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1476B1 - 커넥터 결합장치 - Google Patents

커넥터 결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1476B1
KR101391476B1 KR1020080123679A KR20080123679A KR101391476B1 KR 101391476 B1 KR101391476 B1 KR 101391476B1 KR 1020080123679 A KR1020080123679 A KR 1020080123679A KR 20080123679 A KR20080123679 A KR 20080123679A KR 101391476 B1 KR101391476 B1 KR 1013914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member
connector
support member
support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3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4995A (ko
Inventor
김병수
최명선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236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1476B1/ko
Publication of KR201000649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49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1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14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1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correct or full engagement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터 결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탄성부재와 지지부재로 구성되는 위치보장부재(CPA)를 구비하여 암커넥터와 수커넥터의 결합이 용이하고, 작업이 편리하며, 탄성부재와 지지부재의 분리가 용이한 커넥터 결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결합장치를 이용하면, 탄성부재 및 지지부재에 의해 결합강도가 강해지며, 암커넥터와 수커넥터의 결합 시 탄성부재에 의해 결합음이 발생되어 감성품질이 향상되고, 지지부재에 형성된 홈에 의해 커넥터의 분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커넥터, CPA

Description

커넥터 결합장치{Connector position assurance}
본 발명은 커넥터 결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탄성부재와 지지부재로 구성되는 위치보장부재(CPA)를 구비하여 암커넥터와 수커넥터의 결합이 용이하고, 작업이 편리하며, 탄성부재와 지지부재의 분리가 용이한 커넥터 결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넥터는 복수 개의 전기 장치를 전기적 신호의 왜곡이나 전력 손실없이 기계적/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커넥터는 커넥터 바디와 커넥터 터미널 단자를 구비한다. 커넥터 바디는 서로 대향하는 커넥터 간의 기계적 접속을 허용하고, 커넥터 터미널 단자는 커넥터 바디의 내부에 배치되어 서로 대향하는 커넥터의 다른 커넥터 터미널 단자와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전기적 접속을 이룬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기술에 의한 커넥터를 설명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커넥터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커넥터 결합상태의 부분단면도이다.
수커넥터(10)의 상부에는 수용부(11)가 형성되고 암커넥터(20) 상부에는 결합부(21)가 형성된다. 수커넥터(10)와 암커넥터(20)의 결합시 결합부(21)는 수용부(11)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가 유지된다. 수용부(11) 상부에는 소정길이이 걸림홀(12)이 형성되고, 결합부(21) 상부에는 일단은 경사지게 형성된 결합돌기(22)가 형성되어 있다.
수커넥터(10)와 암커넥터(20)가 결합했을 때, 결합돌기(22)는 걸림홀(12)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형태이다. 결합부(21)의 결합돌기(22)가 형성된 하부는 빈 공간(23)이 형성되어 있어 결합돌기(22)를 걸림홀(12)에서 걸림해제시킬 경우 결합돌기(22)를 하방향으로 누르는 것에 의해 걸림이 해제되어 수커넥터(10)와 암커넥터(20)를 분리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에 의한 커넥터는 적용 단자 수량 증가에 따라 간헐적으로 결합음이 저하되거나, 오랜시간 반복사용에 의해 결합돌기가 마모되어 결합이 헐거워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암커넥터와 수커넥터를 고정시키는 탄성부재와 탄성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구비하여 결합강도를 향상시키며, 지지부재의 분리가 용이한 커넥터 결합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암커넥터 또는 수커넥터 중 어느 하나의 상부에 형성되며, 일측면이 개방되고 상단면에 소정크기의 구멍이 형성된 결합부;
수커넥터 또는 암커넥터 중 어느 하나의 상부에 상기 결합부가 삽입되도록 형성되며, 일측면이 개방되고 상단면에 소정크기의 가이드구멍이 형성된 수용부;
상기 결합부가 상기 수용부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구멍과 상기 가이드구멍으로 돌출되는 절곡된 형상의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의 개방된 일측면으로 삽입되는 탄성부재;
상기 탄성부재가 삽입된 결합부가 상기 수용부와 결합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부의 개방된 일측면으로 삽입되어 상기 탄성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부재는 박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탄성부재 양단에는 상부로 절곡 된 절곡부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의 양측면에 평평한 구간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탄성부재의 하부에 삽입되어 상기 탄성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수용부에 고정되도록 양단에 돌기가 형성된 록킹부로 구성된다.
상기 록킹부 상부면에는 소정길이의 홈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의 내부 상측에는 상기 홈이 형성된 상부를 향해 요홈이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에서 상기 지지부재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 커넥터 결합장치.
상기 록킹부 양단에서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상기 지지부재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관통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결합장치를 이용하면, 탄성부재 및 지지부재에 의해 결합강도가 강해지며, 암커넥터와 수커넥터의 결합 시 탄성부재에 의해 결합음이 발생되어 감성품질이 향상되고, 지지부재에 형성된 홈에 의해 커넥터의 분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결합장치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결합장치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a는 탄성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4b는 지지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결합장치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결합장치는 암커넥터에 형성된 결합부와 수커넥터에 형성된 수용부와 탄성부재 및 지지부재로 구성된다.
탄성부재(230)는 박판으로 형성되며, 중앙에 절곡된 형태의 돌출된 돌출부(231)가 형성된다. 탄성부재(230) 양단은 상부를 향해 절곡된 절곡부(232)가 형성되어 강도를 보강함으로써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돌출부(231)가 시작되는 양측에 평평한 구간(233)을 확보하도록 형성되며, 돌출부(231)의 정점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탄성력을 향상시킨다.
결합부(220)는 암커넥터(20)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결합부(220)의 일측면(222)은 탄성부재(230)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다. 결합부(220)의 상부면에는 소정크기의 구멍(221)이 형성되어 탄성부재(230)가 삽입되었을 때 구멍(221)으로 탄성부재의 돌출부(231)가 삽입되어 외부로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수용부(210)는 수커넥터(10)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수용부(210) 내부로 결합부(220)가 삽입된다. 수용부(210) 일측면(212), 즉, 결합부의 개방된 일측면(222)과 동일한 방향이 개방되어 있어 개방된 측면(212)으로 지지부재(240)가 삽 입된다. 수용부(210)의 상부에도 탄성부재(230)와 결합된 결합부(220)가 수용부(210)에 삽입되었을 때, 탄성부재의 돌출부(231)가 삽입되도록 가이드구멍(211)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결합부(220)가 수커넥터(10)의 상부에 형성되고, 수용부(210)는 암커넥터(20)의 상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지지부재(240)는 T자형으로 탄성부재(230)와 결합된 결합부(220)가 수용부(210)에 삽입되었을 때, 탄성부재(230)의 이탈을 방지 할 수 있도록 탄성부재(230) 하부에 삽입되는 지지부(241)와, 수용부(210)에 고정되도록 양단에 돌기(243)가 형성된 록킹부(242)로 구성된다. 지지부재(240)의 지지부(241)는 탄성부재(230)의 하면에 탄성부재(230)가 기밀하게 접촉되도록 양단이 경사진 계단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록킹부(242)의 양단에서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지지부재(240)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공간(245)을 형성하여, 양단에 텐션이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돌기(243)가 수용부(210)에 고정 및 고정해제 용이하도록 구성된다. 록킹부 상면에는 소정길이의 홈(244)이 형성되며, 홈(244)의 단부의 걸리는 통상의 도구를 이용하여 수용부(210)에 삽입된 지지부재(240)를 분리할 수 있도록 한다.
암커넥터(20)와 수커넥터(10)의 결합은 탄성부재(230)가 결합부(220)에 삽입(a)되고 암커넥터(20)와 수커넥터(10)가 결합(b)되며, 수용부(210)에 지지부재(240)가 삽입(c)되는 순서로 이루어진다. 도 5를 참조하여 커넥터 결합장치의 결합상태를 살펴보면, 암터미널(미도시)이 삽입된 암커넥터(20)와 수터미널(미도시) 이 삽입된 수커넥터(10)의 결합에 앞서, 탄성부재(230)가 결합부(220)의 개방된 일측면을 통해 삽입되어 돌출부(231)가 결합부(220)의 구멍을 통해 외부로 돌출될 때까지 밀어 넣는다.
돌출부(231)가 구멍을 통해 외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암커넥터(20)와 수커넥터(10)를 조립하면, 결합부(220)가 수용부(210)에 삽입된 상태에서 돌출부(231)가 수용부(210)의 가이드구멍(211)으로 돌출된다. 여기서, 암커넥터(20)와 수커넥터(10)의 조립 시 탄성부재의 돌출부(231)는 탄력에 의해 하방향으로 압축된 상태에서 조립이 이루어지며,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돌출부(231)는 상방향으로 복원되어 수용부의 가이드구멍(211)으로 돌출된다.
암커넥터(20)와 수커넥터(10)의 조립 상태에서 지지부재(240)는 수용부(210)의 개방된 일측면(212)으로 삽입된다. 지지부재의 지지부(241)는 탄성부재(230)의 하부로 삽입되어 탄성부재(230)와 접촉된 상태로 탄성부재(230)를 지지한다. 여기서 지지부재(240)에 의해 탄성부재(230)는 결합부(220) 내측에서 이탈되지 않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며, 탄성부재(230)의 평평한 구간(233)이 결합부(220) 내부 상측으로 가압되어 고정성이 향상된다.
도 6은 본 본발의 결합부와 수용부의 결합상태의 확대사시도이고, 도 7은 결합부와 수용부의 결합상태의 단면도이다.
지지부재(240)가 수용부(210) 일측면으로 삽입될 때 돌기(243)에 탄성을 부여하여 삽입이 용이하도록 공간(24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돌기(243)의 일측면은 돌기(243)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삽입이 용이해진다.
한편, 지지부재(240)가 수용부(210)의 개방된 일측면으로 삽입되어 탄성부재(230)의 이탈을 방지하여 암커넥터(20)와 수커넥터(10)의 결합을 유지시킨다. 여기서 암커넥터(20)와 수커넥터(10)의 결합을 해지하기 위해 조립된 탄성부재(230) 및 지지부재(220)를 분리해야한다. 탄성부재(230)는 구멍(221)과 가이드구멍(211)으로 돌출된 돌출부(231)를 하방향으로 누르는 것에 의해 분리가 가능하나, 탄성부재(230)를 지지하고 있는 지지부재(240)에 의해 하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는다.
따라서, 지지부재(240)를 먼저 분리해야하며, 지지부재(240)의 분리는 핀셋과 같은 뾰족한 물건을 사용하여 지지부재(240)에 형성된 홈(244)에 넣어 삽입 반대방향으로 잡아당기면 돌기(243)가 떨어지면서 지지부재(240)가 수용부(210) 및 결합부(220)에서 분리된다. 이때, 수용부(210) 내부 상측에 형성된 요홈(213)에 의해 뾰족한 물건을 홈에 넣을 때 수용부(210)에 간섭되지 않고 원활한 작업을 할 수 있다. 지지부재(240)가 분리된 후 탄성부재의 돌출부(231)를 하방향으로 누르면 암커넥터(20)와 수커넥터(10)가 분리된다.
이와 같이 탄성부재와 지지부재에 의해 커넥터가 결합된 상태에서 단단히 고정되며,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커넥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커넥터 결합상태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결합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a는 탄성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4b는 지지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결합장치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본발의 결합부와 수용부의 결합상태의 확대사시도이다.
도 7은 결합부와 수용부의 결합상태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수커넥터 20: 암커넥터
210: 수용부 211: 가이드구멍
220: 결합부 221: 구멍
230:탄성부재 240:지지부재

Claims (6)

  1. 삭제
  2. 암커넥터(20) 또는 수커넥터(10) 중 어느 하나의 상부에 형성되며, 일측면이 개방되고 상단면에 구멍(221)이 형성된 결합부(220);
    수커넥터(10) 또는 암커넥터(20) 중 어느 하나의 상부에 상기 결합부(220)가 삽입되도록 형성되며, 일측면이 개방되고 상단면에 가이드구멍(211)이 형성된 수용부(210);
    상기 결합부(220)가 상기 수용부(210)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구멍(221)과 상기 가이드구멍(211)으로 돌출되는 절곡된 형상의 돌출부(231)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220)의 개방된 일측면(222)으로 삽입되는 탄성부재(230);
    상기 탄성부재(230)가 삽입된 결합부(220)가 상기 수용부(210)와 결합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부(210)의 개방된 일측면으로 삽입되어 상기 탄성부재(230)를 지지하는 지지부재(2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탄성부재(230)는 박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탄성부재(230) 양단에는 상부로 절곡된 절곡부(232)가 형성된 커넥터 결합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231)의 양측면에 평평한 구간(233)이 형성된 커넥터 결합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240)는 상기 탄성부재(230)의 하부에 삽입되어 상기 탄성부재(230)를 지지하는 지지부(241)와, 상기 수용부(210)에 고정되도록 양단에 돌기(243)가 형성된 록킹부(242)로 구성되는 커넥터 결합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242) 상부면에는 소정길이의 홈(244)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210)의 내부 상측에는 상기 홈(244)이 형성된 상부를 향해 요홈(213)이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210)에서 상기 지지부재(240)의 분리가 용이하도록 구성된 커넥터 결합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242) 양단에서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상기 지지부재(240)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관통되는 공간(245)이 형성된 커넥터 결합장치.
KR1020080123679A 2008-12-05 2008-12-05 커넥터 결합장치 KR1013914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3679A KR101391476B1 (ko) 2008-12-05 2008-12-05 커넥터 결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3679A KR101391476B1 (ko) 2008-12-05 2008-12-05 커넥터 결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4995A KR20100064995A (ko) 2010-06-15
KR101391476B1 true KR101391476B1 (ko) 2014-05-07

Family

ID=42364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3679A KR101391476B1 (ko) 2008-12-05 2008-12-05 커넥터 결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14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8468B1 (ko) * 2015-06-03 2017-02-20 주식회사 포워드벤처스 통신 케이블 커넥터
KR101745097B1 (ko) 2015-06-12 2017-06-12 케이유엠 유한회사 커넥터 어셈블리
KR20220167063A (ko) 2021-06-11 2022-12-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커넥터 조립체
KR20240002588A (ko) 2022-06-29 2024-01-05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어셈블리
KR20240010943A (ko) 2022-07-18 2024-01-25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어셈블리
KR20240080754A (ko) 2022-11-30 2024-06-0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어셈블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39637A (ja) 2002-07-08 2004-02-05 Yuan Lin 導線の連接装置
KR100773311B1 (ko) 2006-03-27 2007-11-09 경신공업 주식회사 조인트 커넥터의 결합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39637A (ja) 2002-07-08 2004-02-05 Yuan Lin 導線の連接装置
KR100773311B1 (ko) 2006-03-27 2007-11-09 경신공업 주식회사 조인트 커넥터의 결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4995A (ko) 2010-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15450B1 (en) Internal battery holding structure in mobile equipment
KR100795104B1 (ko) 전기커넥터 및 소켓커넥터
KR101567356B1 (ko) 전기 커넥터 조립체,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
KR101990508B1 (ko) 강도가 강화된 플러그커넥터
CN110061375B (zh) 连接器、对接连接器以及连接器组件
KR101391476B1 (ko) 커넥터 결합장치
US7942708B2 (en) Electrical connector and terminal for electrical connector
JP2012505511A (ja) 同軸ケーブル・コネクタ
JP2012532422A (ja) 基板対基板タイプのコネクタ
US20190363476A1 (en) Electrical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having the same
JP2559833Y2 (ja) モジューラ電気コネクタ用ホルダ
JP4291341B2 (ja) 接続装置
KR20140136392A (ko) 전기 커넥터
KR20110088346A (ko) 커넥터
JP2009266749A (ja) 電気コネクタ
EP1385232A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plug connector and receptacle connector
JP6606528B2 (ja) コネクタ
KR20100022841A (ko) 커넥터
JP2019129137A (ja) コネクタ、相手方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組立体
JP4122340B2 (ja) 端子台
KR101456806B1 (ko) 커넥터 구조
JPH0747805Y2 (ja) プリント配線基板用端子装置
TW512379B (en) Relay assembly
KR100955646B1 (ko) 리어 홀더 일체형 터미널 커넥터
JP5129792B2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