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1013A -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1013A
KR20040091013A KR10-2004-7012180A KR20047012180A KR20040091013A KR 20040091013 A KR20040091013 A KR 20040091013A KR 20047012180 A KR20047012180 A KR 20047012180A KR 20040091013 A KR20040091013 A KR 200400910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composition
resin
degreec
less
linear expa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2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4320B1 (ko
Inventor
가쯔노리 아까오
고지 요네자와
모또히로 야기
아끼히꼬 후지와라
고이찌 시바야마
히데노부 데구찌
Original Assignee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910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10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43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43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46Cla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3Use of materials for the substrate
    • H05K1/0313Organic insulating material
    • H05K1/0353Organic insulating material consisting of two or more materials, e.g. two or more polymers, polymer + filler, + reinforcement
    • H05K1/0373Organic insulating material consisting of two or more materials, e.g. two or more polymers, polymer + filler, + reinforcement containing additives, e.g. fill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3Use of materials for the substrate
    • H05K1/0393Flexible materia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1Dielectrics
    • H05K2201/0104Properties and characteristics in general
    • H05K2201/0129Thermoplastic polymer, e.g. auto-adhesive layer; Shaping of thermoplastic polym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2Fillers; Particles; Fibers; Reinforcement materials
    • H05K2201/0203Fillers and particles
    • H05K2201/0206Materials
    • H05K2201/0209Inorganic, non-metallic partic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3Conductive materials
    • H05K2201/0332Structure of the conductor
    • H05K2201/0335Layered conductors or foils
    • H05K2201/0358Resin coated copper [RCC]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6Thermal details
    • H05K2201/068Thermal details wherein the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is importan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46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 H05K3/4611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by laminating two or more circuit boards
    • H05K3/4626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by laminating two or more circuit board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layers or materia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46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 H05K3/4611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by laminating two or more circuit boards
    • H05K3/4626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by laminating two or more circuit board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layers or materials
    • H05K3/4635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by laminating two or more circuit board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layers or materials laminating flexible circuit boards using additional insulating adhesive materials between the boar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5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including a second componen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part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5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including a second componen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particles
    • Y10T428/254Polymeric or resinous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6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the element or component having a specified physical dimen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6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the element or component having a specified physical dimension
    • Y10T428/269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the element or component having a specified physical dimension including synthetic resin or polymer layer or compon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역학적 물성, 치수 안정성, 내열성, 난연성 등이 우수하고, 특히 고온 물성이 우수한 수지 조성물, 기판용 재료, 시트, 적층판, 수지가 부착된 동박, 동장 적층판, TAB용 테이프, 프린트 기판, 프리프레그 및 접착 시트를 제공한다.
열경화성 수지 100중량부와 무기 화합물 0.1 내지 65중량부를 함유하는 전자 재료용 수지 조성물로서, 수지 조성물의 유리 전이 온도보다도 10℃ 높은 온도로부터 수지 조성물의 유리 전이 온도보다도 50℃ 높은 온도까지의 평균 선팽창율(α2)이 17×10-5[℃-1] 이하인 수지 조성물.

Description

수지 조성물{RESIN COMPOSITION}
최근, 전자 기기의 고성능화, 고기능화, 소형화가 급속히 진행하고 있어 전자 기기에 이용되는 전자 부품의 소형화, 경량화의 요청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수반하여, 전자 부품의 소재에 대해서도 내열성, 기계적 강도, 전기 특성 등 제반 물성의 더욱 더 나은 개선이 요구되고 있고, 예를 들면 반도체 소자의 패키지 방법이나 반도체 소자를 실장하는 배선판에 대해서도 보다 고밀도, 고기능 또한 고성능인 것이 요구되고 있다.
전자 기기에 이용되는 다층 프린트 기판은 복수층의 절연 기판으로 구성되어 있고, 종래, 이 층간 절연 기판으로서는, 예를 들면 열경화성 수지를 유리 섬유에 함침시킨 열경화성 수지 프리프레그나, 열경화성 수지 또는 광경화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필름이 이용되어 왔다. 상기 다층 프린트 기판에 있어서도 고밀도화, 박형화를 위해 층간을 매우 얇게 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고, 박형의 유리 섬유를 이용한층간 절연 기판이나 유리 섬유를 이용하지 않는 층간 절연 기판이 필요해지고 있다. 그러한 층간 절연 기판으로서는, 예를 들면 고무(탄성 중합체)류, 아크릴 수지 등으로 변성한 열경화성 수지 재료, 무기 충전제를 대량으로 배합한 열가소성 수지 재료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알려져 있고, 일본 특허공개 2000-183539호 공보에는 고분자량 에폭시 중합체 및 다관능 에폭시 수지 등을 주성분으로 하는 니스에 소정의 입자 지름을 갖는 무기 충전제를 배합하고, 지지체에 도포하여 절연층으로 하는 다층 절연 기판의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제조 방법에 의해 제작된 다층 절연 기판에서는 무기 충전제와 고분자량 에폭시 중합체나 다관능 에폭시 수지와의 계면 면적을 확보하여 기계적 강도 등의 역학적 물성을 충분히 향상시키기 위하여, 다량의 무기 충전제를 배합할 필요가 있어 제조 공정의 증가 등의 가공상의 문제점이 발생하거나, 층간을 얇게 하기가 곤란하거나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박형의 유리 섬유를 이용한 층간 절연 기판이나 유리 섬유를 이용하지 않는 층간 절연 기판에는 내열성이나 치수 안정성 등이 불충분하다고 하는 문제점 또는 약하여 깨어지기 쉽기 때문에 제조 공정에서 장애가 발생하는 일이 많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다층 프린트 기판은, 층 위에서의 회로 형성과 적층을 반복함으로써 다층 적층판을 얻는 빌드업(Build-Up)법 또는 회로가 형성된 층을 일괄하여 적층하는 일괄 적층법 등에 의해 제조되는데, 어떤 제조 방법에서도 공정 수가 많기 때문에 재료의 품질이 수율에 크게 영향을 주어 도금 공정, 경화 공정, 솔더 리플로우 공정 등의 공정을 포함하므로, 재료에는 내용제성, 내수성, 내열성 및 고온에서의 치수 안정성 등이 요구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산, 알칼리 및 유기 용매에 대한 내성; 전기 특성에 영향을 주는 흡습이 적을 것; 상하층간의 고정밀도의 회로 접속에 영향을 주는 고온시 및 가열 후의 치수 안정성; 무연납(Lead Free Solder)에서의 실장에 필요한 260℃까지의 내열성; 접속 신뢰성에 영향을 주는 구리의 마이그레이션이 발생하기 어려울 것 등이 요구된다.
예를 들면 IC 패키지에 이용되는 빌드업 기판 또는 프린트 다층 기판은 발열에 의한 고온 조건하에 이루어지는 경우가 있고, 이러한 환경하에서도 높은 신뢰성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 요구되는데, 고온시의 수지 치수 변화가 크면 회로를 형성하는 구리 등의 금속 배선과 박리가 발생하여 쇼트나 단선을 일으킨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 최근 두께가 얇은 기판으로서 주목받고 있는 플렉시블 다층 기판에서도 단층의 플렉시블 기판끼리를 접착시키는 접착층과 플렉시블 기판을 형성하는 폴리이미드 필름 및 회로를 형성하는 구리 등의 금속 배선과의 열 치수 변화의 차이가 크면 동일한 문제가 발생한다.
일본 특허공개 2000-183539호 공보에는 우수한 내열성을 갖는 에폭시 수지와 무기 화합물을 병용함으로써 고온 물성을 개선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지만, 유리 전이 온도 이상의 온도에서는 물성의 개선 효과는 거의 볼 수 없고, 유리 전이 온도 이하의 온도에서도 개선 효과는 작다. 또한, 흡습성이나 내용제성의 개선 효과에 대해서도 기대할 수 없다.
종래, 유리 전이 온도 이하의 온도에서의 선팽창율을 저하시키는 방법으로서는 무기 충전재를 이용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었지만, 솔더 리플로우 등의 고온 처리에 대응된 것은 아니었다. 또한, 최근 환경에 배려하여 무연납이 이용되게 되어 솔더 리플로우 공정의 고온화가 더욱 진행되기 때문에, 단순히 내열성이 높은 수지를 이용하여도 유리 전이 온도 이상에서의 선팽창율이 커서 고온 처리시에 장애가 발생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최근, 광통신 기술의 진전과 함께 광통신 기기의 접속이 값싸게 행해지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그 때문에, 고분자 재료로 이루어지는 광통신용 재료가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고분자 재료를 광통신용 재료로서 이용했을 경우, 여러가지 문제가 있었다.
광통신용 고분자 재료에서는 저손실, 내열성이 우수할 것, 열선팽창 계수가 낮을 것, 투습성이 낮을 것, 및 굴절율의 제어가 용이하게 행하여질 것 등이 요구된다.
또, 저손실이란, 광통신에 사용되는 파장대에서 고분자 재료가 흡수대를 거의 갖지 않기 때문에 전파 손실이 적은 것을 의미한다.
또한, 열선팽창에 대해서는 일본 특허공개 2001-183539호 공보에 있어서, 종래의 고분자 재료는 열선팽창 계수가 반도체나 금속 재료의 열팽창 계수의 10배 가까운 값이며, 실리콘 등의 열팽창 계수가 작은 기판 위에 형성한 폴리머 광통신 재료에서는 응력이 가해져 광통신 재료의 편파 의존성의 원인이 되거나, 광통신 재료와 기판의 휨이 발생하거나, 폴리머 광통신 재료 단부가 기판으로부터 박리된다고 하는 장애가 발생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WO 98/45741호 공보에는 파이버 소선(석영 유리)과 수지 케이스의 열팽창 계수 차이에 의해 파이버 소선이 재킷으로부터 돌출되거나 응력 집중에 의해서 파이버 소선에 크랙이 발생하거나 한다는 문제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일본 특허공개 평9-152522호 공보에서는 광도파로 기판과 광섬유를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속할 때에, 광도파로 기판과 접속용 부품과의 열팽창 차이가 크면, 열팽창에 의한 위치 어긋남이 발생하여 안정된 광도파로와의 접속을 실현할 수 없다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투습성에 대해서는 WO 98/45741호 공보에 있어서, 중공(中空)의 케이스 내부에 수증기가 침투하면, 광소자나 파이버 소선의 표면에 결로되어 광소자의 부식을 야기하거나 크랙의 성장을 진행시켜 파이버 소선을 파단시킨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어, 열팽창과 더불어 이러한 요인은 종합적으로 고분자 재료를 이용한 광통신용 부품의 신뢰성을 저하시킨다고 기재되어 있다. 또한, 흡습성이 높으면 수분의 O-H 결합에 기인하는 광흡수가 발생하기 쉽고, 이것 때문에도 저흡습성인 재료가 필요하게 된다.
내열성에 대해서는 광통신을 단말 기기까지 도입하려고 하면, 광신호로부터 전기 신호로의 변환이나 전기 신호로부터 광신호로의 변환이 필요해지기 때문에 프린트 배선판 또는 그 근방에서 광통신용 고분자 재료는 사용되게 된다. 따라서, 광통신용 고분자 재료는 프린트 기판 제조시의 프로세스 온도에 대한 내열성이나 사용시의 전기 회로에서의 발열에 대한 내열성은 필요하다. 히타치 테크니컬 리포트 No.37(2001년 7월), 제7면 내지 제16면에는 땜납 내열성이 요구 특성으로서 기재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투명성, 내열성, 낮은 선팽창율, 저흡습성 등의 물성을 만족시키는 재료가 광통신 재료로서 요구되고 있다.
다른 한편, 일본 특허 제2843314호 공보에는 강직한 골격을 갖는 불소화 폴리이미드가 낮은 열선팽창율을 달성한다고 기재되어 있다.
일본 특허공개 2001-108854호 공보에는 코어층과 코어층을 둘러싸는 클래드층으로 이루어지는 폴리머 광도파로에 있어서, 클래드층의 외측에 클래드층보다도 열팽창 계수가 작은 제2 클래드층을 구비한 폴리머 광도파로가 개시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클래드층과 제2 클래드층을 구성하는 폴리머를 다르게 함으로써, 제2 클래드층 열팽창 계수를 상대적으로 낮게 하여 전기·광 소자와의 열팽창 계수차를 저감할 수 있다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추가로, 일본 특허공개 2001-183539호 공보에는 광통신 재료의 단부면(端面)을 수지로 밀봉함으로써, 수지가 광통신용 재료를 형성하는 절연막과 기판을 접착하여 응력이 집중하는 단부에서의 박리를 방지할 수 있다고 기술되어 있다.
또한, 일본 특허공개 2001-4850호 공보에는 광도파로용 수지로서 특정한 구조의 폴리이미드계 필름을 이용함으로써, 열팽창 계수를 낮게할 수 있다고 기재되어 있다.
일본 특허 제2843314호 공보에 기재된 불소화 폴리이미드에서는 다른 종류의 불소화 폴리이미드에 비하여 투명성이 떨어지고 굴절율이 1.647로 높아서 광통신용 재료의 클래드층을 구성하는 재료로서 이용하는 데에는 적당하지 않았다.
다른 한편, 일본 특허공개 2001-108854호 공보에 기재된 입자를 함유시킨 광도파로용 수지에서는 낮은 선팽창율 및 투명성을 양립할 수 있을 가능성이 시사되어 있지만, 실제로 낮은 선팽창율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다량의 입자를 첨가해야만 한다. 따라서, 다량의 입자를 첨가했을 경우, 충분한 투명성을 실현하는 것이 곤란하다. 또한, 입자를 다량으로 함유시킨 경우, 수지 조성물이 취약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아울러, 입자를 대량으로 첨가했을 경우, 친수성이 높아져 흡습성이 증대할 우려도 있다.
또한, 일본 특허공개 2001-183539호 공보에 기재된 구성에서는 제조 공정이 증가하여 비용 상승을 피할 수 없다.
다른 한편, 일본 특허공개 2001-4850호 공보에 기재된 특정 구조의 폴리이미드계 필름을 광도파로 수지로서 이용했을 경우에는, 열팽창 계수를 낮게할 수는 있지만, 저흡습성을 실현하는 것은 곤란하여 역시 비용이 높아지지 않을 수가 없었다.
따라서, 광회로 형성 재료에 있어서도 투명성, 내열성, 낮은 선팽창율 및 저흡습성이 우수하고, 특히 높은 투명성을 실현할 수 있는 재료의 실현은 아직 곤란하였다.
또한, 일본 특허공개 2002-220513호 공보에는 무기 필러를 함유하는 수지를 유리 섬유에 함침시킨 수지 시트가 기재되어 있다. 그렇게 하여 얻어진 수지 시트는 낮은 선팽창율이 된다고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유리 섬유를 사용함으로써 기대되는 선팽창율 정도였다. 또, 실시예에서는 최고 7중량% 정도의 무기필러밖에 함유되어 있지 않고 명세서 중에는 분산 방법에 관한 기술도 부족하므로 고도로 분산되어 있다고도 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역학적 물성, 치수 안정성, 내열성, 난연성 등이 우수하고, 특히 고온 물성이 우수한 수지 조성물, 기판용 재료, 시트, 적층판, 수지가 부착된 동박, 동장 적층판(銅張積層板), TAB용 테이프, 프린트 기판, 프리프레그 및 접착 시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현상을 감안하여, 역학적 물성, 치수 안정성, 내열성, 난연성 등이 우수하고, 특히 고온 물성이 우수한 수지 조성물, 기판용 재료, 시트, 적층판, 수지가 부착된 동박, 동장 적층판(銅張積層板), TAB용 테이프, 프린트 기판, 프리프레그 및 접착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투명성 및 내열성이 우수하고 선팽창율 및 흡습성이 낮으며, 특히 높은 투명성을 실현할 수 있는 광회로 형성 재료를 얻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열경화성 수지 및(또는) 광경화성 수지 100중량부와 무기 화합물 0.1 내지 65중량부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이며, 수지 조성물의 유리 전이 온도보다도 10℃ 높은 온도로부터 수지 조성물의 유리 전이 온도보다도 50℃ 높은 온도까지의 평균 선팽창율(α2)이 17×1O-5[℃-1] 이하인 수지 조성물이다.
이하에 본 발명을 상술한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수지 조성물의 유리 전이 온도(이하, Tg라고도 한다)보다도 10℃ 높은 온도로부터 수지 조성물의 유리 전이 온도보다도 50℃ 높은 온도까지의 평균 선팽창율(이하, α2라고도 한다)이 17×1O-5[℃-1] 이하이다. 17×1O-5[℃-1] 이하임으로써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수지 재료는 고온에서열처리되었을 때의 치수 변화가 작고, 동박 등과 접합시켰을 때에 수축률의 차이로부터 휨이 발생하거나 박리되거나 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15×1O-5[℃-1]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2×1O-5[℃-1] 이하이다. 또, 상기 평균 선팽창율은 JIS K7197에 준한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가 있고, 예를 들면 TMA(Thermomechanical Analysis) 장치(세이코 전자사 제품, TMA/SS120C)를 이용하여 약 3mm×15mm의 시험편을 승온 속도 5℃/분으로 승온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상기 α2를 수지 조성물의 Tg보다도 50℃ 낮은 온도로부터 수지 조성물의 유리 전이 온도보다도 1O℃ 낮은 온도까지의 평균 선팽창율(이하, α1라고도 한다)로 나누어 구한 평균 선팽창율비(α2/α1)가 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2 이하이면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수지 재료는 Tg 부근에서의 치수 변화가 작아, 적층 재료나 접합 재료로 했을 때에 Tg 부근에서 주름이나 휨이 발생하지 않는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85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75 이하이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50 내지 100℃에서의 평균 선팽창율이 10×1O-5[℃-1] 이하이며, 200 내지 240℃에서의 평균 선팽창율이 25×1O-5[℃-1]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50 내지 100℃에서의 평균 선팽창율이 10×1O-5[℃-1] 이하이며, 200 내지 240℃에서의 평균 선팽창율이 25×1O-5[℃-1] 이하이면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수지 재료는 통상의 사용 조건하에서의 치수 변화가 작아, 정밀한 정밀도가 필요해지는 전자 재료 등에 적합하며, 또한, 솔더 리플로우 등의 고온 처리를 행하는 제조 공정 등에 있어서 휨이나 박리가 발생하는 일이 없다. 50 내지 100℃에서의 평균 선팽창율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8×1O-5[℃-1]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6×1O-5[℃-1] 이하이다. 200 내지 240℃에서의 평균 선팽창율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20×1O-5[℃-1]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5×1O-5[℃-1] 이하이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150 내지 200℃에서의 평균 선팽창율을 50 내지100℃에서의 평균 선팽창율로 나누어 구한 평균 선팽창율비(1)가 2.5 이하이며, 또한 250 내지 300℃에서의 평균 선팽창율을 50 내지 100℃에서의 평균 선팽창율로 나누어 구한 평균 선팽창율비(2)가 4.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평균 선팽창율비(1)가 2.5 이하이며, 평균 선팽창율비(2)가 4.5 이하이면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수지 재료는 가열에 대한 치수 안정성이 좋아 무연납의 리플로우 등의 고온 처리를 행하는 제조 공정 등에 있어서도, 휨이나 박리가 발생하지 않아 고온에서 사용되는 용도에 적합하다. 평균 선팽창율비(1)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2.2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이하이다. 평균 선팽창율(2)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5 이하이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수지편을 25℃에서 300℃까지 승온했을 때의 길이의 변화량을,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수지편의 25℃에서의 길이로 나누어 구한 변화율이 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5% 이하이면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수지 재료는 온도에 대한 치수 안정성이 좋아,다른 재료와 적층하거나 접합시켜 이용했을 경우에도 제조시나 사용시에 휨이나 박리를 발생시키는 일이 없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4.5%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4% 이하이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하기 수학식 1로 표시되는 평균 선팽창율비(3)가 1.0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 α(℃)는 50℃ 이상 400℃ 이하이며, 또한 Tg에 걸쳐 평균 선팽창율비(3)를 구하는 경우는 제외한다.
평균 선팽창율비(3)가 1.05 이하이면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수지 재료는 치수 안정성이 좋아, 다른 재료와 적층하거나 또는 접합시킨 경우에도 제조시 및 사용시에 휨이나 박리를 발생시키는 일이 없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04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3 이하이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수지 조성물의 유리 전이 온도보다도 10℃ 높은 온도로부터 수지 조성물의 유리 전이 온도보다도 50℃ 높은 온도까지의 수지 조성물의 평균 선팽창율(α2)을, 상기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보다도 10℃ 높은 온도로부터 상기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보다도 50℃ 높은 온도까지의 상기 수지의 평균 선팽창율로 나누어 구한 개선율이 0.98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0.98 이하이면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수지 재료는 무기 화합물에 의한 고온 물성이 충분한 개선이 얻어져, 고온 처리를 행하는 제조 공정이나 고온에서의 사용에 있어서 장애를 발생하는 일이 없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90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75 이하이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상술한 바와 같이 유리 전이 온도 이상의 고온에 있어서의 평균 선팽창율이 낮기 때문에, 고온에서의 치수 안정성 등의 고온 물성을 향상시켜 도금 공정, 경화 공정, 무연납의 리플로우 공정 등의 고온 처리 공정에서도 휨이나 박리를 발생하는 일이 없는 수지 재료에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140℃에서의 인장 탄성율이 10MPa 이상, 1MHz에서의 유전율이 4.5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을 TAB용 테이프로서 이용하는 경우, 140℃에서의 인장 탄성율이 10MPa 미만이면, 필요한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두께를 증가시킬 필요가 있어 소형의 TAB를 제작할 수 없게 되는 수가 있고, 또한 1MHz에서의 유전율이 4.5를 초과하면, 충분한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두께를 증가시킬 필요가 있어 소형의 TAB를 제작할 수 없게 되는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흡수율이 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율이 2.0%를 초과하면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기판을 제작하는 경우, 건조(bone-dry)시와 흡수시에 치수 변화가 발생하기 때문에 미세 배선이 곤란해져 소형화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흡수율이 2.0% 이하, 1MHz에서의 유전율이 4.5 이하이며 흡수 처리 후의 유전율이 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함으로써 전기 특성이 크게 변화하면 신뢰성을 유지할 수 없게 되는 수가 있고, 또한 솔더 리플로우 등의 제조 공정에서 재료가 터져버려 수율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또, 상기 흡수율은 두께 50 내지 100㎛의 필름을 3×5cm의 단책상(短冊牀)으로 한 시험편에 대하여 150℃에서 5시간 건조시켰을 때의 무게 W1과, 100℃의 끓는 물 속에 1시간 방치한 후에 표면을 잘 닦아냈을 때의 무게 W2를 측정하여 하기 수학식 2에 의해 구한 값이다.
흡수율(%)=(W2-W1)/W1×100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두께 25㎛의 수지 시트로 성형했을 때에 절연 저항이 108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기판 등을 제작했을 경우, 충분한 절연 성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최저 25㎛의 두께가 필요한데, 이 두께에서의 절연 저항이 108Ω 이상이면 높은 절연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유리 전이 온도가 1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리 전이 온도가 100℃ 이상이면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을 기판 등에 이용했을 경우, 고온 물성, 특히 무연납 내열성이나 가열에 대한 치수 안정성이 향상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4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 이상이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260℃에서의 파단 신장율이 1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260℃에서의 파단 신장율이 10% 이상이면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을 기판등에 사용했을 경우, 솔더 리플로우 공정에서 다른 기재에 대한 추종이 뛰어나게 된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상술한 우수한 고온 물성을 갖는 것이며, 열경화성 수지와 무기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이다. 상기 열경화성 수지 또는 광경화성 수지는 상온에서는 액상, 반고형상 또는 고형상 등이며, 상온하 또는 가열하에서 유동성을 나타내는 비교적 저분자량의 물질이 경화제, 촉매, 열 또는 광의 작용에 의해 경화 반응이나 가교 반응 등의 화학 반응을 일으켜 분자량을 증대시키면서 그물상의 삼차원 구조를 형성한 불용성의 수지가 될 수 있는 수지를 의미한다.
상기 열경화성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에폭시 수지, 열경화형 변성 폴리페닐렌에테르 수지, 열경화형 폴리이미드 수지, 규소 수지, 벤조옥사진 수지, 멜라민 수지, 유리아 수지, 알릴 수지, 페놀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비스말레이미드트리아진 수지, 알키드 수지, 푸란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아닐린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에폭시 수지, 열경화형 변성 폴리페닐렌에테르 수지, 열경화형 폴리이미드 수지, 규소 수지, 벤조옥사진 수지, 및 멜라민 수지 등이 적합하다. 이들 열경화성 수지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상기 에폭시 수지란, 적어도 1개의 에폭시기를 갖는 유기 화합물을 말한다. 상기 에폭시 수지 중의 에폭시기의 수로서는 1분자당 1개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분자당 2개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1분자당의 에폭시기의 수는 에폭시 수지 중의 에폭시기의 총 수를 에폭시 수지 중의 분자의 총수로 나눔으로써구할 수 있다.
상기 에폭시 수지로서는 종래 공지된 에폭시 수지를 사용할 수가 있고, 예를 들면 이하에 나타낸 에폭시 수지(1) 내지 에폭시 수지(11)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에폭시 수지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상기 에폭시 수지(1)로서는, 예를 들면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 F형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 AD형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 S형 에폭시 수지 등의 비스페놀형 에폭시 수지; 페놀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크레졸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등의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트리스페놀메탄트리글리시딜에테르 등의 방향족 에폭시 수지, 및 이들의 수소화물 또는 브롬화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에폭시 수지(2)로서는, 예를 들면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3,4-에폭시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3,4-에폭시-2-메틸시클로헥실메틸-3,4-에폭시-2-메틸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비스(3,4-에폭시시클로헥실)아디페이트, 비스(3,4-에폭시시클로메틸)아디페이트, 비스(3,4-에폭시-6-메틸시클로헥실메틸)아디페이트, 2-(3,4-에폭시시클로헥실-5,5-스피로-3,4-에폭시)시클로헥사논-메트-디옥산 및 비스(2,3-에폭시시클로펜틸)에테르 등의 지환족 에폭시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에폭시 수지(2) 중 시판되고 있는 것으로서는, 예를 들면 다이셀 가가꾸 고교사 제품의 상품명 "EHPE-3150"(연화 온도 71℃)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에폭시 수지(3)으로서는, 예를 들면 1,4-부탄디올의 디글리시딜에테르, 1,6-헥산디올의 디글리시딜에테르, 글리세린의 트리글리시딜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의 트리글리시딜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의 디글리시딜에테르, 폴리프로필렌글리콜의 디글리시딜에테르, 탄소수가 2 내지 9(바람직하게는 2 내지 4)의 알킬렌기를 함유하는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이나 폴리테트라메틸렌에테르글리콜 등을 포함하는 장쇄 폴리올의 폴리글리시딜에테르 등의 지방족 에폭시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에폭시 수지(4)로서는, 예를 들면 프탈산 디글리시딜에스테르, 테트라히드로프탈산 디글리시딜에스테르, 헥사히드로프탈산 디글리시딜에스테르, 디글리시딜-p-옥시벤조산, 살리실산의 글리시딜에테르-글리시딜에스테르, 다이머산 글리시딜에스테르 등의 글리시딜에스테르형 에폭시 수지 및 이들 수소화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에폭시 수지(5)로서는, 예를 들면 트리글리시딜이소시아누레이트, 환상 알킬렌유리아의 N,N'-디글리시딜 유도체, p-아미노페놀의 N,N,O-트리글리시딜 유도체, m-아미노페놀의 N,N,O-트리글리시딜 유도체 등의 글리시딜아민형 에폭시 수지 및 이들의 수소화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에폭시 수지(6)로서는, 예를 들면 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와 에틸렌, 아세트산 비닐,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등의 라디칼 중합성 모노머와의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에폭시 수지(7)로서는, 예를 들면 에폭시화 폴리부타디엔 등의 공액 디엔 화합물을 주체로 하는 중합체 또는 그 부분 수소화물의 중합체에서의 불포화 탄소의 이중 결합을 에폭시화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에폭시 수지(8)로서는, 예를 들면 에폭시화 SBS 등과 같은, 비닐 방향족 화합물을 주체로 하는 중합체 블록과, 공액 디엔 화합물을 주체로 하는 중합체 블록 또는 그 부분 수소화물의 중합체 블록을 동일 분자내에 갖는 블록 공중합체에서의, 공액 디엔 화합물의 불포화 탄소의 이중 결합을 에폭시화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에폭시 수지(9)로서는, 예를 들면 1분자당 1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2개 이상의 에폭시기를 갖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에폭시 수지(10)로서는, 예를 들면 상기 에폭시 수지 (1) 내지 (9)의 구조 중에 우레탄 결합 또는 폴리카프로락톤 결합을 도입한, 우레탄 변성 에폭시 수지 또는 폴리카프로락톤 변성 에폭시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에폭시 수지(11)로서는, 예를 들면 상기 에폭시 수지 (1) 내지 (10)에 NBR, CTBN, 폴리부타디엔, 아크릴 고무 등의 고무 성분을 함유시킨 고무 변성 에폭시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 에폭시 수지 이외에 적어도 1개의 옥시란환을 갖는 수지 또는 올리고머가 첨가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에폭시 수지의 경화 반응에 사용하는 경화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종래 공지된 에폭시 수지용의 경화제를 사용할 수가 있고, 예를 들면 아민 화합물, 아민 화합물로부터 합성되는 폴리아미노아미드 화합물 등의 화합물, 3급 아민 화합물, 이미다졸 화합물, 히드라지드 화합물, 멜라민 화합물, 산무수물, 페놀 화합물, 열잠재성 양이온 중합 촉매, 광잠재성 양이온 중합 개시제, 디시안아미드 및 그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경화제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상기 아민 화합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에틸렌디아민, 디에틸렌트리아민, 트리에틸렌테트라민, 테트라에틸렌펜타민, 폴리옥시프로필렌디아민, 폴리옥시프로필렌트리아민 등의 쇄상 지방족 아민 및 그 유도체; 멘센디아민, 이소포론디아민, 비스(4-아미노-3-메틸시클로헥실)메탄, 디아미노디시클로헥실메탄, 비스(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 N-아미노에틸피페라진, 3,9-비스(3-아미노프로필)-2,4,8,10-테트라옥사스피로(5,5)운데칸 등의 환상 지방족 아민 및 그 유도체; m-크실렌디아민, α-(m/p-아미노페닐)에틸아민, m-페닐렌디아민, 디아미노디페닐메탄, 디아미노디페닐술폰, α,α-비스(4-아미노페닐)-p-디이소프로필벤젠 등의 방향족 아민 및 그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아민 화합물로부터 합성되는 화합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상기 아민 화합물과 숙신산, 아디프산, 아젤라인산, 세바신산, 도데카2산,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디히드로이소프탈산, 테트라히드로이소프탈산, 헥사히드로이소프탈산 등의 카르복실산 화합물로부터 합성되는 폴리아미노아미드 화합물 및 그 유도체; 상기 아민 화합물과 디아미노페닐메탄비스말레이미드 등의 말레이미드 화합물로부터 합성되는 폴리아미노이미드 화합물 및 그 유도체; 상기 아민 화합물과 케톤 화합물로 합성되는 케티민 화합물 및 그 유도체; 상기 아민 화합물과 에폭시 화합물, 유리아, 티오유리아, 알데히드 화합물, 페놀 화합물, 아크릴 화합물 등의 화합물로 합성되는 폴리아미노 화합물 및 그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3급 아민 화합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N,N-디메틸피페라진, 피리딘, 피콜린, 벤젤디메틸아민, 2-(디메틸아미노메틸)페놀, 2,4,6-트리스(디메틸아미노메틸)페놀, 1,8-디아조비스시클로(5,4,0)운데센-1 및 그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이미다졸 화합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2-메틸이미다졸, 2-에틸-4-메틸이미다졸, 2-운데실이미다졸, 2-헵타데실이미다졸, 2-페닐이미다졸 및 그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히드라지드 화합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1,3-비스(히드라지노카르보에틸)-5-이소프로필히단토인, 7,11-옥타데칸디엔-1,18-디카르보히드라지드, 에이코산2산 디히드라지드, 아디프산 디히드라지드 및 그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멜라민 화합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2,4-디아미노-6-비닐-1,3,5-트리아진 및 그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산무수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프탈산 무수물, 트리멜리트산 무수물, 피로멜리트산 무수물, 벤조페논테트라카르복실산 무수물, 에틸렌글리콜 비스(안히드로)트리멜리테이트, 글리세롤 트리스(안히드로)트리멜리테이트, 메틸테트라히드로 무수 프탈산, 테트라히드로 무수 프탈산, 나딕산 무수물, 메틸나딕산 무수물, 트리알킬테트라히드로 무수 프탈산, 헥사히드로 무수 프탈산, 메틸헥사히드로 무수 프탈산, 5-(2,5-디옥소테트라히드로푸릴)-3-메틸-3-시클로헥센-1,2-디카르복실산 무수물, 트리알킬테트라히드로 무수 프탈산-무수 말레인산 부가물, 도데세닐 무수 숙신산, 폴리아젤라인산 무수물, 폴리도데칸2산 무수물, 클로렌드산 무수물 및 그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페놀 화합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페놀노볼락, o-크레졸노볼락, p-크레졸노볼락, t-부틸페놀노볼락, 디시클로펜타디엔크레졸 및 그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열잠재성 양이온 중합 촉매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6불화 안티몬, 6불화 인, 4불화 붕소 등을 대 음이온(counter anion)으로 한 벤질술포늄염, 벤질암모늄염, 벤질피리디늄염, 벤질포스포늄염 등의 이온성 열잠재성 양이온 중합 촉매; N-벤질프탈이미드, 방향족 술폰산 에스테르 등의 비이온성 열잠재성 양이온 중합 촉매를 들 수 있다.
상기 광잠재성 양이온 중합 촉매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6불화 안티몬, 6불화 인, 4불화 붕소 등을 대 음이온으로 한 방향족 디아조늄염, 방향족 할로늄염 및 방향족 술포늄염등의 오늄염(onium salt)류, 그리고 철-알렌 착체, 티타노센 착체 및 아릴실란올-알루미늄 착체 등의 유기 금속 착체류 등의 이온성 광잠재성 양이온 중합 개시제; 니트로벤질에스테르, 술폰산 유도체, 인산 에스테르, 페놀술폰산 에스테르, 디아조나프토퀴논, N-히드록시이미드술포네이트 등의 비이온성 광잠재성 양이온 중합 개시제를 들 수 있다.
상기 열경화형 변성 폴리페닐렌에테르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상기 폴리페닐렌에테르 수지를 글리시딜기, 이소시아네이트기, 아미노기 등의 열경화성을 갖는 관능기로 변성한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열경화형 변성 폴리페닐렌에테르 수지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상기 열경화성 폴리이미드 수지로서는 분자 주쇄 중에 이미드 결합을 갖는수지이고,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방향족 아민과 방향족 테트라카르복실산의 축합 중합체, 방향족 디아민과 비스말레이미드의 부가 중합체인 비스말레이미드 수지, 아미노벤조산 히드라지드와 비스말레이미드의 부가 중합체인 폴리아미노비스말레이미드 수지, 디시아네이트 화합물과 비스말레이미드 수지로 이루어지는 비스말레이미드트리아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비스말레이미드트리아진 수지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러한 열경화성 폴리이미드 수지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상기 규소 수지로서는 분자쇄 중에 규소-규소 결합, 규소-탄소 결합, 실록산 결합 또는 규소-질소 결합을 포함하는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폴리실록산, 폴리카르보실란, 폴리실라잔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벤조옥사진 수지로서는 벤조옥사진 모노머의 옥사진환의 개환 중합에 의해 얻어지는 것이다. 상기 벤조옥사진 모노머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옥사진환의 질소에 페닐기, 메틸기, 시클로헥실기 등의 관능기가 결합된 것을 들 수 있다.
상기 유리아 수지로서는 요소와 포름알데히드의 부가 축합 반응에서 얻어지는 열경화성 수지이다. 상기 유리아 수지의 경화 반응에 사용되는 경화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무기산, 유기산, 산성황산 나트륨과 같은 산성염으로 이루어지는 현재성(non-latent) 경화제; 카르복실산 에스테르, 산무수물, 염화 암모늄, 인산 암모늄 등의 염류와 같은 잠재성 경화제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저장 수명 등에서 잠재성 경화제가 바람직하다.
상기 알릴 수지로서는 디알릴프탈레이트 모노머의 중합 및 경화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것이다. 상기 디알릴프탈레이트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면 올토체, 이소체, 테레체를 들 수 있다. 경화 반응의 촉매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t-부틸퍼벤조에이트와 디-t-부틸퍼옥시드와의 병용이 적합하다.
상기 열경화성 수지는, 유리 전이 온도가 100℃ 이상이며, 또한 1MHz 에서의 유전율이 4.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리 전이 온도가 100℃ 이상이며, 또한 1MHz 에서의 유전율이 4.5 이하임으로써,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수지 재료는 고온 물성, 특히 무연납 내열성이나 가열에 대한 치수 안정성이 개선되어 전자 재료로서 필요한 높은 신뢰성을 얻을 수가 있으며, 또한 고주파수 영역에서의 신호의 전달 속도에서도 전자 재료로서 필요한 전달 속도를 얻을 수 있다. 유리 전이 온도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140℃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 이상이다. 1MHz의 유전률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6 이하이다.
상기 열경화성 수지는, Fedors의 계산식을 이용하여 구한 용해도 파라미터(SP값)가 42[J/㎤]1/2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Fedors의 계산식에 따르면, SP값은 각 원자단의 몰 응집 에너지의 합을 체적으로 나눈 것의 평방근이 되어 단위 체적당의 극성을 나타낸다. SP값이 42[J/㎤]1/2이상임으로써 커다란 극성을 갖기 때문에 화학 처리된 층상 규산염 등의 무기 화합물과의 상용성이 좋아, 무기 화합물로서 층상 규산염을 이용했을 경우이더라도 층상 규산염의 층간을 넓혀 한층씩 분산시킬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46.2[J/㎤]1/2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2.5[J/㎤]1/2이상이다.
상기 SP값이 42[J/㎤]1/2이상인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에폭시 수지, 페놀 수지, 유리아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알릴 수지, 열경화성 폴리이미드 수지, 비스말레이미드트리아진 수지, 열경화성 변성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규소 수지, 벤조옥사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열경화성 수지는, 질소 분위기 중에서의 열중량 측정을 했을 경우에 10% 중량 감소 온도가 4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400℃ 이상임으로써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수지 재료는 무연납의 리플로우 공정 등의 고온 처리 공정에서 아웃 가스를 발생하지 않아 전자 재료로서 적합하게 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450℃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00℃ 이상이다. 상기 질소 분위기 중에서의 열중량 측정에 있어서의 10% 중량 감소 온도가 400℃ 이상인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열경화성 폴리이미드 수지, 액정 수지, 폴리술폰 수지, 폴리에테르술폰 수지, 폴리옥사디아졸 수지,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무기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이다.
상기 무기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층상 규산염, 탈크, 실리카, 알루미나, 글래스 비드 등을 들 수 있지만, 그 중에서도 고온 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층상 규산염이 적합하게 이용된다. 또, 본 명세서에서 층상 규산염이란 층간에 교환성 금속 양이온을 갖는 층형의 규산염 광물을 의미하며 천연물일 수도 있고, 합성물일 수도 있다.
또한, 특히 높은 인장 탄성율이 필요한 경우에는 무기 화합물로서 층상 규산염 및 위스커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에 위스커를 배합하면 탄성율이 향상된다는 것은 알려져 있지만, 높은 인장 탄성율을 달성할 수 있을 정도로 위스커를 배합한 수지 조성물은 성형성이 나빠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서는 무기 화합물로서 층상 규산염과 위스커를 병용함으로써 소량의 위스커의 배합이라도 충분한 탄성율의 향상이 얻어진다.
상기 층상 규산염으로서는, 예를 들면 몬모릴로나이트, 헥토라이트, 사포나이트, 바이데라이트, 스티븐사이트 및 논트로나이트 등의 스멕타이트계 점토 광물, 팽윤성 운모, 버미큘라이트, 할로이사이트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몬모릴로나이트, 헥토라이트, 팽윤성 운모, 및 버미큘라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 적합하게 이용된다. 이러한 층상 규산염은 단독으로 이용될 수도 있고, 2종 이상이 병용될 수도 있다.
상기 층상 규산염의 결정 형상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평균 길이의 바람직한 하한은 0.01㎛, 상한은 3㎛, 두께의 바람직한 하한은 0.001㎛, 상한은 1㎛, 애스펙트비의 바람직한 하한은 20, 상한은 500이며, 평균 길이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0.05㎛, 상한은 2㎛, 두께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0.01㎛, 상한은 0.5㎛, 애스펙트비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50, 상한은 200이다.
상기 층상 규산염은 하기 수학식 3으로 정의되는 형상 이방성 효과가 큰 것이 바람직하다. 형상 이방성 효과가 큰 층상 규산염을 이용함으로써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수지는 우수한 역학적 물성을 갖는 것이 된다.
형상 이방성 효과=박편형 결정 적층면의 표면적/박편형 결정 적층 측면의 표면적
상기 층상 규산염의 층간에 존재하는 교환성 금속 양이온이란, 층상 규산염의 박편형 결정 표면에 존재하는 나트륨이나 칼슘 등의 금속 이온을 의미하여, 이러한 금속 이온은 양이온성 물질과의 양이온 교환성을 갖기 때문에 양이온성을 갖는 여러가지 물질을 상기 층상 규산염의 결정 층간에 삽입(intercalate)할 수 있다.
상기 층상 규산염의 양이온 교환 용량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한 하한은 50밀리등량/100g, 상한은 200밀리등량/100g이다. 50밀리등량/100g 미만이면 양이온 교환에 의해 층상 규산염의 결정 층간에 삽입되는 양이온성 물질의 양이 적어지기 때문에 결정 층간이 충분히 비극성화(소수화)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200밀리등량/100g을 초과하면 층상 규산염의 결정 층간의 결합력이 너무 강고해져 결정 박편이 박리되기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다.
상기 무기 화합물로서 층상 규산염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경우, 층상 규산염을 화학 수식하여 수지와의 친화성을 높임으로써 수지 중으로의 분산성이 향상된 것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화학 처리에 의해 수지 중에 층상 규산염을 대량으로 분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수지, 또는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을 제조할 때에 이용되는 용매에 적합한 화학 수식을 층상 규산염에 실시하지 않는 경우, 층상 규산염은 응집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대량으로 분산시킬 수 없지만, 수지 또는 용매에 적합한 화학 수식을 실시함으로써, 층상 규산염은 10 중량부 이상 첨가한 경우에도 수지 중에 응집하지 않고 분산시킬 수 있다. 상기 화학 수식으로서는, 예를 들면 이하에 나타내는 화학 수식(1)법 내지 화학 수식(6)법에 의해서 실시할 수 있다. 이러한 화학 수식 방법은 단독으로 이용될 수도 있고, 2종 이상이 병용될 수도 있다.
상기 화학 수식(1)법은,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에 의한 양이온 교환법이라고도 하며 구체적으로는 저 극성 수지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을 얻을 때에 미리 층상 규산염의 층간을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로 양이온 교환하여 소수화해 두는 방법이다. 미리 층상 규산염의 층간을 소수화해 둠으로써 층상 규산염과 저 극성 수지와의 친화성이 높아져 층상 규산염을 저 극성수지 중에 보다 균일하게 미분산시킬 수 있다.
상기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4급 암모늄염, 4급 포스포늄염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층상 규산염의 결정 층간을 충분히 소수화할 수 있으므로 탄소수 6 이상의 알킬암모늄 이온, 방향족 4급 암모늄 이온 또는 복소환 4급 암모늄 이온이 적합하게 이용된다.
상기 4급 암모늄염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트리메틸알킬암모늄염, 트리에틸알킬암모늄염, 트리부틸알킬암모늄염, 디메틸디알킬암모늄염, 디부틸디알킬암모늄염, 메틸벤질디알킬암모늄염, 디벤질디알킬암모늄염, 트리알킬메틸암모늄염, 트리알킬에틸암모늄염, 트리알킬부틸암모늄염; 벤질메틸{2-[2-(p-1,1,3,3-테트라메틸부틸페녹시)에톡시]에틸}암모늄클로라이드 등의 방향환을 갖는 4급 암모늄염; 트리메틸페닐암모늄 등의 방향족 아민 유래의 4급 암모늄염; 알킬피리디늄염, 이미다졸륨염 등의 복소환을 갖는 4급 암모늄염; 폴리에틸렌글리콜쇄를 2개 갖는 디알킬 4급 암모늄염, 폴리프로필렌글리콜쇄를 2개 갖는 디알킬 4급 암모늄염, 폴리에틸렌글리콜쇄를 1개 갖는 트리알킬 4급 암모늄염, 폴리프로필렌글리콜쇄를 1개 갖는 트리알킬 4급 암모늄염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라우릴트리메틸암모늄염, 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염, 트리옥틸메틸암모늄염, 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염, 디경화 우지 디메틸암모늄염, 디스테아릴디벤질암모늄염, N-폴리옥시에틸렌-N-라우릴-N,N-디메틸암모늄염 등이 적합하다. 이러한 4급 암모늄염은 단독으로 이용될 수도 있고, 2종 이상이 병용될 수도 있다.
상기 4급 포스포늄염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도데실트리페닐포스포늄염, 메틸트리페닐포스포늄염, 라우릴트리메틸포스포늄염, 스테아릴트리메틸포스포늄염, 트리옥틸메틸포스포늄염, 디스테아릴디메틸포스포늄염, 디스테아릴디벤질포스포늄염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4급 포스포늄염은 단독으로 이용될 수도 있고, 2종 이상이 병용될 수도 있다.
상기 화학 수식(2)법은 화학 수식(1)법으로 화학 처리된 유기화 층상 규산염의 결정 표면에 존재하는 수산기를 수산기와 화학 결합할 수 있는 관능기 또는 수산기와의 화학적 친화성이 큰 관능기를 분자 말단에 1개 이상 갖는 화합물로 화학 처리하는 방법이다.
상기 수산기와 화학 결합할 수 있는 관능기 또는 수산기와의 화학적 친화성이 큰 관능기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알콕시기, 글리시딜기, 카르복실기(이염기성 산무수물 포함), 수산기, 이소시아네이트기, 알데히드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수산기와 화학 결합할 수 있는 관능기를 갖는 화합물 또는 수산기와의 화학적 친화성이 큰 관능기를 갖는 화합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상기 관능기를 갖는실란 화합물, 티타네이트 화합물, 글리시딜 화합물, 카르복실산류, 알코올류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화합물은 단독으로 이용될 수도 있고, 2종 이상이 병용될 수도 있다.
상기 실란 화합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에톡시실란, 비닐트리스(β-메톡시에톡시)실란, γ-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γ-아미노프로필디메틸메톡시실란, γ-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γ-아미노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γ-아미노프로필디메틸에톡시실란, 메틸트리에톡시실란, 디메틸디메톡시실란, 트리메틸메톡시실란, 헥실트리메톡시실란, 헥실트리에톡시실란, N-β-(아미노에틸)γ-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β-(아미노에틸)γ-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N-β-(아미노에틸)γ-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옥타데실트리메톡시실란, 옥타데실트리에톡시실란, γ-메타크릴옥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γ-메타크릴옥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γ-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실란 화합물은 단독으로 이용될 수도 있고, 2종 이상이 병용될 수도 있다.
상기 화학 수식(3)법은, 화학 수식(1)법으로 화학 처리된 유기화 층상 규산염의 결정 표면에 존재하는 수산기를 수산기와 화학 결합할 수 있는 관능기 또는 수산기와 화학적 친화성이 큰 관능기와 반응성 관능기를 분자 말단에 1개 이상 갖는 화합물로 화학 처리하는 방법이다.
상기 화학 수식(4)법은, 화학 수식(1)법으로 화학 처리된 유기화 층상 규산염의 결정 표면을 음이온성 계면 활성을 갖는 화합물로 화학 처리하는 방법이다.
상기 음이온성 계면 활성을 갖는 화합물로서는 이온 상호 작용에 의해 층상 규산염을 화학 처리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라우릴산 나트륨, 스테아린산 나트륨, 올레인산 나트륨, 고급 알코올 황산 에스테르염, 제2급 고급 알코올 황산 에스테르염, 불포화 알코올 황산 에스테르염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화합물은 단독으로 이용될 수도 있고, 2종 이상이 병용될 수도 있다.
상기 화학 수식(5)법은, 상기 음이온성 계면 활성을 갖는 화합물 중, 분자쇄 중의 음이온 부위 이외로 반응성 관능기를 1개 이상 갖는 화합물로 화학 처리하는 방법이다.
상기 화학 수식(6)법은, 화학 수식(1)법 내지 화학 수식(5)법 중 어느 방법이나 화학 처리된 유기화 층상 규산염에 추가로, 예를 들면 무수 말레산 변성 폴리페닐렌에테르 수지와 같은 층상 규산염과 반응 가능한 관능기를 갖는 수지를 이용하는 방법이다.
상기 층상 규산염은,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 중에 광각 X선 회절 측정법에의해 측정한 (001)면의 평균 층간 거리가 3nm 이상이며, 또한, 일부 또는 전부의 적층체가 5층 이하이도록 분산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평균 층간 거리가 3nm 이상이며, 또한, 일부 또는 전부의 적층체가 5층 이하이도록 층상 규산염이 분산하고 있음으로써 수지와 층상 규산염과의 계면 면적은 충분히 크고, 또한, 층상 규산염의 박편형 결정 사이의 거리는 적절한 것이 되어 고온 물성, 역학적 물성, 내열성, 치수 안정성 등에 있어서 분산에 의한 개선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가 있다.
상기 평균 층간 거리의 바람직한 상한은 5nm이다. 5nm을 초과하면 층상 규산염의 결정 박편이 층마다 분리되어 상호 작용이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약해지므로 고온에서의 속박 강도가 약해져 충분한 치수 안정성을 얻을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 층상 규산염의 평균 층간 거리란, 층상 규산염의 박편형 결정을 층이라고 간주했을 경우에서의 층간 거리의 평균을 의미하여, X선 회절 피크 및 투과형 전자 현미경 촬영, 즉, 광각 X선 회절 측정법에 의해 산출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일부 또는 전부의 적층체가 5층 이하이도록 층상 규산염이 분산하고 있다는 것은 구체적으로는, 층상 규산염의 박편형 결정 사이의 상호 작용이 약해져 박편형 결정 적층체의 일부 또는 전부가 분산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층상 규산염 적층체의 10% 이상이 5층 이하로 하여 분산되어 있고, 층상 규산염의 적층체의 20% 이상이 5층 이하로 하여 분산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5층 이하의 적층체로서 분산되어 있는 층상 규산염의 비율은 수지 조성물을 투과형 전자 현미경에 의해 5만 내지 10만배로 확대하여 관찰하여 일정 면적중에서 관찰할 수 있는 층상 규산염의 적층체의 전층 수 X 및 5층 이하의 적층체로서 분산되어 있는 적층체의 층 수 Y를 계측함으로써 하기 수학식 4로부터 산출할 수 있다.
5층 이하의 적층체로서 분산되어 있는 층상 규산염의 비율(%)=(Y/X)×100
또한, 층상 규산염의 적층체에 있어서의 적층 수로서는 층상 규산염의 분산에 의한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5층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층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층이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상기 무기 화합물로서 층상 규산염을 이용하여 광각 X선 회절 측정법에 의해 측정한 (001)면의 평균 층간 거리가 3nm 이상이며, 또한, 일부 또는 전부의 적층체가 5층 이하인 층상 규산염이 분산되어 있는 것으로 함으로써 수지와 층상 규산염과의 계면 면적이 충분히 커져 수지와 층상 규산염의 표면과의 상호 작용이 커지고, 용융 점도가 높아져 열프레스 등의 성형성이 향상되는 것 외에 요철, 엠보싱 등의 부형된 형상도 유지하기 쉬우며 또한, 상온으로부터 고온까지의 넓은 온도 영역에서 탄성율 등의 역학적 물성이 향상되고 수지의 Tg 또는 융점 이상의 고온에서도 역학적 물성을 유지할 수가 있어 고온 시의 선팽창율도 낮게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는 분명하지 않지만, Tg 또는 융점 이상의 온도 영역에서도 미분산 상태의 층상 규산염이 일종의 의사 가교점으로서 작용하고 있기때문에 이들 물성이 발현한다고 생각된다. 한편, 층상 규산염의 박편형 결정 사이의 거리도 적절한 것이 되기 때문에 연소 시에 층상 규산염의 박편형 결정이 이동하여 난연 피막이 되는 소결체를 형성하기 쉬워진다. 이 소결체는 연소 시의 빠른 단계에서 형성되기 때문에 외계에서의 산소의 공급을 차단할 뿐만 아니라, 연소에 의해 발생하는 가연성 가스까지도 차단하는 것이 가능하여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우수한 난연성을 발현한다.
또한,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서는 나노미터 사이즈로 층상 규산염이 미분산되어 있으므로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기판 등에 탄산 가스 레이저 등의 레이저에 의해 천공 가공을 실시한 경우, 수지 성분과 층상 규산염 성분이 동시에 분해 증발하여 부분적으로 잔존하는 층상 규산염의 잔사도 수㎛ 이하의 작은 것 뿐이며 데스미아 가공에 의해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천공 가공에 의해 발생하는 잔사에 의해서 도금 불량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수지 중에 층상 규산염을 분산시키는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유기화 층상 규산염을 이용하는 방법, 수지와 층상 규산염을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혼합한 후에 수지를 발포제에 의해 발포시키는 방법, 분산제를 이용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분산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수지 중에 층상 규산염을 보다 균일하고 또한 미세하게 분산시킬 수 있다.
상기 수지와 층상 규산염을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혼합한 후에 수지를 발포제에 의해 발포시키는 방법은 발포에 의한 에너지를 층상 규산염의 분산에 이용하는 것이다. 상기 발포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기체상 발포제, 역 휘발성 액상 발포제, 가열 분해형 고체상 발포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발포제는 단독으로 이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이 병용될 수도 있다.
상기 수지와 층상 규산염을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혼합한 후에 수지를 발포제에 의해 발포시키는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수지와 층상 규산염으로 이루어지는 수지 조성물에 기체상 발포제를 고압하에 함침시킨 후, 이 기체상 발포제를 상기 수지 조성물 내에서 기화시켜 발포체를 형성하는 방법; 층상 규산염의 층간에 미리 가열 분해형 발포제를 함유시키고, 그 가열 분해형 발포제를 가열에 의해 분해시켜 발포체를 형성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무기 화합물의 상기 열경화성 수지 100중량부에 대한 배합량의 하한은 0.1중량부, 상한은 65중량부이다. 0.1중량부 미만이면 고온 물성이나 흡습성의 개선 효과가 작아진다. 65중량부를 초과하면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의 밀도(비중)이 높아지고 기계적 강도도 저하되므로 실용성이 떨어지게 된다. 바람직한 하한은 1중량부, 상한은 45중량부이다. 1중량부 미만이면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을 얇게 성형했을 때에 충분한 고온 물성의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없는 경우가 있다. 45중량부를 초과하면 성형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5중량부, 상한은 30중량부이다. 5 내지 30중량부이면 역학적 물성, 공정적성에 있어서 문제가 되는 영역이 없어 충분한 난연성이 얻어진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 중, 무기 화합물로서 층상 규산염을 이용하는 경우, 상기 층상 규산염의 배합량의 하한은 1중량부, 상한은 50중량부가 바람직하다. 1중량부 미만이면 고온 물성이나 흡습성의 개선 효과가 작아지는 경우가 있다. 50중량부를 초과하면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의 밀도(비중)이 높아지고, 기계적 강도도 저하되므로 실용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5중량부, 상한은 45중량부이다. 5중량 미만이면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을 얇게 성형했을 때에 충분한 고온 물성의 개선 효과가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45중량부를 초과하면 층상 규산염의 분산성이 나빠지는 경우가 있다.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8중량부이며, 상한은 40중량부이다. 8 내지 40중량부이면 공정 적성에서 문제가 되는 영역이 없어 충분한 저흡수성이 얻어지고, 또한, 평균 선팽창율의 저감 효과가 α1 및 α2의 양쪽 영역에서도 충분히 얻어진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또한, 할로겐계 조성물을 함유하지 않는 난연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난연제의 제조 공정상의 형편 등에 의해 미량의 할로겐이 혼입되는 것은 상관없다.
상기 난연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수산화 알루미늄, 수산화 마그네슘, 도르소나이트, 알루민산화 칼슘, 2수화 석고, 수산화 칼슘 등의 금속 수산화물; 금속 산화물; 적린 또는 폴리 인산암모늄 등의 인계 화합물; 멜라민, 멜라민시아누레이트, 멜라민이소시아누레이트, 인산멜라민 및 이것들에 표면 처리를 실시한 멜라민 유도체 등의 질소계 화합물; 불소 수지; 실리콘 오일; 히드로탈사이트 등의 층상 복수화물; 실리콘-아크릴 복합 고무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금속 수산화물 및 멜라민 유도체가 적합하다. 상기 금속 수산화물 중에서도 특히 수산화 마그네슘, 수산화 알루미늄이 바람직하고, 이들은 각종 표면 처리제에 의해 표면 처리가 실시된 것이어도 좋다. 상기 표면 처리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실란커플링제, 티타네이트계 커플링제, PVA계 표면 처리제, 에폭시계 표면 처리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난연제는 단독으로 이용될 수도 있고, 2종 이상이 병용될 수도 있다.
상기 난연제로서 금속 수산화물을 이용했을 경우, 금속 수산화물의 열경화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한 바람직한 배합량의 하한은 O.1중량부, 상한은 100중량부이다. 0.1중량부 미만이면 난연화 효과가 충분히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100중량부를 초과하면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의 밀도(비중)이 너무 높아져 실용성이 떨어지거나 유연성이나 신장도가 극단적으로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5중량부, 상한은 80중량부이다. 5중량부 미만이면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을 얇게 성형했을 때에 충분한 난연화 효과가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80중량부를 초과하면 고온 처리를 하는 공정에서 부풀음 등에 의한 불량율이 높아지는 경우가 있다. 더욱 바람직한 하한은 10중량부, 상한은 70중량부이다. 10 내지 70중량부의 범위이면 역학적 물성, 전기 물성, 공정적성 등으로 문제가 되는 영역이 없어 충분한 난연성을 발현한다.
상기 난연제로서 멜라민 유도체를 이용했을 경우, 멜라민 유도체의 열경화성 수지 100중량부에 대한 바람직한 배합량의 하한은 0.1중량부, 상한은 100중량부이다. O.1중량부 미만이면 난연화 효과가 충분히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100중량부를 초과하면 유연성이나 신장도 등의 역학적 물성이 극단적으로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5중량부, 상한은 70중량부이다. 5중량부 미만이면 절연 기판을 얇게 했을 때에 충분한 난연화 효과가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70중량부를 초과하면 유연성이나 신장도 등의 역학적 물성이 극단적으로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더욱 바람직한 하한은 10중량부, 상한은 50중량부이다. 10 내지 50중량부의 범위이면 역학적 물성, 전기 물성, 공정적성 등으로 문제가 되는 영역이 없어 충분한 난연성을 발현한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는, 본 발명의 과제 달성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특성을 개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필요에 따라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류, 가교 고무, 올리고머류, 조핵제, 산화 방지제(노화 방지제), 열 안정제, 광 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윤활제, 난연 조제, 대전 방지제, 흐림 방지제, 충전제, 연화제, 가소제, 착색제 등의 첨가제가 배합될 수도 있다. 이들은 각각 단독으로 이용될 수도 있고, 2종 이상이 병용될 수도 있다.
상기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류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스티렌계 탄성 중합체, 올레핀계 탄성 중합체, 우레탄계 탄성 중합체, 폴리에스테르계 탄성 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수지와의 상용성을 높이기 위해서 이러한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를 관능기 변성된 것일 수도 있다. 이러한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류는 단독으로 이용될 수도 있고, 2종 이상이 병용될 수도 있다.
상기 가교 고무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이소프렌 고무, 부타디엔 고무, 1,2-폴리부타디엔,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니트릴 고무, 부틸 고무,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실리콘 고무, 우레탄 고무 등을 들 수 있다. 수지와의 상용성을 높이기 위해서 이러한 가교 고무를 관능기 변성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능기 변성한 가교 고무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에폭시 변성 부타디엔 고무 또는 에폭시 변성 니트릴 고무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가교 고무류는 단독으로 이용될 수도 있고, 2종 이상이 병용될 수도 있다.
상기 올리고머류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무수 말레산 변성 폴리에틸렌올리고머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올리고머류는 단독으로 이용될 수도 있고, 2종 이상이 병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수지와 무기 화합물의 각 소정량과 필요에 따라 배합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 첨가제의 각 소정량을 상온하 또는 가열하에서 직접 배합하여 혼합하는 직접혼합법, 및 용매 중에서 혼합한 후, 용매를 제거하는 방법; 미리 상기 수지 또는 상기 수지 이외의 수지에 소정량 이상의 무기 화합물을 배합하여 혼합한 마스터 배치를 제작해 놓고, 이 마스터 배치, 수지의 소정량의 잔부, 및 필요에 따라 배합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첨가제의 각 소정량을 상온하 또는 가열하에서 혼합 또는 용매 중에서 혼합하는 마스터 배치법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마스터 배치법에 있어서, 상기 수지 또는 상기 수지 이외의 수지에 무기 화합물을 배합한 마스터 배치와, 마스터 배치를 희석하여 소정의 무기 화합물 농도로 할 때에 이용하는 상기 수지를 함유하는 마스터 배치 희석용 수지 조성물은 동일한 조성일 수도 다른 조성일 수도 있다.
상기 마스터 배치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무기 화합물의 분산이 용이한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페닐렌에테르 수지, 폴리에테르술폰 수지, 및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수지를 함유하는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스터 배치 희석용 수지 조성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고온 물성이 우수한 열경화성 폴리이미드 수지, 에폭시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수지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스터 배치에 있어서의 무기 화합물의 배합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수지 100중량부에 대한 바람직한 하한은 1중량부, 상한은 500중량부이다. 1중량부 미만이면 임의의 농도에 희석 가능한 마스터 배치로서의 편리성이 엷어진다. 500중량부를 초과하면 마스터 배치 자체에 있어서의 분산성이나, 특히 마스터 배치 희석용 수지 조성물에 의해서 소정의 배합량에 희석할 때의 무기 화합물의 분산성이 나빠지는 경우가 있다.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5중량부, 상한은 300중량부이다.
또한, 예를 들면 전이 금속 착체류와 같은 중합 촉매(중합 개시제)를 함유하는 무기 화합물을 이용하고 열가소성 수지 모노머와 무기 화합물을 혼합하여 상기모노머를 중합시킴으로써 열가소성 수지의 중합과 수지 조성물의 제조를 동시에 일괄해서 행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의 혼합물을 혼합하는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압출기, 2축 롤, 벤버리 믹서 등의 혼합기를 이용하여 혼합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수지와 무기 화합물이 조합되고, 분자쇄의 구속에 의한 Tg 또는 내열 변형 온도의 상승이 도모되고 있음으로써 고온에서의 낮은 선팽창율을 갖고 내열성, 역학적 물성, 투명성 등이 우수하다.
또한, 수지 중에서는 무기 화합물과 비교하여 기체 분자가 훨씬 확산되기 쉽고, 수지 중을 확산할 때에 기체 분자는 무기 화합물을 우회하면서 확산하기 때문에 가스 배리어성도 향상된다. 동일하게 하여 기체 분자 이외에 대한 배리어성도 향상되어 내용제성, 흡습성, 흡수성 등이 향상되었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다층프린트 배선판에서의 구리 회로로부터의 구리의 마이그레이션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수지 중의 미량 첨가물이 표면에 블리드 아웃되어 도금 불량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는 것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무기 화합물로서 층상 규산염을 이용하면 다량으로 배합하지 않더라도 우수한 역학적 물성이 얻어지므로 얇은 절연 기판으로 만들 수가 있어 다층 프린트 기판의 고밀도화, 박형화가 가능해진다. 또, 결정 형성에 있어서의 층상 규산염의 조핵 효과 또는 내습성의 향상에 수반하는 팽윤 억제 효과 등에 기초하는 치수 안정성의 향상 등이 도모되고 있다. 또한, 연소 시에 층상 규산염에 의한 소결체가 형성되기 때문에 연소 잔사의 형상이 유지되어 연소 후에도 형상 붕괴가 발생하지 않고, 연소를 방지할 수가 있어 우수한 난연성을 발현한다.
또한,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논할로겐 난연제를 이용하면 환경도 배려하면서 높은 역학적 물성과 높은 난연성을 양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의 용도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적당한 용매에 용해하거나, 필름상으로 성형하거나 하여 가공함으로써, 예를 들면 다층 기판의 코어층이나 빌드업층 등을 형성하는 기판용 재료, 시트, 적층판, 수지가 부착된 동박, 동장 적층판, TAB용 테이프, 프린트 기판, 프리프레그, 니스 등에 적합하게 이용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기판용 재료, 시트, 적층판, 수지가 부착된 동박, 동장 적층판, TAB용 테이프, 프린트 기판, 프리프레그, 접착 시트도 또한 본 발명의 하나이다.
상기 성형의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압출기로 용융 혼련한 후에 압출, T 다이 또는 서큘러 다이 등을 이용하여 필름상으로 성형하는 압출 성형법; 유기 용매 등의 용매에 용해 또는 분산시킨 후, 캐스팅하여 필름상으로 성형하는 캐스팅 성형법; 유기 용매 등의 용매에 용해 또는 분산하여 얻은 니스 중에 유리 등의 무기 재료나 유기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크로스상 또는 부직포상의 기재를 딥핑하여 필름상으로 성형하는 딥핑 성형법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다층 기판의 박형화를 도모하기 위해서는 압출 성형법이나 캐스팅 성형법이 적합하다. 또, 상기 딥핑 성형법에서 이용하는 기재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유리 섬유, 아라미드 섬유, 폴리파라페닐렌벤조옥사졸 섬유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판용 재료, 시트, 적층판, 수지가 부착된 동박, 동장 적층판, TAB 용 테이프, 프린트 기판, 프리프레그, 접착 시트 및 광회로 형성 재료는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짐으로써 고온 물성, 치수 안정성, 내용제성, 내습성 및 배리어성이 우수하여 많은 공정을 통하여 제조되는 경우라도 높은 수율로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판용 재료는 열경화성 수지 중에 층상 규산염이 나노미터 사이즈로 미분산되어 있으므로 낮은 선팽창율, 내열성, 낮은 흡수율인 것에 더하여높은 투명성까지도 실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판용 재료는 광 패키지의 형성 재료, 광도파로 재료, 접속 재료, 밀봉 재료 등의 광회로 형성 재료, 광통신용 재료로서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열경화성 수지 중에 층상 규산염이 나노미터 사이즈로 미분산되어 있으므로 낮은 선팽창율, 내열성, 낮은 흡수율인 것에 더하여 높은 투명성까지도 실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광 패키지의 형성 재료, 광도파로 재료, 접속 재료, 밀봉 재료 등의 광회로 형성 재료로서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자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 1)
비스페놀 F형 에폭시 수지(다이닛본 잉크 가가꾸 고교사 제품, 에피클론 830LVP) 54중량부, BT 레진(미쓰비시 가스 가가꾸사 제품, BT2100B) 14.7중량부 및 네오펜틸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14.7중량부로 이루어지는 에폭시 수지 조성물 83.4중량부, 커플링제로서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닛본 유니카사 제품, A-187) 1.9중량부, 경화 촉매로서 아세틸아세톤철(닛본 가가꾸 산교사 제품) 1.0중량부, 층상 규산염으로서 디스테아릴디메틸 4급 암모늄염으로 유기화 처리가 실시된 팽윤성 불소 운모(CO-OP 케미컬사 제품, 소마시프 MAE-100) 13.7중량부, 및 유기 용매로서 메틸에틸케톤(와꼬 준야꾸사 제품, 특급) 200중량부를 첨가하여 교반기로 1시간 교반한 후 추가로 유성식 교반기로 혼합하였다. 그 후 탈포하여 수지/층상 규산염 용액을 얻었다. 이어서, 얻어진 수지/층상 규산염 용액을 주형에 넣은 상태에서 용매를 제거한 후 110℃에서 3.5시간 가열하고, 추가로 160℃에서 3시간 가열하여 경화시켜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두께 2mm 및 100㎛의 판상 성형체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2)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다우케미칼 닛본사 제품, D.E.R331L) 40중량부, 및 고형 에폭시 수지(도또 가세이사 제품, YP55) 40중량부로 이루어지는 에폭시 수지 조성물 80중량부, 디시안아지드(아데카사 제품, 아데카 하드너 EH-3636) 2.8중량부, 변성 이미다졸(아데카사 제품, 아데카 하드너 EH-3366) 1.2중량부, 층상 규산염으로서 트리옥틸메틸암모늄염으로 유기화 처리된 합성 헥토라이트(CO-OP 케미컬사 제품, 루센타이트 STN) 16중량부, 및 유기 용매로서 메틸에틸케톤(와꼬 준야꾸사 제품, 특급) 400중량부를 비이커에 첨가하여 교반기로 1시간 교반한 후 탈포하여 수지/층상 규산염 용액을 얻었다. 이어서, 얻어진 수지/층상 규산염 용액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시트 위에 도포한 상태에서 용매를 제거한 후 110℃에서 3시간 가열하고, 추가로 170℃에서 30분 가열하여 경화시켜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두께 2mm 및 100㎛의 판상 성형체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3)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다우케미칼 닛본사 제품, D.E.R331L) 56중량부, 및 고형 에폭시 수지(도또 가세이사 제품, YP55) 24중량부로 이루어지는 에폭시 수지 조성물 80중량부, 디시안아지드(아데카사 제품, 아데카 하드너 EH-3636) 3.9중량부, 변성 이미다졸(아데카사 제품, 아데카 하드너 EH-3366) 1.7중량부, 층상 규산염으로서 트리옥틸메틸암모늄염으로 유기화 처리된 합성 헥토라이트(CO-OP 케미컬사 제품, 루센타이트 STN) 30중량부, 및 유기 용매로서 디메틸포름아미드(와꼬 준야꾸사 제품, 특급) 250중량부, 합성 실리카(아드마텍스사 제품, 아드마화인 SO-E2) 22중량부를 비이커에 첨가하여 교반기로 1시간 교반한 후 탈포하여 수지/층상 규산염 용액을 얻었다. 이어서, 얻어진 수지/층상 규산염 용액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시트 위에 도포한 상태에서 용매를 제거한 후 110℃에서 3시간 가열하고, 추가로 170℃에서 30분 가열하여 경화시켜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두께 2mm 및 100㎛의 판상 성형체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4)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다우케미칼 닛본사 제품, D.E.R331L) 56중량부, 및 고형 에폭시 수지(도또 가세이사 제품, YP55) 24중량부로 이루어지는 에폭시 수지 조성물 80중량부, 디시안아지드(아데카사 제품, 아데카 하드너 EH-3636) 1.7중량부, 변성 이미다졸(아데카사 제품, 아데카 하드너 EH-3366) 0.7중량부, 층상 규산염으로서 트리옥틸메틸암모늄염으로 유기화 처리된 합성 헥토라이트(CO-OP 케미컬사 제품, 루센타이트 STN) 16중량부, 붕산 알루미늄 위스커(시꼬꾸 가세이 고교사 제품, 알보렉스 YS3A) 10중량부, 수산화 마그네슘(교와 가가꾸 고교사 제품, 키스마 5J) 22중량부 및 유기 용매로서 디메틸포름아미드(와꼬 준야꾸사 제품, 특급) 250중량부를 비이커에 첨가하여 교반기로 1시간 교반한 후 탈포하여 수지/층상 규산염 용액을 얻었다. 이어서, 얻어진 수지/층상 규산염 용액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시트 위에 도포한 상태에서 용매를 제거한 후 110℃에서 3시간 가열하고, 추가로 170℃에서 30분 가열하여 경화시켜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두께 2mm 및 100㎛의 판상 성형체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1)
팽윤성 불소 운모(CO-OP 케미컬사 제품, 소마시프 MAE-100)를 배합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수지 조성물, 및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두께 2mm 및 100㎛의 판상 성형체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2)
합성 헥토라이트(CO-OP 케미컬사 제품, 루센타이트 STN)를 배합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하여 수지 조성물, 및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두께 2mm 및 100㎛의 판상 성형체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3)
합성 헥토라이트(CO-OP 케미컬사 제품, 루센타이트 STN)를 배합하지 않고 합성 실리카의 첨가량을 52중량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과 동일하게 하여 수지 조성물, 및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두께 2mm 및 100㎛의 판상 성형체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4)
합성 헥토라이트(CO-OP 케미컬사 제품, 루센타이트 STN)를 배합하지 않고 수산화 마그네슘의 첨가량을 42중량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4와 동일하게 하여수지 조성물, 및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두께 2mm 및 100㎛의 판상 성형체를 제작하였다.
<평가>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4에서 제작한 판상 성형체의 성능을 이하의 항목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결과는 표 1, 표 2에 나타냈다.
(1) 열팽창 계수의 측정
판상 성형체를 재단하여 3mm×25mm으로 만든 시험편을 TMA(Thermomechanical Analysis) 장치(세이코 덴시사 제품, TMA/SS120C)를 이용하고, 승온 속도 5℃/분으로 승온하고 평균 선팽창율의 측정을 하여 이하의 항목에 대하여 평가를 하였다.
·수지 조성물의 유리 전이 온도보다도 10℃ 내지 50℃ 높은 온도에서의 평균 선팽창율(α2)[℃-1].
·수지 조성물의 유리 전이 온도보다도 10℃ 내지 50℃ 높은 온도에서의 평균 선팽창율(α2)을, 수지 조성물의 유리 전이 온도보다도 50℃ 내지 10℃ 낮은 온도에서의 평균 선팽창율(α1)로 나누어 구한 평균 선팽창율비(α2/α1).
·50 내지 100℃에서의 평균 선팽창율[℃-1] 및 200 내지 240℃에서의 평균 선팽창율[℃-1].
·150 내지 200℃에서의 평균 선팽창율을, 50 내지 100℃에서의 평균 선팽창율로 나누어 구한 평균 선팽창율비(1), 및, 250 내지300℃에서의 평균 선팽창율을, 50 내지 100℃에서의 평균 선팽창율로 나누어 구한 평균 선팽창율비(2).
·판상 성형체를 25℃에서 300℃까지 승온했을 때의 길이의 변화량을 판상 성형체의 25℃에서의 길이로 나누어 구한 변화율(%).
·상기 수학식 1로 표시되는 평균 선팽창율비(3).
·수지 조성물의 Tg보다도 10℃ 내지 50℃ 높은 온도에서의 평균 선팽창율을 각 실시예에 대응하는 비교예 1 내지 5로 제작한 수지 조성물의 Tg보다도 10℃ 내지 50℃ 높은 온도에서의 평균 선팽창율로 각각 나누어 구한 개선율.
(2) 층상 규산의 평균 층간 거리
X선 회절 측정 장치(리가꾸사 제품, RINTll00)를 이용하여 두께 2mm의 판상 성형체내의 층상 규산염 적층면의 회절에서 얻어지는 회절 피크의 2θ를 측정하고, 하기 수학식 5의 블랙 회절식에 의해, 층상 규산염의 (OO1)면 간격 d를 산출하고, 얻어진 d를 평균 층간 거리(nm)로 하였다.
λ= 2 dsinθ
상기 수학식 5 중 λ는 0.154이며, θ는 회절각을 나타낸다.
(3) 5층 이하의 적층체로서 분산되어 있는 층상 규산염의 비율
두께 100㎛의 판상 성형체를 투과형 전자 현미경에 의해 10만배로 관찰하여 일정 면적중에서 관찰할 수 있는 층상 규산염 적층체의 전층 수 X 및 5층 이하에서 분산되어 있는 층상 규산염의 층 수 Y를 계측하고, 하기 수학식 4에 의해 5층 이하의 적층체로서 분산되어 있는 층상 규산염의 비율(%)을 산출하였다.
<[수학식 4>
5층 이하의 적층체로서 분산되어 있는 층상 규산염의 비율(%)=(Y/X)×100
(4) 흡수율의 측정
두께 100㎛의 판상 성형체를 3×5cm의 단책상으로 만든 시험편을 제작하여 150℃에서 5시간 건조시킨 후의 무게(W1)를 측정하였다. 이어서, 시험편을 물에 침지하여 100℃의 끓는 물 중에서 1시간 방치한 후 꺼내 천으로 조심스럽게 닦아 낸 후의 무게(W2)를 측정하였다. 하기 식으로 흡수율을 구하였다.
흡수율(%)=(W2-W1)/Wl×100
(5) 유전율의 측정
임피던스 측정기(HP사 제품, HP4291B)를 이용하여 주파수 1MHz 부근의 유전율을 측정하였다.
(6) 인장 탄성율의 측정
JIS K 6301에 준하는 방법에 의해 측정을 하였다.
(7) 용해도 파라미터의 측정
Fedors의 계산식으로 산출하였다.
(8) 10% 중량 감소 온도의 측정
샘플 5 내지 10mg을 150℃에서 5시간 건조시킨 후, TG/DTA 장치(세이코 덴시사 제품, TG/DTA320)를 이용하여 이하의 측정 조건으로 측정하였다.
측정 온도: 25 내지 600℃
승온 속도: 10℃/분
질소 가스: 200㎖/분
×10E-5℃는 ×10-5℃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역학적 물성, 치수 안정성, 내열성, 난연성 등이 우수하고, 특히 고온 물성이 우수한 수지 조성물, 기판용 재료, 시트, 적층판, 수지가 부착된 동박, 동장 적층판, TAB 용 테이프, 프린트 기판, 프리프레그 및 접착 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33)

  1. 열경화성 수지 및(또는) 광경화성 수지 100중량부와 무기 화합물 0.1 내지 65중량부를 함유하고, 투명성을 갖는 수지 조성물이며, 수지 조성물의 유리 전이 온도보다도 10℃ 높은 온도로부터 수지 조성물의 유리 전이 온도보다도 50℃ 높은 온도까지의 평균 선팽창율(α2)이 17×10-5[℃]-1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수지 조성물의 유리 전이 온도보다도 10℃ 높은 온도로부터 수지 조성물의 유리 전이 온도보다도 50℃ 높은 온도까지의 평균 선팽창율(α2)을, 수지 조성물의 유리 전이 온도보다도 50℃ 낮은 온도로부터 수지 조성물의 유리 전이 온도보다도 10℃ 낮은 온도까지의 평균 선팽창율(α1)로 나누어 구한 평균 선팽창율비(α2/α1)가 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50 내지 100℃에서의 평균 선팽창율이 10×10-5[℃]-1이하이며, 또한 200 내지 240℃에서의 평균 선팽창율이 25×10-5[℃]-1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150 내지 200℃에서의 평균 선팽창율을 50 내지 100℃에서의 평균 선팽창율로 나누어 구한 평균 선팽창율비(1)가 2.5 이하이며, 또한 250 내지 300℃에서의 평균 선팽창율을 50 내지 100℃에서의 평균 선팽창율로 나누어 구한 평균 선팽창율비(2)가 4.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수지편을 25℃에서 300℃까지 승온했을 때의 길이의 변화량을,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수지편의 25℃에서의 길이로 나누어 구한 변화율이 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기 수학식 1로 표시되는 평균 선팽창율비(3)가 1.0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수학식 1>
    단,α(℃)는 50℃ 이상 400℃ 이하이며, 또한 Tg에 걸쳐 평균 선팽창율비(3)를 구하는 경우는 제외한다.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지 조성물의 유리 전이 온도보다도 10℃ 높은 온도로부터 수지 조성물의 유리 전이 온도보다도 50℃ 높은 온도까지의 수지 조성물의 평균 선팽창율을, 상기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보다도 10℃ 높은 온도로부터 상기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보다도 50℃ 높은 온도까지의 상기 수지의 평균 선팽창율로 나누어 구한 개선율이 0.98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140℃에서의 인장 탄성율이 10MPa 이상, 1MHz에서의 유전율이 4.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흡수율이 2.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흡수율이 2.0% 이하, 1MHz에서의 유전율이 4.5이하이며 또한 흡수 처리후의 유전율이 5.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두께 25㎛의 수지 시트로 성형했을 때에 절연 저항이 108Ω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리 전이 온도가 100℃ 이상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60℃에서의 파단 신장율이 1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열경화성 수지는 유리 전이 온도가 100℃ 이상이며, 또한 1MHz에서의 유전율이 4.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열경화성 수지는 에폭시 수지, 열경화형 변성 폴리페닐렌에테르 수지, 열경화성 폴리이미드 수지, 규소 수지, 벤조옥사진 수지, 및 멜라민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16. 제15항에 있어서, 열경화성 수지는 에폭시 수지인 수지 조성물.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열경화성 수지는 Fedors의 계산식을 이용하여 구한 용해도 파라미터가 42[J/㎤]1/2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열경화성 수지는 질소 분위기 중에서의 열중량 측정을 행한 경우에, 25℃에서의 중량에 대한 10% 중량 감소 온도가 40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무기 화합물은 층상 규산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20. 제19항에 있어서, 층상 규산염은 몬모릴로나이트, 헥토라이트, 팽윤성 운모, 및 버미큘라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21.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층상 규산염은 탄소수 6 이상의 알킬암모늄 이온, 방향족 4급 암모늄 이온 또는 복소환 4급 암모늄 이온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22. 제19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광각 X선 회절 측정법에 의해 측정한 (001)면의 평균 층간 거리가 3nm 이상이며, 또한 일부 또는 전부의 적층체가 5층 이하인 층상 규산염이 분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23. 제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난연제를 함유하지 않은 수지 조성물.
  24. 제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용 재료.
  25. 제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26. 제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판.
  27. 제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가 부착된 동박.
  28. 제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장 적층판(銅張積層板).
  29. 제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AB용 테이프.
  30. 제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 기판.
  31. 제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프레그.
  32. 제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시트.
  33. 제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회로 형성 재료.
KR1020047012180A 2002-02-06 2003-02-04 수지 조성물 KR1007043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029783 2002-02-06
JPJP-P-2002-00029783 2002-02-06
JPJP-P-2002-00139090 2002-05-14
JP2002139090 2002-05-14
JPJP-P-2002-00158211 2002-05-30
JP2002158210 2002-05-30
JP2002158211 2002-05-30
JPJP-P-2002-00158210 2002-05-30
JP2002287005 2002-09-30
JPJP-P-2002-00287005 2002-09-30
PCT/JP2003/001090 WO2003066741A1 (fr) 2002-02-06 2003-02-04 Composition de res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1013A true KR20040091013A (ko) 2004-10-27
KR100704320B1 KR100704320B1 (ko) 2007-04-10

Family

ID=27739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2180A KR100704320B1 (ko) 2002-02-06 2003-02-04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682691B2 (ko)
EP (1) EP1473329A4 (ko)
KR (1) KR100704320B1 (ko)
CN (1) CN1333015C (ko)
AU (1) AU2003244466A1 (ko)
CA (1) CA2474694A1 (ko)
TW (1) TWI247027B (ko)
WO (1) WO200306674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1426B1 (ko) * 2006-05-29 2007-10-04 주식회사 대하맨텍 광경화형 하드코팅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광경화형하드코팅 조성물이 코팅된 이동통신 단말기 윈도우,평판디스플레이용 전면판 및 필름
KR100923596B1 (ko) * 2006-03-16 2009-10-23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적층형 반도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633175A4 (en) * 2003-09-29 2009-11-11 Ibiden Co Ltd INSULATION INTERIOR FOR PRINTED CONNECTION CARD, PRINTED CONNECTION CAR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890286B (zh) * 2003-12-08 2010-05-26 积水化学工业株式会社 热固性树脂组合物、树脂片以及用于绝缘基板的树脂片
US20060194896A1 (en) * 2004-05-26 2006-08-31 Sun Benjamin J Low shrinkage dental material and method
SG119379A1 (en) * 2004-08-06 2006-02-28 Nippon Catalytic Chem Ind Resin composition method of its composition and cured formulation
US20090104429A1 (en) * 2005-09-15 2009-04-23 Sekisui Chemical Co., Ltd. Resin composition, sheet-like formed body, prepreg, cured body, laminate, and multilayer laminate
US20090233083A1 (en) * 2006-03-30 2009-09-17 Tomoegawa Co., Ltd. Thin film and thin film laminate comprising the same
US8163830B2 (en) 2006-03-31 2012-04-24 Intel Corporation Nanoclays in polymer compositions, articles containing same, processes of making same, and systems containing same
US8153229B2 (en) * 2006-04-25 2012-04-10 The Yokohama Rubber Co., Ltd. Epoxy resin composition for fiber-reinforced composite material
US8518524B2 (en) 2006-07-21 2013-08-27 Showa Denko K.K. Transparent composite material
US8257820B2 (en) * 2006-08-08 2012-09-04 World Properties, Inc. Circuit materials with improved bo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and articles formed therefrom
JP5433416B2 (ja) * 2006-08-08 2014-03-05 ワールド プラパティ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回路材料、回路および多層回路積層板
JP4988531B2 (ja) * 2006-12-18 2012-08-01 日東電工株式会社 半導体装置製造用の接着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4735529B2 (ja) * 2006-12-21 2011-07-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モータの固定子
EP2186776A4 (en) * 2007-08-09 2012-04-04 Showa Denko Kk ORGANIC CLAY COMPLEX,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ND RESIN COMPLEX CONTAINING ORGANIC CLAY COMPLEX
WO2009078301A1 (ja) 2007-12-14 2009-06-25 Sony Chemical & Information Device Corporation 光半導体パッケージ封止樹脂材料
KR20110027641A (ko) * 2008-02-26 2011-03-16 덴끼 가가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프로브 검사 방법 및 경화성 수지 조성물
WO2009117345A2 (en) * 2008-03-17 2009-09-24 Henkel Corporation Adhesive compositions for use in die attach applications
JPWO2009128414A1 (ja) * 2008-04-14 2011-08-04 昭和電工株式会社 透明複合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00075118A1 (en) * 2008-09-24 2010-03-25 Fujifilm Corporation Resin composition for laser engraving, relief printing plate precursor for laser engraving, relief printing plate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TWI383950B (zh) * 2009-04-22 2013-02-01 Ind Tech Res Inst 奈米點狀材料的形成方法
CN104053302B (zh) * 2009-06-11 2017-08-29 罗杰斯公司 介电材料、由其形成子组件的方法以及由此形成的子组件
EP2465894A1 (en) * 2009-06-29 2012-06-20 Huntsman Advanced Materials (Switzerland) GmbH Method to produce a composite material
US8698320B2 (en) * 2009-12-07 2014-04-15 Henkel IP & Holding GmbH Curable resin compositions useful as underfill sealants for use with low-k dielectric-containing semiconductor devices
WO2011095208A1 (en) * 2010-02-03 2011-08-11 Abb Research Ltd Electrical insulation system
US8609750B1 (en) * 2010-06-02 2013-12-17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Administrator Of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Selective clay placement within a silicate-clay epoxy blend nanocomposite
EP3859944B1 (en) * 2010-09-02 2023-06-28 Sumitomo Bakelite Co., Ltd. Fixing resin composition for use in rotor
TWI445727B (zh) * 2010-10-21 2014-07-21 Taiwan Union Technology Corp 樹脂組合物及由其製成之預浸材與印刷電路板
TWI471072B (zh) * 2010-12-30 2015-01-21 Ind Tech Res Inst 具有導電膜層的基板組合及其製造方法
EP2771402B1 (en) * 2011-10-28 2018-06-2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mine/epoxy curing of benzoxazines
KR101669396B1 (ko) 2012-01-20 2016-10-25 아사히 가세이 이-매터리얼즈 가부시키가이샤 수지 조성물, 적층체, 다층 프린트 배선판 및 다층 플렉시블 배선판 및 그 제조 방법
US20150073082A1 (en) * 2012-03-27 2015-03-12 Sekisui Chemical Co., Ltd. Resin composite material
US9382445B2 (en) 2012-09-07 2016-07-05 Sekisui Chemical Co., Ltd. Insulating resin material and multilayer substrate
CN103491716A (zh) * 2013-08-20 2014-01-01 鑫纮有限公司 图案导电线路的结构及形成方法
JP6046665B2 (ja) * 2014-06-10 2016-12-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断熱膜の形成方法および断熱膜
US10845008B2 (en) 2014-09-28 2020-11-24 Zhejiang Super Lighting Electric Appliance Co., Ltd. LED filament and LED light bulb
US11543083B2 (en) 2014-09-28 2023-01-03 Zhejiang Super Lighting Electric Appliance Co., Ltd LED filament and LED light bulb
KR102520360B1 (ko) * 2014-11-18 2023-04-11 가부시끼가이샤 레조낙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및 가요성 수지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
JP6450597B2 (ja) * 2015-01-19 2019-01-09 株式会社東芝 回転電機のコイル絶縁構造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このコイル絶縁構造体を具備してなる回転電機
WO2019086963A2 (zh) * 2017-09-18 2019-05-09 嘉兴山蒲照明电器有限公司 一种有机硅改性聚酰亚胺树脂组合物及其应用
US10982048B2 (en) 2018-04-17 2021-04-20 Jiaxing Super Lighting Electric Appliance Co., Ltd Organosilicon-modified polyimide resin composition and use thereof
KR20210007966A (ko) * 2018-05-11 2021-01-20 쇼와덴코머티리얼즈가부시끼가이샤 도체 기판, 신축성 배선 기판, 및 배선 기판용 신축성 수지 필름
CN110600437B (zh) * 2019-08-23 2021-03-09 广东盈骅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高玻璃化温度封装基材及生产方法
CN110564200A (zh) * 2019-09-05 2019-12-13 珠海博纳百润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亲水性的涂料及其应用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51021A (en) * 1987-02-17 1989-07-25 Armstrong World Industries, Inc. Multi-ply composites and sheets of epoxy and flocced 2:1 layered silicates and methods for them
US4877484A (en) 1985-03-25 1989-10-31 Armstrong World Industries, Inc. Flocced 2:1 layered silicates and water-resistant articles made therefrom
JPH0730253B2 (ja) 1987-03-09 1995-04-05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複合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
JP2843314B2 (ja) * 1988-08-08 1999-01-06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含フッ素ポリイミド光学材料
ATE159270T1 (de) * 1991-08-12 1997-11-15 Allied Signal Inc Bildung polymerer nanokomposite aus blättrigem schichtmaterial durch ein schmelzverfahren
US5548034A (en) 1992-07-31 1996-08-2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odified dicyanate ester resins having enhanced fracture toughness
US5760106A (en) * 1995-07-05 1998-06-02 Board Of Trustees Operating Michigan State University Sealant method of epoxy resin-clay composites
JPH09152522A (ja) * 1995-11-30 1997-06-10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ファイバ整列部品と光導波路基板との接続構造
JP2000505490A (ja) * 1996-02-23 2000-05-09 ザ・ダウ・ケミカル・カンパニー ポリマー複合体およびそれの製造方法
JPH10146917A (ja) 1996-11-15 1998-06-02 Sumitomo Bakelite Co Ltd 印刷回路用積層板
WO1998045741A1 (en) 1997-04-08 1998-10-15 Hitachi, Ltd. Optical module, method for manufacturing optical module, and optical transmission device
JP3663060B2 (ja) * 1998-04-09 2005-06-22 株式会社カネカ ポリイミド系フィルム
CN1250064A (zh) * 1998-10-06 2000-04-12 中国科学院化学研究所 一种环氧树脂/蒙脱土插层复合材料的制备方法
JP2000119422A (ja) * 1998-10-14 2000-04-25 Mitsubishi Gas Chem Co Inc プリプレグ及び積層板
WO2000034378A1 (en) * 1998-12-07 2000-06-15 Eastman Chemical Company Polymer/clay nanocomposite and process for making same
JP2000183539A (ja) * 1998-12-18 2000-06-30 Hitachi Chem Co Ltd 多層プリント配線板の製造方法
JP2001004850A (ja) * 1999-06-17 2001-01-12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光部品用基板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該基板の熱膨張率制御方法
JP3739600B2 (ja) 1999-07-06 2006-01-25 太陽インキ製造株式会社 液状熱硬化性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プリント配線板の永久穴埋め方法
JP3477140B2 (ja) * 1999-07-30 2003-12-10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フィルム光導波路
JP2001156461A (ja) * 1999-11-30 2001-06-08 Mitsubishi Gas Chem Co Inc ビルドアップ多層プリント配線板
JP2001183539A (ja) * 1999-12-27 2001-07-06 Hitachi Ltd 有機光導波路および光モジュールおよび光集積回路
JP2001323167A (ja) * 2000-05-11 2001-11-20 Sumitomo Chem Co Ltd 樹脂組成物及びそれからなるシート
JP2002036387A (ja) 2000-05-18 2002-02-05 Maeda Kako Kk 罫線入りプラスチックシート、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成形品
JP5202775B2 (ja) * 2000-05-23 2013-06-05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プリプレグ、金属張り積層板及びその使用
EP1350815A4 (en) 2000-12-08 2008-04-30 Sekisui Chemical Co Ltd INSULATING SUBSTRATE MATERIAL, LAMINATE FOR PRINTED CIRCUIT BOARD, COPPER FOIL WITH RESIN, COPPER COATING LAMINATE, POLYIMIDE FILM, TAB FILM, AND PREIMPREGNE
JP2002220513A (ja) * 2001-01-26 2002-08-0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積層板用エポキシ樹脂組成物、プリプレグ、積層板
JP3962271B2 (ja) * 2001-05-11 2007-08-22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難燃熱硬化性樹脂組成物
JP2002363386A (ja) 2001-06-13 2002-12-18 Nippon Paint Co Ltd プリント配線基板穴埋め用樹脂組成物
CN1162468C (zh) * 2001-11-01 2004-08-18 财团法人工业技术研究院 一种铜箔基板用环氧树脂/粘土纳米复合材料
JP3854931B2 (ja) 2002-02-06 2006-12-06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樹脂組成物
CA2450150C (en) * 2002-11-22 2012-01-24 Minh-Tan Ton-That Polymeric nanocomposite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3596B1 (ko) * 2006-03-16 2009-10-23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적층형 반도체 장치
US7994620B2 (en) 2006-03-16 2011-08-09 Kabushiki Kaisha Toshiba Stacked semiconductor device
US8227296B2 (en) 2006-03-16 2012-07-24 Kabushiki Kaisha Toshiba Stacked semiconductor device
KR100761426B1 (ko) * 2006-05-29 2007-10-04 주식회사 대하맨텍 광경화형 하드코팅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광경화형하드코팅 조성물이 코팅된 이동통신 단말기 윈도우,평판디스플레이용 전면판 및 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73329A1 (en) 2004-11-03
CN1333015C (zh) 2007-08-22
AU2003244466A1 (en) 2003-09-02
EP1473329A4 (en) 2006-05-31
CA2474694A1 (en) 2003-08-14
WO2003066741A1 (fr) 2003-08-14
US20050107497A1 (en) 2005-05-19
TW200302851A (en) 2003-08-16
TWI247027B (en) 2006-01-11
CN1643071A (zh) 2005-07-20
US7682691B2 (en) 2010-03-23
KR100704320B1 (ko) 2007-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4320B1 (ko) 수지 조성물
JP5508330B2 (ja) 硬化体、シート状成形体、積層板及び多層積層板
KR101079467B1 (ko)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수지 시트 및 절연 기판용 수지시트
JP4107394B2 (ja) 樹脂組成物、シート状成形体、プリプレグ、硬化体、積層板、および多層積層板
JP5363841B2 (ja) エポキシ系樹脂組成物、プリプレグ、硬化体、シート状成形体、積層板および多層積層板
KR100704321B1 (ko) 수지 조성물
JP3863771B2 (ja) 絶縁基板用材料、プリント基板、積層板、樹脂付き銅箔、銅張積層板、ポリイミドフィルム、tab用フィルム及びプリプレグ
WO2002046312A1 (fr) Materiau de substrats isolants, stratifie pour carte a circuit imprime, feuille de cuivre avec resine, stratifie a revetement de cuivre, film polyimide, film pour tab, et preimpregne
JP2010053334A (ja) エポキシ系樹脂組成物、プリプレグ、硬化体、シート状成形体、積層板及び多層積層板
EP1698670A1 (en) Thermosetting resin composition, material for substrate and film for substrate
JP3854931B2 (ja) 樹脂組成物
JP2005133055A (ja) 樹脂組成物、基板用材料及び基板用フィルム
JP4187548B2 (ja) 配線基板
JP2004051935A (ja) 樹脂組成物
JP4220794B2 (ja) 絶縁基板用材料、プリント基板、積層板、樹脂付き銅箔、銅張積層板、ポリイミドフィルム、tab用フィルム及びプリプレグ
JP2005097497A (ja) エポキシ系熱硬化性樹脂組成物、樹脂シート及びこれらを用いた絶縁基板用樹脂シート
JP2006282961A (ja) 熱硬化性樹脂組成物、電子材料用基板、及び電子材料用基板の製造方法
JP4268456B2 (ja) 樹脂基板材料
JP2005171207A (ja) 樹脂シート
JP3927516B2 (ja) 樹脂シート
JP2004269853A (ja) 樹脂組成物及び樹脂シート
JP2005206831A (ja) 熱硬化性樹脂組成物、樹脂シートおよび絶縁基板用樹脂シート
JP4327406B2 (ja) 樹脂組成物
JP2004051973A (ja) 樹脂シートの粗化方法
JP2006233231A (ja) 樹脂シートの製造方法、絶縁基板用樹脂シート、絶縁基板、及び多層基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