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4261B1 - 크랙 방지용 커넥터 장치 - Google Patents

크랙 방지용 커넥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4261B1
KR101754261B1 KR1020150131907A KR20150131907A KR101754261B1 KR 101754261 B1 KR101754261 B1 KR 101754261B1 KR 1020150131907 A KR1020150131907 A KR 1020150131907A KR 20150131907 A KR20150131907 A KR 20150131907A KR 101754261 B1 KR101754261 B1 KR 1017542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ase
reinforcing
protruding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1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3739A (ko
Inventor
이근오
최석진
Original Assignee
(주)우주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주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우주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1501319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4261B1/ko
Priority to CN201510737166.6A priority patent/CN106549253A/zh
Publication of KR20170033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37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42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42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2Printed circuits being in the same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35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with opposite contact points, e.g. C bea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4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different pieces being moulded, cemented, welded, e.g. ultrasonic, or swaged togeth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Abstract

본 발명은 크랙 방지용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제 1 베이스의 단부에 내삽되는 제 1 강도보강부가 제 1 터미널과 직접 연결되어 있으므로, 제 1 베이스의 단부는 강한 강도를 갖게 되며, 이에 따라, 작업자가 제 1 베이스를 제 2 베이스에 결합하는 도중 제 1 베이스에 필요 이상의 강한 압력을 가한다 하더라도, 제 1 베이스의 단부가 견고하게 보강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 2 강도보강부의 보강돌기가 제 2 베이스의 제 1 측벽부를 견고하게 지지하므로, 제 1 베이스를 제 2 베이스에 삽입시키는 과정에서 제 2 베이스의 제 1 측벽부에 강한 충격이 가해진다 하더라도, 상기 보강돌기가 제 1 측벽부를 견고하게 지지하게 되어, 제 1 측벽부에 크랙이 발생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크랙 방지용 커넥터 장치{Connector Apparatus for Preventing Crack}
본 발명은 크랙 방지용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플러그커넥터와 리셉터클커넥터를 결합하는 과정에서, 제 1 베이스 또는 제 2 베이스에 크랙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크랙 방지용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각종 전기, 전자기기는 갈수록 소형화, 박형화, 경량화, 다기능화되는 추세에 있으며, 스마트폰, 노트북, 카메라 등의 분야에서는 다기능화를 위한 소형화, 박형화의 필요성이 매우 높다. 이러한 전기, 전자장비는 내부에 PCB 회로 기판을 비롯하여 각종 전기, 전자부품들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 전기, 전자부품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하는 구성은 소형화, 박형화를 위해 매우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하는 요소이다. 특히 기판과 기판 간을 접속시키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보드 대 보드(board to board; BtoB) 커넥터가 개발되어 왔다.
도 1은 종래 기판과 기판을 접속시키기 위한 보드 대 보드 커넥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보드 대 보드 커넥터는 소켓(60)과, 헤더(50)를 포함한다. 소켓(60)은 소켓용 베이스(62)와, 소켓용 베이스(62)의 내부에 구비되는 복수의 소켓용 콘텍트(64)와, 소켓용 베이스(62)의 양 단부에 구비되는 소켓용 결합부재(66)를 포함한다. 그리고 헤더(50)는 소켓용 베이스(62)에 삽입되는 헤더용 베이스(52)와, 헤더용 베이스(52)의 내부에 구비되는 복수의 헤더용 콘텍트(54)와, 헤더용 베이스(52)의 양 단부에 구비되는 헤더용 결합부재(56)를 포함한다. 그리고 소켓용 베이스(62)와 헤더용 베이스(52)가 결합될 때, 소켓용 콘텍트(64)와 헤더용 콘텍트(54)가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소켓용 결합부재(66)와 헤더용 결합부재(56)가 상호 결합된다. 이때, 헤더용 결합부재(56)는 탄성 변형 가능한 아치 형상으로 형성되되, 그 양 단부에 돌출부(56a)가 형성되고, 소켓용 결합부재(66)는 헤더용 결합부재(56)가 수용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돌출부(56a)와 대향되는 위치에 돌출부(56a)와 결합되는 유지부(66a)가 형성된다. 그리고 소켓(60)에 헤더(50)가 결합될 때, 헤더용 결합부재(56)가 탄성 변형되면서 소켓용 결합부재(66)로 삽입된 후 원상태로 복귀되고, 이때, 돌출부(56a)와 유지부(66a)가 상호 끼움 결합된다.
그러나 이러한 헤더용 결합부재(56) 및 소켓용 결합부재(66)는 헤더용 베이스(52)의 양 단부 및 소켓용 결합부재(66)의 양 단부를 견고하게 보호할 수 없어, 작업자가 실수로 헤더용 베이스(52)를 소켓용 베이스(62)의 정 위치가 아닌, 약간 비스듬한 각도로 결합을 시도할 경우, 헤더용 베이스(52)의 단부 및 소켓용 베이스(62)에 크랙(Crack)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5-000392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16410호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플러그커넥터와 리셉터클커넥터를 결합하는 과정에서, 작업자의 작업 방식에 따라 취약한 구조로 형성되는 제 1 베이스 또는 제 2 베이스에 크랙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크랙 방지용 커넥터 장치를 제공하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 1 베이스와, 상기 제 1 베이스의 길이방향 양측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 개의 제 1 터미널과, 상기 제 1 베이스의 길이방향 양 단부에 내삽되는 제 1 강도보강부를 갖는 플러그커넥터; 상기 제 1 베이스가 삽입되도록 삽입부가 형성되는 제 2 베이스와, 상기 삽입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 1 터미널과 전기적으로 결합되도록 배열되는 복수 개의 제 2 터미널을 갖는 리셉터클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강도보강부는, 상기 제 1 베이스의 길이방향 단부에 내삽되는 보강부와, 복수 개의 상기 제 1 터미널 중 상기 제 1 베이스의 길이방향 양측의 양 단부에 위치되는 제 1 터미널과 상기 보강부를 상호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랙 방지용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보강부의 양측 중 어느 한 측과 인접한 상기 제 1 터미널을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랙 방지용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보강부에는 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베이스에는 상기 결합홀에 삽입되도록 위치고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랙 방지용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보강부는 인서트 몰딩에 의하여 상기 제 1 베이스 내부에 내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랙 방지용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보강부가 상기 연결부와 연결될 때, 상기 보강부의 상단과 하단은 상기 제 1 베이스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노출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베이스의 상기 노출결합부와 대향되는 위치에는 상기 노출결합부가 외부와 결합되도록 노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랙 방지용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리셉터클커넥터는, 상기 제 2 베이스의 양 단부의 강도를 보강하는 제 2 강도보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강도보강부는, 상기 제 2 베이스의 길이방향 양측 단부를 지지하는 한 쌍의 보강돌기와, 한 쌍의 상기 보강돌기를 상호 연결시키는 보강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랙 방지용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2 베이스는, 상기 삽입부의 저면에 구비되는 저면부와, 상기 저면부의 길이방향 양측에 돌출되는 한 쌍의 제 1 측벽부와, 한 쌍의 상기 제 1 측벽부의 양 단부를 상호 연결시키도록 상기 저면부의 길이방향 양 단부에 돌출되는 한 쌍의 제 2 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연결부는, 상기 제 1 측벽부의 돌출 방향 단부를 덮도록 형성되는 제 1 연결부 및 상기 제 2 측벽부의 돌출 방향 단부를 덮도록 형성되되 그 양 단부가 상기 제 1 연결부와 일체로 연결되는 제 2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돌기는, 상기 제 1 측벽부의 외측에 위치되되 상기 제 1 연결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랙 방지용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측벽부의 돌출 방향 단부에는 상기 제 1 연결부가 안내되도록 오목하게 제 1 안내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측벽부의 외측에는 상기 보강돌기가 안내되도록 보강안내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 2 측벽부의 돌출 방향 단부에는 상기 제 2 연결부가 안내되도록 오목하게 제 2 안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랙 방지용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2 연결부에는 상기 제 2 측벽부의 내측 방향으로 보강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측벽부의 내측에는 상기 보강돌출부가 안내되도록 보강가이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랙 방지용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연결부의 일측에 상기 보강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 1 연결부의 타측에 고정돌출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 1 측벽부에는 상기 고정돌출부가 안내되도록 고정가이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랙 방지용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고정돌출부의 단부는 상기 고정가이드부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랙 방지용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터미널은, 상기 제 1 베이스에 결합되어 상기 제 2 터미널 방향으로 구비되는 제 1 결합단자 및 상기 제 1 결합단자에서 상기 제 1 베이스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돌출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랙 방지용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베이스는, 그 길이방향 양측에 구비되는 제 1 지지벽부와, 상기 제 1 지지벽부 사이의 양 단부를 연결시키는 제 2 지지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터미널의 상기 제 1 결합단자는, 상기 제 1 지지벽부의 내측에서 상기 제 1 지지벽부의 돌출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 1 돌출부와, 상기 제 1 돌출부에서 상기 제 1 돌출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라운드지도록 형성되는 라운드부와, 상기 제 1 돌출부와 대향되도록 상기 라운드부에서 상기 제 1 지지벽부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 2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터미널의 상기 제 1 돌출단자는, 상기 제 2 돌출부와 일체로 연결된 상태로 상기 제 1 베이스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랙 방지용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돌출부 또는 상기 제 2 돌출부의 길이방향 양측에는 걸림안내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지지벽부의 내측 또는 상기 제 1 지지벽부의 외측에는 상기 걸림안내부에 걸림 결합되도록 걸림결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랙 방지용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2 터미널은: 상기 제 2 베이스의 상기 제 1 터미널과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단자수용부에 수용되며 상기 제 1 터미널의 상기 제 1 결합단자가 끼움 결합되는 제 2 결합단자; 및 상기 제 2 결합단자에서 상기 제 2 베이스의 외측 방향으로 일체로 연장되는 제 2 돌출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랙 방지용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결합단자에는 볼록 또는 오목하게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결합단자에는 상기 걸림부와 걸림 결합되도록 걸림유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랙 방지용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2 결합단자는, 상기 제 1 터미널의 상기 제 1 결합단자가 삽입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오목부와, 상기 제 2 돌출단자와 가까이 위치되는 상기 오목부의 일측과 상기 제 2 돌출단자를 상호 연결시키는 연장부와, 상기 제 2 돌출단자와 멀리 위치되는 상기 오목부의 타측에서 상기 제 1 결합단자 방향으로 라운드지도록 돌출 형성되는 가압라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랙 방지용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돌출단자 또는 상기 제 2 돌출단자의 단부는 결합단부와, 상기 결합단부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요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단부는 외부 장치와 일체로 형성된 후 커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랙 방지용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돌출단자 또는 상기 제 2 돌출단자의 단부는 결합단부와, 상기 결합단부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요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단부와 상기 요홈부는 외부와 납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랙 방지용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제 1 베이스의 단부에 내삽되는 제 1 강도보강부가 제 1 터미널과 직접 연결되어 있으므로, 제 1 베이스의 단부는 강한 강도를 갖게 되며, 이에 따라, 작업자가 제 1 베이스를 제 2 베이스에 결합하는 도중 제 1 베이스에 필요 이상의 강한 압력을 가한다 하더라도, 제 1 베이스의 단부가 견고하게 보강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 1 베이스의 제 2 지지벽부에 내삽되는 제 1 강도보강부의 노출결합부는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되, 노출결합부는 외부와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제 1 강도보강부는 외부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 1 강도보강부의 보강부에는 결합홀이 형성되고, 제 1 베이스의 제 2 지지벽부의 내부에는 결합홀에 삽입되도록 위치고정부가 돌출 형성되어, 보강부는 위치고정부에 견고하게 걸림 위치되어, 외부 압력으로부터 보강부가 제 1 베이스의 제 2 지지벽부 내부에 견고하게 위치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 2 강도보강부의 보강돌기가 제 2 베이스의 제 1 측벽부를 견고하게 지지하므로, 제 1 베이스를 제 2 베이스에 삽입시키는 과정에서 제 2 베이스의 제 1 측벽부에 강한 충격이 가해진다 하더라도, 상기 보강돌기가 제 1 측벽부를 견고하게 지지하게 되어, 제 1 측벽부에 크랙이 발생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 1 터미널과 제 1 강도보강부를 인서트 몰딩 공법으로 제 1 베이스에 성형하게 되면, 제 1 베이스의 높이를 기존보다 낮출 수 있어, 제품의 전체 크기를 소형으로 제조할 수 있어, 커넥터 장치를 저배화 하기가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 1 터미널 또는 제 2 터미널의 돌출단자에는 요홈부가 형성되되, 상기 요홈부는 외부와 연결되지 않은 상태가 되어, 커팅 펀치가 외부와 연결된 돌출단자를 커팅할 때, 보다 용이하게 커팅할 수 있게 되어, 커팅 펀치의 유지 보수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 1 터미널 또는 제 2 터미널의 돌출단자가 외부와 납땜 결합될 때, 돌출단자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요홈부 만큼의 납땜 면적이 늘어나게 되어, 납땜 강도를 보완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 1 터미널과 제 2 터미널이 상호 결합될 때, 제 1 터미널의 제 1 결합단자의 걸림부에 제 2 터미널의 제 2 결합단자의 걸림유도부가 결합되어, 이들이 상호 걸림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이에 따라 제 1 결합단자와 제 2 결합단자의 전기적인 결합상태가 오랫동안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판과 기판을 접속시키기 위한 보드 대 보드 커넥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크랙 방지용 커넥터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크랙 방지용 커넥터 장치의 플러그커넥터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의 (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크랙 방지용 커넥터 장치의 플러그커넥터에 구비되는 제 1 터미널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의 (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크랙 방지용 커넥터 장치의 플러그커넥터에 구비되는 제 1 터미널에 제 1 강도보강부가 일체로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크랙 방지용 커넥터 장치의 플러그커넥터에 구비되는 제 1 베이스에 제 1 강도보강부가 내삽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A-A'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크랙 방지용 커넥터 장치의 리셉터클커넥터에 구비되는 제 2 강도보강부가 제 2 베이스에 결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크랙 방지용 커넥터 장치의 리셉터클커넥터에 구비되는 제 2 강도보강부가 제 2 베이스에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크랙 방지용 커넥터 장치의 리셉터클커넥터에 구비되는 제 2 터미널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크랙 방지용 커넥터 장치의 플러그커넥터와 리셉터클커넥터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B-B'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크랙 방지용 커넥터 장치의 플러그커넥터에 구비되는 제 1 결합단부와 제 1 요홈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크랙 방지용 커넥터 장치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크랙 방지용 커넥터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크랙 방지용 커넥터 장치는 예를 들면 제 1 기판(미도시)과 제 2 기판(미도시)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 1 기판과 결합되는 플러그커넥터(100)와, 상기 제 2 기판과 결합되되 상기 플러그커넥터(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리셉터클커넥터(200)를 포함한다.
플러그커넥터(100)는 제 1 베이스(110)와, 제 1 베이스(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하나 이상의 제 1 터미널(120)과, 제 1 베이스(110)의 양 단부에 결합되는 제 1 강도보강부(130)를 포함한다. 제 1 베이스(110)는 리셉터클커넥터(200)의 후술하는 제 2 베이스(210)에 삽입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터미널(120)은 후술하는 제 2 터미널(2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고, 제 1 강도보강부(130)는 제 1 베이스(110)의 양 단부를 보강하는 것으로, 하기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크랙 방지용 커넥터 장치의 플러그커넥터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플러그커넥터(100)의 제 1 베이스(110)는 후술하는 제 2 베이스(210)의 중앙돌출부(211a)가 삽입되도록 제 1 삽입부(110a)가 형성되며, 제 1 삽입부(110a)의 길이방향 양측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한 쌍의 제 1 지지벽부(112)와, 한 쌍의 제 1 지지벽부(112) 사이의 양 단부를 연결시키는 제 2 지지벽부(114)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한 쌍의 제 1 지지벽부(112)에 제 1 터미널(120)이 2열로 배열될 수 있다. 이때, 제 1 지지벽부(112)에는 각각의 제 1 터미널(120)을 용이하게 가이드하기 위하여 각각의 제 1 터미널(120)과 대향되는 위치에 제 1 단자가이드부(112a) 내지 제 5 단자가이드부(112e)가 형성된다. 제 1 단자가이드부(112a)는 한 쌍의 제 1 지지벽부(112)의 상호 마주보는 내측에 오목하게 형성된다. 제 2 단자가이드부(112b)는 제 1 단자가이드부(112a)에서 제 1 단자가이드부(112a)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라운드지도록 오목하게 형성된다. 제 3 단자가이드부(112c)는 제 2 단자가이드부(112b)에서 제 1 지지벽부(112)의 외측 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된다. 제 4 단자가이드부(112d)는 제 3 단자가이드부(112c)의 선단부에서 제 1 지지벽부(112)의 외측 방향으로 홀 형상으로 관통 형성된다. 제 5 단자가이드부(112e)는 제 4 단자가이드부(112d)에서 제 1 지지벽부(112)의 외측 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된다. 여기에 더하여 제 1 터미널(120)이 보다 견고하게 위치되도록 제 1 단자가이드부(112a)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제 1 걸림결합부(113a)가 볼록하게 형성되고, 제 3 단자가이드부(112c)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제 2 걸림결합부(113b)가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 1 터미널(120)은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어 후술하는 제 2 터미널(2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제 1 베이스(110)의 한 쌍의 제 1 지지벽부(112)를 따라 2열이 병렬로 배열될 수 있으며, 이렇게 병렬로 배열된 제 1 터미널(120)은 서로 대칭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 개의 제 1 터미널(120)의 폭은 서로 같거나 서로 상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 개의 제 1 터미널(120) 중 제 1 베이스(110)의 제 1 지지벽부(112)의 양 단부에 위치되는 제 1 터미널(120)은 그 폭이 크고, 제 1 베이스(110)의 제 1 지지벽부(112)의 양 단부 사이에 위치되는 제 1 터미널(120)은 그 폭이 작을 수 있다. 이러한 제 1 터미널(120)은 제 1 베이스(110)의 제 1 단자가이드부(112a) 내지 제 5 단자가이드부(112e)에 가이드된 상태로 제 1 베이스(11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제 1 강도보강부(130)는 복수 개의 제 1 터미널(120) 중 제 1 베이스(110)의 제 1 지지벽부(112)의 양 단부에 위치되는 제 1 터미널(120)에 일체로 연결되는 것으로, 하기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제 1 터미널(120)과 제 1 강도보강부(130)는 인서트 몰딩(Insert Molding) 공법으로 제 1 베이스(110)에 성형될 수 있다. 인서트 몰딩 공법은 널리 알려진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처럼 제 1 터미널(120)과 제 1 강도보강부(130)를 인서트 몰딩 공법으로 제 1 베이스(110)에 성형하게 되면, 제 1 베이스(110)의 높이를 기존보다 낮출 수 있어, 제품의 전체 크기를 소형으로 제조할 수 있어, 커넥터 장치(70)를 저배화 하기가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4의 (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크랙 방지용 커넥터 장치의 플러그커넥터에 구비되는 제 1 터미널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의 (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크랙 방지용 커넥터 장치의 플러그커넥터에 구비되는 제 1 터미널에 제 1 강도보강부가 일체로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3 및 도 4의 (a)를 참조하면, 제 1 베이스(110)의 제 1 지지벽부(112)의 양 단부 사이에 위치되는 제 1 터미널(120)은 제 2 터미널(220) 방향으로 구비되는 제 1 결합단자(122)와, 제 1 결합단자(122)에서 제 1 베이스(110)의 제 1 지지벽부(112)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돌출단자(126)를 포함한다. 제 1 결합단자(122)는 한 쌍의 제 1 지지벽부(112)의 상호 마주보는 내측에서 제 1 지지벽부(112)의 돌출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 1 돌출부(123)와, 상기 제 1 돌출부(123)에서 상기 제 1 돌출부(123)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라운드지도록 형성되는 라운드부(124)와, 상기 제 1 돌출부(123)와 대향되도록 상기 라운드부(124)에서 상기 제 1 지지벽부(112)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 2 돌출부(125)와, 제 2 돌출부(125)의 외면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후술하는 제 2 터미널(220)의 볼록한 걸림유도부(222a: 도 9 도시)에 걸림 결합되는 걸림부(125b)를 포함한다. 제 1 돌출단자(126)는 제 2 돌출부(125)와 일체로 연결된 상태로 제 1 베이스(110)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제 1 돌출단자(126)는 외부의 제 1 기판(미도시)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터미널(120)이 제 1 베이스(110)에 결합될 때, 제 1 터미널(120)의 제 1 결합단자(122)에 구비되는 제 1 돌출부(123), 라운드부(124) 및 제 2 돌출부(125)는 제 1 베이스(110)의 제 1 단자가이드부(112a), 제 2 단자가이드부(112b) 및 제 3 단자가이드부(112c)에 가이드된다. 그리고 제 1 터미널(120)의 제 2 결합단자(221)는 제 1 베이스(110)의 제 4 단자가이드부(112d)에 삽입된 후 제 5 단자가이드부(112e)로 가이드된다. 이때, 제 1 터미널(120)의 제 1 돌출부(123)에는 제 1 베이스(110)의 제 1 걸림결합부(113a)가 삽입되어 걸림 결합되도록 제 1 걸림안내부(123a)가 오목하게 형성되고, 제 1 터미널(120)의 제 2 돌출부(125)에는 제 1 베이스(110)의 제 2 걸림결합부(113b)에 삽입되어 걸림 결합되도록 제 2 걸림안내부(125a)가 볼록하게 형성된다. 이처럼 제 1 베이스(110)에는 제 1 걸림결합부(113a)와 제 2 걸림결합부(113b)가 형성되고, 제 1 터미널(120)에는 제 1 걸림안내부(123a)와 제 2 걸림안내부(125a)가 형성되므로, 제 1 터미널(120)은 제 1 베이스(110)에 견고하게 위치되는 효과가 있다.
이어서, 도 3 및 도 4의 (b)를 참조하면, 제 1 베이스(110)의 제 1 지지벽부(112)의 양 단부에 위치되는 제 1 터미널(120)은 상기 도 4의 (a)에서 설명한 제 1 터미널(120)보다 폭이 크도록 형성되고, 제 1 돌출단자(126)에 제 1 결합단부(126a)와 제 1 요홈부(126b)가 더 구비되며, 제 1 강도보강부(130)와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제 1 결합단부(126a)는 제 1 돌출단자(126)의 돌출 방향 단부에 구비되고, 제 1 요홈부(126b)는 제 1 돌출단자(126)의 중앙에 오목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 1 결합단부(126a)가 외부와 일체로 연결되도록 형성될 때, 제 1 요홈부(126b)는 제 1 결합단부(126a)의 안쪽에 위치되므로 외부와 연결되지 않은 상태가 되므로, 후술하는 커팅 펀치(300: 도 12 도시)가 제 1 결합단부(126a)를 커팅할 때, 보다 용이하게 커팅할 수 있게 된다. 이는 하기 도 12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제 1 요홈부(126b)는 제 1 돌출단자(126)의 중앙에 오목하게 형성되므로, 제 1 요홈부(126b) 만큼의 면적이 더 늘어나게 된다. 이에 따라 제 1 결합단부(126a)와 제 1 요홈부(126b)가 외부와 납땜 결합될 때, 제 1 요홈부(126b) 만큼의 납땜 면적이 늘어나게 되어, 납땜 강도를 보완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제 1 돌출단자(126)는 외부와 견고하게 결합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제 1 베이스(110)의 제 1 지지벽부(112)의 양 단부에 위치되는 제 1 터미널(120)에는 제 1 강도보강부(130)가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제 1 강도보강부(130)는 제 1 베이스(110)의 길이“‡향 양 단부에 구비되는 제 2 지지벽부(114)의 강도를 보강하는 것으로, 제 2 지지벽부(114)에 내삽되는 보강부(132)와, 제 1 베이스(110)의 제 1 지지벽부(112)의 양 단부에 위치되는 제 1 터미널(120)과 상기 보강부(132)를 상호 연결시키는 연결부(134)를 포함한다. 여기서 연결부(134)는 상기 보강부(132)의 양측 중 어느 한 측과 인접한 제 1 터미널(120)을 상호 연결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연결부(134)는 상기 보강부(132)의 양측과 제 1 터미널(120)을 각각 연결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보강부(132)에는 결합홀(132a)과 노출결합부(132b)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는 하기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크랙 방지용 커넥터 장치의 플러그커넥터에 구비되는 제 1 베이스에 제 1 강도보강부가 내삽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A-A'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 1 강도보강부(130)는 제 2 지지벽부(114)에 내삽되는 보강부(132)와, 상기 보강부(132)와 인접한 제 1 터미널(120)과 상기 보강부(132)를 상호 연결시키는 연결부(134)를 포함한다. 이처럼 제 1 강도보강부(130)는 제 1 터미널(120)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제 2 지지벽부(114)는 강한 강도를 갖게 되며, 이에 따라, 작업자가 제 1 베이스(110)를 제 2 베이스(210)에 결합하는 도중 제 1 베이스(110)에 필요 이상의 강한 압력을 가한다 하더라도, 제 1 베이스(110)의 제 2 지지벽부(114)가 견고하게 보강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제 2 지지벽부(114)의 상기 보강부(132)와 대향되는 상단과 하단에는 보강부(132)의 상단과 하단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노출부(114b)가 형성된다. 그리고 보강부(132)의 상단과 하단에는 노출부(114b) 방향으로 노출결합부(132b)가 형성되어, 노출결합부(132b)가 노출부(114b)를 통하여 제 1 베이스(110)의 외부로 노출된다. 이러한 노출결합부(132b)는 납땜결합 등을 통하여 외부와 결합되어, 제 1 강도보강부(130)는 외부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보강부(132)의 중앙에는 결합홀(132a)이 형성되고, 제 2 지지벽부(114)의 내부에는 결합홀(132a)에 삽입되도록 위치고정부(114a)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강부(132)는 위치고정부(114a)에 견고하게 걸림 위치되어, 외부 압력으로부터 보강부(132)가 제 2 지지벽부(114)에 견고하게 위치되는 효과가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크랙 방지용 커넥터 장치의 리셉터클커넥터에 구비되는 제 2 강도보강부가 제 2 베이스에 결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크랙 방지용 커넥터 장치의 리셉터클커넥터에 구비되는 제 2 강도보강부가 제 2 베이스에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리셉터클커넥터(200)는 플러그커넥터(100)의 제 1 베이스(110)와 결합되는 제 2 베이스(210)와, 제 2 베이스(210)의 길이방향 양측에 구비되는 제 2 터미널(220)과, 제 2 베이스(210)의 길이방향 양 단부에 결합되는 한 쌍의 제 2 강도보강부(230)를 포함한다.
제 2 베이스(210)는 바람직하게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 1 베이스(110)와 마주보는 상면에 제 1 베이스(110)가 삽입되도록 제 2 삽입부(210a)가 형성된다. 이러한 제 2 베이스(210)는 제 2 삽입부(210a)의 저면에 구비되는 저면부(211)와, 저면부(211)의 길이방향 양측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제 1 측벽부(212)와, 한 쌍의 제 1 측벽부(212)의 양 단부를 상호 연결시키도록 저면부(211)의 길이방향 양 단부에 돌출되는 한 쌍의 제 2 측벽부(213)를 포함한다. 그리고 저면부(211)의 중앙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중앙돌출부(211a)가 돌출 형성된다.
제 2 강도보강부(230)는 견고한 금속 재질 등으로 구성되어, 제 1 베이스(110)가 제 2 베이스(210)에 삽입될 때 제 2 베이스(210)의 제 1 측벽부(212)의 양 단부 및 제 2 측벽부(213)를 안전하게 보호한다. 이러한 제 2 강도보강부(230)는 보강연결부(234)와, 보강돌기(232)를 포함한다. 보강연결부(234)는 전반적으로 'ㄷ' 형상으로 형성되어, 한 쌍의 제 1 측벽부(212)의 돌출 방향 단부를 덮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제 1 연결부(234a)와, 제 2 측벽부(213)의 돌출 방향 단부를 덮도록 형성되되 그 양 단부가 제 1 연결부(234a)와 일체로 연결되는 제 2 연결부(234b)를 포함한다. 보강돌기(232)는 한 쌍으로 구성되되 각각 제 1 연결부(234a)에 연결된 상태로 한 쌍의 제 1 측벽부(212)의 상호 마주보지 않는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처럼 보강돌기(232)가 보강연결부(234)에 연결된 상태로 제 1 측벽부(212)를 견고하게 지지하므로, 제 1 베이스(110)를 제 2 베이스(210)에 삽입시키는 과정에서 제 2 베이스(210)의 제 1 측벽부(212)에 강한 충격이 가해진다 하더라도, 제 1 측벽부(212)가 외부로 벌어지지 않도록 보강돌기(232)가 제 1 측벽부(212)를 견고하게 지지하게 되어, 제 1 측벽부(212)에 크랙이 발생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 2 강도보강부(230)는 고정돌출부(236)와 보강돌출부(23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돌출부(236)는 제 1 연결부(234a)의 길이방향 일측에 보강돌기(232)가 돌출 형성될 때, 제 1 연결부(234a)의 길이방향 타측에 제 1 측벽부(212)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돌출부(236)의 단부는 제 1 측벽부(212)의 외측에서 그 내부로 삽입되도록 형성되어 제 2 강도보강부(230)가 보다 견고하게 제 1 측벽부(212)에 고정되도록 한다. 보강돌출부(238)는 제 2 연결부(234b)에서 한 쌍의 제 2 측벽부(213)의 상호 대향되는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제 2 강도보강부(230)가 제 2 베이스(210)에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제 2 베이스(210)의 제 1 측벽부(212)의 돌출 방향 단부에는 제 2 강도보강부(230)의 제 1 연결부(234a)가 안내되도록 하기 위하여 오목하게 제 1 안내부(212a)가 형성되고, 제 1 측벽부(212)의 외측에는 보강돌기(232)와 고정가이드부(212c)가 안내되도록 하기 위하여 보강안내부(212b)와, 고정가이드부(212c)가 각각 오목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제 2 측벽부(213)의 돌출 방향 단부에는 제 2 연결부(234b)가 안내되도록 하기 위하여 오목하게 제 2 안내부(213a)가 형성되고, 제 2 측벽부(213)의 내측에는 보강돌출부(238)가 안내되도록 하기 위하여 오목하게 보강가이드부(213b)가 형성된다. 이처럼 제 2 강도보강부(230)는 제 2 베이스(210)의 제 1 안내부(212a), 보강안내부(212b), 고정가이드부(212c), 제 2 안내부(213a) 및 보강가이드부(213b)에 삽입된 상태로 제 2 베이스(210)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으므로, 제 2 강도보강부(230)에 강한 충격이 발생된다 하더라도, 임의로 분리되거나, 그 위치가 어느 한 방향으로 틀어지지 않고 제 2 베이스(210)를 견고하게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제 2 터미널(220)은 플러그커넥터(100)의 제 1 터미널(120)과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것으로, 제 1 터미널(120)과 마찬가지로, 제 2 베이스(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병렬로 배열될 수 있으며, 이렇게 병렬로 배열된 제 2 터미널(220)은 2개의 열을 이루어, 서로 대칭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제 2 터미널(220)은 하기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크랙 방지용 커넥터 장치의 리셉터클커넥터에 구비되는 제 2 터미널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 2 터미널(220)은 상기 제 2 베이스(210)의 상기 제 1 터미널(120)과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후술하는 단자수용부(214)에 수용되는 것으로, 제 1 터미널(120)의 제 1 결합단자(122)가 끼움 결합되는 제 2 결합단자(221)와, 제 2 결합단자(221)에서 상기 제 2 베이스(210)의 외측 방향으로 일체로 연장되는 제 2 돌출단자(225)를 포함한다. 제 2 돌출단자(225)는 외부의 제 2 기판(미도시)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 2 결합단자(221)는 제 1 터미널(120)의 제 1 결합단자(122)가 삽입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오목부(222)와, 제 2 돌출단자(225)와 가까이 위치되는 오목부(222)의 일측과 제 2 돌출단자(225)를 상호 연결시키는 연장부(223)와, 제 2 돌출단자(225)와 멀리 위치되는 오목부(222)의 타측에서 제 1 결합단자(122) 방향으로 라운드지도록 돌출 형성되는 가압라운드부(224)를 포함한다. 이때, 오목부(222)의 일측에는 걸림유도부(222a)가 볼록하게 형성되어 제 1 터미널(120)의 걸림부(125b)에 걸림 결합된다. 그리고 가압라운드부(224)는 제 1 결합단자(122) 방향으로 탄성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돌출단자(225)의 단부에는 제 2 결합단부(225a)가 구비되고, 제 2 결합단부(225a)에는 오목하게 제 2 요홈부(225b)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제 2 결합단부(225a) 및 제 2 요홈부(225b)는 상기 제 1 터미널(120)에 구비되는 제 1 결합단부(126a) 및 제 1 요홈부(126b)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제 2 베이스(210)의 상면 중앙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중앙돌출부(211a)가 돌출 형성되고, 중앙돌출부(211a)와 제 1 측벽부(212) 사이에는 제 2 터미널(220)이 수용되기 위하여 단자수용부(214)가 형성된다. 단자수용부(214)는 중앙돌출부(211a)의 길이방향 양측에 제 2 터미널(220)의 가압라운드부(224)가 수용되도록 형성되는 제 1 수용부(214a)와, 제 2 터미널(220)의 오목부(222)가 수용되도록 제 1 수용부(214a)에서 저면부(211)를 지나 제 1 측벽부(212)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2 수용부(214b)와, 제 2 터미널(220)의 오목부(222)의 일측과 연장부(223)가 수용되도록 제 1 측벽부(212)에 형성되는 제 3 수용부(214c)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 1 수용부(214a)에 수용되는 가압라운드부(224)는 제 1 터미널(120)의 제 1 돌출부(123) 방향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되고, 제 3 수용부(214c)에 수용되는 오목부(222)의 일측은 제 1 터미널(120)의 제 2 돌출부(125) 방향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크랙 방지용 커넥터 장치의 플러그커넥터와 리셉터클커넥터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도 10의 B-B'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플러그커넥터(100)와 리셉터클커넥터(200)가 결합될 때, 플러그커넥터(100)의 제 1 베이스(110)가 리셉터클커넥터(200)의 제 2 베이스(210)에 삽입된다. 그리고 플러그커넥터(100)의 제 1 터미널(120)은 리셉터클커넥터(200)의 제 2 터미널(220)에 접촉된다. 이때, 제 1 터미널(120)의 제 1 결합단자(122)가 제 2 터미널(220)의 제 2 결합단자(221)에 삽입되어, 제 1 결합단자(122)와 제 2 결합단자(221)가 전기적으로 통전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제 1 결합단자(122)의 제 1 돌출부(123)와 제 2 돌출부(125)는 제 2 결합단자(221)의 가압라운드부(224)와 오목부(222) 사이에 끼움 결합되어, 상호 전기적으로 접촉된다. 이때, 제 1 결합단자(122)의 걸림부(125b)에 제 2 결합단자(221)의 걸림유도부(222a)가 삽입되어, 이들이 상호 걸림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이에 따라 제 1 결합단자(122)와 제 2 결합단자(221)의 전기적인 결합상태가 오랫동안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서, 걸림부(125b)가 오목하게 형성되고, 걸림유도부(222a)가 볼록하게 형성되나, 경우에 따라, 걸림부(125b)가 볼록하게 형성되고, 걸림유도부(222a)가 오목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크랙 방지용 커넥터 장치의 플러그커넥터에 구비되는 제 1 결합단부와 제 1 요홈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플러그커넥터(100)의 제 1 돌출단자(126)의 단부에는 제 1 결합단부(126a)와 제 1 요홈부(126b)가 구비된다. 제 1 결합단부(126a)는 제 1 돌출단자(126)의 돌출 방향 단부에 구비되고, 제 1 요홈부(126b)는 제 1 돌출단자(126)의 중앙에 오목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 1 결합단부(126a)가 외부 장치(250)와 일체로 연결되도록 형성될 때, 제 1 요홈부(126b)는 제 1 결합단부(126a)의 안쪽에 위치되므로 외부 장치(250)와 연결되지 않은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지지다이(200) 위에 제 1 결합단부(126a)를 올려놓은 후, 커팅 펀치(300)를 이용하여 제 1 결합단부(126a)를 커팅할 때, 제 1 요홈부(126b)가 커팅 면적을 감소시키므로, 커팅 펀치(300)가 받는 충격이 감소되어, 커팅 펀치(300)의 유지 보수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을 이로 한정하지 않음은 당연하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70: 커넥터 장치 100: 플러그커넥터
110: 제 1 베이스 110a: 제 1 삽입부
112: 제 1 지지벽부 112a: 제 1 단자가이드부
112b: 제 2 단자가이드부 112c: 제 3 단자가이드부
112d: 제 4 단자가이드부 112e: 제 5 단자가이드부
113a: 제 1 걸림결합부 113b: 제 2 걸림결합부
114: 제 2 지지벽부 114a: 위치고정부
114b: 노출부 120: 제 1 터미널
122: 제 1 결합단자 123: 제 1 돌출부
123a: 제 1 걸림안내부 124: 라운드부
125: 제 2 돌출부 125a: 제 2 걸림안내부
125b: 걸림부 126: 제 1 돌출단자
126a: 제 1 결합단부 126b: 제 1 요홈부
130: 제 1 강도보강부 132: 보강부
132a: 결합홀 132b: 노출결합부
134: 연결부 200: 리셉터클커넥터
210: 제 2 베이스 210a: 제 2 삽입부
211: 저면부 211a: 중앙돌출부
212: 제 1 측벽부 212a: 제 1 안내부
212b: 보강안내부 212c: 고정가이드부
213: 제 2 측벽부 213a: 제 2 안내부
213b: 보강가이드부 214: 단자수용부
214a: 제 1 수용부 214b: 제 2 수용부
214c: 제 3 수용부 220: 제 2 터미널
221: 제 2 결합단자 222: 오목부
222a: 걸림유도부 223: 연장부
224: 가압라운드부 225: 제 2 돌출단자
225a: 제 2 결합단부 225b: 제 2 요홈부
230: 제 2 강도보강부 232: 보강돌기
234: 보강연결부 234a: 제 1 연결부
234b: 제 2 연결부 236: 고정돌출부
238: 보강돌출부

Claims (19)

  1. 제 1 베이스와, 상기 제 1 베이스의 길이방향 양측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 개의 제 1 터미널과, 상기 제 1 베이스의 길이방향 양 단부에 내삽되는 제 1 강도보강부를 갖는 플러그커넥터; 및
    상기 제 1 베이스가 삽입되도록 삽입부가 형성되는 제 2 베이스와, 상기 삽입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 1 터미널과 전기적으로 결합되도록 배열되는 복수 개의 제 2 터미널을 갖는 리셉터클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강도보강부는, 상기 제 1 베이스의 길이방향 단부에 내삽되는 보강부와, 복수 개의 상기 제 1 터미널 중 상기 제 1 베이스의 길이방향 양측의 양 단부에 위치되는 제 1 터미널과 상기 보강부를 상호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에는 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베이스에는 상기 결합홀에 삽입되도록 위치고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랙 방지용 커넥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보강부의 양측 중 어느 한 측과 인접한 상기 제 1 터미널을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랙 방지용 커넥터 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인서트 몰딩에 의하여 상기 제 1 베이스 내부에 내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랙 방지용 커넥터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가 상기 연결부와 연결될 때, 상기 보강부의 상단과 하단은 상기 제 1 베이스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노출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베이스의 상기 노출결합부와 대향되는 위치에는 상기 노출결합부가 외부와 결합되도록 노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랙 방지용 커넥터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커넥터는, 상기 제 2 베이스의 양 단부의 강도를 보강하는 제 2 강도보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강도보강부는, 상기 제 2 베이스의 길이방향 양측 단부를 지지하는 한 쌍의 보강돌기와, 한 쌍의 상기 보강돌기를 상호 연결시키는 보강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랙 방지용 커넥터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베이스는, 상기 삽입부의 저면에 구비되는 저면부와, 상기 저면부의 길이방향 양측에 돌출되는 한 쌍의 제 1 측벽부와, 한 쌍의 상기 제 1 측벽부의 양 단부를 상호 연결시키도록 상기 저면부의 길이방향 양 단부에 돌출되는 한 쌍의 제 2 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연결부는, 상기 제 1 측벽부의 돌출 방향 단부를 덮도록 형성되는 제 1 연결부 및 상기 제 2 측벽부의 돌출 방향 단부를 덮도록 형성되되 그 양 단부가 상기 제 1 연결부와 일체로 연결되는 제 2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돌기는, 상기 제 1 측벽부의 외측에 위치되되 상기 제 1 연결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랙 방지용 커넥터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측벽부의 돌출 방향 단부에는 상기 제 1 연결부가 안내되도록 오목하게 제 1 안내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측벽부의 외측에는 상기 보강돌기가 안내되도록 보강안내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 2 측벽부의 돌출 방향 단부에는 상기 제 2 연결부가 안내되도록 오목하게 제 2 안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랙 방지용 커넥터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연결부에는 상기 제 2 측벽부의 내측 방향으로 보강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측벽부의 내측에는 상기 보강돌출부가 안내되도록 보강가이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랙 방지용 커넥터 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부의 일측에 상기 보강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 1 연결부의 타측에 고정돌출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 1 측벽부에는 상기 고정돌출부가 안내되도록 고정가이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랙 방지용 커넥터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출부의 단부는 상기 고정가이드부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랙 방지용 커넥터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터미널은, 상기 제 1 베이스에 결합되어 상기 제 2 터미널 방향으로 구비되는 제 1 결합단자 및 상기 제 1 결합단자에서 상기 제 1 베이스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돌출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랙 방지용 커넥터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베이스는, 그 길이방향 양측에 구비되는 제 1 지지벽부와, 상기 제 1 지지벽부 사이의 양 단부를 연결시키는 제 2 지지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터미널의 상기 제 1 결합단자는, 상기 제 1 지지벽부의 내측에서 상기 제 1 지지벽부의 돌출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 1 돌출부와, 상기 제 1 돌출부에서 상기 제 1 돌출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라운드지도록 형성되는 라운드부와, 상기 제 1 돌출부와 대향되도록 상기 라운드부에서 상기 제 1 지지벽부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 2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터미널의 상기 제 1 돌출단자는, 상기 제 2 돌출부와 일체로 연결된 상태로 상기 제 1 베이스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랙 방지용 커넥터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돌출부 또는 상기 제 2 돌출부의 길이방향 양측에는 걸림안내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지지벽부의 내측 또는 상기 제 1 지지벽부의 외측에는 상기 걸림안내부에 걸림 결합되도록 걸림결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랙 방지용 커넥터 장치.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터미널은:
    상기 제 2 베이스의 상기 제 1 터미널과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단자수용부에 수용되며 상기 제 1 터미널의 상기 제 1 결합단자가 끼움 결합되는 제 2 결합단자; 및
    상기 제 2 결합단자에서 상기 제 2 베이스의 외측 방향으로 일체로 연장되는 제 2 돌출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랙 방지용 커넥터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결합단자에는 볼록 또는 오목하게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결합단자에는 상기 걸림부와 걸림 결합되도록 걸림유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랙 방지용 커넥터 장치.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결합단자는,
    상기 제 1 터미널의 상기 제 1 결합단자가 삽입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오목부와, 상기 제 2 돌출단자와 가까이 위치되는 상기 오목부의 일측과 상기 제 2 돌출단자를 상호 연결시키는 연장부와, 상기 제 2 돌출단자와 멀리 위치되는 상기 오목부의 타측에서 상기 제 1 결합단자 방향으로 라운드지도록 돌출 형성되는 가압라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랙 방지용 커넥터 장치.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돌출단자 또는 상기 제 2 돌출단자의 단부는 결합단부와, 상기 결합단부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요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단부는 외부 장치와 일체로 형성된 후 커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랙 방지용 커넥터 장치.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돌출단자 또는 상기 제 2 돌출단자의 단부는 결합단부와, 상기 결합단부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요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단부와 상기 요홈부는 외부와 납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랙 방지용 커넥터 장치.
KR1020150131907A 2015-09-17 2015-09-17 크랙 방지용 커넥터 장치 KR1017542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1907A KR101754261B1 (ko) 2015-09-17 2015-09-17 크랙 방지용 커넥터 장치
CN201510737166.6A CN106549253A (zh) 2015-09-17 2015-11-03 用于防止裂纹的连接器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1907A KR101754261B1 (ko) 2015-09-17 2015-09-17 크랙 방지용 커넥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3739A KR20170033739A (ko) 2017-03-27
KR101754261B1 true KR101754261B1 (ko) 2017-07-05

Family

ID=58364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1907A KR101754261B1 (ko) 2015-09-17 2015-09-17 크랙 방지용 커넥터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54261B1 (ko)
CN (1) CN10654925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7101B1 (ko) 2017-05-24 2018-09-11 주식회사 엔티에스 자가 얼라인먼트형 접속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79684A (ja) 2010-09-08 2012-04-19 Molex Inc 基板対基板コネクタ
JP2013101909A (ja) * 2011-10-14 2013-05-23 Molex Inc コネクタ
JP2014038768A (ja) * 2012-08-16 2014-02-27 Molex Inc 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3925A (ko) 2003-07-04 2005-01-12 주식회사 씨엔텍 핀 커넥터 구조
JP4784673B2 (ja) 2009-03-24 2011-10-05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コネクタ
CN103050805B (zh) * 2011-10-14 2014-12-10 莫列斯公司 连接器
CN105514687B (zh) * 2012-03-29 2018-02-13 广濑电机株式会社 电连接器组装体以及插座式连接器
JP5638026B2 (ja) * 2012-05-01 2014-12-1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組立体
CN203150824U (zh) * 2013-02-28 2013-08-21 昆山嘉华电子有限公司 板对板连接器及板对板连接器组合
JP6199666B2 (ja) * 2013-09-04 2017-09-20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基板対基板コネクタ
JP6245964B2 (ja) * 2013-12-02 2017-12-13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79684A (ja) 2010-09-08 2012-04-19 Molex Inc 基板対基板コネクタ
JP2013101909A (ja) * 2011-10-14 2013-05-23 Molex Inc コネクタ
JP2014038768A (ja) * 2012-08-16 2014-02-27 Molex Inc 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549253A (zh) 2017-03-29
KR20170033739A (ko) 2017-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5093B1 (ko)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JP6407391B2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KR101921117B1 (ko)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CN104362451B (zh) 具有双向插接功能的插座连接器
JP4287825B2 (ja) 基板接続用コネクタ
CN212462084U (zh) 电连接器
KR101656514B1 (ko)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
JP3905518B2 (ja) フローティング型コネクタ
US8021187B2 (en) Electric connector
CN109103697B (zh) 插座连接器及电连接器总成
JP2008210616A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及びこれを有する組合せコネクタ
KR101990508B1 (ko) 강도가 강화된 플러그커넥터
TW201703374A (zh) 電連接器及其組合
US8851928B2 (en) Electrical connector
KR20070032896A (ko) 전선 접속용 커넥터
JP3174717U (ja) カメラモジュールコネクタ
KR101912622B1 (ko) 기판 접속용 커넥터 장치
KR101754261B1 (ko) 크랙 방지용 커넥터 장치
JP6259003B2 (ja) 回路基板用プラグ電気コネクタ
US11031709B2 (en) Electrical connector for circuit boards and mounting arrangement for electrical connector for circuit boards
WO2015072153A1 (ja) コネクタ及びこれを備えるコネクタ装置
JP6817477B2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2001052788A (ja) Fpcとプリント基板間の電気コネクタ装置
KR101064862B1 (ko) 가동형 커넥터 및 그 제조 방법
KR101705076B1 (ko) 파손 방지 기능을 갖는 커넥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