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7376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7376B1
KR100897376B1 KR1020070062475A KR20070062475A KR100897376B1 KR 100897376 B1 KR100897376 B1 KR 100897376B1 KR 1020070062475 A KR1020070062475 A KR 1020070062475A KR 20070062475 A KR20070062475 A KR 20070062475A KR 100897376 B1 KR100897376 B1 KR 1008973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nnector housing
connector
barrel
key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2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13689A (ko
Inventor
허경선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624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7376B1/ko
Publication of KR200801136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36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7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73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터미널(10)의 외관 및 골격은 몸체(11)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몸체(11)의 선단에는 접촉부(15)가 구비된다. 상기 몸체(11)의 타단에는 바렐부(17)가 구비된다. 상기 바렐부(17)는 와이어바렐(19)과 인슐레이션바렐(21)로 구성된다. 상기 인슐레이션바렐(21)의 일측단에는 압착부(21a)가 구비된다. 상기 인슐레이션바렐(21)의 타측단에는 가이드부(21b)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부(21b)는 커넥터 하우징(30)에 구비되는 키홈(33)에 삽입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터미널(10)의 가이드부(21b)가 상기 커넥터 하우징(30)의 키홈(33)에 삽입되며 상기 터미널(10)이 상기 커넥터 하우징(30)에 고정되므로 상기 터미널(10)이 상기 커넥터 하우징(30)에서 유동되지 않는 이점이 있다.
커넥터, 터미널, 키홈, 가이드부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터미널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터미널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 하우징에 터미널이 결합된 모습을 보인 일부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 하우징에 터미널이 결합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터미널 11 : 몸체
13 : 스테빌라이져 15 : 접촉부
17 : 바렐부 19 : 와이어바렐
19': 압착판 21 : 인슐레이션바렐
21a: 압착부 21b: 가이드부
30 : 커넥터 하우징 31 : 하우징몸체
31': 내부공간 33 : 키홈
121c: 절곡부 133a: 걸이부
133b: 변형공간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와이어의 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서로 결합함에 의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넥터는 외관 및 골격을 형성하는 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설치되는 터미널로 구성된다.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내부에는 터미널이 설치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된다.
도 1에는 종래의 기술에 의한 터미널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 도면에 의하면, 터미널(1)의 골격은 몸체(3)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몸체(3)의 일단에는 소정량 돌출되게 형성되는 접촉부(4)가 구비된다. 상기 접촉부(4)는 상기 커넥터에 결합되는 상대 커넥터의 터미널(도시되지 않음)과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몸체(3)의 하면에는 소정량 돌출되게 형성되는 한쌍의 스테빌라이져(5)가 구비된다. 상기 스테빌라이져(5)는 상기 터미널(1)이 상기 커넥터에 오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몸체(3)의 타단에는 전선(W)이 압착되어 연결되는 바렐부(7)가 구비된다.
하지만,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내부공간과 상기 터미널(1)의 사이에는 유격이 있기 때문에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서 상기 터미널(1)이 유동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터미널(1)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는 랜스(도시되지 않음)에 그 일단이 걸어짐으로 해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고정될 뿐 별다른 고정구조가 없어 상기 터미널(1)이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서 쉽게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터미널의 일부가 커넥터 하우징에 지지되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터미널의 일부가 커넥터 하우징에 걸어져 고정되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골격을 형성하고 커넥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단에서 연장되고 전선을 압착하여 고정하는 바렐부와 상기 바렐부의 측단에 돌출되게 구비되어 상기 바렐부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절곡되는 가이드부를 포함 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외관 및 골격을 형성하고, 내부에 터미널이 설치되는 내부공간이 관통되게 형성되는 하우징몸체와 상기 내부공간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터미널의 일측이 삽입되어 지지되는 키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골격을 형성하고 커넥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선단에서 연장되고 전선을 압착하여 고정하는 바렐부와 상기 바렐부의 측단에 돌출되게 구비되어 상기 바렐부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절곡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터미널과 외관 및 골격을 형성하고, 내부에 상기 터미널이 설치되는 내부공간이 관통되게 형성되는 하우징몸체와 상기 내부공간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터미널의 가이드부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키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커넥터 하우징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부에는 상기 바렐부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절곡부가 구비된다.
상기 키홈은 상기 터미널의 삽입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키홈에는 상기 가이드부의 선단이 걸어지는 걸이부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키홈에서 상기 걸이부가 구비되는 부분의 상방에는 상기 걸이부가 탄성변형되어 위치하는 변형공간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에 의하면, 터미널의 가이드 부가 커넥터 하우징의 키홈에 지지되므로, 터미널이 커넥터 하우징에서 유동되는 것이 방지되고, 터미널의 가이드부가 커넥터 하우징의 키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므로 터미널이 커넥터 하우징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 도면에 의하면, 터미널(10)의 골격은 몸체(11)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몸체(11)는 대략 속이 빈 직육면체 형상이며, 전기전도성이 좋은 금속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몸체(11)의 하면에는 한쌍의 스테빌라이져(13)가 소정량 돌출되게 구비된다. 상기 스테빌라이져(13)는 상기 터미널(10)이 후술할 커넥터 하우징(30)에 오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상기 몸체(11)의 일단에는 접촉부(15)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접촉부(15)는 커넥터 하우징(30)에 결합되는 상대 커넥터의 터미널(도시되지 않음)과 결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분이다.
상기 몸체(11)의 타단에는 바렐부(17)가 구비된다. 상기 바렐부(17)는 상기 터미널(10)에 연결되는 전선(W)이 압착되어 고정되는 부분이다. 상기 바렐부(17)는 크게 와이어바렐(19)과 인슐레이션바렐(21)로 구성된다.
상기 와이어바렐(19)은 전선(W)의 와이어(W')를 압착하여 결합되는 부분이다. 상기 와이어바렐(19)의 양측단에는 압착판(19')이 소정량 돌출되게 각각 구비 된다. 상기 압착판(19')은 상기 전선(W)의 와이어(W')를 감싸며 상기 와이어바렐(19)에 상기 와이어(W')를 압착시킨다.
상기 와이어바렐(19)의 선단에는 상기 인슐레이션바렐(21)이 구비된다. 상기 인슐레이션바렐(21)은 상기 전선(W)의 피복(W")을 압착시켜 상기 전선(W)이 상기 터미널(10)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상기 인슐레이션바렐(21)의 일측단에는 압착부(21a)가 구비된다. 상기 압착부(21a)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전선(W)의 피복(W")을 감싸며 상기 인슐레이션바렐(21)에 압착시킨다.
상기 인슐레이션바렐(21)의 타측단에는 가이드부(21b)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부(21b)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인슐레이션바렐(21)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절곡된다. 상기 가이드부(21b)는 후술할 커넥터 하우징(30)의 키홈(33)에 삽입되어 상기 터미널(10)이 커넥터 하우징(30)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지지하여 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21b)가 커넥터 하우징(30)의 키홈(33)에 삽입되어야만 상기 터미널(10)이 커넥터 하우징(30)에 완전히 결합될 수 있으므로 상기 터미널(10)이 커넥터 하우징(30)에 오삽입되는 것을 방지해 주는 역할도 한다. 이와 같이 상기 가이드부(21b)와 키홈(33)이 상기 터미널(10)의 스테빌라이져(13)와 같은 역할도 수행하기 때문에 상기 스테빌라이져(13)는 경우에 따라 구비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터미널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가이드부의 형상만이 상 이한 것으로 나머지 부분은 동일한 바 이하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한 터미널(110)은 상기 인슐레이션바렐(121)의 가이드부(121b)의 선단에는 절곡부(121c)가 형성된다. 상기 절곡부(121c)는 상기 가이드부(121b)의 선단 일부가 상기 인슐레이션바렐(121)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터미널은 여러 종류의 커넥터 하우징에 사용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특정 커넥터 하우징의 외면두께는 터미널의 가이드부의 길이보다 얇을 수 있어 가이드부의 선단이 커넥터 하우징의 외면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터미널로 흐르는 전류가 가이드부를 통해 외부로 전달되어 합선이 일어나거나 작업자가 감전될 수 있기 때문에, 가이드부의 선단이 커넥터의 외면으로 돌출되지 않게 하기 위하여 가이드부의 선단일부를 절곡하여, 그 돌출된 길이가 커넥터의 외면 두께보다 작도록 하는 것이다.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 하우징에 터미널이 결합된 모습이 일부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 도면에 의하면, 커넥터 하우징(30)의 외관 및 골격은 대략 속이 빈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하우징몸체(31)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몸체(31)의 내부에는 상기 터미널(10)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내부공간(31')이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내부공간(31')에는 상기 터미널(10)의 일측을 걸어 고정시키는 랜스등과 같은 고정구조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내부공간(31')의 일측면에는 키홈(33)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키홈(33)은 상기 내부공간(31')의 입구에 해당하는 부분에서부터 소정의 길이 요입되게 형성된다. 상기 키홈(33)은 상기 터미널(10)의 가이드부(21b)가 삽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키홈(33)으로 상기 터미널(10)의 가이드부(21b)가 삽입되어 고정되므로 상기 터미널(10)이 상기 커넥터 하우징(30)에서 유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 하우징에 터미널이 결합된 모습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키홈부분이 상이한 것으로 나머지 구성들은 모두 동일한 바 이하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내부공간(131')의 일측면에는 키홈(133)이 형성된다. 상기 키홈(133)은 상기 터미널(10)의 가이드부(21b)가 삽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키홈(133)에는 걸이부(133a)가 구비된다.
상기 걸이부(133a)는 상기 키홈(133)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선단이 상기 키홈(133)을 향해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외팔보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걸이부(133a)는 상기 터미널(10)의 가이드부(21b)의 일단과 접촉하여 상기 터미널(10)의 가이드부(21b)가 상기 키홈(133)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걸이부(133a)는 재질과 형상의 특성상 탄성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걸이부(133a)에 상기 터미널(10)의 가이드부(21b)가 걸어져 고정되므로 상기 터미널(10)을 상기 커넥터 하우징(130)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하우징몸체(131)에서 상기 걸이부(133a)가 형성된 부분의 상방에는 변형공간(133b)이 형성된다. 상기 변형공간(133b)은 상기 걸이부(133a)가 상기 터미널(10)의 가이드부(21b)와 접촉하며 탄성변형될 때 위치하기 위한 부분이다.
이하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하우징에 터미널이 삽 입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에 터미널이 삽입되는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작업자는 상기 터미널(10)의 몸체(11)를 상기 커넥터 하우징(30)의 내부공간(31')으로 삽입하여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터미널(10)의 가이드부(21b)가 상기 키홈(33)에 삽입되도록 맞추어 삽입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터미널(10)의 가이드부(21b)가 상기 커넥터 하우징(30)의 키홈(33)에 삽입되어 상기 터미널(10)이 상기 커넥터 하우징(30)에 설치되므로, 상기 터미널(10)이 상기 커넥터 하우징(30)에서 유동되는 것이 방지되고 또한, 상기 터미널(10)이 상기 커넥터 하우징(30)에 오삽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하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에 터미널이 삽입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작업자는 상기 터미널(10)을 상기 커넥터 하우징(130)의 내부공간(131')으로 삽입한다. 이때 상기 터미널(10)의 가이드부(21b)가 상기 키홈(133)에 삽입되도록 맞추어 삽입한다. 상기 가이드부(21b)가 상기 키홈(133)에 삽입되어야 상기 터미널(10)이 상기 커넥터 하우징(130)에 정확히 설치되기 때문에 상기 터미널(10)이 상기 커넥터 하우징(130)에 오삽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터미널(10)이 상기 커넥터 하우징(130)에 어느 정도 삽입되면 상기 가이드부(21b)의 선단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130)의 걸이부(133a)와 접촉하게 된다. 상기 걸이부(133a)는 탄성변형 가능하기 때문에 작업자는 상기 걸이부(133a)의 탄성력을 극복하며 상기 터미널(10)을 상기 커넥터 하우징(130)에 삽입한다. 이때 상 기 걸이부(133a)는 탄성변형되며 상기 변형공간(133b)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터미널(10)을 상기 커넥터 하우징(130)에 더 삽입하면 상기 가이드부(21b)는 상기 걸이부(133a)와 접촉하지 않게 되고 동시에 상기 걸이부(133a)는 다시 복원되어 상기 가이드부(21b)의 말단에 걸어진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걸이부(133a)에 상기 가이드부(21b)가 걸어져 상기 가이드부(21b)가 상기 키홈(133)에 고정되므로 상기 터미널(10)이 상기 커넥터 하우징(130)에서 유동되는 것이 방지됨과 동시에 상기 터미널(10)이 상기 커넥터 하우징(130)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터미널의 가이드부가 커넥터 하우징의 키홈에 삽입되어 지지되므로, 터미널이 커넥터 하우징에서 유동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 키홈의 걸이부에 터미널의 가이드부가 걸어 고정시키므로, 터미널이 커넥터 하우징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이드부가 커넥터 하우징의 키홈에 삽입되어야 터미널이 커넥터 하우 징에 정확히 결합되므로 터미널이 커넥터 하우징에 오삽입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골격을 형성하고 커넥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선단에서 연장되고 전선을 압착하여 고정하는 바렐부와 상기 바렐부의 측단에 돌출되게 구비되어 상기 바렐부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절곡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터미널과;
    외관 및 골격을 형성하고, 내부에 상기 터미널이 설치되는 내부공간이 관통되게 형성되는 하우징몸체와;
    상기 내부공간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터미널의 가이드부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키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커넥터 하우징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에는 상기 바렐부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절곡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키홈은 상기 터미널의 삽입방향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키홈에는 상기 가이드부의 선단이 걸어지는 걸이부가 돌출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키홈에서 상기 걸이부가 구비되는 부분의 상방에는 상기 걸이부가 탄성변형되어 위치하는 변형공간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070062475A 2007-06-25 2007-06-25 커넥터 KR1008973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2475A KR100897376B1 (ko) 2007-06-25 2007-06-25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2475A KR100897376B1 (ko) 2007-06-25 2007-06-25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3689A KR20080113689A (ko) 2008-12-31
KR100897376B1 true KR100897376B1 (ko) 2009-05-14

Family

ID=40370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2475A KR100897376B1 (ko) 2007-06-25 2007-06-25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737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82395A (ja) * 1995-09-13 1997-03-28 Yazaki Corp コネクタ
KR19980041336U (ko) * 1996-12-23 1998-09-15 박병재 와이어링 접속단자
KR20000011776A (ko) * 1998-07-16 2000-02-25 요시무라 마사오 커넥터의 암단자 및 하우징
JP2003100371A (ja) 2001-09-19 2003-04-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端子付き配線基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82395A (ja) * 1995-09-13 1997-03-28 Yazaki Corp コネクタ
KR19980041336U (ko) * 1996-12-23 1998-09-15 박병재 와이어링 접속단자
KR20000011776A (ko) * 1998-07-16 2000-02-25 요시무라 마사오 커넥터의 암단자 및 하우징
JP2003100371A (ja) 2001-09-19 2003-04-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端子付き配線基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3689A (ko) 2008-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22707B2 (ja) 垂直嵌合雌端子及びこれが装着されるハウジング
KR101115826B1 (ko) 접속단자
KR100966225B1 (ko) 접촉 안정부를 갖춘 전기 소켓 단자
KR20130067308A (ko) 전방 배치된 접촉 단자를 구비한 전기 플러그 커넥터
JP4353433B2 (ja) コネクタ
KR200467486Y1 (ko) 리셉터클 터미널
KR100897376B1 (ko) 커넥터
KR100982942B1 (ko) 커넥터
KR101651653B1 (ko) 와이어 투 와이어 커넥터 조립체
KR200442919Y1 (ko) 커넥터
KR200446031Y1 (ko) 커넥터
KR100988794B1 (ko) 커넥터
KR200450639Y1 (ko) 터미널
KR100907541B1 (ko) 리셉터클 터미널
KR200442917Y1 (ko) 수직형 터미널조립체
KR20090073779A (ko) 리셉터클 터미널
KR20100008653A (ko) 리셉터클터미널
KR100897377B1 (ko) 리셉터클 터미널
KR200464159Y1 (ko) 탭터미널 및 이를 포함하는 터미널 어셈블리
KR200439561Y1 (ko) 커넥터
KR101520927B1 (ko) 터미널
KR100922154B1 (ko) 커넥터
KR20120001478U (ko) 커넥터
KR200451901Y1 (ko) 터미널
KR100957488B1 (ko) 리셉터클 터미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