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80754A - 커넥터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커넥터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80754A
KR20240080754A KR1020220164375A KR20220164375A KR20240080754A KR 20240080754 A KR20240080754 A KR 20240080754A KR 1020220164375 A KR1020220164375 A KR 1020220164375A KR 20220164375 A KR20220164375 A KR 20220164375A KR 20240080754 A KR20240080754 A KR 202400807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onnector
protrusion
lock lever
connector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4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선식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400807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80754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Abstract

본 발명의 커넥터 어셈블리는 두 커넥터의 대향 부위에 서로를 구속하는 구속부 및 이 구속의 유지를 위한 구속 유지부를 각각의 하우징에 일체로 형성하여 이루어지며, 이로써 별도의 레버나 커넥터위치보장부재(CPA)를 제공하지 않고도 두 커넥터 간의 결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커넥터 어셈블리{connector assembly}
본 발명은 조립 및 분리가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고, 안정적인 접속 상태의 유지가 가능하며, 결합 불량 여부를 정확히 인지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커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넥터 어셈블리는 전자 제품에 주로 사용되며, 두 부품 간의 신호나 전원의 연결을 위해 사용되는 장치이다.
이러한 커넥터 어셈블리는 메일 커넥터(male connector)와 피메일 커넥터(female connector)가 한 쌍을 이루면서 제공되고, 상기 메일 커넥터와 피메일 커넥터의 결합에 의해 두 부품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 메일 커넥터는 메일 하우징 및 상기 메일 하우징 내에 제공되는 메일 터미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피메일 커넥터는 피메일 하우징 및 상기 피메일 하우징 내에 제공되는 피메일 터미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커넥터 어셈블리는 진동이나 충격 등에 의해 각 커넥터가 서로 분리되거나 혹은, 각 커넥터의 터미널 간 접속이 해제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종래에는 메일 커넥터와 피메일 커넥터가 서로 결합된 후 두 커넥터 간의 결합 상태(두 터미널 간의 접속)를 유지하기 위한 레버를 제공하거나 혹은, 커넥터위치보장부재(CPA:Connector Position Assurance)를 제공하고 있다.
이에 관련하여는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22961호(선행문헌 1),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12414호(선행문헌 2),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64995호(선행문헌 3) 등에 개시된 바와 같다.
하지만, 전술된 선행문헌 1 내지 3은 두 커넥터 간의 원활한 결합을 위해 결합 방향으로 경사진 구조의 걸림돌기 및 걸림턱을 제공하기 때문에 진동이나 충격 발생시 결합이 쉽게 해제될 수 있다는 단점도 있다.
특히, 에어백 등에 사용되는 소형 커넥터 어셈블리의 경우 두 커넥터 간의 분리가 더욱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문제점을 가지며, 두 커넥터 간의 결합 여부를 작업자가 정확히 인지하지 못하여 접속 불량이 발생되었던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소형 커넥터 어셈블리에 대한 결합이 정확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도 두 커넥터 간의 결합 여부를 작업자가 정확히 인지할 수 있는 구조의 커넥터 어셈블리가 제공되고 있다. 이에 관련하여는 등록특허 제10-1778888호(선행문헌 4), 등록특허 제10-1797866호(선행문헌 5) 등에 제시되고 있는 바와 같다.
하지만, 전술된 선행문헌 4 및 선행문헌 5의 경우는 두 커넥터 간의 감합 상태가 정확히 유지될 수 있는 반면, 두 커넥터 간의 분리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즉, 두 커넥터 간의 큰 감합력만큼 분리가 어려웠던 것이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22961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12414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64995호 등록특허 제10-1778888호 등록특허 제10-1797866호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커넥터위치보장부재(CPA)를 제공하지 않고도 두 커넥터 간의 결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커넥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두 커넥터 간의 결합 여부를 작업자가 정확히 인지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커넥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두 커넥터 간의 감합 상태가 정확히 유지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커넥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커넥터 어셈블리에 따르면, 제1커넥터를 이루는 제1하우징과 제커넥터를 이루는 제2하우징에는, 메인걸림턱 및 상기 메인걸림턱에 걸려 구속되는 로크레버가 각각 대응 형성되고,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에는, 상기 두 커넥터 간의 결합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로크레버의 끝단이 원치않게 눌려짐을 방지하여 상기 로크레버가 상기 메인걸림턱에 구속된 상태를 유지하는 구속 유지부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커넥터 어셈블리에 따르면, 메인걸림턱은 제1하우징의 상면에 돌출 형성되고, 로크레버는 제2하우징의 상단 내부에 상하 기울어짐 가능하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커넥터 어셈블리에 따르면, 구속 유지부는, 제1하우징의 상면 중 상기 메인걸림턱의 양 측에 각각 돌출되면서 결합공이 형성된 가이드리브와, 제2하우징의 상단 양 측 벽면에 각각 탄력 변형 가능하게 구비되고, 내면에는 제1커넥터의 결합공에 삽입되도록 삽입돌기를 가지는 삽입로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커넥터 어셈블리에 따르면, 상기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가 완전히 결합될 경우, 상기 삽입돌기는 상기 결합공 내에 위치되도록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로크레버는 상기 메인걸림턱으로부터 이격되게 위치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커넥터 어셈블리에 따르면, 상기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가 완전히 결합되지 않았을 경우, 상기 삽입돌기는 상기 결합공 외측에 위치되도록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삽입로크의 적어도 일부는 제2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커넥터 어셈블리에 따르면, 상기 삽입로크에 형성된 삽입돌기의 전면 및 후면은 중앙측 부위로 갈수록 점차 제2하우징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커넥터 어셈블리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리브의 후단측 상부 모서리는 경사지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커넥터 어셈블리에 따르면, 상기 구속 유지부는 상기 로크레버의 양 측면에 각각 돌출 형성되는 스토퍼돌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커넥터 어셈블리에 따르면, 상기 스토퍼돌기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삽입돌기의 직하방에 위치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커넥터 어셈블리에 따르면, 제1터미널을 가지는 제1하우징을 포함하는 제1커넥터; 피메일 터미널을 가지는 제2하우징을 포함하는 피메일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1하우징의 상면 중앙측 부위로는 메인걸림턱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하우징의 상단 내부에는 상기 제1커넥터의 메인걸림턱에 걸려 구속되는 로크레버가 상하 기울어짐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1하우징의 상면 중 상기 메인걸림턱의 양 측에는 가이드리브가 각각 돌출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가이드리브에는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하우징의 상단 양 측 벽면에는 상기 제1커넥터의 결합공에 삽입되도록 삽입돌기를 가지는 삽입로크가 탄력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로크레버의 양 측면에는 스토퍼돌기가 각각 돌출 형성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커넥터 어셈블리는 두 커넥터의 대향 부위에 서로를 구속하는 구속부 및 이 구속의 유지를 위한 구속 유지부를 각각의 하우징에 일체로 형성함에 따라 별도의 레버나 커넥터위치보장부재(CPA)를 제공하지 않고도 두 커넥터 간의 결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커넥터 어셈블리는 제1커넥터의 제1하우징이 제2커넥터의 제2하우징에 완전히 결합되지 않았을 경우 삽입로크가 결합공 외부로 노출되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두 커넥터 간의 결합 여부를 작업자가 정확히 인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커넥터 어셈블리는 제1커넥터의 제1하우징이 제2커넥터의 제2하우징에 완전히 결합된 상태에서는 스토퍼돌기가 삽입돌기로 인해 들어올려지지 않기 때문에 로크레버가 원치않게 눌려짐이 방지될 수 있고 이로써 두 커넥터 간의 감합 상태가 정확히 유지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커넥터 어셈블리는 두 하우징을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해 당길 경우 로크레버의 눌림 조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가 결합된 상태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가 결합된 상태의 정면도
도 5은 도 4의 1-1선 단면도
도 6은 도 4의 2-2선 단면도
도 7은 도 6의 “A”부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가 일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가 일부 분리된 상태의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가 일부 분리된 상태의 정면도
도 11은 도 10의 3-3선 단면도
도 12는 도 10의 4-4선 단면도
도 13은 도 12의 “B”부 확대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음은, 본 발명의 커넥터 어셈블리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가 결합된 상태의 측면과 정면측의 상태도이다.
또한,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가 결합된 상태의 각 방향별 또는, 부위별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는 레버나 커넥터위치보장부재(CPA:Connector Position Assurance)를 제공하지 않고도 두 커넥터(100,200) 간의 결합 상태(두 터미널 간의 접속)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분리도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는 제1커넥터(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커넥터(100)는 제1터미널(110) 및 제1하우징(1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커넥터이다.
상기 제1터미널(110)은 상기 제1하우징(120) 내에 제공되며, 후술될 제2커넥터(200)의 제2터미널(210)과 서로 통전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터미널(110)은 하나만 제공되거나 혹은, 둘 이상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하우징(120)은 제1커넥터(100)의 외관을 형성하며, 상기 제1터미널(110)은 상기 제1하우징(120) 내에 각각 설치되도록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는 제2커넥터(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커넥터(200)는 제2터미널(210) 및 제2하우징(2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커넥터이다.
상기 제2터미널(210)은 상기 제2하우징(220) 내에 제공되며, 상기 제1커넥터(100)의 제1터미널(110)과 서로 통전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2하우징(220)은 제2커넥터(200)의 외관을 형성하며, 상기 제2터미널(210)은 상기 제2하우징(220) 내에 설치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1터미널(110)과 제2터미널(210)은 서로 맞물리는 구조의 터미널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터미널(110)은 메일 터미널로 형성되고, 상기 제2터미널(210)은 피메일 터미널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하우징(220)의 내면과 상기 제2터미널(210) 사이는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되고, 이러한 이격 부위 사이로 상기 제1하우징(120)이 수용되도록 형성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는 구속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속부(300)는 상기 제2커넥터(200)의 제2하우징(220) 내로 제1커넥터(100)의 제1하우징(120) 일부가 수용되어 제1터미널(110)과 제2터미널(210)이 서로 맞물릴 경우 이러한 통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제공된다.
상기 구속부(300)는 메인걸림턱(310) 및 상기 메인걸림턱(310)에 걸려 구속되는 로크레버(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메인걸림턱(310)은 상기 제1커넥터(100)를 이루는 제1하우징(120)의 상면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로크레버(320)는 상기 제2커넥터(200)를 이루는 제2하우징(220)의 상단에 돌출 형성된다.
상기 로크레버(320)는 상기 제2하우징(220)의 상단 내부에 위치되며, 전후 부위가 선택적으로 상하 기울어지는 레버 구조로 형성된다. 즉, 로크레버(320)의 후단측 부위를 누르면 전단측 부위가 들어올려지고, 로크레버(320)의 후단측 부위에 대한 누름이 해제되면 전단측 부위가 아래로 복귀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로크레버(320)의 전단측 저면에는 상기 메인걸림턱(310)에 걸릴 수 있도록 걸림돌기(321)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즉, 로크레버(320)의 후단측 부위를 눌러 전단측 부위가 들어올려지면 상기 걸림돌기(321)가 상기 메인걸림턱(310)으로부터 구속이 해제되도록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는 구속 유지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속 유지부(400)는 상기 두 커넥터(100,20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로크레버(320)의 끝단이 눌려짐을 방지하여 상기 로크레버(320)가 상기 메인걸림턱(310)에 구속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제공되는 구성이다.
상기 구속 유지부(400)는 상기 제1커넥터(100)의 제1하우징(120)과 상기 제2커넥터(200)의 제2하우징(220)에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속 유지부(400)는 상기 제1하우징(120)에 형성되는 가이드리브(410)와 상기 제2하우징(220)에 형성되는 삽입로크(420) 및 상기 로크레버(320)의 양 측면에 각각 돌출 형성되는 스토퍼돌기(4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리브(410)는 상기 제1하우징(120)의 상면 중 상기 메인걸림턱(310)의 양 측에 각각 돌출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리브(410)에는 결합공(411)이 각각 형성된다.
이와 함께, 상기 가이드리브(410)의 후단측 상부 모서리는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로써 상기 제1하우징(120)을 제2하우징(220) 내로 삽입하는 과정에서 상기 가이드리브(410)의 후단이 후술될 삽입로크(420)의 삽입돌기(421)를 원활히 밀어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삽입로크(420)는 상기 제2하우징(220)의 상단 양 측 벽면에 각각 탄력 변형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때, 상기 삽입로크(420)는 일단이 상기 제2하우징(220)의 상단 양 측 벽면에 형성된 절개공(221) 내의 전면에 일체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타단은 상기 절개공(221) 내의 후단에 이르기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삽입로크(420)는 상기 절개공(221) 내의 전면에 일단이 연결된 외팔보 구조로 형성된다.
이와 함께, 상기 삽입로크(420)의 타단 내면에는 상기 제1하우징(120)에 형성된 결합공(411)에 삽입되도록 삽입돌기(421)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삽입돌기(421)의 전면 및 후면은 중앙측 부위로 갈수록 점차 제2하우징(220)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로써 상기 제1하우징(120)을 제2하우징(220) 내로 삽입하는 과정에서 상기 가이드리브(410)의 후단이 삽입돌기(421)를 원활히 밀어낼 수 있게 되고, 상기 제2하우징(220)으로부터 제2하우징(220)을 분리하는 과정에서 결합공(411) 내의 후면이 상기 삽입돌기(421)를 원활히 밀어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스토퍼돌기(430)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삽입돌기(421)의 직하방에 위치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로크레버(320)의 후단을 저부로 가압할 경우 들어올려지는 위치에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1커넥터(100)와 제2커넥터(200)가 완전히 결합될 경우, 상기 삽입돌기(421)는 상기 결합공(411) 내에 위치되도록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로크레버(320)는 상기 메인걸림턱(310)으로부터 이격되게 위치되도록 형성된다.
이와 함께, 상기 제1커넥터(100)와 제2커넥터(200)가 완전히 결합되지 않았을 경우, 상기 삽입돌기(421)는 상기 결합공(411) 외측에 위치되도록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삽입로크(420)의 적어도 일부는 제2하우징(220)의 절개공(221)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한 삽입돌기(421)(혹은, 삽입로크)와 상기 로크레버(320)의 위치 관계는 제1커넥터(100)와 제2커넥터(200)가 결합된 상태에서 원치않은 로크레버(320)의 조작이 발생되더라도 상기 로크레버(320)가 메인걸림턱(310)으로부터 구속이 해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제2커넥터(200)의 제2하우징(220)으로부터 제1커넥터(100)의 제1하우징(120)이 일부 분리되어 삽입돌기(421)가 결합공(411)으로부터 이탈된 상태(절개공의 외측에 위치된 상태)에서만 스토퍼돌기(430)가 상향 이동 가능하여 로크레버(320)가 조작(로크레버의 선단이 들어올려짐)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로크레버(320)의 원치않는 조작으로 두 커넥터(100,200)가 원치않게 분리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더불어 두 커넥터(100,200) 간의 분리시 두 하우징(120,220)을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당긴 상태에서 로크레버(320)를 누르는 조작에 의해 손쉽게 분리될 수 있게 된다.
하기에서는,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두 커넥터(100,200) 간 결합 과정 및 분리 과정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제1커넥터(100)와 제2커넥터(200)의 결합 과정을 설명한다.
상기 제1커넥터(100)와 제2커넥터(200) 간의 결합을 위해 상기 두 커넥터(100,200) 간의 결합 부위를 서로 대향되도록 위치시킨다. 즉, 제1커넥터(100)의 제1터미널(110)과 제2커넥터(200)의 제2터미널(210)을 서로 마주보게 위치시킨다.
이의 상태에서 상기 제1커넥터(100)의 제1하우징(120)을 제2커넥터(200)의 제2하우징(220) 내로 삽입한다. 이때, 상기 제1하우징(120)은 상기 제2하우징(220)의 내면과 제2터미널(210)의 외면 사이로 삽입된다.
상기 제1하우징(120)을 제2하우징(220) 내로 삽입하는 도중에는 제1하우징(120)에 형성된 가이드리브(410)에 의해 제2하우징(220)의 절개공(221) 내에 형성된 삽입로크(420)가 뒤로 밀리면서 상기 절개공(221) 외부로 노출된다. 이로써 로크레버(320)에 형성된 스토퍼돌기(430)는 두 하우징(120,220) 간의 결합이 진행되는 동안 상향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되어 걸림돌기(321)가 메인걸림턱(310)을 타고 넘어가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로크레버(320)의 걸림돌기(321)가 메인걸림턱(310)을 타고 넘어간 이후에는 상기 삽입로크(420)에 형성된 삽입돌기(421)가 상기 가이드리브(410)에 형성된 결합공(411) 내에 삽입된다.
이렇게 삽입돌기(421)가 결합공(411) 내에 삽입되면 삽입로크(420)는 최초 위치로 복귀되어 상기 삽입로크(420)에 형성된 삽입돌기(421)가 상기 스토퍼돌기(430)의 상향 이동을 차단하게 된다. 이로써 로크레버(320)의 후단에 대한 눌려짐이 발생되더라도 상기 로크레버(320)의 전단이 들어올려짐이 방지되어 걸림돌기(321)가 메인걸림턱(310)으로부터 이탈될 수 없는 상태로 유지된다. 즉, 커넥터 어셈블리의 사용 중 발생되는 충격이나 진동에 의해 두 커넥터(100,200)가 원치않게 분리됨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두 커넥터(100,200) 간의 결합시 두 하우징(120,220)이 완전히 결합되지 않을 경우에는 삽입돌기(421)가 결합공(411) 내에 삽입되지 못한다. 이에 따라, 삽입로크(420)가 가이드리브(410)에 의해 뒤로 밀리면서 제2하우징(220)의 절개공(221) 외부로 노출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는 첨부된 도 9 내지 도 13과 같다.
이로써, 작업자는 상기 삽입로크(420)가 절개공(221)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의 시각적 확인을 통해 두 하우징(120,220) 간의 결합이 완전하게 이루어졌는지 혹은, 불완전하게 이루어졌는지를 정확히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서로 결합된 상태의 제1커넥터(100)와 제2커넥터(200) 간의 분리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상기 두 커넥터(100,200)를 분리하기 위해 제1하우징(120)과 제2하우징(220)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당긴다.
이의 경우, 제2하우징(220)에 형성된 삽입로크(420)의 삽입돌기(421)가 가이드리브(410)에 형성된 결합공(411)의 후면에 부딪히면서 뒤로 밀리게 된다. 계속해서 메인걸림턱(310)에 로크레버(320)의 걸림돌기(321)가 맞닿을 정도에 이르기까지 두 하우징(120,220)이 분리되면 상기 삽입돌기(421)가 상기 결합공(411)으로부터 이탈된다. 이로써 상기 로크레버(320)에 형성된 스토퍼돌기(430)는 상기 삽입돌기(421)의 간섭으로부터 해제되어 상승 이동이 가능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후, 로크레버(320)의 후단을 가압하면 상기 로크레버(320)의 걸림돌기(321)가 상기 메인걸림턱(310)으로부터 이탈되고, 이의 상태에서 상기 두 하우징(120,220)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당기면 상기 두 하우징(120,220)이 분리되면서 두 터미널(110,210)의 접속이 해제된다. 이로써 두 커넥터(100,200) 간의 분리가 완료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커넥터 어셈블리는 두 커넥터(100,200)의 대향 부위에 서로를 구속하는 구속부(300) 및 이 구속의 유지를 위한 구속 유지부(400)를 각각의 하우징(120,220)에 일체로 형성함에 따라 별도의 레버나 커넥터위치보장부재(CPA)를 제공하지 않고도 두 커넥터(100,200) 간의 결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커넥터 어셈블리는 제1커넥터(100)의 제1하우징(120)이 제2커넥터(200)의 제2하우징(220)에 완전히 결합되지 않았을 경우 삽입로크(420)가 결합공(411) 외부로 노출되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두 커넥터(100,200) 간의 결합 여부를 작업자가 정확히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커넥터 어셈블리는 제1커넥터(100)의 제1하우징(120)이 제2커넥터(200)의 제2하우징(220)에 완전히 결합된 상태에서는 스토퍼돌기(430)가 삽입돌기(421)로 인해 들어올려지지 않기 때문에 로크레버(320)가 원치않게 눌려짐이 방지될 수 있고 이로써 두 커넥터(100,200) 간의 감합 상태가 정확히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커넥터 어셈블리는 두 하우징(120,220)을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해 당길 경우 로크레버(320)의 눌림 조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제1커넥터 110. 제1터미널
120. 제1하우징 200. 제2커넥터
210. 제2터미널 220. 제2하우징
300. 구속부 310. 메인걸림턱
320. 로크레버 321. 걸림돌기
400. 구속유지부 410. 가이드리브
411. 결합공 420. 삽입로크
421. 삽입돌기 430. 스토퍼돌기

Claims (10)

  1. 제1 터미널을 가지는 제1하우징을 포함하는 제1커넥터;
    제2터미널을 가지는 제2하우징을 포함하는 제2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에는, 메인걸림턱 및 상기 메인걸림턱에 걸려 구속되는 로크레버가 각각 대응 형성되고,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에는, 상기 두 커넥터 간의 결합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로크레버의 끝단이 눌려짐을 방지하여 상기 로크레버가 상기 메인걸림턱에 구속된 상태를 유지하는 구속 유지부가 구비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걸림턱은 상기 제1하우징의 상면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로크레버는 상기 제2하우징의 상단 내부에 상하 기울어짐 가능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 유지부는,
    상기 제1하우징의 상면 중 상기 메인걸림턱의 양 측에 각각 돌출되면서 결합공이 형성된 가이드리브와,
    상기 제2하우징의 상단 양 측 벽면에 각각 탄력 변형 가능하게 구비되고, 내면에는 상기 제1커넥터의 결합공에 삽입되도록 삽입돌기를 가지는 삽입로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가 완전히 결합될 경우, 상기 삽입돌기는 상기 결합공 내에 위치되도록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로크레버는 상기 메인걸림턱으로부터 이격되게 위치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가 완전히 결합되지 않았을 경우, 상기 삽입돌기는 상기 결합공 외측에 위치되도록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삽입로크의 적어도 일부는 제2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로크에 형성된 삽입돌기의 전면 및 후면은 중앙측 부위로 갈수록 점차 제2하우징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리브의 후단측 상부 모서리는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 유지부는
    상기 로크레버의 양 측면에 각각 돌출 형성되는 스토퍼돌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돌기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삽입돌기의 직하방에 위치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10. 제1 터미널을 가지는 제1하우징을 포함하는 제1커넥터;
    제2터미널을 가지는 제2하우징을 포함하는 제2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1하우징의 상면 중앙측 부위로는 메인걸림턱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하우징의 상단 내부에는 상기 제1커넥터의 메인걸림턱에 걸려 구속되는 로크레버가 상하 기울어짐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1하우징의 상면 중 상기 메인걸림턱의 양 측에는 가이드리브가 각각 돌출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가이드리브에는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하우징의 상단 양 측 벽면에는 상기 제1커넥터의 결합공에 삽입되도록 삽입돌기를 가지는 삽입로크가 탄력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로크레버의 양 측면에는 스토퍼돌기가 각각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KR1020220164375A 2022-11-30 커넥터 어셈블리 KR20240080754A (ko)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80754A true KR20240080754A (ko) 2024-06-07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67935B2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及び電気コネクタ
JP4752606B2 (ja) コネクタ
JP2014053128A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
US6992248B1 (en) Junction box assembly with connectivity assurance
US9755363B2 (en) Connector assembly
KR20170051901A (ko) 커넥터 조립체
WO2017187962A1 (ja) 嵌合検知機能を有する電気接続装置
JP4655997B2 (ja) コネクタ
KR101032255B1 (ko) 암형단자 및 암형단자를 사용하는 전기 커넥터
CN103688421A (zh) 电连接器组件
US6450840B2 (en) Connector with insertable retainer
US6551146B2 (en) Connector and a method for assembling a connector
JP2006216375A (ja) コネクタのロック検知方法とコネクタ
US10033129B2 (en) Connector
KR20240080754A (ko) 커넥터 어셈블리
US20220344867A1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EP0940886A1 (en) Connector structure
CN111525339B9 (zh) 杆式连接器
US20200303877A1 (en) Connector
CN107785730B (zh) 扁平型导体用电连接器
KR20210077486A (ko)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방법
EP4080690A1 (en) Connector apparatus with switch for improving contact reliability
JP7427603B2 (ja) コネクタ位置保証部材
KR102666853B1 (ko) 파크라 커넥터
KR20240010943A (ko) 커넥터 어셈블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