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9561Y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39561Y1 KR200439561Y1 KR2020070002867U KR20070002867U KR200439561Y1 KR 200439561 Y1 KR200439561 Y1 KR 200439561Y1 KR 2020070002867 U KR2020070002867 U KR 2020070002867U KR 20070002867 U KR20070002867 U KR 20070002867U KR 200439561 Y1 KR200439561 Y1 KR 200439561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rminal
- housing
- receptacle terminal
- protruding piece
- receptac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3—Coupling part wherein contact is comprised of a wire or brush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탭터미널과 결합되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 하우징(10)에는 소정의 내부공간(12)이 형성되고 내면 일측에 안착홈(13)이 요입되게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10)의 선단에는 탭터미널(20)과 결합하는 체결부(18)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내부공간(12)에는 상기 탭터미널(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리셉터클 터미널(40)이 구비되는데, 상기 리셉터클 터미널(40)의 일측에는 상기 안착홈(13)에 안착되는 돌출편(45)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체결부(18)의 내주면 일측에는 상기 탭터미널(20)의 외주를 둘러 돌출되는 결합돌기(25)가 안착되는 결합홈(19h)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18)의 선단 일측에는 상기 결합홈(19h)에 안착된 결합돌기(25)의 일측을 지지하는 걸림돌부(19)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본 고안에 의한 커넥터에서는 하우징 내에 리셉터클 터미널이 견고하게 지지되어 탭터미널의 삽입 또는 분리과정에서 리셉터클 터미널의 위치가 변경되는 것이 최소화되며, 커넥터와 탭터미널의 결합력이 커지는 효과가 있다.
리셉터클 터미널, 탭터미널, 고정
Description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하우징을 보인 정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하우징을 보인 배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실시예에서 리어홀더가 하우징본체에 결합된 상태를 보인 배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횡단면도.
도 5는 본 고안 실시예를 보인 종단면도.
도 6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리셉터클 터미널을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하우징 11: 하우징본체
12: 내부공간 13: 안착홈
15: 걸이턱 17: 스토퍼
18: 체결부 19: 걸림돌부
19h: 결합홈 20: 탭터미널
25: 결합돌기 31: 리어홀더
32: 힌지부 33: 체결돌기
34: 체결홀 35: 삽입안내부
37: 연통슬롯 40: 리셉터클 터미널
41: 몸체부 43: 결합부
45: 돌출편 49: 바렐부
본 고안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대물인 탭터미널과 결합되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의한 커넥터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터미널로 구성된다. 상기 터미널에는 상대물인 터미널이 결합되고 상기 터미널과 상대물인 터미널의 결합에 의해 전기적인 연결이 이루어진다. 상기 터미널에는 리셉터클 터미널과 탭터미널이 있는데, 여기에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있는 것이 리셉터클 터미널이고 상기 리셉터클 터미널과 결합하는 것이 탭터미널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커넥터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커넥터에 있어서,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리셉터클 터미널이 정확한 위치에 고정되지 못하여, 탭터미널의 결합과 분리시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상기 리셉터클 터미널이 후방으로 밀리거나 상기 하우징의 선단으로 딸려나오는 등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상기 리셉터클 터미널이 상대이동을 하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탭터미널은 상기 리셉터클 터미널에 삽입되어 결합되는데, 주로 상기 탭터미널이 상기 리셉터클 터미널에 비해 큰 직경을 가지도록 되어 서로 밀착되어 결합되는 것이다. 하지만 상기 터미널의 밀착력만으로는 상기 탭터미널의 고정이 견고하게 이루어지지 못하여, 상기 탭터미널이 쉽게 분리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리셉터클 터미널이 견고하게 지지되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대물인 탭터미널과의 결합이 확고하게 유지되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소정의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내면 일측에 안착홈이 요입되게 형성되며, 그 선단에는 탭터미널과 결합하는 체결부가 구비되는 하우징과; 상기 내부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탭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일측에 상기 안착홈에 안착되는 돌출편이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에 대한 상대이동이 방지되는 리셉터클 터미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리셉터클 터미널은, 도전성 금속재질로 만들어지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선단에 구비되고 상대물인 탭터미널이 삽입되는 삽입공간이 형성되는 결합부와, 상기 몸체부의 후단에 구비되어 와이어와 연결되는 바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돌출편은 상기 결합부의 일측에서 돌출되고, 상기 돌출편의 선단부는 상기 삽입공간을 향하는 방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돌출편은 상기 결합부의 일부가 소정 영역 절개되어 형성되고, 상기 돌출편의 기저부를 중심으로 그 선단부가 상기 결합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휘어지며, 상기 돌출편의 선단부가 상기 안착홈의 일측에 형성되는 걸이턱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상기 체결부의 내주면 일측에는 상기 탭터미널의 외주를 둘러 돌출되는 결합돌기가 안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의 선단 일측에는 상기 결합홈에 안착된 결합돌기의 일측을 지지하는 걸림돌부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는 상기 리셉터클 터미널의 선단을 지지하는 스토퍼가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의 후단에는 힌지부로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의 후단과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리어홀더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리어홀더에는 와이어가 통과하는 연통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리어홀더의 일측면에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으로 돌출되어 상기 리셉터클 터미널의 후단을 지지하는 터미널지지부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커넥터에서는 하우징 내에 리셉터클 터미널이 견고하게 지지되어 탭터미널의 삽입 또는 분리과정에서 리셉터클 터미널의 위치가 변경되는 것이 최소화되며, 커넥터와 탭터미널의 결합력이 커지는 효 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하우징을 보인 정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하우징을 보인 배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 실시예에서 리어홀더가 하우징본체에 결합된 상태를 보인 배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횡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 실시예를 보인 종단면도이며, 도 6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리셉터클 터미널을 보인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의 외관을 하우징본체(11)가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본체(11)는 중공형으로 형성되며, 소정의 내부공간(12)이 형성된다. 상기 내부공간(12)은 상기 하우징본체(11)의 선단과 후단으로 개구되게 형성된다.
도 1과 도 4를 중심으로, 상기 하우징본체(11)의 내면 일측에는 안착홈(13)이 요입되게 형성된다. 상기 안착홈(13)에는 후술할 리셉터클 터미널(40)의 돌출편(45)이 안착된다. 상기 안착홈(13)은 상기 돌출편(45)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돌출편(45)이 안착된 상태에서 리셉터클 터미널(40)의 상대회전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안착홈(13)에서 상기 하우징본체(11)의 후단을 향하는 일측에는 걸이턱(15)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턱(15)은 상기 안착홈(13)에 안착되는 돌출편(45)의 선단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도 1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본체(11)의 선단에는 스토퍼(17)가 구비된다. 상기 스토퍼(17)는 상기 하우징본체(11)의 내주를 둘러서 상기 내부공간(12)으로 돌출된다. 상기 스토퍼(17)는 상기 리셉터클 터미널(40)의 선단을 지지하여 리셉터클 터미널(40)이 상기 하우징본체(11)에서 전방으로 빠져나오지 않도록 한다.
한편, 상기 하우징본체(11)의 선단에는 체결부(18)가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18)는 아래에서 설명될 탭터미널(20)과 결합되는 부분이다. 상기 체결부(18)의 내주연 일측에는 상기 체결부(18)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돌부(19)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돌부(19)에는 상기 탭터미널(20)의 외주연을 둘러 형성되는 결합돌기(25)가 걸어진다. 또한, 상기 체결부(18)의 내측, 즉 상기 걸림돌부(19)와 스토퍼(17) 사이에 해당되는 위치에는 결합홈(19h)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홈(19h)에는 상기 탭터미널(20)의 결합돌기(25)가 안착된다.
탭터미널(20)은 본 고안의 커넥터와 결합되는 상대물이다. 상기 탭터미널(20)은 본 고안 실시예에서 대략 원기둥형상이며, 그 외주연을 둘러서 결합돌기(25)가 돌출되는 형상으로 구성된다.
도 2와 도 3으로 돌아와서, 상기 하우징본체(11)의 후단에는 리어홀더(31)가 힌지부(32)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상기 리어홀더(31)는 상기 하우징본체(11)의 개구된 후단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리어홀더(31)의 양측에는 체결돌기(33)가 돌출된다. 상기 체결돌기(33)는 상기 하우징본체(11)의 후단에서 상기 체결돌기(33)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체결홀(34)에 끼워진 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본체(11)의 후단에서 상기 체결홀(34)과 인접한 위치에는 상기 체결돌기(33)를 상기 체결홀(34)로 안내하기 위한 삽입안내부(35)가 경사지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리어홀더(31)의 일측에는 연통슬롯(37)이 형성된다. 상기 연통슬롯(37)은 상기 리어홀더(31)가 상기 하우징본체(11)의 후단에 체결되었을 때, 상기 내부공간(12)을 외부와 연통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연통슬롯(37)의 일단부는 개구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연통슬롯(37)은 상기 힌지부(32)와 반대방향을 향하는 일단부가 개구되게 형성되었다.
또한, 상기 리어홀더(31)의 내면, 즉 상기 리어홀더(31)가 상기 하우징본체(11)의 후단에 체결되었을 때, 상기 내부공간(12)을 향하는 면에는 상기 내부공간(12) 내부로 돌출되는 터미널지지부(38)가 구비된다. 상기 터미널지지부(38)는 상기 내부공간(12)의 후단과 대응되는 형상이다. 상기 터미널지지부(38)는 상기 내부공간(12)에 위치하는 리셉터클 터미널(40)의 후단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하우징본체(11)의 내부공간(12)에는 리셉터클 터미널(40)이 구비된다. 이하 도 4 내지 도 6을 중심으로 리셉터클 터미널(40)의 구성을 자세히 설명한다. 리셉터클 터미널(40)은 판형상의 금속을 프로그레시브 금형에서 연속적으로 가공하여 만들어지는 것이다.
상기 리셉터클 터미널(40)의 골격을 몸체부(41)가 형성한다. 상기 몸체부(41)를 기준으로 선단에는 결합부(43)가 후단에는 바렐부(49)가 구비된다.
상기 결합부(43)는 원통형상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결합부(43)는 판상의 금속이 원통형상으로 말리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판형상 금속의 양단이 서로 만나게 되는 상기 결합부(43)의 일측은 틀어짐 방지 구조로 되어 있다. 다시 말해 상기 판형상 금속의 일단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금속의 일단과 만나게 되는 타단에는 상기 돌출부와 대응되는 홈부가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돌출부가 상기 홈부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결합부의 틀어짐이 방지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결합부(43)는 리셉터클 터미널(40)의 길이방향 전후가 개구되게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43)의 내부에는 삽입공간(44)이 형성되는데, 상기 삽입공간(44)은 상기 탭터미널(20)이 삽입되는 부분이다.
한편, 상기 결합부(43)의 일측에는 돌출편(45)이 돌출된다. 상기 돌출편(45)은 상기 안착홈(13)에 안착된다. 본 고안 실시예에서 상기 돌출편(45)은 상기 결합부(43)의 양측에 서로 대응되도록 한 쌍이 구비된다. 그러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고, 상기 돌출편(45)의 개수는 설계조건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상기 돌출편(45)은 상기 결합부(43)를 기준으로 탄성변형 가능하다. 도 6을 중심으로 상기 돌출편(45)은 상기 결합부(43)의 일측면에서 소정 영역이 절개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돌출편(45)은 그 기저부를 중심으로 선단부가 상기 결합부(43)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휘어진다. 이러한 형상에 의하여 상기 돌출편(45)은 기저부를 기준으로 그 선단부가 상기 삽입공간을 향하여 탄성변형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돌출편(45)의 선단부는 상기 안착홈(13)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걸이턱(15)에 걸어진다. 이로 인해 상기 리셉터클 터미널(40)이 상기 하우징(10)의 방으로 밀리는 방지된다.
상기 바렐부(49)는 와이어와 연결되는 부분이다. 상기 바렐부(49)는 와이어를 둘러 감싸 압착되는 것으로 리셉터클 터미널(40)과 와이어의 전기적 연결을 수행한다. 상기 바렐부(49)는 와이어바렐(47)과 인슐레이션바렐(48)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와이어바렐(47)은 와이어의 심선을 감싸 압착되고, 상기 인슐레이션바렐(48)은 와이어의 인슐레이션을 둘러 감싸 압착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커넥터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4와 도 5를 참고하여 커넥터의 조립과정을 설명한다. 리셉터클 터미널(40)의 바렐부(49)로 와이어(미도시)를 둘러 감싸 압착시킨다. 이와 같이 와이어와 결합된 리셉터클 터미널(40)의 선단을 상기 하우징(10)의 후단에서부터 내부공간(12)으로 삽입한다. 이때 상기 돌출편(45)은 상기 하우징본체(11)의 내벽에 의해 지지되어 리셉터클 터미널(40)의 내측을 향하여 탄성변형된다. 이와 같이 상기 돌출편(45)이 탄성변형되므로 상기 리셉터클 터미널(40)의 삽입과정이 방해되지 않는다.
상기 리셉터클 터미널(40)의 삽입은 그 선단이 상기 스토퍼(17)에 닿을 때까지 계속된다. 상기 리셉터클 터미널(40)의 선단이 상기 스토퍼(17)에 닿게 되는 것과 동시에, 상기 돌출편(45)은 상기 하우징본체(11)의 내벽에 형성된 안착홈(13)에 안착된다. 이때 상기 돌출편(45)은 그 복원력에 의해 다시 원래의 상태가 된다. 즉, 상기 돌출편(45)의 선단부가 상기 리셉터클 터미널(40)의 외측으로 벌어진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돌출편(45)의 선단부가 상기 걸이턱(15)에 걸어지게 된다.
다음으로, 도 2 및 3과 같이 상기 리어홀더(31)를 상기 하우징본체(11)의 후단에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리어홀더(31)의 터미널지지부(38)가 상기 리셉터클 터미널(40)의 후단을 지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되면 커넥터의 조립이 완성되는 것이다.
본 고안 실시예에서 상기 리셉터클 터미널(40)은 그 선단이 상기 스토퍼(17)에 의해 지지되고, 그 후단은 상기 터미널지지부(38)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상기 돌출편(45)의 선단부가 상기 걸이턱(15)에 의해 지지되므로 상기 리셉터클 터미널(40)은 상기 하우징(10)에 대하여 견고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탭터미널(20)이 상기 리셉터클 터미널(40)과 결합되거나 서로 분리되는 과정에서 상기 리셉터클 터미널(40)에 힘을 가하더라도 상기 리셉터클 터미널(40)이 제 위치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된다.
그리고, 상기 안착홈(13)의 폭은 상기 돌출편(45)의 폭과 대응되는 크기이므로, 상기 돌출편(45)이 상기 안착홈(13)에 안착되면, 상기 리셉터클 터미널(40)의 상기 하우징(10)에 대한 상대회전이 방지된다.
다음으로, 도 5를 참고하여 커넥터에 상대물인 탭터미널(20)이 결합되는 것을 설명한다.
상기 탭터미널(20)의 선단을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12)으로 삽입시킨다. 이때, 상기 탭터미널(20)의 결합돌기(25)가 상기 걸림돌부(19)를 타고 넘어 상기 결합홈(19h)에 안착된다. 상기 걸림돌부(19)는 상기 결합돌기(25)를 지지한다. 상기 걸림돌부(19)가 상기 결합돌기(25)를 지지하므로 상기 탭터미널(20)이 하우 징(10)에 견고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탭터미널(20)이 상기 결합부(43)와 결합되는데,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탭터미널(20)의 직경이 상기 결합부(43)의 내경에 비해 크게 형성되므로 상기 탭터미널(20)의 외면과 상기 결합부(43)의 내면이 서로 밀착되어 결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탭터미널(20)과 결합부(43)가 서로 접촉되어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리셉터클 터미널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하우징에 형성되는 스토퍼와 걸이턱이 리셉터클 터미널의 선단과 돌출편을 각각 지지하고, 리어홀더가 상기 리셉터클 터미널의 후단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리셉터클 터미널이 하우징에서 견고하게 지지되며, 탭터미널이 삽입되거나 분리되는 과정에서 가하는 힘에 의하여 상기 리셉터클 터미널의 위치가 변경되는 것이 최소화된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는 탭터미널을 커넥터에 삽입했을 때, 상기 탭터미널의 결합돌기가 하우징본체의 결합홈에 안착되고, 상기 하우징본체의 걸림돌부가 상기 탭터미널의 결합돌기를 지지하므로 탭터미널과 커넥터의 결합이 견고하게 유지된다.
Claims (6)
- 소정의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내면 일측에 안착홈이 요입되게 형성되며, 그 선단에는 탭터미널과 결합하는 체결부가 구비되는 하우징과;상기 내부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탭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일측에 상기 안착홈에 안착되는 돌출편이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에 대한 상대이동이 방지되는 리셉터클 터미널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터미널은,도전성 금속재질로 만들어지는 몸체부와,상기 몸체부의 선단에 구비되고 상대물인 탭터미널이 삽입되는 삽입공간이 형성되는 결합부와,상기 몸체부의 후단에 구비되어 와이어와 연결되는 바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상기 돌출편은 상기 결합부의 일측에서 돌출되고, 상기 돌출편의 선단부는 상기 삽입공간을 향하는 방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편은 상기 결합부의 일부가 소정 영역 절개되어 형성되고, 상기 돌출편의 기저부를 중심으로 그 선단부가 상기 결합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휘어지며, 상기 돌출편의 선단부가 상기 안착홈의 일측에 형성되는 걸 이턱에 의해 지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의 내주면 일측에는 상기 탭터미널의 외주를 둘러 돌출되는 결합돌기가 안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의 선단 일측에는 상기 결합홈에 안착된 결합돌기의 일측을 지지하는 걸림돌부가 돌출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는 상기 리셉터클 터미널의 선단을 지지하는 스토퍼가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후단에는 힌지부로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의 후단과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리어홀더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리어홀더에는 와이어가 통과하는 연통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리어홀더의 일측면에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으로 돌출되어 상기 리셉터클 터미널의 후단을 지지하는 터미널지지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70002867U KR200439561Y1 (ko) | 2007-02-16 | 2007-02-16 | 커넥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70002867U KR200439561Y1 (ko) | 2007-02-16 | 2007-02-16 | 커넥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39561Y1 true KR200439561Y1 (ko) | 2008-04-28 |
Family
ID=41641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70002867U KR200439561Y1 (ko) | 2007-02-16 | 2007-02-16 | 커넥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39561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13280B1 (ko) * | 2013-11-14 | 2015-04-17 | 주식회사 경신 | 자동차용 인쇄회로기판 점핑장치 |
-
2007
- 2007-02-16 KR KR2020070002867U patent/KR200439561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13280B1 (ko) * | 2013-11-14 | 2015-04-17 | 주식회사 경신 | 자동차용 인쇄회로기판 점핑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371114B2 (en) | Resilient plug and a watertight connector | |
US20110189882A1 (en) | Connector | |
KR200467486Y1 (ko) | 리셉터클 터미널 | |
EP3540854B1 (en) | Connection terminal | |
KR200439561Y1 (ko) | 커넥터 | |
KR200437689Y1 (ko) | 커넥터 | |
JP6802227B2 (ja) | 接続端子 | |
JP2014060073A (ja) | コネクタ | |
JP2010135159A (ja) | コネクタの組立方法 | |
KR100982942B1 (ko) | 커넥터 | |
JP5606089B2 (ja) | コネクタ | |
WO2012121186A1 (ja) | コネクタ | |
JP4543410B2 (ja) | 同軸コネクタ | |
KR200442919Y1 (ko) | 커넥터 | |
KR101001886B1 (ko) | 터미널 | |
KR20100008653A (ko) | 리셉터클터미널 | |
CN110416840A (zh) | 一种弯式微型同轴连接器 | |
JPH09106847A (ja) | コネクタ | |
KR100922154B1 (ko) | 커넥터 | |
WO2015099180A1 (ja) | コネクタ | |
KR102567021B1 (ko) | 커넥터 | |
KR100957488B1 (ko) | 리셉터클 터미널 | |
KR100897376B1 (ko) | 커넥터 | |
JP2006100183A (ja) | ジョイントコネクタ | |
JP5736200B2 (ja) | コネクタ端子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327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312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311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9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