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6514B1 -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 - Google Patents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6514B1
KR101656514B1 KR1020150051677A KR20150051677A KR101656514B1 KR 101656514 B1 KR101656514 B1 KR 101656514B1 KR 1020150051677 A KR1020150051677 A KR 1020150051677A KR 20150051677 A KR20150051677 A KR 20150051677A KR 101656514 B1 KR101656514 B1 KR 1016565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reinforcing
terminal
tight contact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1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호
Original Assignee
(주)우주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주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우주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1500516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6514B1/ko
Priority to CN201620302385.1U priority patent/CN205666371U/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65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65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1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correct or full engagement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 1 커넥터와 제 2 커넥터의 단부를 견고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제 1 베이스에 제 1 보강부가 구비되고, 제 2 베이스에 제 2 보강부가 구비되되, 제 1 보강부의 제 1 외측밀착부와 제 2 외측밀착부가 제 1 베이스의 외측안내부와 측방안내부를 안전하게 보호하고, 제 2 보강부의 제 1 내측밀착부와 제 2 내측밀착부가 제 2 베이스의 제 1 측벽부와 제 2 측벽부를 안전하게 보호하여, 제 1 베이스 및 제 2 베이스를 제 1 보강부와 제 2 보강부가 견고하게 지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 1 보강부에 제 1 보강결합부가 형성되고, 제 2 보강부에 상기 제 1 보강결합부와 끼움 결합되는 제 2 보강결합부가 형성되어, 제 1 보강부와 제 2 보강부가 견고하게 결합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Connector Apparatus having Strength Reinforcement Function}
본 발명은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커넥터와 제 2 커넥터의 단부를 견고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각종 전기, 전자기기는 갈수록 소형화, 박형화, 경량화, 다기능화되는 추세에 있으며, 스마트폰, 노트북, 카메라 등의 분야에서는 다기능화를 위한 소형화, 박형화의 필요성이 매우 높다. 이러한 전기, 전자장비는 내부에 PCB 회로 기판을 비롯하여 각종 전기, 전자부품들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 전기, 전자부품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하는 구성은 소형화, 박형화를 위해 매우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하는 요소이다. 특히 기판과 기판 간을 접속시키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보드 대 보드(board to board; BtoB) 커넥터가 개발되어 왔으나, 구성이 다수 필요하여 제조가 복잡하고, 결합력이 약해 커넥터의 접속이 차단 또는 불안정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1은 종래 기판과 기판을 접속시키기 위한 보드 대 보드(board to board; BtoB) 커넥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BtoB 커넥터는 수커넥터(10)와 암커넥터(20)로 구성되며, 수커넥터(10)가 암커넥터(20)에 끼워짐으로써 이들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수커넥터(10)와 암커넥터(20)는 일단 삽입되어 체결된 후에는, 결합 상태를 잘 유지하고 있어야 하는데, 외력에 의해 상호 분리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각각의 터미널(12, 14)에 상호 마주보며 돌출되는 부분을 구비함으로써, 이 부분이 탄성에 의해 상호 넘어서면서 맞물리도록 하여 결합력이 생성되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결합의 경우 터미널(12, 14)은 금속의 탄성 특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도 일정 이상의 외력이 작용되는 경우에는 탄성적으로 재차 변형되면서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 경우 약간의 충격이나 낙하시에 암수 커넥터가 쉽게 분리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맞물리는 돌기의 크기나 형상을 좀 더 급격하게 변형하여 보다 견고한 결합 및 충격, 소음이 발생되는 동작을 유발할 수도 있으나, 이 경우 결합 자체가 매우 힘들어지며, 결합 또는 분리시에 변형, 파손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16410호를 참조하면, 소켓과 헤더를 구비한 커넥터에 있어서, 소켓과 헤더에 각각 결합부재를 구비하여, 결합부재가 소켓과 헤더를 결합시키도록 하는 기술이 제시된 바 있다.
도 2는 종래 소켓과 헤더를 구비한 커넥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소켓(60)은 소켓용 베이스(62)와, 소켓용 베이스(62)의 내부에 구비되는 복수의 소켓용 콘텍트(64)와, 소켓용 베이스(62)의 양 단부에 구비되는 소켓용 결합부재(66)를 포함한다. 그리고 헤더(50)는 소켓용 베이스(62)에 삽입되는 헤더용 베이스(52)와, 헤더용 베이스(52)의 내부에 구비되는 복수의 헤더용 콘텍트(54)와, 헤더용 베이스(52)의 양 단부에 구비되는 헤더용 결합부재(56)를 포함한다. 그리고 소켓용 베이스(62)와 헤더용 베이스(52)가 결합될 때, 소켓용 콘텍트(64)와 헤더용 콘텍트(54)가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소켓용 결합부재(66)와 헤더용 결합부재(56)가 상호 결합된다. 이때, 헤더용 결합부재(56)는 탄성 변형 가능한 아치 형상으로 형성되되, 그 양 단부에 돌출부(56a)가 형성되고, 소켓용 결합부재(66)는 헤더용 결합부재(56)가 수용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돌출부(56a)와 대향되는 위치에 돌출부(56a)와 결합되는 유지부(66a)가 형성된다. 그리고 소켓(60)에 헤더(50)가 결합될 때, 헤더용 결합부재(56)가 탄성 변형되면서 소켓용 결합부재(66)로 삽입된 후 원상태로 복귀되고, 이때, 돌출부(56a)와 유지부(66a)가 상호 끼움 결합된다.
그러나 이러한 헤더용 결합부재(56) 및 소켓용 결합부재(66)는 헤더용 베이스(52)의 양 단부 및 소켓용 결합부재(66)의 양 단부를 견고하게 보호할 수 없어, 작업자가 실수로 헤더용 베이스(52)를 소켓용 베이스(62)의 정 위치가 아닌, 약간 비스듬한 각도로 결합을 시도할 경우, 헤더용 베이스(52)의 단부 및 소켓용 베이스(62)의 단부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출 성형 진행시, 재료가 사출되기 시작하는 금형 입구(미도시)와 멀리 떨어질수록 강도가 취약해지므로, 사출 성형이 완료된 헤더용 베이스(52) 및 소켓용 베이스(62)의 금형 입구와 멀리 떨어진 단부의 경우, 헤더(50) 및 소켓(60)을 기판에 실장하는 과정 등에서 약간의 충격이 전달되어도 크랙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5-000392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16410호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제 1 커넥터와 제 2 커넥터의 단부를 견고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하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 1 커넥터와 제 2 커넥터가 상호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하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 1 베이스와, 상기 제 1 베이스의 하부에 하나 이상 배열되는 제 1 터미널과, 상기 제 1 베이스의 양 단부에 결합되는 제 1 보강부를 갖는 제 1 커넥터; 및 상기 제 1 베이스의 양 단부가 삽입되도록 그 상부에 삽입부가 형성되는 제 2 베이스와, 상기 제 2 베이스에 상기 제 1 터미널과 전기적으로 결합되도록 배열되는 제 2 터미널과, 상기 제 2 베이스의 양 단부에 결합되는 제 2 보강부를 갖는 제 2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보강부는, 상기 제 1 베이스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되되, 그 외측에 제 1 보강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보강부는, 상기 제 1 보강부와 마주보는 상기 삽입부의 내측을 감싸도록 형성되되, 상기 제 1 보강결합부와 결합되도록 제 2 보강결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보강부는: 상기 제 1 베이스의 길이방향 단부에 밀착되는 제 1 외측밀착부와, 상기 제 1 외측밀착부의 양 단부에서 상기 제 1 베이스의 길이방향 양 측방으로 절곡되는 한 쌍의 제 2 외측밀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보강결합부는 상기 제 1 외측밀착부 또는 한 쌍의 상기 제 2 외측밀착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보강부는: 한 쌍의 상기 제 2 외측밀착부의 단부에서 상기 제 1 베이스의 하면 방향으로 상호 마주보도록 돌출 형성되는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의 단부에서 상기 제 1 베이스의 하면에 형성된 체결홈에 삽입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체결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체결돌기가 상기 체결홈에 삽입될 때, 상기 체결돌기의 양측에 돌출 형성된 가압부가 상기 체결홈의 내측을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베이스의 단부에는 상기 제 1 외측밀착부 및 상기 제 2 외측밀착부와 마주보는 위치에 각각 외측안내부 및 측방안내부가 구비되고, 상기 측방안내부와 상기 체결홈 사이에는 상기 체결부가 삽입되도록 체결안내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보강부가 상기 제 1 베이스의 단부 하측에서 상기 제 1 베이스의 단부 상측 방향으로 결합될 때, 상기 제 1 베이스의 단부 상측에는 상기 제 1 보강부가 걸리도록 걸림리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보강부에는 상기 걸림리브 방향으로 안내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걸림리브의 상기 안내부와 대향되는 위치에는 상기 안내부가 삽입되도록 안내삽입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커넥터가 제 1 기판에 용접 결합될 때, 상기 제 1 보강부에는 제 1 기판 방향으로 오목하게 제 1 용접홈이 형성되어, 용접 과정에서 사용되는 용융된 납이 상기 제 1 용접홈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2 보강부는: 상기 제 1 보강부와 마주보도록 상기 제 2 베이스의 상기 삽입부에 구비되되, 상기 제 1 보강결합부와 대향되는 위치에 상기 제 1 보강결합부와 결합되도록 제 2 보강결합부를 구비하는 내측밀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보강결합부는 오목 또는 볼록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 2 보강결합부는 상기 제 1 보강결합부와 삽입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삽입부의 저면에는 상기 내측밀착부의 단부가 삽입되도록 결합삽입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2 보강부는: 상기 제 2 베이스의 상기 삽입부의 양 단부에 구비되되, 상기 제 1 베이스가 상기 삽입부에 삽입될 때, 상기 제 1 보강부의 상기 제 1 외측밀착부와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되는 제 1 내측밀착부와, 상기 제 1 보강부의 상기 제 2 외측밀착부와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되는 한 쌍의 제 2 내측밀착부와, 상기 제 1 내측밀착부와 상기 제 2 내측밀착부를 상호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보강결합부는 상기 제 1 내측밀착부 및 한 쌍의 상기 제 2 내측밀착부 중 상기 제 1 보강결합부와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보강결합부는 상기 제 1 외측밀착부 및 한 쌍의 상기 제 2 외측밀착부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 2 보강결합부는 상기 제 1 보강결합부와 결합되도록 상기 제 1 내측밀착부 및 한 쌍의 상기 제 2 내측밀착부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베이스의 단부와 마주보는 상기 삽입부의 내주연 단부에는 상기 제 1 베이스의 단부를 감싸도록 측벽부가 형성되되, 상기 측벽부는, 상기 제 1 외측밀착부와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되는 제 1 측벽부와, 상기 제 2 외측밀착부와 마주보도록 상기 제 1 측벽부의 양측에 형성되는 제 2 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 1 측벽부의 상측을 커버하는 제 1 연결부와, 상기 제 2 측벽부의 상측을 커버하도록 상기 제 1 연결부의 양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 2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내측밀착부는 상기 제 1 측벽부와 상기 제 1 외측밀착부 사이에 위치된 상태로 상기 제 1 연결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 2 내측밀착부는 상기 제 2 측벽부와 상기 제 2 외측밀착부 사이에 위치된 상태로 상기 제 2 연결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내측밀착부가 상기 제 1 측벽부의 내측에 위치될 때, 상기 제 1 연결부에서 상기 제 1 측벽부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 1 결합안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측벽부의 외측에는 상기 제 1 결합안내부가 안내되도록 제 1 결합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결합안내부의 길이방향 양측에 제 1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결합홈부에는 상기 제 1 결합부와 결합되도록 제 2 결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2 커넥터가 제 2 기판에 용접 결합될 때, 상기 제 1 결합안내부에는 제 2 기판 방향으로 오목하게 제 2 용접홈이 형성되어, 용접 과정에서 사용되는 용융된 납이 상기 제 2 용접홈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2 내측밀착부가 상기 제 2 측벽부의 내측에 위치될 때, 상기 제 2 연결부에서 상기 제 2 측벽부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 2 결합안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측벽부의 외측에는 상기 제 2 결합안내부가 안내되도록 제 2 결합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2 내측밀착부가 상기 제 2 측벽부의 내측에 위치될 때, 상기 제 2 연결부를 따라 상기 제 2 측벽부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결합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결합리브의 길이방향 단부에 삽입돌출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제 2 측벽부의 외측에는 상기 삽입돌출부가 안내되도록 삽입안내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삽입돌출부의 단부는 상기 삽입안내부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베이스 또는 상기 제 2 베이스의 외측에 오목하게 절단안내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보강부 또는 상기 제 2 보강부에는 상기 절단안내홈 방향으로 캐리어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케리어연결부에 캐리어가 연결된 후, 캐리어가 상기 제 1 보강부 또는 상기 제 2 보강부를 상기 제 1 베이스 또는 상기 제 2 베이스로 이동시키면, 커팅기가 상기 절단안내홈에 안내되면서 상기 캐리어연결부와 캐리어를 절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터미널은: 상기 제 1 베이스에 삽입되어 상기 제 2 터미널 방향으로 구비되는 제 1 내입단자; 및 상기 제 1 내입단자에서 상기 제 1 베이스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돌출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터미널은: 상기 제 2 베이스에 형성되는 수용부에 수용되며 상기 제 1 내입단자가 끼움 결합되는 제 2 내입단자; 및 상기 제 2 내입단자에서 상기 제 2 베이스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돌출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2 내입단자는: 상기 제 2 돌출단자의 단부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 1 돌출부와, 상기 제 1 돌출부의 상단에서 상기 제 1 돌출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라운드지면서 하방으로 절곡 형성되는 제 1 라운드부와, 상기 제 1 라운드부의 선단부에서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 2 돌출부와, 상기 제 2 돌출부의 하단에서 상기 제 2 돌출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라운드지면서 상방으로 절곡 형성되는 제 2 라운드부와, 상기 제 2 라운드부의 선단부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되 상기 제 2 돌출부와 가까워지도록 경사지는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의 상단에서 상기 제 2 돌출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라운드지면서 하방으로 절곡 형성되는 제 3 라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내입단자는: 상기 제 1 돌출단자의 단부에서 상기 제 2 라운드부 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 2 돌출부와 상기 제 3 라운드부 사이에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2 내입단자의 상기 제 1 돌출부의 길이방향 일측에는 고정안내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에는 상기 제 1 돌출부와 맞닿도록 내벽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내입단자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될 때, 상기 고정안내부가 상기 내벽부를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내입단자는: 상기 제 1 돌출단자의 단부에서 상기 제 3 라운드부와 맞닿도록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 1 끼움돌출부와, 상기 제 1 끼움돌출부의 하단에서 상기 제 1 끼움돌출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라운드지면서 상방으로 절곡 형성되는 지지라운드부와, 상기 지지라운드부의 선단부에서 상기 제 2 돌출부와 맞닿도록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 2 끼움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끼움돌출부에는 제 1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돌출부에는 상기 제 1 걸림부와 걸림 결합되도록 제 2 걸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제 1 베이스에 제 1 보강부가 구비되고, 제 2 베이스에 제 2 보강부가 구비되되, 제 1 보강부의 제 1 외측밀착부와 제 2 외측밀착부가 제 1 베이스의 양 단부에 구비되는 외측안내부와 측방안내부를 안전하게 보호하고, 제 2 보강부의 제 1 내측밀착부와 제 2 내측밀착부가 제 2 베이스의 양 단부에 구비되는 제 1 측벽부와 제 2 측벽부를 안전하게 보호하여, 사출 성형 과정에서 취약한 구조로 형성되는 제 1 베이스의 단부 및 제 2 베이스의 단부를 제 1 보강부와 제 2 보강부가 견고하게 지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 1 보강부에 제 1 보강결합부가 형성되고, 제 2 보강부에 상기 제 1 보강결합부와 끼움 결합되는 제 2 보강결합부가 형성되어, 제 1 보강부와 제 2 보강부가 견고하게 결합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 1 보강부와 제 2 보강부가 결합될 때, 제 1 보강부의 제 1 보강결합부가 제 2 보강부의 제 2 보강결합부에 억지로 삽입되면서, 금속 마찰음이 발생되어, 작업자는 제 1 보강결합부와 제 2 보강결합부가 정상적으로 결합되었음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 2 보강부가 제 2 베이스에 결합될 때, 제 2 보강부의 삽입돌출부는 제 2 베이스의 삽입안내부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돌출 형성되어, 제 2 보강부가 제 2 베이스에 견고하게 결합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 2 보강부가 제 2 베이스에 결합될 때, 제 2 베이스의 삽입부의 저면에 제 2 보강부의 제 1 내측밀착부와 제 2 내측밀착부의 하단부가 삽입되도록 제 1 결합삽입부와 제 2 결합삽입부가 각각 형성되어, 제 2 베이스에 삽입된 제 2 보강부가 좌우로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제 2 베이스에 위치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 1 커넥터의 제 1 보강부 또는 제 2 커넥터의 제 2 보강부에는 기판 방향으로 용접홈이 형성되어, 제 1 커넥터 또는 제 2 커넥터와 기판 간의 용접 과정에서 사용되는 용융된 납은 용접홈으로 녹아들어가게 되어, 납땜용접이 용이해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 2 터미널의 제 2 돌출부에는 제 1 터미널의 제 1 걸림부와 걸림 결합되도록 제 2 걸림부가 형성되어, 제 1 터미널과 제 2 터미널은 견고하게 걸림 결합되며, 이에 따라, 제 1 터미널의 제 1 내입단자와 제 2 터미널의 제 2 내입단자의 통전 상태 또한 견고하게 유지되는 효과를 갖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판과 기판을 접속시키기 위한 보드 대 보드(board to board; BtoB) 커넥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소켓과 헤더를 구비한 커넥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의 제 1 커넥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의 제 1 보강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의 제 1 베이스의 양 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제 1 보강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의 제 1 베이스에 제 1 보강부가 결합된 상태를 단면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의 제 1 베이스의 체결홈에 제 1 보강부의 체결돌기가 삽입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의 제 1 터미널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의 제 1 커넥터와 제 2 커넥터가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의 제 2 커넥터가 분해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의 제 2 보강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의 제 2 베이스의 양 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제 2 보강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의 제 2 베이스에 제 2 보강부가 결합된 상태의 일부를 단면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의 제 1 보강부와 제 2 보강부가 결합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의 제 1 보강부와 제 2 보강부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의 제 1 커넥터가 제 1 기판에 결합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의 제 2 커넥터가 제 2 기판에 결합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의 캐리어연결부와 절단안내홈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의 제 2 터미널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은 도 11의 A-A' 단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의 제 1 커넥터와 제 2 커넥터가 결합될 때, 제 1 내입단자와 제 2 내입단자가 결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의 제 1 커넥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70)는 예를 들면 제 1 기판(B1: 도 19 도시)과 제 2 기판(B2: 도 20 도시) 간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것으로, 제 1 기판(B1)과 결합되는 제 1 커넥터(100)와, 제 2 기판(B2)과 결합되되 상기 제 1 커넥터(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2 커넥터(200)를 포함한다.
제 1 커넥터(100)는 제 1 베이스(110)와, 제 1 베이스(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하나 이상의 제 1 터미널(120)과, 제 1 베이스(110)의 양 단부에 결합되는 제 1 보강부(130)를 포함한다.
제 1 베이스(110)는 제 2 커넥터(200)의 후술하는 제 2 베이스(210: 도 11 도시)에 삽입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터미널(120)은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어 후술하는 제 2 터미널(2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제 1 베이스(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열, 예를 들면 2열이 병렬로 배열될 수 있으며, 이렇게 병렬로 배열된 제 1 터미널(120)은 서로 대칭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제 1 터미널(120)은 하기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보강부(130)는 제 1 베이스(110)의 양 단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금속 재질 등의 견고한 재질로 형성되어, 제 1 베이스(110)가 제 2 베이스(210)에 결합될 때, 제 1 베이스(110)의 형상을 견고하게 지지하고, 이들 제 1 베이스(110)와 제 2 베이스(210) 간의 결합이 견고해지도록 한다. 상기 제 1 보강부(130)는 하기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의 제 1 보강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 1 보강부(130)는 제 1 베이스(110)의 양 단부의 외측을 감싸도록 'ㄷ'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판형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 1 외측밀착부(131)와, 상기 제 1 외측밀착부(131)의 길이방향 양 단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절곡되는 한 쌍의 제 2 외측밀착부(132)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 1 외측밀착부(131) 또는 제 2 외측밀착부(132)에는 후술하는 제 2 보강결합부(233: 도 13 도시)와 걸림 결합되도록 제 1 보강결합부(133)가 형성된다. 제 1 보강결합부(133)는 예를 들면, 제 1 외측밀착부(131) 및 제 2 외측밀착부(132)의 길이방향 중앙에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 더하여, 제 1 보강부(130)는 제 2 외측밀착부(132)의 단부 하측에서 상호 마주보도록 돌출 형성되는 체결부(137)와, 체결부(137)의 단부에서 제 2 외측밀착부(132)와 평행하도록 제 2 밀착부의 단부 상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체결돌기(13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2 외측밀착부(132)의 단부 상측에는 안내부(134)가 돌출 형성되고, 제 1 외측밀착부(131)의 길이방향 중앙에는 안내돌기(135)가 돌출 형성되고, 안내돌기(135)에 제 1 용접홈(136)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제 1 보강부(130)와 제 1 베이스(110) 간의 결합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의 제 1 베이스의 양 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제 1 보강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의 제 1 베이스에 제 1 보강부가 결합된 상태를 단면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제 1 보강부(130)는 한 쌍으로 구성되며, 제 1 베이스(110)의 양 단부에 결합된다. 이때, 제 1 보강부(130)의 제 1 외측밀착부(131)는 제 1 베이스(110)의 길이방향 단부, 즉, 폭 방향 단부에 밀착되고, 제 1 보강부(130)의 제 2 외측밀착부(132)는 제 1 베이스(110)의 길이방향 양 측방으로 절곡되어, 제 1 베이스(110)의 양 측방에 밀착된다. 또한, 제 1 보강부(130)의 체결부(137)는 제 1 베이스(110)의 하면 방향에 위치되고, 제 1 보강부(130)의 체결돌기(138)는 제 1 베이스(110)의 하면에 형성된 후술하는 체결홈(113)에 삽입되도록 상부로 돌출 형성된다. 이때, 체결돌기(138)에는 가압부(139)가 형성되어, 제 1 베이스(110)의 체결홈(113)에 결합된다. 이는 하기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베이스(110)는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그 길이방향 하측에 후술하는 제 2 베이스(210)와 결합되기 위한 삽입홈(110a)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 1 베이스(110)의 길이방향 양측을 따라 제 1 터미널(120)이 위치된다. 그리고 제 1 베이스(110)의 길이방향 양 단부에 제 1 보강부(130)가 위치된다.
이때, 제 1 베이스(110)의 각각의 단부에는 제 1 보강부(130)가 위치되기 위하여 외측안내부(111) 및 측방안내부(112)를 포함하며, 체결홈(113), 체결안내홈(114), 걸림리브(115), 안내삽입부(116) 및 용접삽입부(1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외측안내부(111) 및 측방안내부(112)는 제 1 보강부(130)의 제 1 외측밀착부(131) 및 제 2 외측밀착부(132)와 마주보는 위치에 각각 구비된다. 이에 따라, 제 1 보강부(130)의 제 1 외측밀착부(131)와 제 2 외측밀착부(132)는 제 1 베이스(110)의 외측안내부(111) 및 제 1 베이스(110)의 측방안내부(112)를 안전하게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체결홈(113)은 제 1 보강부(130)가 제 1 베이스(110)의 단부에 결합될 때, 제 1 보강부(130)의 체결돌기(138)와 대향되는 위치에 오목하게 형성된다. 체결안내홈(114)은 제 1 베이스(110)의 측방안내부(112)와 체결홈(113) 사이에 제 1 보강부(130)의 체결부(137)와 마주보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체결부(137)가 삽입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된다. 걸림리브(115)는 제 1 보강부(130)가 제 1 베이스(110)의 단부 하측에서 제 1 베이스(110)의 단부 상측 방향으로 수직으로 결합될 때, 제 1 베이스(110)의 단부 상측에 제 1 보강부(130)가 걸리도록 돌출 형성된다. 안내삽입부(116)는 제 1 보강부(130)의 안내부(134)가 삽입되도록 걸림리브(115)에 형성되는 것으로, 제 1 보강부(130)의 안내부(134)와 대향되는 위치에 오목하게 형성된다. 용접삽입부(117)는 제 1 보강부(130)의 안내돌기(135)가 삽입되도록 걸림리브(115)에 형성되는 것으로, 제 1 보강부(130)의 안내돌기(135)와 대향되는 위치에 오목하게 형성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의 제 1 베이스의 체결홈에 제 1 보강부의 체결돌기가 삽입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 1 베이스(110)의 체결홈(113)에 제 1 보강부(130)의 체결돌기(138)가 삽입될 때, 체결돌기(138)의 양측으로 가압부(139)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체결돌기(138)가 체결홈(113)에 삽입될 때, 체결돌기(138)의 가압부(139)가 체결홈(113)의 내측을 가압하게 되어, 체결돌기(138)가 체결홈(113)에서 잘 빠지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의 제 1 터미널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 1 터미널(120)은 제 1 베이스(110)의 상측에서 그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 1 돌출단자(126)와, 제 1 베이스(110)의 상측과 인접한 제 1 돌출단자(126)의 단부에서 제 1 베이스(110)의 하부로 내입되는 제 1 내입단자(121)를 포함한다. 제 1 내입단자(121)는 전체적으로 'U'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제 1 돌출단자(126)의 단부에서 제 1 베이스(110)를 관통하여 제 1 베이스(110)의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 1 끼움돌출부(122)와, 제 1 끼움돌출부(122)의 하단에서 제 1 끼움돌출부(122)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라운드지면서 상방으로 절곡 형성되는 지지라운드부(123)와, 지지라운드부(123)의 선단부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제 1 끼움돌출부(122)와 마주보도록 형성되되 제 1 베이스(110)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제 2 끼움돌출부(124)를 포함한다. 그리고 한 쌍의 제 1 터미널(120)에 구비되는 제 1 끼움돌출부(122)의 상호 마주보는 측부에는 후술하는 제 2 터미널(220: 도 24 도시)의 제 3 라운드부(228: 도 24 도시)가 끼워지도록 끼움홈부(122a)가 형성된다. 상기 끼움홈부(122a)는 하기 도 24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제 2 끼움돌출부(124)에는 제 1 걸림부(125)가 돌출 형성되어, 제 1 내입단자(121)가 후술하는 제 2 커넥터(200: 도 11 도시)에 걸림 결합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의 제 1 커넥터와 제 2 커넥터가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의 제 2 커넥터가 분해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제 2 커넥터(200)는 제 1 커넥터(100)의 제 1 베이스(110)와 결합되는 제 2 베이스(210)와, 제 2 베이스(210)의 길이방향 양측에 구비되는 제 2 터미널(220)과, 제 2 베이스(210)의 길이방향 양 단부에 결합되는 한 쌍의 제 2 보강부(230)를 포함한다.
제 2 베이스(210)는 바람직하게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 2 베이스(210)의 길이방향 양 단부에 제 1 베이스(110)의 양 단부가 삽입되도록 한 쌍의 삽입부(211)가 형성된다. 이때, 제 2 베이스(210)의 한 쌍의 삽입부(211) 사이의 공간은 제 1 베이스(110)의 삽입홈(110a: 도 6 도시)에 삽입되도록 결합돌출부(210e)가 돌출 형성된다.
제 2 터미널(220)은 상기 제 1 터미널(120)과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것으로, 제 1 터미널(120)과 마찬가지로,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며, 예를 들면, 제 2 베이스(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병렬로 배열될 수 있으며, 이렇게 병렬로 배열된 제 2 터미널(220)은 2개의 열을 이루어, 서로 대칭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제 2 터미널(220)은 하기 도 2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 2 보강부(230)는 제 1 베이스(110)가 제 2 베이스(210)에 결합될 때, 제 1 보강부(130)에 결합되어, 이들 제 1, 2 베이스(110, 210) 간의 결합을 견고하게 지지하는 한편, 견고한 금속 재질 등으로 구성되어, 외부 충격으로부터 제 2 베이스(210)의 단부를 안전하게 보호한다. 이러한 제 2 보강부(230)는 하기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의 제 2 보강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 2 보강부(230)는 제 1 보강부(130)와 마주보는 제 2 베이스(210)의 삽입부(211)의 양 단부 내측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제 1 내측밀착부(231)와, 제 2 내측밀착부(232), 제 2 보강결합부(233), 제 1 연결부(234) 및 제 2 연결부(237)를 포함한다. 제 1 내측밀착부(231)는 제 1 베이스(110)의 제 1 보강부(130)가 제 2 베이스(210)의 삽입부(211)에 삽입될 때, 제 1 보강부(130)의 제 1 외측밀착부(131)와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되고, 제 2 내측밀착부(232)는 제 2 외측밀착부(132)와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된다. 제 1 보강결합부(133)는 제 1 내측밀착부(231) 및 한 쌍의 제 2 내측밀착부(232) 중 제 1 보강결합부(133)와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제 1 보강결합부(133)는 제 1 외측밀착부(131) 및 한 쌍의 제 2 외측밀착부(132)에 각각 볼록하게 형성되고, 제 2 보강결합부(233)는 제 1 보강결합부(133)와 삽입 결합되도록 제 1 내측밀착부(231) 및 한 쌍의 제 2 내측밀착부(232)에 각각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제 1 보강결합부(133)는 3개로 구성되어 제 1 보강부(130)의 제 1, 2 외측밀착부(131, 132)에 각각 형성되고, 제 2 보강결합부(233) 또한, 3개로 구성되어 제 2 보강부(230)의 제 1, 2 내측밀착부(231, 232)에 각각 형성되므로, 제 1 보강부(130)와 제 2 보강부(230)가 견고하게 결합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을 이로 한정하지 않음은 당연하고, 제 1 보강결합부(133)는 오목하게 형성되고, 제 2 보강결합부(233)는 제 1 보강결합부(133)에 삽입 결합되도록 볼록하게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제 1 보강결합부(133)는 제 1 외측밀착부(131) 및 제 2 외측밀착부(132) 중 선택되는 위치에 한 개 또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도 있고, 제 2 보강결합부(233)는 제 1 내측밀착부(231) 및 제 2 내측밀착부(232) 중 상기 제 1 보강결합부(133)와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제 1 연결부(234)는 후술하는 제 1 측벽부(212: 도 14 도시)의 상측을 커버하도록 길게 형성되되 제 1 내측밀착부(231)와 일체로 연결되고, 제 2 연결부(237)는 후술하는 제 2 측벽부(215: 도 14 도시)의 상측을 커버하도록 제 1 연결부(234)의 양 단부에서 상호 마주보도록 절곡 형성되되 제 2 내측밀착부(232)와 일체로 연결되어, 제 1, 2 내측밀착부(231, 232)는 제 1, 2 연결부(234, 237)에 의하여 상호 연결된다. 여기에 더하여 제 2 보강부(230)는 제 1 결합안내부(235), 캐리어연결부(236), 결합리브(238) 및 제 2 결합안내부(239)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은 하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의 제 2 베이스의 양 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제 2 보강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제 2 베이스(210)의 길이방향 양 단부에는 제 1 베이스(110)의 양 단부가 삽입되도록 한 쌍의 삽입부(211)가 형성된다. 이때, 제 1 베이스(110)의 단부와 마주보는 삽입부(211)의 내주연 단부에는 제 1 베이스(110)의 단부를 감싸도록 제 1 측벽부(212)와 제 2 측벽부(215)가 구비된다. 제 1 측벽부(212)는 제 1 베이스(110) 단부에 결합된 제 1 보강부(130)의 제 1 외측밀착부(131)와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되고, 제 2 측벽부(215)는 제 1 베이스(110)의 단부에 결합된 제 1 보강부(130)의 제 2 외측밀착부(132)와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된다.
제 2 보강부(230)는 제 1 측벽부(212)의 상측을 커버하는 제 1 연결부(234)와, 제 2 측벽부(215)의 상측을 커버하는 제 2 연결부(237)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 2 보강부(230)의 제 1 내측밀착부(231)는 제 1 측벽부(212)와 제 1 외측밀착부(131) 사이에 위치된 상태로 제 1 연결부(234)의 길이방향 중앙에 연결되고, 제 2 보강부(230)의 제 2 내측밀착부(232)는 제 2 측벽부(215)와 제 2 외측밀착부(132)에 위치된 상태로 제 2 연결부(237)의 길이방향 단부에 연결된다. 여기서 제 1 내측밀착부(231)와 제 2 내측밀착부(232)는 제 1 외측밀착부(131)에 형성된 제 1 보강결합부(133) 및 제 2 내측밀착부(232)에 형성된 제 1 보강결합부(133)와 마주보도록 위치되되, 제 1 내측밀착부(231)와 제 2 내측밀착부(232)에는 각각 제 1 보강결합부(133)와 걸림 결합되도록 제 2 보강결합부(233)가 오목하게 형성된다.
또한, 제 2 보강부(230)는 제 1 결합안내부(235), 캐리어연결부(236), 결합리브(238) 및 제 2 결합안내부(23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 결합안내부(235)는 제 1 내측밀착부(231)가 제 1 연결부(234)의 길이방향 중앙 일측에서 제 1 측벽부(212)의 내측 중앙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때, 제 1 내측밀착부(231)와 대향되도록 제 1 연결부(234)의 길이방향 중앙 타측에서 제 1 측벽부(212)의 외측 중앙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때, 제 1 측벽부(212)의 외측 중앙에는 제 1 결합안내부(235)가 안내되도록 오목하게 제 1 결합홈부(213)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 1 결합안내부(235)의 길이방향 양측을 따라 오목 또는 볼록하게 제 1 결합부(235b)가 하나 또는 복수 개 형성되고, 제 1 결합홈부(213)의 제 1 결합부(235b)와 마주보는 양측에는 제 1 결합부(235b)와 결합되도록 볼록 또는 오목하게 제 2 결합부(214)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 보강부(230)가 제 2 베이스(210)에 결합될 때, 제 2 보강부(230)의 제 1 결합부(235b)와 제 2 베이스(210)의 제 2 결합부(214)가 상호 끼움 결합되어, 제 2 보강부(230)가 제 2 베이스(210)에 견고하게 결합되는 효과가 있다.
캐리어연결부(236)는 제 2 보강부(230)의 제 1 연결부(234)의 외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제 2 베이스(210)의 후술하는 절단안내홈(219)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캐리어연결부(236) 및 절단안내홈(219)은 하기 도 2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결합리브(238)는 제 2 내측밀착부(232)가 제 2 연결부(237)의 일측 단부에서 제 2 측벽부(215)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때, 제 2 연결부(237)의 타측을 따라 제 2 측벽부(215)의 외측 방향으로 길게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제 2 측벽부(215)의 외측에는 결합리브(238)가 안내되도록 오목하게 리브안내부(216)가 형성된다. 그리고 결합리브(238)의 길이방향 양 단부에는 결합리브(238)가 제 2 측벽부(215)에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삽입돌출부(238a)와 보조돌출부(238b)가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이들은 하기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 2 결합안내부(239)는 제 2 내측밀착부(232)가 제 2 측벽부(215)의 내측에 위치될 때, 제 2 내측밀착부(232)와 대향되도록 결합리브(238)에서 제 2 측벽부(215)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제 2 측벽부(215)의 외측에는 제 2 결합안내부(239)가 안내되도록 오목하게 제 2 결합홈부(217)가 더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보강부(230)가 제 2 베이스(210)에 결합될 때, 제 2 결합안내부(239)가 제 2 결합홈부(217)에 삽입되도록 안내되어, 제 2 보강부(230)가 제 2 베이스(210)에 견고하게 위치되는 효과가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의 제 2 베이스에 제 2 보강부가 결합된 상태의 일부를 단면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제 2 베이스(210)에 제 2 보강부(230)가 결합될 때, 결합리브(238)의 길이방향 양 단부에 삽입돌출부(238a)와 보조돌출부(238b)가 각각 형성되고, 제 2 베이스(210)의 리브안내부(216)에는 이들 삽입돌출부(238a)와 보조돌출부(238b)를 각각 안내하도록 삽입안내부(218a)와 보조안내부(218b)가 각각 오목하게 형성된다. 삽입돌출부(238a)는 결합리브(238)의 일측, 즉 제 2 베이스(210)의 단부와 멀리 위치되는 결합리브(238)의 일측에 결합리브(238)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고, 보조안내부(218b)는 결합리브(238)의 타측, 즉, 제 2 베이스(210)의 단부와 가까이 위치되는 결합리브(238)의 타측에 결합리브(238)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된다. 이때, 삽입돌출부(238a)의 단부는 삽입안내부(218a)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돌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 2 베이스(210)에 제 2 보강부(230)가 결합될 때, 삽입돌출부(238a)가 삽입안내부(218a)로 삽입되므로, 제 2 보강부(230)가 제 2 베이스(210)에 견고하게 결합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삽입부(211)의 저면에는 제 1 내측밀착부(231)와 제 2 내측밀착부(232)의 하단부가 삽입되도록 제 1 결합삽입부(211a)와 제 2 결합삽입부(211b)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 베이스(210)에 제 2 보강부(230)가 결합될 때, 제 2 보강부(230)의 제 1 내측밀착부(231)와 제 2 내측밀착부(232)가 제 2 베이스(210)의 제 1 결합삽입부(211a)와 제 2 결합삽입부(211b)에 삽입되므로, 제 2 베이스(210)에 삽입된 제 2 보강부(230)가 좌우로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제 2 베이스(210)에 위치되는 효과가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의 제 1 보강부와 제 2 보강부가 결합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의 제 1 보강부와 제 2 보강부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커넥터(100)와 제 2 커넥터(200)가 결합되면, 제 1 커넥터(100)의 제 1 베이스(110)의 양 단부가 제 2 커넥터(200)의 제 2 베이스(210)의 한 쌍의 삽입부(211)에 삽입된다. 이와 동시에 제 1 베이스(110)의 양 단부에 구비된 제 1 보강부(130)의 제 1, 2 외측밀착부(131, 132)가 제 2 베이스(210)의 삽입부(211)에 구비된 제 2 보강부(230)의 제 1, 2 내측밀착부(231, 232)에 맞닿게 되면서 상호 결합되며, 이때, 제 1 보강부(130)의 제 1 보강결합부(133)와 제 2 보강부(230)의 제 2 보강결합부(233)가 상호 암수 결합된다. 이처럼 제 1 베이스(110)의 양 단부는 제 1 보강부(130)에 의하여 견고하게 보호되고, 제 2 베이스(210)의 제 1 보강부(130)가 결합되는 위치는 제 2 보강부(230)에 의하여 견고하게 보호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작업자가 실수로 제 1 베이스(110)를 제 2 베이스(210)의 정 위치가 아닌, 약간 비스듬한 각도로 결합을 시도한다 하더라도, 제 1 베이스(110)의 양 단부는 제 1 보강부(130)가 안전하게 보호하고 있고, 제 2 베이스(210)의 양 단부는 제 2 보강부(230)가 안전하게 보호하고 있으므로, 사출 성형 과정에서 취약한 구조로 형성되는 제 1 베이스(110)의 단부 또는 제 2 베이스(210)의 단부가 파손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 1 보강부(130)와 제 2 보강부(230)가 결합될 때, 제 1 보강부(130)의 제 1 보강결합부(133)가 제 2 보강부(230)의 제 2 보강결합부(233)에 억지로 삽입되면서, 금속 마찰음이 발생되어, 작업자는 제 1 보강결합부(133)와 제 2 보강결합부(233)가 정상적으로 결합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의 제 1 커넥터가 제 1 기판에 결합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의 제 2 커넥터가 제 2 기판에 결합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19를 참조하면, 제 1 커넥터(100)는 전자 회로를 구성하는 PCB(Printed Circuit Board) 등의 제 1 기판(B1)에 용접 결합된다. 이를 위하여 제 1 커넥터(100)의 제 1 용접홈(136)이 제 1 기판(B1)과 마주보도록 위치된 후, 용접 과정이 진행되며, 이때, 용접 과정에서 사용되는 용융된 납은 제 1 커넥터(100)의 제 1 용접홈(136)에 수용되도록 제 1 용접홈(136)으로 녹아들어가게 되어, 납땜용접이 용이해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어서, 도 20을 참조하면, 제 2 커넥터(200)는 전자 회로를 구성하는 PCB(Printed Circuit Board) 등의 제 2 기판(B2)에 용접 결합된다. 이를 위하여 제 2 커넥터(200)의 제 2 용접홈(235a)이 제 2 기판(B2)과 마주보도록 위치된 후, 용접 과정이 진행되며, 이때, 용접 과정에서 사용되는 용융된 납은 제 2 커넥터(200)의 제 2 용접홈(235a)에 수용되도록 제 2 용접홈(235a)으로 녹아 들어가게 되어, 납땜용접이 용이해지게 된다.
도 2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의 캐리어연결부와 절단안내홈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제 2 베이스(210)는 플라스틱으로 구성되고, 제 2 보강부(230)는 금속으로 구성되므로, 제 2 베이스(210)와 제 2 보강부(230)는 인서트 몰딩 등으로 성형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2 보강부(230)의 제 1 연결부(234)의 캐리어연결부(236)에 캐리어(C)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캐리어(C)는 제 2 보강부(230) 및 제 2 보강부(230)와 결합된 제 2 베이스(210)를 특정 위치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를 위하여 캐리어(C)에는 캐리어연결부(236)와 연결되도록 연결돌기(C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이 끝나게 되면, 컷팅기(미도시)를 이용하여 캐리어(C)의 연결돌기(C1)와 캐리어연결부(236) 사이를 컷팅(Cutting)시켜야 한다. 이때, 연결돌기(C1)와 캐리어연결부(236) 간에 컷팅 버(Cutting Burr) 발생 또는 제 2 베이스(210)에 가해지는 데미지를 최소화 하기 위하여 제 2 베이스(210)의 캐리어연결부(236)가 구비되는 위치에 오목하게 절단안내홈(219)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컷팅기는 절단안내홈(219)에 안내되면서 캐리어(C)의 연결돌기(C1)와 캐리어연결부(236) 사이를 컷팅하게 된다. 이처럼 제 2 베이스(210)에 절단안내홈(219)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컷팅기는 제 2 베이스(210)에 데미지를 주지 않은 상태로 캐리어(C)의 연결돌기(C1)와 캐리어연결부(236) 사이를 용이하게 컷팅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캐리어연결부(236)와 절단안내홈(219)은 제 2 보강부(230)와 제 2 베이스(210)에 구비되도록 구성되나, 본 발명을 이로 한정하지 않음은 당연하고, 경우에 따라 제 1 베이스(110)의 외측에 절단안내홈(미도시)이 형성되고, 제 1 보강부(130)에 상기 절단안내홈 방향으로 캐리어연결부(미도시)가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의 제 2 터미널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제 2 베이스(210)의 상면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돌출부(210e)가 돌출 형성되며, 결합돌출부(210e)의 양 단부는 제 2 베이스(210)의 양 단부에 구비된 삽입부(211) 방향으로 향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결합돌출부(210e)의 길이방향 양측에 제 2 터미널(220)의 제 2 내입단자(221)가 내입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결합돌출부(210e)의 길이방향 양측과 제 2 베이스(210)의 길이방향 양측은 상호 이격되어 있으며, 이들 사이 공간에 삽입공간부(210d)가 구비된다. 그리고 제 2 베이스(210)의 양측에는 삽입공간부(210d)의 일측 방향으로 제 1 단자공간부(210a)가 오목하게 형성되고, 결합돌출부(210e)의 양측에는 삽입공간부(210d)의 타측 방향으로 제 2 단자공간부(210b)가 오목하게 형성되며, 제 1 단자공간부(210a)와 제 2 단자공간부(210b)의 하측은 연결공간부(210c)에 의하여 상호 연결된다. 그리고 제 1, 2 단자공간부(210a, 210b)의 상부와 하부는 개방되고, 연결공간부(210c)의 하부는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제 2 터미널(220)은 제 2 베이스(210)의 하측에서 그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돌출단자(229)와, 제 2 베이스(210)의 하측과 인접한 제 2 돌출단자(229)의 단부에 연결되되 제 2 베이스(210)의 제 1, 2 단자공간부(210a, 210b)의 개방된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삽입되는 제 2 내입단자(221)를 포함한다. 제 2 돌출단자(229)는 제 1 단자공간부(210a)의 개방된 하부를 통하여 제 2 베이스(210)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제 2 내입단자(221)는 제 2 돌출단자(229)의 단부에서 제 1 단자공간부(210a)에 삽입된 상태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 1 돌출부(222)와, 제 1 돌출부(222)의 상단에서 상기 제 1 돌출부(222)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라운드지면서 하방으로 절곡 형성되는 제 1 라운드부(223)와, 상기 제 1 라운드부(223)의 선단부에서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 2 돌출부(224)와, 상기 제 2 돌출부(224)의 하단에서 상기 제 2 돌출부(224)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라운드지면서 상방으로 절곡 형성되는 제 2 라운드부(226)와, 상기 제 2 라운드부(226)의 선단부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되 상기 제 2 돌출부(224)와 가까워지도록 경사지는 경사부(227)와, 상기 경사부(227)의 상단에서 상기 제 2 돌출부(224)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라운드지면서 하방으로 절곡 형성되는 제 3 라운드부(228)를 포함한다. 이때, 제 1 돌출부(222)는 제 1 단자공간부(210a)에 위치되고, 제 2 돌출부(224)는 삽입공간부(210d) 방향으로 노출된다. 그리고 제 2 라운드부(226)는 연결공간부(210c)에 위치되고, 경사부(227)는 제 2 단자공간부(210b)에 위치되며, 제 3 라운드부(228)는 삽입공간부(210d) 방향으로 노출된다.
그리고 제 2 돌출부(224)에는 제 1 커넥터(100)의 제 1 걸림부(125)와 걸림 결합되도록 제 2 걸림부(225)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 1 커넥터(100)의 제 1 베이스(110)가 제 2 커넥터(200)의 제 2 베이스(210)에 삽입될 때, 제 1 베이스(110)에 구비된 제 1 터미널(120)의 제 1 내입단자(121)가 제 2 베이스(210)의 삽입공간부(210d)로 삽입되면서, 삽입공간부(210d) 방향으로 노출된 제 2 커넥터(200)의 제 2 돌출부(224)와 제 3 라운드부(228) 사이에 끼움 결합된다. 이때, 제 2 내입단자(221)의 제 1 라운드부(223), 제 2 라운드부(226) 및 경사부(227)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제 1 라운드부(223), 제 2 라운드부(226) 및 경사부(227)가 제 2 돌출부(224) 방향으로 탄성력이 가해져서, 제 2 돌출부(224)와 제 3 라운드부(228) 사이에 끼워진 제 1 커넥터(100)의 제 1 내입단자(121)는 제 2 돌출부(224) 방향으로 압력이 가해지게 되어, 제 2 커넥터(200)의 제 2 내입단자(221)에 견고하게 결합된다. 제 1 커넥터(100)와 제 2 커넥터(200) 간의 결합 구조는 하기 도 24를 참조하여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3은 도 11의 A-A' 단면도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제 2 터미널(220)의 제 2 내입단자(221)에 구비된 제 1 돌출부(222)는 제 2 베이스(210)의 제 1 단자공간부(210a)에 삽입된다. 이때 제 2 내입단자(221)의 제 1 돌출부(222)가 제 2 베이스(210)의 제 1 단자공간부(210a)에 견고하게 고정되기 위하여 제 2 내입단자(221)의 제 1 돌출부(222)의 길이방향 양측에는 고정안내부(222a)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제 2 내입단자(221)의 제 1 돌출부(222)가 제 1 단자공간부(210a)에 삽입될 때, 제 1 돌출부(222)와 맞닿는 제 1 단자공간부(210a)의 측벽을 제 2 내입단자(221)의 고정안내부(222a)가 가압하게 되어, 제 2 내입단자(221)의 고정안내부(222a)가 제 1 단자공간부(210a)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 2 내입단자(221)의 제 1 돌출부(222)만 제 2 베이스(210)의 제 1 단자공간부(210a)에 고정되도록 구성되므로, 제 1 커넥터(100)의 제 1 내입단자(121)가 제 2 내입단자(221)의 제 2 돌출부(224)와 제 3 라운드부(228) 사이로 끼움결합될 때, 탄성력이 가해지는 제 2 내입단자(221)의 제 1 라운드부(223), 제 2 라운드부(226) 및 경사부(227)는 제 2 돌출부(224)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벌어질 수 있게 되어, 제 1 내입단자(121)가 제 2 내입단자(221)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2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의 제 1 커넥터와 제 2 커넥터가 결합될 때, 제 1 내입단자와 제 2 내입단자가 결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제 1 커넥터(100)와 제 2 커넥터(200)가 결합되면, 제 1 커넥터(100)의 제 1 베이스(110)에 형성된 삽입홈(110a)에 제 2 커넥터(200)의 제 2 베이스(210)에 형성된 결합돌출부(210e)가 삽입된다. 이와 동시에 제 1 베이스(110)의 내부에서 하측으로 돌출된 제 1 터미널(120)의 제 1 내입단자(121)가 제 2 베이스(210)의 삽입공간부(210d)로 삽입되며, 이때 제 1 내입단자(121)는 삽입공간부(210d)로 노출된 제 2 터미널(220)의 제 2 돌출부(224)와 제 3 라운드부(228) 사이에 끼움 결합되어, 제 1 내입단자(121)와 제 2 내입단자(221)는 전기적으로 통전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제 2 터미널(220)의 제 2 돌출부(224)에는 제 1 터미널(120)의 제 1 걸림부(125)와 걸림 결합되도록 제 2 걸림부(225)가 형성되고, 제 2 터미널(220)의 제 3 라운드부(228)는 제 1 터미널(120)의 끼움홈부(122a)에 끼워지도록 구성되어, 제 1 터미널(120)과 제 2 터미널(220)은 견고하게 걸림 결합되며, 이에 따라, 제 1 터미널(120)의 제 1 내입단자(121)와 제 2 터미널(220)의 제 2 내입단자(221)의 통전 상태 또한 견고하게 유지되는 효과를 갖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을 이로 한정하지 않음은 당연하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70: 커넥터 장치 100: 제 1 커넥터
110: 제 1 베이스 110a: 삽입홈
111: 외측안내부 112: 측방안내부
113: 체결홈 114: 체결안내홈
115: 걸림리브 116: 안내삽입부
117: 용접삽입부 120: 제 1 터미널
121: 제 1 내입단자 122: 제 1 끼움돌출부
122a: 끼움홈부 123: 지지라운드부
124: 제 2 끼움돌출부 125: 제 1 걸림부
126: 제 1 돌출단자 130: 제 1 보강부
131: 제 1 외측밀착부 132: 제 2 외측밀착부
133: 제 1 보강결합부 134: 안내부
135: 안내돌기 136: 제 1 용접홈
137: 체결부 138: 체결돌기
139: 가압부 200: 제 2 커넥터
210: 제 2 베이스 210a: 제 1 단자공간부
210b: 제 2 단자공간부 210c: 연결공간부
210d: 삽입공간부 210e: 결합돌출부
211: 삽입부 211a: 제 1 결합삽입부
211b: 제 2 결합삽입부 212: 제 1 측벽부
213: 제 1 결합홈부 214: 제 2 결합부
215: 제 2 측벽부 216: 리브안내부
217: 제 2 결합홈부 218a: 삽입안내부
218b: 보조안내부 219: 절단안내홈
220: 제 2 터미널 221: 제 2 내입단자
222: 제 1 돌출부 222a: 고정안내부
223: 제 1 라운드부 224: 제 2 돌출부
225: 제 2 걸림부 226: 제 2 라운드부
227: 경사부 228: 제 3 라운드부
229: 제 2 돌출단자 230: 제 2 보강부
231: 제 1 내측밀착부 232: 제 2 내측밀착부
233: 제 2 보강결합부 234: 제 1 연결부
235: 제 1 결합안내부 235a: 제 2 용접홈
235b: 제 1 결합부 236: 캐리어연결부
237: 제 2 연결부 238: 결합리브
238a: 삽입돌출부 238b: 보조돌출부
239: 제 2 결합안내부

Claims (26)

  1. 제 1 베이스와, 상기 제 1 베이스의 하부에 하나 이상 배열되는 제 1 터미널과, 상기 제 1 베이스의 양 단부에 결합되는 제 1 보강부를 갖는 제 1 커넥터; 및
    상기 제 1 베이스의 양 단부가 삽입되도록 그 상부에 삽입부가 형성되는 제 2 베이스와, 상기 제 2 베이스에 상기 제 1 터미널과 전기적으로 결합되도록 배열되는 제 2 터미널과, 상기 제 2 베이스의 양 단부에 결합되는 제 2 보강부를 갖는 제 2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보강부는, 상기 제 1 베이스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되되, 그 외측에 제 1 보강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보강부는, 상기 제 1 보강부와 마주보는 상기 삽입부의 내측을 감싸도록 형성되되, 상기 제 1 보강결합부와 결합되도록 제 2 보강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보강부는:
    상기 제 1 베이스의 길이방향 단부에 밀착되는 제 1 외측밀착부와, 상기 제 1 외측밀착부의 양 단부에서 상기 제 1 베이스의 길이방향 양 측방으로 절곡되는 한 쌍의 제 2 외측밀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보강결합부는 상기 제 1 외측밀착부 또는 한 쌍의 상기 제 2 외측밀착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보강부는:
    상기 제 2 베이스의 상기 삽입부의 양 단부에 구비되되, 상기 제 1 베이스가 상기 삽입부에 삽입될 때, 상기 제 1 보강부의 상기 제 1 외측밀착부와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되는 제 1 내측밀착부와, 상기 제 1 보강부의 상기 제 2 외측밀착부와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되는 한 쌍의 제 2 내측밀착부와, 상기 제 1 내측밀착부와 상기 제 2 내측밀착부를 상호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보강결합부는 상기 제 1 내측밀착부 및 한 쌍의 상기 제 2 내측밀착부 중 상기 제 1 보강결합부와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베이스의 단부와 마주보는 상기 삽입부의 내주연 단부에는 상기 제 1 베이스의 단부를 감싸도록 측벽부가 형성되되, 상기 측벽부는, 상기 제 1 외측밀착부와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되는 제 1 측벽부와, 상기 제 2 외측밀착부와 마주보도록 상기 제 1 측벽부의 양측에 형성되는 제 2 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 1 측벽부의 상측을 커버하는 제 1 연결부와, 상기 제 2 측벽부의 상측을 커버하도록 상기 제 1 연결부의 양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 2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내측밀착부는 상기 제 1 측벽부와 상기 제 1 외측밀착부 사이에 위치된 상태로 상기 제 1 연결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 2 내측밀착부는 상기 제 2 측벽부와 상기 제 2 외측밀착부 사이에 위치된 상태로 상기 제 2 연결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 1 내측밀착부가 상기 제 1 측벽부의 내측에 위치될 때, 상기 제 1 연결부에서 상기 제 1 측벽부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 1 결합안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측벽부의 외측에는 상기 제 1 결합안내부가 안내되도록 제 1 결합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결합안내부의 길이방향 양측에 제 1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결합홈부에는 상기 제 1 결합부와 결합되도록 제 2 결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보강부는:
    한 쌍의 상기 제 2 외측밀착부의 단부에서 상기 제 1 베이스의 하면 방향으로 상호 마주보도록 돌출 형성되는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의 단부에서 상기 제 1 베이스의 하면에 형성된 체결홈에 삽입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체결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돌기가 상기 체결홈에 삽입될 때, 상기 체결돌기의 양측에 돌출 형성된 가압부가 상기 체결홈의 내측을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베이스의 단부에는 상기 제 1 외측밀착부 및 상기 제 2 외측밀착부와 마주보는 위치에 각각 외측안내부 및 측방안내부가 구비되고, 상기 측방안내부와 상기 체결홈 사이에는 상기 체결부가 삽입되도록 체결안내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보강부가 상기 제 1 베이스의 단부 하측에서 상기 제 1 베이스의 단부 상측 방향으로 결합될 때, 상기 제 1 베이스의 단부 상측에는 상기 제 1 보강부가 걸리도록 걸림리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보강부에는 상기 걸림리브 방향으로 안내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걸림리브의 상기 안내부와 대향되는 위치에는 상기 안내부가 삽입되도록 안내삽입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넥터가 제 1 기판에 용접 결합될 때, 상기 제 1 보강부에는 제 1 기판 방향으로 오목하게 제 1 용접홈이 형성되어, 용접 과정에서 사용되는 용융된 납이 상기 제 1 용접홈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보강부는:
    상기 제 1 보강부와 마주보도록 상기 제 2 베이스의 상기 삽입부에 구비되되, 상기 제 1 보강결합부와 대향되는 위치에 상기 제 1 보강결합부와 결합되도록 제 2 보강결합부를 구비하는 내측밀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보강결합부는 오목 또는 볼록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 2 보강결합부는 상기 제 1 보강결합부와 삽입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의 저면에는 상기 내측밀착부의 단부가 삽입되도록 결합삽입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
  12. 삭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보강결합부는 상기 제 1 외측밀착부 및 한 쌍의 상기 제 2 외측밀착부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 2 보강결합부는 상기 제 1 보강결합부와 결합되도록 상기 제 1 내측밀착부 및 한 쌍의 상기 제 2 내측밀착부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커넥터가 제 2 기판에 용접 결합될 때, 상기 제 1 결합안내부에는 제 2 기판 방향으로 오목하게 제 2 용접홈이 형성되어, 용접 과정에서 사용되는 용융된 납이 상기 제 2 용접홈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내측밀착부가 상기 제 2 측벽부의 내측에 위치될 때, 상기 제 2 연결부에서 상기 제 2 측벽부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 2 결합안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측벽부의 외측에는 상기 제 2 결합안내부가 안내되도록 제 2 결합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내측밀착부가 상기 제 2 측벽부의 내측에 위치될 때, 상기 제 2 연결부를 따라 상기 제 2 측벽부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결합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리브의 길이방향 단부에 삽입돌출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제 2 측벽부의 외측에는 상기 삽입돌출부가 안내되도록 삽입안내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돌출부의 단부는 상기 삽입안내부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
  2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베이스 또는 상기 제 2 베이스의 외측에 오목하게 절단안내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보강부 또는 상기 제 2 보강부에는 상기 절단안내홈 방향으로 캐리어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캐리어연결부에 캐리어가 연결된 후, 캐리어가 상기 제 1 보강부 또는 상기 제 2 보강부를 상기 제 1 베이스 또는 상기 제 2 베이스로 이동시키면, 커팅기가 상기 절단안내홈에 안내되면서 상기 캐리어연결부와 캐리어를 절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
  2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터미널은:
    상기 제 1 베이스에 삽입되어 상기 제 2 터미널 방향으로 구비되는 제 1 내입단자; 및
    상기 제 1 내입단자에서 상기 제 1 베이스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돌출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터미널은:
    상기 제 2 베이스에 형성되는 수용부에 수용되며 상기 제 1 내입단자가 끼움 결합되는 제 2 내입단자; 및
    상기 제 2 내입단자에서 상기 제 2 베이스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돌출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내입단자는:
    상기 제 2 돌출단자의 단부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 1 돌출부와, 상기 제 1 돌출부의 상단에서 상기 제 1 돌출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라운드지면서 하방으로 절곡 형성되는 제 1 라운드부와, 상기 제 1 라운드부의 선단부에서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 2 돌출부와, 상기 제 2 돌출부의 하단에서 상기 제 2 돌출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라운드지면서 상방으로 절곡 형성되는 제 2 라운드부와, 상기 제 2 라운드부의 선단부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되 상기 제 2 돌출부와 가까워지도록 경사지는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의 상단에서 상기 제 2 돌출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라운드지면서 하방으로 절곡 형성되는 제 3 라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내입단자는:
    상기 제 1 돌출단자의 단부에서 상기 제 2 라운드부 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 2 돌출부와 상기 제 3 라운드부 사이에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내입단자의 상기 제 1 돌출부의 길이방향 일측에는 고정안내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에는 상기 제 1 돌출부와 맞닿도록 내벽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내입단자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될 때, 상기 고정안내부가 상기 내벽부를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
  26.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입단자는:
    상기 제 1 돌출단자의 단부에서 상기 제 3 라운드부와 맞닿도록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 1 끼움돌출부와, 상기 제 1 끼움돌출부의 하단에서 상기 제 1 끼움돌출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라운드지면서 상방으로 절곡 형성되는 지지라운드부와, 상기 지지라운드부의 선단부에서 상기 제 2 돌출부와 맞닿도록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 2 끼움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끼움돌출부에는 제 1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돌출부에는 상기 제 1 걸림부와 걸림 결합되도록 제 2 걸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
KR1020150051677A 2015-04-13 2015-04-13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 KR1016565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1677A KR101656514B1 (ko) 2015-04-13 2015-04-13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
CN201620302385.1U CN205666371U (zh) 2015-04-13 2016-04-12 具有强度加强功能的连接器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1677A KR101656514B1 (ko) 2015-04-13 2015-04-13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6514B1 true KR101656514B1 (ko) 2016-09-22

Family

ID=57102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1677A KR101656514B1 (ko) 2015-04-13 2015-04-13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56514B1 (ko)
CN (1) CN205666371U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0650A (ko) * 2016-11-29 2018-06-07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소켓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
KR101912622B1 (ko) * 2017-08-29 2018-10-29 (주)우주일렉트로닉스 기판 접속용 커넥터 장치
KR101942811B1 (ko) * 2017-11-27 2019-04-17 (주)우주일렉트로닉스 보강부재를 갖는 소켓커넥터 및 플러그커넥터
KR20190061351A (ko) * 2017-11-27 2019-06-05 (주)우주일렉트로닉스 강도가 강화된 플러그커넥터
WO2019164224A1 (ko) * 2018-02-23 2019-08-29 삼성전자 주식회사 금속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00080793A (ko) * 2018-12-27 2020-07-07 (주)우주일렉트로닉스 커넥터 장치의 캐리어 구조
US11563285B2 (en) 2018-07-30 2023-01-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nector including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at least part of conductive pin,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WO2023054870A1 (ko) * 2021-10-01 2023-04-06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성이 증가된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26025B2 (ja) * 2018-08-24 2022-02-2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組立体及びコネクタ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3925A (ko) 2003-07-04 2005-01-12 주식회사 씨엔텍 핀 커넥터 구조
JP2007165195A (ja) * 2005-12-15 2007-06-2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コネクタ
JP2011060650A (ja) * 2009-09-11 2011-03-24 Molex Inc 基板対基板コネクタ
KR101116410B1 (ko) 2009-03-24 2012-05-30 파나소닉 전공 주식회사 커넥터
JP2013101909A (ja) * 2011-10-14 2013-05-23 Molex Inc コネクタ
JP2014038768A (ja) * 2012-08-16 2014-02-27 Molex Inc 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3925A (ko) 2003-07-04 2005-01-12 주식회사 씨엔텍 핀 커넥터 구조
JP2007165195A (ja) * 2005-12-15 2007-06-2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コネクタ
KR101116410B1 (ko) 2009-03-24 2012-05-30 파나소닉 전공 주식회사 커넥터
JP2011060650A (ja) * 2009-09-11 2011-03-24 Molex Inc 基板対基板コネクタ
JP2013101909A (ja) * 2011-10-14 2013-05-23 Molex Inc コネクタ
JP2014038768A (ja) * 2012-08-16 2014-02-27 Molex Inc コネクタ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0650A (ko) * 2016-11-29 2018-06-07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소켓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
KR102574606B1 (ko) 2016-11-29 2023-09-05 에이치알에스코리아 주식회사 소켓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
KR101912622B1 (ko) * 2017-08-29 2018-10-29 (주)우주일렉트로닉스 기판 접속용 커넥터 장치
KR101942811B1 (ko) * 2017-11-27 2019-04-17 (주)우주일렉트로닉스 보강부재를 갖는 소켓커넥터 및 플러그커넥터
KR20190061351A (ko) * 2017-11-27 2019-06-05 (주)우주일렉트로닉스 강도가 강화된 플러그커넥터
KR101990508B1 (ko) * 2017-11-27 2019-06-18 (주)우주일렉트로닉스 강도가 강화된 플러그커넥터
WO2019164224A1 (ko) * 2018-02-23 2019-08-29 삼성전자 주식회사 금속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296443B2 (en) 2018-02-23 2022-04-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nector comprising metal plate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US11563285B2 (en) 2018-07-30 2023-01-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nector including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at least part of conductive pin,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KR20200080793A (ko) * 2018-12-27 2020-07-07 (주)우주일렉트로닉스 커넥터 장치의 캐리어 구조
KR102208598B1 (ko) * 2018-12-27 2021-01-28 (주)우주일렉트로닉스 커넥터 장치의 캐리어 구조
WO2023054870A1 (ko) * 2021-10-01 2023-04-06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성이 증가된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5666371U (zh) 2016-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6514B1 (ko) 강도 보강 기능을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
KR101815093B1 (ko)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CN113300140B (zh) 插座连接器及包括其的连接器组件
KR101811248B1 (ko) 전기 커넥터 조립체
KR101990508B1 (ko) 강도가 강화된 플러그커넥터
KR101749786B1 (ko) 방수 전기 커넥터
US9413090B2 (en) Female connector and card edge connector
US8961215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ed component, plug connector, and receptacle connector
JP4249192B2 (ja) モジュール機器用電気機器
KR20160009491A (ko)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JP3905518B2 (ja) フローティング型コネクタ
KR20130014504A (ko) 전자기기의 접속 기구 및 접속 장치
JP2017162774A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2005158630A (ja) 電気コネクタ
TW201401661A (zh) 電連接器組裝體及插頭連接器
US20060046563A1 (en) Electrical connector
KR101912622B1 (ko) 기판 접속용 커넥터 장치
JP6259003B2 (ja) 回路基板用プラグ電気コネクタ
KR101705076B1 (ko) 파손 방지 기능을 갖는 커넥터 장치
KR101942811B1 (ko) 보강부재를 갖는 소켓커넥터 및 플러그커넥터
JP6814051B2 (ja) コネクタ
KR101754261B1 (ko) 크랙 방지용 커넥터 장치
JP4871628B2 (ja) コネクタ
JP2015026489A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及びプラグコネクタ
KR20160042549A (ko) 보강 결합구조를 갖는 커넥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