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6216A - 서브마운트 및 반도체 장치 - Google Patents

서브마운트 및 반도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6216A
KR20050006216A KR10-2004-7017495A KR20047017495A KR20050006216A KR 20050006216 A KR20050006216 A KR 20050006216A KR 20047017495 A KR20047017495 A KR 20047017495A KR 20050006216 A KR20050006216 A KR 200500062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solder
submount
film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7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40164B1 (ko
Inventor
다까시 이시이
겐지로 히가끼
야스시 쯔즈끼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덴키고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덴키고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덴키고교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062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62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0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01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4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H01L23/48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consisting of soldered or bonded constru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5/00Semiconductor lasers
    • H01S5/02Structural details or components not essential to laser action
    • H01S5/022Mountings; Housings
    • H01S5/023Mount members, e.g. sub-moun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5/00Semiconductor lasers
    • H01S5/02Structural details or components not essential to laser action
    • H01S5/022Mountings; Housings
    • H01S5/0233Mounting configuration of laser chi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5/00Semiconductor lasers
    • H01S5/02Structural details or components not essential to laser action
    • H01S5/022Mountings; Housings
    • H01S5/0235Method for mounting laser chi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80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 H01L2224/83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using a layer connector
    • H01L2224/8319Arrangement of the layer connectors prior to mounting
    • H01L2224/83192Arrangement of the layer connectors prior to mounting wherein the layer connectors are disposed only on another item or body to be connected to the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6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emiconductor body, e.g. lead-frames, wire-bonds or solder ba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5/00Semiconductor lasers
    • H01S5/02Structural details or components not essential to laser action
    • H01S5/022Mountings; Housings
    • H01S5/0235Method for mounting laser chips
    • H01S5/02355Fixing laser chips on mounts
    • H01S5/0237Fixing laser chips on mounts by solde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5/00Semiconductor lasers
    • H01S5/02Structural details or components not essential to laser action
    • H01S5/024Arrangements for thermal management
    • H01S5/02476Heat spreaders, i.e. improving heat flow between laser chip and heat dissipating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ie Bonding (AREA)
  • Semiconductor Lasers (AREA)
  • Led Device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높은 접합 강도로 반도체 발광 소자를 부착할 수 있는 서브마운트를 제공한다. 서브마운트는, 서브마운트 기판과, 서브마운트 기판의 주표면 위에 형성된 땜납층과, 그들 사이에, 서브마운트 기판측으로부터 천이 원소의 적어도 1종을 주성분으로 하는 천이 원소층과 귀금속의 적어도 1종을 주성분으로 하는 귀금속층이 적층된 땜납 밀착층을 구비한다. 반도체 장치는 서브마운트의 땜납층 상에 탑재된 반도체 발광 소자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서브마운트 및 반도체 장치{SUBMOUNT AND SEMICONDUCTOR DEVICE}
종래, 반도체 발광 소자를 구비하는 반도체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반도체 장치의 일종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브마운트(3)에 반도체 발광 소자를 탑재함으로써 제조된다. 도 7은 종래의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 모식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종래의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반도체 장치(1)의 제조 방법에서는, 우선 반도체 발광 소자(2)를 탑재하기 위한 서브마운트(3)를 준비한다. 서브마운트는, 세라믹의 기판(4)과, 동일 기판 위에 형성된 티탄(Ti)을 포함하는 막 및 백금(Pt)을 포함하는 막으로 이루어진 적층막(Ti/Pt 적층막(5))과, 이 적층막 위에 형성된 전극층으로서의 금(Au)막(6)과, 이 막 위에 형성된 백금(Pt)을 포함하는 땜납 배리어층(107)과, 동일 배리어층 위에 형성된 금(Au) 주석(Sn)계 땜납을 포함하는 땜납층(8)으로 이루어진다. Ti/Pt 적층막, Au막, 땜납 배리어층 및 땜납층을 형성하는 방법은, 종래의 증착법, 스퍼터링법 혹은 도금법 등의 성막 방법 및 포토리소그래피법 혹은 메탈 마스크법 등의 패터닝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은 서브마운트를 준비한 후, 서브마운트의 땜납을 가열 용융하고, 반도체 발광 소자로서의 레이저 다이오드를 땜납 위의 소정의 위치에 탑재한다(다이 본드 공정을 실시한다). 이 후, 도시하지 않은 히트싱크에 서브마운트의 이면측을 땜납 등으로 접속·고정함으로써, 반도체 발광 소자를 구비하는 반도체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반도체 발광 소자의 다이 본드 공정에서, 가열에 의해서 발생하는 반도체 발광 소자의 손상을 저감시키기 위해서, 상기 금 주석계 땜납보다 용융 온도가 낮은 납(Pb) 주석(Sn)계 땜납이나 은(Ag) 주석(Sn)계 땜납이, 땜납층으로서 이용되는 경우도 있다. 은 주석계 땜납을 이용한 경우, 동시에 납 프리화도 달성할 수 있다.
한편, 예를 들면 CD 장치나 DVD 장치의 기입 속도의 고속화나 레이저 가공기의 고출력화 등에 따른 반도체 발광 소자의 고출력화가 진행되고 있고, 이들에 이용되는 반도체 장치에는 보다 높은 실용 신뢰성이 필요로 되고 있다. 그 실현을 위한 하나 요망 사항으로서, 반도체 발광 소자와 서브마운트의 높은 접합 강도가 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본발명의 목적은, 반도체 발광 소자를 높은 강도로 접합하는 것이 가능한 서브마운트 및 그 서브마운트를 이용한 반도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서브마운트는, 서브마운트 기판과, 서브마운트 기판의 주표면 위에 형성된 땜납층과, 이들 사이에, 서브마운트 기판측으로부터 천이 원소 중 적어도 1종을 주성분으로 하는 천이 원소층과 귀금속의 적어도 1종을 주성분으로 하는 귀금속층이 적층된 땜납 밀착층을 구비한다. 이 땜납 밀착층의 땜납층측의 면은, 땜납층에 면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서브마운트에서는, 땜납층 바로 아래에 땜납의 접합을 강고한 것으로 하는 땜납 밀착층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반도체 발광 소자와 서브마운트의 접합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천이 원소층은, 4A족 원소, 5A족 원소 또는 6A족 원소 및 그 합금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을 주성분으로 하는 층이어도 되고, 또한 조성이 서로 다른 복수의 층이 적층되어 있어도 된다.
접합 강도를 높이기 위해서 그리고 가격면에서, 천이 원소층 및 귀금속층의 막 두께는 0 초과 1㎛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천이 원소층의 막 두께는, 0.01㎛ 이상 0.2㎛ 이하이고, 귀금속층의 막 두께는, 0.01㎛ 이상 0.1㎛ 이하이다.
바람직하게는, 천이 원소층에는, 티탄(Ti), 바나듐(V), 크롬(Cr), 지르코늄(Zr), 니오븀(Nb) 및 그 합금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이 주성분으로서 포함되고, 귀금속층에는, 금(Au), 백금(Pt), 팔라듐(Pd) 및 그 합금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이 주성분으로서 포함된다. 이 경우, 땜납의 접합 강도를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땜납층은 은 주석계 땜납을 주성분으로 한다. 이 경우, 납 프리화를 실현할 수 있음과 함께, 반도체 발광 소자의 접합 온도를 낮게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가열에 의해서 발생하는 반도체 발광 소자의 손상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용융 전의 땜납층은 은을 주성분으로 하는 층과 주석을 주성분으로 하는 층이 적층된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서브마운트 기판과 땜납 밀착층 사이에 전극층을 더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전극층을 땜납 밀착층의 기초막으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서브마운트 기판과 땜납 밀착층 사이의, 서브마운트 기판의 표면에 접촉하도록 형성된 밀착층과, 밀착층 위에 형성된 확산 방지층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전극층은 확산 방지층 위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밀착층은 티탄을 포함하고, 확산 방지층은 백금을 포함하고, 전극층은 금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바람직하게는, 서브마운트 기판은 질화 알루미늄 소결체를 포함한다. 이 경우, 질화 알루미늄은 열전도율이 높기 때문에, 방열 특성이 우수한 서브마운트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장치는, 상술한 것 중 어느 하나의 서브마운트와, 땜납층 위에 탑재된 반도체 발광 소자를 구비한다. 이러한 반도체 장치에서는, 반도체 발광 소자를 높은 강도로 서브마운트에 접합하는 것이 가능하여, 반도체 장치의실용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서브마운트 및 그것을 이용한 반도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특정적으로는, 반도체 발광 소자를 탑재하는 서브마운트 및 이 서브마운트를 이용한 반도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반도체 발광 소자」는, 예를 들면 레이저 다이오드나 발광 다이오드와 같은 것을 가리킨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실시 형태 1을 도시하는 단면 모식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 모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실시 형태의 일례를 도시하는 단면 모식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한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 모식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실시 형태의 다른 일례를 도시하는 단면 모식도.
도 6은 도 5에 도시한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 모식도.
도 7은 종래의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 모식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1, 도 3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실시 형태의 일례를 도시하는 단면 모식도이다. 또한, 도 2, 도 4 및 도 6은, 각각 도 1, 도 3 및 도 5에 도시한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 모식도로서, 땜납 용융 전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또, 이하의 도면에서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붙여서 그 설명을 반복하지 않는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도체 장치(1)는, 서브마운트(3)에 반도체 발광 소자로서의 레이저 다이오드(2)가 탑재된 구조를 갖고 있다. 서브마운트는, 예를 들면 질화 알루미늄(AlN) 소결체로 이루어진 서브마운트용 기판(4)과, 밀착층으로서의 티탄(Ti)막(5b) 및 확산 방지층으로서의 백금(Pt)막(5a)의 적층막(5)(Ti/Pt 적층막(5))과, 이 Ti/Pt 적층막(5) 위에 형성된 전극층으로서의 금(Au)막(6)과, 이 Au막 위에 형성되어, 천이 원소층으로서의 티탄(Ti)막(7b) 및 귀금속층으로서의 백금(Pt)막(7a)의 적층으로 이루어진 땜납 밀착층막(7)과, 땜납 밀착층 위에 형성된 땜납층(8)으로서의 은 주석(AgSn)계 땜납으로 이루어진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이저 다이오드와, 서브마운트는, 땜납층에 의해서 접속되어 있다. 레이저 다이오드의 폭과, 땜납층의 폭과, 땜납 밀착층의 폭은, 거의 동일하다. 또한, 도 3∼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땜납 용융 전 또는 용융 후의 상태에서, 땜납층의 폭 및 길이는, 레이저 다이오드의 폭 및 길이보다 커도 되고 작아도 되며, 땜납 밀착층의 폭 및 길이는 땜납층의 폭 및 길이보다도 커도 되고 작아도 된다.
도 1에 도시한 반도체 장치에서는, 서브마운트를 구성하는 기판의 재료로서, 세라믹스, 반도체, 혹은 금속을 이용해도 된다. 세라믹스로서는, 예를 들면 상술한 질화 알루미늄(AlN), 산화 알루미늄(Al2O3), 탄화 규소(SiC), 질화 규소(Si3N4) 등을 주성분으로 한 것과, 반도체로서는, 예를 들면 실리콘(Si)을 주성분으로 한것과, 금속으로서는, 예를 들면 구리(Cu), 텅스텐(W), 몰리브덴(Mo), 철(Fe) 및 이들을 포함하는 합금 및 구리-텅스텐(Cu-W)과 같은 복합 재료를, 각각 예로 들 수 있다.
기판은, 열전도율이 높은 재료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열전도율은, 바람직하게는 100W/mK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70W/mK 이상이다. 또한, 그 열팽창 계수는, 레이저 다이오드를 구성하는 재료의 열팽창 계수에 근사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레이저 다이오드가 갈륨 비소(GaAs) 혹은 인듐 인(InP) 등을 이용하는 경우, 기판의 열팽창 계수는, 바람직하게는 10×10-6/K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10-6/K 이하이다.
기판(4)에 세라믹을 이용한 경우, 그 상면과 그것에 대향하는 하면 사이를 접속하는 관통 홀 혹은 그 내부에 도체(비아 필)가 충전된 비아홀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비아홀에 충전되는 도체(비아 필)의 주성분으로서는, 바람직하게는 고융점 금속, 특히 텅스텐(W)이나 몰리브덴(Mo)을 이용할 수 있다. 또, 이들에 티탄(Ti) 등의 천이 금속, 혹은 유리 성분이나 기판 재료(예를 들면 질화 알루미늄(AlN))가 더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기판의 표면 거칠기는, 바람직하게는 Ra에서 1㎛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Ra에서 0.1㎛ 이하이다. 또한, 그 평면도는, 바람직하게는 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 이하이다. Ra가 1㎛을 초과하거나 평면도가 5㎛를 초과한 경우, 레이저 다이오드의 접합 시에 서브마운트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기 쉬워져서, 그것에 의해 레이저 다이오드를 냉각하는 효과가 저하하는 경우가 있다. 또, 표면 거칠기 Ra 및 평면도는 JIS 규격(각각 JISB0601 및 JISB0621)에 규정되어 있다.
또한, Ti/Pt 적층막을 구성하는 Ti막(티탄(Ti)을 포함하는 막)은, 기판과의 밀착성을 높이기 위한 밀착층으로서, 기판의 상부 표면에 접촉하도록 형성된다. 그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Ti), 바나듐(V), 크롬(Cr), 니켈 크롬 합금(NiCr), 지르코늄(Zr), 니오븀(Nb), 탄탈(Ta), 및 이들의 화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기판이 금속, 합금 혹은 금속을 포함하는 복합 재료인 경우에는, 밀착층은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Ti/Pt 적층막을 구성하는 백금(Pt)막은 확산 방지층으로서, Ti막의 상부 표면 위에 형성된다. 그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백금(Pt), 팔라듐(Pd), 니켈 크롬 합금(NiCr), 니켈(Ni), 몰리브덴(Mo)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 전극층의 주성분은, 통상 Au가 이용된다.
또한, 땜납 밀착층과 전극층 사이에 땜납 배리어층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그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백금(Pt), 니켈 크롬 합금(NiCr), 니켈(Ni)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땜납 배리어층의 폭 및 길이는, 땜납 밀착층의 이들보다 커도 되고 작아도 된다.
또한, 땜납층의 재료로서는, 상술한 은 주석(AgSn)계 땜납 외에, 예를 들면 주석(Sn), 인듐(In) 등의 저융점 금속 땜납, 또는 금 주석(AuSn)계 땜납, 금 게르마늄(AuGe)계 땜납, 납 주석(PbSn)계 땜납, 인듐 주석(InSn)계 땜납 등의 합금 땜납, 혹은 이들을 조합한 땜납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용융 전의 땜납층의 형태로서는, 예를 들면 도 2의 참조 번호 8a,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한 합금 땜납의 각각의 금속종이 적층되어 있어도 된다. 또, 땜납층에 은 주석(AgSn)계 땜납을 이용하는 경우의 은(Ag)량은, 0질량% 이상 72질량% 이하, 금 주석(AuSn)계 땜납을 이용하는 경우의 금(Au)량은, 65 질량% 이상 85질량% 이하 혹은 5질량% 이상 2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술한 Ti/Pt 적층막, Au막, 땜납 밀착층, 땜납 배리어층 및 땜납층을, 총칭하여 이하 메탈라이즈층이라고도 한다. 메탈라이즈층의 형성 방법으로서는, 종래부터 이용되고 있는 성막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증착법, 스퍼터링법 등의 박막 형성 방법, 혹은 도금법 등이 있다. 또한, 상술한 Ti/Pt 적층막, Au막, 땜납 밀착층 및 땜납층의 패터닝 방법에는, 예를 들면 포토리소그래피를 이용한 리프트 오프법, 화학 에칭법, 드라이 에칭법, 또는 메탈 마스크법 등이 있다.
상술한 Ti/Pt 적층막의 티탄(Ti)막의 두께는, 0.01㎛ 이상 1.0㎛ 이하, 백금(Pt)막의 두께는, 0.01㎛ 이상 1.5㎛ 이하가, 각각 바람직하다. 전극층으로서의 Au막의 두께는, 0.1㎛ 이상 10㎛ 이하가, 땜납층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1㎛ 이상 10㎛ 이하가, 각각 바람직하다. 땜납 배리어층을 형성하는 경우, 그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01㎛ 이상 1.5㎛ 이하이다.
본 발명의 반도체 발광 소자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GaAs, InP, GaN과 같은, 화합물 반도체를 예로 들 수 있다. 발광부는, 상면 혹은 하면 중 어느 하나라도 된다. 또, 하면 발광형 레이저 다이오드(레이저 다이오드와 땜납층과의 접합부에 대향하는 레이저 다이오드의 측면측에서 레이저 다이오드의 발광부가 형성되어있는 방식)의 경우, 발열부인 발광부가 기판에 의해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기 때문에, 반도체 장치의 방열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레이저 다이오드의 표면에는 실리콘 산화막(SiO2) 등의 절연층 및 전극층 등의 메탈라이즈층이 형성된다. 전극층으로서의 금(Au)층의 두께는, 땜납층과의 양호한 습윤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0.1㎛ 이상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도 1에 도시한 반도체 장치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히트싱크에 땜납 등을 이용하여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기판의 Ti/Pt 적층막이 형성된 면과는 반대측 면 위에 밀착층, 확산 방지층 등을 형성한 후, 예를 들면 기판의 이면과 히트싱크 사이에 시트형상의 땜납(땜납 박)을 배치하고, 이것을 통하여 서브마운트에 히트싱크가 접합된다. 또, 땜납 박은, 미리 기판 이면의 메탈라이즈층 위에 형성해도 된다. 그 경우에는, 레이저 다이오드와 히트싱크를 동시에 기판에 접합할 수 있다.
히트싱크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금속 혹은 세라믹스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금속으로서는, 예를 들면 구리(Cu), 알루미늄(Al), 텅스텐(W), 몰리브덴(Mo), 철(Fe), 이들의 금속을 포함하는 합금 및 복합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또, 땜납 접합을 쉽게 하기 위해서, 히트싱크의 표면에는 니켈(Ni), 금(Au) 또는 이들 금속을 포함하는 막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의 막은, 증착법이나 도금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히트싱크의 열전도율은, 바람직하게는 100W/mK 이상이다.
다음으로, 도 2를 이용하여, 도 1에 도시한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질화 알루미늄 소결체를 기판으로 한 경우를 상정하여 설명한다.
우선 제1 공정으로서 기판을 제조한다. 이 종류의 서브마운트는 길이, 폭이 겨우 수㎜ 정도로 작기 때문에, 통상은 예를 들면 길이, 폭이 50㎜ 정도의 기판 모재를 제작하고, 이것에 메탈라이즈층을 형성한 후, 소정 사이즈로 미세하게 절단 분할하는 방법으로 제조된다. 이하, 이 수순을 따라서 설명한다. 따라서, 이 공정에서의 기판 모재의 사이즈는, 예를 들면 폭을 50㎜, 길이를 50㎜, 두께를 0.4㎜로 한다. 또, 기판 재료인 질화 알루미늄(AlN) 소결체의 제조 방법에는, 통상의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공정에서 기판의 표면을 연마한다. 연마 후의 기판의 표면 거칠기는, 바람직하게는 Ra에서 1.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이하로 한다. 연마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연삭반, 샌드 블러스트, 샌드페이퍼 또는 지립에 의한 연마 등의 통상의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밀착층으로서의 Ti막(5b), 확산 방지층으로서의 Pt막(5a) 및 전극층으로서의 Au막(6)을 소정의 패턴으로 형성하기 위해서, 제3 공정으로서 패터닝을 행한다. 이 패터닝에서는, 예를 들면 포토리소그래피법을 이용하여, 각각의 막이 형성되어야 하는 영역 외의 기판 부분에 레지스트막을 형성한다.
제4 공정은, 밀착층인 Ti막을 증착하는 공정이다. 막의 두께는, 예를 들면 0.1㎛으로 한다.
제5 공정은, 밀착층 위에 확산 방지층인 Pt막을 형성한다. 막의 두께로서는, 예를 들면 0.2㎛로 한다.
제6 공정에서는, 전극층인 Au막을 증착한다. 막의 두께는, 예를 들면 0.6㎛로 한다.
제7 공정은 리프트 오프 공정이다. 이 공정에서는 제3 공정의 패터닝 공정에서 형성한 레지스트막을, 레지스트 박리액에 의해서, 그 레지스트막 위에 놓여진 밀착층, 확산 방지층 및 전극층 각각의 막의 부분과 함께 제거한다. 그 결과, 기판 위에 소정의 패턴을 갖는 3개의 막을 형성할 수 있다.
제8 공정에서는, 땜납 밀착층을 증착한다. 여기서는, 메탈 마스크법을 이용하여 전극층 위에 천이 원소층으로서의 Ti막(7b), 계속해서 귀금속층으로서의 Pt막(7a)을 각각 증착한다. 이 때 형성되는 Ti막과 Pt막의 두께는, 각각 예를 들면 0.08㎛ 및 0.05㎛로 한다.
땜납 밀착층을 형성하는 공정에서, 성막 분위기로부터 수분이나 산소 등의 불순물 가스를 저감하기 위해서, 성막 전의 챔버 내의 압력(도달 진공도)은, 5.0×10-4㎩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10-4㎩ 이하이다. 또한, 땜납 밀착층의 기초에 대한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땜납 밀착층의 성막 시의 기판의 표면 온도는 20℃ 이상 350℃ 이하, 또한 100℃ 이상 250℃ 이하가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제9 공정으로서 진공 증착법에 의해, 땜납 밀착층 위에 땜납층(8)을 형성한다. 여기서는, 메탈 마스크법을 이용하여,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땜납 밀착층 위에 Ag/Sn 적층 땜납층으로서의 Ag막(8b)을 증착하고, 계속해서 Sn막(8a)을 증착한다. 이 때 형성되는 Ag막과 Sn막의 두께는, 각각 예를 들면 1.5㎛ 및 3.0㎛로 한다.
땜납층을 형성하는 공정에서, 성막 분위기로부터 수분이나 산소 등의 불순물 가스를 저감하기 위해서, 성막 전의 챔버 내의 압력(도달 진공도)은, 5.0×10-4㎩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10-4㎩ 이하이다. 또한, 땜납층의 땜납 밀착층에 대한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땜납층의 성막 시의 기판의 표면 온도는, 20℃ 이상이고, 땜납의 액상 생성 온도보다도 10℃ 낮은 온도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소정의 패턴을 갖는 땜납 밀착층 및 땜납층의 형성 방법으로서는, 상술한 메탈 마스크법 대신에 전술한 포토리소그래피법을 이용해도 된다.
다음으로, 제10 공정에서, 그 모재 기판을 원하는 서브마운트의 길이, 폭으로 절단 분할하여, 도 2에 도시한 서브마운트(3)를 얻는다.
다음의 제11 공정에서는, 반도체 발광 소자로서의 레이저 다이오드(2)를 접합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열에 의해 용융한 땜납층(8) 위에, 화살표(9)로 나타낸 바와 같이 동일 소자를 배치하고, 땜납층에 의해서 서브마운트에 접합한다. 이와 같이 하여, 도 1의 반도체 장치(1)가 완성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서브마운트 및 반도체 장치에서는, 땜납층의 바로 아래에 땜납의 접합을 강고한 것으로 하는 천이 원소층과 귀금속층이 적층된 땜납 밀착층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반도체 발광 소자와 서브마운트의 접합 강도를 한층더 높일 수 있다. 그 결과, 반도체 장치의 실용 신뢰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
(샘플의 제작과 평가)
이하의 방법에 의해, 표 1 및 표 2에 도시되는 시료 1 내지 29의 서브마운트를 제조했다. 시료 1 내지 25가 실시예에 대응하고, 시료 26 내지 29가 비교예에 대응한다.
우선, 표 1에 도시한 재질의 기판을 준비했다. 치수는 모두, 세로×가로×두께는 50㎜×50㎜×0.4㎜로 했다. 이 기판의 표면을 연마하여, 주표면(4f)의 거칠기 Ra를 0.05㎛으로 했다. 다음으로, 포토리소그래피를 이용한 리프트 오프법과 진공 증착법에 의해, 두께가 0.1㎛인 Ti막(5b)와 두께가 0.2㎛인 Pt막(5a)와 두께가 0.6㎛인 Au막(6)으로 이루어진 메탈라이즈층을 형성했다. 또, 시료 7에 대해서는, 상기 메탈라이즈층 대신에 두께가 1.0㎛인 Ni 도금막과 두께가 1.0㎛인 Au 도금막으로 이루어진 메탈라이즈층을 형성했다.
다음으로, 땜납 밀착층(7)으로 되는 천이 원소층 및 귀금속층을 메탈 마스크법과 진공 증착으로 메탈라이즈층 위에 형성했다. 천이 원소층 및 귀금속층의 조성, 막 두께 및 증착의 조건은 표 1에 도시한 바와 같다.
그 후, 모든 시료에 대하여, 땜납층(8)을 메탈 마스크법과 진공 증착으로 형성했다. 땜납층의 조성, 막 두께 및 증착의 조건은 표 1에 도시한 바와 같다. 표 1 중의「땜납 조성」은, 땜납층을 구성하는 원소의 질량비를 도시한다.
또한, 기판(4)을 절단함으로써, 세로×가로×두께가 1.2㎜×1.5㎜×0.3㎜인 서브마운트를, 각각의 시료 1 내지 29에 대하여, 10개씩 제작했다. 그리고, 각각의 시료에 대하여, 땜납층을 질소 분위기 중에서 가열에 의해 용융시켜 레이저 다이오드(2)를 접합했다. 그 접합 온도는 표 1에 도시한 바와 같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반도체 장치(1)(도 1 참조)의, 레이저 다이오드의 서브마운트에 대한 접합 강도를 MIL-STD-883C METHOD 2019.4에 기초한 다이시아 시험(DIE SHEAR STRENGTH TEST)에 의해 측정하고, 각 시료 번호의 10개의 시료의 접합 강도의 평균값을 구한다. 그 결과도 표 1에 도시한다.
표 1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서브마운트 및 반도체 장치에서는, 비교예의 이들에 비교하여, 반도체 발광 소자와 서브마운트의 접합 강도가 향상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금회 개시된 실시 형태 및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예시로서 제한적인 것은 아니라고 생각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실시 형태 및 실시예가 아니고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서 도시되며,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의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땜납층의 바로 아래에 땜납의 접합을 강고한것으로 하는 천이 원소층과 귀금속층이 적층된 땜납 밀착층을 형성함으로써, 반도체 발광 소자와 서브마운트의 접합 강도를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그 결과, 반도체 장치의 실용 신뢰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10)

  1. 서브 마운트 기판과, 상기 서브 마운트 기판의 주표면 위에 형성된 땜납층을 구비한 서브 마운트에 있어서, 상기 서브 마운트 기판과 상기 땜납층 사이에, 상기 서브 마운트 기판측으로부터 천이 원소의 적어도 1종을 주성분으로 하는 천이 원소층과 귀금속의 적어도 1종을 주성분으로 하는 귀금속층이 적층된 땜납 밀착층을 구비하고, 상기 땜납 밀착층의 상기 땜납층측의 면이 상기 땜납층에 면 접촉하도록 형성된 서브 마운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이 원소층 및 상기 귀금속층의 막 두께가, 0 초과 1㎛ 이하인 서브 마운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천이 원소층은, 티탄, 바나듐, 크롬, 지르코늄, 니오븀 및 그 합금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을 주성분으로 하고, 상기 귀금속층은, 금, 백금, 팔라듐 및 그 합금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을 주성분으로 하는 서브 마운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땜납층은, 은 주석계 땜납을 주성분으로 하는 서브 마운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땜납층의 용융 전의 형태가, 은을 주성분으로 하는 층과 주석을 주성분으로 하는 층의 적층으로 이루어진 서브 마운트.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마운트 기판과 상기 땜납 밀착층 사이에 형성된 전극층을 더 구비한 서브 마운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마운트 기판과 상기 땜납 밀착층 사이에서, 상기 서브 마운트 기판의 주표면에 접촉하도록 형성된 밀착층과, 상기 밀착층 위에 형성된 확산 방지층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전극층은 상기 확산 방지층 위에 배치되어 있는 서브 마운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층은 티탄을 포함하고, 상기 확산 방지층은 백금을 포함하고, 상기 전극층은 금을 포함하는 서브 마운트.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마운트 기판은 질화 알루미늄 소결체를 포함하는 서브 마운트.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서브 마운트를 이용한 반도체 장치로서, 상기 땜납층 위에 탑재된 반도체 발광 소자를 구비한 반도체 장치.
KR1020047017495A 2002-04-30 2003-04-24 서브마운트 및 반도체 장치 KR1009401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127948 2002-04-30
JP2002127948A JP3509809B2 (ja) 2002-04-30 2002-04-30 サブマウントおよび半導体装置
PCT/JP2003/005303 WO2003094220A1 (fr) 2002-04-30 2003-04-24 Embase et dispositif a semi-conducteu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6216A true KR20050006216A (ko) 2005-01-15
KR100940164B1 KR100940164B1 (ko) 2010-02-03

Family

ID=19194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7495A KR100940164B1 (ko) 2002-04-30 2003-04-24 서브마운트 및 반도체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015583B2 (ko)
EP (1) EP1564803A4 (ko)
JP (1) JP3509809B2 (ko)
KR (1) KR100940164B1 (ko)
CN (1) CN100394567C (ko)
WO (1) WO20030942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547358C (en) * 2001-05-24 2013-08-06 Fry's Metals, Inc. Thermal interface material and solder preforms
WO2003007312A2 (en) 2001-05-24 2003-01-23 Fry's Metals , Inc. Thermal interface material and heat sink configuration
JP3882712B2 (ja) * 2002-08-09 2007-02-21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サブマウントおよび半導体装置
US7247514B2 (en) * 2003-04-11 2007-07-2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2004356429A (ja) * 2003-05-29 2004-12-16 Sumitomo Electric Ind Ltd サブマウン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半導体装置
DE602004029915D1 (de) 2003-08-26 2010-12-16 Tokuyama Corp Substrat zur bauelement-bondierung, bauelement-bondiertes substrat und herstellungsverfahren dafür
JP4528510B2 (ja) * 2003-09-22 2010-08-18 株式会社東芝 半導体レーザ素子用サブマウント
KR100781859B1 (ko) * 2003-09-22 2007-12-03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반도체 레이저 소자의 제조 방법
JP2005159045A (ja) * 2003-11-26 2005-06-16 Sumitomo Electric Ind Ltd 半導体発光素子搭載部材とそれを用いた発光ダイオード
DE10355600B4 (de) * 2003-11-28 2021-06-24 OSRAM Opto Semiconductors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Halbleiterchip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Halbleiterchips
JP4644007B2 (ja) * 2004-03-24 2011-03-02 株式会社トクヤマ 素子接合用基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7626264B2 (en) 2004-03-24 2009-12-01 Tokuyama Corporation Substrate for device bondin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4825403B2 (ja) * 2004-04-01 2011-11-3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サブマウン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228303B2 (ja) 2004-04-12 2009-02-25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半導体発光素子搭載部材と、それを用いた半導体発光装置
US9166130B2 (en) 2012-10-24 2015-10-20 Spectrasensors, Inc. Solderless mounting for semiconductor lasers
JP2006100369A (ja) * 2004-09-28 2006-04-13 Sharp Corp 半導体レーザ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NL1027961C2 (nl) * 2005-01-05 2006-07-06 Lemnis Lighting Ip Gmbh Elektrische schakeling, gebruik van een halfgeleidercomponent en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van een halfgeleidercomponent.
US7795732B2 (en) 2005-02-07 2010-09-14 Kabushiki Kaisha Toshiba Ceramic wiring board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nd semiconductor device using the same
TWI514522B (zh) 2005-03-18 2015-12-21 Dowa Electronics Materials Co 副載置片及其製造方法
JP4699812B2 (ja) * 2005-06-07 2011-06-15 株式会社デンソー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7348212B2 (en) * 2005-09-13 2008-03-25 Philips Lumileds Lighting Company Llc Interconnects for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s
JP4822155B2 (ja) 2005-09-26 2011-11-24 Dowa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サブマウン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7201420A (ja) 2005-12-27 2007-08-09 Sharp Corp 半導体発光装置、半導体発光素子、および半導体発光装置の製造方法
US8030575B2 (en) * 2005-12-29 2011-10-04 Sensor Electronic Technology, Inc. Mounting structure providing electrical surge protection
KR100765075B1 (ko) * 2006-03-26 2007-10-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질화물 반도체 발광 소자 및 그 제조방법
EP2044477B1 (en) * 2006-07-14 2016-09-07 Koninklijke Philips N.V. Mounting an electro-optical component in alignment with an optical element
JP5122098B2 (ja) * 2006-08-11 2013-01-16 株式会社トクヤマ メタライズ基板、半導体装置
US7964888B2 (en) * 2007-04-18 2011-06-21 Cree, Inc.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s and methods
US7816155B2 (en) * 2007-07-06 2010-10-19 Jds Uniphase Corporation Mounted semiconductor device and a method for making the same
JP2009064961A (ja) * 2007-09-06 2009-03-26 Sharp Corp 半導体レーザ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DE102008044641A1 (de) * 2008-04-28 2009-10-29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Optoelektronisches Bauelement
CN101465516B (zh) * 2009-01-09 2010-12-01 西安炬光科技有限公司 一种大功率半导体激光器及其制备方法
TW201110275A (en) * 2009-05-13 2011-03-16 Seiko Instr Inc Electronic component, manufacturing method for electronic component, and electronic device
JP5725029B2 (ja) * 2010-09-17 2015-05-27 旭硝子株式会社 発光素子搭載用基板および発光装置
US9368934B2 (en) * 2011-02-14 2016-06-14 Spectrasensors, Inc. Semiconductor laser mounting for improved frequency stability
US9166364B2 (en) 2011-02-14 2015-10-20 Spectrasensors, Inc. Semiconductor laser mounting with intact diffusion barrier layer
JP4778120B1 (ja) * 2011-03-08 2011-09-21 有限会社ナプラ 電子機器
AU2015202533B2 (en) * 2011-03-16 2016-09-01 Spectrasensors, Inc. Semiconductor laser mounting for improved frequency stability
US9735126B2 (en) * 2011-06-07 2017-08-15 Infineon Technologies Ag Solder alloys and arrangements
EP2816593B1 (en) * 2012-02-14 2020-01-15 Mitsubishi Materials Corporation Solder joint structure, power module, heat-sink-attached substrate for power module, method for producing said substrate, and paste for forming solder underlayer
JP5962522B2 (ja) 2012-03-22 2016-08-03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半導体レーザ装置
WO2014106925A1 (ja) * 2013-01-07 2014-07-10 株式会社アライドマテリアル セラミック配線基板、半導体装置、およびセラミック配線基板の製造方法
US9070387B1 (en) 2013-08-23 2015-06-30 Western Digital Technologies, Inc. Integrated heat-assisted magnetic recording head/laser assembly
WO2017138666A1 (ja) * 2016-02-12 2017-08-17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サブマウント、半導体素子実装サブマウント、および半導体素子モジュール
JP6864688B2 (ja) * 2016-07-22 2021-04-28 ソニーセミコンダクタ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素子構造体および発光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5446A (en) * 1980-07-02 1982-01-26 Hitachi Ltd Semiconductor device
JPS59167038A (ja) * 1983-03-14 1984-09-20 Hitachi Ltd 光半導体素子用サブマウントの構造
JPH063815B2 (ja) * 1983-09-30 1994-01-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光半導体素子用サブマウント
JPH01109790A (ja) * 1987-10-22 1989-04-26 Mitsubishi Electric Corp 光半導体素子用サブマウント
JP2830221B2 (ja) * 1989-11-30 1998-12-02 神鋼電機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集積回路のマウント構造
JP3190718B2 (ja) * 1992-01-14 2001-07-23 株式会社東芝 半導体レーザ用サブマウント
US5234153A (en) * 1992-08-28 1993-08-10 At&T Bell Laboratories Permanent metallic bonding method
JP3377553B2 (ja) * 1993-05-13 2003-02-17 三菱電機株式会社 半導体レーザ装置
JP3165779B2 (ja) * 1995-07-18 2001-05-14 株式会社トクヤマ サブマウント
JP3346971B2 (ja) * 1995-12-20 2002-11-18 株式会社東芝 光半導体素子用サブマウントおよびそのマウント方法
JP3500304B2 (ja) 1998-04-23 2004-02-23 京セラ株式会社 半導体素子支持部材及びこれを用いた半導体素子収納用パッケージ
US6590913B1 (en) * 1999-05-14 2003-07-08 Triquint Technology Holding Co. Barrier laye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3632499B2 (ja) * 1999-05-19 2005-03-23 ユケン工業株式会社 錫−銀系合金電気めっき浴
JP2001298199A (ja) * 2000-04-17 2001-10-26 Hitachi Ltd 光半導体装置の接続構造
JP3800977B2 (ja) * 2001-04-11 2006-07-2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Zn−Al系はんだを用いた製品
US6700913B2 (en) * 2001-05-29 2004-03-02 Northrop Grumman Corporation Low cost high integrity diode laser array
JP3982284B2 (ja) * 2002-03-06 2007-09-26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サブマウントおよび半導体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167679A1 (en) 2005-08-04
EP1564803A4 (en) 2008-09-03
CN1650411A (zh) 2005-08-03
EP1564803A1 (en) 2005-08-17
KR100940164B1 (ko) 2010-02-03
CN100394567C (zh) 2008-06-11
JP3509809B2 (ja) 2004-03-22
US7015583B2 (en) 2006-03-21
WO2003094220A1 (fr) 2003-11-13
JP2002368020A (ja) 2002-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0164B1 (ko) 서브마운트 및 반도체 장치
KR20050061452A (ko) 서브 마운트 및 반도체 장치
KR101045507B1 (ko) 발광 소자 탑재용 부재 및 그것을 사용한 반도체 장치
KR100957669B1 (ko) 서브 마운트 및 반도체 장치
JP5417505B2 (ja) 半導体装置
KR100825354B1 (ko) 소자 접합용 기판, 소자 접합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JP3912130B2 (ja) サブマウント
KR20040014475A (ko) 소자 접합용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JP3779218B2 (ja) サブマウントおよび半導体装置
JP4537877B2 (ja) セラミックス配線基板とそれを用いた半導体装置
JP2004356429A (ja) サブマウン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半導体装置
JP2006216766A (ja) セラミックス配線基板とそれを用いた半導体装置
JPH0786444A (ja) 半導体用複合放熱基板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