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4082B1 - 고전압용 베이스 커넥터 및 소켓 커넥터 - Google Patents

고전압용 베이스 커넥터 및 소켓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4082B1
KR100794082B1 KR1020010073689A KR20010073689A KR100794082B1 KR 100794082 B1 KR100794082 B1 KR 100794082B1 KR 1020010073689 A KR1020010073689 A KR 1020010073689A KR 20010073689 A KR20010073689 A KR 20010073689A KR 100794082 B1 KR100794082 B1 KR 1007940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ocket
pin
high voltage
base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3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1297A (ko
Inventor
쿠로다케이지
미야모토다이치
Original Assignee
니혼 앗사쿠단시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앗사쿠단시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앗사쿠단시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41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12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40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40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33Bases, cases made for use in extreme conditions, e.g. high temperature, radiation, vibration, corrosive environment, press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88Arrangements for power supp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Abstract

내고전압성을 확보하면서, 폭 방향의 공간절약화를 도모한 고전압용 베이스 커넥터를 제공한다.
2개의 핀 콘텍트(3, 4)가 절연 하우징(2)에 설치한 격벽(7)에 의해서 독립적으로 형성된 2개의 수용부(8, 9)에 개별적으로 수용되고, 하우징(2)의 개구부(5)를 향하여 평행하게 돌출하는 접촉핀부와, 하우징으로부터 연장하여 프린트 배선판에 납땜되는 리드부를 갖는 고전압용 베이스 커넥터로서, 수용부(8, 9)가, 프린트 배선판 상에 서 상하 방향에 병렬하여 설치되고, 수용부(8, 9)에 개별적으로 수용된 2개의 핀 콘택트(3, 4)의 리드부(23, 27)가 각각, 하우징(2)의 양측벽(14, 15)을 따라서 하방으로 연장됨과 동시에, 그 납땜부(24, 28)가 하우징(2)의 전후 방향으로 위치를 어긋나게 하여 설치되어 있다.
베이스 커넥터, 수용부, 핀 콘텍트, 리드부, 납땜부

Description

고전압용 베이스 커넥터 및 소켓 커넥터{High-voltage base connector and socket connector}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고전압용 베이스 커넥터를 도시하는 후방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고전압용 베이스 커넥터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고전압용 베이스 커넥터의 측면도.
도 4는 도 1의 고전압용 베이스 커넥터의 배면도.
도 5는 도 1의 고전압용 베이스 커넥터의 저면도.
도 6은 도 2-2선에 따르는 단면도.
도 7은 상기 고전압용 베이스 커넥터의 2개의 핀 콘택트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고전압용 베이스 커넥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후방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한 고전압용 베이스 커넥터의 2개의 핀 콘택트의 사시도.
도 1O은 본 발명에 의한 고전압 대응형의 소켓 커넥터의 소켓 하우징의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소켓 하우징의 정면도.
도 12는 도 10의 소켓 하우징의 측면도.
도 13은 도 11의 13-13선에 따른 단면도.
도 14는 도 10의 소켓 하우징에 전선을 접속한 소켓 콘택트를 수용하여 구성 된 소켓 커넥터의 종단 측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고전압용 베이스 커넥터와 소켓 커넥터의 사용 상태를 도시하는 주요부 종단 측면도.
도 16은 주요부 횡단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고전압용 베이스 커넥터 2 : 베이스 하우징
3, 4 : 핀 콘택트 5 : 개구부
6 : 중간벽 7 : 격벽
8, 9 : 수용부 14, 15 : 양측벽
18 : 하우징 저면 21, 25 : 접촉핀부
24, 28 : 납땜부 30 : 소켓 커넥터
31 : 소켓 하우징 33, 34 : 통형상체
37 : 돌출부재 38 : 하단 가장자리
39 : 돌기부 41, 42 : 전선
43, 44 : 소켓 콘택트 50 : 회로 기판
본 발명은, 각종 전자기기의 고전압화에 대응한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퍼스널 컴퓨터 등의 액정 화면의 광원이 되는 백 라이트의 전원 회로를 구성하는 인버터 기판(회로 기판)에 적합한 고전압용 베이스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인버터 기판(회로 기판)의 소형화에 따라서, 상기 인버터 기판과 백 라이트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커넥터는, 소형이며, 게다가 고전압에 대응할 수 있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본원발명자는 이미, 특개평10-172649호 공보 및 특개2000-252005호 공보에서, 소형화를 꾀하면서, 콘택트간의 연면(沿面) 거리 및 공간 거리를 크게하여, 고전압에 대응할 수 있도록 구성한 고전압용 베이스 커넥터를 제안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공개 특허 공보에 개시한 고전압 대응형의 커넥터를 더욱 개량한 것으로, 특히 폭 방향의 공간절약화를 도모한 것이다. 즉, 상기의 공개 특허 공보에 기재된 고전압용 베이스 커넥터는, 절연 하우징에 수용되는 2개의 핀 콘택트가 프린트 배선판(인버터 기판)상에서 가로 방향으로 병렬로 설치되는 슬라이드 형태의 구성을 채용하여, 양 핀 콘택트간의 연면 거리 및 공간 거리를 확보하고 있었기 때문에, 폭 방향의 공간절약화가 곤란하였다.
그래서 본 발명은, 2개의 핀 콘택트가 프린트 배선판(인버터 기판)상에서 상하 방향에 병렬로 설치되는 탑 형태의 구성을 채용하여,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여, 내고전압성을 확보하면서, 폭 방향의 공간절약화를 도모한 고전압용 베이스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고전압용 베이스 커넥터는, 2개의 핀 콘택트가, 절연 하우징에 설치한 격벽에 의해 독립적으로 형성된 2개의 수용부에 개별적으로 수용되고, 상기 하우징의 상단 개구부를 향하여 평행하게 돌출하는 접촉핀부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연장하여 프린트 배선판에 납땜되는 리드부를 갖는 고전압용 베이스 커넥터로서, 상기 수용부가, 상기 프린트 배선판 상에서 상하 방향에 병렬로 설치되고, 상기 수용부에 개별적으로 수용된 상기 2개의 핀 콘택트의 상기 리드부가 각각, 상기 하우징의 양측벽을 따라서 하방으로 연장됨과 동시에, 그 납땜부가 상기 하우징의 전후 방향으로 위치를 어긋나게 하여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2개의 핀 콘택트는, 입력측 콘택트과 출력측 콘택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입력측 핀 콘택트는, 고전압이 인가되어 발열하기 쉽기 때문에, 상측에 위치하는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양측벽의 저부를 따라서, 또한 전후 방향으로 위치를 어긋나게 하여 배치되는 상기 2개의 핀 콘택트의 상기 양 납땜부 사이, 즉 리드 패턴 간의 공간 거리를 충분히 확보하기 위한 구체적인 구성으로서, 상기 하우징의 상측의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는 상기 핀 콘택트의 리드부가, 상기 하우징의 중간부위에서 한쪽의 하우징 측벽을 따르도록 하방으로 연장되고, 또한 하우징 저부를 따라서 전방으로 굴곡되어 상기 납땜부가 형성되고, 한편, 상기 하우징의 하측의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는 상기 핀 콘택트의 리드부가, 상기 하우징의 후단 부위에서 다른쪽의 하우징 측벽을 따르도록 하방으로 연장되며, 또한 하우징 저부를 따라서 후방으로 굴곡되어 상기 납땜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한 2개의 핀 콘택트의 리드부의 형상은, 상하 역형상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고전압용 베이스 커넥터에 끼워 맞추어 접속되는 고전압 대응형의 소켓 커넥터는, 입력용 및 출력용의 2개의 전선의 단부에 접속되고, 상기 2개의 핀 콘택트의 접촉핀부에 끼워 맞추어 접속하는 2개의 소켓 콘택트와, 상기 소켓 콘택트를 수용하는 소켓 하우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소켓 하우징은, 상기 격벽에 결합하는 결함 제거부를 갖는 두 갈래 형상으로 형성되며, 또한 상하 방향에 병렬하는 한 쌍의 통형상체를 갖고, 상기 2개의 소켓 콘택트는 상기 한 쌍의 통형상체에 개별적으로 수용되며, 한편, 상기 소켓 하우징의 후단에는, 한쪽의 측벽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하는 돌출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소켓 커넥터는, 2개의 전선이 상하 방향에 병렬하여 접속되고, 상기 고전압용 베이스 커넥터에 대응하여 협폭으로 되어 있지만, 상기 돌출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돌출부재를 손잡이로 이용하여 상기 고전압용 베이스 커넥터에 대응하는 삽입 제거 작업이 용이하게 될 뿐만 아니라, 손에 의한 잡는 방향이 일정하기 때문에, 상기 고전압용 베이스 커넥터에 대한 오삽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재는 접속한 2개의 전선의 끌어 당김에 의한 손상을 막는 보호벽으로서도 기능한다. 또한, 상기 돌출부재는, 그의 하단 가장자리가 상기 하우징의 저면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구성을 채용하면, 프린트 배선판에 표면 실장된 상기 고전압용 베이스 커넥터에 대한 삽입 제거 작업시에 상기 돌출부재가 프린트 배선판에 접촉하는 등의 지장이 없어, 취급상 적합하다. 또한, 상기 돌출부재의 외측면에 손가락이 접촉하는 오목부를 설치하면, 잡는 조작을 한층 더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다른쪽의 측벽에, 상기 돌출부재에 대응하여 돌기부를 횡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설치하면, 상기 돌출부재와 협동하여 손잡이 조작이 한층 용이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고전압용 베이스 커넥터(1)를 도시하고 있고, 상기 고전압용 베이스 커넥터(1)는, 단면형상이 사각형의 각진 통형상체로 형성된 베이스 하우징(2)과, 상기 하우징(2)에 개별적으로 수용하여 설치된 입력측 및 출력측의 2개의 핀 콘택트(3, 4)로 구성되어 있다.
베이스 하우징(2)은 내열성 수지, 예를 들면 PA6T(폴리아미드 수지), LCP(액정 폴리머), PPS 등에 의해 성형되고, 도 2 및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단에 개구부(5)를 갖고, 중간벽(6)의 전측 중앙부분으로부터 개구부(5)를 향하여 연장되는 격벽(7)에 의해 독립적으로 형성된 2개의 수용부(8, 9)가 상하 방향에 병렬로 설치되고, 폭 방향의 공간절약화를 도모하고 있다. 또한, 격벽(7)의 한 쪽에는 후술하는 소켓 커넥터(30)의 오삽입을 방지하여 안내 유도하는 안내 돌조(1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수용부(8, 9)의 내벽면에는 소켓 커넥터(30)가 결합하는 걸림 돌기(11, 11)가 돌출되어 있다. 한편, 중간벽(6)의 후측 하반 부분에는 하우징(2)의 후단까지 연장되는 두꺼운 하부벽체(12)가 설치되고, 상기 하부벽체(12)와 하우징(2)의 상벽(13) 및 좌우 양측벽(14, 15)과의 사이에 공간부(1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 및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입력측 핀 콘택트(3)를 하우징(2)에 수용하여 설치하기 위해서, 하부벽체(12)와 측벽(14)과의 사이에는 공간부(16)에 연결하는 노치 통로(17)가 설치되어 있다.
핀 콘택트(3, 4)는, 구리 합금 등의 도전성 금속판을 천공하여 절곡 가공 제작되고,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형상을 갖고 있다. 입력측 핀 콘택트(3)는, 접촉핀부(21)의 후단에 광폭으로 짧은 지지부(22)를 갖고, 상기 지지부(22)에 연결 설치되는 리드부가 지지부(22)의 후단으로부터 가로방향으로 연장되고, 하방으로 절곡하여 연장되는 다리부(23)와, 상기 다리부(23)의 하단으로부터 전방으로 굴곡되어 형성된 납땜부(24)로 이루어져 있다. 출력측 핀 콘택트(4)는, 접촉핀부(25)의 후단에 광폭으로 긴 지지부(26)를 갖고, 상기 지지부(26)에 연결 설치되는 리드부가 지지부(26)의 후단으로부터 가로방향으로 연장되고, 하방으로 절곡하여 연장되는 짧은 다리부(27)와, 상기 다리부(27)의 하단으로부터 후방으로 굴곡되어 형성된 납땜부(28)로 이루어져 있다.
입력측 핀 콘택트(3)는, 고전압이 가압되어 발열하기 쉽기 때문에, 실장시에 회로 기판으로부터 떨어지는 상측의 수용부(8)에 수용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접촉핀부(21)는 하우징(2)의 중간벽(6)의 상부를 관통하여, 개구부(5)를 향하여 하우징(2)의 중심선과 평행하게 돌출하여 상측의 수용부(8)에 수용된 자세로 지지부(22)가 중간벽(6)에 고정 유지되고, 중간벽(6)의 후방으로 돌출한 다리부(23)가 하우징(2)의 중간 부위에서 측벽(14)의 내측을 따라서 노치 통로(17)로부터 하우징 저면(18)까지 하방으로 연장되고, 납땜부(24)가 하우징 저면(18)을 따라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한편, 출력측 핀 콘택트(4)는, 접촉핀부(25)가 하우징(2)의 중간벽(6)의 하부를 관통하여, 개구부(5)를 향하여 하우징(2)의 중심선과 평행하게 돌출하여 하측의 수용부(9)에 수용된 자세로, 지지부(26)가 중간벽(6)으로부터 하 부벽체(12)를 관통하여 고정 유지되며, 하부벽체(12)의 후방으로 돌출한 다리부(27)가 하우징(2)의 후단 부위에서 하우징 저면(18)까지 하방으로 연장되고, 납땜부(28)가 하우징 저면(18)을 따라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양 핀 콘택트(3, 4)가 상기한 바와 같이 하우징(2)에 수용되면, 입력측 핀 콘택트(3)의 납땜부(24)와 출력측 핀 콘택트의 납땜부(28)가 하우징(2)의 양측에서 전후 방향으로 위치를 어긋나게 하여 배치되기 때문에, 하우징(2)을 협폭으로 구성하여 폭 방향의 공간절약화를 도모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양 납땜부(24, 28) 사이의 공간 거리를 충분히 확보하여, 내전압성을 높일 수 있다(도 5 참조). 또한, 도면 중 29는, 실장시의 보강 지그로, 하우징(2)의 전단부에서 양측벽(14, 15)의 하측부에 끼워져 장착되어 있다.
도 8 및 도 9는, 2개의 핀 콘택트(3, 4)를 반대의 형상으로 하고, 핀 콘택트(4)를 입력측으로 하여 하측의 수용부(9)에 수용하고, 핀 콘택트(3)를 출력측으로 하여 상측의 수용부(8)에 수용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즉, 핀 콘택트(3)는, 지지부(22) 및 다리부(23)를 길게 함과 동시에, 납땜부(24)를 후방으로 굴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납땜부(24)가 하우징(2)의 후단 부위에서 하우징 저면(18)을 따라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한편, 핀 콘택트(4)는, 지지부(26)를 짧게 함과 동시에, 납땜부(28)를 전방으로 굴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납땜부(28)가 하우징(2)의 중간 부위에서 하우징 저면(18)을 따라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경우도, 양 납땜부(24, 28)간의 공간 거리를 충분히 확보하여, 내전압성을 높일 수 있다.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고전압용 베이스 커넥터(1)에 끼워 맞추어 접속되는 고전압 대응형의 소켓 커넥터(30)(도 14 참조)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0 내지 도 13은, 소켓 커넥터(30)의 소켓 하우징(31)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소켓 하우징(31)은, 고전압용 베이스 커넥터(1)의 베이스 하우징(2)과 마찬가지로 열가소성 수지, 예를 들면 PA66(폴리아미드 수지), PBT 등에 의해 성형되고, 베이스 하우징(2)의 격벽(7)에 결합하는 결함 제거부(32)를 갖는 두 갈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베이스 하우징(2)의 수용부(8, 9)에 개별적으로 끼워져 장착되는 한 쌍의 통형상체(33, 34)가 상하 방향에 병렬로 설치되어 있다. 양 통형상체(33, 34)의 한쪽의 측면에는 베이스 하우징(2)의 안내 돌조(10)에 결합하는 노치 계단부(35, 35)가 설치되고, 또한, 각 통형상체(33, 34)의 상하 방향의 외측면에는 하우징(2)의 걸림 돌기(11, 11)에 결합하는 오목부(36, 36)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소켓 하우징(31)의 후단에는, 한쪽의 측벽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하는 돌출부재(37)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재(37)는, 소켓 커넥터(30)를 고전압용 베이스 커넥터(1)에 대하여 삽입 제거할 때에 손에 의한 손잡이 조작을 쉽게 하기 위해서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와 같이 하단 가장자리(38)가 하우징(31)의 저면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돌출부재(37)는 소켓 커넥터(30)에 접속한 2개의 전선(후술)의 끌어 당김에 의한 손상을 막는 보호벽으로서의 기능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돌출부재(37)에 대응하여 하우징(31)의 다른쪽의 측벽에 외측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기부(39)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돌기부(39)는 돌출부재(37)와 협동하여 손가락에 의한 손잡이 조작을 한층 더 쉽게 하는 것이다. 또한, 돌출부재(37) 및 돌기부(39)의 외측면에 손가락이 접촉하는 오목부를 설치하여 놓으면, 손잡이 조작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어, 적합하다.
소켓 커넥터(30)는,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소켓 하우징(31)에 2개의 전선(41, 42)의 단부에 접속한 소켓 콘택트(43, 44)를 수용하여 구성되고, 입력용 전선(41)에 접속한 소켓 콘택트(43)는 상측의 통형상체(33)에 하우징(31)의 후단 개구로부터 삽입하여 수용되고, 출력용 전선(42)에 접속한 소켓 콘택트(44)는 하측의 통형상체(34)에 하우징(31)의 후단 개구로부터 삽입하여 수용되어 있다.
도 15 및 도 16은, 도 1 내지 도 7에 도시한 고전압용 베이스 커넥터(1)와 도 14에 도시한 소켓 커넥터(30)의 사용예를 도시하고 있다. 고전압용 베이스 커넥터(1)는, 액정 패널의 백 라이트용 인버터의 전원 회로를 구성하는 회로 기판(50)에 표면 실장되고, 입력측 핀 콘택트(3)의 납땜부(24)와 출력측 핀 콘택트(4)의 납땜부(28)가 회로 기판(50)의 리드 패턴(도시하지 않음)에 납땜하여 전원 회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 때, 양 보강 지그(29, 29)도 회로 기판(50)에 납땜하여, 고전압용 베이스 커넥터(1)가 회로 기판(50)에 고정된다.
한편, 소켓 커넥터(30)의 돌출부재(37)와 돌기부(39)를 손으로 잡아서, 양 통형상체(33, 34)를 각각 고전압용 베이스 커넥터(1)의 수용부(8, 9)에 위치 결정하여 삽입하면, 결함 제거부(32)가 격벽(7)에 결합함과 동시에, 노치 계단부(35, 35)가 안내 돌조(10)에 결합하여 진입하고, 상대적으로 2개의 핀 컨택트(3, 4)의 접촉핀부(21, 25)가 양 통형상체(33, 34)내에 진입하고, 양 소켓 콘택트(43, 44)에 결합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결합 접속의 완료는, 오목부(36, 36)가 걸림 돌기(11, 11)에 결합하였을 때의 클릭감에 의해서 확인된다. 또한, 소켓 콘택트(43, 44)에 접속되어 있는 2개의 전선(41, 42)은, 도시하지 않은 액정 패널의 백 라이트의 양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백 라이트용 인버터의 전원 회로는, 고전압용 베이스 커넥터(1)의 2개의 핀 콘택트(3, 4)의 양 납땜부(24, 28)간의 공간 거리가 충분히 확보되어, 내전압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고전압용 베이스 커넥터는, 실장시에 상하 방향에 병렬로 설치되는 2개의 핀 콘택트의 리드부 하단의 납땜부가 베이스 하우징의 양측벽의 저부를 따라서, 또한 상기 하우징의 전후 방향에 위치를 어긋나게 하여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양 납땜부 사이에 충분한 공간 거리를 확보하여 내전압성을 높일 수 있음과 동시에, 2개의 핀 콘택트를 상하 방향에 병렬함으로써 상기 베이스 하우징을 협폭으로 형성할 수 있어, 폭 방향의 공간절약화를 꾀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협폭으로 구성된 커넥터에 끼워 맞추어 접속되는 본 발명의 소켓 커넥터도, 2개의 전선이 상하 방향에 병렬로 접속되고, 상기 고전압용 베이스 커넥터에 대응하여 협폭으로 되어 있는 것이, 소켓 하우징의 후단에 한쪽의 측벽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하는 돌출부재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돌출부재에 의해서 상기 고전압용 베이스 커넥터에 대한 삽입 제거시에의 손잡이 조작이 용이하게 될 뿐만 아니라, 손가락에 의한 잡는 방향이 일정하기 때문에, 상기 고전압용 베이스 커넥터에 대한 오삽입의 방지도 된다. 또한, 상기 돌출부재가 접속한 2개의 전선의 끌어 당김에 의한 손상을 막는 보호벽도 겸하기 때문에, 사용, 취급상 적합하다.

Claims (7)

  1. 2개의 핀 콘택트가 절연 하우징에 설치한 격벽에 의해서 독립적으로 형성된 2개의 수용부에 개별적으로 수용되고, 상기 하우징의 상단 개구부를 향하여 평행하게 돌출하는 접촉핀부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연장하여 프린트 배선판에 납땜되는 리드부를 갖는 고전압용 베이스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가 상기 프린트 배선판상에서 상하 방향으로 병렬로 설치되고,
    상기 수용부에 개별적으로 수용된 상기 2개의 핀 콘택트의 상기 리드부가 각각, 상기 하우징의 양측벽을 따라서 하방으로 연장됨과 동시에, 그 납땜부가 상기 하우징의 전후 방향으로 위치를 어긋나게 하여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용 베이스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핀 콘택트는 입력측 핀 콘택트와 출력측 핀 콘택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입력측 핀 콘택트가 상측에 위치하는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어 있는 고전압용 베이스 커넥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측의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는 상기 핀 콘택트의 리드부가, 상기 하우징의 중간 부위에서 한쪽의 하우징 측벽을 따르도록 하방으로 연장되고, 또한, 하우징 저부를 따라서 전방으로 굴곡되어 상기 납땜부가 형성되고,
    한편, 상기 하우징의 하측의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는 상기 핀 콘택트의 리드부가, 상기 하우징의 후단 부위에서 다른쪽의 하우징 측벽을 따르도록 하방으로 연장되며, 또한 하우징 저부를 따라서 후방으로 굴곡되어 상기 납땜부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양 납땜부가, 상기 하우징의 양측벽의 저부를 따라서, 또한, 전후 방향으로 위치를 어긋나게 하여 배치되고, 충분한 공간 거리를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고전압용 베이스 커넥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하측의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는 상기 핀 콘택트의 리드부가, 상기 하우징의 중간 부위에서 한쪽의 하우징 측벽을 따르도록 하방으로 연장되며, 또한 하우징 저부를 따라서 전방으로 굴곡되어 상기 납땜부가 형성되고,
    한편, 상기 하우징의 상측의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는 상기 핀 콘택트의 리드부가, 상기 하우징의 후단 부위에서 다른쪽의 하우징 측벽을 따르도록 하방으로 연장되며, 또한 하우징 저부를 따라서 후방으로 굴곡되어 상기 납땜부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양 납땜부가 상기 하우징의 양측벽의 저부를 따라서, 또한, 전후 방향으로 위치를 어긋나게 하여 배치되고, 충분한 공간 거리를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고전압용 베이스 커넥터.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따른 고전압용 베이스 커넥터에 끼워 맞추어 접속되는 소켓 커넥터에 있어서,
    입력용 및 출력용의 2개의 전선의 단부에 접속되고, 상기 2개의 핀 콘택트의 접촉핀부에 끼워 맞추어 접속하는 2개의 소켓 콘택트와, 상기 소켓 콘택트를 수용하는 소켓 하우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소켓 하우징은, 상기 격벽에 결합하는 결함 제거부를 갖는 두 갈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하 방향에 병렬하는 한 쌍의 통형상체를 갖고, 상기 2개의 소켓 콘택트는 상기 한 쌍의 통형상체에 개별적으로 수용되고,
    한편, 상기 소켓 하우징의 후단에는, 한쪽의 측벽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하는 돌출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커넥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재의 하단 가장자리가 상기 하우징의 저면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소켓 커넥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다른쪽의 측벽의 후단부에, 상기 돌출부재에 마주 대하는 돌기부가 외측 방향으로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는 소켓 커넥터.
KR1020010073689A 2000-11-27 2001-11-26 고전압용 베이스 커넥터 및 소켓 커넥터 KR1007940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359784 2000-11-27
JP2000359784A JP2002164110A (ja) 2000-11-27 2000-11-27 高電圧用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1297A KR20020041297A (ko) 2002-06-01
KR100794082B1 true KR100794082B1 (ko) 2008-01-10

Family

ID=18831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3689A KR100794082B1 (ko) 2000-11-27 2001-11-26 고전압용 베이스 커넥터 및 소켓 커넥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672885B2 (ko)
JP (1) JP2002164110A (ko)
KR (1) KR100794082B1 (ko)
CN (1) CN1244186C (ko)
MY (1) MY122834A (ko)
SG (1) SG102011A1 (ko)
TW (1) TW51007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5897B1 (ko) * 2001-12-11 2003-08-27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전기접속용 커넥터 핀 결합구조
JP4331990B2 (ja) * 2003-07-31 2009-09-16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コネクタおよ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DE102005048827A1 (de) * 2005-10-12 2007-04-19 Dr. Johannes Heidenhain Gmbh Elektrisches Kupplungsteil
JP2009129778A (ja) * 2007-11-26 2009-06-11 Sumitomo Wiring Syst Ltd 基板用コネクタ及び電気接続箱
KR100833532B1 (ko) * 2008-02-21 2008-05-29 주식회사 광명전기 통전용량과 절연성능을 향상시킨 전동기 제어반
JP5310239B2 (ja) * 2009-05-09 2013-10-09 富士通株式会社 接続端子および伝送線路
JP5632189B2 (ja) * 2010-04-26 2014-11-26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コネクタ
JP5545980B2 (ja) * 2010-04-26 2014-07-09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ベース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
US9033736B2 (en) 2013-05-07 2015-05-19 J.S.T.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maximized circuit-to-circuit isolation distance
CN103825129B (zh) * 2014-03-20 2016-09-14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四十研究所 可拆卸式高压连接结构和高压连接器
WO2019192690A1 (en) * 2018-04-04 2019-10-10 Abb Schweiz Ag Arrangement comprising a compartment and a slide-in module
CN109411916A (zh) * 2018-10-24 2019-03-01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连接器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20857A (ja) * 1995-10-24 1997-05-06 Japan Aviation Electron Ind Ltd 高電圧用コネクタ
KR19990022768A (ko) * 1995-06-09 1999-03-25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접촉부 및 그 접촉부를 구비한 단자 커넥터
JP2000067963A (ja) * 1998-08-20 2000-03-03 Jst Mfg Co Ltd 基板表面実装用コネクタ
JP2000164287A (ja) * 1998-11-30 2000-06-16 Jst Mfg Co Ltd 高電圧用コネクタ
JP2000228239A (ja) * 1999-02-08 2000-08-15 Denso Corp コネクタ−プリント配線板構造体
JP2000252005A (ja) * 1999-03-01 2000-09-14 Jst Mfg Co Ltd 高電圧用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041495A1 (de) * 1980-11-04 1982-05-13 Preh, Elektrofeinmechanische Werke, Jakob Preh, Nachf. Gmbh & Co, 8740 Bad Neustadt Koaxiale buchsensteckverbindung
US4722691A (en) * 1986-02-03 1988-02-02 General Motors Corporation Header assembly for a printed circuit board
US5176528A (en) * 1992-06-11 1993-01-05 Molex Incorporated Pin and socket electrical connnector assembly
JPH09274960A (ja) * 1996-04-03 1997-10-21 Kokusai Denshin Denwa Co Ltd <Kdd> コネクタ装置
JP3262726B2 (ja) * 1996-12-16 2002-03-04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コネクタ
TW319454U (en) * 1997-05-16 1997-11-01 Molex Taiwan Co Ltd Terminal structure of vertical connector
EP0893843A1 (en) * 1997-07-21 1999-01-27 Molex Incorporated Coaxial connector module
JP2000165062A (ja) * 1998-11-30 2000-06-16 Toshiba Corp 回路モジュール及び回路モジュールを備えた電子機器
TW415136B (en) * 1999-07-22 2000-12-11 Hon Hai Prec Ind Co Ltd Method of producing electric connector terminal and electric connector product thereof
US6250943B1 (en) * 1999-09-20 2001-06-26 Osram Sylvania Inc. Connector assembly
TW460056U (en) * 2000-12-21 2001-10-1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2768A (ko) * 1995-06-09 1999-03-25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접촉부 및 그 접촉부를 구비한 단자 커넥터
JPH09120857A (ja) * 1995-10-24 1997-05-06 Japan Aviation Electron Ind Ltd 高電圧用コネクタ
JP2000067963A (ja) * 1998-08-20 2000-03-03 Jst Mfg Co Ltd 基板表面実装用コネクタ
JP2000164287A (ja) * 1998-11-30 2000-06-16 Jst Mfg Co Ltd 高電圧用コネクタ
JP2000228239A (ja) * 1999-02-08 2000-08-15 Denso Corp コネクタ−プリント配線板構造体
JP2000252005A (ja) * 1999-03-01 2000-09-14 Jst Mfg Co Ltd 高電圧用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Y122834A (en) 2006-05-31
SG102011A1 (en) 2004-02-27
CN1244186C (zh) 2006-03-01
CN1355581A (zh) 2002-06-26
US20020064977A1 (en) 2002-05-30
KR20020041297A (ko) 2002-06-01
JP2002164110A (ja) 2002-06-07
TW510071B (en) 2002-11-11
US6672885B2 (en) 2004-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06617B1 (en) High voltage connector
US20060089018A1 (en) Mounting structure of connector
KR100794082B1 (ko) 고전압용 베이스 커넥터 및 소켓 커넥터
KR100659637B1 (ko) 고전압용 커넥터
JP2000058178A (ja) モジュラジャックおよび発光ダイオ―ドを有するアセンブリ
JP3262726B2 (ja) コネクタ
US3403369A (en) Connector
KR101046010B1 (ko) 커넥터 및 그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
KR100580426B1 (ko) 프린트 배선판용 커넥터
KR100810403B1 (ko) 단락 커넥터
CN108232497B (zh) 电子装置
KR101007791B1 (ko) 프린트 배선판용 커넥터
KR100740400B1 (ko) 압전 트랜스 수용 케이스와 상기 수용 케이스에 접속하는전선 접속용 베이스 커넥터 및 소켓 커넥터
JP2005123163A (ja) 電気コネクタ
JP2006086028A (ja) 電気コネクタ
JP3194177B2 (ja) 中継用コネクタ
JP2007305529A (ja) 配線基板用コネクタ
KR200144480Y1 (ko) 와이어 콘넥터의 단자 유동 방지구조
JP2006156833A (ja) 立ち基板の取付構造
KR0139031Y1 (ko)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의 조립장치
TWI509905B (zh) 電連接器
JPH10173311A (ja) 回路基板
JPH02260378A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H1186976A (ja) 電気コネクタ
JPH0527969U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