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2768A - 접촉부 및 그 접촉부를 구비한 단자 커넥터 - Google Patents

접촉부 및 그 접촉부를 구비한 단자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2768A
KR19990022768A KR1019970709235A KR19970709235A KR19990022768A KR 19990022768 A KR19990022768 A KR 19990022768A KR 1019970709235 A KR1019970709235 A KR 1019970709235A KR 19970709235 A KR19970709235 A KR 19970709235A KR 19990022768 A KR19990022768 A KR 199900227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contacts
pair
typically
bas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9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시게카즈 이토가
렌타로 오사와
Original Assignee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미네소타마이닝 앤드 매뉴팩춰링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미네소타마이닝 앤드 매뉴팩춰링 캄파니 filed Critical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Publication of KR199900227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276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01R4/2416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 H01R4/242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being plates having a single slot
    • H01R4/2425Flat plates, e.g. multi-layered flat plates
    • H01R4/2429Flat plates, e.g. multi-layered flat plates mounted in an insulating ba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01R13/6461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 H01R13/6467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by cross-over of signal co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01R13/6473Impedance matching
    • H01R13/6474Impedance matching by variation of conductive properties, e.g. by dimension vari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01R4/2416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 H01R4/2445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having additional means acting on the insulation or the wire, e.g. additional insulation penetrating means, strain relief means or wire cutting knives
    • H01R4/245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having additional means acting on the insulation or the wire, e.g. additional insulation penetrating means, strain relief means or wire cutting knives the additional means having two or more slotted flat portions
    • H01R4/245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having additional means acting on the insulation or the wire, e.g. additional insulation penetrating means, strain relief means or wire cutting knives the additional means having two or more slotted flat portions forming a U-shape with slotted bran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01R24/62Sliding engagements with one side only, e.g. modular jack coupling devices
    • H01R24/64Sliding engagements with one side only, e.g. modular jack coupling devices for high frequency, e.g. RJ 45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41Crosstalk suppression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ions By Means Of Piercing Elements, Nuts, Or Screws (AREA)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접 접촉부 사이의 누화를 감소시킬 수 있는 접촉부와 그러한 접촉부를 구비하여 고속 통신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는 단자 커넥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접촉부(10)는 통상적으로 중앙 베이스부(12), 자체에 통상적으로 수직인 베이스부(12)의 대향 단부로부터 연장하는 접촉부(14,16) 및 상기 베이스부(12)를 접촉부(14,16)과 각각 접속시키기 위해 접촉부(14,16)에 횡단하는 동일 방향으로 통상적으로 경사지게 연장하는 접속부(18,20)를 갖는다. 하나의 접속부(18)는 자체에 통상적으로 수직인 베이스부(12)의 하나의 종방향 단부로부터 연장하는 동시에 접촉부(14)로부터 임의의 측방향 거리를 유지하는 제1 부분(18a)과, 자체에 평행하게 접촉부(14)로부터 연장하는 제2 부분(18b)과, 제1 부분(18a)과 제2 부분(18b)을 접속시키기 위해 접촉부(14)의 표면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3 부분(18c)을 갖는다. 다른 접속부(20)는 자체에 평행하게 접촉부(16)로부터 연장하고, 베이스부(12)의 다른 종방향 단부에 수직으로 접속된다.

Description

접촉부 및 그 접촉부를 구비한 단자 커넥터
최근에, 전기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송신되는 정보의 양 및 속도가 명백하게 가속되어 왔다. 그러한 고속 통신 네트워크에서, 동축 케이블 또는 광 케이블이 적절한 전송 특성을 갖기 때문에, 특히 내누화(耐漏話)(crosstalk-proof) 용량이 우수하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그러한 네트워크가 예컨대, 비즈니스 빌딩에 형성되는 경우, 꼬인 한쌍의 케이블(즉, 안정 케이블)이 설치 작업중에 바람직한 조작 성질에 기인하여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꼬인 한쌍의 케이블 자체가 케이블 제조 기술의 현재의 발전에 의해 정보의 고속 전송이 가능하게 되도록 개선되어 왔다고 할지라도, 전체 통신 시스템이 케이블 접속 장치를 구성하는 단자 커넥터와 같은 부착물을 포함하는 고속 통신에 적합하게 되어야 한다.
이러한 견지에서, 비즈니스 빌딩용 전기 통신 시스템의 미국 표준(ANSI/EIA/TIA 568)에 따르면, 정보 전송 속도에 따라서 여러 개의 카테고리로 네트워크가 분류되며, 여기에서 상기 시스템은 카테고리 5에 속하는 100MB/sec보다 높은 속도를 갖는다. 고속 데이터 통신이 비즈니스 빌딩에서 컴퓨터 등의 사용에 필요한 경우, 카테고리 5를 만족하는 네트워크가 필요하다.
카테고리 5로서 정보의 고속 전송을 달성하기 위해, 소정 레벨보다 낮은 인접 전기 도체 사이의 누화를 억제하는 것이 필요하다. 꼬인 한쌍의 케이블이 사용되는 경우, 그 케이블은 누화가 쌍으로 이루어진 한쌍의 코어 와이어에 의해 감소될 수 있다는 것은 잘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그 누화는 케이블뿐만 아니라 커넥터인 접속부와 같은 다른 도체부에서도 발생하지 않는다.
일본 비심사 특허 공보(Kokai) 제1-107478호는 비즈니스 빌딩 등의 전기 통신 네트워크의 교차 단자용 커넥터 장치와 그 커넥터 장치에 생성된 전기 도전성 금속 접촉 소자(즉, 접촉부)를 개시한다. 이 커넥터 장치는 베이스에 의해 지지되는 복수의 커넥터 블록을 포함하고, 복수쌍의 접촉부가 복수쌍의 코어 와이어의 접속을 위해 각 커넥터 블록에 순차적으로 배열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교차 단자에서, 복수쌍의 접촉부를 구비하는 복수의 커넥터 블록이 빌딩의 외부에서 들어오는 입력 케이블의 그룹과 빌딩의 내부에서 나가는 출력 케이블의 그룹을 각각 종단접속시키기 위해 커넥터 장치내의 소정의 구조체에 제공된다. 입력 케이블을 종단접속시키기 위한 커넥터 블록과 출력 케이블을 종단접속시키기 위한 커넥터 블록 사이에, 각 케이블에 접속되는 각 접촉부의 자유단이 필요한 경우 정보 전송 경로를 스위칭할 수 있도록 패치 코드를 통해 서로에 스위치가능하게 접속된다.
일본 비심사 특허 공보(Kokai) 제1-107478호에 개시되어 있는 접촉부는 통상적으로 U-형으로 직선으로 연장한 길고 얇은 금속판을 구부림으로써 형성된다. 접촉부의 횡단부 영역의 각각에서,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슬롯이 U-형 접촉부를 제공하도록 형성된다. 절연 코팅을 갖는 코어 와이어가 압력하에 상기 접촉부의 슬롯으로 삽입될 때, 상기 접촉부의 슬롯의 대향 에지는 상기 코어 와이어를 상기 접촉부에 확고하게 고정시킬 때, 코어 와이어와 접촉부 사이의 도전율을 안정시키기 위해 절연 코팅을 파괴한다. 그런 접촉 구조는 통상적으로 IDC(절연 변위 접촉)으로 통칭되고, 코팅된 코어 와이어를 IDC 슬롯으로 압축 삽입하는 방법은 통상적으로 압축 접촉으로 칭해진다. 꼬인 한쌍의 케이블내의 한쌍의 코어 와이어를 접속하는 2개의 접촉부는 통상적으로 상기 블록내에서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고, 복수의 그런 쌍의 접촉부는 통상적으로 서로에 평행하게 배열된다.
일본 비심사 특허 공보(Kokai) 제6-223891호는 비즈니스 빌딩 등의 전기 통신 네트워크내의 교차 단자용 패치 플러그를 개시하고 있다. 패치 플러그는 패치 코드의 각 단부에 부착되어 피채 코드의 한쌍의 코어 와이어를 종단접속시키기 위해 한쌍의 접촉부를 갖는다. 패치 플러그의 접촉부는 상기 커넥터 블록내의 케이블 측면 접촉부의 자유단을 갖는 슬라이드 접촉부에 적합한 자유단을 가지며, 그것에 의해 스위칭 동작이 커넥터 블록 사이에서 용이하게 된다.
일본 비심사 특허 공보(Kokai) 제6-223891호에 개시되어 있는 패치 플러그의 접촉부는 패치 코드를 종단접속시키기 위한 일단에 IDC 타입 접촉부를 갖고, 커넥터 블록내에 접촉부를 구비한 슬라이드 접촉용 타단에 편평한 접촉부를 갖는다. IDC 타입 접촉부와 편평한 접촉부 사이의 도전부는 비접촉 방식으로 인접 접촉부의 대응 부분과 1회 교차하도록 구부러진다. 서로 교차하는 이러한 쌍의 접촉부로, 패치 코드의 한쌍의 와이어가 접속되고, 꼬인 한쌍의 케이블내의 한쌍의 코어 와이어에 접속하는 커넥터 블록내의 한쌍의 접촉부가 또한 접촉하게 된다. 이 접촉을 사용함으로써, 패치 플러그의 접촉부에서의 누화를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일본 비심사 특허 공보(Kokai) 제1-107478호에 개시되어 있는 커넥터 장치에 따르면, 누화는 통상적으로 서로에 평행하게 배열되는 복수의 쌍의 접촉부의 인접 접촉부 사이에 명백하게 되어, 이 커넥터 장치는 전술한 카테고리 5를 충족시키는 고속 통신에 부적합하다. 또한, 일본 비심사 특허 공보(Kokai) 제6-223891호에 개시되어 있는 패치 플러그에 따르면, 입력측상의 접촉부쌍과 출력측상의 접촉부쌍이 상대적인 위치를 반전하면서 배열되며, 그것에 의해 전기 와이어의 잘못된 접속이 발생하기 쉽다. 특히, 교차 단자의 커넥터 장치에서, 극성에 따라 동일한 상대 위치 관계로 입력 케이블의 한쌍의 코어 와이어와 출력 케이블의 한쌍의 코어 와이어를 배열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입력측상의 접촉부의 상대 위치가 출력측상의 접촉부와 반전된 접촉부쌍이 이 커넥터 장치에 사용되는 경우, 극성에 따르는 꼬인 한쌍의 와이어의 상대 위치는 입력 및 출력 케이블 사이에서 반전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것은 통상적인 것에 반하는 것이고, 잘못된 접속의 가능성을 증가시킨다.
본 발명은 전기 와이어의 단자에서 다른 전기 도체와 전기적으로 및 분리가능하게 접속되는 영역을 제공하는 접촉부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그러한 접촉부가 제공되는 단자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은 고속 통신 네트워크용으로 사용되는 케이블 접속 장치에 적절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접촉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접촉부를 사용하는 접촉부쌍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변형 접촉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다른 변형 접촉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또 다른 변형 접촉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접촉부를 사용하는 접촉부쌍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추가의 변형 접촉부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접촉부를 사용하는 접촉부쌍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에에 다르는 단자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라인 X-X를 따라 절단한 횡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접촉부를 사용하는 접촉부의 로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접촉부를 사용하는 접촉부의 로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접촉부를 사용하는 접촉부의 로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예에 따르는 접촉부를 사용하는 접촉부의 로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0A,10B,10C,10D,10E,10F,52 : 접촉부
12,54 : 베이스부
14,16,56 : 접촉부
18,20 : 접속부
18a,20a : 제1 부분
18b,20b : 제2 부분
18c : 제3 부분
18d : 제4 부분
22 : 슬롯
24 : 단자 커넥터
26 : 본체
48,50 : 접촉쌍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접 접촉부의 상대 위치가 일측(예컨대, 입력측)상에서 및 타측(예컨대, 출력측)상에서 동일하고, 인접 접촉부 사이의 누화를 감소시킬 수 있는 접촉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그런 접촉부를 구비한 단자 커넥터를 제공하여 고속 통신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통상적으로 편평한 표면을 갖는 연장된 전기 도전성 금속판으로 제조되어, 통상적으로 중앙 베이스부와 베이스부에 통상적으로 수직으로 연장하는 단부 접촉부를 포함하며, 그것에 의해 전기 와이어의 단자에서 다른 전기 도체와 전기적으로 분지가능하게 접속되는 구역을 형성하는 접촉부에 있어서, 상기 단부 접촉부는 그들의 통상적으로 편평한 표면이 서로 대향하는 동시에 동일 방향으로 선형적으로 연장하고; 각 접촉부는 상기 접촉부에 횡단하는 동일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하는접속부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에 접속되며; 적어도 하나의 접속부는 상기 접촉부의 표면을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부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부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에서 적어도 하나의 접촉부는 전기 와이어가 수용되는 금속판의 횡단부로부터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슬롯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전기 절연 물질로 제조된 본체와 서로 상이한 극성을 갖는 하나 이상의 외부 도체쌍에 접속되는 하나 이상의 접촉쌍을 포함하는 단자 커넥터에 있어서, 각 접촉쌍내의 2개의 접촉부의 각각은 통상적으로 편평한 표면을 구비한 연장된 전기 도전성 금속판으로 제조되어, 통상적으로 중앙 베이스부, 단부 접촉부의 통상적으로 편평한 표면이 서로 대향하는 동시에 통상적으로 상기 베이스부에 수직한 동일 방향으로 선형적으로 연장하는 단부 접촉부, 및 상기 베이스부에 상기 접촉부를 접속시키고 상기 접촉부에 횡단하는 동일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하는 접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쌍내의 2개의 접촉부중 적어도 하나의 접속부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접촉부의 표면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부분을 가지며; 상기 접촉쌍내의 2개의 접촉부는 하나의 접촉부의 접속부가 그 사이에 작은 갭을 갖는 다른 접촉부의 대응 접속부와 교차하고 상기 접촉부의 각 접촉부가 2개의 상호 대향하는 공통면상에 통상적으로 배열되게 하기 위해 배열되는 단자 커넥터가 제공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단자 커넥터는 통상적으로 편평한 표면을 구비한 연장된 전기 도전성 금속판으로 제조된 2개의 제2 접촉부를 각각 갖는 제2 접촉부쌍을 추가로 포함하고; 각각의 제2 접촉부는 통상적으로 중앙 베이스부와 상호 대향하는 2개의 공통면상에 제2 접촉부의 각 접촉부를 통상적으로 정렬하기 위해 서로 이격되고, 통상적으로 편평한 표면이 서로 대향하는 동시에 통상적으로 그 표면에 수직인 베이스부로부터 선형적으로 연장하는 2개의 접촉부를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제2 접촉쌍은 상기 접촉쌍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접속부가 서로 교차하고, 상기 모든 접촉쌍의 각 접촉부가 통상적으로 상호 대향하는 2개의 공통면상에 배열된다.
상기 구조를 갖는 2개의 접촉부는 하나의 접촉부의 접속부 둘다가 사이에 작은 갭을 갖는 다른 접촉부중 대응하는 하나와 교차하고 상기 각 접촉부의 접촉부 둘다가 2개의 공통면상에 배열되게 하기 위해 서로 결합된다. 그것에 의해, 상기 하나의 접촉부가 일단과 타단 접촉부 사이에서 비접촉 방식으로 다른 접촉부와 2회 교차한다. 이 2회 교차에 의해, 누화는 상기 접촉부 사이에서 효율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일측면상의 인접 접촉부의 상대 위치가 타측면상의 인접 접촉부에 대해 반전되지 않기 때문에, 전기 와이어의 잘못된 접속이 또한 피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아래에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고, 여기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소자는 공통 참조 번호로 표시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접촉부(10)를 도시한다. 상기 접촉부(10)는 통상적으로 편평한 전방 및 후방 표면을 갖는 연장된 전기 도전성 금속판으로 제작되고, 통상적으로 중앙 베이스부(12)와 거기에 통상적으로 수직인 베이스부(12)의 각 단부로부터 연장하는 2개의 접촉부(14,16)로 이루어진다. 상기 접촉부(14,16)는 자체의 통상적으로 편평한 표면이 서로 대향하는 동시에 동일 방향으로 선형적으로 연장한다. 상기 베이스부(12) 및 접촉부(14,16)는 각각 상기 접촉부(14,16)에 횡단하는 동일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하는 접속부(18,20)에 의해 서로 접속된다.
그것에 의해, 상기 접촉부(14,16)는 베이스부(12)로부터 측방향으로 α만큼 떨어진 위치에 배열된다. 이하의 설명에서, 상기 접촉부(10)의 통상적으로 편평한 표면은 상기 베이스부(12), 각 접촉부(14,16) 및 각 접속부(18,20)에 의해 범위가 정해진 공간에 대향하여 내부 표면으로 칭해지고 거기에 대향하여 외부 표면으로 칭해진다.
각 접촉부(14,16)는 횡방향 에지로부터 전기 도전성 금속판에 횡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롯(22)을 갖는다. 그러므로, 상기 접촉부(14,16)는 코팅된 코어 와이어(도시 생략)의 압축 접속에 사용되는 IDC로 동작할 수 있다. 또는 다른 접촉부 등을 구비하는 각 접촉부(14,16)의 통상적으로 편평한 표면의 슬라이드 접촉에 의해 도전율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접속부(18)중 하나는 자체에 통상적으로 수직인 베이스부(12)의 하나의 횡방향 단부로부터 연장하고 거기에서 측방향으로 거리 α만큼 이동되어 접촉부(14)에 평행한 제1 부분(18a)과, 자체에 평행한 접촉부(14)로부터 연장하는 제2 부분(18b)과, 상기 접촉부(14)의 표면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하여 상기 제1 부분(18a)과 제2 부분(18b)을 서로 접속시키는 제3 부분(18c)을 갖는다. 따라서, 층계부가 제3 부분(18c)에서 접속부(18)에 형성되며, 그것에 의해 상기 접촉부(14)가 접속부(18)의 제1 부분(18a)으로부터 소정의 거리 β만큼 외부로 이동된 위치에 위치된다.
다른 접속부(20)는 자체에 평행한 접촉부(16)로부터 연장하여 베이스부(12)의 다른 횡방향 단부에 수직으로 접속된다. 따라서, 상기 접속부(20)에는 층계부가 없다.
동일한 형상을 갖는 상기 구조의 2개의 접촉부(10)는 인접 접촉부 사이의 누화를 감소시킬 수 있는 한쌍의 접촉부를 형성하도록 결합된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2개의 접촉부(10)는 하나의 접촉부(10)의 접속부(18)가 비접촉 방식으로 다른 접촉부(10)의 접속부(20)와 교차하도록 배열된다. 상기 접속부(20)는 접속부(18)의 제1 부분(18a)의 외부 표면측상에 위치되고, 2개의 베이스부(12)는 동일 평면상에 통상적으로 서로 평행하게 위치된다는 것에 유의하라. 횡방향으로 거리 β만큼 서로 이격되도록 각 접촉부(10)의 베이스부(12)를 배열함으로써, 하나의 접촉부(10)의 접속부(18)에 의해 유지되는 접촉부(14)와 다른 접촉부(10)의 접속부(20)에 의해 유지되는 접촉부(16)는 통상적으로 동일 평면상에 위치된다. 상기 2개의 접촉부(10)가 정확하게 동일한 형상을 가지기 때문에, 2개의 공통 평면상에 서로 대향하여 각 접촉부(10)의 접촉부(14,16) 둘다를 배열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한 방식으로 배열된 한쌍의 접촉부(10)에 따라서, 상기 접촉부 사이의 누화가 접속부(18,20)의 교차에 기인하여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차가 한쌍의 접촉부에서 2회 발생하기 때문에, 다른 접촉부(10)의 접촉부(16,14)의 위치에 관련된 하나의 접촉부(10)의 접촉부(14,16)의 위치는 도 2에서 좌측(예컨대, 입력측) 또는 우측(예컨대, 출력측)상중 하나에서 동일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접촉부는 상기한 것과 다른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예컨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층계형 접속부(18)상에 유지되는 접속부(14)가 소정의 거리만큼 자체의 내부 표면을 향하여 상기 접속부(18)의 제1 부분(18a)으로부터 이동된 위치에 배열될 수 있다. 도 2와 유사한 방식으로 동일 형상의 2개의 접촉부(10A)를 결합함으로써, 잘못된 와이어 접속을 방지하고 누화를 감소시킬 수 있는 한쌍의 접촉부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에, 하나의 접촉부(10A)의 층계형 부분을 갖지 않는 접속부(20)가 다른 접촉부(10A)의 접속부(18)의 제1 부분(18a)의 내부 표면측상에 배열된다.
선택적으로,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접속부(18)는 통상적으로 자체에 수직인 베이스부(12)의 하나의 횡방향 단부로부터 연장하는 제1 부분(18a), 자체에 평행한 접촉부(14)로부터 연장하고 상기 제1 부분(18a)과 공통 평면상에 통상적으로 배열되는 제2 부분(18b), 상기 제1 부분(18a)과 제2 부분(18b) 사이에서 접촉부(14)로부터 이동되어 있지만 접촉부(14)에 통상적으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제4 부분(18d) 및 상기 접촉부(14)의 표면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각각 연장하여 상기 제1 부분(18a) 또는 제2 부분(18b)와 상기 제4 부분(18d)을 접속시키는 2개의 제3 부분(18c)을 가질 수 있다. 그것에 의해, 상기 접속부(18)는 제3 부분(18c)에 2개의 층계형부를 각각 갖는다. 그러므로, 소정의 깊이를 갖는 리세스가 이들 층계형부에 의해 접속부(18)의 외부 표면상에 형성될 수 있다.
도 2와 유사한 방식으로 동일 형상의 2개의 접촉부(10B)를 결합함으로써, 누화를 감소시키고 잘못된 와이어 접속을 피할 수 있다. 이 경우에, 하나의 접촉부(10B)의 층계형부를 갖지 않는 접속부(20)가 다른 접촉부(10B)의 접속부(18)의 제4 부분(18d)의 외부 표면측상에 배열된다. 이 접촉부(10B)에서, 제4 부분(18d)이 접촉부(14)로부터 상기 외부 표면측을 향하여 이동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2개의 접속부(18,20)가 층계형부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접속부(18)와 유사하게, 접속부(20)는 자체에 통상적으로 수직인 베이스부(12)의 하나의 횡방향 단부로부터 연장하고 접촉부(16)로부터 측방향으로 임의의 거리만큼 이동되어 있지만 접촉부(16)에 평행한 제1 부분(20a), 자체에 평행한 접촉부(16)로부터 연장하는 제2 부분(20b) 및 상기 제1 부분(20a)과 제2 부분(20b)을 서로 접속하는 동시에 상기 접촉부(16)의 표면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3 부분(20c)을 갖는다. 상기 접촉부(16)는 접속부(20)의 제1 부분(20a)으로부터 소정의 거리 β만큼 내부로 이격된 위치에 위치된다. 반면에, 접속부(18)에 의해 유지되는 접촉부(14)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속부(18)의 제1 부분(18a)으로부터 소정의 거리 β만큼 외부로 이격된 위치에 위치된다.
도 2와 유사한 방식으로 동일 형상의 2개의 접촉부(10C)를 결합함으로써, 누화를 감소시키고 잘못된 와이어 접속을 피할 수 있다. 이 경우에, 하나의 접촉부(10C)의 접속부(20)의 제1 부분(20a)이 다른 접촉부(10C)의 접속부(18)의 제1 부분(18a)의 외부 표면측상에 배열된다. 하나의 접촉부(10C)의 접속부(18)에 의해 유지되는 접촉부(14)와 다른 접촉부(10C)의 접속부(20)에 의해 유지되는 접촉부(16)가 통상적으로 동일 평면상에 위치되는 동시에 상기 관계를 유지하는 경우, 상기 접속부(18)의 제1 부분(18a)과 접속부(20)의 제1 부분(20a) 사이의 거리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의 거리의 약 2배이며, 그것에 의해 내누화 용량이 개선된다.
상기 실시예중 하나에서, 베이스부(12), 접촉부(14,16) 및 접속부(18,20)는 임의의 표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슬롯을 갖지 않는 슬라이드 접촉 타입 접촉부(14,16)(즉, 비IDC 타입)가 사용될 수 있거나, 접속부(18,20)의 교차 부분인 제1 부분(18a,20a)이 더 좁은 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상이한 극성을 갖는 한쌍의 전기 와이어를 종단접속시키기 위한 한쌍의 접촉부가 2개의 동일한 형상의 접촉부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런 구성에서, 한쌍의 접촉부의 제조 비용은 상이한 형상을 갖는 접촉부를 사용하는 것과 비교하여 감소될 수 있다. 그러나, 제조 비용이 고려되지 않는 경우,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누화를 최소화시키고 잘못된 와이어 접속을 피할 수 있는 한쌍의 접촉부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접속부(18,20)중 어느 하나에 층계형 부분을 갖지 않는 접촉부(10D)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접촉부(10C)를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런 경우에, 접촉부(10D)의 접속부(20)는 접촉부(10C)의 접속부(18)의 제1 부분(18a)의 외부 표면측상에 배열되고, 접촉부(10D)의 접속부(18)는 접속부(20)의 제1 부분(20a)의 내부 표면측상에 배열된다.
또한,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접촉부(10E)가 사용될 수 있고, 여기에서 각각의 접촉부(14,16)는 접속부(18,20)의 제1 부분(18a,20a)으로부터 외부 표면측을 향하여 이격된 위치에 배열된다.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접촉부(10E)는 누화를 최소화시키고 잘못된 와이어 접속을 피할 수 있는 한쌍의 접촉부를 형성하기 위해 접속부(18,20)중 어느 하나에 층계형 부분을 갖지 않는 접촉부(10F)와 결합될 수 있다. 그런 경우에, 접촉부(10F)의 베이스부(12)는 접촉부(10E)의 베이스부(12)보다 길어, 접촉부(10F)의 접속부(18,20)가 접촉부(10F)의 접속부(20)의 제1 부분(20a)과 접속부(18)의 제1 부분(18a)의 외부 표면측상의 위치에 각각 배열된다.
도 9 및 도 10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접촉부를 구비하는 본 발명에 따르는 단자 커넥터(24)를 도시한다. 단자 커넥터(24)는 전기 절연 물질로 제조된 하우징 본체(26)와 사이의 피치에서의 소정의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 본체(26)상에 유지되는 10개의 접촉부를 갖는다. 단자 커넥터(24)는 비즈니스 빌딩 등의 전기 통신 네트워크의 교차 단자내의 베이스에 의해 지지되는 커넥터 블록으로 사용될 수 있다(일본 비심사 특허 공보(Kokai) 제1-107478호에 개시).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단자 커넥터(24)에서, 5쌍의 접촉부가 동일 형상의 10개의 접촉부(10)를 결합함으로써 형성되어, 서로 교차하는 상기 쌍의 접촉부의 접속부(18,20)에 의해 유지되는 접촉부(14,16)가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서로 대향하고 상기 모든 쌍의 접촉부에 공통인 2개의 평면상에 통상적으로 순서대로 배열된다. 따라서, 단자 커넥터(24)는 도 9의 상부측(예컨대, 입력측)상에 배열되는 접촉부의 그룹에 5쌍의 외부 도체의 단자 단부를 접속시킬 수 있는 동시에 다른 5쌍의 외부 도체의 단자 단부를 하부측(예컨대, 출력측)상에 배열되는 접촉부의 그룹에 접속시킬 수 있다.
상기 하우징 본체(26)는 우상측 외부 둘레 표면을 한정하는 연속적인 측벽(28)을 갖는다. 플랜지(30)가 상기 측벽(28)의 상부단으로부터 측방향으로 돌출되고, 벽부재(32,34)가 상기 접촉부(10)의 정렬을 따라 측방향으로 배열되는 동시에 측방향으로 플랜지(30)상으로 연장한다. 핀(36)이 벽부재(32,34)의 대향 표면상에 제공되어, 지그재그 채널(38,40)이 전기 와이어(도시 생략)를 배치하기 위해 하나의 벽부재상의 하나의 핀(36)과 다른 벽부재상의 2개의 핀(36)을 결합함으로써 형성된다. 또한, 얇은 벽(42,44)이 각 벽부재(32,34)로부터 내부로 연장하고, 그루브(46)가 접촉부(10)의 접촉부(14,16)을 조절하기 위해 얇은 벽(42,44)의 대향 표면상에 형성된다. 상기 벽부재(32)로부터 연장하는 벽(42)은 소정의 거리만큼 측벽(28)의 하단부로부터 상측 위치에 종단접속하여, 상기 쌍을 구성하는 각 접촉부(10)의 접속부(18,20)가 서로 교차할 수 있다(도 10에 도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접촉부(10)의 쌍을 사용함으로써, 하나의 쌍내의 접촉부 사이의 누화를 최소화하고 상기 접촉부로의 전기 와이어의 잘못된 접속을 피할 수 있는 단자 커넥터(24)가 수득될 수 있다. 그러나, 이 단자 커넥터(24)에서는 접촉부의 모든 쌍들이 동일한 구조를 갖기 때문에, 누화가 인접 쌍들 사이에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교차하는 접속부를 구비하고 누화를 감소시키는데 효율적인 접촉부쌍(48)이 교차부를 갖지 않는 종래의 접촉부쌍(50)과 교차하여, 누화가 인접 쌍들 사이에서도 최소화된다.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 접촉부쌍(48)은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접촉부(10)의 쌍과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반면에, 상기 접촉부쌍(50)을 형성하는 2개의 접촉부(52)는 통상적으로 편평한 전방 및 후방 표면을 갖는 연장된 전기 도전성 금속판으로 제조된다. 각각의 접촉부(52)는 통상적으로 중앙 베이스부(54)와, 자체에 통상적으로 수직인 동일 방향으로 상기 베이스부(54)의 양단부로부터 선형적으로 연장하는 2개의 접촉부(56)를 가지며, 상기 통상적으로 편평한 표면은 서로 대향한다. 상기 2개의 접촉부(52)는 그 사이에 임의의 거리만큼 이격하여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어, 각 접촉부(56)가 서로 대향하는 2개의 공통 평면상에 통상적으로 순서대로 배열된다.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복수의 접촉부쌍과 유사하게, 접촉부(14,16,56)의 2개의 그룹이 통상적으로 서로 대향하는 2개의 공통 평면상에 각각 정렬되도록 접촉부쌍(48,50)이 배열된다.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단자 커넥터(24)내의 접촉부(10)에 의해 형성되는 접촉부쌍의 그룹 대신에 상기 하우징 본체(26)상의 소정의 위치에서 교차하는 접촉부쌍(48,50)의 그룹을 정렬시킴으로써, 하나의 접촉부쌍내에서 뿐만 아니라 인접 접촉부쌍 사이에서도 누화를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그 결과 전체 누화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단자 커넥터를 생성한다.
동일 크기 및 세부를 갖는 다양한 단자 커넥터를 사용함으로써 본 출원인에 의해 도출된 실험에 따르면, 누화의 레벨은 접촉부쌍(50) 단독으로 형성된 종래의 단자 커넥터에서 -36dB이고;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접촉부쌍(48) 단독으로 형성된 단자 커넥터(24)에서 -40dB이며, 접촉부쌍(48,50)의 교차 구조로 형성된 단자 커넥터에서 -43dB이다. 이 결과로부터 누화 감소 효과가 명백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단자 커넥터는 상술한 하우징 본체(26)와 다른 임의의 형상의 하우징으로 제작된 다양한 형상의 접촉부의 로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4는 서로 교차하여 배열된 상이한 종류의 쌍으로 이루어진 접촉부의 변형 로우를 도시한다.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접촉부 로우에서, 동도의 근접 측면상에 배열된 접촉부쌍(48,50)의 접촉부(14,16,56)의 하나의 그룹은 슬롯(22)을 구비한 IDC 타입이고, 원측면상에 배열된 접촉부(14,16,56)의 다른 그룹은 편평한 슬라이드 접촉 타입이다. 도 13에 도시되어 있는 접촉부의 로우에 따르면, 동도의 근접 측면상에 배열된 모든 접촉부쌍(48,50)은 편평한 슬라이드 접촉 타입 구조로 형성된다. 또한, 도 14에 도시되어 있는 접촉부의 로우에서, 동도의 근접 측면상에 배열된 접촉부쌍(48,50)의 접촉부(14,16,56)의 하나의 그룹은 캔틸레버(58)를 구비한 편평한 슬라이드 접촉 타입 구조이고, 원측면상에 배열된 접촉부(14,16,56)의 다른 그룹은 슬롯(22)을 구비한 IDC 타입이다. 캔틸레버(58)를 갖는 접촉부에 따르면, 직접 전도율이 상기 접촉부의 로우와 캔틸레버(58)를 조절하기 위하여 하우징(도시 생략) 사이의 갭으로 인쇄 회로 기판을 삽입함으로써 인쇄 회로 기판(도시 생략)의 인쇄 회로와 상기 접촉부 사이에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지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일측 및 타측상의 인접 접촉부 사이에 동일한 상대 위치 관계를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접 접촉부 사이의 누화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접촉부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그런 접촉부를 구비하여 비즈니스 빌딩 등에 고속 통신 네트워크를 구성하는데 적절하게 이용되도록 인접 접촉부 사이의 누화를 효율적으로 감소시키고 잘못된 와이어 접속을 피할 수 있는 단자 커넥터가 제공된다.

Claims (5)

  1. 통상적으로 편평한 표면을 갖는 연장된 전기 도전성 금속판으로 제조되어 통상적으로 중앙 베이스부와 베이스부에 통상적으로 수직으로 연장하는 단부 접촉부를 포함하며, 그것에 의해 전기 와이어의 단자에서 다른 전기 도체와 전기적으로 분리가능하게 접속되는 구역을 형성하는 접촉부에 있어서,
    상기 단부 접촉부는 자체의 통상적으로 편평한 표면이 서로 대향하는 동시에 동일 방향으로 선형적으로 연장하고; 각 접촉부는 상기 접촉부에 횡단하는 동일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하는 접속부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에 접속되며; 적어도 하나의 접속부는 상기 접촉부의 표면을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부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부.
  2.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접촉부는 전기 와이어가 수용되는 금속판의 횡방향 단부로부터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슬롯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부.
  3. 전기 절연 물질로 제조된 본체와 서로 상이한 극성을 갖는 하나 이상의 외부 도체쌍에 접속되는 하나 이상의 접촉쌍을 포함하는 단자 커넥터에 있어서, 각 접촉쌍내의 2개의 접촉부의 각각은 통상적으로 편평한 표면을 구비한 연장된 전기 도전성 금속판으로 제조되어 통상적으로 중앙 베이스부, 단부 접촉부의 통상적으로 편평한 표면이 서로 대향하는 동시에 통상적으로 상기 베이스부에 수직한 동일 방향으로 선형적으로 연장하는 단부 접촉부, 및 상기 베이스부에 상기 접촉부를 접속시키고 상기 접촉부에 횡단하는 동일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하는 접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쌍내의 2개의 접촉부중 적어도 하나의 접속부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접촉부의 표면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부분을 가지며; 상기 접촉쌍내의 2개의 접촉부는 하나의 접촉부의 접속부가 그 사이에 작은 갭을 갖는 다른 접촉부의 대응 접속부와 교차하고 상기 접촉부의 각 접촉부가 2개의 상호 대향하는 공통면상에 통상적으로 배열되게 하기 위해 배열되는 단자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편평한 표면을 구비한 연장된 전기 도전성 금속판으로 제조된 2개의 제2 접촉부를 각각 갖는 제2 접촉부쌍을 추가로 포함하고; 각각의 제2 접촉부는 통상적으로 중앙 베이스부와 상호 대향하는 2개의 공통면상에 제2 접촉부의 각 접촉부를 통상적으로 정렬하기 위해 서로 이격되고, 통상적으로 편평한 표면이 서로 대향하는 동시에 통상적으로 그 표면에 수직인 베이스부로부터 선형적으로 연장하는 2개의 접촉부를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제2 접촉쌍은 상기 접촉쌍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접속부가 서로 교차하고, 상기 모든 접촉쌍의 각 접촉부가 통상적으로 상호 대향하는 2개의 공통면상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커넥터.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쌍의 각 접촉부는 상호 대향하는 2개의 공통 평면중 적어도 하나를 따라 연장하는 접촉부상에 전기 와이어를 수용하는 슬롯을 가지고; 상기 슬롯은 상기 금속판의 횡방향 단부로부터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커넥터.
KR1019970709235A 1995-06-09 1996-05-30 접촉부 및 그 접촉부를 구비한 단자 커넥터 KR1999002276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7143635A JPH097651A (ja) 1995-06-09 1995-06-09 接触子及びこの接触子を備えた端末コネクタ
JP95-143635 1995-06-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2768A true KR19990022768A (ko) 1999-03-25

Family

ID=15343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9235A KR19990022768A (ko) 1995-06-09 1996-05-30 접촉부 및 그 접촉부를 구비한 단자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762516A (ko)
JP (1) JPH097651A (ko)
KR (1) KR19990022768A (ko)
AU (1) AU6027296A (ko)
TW (1) TW363291B (ko)
WO (1) WO199604212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2879A (ko) * 2000-08-09 2002-02-20 오준환 초고속 통신을 위한 단자 블록
KR100794082B1 (ko) * 2000-11-27 2008-01-10 니혼 앗사쿠단시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고전압용 베이스 커넥터 및 소켓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509886D0 (en) * 1995-05-16 1995-07-12 Amp Holland Modular plug for high speed data transmission
FR2757691B1 (fr) * 1996-12-20 1999-01-22 Pouyet Sa Procede de realisation d'une reglette d'interconnexion de lignes telephoniques ou informatiques, et reglette obtenue par ce procede
CH693012A5 (de) * 1997-06-02 2003-01-15 Reichle & De Massari Fa Steckverbindungsteil für hochfrequente Datenübertragung über elektrische Leiter.
DE19810561A1 (de) * 1998-03-11 1999-09-16 Siemens Ag Hybrider Datenstecker
DE19853837C1 (de) * 1998-11-23 2000-02-24 Krone Ag Abschirmeinrichtung für Anschlußleisten der Telekommunikations- und Datentechnik
US6358094B1 (en) * 1999-09-15 2002-03-19 Fci Americas Technology, Inc. Low inductance connector with enhanced capacitively coupled contacts for power applications
US6276954B1 (en) * 1999-11-16 2001-08-21 Avaya Technology Corp. Communication plug having consistent and set levels of complementary crosstalk
US6398580B2 (en) 2000-01-11 2002-06-04 Visteon Global Tech., Inc. Electrical terminal member
US6290524B1 (en) * 2000-07-12 2001-09-18 Molex Incorporated System for varying capacitive coupling between electrical terminals
US6758695B2 (en) * 2002-06-28 2004-07-06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nnector assembly with a floating shield dividing contacts formed in differential pairs
GB2412519B (en) * 2004-03-23 2010-11-03 British Broadcasting Corp Monitoring system
CA2464834A1 (en) * 2004-04-19 2005-10-19 Nordx/Cdt Inc. Connector
US7223115B2 (en) * 2005-06-03 2007-05-29 Commscope, Inc. Of North Carolina Cross-connect systems with connector blocks having balanced insulation displacement contacts
US7503798B2 (en) * 2005-06-03 2009-03-17 Commscope, Inc. Of North Carolina Cross connect systems with self-compensating balanced connector elements
US9491275B2 (en) * 2005-09-15 2016-11-08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by transfer of ownership from AT&T System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aggregating contact information
JP5756656B2 (ja) 2011-03-04 2015-07-29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CN112655119B (zh) * 2018-07-11 2023-10-13 富加宜(美国)有限责任公司 具有阴阳同体的端子和壳体的电连接器
US11139623B2 (en) * 2020-01-14 2021-10-05 Lear Corporation Splice connector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794021A (fr) * 1972-01-17 1973-05-02 Western Electric Co Bloc de connection de fils perfectionne
US4066317A (en) * 1976-09-30 1978-01-03 Western Electric Company, Inc. Electrical conductor terminating system
DE2725551C2 (de) * 1977-06-07 1983-11-17 Krone Gmbh, 1000 Berlin Elektrischer Klemmverbinder
JPS6431361A (en) * 1987-07-15 1989-02-01 Minnesota Mining & Mfg Electric connection connector
US4789354A (en) * 1987-09-14 1988-12-06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Voice/data communication termination connector
CH678467A5 (ko) * 1988-11-22 1991-09-13 Reichle & De Massari Fa
US4995828A (en) * 1990-04-12 1991-02-26 Itt Corporation Connector for paired wire cable
US5186647A (en) * 1992-02-24 1993-02-16 At&T Bell Laboratories High frequency electrical connector
AU4597293A (en) * 1992-06-30 1994-01-24 Procter & Gamble Company, The Effervescent calcium supplements
US5226835A (en) * 1992-08-06 1993-07-13 At&T Bell Laboratories Patch plug for cross-connect equipment
DK28193D0 (da) * 1993-03-12 1993-03-12 Poul Kjeldahl Forbindelsesstik til kommunikationsne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2879A (ko) * 2000-08-09 2002-02-20 오준환 초고속 통신을 위한 단자 블록
KR100794082B1 (ko) * 2000-11-27 2008-01-10 니혼 앗사쿠단시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고전압용 베이스 커넥터 및 소켓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97651A (ja) 1997-01-10
AU6027296A (en) 1997-01-09
US5762516A (en) 1998-06-09
WO1996042124A1 (en) 1996-12-27
TW363291B (en) 1999-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22768A (ko) 접촉부 및 그 접촉부를 구비한 단자 커넥터
KR102439060B1 (ko) 커넥터 조립체
EP0607920B1 (en) Electrical connector for power and signal contacts
EP0811258B1 (en) High frequency modular plug and cable assembly
US5601447A (en) Patch cord assembly
CA2127838C (en) Shielded compact data connector
AU718970B2 (en) Patch cord connector
JP3795532B2 (ja) 対とした端子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
US6592395B2 (en) In-line cable connector assembly
EP0939455A2 (en) Low cross talk connector configuration
US5971812A (en) Modular plug having a circuit board
EP0880202B1 (en) Low-crosstalk electrical connector grouping like conductors together
US6663419B2 (en) Reduced crosstalk modular plug and patch cord incorporating the same
JPH07201379A (ja) パッチコネクタ
KR100668189B1 (ko) 전기플러그-소켓 접속부로 이루어진 접속케이블
JP2003522389A (ja) 垂直及び直角モジュラアウトレット
US5556307A (en) Modular telecommunication jack assembly
US4662701A (en) Single communication line interconnect
CA2130216C (en) Shielded compact data connector
KR100335220B1 (ko) 커넥터 단자의 누화방지구조
KR200197422Y1 (ko) 커넥터 단자의 누화방지구조
AU6305399A (en) Contact and terminal connector having the contact
KR20100132738A (ko) 누화 저감구조를 구비한 커넥팅 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