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4070B1 - 크림프 커넥터와 상기 크림프 커넥터 내에 고정된 와이어를 구비한 연결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크림프 커넥터와 상기 크림프 커넥터 내에 고정된 와이어를 구비한 연결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4070B1
KR101754070B1 KR1020150144078A KR20150144078A KR101754070B1 KR 101754070 B1 KR101754070 B1 KR 101754070B1 KR 1020150144078 A KR1020150144078 A KR 1020150144078A KR 20150144078 A KR20150144078 A KR 20150144078A KR 101754070 B1 KR101754070 B1 KR 1017540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ing
wire
clamping plate
clamping plates
receiving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40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7393A (ko
Inventor
마르틴 크라히
마르쿠스 쾨프페르
Original Assignee
액추에이터 솔루션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액추에이터 솔루션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액추에이터 솔루션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600473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73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4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40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5U-shaped sockets having inwardly bent legs, e.g. spade type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림프 커넥터(2)와 상기 크림프 커넥터 내에 고정된 와이어(3)를 구비한 연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상기 크림프 커넥터는 일체형으로 형성된 2개의 클램핑 플레이트(4, 5)를 포함하며,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들은 조립 상태에서 상기 와이어(3)를 그들 사이에 클램핑하면서 동시에, 종축 하중 방향(B)으로 와이어(3)에 작용하는 힘과 관련하여 인장 강도가 보장되도록 상기 와이어를 고정시킨다. 적어도 조립 상태에서 서로 마주보는,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4, 5)들의 내부 표면들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평탄한 클램핑 표면(4a, 5a)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조립 상태에서는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4, 5)들의 클램핑 표면(4a, 5a)들이 서로 접하며, 이 경우 와이어 섹션(3')은 클램핑 플레이트 재료의 변위 하에 그 둘레가 일부는 하나의 클램핑 플레이트 내로 그리고 일부는 다른 한 클램핑 플레이트(4, 5) 내로 가압된다.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플레이트(4, 5)가 그의 클램핑 표면(4a, 5a)과 인접하고, 상기 하중 방향(B)에 반대로 향하며, 그리고 상기 하중 방향(B)에 대해 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혀 표면(8)을 가지며, 이 경우 상기 다른 한 클램핑 플레이트(4, 5)의 클램핑 표면(4a, 5a)은 상기 하중 방향(B)에 반대로 상기 제혀 표면(8)을 넘어서까지 연장된다.

Description

크림프 커넥터와 상기 크림프 커넥터 내에 고정된 와이어를 구비한 연결 어셈블리 {CONNECTING ASSEMBLY WITH A CRIMP CONNECTOR AND A WIRE FIXED IN THIS}
본 발명은 크림프 커넥터(crimp connector)와 상기 크림프 커넥터 내에 고정된 또는 고정될 와이어를 포함하는 연결 어셈블리(connecting assembly)에 관한 것이다. 이 경우 와이어는 단일 필라멘트(filament) 내지 단일 스레드(thread) 또는 예컨대 스트랜드(strand)와 같이 형성된 필라멘트의 다발(bundle of filaments)을 의미한다. 상기 크림프 커넥터는 2개의 클램핑 플레이트(clamping plate)를 포함하며, 이러한 클램핑 플레이트들 사이에는 와이어-종방향 섹션, 예컨대 와이어 단부가 클램핑 된다.
인장 하중을 받는 와이어들의 경우, 예를 들어 전류 공급 시 축소되는, 형상 기억 합금(shape memory alloy)으로 이루어진 와이어들의 경우 와이어와 크림프 커넥터의 전기적 연결뿐만 아니라 인장 강도가 충분한 기계적 연결도 보장되도록 처리되어야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많은 경우에 클램핑 플레이트들의 클램핑 작용에 의해서 달성되는 강제 결합(force fitting)에 추가로 와이어의 인장 하중 방향으로 작용하는 형상 결합(form fitting)이 추구된다. 이러한 결합 방식은, 크림프 커넥터의 클램핑 플레이들(상기 클램핑 플레이트들은 와이어를 그들 사이에 수용함) 중 하나의 클램핑 플레이트에, 이러한 클램핑 플레이트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가 존재하고, 그리고 상기 돌출부에 마주 놓이도록 다른 한 클램핑 플레이트의 내측면에 리세스가 존재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클램핑 플레이트들의 가압 시 와이어는 돌출부로부터 리세스 안으로 가압된다. 이 경우 와이어는 상당히 변형된다. 따라서 이러한 방식의 크림프 연결은 언급한 유형의 변형을 견디지 못하는 민감한 와이어(sensitivity wire)들에는 적용할 수 없다.
DE 10 2013 217 000 A1호에는 상기와 같은 도체 연결 구조가 공지되어 있으며, 상기 문서에서는 도체가 플레이트 모양의 2개의 지지부 사이에 흡장된다. 제 1 지지부는 상기 도체 쪽을 향하는 측면 상에 돌출부들을 갖고, 제 2 지지부는 상기 돌출부들의 위치에 상응하는 관통홀(through hole)들을 갖는다. 도체가 상기 2개의 지지부 사이에 클램핑 되는 경우, 상기 도체는 상기 관통홀들 안으로 밀어 넣어져 그 속에 고정되도록 돌출부들에 의해 변형된다.
DE 10 2004 036 829 A3호는 와이어와 2개의 마주 놓인 플레이트의 전기 콘택팅을 기술하며, 이 경우 하나의 플레이트는 콘택팅 영역을 포함하고, 다른 한 플레이트는 상기 콘택팅 영역에 대응하는 리세스를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콘택팅 영역과 리세스 사이에 클램핑 된다.
JP 2013-207865 A호에는 접속 단자가 기술되어 있으며, 이 경우 와이어는 맞물림부들을 갖는 2개의 클램핑 부재 사이에 클램핑 되어 고정된다. 도체가 2개의 클램핑 플레이트 사이에 클램핑 되어 고정되는 끼워맞춤식 커넥터(press-fit connector)들은 예를 들면 문서 US 6 855 409 B1호, US 4 034 152 A호, US 3 852 702 A호 및 US 3 523 173 A호에도 기술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과제는 와이어의 손상 또는 파괴 없이 안전한 기계 및 전기적 연결을 보장하는, 크림프 커넥터와 와이어를 포함하는 연결 어셈블리를 제시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청구항 1에 따른 연결 어셈블리에 의해서 해결된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크림프 커넥터는 일체형으로 형성된 2개의 클램핑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들은 조립 상태에서 와이어-종방향 섹션(예를 들면 와이어 단부)을 그들 사이에 클램핑하면서 동시에, 종축 방향으로 와이어에 작용하는 하중 방향에 반대로 인장 강도가 보장되도록 상기 와이어-종방향 섹션을 고정시킨다. 적어도 조립 상태에서 서로 마주보는, 클램핑 플레이트들의 내부 표면들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평탄한 클램핑 표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와이어는 클램핑 플레이트들의 재료보다 더 큰 경도를 갖는 재료로 이루어져 있다. 조립 상태에서 클램핑 플레이트들의 클램핑 표면들은 서로 접하며, 이 경우 와이어-종방향 섹션은 클램핑 플레이트 재료의 변위(displacement) 하에 그의 둘레가 일부는 하나의 클램핑 표면 내로 가압되고, 일부는 다른 한 클램핑 표면 내로 가압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와이어-종방향 섹션은 하중 방향으로 작용하는 강제 결합에 의해 크림프 커넥터에 고정된다.
와이어가 클램핑 플레이트들의 재료 내에 매립됨으로 인해, 와이어와 클램핑 플레이트들 간의 광범위한 접촉이 주어지고, 따라서 높은 인장 강도를 갖는 강제 결합 방식의 연결이 만들어질 수 있다. 와이어 둘레 전체가 클램핑 플레이트 재료에 의해 실제로 완전히 둘러싸이기 때문에, 클램핑 플레이트들과 와이어 간의 강제 결합 강도는 예를 들면 와이어 두께 또는 클램핑 표면의 비평탄성과 같은 오차 허용도에 대하여 덜 민감하다.
와이어의 강제 결합 방식 고정에 추가로, 하중 방향으로 작용하는 형상 결합도 제공되며, 이러한 형상 결합은 하기와 같이 설계된다: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플레이트가 클램핑 표면에 인접하고, 하중 방향에 반대로 향하며, 그리고 상기 하중 방향에 대해 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혀 표면(tongue and groove surface)을 갖는다. 다른 한 클램핑 플레이트의 클램핑 표면은 하중 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상기 제혀 표면을 넘어서까지 연장된다. 하중 방향에 반대로 한 클램핑 플레이트의 단부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와이어 영역은 다른 한 클램핑 플레이트의 클램핑 표면에 의해, 하중 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상기 제혀 표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혀 영역 내로 가압된다. 바람직하게는 이 경우, 크림프 커넥터와 와이어의 형상 결합을 만들기 위해 상기 와이어가 그의 종방향 연장부에 대해 횡 방향으로 뻗은 방향으로 단지 약간만 변형되어야 한다. 와이어가 언급한 방향으로 편향되는 구간은 대략 단지 절반의 와이어 지름을 갖는다. 이러한 상황은 클램핑 방식으로 지지되는 와이어가 절반은 하나의 클램핑 플레이트의 클램핑 표면 내로 삽입되고, 절반은 다른 한 클램핑 플레이트의 클램핑 표면 내로 삽입됨으로써 이루어진다. 따라서 종래 방식의, 즉 돌출부들과 리세스들을 갖는 크림프 커넥터들에 비해, 직선으로 뻗은 와이어 부재와 측면에서 오프셋 된 와이어 부재 사이 전환 영역에서 눈에 띄는 와이어의 꺽임부 또는 급격한 굽힘부가 필요하지 않은데, 이는 상기 와이어의 강도에 나쁜 영향을 주지 않고, 또는 만곡 영역에서 와이어의 단선도 야기하지 않는다.
하기에서는 이제 본 발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면에 대한 설명:
도 1은 크림프 커넥터와 상기 크림프 커넥터 내에 고정된 와이어를 포함하는 연결 어셈블리의 제 1 실시예를 사시 단면도로 도시한 도면으로서, 이 경우 상기 연결 어셈블리는 조립 상태로 있으며, 즉 인장 강도가 보장되는 방식으로 상기 와이어가 상기 크림프 커넥터와 연결되어 있으며,
도 2는 사전 조립 상태로 있는 도 1의 크림프 커넥터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라인 Ⅲ-Ⅲ에 상응하게 절단하여 도시한 도 1의 연결 어셈블리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라인 Ⅳ-Ⅳ에 상응하게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라인 Ⅴ-Ⅴ에 상응하게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3의 라인 Ⅵ-Ⅵ에 상응하게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7은 조립 상태로 있는 연결 어셈블리의 추가 실시예를 사시도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사전 조립 상태로 있는 도 7의 연결 어셈블리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이 경우 와이어는 도면의 단순화를 이유로 생략되었으며,
도 9는 도 7의 라인 Ⅸ-Ⅸ에 상응하게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7의 라인 Ⅹ-Ⅹ에 상응하게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1은 도 9의 라인 ⅩⅠ-ⅩⅠ에 상응하게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2는 사전 조립 상태로 있는 연결 어셈블리의 추가 실시예의 컷-아웃(cut-out) 부분을 절개 사시도로 도시한 도면으로서, 이 경우 와이어는 도면의 단순화를 이유로 생략되었으며, 그리고
도 13은 도 12의 연결 어셈블리를 도 8의 라인 ⅩⅠ-ⅩⅠ에 상응하게 절단하여 부분 절개 사시도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는 연결 어셈블리(1)를 단순화하여 도시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연결 어셈블리는 크림프 커넥터(2)와 상기 크림프 커넥터 내에 고정된 와이어(3)를 포함한다. 상기 크림프 커넥터(2)는 일체형으로 형성된 2개의 클램핑 플레이트(4, 5)를 구비하며,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들은 조립 상태에서 와이어-종방향 섹션(6)을 그들 사이에 흡장한다. 이 경우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들은 종축 하중 방향(B)으로 와이어에 작용하는 힘과 관련하여 상기 와이어(3)를 고정시킨다. 따라서 와이어(3)는 크림프 커넥터 내에서 인장 강도가 보장되는 방식으로 지지된다. 상기 2개의 클램핑 플레이트(4, 5)는 서로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2개의 클램핑 플레이트 중 하나의 클램핑 플레이트(실시예들에서 도면 부호 4로 표기된 클램핑 플레이트)는 그의 자유 단부에서 베이스부(7)로 넘어가고, 상기 베이스부는 예컨대 부품(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 고정하기 위한 목적으로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4)와 다른 형상을 갖는데, 예컨대 고정 부재(도면에 도시되지 않음)가 제공되어 있다. 도 1에 따른 조립 상태에서 그리고 도 2에 따른 사전 조립 상태에서 클램핑 플레이트(4, 5)들의 내부 표면들은 평탄한 클램핑 표면(4a, 5a)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면들에 도시된 실시예들에서, 상기 내부 표면(4a, 5a)들은 전반적으로 언급한 클램핑 표면(4a, 5a)을 형성한다. 그러나 각각 클램핑 플레이트(4, 5)들의 내부 표면의 일부분만 클램핑 표면(4a, 5a)으로 형성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조립 상태에서 클램핑 플레이트(4, 5)들의 클램핑 표면(4a, 5a)들은 와이어(3)의 클램핑 하에 서로 접한다. 와이어는 클램핑 플레이트(4, 5)들의 재료보다 더 큰 경도를 갖는 재료로 이루어져 있다. 결과적으로, 클램핑 표면(4a, 5a)들이 서로 표면 접촉하는 조립 상태에서 와이어 섹션(3')은 클램핑 플레이트 재료의 변위 하에 그의 둘레가 홈 모양의 리세스(14) 형성 하에 클램핑 플레이트(4, 5)들 내로 또는 클램핑 표면(4a, 5a)들 내로 가압된다. 이 경우 클램핑 플레이트(4a, 5a)들이 와이어 둘레를 완전히 둘러쌈으로써, 와이어(3)는 인장 강도와 관련하여, 즉 종축 하중 방향으로 상기 와이어에 작용하는 힘과 관련하여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4, 5)들 사이에 강제 결합 방식으로 고정된다.
언급한 강제 결합 방식에 추가로, 와이어(3)는 하중 방향(B)으로 작용하는 형상 결합에 의해 클램핑 플레이트(4, 5)들 사이에서 지지된다. 이러한 지지 방식을 실현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플레이트(4, 5)(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클램핑 플레이트(5))에는 클램핑 표면(5a)에 인접하고, 하중 방향(B)에 반대로 향하며, 그리고 상기 하중 방향(B)에 대해 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혀 표면(8)이 존재한다. 따라서 상기 제혀 표면(8)은 클램핑 표면(5a)과 예컨대 60°내지 120°, 바람직하게는 90°의 각(α)을 형성한다. 다른 한 클램핑 플레이트(4)의 클램핑 표면(4a)은 하중 방향(B)에 반대로 제혀 표면(8)을 넘어서까지 연장된다. 이로 인해 조립 상태에서, 하중 방향(B)에 대해 반대 방향(G)으로 클램핑 플레이트(5)의 제혀 표면(8)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와이어 섹션(3")이 반대 방향(G)으로 상기 제혀 표면(8)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혀 영역(9) 내로 가압된다. 와이어 섹션(3")이 클램핑 플레이트(4, 5)들 사이에 클램핑 되는 경우, 상기 와이어 섹션의 각각의 절반 둘레가 클램핑 플레이트(4, 5)들 중 하나의 클램핑 플레이트 내부까지 연장된다. 그에 상응하게 반대 방향(G)으로 제혀 표면(8)을 넘어서까지 연장되는 와이어 섹션(3")은 상기 반대 방향(G)에 직각이 되는 횡 방향(Q)으로 와이어 섹션(3')에 대하여, 와이어의 절반 지름(D/2)에 상응하는 거리만큼 이동한다(도 4 참조). 와이어 섹션(3')의 이와 같은 단지 미미한 정도의 측면 편향에 상응하게 2개의 와이어 섹션(3' 및 3") 사이 전환 영역(15)은 단지 정도가 사소한 굽힘부를 갖는데, 다시 말하자면 급격한 굽힘부로 형성되지 않는다.
도 1과 도 2의 비교로부터 쉽게 알 수 있듯이, 조립 시 와이어(3)는 클램핑 플레이트(4, 5)들 사이에 존재하는 간극(10) 내로 삽입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 와이어는 제혀 표면(8) 영역에 위치 결정된다. - 클램핑 플레이트(4, 5)들의 외부 표면(13)에 대한 평면도로 볼 때 - 조립 기술상의 추가적인 복잡성 없이 와이어(3)와 제혀 표면(8)이 교차되는 상기와 같은 목표 위치(S)를 보장하기 위해, 클램핑 플레이트(4, 5)들은 사전 조립 상태에서 예각(β)을 형성한다. 상기 각(β)은 와이어(3)가 목표 위치(S)에 위치하도록 또는 상기 와이어가 클램핑 플레이트(4, 5)들의 클램핑 표면(4a, 5a)에 접할 경우 목표 위치(S)에 위치하도록 선택된다. 와이어의 상이한 두께는 상기 각(β)을 변경하여 조정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3에 따른 실시예들에서, 제혀 표면(8)은 클램핑 플레이트(4, 5)의 내측면(4a, 5a) 안으로 개방되는 수용 개구(17)의 개구 벽(16)의 일부분이다. 상기 수용 개구(17)는 바람직하게 클램핑 플레이트(4, 5)를 관통하여 연장되며, 따라서 클램핑 플레이트(4, 5)들의 외측면(13)에도 연결된다. 그 밖에 상기 수용 개구(17)는 바람직하게 완전히 클램핑 플레이트들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배치가 갖는 장점은, 하중 방향(B)으로 제혀 표면(8)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클램핑 영역(18)뿐만 아니라, 반대 방향(G)으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클램핑 영역(18)도 와이어(3) 고정에 이용된다는 것이다. 수용 개구(17)의 깊이(19)는 적어도 와이어(3)의 두께(20)와 같은 크기로 설계된다. 이로 인해 수용 개구(17)를 관통하는 와이어 섹션(3")이 클램핑 플레이트(4, 5)의 외측면(13)으로부터 돌출하지 않도록, 즉 상기 수용 개구(17) 내에 보호되는 방식으로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 보장된다.
바람직한 한 설계 변형예에서, 와이어(3)와 크림프 커넥터(2)의 연결 강도는 다수의 수용 개구(17)가 존재함으로써 상승된다. 한 클램핑 플레이트(4, 5)의 수용 개구(17a)는 다른 한 클램핑 플레이트(4, 5)의 수용 개구(17b)에 대하여 하중 방향(B)으로 오프셋 되는 방식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와 같은 오프셋은 바람직하게 하중 방향으로 연속하는 2개의 수용 개구(17a, 17b) 사이에 간격이 존재하도록, 즉 상기 수용 개구들이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선택된다. 이 경우 수용 개구(17)들 사이에는 클램핑 영역(18')이 배치되어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클램핑 영역 내에 와이어 섹션(3")이 클램핑 된다.
1: 연결 어셈블리
2: 크림프 커넥터
3: 와이어
3', 3": 와이어 섹션
4: 클램핑 플레이트
4a: 클램핑 표면
5: 클램핑 플레이트
5a: 클램핑 표면
6: 와이어-종방향 섹션
7: 베이스부
8: 제혀 표면
9: 제혀 영역
10: 간극
13: (4, 5의) 외부 표면
14: 리세스
15: 전환 영역
16: 개구 벽
17: 수용 개구
18: 클램핑 영역
19: 깊이
20: 두께
B: 하중 방향
G: 반대 방향
Q: 횡 방향
α: 각
β: 각

Claims (9)

  1. - 크림프 커넥터(crimp connector)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2개의 클램핑 플레이트(clamping plate)(4, 5)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들은 조립 상태에서 와이어(3)를 그들 사이에 클램핑하면서 동시에, 종축 하중 방향(B)으로 와이어(3)에 작용하는 힘과 관련하여 인장 강도가 보장되도록 상기 와이어를 고정시키며,
    - 적어도 조립 상태에서 서로 마주보는,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4, 5)들의 내부 표면들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평탄한 클램핑 표면(4a, 5a)들로서 형성되어 있고,
    - 상기 와이어(3)가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4, 5)들의 재료보다 더 큰 경도를 갖는 재료로 이루어져 있으며,
    - 조립 상태에서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4, 5)들의 클램핑 표면(4a, 5a)들이 서로 접하고, 이 경우 와이어 섹션(3')은 클램핑 플레이트 재료의 변위(displacement) 하에 그의 둘레가 일부는 하나의 클램핑 플레이트 내로 그리고 일부는 다른 한 클램핑 플레이트(4, 5) 내로 가압되며,
    -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플레이트(4, 5)가 그의 클램핑 표면(4a, 5a)과 인접하고, 상기 하중 방향(B)에 반대로 향하며, 그리고 상기 하중 방향(B)에 대해 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혀 표면(tongue and groove surface)(8)을 가지며, 이 경우 상기 다른 한 클램핑 플레이트(4, 5)의 클램핑 표면(4a, 5a)은 상기 하중 방향(B)에 반대로 상기 제혀 표면(8)을 넘어서까지 연장되며,
    - 상기 하중 방향(B)에 반대로 하나의 클램핑 플레이트(4, 5)의 제혀 표면(8)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와이어 섹션(3")이 상기 다른 한 클램핑 플레이트(4, 5)의 클램핑 표면(4a, 5a)에 의해, 상기 하중 방향(B)에 반대 방향으로 상기 제혀 표면(8)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혀 영역(9) 내로 가압되는 형상을 갖는, 크림프 커넥터(2)와 상기 크림프 커넥터 내에 고정된 와이어(3)를 구비하고,
    상기 제혀 표면(8)이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4, 5)의 내측면(4a, 5a) 안으로 개방되는 수용 개구(17)의 개구 벽(16)의 일부분인,
    연결 어셈블리(connecting assembly)(1).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개구(17)가 완전히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4, 5) 내부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어셈블리.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개구(17)가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4, 5)를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어셈블리.
  5.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개구(17)의 깊이(19)가 적어도 상기 와이어(3)의 두께(20)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어셈블리.
  6.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다수의 수용 개구(17)를 갖고, 이 경우 하나의 클램핑 플레이트(4)의 수용 개구(17a)가 다른 한 클램핑 플레이트(5)의 수용 개구(17b)에 대하여 하중 방향(B)으로 오프셋 되는 방식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어셈블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클램핑 플레이트(4)의 수용 개구(17a)와 상기 다른 한 클램핑 플레이트(5)의 수용 개구(17b) 사이에 하중 방향(B)으로 간격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어셈블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개구(17a, 17b)들 사이에 클램핑 영역(18')이 존재하고, 상기 클램핑 영역 내에 와이어 섹션(3")이 상기 클램핑 표면(4a, 5a)들 사이에서 클램핑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어셈블리.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4, 5)들 사이에 존재하는 간극(10) 내로 삽입되는 와이어(3)가, -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4, 5)들의 외부 표면(13)에 대한 평면도로 볼 때 - 상기 와이어(3)와 제혀 표면(8)이 교차되는 목표 위치(S)에서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4, 5)들의 클램핑 표면(4a, 5a)들에 접하도록 하기 위해, 사전 조립 상태에서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4, 5)들이 예각(β)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어셈블리.
KR1020150144078A 2014-10-22 2015-10-15 크림프 커넥터와 상기 크림프 커넥터 내에 고정된 와이어를 구비한 연결 어셈블리 KR1017540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4115393.6 2014-10-22
DE102014115393.6A DE102014115393B3 (de) 2014-10-22 2014-10-22 Verbindungsanordnung mit einem Crimpverbinder und einem in diesem fixierten Drah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7393A KR20160047393A (ko) 2016-05-02
KR101754070B1 true KR101754070B1 (ko) 2017-07-05

Family

ID=55531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4078A KR101754070B1 (ko) 2014-10-22 2015-10-15 크림프 커넥터와 상기 크림프 커넥터 내에 고정된 와이어를 구비한 연결 어셈블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419348B2 (ko)
KR (1) KR101754070B1 (ko)
DE (1) DE102014115393B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1026171B1 (de) * 2018-04-03 2019-10-30 Phoenix Contact Gmbh & Co Kg Anschlusseinrichtung zum Anschließen eines Schirmleiters einer elektrischen Leitung an einen Erdungsabschnitt
DE102019106022A1 (de) * 2019-03-08 2020-09-10 Alfmeier Präzision SE Verbindungsanordnung, Ventil mit Verbindungsanordnung und Verfahren zum Verbinden eines Drahtes mit einem Crimpverbinder
CN111403982B (zh) * 2020-03-06 2021-05-18 亳州联滔电子有限公司 治具和压接机构
DE102020204231B4 (de) 2020-04-01 2023-03-16 Conti Temic Microelectronic Gmbh Crimpelement
US20230122329A1 (en) * 2021-10-18 2023-04-20 Abb Schweiz Ag Linearized magnet wire connecto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4036829A1 (de) 2004-07-29 2006-03-23 Sennheiser Electronic Gmbh & Co. Kg Feinstdrahtkontaktierung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23173A (en) * 1967-08-17 1970-08-04 Sprague Electric Co Insulated lead connection
US3541227A (en) * 1968-11-13 1970-11-17 Amp Inc Terminal for interconnecting foil conductor and wire conductor
US3728473A (en) * 1971-10-06 1973-04-17 Thomas & Betts Corp Multi-orificed electrical connector
US4034152A (en) * 1973-06-18 1977-07-05 Warner Allan S Termination system for fusing aluminum-type lead wires
US3852702A (en) * 1973-07-27 1974-12-03 Amp Inc Electrical terminal having pyramid teeth thereon
US6855409B1 (en) * 1996-11-22 2005-02-15 Denso Corporation Method for connecting insulator coated wire
EP2458694B1 (en) * 2010-11-24 2013-06-26 Tyco Electronics Nederland B.V. Terminal assembly and method for connecting an electric wire to a terminal element
JP5978701B2 (ja) * 2012-03-27 2016-08-24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端子金具およびこの端子金具を備えたモータ
JP2014044844A (ja) * 2012-08-27 2014-03-13 Yazaki Corp 導体接続構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4036829A1 (de) 2004-07-29 2006-03-23 Sennheiser Electronic Gmbh & Co. Kg Feinstdrahtkontaktier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7393A (ko) 2016-05-02
US9419348B2 (en) 2016-08-16
US20160118723A1 (en) 2016-04-28
DE102014115393B3 (de) 2016-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4070B1 (ko) 크림프 커넥터와 상기 크림프 커넥터 내에 고정된 와이어를 구비한 연결 어셈블리
JP4372138B2 (ja) 電気接点
US9768524B2 (en) Electrical crimp contact
CN104124557B (zh) 用于机动车辆的连接器的电接头及其制造方法、连接器
CN111864473B (zh) 电插接连接部的插接连接器以及由其形成的电插接连接部
CN111201673B (zh) 连接器端子及连接器
JP7080876B2 (ja) 導体接続端子
US7494364B2 (en) Connector
US9692144B1 (en) Electric connector
KR102076247B1 (ko) 전기 단자
JP2013251114A (ja) 圧接端子
WO2014067974A1 (en) Electrical contact and plug connector having such an electrical contact
US8263865B2 (en) Wire connection unit
EP2147480B1 (en) Electrical male terminal
WO2015053182A1 (ja) 圧着端子
US9887036B2 (en) Coil end connecting structure
JP2006244854A (ja) 多重通信線用コネクタ
US10756450B2 (en) Terminal and electric wire with the same
JP6407690B2 (ja) 電線中継コネクタ
EP3937315B1 (en) Retention clip for a mechanical strain relief of a cable and cable assembly as well as connector with such a retention clip
US20230055994A1 (en) Crimp Terminal
JP7348248B2 (ja) コンタクト要素をコネクタのハウジングに取り付けるための固定装置
KR100957488B1 (ko) 리셉터클 터미널
US11336035B2 (en) Clamping spring for a screwless connection terminal
US20220109252A1 (en) Pressure-welding structure, terminal-attached electric wir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erminal-attached electric wi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