2020050034105U KR20050034105U KR200418109Y1 KR 200418109 Y1 KR200418109 Y1 KR 200418109Y1 KR 2020050034105 U KR2020050034105 U KR 2020050034105U KR 20050034105 U KR20050034105 U KR 20050034105U KR 200418109 Y1 KR200418109 Y1 KR 2004181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female terminal
female
shape
male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41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 식 최
Original Assignee
윤 식 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 식 최 filed Critical 윤 식 최
Priority to KR20200500341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81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81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810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3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3Coupling part wherein contact is comprised of a wire or brush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기,전자제품에 사용되어지는 인쇄회로기판간의 상호 전기적 물리적 결합을 위한 암커넥터와 수커넥터로 이루어진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커넥터는 수커넥터의 수단자에 형성된 삽입부를 암커넥터의 암단자에 형성된 수용부가 감싸도록 형성하여 단소경박화된 커넥터를 제공함으로써, 안정적인 결합을 유지시켜 외부충격이나 진동 그리고 X,Y,Z축의 충격에서도 안정적인 접점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뿐만아니라, 접촉면적을 증대시켜 통전성능 및 노이즈를 개선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암단자가 탄성작용(elasticity action)에 의한 휨현상에 의해 수단자가 착탈됨으로써, 원활한 결합 및 분리가 될 수 있을 뿐만아니라, 암단자의 변형을 방지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 암단자, 수단자, 탄성, 휨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커넥터를 도시한 결합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커넥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수커넥터를 도시한 저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암,수단자의 제 1실시예를 도시한 요부작용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커넥터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암,수단자의 제 2실시예를 도시한 요부확대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암,수단자의 제 3실시예를 도시한 요부확대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암,수단자의 제 4실시예를 도시한 요부확대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암,수단자의 제 5실시예를 도시한 요부확대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암커넥터 11: 암단자 12: 홀더고정홈
111: 수용부 112: 고정부 113: 걸림홈
114: 암걸림쇄기 115: 가이드면 116: 완충홈
117: 밀폐판 2: 수커넥터 21: 수단자
22: 홀더고정부 211: 삽입부 212: 연결부
213: 걸림돌기 214: 수고정쇄기 215: 유도면
본 고안은 전기,전자제품에 사용되어지는 인쇄회로기판간의 상호 전기적 물리적 결합을 위한 암커넥터와 수커넥터로 이루어진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커넥터는 수커넥터의 수단자에 형성된 삽입부를 암커넥터의 암단자에 형성된 수용부가 감싸도록 형성하여 단소경박화된 커넥터를 제공함으로써, 안정적인 결합을 유지시켜 외부충격이나 진동 그리고 X,Y,Z축의 충격에서도 안정적인 접점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뿐만아니라, 접촉면적을 증대시켜 통전성능 및 노이즈를 개선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암단자가 탄성작용(elasticity action)에 의한 휨현상에 의해 수단자가 착탈됨으로써, 원활한 결합 및 분리가 될 수 있을 뿐만아니라, 암단자의 변형을 방지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선 등록된 종래기술 제20-0225814호, 제20-0334581호, 제20-0342995호, 제20-0363233호, 제10-0463641호를 살펴보면, 보편적으로 암커넥터와 수커넥터가 1:1 수직(Straght Type)으로 결합되는 것으로 암,수커넥터가 층을 이루어 결합되어있어, 외부의 충격에 단락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고안은 나날이 발전하는 단소경박화되는 수요에 부합되지 못하고 커넥터의 암,수커넥터 홀더가 결합되는 부위에 층이 발생함으로서 높이에 따른 구조적 제약을 극복하지 못하는 문제점과 함께 솔더링(납땜)작업 시 납이 접점부위까 지 타고 올라가 통전성능을 감소시키는 문제점을 발생시켰으며, 수커넥터의 경우 수단자 솔더링작업 시 발생하는 열이 한곳으로 집중되는 문제점을 해소하지 못하여 솔더링작업된 부위가 약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U"자형상의 암단자와 "L"자형상의 수단자가 결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는 구조의 경우나, 외부충격이나 진동이 반복될 경우에, 커넥터의 암커넥터 홀더에 수커넥터 홀더가 착탈될 경우 및, 암,수단자의 변형이 쉽게 발생하여 접점이 불량해지는 문제점과 함께 "U"자형상의 암단자가 "L"자형상의 수단자를 결합하고 있을 때 탄성력을 항상 작용하고 있어야 하고 이로인해 암단자의 복원력이 약해짐으로써, 암단자의 끝단부 양측 2곳에서만 숫단자와 접점되는 구조로 인하여 원할한 통전성능이 나빠지고 노이즈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 암커넥터에 형성된 암단자의 수용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수커넥터에 형성된 수단자의 삽입부 결합구조(insert Type)가 외부의 충격에도 쉽게 단락이 되지 않는 안정적이면서도 커넥터의 높이를 최소화하는 단소경박화한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이루기 위한 구체적인 기술구성 수단으로,
전기,전자제품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다수개의 암단자가 서로 대칭되게 형성된 암커넥터와 다수개의 수단자가 서로 대칭되게 형성된 수커넥터가 물리적인 결합에 의해 작동하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수커넥터는 하부면에 위치결정과 고정하는 "I"형상의 홀더고정부를 형성하고, 상기 수커넥터의 홀더고정부와 서로 대응되 는 위치에 암커넥터의 상부면에 "I"형상의 홀더고정홈을 형성하여 2중으로 지지,고정하게 구성하고; 상기 수커넥터는 삽입부를 갖는 수단자를 형성하고, 상기 암커넥터는 수단자의 삽입부와 결합고정되는 수용부를 갖는 암단자를 형성하되; 상기 암단자는 수단자를 감싸도록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커넥터의 수단자는, 삽입부를 "U"형상으로 형성하고, 삽입부 하단부 양측면에 걸림돌기를 형성하며, 그 일측면 상부에 외부기기에 접합되는 연결부를 형성하고; 상기 삽입부는, U"형상의 내측면 양측에 수커넥터에 고정되는 수고정쇄기를 형성하며; 상기 삽입부는, "U"형상의 하단부에 암단자의 수용부에 유도되어 결합되게 경사각을 갖는 테이퍼진 유도면을 형성하며; 상기 암커넥터의 암단자는, 수용부를 "T"형상의 판체를 절곡하여 상부에서 보았을때 수용부의 형상을 일부가 절개된 직사각형상으로 형성하고, 수용부의 양측면에 수단자의 걸림돌기가 안착되는 걸림홈을 형성하며, 그 일측면에 외부기기에 접합되는 고정부를 "L"형상으로 절곡하여 형성하며; 상기 암커넥터의 암단자는, "L"형상의 고정부 내측면 일측 또는 양측면에 선택적으로 암걸림쇄기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암단자는 수단자의 형상에 따라 선택적으로 원통형상 또는 사각통형 중 어느 하나로 형성하며; 상기 암단자는 수용부의 상부 개구부의 끝단부분에 수단자의 개구부가 유도되는 경사각을 갖는 테이퍼진 가이드면을 형성하며; 상기 암단자는 수용부의 외둘레를 따라 상부끝단부에서 중앙단부까지 절개된 다수개의 완충홈을 형성하며; 상기 암단자는 저면의 개구부를 밀폐하는 밀폐판을 형성하며; 상기 암단자는 저면부를 소성가공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커넥터를 도시한 결합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커넥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수커넥터를 도시한 저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암,수단자의 제 1실시예를 도시한 요부작용상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커넥터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암,수단자의 제 2실시예를 도시한 요부확대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암,수단자의 제 3실시예를 도시한 요부확대사시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암,수단자의 제 4실시예를 도시한 요부확대사시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암,수단자의 제 5실시예를 도시한 요부확대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는 전기,전자제품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다수개의 암단자(11)가 서로 양측에 대칭되게 형성된 암커넥터(1)와 다수개의 수단자(21)가 서로 양측에 대칭되게 형성된 수커넥터(2)가 서로 물리적인 결합에 의해 작동하는 것이다.
도 1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커넥터는, 수커넥터(2)의 하부에 위치결정과 고정하는 "I"형상의 홀더고정부(22)를 형성하고, 상기 수커넥터(2)의 홀더고정부(22)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암커넥터(1)의 상부면에 "I"형상의 홀더고정홈(12)을 형성하여, 암커넥터(1)와 수커넥터(2)를 서로 결합함으로써, 상기 암커넥터(1)의 암단자(11)와 수커넥터(2)의 수단자(21)가 서로 결합함과 동시에 암커넥터(1)의 홀더고정홈(12)와 수커넥터(2)의 홀더고정부(22)가 결합되는 2중결합구조를 이루도록 형성하여, 단소경박하면서도 보다 안정적안 결합 구조를 갖는 것이다.
이때, 상기 수커넥터(2)는 수단자(21)에 형성된 삽입부(211)를 암커넥터(1)의 암단자(11)에 형성된 수용부(111)가 감싸도록 형성하여, 상기 암,수단자(11,21)의 결합면적을 증대시킴은 물론 암,수단자(11,21)들 간의 결합력을 증대시킨 것이다.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암,수단자(11,21)의 제 1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암단자(11)의 수용부(111)가 수단자(21)의 삽입부(211)를 감싸도록 형성하고 결합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상기 수커넥터(2)에 형성된 수단자(21)는, 상기 삽입부(211)를 "U"형상으로 형성하고, 삽입부(211) 하단부 양측면에 걸림돌기(213)를 1개 또는 2개 형성하며, 그 일측면 상부에 외부기기에 접합되는 연결부(212)를 형성하여, 상기 암커넥터(1)의 암단자(11)에 형성된 수용부(111)에 결합하는 것이다.
이에, 상기 수단자(21)의 삽입부(211)를 감싸도록 암단자(11)의 수용부(111)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수용부(111)를 "T" 또는 " L"형상의 판체를 절곡하여 상부에서 보았을 때, 수용부(111)의 형상이 일부가 절개된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암단자(11)가 수용부(111)가 탄성작용(elasticity action)을 하여 수단자(21)의 수용부(211)를 감싸면서 고정하도록 형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암단자(11)의 탄성력에 의한 고정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상기 수용부(111)의 양측면에 수단자(21)의 걸림돌기(213)가 안착되는 걸림홈(113)을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단소경박화된 커넥터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암단자(11)의 일측면 상부에 외부기기에 접합되는 고정부(112)를 "L"형상으로 절곡하여 형성한 것으로, 암단자(11)의 측면에 고정부(112)를 형성한 것은 암커넥터(1)에 암단자(11)가 결합되었을 때 암단자의 높이를 최소하여 단소경박화한 커넥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절곡된 고정부(112)의 외측에는 납오름 방지홈 또는 돌기(도면미도시)를 더 형성하여 납땜작업시 납오름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함께, 상기 수단자(21)를 수커넥터(2)에 고정하기 위한 결합구조와 상기 암단자를 암커넥터에 고정하기 위한 결합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수단자(21)는 U"형상의 삽입부(211) 내측면 양측에 수고정쇄기(214)를 형성하고, 암단자(11)는 "L"형상의 고정부(112) 내측면 일측 또는 양측면에 선택적으로 암걸림쇄기(114)를 형성하여, 암,수단자(11,21)가 암,수커넥터(1,2)에 한번 설치되면 빠지지 않도록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수단자(21)를 감싸도록 암단자(21)가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므로써, 상기 암,수단자(11,21)의 결합면이 직각으로 매끄럽지 않을 경우 암,수단자(11,21)의 결합이 자연스럽게 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수단자(21)의 삽입부(211) 하단부에 암단자(11)의 수용부(211)에 유도되도록 적정각도로 기울어진 경사각을 갖는 테이퍼진 유도면(215)을 형성하여, 암단자(11)의 수용부(111)에 수단자(21)의 삽입부(211)가 자연스럽게 삽입되도록 형성한 것이다.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암,수단자(11,21)들의 다양한 실 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암단자(11)의 형상은, 수단자(21)의 형상에 따라 선택적으로 원통형상 또는 사각통형 중 어느 하나로 형성, 가능할 것이나, 상기 암,수단자(11,21)의 제조공정상 원형으로 가공하는 것이 제조단가의 절감을 가져 올 수 있어, 암,수단자(11,21)의 형상은 원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암단자(11)의 수용부(11)는 그 상부 개구부 끝단부분을 통하여 수단자(21)가 자연스럽게 삽입되도록 유도하는 적정경사각을 갖는 테이퍼진 가이드면(115)을 형성하여, 암,수단자(11,21)의 결합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암단자(11)의 수용부(111)가 원형 또는 사각일 경우 결합되는 수단자(21)가 끼워짐에 있어서, 그 결합력이 강할 경우 커넥터의 분리가 어려운 점이 발생할 수 있음으로, 상기 암단자(11)의 수용부(111)에는, 그 외둘레를 따라 상부끝단부에서 중앙단부 또는 하단부까지 일부 절개된 절개된 다수개의 완충홈(116)을 형성하여 암단자(11)의 수용부(111)가 탄성작용을 함으로써, 암,수단자(11,21)가 원활히 탈착되게 하는 것으로, 그 개수는 커넥터의 사용되는 용도 및 설치장소에 따라 1개 이상 다수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이나, 1개 내지 4개미만의 완충홈(116)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또한, 상기 암커넥터(1)가 설치되는 전자기기에는, 암커넥터(1)의 생산이나 외부에서 인입하는 분진 및 찌꺼기로 인한 단락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즉 암단자(11)의 하부 개구부가 관통되어 있을 경우 분진에 의한 단락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암단자(11)의 저면 개구부에 밀폐판(117)을 형성함으로써, 암단자의 하부 면을 밀폐 하여 분진이나 찌꺼기의 침입을 방지하고 단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암단자(11)의 제 1 내지 제5실시예는 정밀가공하기 위해 소성가공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커텍터는 암,수커넥터의 암단자에 형성된 수용부가 수커넥터의 수단자에 형성된 삽입부를 감싸도록 형성함으로써, 단소경박화된 구조와 함께 안정적인 결합을 유지시켜 외부충격이나 진동 그리고 X,Y,Z축의 충격에서도 안정적인 접점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암,수커넥터의 접촉면적을 증대시켜 통전성능 및 노이즈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암단자는 탄성작용(elasticity action)에 의한 휨현상에 의해 수단자가 착탈됨으로써, 커넥터의 원활한 결합 및 분리가 될 수 있을 뿐만아니라, 암단자의 변형을 방지하여 커넥터의 수명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전기,전자제품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다수개의 암단자가 서로 대칭되게 형성된 암커넥터와 다수개의 수단자가 서로 대칭되게 형성된 수커넥터가 물리적인 결합에 의해 작동하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수커넥터(2)는 하부면에 위치결정과 고정하는 "I"형상의 홀더고정부(22)를 형성하고, 상기 수커넥터(2)의 홀더고정부(22)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암커넥터(1)의 상부면에는 "I"형상의 홀더고정홈(12)을 형성하여 2중으로 지지,고정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커넥터(2)는, 삽입부(211)를 갖는 수단자(21)를 형성하고, 상기 암커넥터(1)는 수단자(21)의 삽입부(211)와 결합고정되는 수용부(111)를 갖는 암단자(11)를 형성하되; 상기 암단자(11)의 수용부는 수단자(21)의 삽입부(211)를 감싸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커넥터(2)의 수단자(21)는, 상기 삽입부(211)를 "U"형상으로 형성하고, 삽입부(211) 하단부 양측면에 걸림돌기(213)를 형성하며, 그 일측면 상부에 외부기기에 접합되는 연결부(212)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자(21)는, U"형상의 삽입부(211) 내측면 양측에 수커넥터(2)에 고정되는 수고정쇄기(214)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커넥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자(21)는, U"형상의 삽입부(211) 하단부에 암단자(11)의 수용부(111)에 유도되어 결합되게 경사각을 갖는 테이퍼진 유도면(215)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암커넥터(1)의 암단자(11)는, 상기 수용부(111)를 "T"형상의 판체를 절곡하여 상부에서 보았을때, 수용부(119)의 형상을 일부가 절개된 직사각형상으로 형성하고, 수용부(111)의 양측면에 수단자(21)의 걸림돌기(213)가 안착되는 걸림홈(113)을 형성하며, 그 일측면에 외부기기에 접합되는 고정부(112)를 "L"형상으로 절곡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암단자(11)는, "L"형상의 고정부(112) 내측면 일측 또는 양측면에 선택적으로 암걸림쇄기(114)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암단자(11)는, 수단자(21)의 형상에 따라 선택적으로 원통형상 또는 사각통형 중 어느 하나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암단자(11)는, 수용부(11)의 상부 개구부 끝단부분에 수단자(21)가 유도되는 경사각을 갖는 테이퍼진 가이드면(115)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암단자(11)는, 수용부(111)의 외둘레를 따라 상부끝단부에서 중앙단부까지 절개된 다수개의 완충홈(116)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1. 청구항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암단자(11)는, 그 저면의 개구부를 밀폐하는 밀폐판(117)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2020050034105U 2005-12-02 2005-12-02 커넥터 KR2004181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4105U KR200418109Y1 (ko) 2005-12-02 2005-12-02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4105U KR200418109Y1 (ko) 2005-12-02 2005-12-02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8109Y1 true KR200418109Y1 (ko) 2006-06-08

Family

ID=41767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4105U KR200418109Y1 (ko) 2005-12-02 2005-12-02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810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8951B1 (ko) 2006-12-14 2008-03-04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저삽입력 커넥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8951B1 (ko) 2006-12-14 2008-03-04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저삽입력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52549B2 (en) Connector, receptacle for connector and plug for connector
US7497697B2 (en) PCB connector including plug and socket contacts for easy positioning
US20180337482A1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US7909630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contact portion
EP1120861A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n improved female contact
JP2012156090A (ja) フローティング型コネクタ
JP5232204B2 (ja) 電気コネクタとキャップとを有する組立体、電気コネクタ用のキャップおよび電気コネクタの実装方法
JP2007258001A (ja) フレキシブル基板付き電気コネクタ
JP2006059646A (ja) 基板内蔵型コネクタ及びその組立方法
JP2007257999A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4723308B2 (ja) 電気コネクタ
JP5762187B2 (ja) コネクタの誤挿入防止構造
JP2008004400A (ja) コネクタ
TWI237423B (en) Electrical connector
JP4774956B2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用レセプタクル
US6758700B2 (en) Electrical connector
JP4514065B2 (ja) 基板用電気コネクタ及びこれと中間電気コネクタと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組立体
KR200418109Y1 (ko) 커넥터
JP5203099B2 (ja) 垂直型smtコネクタ
EP3429031A1 (en) Poke-in connector
JP4082512B2 (ja) 垂直嵌合コネクタ
US7530860B2 (en) Contact terminal for electrical connector
JP2010129319A (ja) ジャック構造
JP7283971B2 (ja) 基板用コネクタ、及び基板用コネクタ構造
JP2023091519A (ja) コネクタ、コネクタを備えるデバイス、コネクタの実装方法、相手側コネクタ及び相手側コネクタを備える相手側デバイ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0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