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4325A - 점착제 및 그것을 사용한 광학부재 - Google Patents

점착제 및 그것을 사용한 광학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4325A
KR20040094325A KR1020040028901A KR20040028901A KR20040094325A KR 20040094325 A KR20040094325 A KR 20040094325A KR 1020040028901 A KR1020040028901 A KR 1020040028901A KR 20040028901 A KR20040028901 A KR 20040028901A KR 20040094325 A KR20040094325 A KR 200400943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polymer
monomer
weight
ethylenically unsaturated
unsaturated dou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8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37653B1 (ko
Inventor
나카무라미노루
구와하라야스토
Original Assignee
도요 잉키 세이조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 잉키 세이조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 잉키 세이조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943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43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7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76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3/02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J1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9J123/08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062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9J133/06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062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9J133/06
    • C09J133/066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9J133/06 containing -OH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9/00Adhesiv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e.g. glue stick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Abstract

본 발명은 열 또는 습열 조건하에서 발포나 벗겨짐 등이 발생하지 않고, 편광판의 신축 등에 의해 발생하는 응력집중을 완화하여 액정소자에 색 얼룩·흰 무늬를 발생시키지 않는 점착제의 제공이다.
반응성 관능기 및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결합을 갖는 단량체(a) 및 상기 공중합체(a)와 공중합 가능하고, 상기 공중합체(a)와는 다른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결합을 갖는 단량체(b)를 라디칼 공중합하여 된 중량평균 분자량 100만 이상 200만 이하의 공중합체(A);
상기 공중합체(A) 100 중량부에 대해서, 상기 공중합체(A)의 존재하에서 카르복실기 및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결합을 갖는 단량체(c) 및 상기 공중합체(c)와 공중합 가능하고, 상기 공중합체(c)와는 다른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결합을 갖는 단량체(d)를 라디칼 공중합하여 된 중량평균 분자량 1만 이상 10만 이하의 공중합체(B) 20~100 중량부; 및
상기 공중합체(A) 및/또는 상기 공중합체(B)와 반응 가능한 반응성 관능기를 적어도 2개 갖는 다관능성 화합물(C) 0.003~3 중량부;
로 된 점착제 및 상기 점착제로 된 점착제층이 광학부재의 적어도 한쪽 면에 형성되어 있는 광학부재.

Description

점착제 및 그것을 사용한 광학부재{Adhesive agent, and an optical part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의 액정 셀 등의 광학부품에 편광판이나 위상차판 등의 광학부재를 첩부(貼付)하기 위해 사용되는 점착제 및 그것을 사용한 광학부재에 관한 것이다.
액정표시장치의 액정 셀 등의 광학부품에는 편광판이나 편광판과 위상차판의 적층체가 첩부된다. 편광판은 일반적으로는 폴리비닐알코올계 편광자의 양면을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계 보호 필름으로 끼운 다층구조를 가지고, 이 편광판의 한쪽 면 또는 양면의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계 보호 필름 상에 점착제층이 형성되어 있다. 편광판은 이 점착제층을 사이에 두고 액정 셀 등의 광학부품에 첩부되어 액정표시장치로서 사용된다. 최근, 액정표시장치는 퍼스널컴퓨터의 디스플레이, 액정 텔레비젼을 비롯한 옥내 용도에서부터 카 네비게이션용 디스플레이 등의 차량 탑재용도 등에도 널리 사용되어 그 사용환경이 매우 가혹해지고 있다.
액정표시장치에 사용되고 있는 편광판은 그 재료특성에서 치수안정성이 부족하고 열 또는 습열 조건하에서 신축되어 치수가 크게 변화하기 때문에, 이러한 조건하에서는 점착제층의 발포나 편광판의 액정 셀로부터의 들떠 벗겨짐 등의 문제가 발생하기 쉬워진다.
이들 문제를 해소하는 점착제로서, 알킬기의 탄소수가 1~12의 (메타)아크릴산의 알킬에스테르를 주성분으로 하는 아크릴계 폴리머로 된 감압성 접착제로서 상기 감압성 접착제가 중량평균 분자량 10만 이하의 폴리머 성분을 15 중량% 이하 함유하고, 또한 중량평균 분자량 100만 이상의 폴리머 성분을 10중량% 이상 함유하는 아크릴계 폴리머로 된 감압성 접착제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개 제(평)1-66283호 공보 참조.).
상기 감압성 접착제를 사용함으로써 점착제층의 발포나 편광판의 액정 셀로부터의 들떠 벗겨짐은 억제할 수 있지만, 편광판의 치수 변화에 의한 응력을 흡수·완화할 수 없어 편광판의 주연부에 응력이 집중되기 때문에 액정표시장치의 주연부와 중앙부의 밝기가 달라 액정표시장치 표면에 색 얼룩·흰 무늬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 액정표시장치 표면의 색 얼룩·흰 무늬를 해소하는 점착제로서, 중량평균 분자량이 100만 이상인 고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100 중량부와 중량평균 분자량이 3만 이하인 저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20~ 200 중량부 및 다관능성 화합물 0.005~ 5 중량부로 된 편광판용 점착제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개 제(평)10-279907호 공보 참조.).
또한, 반응성 관능기를 함유하는 중량평균 분자량 100만~ 250만의 고분자량 아크릴계 폴리머와 유리전이점이 0℃~ -80℃인 중량평균 분자량 3만~ 10만의 저분자량 아크릴계 폴리머와 가교구조가 형성 가능한 관능기를 갖는 다관능성 화합물로 된 편광 필름용 점착조성물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2-121521호 공보 참조.).
일본국 특허공개 제(평)10-279907호 공보에는, 상기 문헌에 개시되어 있는 편광판 점착제는 편광판의 치수변화를 따라갈 수 있기 때문에 액정소자에 색 얼룩·흰 무늬가 발생하기 어렵다고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일본국 특허공개 제(평)10-279907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편광판 점착제는, 다관능성 화합물과 3차원 가교한 고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중에 가교하기 어렵거나 또는 가교하지 않는 저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존재시킴으로써 응력 완화성을 발현시키고 있어 색 얼룩·흰 무늬의 개량은 가능하지만, 저분자량 (메타)아크릴계 중합체가 블리드하기 쉬워 피착체가 오염되는 과제가 남겨져 있다.
또한,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2-121521호 공보에는, 상기 문헌에 개시되어 있는 편광 필름용 점착조성물은 색 얼룩·흰 무늬가 발생하기 어려운 성능과 저분자량 아크릴계 폴리머가 블리드하기 어려운 성능을 동시에 갖는다고 기재되어 있지만, 보다 과혹한 환경하에서의 액정표시장치의 사용에 있어서 성능 밸런스를 발휘시키는 것이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열 또는 습열 조건하에서도 점착제층의 발포나 편광판의 벗겨짐 등이 발생하지 않고, 편광판의 신축 등에 의해 발생하는 응력집중을 완화하여 액정표시장치에 색 얼룩·흰 무늬 현상을 발생시키지 않으며, 더 나아가서는 편광판을 다시 붙일 때에 문제가 되는 피착체 오염이나 헤이즈를 저감할 수 있는 점착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점착제는 고분자량의 공중합체(A)와, 상기 공중합체(A)의 존재하에서 카르복실기를 갖는 단량체와 그 밖의 단량체를 라디칼 공중합하여 얻어지는 저분자량의 공중합체(B) 및 다관능성 화합물(C)를 특정 비율로 포함함으로써, 편광판의 치수변화에 따라 발생하는 색 얼룩·흰 무늬 현상을 완화하는 성질과 열 또는 습열 조건하에서도 발포나 벗겨짐 등을 억제할 수 있는 성질을 동시에 갖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점착제는 하기 단량체(a) 및 (b)를 라디칼 공중합하여 된 중량평균 분자량 100만 이상 200만 이하의 공중합체(A)와, 상기 공중합체(A) 100 중량부에 대해서 상기 공중합체(A)의 존재하에서 하기 단량체(c) 및 (d)를 라디칼 공중합하여 된 중량평균 분자량 1만 이상 10만 이하의 공중합체(B) 20~100 중량부 및 상기 공중합체(A) 및/또는 상기 공중합체(B)와 반응 가능한 반응성 관능기를 적어도 2개 갖는 다관능성 화합물(C) 0.003~3 중량부로 된 점착제이다.
(a) 반응성 관능기 및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결합을 갖는 단량체
(b) 상기 공중합체(a)와 공중합 가능하고, 상기 공중합체(a)와는 다른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결합을 갖는 단량체
(c) 카르복실기 및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결합을 갖는 단량체
(d) 상기 공중합체(c)와 공중합 가능하고, 상기 공중합체(c)와는 다른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결합을 갖는 단량체
상기 점착제에 있어서, 공중합체(A)를 구성하는 단량체(a)의 공중합 비율은 0.1~15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단량체(b)의 공중합 비율은 85~99.9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점착제의 제조방법은 하기의 공정 (1)~ (3)을 갖는 점착제의 제조방법이다.
(1) 반응성 관능기 및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결합을 갖는 단량체(a) 및 상기 공중합체(a)와 공중합 가능하고, 상기 공중합체(a)와는 다른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결합을 갖는 단량체(b)를 전화율 50%~ 90%로 라디칼 공중합하여 공중합체(A)를 중합하는 공정.
(2) 공중합체(A)의 중합시에 잔류하는 단량체와 카르복실기 및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결합을 갖는 단량체(c)를 공중합체(A)의 존재하에서 라디칼 공중합하여 공중합체(B)를 중합하는 공정.
(3) 공중합체(A) 및/또는 공중합체(B)와 반응 가능한 반응성 관능기를 적어도 2개 갖는 다관능성 화합물(C)를 첨가하는 공정.
상기의 공정 (2)에 있어서, 공중합체(A)의 중합시에 잔류하는 단량체와 카르복실기 및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결합을 갖는 단량체(c)를 전화율 70%~ 100%로 라디칼 공중합하여 공중합체(B)를 중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점착제는 상기의 방법으로 제조되는 점착제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광학부재는 상기 중 어느 하나의 점착제로 된 점착제층이, 광학부재의 적어도 한쪽 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부재이다.
먼저, 본 발명의 점착제에 대해서 설명한다.
점착제에 포함되는 중합체(A)는 반응성 관능기 및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결합을 갖는 단량체(a)와, 상기 공중합체(a)와 공중합 가능하고 상기 공중합체(a)와는 다른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결합을 갖는 단량체(b)[즉, (a)와 공중합 가능한 다른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결합을 갖는 단량체(b)]를 라디칼 공중합하여 얻어지는 공중합체이다. 반응성 관능기로서는, 카르복실기, 수산기, 아미노기, 아미드기, 말레이미드기, 이타콘이미드기, 숙신이미드기, 에폭시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단량체(a) 및 단량체(b)로서는 (메타)아크릴계 단량체, 비닐계 단량체가 적합하게 사용된다.
카르복실기를 갖는 단량체(a)의 구체예로서는 (메타)아크릴산, β-카르복시에틸아크릴레이트, 이타콘산, 크로톤산, 푸말산, 무수 푸말산, 말레산, 무수 말레산, 말레산부틸 등을 들 수 있다.
수산기를 갖는 단량체(a)의 구체예로서는, 2-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6-히드록시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8-히드록시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10-히드록시데실 (메타)아크릴레이트, 12-히드록시라우릴 (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메틸헥실)-메틸아크릴레이트, 클로로-2-히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 모노 (메타)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 (메타)아크릴레이트류, 폴리에틸렌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류,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류 등을 들 수 있다.
아미노기를 갖는 단량체(a)의 구체예로서는, 아미노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디메틸아미노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디메틸아미노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아미드기를 갖는 단량체(a)의 구체예로서는, (메타)아크릴아미드, N-아크릴로일모르폴린, N-치환 (메타)아크릴아미드, N-비닐피롤리돈 등을 들 수 있다.
말레이미드기를 갖는 단량체(a)의 구체예로서는, N-시클로헥실 말레이미드, N-이소프로필 말레이미드, N-라우릴 말레이미드, N-페닐 말레이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이타콘이미드기를 갖는 단량체(a)의 구체예로서는, N-메틸 이타콘이미드, N-에틸 이타콘이미드, N-부틸 이타콘이미드, N-옥틸 이타콘이미드, N-2-에틸헥실 이타콘이미드, N-시클로헥실 이타콘이미드, N-라우릴 이타콘이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숙신이미드기를 갖는 단량체(a)의 구체예로서는, N-(메타)아크릴로일옥시 메틸렌숙신이미드, N-(메타)아크릴로일-6-옥시헥사 메틸렌숙신이미드, N-(메타)아크릴로일-8-옥시옥타 메틸렌숙신이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에폭시기를 갖는 단량체(a)의 구체예로서는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단량체는 단독으로 또는 복수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공중합체(A)를 구성하는 단량체(a)의 공중합 비율은 단량체의 전량을 기준으로서 0.1~ 15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공중합 비율이 0.1 중량%보다 적은 경우에는, 점착제의 응집력이 저하되어 가열환경하에서 점착제의 발포나 들떠 벗겨짐이 일어나는 경우가 있다. 또한, 15 중량% 보다 많은 경우에는 점착제의 점착력이 저하하거나, 편광판의 신축에 기인하는 응력집중을 충분히 흡수·완화하는 성질이 발현하기 어렵다.
또한, 단량체(b)의 구체예로서는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예를 들면, 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n-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iso-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n-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iso-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 (메타)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 (메타)아크릴레이트, iso-노닐 (메타)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벤질 (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스티렌, 메틸스티렌, 비닐톨루엔 등의 방향족 비닐모노머, 초산비닐, (메타)아크릴로니트릴 등도 들 수 있다.
공중합체(A)를 구성하는 단량체(b)의 공중합 비율은 단량체의 전량을 기준으로서 85~ 99.9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공중합 비율이 85 중량% 보다 적은 경우에는 편광판이나 광학부품으로의 밀착성이 저하된다. 또한, 99.9 중량% 보다 많은 경우에는 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단량체(a)의 함유량이 적어져 점착제의 응집력이 저하되고, 가열환경하에서 점착제의 발포나 들떠 벗겨짐이 일어나는 경우가 있다.
공중합체(A)는 공지의 임의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공중합체(A)는 단량체의 합계 100 중량부에 대해서 0.001~ 1 중량부의 중합개시제를 사용하여 괴상 중합, 용액 중합 등의 방법, 바람직하게는 용액 중합법에 의해 합성된다. 중합개시제로서는 아조계 화합물, 유기 과산화물이 사용되고, 중합개시제는 2종류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또한, 용액 중합의 경우, 중합 용매로서는 초산에틸, 초산n-부틸, 초산이소부틸, 톨루엔, 아세톤, 헥산, 메틸에틸케톤 등이 사용된다. 중합 용매는 2종류 이상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중합개시제 중 아조계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2,2'-아조비스이소부틸로니트릴, 2,2'-아조비스(2-메틸부틸로니트릴), 1,1'-아조비스(시클로헥산 1-카르보니트릴), 2,2'-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2,2'-아조비스(2,4-디메틸-4-메톡시발레로니트릴), 디메틸 2,2'-아조비스(2-메틸프로피오네이트), 4,4'-아조비스(4-시아노발레릭산), 2,2'-아조비스(2-히드록시메틸프로피오니트릴), 2,2'-아조비스 [2-(2-이미다졸린-2-일)프로판]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유기 과산화물로서는 예를 들면, 과산화벤조일, t-부틸 퍼벤조에이트, 쿠멘히드로퍼옥시드, 디이소프로필 퍼옥시디카보네이트, 디-n-프로필 퍼옥시디카보네이트, 디(2-에톡시에틸) 퍼옥시디카보네이트, t-부틸 퍼옥시네오데카노에이트, t-부틸 퍼옥시피발레이트, (3,5,5-트리메틸헥사노일)퍼옥시드, 디프로피오닐 퍼옥시드, 디아세틸 퍼옥시드 등을 들 수 있다.
공중합체(A)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100만 이상 200만 이하인 것이 필요하고,더욱이 120만 이상 180만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량평균 분자량이 100만 보다도 작은 공중합체(A)는 가교하여 사용해도 점착제의 응집력이 부족하여 발포나 들떠 벗겨짐이 발생한다. 또한, 중량평균 분자량이 200만 보다 크면 점착제의 점도가 높아져 도공 등의 작업성이 떨어진다. 또한, 공중합체(A)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공중합체(B)의 중합을 개시하기 전에 반응용액의 일부를 샘플링하여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GPC) 측정을 실시하여 산출한다.
점착제에 포함되는 공중합체(B)는 상기 공중합체(A)의 존재하에서 카르복실기 및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결합을 갖는 단량체(c) 및 (c)와 공중합 가능한 다른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결합을 갖는 단량체(d)를 라디칼 공중합하여 된 중량평균 분자량 1만 이상 10만 이하의 공중합체이다. 공중합체(A)의 존재하에서 단량체(c) 및 단량체(d)를 라디칼 공중합하여 얻을 수 있고, 공중합체(A) 보다도 저분자량의 공중합체(B)가 점착제 중에 포함되면 열 또는 습열 조건하에서도 점착제의 발포나 벗겨짐 등이 발생하지 않아 편광판의 신축 등에 의해 발생하는 응력집중을 완화하여 액정 소자에 색 얼룩·흰 무늬 현상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단량체(c) 및 단량체(d)로서는 (메타)아크릴계 단량체, 비닐계 단량체가 적합하게 사용된다. 단량체(c)의 구체예로서는 (메타)아크릴산, β-카르복시에틸아크릴레이트, 이타콘산, 크로톤산, 푸말산, 무수 푸말산, 말레산, 무수 말레산, 말레산부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단량체는 단독으로 또는 복수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공중합체(B)를 구성하는 단량체(c)의 공중합 비율은 단량체(c)와 단량체(d)의 합계량을 기준으로서 0.1~ 5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0.5~ 30 중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단량체(d)로서는 공중합체(A)를 구성하는 단량체(a) 중, 카르복실기 이외의 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단량체(a)와 동일한 단량체 및 단량체(b)와 동일한 단량체를 사용할 수 있다.
공중합체(B)는 공중합체(A)의 존재하에서, 카르복실기 및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결합을 갖는 단량체(c) 및 상기 공중합체(c)와 공중합 가능하고, 상기 공중합체(c)와는 다른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결합을 갖는 단량체(d)[즉, (c)와 공중합 가능한 다른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결합을 갖는 단량체(d)]를 공중합체(A)와 동일한 방법으로 라디칼 공중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공중합체(B)는 단량체(a)와 단량체(b)를 전화율 50~ 90%(바람직하게는 70~ 80%)로 라디칼 공중합하여 공중합체(A)를 중합한 후에 잔류하는 단량체와 단량체(c)를 공중합체(A)의 존재하에서 라디칼 공중합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공중합체(A)의 중합시에 잔류하는 단량체와 단량체(c)는 전화율 70~ 100%로 라디칼 공중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전화율이란, 단량체를 중합하여 얻어지는 공중합체의 중량을 원료로서 사용한 단량체의 총중량으로 나눈 값이다.
상기의 전화율로 공중합체(A) 및 공중합체(B)를 중합함으로써 공중합체(A) 100 중량부에 대해서 공중합체(B)를 20~ 100 중량부의 범위로 제한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공중합체(B)는 용액 중합법으로 합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공중합체(A) 합성시의 5~ 50 중량부 정도의 중합개시제, 즉 단량체의 합계 100 중량부에 대해서 0.005~ 50 중량부의 중합개시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공중합체(B)의 합성시에는 라우릴메르캅탄, n-도데실메르캅탄 등의 메르캅탄류, α-메틸스티렌 다이머, 리모넨 등의 연쇄이동제를 사용해도 된다.
공중합체(B)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1만 이상 10만 이하인 것이 필요하고, 더욱이 2만 이상 5만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량평균 분자량이 1만보다 작은 공중합체(B)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응집력이 부족하여 발포나 들떠 벗겨짐이 발생하기 쉽다. 또한, 중량평균 분자량이 10만을 초과하는 공중합체(B)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편광판의 신축에 기인하는 응력집중을 충분히 흡수·완화하는 성질이 발현하기 어렵다. 여기에서 공중합체(B)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공중합체(A)와 공중합체(B)의 혼합물을 GPC 측정하고, 얻어진 GPC 스펙트럼과 상술한 방법으로 측정한 공중합체(A)의 GPC 스펙트럼과의 차 스펙트럼으로부터 산출한다.
점착제에 포함되는 공중합체(B)의 함유량은 공중합체(A) 100 중량부에 대해서 20~ 100 중량부이고, 바람직하게는 20~50 중량부이다. 공중합체(B)의 함유량이 20 중량부 보다 적은 경우에는, 편광판의 신축에 기인하는 응력집중을 충분히 흡수·완화하는 성질이 발현하기 어렵다. 또한, 공중합체(B)의 함유량이 10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점착제의 응집력이 부족하여 발포나 들떠 벗겨짐이 발생하기 쉽다.
공중합체(A)와 공중합체(B)의 중량비는 이하의 방법으로 구해진다. 즉, 먼저, 중합체(B)의 중합을 개시하기 전에 샘플링한 용액의 일정량을 중량을 이미 알고 있는 용기에 넣어 정칭(精秤)하고, 이 정칭한 용액을 가열 건조하여 공중합체 이외의 성분을 휘산시키고, 공중합체(A)만이 남은 용기를 정칭하여 일정량의 용액에 포함되는 공중합체(A)의 중량을 산출한다. 이어서 공중합체(B)의 중합완료 후에 공중합체(A)와 공중합체(B)가 포함되는 용액을 샘플링하고, 공중합체(A)의 중량을 산출했을 때와 동일한 방법으로 일정량의 용액에 포함되는 공중합체(A)와 공중합체(B)의 중량을 산출한다. 그리고 일정량의 용액에 포함되는 공중합체(A) 및 공중합체(A)와 공중합체(B)의 혼합물의 중량을, 동량의 용액에 포함되는 공중합체(A) 및 공중합체(A)와 공중합체(B)의 혼합물의 중량으로 환산하여 공중합체(A)와 공중합체(B)의 혼합물의 중량으로부터 공중합체(A)를 뺌으로써 공중합체(B)의 중량을 산출한다.
점착제에 포함되는 공중합체(A) 및/또는 공중합체(B)와 반응 가능한 반응성 관능기를 적어도 2개 갖는 다관능성 화합물(C)는 공중합체(A)가 갖는 반응성 관능기 및/또는 공중합체(B)가 갖는 카르복실기나 카르복실기 이외의 반응성 관능기와 반응 가능한 반응성 관능기를 적어도 2개, 바람직하게는 2~4개 갖는 화합물이다. 이러한 다관능성 화합물의 예로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에폭시계 화합물, 아민계 화합물, 금속 킬레이트계 화합물, 아지리딘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에폭시계 화합물, 아지리딘계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다관능성 화합물은 단독으로 또는 복수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의 예로서는 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첨가 크실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첨가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크실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나프탈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페닐메탄 트리이소시아네이트, 폴리메틸렌폴리페닐 이소시아네이트 등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및 이들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트리메틸올프로판 등의 폴리올화합물과 어닥트체, 이들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뷰렛체나 이소시아누레이트체, 더 나아가서는 이들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공지의 폴리에테르폴리올이나 폴리에스테르폴리올, 아크릴폴리올, 폴리부타디엔폴리올, 폴리이소프렌폴리올 등과의 어닥트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에폭시계 화합물의 예로서는 비스페놀 A-에피클로로히드린형의 에폭시계 수지, 에틸렌글리콜 디글리시딜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디글리시딜에테르, 글리세린 디글리시딜에테르, 글리세린 트리글리시딜에테르, 1,6-헥산디올 디글리시딜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글리시딜에테르, 디글리시딜아닐린, N,N,N',N'-테트라글리시딜-m-크실릴렌디아민, 1,3-비스(N,N'-디글리시딜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 N,N,N',N'-테트라글리시딜아미노페닐메탄, 트리글리시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아지리딘 화합물의 예로서는 N,N'-디페닐메탄-4,4'-비스(1-아지리딘카르복사이트), N,N'-톨루엔-2,4-비스(1-아지리딘카르복사이트), 비스이소프탈로일-1-(2-메틸아지리딘), 트리-1-아지리디닐포스핀옥사이드, N,N'-헥사메틸렌-1,6-비스(1-아지리딘카르복사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β-아지리디닐프로피오네이트, 테트라메틸올메탄트리-β-아지리디닐프로피오네이트, 트리스-2,4,6-(1-아지리디닐)-1,3,5-트리아진 등을 들 수 있다.
다관능성 화합물(C)의 관능기는 상기 공중합체(A) 및/또는 상기 공중합체(B)가 갖고 있는 반응성 관능기의 종류에 따라 적절히 선택한다. 예를 들면, 상기 공중합체(A) 및/또는 상기 공중합체(B)가 갖고 있는 반응성 관능기가 히드록시기인 경우는 다관능성 화합물(C)는 관능기로서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고, 상기 공중합체(A) 및/또는 상기 공중합체(B)가 갖고 있는 반응성 관능기가 카르복실기인 경우는 다관능성 화합물(C)는 관능기로서 에폭시기 또는 아지리딘기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관능성 화합물(C)의 함유량은 상기 공중합체(A) 100 중량부에 대해서, 0.003~ 3 중량부이다. 다관능 화합물(C)의 함유량이 0.003 중량부 미만이면, 착색제의 응집력이 부족하여 발포나 들떠 벗겨짐이 발생하기 쉽다. 또한, 3중량부 보다 많은 경우에는 편광판의 신축에 기인하는 응력집중을 충분히 흡수·완화하는 성질이 발현하기 어렵다.
점착제에는 실란 커플링제를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란 커플링제로서는 비닐 트리메톡시실란, 비닐 트리에톡시실란, 메타크릴옥시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 γ-메타크릴옥시프로필메틸 디메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 디메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 디에톡시실란, 2-(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 트리메톡시실란, γ-아미노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 γ-아미노프로필 트리에톡시실란, γ-아미노프로필메틸 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 3-아미노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 3-아미노프로필메틸 디메톡시실란, γ-메르캅토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 γ-메르캅토프로필 트리에톡시실란, 메르캅토부틸 트리메톡시실란, γ-메르캅토프로필메틸 디메톡시실란 등을 들 수 있다.
점착제 중의 실란 커플링제의 함유량은 공중합체(A) 100 중량부에 대해서, 0.01~ 2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0.01 중량부 보다 적으면 그 물성의 개선효과가 부족하고, 2 중량부를 초과하면 점착제가 값비싸질 뿐만 아니라 들떠 벗겨짐의 원인이 된다.
또한, 점착제에는 자외선 흡수제, 산화방지제, 점착부여 수지, 가소제, 소포제, 레벨링 조정제를 배합해도 된다.
본 발명의 점착제는
(1) 상기의 공중합체(A) 및 공중합체(B)와
(2) 다관능성 화합물(C)
의 2액 타입 점착제의 형태로 이용할 수 있다.
점착제는 하기의 공정 (1)~ (3)을 거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1) 반응성 관능기 및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결합을 갖는 단량체(a) 및 (a)와 공중합 가능한 다른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결합을 갖는 단량체(b)를 전화율 50~ 90%로 라디칼 공중합하여 공중합체(A)를 중합하는 공정.
(2) 공중합체(A)의 중합시에 잔류하는 단량체와 카르복실기 및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결합을 갖는 단량체(c)를 공중합체(A)의 존재하에서 전화율 70%~ 100%로 라디칼 공중합하여 공중합체(B)를 중합하는 공정.
(3) 공중합체(A) 및/또는 공중합체(B)와 반응 가능한 반응성 관능기를 적어도 2개 갖는 다관능성 화합물(C)를 첨가하는 공정.
상기의 제조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점착제에 있어서, 상기의 공중합체(B)는 단량체(c)에 유래하는 카르복실기를 함유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한 점착제는 점착계면에서 우수한 물성을 나타내 들뜸이나 벗겨짐을 일으키기 어렵다. 또한, 단량체(a)는 공정(1)에 있어서 완전하게 소비되어 버려 잔류하는 경우는 없기 때문에 상기 공정(1)에서 사용하는 단량체(a)가 반응성 관능기로서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경우이더라도, 공정(2)에 있어서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c)를 첨가함으로써 공중합체(B)에 카르복실기를 도입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상기 공정(1)에서 사용하는 단량체(b)는 상기 공정(1)에서 완전하게는 소비되지 않고 잔류하기 때문에, 공정(2)에 있어서 단량체(d)를 첨가할 필요는 없다.
공중합체(A) 및 공중합체(B)의 각각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그들의 공중합 반응시에 사용하는 중합개시제의 종류와 사용량에 따라 적절히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공정(1)에 있어서는, 아조비스 이소부틸로니트릴을 사용하여 반응온도 약 50~ 70℃에서 공중합체(A)를 조제하고, 이어서 용매(예를 들면, 톨루엔)에서 상기 공정(1)의 생성물을 희석하고, 이어서 상기 공정(2)에 있어서는, 아조비스 이소발레로니트릴을 사용하여 반응온도 약 60~ 80℃에서 공중합체(B)를 조제함으로써, 목적으로 하는 범위의 중량평균 분자량과 중량비를 갖는 공중합체(A)와 공중합체(B)의 조성물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정(2)에 의해 생성한 공중합체(A)와 공중합체(B)와의 조성물에는 미반응 단량체가 실질적으로 잔류하지 않기 때문에, 특히 정제공정을 거치지 않고 그대로 다관능성 화합물(C)와 반응시킬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광학부재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광학부재는 본 발명의 점착제로 된 점착제층이 광학부재의 적어도 한쪽 면에 형성되어 있는 광학부재이다.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광학부재로서는 편광 필름, 위상차 필름, 타원편광 필름, 반사방지 필름, 휘도향상 필름을 들 수 있다.
점착제층의 형성은 통상 사용되고 있는 도포장치를 사용하여 행할 수 있다.
도포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롤 나이프 코터, 다이 코터, 롤 코터, 바 코터, 그라비아롤 코터, 리버스롤 코터, 딥핑, 브레이드 코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점착제층의 건조막 두께는 편광판의 신축에 기인하는 응력집중을 흡수, 완화하는 데 적절한 막 두께와 경제성을 고려하여 5~ 10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어서, 실시예를 나타내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부 및 %라는 것은 중량부 및 중량%를 각각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합성예 1)
교반기, 온도계, 환류냉각기, 적하장치 및 질소도입관을 구비한 반응용기에, n-부틸 아크릴레이트 99.0부, 4-히드록시부틸 아크릴레이트 1.0부, 아세톤 150.0부, 2,2'-아조비스이소부틸로니트릴 0.06부를 넣고, 이 반응용기 내의 공기를 질소가스로 치환한 후 교반하면서 질소분위기하 중에서 이 반용용액을 60℃로 승온시켜 5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종료 후 톨루엔을 190부와 아크릴산 0.25부 및 2,2'-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0.50부를 첨가하고, 70℃로 승온하여 6시간 반응시켰다. 반응 후 톨루엔 55부를 첨가하여 실온까지 냉각하고, 고형분 20.0%의 중합체용액(A)를 얻었다.
(합성예 2 ~ 9)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응성 관능기 및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결합을 갖는 단량체(a), (a)와 공중합 가능한 다른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결합을 갖는 단량체(b), 카르복실기 및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결합을 갖는 단량체(c)의 종류 및 양을 바꾸는 것 이외에는 합성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중합체용액(B) ~ (I)를 얻었다.
(합성예 10)
합성예 1과 동일한 반응장치에, 부틸아크릴레이트 99.0부, 4-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1.0부, 초산에틸 163.0부, 2,2'-아조비스이소부틸로니트릴 0.06부를 넣고, 이 반응용기 내의 공기를 질소가스로 치환한 후 교반하면서 질소분위기하 중에서 이 반용용액을 80℃로 승온시켜 4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종료 후 톨루엔 176부와아크릴산 0.25부 및 2,2'-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0.50부를 첨가하고, 75℃로 승온하여 6시간 반응시켰다. 반응 후 톨루엔 57부를 첨가하여 실온까지 냉각하고, 고형분 20.0%의 중합체용액(J)를 얻었다.
(합성예 11)
합성예 1과 동일한 반응장치에, 부틸아크릴레이트 60.0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37.0부, 4-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3.0부, 아세톤 150.0부, 2,2'-아조비스이소부틸로니트릴 0.06부를 넣고, 이 반응용기 내의 공기를 질소가스로 치환한 후 교반하면서 질소분위기하 중에서 이 반용용액을 60℃로 승온시켜 5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종료 후 초산에틸 65.0부와 아크릴산 0.28부 및 2,2'-아조비스이소부틸로니트릴 0.06부를 첨가하고, 60℃로 승온하여 8시간 반응시켰다. 반응 후 톨루엔 183부를 첨가하여 실온까지 냉각하고, 고형분 20.0%의 중합체용액(K)를 얻었다.
(합성예 12)
합성예 1과 동일한 반응장치에, 부틸아크릴레이트 99.0부, 4-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1.0부, 아세톤 150.0부, 2,2'-아조비스이소부틸로니트릴 0.06부를 넣고, 이 반응용기 내의 공기를 질소가스로 치환한 후 교반하면서 질소분위기하 중에서 이 반용용액을 60℃로 승온시켜 3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종료 후 톨루엔 1.1부와 아크릴산 0.55부 및 2,2'-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1.1부를 첨가하고, 70℃로 승온하여 7시간 반응시켰다. 반응 후 톨루엔 236부를 첨가하여 실온까지 냉각하고, 고형분 20.0%의 중합체용액(L)을 얻었다.
(합성예 13)
합성예 1과 동일한 반응장치에, 부틸아크릴레이트 99.0부, 4-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1.0부, 아세톤 150.0부, 2,2'-아조비스이소부틸로니트릴 0.06부를 넣고, 이 반응용기 내의 공기를 질소가스로 치환한 후 교반하면서 질소분위기하 중에서 이 반용용액을 60℃로 승온시켜 10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종료 후 톨루엔 198부와 아크릴산 0.08부 및 2,2'-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0.16부를 첨가하고, 70℃로 승온하여 6시간 반응시켰다. 반응 후 톨루엔 51부를 첨가하여 실온까지 냉각하고, 고형분 20.0%의 중합체용액(M)을 얻었다.
(합성예 14)
합성예 1과 동일한 반응용기에, n-부틸아크릴레이트 99.0부, 4-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1.0부, 아세톤 150.0부, 2,2'-아조비스이소부틸로니트릴 0.06부를 넣고, 이 반응용기 내의 공기를 질소가스로 치환한 후 교반하면서 질소분위기하 중에서 이 반용용액을 60℃로 승온시켜 5시간 반응시켰다. 반응 후 톨루엔 150부를 첨가하여 실온까지 냉각하고, 고형분 20.0%의 중합체용액(N)을 얻었다. 중합체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161만, Mw/Mn은 4.8이었다.
(합성예 15)
합성예 1과 동일한 반응용기에, n-부틸아크릴레이트 99.0부, 4-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1.0부, 톨루엔 150.0부, α-메틸스티렌다이머 1부 및 2,2'-아조비스이소부틸로니트릴 2부를 넣고, 이 반응용기 내의 공기를 질소가스로 치환한 후 교반하면서 질소분위기하에서 이 반용용액을 70℃로 승온시켜 6시간 반응시켰다. 반응 후 톨루엔 150부를 첨가하여 실온까지 냉각하고, 고형분 40.0%의 중합체용액(O)를 얻었다. 중합체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2.4만, Mw/Mn은 2.8이었다.
합성예 1 ~ 13에서 얻어진 중합체용액에 대해서, 공중합체(A)의 중량평균 분자량(Mw), 공중합체(A) 합성시의 전화율, 공중합체(B)의 중량평균 분자량(Mw), 공중합체(B) 합성시의 전화율 및 공중합체(A) 100부에 대한 공중합체(B)의 비율을 상기에 설명한 방법으로 산출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표 1 중의 단량체의 약호를 이하에 나타낸다.
4-HBA: 4-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AA: 아크릴산
HEA: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HEMA: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BA: 부틸아크릴레이트
2EHA: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LA: 라우릴아크릴레이트
EA: 에틸아크릴레이트
VAc: 초산비닐
또한, 공중합체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GPC 측정으로 구한 폴리스티렌 환산의 중량평균 분자량으로, GPC 측정조건은 이하와 같다.
장치: Shodex GPC System-21(쇼와덴코(주)제)
칼럼: Shodex KF-602.5 1개, Shodex KF-606M 2개(쇼와덴코(주)제)의 합계 3개를 연결하여 사용.
용매: 테트라히드로푸란
유속: 0.5 ml/분
온도: 40℃
시료 농도: 0.1 wt%
시료 주입량: 50 ㎕
(실시예 1)
합성예 1에서 얻어진 중합체용액(A) 100 중량부에 대해서, XDI/TMP(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트리메틸올프로판 어닥트체) 0.05부 및 실란 커플링제(신에츠 가가쿠고교(주)제 「KBM403」) 0.1 부를 첨가하여 잘 교반하여 점착제를 얻었다. 이 점착제를 박리 처리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도공하여 건조시키고, 25 ㎛의 점착제층을 설치한 후에 그것을 편광 필름의 한쪽 면에 전사하여 편광 필름을 점착 가공하였다. 이 점착 가공된 편광 필름을 온도 23℃ 상대습도 50%의 조건에서 1주간 숙성시켜 편광판을 얻었다.
(실시예 2 ~ 7 및 비교예 1 ~ 7)
표 2에 나타내는 종류 및 양의 중합체용액, 다관능성 화합물(C) 및 실란 커플링제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완전히 동일하게 하여 점착제를 제조하고, 얻어진 점착제를 사용하여 점착 가공한 편광판을 작성하였다.
(비교예 8)
중합체용액(A) 대신에 중합체용액(N): 100부와 중합체용액(O): 30부를 혼합한 중합체용액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완전히 동일하게 하여 점착제를 제조하고, 얻어진 점착제를 사용하여 점착 가공한 편광판을 작성하였다.
표 2 중의 다관능성 화합물 및 실란 커플링제의 약호를 이하에 나타낸다.
TAT: 트리스-2,4,6-(1-아지리디닐)-1,3,5-트리아진
TGMXDA: N,N,N',N'-테트라글리시딜-m-크실릴렌디아민
KBM903: 신에츠 가가쿠고교(주)제 실란 커플링제「KBM903」
KBM803: 신에츠 가가쿠고교(주)제 실란 커플링제「KBM803」
KBM9007: 신에츠 가가쿠고교(주)제 실란 커플링제「KBM9007」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점착제 및 점착 가공한 편광판에 대해서, 내열성능, 내습열성능, 광학특성 및 리워크성을 이하의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결과를표 3에 나타낸다.
(1) 내열성능, 내습열성능, 광학특성(흰 무늬)의 평가방법
점착 가공한 편광판을 150 mm×80 mm의 크기로 컷팅하고, 두께 1.1 mm의 플로우트 유리판의 양면에 편광판의 흡수축이 직교하도록 라미네이터를 사용하여 붙였다. 이어서, 이 편광판을 붙인 유리판을 50℃ 5기압 조건의 오토 클레이브 내에 20분 유지시켜 유리판에 밀착시켰다. 더욱이, 이 편광판과 유리판의 구성물을 80℃에서 500시간 방치한 후의 들떠 벗겨짐(내열성능), 60℃, 상대습도 90%에서 500시간 방치한 후의 들떠 벗겨짐(내습열성) 및 이 60℃ 상대습도 90%에서 500시간 방치한 후의 편광판과 유리판의 구성물에 빛을 투과시켰을 때의 빛 샘(흰 무늬)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3단계로 평가하였다.
◎은 「들떠 벗겨짐·흰 무늬가 전혀 인정되지 않는다」, ○은 「약간 들떠 벗겨짐·흰 무늬가 인정되지만, 실용상 문제가 없다」, △은 「명백하게 들떠 벗겨짐·흰 무늬가 인정되어 실용상 문제가 있다」를 각각 의미한다.
(2) 리워크성의 평가방법
점착 가공한 편광판을 25 mm×150 mm의 크기로 컷팅하여 두께 1.1 mm의 플로우트 유리에 라미네이터를 사용하여 붙이고, 50℃ 5기압 조건의 오토 클레이브 내에 20분 유지시켜 유리판에 밀착시켰다. 이 시험편을 23℃, 상대습도 50%에서 1주간 방치한 후에, 180°필 시험(박리속도 300 mm/분)을 실시하고, 필 후의 유리의 흐림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2단계로 평가하였다.
◎은 「실용상 전혀 문제가 없다」, △은 「실용상 문제가 있다」를 각각 의미한다.
(3) 광학특성(헤이즈)의 평가방법
점착제를 박리처리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도공하여 건조시키고, 25 ㎛의 점착제층을 설치한 후에 추가로 박리처리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씌웠다. 이 박리처리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끼워진 점착제층을 온도 23℃ 상대습도 50%의 조건으로 1주간 숙성시킨 후, 박리처리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거하여 점착제층 단체의 헤이즈를 NDH-300A(니혼덴쇼쿠 고교(주)사제)로 측정하였다.
본 발명의 점착제를 사용함으로써, 열 또는 습열 조건하에서도 발포나 벗겨짐 등이 발생하지 않고, 편광판의 신축 등에 의해 발생하는 응력집중을 완화하여 액정소자에 색 얼룩·흰 무늬를 발생시키지 않는 광학부재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Claims (6)

  1. 하기 단량체(a) 및 (b)를 라디칼 공중합하여 된 중량평균 분자량 100만 이상 200만 이하의 공중합체(A)와, 상기 공중합체(A) 100 중량부에 대해서, 상기 공중합체(A)의 존재하에서 하기 단량체(c) 및 (d)를 라디칼 공중합하여 된 중량평균 분자량 1만 이상 10만 이하의 공중합체(B) 20~100 중량부, 및 상기 공중합체(A) 및/또는 상기 공중합체(B)와 반응 가능한 반응성 관능기를 적어도 2개 갖는 다관능성 화합물(C) 0.003~3 중량부로 된 점착제.
    (a) 반응성 관능기 및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결합을 갖는 단량체
    (b) 상기 공중합체(a)와 공중합 가능하고, 상기 공중합체(a)와는 다른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결합을 갖는 단량체
    (c) 카르복실기 및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결합을 갖는 단량체
    (d) 상기 공중합체(c)와 공중합 가능하고, 상기 공중합체(c)와는 다른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결합을 갖는 단량체
  2. 제1항에 있어서, 공중합체(A)를 구성하는 단량체(a)의 공중합 비율이 0.1~15 중량%, 단량체(b)의 공중합 비율이 85~99.9 중량%인 점착제.
  3. 하기의 공정 (1)~ (3)을 갖는 점착제의 제조방법.
    (1) 반응성 관능기 및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결합을 갖는 단량체(a) 및 상기공중합체(a)와 공중합 가능하고, 상기 공중합체(a)와는 다른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결합을 갖는 단량체(b)를 전화율 50~ 90%로 라디칼 공중합하여 공중합체(A)를 중합하는 공정.
    (2) 공중합체(A)의 중합시에 잔류하는 단량체와 카르복실기 및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결합을 갖는 단량체(c)를 공중합체(A)의 존재하에서 라디칼 공중합하여 공중합체(B)를 중합하는 공정.
    (3) 공중합체(A) 및/또는 공중합체(B)와 반응 가능한 반응성 관능기를 적어도 2개 갖는 다관능성 화합물(C)를 첨가하는 공정.
  4. 제3항에 있어서, 공정 (2)에 있어서, 공중합체(A)의 중합시에 잔류하는 단량체와 카르복실기 및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결합을 갖는 단량체(c)를 전화율 70~ 100%로 라디칼 공중합하여 공중합체(B)를 중합하는 점착제의 제조방법.
  5. 제3항 또는 제4항의 방법으로 제조되는 점착제.
  6. 제1항, 제2항 또는 제5항의 점착제로 된 점착제층이, 광학부재의 적어도 한쪽 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부재.
KR1020040028901A 2003-04-30 2004-04-27 점착제 및 그것을 사용한 광학부재 KR1007376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125145 2003-04-30
JP2003125145A JP4534431B2 (ja) 2003-04-30 2003-04-30 粘着剤およびそれを用いた光学部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4325A true KR20040094325A (ko) 2004-11-09
KR100737653B1 KR100737653B1 (ko) 2007-07-09

Family

ID=33502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8901A KR100737653B1 (ko) 2003-04-30 2004-04-27 점착제 및 그것을 사용한 광학부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534431B2 (ko)
KR (1) KR100737653B1 (ko)
CN (1) CN100523109C (ko)
TW (1) TWI301147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4269A (ko) * 2012-10-04 2014-04-14 닛뽕 카바이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점착제 조성물, 점착 시트 및 광학용 적층 시트
KR20140046347A (ko) * 2012-10-10 2014-04-18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경화성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박막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02795B2 (ja) * 2005-07-25 2013-06-05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部材用粘着剤組成物、光学部材用粘着剤層およびその製造方法、粘着型光学部材、ならびに画像表示装置
JP4992337B2 (ja) * 2006-08-11 2012-08-08 東洋インキS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粘着組成物および該粘着組成物を用いた粘着フィルム
JP2008291071A (ja) * 2007-05-23 2008-12-04 Toyo Ink Mfg Co Ltd 粘着剤組成物及び積層体
US8139039B2 (en) 2007-07-31 2012-03-20 Kent Displays, Incorporated Selectively erasable electronic writing tablet
US8228301B2 (en) 2007-07-31 2012-07-24 Kent Displays Incorporated Multiple color writing tablet
JP5540468B2 (ja) * 2008-01-23 2014-07-02 東洋インキS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帯電防止性アクリル系感圧式接着剤および該感圧式接着剤を用いた帯電防止性感圧式接着フィルム
JP5611527B2 (ja) * 2009-01-08 2014-10-22 日本カーバイド工業株式会社 粘着剤及び光学フィルム
JP5595034B2 (ja) * 2009-12-28 2014-09-24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粘着性組成物、粘着剤および粘着シート
JP5617587B2 (ja) * 2010-12-13 2014-11-05 東洋インキS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感圧式接着剤、及びそれを用いた積層体
JP5712706B2 (ja) * 2011-03-15 2015-05-07 東洋インキS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粘着剤、粘着シートおよびディスプレイ
JP5611880B2 (ja) * 2011-03-31 2014-10-22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粘着剤および粘着シート
JP5638439B2 (ja) * 2011-03-31 2014-12-10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粘着剤および粘着シート
JP5595321B2 (ja) * 2011-03-31 2014-09-24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粘着性組成物、粘着剤および粘着シート
US9134561B2 (en) 2011-11-01 2015-09-15 Kent Displays Incorporated Writing tablet information recording device
JP5770607B2 (ja) * 2011-11-21 2015-08-26 藤森工業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及び表面保護フィルム
JP6024125B2 (ja) * 2012-03-01 2016-11-09 住友化学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
JP5929357B2 (ja) * 2012-03-15 2016-06-01 東洋インキS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粘着剤およびそれを用いた粘着フィルム
US9116379B2 (en) 2012-05-22 2015-08-25 Kent Displays Incorporated Electronic display with semitransparent back layer
US9235075B2 (en) 2012-05-22 2016-01-12 Kent Displays Incorporated Electronic display with patterned layer
US10088701B2 (en) 2013-11-01 2018-10-02 Kent Displays Inc. Electronic writing device with dot pattern recognition system
JP6178229B2 (ja) * 2013-12-09 2017-08-09 日東電工株式会社 液晶パネル、及び画像表示装置
US9851612B2 (en) 2014-04-02 2017-12-26 Kent Displays Inc. Liquid crystal display with identifiers
CN104449426B (zh) * 2014-11-20 2016-07-06 北京天山新材料技术有限公司 一种可紫外光固化耐高温压敏胶
JP6600914B2 (ja) * 2016-02-15 2019-11-06 サイデン化学株式会社 偏光板用粘着剤組成物
CN106207176A (zh) * 2016-08-22 2016-12-07 浙江理工大学 一种表面微氧化多孔碳基负极材料及其制备方法
JP6921572B2 (ja) * 2017-03-23 2021-08-18 綜研化学株式会社 粘着シート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64077A (ja) * 1985-05-17 1986-11-21 Nitto Electric Ind Co Ltd 水分散型感圧性接着剤組成物の製造法
JP3827364B2 (ja) * 1995-06-16 2006-09-27 日本化薬株式会社 粘着剤
JP3533589B2 (ja) * 1997-04-09 2004-05-31 綜研化学株式会社 偏光板用粘着剤組成物および偏光板
JPH111670A (ja) * 1997-06-13 1999-01-06 Nippon Shokubai Co Ltd 粘着製品
JP2000080211A (ja) * 1998-07-01 2000-03-21 Mitsui Chemicals Inc 水性分散体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4381510B2 (ja) * 1998-07-01 2009-12-09 三井化学株式会社 水性分散体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0109771A (ja) * 1998-10-07 2000-04-18 Lintec Corp 粘着シート
JP4673957B2 (ja) 2000-05-30 2011-04-20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それを用いた粘着シート及び粘着性光学部材
JP4072309B2 (ja) * 2000-10-13 2008-04-09 日本カーバイド工業株式会社 偏光フィルム用粘着剤組成物及び偏光フィルム
KR100405309B1 (ko) * 2000-12-13 2003-11-12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용 아크릴계 점착제 수지 조성물
JP2003049141A (ja) 2001-08-03 2003-02-21 Saiden Chemical Industry Co Ltd 偏光板用粘着剤組成物
JP4062668B2 (ja) 2002-05-15 2008-03-19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型光学フィルム、光学フィルム用粘着剤組成物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100668943B1 (ko) * 2004-04-23 2007-01-12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용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4269A (ko) * 2012-10-04 2014-04-14 닛뽕 카바이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점착제 조성물, 점착 시트 및 광학용 적층 시트
KR20140046347A (ko) * 2012-10-10 2014-04-18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경화성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박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301147B (en) 2008-09-21
JP4534431B2 (ja) 2010-09-01
KR100737653B1 (ko) 2007-07-09
TW200427804A (en) 2004-12-16
JP2004331697A (ja) 2004-11-25
CN1570007A (zh) 2005-01-26
CN100523109C (zh) 2009-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7653B1 (ko) 점착제 및 그것을 사용한 광학부재
JP6029272B2 (ja) 光学部材用粘着剤組成物、光学部材用粘着剤、粘着剤層付き光学部材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5151982B2 (ja) 感圧式接着剤および感圧式接着フィルム
JP5595034B2 (ja) 粘着性組成物、粘着剤および粘着シート
US20190077999A1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TWI509046B (zh) 光學壓感黏著片材
US20140272201A1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nd touch panel
US20130289210A1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KR101234485B1 (ko)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점착 시트
JP5544858B2 (ja) 偏光板用粘着剤組成物
JP2009108113A (ja) 感圧式接着剤および感圧式接着フィルム
JP7253903B2 (ja) 粘着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US20140065404A1 (en)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JP4992337B2 (ja) 粘着組成物および該粘着組成物を用いた粘着フィルム
WO2008093946A1 (en) Polarizing plate hav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with improved light leakage property
JP2007238853A (ja) 粘着組成物および該粘着組成物を用いた粘着フィルム
JP5567885B2 (ja) 粘着性組成物、粘着剤および粘着シート
JP7275462B2 (ja) 粘着剤組成物及び粘着シート
KR20120122941A (ko) 광학용 감압 점착 시트
US20190161651A1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JP6441018B2 (ja) 粘着剤組成物及び粘着シート
KR20230047165A (ko) 보강용 필름, 광학 부재 및 전자 부재
JP7275463B2 (ja) 粘着剤組成物及び粘着シート
JP2006137844A (ja) 粘着剤及びそれを用いた液晶セル用部材
JP5991833B2 (ja) アクリル系粘着剤、光学部材用粘着剤、およびそれを用いてなる粘着剤層付き光学部材、画像表示装置、ならびにアクリル系粘着剤の製造方法、アクリル系粘着剤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