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1776A - 커넥터의 암단자 및 하우징 - Google Patents

커넥터의 암단자 및 하우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1776A
KR20000011776A KR1019990028888A KR19990028888A KR20000011776A KR 20000011776 A KR20000011776 A KR 20000011776A KR 1019990028888 A KR1019990028888 A KR 1019990028888A KR 19990028888 A KR19990028888 A KR 19990028888A KR 20000011776 A KR20000011776 A KR 200000117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female terminal
connector
terminal body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8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79653B1 (ko
Inventor
핑첸
Original Assignee
요시무라 마사오
니혼 앗사쿠단시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시무라 마사오, 니혼 앗사쿠단시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요시무라 마사오
Publication of KR200000117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17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9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96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3Resilient sockets co-operating with pins or blades having a rectangular transverse s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36Securing a plurality of contact members by one locking piece or operation
    • H01R13/4361Insertion of locking piece perpendicular to direction of contact insertion
    • H01R13/4362Insertion of locking piece perpendicular to direction of contact insertion comprising a temporary and a final locking posi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1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nufacturing contact members, e.g. by punching and by bending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커넥터(C)의 암단자(T)는, 하우징(H)의 리테이너(60)에 의해 고정되는 단자본체(10)와, 단자본체(10)의 내부를 전방으로 연장하는 판용수철(20)과, 하우징(H)의 랜스(53)에 의해 고정되는 안정장치(stabilizer system)(3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판용수철(20)의 기단(基端)에는 단자본체(10)에 대략 평행한 축(세로) 주변에 대략적으로 원호형태로 구부러진 R부(21)가 형성되고, R부(21)의 선단측(先端側)에는 굽힘강성(flexural rigidity)을 증가시키기 위해 단면이 만곡된 비드(bead)부 (22)가 형성되며, 안정장치(30)는 폭방향으로 향하는 면을 갖고 단자본체(10)의 전단(前端)에 높이방향으로 설치되었다.

Description

커넥터의 암단자 및 하우징{A Female Terminal for a Connector and a Hous ing therefor}
본 발명은, 하우징의 수용실(chamber)에 암단자를 삽입하여 이루어지는 커넥터의 기술분야에 속한다.
종래의 커넥터는, 도(12A)에 보여지는 것과 같이, 하우징(81)에, 이것을 관통하는 수용실(82)을 높이 방향과 폭방향으로 여러 열씩 병렬로 형성하고, 이 수용실(82)에는, 전반부(前半部)가 대략 튜브형이고 후부에 전선(83)이 접속된 암단자 (84)를 각각 삽입하여 고정시키며, 이것들의 암단자(84)에 상대측커넥터의 수(雄)단자를 각각 삽입함으로써 기계적 접속 및 전기적 접속을 구성한다.(예를들면, 특개평 8-106944호 공보를 참조) 상기 암단자(84)의 전단에는 수단자가 삽입되는 삽입구(85)가 열려있고, 후부에는 전선(83)이 접속되는 접속부(86)가 형성되어 있으며, 중도부에는 계합오목부(係合凹部)(87)가 형성되어있고, 이 계합오목부(87)에는, 하우징(81)의 수용실(82)에 형성된 휘어지는 성질을 갖는 랜스(88)의 갈고리 부분이 끼워넣어(嵌入)짐으로써 암단자(84)가 하우징(81)에 대하여 일차적으로 고정되게 한다. 또한, 하우징(81)에 끼워넣어진 리테이너(89)의 고정판(90)이, 암단자(84)의 중도부 표면에 형성된 안정장치(91)의 뒤측에 배치되어 암단자(84)를 하우징(81)에 대하여 이차적으로 고정되게 한다.
이것과는 별도로 특개평 9-232021호 공보에는, 이런 종류의 암단자와 수단자 간의 접속구조가 개시되어 있고, 도 12B에 보여지는 것과 같이, 삽입된 수단자(92' )를 유지하기 위해서, 암단자(84')의 단자본체(94') 내부에 판용수철(93')을 단자본체(94')와 일체적으로 형성한다고 되어있다.
이 판용수철(93')은, 한 장의 금속판을 단자본체(94')와 함께 뚫어지고, 구부러져서 형성되지만, 성형성 및 비용등을 고려하여 금속판의 재료 및 두께를 선정하면, 한 장의 판용수철(93')만으로는 충분한 접촉력을 확보하는 것이 어렵다. 그 때문에, 상기 특개평 9-232021호 공보에는, 도 12B에서 보여진 것과 같이, 별도의 보강용 판용수철(95')을 단자본체(94')와 함께 뚫고, 이 보강용 판용수철(95')을 주된 판용수철(93')의 안쪽에서 구부러져 이중용수철을 구성하였으며, 이것에 의해 접촉력을 확보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 경우, 각 판용수철(93'),(95')은 구부리는 가공에 의해 성형되기 때문에, 스프링백에 의해, 자유상태에 있는 판용수철 사이에 빈틈이 형성된다. 이 빈틈치수는 두 개의 용수철 성형공정에서 누적에 의해 생기기 때문에, 제조상 이것을 정확히 관리하는 것은 곤란하고, 빈틈치수들이 산란되는 것은 피하기 어렵다. 그 때문에, 사용시, 주용수철(93')이 보강용 판용수철 (95')과 접촉하여 양쪽의 용수철(93'),(95')이 함께 변형하기 시작하는 용수철정수의 변곡점이 제품에 의해 산란되므로, 제품들의 접촉력이 안정하지 않다는 문제가 생긴다. 더구나, 두 개의 판용수철(93'),(95')이 서로 겹쳐져 있기 때문에, 암단자 (84')가 부피가 커져, 커넥터의 조밀화를 손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2B에 보여지는 것처럼, 판용수철(93')의 기단부근에는 대략 원호형태로 구부러진 R부(96')가 형성되지만, 이 R부(96')의 곡율반경이 작으면, 도 12C에 보여지는 것처럼 사용시에 R부(96')에 크랙(crack)이 생성되어, 부식이 진행되므로 접촉력이 지극히 불안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안정장치(91)는, 암단자(84)가 하우징(81)의 수용실(82)에 대하여, 예를들면 상하가 바뀌는 잘못된 방향으로 삽입될 때에는, 수용실(82)의 입구에 걸려 삽입조작을 중지시킴으로써, 소위 역차(逆差)를 방지하는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기능 때문에, 암단자(84)와 리테이너(89)는 적합한 위치관계가 형성되어, 암단자(84)가 리테이너(89)에 의해 고정된다. 그러나, 안정장치(91)는 리테이너(89)의 고정판(90)에 의해 고정되어 단자본체의 중도부표면에 설치되고, 따라서 안정장치(91)의 앞에 있는 단자본체는 상하가 바뀌더라도 삽입되어 버리므로, 그 때문에 작업자가 암단자(84)에 보다 큰 힘을 주어 삽입하려는 오조작을 초래하여, 하우징(81) 부근과 수용실이 손상될 위험이 있다.
더욱, 커넥터 암단자의 도통(導通)실험을 하는 경우, 수단자와 같은 형태의 실험용지그(test jig)를 암단자에 삽입하게 되는데, 실험용 지그를 반복하여 사용하면 지그가 변형되고, 이 변형된 지그를 강제적으로 삽입한다면 판용수철등이 손상되어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다.
또한, 커넥터는 상대측커넥터와의 결합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상대측커넥터에 대해서도 조밀화를 진행시킬 필요가 있다. 만약, 이 상대측커넥터에 수단자를 설치하여 오차가 생기면, 수단자는 하우징에 대하여 약간의 경사를 두고 설치해야 하는데, 최악의 경우에는 수단자가 암단자에 삽입될 수 없다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여러가지 점에 착안하여 실시할 수 있었으며, 본 발명의 목적은, 비드부를 형성하여 판용수철의 굽힘강성을 높여 판용수철 한 장만을 사용해도 충분한 접촉력을 안정적으로 얻음과 동시에, 판용수철의 접촉부의 전진을 가능하게 하고, 수단자의 삽입길이를 짧게 하여 상대측커넥터를 소형화하며, 또한 수단자의 경사에 대한 허용한도를 높일 뿐만 아니라, 수단자가 도달하지 않는 부분에서 R부의 곡율을 크게 잡아 크랙을 방지하여 접촉력을 안정화하고, 또한 안정장치를 전진시켜 암단자의 역차 방지기능을 강화함과 동시에 안정장치를 암단자의 도통실험(continuity test)등에 이용가능하게 하여 판용수철등의 손상예방을 꾀하며, 또한 판용수철을 한 장만 사용하고 R부를 후퇴시키는 것과 더불어, 랜스를 폭방향으로 구부려, 가능한한 커넥터를 높이 방향으로 조밀화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암단자가 커넥터의 하우징의 수용실에 삽입되어 수단자를 받아 들이고, 상기 암단자는 상기 하우징의 수용실에 삽입될 수 있는 튜브모양의 전반부(前伴部)를 갖고, 전단에는 수단자가 삽입될 열린 삽입구를 갖고, 후부에는 전선이 접속될 접속부를 갖고, 상기 하우징의 리테이너가 끼워넣어질 고정부를 갖는 단자본체와, 상기 단자본체의 전반부에 일체화된 기단이 있고, 상기 단자본체 전반부의 내부를 전방으로 연장하는 선단을 갖고, 높이 방향으로 구부러진 판용수철과, 상기 단자본체의 전단 외측에서 폭방향으로 향하는 면을 갖고, 높이 방향으로 세워지고, 상기 단자본체를 하우징의 수용실에 삽입했을 때 전후방향으로 형성된 홈에 끼워넣어져서 전진하고, 홈 내에 형성된 랜스를 넘어서 상기 랜스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안정장치와, 상기 판용수철의 기단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단자가 도달하지 않는 부위에 상기 전반부에 대략 평행인 축(세로) 주변에 대략 원호형태로 구부러져 있는 R부와, 그리고 상기 판용수철의 상기 R부분보다 선단측에 형성되고, 굽힘강성을 높이기 위해 만곡한 단면을 갖는 비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선이 단자본체의 접속부에 접속되고, 암단자를 하우징의 수용실에 삽입했을 때, 안정장치는 하우징의 홈에 끼워넣어져서 전진하며, 하우징의 랜스를 넘어 상기 랜스에 의해 고정되는데, 이것이 암단자가 하우징에 일차적으로 고정되는 것이다. 이어서, 하우징에 리테이너를 밀어 넣으면 리테이너가 단자본체의 고정부에 끼워넣어 지는데, 이것이 암단자가 하우징에 이차적으로 고정되는 것이다. 이 커넥터에 상대측커넥터를 대향시키고 상대측커넥터의 수단자를 각각 암단자에 삽입하면, 판용수철이 수단자에 접촉하여 양커넥터의 기계적 접속 및 전기적 접속이 다 이루어진다.
그 경우, 판용수철의 R부보다 선단측에 비드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판용수철의 굽힘강성이 커지고, 보강용수철을 설치하지 않더라도 충분한 접촉력을 확보할 수 있다. 게다가, 보강용수철이 없기 때문에, 용수철정수에 변곡점이 없어져서, 제품들의 접촉력이 안정된다. 또한, 판용수철의 굽힘강성이 커지기 때문에, 만약 판용수철의 접촉부를 삽입구 부근까지 전진시키더라도 충분한 접촉력이 얻어진다. 그 결과, 수단자의 삽입길이가 짧아지고, 수단자를 덮어야하는 상대측커넥터의 하우징도 짧아지고 조밀하게 되며, 수단자의 경사에 대한 허용한도 역시 커진다. 또한, R부는 수단자가 도달하지 않은 부위에 형성되기 때문에, 단자본체전반부의 내부를 높이 방향으로 넓게 사용하여 R부의 곡율반경을 크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R부의 크랙발생이 방지되어, 접촉력이 안정된다. 또한 안정장치가 단자본체의 선단에 설치되었기 때문에, 암단자가 하우징의 수용실에 대해 잘못된 방향으로 삽입될 때에는, 삽입의 처음 단계에서 수용실의 입구에 걸릴 것이다. 그래서 확실하게 암단자의 역차 방지가 의도되어, 작업자의 오조작에 의한 하우징의 손상을 피할 수 있다. 더욱, 하우징의 전면에 안정장치를 관통하는 실험용창문부(test window)가 열리면, 수단자와 같은 모양의 실험용지그가 실험용창문부에 삽입되어 안정장치와 접촉하기 때문에, 판용수철등의 손상없이 도통실험등이 행해진다. 또한, 보강용수철이 없기 때문에 암단자의 높이가 낮아지고, 게다가 R부가 수단자가 도달하지 않는 부분에 있게 되므로 판용수철의 밑으로 수단자가 들어가기 위한 어떤 공간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이것에 의해서 암단자의 높이가 더욱 낮아질 수 있다. 또한, 하우징의 랜스가, 폭방향으로 향하는 면에 의해 형성된 안정장치에 따라 폭방향으로 구부러지기 때문에, 하우징에 높이방향에 구부리기 위한 공간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높이가 낮아진다. 그 때문에, 커넥터가 높이 방향으로 가능한한 조밀하게 된다.
도 1은, 제 1실시예에 있어서 커넥터가 상대측커넥터와 접속된 상태를 보여주는 종단면도의 일부이다.
도 2는, 제 1실시예에 있어서 암(雌)단자의 좌측면도이다.
도 3은, 제 1실시예에 있어서 암단자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제 1실시예에 있어서 암단자의 정면도이다.
도 5A는, 도 2에 있어서의 A-A 선단면도, 도 5B는 도 2에 있어서의 B-B 선단면도이다.
도 6은, 제 1실시예에 있어서 암단자를 좌측후방의 위에서 본 원근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있어서, 단자본체 전반부(前半部)의 외벽을 제거한 원근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있어서, 단자본체 전반부의 내벽을 제거한 원근투시도이다.
도 9는, 제 1실시예에 있어서 암단자가 전개된 형상을 보여주는 것으로, 구부리는 가공을 하기 전의 도이다.
도 10A는 제 1실시예에 있어서 암단자가 하우징에 삽입되고 있는 것을 리테이너는 빼고 우측전방의 위에서 본 원근투시도이고, 도 10B는 암단자의 삽입이 완료된 후를 본 원근투시도인데, 이 두가지 도(圖) 모두에서 수용실의 일부가 단면된다.
도 11은, 제 2실시예에 있어서 커넥터가 상대측커넥터와 접속한 상태를 보여주는 종단면도이다.
도 12A는 종래의 예에 있어서 암단자를 하우징에 삽입하는 것을 보여주는 원근투시도이고, 도 12B는 별도의 종래의 예에 있어서 수(雄)단자를 삽입하기 전의 암단자 종단면도이며, 도 12C는 상기 종래의 예에 있어서 수단자를 삽입한 후의 암단자 종단면도이다.
지금부터,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 6는 제 1실시예에 있어서 커넥터(C)의 암단자(T)를 보여주며, 도 1, 10A, 10B는, 이 암단자(T)를 하우징(H)에 삽입한 커넥터(C)를 보여준다.
도 2 ~ 6에서 보여주는 것과 같이, 이 암단자(T)는, 하우징(H)의 수용실(51)에 삽입할 수 있도록 전반부가 대략 튜브모양으로 형성된 단자본체(10)와, 기단이 단자본체(10)의 전반부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판용수철(20)과, 단자본체(10)의 외측에 설치되어 있는 안정장치(30)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에서 암단자(T)에서, 전후방향은 세로방향이라는 것이 주목되어야 하는데, 예를들면 도 4에서는 지면에 수직한 방향이 된다. 또한 높이방향은 판용수철(20) 선단의 구부러진 방향과 거의 일치하는데, 예를들면 도 3에서는 지면에 수직한 방향이다. 또한 폭방향은 판용수철(20) 선단의 폭방향과 거의 일치하는데, 예를들면 도 2에서는 지면에 수직한 방향이 된다. 이 방향은 하우징(H)에 대해서도 사용한다. 그러므로, 수용실(51)에 암단자(T)가 삽입될 때 암단자(T)에서의 전후방향, 높이방향, 및 폭방향을 각각 그대로 하우징(H)의 수용실(51)의 전후방향, 높이방향, 및 폭방향으로 한다.
상기 단자본체(10)의 전단에는 수단자(TT)가 삽입되는 삽입구(11)가 열려있고, 후부에는 전선(W)이 접속되기 위한 접속부(12)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접속부 (12)는 대략 U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윗단테두리 부분은 안쪽으로 구부러져 전선 (W)의 도선을 압착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단자본체(10)의 전후방향의 중도부에는 하우징(H)의 리테이너(60)가 끼워넣어질 고정부(13)가 설치되어 있다. 이 고정부 (13)는 측면이 대략 U자형으로 형성되어있고, 윗단테두리가 단자본체(10) 전반부의 위쪽 벽보다도 낮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 1에서 보여지는 것 처럼 리테이너 (60)를 고정부(13)에 끼워넣을 수 있다.
도 1, 5A, 5B, 8에서 보여주는 것과 같이, 상기 판용수철(20)의 선단은 단자본체(10) 전반부의 내부를 전방으로 연장하고 높이방향에서 구부러지도록 되어있고, 수단자(TT)가 삽입될 때, 이것에 접촉하도록 되어있다. 상기 판용수철(20)의 기단에는, 수단자(TT)가 도달하지 않은 부분에서 전반부에 대략 평행한 축(세로) 주위에서 대략 원호형태로 구부러진 R부(21)가 형성되고, 이 판용수철(20)의 R부 (21)보다 선단측에는, 굽힘강성이 증가하도록 단면이 만곡한 비드부(22)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세로주위란, 높이방향으로 변위가 생기도록 하는 것이다. 이 R부(21)는, 단자본체(10)의 전후방향을 따르는 축 주위에 대략 원호형태로 구부러져 형성되어 있다. 상기 비드부(22)의 단면형상으로는, 대략 U자형, 대략 W자형, 또는 그 상하를 반대로한 것 등이 예시되지만, 중요한 것은 판용수철(20)이 전후방향으로 향하는 면에서 단면될 때, 판용수철(20)의 두께방향에서 중간부를 좌우로 지나는 중립축 주위 단면의 관성모멘트가, 평판인 경우 보다도 더 증가되기 쉽다는 것이다. 그리고, 단자본체(10)의 R부(21)에 이어진 부위에는, R부 기단의 양측테두리로부터 단자본체(10)의 폭방향으로 슬릿(14),(1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단자본체(10)의 전단에는, 필요에 따라 상기 판용수철(20)의 선단과 단자본체(10)의 내벽간 빈틈을 막도록 가이드부(15)가 형성되어 있고, 이 가이드부(15)에 의해, 상기 빈틈에 수단자(TT)든지 검사용 드라이버등 잘못 삽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1, 10A, 10B에 보이는 것처럼, 상기 안정장치(30)는, 단자본체(10)를 하우징(H)의 수용실(51)에 삽입할 때 전후방향으로 형성된 홈(52)에 끼워넣고 전진하며, 홈내에 형성된 랜스(53)을 넘어 상기 랜스(53)의 앞에 들어가 이것에 의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안정장치(30)는, 폭방향으로 향하는 면을 갖고 단자본체 (10)의 전단에서 높이방향에 설치되어 있다. 실시예에서는 안정장치(30)가 단자본체(10)의 위쪽에 설치되어 있다.
도 1, 10A, 10B에 보여지는 것과 같이, 상기 하우징(H)는, 전후방향으로 관통하는 수용실(51)이 형성된 하우징본체(50)와, 이 하우징본체(50)에 끼워넣어 져서 수용실(51)을 통과하는 리테이너(6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하우징본체(50)는, 수용실(51)로부터 높이방향에 만들어지고 또한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며, 안정장치 (30)가 끼워넣어질 홈(52)과, 이 홈내에서 수용실(51)의 폭방향에 구부러져 설치되고, 앞면에 안정장치(30)를 고정하는 랜스(53)와, 랜스(53) 앞면에 있는 홈(52)을 전방에 개방하는 실험용창문부(54)가 포함되어 있다. 상기 홈(52)은 수용실(51)로부터 윗쪽에 설치되어 있다. 도 10A, 10B에서, 폭방향에 일 열만 병렬로 한 수용실 (51)을 갖는 커넥터(C)를 예시하고 있지만, 도 12A에서 보여주는 것 처럼, 이것을 높이방향으로 여러 열을 병렬로 배열해도 좋다.
상기 암단자(T)는 한 장의 금속판으로부터 형성된다. 즉, 도 9에 보여지는 것과 같이, 전개된 형상으로 만들어진 다수의 암단자(T),(T)- ·가 러너(runner) (N)에 이어져 있는 상태로 금속판에 구멍을 뚫고, 다음엔 각 부분들을 구부려 암단자 (T),(T)- ·를 최종형상으로 만든다. 그 후에 각 암단자(T)를 러너(N)에서 분리해 버리는 것을 설명한다.
따라서, 상기 제 1실시예에 있어서는, 단자본체(10)의 접속부(12)에 전선 (W)을 접속한 다음, 암단자(T)를 하우징(H)의 수용실(51)에 삽입하면, 안정장치 (30)는 하우징(H)의 홈(52)에 끼워넣어져서 전진하고(도 10A의 상태), 그런다음 하우징(H)의 랜스(53)을 넘어서 상기 랜스(53)에 의해 고정되는데, 이것으로서 암단자(T)가 하우징(H)에 일차적으로 고정되는 것이다.(도 10B의 상태) 이어서, 하우징 (H)에 리테이너(60)를 밀어넣으면 리테이너(60)가 단자본체(10)의 고정부(13)에 끼워넣어지는데, 이로써 암단자(T)가 하우징(H)에 이차적으로 고정된다. 그리고, 이 커넥터(C)에 상대측커넥터(CC)를 대향시키고, 그 수단자(TT),(TT)- ·를 각각 암단자(T),(T)- ·에 삽입하면, 판용수철(20)이 수단자(TT)에 접촉하여 두 커넥터(C), (CC) 사이에서 기계적 접속및 전기적 접속이 다 형성된다.(도 1의 상태) 그 경우, 판용수철(20)의 R부(21)보다 선단 측에 비드부(22)가 형성되어 있고 더 나가, 판용수철(20)의 굽힘강성이 커져, 보강용수철을 설치하지 않더라도 충분한 접촉력을 확보할 수 있다. 더구나, 보강용수철이 없기 때문에, 용수철정수에 변곡점이 없어져서, 제품마다 얻어지는 접촉력이 안정하다. 또한, 판용수철(20)의 굽힘강성이 커지기 때문에, 판용수철(20)의 접촉부를 삽입구 부근까지 전진시키더라도 충분한 접촉력이 얻어진다. 그렇게 하면, 수단자(TT)의 삽입길이가 짧아져서, 수단자(TT)를 덮어야 되는 상대측커넥터(CC)의 하우징(HH)도 짧아지고, 조밀하게 되며, 수단자 (TT)의 경사에 대한 허용한도가 커지므로, 수단자(TT)를 암단자(T)에 삽입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해결되고, 커넥터(CC)의 이익율을 향상시킬수 있다. 더욱, R부(21)은 수단자(TT)가 도달하지 않은 부위에 형성되기 때문에, 단자본체전반부의 내부를 높이방향으로 넓게 사용하여 R부(21)의 곡율반경을 크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것은, R부의 크랙발생을 방지하므로, 접촉력이 안정된다. 또한 안정장치(30)가 단자본체(10)의 선단에 설치되었기 때문에, 암단자(T)가 하우징(H)의 수용실(51)에 대하여 잘못된 방향으로 삽입될 때에는, 삽입초기의 단계에서 수용실(51)의 입구에 걸리게 되므로, 확실히 암단자(T)의 역차가 방지되고, 작업자의 오조작에 의한 하우징(H)의 파손을 막을 수 있다. 또한, 하우징(H)의 전면에서 안정장치(30)에 바로 이어지는 실험용창문부(54)를 열었기 때문에, 수단자(TT)와 동형상의 실험용지그를 시험용창문부(54)에 삽입하면 그 실험용지그는 안정장치(30)에 접촉되므로, 판용수철등의 손상없이 도통실험등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보강용수철이 없기 때문에 암단자(T)의 높이가 낮아지고, 게다가 R부(21)가 수단자(TT)의 도달하지않은 부분에 있어 판용수철(20)의 밑으로 수단자(TT)가 들어가기 위한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이것에 의해서 암단자(T)의 높이가 더욱 낮아진다. 또한, 하우징(H)의 랜스(53)가, 폭방향으로 향하는 면에 의해 형성된 안정장치(30)에 따라 폭방향으로 구부러져 있어, 하우징(H)의 높이방향으로 구부러지기 때문에 공간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지고, 높이가 낮아지게 된다. 그 때문에, 커넥터(C)가 높이방향으로 가능한한 조밀하게 된다. 특히, 수용실(51)을 높이방향으로 한 줄로 세운 커넥터(C)에서는, 다수의 암단자(T)가 높이 방향으로 이어져 있고, 수용실(51) 사이의 벽수가 늘어나기 때문에 각각의 암단자(T) 높이가 낮아지게 되고, 또한 수용실(51) 사이의 벽이 얇아져서, 커넥터(C)를 높이방향으로 충분히 조밀화 할 수 있다. 이러한 것 때문에, 상기 커넥터(C)는 예를들면 공간유용성(space utility)이 많이 요구되는 자동차에 사용되는 커넥터로서 적합하다. 또, 안정장치(30)를 단자본체(10)의 아래쪽에 설치함과 동시에 홈(52)을 수용실(51)의 아래 쪽에 만들고, 랜스(53)을 홈 내에서 수용실(51)의 폭방향으로 구부려 설치할 때에도, 상기 실시예와 같이커넥터(C)를 높이방향으로 조밀화할 수 있다.
암단자(T)를 한 장의 금속판으로부터 뚫을 때에는, 전개된 형상에서 각 부분이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고려하지 않으면 안되는데, 이러한 제약에 의해 설계의 자유도가 손상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제 1실시예와 같이 R부(21)를 단자본 체(10)의 전후방향으로 따르는 축 주변에서 대략 원호형태로 구부릴 때에는, 도 9에 보여지는 것 처럼, 암단자(T)를 한 장의 금속판으로부터 만드는 경우, 암단자 (T)의 전개된 형상에서 판용수철(20)과 접속부(12)가 간섭하기 어렵게 되므로, 설계의 자유도가 높여진다.
이런 종류의 커넥터들은, 사용환경에 따라 미접동마모(微摺動摩耗)가 생긴 다. 이 미접동마모는, 접속하고 있는 한쌍의 커넥터가 온도변화로 인해 열변형하는 것에 의해 암단자와 수단자의 접촉면이 어긋나고, 이것이 반복되면 접촉면 부근에 형성된 산화피막이 박리되는데, 이 산화피막이 퇴적하게 되면, 마침내 접촉불량을 초래한다. 이것을 막기위해서는 판용수철의 접촉력을 높여 어긋남이 생기기 어렵게 하는 것이 좋지만, 그렇게 하면 커넥터의 접속작업에 큰 힘이 필요하게 되고 그것은, 단자수가 많은 커넥터를 사용하기 어렵게 될 것이다. 그러나, 상기 제 1실시예에 있어서, 단자본체(10)의 R부(21)에 이어져 있는 부위에, R부 기단의 폭방향 양쪽테두리로부터 전후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슬릿(14),(14)을 형성할 때에는, 온도변화에 의한 열변형으로 판용수철(20)과 수단자(TT)의 접촉면이 어긋나고, 슬릿 (14),(14)에 끼워져 있는 단자본체부분의 변형 때문에 R부(21)가 앞뒤로 약간 이동하는데, 이 이동에 의해서 상기 열변형이 흡수되어, 미접동마모가 생기기어렵다 . 그 때문에, 산화피막에 의한 접촉불량 거의 발생하지 않는데, 예를들면 온도차가 심한 지역에서도 높은 내구성을 보인다. 그 경우, R부(21)의 곡율반경의 변화에 의해 판용수철(20)의 접촉력을 높이는 등의 미접동마모방지대책을 강구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커넥터(C)의 접속작업에 요하는 힘을 적절히 설정할 수 있고,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단자수가 많은 커넥터(C)의 사용도 가능해 진다.
다음에는 제 2실시예를 도 11에 의해 설명한다. 이 제 2실시예는, 상기 제 1실시예와 비교하여 판용수철의 R부의 구성만이 다르고, 그 이외의 구성은 동일하다 . 따라서, 제 1실시예의 부재들과 동일기능을 발휘하는 부재들에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제 1실시예의 구성에 관한 설명 중 판용수철의 R부 구성 이외의 기술은 그대로 제 2실시예의 구성으로서 인용한다.
제 2실시예의 판용수철의 R부의 구성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1에서 보여지는 것과 같이, 제 2실시예의 R부(21)는, 단자본체(10)의 좌우방향으로 따르는 축의 주위에 대략 원호형태로 구부러져서 만들어져 있다. 그리고, 슬릿(14),(14)은 형성되지 않는다.
제 2실시예에 있어서는, R부(21)가 좌우방향으로 따르는 축 주위에 대략 원호형태로 구부러져 있기 때문에, 암단자(T)의 전개된 형상에서 판용수철(20)과 접속부(12)의 간섭에 관해 다소 고려를 할 필요가 있으며, 슬릿(14),(14)이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슬릿의 미접동마모의 방지효과가 얻어지지 않는 것으로 생각하지만, 다른 작용 및 효과는 제 1실시예와 같기 때문에, 그것들의 기술을 그대로 제 2실시예의 작용 및 효과로서 인용한다.
본 발명은, 제 1실시예에 있어서 슬릿을 형성하지 않은 실시예를, 제 2실시예에 있어서 슬릿을 형성한 실시예를 포함한다. 또한, 제 1실시예로서는 R부(21)를 단자본체(10)의 전후방향으로 따르는 축의 주위에 대략 원호형태로 구부러져 형성하고, 제 2실시예로서는 R부(21)를 단자본체(10)의 좌우방향으로 따르는 축 주위에 대략 원호형태로 구부러져 형성하였지만, 본 발명은, 수단자가 도달하지 않은 부분에서 전반부에 대략 평행한 축(세로) 주위에 대략 원호모양으로 구부러진 R부를 포함한 실시예를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암단자에 의하면, 비드(bead)부에서 판용수철의 굽힘강성이 커지기 때문에, 판용수철 한 장으로 충분한 접촉력을 안정적으로 얻을 수 있으며 동시에, 판용수철의 접촉부의 전진이 가능해지고, 수단자의 삽입길이를 짧게 하여 상대측커넥터를 조밀화할 수가 있으며, 또한 수단자의 경사에 대한 허용한도가 높아지고 커넥터의 이익율이 향상될 수 있다. 더욱, 수단자가 도달하지 않은 부분으로 R부의 곡율이 증가되기 때문에, 판용수철의 크랙을 막아서 접촉력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안정장치를 단자본체 전단에 설치하기 때문에, 확실히 암단자의 역차방지가 가능하며 동시에, 안정장치를 암단자의 도통실험에 이용할 수 있고 판용수철의 손상등을 예방할 수 있게한다. 더욱, 한 장의 판용수철 사용과 R부를 후퇴뿐만 아니라, 랜스를 폭방향으로 구부리는 것에 의해, 커넥터를 높이방향으로 가능한한 조밀화할 수가 있다.

Claims (5)

  1. 커넥터의 하우징의 수용실에 삽입되어 수단자를 받아 들이는 암단자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수용실에 삽입할 수 있는 튜브모양의 전반부(前半部)와, 전단에 있는 열려서 수단자를 받아들일 수 있는 삽입구와, 후부에 있는 전선이 접속되는 접속부와, 상기 하우징의 리테이너를 끼워넣는 고정부로 구성된 단자본체와,
    상기 단자본체의 전반부에 일체화된 기단과, 상기 단자본체의 전반부 내부를 전방으로 연장하는 선단을 보유하고, 높이방향으로 구부러진 판용수철과,
    상기 단자본체 전단외측에서 폭방향으로 향하는 면을 갖고 높이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단자본체가 하우징(H)의 수용실에 삽입될 때 전후방향으로 형성된 홈에 끼워넣어져 전진하고, 홈 안에 형성된 랜스를 넘어 상기 랜스에 고정되는 안정장치와,
    상기 판용수철의 기단에 형성되고, 상기 수단자가 도달하지 않는 부분에서 상기 전반부에 대략 평행한 축(세로) 주위에 대략 원호형태로 구부러진 R부와,
    상기 판용수철의 상기 R부 보다 선단 측에 형성되고, 굽힘강성이 증가하도록 만곡한 단면을 갖는 비드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의 암단자.
  2. 제 1항에 있어서, R부가, 단자본체의 전후방향으로 따르는 축의 주위에 대략 원호형태로 구부러져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의 암단자.
  3. 제 2항에 있어서, 단자본체의 R부에 이어져 있는 부위에는, R부 기단의 양측 테두리로부터 단자본체의 폭방향으로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의 암단자.
  4. 제 1항에 있어서, R부가, 단자본체의 좌우방향으로 따르는 축 주위에 대략 원호형태로 구부러져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의 암단자.
  5. 제 1 ~ 4항의 커넥터의 암단자가 삽입되는 커넥터의 하우징에 있어서,
    전후방향으로 관통하는 상기 수용실과, 상기 수용실로부터 높이방향에 설치되며 또한 전후방향으로 연장하여 상기 안정장치를 받아들이는 홈과, 상기 홈의 안에서 상기 수용실의 폭방향으로 구부러져 설치되고 전측에 상기 안정장치를 고정하는 랜스와, 상기 랜스 전측에 있는 홈을 전방에 개방하는 실험용창문부를 포함하는 하우징본체, 그리고
    상기 하우징본체에 끼워넣어져 상기 수용실에 삽입되는 리테이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의 하우징.
KR1019990028888A 1998-07-16 1999-07-16 커넥터의 암단자 및 하우징 KR1005796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8-219753 1998-07-16
JP21975398A JP3224369B2 (ja) 1998-07-16 1998-07-16 コネクタの端子及びハウジン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1776A true KR20000011776A (ko) 2000-02-25
KR100579653B1 KR100579653B1 (ko) 2006-05-15

Family

ID=16740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8888A KR100579653B1 (ko) 1998-07-16 1999-07-16 커넥터의 암단자 및 하우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174208B1 (ko)
EP (1) EP0977319B1 (ko)
JP (1) JP3224369B2 (ko)
KR (1) KR100579653B1 (ko)
DE (1) DE69931110T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8951B1 (ko) * 2006-12-14 2008-03-04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저삽입력 커넥터
KR100897376B1 (ko) * 2007-06-25 2009-05-14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20786B2 (ja) * 2000-01-24 2005-02-16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金具
US6398597B1 (en) * 2001-02-09 2002-06-04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Receptacle contact of a cable assembly and the cable assembly using the same
EP1294056B1 (en) * 2001-09-07 2007-02-14 Sumitomo Wiring Systems, Ltd. Terminal fitting, connector provided therewith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terminal fitting
JP3763574B2 (ja) * 2003-03-14 2006-04-0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6905376B2 (en) * 2003-04-15 2005-06-14 J.S.T. Mfg. Co., Ltd. Terminal
US7229324B2 (en) 2004-04-06 2007-06-12 Fci Sa High speed receptacle connector part
FR2869161B1 (fr) * 2004-04-19 2007-04-20 Fci Sa Contact electrique, et partie de connecteur electrique comprenant un tel contact
JP2008293722A (ja) * 2007-05-23 2008-12-04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5285985B2 (ja) 2008-07-17 2013-09-11 矢崎総業株式会社 雌型端子金具
US8974256B2 (en) * 2012-04-26 2015-03-10 Sumitomo Wiring Systems, Ltd. Terminal fitting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JP6027937B2 (ja) * 2013-04-08 2016-11-16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10230178B2 (en) * 2013-06-07 2019-03-12 Amphenol Fci Asia Pte Ltd Cable connector
DE102013222941A1 (de) * 2013-11-12 2015-05-13 Zf Friedrichshafen Ag Steckverbinder
CN105934855B (zh) 2013-12-03 2020-01-17 富加宜(亚洲)私人有限公司 连接器和用于这种连接器的插针接收接触件
US20150275952A1 (en) * 2014-03-25 2015-10-01 Fritz Stepper Gmbh & Co. Kg Plug-on part for a plug connector
US9437991B2 (en) * 2014-07-10 2016-09-06 Schneider Electric USA, Inc. Load center bus having integral stabs with formed shapes
US9472885B2 (en) * 2014-12-08 2016-10-18 Delphi Technologies, Inc.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low terminal insertion force
JP1599728S (ko) * 2017-07-07 2018-03-19
CN109411934B (zh) * 2017-08-16 2021-11-19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CN115986449A (zh) 2018-03-16 2023-04-18 富加宜(美国)有限责任公司 高密度电连接器
CN111370381B (zh) * 2020-03-27 2022-04-01 广东芯聚能半导体有限公司 连接组件、功率半导体及适用于功率半导体的连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83351A (en) * 1961-04-10 1963-03-26 Jr Auker J Nielsen Electrical receptacle
JPH05135819A (ja) * 1991-11-12 1993-06-01 Amp Japan Ltd リセプタクルコンタクト
JP2767732B2 (ja) * 1993-01-19 1998-06-18 矢崎総業株式会社 接続端子の係止解除機構
JP2581476Y2 (ja) * 1993-04-13 1998-09-21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H08106944A (ja) * 1994-10-03 1996-04-23 Tokai Rika Co Ltd 電気コネクタ及び同電気コネクタのハウジング
JPH0955246A (ja) 1995-08-15 1997-02-25 Amp Japan Ltd 電気端子
JPH09232021A (ja) 1996-02-20 1997-09-05 Amp Japan Ltd 雌型電気端子
JP3062928B2 (ja) * 1996-04-26 2000-07-12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ンタクト
WO1998018181A1 (en) * 1996-10-17 1998-04-30 The Whitake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housing and an electrical contact and electrical contac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8951B1 (ko) * 2006-12-14 2008-03-04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저삽입력 커넥터
KR100897376B1 (ko) * 2007-06-25 2009-05-14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174208B1 (en) 2001-01-16
DE69931110T2 (de) 2006-11-23
KR100579653B1 (ko) 2006-05-15
DE69931110D1 (de) 2006-06-08
EP0977319B1 (en) 2006-05-03
JP2000036350A (ja) 2000-02-02
JP3224369B2 (ja) 2001-10-29
EP0977319A3 (en) 2000-12-20
EP0977319A2 (en) 2000-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9653B1 (ko) 커넥터의 암단자 및 하우징
EP1923962A1 (en) A connector and method of preassembling it
US7044808B1 (en) Connector assembly with terminal position assurance device
US8708739B2 (en) Connector
JP2000150041A (ja) コネクタの端子及びハウジング
EP0889559B1 (en) Method for producing a connector for a circuit board
US7588446B2 (en) Connector and a connector assembly
EP1271704B1 (en) A connector and an unlocking jig therefor
US10910754B2 (en) Stacked connector
KR100958899B1 (ko) 커넥터
CN110581370B (zh) 端子和连接器
KR100742599B1 (ko) 전기커넥터용 리테이너 및 전기커넥터
EP1689036B1 (en) A terminal fitting, a connector provided therewith and a method of forming a terminal fitting
CN112909608B (zh) 端子零件
US8784133B2 (en) Connector
JP2001052786A (ja)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US8337255B2 (en) Connector and series of connectors
EP3716413B1 (en) Connector
US10559908B2 (en) Connector
EP1619760B1 (en) A jig and a method for withdrawing a terminal in a connector
JP4175774B2 (ja) コネクタ
JP3755433B2 (ja) コネクタ
JP2002124341A (ja) コネクタ
JP3224370B2 (ja) コネクタの端子及びハウジング
JP4089604B2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5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