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5220B1 - 커넥터 단자의 누화방지구조 - Google Patents

커넥터 단자의 누화방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5220B1
KR100335220B1 KR1019990062176A KR19990062176A KR100335220B1 KR 100335220 B1 KR100335220 B1 KR 100335220B1 KR 1019990062176 A KR1019990062176 A KR 1019990062176A KR 19990062176 A KR19990062176 A KR 19990062176A KR 100335220 B1 KR100335220 B1 KR 1003352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nnection
slot
connector
terminal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2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30115A (ko
Inventor
김진호
임종인
Original Assignee
이 은 신
대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 은 신, 대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 은 신
Priority to KR1019990062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5220B1/ko
Priority to KR2019990030388U priority patent/KR200197422Y1/ko
Publication of KR20000030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01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52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52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01R13/6461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터 단자의 누화방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커넥터의 내부에 마련되는 다수의 접속단자들의 이격거리를 크게 하고 병렬대칭이 되지 않도록 각각의 접속단자의 일단을 소정각도로 절곡시켜 누화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커넥터 단자의 누화방지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인쇄기판의 일측에 접속되어 그 타측의 모듈러잭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그 내부에 접속단자를 수용하는 수용슬롯과 다수의 가이드돌기가 형성된 터미널블록과, 그 터미널블록의 가이드돌기와 결합되는 삽입구가 그 일단에 형성되며 그 삽입구의 내측 상하면에 다수의 슬롯이 형성된 커넥터하우징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슬롯에 삽입되며, 그 외형이 ∩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일단에는 상기 터미널블록의 수용슬롯내의 접속단자와 접속되는 접속부와, 상기 접속부의 상단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일단이 그 상측에 직각으로 절곡되어 연결되고 그 중앙 소정부에 V형 접속슬롯이 마련된 단자부로 이루어진 제 1접속단자와; 상기 제 1접속단자에 이웃하여 하나의 쌍(Pair)을 이루며, 그 외형이 ∪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일단에는 상기 터미널블록의 수용슬롯내의 접속단자와 접속되는 접속부와, 상기 접속부의 하단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일단이 그 하단에 직각으로 절곡되어 연결되고 그 중앙 소정부에 V형 접속슬롯이 마련된 단자부로 이루어진 제 2접속단자로 구성되어 누화를 방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커넥터 단자의 누화방지구조{Structure for preventing noise of connector pin}
본 발명은 커넥터 단자의 누화방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터미날블록에 결합되는 커넥터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그 터미날블록내의 접속단자와 접속되는 커넥터 단자의 누화방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건물 내부에는 통신선로를 연결시켜 주는 단자함이 마련되는 데, 이러한 단자함 내부에는 외부의 와이어와 내부의 와이어가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연결시켜 주는 터미날블록이 설치된다.
도 1은 종래 단자접속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단자접속부재는 크게 모듈러플러그(24)와, 모듈러잭(20), 회로기판(10), 터미널블록(30), 커넥터하우징(40), 커넥터 접속단자(50)로 구성된다.
상기 모듈러플러그(24)는 외부 케이블(26)을 매개하여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플러그이며, 그 내부에 다수의 접속단자를 구비하며 상기 모듈러플러그(24)를 그 일측에 마련된 삽입구(22)를 통해 접속하여 전기적으로 도통하기 위한 모듈러잭(20)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모듈러잭(20)은 회로기판(10)의 일측에 솔더링(Soldering)되며, 상기 회로기판(10)은 그 표면상의 리드선을 매개하여 그 타측의 터미널블록(30)에 전기적으로 접속상태를 유지시킨다.
상기 터미널블록(30)은 상기 모듈러잭(20)의 개수와 동일하게 구비되는 바, 본 실시예에서는 모듈러잭(20)이 6개 구비되어 있으므로 상기 터미널블록(30)도 6개가 구비된다.
하나의 터미널블록(32)은 다수의 가이드돌기(34)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웃하는 가이드돌기(34)의 사이에는 접속단자를 삽입하는 접속단자 수용홀(36)이 구비된다.
상기 커넥터하우징(40)는 터미널블록(30)의 가이드돌기(34)와 결합되는 삽입구(42)가 그 일단에 마련되며, 그 삽입구(42)의 내측 상하면에는 접속단자(50)가 개재되는 슬롯(44,46)이 마련된다.
상기 접속단자(50)는 상기 커넥터하우징(40)의 슬롯(44,46)에 삽입되어 상기 접속단자(50)가 터미널블록(30)과 결합될 때 그 터미널블록(30) 내측의 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된다.
또한, 상기 접속단자(50)는 상기 터미널블록(30)의 접속단자와 접속되는 접속부(52)와, 지지부(54), 상기 지지부(54)와 수직으로 절곡 연장되며 그 중앙 상단부에 단자홈(57)을 갖는 단자부(56)로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한 커넥터하우징(40) 내부에 마련된 상기 접속단자(50)는 그와 이웃하는 다수의 접속단자(50)와 병렬로 대칭되게 되므로 그 접속단자(50)들 사이에서 형성되는 정전용량(C)으로 인하여 누화가 발생되어 데이터전송시 막대한 악영향을 끼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커넥터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는 다수의 접속단자들의 이격거리를 크게 하고 병렬대칭이 되지 않도록 각각의 접속단자의 일단을 소정각도로 절곡시켜 누화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커넥터 단자의 누화방지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단자접속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자접속부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단자를 확대 도시한 요부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단자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커넥터하우징, 42:삽입구,
44,46:슬롯, 60:접속단자'
62,62':접속부, 64,64':지지부,
66,66':단자부, 68,68':접속슬롯.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인쇄기판의 일측에 접속되어 그 타측의 모듈러잭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그 내부에 접속단자를 수용하는 수용슬롯과 다수의 가이드돌기가 형성된 터미널블록과, 그 터미널블록의 가이드돌기와 결합되는 삽입구가 그 일단에 형성되며 그 삽입구의 내측 상하면에 다수의 슬롯이 형성된 커넥터하우징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슬롯에 삽입되며, 그 외형이 ∩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일단에는 상기 터미널블록의 수용슬롯내의 접속단자와 접속되는 접속부와, 상기 접속부의 상단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일단이 그 상측에 직각으로 절곡되어 연결되고 그 중앙 소정부에 V형 접속슬롯이 마련된 단자부로 이루어진 제 1접속단자와; 상기 제 1접속단자에 이웃하여 하나의 쌍(Pair)을 이루며, 그 외형이 ∪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일단에는 상기 터미널블록의 수용슬롯내의 접속단자와 접속되는 접속부와, 상기 접속부의 하단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일단이 그 하단에 직각으로 절곡되어 연결되고 그 중앙 소정부에 V형 접속슬롯이 마련된 단자부로 이루어진 제 2접속단자로 구성되어 누화를 방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단자의 누화방지구조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접속단자는 각각 인접된 쌍의 상기 지지부(64,64')를 다른 층으로 배열함으로서 인접된 쌍의 접속단자간의 정전용량을 감소시킴으로써 누화를 방지하는 구조로 됨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인쇄기판의 일측에 접속되어 그 타측의 모듈러잭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그 내부에 접속단자를 수용하는 수용슬롯과 다수의 가이드돌기가 형성된 터미널블록과, 그 터미널블록의 가이드돌기와 결합되는 삽입구가 그 일단에 형성되며 그 삽입구의 내측 상하면에 다수의 슬롯이 형성된 커넥터하우징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슬롯에 삽입되며, 그 일단에는 상기 터미널블록의 수용슬롯내의 접속단자와 접속되는 접속부와, 상기 접속부의 상단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며 정전용량 발생면적을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그 일단 소정부가 일정각도로 절곡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일단이 그 상측에 직각으로 절곡되어 연결되고 그 중앙 소정부에 V형 접속슬롯이 마련된 단자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단자의 누화방지구조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자접속부재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따른 커넥터 단자를 확대 도시한 요부확대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단자접속부재는 크게 모듈러플러그(24)와, 모듈러잭(20), 회로기판(10), 터미널블록(30), 커넥터하우징(40), 커넥터 접속단자(50)로 구성된다.
상기 모듈러플러그(24)는 외부 케이블(26)을 매개하여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플러그이며, 그 내부에 다수의 접속단자를 구비하며 상기 모듈러플러그(24)를 그 일측에 마련된 삽입구(22)를 통해 접속하여 전기적으로 도통하기 위한 모듈러잭(20)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모듈러잭(20)은 회로기판(10)의 일측에 솔더링(Soldering)되며, 상기 회로기판(10)은 그 표면상의 리드선을 매개하여 그 타측의 터미널블록(30)에 전기적으로 접속상태를 유지시킨다.
상기 터미널블록(30)은 상기 모듈러잭(20)의 개수와 동일하게 구비되는 바, 본 실시예에서는 모듈러잭(20)이 6개 구비되어 있으므로 상기 터미널블록(30)도 6개가 구비된다.
하나의 터미널블록(32)은 다수의 가이드돌기(34)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웃하는 가이드돌기(34)의 사이에는 접속단자를 삽입하는 접속단자 수용홀(36)이 구비된다.
상기 커넥터하우징(40)는 터미널블록(30)의 가이드돌기(34)와 결합되는 삽입구(42)가 그 일단에 마련되며, 그 삽입구(42)의 내측 상하면에는 접속단자(60)가 개재되는 슬롯(44,46)이 마련된다.
상기 접속단자(60)는 상기 커넥터하우징(40)의 슬롯(44,46)에 삽입되어 상기 접속단자(60)가 터미널블록(30)과 결합될 때 그 터미널블록(30) 내측의 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커넥터의 접속단자(60)는 하나의 쌍(Pair)으로 구성되어 있는 바, 8개의 상기 수용슬롯(36)을 갖는 터미널블록(30)에 삽입되는 4쌍의 접속단자(60)로 구성된다.
상기 접속단자(60) 1쌍은 복수개의 접속단자로 이루어지는 바, 그 중 하나인 제 1접속단자는 ∩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일단에는 상기 터미널블록(30)의 수용슬롯(36)내의 접속단자와 접속되는 접속부(62)와, 상기 접속부(62)의 상단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된 지지부(64)와, 상기 지지부(64)의 일단이 그 상측에 직각으로 절곡되어 연결되고 그 중앙 소정부에 V형 접속슬롯(68)이 마련된 단자부(66)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부(64)는 그 일단 소정부에서 일정각도로 절곡되어 있는 바, 이는 다른 하나의 접속단자와 선대칭할 경우에 정전용량이 커지게 되어 누화가 발생되므로 이를 피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부(64)의 일단 소정부가 절곡된다.
또한, 상기 단자부(66)는 그 상단에 양측으로 갈수록 돌출되는 소정의 곡률반경을 갖는 컷터가 마련되고, 상기 컷터의 중앙 하부에는 상기 컷터에 의해 탈피된 와이어 심선이 끼워져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V형 접속슬롯(68)이 마련된다.
상기 컷터는 양측 단부로부터 중앙부를 향해 소정 각도의 경사면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와이어를 상기 컷터의 상부에 위치시키고 가압하면 상기 와이어가 경사면에 의해 컷터의 중앙부로 모여지게 된다.
한편, 상기 접속단자의 쌍을 이루는 나머지 하나인 제 2접속단자는 ∪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일단에는 상기 터미널블록(30)의 수용슬롯(36)내의 접속단자와 접속되는 접속부(62')와, 상기 접속부(62')의 하단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된 지지부(64')와, 상기 지지부(64')의 일단이 그 하단에 직각으로 절곡되어 연결되고 그 중앙 소정부에 V형 접속슬롯(68')이 마련된 단자부(66')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부(64')는 그 일단 소정부에서 일정각도로 절곡되어 있는 바, 이는 제 1접속단자와 선대칭할 경우에 정전용량이 커지게 되어 누화가 발생되므로 이를 피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부(64')의 일단 소정부가 절곡된다.
또한, 상기 단자부(66')는 그 상단에 양측으로 갈수록 돌출되는 소정의 곡률반경을 갖는 컷터가 마련되고, 상기 컷터의 중앙 하부에는 상기 컷터에 의해 탈피된 와이어 심선이 끼워져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V형 접속슬롯(68')이 마련된다.
상기 컷터는 양측 단부로부터 중앙부를 향해 소정 각도의 경사면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와이어를 상기 컷터의 상부에 위치시키고 가압하면 상기 와이어가 경사면에 의해 컷터의 중앙부로 모여지게 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단자의 누화방지구조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상기 접속단자(60) 1쌍은 복수개의 접속단자로 이루어지는 바, 그 중 하나인 제 1접속단자는 ∩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일단에는 상기 터미널블록(30)의 수용슬롯(36)내의 접속단자와 접속되는 접속부(62)와, 상기 접속부(62)의 상단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된 지지부(64)와, 상기 지지부(64)의 일단이 그 상측에 직각으로 절곡되어 연결되고 그 중앙 소정부에 V형 접속슬롯(68)이 마련된 단자부(66)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부(64)는 그 일단 소정부에서 일정각도로 절곡되어 있는 바, 이는 다른 하나의 접속단자와 선대칭할 경우에 정전용량이 커지게 되어 누화가 발생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접속단자의 쌍을 이루는 나머지 하나인 제 2접속단자는 ∪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일단에는 상기 터미널블록(30)의 수용슬롯(36)내의 접속단자와 접속되는 접속부(62')와, 상기 접속부(62')의 하단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된 지지부(64')와, 상기 지지부(64')의 일단이 그 하단에 직각으로 절곡되어 연결되고 그 중앙 소정부에 V형 접속슬롯(68')이 마련된 단자부(66')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부(64')는 그 일단 소정부에서 일정각도로 절곡되어 있는 바, 이는 제 1접속단자와 선대칭할 경우에 정전용량이 커지게 되어 누화가 발생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접속단자(60)의 쌍을 이루는 각각의 접속단자 외형이 '∪'자와 '∩'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64,64')간의 이격거리를 크게 하기 위한 것이며, 이를 통하여 하나의 접속단자와 이웃하는 접속단자간의 정전용량이 감소되어 누화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단자의 누화방지구조는 단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단자의 누화방지구조에 의하면 외부 하드웨어와 접속되어 기기내측으로 데이터를 인가시키는 커넥터에서 그 커넥터 단자를 인접하는 단자와 소정 거리이상 이격시키고 단자의 소정부분을 절곡시킴으로써 인접하는 단자와의 사이에서 발생되는 정전용량값을 감소시켜면 누화가 방지되어 견실한 데이터의 전송이 이루어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인쇄기판의 일측에 접속되어 그 타측의 모듈러잭(20)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그 내부에 접속단자를 수용하는 수용슬롯(36)과 다수의 가이드돌기(34)가 형성된 터미널블록(30)과, 그 터미널블록(30)의 가이드돌기(34)와 결합되는 삽입구(42)가 그 일단에 형성되며 그 삽입구(42)의 내측 상하면에 다수의 슬롯(44,46)이 형성된 커넥터하우징(40)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하우징(40)의 슬롯(44,46)에 삽입되며, 그 외형이 ∩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일단에는 상기 터미널블록(30)의 수용슬롯(36)내의 접속단자와 접속되는 접속부(62)와, 상기 접속부(62)의 상단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된 지지부(64)와, 상기 지지부(64)의 일단이 그 상측에 직각으로 절곡되어 연결되고 그 중앙 소정부에 V형 접속슬롯(68)이 마련된 단자부(66)로 이루어진 제 1접속단자와;
    상기 제 1접속단자에 이웃하여 하나의 쌍(Pair)을 이루며, 그 외형이 ∪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일단에는 상기 터미널블록(30)의 수용슬롯(36)내의 접속단자와 접속되는 접속부(62')와, 상기 접속부(62')의 하단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된 지지부(64')와, 상기 지지부(64')의 일단이 그 하단에 직각으로 절곡되어 연결되고 그 중앙 소정부에 V형 접속슬롯(68')이 마련된 단자부(66')로 이루어진 제 2접속단자로 구성되어 누화를 방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단자의 누화방지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자는 각각 인접된 쌍의 상기 지지부(64,64')를 다른 층으로 배열함으로서 인접된 쌍의 접속단자간의 정전용량을 감소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단자의 누화방지구조.
  3. 삭제
KR1019990062176A 1999-12-24 1999-12-24 커넥터 단자의 누화방지구조 KR1003352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2176A KR100335220B1 (ko) 1999-12-24 1999-12-24 커넥터 단자의 누화방지구조
KR2019990030388U KR200197422Y1 (ko) 1999-12-24 1999-12-30 커넥터 단자의 누화방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2176A KR100335220B1 (ko) 1999-12-24 1999-12-24 커넥터 단자의 누화방지구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30388U Division KR200197422Y1 (ko) 1999-12-24 1999-12-30 커넥터 단자의 누화방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0115A KR20000030115A (ko) 2000-06-05
KR100335220B1 true KR100335220B1 (ko) 2002-05-13

Family

ID=19629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2176A KR100335220B1 (ko) 1999-12-24 1999-12-24 커넥터 단자의 누화방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52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2468B1 (ko) * 2001-03-28 2007-04-27 주식회사 케이티 전기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0115A (ko) 2000-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94461A (en) Terminal block for high transmission rates in the telecommunication and data technique
US6250935B1 (en) Electrical connector
US7553196B2 (en) Telecommunications jack assembly
KR101021025B1 (ko) 콘택트 플레이트를 갖는 전기 커넥터
CA2262727C (en) Low crosstalk connector configuration
EP0607920B1 (en) Electrical connector for power and signal contacts
EP2089889B1 (en) Modular connector with reduced termination variability
EP0519196B1 (en) A terminal block for printed circuit boards
US5921818A (en) Low crosstalk electrical connector
EP0971444A1 (en) Modular plug having a circuit board
US5120235A (en)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TWI424630B (zh) 具有放大的插座介面之模組電氣連接器
US6193526B1 (en) Wiring unit with angled insulation displacement contacts
JPH11224741A (ja) モジュラープラグ
GB2273397A (en) Electrical connectors
JPH11508723A (ja) パッチコード組立体
JP2005523567A (ja) ケーブルの末端に装着して用いるモジュラ・プラグ
JP2009529764A (ja) クロストーク最適化コンタクトアレーを有するリセプタクル
US6183306B1 (en) Staggered interface contacts
RU2174275C2 (ru) Подсоединительная колодка для высокоскоростной передачи информации
US6332802B2 (en) Modular plug and harnessed plug
WO2014150805A1 (en) Multi-surface contact plug assemblies, systems and methods
JPH10233240A (ja) 自動的に千鳥配列状態に配置されたワイヤを備えたモジュラプラグコネクタ
US5902146A (en) Modular plug guide plate
US20030082954A1 (en) Cross-talk reduced modular ja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4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8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0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6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