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5927Y1 - 차량용 smt 커넥터 - Google Patents
차량용 smt 커넥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85927Y1 KR200485927Y1 KR2020160006531U KR20160006531U KR200485927Y1 KR 200485927 Y1 KR200485927 Y1 KR 200485927Y1 KR 2020160006531 U KR2020160006531 U KR 2020160006531U KR 20160006531 U KR20160006531 U KR 20160006531U KR 200485927 Y1 KR200485927 Y1 KR 200485927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pace
- coupling
- housing
- coupling socket
- substrat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우징에 형성된 오목부의 개방된 하부 방향으로 접속단자의 외부단자가 위치되어, 외부단자는 기판에 용이하게 납땜 결합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부단자는 오목부의 개방된 상부 방향으로 노출되므로, 외부에서 납땜이 제대로 되었는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차량용 SMT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우징이 기판에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차량용 SMT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기기의 소형화·고집적화됨에 따라, 각 장치에 사용되는 기판 또한 소형화되고 고집적화되고 있다. 이러한 기판은 IC(INTERGRATED CIRCUIT)기판이나 반도체칩, PCB(PRINTED CIRCUIT BOARD) 등이 있으며, 기판에는 커넥터가 장착되어 외부의 기판 또는 소자를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커넥터를 기판에 장착시키는 방법은 크게 IMT(Insert Mount Technology)와 SMT(Surface Mount Technology)가 있다. IMT는 기판에 단자가 삽입되기 위한 쓰루홀(through hole)을 만드는 공정이 추가로 필요하므로, 제조 비용이 증가되고, 기판의 한쪽 면만 사용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SMT는 기판의 표면에 커넥터를 실장하는 것으로, 기판의 양면을 이용할 수 있어, 부품들을 고밀도로 배치할 수 있으며, 기판과 커넥터 간을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다. 이처럼 SMT는 많은 응용사례들에서 비용을 줄이고, 향상된 신뢰도를 가지며, 기판의 전체적인 크기를 줄일 수 있어, 현재 개발되고 있는 제품에는 SMT의 사용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차량용 SMT 커넥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차량용 SMT 커넥터는 별물인 홀더(20)에 수직한 방향으로 케이블단자(10)를 필요한 개수만큼 안착한 후 케이블단자(10)를 홀더(20)와 나란한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한 상태로 이 홀더를 하우징(미도시)에 삽입하여 조립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우징(미도시)에는 SMT 실장을 위하여 복수 개의 실장단자(미도시)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실장단자는 납땜이 제대로 되었는지를 시각적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최근 들어 차량 내부에 각종 전자 제품이 많이 구비됨에 따라 소형 커넥터가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소형 커넥터의 경우, 그 크기를 줄이기 위하여 실장단자가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설계되는데, 이처럼 실장단자가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되면 외부에서 실장단자를 확인할 수 없어, 납땜이 제대로 되었는지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하우징에 구비되는 접속단자가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여 상기 접속단자가 기판에 용이하게 납땜되도록 하는 차량용 SMT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전선부와, 상기 전선부의 단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부를 갖는 케이블; 복수 개의 상기 케이블의 상기 연결부가 삽입되도록 내부에 복수 개의 독립된 구획부가 형성되는 결합소켓; 상기 결합소켓이 삽입되도록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부와, 상기 공간부의 일측에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개방부와, 기판에 배치되도록 상기 공간부의 타측에 구비되는 저면부를 갖는 하우징; 및 일측은 상기 기판에 전기적으로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저면부를 관통하여 상기 공간부에 위치되는 복수 개의 접속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소켓이 상기 개방부를 통하여 상기 공간부로 삽입되면, 상기 접속단자는 상기 결합소켓을 관통하여 상기 연결부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SMT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저면부의 일측에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접속단자는, 상기 저면부를 관통하여 상기 공간부에 위치되는 내부단자와, 상기 기판과 대향되는 상기 저면부의 외측에 위치되는 상기 내부단자의 단부에 상기 오목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외부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오목부의 상부와 하부는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오목부의 개방된 하부를 통하여 상기 외부단자가 상기 기판에 납땜 결합되고, 상기 오목부의 개방된 상부를 통하여 상기 외부단자가 상기 오목부의 상부 방향으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SMT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복수 개의 상기 외부단자가 상기 오목부 방향으로 위치될 때, 상기 오목부의 상호 인접한 한 쌍의 상기 외부단자 사이에 돌출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SMT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저면부의 양측에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측벽부와, 한 쌍의 상기 측벽부의 일측을 연결시키는 연결측부와, 상기 측벽부의 외측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측벽홈과, 상기 측벽부 사이의 공간에 위치되는 상기 공간부와, 상기 공간부의 상기 저면부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상기 개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벽홈의 하부에 결합안내부가 결합되되, 상기 측벽홈의 상부와 하부는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측벽홈의 개방된 하부를 통하여 상기 결합안내부가 상기 기판에 납땜 결합되고, 상기 측벽부의 개방된 상부를 통하여 상기 결합안내부가 상기 측벽부의 상부 방향으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SMT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결합소켓은, 상기 구획부의 길이방향 일단부에 상기 접속단자가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관통홀과, 상기 구획부의 길이방향 타단부에 상기 케이블의 상기 연결부가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삽입구와, 상기 구획부의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의 측부에 외부 방향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노출홀과, 상기 삽입구와 가까이 위치되는 상기 노출홀의 내주연 일측에 탄성을 갖도록 외팔보 형상으로 형성되는 걸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의 상기 연결부는, 상기 구획부에 삽입되되 상기 관통홀을 통하여 상기 구획부에 위치되는 상기 접속단자가 삽입되도록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접촉부와, 상기 걸림부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상기 접촉부의 일측에 상기 삽입구 방향으로 일체로 연장되되 상기 전선부가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부가 상기 구획부에 삽입되면, 상기 걸림부와 마주보는 방향에 위치되는 상기 접촉부의 타측이 상기 걸림부에 걸림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SMT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접촉부가 상기 구획부에 삽입되면서 상기 걸림부를 지나갈 때, 상기 걸림부는 상기 접촉부의 압력에 의하여 상기 노출홀의 외측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고, 상기 접촉부가 상기 구획부에 삽입되면, 상기 걸림부의 단부가 상기 접촉부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접촉부의 이동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SMT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접촉부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역삽입방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가 상기 구획부에 삽입될 때, 상기 구획부의 상기 역삽입방지부와 마주보는 위치에는 상기 역삽입방지부가 안내되도록 수용홈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SMT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접촉부의 내부에 상기 접속단자가 삽입될 때, 상기 접촉부의 내주연 양측에는 상기 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도록 접촉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SMT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전선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접촉부에서 상기 삽입구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연장 형상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길이방향 양측에 돌출 형성되는 결합안내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전선부의 일측이 상기 지지부에 지지되도록 위치되면, 상기 결합안내돌기가 상기 전선부의 타측을 감싸도록 꺾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SMT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결합소켓의 양측에 제 1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상기 공간부의 상기 제 1 가이드부와 대향되는 양측에 상기 제 1 가이드부가 삽입 결합된 상태로 슬라이딩 안내되도록 제 2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SMT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결합소켓이 상기 하우징의 상기 개방부를 통하여 상기 공간부로 삽입될 때, 상기 결합소켓의 외측에는 제 1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의 상기 제 1 결합부와 대향되는 위치에는 상기 제 1 결합부와 끼움 결합되는 제 2 결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SMT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결합부는 상기 결합소켓의 외측에 돌출 형성되되 상기 저면부 방향으로 갈수록 그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테이퍼지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결합부는 상기 공간부의 상기 제 1 결합부와 대향되는 위치에 상기 제 1 결합부가 삽입되도록 홀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SMT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이 기판에 배치될 때, 상기 하우징의 상측에 부착된 커버테이프에 에어 석션이 밀착된 후, 상기 에어 석션이 상기 기판으로 이동되고, 상기 하우징이 상기 기판으로 이동되면 상기 커버테이프가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SMT 커넥터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케이블의 접촉부가 결합소켓의 구획부에 삽입될 때, 접촉부에 구비된 역삽입방지부가 구획부에 구비된 수용홈에 안내되면서 슬라이딩 이동되므로, 작업자가 케이블의 접촉부를 결합소켓의 구획부에 삽입시키는 조립 과정에서 접촉부를 역삽입하지 않고 정위치에 안전하게 조립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케이블의 접촉부가 결합소켓의 구획부에 삽입되면, 케이블의 접촉부가 결합소켓의 구획부에 구비되는 걸림부에 걸림 위치되어 케이블은 결합소켓에 견고하게 걸림 위치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케이블의 접촉부에 접속단자가 전기적으로 접촉될 때, 접촉부에 구성된 한 쌍의 접촉돌기에 접속단자의 양측이 전기적으로 접촉되도록 구성되므로, 외부 이물질 등에 의하여 한 쌍의 접촉돌기 중 어느 한 접촉돌기가 제 기능을 못한다 하더라도 다른 한 접촉돌기가 접속단자와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우징은 오목부의 개방된 하부 방향으로 접속단자의 외부단자가 위치되어, 외부단자는 기판에 용이하게 납땜 결합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부단자는 하우징의 오목부의 개방된 상부 방향으로 노출되므로, 외부에서 납땜이 제대로 되었는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우징은 결합안내부에 의하여 기판에 견고하게 결합되고, 결합안내부는 하우징의 측벽홈에 의하여 기판에 납땜이 제대로 되었는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우징에 결합소켓이 결합될 때, 하우징에는 제 2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결합소켓에는 제 1 가이드부가 형성되어, 결합소켓의 제 1 가이드부가 하우징의 제 2 가이드부에 안내된 상태로 안정적으로 삽입되는 효과가 있디.
또한, 하우징에 결합소켓이 결합되면, 결합소켓의 제 1 결합부가 하우징의 제 2 결합부에 끼움 결합되어, 결합소켓은 하우징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커버테이프와 에어 석션을 이용하여 하우징을 기판 쪽으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차량용 SMT 커넥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SMT 커넥터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SMT 커넥터의 결합소켓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A-A'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SMT 커넥터의 케이블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SMT 커넥터의 케이블의 정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SMT 커넥터의 케이블이 결합소켓에 삽입된 상태를 단면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SMT 커넥터의 하우징에 접속단자가 삽입된 상태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SMT 커넥터의 하우징에 접속단자가 삽입된 상태의 평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SMT 커넥터의 하우징에 접속단자가 삽입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SMT 커넥터의 하우징에 접속단자가 삽입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SMT 커넥터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SMT 커넥터의 결합소켓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A-A'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SMT 커넥터의 케이블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SMT 커넥터의 케이블의 정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SMT 커넥터의 케이블이 결합소켓에 삽입된 상태를 단면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SMT 커넥터의 하우징에 접속단자가 삽입된 상태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SMT 커넥터의 하우징에 접속단자가 삽입된 상태의 평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SMT 커넥터의 하우징에 접속단자가 삽입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SMT 커넥터의 하우징에 접속단자가 삽입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SMT 커넥터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SMT 커넥터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SMT 커넥터(1000)는 기판(B: 도 8 도시)의 표면에 실장되는 것으로, 복수 개로 구성되는 케이블(100), 케이블(100)이 삽입되도록 내부에 복수 개의 독립된 구획부(210: 도 4 참조)가 구비된 결합소켓(200), 결합소켓(200)이 삽입되도록 공간부(310)가 구비되는 하우징(300) 및 일측은 하우징(300)과 결합소켓(200)에 결합된 상태로 결합소켓(200)에 삽입된 케이블(1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측은 하우징(300)이 지지되는 기판(B)에 결합되는 접속단자(400)를 포함한다. 상기 기판(B)은 예를 들면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복수 개의 구획부(210)는 3개로 구성되나, 본 고안을 이로 한정하지 않음은 당연하고, 경우에 따라 1개 또는 2개 또는 4개 이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SMT 커넥터의 결합소켓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A-A'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결합소켓(200)은 예를 들면 플라스틱 재질 등으로 형성되고, 직육면체 형상 등으로 형성되며, 그 내부에 복수 개의 독립된 구획부(210)가 형성된다. 이러한 구획부(210)는 복수 개가 병렬로 형성되어 있으며, 구획부(210)의 길이방향 일단부는 삽입구(214)가 형성되어, 후술하는 케이블(100)이 삽입구(214)를 통하여 구획부(210)로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구획부(210)의 길이방향 타단부는 후술하는 접속단자(400)가 관통되도록 관통홀(212)이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구획부(210)의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의 일측부에는 외부 방향으로 노출되도록 노출홀(216)이 형성된다. 그리고 삽입구(214)와 가까이 위치되는 노출홀(216)의 내주연 일측에는 탄성을 갖도록 외팔보 형상으로 길게 형성되는 걸림부(217)가 구비된다. 상기 걸림부(217)는 후술하는 케이블(100)이 구획부(210)로 삽입되면, 상기 케이블(100)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노출홀(216)과 마주보는 구획부(210)의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의 타측부에는 후술하는 케이블(100)의 역삽입방지부(122b: 도 5 도시)가 안내되도록 오목하게 수용홈(218)이 형성된다.
그리고 결합소켓(200)의 외부 양측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제 1 가이드부(220)가 형성된다. 제 1 가이드부(220)는 후술하는 하우징(300)에 결합소켓(200)이 삽입될 때, 하우징(300)의 제 2 가이드부(320)와 삽입 결합된 상태로 슬라이딩 안내되도록 한다. 그리고 결합소켓(200)의 노출홀(216)의 하측에는 제 1 결합부(230)가 그 외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제 1 결합부(230)는 후술하는 하우징(300)에 결합소켓(200)이 삽입될 때, 하우징(300)의 제 2 결합부(330)와 끼움 결합되도록 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SMT 커넥터의 케이블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SMT 커넥터의 케이블의 정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SMT 커넥터의 케이블이 결합소켓에 삽입된 상태를 단면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케이블(100)은 전선부(110) 및 연결부(120)를 포함한다. 전선부(110)는 통전 기능을 가지며 피복으로 감싸지는 일반적인 전선 등으로 구성된다. 연결부(120)는 통전 재질로 형성되며 전선부(110)에 연결된 상태로 결합소켓(200)의 구획부(210)에 삽입되는 것으로, 접촉부(122)와, 결합부(124)를 포함한다.
접촉부(122)는 구획부(210)에 삽입되도록 직육면체 형상 등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결합소켓(200)의 관통홀(212)을 통하여 구획부(210)에 위치되는 후술하는 접속단자(400)가 접촉부(122)에 삽입되도록 접촉부(122)의 내부는 빈 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접촉부(122)의 내부에 접속단자(400)가 삽입될 때, 접촉부(122)의 내주연 양측에는 접속단자(400)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도록 한 쌍의 접촉돌기(122a)가 돌출 형성된다. 이처럼 접촉부(122)에는 한 쌍의 접촉돌기(122a)가 접속단자(400)의 양측에 전기적으로 접촉되도록 구성되므로, 외부 이물질 등에 의하여 한 쌍의 접촉돌기(122a) 중 어느 한 접촉돌기(122a)가 제 기능을 못한다 하더라도 다른 한 접촉돌기(122a)가 접속단자(400)와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접촉부(122)는 구획부(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데, 이러한 접촉부(122)의 길이방향 일단부, 즉, 접촉부(122)의 관통홀(212)과 대향되는 접촉부(122)의 길이방향 일단부에는 구획부(210)의 수용홈(218) 방향으로 역삽입방지부(122b)가 돌출 형성되어, 접촉부(122)가 구획부(210)에 삽입될 때, 접촉부(122)의 역삽입방지부(122b)가 구획부(210)의 수용홈(218)에 안내되면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케이블(100)의 접촉부(122)를 결합소켓(200)의 구획부(210)에 삽입시키는 조립 과정에서 접촉부(122)를 역삽입하지 않고 정위치에 안전하게 조립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접촉부(122)가 결합소켓(200)의 구획부(210)에 삽입될 때, 결합소켓(200)의 걸림부(217)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접촉부(122)의 일측에는 후술하는 결합부(124)가 위치되고, 걸림부(217)와 마주보는 방향에 위치되는 접촉부(122)의 타측은 걸림부(217)에 걸림 위치된다. 여기서 구획부(210)에 삽입된 접촉부(122)가 걸림부(217)를 지나갈 때, 걸림부(217)는 접촉부(122)의 압력에 의하여 노출홀(216)의 외측 방향으로 탄성 변형된다. 그 후, 접촉부(122)가 걸림부(217)를 지나가게 되면, 걸림부(217)는 탄성에 의하여 접촉부(122) 방향으로 이동되고, 걸림부(217)와 마주보는 접촉부(122)의 단부는 걸림부(217)의 단부에 걸림 위치되어, 접촉부(122)의 이동을 차단하여, 접촉부(122)는 구획부(210)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 이때, 걸림부(217)의 단부에는 걸림홈(217a)이 형성되어 접촉부(122)는 걸림홈(217a)에 보다 견고하게 걸림 위치되는 효과가 있다.
결합부(124)는 접촉부(122)와 마주보도록 위치된 전선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상태로 전선부(110)와 결합되는 것으로, 걸림부(217)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접촉부(122)의 일측 단부에 전선부(110)의 일측 길이방향을 따라 삽입구(214)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일체로 연장되는 지지부(124a)와, 지지부(124a)의 길이방향 양측에 전선부(110)의 타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결합안내돌기(124b)를 포함한다. 결합안내돌기(124b)는 지지부(124a)의 길이방향 양측에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전선부(110)의 일측이 지지부(124a)에 지지되도록 위치되면, 결합안내돌기(124b)가 전선부(110)의 타측을 감싸도록 꺾여져서 전선부(110)가 결합부(124)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때, 접촉부(122) 전체는 통전 재질로 형성되고 전선부(110)의 단부 또한 피복이 벗겨진 상태이므로, 접촉부(122)와 전선부(110)는 통전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SMT 커넥터의 하우징에 접속단자가 삽입된 상태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SMT 커넥터의 하우징에 접속단자가 삽입된 상태의 평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하우징(300)은 그 일측에 접속단자(400)가 위치되고 그 타측에 결합소켓(200)이 위치되어, 결합소켓(200)에 삽입된 케이블(100)과 접속단자(400)를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이러한 하우징(300)은 결합소켓(200)이 삽입되도록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부(310)와, 상기 공간부(310)의 일측에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개방부(312)와, 기판(B)에 배치되도록 공간부(310)의 타측에 구비되는 판형의 저면부(302)와, 저면부(302)의 양측에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측벽부(304)와, 한 쌍의 상기 측벽부(304)의 일측을 연결시키는 연결측부(306)와, 상기 측벽부(304)의 외측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측벽홈(304a)을 포함한다. 그리고 공간부(310)는 한 쌍의 측벽부(304) 사이의 공간에 위치되고, 공간부(310)의 저면부(302)의 반대 방향에 개방부(312)가 위치된다. 그리고 저면부(302)의 일측에 오목하게 오목부(302a)가 형성된다. 그리고 한 쌍의 측벽부(304)의 상호 마주보는 내면에는 결합소켓(200)의 제 1 가이드부(220)가 삽입 결합된 상태로 슬라이딩 안내되도록 오목하게 제 2 가이드부(320)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결합소켓(200)이 하우징(300)의 공간부(310)로 삽입될 때, 결합소켓(200)의 제 1 가이드부(220)가 하우징(300)의 제 2 가이드부(320)에 안내된 상태로 안정적으로 삽입되는 효과가 있디.
접속단자(400)는 결합소켓(200)이 상기 개방부(312)를 통하여 하우징(300)의 공간부(310)로 삽입되면, 결합소켓(200)을 관통하여 결합소켓(200)에 삽입된 케이블(100)의 접촉부(122)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것으로, 케이블(100)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복수 개로 구성된다. 이러한 접속단자(400)는 하우징(300)의 저면부(302)를 관통하여 공간부(310)에 위치되는 내부단자(410)와, 기판(B)과 대향되는 저면부(302)의 외측에 위치되는 내부단자(410)의 단부에 상기 오목부(302a) 방향으로 연장되는 외부단자(420)를 포함한다.
이때, 오목부(302a)의 상부와 하부는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오목부(302a)의 개방된 하부를 통하여 외부단자(420)가 기판(B)에 납땜 결합되고, 오목부(302a)의 개방된 상부를 통하여 외부단자(420)가 오목부(302a)의 상부 방향으로 노출된다. 이처럼 외부단자(420)가 오목부(302a)의 상부 방향으로 노출되므로, 통상적인 비전장치(Vision Inspection System)(미도시) 등을 이용하여 납땜이 제대로 되었는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비전장치는 카메라를 이용한 자동화된 시각검사장비로, 카메라를 이용하여 검사물을 촬영하고, 이를 영상 처리하여, 객관적으로 납땜이 제대로 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카메라 촬영을 위해서는 외부단자(420)가 외부로 노출되어야 한다. 그런데 제품의 설치 면적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외부단자(420)의 크기를 소형으로 설계하다 보면 외부단자(420)가 하우징(300) 내부에 위치되어 외부단자(420)가 하우징(300)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에 대하여 본 고안은 하우징(300)에 오목부(302a)가 구비되므로, 외부단자(420)를 작게 설계한다 하더라도 외부단자(420)가 하우징(300)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되며, 이에 따라 비전장치 등을 이용하여 납땜이 제대로 되었는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하우징(300)에는 돌출부(302b)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돌출부(302b)는 복수 개의 외부단자(420)가 상기 오목부(302a) 방향으로 위치될 때, 상기 오목부(302a)의 상호 인접한 한 쌍의 상기 외부단자(420) 사이에 돌출 형성된다. 이처럼 외부단자(420) 사이에 돌출부(302b)가 구비되므로, 외부단자(420)는 오목부(302a)의 개방된 상부로 여전히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돌출부(302b)는 외부 이물질 등으로부터 외부단자(420)를 보호하도록 하고, 하우징(300)의 저면부(302)의 강도를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에 더하여 하우징(300)이 기판(B)에 보다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기 위하여 하우징(300)의 측벽홈(304a)에는 결합안내부(450)가 더 결합될 수 있다. 결합안내부(450)는 그 단면이 L형으로 형성되어, 일측은 측벽홈(304a)의 하부에 결합되고, 타측은 측벽홈(304a)의 하부에 위치되는 기판(B)에 견고하게 납땜 결합된다. 이때, 측벽홈(304a)의 개방된 하부를 통하여 상기 결합안내부(450)가 기판(B)에 납땜 결합되고, 상기 측벽부(304)의 개방된 상부를 통하여 상기 결합안내부(450)가 상기 측벽부(304)의 상부 방향으로 노출되므로, 비전장치 등을 이용하여 결합안내부(450)가 기판(B)에 납땜이 제대로 되었는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하우징(300)은 복수 개가 캐리어(미도시)에 수용되어 있을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복수 개의 하우징(300) 중 선택되는 하우징(300)이 기판(B)에 이동된 후 납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캐리어에 수용된 하우징(300)을 기판(B)으로 용이하게 이동시키기 위하여, 하우징(300)의 개방된 상측, 즉 삽입구(214)에 필름 형상의 커버테이프(미도시)가 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테이프는 하우징(300)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삽입구(214)를 일체로 덮도록 형성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케리어 옆에 있는 에어 석션(미도시)이 상기 커버테이프에 밀착된 후 음압을 이용하여 상기 커버테이프를 들어 올리게 되면, 하우징(300)이 상기 캐리어에서 상부로 들어올려진다. 이후, 상기 에어 석션이 하우징(300)을 기판(B)으로 용이하게 이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하우징(300)이 기판(B)으로 이동되면 상기 커버테이프가 제거된다. 이처럼 본 고안은 상기 커버테이프와 상기 에어 석션을 이용하여 하우징(300)을 기판(B) 쪽으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0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SMT 커넥터의 하우징에 접속단자가 삽입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SMT 커넥터의 하우징에 접속단자가 삽입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케이블(100)은 결합소켓(200)에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하우징(300)은 접속단자(400)의 외부단자(420) 및 결합안내부(450)에 의하여 기판(B)에 납땜 결합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결합소켓(200)이 하우징(300)의 공간부(310)로 삽입되면, 하우징(300)에 결합된 접속단자(400)의 내부단자(410)가 결합소켓(200)의 관통홀(212)을 지나 구획부(210)로 삽입된다. 이때, 구획부(210)에는 케이블(100)의 접촉부(122)가 위치되어, 내부단자(410)는 접촉부(122)의 내부로 삽입되고, 이어서 접촉돌기(122a)에 접촉되어, 내부단자(410)와 케이블(100)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결합소켓(200)이 하우징(300)의 공간부(310)로 삽입될 때, 결합소켓(200)과 하우징(300)이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기 위하여 결합소켓(200)에는 제 1 결합부(230)가 구비되고 하우징(300)에는 제 2 결합부(330)가 구비될 수 있다. 제 1 결합부(230)는 하우징(300)의 제 2 결합부(330)와 마주보는 결합소켓(200)의 외측에 돌츨 형성된다. 제 1 결합부(230)는 노출홀(216)을 기준으로 하여 저면부(302)와 가깝도록 위치되며, 이때, 제 1 결합부(230)는 후술하는 제 2 결합부(330)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저면부(302) 방향으로 갈수록 그 단면적이 작아지는 테이퍼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2 결합부(330)는 하우징(300)의 공간부(310)의 상기 제 1 결합부(230)와 대향되는 위치에 상기 제 1 결합부(230)가 삽입되도록 요홈 또는 홀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결합소켓(200)이 하우징(300)의 공간부(310)에 삽입될 때, 제 1 결합부(230)가 제 2 결합부(330)에 삽입되면서 상호 끼움 결합되어, 결합소켓(200)은 하우징(300)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을 이로 한정하지 않음은 당연하고,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고안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00: 차량용 SMT 커넥터
100: 케이블 110: 전선부
120: 연결부 122: 접촉부
122a: 접촉돌기 122b: 역삽입방지부
124: 결합부 124a: 지지부
124b: 결합안내돌기 200: 결합소켓
210: 구획부 212: 관통홀
214: 삽입구 216: 노출홀
217: 걸림부 217a: 걸림홈
218: 수용홈 220: 제 1 가이드부
230: 제 1 결합부 300: 하우징
302: 저면부 302a: 오목부
302b: 돌출부 304: 측벽부
304a: 측벽홈 306: 연결측부
310: 공간부 312: 개방부
320: 제 2 가이드부 330: 제 2 결합부
400: 접속단자 410: 내부단자
420: 외부단자 450: 결합안내부
100: 케이블 110: 전선부
120: 연결부 122: 접촉부
122a: 접촉돌기 122b: 역삽입방지부
124: 결합부 124a: 지지부
124b: 결합안내돌기 200: 결합소켓
210: 구획부 212: 관통홀
214: 삽입구 216: 노출홀
217: 걸림부 217a: 걸림홈
218: 수용홈 220: 제 1 가이드부
230: 제 1 결합부 300: 하우징
302: 저면부 302a: 오목부
302b: 돌출부 304: 측벽부
304a: 측벽홈 306: 연결측부
310: 공간부 312: 개방부
320: 제 2 가이드부 330: 제 2 결합부
400: 접속단자 410: 내부단자
420: 외부단자 450: 결합안내부
Claims (13)
- 전선부와, 상기 전선부의 단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부를 갖는 케이블;
복수 개의 상기 케이블의 상기 연결부가 삽입되도록 내부에 복수 개의 독립된 구획부가 형성되는 결합소켓;
상기 결합소켓이 삽입되도록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부와, 상기 공간부의 일측에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개방부와, 기판에 배치되도록 상기 공간부의 타측에 구비되는 저면부를 갖는 하우징; 및
일측은 상기 기판에 전기적으로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저면부를 관통하여 상기 공간부에 위치되는 복수 개의 접속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소켓이 상기 개방부를 통하여 상기 공간부로 삽입되면, 상기 접속단자는 상기 결합소켓을 관통하여 상기 연결부와 전기적으로 접촉되고,
상기 저면부의 일측에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접속단자는, 상기 저면부를 관통하여 상기 공간부에 위치되는 내부단자와, 상기 기판과 대향되는 상기 저면부의 외측에 위치되는 상기 내부단자의 단부에 상기 오목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외부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오목부의 상부와 하부는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오목부의 개방된 하부를 통하여 상기 외부단자가 상기 기판에 납땜 결합되고, 상기 오목부의 개방된 상부를 통하여 상기 외부단자가 상기 오목부의 상부 방향으로 노출되고,
복수 개의 상기 외부단자가 상기 오목부 방향으로 위치될 때, 상기 오목부의 상호 인접한 한 쌍의 상기 외부단자 사이에 돌출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SMT 커넥터.
- 삭제
- 삭제
- 전선부와, 상기 전선부의 단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부를 갖는 케이블;
복수 개의 상기 케이블의 상기 연결부가 삽입되도록 내부에 복수 개의 독립된 구획부가 형성되는 결합소켓;
상기 결합소켓이 삽입되도록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부와, 상기 공간부의 일측에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개방부와, 기판에 배치되도록 상기 공간부의 타측에 구비되는 저면부를 갖는 하우징; 및
일측은 상기 기판에 전기적으로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저면부를 관통하여 상기 공간부에 위치되는 복수 개의 접속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소켓이 상기 개방부를 통하여 상기 공간부로 삽입되면, 상기 접속단자는 상기 결합소켓을 관통하여 상기 연결부와 전기적으로 접촉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저면부의 양측에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측벽부와, 한 쌍의 상기 측벽부의 일측을 연결시키는 연결측부와, 상기 측벽부의 외측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측벽홈과, 상기 측벽부 사이의 공간에 위치되는 상기 공간부와, 상기 공간부의 상기 저면부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상기 개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벽홈의 하부에 결합안내부가 결합되되, 상기 측벽홈의 상부와 하부는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측벽홈의 개방된 하부를 통하여 상기 결합안내부가 상기 기판에 납땜 결합되고, 상기 측벽부의 개방된 상부를 통하여 상기 결합안내부가 상기 측벽부의 상부 방향으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SMT 커넥터.
- 전선부와, 상기 전선부의 단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부를 갖는 케이블;
복수 개의 상기 케이블의 상기 연결부가 삽입되도록 내부에 복수 개의 독립된 구획부가 형성되는 결합소켓;
상기 결합소켓이 삽입되도록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부와, 상기 공간부의 일측에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개방부와, 기판에 배치되도록 상기 공간부의 타측에 구비되는 저면부를 갖는 하우징; 및
일측은 상기 기판에 전기적으로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저면부를 관통하여 상기 공간부에 위치되는 복수 개의 접속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소켓이 상기 개방부를 통하여 상기 공간부로 삽입되면, 상기 접속단자는 상기 결합소켓을 관통하여 상기 연결부와 전기적으로 접촉되고,
상기 결합소켓은, 상기 구획부의 길이방향 일단부에 상기 접속단자가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관통홀과, 상기 구획부의 길이방향 타단부에 상기 케이블의 상기 연결부가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삽입구와, 상기 구획부의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의 측부에 외부 방향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노출홀과, 상기 삽입구와 가까이 위치되는 상기 노출홀의 내주연 일측에 탄성을 갖도록 외팔보 형상으로 형성되는 걸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의 상기 연결부는, 상기 구획부에 삽입되되 상기 관통홀을 통하여 상기 구획부에 위치되는 상기 접속단자가 삽입되도록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접촉부와, 상기 걸림부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상기 접촉부의 일측에 상기 삽입구 방향으로 일체로 연장되되 상기 전선부가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부가 상기 구획부에 삽입되면, 상기 걸림부와 마주보는 방향에 위치되는 상기 접촉부의 타측이 상기 걸림부에 걸림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SMT 커넥터.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가 상기 구획부에 삽입되면서 상기 걸림부를 지나갈 때, 상기 걸림부는 상기 접촉부의 압력에 의하여 상기 노출홀의 외측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고,
상기 접촉부가 상기 구획부에 삽입되면, 상기 걸림부의 단부가 상기 접촉부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접촉부의 이동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SMT 커넥터.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역삽입방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가 상기 구획부에 삽입될 때, 상기 구획부의 상기 역삽입방지부와 마주보는 위치에는 상기 역삽입방지부가 안내되도록 수용홈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SMT 커넥터.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의 내부에 상기 접속단자가 삽입될 때, 상기 접촉부의 내주연 양측에는 상기 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도록 접촉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SMT 커넥터.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전선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접촉부에서 상기 삽입구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연장 형상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길이방향 양측에 돌출 형성되는 결합안내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전선부의 일측이 상기 지지부에 지지되도록 위치되면, 상기 결합안내돌기가 상기 전선부의 타측을 감싸도록 꺾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SMT 커넥터.
- 제 1 항, 제 4 항 및 제 5 항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소켓의 양측에 제 1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상기 공간부의 상기 제 1 가이드부와 대향되는 양측에 상기 제 1 가이드부가 삽입 결합된 상태로 슬라이딩 안내되도록 제 2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SMT 커넥터.
- 제 1 항, 제 4 항 및 제 5 항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소켓이 상기 하우징의 상기 개방부를 통하여 상기 공간부로 삽입될 때, 상기 결합소켓의 외측에는 제 1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의 상기 제 1 결합부와 대향되는 위치에는 상기 제 1 결합부와 끼움 결합되는 제 2 결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SMT 커넥터.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결합부는 상기 결합소켓의 외측에 돌출 형성되되 상기 저면부 방향으로 갈수록 그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테이퍼지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결합부는 상기 공간부의 상기 제 1 결합부와 대향되는 위치에 상기 제 1 결합부가 삽입되도록 홀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SMT 커넥터.
- 전선부와, 상기 전선부의 단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부를 갖는 케이블;
복수 개의 상기 케이블의 상기 연결부가 삽입되도록 내부에 복수 개의 독립된 구획부가 형성되는 결합소켓;
상기 결합소켓이 삽입되도록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부와, 상기 공간부의 일측에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개방부와, 기판에 배치되도록 상기 공간부의 타측에 구비되는 저면부를 갖는 하우징; 및
일측은 상기 기판에 전기적으로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저면부를 관통하여 상기 공간부에 위치되는 복수 개의 접속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소켓이 상기 개방부를 통하여 상기 공간부로 삽입되면, 상기 접속단자는 상기 결합소켓을 관통하여 상기 연결부와 전기적으로 접촉되고,
상기 하우징이 기판에 배치될 때, 상기 하우징의 상측에 부착된 커버테이프에 에어 석션이 밀착된 후, 상기 에어 석션이 상기 기판으로 이동되고,
상기 하우징이 상기 기판으로 이동되면 상기 커버테이프가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SMT 커넥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60006531U KR200485927Y1 (ko) | 2016-11-09 | 2016-11-09 | 차량용 smt 커넥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60006531U KR200485927Y1 (ko) | 2016-11-09 | 2016-11-09 | 차량용 smt 커넥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85927Y1 true KR200485927Y1 (ko) | 2018-03-13 |
Family
ID=61649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60006531U KR200485927Y1 (ko) | 2016-11-09 | 2016-11-09 | 차량용 smt 커넥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85927Y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72463B1 (ko) * | 2018-11-19 | 2020-02-03 | (주)우주일렉트로닉스 | 회전형 위치확정부를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 |
KR102412144B1 (ko) * | 2021-08-26 | 2022-06-22 | 에코캡 주식회사 | 변형방지구조를 갖는 양극접촉단자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120857A (ja) * | 1995-10-24 | 1997-05-06 | Japan Aviation Electron Ind Ltd | 高電圧用コネクタ |
KR20060117837A (ko) * | 2005-05-14 | 2006-11-17 | (주)우주일렉트로닉스 | 커넥터 |
KR20090059869A (ko) | 2007-12-07 | 2009-06-11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홀더 및 이를 구비한 차량용 커넥터 |
KR20150118728A (ko) * | 2014-04-15 | 2015-10-23 | (주)우주일렉트로닉스 | 커넥터 어셈블리 |
KR20160069868A (ko) * | 2014-12-09 | 2016-06-17 | (주)우주일렉트로닉스 | 커버부를 갖는 smt용 커넥터 |
KR20160118760A (ko) * | 2015-04-03 | 2016-10-12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하우징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
-
2016
- 2016-11-09 KR KR2020160006531U patent/KR200485927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120857A (ja) * | 1995-10-24 | 1997-05-06 | Japan Aviation Electron Ind Ltd | 高電圧用コネクタ |
KR20060117837A (ko) * | 2005-05-14 | 2006-11-17 | (주)우주일렉트로닉스 | 커넥터 |
KR20090059869A (ko) | 2007-12-07 | 2009-06-11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홀더 및 이를 구비한 차량용 커넥터 |
KR20150118728A (ko) * | 2014-04-15 | 2015-10-23 | (주)우주일렉트로닉스 | 커넥터 어셈블리 |
KR20160069868A (ko) * | 2014-12-09 | 2016-06-17 | (주)우주일렉트로닉스 | 커버부를 갖는 smt용 커넥터 |
KR20160118760A (ko) * | 2015-04-03 | 2016-10-12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하우징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72463B1 (ko) * | 2018-11-19 | 2020-02-03 | (주)우주일렉트로닉스 | 회전형 위치확정부를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 |
KR102412144B1 (ko) * | 2021-08-26 | 2022-06-22 | 에코캡 주식회사 | 변형방지구조를 갖는 양극접촉단자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11248B1 (ko) | 전기 커넥터 조립체 | |
US6939172B2 (en) | Electrical connector with anti-mismating arrangement | |
US9502815B2 (en) | Electrical connector | |
JP4249192B2 (ja) | モジュール機器用電気機器 | |
US20060270254A1 (en) | Dustproof receptacle connector | |
US20090197440A1 (en) | Board to Board Connector | |
US20130252469A1 (en) | Connection structure and connection unit of eletronic component | |
US9343835B2 (en) | Terminal and connector having the same | |
KR20170042484A (ko) | 전기 커넥터 조립체 | |
JP7181769B2 (ja) | コネクタ | |
US10879633B2 (en) | Connector housing and electrical connector | |
KR101550994B1 (ko) |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 |
US11146004B2 (en) | Connector assembly | |
KR200485927Y1 (ko) | 차량용 smt 커넥터 | |
CN114389108A (zh) | 带有扁平导体的电连接器 | |
JP2007026765A (ja) | カメラモジュールの基板取付構造 | |
US20090149078A1 (en) | Connector | |
CN114267973A (zh) | 带扁平型导体的电连接器、对象电连接器以及电连接器组装体 | |
JP5298044B2 (ja) | 電気コネクタ | |
US8500459B2 (en) | Receptacle with a cavity for receiving a plug with a recess for receiving a component | |
US6146177A (en) |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locking device | |
JP2019133824A (ja) |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アセンブリ | |
CN108232497B (zh) | 电子装置 | |
CN109314329B (zh) | 用于数据传输的插头连接器 | |
CN114389107A (zh) | 带有扁平导体的电连接器以及电连接器组装体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