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0403B1 - 단락 커넥터 - Google Patents

단락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0403B1
KR100810403B1 KR1020060039131A KR20060039131A KR100810403B1 KR 100810403 B1 KR100810403 B1 KR 100810403B1 KR 1020060039131 A KR1020060039131 A KR 1020060039131A KR 20060039131 A KR20060039131 A KR 20060039131A KR 100810403 B1 KR100810403 B1 KR 1008104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housing
contact
insulating housing
male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9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4642A (ko
Inventor
야스유끼 와다
Original Assignee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146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46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04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04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05Two-pole devices
    • H01R33/06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7Soldering or w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외부 전극관 형광 램프(EEFL관)를 이용한 백라이트의 전원 회로를 구성하는 인버터 기판에 대한 접속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단락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절연 하우징(21)에 수용된 2극의 핀 콘택트(31, 31)가 하우징(21)의 개구부(23)를 향해 거의 평행하게 돌출하는 2개의 접촉핀부(32, 32)와, 하우징(21)으로부터 연장되어 프린트 배선판에 납땜되는 2개의 리드부(34, 34)를 갖고, 접촉핀부(32)와 리드부(34)와의 중간 부분(33)이 접속 부재(36)에 의해 일체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단락 구조의 콘택트(22)를 구비한 수 커넥터(20)이다.
절연 하우징, 핀 콘택트, 하우징, 리드부, 접속 부재, 수 커넥터

Description

단락 커넥터 {SHORT-CIRCUIT CONNECTOR}
도1은 본 발명에 관한 단락 구조의 수 커넥터(단락 커넥터)의 평면도.
도2는 상기 수 커넥터의 정면도.
도3은 상기 수 커넥터의 측면도.
도4는 도2의 4-4선에 따르는 단면도.
도5는 도2의 5-5선에 따르는 단면도.
도6은 도3의 6-6선에 따르는 단면도.
도7은 상기 수 커넥터의 콘택트의 사시도.
도8은 전선을 접속한 암 커넥터(소켓 커넥터)를 도시하고 있고, (a)는 평면도, (b)는 측면도.
도9는 상기 암 커넥터와 수 커넥터의 끼워 맞춤 접속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a)는 종단측면도, (b)는 평면도.
도10은 외부 전극관 형광 램프(EEFL관)를 이용한 백라이트의 회로 구성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11은 냉음극관 형광 램프(CCFL관)를 이용한 백라이트의 회로 구성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냉음극관 형광 램프(CCFL관)
2 : 전극
3 : 인버터 기판
5 : 전선
6 : 암 커넥터
10 : 외부 전극관 형광 램프(EEFL관)
11 : 외부 전극
12 : 릴레이 기판
13 : 도전성 패턴
14 : 단자 금구
15 : 전선
20 : 수 커넥터(단락 커넥터)
21 : 절연 하우징
22 : 단락 구조의 콘택트
23 : 개구부
24 : 후방측벽
28 : 삽통 구멍
29 : 끼워 맞춤 홈
31 : 핀 콘택트
32 : 접촉핀부
33 : 중간 부분
34 : 리드부
35 : 납땜 부분
36 : 접속 부재
41 : 절연 하우징
43 : 소켓 콘택트
46 : 탄성 로크 아암
[문헌 1] 일본 특허 제3254188호 공보
[문헌 2] 일본 특허 제3262726호 공보
본 발명은, 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 등의 액정 화면의 광원이 되는 백라이트의 전원 회로를 구성하는 인버터 기판에 실장하는 데 적합한 단락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퍼스널 컴퓨터 등의 액정 화면의 광원이 되는 백라이트에는,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냉음극 형광 램프(CCFL관)(1)를 배열한 것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CCFL관(1)은 양단부에 핀형 전극(2, 2)을 갖고, 전원 회로를 구성하는 1매의 인버터 기판(프린트 배선판)(3)에 개별로 접속되어 있다. 각 CCFL관(1)을 각 인버터 기판(3)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전기 커넥터에는,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혹은 특허 문헌 2 등에 개시되어 있는 커넥터가 이용되고 있다. 그 세부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지만, 절연 하우징에 2개의 핀 콘택트가 병렬하여 수용되고, 그 2개의 리드부를 인버터 기판(3)에 납땜하여 표면 실장된 수 커넥터(4)와, 2개의 전선(5, 5) 단부에 접속된 한 쌍의 소켓 콘택트를 절연 하우징에 병렬하여 수용한 암 커넥터(6)로 이루어지고, 2개의 전선(5, 5)의 타단부를 CCFL관(1)의 핀형 전극(2, 2)에 납땜(7, 7)하여 접속하고, 암 커넥터(6)를 수 커넥터(4)에 끼워 맞춤 접속하여 각 CCFL관(1)이 개별로 1매의 인버터 기판(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회로 구성에서는 1개의 CCFL관(1)에 관해 인버터 기판(3)이 1매와, 한 쌍의 수 커넥터(4), 암 커넥터(6)를 이용하므로, 전체적으로 다수의 인버터 기판(3)과, 다수의 수 커넥터(4) 및 암 커넥터(6)를 필요로 하여 비용이 높아진다. 또한, 각 CCFL관(1)의 핀형 전극(2, 2)에 전선(5, 5)을 납땜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납땜 작업에 시간이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최근, 이러한 종류의 백라이트로서, 종래의 CCFL관(1) 대신에,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은 외부 전극 형광 램프(EEFL관)(10)가 사용되도록 되었다. 상기 EEFL관(10)은 Ne 가스 및 Ar 가스 등을 봉입한 가늘고 긴 유리관의 양단부에 캡형 외부 전극(11, 11)을 피복한 구조를 갖고 있고, 도10은 상기 EEFL관(10)을 이용하여 백라이트의 전원 회로를 구성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EEFL관(10)을 이용한 회로 구성에서는, 각 EEFL관(10) 사이의 접속은 병렬 회로가 되고, 다수의 EEFL관(10)을 배열한 백라이트인 경우라도, 인버터 기판(3)은 2매만으로 하여 비용 삭감이 높아진다. 각 EEFL관(10)의 외부 전극(11, 11)은 릴레이 기판(12, 12)의 도전성 패턴(13, 13)으로 병렬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단자 금구(14, 14)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 넣어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전성 패턴(13, 13)에는 2개의 전선(15, 15)이 납땜 또는 단자를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회로 구성으로 함으로써 조립 작업성 및 비용 삭감이 높아지고, 또한 EEFL관(10)의 교환 작업이 용이하게 되는 등 많은 이점이 있다.
상기의 회로 구성에 있어서, 각 EEFL관(10)의 전극(11, 11)에 병렬 회로로 접속한 2개의 전선(15, 15)은 각각 인버터 기판(3, 3)에 개별로 접속하기 위해, 실질적으로는 1개의 전선(15)을 1극의 전기 커넥터를 이용하여 인버터 기판(3)에 접속하면 좋게 된다. 그러나, 1극의 전기 커넥터를 이용하여 1개의 전선(15)을 인버터 기판(3)에 접속하면, 커넥터의 접촉 불량이나 전선 끊김 등이 생긴 경우, 갑자기 백라이트가 동작 불량을 일으켜 신뢰성의 점에서 문제가 있다. 그래서,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EEFL관(10)의 전극(11, 11)에 병렬 회로로 접속한 2개의 전선(15, 15)을 각 인버터 기판(3)에 접속하면, 전술한 동작 불량을 방지하여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제3254188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제3262726호 공보
본 발명은, 도10에 도시한 회로 구성에 있어서의 2개의 전선(15, 15)을 인버터 기판(3)에 접속하는 데 적합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2개의 전선(15, 15)의 단부에 접속하는 암 커넥터는, 도11에 도시한 종래의 냉음극 형광 램프(CCFL관)(1)를 이용한 회로 구성에 있어서 2개의 전선(5, 5) 단부에 접속한 기존의 암 커넥터(6)를 그대로 이용하고, 상기 암 커넥터(6)가 끼워 맞춤 접속하는 수 커넥터(4)를 개량하여 인버터 기판(3)에 대한 접속 신뢰성을 높인 단락 커넥터를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절연 하우징에 수용된 2극의 핀 콘택트가, 상기 절연 하우징의 개구부를 향해 거의 평행하게 돌출하는 2개의 접촉핀부와, 상기 2개의 접촉핀부에 대응하여 마련되고, 상기 절연 하우징으로부터 연장되어 프린트 배선판에 납땜되는 2개의 리드부를 갖고, 상기 접촉핀부와 상기 리드부와의 중간 부분이 접속 부재에 의해 일체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단락 구조의 콘택트를 구비한 수 커넥터이며, 2개의 전선 단부에 접속된 한 쌍의 소켓 콘택트를 절연 하우징에 수용한 암 커넥터가, 상기 개구부에 삽입하여, 상기 한 쌍의 소켓 콘택트와 상기 2개의 접촉핀부가 끼워 맞춤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락 커넥터이다.
상기 2개의 리드부는, 서로 횡외측방으로 굴곡하여 연장되고, 그 납땜 부분이 상기 수 커넥터의 절연 하우징의 바닥부 후단부의 양쪽 코너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수 커넥터의 절연 하우징의 바닥부 전단부의 양쪽 코너에 보강 탭이 마련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 커넥터의 절연 하우징의 후방측벽에 상기 2개의 접촉핀부가 관통하는 삽통 구멍과, 상기 연결 부재가 끼워 맞추어 보유 지지되는 끼워 맞춤 홈이 마련되어 있고, 2개의 핀 콘택트가 상기 연결 부재를 통해 일체로 구성된 단락 구조의 상기 콘택트가, 상기 수 커넥터의 절연 하우징에 안정된 자세로 조립 부착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도1 내지 도3은, 본 발명에 관한 단락 구조의 수 커넥터(단락 커넥터)(20)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수 커넥터(20)는 편평한 사각통 형상의 절연 하우징(21)과, 상기 절연 하우징(21)에 수용하여 배치된 단락 구조의 콘택트(22)로 이루어지고 있다.
절연 하우징(21)은, 도4 및 도6에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단부에 개구부(23)를 갖고, 후방측벽(24)의 중앙 부분으로부터 개구부(23)를 향해 돌출하는 격벽(25)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격벽(25)은 후술하는 2개의 핀 콘택트(31, 31)의 접촉핀부(32, 32)의 중간에 배치되고, 양쪽 접촉핀(32, 32)의 선단부보다 길게 연장되어 있다. 또, 후방측벽(24)에 인접하는 양측벽(26, 26)의 내측면에는 후술하는 암 커넥터(6)의 계지 돌기 부재(45, 45)를 결합시키는 계지 홈(27, 27)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후방측벽(24)에는 양쪽 접촉핀부(32, 32)가 관통하는 삽통 구멍(28, 28)과, 후술하는 콘택트(22)의 접속 부재(36)가 끼워 맞추어 보유 지지되는 끼워 맞춤 홈(29)이 마련되고, 양쪽 삽통 구멍(28, 28)은 끼워 맞춤 홈(29)의 양단부 부분에 연통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21)의 전단부 상면의 양측에, 후술하는 암 커넥터(6)의 절연 하우징(41)을 계지 고정하는 계지 돌기부(30, 30)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콘택트(22)는 황동판 등의 도전성 금속 박판을 펀칭 굽힘 가공하여 만들어지고, 도7에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2극의 핀 콘택트(31, 31)가 일체로 성형된 구조를 갖고 있다. 각 핀 콘택트(31)는 접촉핀부(32)와, 상기 접촉핀부(32)의 기단부에 연속 설치된 중간 부분(33)과, 상기 중간부(33)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마련된 리드부(34)와, 상기 리드부(34)의 단부에 형성된 납땜 부분(35)을 갖고 있고, 양쪽 핀 콘택트(31, 31)의 중간 부분(33)을 접속 부재(36)에 의해 일체적으로 접속하여 단락 구조의 콘택트(22)로 한 것이다. 리드부(34)는 횡외측방으로 굴곡하여 연장되고, 그 단부에 납땜 부분(35)이 후방으로 돌출한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조의 콘택트(22)는 절연 하우징(21)의 후방부로부터 조립 부착되고, 양쪽 접촉핀(32, 32)을 후방측벽(24)의 삽통 구멍(28, 28)에 삽입 관통하여 하우징(21)의 개구부(23)를 향해 거의 평행하게 돌출시키는 동시에, 중간 부분(33, 33)과 접속 부재(36)를 끼워 맞춤 홈(29)에 끼워 맞추어 보유 지지시키는 동시에, 중간 부분(33, 33)의 외측면으로 돌출 설치한 돌기(37, 37)를 하우징(21)에 압입시킴으로써, 콘택트(22)를 하우징(21)에 고정하여 단락 구조의 수 커넥터(단락 커넥터)(20)가 완성된다. 상기 수 커넥터(20)의 리드부(34, 34)는 하우징(21)의 후방부로부터 연장되고, 그 납땜 부분(35, 35)이 하우징(21)의 바닥부 후단부의 양쪽 코너 근방에 있어서 하우징 바닥면과 거의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21)의 전단부 양측벽에는 보강 탭(보강 금구)(38, 38)이 끼워 삽입되고, 하우징 바닥면과 거의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한 단락 구조의 수 커넥터(20)는,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2매의 인버터 기판(3, 3)에 양쪽 핀 콘택트(31, 31)의 양쪽 납땜 부분(35, 35)과 양쪽 보강 탭(38, 38)을 납땜하여 표면 실장한다.
한편, 수 커넥터(20)에 끼워 맞춤 접속하는 암 커넥터(6)는, 상술한 바와 같이 기존의 것과 마찬가지이며, 세부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지만,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연 하우징(41)의 전반 부분에 한 쌍의 통형체(42, 42)가 2갈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각 통형체(42, 42)에 도10에 도시한 전선(5)과 보조 전선(9)의 단부에 접속한 한 쌍의 소켓 콘택트(43, 43)가 개별적으로 격리 수용되어 있는 구조를 갖고, 각 통형체(42, 42)의 전단부에는 핀 콘택트(31)의 접촉핀부(32)가 삽입되는 개구(44, 4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양쪽 통형체(42, 42)의 전단부 외측면에는 수 커넥터(20)의 하우징(21)의 내측에 마련한 계지 홈(27, 27)에 결합하는 계지 돌기 부재(45, 45)가 설치되어 있다. 절연 하우징(41)의 상면에는, 후단부로부터 전단부를 향해 연장되는 탄성 로크 아암(46)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로크 아암(46)은 후단부가 하우징(41)의 후단부 상면의 돌출 설치한 설치대부(47)에 고정 부착되고, 하우징(41)의 상면 사이에 일정한 간극[수 커넥터(20)의 하우징(21)의 상부벽의 두께보다 매우 큰 간극]을 마련하여 전단부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로크 아암(46)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절결 구멍(48, 48)을 마련하여 횡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또한 로크 아암(46)의 양쪽 외측면에는 수 커넥터(20)의 하우징(21)의 전단부 양측으로 돌출 설치한 계지 돌기부(30, 30)에 결합하는 계지 갈고리(49, 49)가 설치되어 있다.
도10에 도시한 회로 구성에 있어서, 2개의 전선(15, 15)의 단부가 소켓 콘택트(43, 43)에 접속되어 있는 암 커넥터(소켓 커넥터)(6)의 하우징(41)을 인버터 기판(3)에 표면 실장되어 있는 수 커넥터(20)의 하우징(21)의 개구부(23)로부터 삽입하는 동시에, 로크 아암(46)을 하우징(21)의 상면에 따르도록 결합시키면, 도9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핀 콘택트(31, 31)의 접촉핀부(32, 32)가 소켓 콘택트(43, 43)에 끼워 맞추어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각 EEFL관(10)은 2개의 전선(15, 15)을 통해, 암 커넥터(6)와 수 커넥터(20)를 통해 인버터 기판(3)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한편, 끼워 맞춤 접속시에 로크 아암(46)의 양쪽 계지 갈고리(49, 49)가 하우징(21)의 양쪽 계지 돌기부(30, 30)에 접촉하면, 탄성 로크 아암(46)이 횡방향 내측으로 탄성 변형하여 양쪽 계지 갈고리(49, 49)가 계지 돌기부(30, 30)를 타고 넘는다. 그리고, 계지 돌기부(30, 30)를 타고 넘은 양쪽 계지 갈고리(49, 49)가 로크 아암(46)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양쪽 계지 돌기부(30, 30)에 계지 보유 지지되었을 때 클릭감으로 암 커넥터(6)와 수 커넥터(20)가 바르게 끼워 맞춤 상태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도9의 (b) 참조].
상기와 같은 끼워 맞춤 접속에 있어서, 각 EEFL관(10)의 외부 전극(11, 11)에 접속한 2개의 전선(15, 15)은 인버터 기판(3)에 실장된 수 커넥터(20)의 콘택트(22)에 단락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한 쪽의 전선(15)에 커넥터와의 접촉 불량이나, 전선 끊김 등이 생길 우려가 있어도, 다른 쪽의 전선(15)에 의해 보충하여 동작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단락 커넥터는 2극의 핀 콘택트가 접속 부재에 의해 일체적으로 접속된 단락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한 쪽 핀 콘택트에 끼워 맞춤 접속한 소켓 콘택트와의 접촉 불량이나, 상기 소켓 콘택트에 접속한 전선이 절단하는 것이 있어도, 다른 쪽 핀 콘택트에 끼워 맞춤 접속한 소켓 콘택트 및 전선에 의해 동작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각 핀 콘택트의 리드부를 프린트 배선판으로 단락 접속하는 경우에 비해, 패턴에 대한 부하나 패턴 끊김 등의 문제가 없기 때문에, 신뢰성의 점에서도 우수하다.
또한, 2극의 핀 콘택트를 갖는 콘택트 자체가 일체 구조이므로, 각 핀 콘택트 리드부의 납땜 부분을 동일면 상에 배치시키기 쉬워 안정된 납땜이 가능해지고, 작업성이 우수한 동시에 절연 하우징에 대한 조립이 1행정만이므로, 비용 다운이 도모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단락 커넥터와 기존의 암 커넥터(6)를, 상술한 바와 같이 외부 전극 형광 램프(EEFL관)(10)를 배열하여 구성한 백라이트와, 그 전원 회로를 구성하는 인버터 기판과의 접속에 사용하면, 인버터 기판 및 커넥터의 사용 개수를 삭감할 수 있고, 기존의 암 커넥터(6)를 사용함으로써 비용 삭감과 더불어, 조립 작업성과 비용 삭감을 대폭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6)

  1. 절연 하우징에 수용된 2극의 핀 콘택트가, 상기 절연 하우징의 개구부를 향해 평행하게 돌출하는 2개의 접촉핀부와, 상기 2개의 접촉핀부에 대응하여 마련되고, 상기 절연 하우징으로부터 연장되어 프린트 배선판에 납땜되는 2개의 리드부를 갖고, 상기 접촉핀부와 상기 리드부와의 중간 부분이 접속 부재에 의해 일체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단락 구조의 콘택트를 구비한 수 커넥터이며,
    2개의 전선 단부에 접속된 한 쌍의 소켓 콘택트를 절연 하우징에 수용한 암 커넥터가, 상기 개구부에 삽입하여, 상기 한 쌍의 소켓 콘택트와 상기 2개의 접촉핀부가 끼워 맞춤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락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리드부는 서로 횡외측방으로 굴곡하여 연장되고, 그 납땜 부분이 상기 수 커넥터의 절연 하우징의 바닥부 후단부의 양쪽 코너에 배치되어 있는 단락 커넥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 커넥터의 절연 하우징의 바닥부 전단부의 양쪽 코너에 보강 탭이 마련되어 있는 단락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 커넥터의 절연 하우징의 후방측벽에 상기 2개의 접촉핀부가 관통하는 삽통 구멍과, 상기 접속 부재가 끼워 맞추어 보유 지지되는 끼워 맞춤 홈이 마련되어 있는 단락 커넥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 커넥터의 절연 하우징의 후방측벽에 상기 2개의 접촉핀부가 관통하는 삽통 구멍과, 상기 접속 부재가 끼워 맞추어 보유 지지되는 끼워 맞춤 홈이 마련되어 있는 단락 커넥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 커넥터의 절연 하우징의 후방측벽에 상기 2개의 접촉핀부가 관통하는 삽통 구멍과, 상기 접속 부재가 끼워 맞추어 보유 지지되는 끼워 맞춤 홈이 마련되어 있는 단락 커넥터.
KR1020060039131A 2005-05-02 2006-05-01 단락 커넥터 KR1008104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133848 2005-05-02
JP2005133848A JP2006310208A (ja) 2005-05-02 2005-05-02 短絡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4642A KR20060114642A (ko) 2006-11-07
KR100810403B1 true KR100810403B1 (ko) 2008-03-04

Family

ID=37297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9131A KR100810403B1 (ko) 2005-05-02 2006-05-01 단락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6310208A (ko)
KR (1) KR100810403B1 (ko)
CN (1) CN1858940A (ko)
TW (1) TWI32939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08487B2 (ja) * 2009-07-06 2011-06-2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インバータ装置用中継接続部材
US8995133B2 (en) 2012-10-31 2015-03-31 Deere & Company Electrical connection assembly
US9410990B2 (en) 2013-03-08 2016-08-09 Deere & Company Method and sensor for sensing current in a conductor
CN105207032B (zh) * 2015-09-28 2018-03-02 深圳盛凌电子股份有限公司 电子设备及其免焊接桥接型连接器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36799A (en) 1987-03-04 1989-06-06 Tomer Jitendra P Electrical cable connector
JPH0645031A (ja) * 1992-07-27 1994-02-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短絡機能付きコネクタ
JPH0864309A (ja) * 1994-08-25 1996-03-08 Sumitomo Wiring Syst Ltd 短絡コネクタ
JPH0955264A (ja) * 1995-08-13 1997-02-25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嵌合ロック確認型電気コネクタ
JP2003017166A (ja) 2001-06-29 2003-01-17 Toshiba Corp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回路基板用コネクタ、これを備えたヘッドアクチュエータ、およびディスク装置
KR200347660Y1 (ko) 2003-12-31 2004-04-13 (주)마루스솔루션 접속력 향상구조를 갖는 전기접속기용 커넥터
JP2004327321A (ja) 2003-04-25 2004-11-18 Jst Mfg Co Ltd 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36799A (en) 1987-03-04 1989-06-06 Tomer Jitendra P Electrical cable connector
JPH0645031A (ja) * 1992-07-27 1994-02-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短絡機能付きコネクタ
JPH0864309A (ja) * 1994-08-25 1996-03-08 Sumitomo Wiring Syst Ltd 短絡コネクタ
JPH0955264A (ja) * 1995-08-13 1997-02-25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嵌合ロック確認型電気コネクタ
JP2003017166A (ja) 2001-06-29 2003-01-17 Toshiba Corp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回路基板用コネクタ、これを備えたヘッドアクチュエータ、およびディスク装置
JP2004327321A (ja) 2003-04-25 2004-11-18 Jst Mfg Co Ltd コネクタ
KR200347660Y1 (ko) 2003-12-31 2004-04-13 (주)마루스솔루션 접속력 향상구조를 갖는 전기접속기용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310208A (ja) 2006-11-09
TWI329395B (en) 2010-08-21
KR20060114642A (ko) 2006-11-07
CN1858940A (zh) 2006-11-08
TW200717937A (en) 2007-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820114B (zh) 电连接器
KR100570581B1 (ko) 고전압용 커넥터
KR100327718B1 (ko) 금속쉘에의해형성된결합부분을가지는전기접속기
JP3262726B2 (ja) コネクタ
JP3227138B2 (ja) 高電圧用コネクタ
KR20180077069A (ko) 전기 커넥터
JP2006269169A (ja) 基板接続用コネクタ
KR100810403B1 (ko) 단락 커넥터
JP2011146210A (ja) 電気コネクタ
KR100794082B1 (ko) 고전압용 베이스 커넥터 및 소켓 커넥터
KR100580426B1 (ko) 프린트 배선판용 커넥터
JP4331990B2 (ja) コネクタおよ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KR20020056351A (ko) 두 인쇄회로기판 통전용 커넥터 어셈블리
CN216312105U (zh) 一种pcb端子组装的转接结构、车灯组件和汽车
US20050079754A1 (en) Insulation displacement terminal
KR20000071325A (ko) 압전 트랜스 수용 케이스와 상기 수용 케이스에 접속하는전선 접속용 베이스 커넥터 및 소켓 커넥터
CN111947056A (zh) 一种灯条、背光模组及显示设备
KR100463641B1 (ko) 커넥터
KR100647226B1 (ko) 인쇄회로기판용 커넥터 핀
JP2000082514A (ja) 電気配線板の接続構造
JP2009259585A (ja) コネクタ及びこれを用いた多連コネクタ
JP2009259506A (ja) 多連コネクタ
KR20100008288A (ko) 기판실장형 커넥터 어셈블리
KR20090124802A (ko) 기판실장형 터미널
KR20100000782U (ko) 기판실장형 커넥터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