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7488B1 - 리셉터클 터미널 - Google Patents

리셉터클 터미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7488B1
KR100957488B1 KR1020070141902A KR20070141902A KR100957488B1 KR 100957488 B1 KR100957488 B1 KR 100957488B1 KR 1020070141902 A KR1020070141902 A KR 1020070141902A KR 20070141902 A KR20070141902 A KR 20070141902A KR 100957488 B1 KR100957488 B1 KR 1009574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terminal
insulating box
receptacle terminal
recepta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41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3840A (ko
Inventor
정용수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419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7488B1/ko
Publication of KR200900738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38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74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74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4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with a single cantilevered bea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1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nufacturing contact members, e.g. by punching and by ben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셉터클 터미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전도성이 있는 금속재질로 만들어지고 일측은 상대터미널과 결합되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타측은 와이어와 연결되는 접속구(20)와, 절연성이 있는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지고 상기 접속구(20)의 상대터미널과 연결되는 외면 일부를 감싸도록 속이 빈 박스형상으로 되는 절연박스(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리셉터클 터미널의 일부가 상대적으로 저렴한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지므로 리셉터클터미널의 제조비용이 감소하는 이점이 있다.
리셉터클 터미널, 절연박스, 합성수지

Description

리셉터클 터미널{Receptacle terminal}
본 발명은 리셉터클 터미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커넥터의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상대 커넥터의 탭 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리셉터클 터미널에 관한 것이다.
터미널은 커넥터를 구성하는 것으로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대 커넥터의 터미널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은 터미널에는 리셉터클 터미널과 탭 터미널이 있는데, 상기 리셉터클 터미널의 내부로 탭 터미널이 삽입되어 서로 결합된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리셉터클 터미널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리셉터클터미널의 골격은 몸체부(도면부호부여 않음)이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는 결합박스부(1)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박스부(1)는 상대터미널과 결합되는 부분으로,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된다. 상기 결합박스부(1)에는 상대터미널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간(2)이 형성되고, 스프링부(3)가 구비되어 상대터미널을 탄성으로 지지하게 된다.
상기 결합박스부(1)의 외면에는 비드(4)가 형성된다. 상기 비드(4)는 상기 결합박스부(1)의 일부가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삽입공간(2)의 폭을 좁혀 상대터미널과 스프링부(3)가 보다 확실하게 접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몸체부를 기준으로 상기 결합박스부(1)의 타측에는 바렐부(5)가 연결된다. 상기 바렐부(5)는 인슐레이션바렐(5b)과 와이어바렐(5a)로 구성되는데, 상기 와이어바렐(5a)은 와이어의 심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분이고, 상기 인슐레이션바렐(5b)은 와이어의 피복을 감싸 터미널과 와이어가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결합박스부(1)와 바렐부(5)는 모두 전기전도성이 좋은 금속재질로 만들어진다. 즉, 상기 리셉터클터미널은 띠모양의 금속재질을 프로그레시브금형과 같은 성형기를 통해 절단 및 절곡과정을 거쳐 만들어지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리셉터클터미널은 다수개가 모여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리셉터클터미널 사이의 절연과, 리셉터클터미널의 고정을 위해 별도의 커넥터하우징 내부에 리셉터클터미널들이 삽입된다. 이러한 커넥터하우징과 리셉터클터미널의 조립체를 커넥터라고 한다.
하지만, 이렇게 되면 하나의 커넥터를 구성하기 위해 리셉터클터미널과는 별도로 커넥터하우징이 필요하게 되므로 제조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리셉터클터미널을 고정하고, 상대터미널을 안내하기 위한 구조가 구비되어야 하므로 그 구성이 복잡하여 제조가 용이하지 않다.
그리고, 상기 리셉터클터미널은 금속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그 재질의 특성상 프로그레시브금형을 통해 제조되는 과정에서 버려지는 부분이 많아지고 제조비용이 큰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리셉터클터미널의 제조비용을 줄일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별도의 커넥터하우징이 필요 없는 리셉터클터미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리셉터클터미널의 일부를 사출성형으로 통해 제조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전기전도성이 있는 금속재질로 만들어지고 일측은 상대터미널과 결합되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타측은 와이어와 연결되는 접속구와, 절연성이 있는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지고 상기 접속구의 상대터미널과 연결되는 외면 일부를 감싸도록 속이 빈 박스형상으로 되는 절연박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접속구는 선단이 개구되고 상대터미널이 삽입되기 위한 연결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공간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는 적어도 어느 일측에는 탄성편이 형성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와이어를 감싸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바렐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절연박스는 양측으로 개구되어 내부에 안착공간이 형성되는 육면체형상으로 되고, 상기 안착공간의 내면에는 상기 접속구의 삽입을 안내하는 가이드리브가 형성된다.
상기 절연박스의 안착공간에는 외팔보 형상의 지지편이 상대터미널의 삽입방향으로 연장되게 구비되어, 상대터미널의 양측을 지지한다.
상기 절연박스의 양측 외면에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의 결합리브가 상기 절연박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구비되어 상기 절연박스의 일측에 나란히 위치되는 상대 절연박스와 서로 결합된다.
상기 결합리브는 상기 절연박스의 양측면에 각각 구비되는 제1 및 제2결합리브로 구성되고, 상기 제1결합리브는 소정의 거리 이격되도록 쌍을 이루어 구비되고 그 선단이 서로 마주보는 'ㄱ'자 형상의 횡단면을 가지며, 상기 제2결합리브는 소정의 거리 이격되도록 쌍을 이루어 구비되고 그 선단이 서로 반대편을 향하는 'ㄱ'자 형상의 횡단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절연박스와 상기 접속구에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걸림턱과 걸이공이 형성되어 서로 결합된다.
상기 가이드리브의 선단에는 접속구의 일측을 걸어 지지하기 위한 걸림홈이 요입되어 형성된다.
상대터미널이 삽입되는 상기 절연박스의 입구에 해당하는 부분에는 스토퍼가 구비되어 상기 접속구가 삽입되는 정도를 규제한다.
상기 연결공간을 향한 상기 연결부의 내면에는 접촉비드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리셉터클 터미널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리셉터클 터미널의 외관 일부가 합성수지재질인 절연박스로 구성되고, 상기 절연박스는 인접한 절연박스와 서로 체결될 수 있어 별도의 커넥터하우징 없이도 하나의 커넥터를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넥터의 구성이 간소해지고 제조비용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각각의 리셉터클 터미널을 단순히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커넥터하우징에 필요에 따라 원하는 위치에만 결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넥터의 내부구조가 가변적으로 될 수 있고, 커넥터의 중량이 감소되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리셉터클 터미널의 일부가 상대적으로 저렴한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지므로 리셉터클터미널 자체의 제조비용도 감소하는 효과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리셉터클 터미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리셉터클 터미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도 3의 Ⅲ-Ⅲ'선에 대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이 정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리셉터클터미널은 크게 절연박스(10)와 접속구(20)로 구성된다. 상기 절연박스(10)는 리셉터클 터미널의 외관 일부를 형성하고 상대터미널(도시되지 않음)과의 결합을 안내하는 것으로,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 진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절연박스(10)는 합성수지재질 사출성형하여 만들어진다.
상기 절연박스(10)의 외관 및 골격은 박스몸체(11)가 형성한다. 상기 박스몸체(11)는 전단과 후단으로 개구되어 속이 빈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되고, 그 내부에는 안착공간(11')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공간(11')은 아래에서 설명될 접속구(20)가 안착되는 부분으로, 접속구(2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된다.
상기 박스몸체(11)의 외면에는 결합리브(12',12')가 구비된다. 상기 결합리브(12',12')가 상기 박스몸체(11)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구비되어 상기 절연박스(10)를 그 일측에 나란히 위치되는 상대 절연박스(10)와 서로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결합리브(12',12')는 상기 박스몸체(11)의 양측면에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5에서 보듯이, 상기 결합리브(12',12')는 상기 절연박스(10)의 양측면에 각각 구비되는 제1 및 제2결합리브(12,12')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결합리브(12)는 소정의 거리 이격되도록 쌍을 이루어 구비되는데, 그 선단이 서로 마주보는 'ㄱ'자 형상의 횡단면으로 된다.
그리고, 상기 제2결합리브(12')는 상기 제1결합리브(12)와 마찬가지로 소정의 거리 이격되도록 쌍을 이루어 구비된다. 다만, 상기 제1결합리브(12)와는 달리, 상기 제2결합리브(12')는 그 선단이 서로 반대편을 향하는 'ㄱ'자 형상의 횡단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결합리브(12)는 상기 리셉터클 터미널의 일측에 결합되는 상대 리셉터클 터미널의 제2결합리브와 서로 결합되고, 상기 제2결합리브(12') 는 상기 리셉터클 터미널의 타측에 결합되는 상대 리셉터클 터미널의 제1결합리브와 서로 결합되어, 다수개의 리셉터클 터미널이 일렬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박스몸체(11)의 외면에는 확인창(13)이 형성된다. 상기 확인창(13)은 상기 박스몸체(11)의 외면 일부가 관통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접속구(20)가 상기 안착공간(11')에 정확하게 안착되었는지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상대터미널이 삽입되는 상기 박스몸체(11)의 안착공간(11')의 입구에 해당하는 부분에는 스토퍼(15)가 구비된다. 상기 스토퍼(15)는 도 4에서 보듯이, 상기 안착공간(11')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접속구(20)의 선단을 걸어 접속구(20)의 삽입정도를 규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안착공간(11')의 내면에는 상기 접속구(20)의 삽입을 안내하는 가이드리브(16)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리브(16)는 상기 안착공간(11')의 내면 양측으로부터 쌍을 이루어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후술할 접속구(20)의 연결부(21)의 삽입을 안내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리브(16)는 대략 'ㄱ' 자 형상의 횡단면을 갖고, 그 선단이 서로 마주보도록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리브(16) 사이로 접속구(20)의 연결부(21)가 삽입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가이드리브(16)의 선단에는 접속구(20)의 일측을 걸어 지지하기 위한 걸림홈(16')이 요입되어 형성되어 접속구(20)의 연결부(21) 일측을 걸어 고정한다.
상기 박스몸체(11)의 안착공간(11')에는 외팔보 형상의 지지편(17)이 구비된 다. 상기 지지편(17)은 상기 안착공간(11')의 양측 내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대터미널의 삽입방향으로 연장되게 구비되어, 상대터미널의 삽입을 안내함과 동시에, 삽입된 상대터미널을 양측에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박스몸체(11)의 안착공간(11') 바닥면에는 걸림턱(18)이 구비된다. 상기 걸림턱(18)은 아래에서 설명될 접속구(20)의 걸이공(26)에 삽입되어 절연박스(10)와 접속구(20)를 서로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상기 박스몸체(11)에 걸이공(26)이 형성되고, 접속구(20)에 걸림턱(18)이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절연박스(10)에는 접속구(20)가 결합된다. 상기 접속구(20)는 전기전도성이 좋은 금속재질로 만들어지는데, 일측은 와이어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대터미널과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 및 상대터미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게 된다.
상기 접속구(20)의 일측에는 연결부(21)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부(21)는 상대터미널과 접촉하는 부분으로, 상기 절연박스(10)의 안착공간(11')에 삽입된다. 상기 연결부(21)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공간(21')이 관통되어 형성된다. 상기 연결공간(21')에는 상대터미널이 삽입된다.
상기 연결부(21)는 서로 마주보는 형상의 두 탄성편(22,24)으로 구성된다. 상기 탄성편(22,24)은 탄성변형이 가능한 외팔보 형상으로, 상기 절연박스(10)와의 결합방향으로 돌출되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두 탄성편(22,24) 사이에 상기 연결공간(21')이 형성된다.
상기 탄성편(22,2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탄성편(24)에는 밀착부(25)가 형 성된다. 상기 밀착부(25)는 상기 연결공간(21')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그 양측으로 변형슬릿(25')이 형성되어 어느 정도 탄성변형이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에 따라, 상기 밀착부(25)는 상대터미널의 외면을 눌러, 상기 접속구(20)와 상대터미널이 보다 확실하게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밀착부(25)가 형성된 탄성편(24)의 타측에 구비되는 탄성편(22)에는 접촉비드(22')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접촉비드(22')는 상기 밀착부(25)와 마찬가지로 상대터미널의 외면을 눌러, 상기 접속구(20)와 상대터미널이 보다 확실하게 연결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5를 기준으로, 상측에 구비되는 탄성편(24)에 밀착부(25)가 구비되고, 하측에 구비되는 탄성편(22)에 접촉비드(22')가 구비된다.
상기 접속구(20)에는 걸이공(26)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공(26)은 상기 절연박스(10)의 걸림턱(18)과 결합되어 접속구(20)와 졀연박스 사이를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연결부(21)에는 바렐부(27)가 연결된다. 상기 바렐부(27)는 상기 와이어와의 연결을 위한 것으로, 와이어바렐(27a)과 인슐레이션바렐(27b)로 구성된다. 상기 와이어바렐(27a)은 상기 와이어의 심선을 감싸고, 인슐레이션바렐(27b)은 와이어의 피복을 감싸 접속구(20)와 와이어가 서로 연결되도록 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리셉터클 터미널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상기 접속구(20)와 절연박스(10) 사이의 조립과정을 살펴보면, 상기 접속구(20)와 졀연박스는 각각 프로그레시브 금형과 사출 금형을 통해 제작된 상태이다. 작업자는 이러한 접속구(20)와 절연박스(10)를 결합시키기 위해, 먼저 상기 접속구(20)의 연결부(21)가 상기 절연박스(10)의 안착공간(11')을 향해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접속구(20)와 절연박스(10)를 서로 결합시키면, 상기 연결부(21)가 안착공간(11') 내부로 삽입되면서, 상기 가이드리브(16)에 의해 안내된다. 이때, 상기 연결부(21)의 탄성편(22,24)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이 가능하므로, 작업자는 접속구(20)를 안착공간(11') 내부로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접속구(20)의 연결부(21)는 스토퍼(15)에 의해 그 안착공간(11')으로 삽입되는 정도가 규제된다. 즉, 탄성편(22,24)의 선단이 스토퍼(15)에 의해 걸어져 더 이상 삽입되지 못하는 것이다. 이와 동시에, 상기 연결부(21)의 일측이 상기 가이드리브(16)에 형성된 걸림홈(16')에 삽입되어 접속구(20)의 삽입이 보다 확실하게 규제된다.
그리고, 상기 접속구(20)의 걸이공(26) 내부로 절연박스(10)의 걸림턱(18)이 삽입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접속구(20)는 상기 안착공간(11') 내부로 삽입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때, 작업자는 상기 절연박스(10)의 확인창(13)을 통해 상기 접속구(20)의 삽입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리셉터클 터미널의 조립이 완성된다. 그리고, 작업자는 이와 같은 작업을 반복하여 상기 리셉터클 터미널을 다수개 준비하여 이들을 각각 연결할 수 있다. 즉, 상기 절연박스(10)의 제1결합리브(12) 또는 제2 결합리브(12')와 또 다른 절연박스(10)의 제2결합리브(12') 또는 제1결합리브(12)가 서로 체결되어 두 리셉터클 터미널 사이가 결합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상기 절연박스(10) 사이의 연결을 통해 별도의 하우징 없이 리셉터클 터미널의 조립체가 하나의 커넥터를 구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리셉터클 터미널에 상대터미널이 결합되는 것을 살펴보면, 상대터미널은 상기 절연박스(10)의 안착공간(11')을 통해 상기 접속구(20)의 연결공간(21') 내부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상대터미널은 상기 연결부(21)의 지지편(17)에 의해 안내되면서 삽입된다.
상기 상대터미널이 완전히 삽입되면, 도 5를 기준으로 보았을 때, 상기 상대터미널은 상기 지지편(17)에 의해 그 양측이 탄성으로 지지되고, 상측 및 하측은 각각 상기 밀착부(25) 및 접촉비드(22')에 의해 눌려져 연결부(21)와 확실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등록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걸림턱(18) 및 걸이공(26) 그리고, 스토퍼(15) 및 가이드리브(16)에 의해 절연박스(10)와 접속구(20)가 결합되었는데, 이는 반드시 모두 구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접속구(20)와 절연박스(10)는 압입을 통해 서로 결합될 수도 있고, 상기 걸림턱(18) 및 걸이공(26) 그리고, 스토퍼(15) 및 가이드리브(16) 중 하나 이상이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는 것이 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각각의 리셉터클 터미널은 별도의 하우징 내부에 결합될 수도 있다. 즉, 내부에 터미널을 고정하기 위한 구조가 필요 없는 단순한 커넥터하우징에, 사용자가 원하는 개수 만큼 원하는 위치에 상기 리셉터클 터미널을 삽입할 수도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리셉터클 터미널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리셉터클 터미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Ⅲ-Ⅲ'선에 대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절연박스 11: 박스몸체
12: 제1결합리브 12': 제2결합리브
13: 확인창 15: 스토퍼
16: 가이드리브 17: 지지편
18: 걸이공 20: 접속구
21: 연결부 22,24: 탄성편
22': 접촉비드 25: 밀착부
25': 변형슬릿 26: 걸이공
27: 바렐부

Claims (10)

  1. 전기전도성이 있는 금속재질로 만들어지고 일측은 상대터미널과 결합되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타측은 와이어와 연결되는 접속구와,
    절연성이 있는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지고 상기 접속구의 상대터미널과 연결되는 외면 일부를 감싸도록 속이 빈 박스형상으로 되는 절연박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리셉터클 터미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구는
    선단이 개구되고 상대터미널이 삽입되기 위한 연결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공간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는 적어도 어느 일측에는 탄성편이 형성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와이어를 감싸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바렐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터미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박스는 선단과 후단으로 개구되어 내부에 안착공간이 형성되는 육면체형상으로 되고, 상기 안착공간의 내면에는 상기 접속구의 삽입을 안내하는 가이드리브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터미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박스의 안착공간에는 외팔보 형상의 지지편이 상대터미널의 삽입방향으로 연장되게 구비되어, 상대터미널의 양측을 지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터미널.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박스의 양측 외면에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의 결합리브가 상기 절연박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구비되어 상기 절연박스의 일측에 나란히 위치되는 상대 절연박스와 서로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터미널.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리브는 상기 절연박스의 양측면에 각각 구비되는 제1 및 제2결합리브로 구성되고, 상기 제1결합리브는 소정의 거리 이격되도록 쌍을 이루어 구비되고 그 선단이 서로 마주보는 'ㄱ'자 형상의 횡단면을 가지며, 상기 제2결합리브는 소정의 거리 이격되도록 쌍을 이루어 구비되고 그 선단이 서로 반대편을 향하는 'ㄱ'자 형상의 횡단면을 갖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터미널.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박스와 상기 접속구에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걸림턱과 걸이공이 형성되어 서로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터미널.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리브의 선단에는 접속구의 일측을 걸어 지지하기 위한 걸림홈이 요입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터미널.
  9. 제 8 항에 있어서, 상대터미널이 삽입되는 상기 절연박스의 입구에 해당하는 부분에는 스토퍼가 구비되어 상기 접속구가 삽입되는 정도를 규제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터미널.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공간을 향한 상기 연결부의 내면에는 접촉비드가 돌출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터미널.
KR1020070141902A 2007-12-31 2007-12-31 리셉터클 터미널 KR1009574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41902A KR100957488B1 (ko) 2007-12-31 2007-12-31 리셉터클 터미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41902A KR100957488B1 (ko) 2007-12-31 2007-12-31 리셉터클 터미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3840A KR20090073840A (ko) 2009-07-03
KR100957488B1 true KR100957488B1 (ko) 2010-05-14

Family

ID=41330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41902A KR100957488B1 (ko) 2007-12-31 2007-12-31 리셉터클 터미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748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15597A (ja) * 1995-10-17 1997-05-02 Yazaki Corp 電気コネクタ
JPH10334998A (ja) 1997-05-29 1998-12-18 Yazaki Corp シールドコネクタ
JP2000021471A (ja) 1998-07-06 2000-01-21 Sumitomo Wiring Syst Ltd 雌側端子金具
JP2006134681A (ja) 2004-11-05 2006-05-25 Tyco Electronics Amp Kk 雌端子およびこれを使用した電気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15597A (ja) * 1995-10-17 1997-05-02 Yazaki Corp 電気コネクタ
JPH10334998A (ja) 1997-05-29 1998-12-18 Yazaki Corp シールドコネクタ
JP2000021471A (ja) 1998-07-06 2000-01-21 Sumitomo Wiring Syst Ltd 雌側端子金具
JP2006134681A (ja) 2004-11-05 2006-05-25 Tyco Electronics Amp Kk 雌端子およびこれを使用した電気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3840A (ko) 2009-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12528B2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および電気コネクタ組立体
KR101754070B1 (ko) 크림프 커넥터와 상기 크림프 커넥터 내에 고정된 와이어를 구비한 연결 어셈블리
JP5598849B2 (ja) コネクタ、コネクタハウジング、およびコネクタの製造方法
KR200467486Y1 (ko) 리셉터클 터미널
KR101578125B1 (ko) 커넥터
KR100957488B1 (ko) 리셉터클 터미널
KR100982942B1 (ko) 커넥터
KR101001886B1 (ko) 터미널
KR20100008653A (ko) 리셉터클터미널
KR100780735B1 (ko) 저가형 커넥터
JP4885705B2 (ja) ハーネス接続体
EP4117123B1 (en) Connector fitting structure
KR20100118437A (ko) 터미널
KR20090073779A (ko) 리셉터클 터미널
JP6086843B2 (ja) 差込プラグ
KR20100024691A (ko) 커넥터 어셈블리
KR200439561Y1 (ko) 커넥터
KR100922154B1 (ko) 커넥터
KR200450639Y1 (ko) 터미널
KR20100007443U (ko) 커넥터 어셈블리
KR20090105164A (ko) 커넥터
KR200473183Y1 (ko) 터미널
KR100897376B1 (ko) 커넥터
KR101520927B1 (ko) 터미널
KR20230108839A (ko) Idc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