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6854Y1 - 개량된 커넥터 - Google Patents

개량된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6854Y1
KR200316854Y1 KR20-2003-0007643U KR20030007643U KR200316854Y1 KR 200316854 Y1 KR200316854 Y1 KR 200316854Y1 KR 20030007643 U KR20030007643 U KR 20030007643U KR 200316854 Y1 KR200316854 Y1 KR 2003168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lead pin
female
male
le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76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연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연호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연호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연호전자
Priority to KR20-2003-00076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685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68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685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1Details
    • H01R12/774Retainer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노트북 컴퓨터의 액정화면의 광원이 되는 백라이트의 전원회로를 구성한 인버터기판의 소형화에 적합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암컷 하우징은 인버터기판상에 레그와 보조 레그를 각각 납땜고정시키면 납땜되어진 두 레그의 절곡부가 하우징의 외측방향으로 연장되어 그 연장폭에 의해 레그간의 공간거리가 확장되어지고, 또한 커넥터의 크기를 소형화하더라도 두 레그 사이에 마련된 이중 차단벽이 고전압에 의한 장애를 차단하고 소형화된 커넥터를 분리할 경우 암컷 커넥터의 표면에 형성된 걸림편을 후방으로 후퇴시키면 수컷 커넥터로부터 암컷 커넥터를 쉽게 분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개량된 커넥터{Connector for High Voltage }
본 고안은 각종 전기 전자 기기의 고전압화에 대응한 커넥터에 관한 것이며, 특히 노트북 컴퓨터의 액정화면의 광원이되는 백라이트의 전원회로를 구성한 인버터기판의 소형화에 적합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퍼스널 컴퓨터에서는 고성능화를 도모하기 위해 본체프레임의 허용범위내에서 액정화면의 크기를 최대한 크게 제작하는 추세이다. 이 액정화면의 확대에 따라 그 광원이 되는 백라이트에는 고전압(1,000∼1,400V)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백라이트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회로를 구성한 인버터기판은 상기 본체프레임내에 액정화면과 함께 조립되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액정화면의 크기가 확대시키면 인버터기판의 실장면적이 협소해지기 때문에 액정화면에 비해 상대적으로 소형화할 필요성이 있다.
그러나 인버터기판을 소형화하면 인버터기판과 백라이트사이에는 전선으로고전압을 연결시키는 커넥터 역시 소형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넥터는 인버터기판과 백라이트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커넥터를 소형화하게 되면 그 취급이 조립 및 수리시 커넥터를 손으로 잡기가 불편하고 인버터상에 납땜되어진 리드핀간의 거리가 단축되기 때문에 고전압에 의해 단락되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커넥터의 부품의 조립시 커넥터 하우징속으로 작은 금속편인 접속소켓를 삽입조립한 뒤 하우징의 외부에서는 그 조립상태에서는 그 조립의 불량여부를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불량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통전시험으로 불량품을 선별함으로 그 조립에 따른 작업성이 저하된다.
아울러, 수컷 커넥터는 부품의 수리를 위해 암컷 커넥터로부터 분리할 경우 기판상에 납땜고정된 수컷 커넥터에 암컷 커넥터를 끼워넣어 체결한 상태이므로 암컷 커넥터는 수컷 커넥터의 내부로 하우징의 대부분이 삽입되어 외부에는 일부분만이 노출되므로 암컷 커넥터를 분리하기 위해 후방으로 잡아당길 때 수컷 커넥터를 잡아당기기가 불편한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커넥터의 소형화를 도모하더라도 인버터기판상에 납땜된 두 리드핀간의 공간거리를 연장시켜 고전압에 의해 장애를 받지 않도록 하고, 조립시 접속소켓의 조립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그 취급이 용이한 개량된 고전압 대응형의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암컷 커넥터를 예시한 사시도,
도 2의 (a)는 본 고안에 따른 암컷 커넥터를 예시한 평면도이고, (b)는 배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도 1의 B-B선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수컷 커넥터를 예시한 사시도,
도 6의 (a)은 본 고안에 따른 수컷 커넥터에 삽입된 리드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b)는 도5의 배면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암수 커넥터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수컷 커넥터 10a:수컷 하우징
11:개방부 12:가이드홈
13:측벽 14:텐션편
14a:걸림턱 15:리드핀 체결공
16:이중 차단벽 20:리드핀
20a:접속소켓 21:접속핀
22:레그 22a:보조 레그
23:절곡부 30:암컷 커넥터
31:측벽 32:관체
33:경사면 34:전선
36:돌기 37:삽입구멍
37a:투시공
본 고안에 개량된 커넥터를 달성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따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커넥터는 체결접속되는 수컷 커넥터와 암커넥터가 아래와 같은 구성을 갖고 있다.
도 1과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암수를 한 쌍으로 구성된 커넥터(10,30)는 공히 절연체로 제작되어 있으며, 각각의 독립된 하우징(10a, 30a)으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수컷 커넥터(10)의 하우징(10a)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개방부(11)가 형성되어 있고 그 개방부(11) 속으로 상기한 암컷 커넥터(30)가 삽입되어진다.
수컷 하우징(10a)내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대략 이등분되는 지점에 그 길이방향으로 점차 폭이 넓어지는 경사진 격벽(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측벽(13) 내면에 가이드홈(12a)이 각각 마련되어 있다. 아울러, 측벽(13)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소정길이로 절결하여 일부분만이 측벽(13)과 연결되어져 소정의 텐션력이 내재된 텐션편(14)이 형성되어 있고, 그 텐션편(14)의 내면에는 걸림턱(14a)이 마련되어 있다.
아울러, 수컷 하우징(10a)의 개방부(11)의 반대쪽에는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리드핀(20)이 삽입되는 리드핀 체결공(15)이 마련되어 있는데, 그 리드핀 체결공(15)에 인버터기판상에 남땜되어지는 상기 리드핀(20)이 삽입되어 조립된다. 위 리드핀(20)(도 5의 a 참조)에 대하여는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되어질 것이다. 리드핀 체결공(15)사이에는 수컷 하우징(10a)으로부터 수직하게 후방으로 연장된 이중 차단벽(16)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한 리드핀(20)은 도 6의(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리드핀 체결공(15)에 삽입되어 후술하는 암컷 커넥터(30)의 접속소켓(20a)과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통전되는 접속핀(21)과 인버터기판상에 납땜되어지는 레그(22)와, 상기 접속핀(21)과 레그(22)간을 연결하고, 상기 레그(22)가 인버터기판에 납땜고정되었을 때 한쌍의 레그(22)사이에 고전압에 의해 장애를 받지 않도록 가급적 멀리 이격되도록 "ㄷ"자형태로 절곡되어진 절곡부(2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의 레그(22)는 수컷 하우징(10a)에 조립되면 그 하우징(10a)의 바닥보다 약간 더 밑으로 연장되는데 이는 인버터기판상에 레그(22)를 보다 견고히 납땜하기 위함이다. 미설명부호 22a는 하우징 고정용 보조 레그이다.
상기 리드핀(20)은 수컷하우징(10a)의 체결공(15)에 삽입되면 상기 수컷하우징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각각 고정되어진다.
암컷 커넥터(30) 하우징(30a)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측벽(31)에 상기한 수컷 하우징(10a)의 개방부(11)속으로 삽입되는 관체(32)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관체(32)는 두 갈래로 분할되어 있으며, 양 관체(32)사이에 상기한 경사진 격벽(12)과 대응되는 경사면(3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관체(32)내에는 전선(34)이 접속소켓(20a)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삽입조립된다.
그리고 상기 관체(32)의 선단부에는 상기한 가이드홈(12a)에 개입되어 암컷 혹은 수컷 커넥터(10,30)가 올바른 체결을 유도하기 위해 가이드레일(35)이 마련되어 있고, 또한 상기한 텐션편(14)의 걸림턱(14a)과 체결되는 돌기(36)가 양면에 각각 마련되어 있다.
상기 관체(32)의 선단부에는 상기한 접속핀(21)이 삽입관통하는 삽입구멍(37) 이 형성되어 있고, 그 삽입구멍(37)의 주위에 투시공(37a)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투시공(37a)은 접속소켓(20a)이 하우징내에 올바로 조립되었는지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접속소켓(20a)의 조립상태를 확인하여 불량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구멍(37)의 반대쪽 하우징에는 상기 접속소켓(20a)이 삽입되는 삽입공(40)사이에 상기 접속소켓의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절결부(38)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절결부(38)에 의해 나뉘어진 걸림편(29)이 암컷 하우징(30)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절결부(38)는 상기한 관체(32)가 그 측벽의 좌우측방향으로 약간씩 유격변형되어지도록 한 것으로, 수컷 하우징(10)과 암컷하우징(30)의 개방부(11)에 삽입할 때 좌우유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그 진입이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암수 커넥터의 체결에 따른 작용을 설명한다.
수컷 커넥터의 개방부(11)로 암커넥터를 삽입하면 가이드홈(12a)에 가이드레일(35)이 정렬되어 암컷 하우징(30a)이 수컷 하우징(10a) 속으로 진입을 돕고 접속핀(21)과 접속소켓(20a)의 접속에 따른 정열위치를 바로 잡아주어 접속핀(21)이 삽입구멍(37)으로 올바로 삽입되도록 안내한다. 상기 접속핀(21)이 삽입구멍(37)속으로 삽입되면 관체(32)내에 위치된 접속소켓(20a)속으로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암컷 하우징(10)의 측벽(31)에 형성된 돌기(36)는 텐션편(14)를 수컷 하우징의 측벽(13)의 외측으로 밀어내면서 진입한 뒤 걸림턱(14a)에 돌기(36)가 위치되어지면 텐션편(14)은 자체적으로 내재된 복원력에 의해 복귀되면서 돌기(36)가 후퇴하여 빠지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작용을 한다. 그리고, 상기한 경사면(33)은 경사진 면과 긴밀히 접해져 두 커넥터 하우징(10a,30a)이 유격없이 체결되어지며, 그 체결과정에 돌기(36)와 걸림턱(14a)이 체결시 딸깔소리를 내므로 체결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하우징의 체결라인이 서로 맞닿게 됨으로 체결상태를 직접 확인할 수 있다.
수컷 하우징(30)은 인버터기판상에 납땜된 레그(22)의 절곡부(23)에 의해 두 레그(22)의 공간거리를 확장할 수 있고, 또한 두 레그(22) 사이에 마련된 이중 차단벽(16)에 의해 커넥터의 크기를 소형화하더라도 고전압에 의해 납땜부분이 단락되는 문제를 극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암컷 하우징은 인버터기판상에 레그와 보조 레그를 각각 납땜고정시키면 납땜된 두 레그의 절곡부가 하우징의 외측방향으로 연장되어 그 폭에 의해 레그간의 공간거리가 확장되어지고, 또한 커넥터의 크기를 소형화하더라도 두 레그 사이에 마련된 이중 차단벽이 고전압에 의한 장애를 차단하고, 소형화된 커넥터를 분리할 경우 암컷 커넥터의 표면에 형성된 걸림편을 후방으로 후퇴시키면 수컷 커넥터로부터 암컷 커넥터를 쉽게 분리할 수 있다.

Claims (2)

  1. 암수 한 쌍으로 구성되어 암수 커넥터를 결속체결함으로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소형화된 커넥터에 있어서,
    내부에 소정길이로 연장된 리드핀(20)이 삽입되고 그 리드핀(20)이 인버터기판에 남땜고정되며, 양측벽에는 내면에 걸림턱(14a)이 형성되어지고 그 걸림턱(14a)둘레 중 일부분을 관통절개하여 소정의 텐션력을 부여한 텐션편(14)과, 상기 인버터기판상에 납땜되어지는 리드핀(20)이 삽입되어지는 리드핀 체결공(15)사이에 후방으로 돌출 연장되어진 차단벽(16)을 이중으로 설치하여 상기 리드핀(20)의 납땜부분에 상기 인버터기판의 전원회로의 고전압에 의한 장애를 받지 않도록 한 절연하우징(10a)으로 이루어진 수컷 커넥터(10)와;
    일측에 2개의 전선과 각각 연결된 접속소켓(20a)이 각각 삽입되어 조립되고 상기 수컷 커넥터(10)의 개방부에 삽입체결되면 끝단에 상기 리드핀(20)을 상기 접속소켓(20a)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리드핀(20)이 삽입되는 삽입구멍(37)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삽입구멍(37)에 조립된 상기 접속소켓(20a)의 조립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시공(37a)이 마련되어 있으며, 양 외측벽에 상기 걸림턱(14a)과 체결되는 돌기(36)를 포함하는 두 갈래로 나뉘어진 관체(32)와,
    상기 접속소켓(20a)이 삽입되는 접속소켓 삽입공(40)사이에 상기 관체(32)가 횡방향 좌우측으로 변형이 가능하도록 상기 접속소켓 삽입공(40)의 길이방향으로 절결부(38)를 마련하고, 그 절결부(38)에 의해 상기 절결부(38)에 의해 분리되어진 한 쌍의 걸림편(39)를 더 포함하는 암컷하우징(30a)으로 구성된 암컷 커넥터(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된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핀(20)은 "ㄷ"자 형태의 절곡부(23)로 구성하여 상기 기판상에 납땜되어진 납땜부분사이에 고전압에 따른 영향을 받지 않도록 멀리 이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된 커넥터.
KR20-2003-0007643U 2003-03-14 2003-03-14 개량된 커넥터 KR2003168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7643U KR200316854Y1 (ko) 2003-03-14 2003-03-14 개량된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7643U KR200316854Y1 (ko) 2003-03-14 2003-03-14 개량된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6854Y1 true KR200316854Y1 (ko) 2003-06-18

Family

ID=49408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7643U KR200316854Y1 (ko) 2003-03-14 2003-03-14 개량된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685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6114B1 (ko) 2006-04-17 2008-01-21 (주)씨-넷 엘시디 모듈의 백라이트 유닛용 커넥터
KR101261818B1 (ko) 2011-12-30 2013-05-14 주식회사 연호전자 커넥터 조립체
US8860889B2 (en) 2009-09-30 2014-10-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wer supply for television and television including the same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6114B1 (ko) 2006-04-17 2008-01-21 (주)씨-넷 엘시디 모듈의 백라이트 유닛용 커넥터
US8860889B2 (en) 2009-09-30 2014-10-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wer supply for television and television including the same
US8917359B2 (en) 2009-09-30 2014-12-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wer supply for television and television including the same
US9179088B2 (en) 2009-09-30 2015-11-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wer supply for television and television including the same
US9407855B2 (en) 2009-09-30 2016-08-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wer supply for television and television including the same
US9693007B2 (en) 2009-09-30 2017-06-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wer supply for television and television including the same
US9955104B2 (en) 2009-09-30 2018-04-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wer supply for television and television including the same
US10321088B2 (en) 2009-09-30 2019-06-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wer supply for television and television including the same
KR101261818B1 (ko) 2011-12-30 2013-05-14 주식회사 연호전자 커넥터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58044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having a printed circuit board with soldering holes interconnected to a plurality of terminals and a flat flexible cable
US7186126B2 (en) Floating electrical connector
US8197281B2 (en) Plug connector
KR100570581B1 (ko) 고전압용 커넥터
JP4391975B2 (ja) 電気コネクタ
KR100657600B1 (ko) 엘씨디모듈의 백라이트 유니트용 커넥터
JP3262726B2 (ja) コネクタ
JP2009110956A (ja) 電気コネクタ
TWI648916B (zh) 插頭連接器
KR100449375B1 (ko) 전기 커넥터
WO2011047539A1 (zh) 电连接器
CN113437556B (zh) 插头连接器、插座连接器以及连接器组件
KR100794082B1 (ko) 고전압용 베이스 커넥터 및 소켓 커넥터
KR200316854Y1 (ko) 개량된 커넥터
KR20050053520A (ko) 커넥터
JP4331990B2 (ja) コネクタおよ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KR100395897B1 (ko) 전기접속용 커넥터 핀 결합구조
KR100740400B1 (ko) 압전 트랜스 수용 케이스와 상기 수용 케이스에 접속하는전선 접속용 베이스 커넥터 및 소켓 커넥터
KR200359607Y1 (ko) 보드 대 보드 커넥터 어셈블리
KR100532146B1 (ko) 도킹-형태의 중간 커넥터
JP2000068013A (ja) 変換コネクタ
KR20100057208A (ko) 기판실장형 커넥터 어셈블리
JP2005514733A (ja) 電気コネクタにおける補強ピンの構造
CN112086778A (zh) 连接器、对象连接器以及连接装置
CN117937179A (zh) 连接器和连接器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1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