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2879A - 초고속 통신을 위한 단자 블록 - Google Patents

초고속 통신을 위한 단자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2879A
KR20020012879A KR1020000046126A KR20000046126A KR20020012879A KR 20020012879 A KR20020012879 A KR 20020012879A KR 1020000046126 A KR1020000046126 A KR 1020000046126A KR 20000046126 A KR20000046126 A KR 20000046126A KR 20020012879 A KR20020012879 A KR 200200128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hort
terminal pin
pins
lo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6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준환
Original Assignee
오준환
주식회사 금광통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준환, 주식회사 금광통신 filed Critical 오준환
Priority to KR10200000461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12879A/ko
Publication of KR200200128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287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4Bases; Cases composed as a modular blocks or assembly, i.e. composed of co-operating parts provided with contact members or holding contact members between th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송 성능을 향상시켜 보다 나은 초고속 통신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초고속 통신용 단자블록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초고속 통신용 단자 블록은 몸체, 쇼트 단자핀, 롱 단자핀, 베이스 그리고 고정 브라켓으로 이루어진다. 쇼트 단자핀과 롱 단자핀은 몸체의 내부 공간 일측으로부터 한 쌍씩 번갈아 가며 배열되는 특징을 갖는다.

Description

초고속 통신을 위한 단자 블록{SUPERSPEED COMMUNICATION FOR A TERMINAL BLOCK}
본 발명은 단자 블록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전송 성능을 향상시켜 보다 나은 초고속 통신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초고속 통신용 단자블록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에 접어들면서 광범위한 정보를 검색하기 위해 가장 기본적인 수단인 전화 이외에 컴퓨터 등과 같은 각종 통신수단들이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컴퓨터를 사용하는 인구가 기하 급수적으로 증대되고 있으며, 대다수의 사용자가 보다 빠르고 다양한 초고속의 정보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기를 희망하고 있으며, 인터넷 및 초고속 데이터 통신 서비스가 급속히 확산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대단위 아파트 단지, 다세대 주택 등에 설치되는 전화 및 데이터 통신회선들은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보다 UTP 케이블을 선호하고 있는 실정이나, 이 UTP 케이블은 음성 신호급의 전송 속도에는 문제가 되지 않으나, 앞으로 추진되고 있는 고속 데이터 전송 속도인 10-100MHZ에서는 UTP 케이블의 근단누화(Near-end Crosstalk Loss) 및 감쇠(Attenuation) 그리고 반사손실(Return Loss) 등이 전송 속도에 가장 큰 영향을 주고 있다.
이러한 UTP 케이블의 근단누화 및 감쇠 그리고 반사손실 등은 UTP 케이블과 단자블록의 연결 선로상에서 발생된다.
도 1에는 4P용 UTP 케이블이 연결된 단자 블록을 도시하고 있다. 도 1에서와 같이, UTP 케이블이 단자블록의 단자핀들에 접속되는 배열 순서는 다음과 같다. UTP 케이블의 제 1 페어인 4&5번(청색&백/청색) 선은 1,2번째 단자핀에, 제 2 페어인 1&2번(백/황색&황색) 선은 3,4번째 단자핀에, 제 3 페어인 3&6번(백/녹색&녹색) 선은 5,6번째 단자핀에, 그리고 제 4 페어인 7&8번(백/갈색&갈색) 선은 7&8번째 단자핀에 연결된다. 이처럼 연결된 단자블록 각각의 성능을 테스트해 보면, 제 1 페어 선과 제 3 페어 선이 연결된 1,2,5,6번째 전송 속도가 상대적으로 떨어진 다는 것을 이 분야의 전문가라면 익히 알고 있을 것이다. 예컨대, 제 1 페어와 제 3 페어의 선이 제 2 페어와 제 4 페어의 선보다 상대적으로 많이 꼬여져 있는 것과 무관하지 않다.
뿐만 아니라, 기존의 단자 블록은 일괄적으로 동일한 길이의 단자핀들이 조밀하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전송 속도가 서로 근접한 단자핀들 간의 불필요한 신호의 간섭 및 혼선으로 인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다시 말해, 전송 속도는 불필요한 신호가 발생하는 선로와 불필요한 신호를 받는 선로간의 거리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정보통신부에서 권장하고 있는 100㎒(Class D)의 전송 속도를 지원할 수 있도록 UTP 케이블의 4페어 선들 각각이 접속되는 단자핀들을 차별화 하여 구성한 새로운 형태의 초고속 통신용 단자 블록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자 블록의 외관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단자 블록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자 블록의 평면도;
도 4는 단자 블록의 분해 단면도;
도 5는 도 3에 표기된 a-a선의 단면도;
도 6는 도 3에 표기된 b-b선 단면도;
도 7은 도 3에 표기된 c-c선 단면도;
도 8은 단자 블록의 저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단자 블록에서 UTP 케이블의 배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각각의 단자핀 배열 형태에 따른 반사손실과 근단누화의 측정 데이터 값들을 나타낸 표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몸체 112 : 격벽
114 : 구획 공간 114a : 오프닝
116 : 얼라이너 120a : 쇼트 단자핀
120b : 롱 단자핀 122 : 수평 로드
130 : 베이스 130a : 롱 지지부
130b : 쇼트 지지부 132 : 격벽홈
134 : 후크 136 : 장착공간
138 : 가이드 140 : 보스
150 : 고정 브라켓 80 : UTP 케이블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UTP 케이블이 접속부의 홈에 끼워지면 외피가 벗겨지면서 심선이 접속되는 단자핀들을 갖는 단자 블록은 입력/출력 접속부를 갖는 쇼트 단자핀과; 상기 쇼트 단자핀보다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롱 단자핀과; 상기 쇼트 단자핀과 롱 단자핀이 서로 격리되어 설치되도록 격벽에 의해 구획된 공간들을 갖으며, 상기 단자핀의 입력/출력 접속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면에 형성된 슬롯들을 갖는 몸체와; 상기 쇼트 및 롱 단자핀들이 상기 구획된 공간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상기 몸체의 개방된 저면을 덮는 베이스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상기 쇼트 단자핀과 롱 단자핀은 상기 몸체의 내부 공간 일측으로부터 한 쌍씩 번갈아 가며 배열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상기 쇼트 단자핀들에는 상기 UTP 케이블의 청색 & 백/청색선과, 녹색 & 백/녹색선이 각각 결속되고, 상기 롱 단자핀들에는 상기 UTP케이블의 황색 & 백/황색선과, 갈색 & 백/갈색선이 각각 결속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베이스의 저면에 설치되고, 단자함에 고정되는 고정 브라켓을 더 포함하되; 상기 베이스는 저면에 상기 고정 브라켓의 고정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보스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 브라켓은 상기 베이스의 보스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 1 홀과, 양측에는 상기 단자함에 고정하기 위한 제 2 홀을 구비하며, 상기 고정 브라켓에는 적어도 하나의 단자 블록이 설치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면들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가 병기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자 블록의 외관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단자 블록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자 블록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초고속 통신용 단자 블록(100)은 8회선용으로 몸체(110), 쇼트 단자핀(120a), 롱 단자핀(120b), 베이스(140), 고정 브라켓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110)는 내부에 상기 쇼트 단자핀(102a)과 롱 단자핀(120b)이 서로 격리되게 설치되도록 격벽(112)에 의해 구획된 공간(114)들을 가지며, 상기 몸체의 상면에는 각각의 구획 공간으로 연통되고 상기 구획 공간에 설치된 쇼트/롱 단자핀의 입력/출력 접속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오프닝(114a)을 갖는다. 상기 오프닝의 전후에는 전선 결속시 전선이 위치되는 슬롯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몸체(110)의 양측면 하단에는 얼라이너(116)들이 형성되어 있다. 이 얼라이너(116)들은 상기 단자 블록(100)에 결속되는 UTP 케이블의 선들을 얼라이너(148)들 사이에 위치시킴으로써, UTP 케이블의 선들을 간결하고 깔끔하게 배열(정렬)할 수 있는 것이다.(도 9참조) 상기 격벽(112)들은 서로 인접한 단자핀들간의 불필요한 신호의 간섭 및 혼선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몸체(110)의 저면은 개방되어 있다.
상기 쇼트/롱 단자핀(120a,120b)들은 상기 몸체(110)의 구획 공간(114)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쇼트/롱 단자핀(120a,120b)들의 입/출력 접속부(124a,124b)는 각각 서로 대응되는 오프닝(114a)을 통해 몸체(110)의 상면으로 노출된다.
상기 쇼트/롱 단자핀(120a,120b)들은 퀵 클립 타입(quick clip type)으로 수평 로드(122), 입력 접속부(124a) 그리고 출력 접속부(124b)로 이루어진다. 상기 입/출력 접속부(124a,124b)에는 한 쌍의 경사날면이 형성된 홈(128)이 형성되어 있어, UTP 케이블의 선이 상기 홈(128)에 끼워지면, 외피가 자동으로 벗겨지면서 UTP 케이블(80)의 심선이 상기 입/출력 접속부(124a,124b)에 접속된다. 여기서, 입력측 전선(예를 들면, 국선)이 접속되는 부분이 입력 접속부(124a)가 되며, 반대로 출력측 전선(예를 들면, 내선)이 접속되는 부분이 출력 접속부(124b)가 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단자블록의 분해 단면도 및 a-a 선의 단면도를 참조하면, 본 초고속 통신용 단자블록(100)은 상기 몸체(110)의 일측으로부터 쇼트 단자핀(120a)과 롱 단자핀(120b)이 한 쌍씩 번갈아 가며 배열되는 구조적인 특징을 갖는다. 이렇게 쇼트 단자핀(120a)과 롱 단자핀(120b)이 번갈아 가며 배열되면,선로와 선로(불필요한 신호가 발생하는 선로와 불필요한 신호를 받는 선로)의 거리가 상당히 떨어지게 됨으로 해서, 서로 근접한 선로들간의 불필요한 신호의 간섭 및 혼선으로 인한 전송 속도의 저하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예컨대, 상기 롱 단자핀(120b)과 쇼트 단자핀(120a)의 높이 차이(X)는 최소 8mm이상이고, 최대는 단자 블록의 높이를 고려하여 12mm 이내가 바람직하다.
뿐만 아니라, 상기 쇼트/롱 단자핀(120a,120b)들은 상기 수평 로드(122)의 중앙 부분이 양측 가장자리 폭보다 좁게 형성된 구조적인 특징을 갖는다.(도 2에 표현되어 있음) 이러한 구조적인 특징을 갖는 상기 쇼트/롱 단자핀(120a,120b)들은, 기존 수평 로드가 동일한 폭으로 형성된 단자핀의 경우보다 향상된 전송 속도를 얻을 수 있다.
도 4, 도 5 그리고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130)는 상기 몸체(110)의 개방된 저면에 결합된다. 상기 베이스(130)는 지지부(130a,130b), 격벽홈(132), 후크(134), 장착공간(136), 가이드(138) 그리고 보스(140)를 구비한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베이스(13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쇼트/롱 단자핀(120a,120b)이 상기 구획 공간(114)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단자핀의 수평로드(122) 부분을 지지한다(받쳐준다.) 상기 지지부는 롱 지지부(130a)와 쇼트 지지부(130b)로 구분되며, 짐작한 바와 같이 상기 롱 지지부(130a)는 상기 쇼트 단자핀(120a)을 지지하고(도 6참조), 상기 쇼트 지지부(130b)는 상기 롱 단자핀(120b)을 지지한다.(도 7참조)
한편, 상기 베이스(130)의 격벽홈(132)들은 상기 베이스(130)의지지부(130a,130b)들 사이에 형성된다. 이 격벽홈(132)에는 상기 베이스(130)가 상기 몸체(110)의 저면에 장착시, 상기 격벽(112)들이 끼워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130)는 측면에 상기 몸체(110)와의 견고한 결합을 위한 후크(134)들을 갖는다. 물론, 상기 몸체(110)에는 상기 후크(134)들이 끼워지는 홀(119)들이 형성됨은 물론이다.
상기 베이스(130)는 저면에 고정 브라켓(150)이 삽입되는 장착 공간(136)이 형성되며, 그 장착공간 양측에는 가이드(138)가 그리고 베이스 저면에는 고정 브라켓(150)의 고정을 위한 2개의 보스(140)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가이드(138)는 상기 장착 공간(136)으로 고정 브라켓(150)의 삽입을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도 4 및 도 5 참조) 상기 고정 브라켓(150)의 양측면에는 상기 가이드(138)와 대응되는 가이드 홈(152)이 형성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고정 브라켓(150)은 도 2 및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베이스의 보스(140)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제 1 홀(156)과, 단자함에 고정하기 위해 양측에 형성된 제 2 홀(154)을 갖는다. 상기 고정 브라켓(150)은 단자함에 단자 블록(100)을 횡으로 연이어 설치하고자 할 때 매우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에는 보다 긴 고정 브라켓이 사용된다. 이처럼 고정 블록(150)을 사용하면 단자 블록(100)들을 연이어 연결할 때 그 설치 공간을 최대한 줄일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8회선용(8P용) 단자 블록(100)을 일 예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단자 블록은 4회선용, 16회선용 등의 단자 블록에 모두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은 상기 단자 블록에 결속되는 UTP 케이블의 선 배열을 다음 도 9 및 도 5를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쇼트 단자핀과 롱 단자핀들이 배열된 단자 블록에는 UTP 케이블이 다음과 같은 배선 순서로 결속된다. 먼저, 첫 번째 한 쌍의 쇼트 단자핀(120a)에는 각각 UTP 케이블(80)의 제 1 페어인 청색&백/청색선(4번선과 5번선)(80-4, 80-5)이 연결되며, 그 다음 한 쌍의 롱 단자핀(120b)에는 제 2 페어인 황색 & 백/황색선(1번선과 2번선)(80-1,80-2)이, 그 다음 한 쌍의 쇼트 단자핀(120a)에는 제 3 페어인 녹색 & 백/녹색선(3번선과 6번선)(80-3,80-6)이, 그 다음 한 쌍의 롱 단자핀(120b)에는 제 4 페어인 갈색 & 백/갈색선(7번선과 8번선)(80-7,80-8)이 연결된다. 이처럼, UTP 케이블에서 제 2 페어(80-1,80-2)와 제 4 페어(80-7,80-8)의 선보다 상대적으로 많이 꼬여져 있는 제 1 페어(80-4,80-5)와 제 3 페어(80-3,80-6)는 쇼트 단자핀(120a)에 결속되고, 제 2 페어(80-1,80-2)와 제 4 페어(80-7,80-8)는 롱 단자핀(120b)에 연결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아래 표1에는 단자 블록의 단자핀 배열 형태에 따른 반사 손실(Return Loss) 의 여유값(margin)과 근단누화(Near-end Crosstalk Loss)의 여유값(margin)을 나타낸 표이고, 도 10에는 각각의 단자핀 배열 형태에 따른 반사손실과 근단누화의 측정 데이터 값들을 나타낸 표이다.
[표 1]
링크 테스트 장비 : OMNI SCANNER(Micro test사 제품)
링크 테스트 기준 : ISO D-LINK2000(100MHz)
사용 케이블 : UTP CAT5(LUCENT사 제품)
예컨대, 단자핀들의 배열 형태는 짧은 단자핀의 일자 배열(가)과, 긴 단자핀의 일자 배열(나), 긴 단자핀과 짧은 단자핀의 지그재그 배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짧은 단자핀과 긴 단자핀의 지그재그 배열(라)로 각각 구분하여 측정하였다.
이상의 표 1 및 도 10에 기재된 바와 같이, 단자핀의 배열 형태에 따라 상당한 성능 차이가 발생됨을 알 수 있으며, 그 중에서 (라) 타입의 배열(본 발명에 따른 짧은 단자핀과 긴 단자핀의 지그재그 배열)에서 반사 손실의 여유값과 근단누화의 여유값이 가장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출원인은 단자핀들을 다양한 방법으로 배열하고 이를 테스트하여 가장 뛰어난 단자핀들의 배열을 찾아낸 것으로서, 본 발명의 단자 블록은 선로상에서 근단간의 누화손실 및 반사손실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고, 따라서, 정보통신부에서 권장하고 있는 100㎒(Class D)의 전송 속도를 지원할 수 있는 단자 블록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단자핀이 1열로 배열된 단자 블록을 일 예로 설명하였지만, 단자 블록은 2열, 3열 또는 그 이상으로 단자핀이 배열될 수 있으며, 배열된 단자핀들에는 각각의 접속부들과 세트를 이루는 홀더들이 구비됨을 유념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초고속 통신용 단자블록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적용하면, 쇼트 단자핀과 롱 단자핀을 번갈아 가며 배열함으로써, 선로상에서 근단간의 누화손실 및 반사손실을 줄일 수 있었고, 따라서 정부통신부에서 권장하고 있는 100㎒(Class D)의 전송 속도를 지원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5)

  1. UTP 케이블이 접속부의 홈에 끼워지면 외피가 벗겨지면서 심선이 접속되는 단자핀들을 갖는 단자 블록에 있어서:
    입력/출력 접속부를 갖는 쇼트 단자핀과;
    상기 쇼트 단자핀보다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롱 단자핀과;
    상기 쇼트 단자핀과 롱 단자핀이 서로 격리되어 설치되도록 격벽에 의해 구획된 공간들을 갖으며, 상기 단자핀의 입력/출력 접속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면에 형성된 슬롯들을 갖는 몸체와;
    상기 쇼트 및 롱 단자핀들이 상기 구획된 공간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상기 몸체의 개방된 저면을 덮는 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속 통신용 단자블록.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쇼트 단자핀과 롱 단자핀은 상기 몸체의 내부 공간 일측으로부터 한 쌍씩 번갈아가며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속 통신용 단자블록.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쇼트 단자핀들에는 상기 UTP 케이블의 청색 & 백/청색선과, 녹색 & 백/녹색선이 각각 결속되고, 상기 롱 단자핀들에는 상기 UTP 케이블의 황색 & 백/황색선과, 갈색 & 백/갈색선이 각각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속 통신용 단자블록.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롱 단자핀과 쇼트 단자핀의 높이 차이는 8mm-12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속 통신용 단자블록.
  5. 제 1 항에 있어서,
    베이스의 저면에 설치되고, 단자함에 고정되는 고정 브라켓을 더 포함하되;
    상기 베이스는 저면에 상기 고정 브라켓의 고정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보스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 브라켓은 상기 베이스의 보스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 1 홀과, 양측에는 상기 단자함에 고정하기 위한 제 2 홀을 구비하며,
    상기 고정 브라켓에는 적어도 하나의 단자 블록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속 통신용 단자 블록.
KR1020000046126A 2000-08-09 2000-08-09 초고속 통신을 위한 단자 블록 KR200200128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6126A KR20020012879A (ko) 2000-08-09 2000-08-09 초고속 통신을 위한 단자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6126A KR20020012879A (ko) 2000-08-09 2000-08-09 초고속 통신을 위한 단자 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2879A true KR20020012879A (ko) 2002-02-20

Family

ID=19682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6126A KR20020012879A (ko) 2000-08-09 2000-08-09 초고속 통신을 위한 단자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1287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24574A3 (en) * 2008-08-25 2010-06-24 Ls Cable Ltd Terminal block for unshielded twisted pair cabl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46735A (en) * 1987-08-07 1989-07-11 Krone Aktiengesellschaft Telecommunication terminal strip
US5160273A (en) * 1991-06-24 1992-11-03 Porta Systems Corp. Connector block assembly
US5494461A (en) * 1993-07-27 1996-02-27 Krone Aktiengesellschaft Terminal block for high transmission rates in the telecommunication and data technique
KR19990022768A (ko) * 1995-06-09 1999-03-25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접촉부 및 그 접촉부를 구비한 단자 커넥터
KR20000030300A (ko) * 2000-02-21 2000-06-05 이은신 접속단자 및 그 장착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46735A (en) * 1987-08-07 1989-07-11 Krone Aktiengesellschaft Telecommunication terminal strip
US5160273A (en) * 1991-06-24 1992-11-03 Porta Systems Corp. Connector block assembly
US5494461A (en) * 1993-07-27 1996-02-27 Krone Aktiengesellschaft Terminal block for high transmission rates in the telecommunication and data technique
KR19990022768A (ko) * 1995-06-09 1999-03-25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접촉부 및 그 접촉부를 구비한 단자 커넥터
KR20000030300A (ko) * 2000-02-21 2000-06-05 이은신 접속단자 및 그 장착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24574A3 (en) * 2008-08-25 2010-06-24 Ls Cable Ltd Terminal block for unshielded twisted pair cab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123260C (en) Communications connector terminal arrays having noise cancelling capabilities
US6729901B2 (en) Wire guide sled hardware for communication plug
US6629862B2 (en) Connector including reduced crosstalk spring insert
JP4219279B2 (ja) ケーブルの末端に装着して用いるモジュラ・プラグ
KR100591673B1 (ko) 텔레커뮤니케이션의 아웃렛 및 연결블럭과 플러그
JP4101375B2 (ja) モジュラープラグ
CN1068461C (zh) 高频模块化插头和电缆组件
US7711093B2 (en) Telecommunications test plugs having tuned near end crosstalk
US6962503B2 (en) Unshielded twisted pair (UTP) wire stabilizer for communication plug
US6439920B1 (en) Electronic connector plug for high speed transmission
US6371794B1 (en) Telecommunications plug and adapter
KR19990035868A (ko) 누화감소형 모듈러 아우틀렛
US6183306B1 (en) Staggered interface contacts
US6783402B2 (en) Fast electric connector plug satisfying category 6 standard
US6284980B1 (en) Cable organizer with conductor termination array
JP2003522389A (ja) 垂直及び直角モジュラアウトレット
US6837738B1 (en) Fast electric connector plug
JP2002508882A (ja) 高速idcモジュラジャック
CN101454945B (zh) 连接器块
US6331120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reduced crosstalk for high frequency signals
KR20020012879A (ko) 초고속 통신을 위한 단자 블록
AU2820699A (en) Improved manner of electrical connection
KR200405256Y1 (ko) 모듈러 아웃렛
CA2429765A1 (en) Cable termination bar
KR100335220B1 (ko) 커넥터 단자의 누화방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