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6775B1 -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6775B1
KR101606775B1 KR1020120123692A KR20120123692A KR101606775B1 KR 101606775 B1 KR101606775 B1 KR 101606775B1 KR 1020120123692 A KR1020120123692 A KR 1020120123692A KR 20120123692 A KR20120123692 A KR 20120123692A KR 101606775 B1 KR101606775 B1 KR 1016067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bent
circuit board
plate por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3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7053A (ko
Inventor
이수주
김지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후성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후성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후성테크
Priority to KR10201201236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6775B1/ko
Publication of KR20140057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70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67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67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4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with contacts abutting directly the printed circuit; Button contacts therefore provided on the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Abstract

전기 커넥터가 개시된다. 개시된 전기 커넥터는 제1 회로기판과 제2 회로기판을 서로 연결하기 위해 상기 제1 회로기판의 일단부에 장착되는 커넥터에 있어서, 대응 커넥터의 삽입을 위한 삽입공간이 형성된 하우징-상기 대응 커넥터는 상기 제2 회로기판의 일단부에 장착되고 상기 삽입공간에 제1 방향으로 삽입됨-; 및 상기 제1 방향에 마주보는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어 상기 대응 커넥터의 접촉자와 접촉되는 터미널;을 포함하되, 상기 터미널은, 상기 제1 회로기판에 평행하게 형성되는 고정 플레이트부; 및 상기 고정 플레이트부의 일부분에서 상기 제1 방향에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 플레이트부의 하부로 절곡되는 복수의 절곡부를 통해 반복적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대응 커넥터의 접촉자와 적어도 하나의 접촉점에서 접촉되는 접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커넥터의 제조 공정을 간소화하고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전기 커넥터{ELECTRIC CONNECTOR}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커넥터의 제조 공정을 간소화하고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LED(Light Emitting Diode) TV는 고밀도 광원이 요구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백라이트로 사용되는 회로기판에 많은 수의 LED가 배열되게 된다.
그리고, LED TV의 설계 측면에서, LED가 배열된 회로기판, 즉, LED 모듈은 상호간 서로 연결될 필요성이 있다.
이때, 기존의 LED 모듈간 연결을 위한 커넥터에서는 커넥터간 결합이 견고하지 못하고, 쉽게 착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또한, LED 모듈간 전기적 통로 역할을 하는 터미널도 상호간 접촉의 안정성이 보장될 만큼의 안정적인 구조를 갖지 못하고 있었으며, 회로기판과의 솔더링 면적이 협소하여 강도가 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플러그 커넥터(수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암커넥터)를 LED 모듈 상호간 연결을 위한 커넥터로 사용하는 것을 상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전자제품의 소형화 추세에 따른 터미널간 피치 제한에 의해, 제조 공정이 늘어나거나 제조 비용의 증가가 수반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커넥터의 제조 공정을 간소화하고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전기 커넥터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에 의해 도출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회로기판과 제2 회로기판을 서로 연결하기 위해 상기 제1 회로기판의 일단부에 장착되는 커넥터에 있어서, 대응 커넥터의 삽입을 위한 삽입공간이 형성된 하우징-상기 대응 커넥터는 상기 제2 회로기판의 일단부에 장착되고 상기 삽입공간에 제1 방향으로 삽입됨-; 및 상기 제1 방향에 마주보는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어 상기 대응 커넥터의 접촉자와 접촉되는 터미널;을 포함하되, 상기 터미널은, 상기 제1 회로기판에 평행하게 형성되는 고정 플레이트부; 및 상기 고정 플레이트부의 일부분에서 상기 제1 방향에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 플레이트부의 하부로 절곡되는 복수의 절곡부를 통해 반복적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대응 커넥터의 접촉자와 적어도 하나의 접촉점에서 접촉되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커넥터가 제공된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고정 플레이트부가 삽입되어 고정되기 위한 삽입홈; 및 상기 접촉부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을 포함하되, 상기 삽입홈과 수용홈은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수용홈과 서로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제1 방향에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 플레이트부의 하부로 절곡되는 제1 절곡부를 통하여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제1 탄성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구간에서 하부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대응 커넥터의 접촉자와 접촉되는 제1 접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 플레이트부의 하부로 절곡되는 제2 절곡부를 통하여 다시 상기 제1 방향에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제2 탄성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접촉부는, 상기 다시 제1 방향에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구간에서 상부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대응 커넥터의 접촉자와 접촉되는 제2 접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촉부는 상기 다시 제1 방향에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 플레이트부의 하부로 절곡되는 제3 절곡부를 통하여 다시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제3 탄성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접점부와 상기 제2 접점부는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접점부와 상기 제2 접점부 사이로 상기 대응 커넥터의 접촉자가 삽입되며, 상기 대응 커넥터의 접촉자의 상면에서 상기 제1 접점부와의 접촉이 이루어지고, 상기 대응 커넥터의 접촉자의 하면에서 상기 제2 접점부와의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터미널은, 상기 고정 플레이트부의 일단부에서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 회로기판에 솔더링되는 제1 리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미널은, 상기 고정 플레이트부의 타단부에서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 회로기판에 솔더링되는 제2 리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플레이트부는, 상기 대응 커넥터의 상기 삽입공간으로의 삽입 종료 시점에서 상기 대응 커넥터에 형성된 록킹돌기와 체결되는 록킹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제1 회로기판 및 제2 회로기판 각각의 길이방향과 서로 직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회로기판과 제2 회로기판을 서로 연결하기 위해 상기 제2 회로기판의 일단부에 장착되는 커넥터에 있어서, 대응 커넥터로의 삽입을 위한 삽입부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제2 방향으로 삽입되어 상기 대응 커넥터의 접촉자와 접촉되는 터미널;을 포함하되, 상기 터미널은, 상기 제2 회로기판에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제1 삽입홈으로 삽입 고정되는 제1 고정 플레이트부; 상기 제2 회로기판에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1 고정 플레이트부의 일단과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제2 삽입홈으로 삽입 고정되는 제2 고정 플레이트부; 상기 제1 고정 플레이트부의 일부분에서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상태에서, 상부로 절곡되는 제1 절곡부를 통하여 상기 제2 방향에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의 상기 대응 커넥터로의 삽입 종료 시점에서 상기 대응 커넥터와의 체결을 가능하게 하는 록킹레버부; 및 상기 제2 고정 플레이트부의 일부분에서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상태에서, 상부로 절곡되는 제2 절곡부를 통하여 상기 제2 방향에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대응 커넥터의 접촉자와 적어도 하나의 접촉점에서 접촉되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커넥터가 제공된다.
상기 제2 고정 플레이트부는 상기 제1 고정 플레이트부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록킹레버부는 상기 제1 절곡부를 통하여 상기 제2 방향에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탄성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록킹레버부는, 상기 제2 방향에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구간에서 상부로 돌출 형성되는 록킹돌기;를 포함하되, 상기 록킹돌기는 상기 삽입부의 상기 대응 커넥터로의 삽입 종료 시점에서 상기 대응 커넥터에 형성된 록킹홈과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제2 절곡부를 통하여 상기 제2 방향에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탄성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제2 방향에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구간의 단부에서 상부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터미널의 밀림을 방지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미널은, 상기 제1 고정 플레이트부의 일단부에서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2 회로기판에 솔더링되는 제1 리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미널은, 상기 제2 고정 플레이트부의 일단부에서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2 회로기판에 솔더링되는 제2 리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터미널 및 제2 터미널이 스트립에 연결된 터미널 캐리어에 있어서, 상기 제1 터미널 및 제2 터미널 각각은, 상기 스트립이 놓여지는 평면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고정 플레이트부; 및 상기 고정 플레이트부의 일부분에서 상기 캐리어 스트립에 직교하는 제1 방향으로만 연장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 플레이트부의 하부로 절곡되는 복수의 절곡부를 통해 반복적으로 절곡 형성되어 대응 커넥터의 접촉자와 적어도 하나의 접점에서 접촉하는 접촉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터미널 및 제2 터미널은 서로 좌우대칭 구조로 이루어지는 터미널 캐리어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커넥터의 제조 공정을 간소화하고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가 각각 제1 회로기판 및 제2 회로기판에 장착된 상태에 관한 평면도와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가 결합된 상태에 관한 평면도와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를 정면에서 바라본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를 정면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를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와 분해 사시도를 각각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를 저면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와 하우징의 배면도를 각각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의 터미널의 구조를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 플러그 커넥터가 삽입된 상태에 관한 단면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터미널 및 제2 터미널이 제1 회로기판에 솔더링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의 터미널이 하나의 터미널 캐리어에서 제조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를 정면에서 바라본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를 정면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를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와 분해 사시도를 각각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를 저면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와 하우징의 배면도를 각각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의 터미널의 구조를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가 리셉터클 커넥터에 삽입된 상태에 관한 단면도를 도시하는 도면이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터미널 및 제2 터미널이 제2 회로기판에 솔더링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의 터미널이 하나의 터미널 캐리어에서 제조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00)와 플러그 커넥터(200)가 각각 제1 회로기판(10) 및 제2 회로기판(20)에 장착된 상태에 관한 평면도와 측면도를 도시한다.
그리고, 도 2는 도 1의 리셉터클 커넥터(100)와 플러그 커넥터(200)가 결합된 상태에 관한 평면도와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리셉터클 커넥터(100)와 플러그 커넥터(200)는 각각 회로기판(10, 20)에 오프셋 타입으로 장착되고, 제1 회로기판(10) 및 제2 회로기판(20)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즉, 제1 방향)으로 서로 체결된다.
이때, 오프셋 타입은 회로기판의 일부가 제거된 영역에 커넥터가 장착되는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1 회로기판(10) 및 제2 회로기판(20)에는 각각 회로기판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LED와 같은 광원(미도시)이 배열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는 LED 모듈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로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회로기판 사이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에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회로기판간의 연결을 위한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의 제조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고,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이하, 도 3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00)와 플러그 커넥터(200)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리셉터클 커넥터(1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 이후 플러그 커넥터(200)를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리셉터클 커넥터(100)에 플러그 커넥터(200)가 결합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00)를 정면에서 바라본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4는 분해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00)를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와 분해 사시도를 각각 도시하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00)를 저면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와 하우징(110)의 배면도를 각각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100)는 하우징(110) 및 터미널(120a, 120b)을 포함한다.
먼저, 하우징(110)은 제1 회로기판(10)에 솔더링되는 터미널(120a, 120b)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고 대응 커넥터(즉, 플러그 커넥터(200))와의 체결을 위해 이용되는 것으로서, 합성수지재와 같은 절연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110)에는 플러그 커넥터(200)의 삽입을 위한 삽입공간(112)이 형성된다.
그리고, 하우징(110)에는 플러그 커넥터(200)가 리셉터클 커넥터(100)의 삽입공간(112)으로 삽입되는 방향(이하, '제1 방향'이라 함)에 마주보는 방향으로 하우징(110)에 삽입되는 터미널(120)을 위한 삽입홈(114) 및 수용홈(116)이 형성되게 된다.
이때, 삽입홈(114)과 수용홈(116)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하우징(110)에 형성되고, 삽입홈(114)의 적어도 일부는 수용홈(116)과 서로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소통 구조는 삽입홈(114)과 수용홈(116)으로 삽입되는 터미널(120)의 형상에 상응하여 형성되게 된다.
다음으로, 터미널(120a, 120b)은 삽입공간(112)으로 삽입되는 플러그 커넥터(200)의 접촉자와 접촉되어 제1 회로기판(10)과 제2 회로기판(20)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며, 전기전도성을 갖는 금속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터미널(120a, 120b)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방향에 마주보는 방향으로 하우징(110)에 삽입되어 대응하는 플러그 커넥터(200)의 접촉자와 접촉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터미널(120)이 서로 대칭적인 구조로 형성되는 제1 터미널(120a)과 제2 터미널(120b) 두 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터미널(120a)과 제2 터미널(120b)은 일체로 형성되어 하나의 터미널(120)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하,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의 터미널(120a, 120b)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제1 터미널(120a)과 제2 터미널(120b)은 대칭적인 구조로 형성되므로, 제1 터미널(120a)의 구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의 터미널(120a)의 구조를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의 터미널(120a)은 고정 플레이트부(122), 접촉부(124), 제1 리드부(126) 및 제2 리드부(128)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고정 플레이트부(122)는 제1 회로기판(10)에 평행하게 형성되고, 하우징(110)에 형성된 삽입홈(114)으로 삽입 고정된다.
이를 위해, 고정 플레이트부(122)의 높이와 하우징(110)의 삽입홈(114)의 높이는 서로 끼워 맞춰질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 플레이트부(122)에는 이하 설명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110)의 삽입공간(112)으로 삽입된 플러그 커넥터(200)와의 체결을 위한 록킹홈(1221)이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록킹홈(1221)은 플러그 커넥터(200)의 록킹돌기와 체결된다.
다음으로, 접촉부(124)는 고정 플레이트부(122)의 일부분에서 고정 플레이트부(122)의 하부로 연장 형성되고, 하우징(110)에 형성된 수용홈(116)으로 수용되어 플러그 커넥터(200)의 접촉자와 적어도 하나의 접촉점에서 접촉된다.
접촉부(124)는 이하 설명하는 바와 같이, 대응 커넥터의 접촉자와 보다 안정적으로 접촉되기 위한 탄성 구조를 가져야 하므로, 수용홈(116)의 너비는 접촉부(124)의 너비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촉부(124)는 고정 플레이트부(122)의 일부분에서 제1 방향에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고정 플레이트부(122)의 하부로 절곡되는 제1 절곡부(1241)를 통하여 제1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제1 탄성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접촉부(124)는 고정 플레이트부(122)의 하부로 절곡되는 제2 절곡부(1242)를 통하여 다시 제1 방향에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제2 탄성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제1 탄성 구조 및 제2 탄성 구조는 이하 설명하는 제3 탄성 구조와 함께, 접촉부(124)로 삽입되는 플러그 커넥터(200)의 접촉자와의 접촉을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에게 체결감을 전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탄성 구조, 제2 탄성 구조 및 제3 탄성 구조에 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촉부(124)가 전체적으로 하나의 탄성 구조를 갖는 것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제2 및 제3 탄성 구조 중 어느 하나에 의해서도 접촉부(124)에 탄성력이 주어질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계속하여, 접촉부(124)는 고정 플레이트부(122)의 하부로 절곡되는 제3 절곡부(1243)를 통하여 다시 제1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제3 탄성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요컨대, 접촉부(124)는 고정 플레이트부의 일부분에서 제1 방향에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상태에서 고정 플레이트부(122)의 하부로 연장 형성되되, 제1 절곡부(1241), 제2 절곡부(1242) 및 제3 절곡부(1243)를 통하여 제1 방향과 제1 방향에 마주보는 방향으로 반복하여 절곡되는 형상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접촉부(124)는 대응하는 플러그 커넥터(200)의 접촉자와 적어도 하나의 접촉점에서 접촉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접촉부(124)에서의 접촉점이 두 개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나의 접촉점 또는 세 개 이상의 접촉점에서 접촉할 수도 있다.
보다 상세하게, 접촉부(124)는 제1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구간에서 하부로 절곡 형성되어 플러그 커넥터(200)의 접촉자와 접촉되는 제1 접점부(1244) 및 다시 제1 방향에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구간에서 상부로 절곡 형성되어 플러그 커넥터(200)의 접촉자와 접촉되는 제2 접점부(1245)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접촉부(124)는 제1 절곡부(1241)와 제2 절곡부(1242) 사이에서 하부로 절곡 형성되는 제1 접점부(1244)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절곡부(1242)와 제3 절곡부(1243) 사이에서 상부로 절곡 형성되는 제2 접점부(124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접촉의 신뢰성 향상을 위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접점부(1244)와 제2 접점부(1245)는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어 접촉부(124)로 삽입되는 플러그 커넥터(200)의 접촉자와 접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00)에 플러그 커넥터(200)가 삽입된 상태에 관한 단면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된 제1 접점부(1244)와 제2 접점부(1245) 사이로 플러그 커넥터(200)의 접촉자가 삽입될 수 있고, 이 경우, 플러그 커넥터의 접촉자의 상면에서 제1 접점부(1244)와의 접촉이 이루어지고, 플러그 커넥터의 접촉자의 하면에서 제2 접점부(1245)와의 접촉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전체적인 탄성 구조로부터 대응 커넥터의 접촉자와 두 개의 접촉점에서 접촉하게 되고, 대응 커넥터의 접촉자의 높이에 무관하게 일정 정도 이상의 접촉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계속하여, 도 7을 참조하면, 제1 리드부(126)는 고정 플레이트부(122)의 일단부에서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제1 회로기판(10)에 솔더링된다.
그리고, 제2 리드부(128)는 고정 플레이트부(122)의 타단부에서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제1 회로기판(10)에 솔더링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120a)은 두 개의 리드부(126, 128)를 가질 수 있고, 이는 솔더링을 보다 견고히 하여 전기적 신호 전달의 안정성을 높인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터미널(120a) 및 제2 터미널(120b)이 제1 회로기판(10)에 솔더링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미널(120a 또는 120b)은 각각 두 개의 리드부(126, 128)를 포함할 수 있고, 넓은 솔더링 면적으로 인해 강도가 증가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고정 플레이트부(122), 접촉부(124), 제1 리드부(126) 및 제2 리드부(128)로 이루어지는 구조에 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120a, 120b)에 의하면, 리셉터클 커넥터(100)의 제조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고 제조 비용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이하,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120a, 120b)의 제조 공정에 대해 보다 상세히 살펴본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00)의 터미널(120a, 120b)이 하나의 터미널 캐리어에서 제조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미널(120a, 120b)은 하나의 캐리어 스트립(102)에 연결된 상태로 프레스 공정이나 타발 공정과 같은 일반적인 터미널 형성 공정에 따라 제조된다.
이때, 커넥터 설계 측면에서, 두 터미널 사이의 피치의 제한으로 인해, 통상적인 터미널의 구조에 따르면, 하나의 캐리어 스트립(102)에서 한번에 두 개의 터미널을 생산하는 것이 불가능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120a, 120b)은 하나의 캐리어 스트립(102)에서 일시에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앞서 설명한 고정 플레이트부(122), 접촉부(124) 및 리드부(126, 128)의 구성에 따라, 커넥터 설계상의 피치 제한을 만족시킴과 동시에 두 개의 터미널을 일시에 생산 가능하게 된다.
특히, 고정 플레이트부(122)의 일부분에서 제1 방향에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상태에서 고정 플레이트부(122)의 하부로 절곡되는 복수의 절곡부(1241, 1242, 1243)를 통해 제1 방향 및 제1 방향에 마주보는 방향으로 반복적으로 절곡 형성되는 접촉부(124)의 구조를 통해 하나의 캐리어 스트립(102)에서 두 개의 터미널(120a, 120b)을 동시에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요컨대, 접촉부(124)가 제1 방향에 마주보는 방향, 즉, 캐리어 스트립(102)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만 연장 형성된 상태에서 하부로 절곡됨으로써, 좁게 설계된 피치에서도 동시에 두 개의 터미널(120a, 120b)이 하나의 캐리어 스트립에 연결되어 제조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하나의 캐리어 스트립(102)에서 두 개의 터미널(120a, 120b)을 동시에 제조됨에 따라, 하우징(110)으로의 압입 공정 또한 한번에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00)에 따르면, 두 개의 터미널(120a, 120b)의 제조 및 하우징(110)으로의 압입이 각각 일시에 수행되어 제조 공정이 간소화될 수 있고, 비용 절감의 효과도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계속하여, 도 11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상기의 리셉터클 커넥터(100)에 대응하는 플러그 커넥터(200)의 상세한 구성을 설명한다. 한편, 플러그 커넥터(200)는 상기의 리셉터클 커넥터(100)와 결합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200)를 정면에서 바라본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12는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200)를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와 분해 사시도를 각각 도시하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200)를 저면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와 하우징(210)의 배면도를 각각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 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200)는 하우징(210) 및 터미널(220a, 220b)을 포함한다.
먼저, 플러그 커넥터(200)의 하우징(210)에는 대응 커넥터(즉, 리셉터클 커넥터(100))의 삽입을 위한 삽입부(212)가 형성된다.
그리고, 하우징(210)에는 하우징(210)에 제2 방향으로 삽입되는 터미널(220)을 위한 제1 삽입홈(214) 및 제2 삽입홈(216)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터미널(220a, 220b)이 하우징(210)으로 삽입되는 방향을 앞서 설명한 제1 방향과 대비하여 제2 방향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그러나, 제1 방향과 제2 방향은 일치할 수 있고, 본 발명에서 정의되는 제1 방향 및 제2 방향은 모두 회로기판(10, 20)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정된다.
다음으로, 플러그 커넥터(200)의 터미널(220a, 220b)은 하우징(210)에 제2 방향으로 삽입되어 대응 커넥터의 접촉자(즉, 리셉터클 커넥터(100)의 터미널(120))과 접촉된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터미널(220a, 220b)이 서로 대칭적인 구조로 형성되는 제1 터미널(220a)과 제2 터미널(220b) 두 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터미널(220a)과 제2 터미널(220b)은 일체로 형성되어 하나의 터미널(220)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하, 도 15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의 터미널(220a, 220b)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제1 터미널(220a)과 제2 터미널(220b)은 대칭적인 구조로 형성되므로, 제1 터미널(220a)의 구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의 터미널(220a)의 구조를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의 터미널(220a)은 제1 고정 플레이트부(221), 제2 고정 플레이트부(222), 록킹레버부(224), 접촉부(226), 제1 리드부(228) 및 제2 리드부(229)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제1 고정 플레이트부(221)는 제2 회로기판(20)에 평행하게 형성되고 하우징(210)에 형성된 제1 삽입홈(214)으로 삽입 고정된다.
그리고, 제2 고정 플레이트부(222)는 제2 회로기판(20)에 평행하게 형성되고 제1 고정 플레이트부(221)의 일단과 연결되며 하우징(210)에 형성된 제2 삽입홈(216)으로 삽입 고정된다.
이때, 제1 삽입홈(214) 및 제2 삽입홈(216)은 각각 제1 고정 플레이트부(221) 및 제2 고정 플레이트부(222)와 끼워 맞춰질 수 있도록 각각에 상응하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고정 플레이트부(222)는 제1 고정 플레이트부(221)의 하부로 절곡되어 제1 고정 플레이트부(221)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다음으로, 록킹레버(224)는 제1 고정 플레이트부(221)의 일부분에서 연장 형성되며, 하우징 삽입부(212)의 리셉터클 커넥터(100)로의 삽입 종료 시점에서 리셉터클 커넥터(100)와의 체결을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보다 상세하게, 록킹레버(224)는 제1 고정 플레이트부(221)의 일부분에서 제2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부로 절곡되는 제1 절곡부(2242)를 통하여 제2 방향에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탄성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탄성 구조는 사용자가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록킹레버(224)의 일단부를 눌러 플러그 커넥터(100)과 리셉터클 커넥터(200)의 해제를 가능하게 하고, 사용자의 힘이 제거되는 경우 록킹레버(224)의 형상이 원 상태로 복원될 수 있도록 한다.
체결 구조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록킹레버(224)는 제2 방향에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구간에서 상부로 돌출 형성되는 록킹돌기(2244)를 포함할 수 있다.
록킹돌기(2244)는 하우징 삽입부(212)의 리셉터클 커넥터(100)로의 삽입 종료 시점에서, 리셉터클 커넥터(100)에 형성된 록킹홈과 체결될 수 있으며(도 7의 도면번호 1221 참조), 이에 의해 플러그 커넥터(100)와 리셉터클 커넥터(200)의 체결이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하게,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200)가 리셉터클 커넥터(100)에 삽입된 상태에 관한 단면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 삽입부(212)의 리셉터클 커넥터(100)로의 삽입 종료 시점에서 록킹돌기(2244)는 리셉터클 커넥터(100)에 형성된 록킹홈(1221)과 체결되어 커넥터간 결합을 가능하게 한다.
이때, 록킹돌기(2244)는 록킹홈(1221)과 전기적으로 접촉될 수 있으며, 이는 이하 설명하는 플러그 커넥터의 접촉부(226)와 리셉터클 커넥터(100)의 접촉부(124) 사이의 전기적 접촉 외에 추가적인 접촉을 구성함으로써, 양 커넥터간 전기적 연결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계속하여, 도 15를 참조하면, 접촉부(226)는 제2 고정 플레이트부(222)의 일부분에서 연장 형성되며, 리셉터클 커넥터(100)의 접촉자와 적어도 하나의 접촉점에서 접촉된다.
보다 상세하게, 접촉부(226)는 제2 고정 플레이트부(222)의 일부분에서 제2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부로 절곡되는 제2 절곡부(2262)를 통하여 제2 방향에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탄성 구조를 갖는다.
앞서 설명한 도 8을 참조하여 접촉부(226)의 탄성 구조를 설명하면, 플러그 커넥터(200)가 리셉터클 커넥터(100)로 삽입될 때, 접촉부(226)는 리셉터클 커넥터(100)의 제1 접점부(1244)와 제2 접점부(1245) 사이로 삽입되게 된다.
그리고, 접촉부(226)의 제2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구간의 하면에서 제2 접점부(1245)와 접촉이 이루어지고, 접촉부(226)의 제2 방향에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구간의 상면에서 제1 접점부(1244)와 접촉이 이루어진다.
이때, 접촉부(226)의 탄성 구조에 의해, 리셉터클 커넥터(100)의 제1 접점부(1244)와 제2 접점부(1245)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전기적 접촉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고, 사용자에게는 체결감이 전달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접촉부(226)는 제2 방향에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구간의 단부에서 상부로 절곡 형성되어 하우징(210) 내부에서의 터미널(220)의 밀림을 방지하는 고정부(2264)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부(2264)에 대응하여 하우징(210)의 내부에는 고정홈(218)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플러그 커넥터(200)가 리셉터클 커넥터(100)로 삽입될 때, 하우징(210) 내부의 접촉부(226)는 플러그 커넥터(200)의 삽입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즉, 제2 방향에 마주보는 방향)으로 밀리지 않게 된다.
이러한 고정부(2264)를 대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고정 플레이트부(222)에서 하부로 돌출되는 고정부(미도시)가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도 동일한 밀림 방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리드부(228)는 제1 고정 플레이트부(221)의 일단부에서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제2 회로기판(20)에 솔더링된다.
그리고, 제2 리드부(229)는 제2 고정 플레이트부(222)의 일단부에서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제2 회로기판(20)에 솔더링된다.
리셉터클 커넥터(100)의 터미널(12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두 개의 리드부(228, 229)는 회로기판(20)과의 솔더링을 보다 견고히 하여 전기적 신호 전달의 안정성을 높인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터미널(220a) 및 제2 터미널(220b)이 제2 회로기판(20)에 솔더링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미널(220a 또는 220b)은 각각 두 개의 리드부(228, 229)를 포함할 수 있고, 넓은 솔더링 면적으로 인해 강도가 증가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220a 및 220b)에 의하면, 앞서 설명한 리셉터클 커넥터(100)의 터미널(12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플러그 커넥터(200)의 제조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고 제조 비용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1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220a, 220b)의 제조 공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200)의 터미널(220a, 220b)이 하나의 캐리어 터미널에서 제조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미널(220a, 220b)은 하나의 캐리어 스트립(202)에 연결된 상태로 프레스 공정이나 타발 공정과 같은 일반적인 터미널 형성 공정에 따라 제조된다.
이때, 설계상 터미널간 피치의 제한으로 인해, 통상적인 터미널의 구조에 따르면, 하나의 캐리어 스트립(202)에서 한번에 두 개의 터미널을 생산하는 것이 불가능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220a, 220b)은 하나의 캐리어 스트립(202)에서 일시에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제1 고정 플레이트부(221)의 일부분에서 제2 방향으로만 연장 형성된 상태에서 제1 절곡부(2242)를 통해 제2 방향에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록킹레버(224)의 구조와, 제2 고정 플레이트부(222)의 일부분에서 제2 방향으로만 연장 형성된 상태에서 제2 절곡부(2262)를 통해 제2 방향에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접촉부(226)의 구조로부터, 하나의 캐리어 스트립(202)에서 두 개의 터미널(220a, 220b)을 동시에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하나의 캐리어 스트립(202)에서 두 개의 터미널(220a, 220b)을 동시에 제조할 수 있음에 따라, 하우징(210)으로의 압입 공정 또한 일시에 수행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제1 회로기판 20 : 제2 회로기판
100 : 리셉터클 커넥터 102 : 캐리어 스트립
110 : 하우징 112 : 삽입공간
114 : 삽입홈 116 : 수용홈
120 : 터미널 122 : 고정 플레이트부
124 : 접촉부 1241 : 제1 절곡부
1242 : 제2 절곡부 1243 : 제3 절곡부
1244 : 제1 접점부 1245 : 제2 접점부
126 : 제1 리드부 128 : 제2 리드부
200 : 플러그 커넥터 202 : 캐리어 스트립
210 : 하우징 212 : 삽입부
214 : 제1 삽입홈 216 : 제2 삽입홈
218 : 고정홈 220 : 터미널
221 : 제1 고정 플레이트부 222 : 제2 고정 플레이트부
224 : 록킹레버 2242 : 제1 절곡부
2244 : 록킹돌기 226 : 접촉부
2262 : 제2 절곡부 2264 : 고정부

Claims (22)

  1. 제1 회로기판과 제2 회로기판을 서로 연결하기 위해 상기 제1 회로기판의 일단부에 장착되는 커넥터에 있어서,
    대응 커넥터의 삽입을 위한 삽입공간이 형성된 하우징-상기 대응 커넥터는 상기 제2 회로기판의 일단부에 장착되고 상기 삽입공간에 제1 방향으로 삽입됨-; 및
    상기 제1 방향에 마주보는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어 상기 대응 커넥터의 접촉자와 접촉되는 터미널;을 포함하되,
    상기 터미널은, 상기 제1 회로기판에 평행하게 형성되는 고정 플레이트부; 및
    상기 고정 플레이트부의 일부분에서 상기 제1 방향에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 플레이트부의 하부로 절곡되는 복수의 절곡부를 통해 반복적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대응 커넥터의 접촉자와 적어도 하나의 접촉점에서 접촉되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고정 플레이트부가 삽입되어 고정되기 위한 삽입홈; 및
    상기 접촉부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을 포함하되,
    상기 삽입홈과 수용홈은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수용홈과 서로 통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제1 방향에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 플레이트부의 하부로 절곡되는 제1 절곡부를 통하여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제1 탄성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구간에서 하부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대응 커넥터의 접촉자와 접촉되는 제1 접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 플레이트부의 하부로 절곡되는 제2 절곡부를 통하여 다시 상기 제1 방향에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제2 탄성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다시 제1 방향에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구간에서 상부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대응 커넥터의 접촉자와 접촉되는 제2 접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다시 제1 방향에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 플레이트부의 하부로 절곡되는 제3 절곡부를 통하여 다시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제3 탄성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점부와 상기 제2 접점부는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점부와 상기 제2 접점부 사이로 상기 대응 커넥터의 접촉자가 삽입되며, 상기 대응 커넥터의 접촉자의 상면에서 상기 제1 접점부와의 접촉이 이루어지고, 상기 대응 커넥터의 접촉자의 하면에서 상기 제2 접점부와의 접촉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은, 상기 고정 플레이트부의 일단부에서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 회로기판에 솔더링되는 제1 리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은, 상기 고정 플레이트부의 타단부에서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 회로기판에 솔더링되는 제2 리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플레이트부는, 상기 대응 커넥터의 상기 삽입공간으로의 삽입 종료 시점에서 상기 대응 커넥터에 형성된 록킹돌기와 체결되는 록킹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제1 회로기판 및 제2 회로기판 각각의 길이방향과 서로 직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4. 제1 회로기판과 제2 회로기판을 서로 연결하기 위해 상기 제2 회로기판의 일단부에 장착되는 커넥터에 있어서,
    대응 커넥터로의 삽입을 위한 삽입부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제2 방향으로 삽입되어 상기 대응 커넥터의 접촉자와 접촉되는 터미널;을 포함하되,
    상기 터미널은, 상기 제2 회로기판에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제1 삽입홈으로 삽입 고정되는 제1 고정 플레이트부;
    상기 제2 회로기판에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1 고정 플레이트부의 일단과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제2 삽입홈으로 삽입 고정되는 제2 고정 플레이트부;
    상기 제1 고정 플레이트부의 일부분에서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상태에서, 상부로 절곡되는 제1 절곡부를 통하여 상기 제2 방향에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의 상기 대응 커넥터로의 삽입 종료 시점에서 상기 대응 커넥터와의 체결을 가능하게 하는 록킹레버부; 및
    상기 제2 고정 플레이트부의 일부분에서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상태에서, 상부로 절곡되는 제2 절곡부를 통하여 상기 제2 방향에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대응 커넥터의 접촉자와 적어도 하나의 접촉점에서 접촉되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 플레이트부는 상기 제1 고정 플레이트부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레버부는 상기 제1 절곡부를 통하여 상기 제2 방향에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탄성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레버부는, 상기 제2 방향에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구간에서 상부로 돌출 형성되는 록킹돌기;를 포함하되,
    상기 록킹돌기는 상기 삽입부의 상기 대응 커넥터로의 삽입 종료 시점에서 상기 대응 커넥터에 형성된 록킹홈과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제2 절곡부를 통하여 상기 제2 방향에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탄성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제2 방향에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구간의 단부에서 상부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터미널의 밀림을 방지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은, 상기 제1 고정 플레이트부의 일단부에서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2 회로기판에 솔더링되는 제1 리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은, 상기 제2 고정 플레이트부의 일단부에서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2 회로기판에 솔더링되는 제2 리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2. 제1 터미널 및 제2 터미널이 스트립에 연결된 터미널 캐리어에 있어서,
    상기 제1 터미널 및 제2 터미널 각각은, 상기 스트립이 놓여지는 평면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고정 플레이트부; 및
    상기 고정 플레이트부의 일부분에서 상기 캐리어 스트립에 직교하는 제1 방향으로만 연장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 플레이트부의 하부로 절곡되는 복수의 절곡부를 통해 반복적으로 절곡 형성되어 대응 커넥터의 접촉자와 적어도 하나의 접점에서 접촉하는 접촉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터미널 및 제2 터미널은 서로 좌우대칭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캐리어.
KR1020120123692A 2012-11-02 2012-11-02 전기 커넥터 KR1016067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3692A KR101606775B1 (ko) 2012-11-02 2012-11-02 전기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3692A KR101606775B1 (ko) 2012-11-02 2012-11-02 전기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7053A KR20140057053A (ko) 2014-05-12
KR101606775B1 true KR101606775B1 (ko) 2016-03-28

Family

ID=50888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3692A KR101606775B1 (ko) 2012-11-02 2012-11-02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67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6424B1 (ko) * 2014-05-27 2015-05-04 주식회사 켐트로닉스 전기접속용 커넥터
KR102028638B1 (ko) * 2014-12-09 2019-10-04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기판 접속용 커넥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63773Y2 (ja) 1992-04-08 1998-02-25 本多通信工業株式会社 Ledソケット
JP2005072000A (ja) 2003-08-22 2005-03-17 Tyco Electronics Amp Gmbh 印刷回路基板用プラグコンタクト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63773B2 (ja) * 1985-10-22 1996-12-18 グンゼ株式会社 低温熱収縮性の優れたポリエステル系シユリンクラベル
JPH0525671U (ja) * 1991-09-03 1993-04-02 デユポン・ジヤパン・リミテツド レセプターコンタクト及びそれを用いたレセプターコネクタ
US5207598A (en) * 1992-02-24 1993-05-04 Molex Incorporated Edge card connect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63773Y2 (ja) 1992-04-08 1998-02-25 本多通信工業株式会社 Ledソケット
JP2005072000A (ja) 2003-08-22 2005-03-17 Tyco Electronics Amp Gmbh 印刷回路基板用プラグコンタク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7053A (ko) 2014-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79126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terminals
US7108567B1 (en) Electrical device for interconnecting two printed circuit boards at a large distance
US8979551B2 (en) Low-profile mezzanine connector
US8480434B2 (en) Terminal for electrical connection and connector using same
US8523598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a latch easy to be operated
US8814603B2 (en) Shielding socket with two pieces contacts and two pieces housing components
US8821192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e a grounding terminal with a tongue for improving mechanical stability
KR20120127510A (ko) 커넥터
US20130095676A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compact configuration
EP1878093A1 (en) Board-to-board connector pair
WO2006081439A1 (en) Board mounted electrical connector
US10381776B2 (en) Connector assembly with an improved latch member having a shorter length
US20100167558A1 (en) Connector having an improved fastener
US20100130068A1 (en) Board-to-board connector assembly
US8414331B2 (en) USB connector structure
US7963777B2 (en) First connector, second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ing device
CN110571555A (zh) 板对板连接器组件
US6554634B1 (en) Electrical contact for ZIF socket connector
US8500459B2 (en) Receptacle with a cavity for receiving a plug with a recess for receiving a component
KR101606775B1 (ko) 전기 커넥터
US7604500B1 (en) Board-to-board connector
CN210576565U (zh) 板对板连接器组件
US8292632B2 (en) Compression connector with sink board-mounting structure
US9004927B2 (en) Low-profile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mounting pieces for resisting impact force
US8574009B2 (en) Compact electrical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