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2910A - 전기 커넥터 조립체,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조립체,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2910A
KR20130122910A KR1020130039665A KR20130039665A KR20130122910A KR 20130122910 A KR20130122910 A KR 20130122910A KR 1020130039665 A KR1020130039665 A KR 1020130039665A KR 20130039665 A KR20130039665 A KR 20130039665A KR 20130122910 A KR20130122910 A KR 201301229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receptacle
plug
terminal
m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9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67356B1 (ko
Inventor
요헤이 하세가와
Original Assignee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229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29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7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73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0Pins, blades, or sockets shaped, or provided with separate member, to retain co-operating parts together
    • H01R13/213Pins, blades, or sockets shaped, or provided with separate member, to retain co-operating parts together by bayonet conn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0Pins, blades, or sockets shaped, or provided with separate member, to retain co-operating parts together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과제) 단자끼리가 충분한 걸림력을 갖고 서로 로크함과 함께, 당해 단자끼리의 안정된 접촉 상태를 확보할 수 있는 커넥터 조립체,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플러그 커넥터(1)의 단부측 단자(40)는, 플러그 측판부(42)와, 플러그 단판부(端板部; 44)를 갖고, 상기 플러그 측판부(42)의 판면에 접촉부가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플러그 단판부(44)의 판면에 단(段) 형상의 로크부(44A)가 형성되고 있고, 리셉터클 커넥터(2)의 단부측 상대 단자(80)는, 리셉터클 측판부(81)와, 리셉터클 단판부(82)를 갖고, 상기 리셉터클 측판부(81)의 판면에, 상기 단부측 단자(40)의 접촉부에 접촉하는 대응 접촉부(81A)가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리셉터클 단판부(82)의 판면에, 상기 단부측 단자(40)의 로크부(44A)에 대하여 커넥터 끼움 및 빠짐 방향에서 걸림 가능한 단 형상의 피(被)로크부(82B-1)가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전기 커넥터 조립체,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PLUG CONNECTOR AND RECEPTACLE CONNECTOR}
본 발명은 회로 기판에 배치되는 플러그 커넥터와, 다른 회로 기판에 배치되어 당해 플러그 커넥터가 끼워맞춤 접속되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갖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및, 이 조립체의 한쪽을 이루는 플러그 커넥터, 그리고 리셉터클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이 종류의 전기 커넥터 조립체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이 특허문헌 1의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는, 리셉터클 커넥터 그리고 플러그 커넥터 모두에 고정구(금구(金具))를 구비하고 있고, 당해 고정구는 그의 접속부에서 커넥터의 회로 기판으로의 땜납 고정을 제공함과 함께, 커넥터끼리의 접속시에, 고정구끼리가 서로 걸어맞춤(로크(lock))되어 커넥터의 빠짐의 방지를 도모하고 있다. 또한, 이 양 고정구는, 서로 걸어맞춤되어 있는 부분에서 전기적 도통으로 도통되는 전원 단자로서의 기능도 갖고 있다. 당해 고정구는 금속판을 가공하여 만들어져 있고, 커넥터의 단자의 배열 방향의 양단 위치에서 하우징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의 고정구는, 하우징의 단벽(端壁)으로 지지되는 단(端) 부분과 당해 단 부분으로부터 굴곡되어 단벽쪽의 양쪽의 측벽으로 지지되는 측(側) 부분을 갖고 있어, 커넥터 끼워맞춤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전체적으로 U자 형상을 이루고 있다. 상기 단 부분에는 상방으로 돌출됨과 함께 역(逆) U자 형상으로 굴곡된 갈고리 형상의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측 부분은, 상기 하우징의 측벽의 양 내면의 각각에 접면 지지되어 있도록, 오목 형상의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플러그 커넥터의 고정구는,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고정구의 단 부분에 평행한 판 부재의 부분을 갖고, 그의 양단에 상기 오목 형상의 걸림부에 돌입(突入)하여 걸리는 돌기 형상의 걸어맞춤부가 판두께 방향 절단 단면으로서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판 부재의 부분의 하연(下緣)으로부터 굴곡하여 상방으로 연장되는 U자 편(片)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의 판면에 돌기 형상의 다른 걸어맞춤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에서는, 각 고정구가 서로 걸어맞춤되는 부분에 관하여, 리셉터클 커넥터의 고정구에 대해서는 「걸림부」, 플러그 커넥터의 고정구에 대해서는 「걸어맞춤부」라는 명칭을 이용하여 양자를 구별하고 있다.
이러한 고정구를 갖고 있는 특허문헌 1의 리셉터클 커넥터로 플러그 커넥터가 끼워맞춤 접속되면, 그 끼워맞춤 과정에서, 플러그 커넥터의 고정구의 돌기 형상의 걸어맞춤부 그리고 돌기 형상의 다른 걸어맞춤부가, 각각 대응하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고정구의 오목 형상의 걸림부 그리고 역 U자 형상의 갈고리 형상의 걸림부와 간섭량분만큼 탄성 변형한 상태에서 소정 위치까지 끼워맞춤의 진행이 가능해지고, 소정 위치에까지 도달하면 그 탄성 변형이 해제되어, 대응하는 걸어맞춤부와 걸림부가 상기 간섭량에 의해 커넥터 빠짐 방향으로 서로 걸려 커넥터의 빠짐을 저지하는 로크 기능을 갖게 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양 고정 금구는 전원 단자로서의 기능도 갖고 있어, 3개소의 로크 부분 중 적어도 1개소가 전기적으로 도통(conduction)하도록 되어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2010-198996호
특허문헌 1의 전기 커넥터 조립체에서는, 고정구끼리가 로크 상태에 있을 때, 플러그 커넥터의 고정구의 걸어맞춤부가, 리셉터클 커넥터의 고정구의 걸림부의 하방에서 당해 걸림부에 대하여 상기 간섭량을 갖고 위치한다. 이 전기 커넥터 조립체에는, 상기 걸어맞춤부와 걸림부를 접촉시키도록 탄성지지하는 구성을 특별히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상기 로크 상태에서, 상기 걸어맞춤부는, 리셉터클의 걸림부에 접촉하는 일 없이 커넥터 끼움 및 빠짐(inserting/extracting) 방향에서 간격을 갖고 걸림 가능하게 위치하거나, 혹은, 가령 커넥터 끼움 및 빠짐 방향에서 접촉하도록 위치하고 있어도 상기 걸어맞춤부와 걸림부와의 접촉 압력이 작다. 따라서, 당해 걸어맞춤부 및 걸림부를 접점으로 하여 양 고정 금구를 전원 단자로서 사용해도, 고정 금구끼리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접촉하지 않거나, 불안정한 접촉 상태 하에서 접촉하게 되기 때문에, 전기적인 도통을 확실한 것으로 할 수는 없다.
또한,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상기 걸어맞춤부 및 걸림부는 로크 기능을 갖고 있기 때문에, 커넥터 끼워맞춤 상태에 있는 커넥터 조립체에 대하여 커넥터 빠짐 방향에서 뜻하지 않은 외력이 작용했을 때에는, 이 외력에 대항하기 위한 걸림력을 갖고 당해 걸어맞춤부와 걸림부가 걸리게 된다. 따라서, 당해 걸어맞춤부 및 걸림부는 상기 걸림력을 받아 변형할 우려가 있어, 이 결과, 당해 걸어맞춤부와 걸림부와의 접촉 상태가 불안정해진다.
즉, 특허문헌 1에 있어서의 고정 금구에 따라서는, 로크부로서의 기능은 확보할 수 있어도, 접촉부로서의 기능을 충분하게 확보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단자끼리가 충분한 걸림력을 갖고 서로 로크됨과 함께, 당해 단자끼리가 안정된 접촉 상태를 확보할 수 있는 커넥터 조립체,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제1 발명>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커넥터 조립체는, 회로 기판의 실장면 상에 배치되는 플러그 커넥터와, 다른 회로 기판의 실장면 상에 배치되어 당해 실장면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을 커넥터 끼움 및 빠짐 방향으로 하여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끼워맞춤 접속되는 상대 커넥터로서의 리셉터클 커넥터를 갖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로서,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는, 커넥터 끼워맞춤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단자의 접촉부에 접촉하는 대응 접촉부가 형성된 복수의 상대 단자와, 상기 회로 기판의 실장면에 대하여 평행한 한 방향을 배열 방향으로 하여 상기 복수의 상대 단자의 대응 접촉부가 배열되도록 당해 상대 단자를 지지하는 리셉터클 하우징을 갖고 있고, 당해 리셉터클 하우징은, 상기 대응 접촉부의 배열 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측벽과, 상기 배열 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연장되어 측벽의 단부(端部)끼리를 연결하는 2개의 단벽을 갖고, 당해 측벽과 단벽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이, 플러그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으로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플러그 커넥터는, 복수의 단자와, 상기 배열 방향과 동일한 방향에서 당해 복수의 단자의 접촉부가 배열되도록 당해 단자를 지지하는 플러그 하우징을 갖고 있고, 당해 플러그 하우징은,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의 수용 공간 내로 끼워넣어지는 끼워맞춤부를 갖고, 당해 끼워맞춤부에, 커넥터 끼워맞춤 상태에서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의 측벽에 대면하는 측면과, 당해 리셉터클 하우징의 단벽에 대면하는 단면(端面)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전기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 플러그 커넥터에 형성된 복수의 단자는, 상기 상대 단자의 대응 접촉부의 배열 방향과 동일 방향에서 양단에 위치하여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끼워맞춤부의 단부측에서 지지되는 단부측 단자를 갖고 있고, 당해 단부측 단자는, 금속판을 일 부재로 하여 굴곡하여 만들어져 있고, 상기 끼워맞춤부의 측면을 따라서 연장되는 플러그 측판부와, 상기 끼워맞춤부의 단면을 따라서 연장되는 플러그 단판부(端板部)를 갖고, 상기 플러그 측판부의 판면에 접촉부가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플러그 단판부의 판면에 단(段) 형상의 로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에 형성된 복수의 상대 단자는, 상기 배열 방향에서 양단에 위치하여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의 단부측에서 지지되는 단부측 상대 단자를 갖고 있고, 당해 단부측 상대 단자는, 금속판을 일 부재로 하여 굴곡하여 만들어져 있고,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의 측벽을 따라서 연장되는 리셉터클 측판부와, 당해 리셉터클 하우징의 단벽을 따라서 연장되는 리셉터클 단판부를 갖고, 상기 리셉터클 측판부의 판면에,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단부측 단자의 접촉부에 접촉하는 대응 접촉부가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리셉터클 단판부의 판면에,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단부측 단자의 로크부에 대하여 커넥터 끼움 및 빠짐 방향에서 걸림 가능한 단 형상의 피(被)로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플러그 커넥터의 단부측 단자 및 리셉터클 커넥터의 단부측 상대 단자는, 커넥터 끼워맞춤 상태에서, 상기 단부측 단자의 플러그 측판부의 판면에 형성된 접촉부와 상기 단부측 상대 단자의 리셉터클 측판부의 판면에 형성된 대응 접촉부가, 이들 측판부의 판두께 방향에서 접촉압력을 갖고 접촉한다. 한편, 상기 단부측 단자의 플러그 단판부의 로크부와 상기 단부측 상대 단자의 리셉터클 단판부의 피로크부가, 상기 측판부와는 다른 위치에서, 커넥터 끼움 및 빠짐 방향에서 걸림 가능하게 위치하고, 커넥터 끼워맞춤 상태에서 커넥터 끼움 및 빠짐 방향으로 뜻하지 않은 외력을 받았을 때, 당해 커넥터 끼움 및 빠짐 방향에서 서로 걸린다.
이와 같이, 상기 로크부 및 피로크부는, 각각 상기 접촉부 및 대응 접촉부와는 별개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당해 접촉부와 대응 접촉부에는 로크 기능을 갖게 할 필요가 없어진다. 즉, 당해 접촉부와 대응 접촉부에, 커넥터 끼움 및 빠짐 방향에서 걸리게 하기 위한 단부(段部)를 형성할 필요가 없어진다. 따라서, 끼워맞춤 상태에서 커넥터 조립체가 커넥터 끼움 및 빠짐 방향에서 뜻하지 않은 외력을 받아도, 접촉부와 대응 접촉부가 걸리는 일이 없다. 이 결과, 상기 접촉부 및 대응 접촉부는 상기 외력에 대항하는 걸림력을 받지 않기 때문에, 접촉 상태가 불안정해지는 일이 없다.
제1 발명에 있어서, 플러그 커넥터에 형성된 단부측 단자는, 플러그 하우징의 양 측면을 따라서 각각 위치하는 양쪽의 플러그 측판부가, 당해 플러그 하우징의 단면을 따라서 위치하는 플러그 단판부와 연결되어 있고, 리셉터클 커넥터에 형성된 단부측 상대 단자는, 리셉터클 하우징의 양 측벽을 따라서 각각 위치하는 리셉터클 측판부와, 당해 리셉터클 하우징의 단벽을 따라서 위치하는 리셉터클 단판부가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의 각각에 있어서 2개의 측판부와 단판부를 연결시킨 경우, 당해 리셉터클 커넥터의 수용 공간 내에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끼워맞춤부가 끼워넣어지면, 양 커넥터의 하우징의 측벽측에서, 단부측 단자의 2개의 플러그 측판부의 접촉부와, 단부측 상대 단자의 2개의 리셉터클 측판부의 대응 접촉부가, 이들 측판부의 판두께 방향에서 각각 접촉한다. 따라서, 상기 단부측 단자는, 상기 접촉부의 위치에서, 상기 단부측 상대 단자의 양측에 위치하는 2개의 대응 접촉부에 의해 상기 판두께 방향으로 협압(挾壓;nipping)된 상태가 된다. 이 결과, 상기 접촉부와 대응 접촉부와의 접촉압력이 높아지기 때문에, 접촉 상태를 안정시킬 수 있다.
제1 발명에 있어서, 플러그 커넥터에 형성된 단부측 단자 및 리셉터클 커넥터에 형성된 단부측 상대 단자 중 적어도 한쪽은, 로크부 혹은 피로크부를 갖고 있는 부분이, 플러그 단판부 혹은 리셉터클 단판부의 판두께 방향으로 탄성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와 같이, 로크부 혹은 피로크부를 갖고 있는 부분이 상기 판두께 방향으로 탄성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으면, 커넥터 끼워맞춤 상태에서, 로크부를 갖고 있는 부분과 피로크부를 갖고 있는 부분이 상기 판두께 방향에서 충분한 접촉압력을 갖고 탄성 접촉한다. 따라서, 상기 로크부와 피로크부가 충분한 간섭량을 갖고 커넥터 끼움 및 빠짐 방향에서 서로 걸리기 때문에, 상기 로크부와 피로크부를 보다 확실하게 로크시킬 수 있다.
제1 발명에 있어서, 플러그 커넥터에 형성된 단부측 단자 및 리셉터클 커넥터에 형성된 단부측 상대 단자 중 적어도 한쪽은, 접촉부 혹은 대응 접촉부를 갖고 있는 부분이, 플러그 측판부 혹은 리셉터클 측판부의 판두께 방향으로 탄성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와 같이, 접촉부 혹은 대응 접촉부를 갖고 있는 부분이 상기 판두께 방향에서 탄성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으면, 커넥터 끼워맞춤 상태에서, 상기 접촉부와 대응 접촉부가 상기 판두께 방향에서 충분한 접촉압력을 갖고 탄성 접촉하기 때문에, 상기 접촉부와 대응 접촉부와의 접촉 상태를 보다 확실하게 안정시킬 수 있다.
<제2 발명>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는, 회로 기판의 실장면 상에 배치되어 당해 실장면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을 커넥터 삽입 및 빠짐 방향으로 하여, 다른 회로 기판의 실장면 상에 배치되는 상대 커넥터로서의 리셉터클 커넥터에 끼워맞춤 접속되는 플러그 커넥터로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는, 커넥터 끼워맞춤 상태에서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에 형성된 상대 단자의 대응 접촉부에 접촉하는 접촉부가 형성된 복수의 단자와, 상기 회로 기판의 실장면에 대하여 평행한 한 방향을 배열 방향으로 하여 상기 복수의 단자의 접촉부가 배열되도록 당해 단자를 지지하는 플러그 하우징을 갖고 있고, 당해 플러그 하우징은,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의 수용 공간 내로 끼워넣어지는 끼워맞춤부를 갖고, 당해 끼워맞춤부에, 상기 배열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면과, 당해 배열 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연장되는 단면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플러그 커넥터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에 형성된 복수의 단자는, 상기 배열 방향에서의 양단에 위치하여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끼워맞춤부의 단부측에서 지지되는 단부측 단자를 갖고 있고, 당해 단부측 단자는, 금속판을 일 부재로 하여 굴곡하여 만들어져 있고, 상기 끼워맞춤부의 측면을 따라서 연장되는 플러그 측판부와, 상기 끼워맞춤부의 단면을 따라서 연장되는 플러그 단판부를 갖고, 상기 플러그 측판부의 판면에, 상기 단부측 단자에 대응하여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에 형성된 단부측 상대 단자의 대응 접촉부에 접촉하는 접촉부가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플러그 단판부의 판면에,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단부측 상대 단자에 대하여 커넥터 끼움 및 빠짐 방향에서 걸림 가능한 단 형상의 로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제3 발명>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는, 회로 기판의 실장면 상에 배치되어 당해 실장면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을 커넥터 끼움 및 빠짐 방향으로 하여, 다른 회로 기판의 실장면에 배치되는 플러그 커넥터가 끼워맞춤 접속되는 상대 커넥터로서의 리셉터클 커넥터로서,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는, 커넥터 끼워맞춤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단자의 접촉부에 접촉하는 대응 접촉부가 형성된 복수의 상대 단자와, 상기 회로 기판의 실장면에 대하여 평행한 한 방향을 배열 방향으로 하여 상기 복수의 상대 단자의 대응 접촉부가 배열되도록 당해 상대 단자를 지지하는 리셉터클 하우징을 갖고 있고, 당해 리셉터클 하우징은, 상기 대응 접촉부의 배열 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측벽과, 상기 배열 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연장되어 측벽의 단부끼리를 연결하는 2개의 단벽을 갖고, 당해 측벽과 단벽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이, 플러그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리셉터클 커넥터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에 형성된 복수의 상대 단자는, 상기 배열 방향에서의 양단에 위치하여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의 단부측에서 지지되는 단부측 상대 단자를 갖고 있고, 당해 단부측 상대 단자는, 금속판을 일 부재로 하여 굴곡하여 만들어져 있고,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의 측벽을 따라서 연장되는 리셉터클 측판부와, 당해 리셉터클 하우징의 단벽을 따라서 연장되는 리셉터클 단판부를 갖고, 상기 리셉터클 측판부의 판면에, 상기 단부측 상대 단자에 대응하여 상기 플러그 커넥터에 형성된 단부측 단자의 접촉부에 접촉하는 대응 접촉부가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리셉터클 단판부의 판면에,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단부측 단자에 대하여 커넥터 끼움 및 빠짐 방향에서 걸림 가능한 단 형상의 피로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 플러그 커넥터의 단부측 단자 및 리셉터클 커넥터의 단부측 상대 단자는, 로크부 혹은 피로크부가 접촉부 혹은 대응 접촉부와 별개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로크부 및 피로크부에서 충분한 걸림력을 갖고 서로 로크시킬 수 있는 한편으로, 당해 접촉부 및 대응 접촉부에서는, 로크 기능을 갖게 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당해 접촉부와 대응 접촉부와의 안정된 접촉 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플러그 측판부에 형성된 상기 접촉부와 리셉터클 측판부에 형성된 대응 접촉부는 이들 측판부의 판두께 방향에서 접촉압력을 갖고 접촉하기 때문에, 당해 접촉부 및 대응 접촉부를 보다 확실하게 접촉시킬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의 끼워맞춤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B)는 도 1(A)의 플러그 커넥터를 상하 반전시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A)의 플러그 커넥터의 플러그 하우징의 일부 및 리셉터클 커넥터의 리셉터클 하우징의 일부를 생략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A)는 도 1(A)의 플러그 커넥터를 하방으로부터 본 저면도이며, 도 3(B)는 도 1(A)의 리셉터클 커넥터를 상방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A)의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에 대해서, 단자의 접촉부의 배열 방향에 있어서의 신호 단자의 위치에서, 당해 배열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면에서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4(A)는 커넥터 끼워맞춤 전의 상태, 도 4(B)는 커넥터 끼워맞춤 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5는 도 1(A)의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에 대해서, 단자의 접촉부의 배열 방향에 있어서의 전원 단자의 접촉부의 위치에서, 당해 배열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면에서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A)는 커넥터 끼워맞춤 전의 상태, 도 5(B)는 커넥터 끼워맞춤 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은 도 1(A)의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에 대해서, 커넥터 폭방향에 있어서의 전원 단자의 로크부의 위치에서, 당해 커넥터 폭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면에서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6(A)는 커넥터 끼워맞춤 전의 상태, 도 6(B)는 커넥터 끼워맞춤 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이하, 첨부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커넥터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의 끼워맞춤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B)는, 도 1(A)의 플러그 커넥터를 상하 반전시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A)의 플러그 커넥터의 플러그 하우징의 일부 및 리셉터클 커넥터의 리셉터클 하우징의 일부를 생략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3(A)는 도 1(A)의 플러그 커넥터를 하방으로부터 본 저면도(즉, 도 1(B)의 플러그 커넥터를 상방으로부터 본 도면임), 도 3(B)는 도 1(A)의 리셉터클 커넥터를 상방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플러그 커넥터(1) 및 리셉터클 커넥터(2)는, 각각 상이한 회로 기판(도시하지 않음)의 실장면 상에 배치되는 회로 기판용 커넥터로서, 각 회로 기판의 실장면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도 1(A)에서의 상하 방향)을 끼움 및 빠짐 방향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를 구성하고 있다.
플러그 커넥터(1)는, 도 1(A), 도 1(B)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대략 직방체 외형의 플러그 하우징(10)과, 당해 플러그 하우징(10)에 지지되는 복수의 단자(20)를 갖고 있다. 당해 복수의 단자(20)는, 각 단자(20)의 접촉부가 회로 기판의 실장면에 대하여 평행한 한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하여 상기 플러그 하우징(10)에 일체 성형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당해 복수의 단자(20)는, 상기 접촉부의 배열 방향에 있어서의 플러그 하우징(10)의 중앙 위치에서 지지되는 한 쌍의 신호 단자(30)와, 같은 방향으로 플러그 하우징(10)의 단부측에서 지지되어 신호 단자(30)와는 형상이 상이한 한 쌍의 전원 단자로서의 단부측 단자(40)(이하, 「전원 단자(40)」라고 함)로 이루어져 있다.
우선, 주로 도 1(A), 도 1(B)에 기초하여 상기 플러그 하우징(10)에 대해서 설명한다. 당해 플러그 하우징(10)은, 예를 들면 수지 등의 전기 절연재로 만들어져 있고, 상기 단자(20)의 접촉부의 배열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여 연장되어 있다. 당해 플러그 하우징(10)은, 상기 실장면에 대하여 평행한 저벽(11)(도 1(A) 참조)과, 도 1(B)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당해 저벽(11)의 둘레부로부터 상방(도 1(A)에서는 하방)을 향하여 기립하는 틀 형상의 주벽(周壁; 12)을 갖고 있다. 당해 주벽(12)은, 커넥터의 끼워맞춤시에, 후술하는 리셉터클 커넥터(2)의 리셉터클측 수용 공간(56) 내로 끼워 넣어지는 끼워맞춤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당해 주벽(12)은, 상기 배열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측벽(13)과, 당해 배열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커넥터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한 쌍의 측벽(13)의 단부끼리를 연결하는 한 쌍의 단벽(14)을 갖고 있다.
도 1(B)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측벽(13)의 각각의 외측면에는, 상기 배열 방향으로 신호 단자(30)와 한쪽의 전원 단자(40)와의 사이의 위치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피안내 홈부(13A)가 형성되어 있다. 당해 피안내 홈부(13A)는, 커넥터 끼워맞춤의 과정에서 리셉터클 커넥터(2)의 후술의 안내 돌출부(4A)를 수용하고, 당해 안내 돌출부(54A)에 의해 상기 배열 방향 및 커넥터 폭방향으로 안내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단벽(14)의 각각의 외측면은, 커넥터 폭방향에서의 중간 위치에서 패인 몰입부(14A)가 형성되어 있고, 당해 몰입부(14A) 내에 후술의 전원 단자(40)의 플러그 단판부(44)가 위치하고 있다. 또한, 당해 몰입부(14A) 내를 형성하는 공간 중 상기 배열 방향에서 단벽(14)과 플러그 단판부(44)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공간(14A-1)(도 6(A), 도 6(B)도 참조)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커넥터 끼워맞춤 과정에 있어서의 플러그 단판부(44)의 판두께 방향에서의 탄성 변위를 허용하기 위한 공간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도 1(B)에서 주벽(12)에 둘러싸여 상방으로 개구되는 공간은, 후술하는 리셉터클 커넥터(2)의 섬 형상으로 형성된 돌출벽부(52)를 수용하기 위한 플러그측 수용 공간(15)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B)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기 플러그 하우징(10)은, 상기 배열 방향으로 상기 한쪽의 전원 단자(40)가 형성된 단벽(14)에 가까운 위치, 그리고, 커넥터 폭방향에서의 중앙 위치에서, 상기 저벽(11)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플러그측 수용 공간(15) 내에서 기립하는 피안내 벽부(16)를 갖고 있다(도 3(A), 도 5, 6도 참조). 당해 피안내 벽부(16)는, 커넥터 폭방향을 벽두께 방향으로 하여, 상기 배열 방향에서 한쪽의 단벽(14)에 연결되어 있다. 당해 피안내 벽부(16)는, 커넥터 끼워맞춤시에, 후술하는 리셉터클 커넥터(2)의 안내홈부(52B) 내로 상방으로부터 진입하여, 당해 안내홈부(52B)에 의해 상기 배열 방향 및 커넥터 방향으로 안내되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복수의 단자(20) 중, 우선, 상기 신호 단자(30)에 대해서, 주로 도 1(A) 및 도 4(A), 도 4(B)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도 1(A)의 플러그 커넥터(1) 및 리셉터클 커넥터(2)에 대해서, 단자(20)의 접촉부의 배열 방향에 있어서의 신호 단자(30)의 위치에서, 당해 배열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면에서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 4(A)는 커넥터 끼워맞춤 전의 상태, 도 4(B)는 커넥터 끼워맞춤 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A)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기 신호 단자(30)는, 상기 배열 방향에서의 플러그 하우징(10)의 중앙 위치에서 당해 플러그 하우징(10)의 각각의 측벽(13)으로 일체 성형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당해 신호 단자(30)는, 금속판을 펀칭하여 얻어진 띠 형상편을 판두께 방향으로 굴곡하여 만들어져 있고, 도 4(A), 도4(B)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플러그 하우징(10)의 저벽(11)과 거의 동일한 높이 위치에서 측벽(13)으로부터 커넥터 폭방향(도 4(A), 도 4(B)에서의 좌우 방향) 바깥쪽으로 연이어 나가는 곧게 뻗은 형상의 접속부(31)와, 당해 접속부(31)에 연속하여 도 4(A), 도 4(B)에서의 하방을 향하여 굴곡됨과 함께 U자 형상으로 되접혀 상기 측벽(13)에 매몰 지지되는 U자 형상 부분을 갖고 있다. 당해 U자 형상 부분은, 상기 측벽(13)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고, U자 형상의 판면이 당해 측벽(13)과 동일 레벨면을 형성하도록 하여 노정(露呈;exposure)되어 있다.
상기 접속부(31)는, 대응하는 회로 기판(도시하지 않음)의 신호 회로부와 땜납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신호 단자(30)의 U자 형상 부분의 2개의 다리부 중, 측벽(13)의 내측면측(플러그측 수용 공간(15)측)에 위치하는 한쪽의 다리부는, 후술하는 리셉터클 커넥터(2)의 상대 신호 단자(70)와 접촉하기 위한 접촉부(32)로서 형성되어 있다. 당해 신호 접촉부(32)에는, 상기 측벽(13)의 내측면 측으로 노정되는 평탄한 판면에서 상기 상대 신호 단자(70)의 대응 접촉부(71A)와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측벽(13)의 외측면측에 위치하는 다른 한쪽의 다리부는, 상기 상대 신호 단자(70)의 피로크 돌기부(74A)와 걸리기 위한 로크부(33)로서 형성되어 있다. 당해 로크부(33)에는, 상기 피로크 돌기부(74A)를 수용하기 위한 로크 오목부(33A)가 판면으로부터 패여, 예를 들면 프레스 가공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1 내지 도 3에 기초하여 전원 단자(40)에 대해서 설명한다. 전원 단자(40)는, 금속판을 일 부재로 하여 굴곡하여 만들어져 있고, 도 1(A)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기 배열 방향에서의 플러그 하우징(10)의 주벽(12)의 단부측 부분에서 측벽(13) 및 단벽(14)으로 일체 성형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도 1(B)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당해 전원 단자(40)는, 플러그 하우징(10)의 단부측 부분의 상면(도 1(A)에서는 하면)을 따라서 연장되는 기부(基部; 41)(도 2도 참조)와, 당해 기부(41)로부터 굴곡되어 플러그 하우징(10)의 양 측벽(13)의 각각의 외측면을 따라서 연장되는 플러그 측판부(42)와, 당해 플러그 측판부(42)의 하단에서 굴곡되어 커넥터 폭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접속부(43)와, 상기 기부(41)로부터 굴곡되어 당해 플러그 하우징(10)의 단벽(14)의 외단면을 따라서 연장되는 플러그 단판부(44)를 갖고 있다.
도 1(B)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기 전원 단자(40)의 기부(41)는, 당해 기부(41)의 평탄한 상면이, 플러그 하우징(10)의 단부측 부분의 각부를 제외하는 영역에서 측벽(13) 및 단벽(14)의 상면과 동일 레벨면을 형성하도록 노정되어 있다. 한편, 상기 플러그 측판부(42)는, 당해 플러그 측판부(42)의 평탄한 판면이, 상기 측벽(13)의 외측면과 동일 레벨면을 형성하도록 노정되어 있고, 리셉터클 커넥터(2)에 형성된 후술의 상대 전원 단자(80)의 대응 접촉부(81A)와 접촉하기 위한 접촉부로서 기능한다. 다음으로, 상기 전원 단자(40)의 접속부(43)는, 플러그 하우징(10)의 저벽(11)(도 1(A), 도 2 참조)과 거의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고, 대응하는 회로 기판(도시하지 않음)의 전원 회로부에 땜납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플러그 측판부(42)와 상기 접속부(43)가 연결되어 있는 굴곡 부분은, 도 1(B)에 잘 보여지는 바와 같이, 플러그 하우징(10)의 일부에 덮여 있다. 또한, 상기 전원 단자(40)의 플러그 단판부(44)는, 플러그 하우징(10)의 단벽(14)의 몰입부(14A)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양측 연부(緣部)가 플러그 하우징(10)과의 일체 성형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또한, 당해 플러그 단판부(44)의 판면에는, 상기 배열 방향 바깥쪽을 향하여 돌출되어 단 형상을 이루는 로크 단부(44A)가 예를 들면 프레스 가공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당해 로크 단부(44A)는, 상기 상대 전원 단자(80)의 피로크 단부(82B-1)와 커넥터 빠짐 방향으로 걸림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다음으로, 리셉터클 커넥터(2)에 대해서 설명한다. 당해 리셉터클 커넥터(2)는, 도 1(A)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대략 직방체 외형의 리셉터클 하우징(50)과, 당해 리셉터클 하우징(50)에 지지되는 복수의 상대 단자(60)를 갖고 있다. 당해 복수의 상대 단자(60)는, 각 상대 단자(60)의 대응 접촉부가 회로 기판의 실장면에 대하여 평행한 한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하여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50)에 일체 성형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당해 복수의 상대 단자(60)는, 상기 대응 접촉부의 배열 방향에 있어서의 리셉터클 하우징(50)의 중앙 위치에서 지지되는 한 쌍의 상대 신호 단자(70)와, 같은 방향에서 리셉터클 하우징(50)의 단부측에서 지지되어 당해 상대 신호 단자(70)와는 형상이 상이한 한 쌍의 전원 단자로서의 단부측 상대 단자(80)(이하, 「상대 전원 단자(80)」라고 함)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2)은, 예를 들면 수지 등의 전기 절연재로 만들어져 있고, 상기 상대 단자(60)의 대응 접촉부의 배열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고 있다. 당해 리셉터클 하우징(50)은, 상기 실장면에 대하여 평행한 저벽(51)(도 2 참조)과, 당해 저벽(51)의 둘레부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기립함과 함께 상기 배열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벽부(52)와, 상기 저벽(51)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기립함과 함께 상기 돌출벽부(52)를 둘러싸는 틀 형상의 주벽(53)을 갖고 있다. 당해 주벽(53)은, 상기 배열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측벽(54)과, 당해 배열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커넥터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한 쌍의 측벽(54)의 단부끼리를 연결하는 한 쌍의 단벽(55)을 갖고 있다. 상기 돌출벽부(52)와 주벽(53)과의 사이에 상방을 향하여 개구되는 환상(環狀) 공간은, 플러그 커넥터(1)의 끼워맞춤부로서의 주벽(12)을 수용하기 위한 리셉터클측 수용 공간(56)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저벽(51)은, 도 3(B)에 잘 보여지는 바와 같이, 네 귀퉁이 위치에, 당해 저벽(51)을 관통하는 구멍부(51A)가 형성되어 있다(도 5(A), 도 5(B)도 참조). 당해 구멍부(51A)는, 도 3(B)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지면(紙面)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으로 보아, 후술의 상대 전원 단자(80)의 리셉터클 측판부(81)를 포함하는 범위에 형성되어 있다. 당해 구멍부(51A)는, 리셉터클 하우징(50)과 상대 전원 단자(80)와의 일체 성형시에 금형의 삽입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구멍부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3(B)에 나타나는 상기 리셉터클 측판부(81)를 세 군데로부터 둘러싸는 바와 같은 형상의 금형(도시하지 않음)이 당해 구멍부(51A)를 거쳐 삽입된 상태에서 일체 성형을 행함으로써, 당해 리셉터클 측판부(81)가 커넥터 폭방향(도 3(B)에서 상하 방향)에서 탄성 변위를 허용하는 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저벽(51)은, 도 3(B)에 잘 보여지는 바와 같이, 커넥터 폭방향(도 3(B)에서 상하 방향)에서의 중앙 위치에, 상기 배열 방향(도 3(B)에서 좌우 방향)에서 단벽(55)에 인접하여, 지면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으로 상기 저벽(51)을 관통하는 구멍부(51B)가 형성되어 있다(도 6(A), 도 6(B)도 참조). 당해 구멍부(51B)는, 도 3(B)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지면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으로부터 보아, 후술의 상대 전원 단자(80)의 피로크 판부(82B)를 포함하는 범위에 형성되어 있다. 당해 구멍부(51B)도, 전술의 구멍부(51A)와 동일하게, 리셉터클 하우징(50)과 상대 전원 단자(80)와의 일체 성형시에 금형의 삽입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구멍부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피로크 판부(82B)의 피로크 단부(82B-1)(도 6(A), 도 6(B) 참조)를 도 6(A), 도 6(B)에서의 하방으로부터 막는 바와 같은 형상의 금형(도시하지 않음)이 상기 구멍부(51B)를 거쳐 하방으로부터 삽입된 상태에서 일체 성형을 행함으로써, 당해 피로크 단부(82B-1)의 하방에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배열 방향에서 당해 피로크 단부(82B-1)를 단벽(55)으로부터 돌출시킬 수 있다.
도 1(A), 도 2 및 도 4(A), 도 4(B)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기 저벽(51) 상에 섬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돌출벽부(52)는, 상기 배열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 위치에서의 양 측면(커넥터 폭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면)에, 후술하는 상대 신호 단자(70)의 탄성 아암부(71)의 탄성 변위를 허용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탄성 변위 허용 홈부(52A)가, 상기 양 측면으로부터 패임과 함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A) 및 도 3(B)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기 돌벽부(52)는, 한쪽의 단벽(55)에 대향하는 단면(상기 배열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면)에, 플러그 커넥터(1)의 피안내 벽부(16)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홈부(52B)가, 상기 단면으로부터 패임과 함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도 6(A), 도 6(B)도 참조).
또한, 도 1(A) 및 도 3(A), 도 3(B)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하우징(50)의 상기 측벽(54)의 내측면(리셉터클측 수용 공간(56)측의 면)에는, 플러그 커넥터(1)의 측벽(13)의 피안내 홈부(13A)와 대응하는 위치에, 리셉터클측 수용 공간(56)을 향하여 돌출됨과 함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안내 돌출부(54A)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플러그 하우징(10)에 피안내부(16) 및 피안내 홈부(13A)가, 그리고 리셉터클 하우징(50)에 안내홈부(52B) 및 안내 돌출부(54A)가, 상기 배열 방향에서의 한쪽의 측에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배열 방향에 있어서 커넥터끼리 정규의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인 채 커넥터끼리를 끼워맞춰 버리는, 소위 역 끼임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복수의 상대 단자(60) 중, 우선, 주로 도 1(A) 및 도 4(A), 도 4(B)에 기초하여 상기 상대 신호 단자(70)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상대 신호 단자(70)는, 금속판을 펀칭하여 얻어진 띠 형상편을 판두께 방향으로 굴곡하여 만들어져 있고, 도 4(A), 도 4(B)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기 배열 방향으로부터 보아 전체가 대략 횡(橫) S자 형상을 이루고 있다. 당해 상대 신호 단자(70)는, 리셉터클 하우징(50)의 측벽(54)에 일체 성형에 의해 매설 지지되는 역 U자 형상 부분과, 돌출벽부(52)를 따라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탄성 아암부(71)와, 저벽(51)에 일체 성형에 의해 매설 지지되어 상기 역 U자 형상부 부분의 후술의 내측 다리부(74) 및 상기 탄성 아암부(71)의 하단끼리를 연결하는 하측 연결부(72)와, 상기 역 U자 형상 부분의 후술의 외측 다리부(75)의 하단으로부터 하우징 바깥쪽으로 연장하는 신호 접속부(73)를 갖고 있다.
상기 역 U자 형상 부분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다리부, 즉 커넥터 폭방향에서의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 다리부(74)와, 같은 방향에서의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 다리부(75)와, 내측 다리부(74) 및 외측 다리부(75)의 상단끼리를 연결하는 상측 연결부(76)를 갖고 있다. 상기 내측 다리부(74)는, 상기 측벽(54)의 내측면을 따라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됨과 함께, 리셉터클측 수용 공간(56)측의 판면이 당해 측벽(54)의 내측면과 동일 레벨면을 형성하도록 하여 노정되어 있다. 또한, 당해 내측 다리부(74)의 상단쪽 위치에는, 상기 리셉터클측 수용 공간(56)을 향하여 돌출되는 피로크 돌기부(74A)가 예를 들면 프레스 가공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외측 다리부(75)는, 측벽(54)의 내부를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측 연결부(76)는, 그의 상면이 측벽(54)의 상면과 동일 레벨면을 형성하도록 하여 노정되어 있다.
상기 탄성 아암부(71)는, 커넥터 폭방향(도 4(A), 도 4(B)에서의 좌우 방향)에서 탄성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고, 자유단인 상단에 리셉터클측 수용 공간측으로 돌출되도록 만곡한 대응 접촉부(71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측 연결부(72)는, 상기 저벽(51)을 따라서 커넥터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당해 하측 연결부(72)의 상면이 저벽(51)의 상면과 동일면을 형성하도록 노정되어 있다. 상기 신호 접속부(73)는, 리셉터클 하우징(50)의 저면과 거의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고 있고, 대응하는 회로 기판(도시하지 않음)의 신호 회로부와 땜납 접속된다.
다음으로, 주로 도 1 내지 도 3에 기초하여 상대 전원 단자(80)에 대해서 설명한다. 당해 상대 전원 단자(80)는, 금속판을 일 부재로 하여 굴곡하여 만들어져 있고, 도 1(A)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기 배열 방향에서의 리셉터클 하우징(50)의 단부측 부분에서 단벽(55)으로 일체 성형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도 2 및 도 3도 참조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대 전원 단자(80)는,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50)의 양 측벽(54)의 각각을 따라서 연장되는 리셉터클 측판부(81)와, 당해 리셉터클 하우징(50)의 단벽(55)을 따라서 연장되어 2개의 상기 리셉터클 측판부(81)끼리를 연결하는 리셉터클 단판부(82)와, 커넥터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리셉터클 단판부(82)의 하단에 연결된 접속부(83)를 갖고 있다.
도 2에 잘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기 리셉터클 측판부(81)는, 상기 배열 방향에서 안쪽(상대 신호 단자(70)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외팔보 형상을 이루고 있다. 도 3(B)에 잘 보여지는 바와 같이, 당해 리셉터클 측판부(81)는, 리셉터클 하우징(50)의 측벽(54)의 내측면과의 사이에 커넥터 폭방향(도 3(B)에서 상하 방향)에서 간극을 갖고 폭방향에서 대향하는 2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이 간극의 범위 내에서 커넥터 폭방향 바깥쪽(측벽(54)측)을 향하여 판두께 방향으로 탄성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당해 리셉터클 측판부(81)는, 도 3(B)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자유단측의 부분이 다른 부분보다도 커넥터 폭방향에서 안쪽에 위치하도록, 상방으로부터 보아 대략 크랭크 형상으로 굴곡되어 있다. 상기 자유단측의 부분은, 리셉터클측 수용 공간(56) 내에 위치하고 있고, 당해 부분이, 플러그 커넥터(1)의 전원 단자(40)의 접촉부로서의 플러그 측판부(42)와 판면에서 접촉하는 대응 접촉부(81A)로서 형성되어 있다. 도 1(A) 및 도 2에 잘 보여지는 바와 같이, 당해 대응 접촉부(81A)의 상단은, 커넥터 폭방향 바깥쪽을 향하여 약간 경사져 있고, 이 경사진 부분이, 플러그 커넥터(1)의 전원 단자(40)를 상기 대응 접촉부(81A)와의 접촉 위치로 유입하기 위한 경사부(81B)로서 형성되어 있다(도 5(A), 도 5(B)도 참조).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대응 접촉부(81A)가 형성되어 있는 리셉터클 측판부(81)가 커넥터 폭방향으로 탄성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커넥터 끼워맞춤 상태에서, 상기 전원 단자(40)의 접촉부로서의 플러그 측판부(42)와 상대 전원 단자(80)의 대응 접촉부(81A)가 그의 판두께 방향(커넥터 폭방향)에서 충분한 접촉압력을 갖고 탄성 접촉하기 때문에, 상기 플러그 측판부(42)와 대응 접촉부(81A)와의 접촉 상태를 보다 확실하게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러그 측판부(42)와 상기 대응 접촉부(81A)는, 서로의 평탄한 판면에서 넓은 면적으로 면접촉하기 때문에, 양호한 접촉 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플러그 측판부(42)와 상기 대응 접촉부(81A)와 평탄한 판면끼리로 면접촉하는 것으로 했지만, 충분한 접촉 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면, 플러그 측판부 및 대응 접촉부의 판면이 평탄면인 것은 필수는 아니다. 예를 들면, 플러그 측판부 및 대응 접촉부 중 한쪽에, 커넥터 폭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판두께 방향에서 만곡시킨 접촉 돌출부를 형성하여, 플러그 측판부 및 대응 접촉부 중의 다른 한쪽의 평탄한 판면에 상기 접촉 돌출부가 접촉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상대 전원 단자에 탄성 변위 가능한 부분을 형성하여, 이 부분에 대응 접촉부를 형성했지만, 이에 대신하여 혹은 이와 함께, 플러그 커넥터의 전원 단자에 탄성 변위 가능한 부분을 형성하여, 이 부분에 접촉부를 형성해도 좋다.
도 2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기 리셉터클 단판부(82)는, 커넥터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2개의 상기 리셉터클 측판부(81)끼리를 연결하는 본체 판부(82A)와, 당해 본체 판부(82A)의 상연에서 하방을 향하여 되접히도록 하여 연장되는 피로크 판부(82B)를 갖고 있다(도 6(A), 도 6(B)도 참조). 당해 리셉터클 단판부(82)는, 상기 피로크 판부(82B)의 판면이 리셉터클측 수용 공간(56)을 향하여 노출되는 상태에서, 리셉터클 하우징(50)의 단벽(55) 내에 매설되어 있다(도 6(A), 도 6(B)도 참조).
상기 피로크 판부(82B)는, 상기 판면에, 커넥터 폭방향의 전역에 걸쳐 상하 방향에서 단 형상을 이루는 피로크 단부(82B-1)가 예를 들면 프레스 가공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당해 피로크 단부(82B-1)에서 플러그 커넥터(1)의 전원 단자(40)의 로크 단부(44A)와 커넥터 빠짐 방향에서 걸림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접속부(83)는, 상기 배열 방향에서의 단부 위치에서, 리셉터클 하우징(50)의 저면과 거의 동일한 높이에서 커넥터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대응하는 회로 기판(도시하지 않음)의 전원 회로부에 땜납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1(A) 및 도 4, 5, 6에 기초하여 커넥터 끼워맞춤 동작을 설명한다. 도 5는, 도 1(A)의 플러그 커넥터(1) 및 리셉터클 커넥터(2)에 대해서, 단자(20)의 접촉부의 배열 방향에 있어서의 전원 단자의 접촉부의 위치에서, 당해 배열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면에서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 5(A)는 커넥터 끼워맞춤 전의 상태, 도 5(B)는 커넥터 끼워맞춤 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은, 도 1(A)의 플러그 커넥터(1) 및 리셉터클 커넥터(2)에 대해서, 커넥터 폭방향에 있어서의 전원 단자의 로크부의 위치에서, 당해 커넥터 폭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면에서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 6(A)는 커넥터 끼워맞춤 전의 상태, 도 6(B)는 커넥터 끼워맞춤 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우선, 플러그 커넥터(1) 및 리셉터클 커넥터(2)를 각각 대응하는 회로 기판(도시하지 않음)에 땜납 접속하여 부착한다. 다음으로, 도 1(A), 도 4(A), 도 5(A) 및 도 6(A)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커넥터 끼워맞춤 직전의 상태에서, 리셉터클 커넥터(2)를 리셉터클측 수용 공간(56)이 상방을 향한 자세로 함과 함께, 당해 리셉터클 커넥터(2)의 상방에서, 플러그 커넥터(1)의 플러그측 수용 공간(15)이 아래쪽을 향한 자세로 한다.
다음으로, 도 1(A), 도 4(A), 도 5(A) 및 도 6(A)의 자세를 유지한 채 플러그 커넥터(1)를 하방으로 이동시켜(도 1(A), 도 2, 도 4(A), 도 5(A) 및 도 6(A)의 화살표를 참조) 플러그 커넥터(1)의 주벽(12)을 리셉터클 커넥터(2)의 리셉터클측 수용 공간(56) 내로 상방으로부터 진입시킴과 함께, 리셉터클 커넥터(2)의 돌출벽부(52)를 상대적으로 플러그 커넥터(1)의 플러그측 수용 공간(15) 내로 하방으로부터 진입시킨다. 이때, 플러그 하우징(10)의 피안내 벽부(16)가 리셉터클 하우징(50)의 안내홈부(52B) 내로 상방으로부터 진입함과 함께, 플러그 하우징의 피안내 홈부(13A) 내에 리셉터클 하우징(50)의 안내 돌출부(54A)가 상대적으로 하방으로부터 진입함으로써, 상기 플러그 커넥터(1)가 커넥터 폭방향 및 단자(20)의 접촉부의 배열 방향에서 안내된다.
이 결과, 도 4(B)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1)의 신호 단자(30)의 U자 형상 부분이 리셉터클 커넥터(2)의 상대 신호 단자(70)의 대응 접촉부(71A)와 피로크 돌기부(74A)와의 사이를 넓히도록 하여 진입한다. 그리고, 커넥터 끼워맞춤 상태에 있어서, 상기 상대 신호 단자(70)의 탄성 아암부(71)는 돌출벽부(52)의 탄성 변위 허용 홈부(52A) 내를 향하여 탄성 변위하고, 상기 대응 접촉부(71A)가 상기 신호 단자(30)의 접촉부(32)와 접촉압력을 갖고 면접촉한다. 또한, 상기 상대 신호 단자(70)의 피로크 돌기부(74A)는, 상기 신호 단자(30)의 로크 오목부(33A) 내에 진입하여, 커넥터 빠짐 방향(상방)으로 걸림 가능하게 위치한다. 이와 같이 하여, 신호 단자끼리의 전기적인 접촉 및 커넥터 빠짐 방향(상방)으로의 로크가 이루어진다.
또한, 도 5(B)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1)의 전원 단자(40)의 플러그 측판부(42)가 리셉터클 커넥터(2)의 상대 전원 단자(80)의 2개의 리셉터클 측판부(81)끼리 사이를 확대하도록 하여 진입한다. 그리고, 커넥터 끼워맞춤 상태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측판부(81)는, 리셉터클 하우징(50)의 측벽(54)을 향하여 탄성 변위하고, 당해 리셉터클 측판부(81)의 대응 접촉부(81A)가 상기 플러그 측판부(42)와 접촉압력을 갖고 접촉한다. 따라서, 상기 전원 단자(40)는, 상기 플러그 측판부(42)의 위치에서, 상기 상대 전원 단자(80)의 2개의 대응 접촉부(81A)에 의해 협압된 상태가 된다. 이 결과, 상기 플러그 측판부(42)와 대응 접촉부(81A)와의 접촉압력이 높아지기 때문에, 접촉 상태를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 단자(40)의 플러그 단판부(44)는, 로크 단부(44A)가 상대 전원 단자(80)의 피로크 판부(82)에 맞닿으면, 플러그 하우징(10)의 단벽(14)의 공간(14A-1)측을 향하여 탄성 변위하고, 로크 단부(44A)가 피로크 판부(82B)의 피로크 단부(82B-1)를 뛰어넘으면 자유 상태로 되돌아온다. 그리고, 커넥터 끼워맞춤 상태에서, 도 6(B)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로크 단부(44A)가 피로크 단부(82B-1)의 하방에 위치한다. 이 결과, 로크 단부(44A)와 피로크 단부(82B-1)가 커넥터 빠짐 방향으로 걸림 가능하게 위치하여, 같은 방향에서의 로크가 이루어진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플러그 커넥터(1)의 전원 단자(40) 그리고 리셉터클 커넥터(2)의 상대 전원 단자(80)에 있어서, 로크 단부(44A) 및 피로크 단부(82B-1)는, 각각 플러그 단판부(44) 및 리셉터클 단판부(82)에 형성되어 있다. 즉, 로크 단부(44A)는, 접촉부로서의 플러그 측판부(42)와는 별개로, 그리고 피로크 단부(82B-1)는, 대응 접촉부(81A)가 형성된 리셉터클 측판부(81)와는 별개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접촉부로서의 플러그 측판부(42)와 대응 접촉부(81A)에, 커넥터 끼움 및 빠짐 방향에서 걸리게 하기 위한 단부를 형성할 필요가 없어진다. 따라서, 끼워맞춤 상태에서 커넥터 조립체가 커넥터 빠짐 방향에서 뜻하지 않은 외력을 받아도, 상기 접촉부와 대응 접촉부(81A)가 걸리는 일이 없다. 이 결과, 상기 접촉부로서의 플러그 측판부(42)와 리셉터클 커넥터(2)의 대응 접촉부(81A)는 상기 외력에 대항하는 걸림력을 받지 않기 때문에, 접촉 상태가 불안정해지는 일이 없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로크부 및 피로크부에서 충분한 걸림력을 갖고 서로 로크시킬 수 있는 한편으로, 상기 플러그 측판부(42)와 상기 대응 접촉부(81A)와의 안정된 접촉 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 전원 단자(40)의 로크 단부(44A) 및 상대 전원 단자(80)의 피로크 단부(82B-1)는, 각각 플러그 하우징(1) 및 리셉터클 하우징(2)의 측벽측이 아니라, 단벽측에 형성되어 있다. 가령, 당해 로크 단부 및 피로크 단부를 상기 측벽측에 형성하려고 하면, 당해 로크 단부 및 피로크 단부를 각각 각 전원 단자의 측판부에 형성할 필요가 있지만, 당해 측판부는 접촉부로서 기능하는 관계상, 그 폭 치수(상기 배열 방향에서의 치수)에 대해서 설계상의 제약을 받기 쉬워, 당해 폭 치수를 크게 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상기 로크 단부 및 피로크 단부를 전기적인 기능과는 무관계한 단판부에 형성함으로써, 커넥터 폭방향으로 크게 로크 단부 및 피로크 단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결과, 큰 걸림력을 갖고 커넥터끼리를 로크시킬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로크 단부(44A)가 형성되어 있는 전원 단자(40)의 플러그 단판부(44)는, 커넥터 끼워맞춤 과정에서, 플러그 하우징(10)의 단벽(55)에 형성된 공간(14A-1)을 향하여 판두께 방향으로 탄성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커넥터 끼워맞춤 상태에서, 플러그 단판부(44)와 리셉터클 커넥터(2)의 피로크 판부(82)가 판두께 방향에서 충분한 접촉압력을 갖고 탄성 접촉한다. 이 결과, 로크 단부(44A)와 피로크 단부(82B-1)가 충분한 간섭량을 갖고 커넥터 빠짐 방향에서 서로 걸리기 때문에, 당해 로크 단부(44A)와 피로크 단부(82B-1)를 보다 확실하게 로크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플러그 단판부(44)가 탄성 변위 가능하고, 리셉터클 커넥터(2)의 피로크 판부(82)는 탄성 변위하지 않는 것으로 했지만, 이에 대신하여, 리셉터클 커넥터(2)의 피로크 판부(82)도 탄성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어도 좋은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이 경우, 리셉터클 하우징(50)의 단벽(55)에 피로크 판부(82)의 탄성 변위를 허용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할 필요가 있다. 또한, 로크 단부(44A)와 피로크 단부(82B-1)와의 충분한 간섭량을 확보할 수 있다면, 플러그 단판부(44) 및 피로크 판부(82)가 탄성 변위 가능한 것은 필수는 아니다.
본 실시 형태에서, 플러그 하우징(1)은, 리셉터클 하우징(2)의 섬 형상의 돌출벽부(52)를 수용하기 위한 플러그측 수용 공간(15)이 형성되어 있지만, 이에 대신하여, 리셉터클 하우징에 돌출벽부를 갖고 있지 않는 경우에는, 플러그 하우징에 수용 공간을 형성할 필요는 없다.
본 실시 형태에서, 플러그 커넥터(1)의 각 단자(20) 및 리셉터클 커넥터(2)의 각 상대 단자(60)는, 각각 플러그 하우징(10) 혹은 리셉터클 하우징(50)과의 일체 성형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것으로 했지만, 단자 및 상대 단자의 지지의 형태는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단자 혹은 상대 단자는, 플러그 하우징 및 리셉터클 하우징에 각각 형성된 압입 지지홈에 압입되어 지지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각 커넥터의 단부측 단자를 전원 단자로서 사용하는 것으로 했지만, 당해 단부측 단자가 전원 단자인 것은 필수가 아니며, 예를 들면, 그라운드 단자로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 각 커넥터의 신호 단자는 한 쌍만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했지만, 신호 단자의 수는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복수 쌍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각 커넥터에 단부측 단자(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원 단자) 이외에 신호 단자를 형성하는 것으로 했지만, 당해 신호 단자는 필수의 구성은 아니다. 예를 들면, 신호 단자를 형성하지 않고 단부측 단자만을 형성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한, 단부측 단자 및 신호 단자의 양쪽을 형성하는 경우라도, 신호 단자를 사용하지 않고 단부측 단자만을 사용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1 : 플러그 커넥터   
2 : 리셉터클 커넥터     
10 : 플러그 하우징
20 : 단자 
40 : 전원 단자(단부측 단자)    
42 : 플러그 측판부         
44 : 플러그 단판부         
44A : 로크 단부(로크부)   
50 : 리셉터클 하우징
54 : 측벽
55 : 단벽
56 : 리셉터클측 수용 공간(수용 공간)
60 : 상대 단자
80 : 상대 전원 단자(단부측 상대 단자)
81 : 리셉터클 측판부
82 : 리셉터클 단판부
82B-1 : 피로크 단부(피로크부)

Claims (6)

  1. 회로 기판의 실장면 상에 배치되는 플러그 커넥터와, 다른 회로 기판의 실장면 상에 배치되어 당해 실장면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을 커넥터 끼움 및 빠짐(inserting/extracting) 방향으로 하여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끼워맞춤 접속되는 상대 커넥터로서의 리셉터클 커넥터를 갖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로서,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는, 커넥터 끼워맞춤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단자의 접촉부에 접촉하는 대응 접촉부가 형성된 복수의 상대 단자와, 상기 회로 기판의 실장면에 대하여 평행한 한 방향을 배열 방향으로 하여 상기 복수의 상대 단자의 대응 접촉부가 배열되도록 당해 상대 단자를 지지하는 리셉터클 하우징을 갖고 있고,
    당해 리셉터클 하우징은, 상기 대응 접촉부의 배열 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측벽과, 상기 배열 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연장되어 측벽의 단부(端部)끼리를 연결하는 2개의 단벽(端壁)을 갖고, 당해 측벽과 단벽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이, 플러그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으로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플러그 커넥터는, 복수의 단자와, 상기 배열 방향과 동일한 방향에서 당해 복수의 단자의 접촉부가 배열되도록 당해 단자를 지지하는 플러그 하우징을 갖고 있고,
    당해 플러그 하우징은,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의 수용 공간 내로 끼워넣어지는 끼워맞춤부를 갖고, 당해 끼워맞춤부에, 커넥터 끼워맞춤 상태에서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의 측벽에 대면하는 측면과, 당해 리셉터클 하우징의 단벽에 대면하는 단면(端面)이 형성되어 있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에 형성된 복수의 단자는, 상기 상대 단자의 대응 접촉부의 배열 방향과 동일 방향에서 양단에 위치하여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끼워맞춤부의 단부측에서 지지되는 단부측 단자를 갖고 있고, 당해 단부측 단자는, 금속판을 일 부재로 하여 굴곡하여 만들어져 있고, 상기 끼워맞춤부의 측면을 따라서 연장되는 플러그 측판부와, 상기 끼워맞춤부의 단면을 따라서 연장되는 플러그 단판부를 갖고, 상기 플러그 측판부의 판면에 접촉부가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플러그 단판부의 판면에 단(段) 형상의 로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에 형성된 복수의 상대 단자는, 상기 배열 방향에서 양단에 위치하여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의 단부측에서 지지되는 단부측 상대 단자를 갖고 있고, 당해 단부측 상대 단자는, 금속판을 일 부재로 하여 굴곡하여 만들어져 있고,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의 측벽을 따라서 연장되는 리셉터클 측판부와, 당해 리셉터클 하우징의 단벽을 따라서 연장되는 리셉터클 단판부를 갖고, 상기 리셉터클 측판부의 판면에,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단부측 단자의 접촉부에 접촉하는 대응 접촉부가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리셉터클 단판부의 판면에,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단부측 단자의 로크부에 대하여 커넥터 끼움 및 빠짐 방향에서 걸림 가능한 단 형상의 피(被)로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플러그 커넥터에 형성된 단부측 단자는, 플러그 하우징의 양 측면을 따라서 각각 위치하는 양쪽의 플러그 측판부가, 당해 플러그 하우징의 단면을 따라 위치하는 플러그 단판부와 연결되어 있고,
    리셉터클 커넥터에 형성된 단부측 상대 단자는, 리셉터클 하우징의 양 측벽을 따라서 각각 위치하는 리셉터클 측판부와, 당해 리셉터클 하우징의 단벽을 따라서 위치하는 리셉터클 단판부가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플러그 커넥터에 형성된 단부측 단자 및 리셉터클 커넥터에 형성된 단부측 상대 단자 중 적어도 한쪽은, 로크부 혹은 피로크부를 갖고 있는 부분이, 플러그 단판부 혹은 리셉터클 단판부의 판두께 방향으로 탄성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플러그 커넥터에 형성된 단부측 단자 및 리셉터클 커넥터에 형성된 단부측 상대 단자 중 적어도 한쪽은, 접촉부 혹은 대응 접촉부를 갖고 있는 부분이, 플러그 측판부 혹은 리셉터클 측판부의 판두께 방향으로 탄성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5. 회로 기판의 실장면 상에 배치되어 당해 실장면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을 커넥터 끼움 및 빠짐 방향으로 하여, 다른 회로 기판의 실장면 상에 배치되는 상대 커넥터로서의 리셉터클 커넥터에 끼워맞춤 접속되는 플러그 커넥터로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는, 커넥터 끼워맞춤 상태에서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에 형성된 상대 단자의 대응 접촉부에 접촉하는 접촉부가 형성된 복수의 단자와, 상기 회로 기판의 실장면에 대하여 평행한 한 방향을 배열 방향으로 하여 상기 복수의 단자의 접촉부가 배열되도록 당해 단자를 지지하는 플러그 하우징을 갖고 있고,
    당해 플러그 하우징은,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의 수용 공간 내로 끼워넣어지는 끼워맞춤부를 갖고, 당해 끼워맞춤부에, 상기 배열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면과, 당해 배열 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연장되는 단면이 형성되어 있는 플러그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에 형성된 복수의 단자는, 상기 배열 방향에서의 양단에 위치하여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끼워맞춤부의 단부측에서 지지되는 단부측 단자를 갖고 있고, 당해 단부측 단자는, 금속판을 일 부재로 하여 굴곡하여 만들어져 있고, 상기 끼워맞춤부의 측면을 따라서 연장되는 플러그 측판부와, 상기 끼워맞춤부의 단면을 따라 연장되는 플러그 단판부를 갖고, 상기 플러그 측판부의 판면에, 상기 단부측 단자에 대응하여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에 형성된 단부측 상대 단자의 대응 접촉부에 접촉하는 접촉부가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플러그 단판부의 판면에,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단부측 상대 단자에 대하여 커넥터 끼움 및 빠짐 방향에서 걸림 가능한 단 형상의 로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6. 회로 기판의 실장면 상에 배치되어 당해 실장면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을 커넥터 끼움 및 빠짐 방향으로 하여, 다른 회로 기판의 실장면에 배치되는 플러그 커넥터가 끼워맞춤 접속되는 상대 커넥터로서의 리셉터클 커넥터로서,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는, 커넥터 끼워맞춤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단자의 접촉부에 접촉하는 대응 접촉부가 형성된 복수의 상대 단자와, 상기 회로 기판의 실장면에 대하여 평행한 한 방향을 배열 방향으로 하여 상기 복수의 상대 단자의 대응 접촉부가 배열되도록 당해 상대 단자를 지지하는 리셉터클 하우징을 갖고 있고,
    당해 리셉터클 하우징은, 상기 대응 접촉부의 배열 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측벽과, 상기 배열 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연장되어 측벽의 단부끼리를 연결하는 2개의 단벽을 갖고, 당해 측벽과 단벽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이, 플러그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으로서 형성되어 있는 리셉터클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에 형성된 복수의 상대 단자는, 상기 배열 방향에서의 양단에 위치하여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의 단부측에서 지지되는 단부측 상대 단자를 갖고 있고, 당해 단부측 상대 단자는, 금속판을 일 부재로 하여 굴곡하여 만들어져 있고,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의 측벽을 따라서 연장되는 리셉터클 측판부와, 당해 리셉터클 하우징의 단벽을 따라서 연장되는 리셉터클 단판부를 갖고, 상기 리셉터클 측판부의 판면에, 상기 단부측 상대 단자에 대응하여 상기 플러그 커넥터에 형성된 단부측 단자의 접촉부에 접촉하는 대응 접촉부가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리셉터클 단판부의 판면에,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단부측 단자에 대하여 커넥터 끼움 및 빠짐 방향에서 걸림 가능한 단 형상의 피로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KR1020130039665A 2012-05-01 2013-04-11 전기 커넥터 조립체,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 KR1015673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104787A JP5638026B2 (ja) 2012-05-01 2012-05-01 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JP-P-2012-104787 2012-05-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2910A true KR20130122910A (ko) 2013-11-11
KR101567356B1 KR101567356B1 (ko) 2015-11-09

Family

ID=49491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9665A KR101567356B1 (ko) 2012-05-01 2013-04-11 전기 커넥터 조립체,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961215B2 (ko)
JP (1) JP5638026B2 (ko)
KR (1) KR101567356B1 (ko)
CN (3) CN105576409B (ko)
TW (1) TWI569519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2442A (ko) * 2014-12-30 2016-07-08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커넥터
KR20220056114A (ko) * 2020-10-27 2022-05-04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중앙 볼록부를 갖는 하우징을 구비한 커넥터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 부재 및, 보호 부재를 배치한 커넥터
KR20230090764A (ko) * 2021-12-15 2023-06-22 에이치알에스코리아 주식회사 전기 커넥터
KR20230090765A (ko) * 2021-12-15 2023-06-22 에이치알에스코리아 주식회사 전기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72909B2 (ja) * 2013-09-19 2015-09-02 第一精工株式会社 基板接続用電気コネクタ装置
US10050391B2 (en) * 2013-12-12 2018-08-14 Harting Electric Gmbh & Co. Kg Holding frame for a plug connector
US9391398B2 (en) 2014-03-20 2016-07-12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Connector assembly
CN105098413B (zh) * 2014-04-17 2017-09-29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端子、电连接器、以及电连接器组件
US9190752B1 (en) * 2014-04-24 2015-11-17 Foxconn Interconnect Technology Limited Board to board connector assembly having improved terminal arrangement
JP6167997B2 (ja) * 2014-06-05 2017-07-2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コネクタセット及びコネクタ
JP6327973B2 (ja) * 2014-06-30 2018-05-23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JP6034339B2 (ja) * 2014-07-29 2016-11-3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6388152B2 (ja) 2014-08-07 2018-09-1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および当該コネクタに用いられるヘッダならびにソケット
JP6473990B2 (ja) * 2014-08-07 2019-02-2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および当該コネクタに用いられるソケット
JP6712794B2 (ja) 2014-08-07 2020-06-2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および当該コネクタに用いられるヘッダならびにソケット
TWM497353U (zh) * 2014-08-20 2015-03-11 Foxconn Interconnect Technology Ltd 電連接器及其組合
JP6068405B2 (ja) * 2014-08-27 2017-01-25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組立体
WO2016042625A1 (ja) * 2014-09-17 2016-03-24 山一電機株式会社 プラグ、ソケット、および、それらを備える基板接続用コネクタ
USD738316S1 (en) 2014-09-29 2015-09-08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Connector
USD737781S1 (en) 2014-09-29 2015-09-01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Connector
JP6174005B2 (ja) * 2014-12-12 2017-08-0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EP3118943B1 (en) * 2015-07-15 2019-06-12 Aptiv Technologies Limited Electrical plug connector for a safety restraint system and connection method thereof.
JP6002297B2 (ja) * 2015-08-25 2016-10-05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組立体及び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
KR101754261B1 (ko) * 2015-09-17 2017-07-05 (주)우주일렉트로닉스 크랙 방지용 커넥터 장치
JP6591251B2 (ja) 2015-10-01 2019-10-1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20180287282A1 (en) * 2015-10-14 2018-10-04 Kyocera Corporation Connector and connector system
JP6712799B2 (ja) * 2016-02-05 2020-06-2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および当該コネクタに用いられるヘッダならびにソケット
CN107134674B (zh) * 2016-02-29 2021-04-27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导电连接件及连接组件
JP2017162774A (ja) * 2016-03-11 2017-09-1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6594248B2 (ja) * 2016-04-04 2019-10-23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源コネクタ装置
JP6655797B2 (ja) * 2016-04-28 2020-02-2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ヘッダおよびソケット
CN107658592B (zh) * 2016-07-26 2020-05-12 株式会社藤仓 插座连接器以及插座连接器的制造方法
CN106425457B (zh) * 2016-08-08 2018-08-07 公牛集团股份有限公司 弹簧的压针结构
JP6399063B2 (ja) * 2016-09-07 2018-10-03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装置
CN107809017B (zh) * 2016-09-08 2020-07-07 广濑电机株式会社 电连接器以及电连接器组装体
CN107819221A (zh) 2016-09-13 2018-03-20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及其组合
CN107978902B (zh) 2016-10-21 2021-05-25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插座连接器
CN207925768U (zh) * 2017-01-11 2018-09-28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及其组合
JP6806593B2 (ja) 2017-02-28 2021-01-0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857073B2 (ja) * 2017-04-07 2021-04-14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組立体
US9985371B1 (en) * 2017-04-11 2018-05-29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Connector
CN207069118U (zh) * 2017-06-08 2018-03-02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组合
JP6574470B2 (ja) * 2017-11-06 2019-09-1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7086620B2 (ja) * 2018-01-31 2022-06-2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システム
JP6942074B2 (ja) * 2018-03-05 2021-09-29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組立体
JP6690665B2 (ja) * 2018-05-10 2020-04-28 第一精工株式会社 基板コネクタ装置
JP7038813B2 (ja) * 2018-06-22 2022-03-18 株式会社フジクラ 電気コネクタ
JP7042711B2 (ja) * 2018-07-03 2022-03-28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アセンブリ
US11038301B2 (en) * 2019-02-07 2021-06-15 Tyco Electronics Japan G.K. Connector assembly with a plurality of circuit boards
CN209822934U (zh) * 2019-03-28 2019-12-20 东莞富强电子有限公司 弹片
JP7407389B2 (ja) * 2019-08-02 2024-01-0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プラグコネクタ及びそれを備えたコネクタセット並びにコネクタセットの抜去方法
JP7206169B2 (ja) * 2019-08-27 2023-01-17 ヒロセ電機株式会社 視認部材を備えたコネクタ装置
CN113412559B (zh) * 2019-09-24 2023-12-26 株式会社村田制作所 电连接器和电连接器组
US11228149B2 (en) * 2019-09-27 2022-01-18 Apple Inc. Integrated high frequency connector
TWI760873B (zh) * 2019-10-18 2022-04-11 日商村田製作所股份有限公司 連接器
JP7021293B2 (ja) * 2020-06-04 2022-02-16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JP2021197299A (ja) * 2020-06-16 2021-12-27 ヒロセ電機株式会社 液状物質の侵入を防止するコネクタ組立体及びコネクタ組立体を用いた電子装置
JP2022028182A (ja) * 2020-08-03 2022-02-16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基板接続コネクタ
DE102020126541A1 (de) 2020-10-09 2022-04-14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Fixiervorrichtung zur Fixierung eines Kontaktelements in einem Gehäuse eines Steckers
CN112636031B (zh) * 2020-11-30 2022-03-29 中航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锁紧件、弯式表贴连接器及连接器组件
CN115966947B (zh) * 2022-12-28 2023-11-24 深圳市捷联通科技有限公司 一种新能源插头与插座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71571A (en) * 1990-03-15 1990-11-20 Amp Incorporated Self-locking pin field connector
EP0450770B1 (en) * 1990-04-02 1995-11-22 The Whitaker Corporation Surface mount connector
US5310357A (en) * 1993-02-22 1994-05-10 Berg Technology, Inc. Blade-like terminal having a passive latch
US5931689A (en) * 1997-08-06 1999-08-03 Molex Incorporated Electric connector assembly with improved locking characteristics
JP3677601B2 (ja) * 2002-04-05 2005-08-0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ホールドダウン付きコネクタ
TW559360U (en) * 2003-01-22 2003-10-2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JP3949064B2 (ja) * 2003-02-06 2007-07-25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2006100240A (ja) 2004-08-31 2006-04-13 Kyocera Elco Corp コネクタ及びこのコネクタを備えた携帯端末
JP4287825B2 (ja) * 2005-01-28 2009-07-01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基板接続用コネクタ
CN2882007Y (zh) * 2006-01-28 2007-03-21 富港电子(东莞)有限公司 具有电磁屏蔽功能的板对板连接器
JP4333884B2 (ja) * 2007-03-01 2009-09-1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CN201060970Y (zh) * 2007-06-11 2008-05-14 江苏华富电子有限公司 电连接器
JP4574692B2 (ja) * 2008-02-29 2010-11-0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CN201312041Y (zh) * 2008-08-25 2009-09-16 上海莫仕连接器有限公司 电连接器
JP5250450B2 (ja) * 2009-02-27 2013-07-31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4954253B2 (ja) * 2009-09-11 2012-06-13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基板対基板コネクタ
JP5523781B2 (ja) 2009-09-17 2014-06-18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電気コネクタおよび係合解除治具
JP5631074B2 (ja) * 2010-06-28 2014-11-26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Molex Incorporated 基板対基板コネクタ
JP5881333B2 (ja) 2010-09-08 2016-03-09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基板対基板コネクタ
CN202196952U (zh) * 2011-07-14 2012-04-18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组合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2442A (ko) * 2014-12-30 2016-07-08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커넥터
KR20220056114A (ko) * 2020-10-27 2022-05-04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중앙 볼록부를 갖는 하우징을 구비한 커넥터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 부재 및, 보호 부재를 배치한 커넥터
KR20230090764A (ko) * 2021-12-15 2023-06-22 에이치알에스코리아 주식회사 전기 커넥터
KR20230090765A (ko) * 2021-12-15 2023-06-22 에이치알에스코리아 주식회사 전기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633673A (zh) 2016-06-01
CN105633673B (zh) 2018-10-12
JP5638026B2 (ja) 2014-12-10
CN103384036A (zh) 2013-11-06
US20130295784A1 (en) 2013-11-07
TWI569519B (zh) 2017-02-01
CN103384036B (zh) 2016-01-20
JP2013232372A (ja) 2013-11-14
TW201401662A (zh) 2014-01-01
US8961215B2 (en) 2015-02-24
CN105576409A (zh) 2016-05-11
KR101567356B1 (ko) 2015-11-09
CN105576409B (zh) 2018-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22910A (ko) 전기 커넥터 조립체,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
JP6407391B2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KR101815093B1 (ko)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JP5685216B2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及び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
KR101660816B1 (ko)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
JP5659209B2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および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5090509B2 (ja) 電気コネクタ
KR101552942B1 (ko) 전기 커넥터 조립체 및 플러그 커넥터
JP5872503B2 (ja) 電気コネクタ
JP5688063B2 (ja) 電気コネクタ
TWI464972B (zh) Assembly of electrical connector and cover, mounting of electrical connector, and mounting method of electrical connector
TWI701877B (zh) 電連接器及電連接器組裝體
KR20170042484A (ko) 전기 커넥터 조립체
JP2012049013A (ja) 電気コネクタ
JP6117905B2 (ja) 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
CN112018535A (zh) 电连接器组装体
JP6178395B2 (ja) プラグコネクタ
JP5659212B2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5805288B2 (ja) プラグコネクタ
JP6002297B2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及び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
JP6474857B2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