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5417A - 섬유유연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섬유유연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5417A
KR20040085417A KR1020030020092A KR20030020092A KR20040085417A KR 20040085417 A KR20040085417 A KR 20040085417A KR 1020030020092 A KR1020030020092 A KR 1020030020092A KR 20030020092 A KR20030020092 A KR 20030020092A KR 20040085417 A KR20040085417 A KR 200400854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ftener composition
alkyl
formula
microcapsule
fabric softe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0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주영
정국인
김정철
랑문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0300200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85417A/ko
Priority to JP2004074940A priority patent/JP2004300660A/ja
Publication of KR20040085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5417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2Inorganic compounds ; Elemental compounds
    • C11D3/12Water-insoluble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38Cationic compounds
    • C11D1/62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66Non-ionic compounds
    • C11D1/835Mixtures of non-ionic with catio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2Inorganic compounds ; Elemental compounds
    • C11D3/04Water-soluble compounds
    • C11D3/046Salt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0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1D3/2003Alcohols; Phenols
    • C11D3/2065Polyhydric 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6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C11D3/32Amides; Substituted amides
    • C11D3/323Amides; Substituted amides urea or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2111/00Clean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objects to be cleaned; Clean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non-standard cleaning or washing processes
    • C11D2111/10Objects to be cleaned
    • C11D2111/12Soft surfaces, e.g. textil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Fi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섬유유연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평균직경이 0.1 내지 500 ㎚인 은을 함유하는 마이크로 캡슐 0.0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여 의류의 세탁, 건조, 착용시에 의류에 번식할 수 있는 미생물의 생장과 증식을 억제 또는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시에 섬유의 불쾌취, 특히 하절기나 우천시와 같은 고습도하에서의 의류 건조 또는 착용시 불쾌취를 제거할 수 있는 항균 및 소취 효과가 우수한 섬유유연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섬유유연제 조성물 {FABRIC SOFTENER COMPOSITION}
본 발명은 섬유유연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의류의 세탁, 건조, 착용시에 의류에 번식할 수 있는 미생물의 생장과 증식을 억제 또는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시에 섬유의 불쾌취, 특히 하절기나 우천시와 같은 고습도하에서의 의류 건조 또는 착용시 불쾌취를 제거할 수 있는 항균 및 소취 효과가 우수한 섬유유연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에 정전기 방지 및 유연성 부여의 목적으로 세탁시 사용되는 가정용 섬유유연제는 대부분의 가정에서 사용하고 있으며, 그 사용량이 점차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최근 생활수준의 향상과 더불어 섬유유연제의 기본기능인 정전기 방지, 유연성 부여란 측면 이외에도 유연제 처리 후의 위생적인 측면까지 생각하는 소비자가 늘고 있는 추세이다.
일반적으로 의류를 장시간 착용하거나 실내에서 의류를 건조시킬 때나 야간에 의류를 건조시킬 때에는 의류나 인체에 기생하는 미생물의 증식에 의해 불쾌취를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불쾌취를 방지하기 위하여 가정에서는 의류를 삶는다든지 불쾌감을 유발시키는 악취 물질을 제거하고자 하며, 이에 따라 방향성의 향이 주성분인 방향제 제품 등으로 불쾌취를 마스킹(masking)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생활수준의 향상에 따라 보다 쾌적한 의생활을 추구하는 소비자 층이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위생 청결 의식에 대한 욕구가 증대함에 따라 보다 고성능의 수준 높은 항균, 소취 세탁 마무리제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종래의 섬유유연제에 적용되던 항균제는 원료 자체로써의 항균력은 우수하나 섬유유연제의 필수조건인 섬유 흡착능이 나빠져 섬유유연제를 투입하는 헹굼시기에 섬유면에 제대로 흡착되지 못하여 항균력을 거의 발휘하지 못하는 치명적인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한편, 우리의 일상 생활에 있어서 불쾌취의 감지는 후각기관에 도달하는 몇 종류의 화학적, 물리적 반응의 결과로써 휘발성 물질이 후각의 상피세포에 흡수되어 변화가 생기며 그로 인한 전위적 자극이 발생하면 신경을 통하여 뇌에 전달됨으로써 불쾌취를 감지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최근 의류생활의 쾌적성에 대한 인식이 점차 고조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의류 불쾌취기의 발생원 및 이를 제거하는 의류나 섬유 전용의 항균 및 소취 제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불쾌취기를 제거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다음과 같은 방법이 있다.
첫째로는 중화, 부가, 중합, 산화, 환원, 가수분해 등의 화학반응을 이용하여 악취성분에 강한 반응성의 물질을 작용시켜 악취물질을 분해 또는 무취성 화합물로 변화시켜 냄새물질을 근원적으로 제거하는 화학적 제거방법이 있다. 둘째로는 활성탄, 실리카, 사이클로 덱스트린 등의 흡착 및 포집능이 강한 화합물로서 악취성분을 표면에 흡착 또는 포집시키거나, 고비점의 용제, 계면활성제 등에 의한 흡수, 유동파라핀, 고급알코올, 합성수지 등을 이용하여 피복시켜 냄새물질을 제거하는 물리 화학적 제거방법이 있다. 또한, 셋째로는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살균제 등에 의한 항균 및 살균작용으로 세균에 의한 악취성분의 발생을 차단하거나, 소화효소, 세균, 효모 등을 이용하여 악취 성분인 유기산을 분해하여 악취를 제거하는 생물 화학적 제거방법이 있으며, 넷째로 대상 악취성분에 대해 방향성의 향료를 사용하여 감각적인 중화나 냄새를 상쇄시켜주는 냄새 마스킹에 의한 감각적 탈취방법이 있다.
한편, 지금까지의 의류나 섬유제품에서의 불쾌감을 유발시키는 악취 원인물질로서는 몸에서 나는 땀이나 체취가 대부분으로 대개의 사람들은 이러한 불쾌취를 참고 견디다 세탁을 해버린다든지, 혹은 상기 언급한 불쾌취 제거 방법 중의 하나인 감각적 탈취방법에 해당하는 방향성 향료에 의한 마스킹 등이 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냄새 마스킹은 불쾌취가 발생한 이후에는 오히려 불쾌취의 원인물질과의 교호작용으로 보다 심한 악취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의류나 섬유 제품의 세탁과정을 통하여 섬유 제품에서의 항균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동시에 불쾌취를 예방 및 제거할 수 있는 섬유유연제에 대한 연구가 더욱 필요한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의류의 세탁, 건조, 착용시에 의류에 번식할 수 있는 미생물의 생장과 증식을 억제 또는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시에 섬유의 불쾌취, 특히 하절기나 우천시와 같은 고습도하에서의 의류 건조 또는 착용시 불쾌취를 제거할 수 있는 항균 및 소취 효과가 우수한 섬유유연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의류나 섬유 제품의 세탁과정을 통하여 섬유 제품에서의 항균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동시에 불쾌취를 예방 및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각종 피부 상재균, 의류에 번식하는 미생물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각종 피부트러블 등을 예방할 수 있는 섬유유연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나노크기의 은이 마이크로 캡슐에 함침되기 전의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나노크기의 은이 마이크로 캡슐에 함침된 후의 사진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평균직경이 0.1 내지 500 ㎚인 은을 함유하는 마이크로 캡슐 0.0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섬유유연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자들은 의류나 섬유 제품의 세탁과정을 통하여 섬유 제품에서의 항균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동시에 불쾌취를 예방 및 제거할 수 있는 섬유유연제에 대하여 연구하던 중, 나노크기의 은을 함유하는 마이크로 캡슐을 함침시켜 섬유유연제를 제조한 결과, 의류의 세탁, 건조, 착용시에 의류에 번식할 수 있는 미생물의 생장과 증식을 억제 또는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시에 섬유의 불쾌취를 제거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섬유유연제 조성물은 평균직경이 0.1 내지 500 ㎚인 은을 함유하는 마이크로 캡슐 0.0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마이크로 캡슐은 통상적인 방법을 통하여 제조된 마이크로 캡슐에 은을 함침시켜 제조될 수 있으며, 일례로는 a) 마이크로 캡슐 벽재 물질이 용해되어 있는 수용액에 유화제를 가하여 유화시키는 단계; b) 상기 유화액에 가교제를 가하여 유화액 중에 용해된 마이크로 캡슐 벽재 물질을 가교 및 축합반응시켜 마이크로 캡슐을 제조하는 단계; 및 c) 상기 제조된 마이크로 캡슐에 평균입경이 0.1 내지 500 ㎚인 은을 함침시키는 단계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 캡슐 벽재 물질은 아미노 수지, 젤라틴, 카르복시 메틸 셀룰로오즈(carboxy methyl cellulose), 알지네이트(alginate), 아라비아 검(arabic gum), 아카시아 검(acacia gum), 메틸올 멜라민(methyol melamine), 메틸올 우레아(methylol urea), 또는 그의 유도체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아미노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다.
또한, 마이크로 캡슐 벽재 물질은 수용액에 대하여 0.5∼20 중량%로 용해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1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2∼5 중량%로 용해되는 것이다. 그 함량이 0.5 중량% 미만일 경우 형성된 캡슐의 기계적 강도가 약하고 따라서 기계적 교반에 의해서 쉽게 파괴되며, 2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캡슐제조과정에서 캡슐이 뭉치기 때문에 균일한 캡슐 현탁액을 얻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가교제는 가교반응을 위하여 사용되며, 그 예로는 포름알데히드(formaldehyde) 또는 글루타알데히드(glytaraldehyde)이 있다.
상기 가교제는 유화액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이크로 캡슐에 담지되는 은은 평균입경이 0.1 내지 50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평균입경이 0.1 ㎚ 미만일 경우에는 캡슐의 제조가 어려우며, 500 ㎚를 초과할 경우에는 캡슐의 제조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 캡슐에 담지되는 은은 마이크로 캡슐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1 내지 99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함량이 0.001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항균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99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캡슐 형성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되는 마이크로 캡슐은 섬유유연제 조성물에 0.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함량이 0.0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항균 효과를 나타내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1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섬유유연제의 색상이 변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 캡슐은 필요에 따라 향, 오일(oil), 비타민 등이 유효성분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섬유유연제 조성물은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로 양이온 제4급 암모늄염, 및 유화제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또는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며, 그 외에도 유기 또는 무기 분산안정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인 양이온 제4급 암모늄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디알킬 디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dialkyl dimethyl ammonium chloride),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디알킬 이미다졸리늄 염(dialkyl imidazolinium salt),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디알킬아미도 쿼터너리 암모늄 염(dialkylamido quaternary ammonium salt), 또는 에스테르 쿼트 형(ester quat typ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화학식 1]
[화학식 2]
[화학식 3]
상기 화학식 1 내지 3의 식에서,
R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8 내지 20의 알킬 또는 알케닐이다.
상기 양이온 제4급 암모늄염은 섬유유연제 조성물에 1 내지 3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함량이 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섬유유연제의 기본 성능을 나타내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3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섬유유연제 용액의 점도가 급상승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비이온성 또는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마이크로 캡슐을 유화하기 위한 유화제로 사용된다.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탄소수 10 내지 20의 폴리옥시에틸렌(2 내지 200 몰) 알킬, 알케닐에스테르, 또는 알킬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2 내지 40 몰) 알킬, 알케닐에스테르, 또는 하이드록시 지방산에스테르, 솔비탄 지방산 알킬에스테르 및 이의 에틸렌옥사이드(15 내지 40 몰) 부가물, 폴리옥시에틸렌(1 내지 30 몰) 알킬 또는 알케닐아미드, 폴리옥시에틸렌(1 내지 50 몰) 알킬 또는 알케닐아민, 또는 글리세릴 모노알킬 및 알케닐에스테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탄소수 8 내지 22의 알킬디메틸베타인, 알킬디메틸하이드록시에틸, 알킬디메틸하이드록시프로필 베타인, 또는 알킬디메틸하이드록시프로필 레시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계면활성제는 단독 또는 2 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비이온성 또는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양이온 제4급 암모늄염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4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함량이 5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제품의 경시 유화안정성 등이 불량해지며, 4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제품의 안정성뿐만 아니라, 의류에 양이온 제4급 암모늄염이 흡착되는 것을 방해하여 유연효과를 저해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유기 또는 무기 분산안정제는 탄소수 8 미만의 저급알코올 또는 글리콜류, 탄소수 14 이상의 고급알코올류 및 요소 등의 유기화합물, 또는 염화마그네슘, 염화나트륨, 염화칼슘, 질산나트륨 등의 무기 화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헥실렌글리콜, 세틸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염화마그네슘, 염화나트륨, 염화칼슘, 또는 질산나트륨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기 또는 무기 분산안정제는 양이온 제4급 암모늄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함량이 0.1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유기 또는 무기 분산안정제로서의 기능을 발휘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1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제품의 성상을 해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성분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섬유유연제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향료, 방부제, 살균제, 형광증백제, 색소, 산화방지제, 소포제 등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제품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당량 첨가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조성물 내에서 각각 최대 3 중량%의 소량으로 첨가되는 것이 좋다.
통상적으로, 일반제품에서 섬유유연제의 순물질 기준 함량은 3 내지 12 중량%이며, 농축제품에서는 10 내지 30 중량%인 것이 대부분이지만, 적절한 농도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세탁 후 헹굼시 각종 섬유에 유연처리를 하게 되는 표준 사용농도로 환산하면 일반제품이나 농축제품 모두 세탁수 1 L당 섬유유연제 순물질 0.7 mL의 동일한 농도를 사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섬유유연제 조성물은 의류의 세탁, 건조, 착용시에 의류에 번식할 수 있는 미생물의 생장과 증식을 억제 또는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시에 섬유의 불쾌취, 특히 하절기나 우천시와 같은 고습도하에서의 의류 건조 또는 착용시 불쾌취를 제거할 수 있는 항균 및 소취 효과가 우수한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각종 피부 상재균, 의류에 번식하는 미생물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각종 피부트러블 등을 예방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평균직경이 0.1 내지 500 ㎚인 은을 함유하는 마이크로 캡슐 0.01 중량%, 양이온성 계면활서제로 에스테르 쿼트(ester quat) 5 중량%,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 폴리옥시에틸렌(30 몰) 경화피마자유 0.1 중량%, 분산안정제로 에틸렌글리콜 0.05 중량%, 향 0.3 중량%, 첨가제로 향료, 색소, 방부제, 산화방지제, 소포제 적당량, 및 잔량의 물을 균일하게 혼합하여 섬유유연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4, 및 비교예 1~4
상기 실시예 1에서 하기 표 1에 나타낸 성분과 조성비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섬유유연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표 1의 단위는 중량%이다.
구분 실시예 비교예
1 2 3 4 1 2 3 4
마이크로 캡슐 0.01 10 15 20 - - - -
에스테르 쿼트 5 5 5 5 5 5 5 5
폴리옥시에틸렌(30몰) 경화피마자유 0.1 0.1 0.1 0.1 0.1 0.1 0.1 0.1
에틸렌글리콜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3 0.3 0.3 0.3 0.3 0.2 0.1 -
첨가제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100 중량%까지
실험예 1
(항균효과 시험Ⅰ)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에 1 내지 4에서 제조한 섬유유연제 조성물을 0.67 g/L의 농도로 희석한 후, 실험 균주인Staphylococcus aureus를 106/mL의 농도로 희석한 용액에 적정 시간이 경과한 투입하였다. 상기 용액을 미생물 배지에 도포한 후, 37 ℃에서 24 시간 동안 배양하여 성장한 미생물의 양을 측정하고, 하기 표 2의 평가기준에 따라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9에 나타내었다.
구분 매우우수 (◎) 우수 (○) 보통 (△) 불량 (×)
미생물 양 103이하 104이하 105이하 변화 없음
(항균효과 시험-Ⅱ)
K 0693-1990 시험법에 따라Staphylococcus aureus를 균주로 하여 106마리를 각각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4의 섬유유연제로 세탁한 면, PET에 대해 접종하고, 이에 대한 직물의 항균도를 측정하고, 하기 표 3의 평가기준에 따라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9에 나타내었다.
구분 매우우수 (◎) 우수 (○) 보통 (△) 불량 (×)
미생물 양 103이하 104이하 105이하 변화 없음
(유연효과 시험)
일반 세탁세제를 표준사용량 사용하여 시판하고 있는 100%의 면타올을 세탁기로 5 회 반복세탁한 후 탈수하였다. 그 다음 상기 면타올을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4에서 제조한 섬유유연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표준사용량(6.7 mL/10 L)을 기준으로 용해한 각각의 헹굼물(욕비 1:30, 25 ℃)로 유연처리하였다. 상기 유연처리한 면타올을 탈수하고, 20 ℃, 65% RH의 조건에서 24 시간 동안 컨디셔닝(conditioning)시킨 다음, 숙련된 패널리스트를 대상으로 관능평가를 실시하여 촉감정도를 유연점수로서 최저 1점에서 5점까지 부여하게 하고, 이를 3회 이상 반복 실시하여 그 평균값을 하기 표 9에 나타내었다. 이때, 유연성 평가기준은 비교예 1의 섬유유연제 조성물에 대한 유연효과를 유연점수로 부여하였으며, 평가기준은 하기 표 4와 같다.
구분 매우우수 (◎) 우수 (○) 보통 (△) 불량 (×)
유연효과 점수 4.5 이상 3.5~4.5 2.5~3.5 2.5 미만
(잔향효과 시험)
상기 유연효과 시험과 동일하게 유연처리한 면타올을 탈수하고, 20 ℃, 65% RH의 조건에서 24 시간 동안 컨디셔닝(conditioning)시킨 다음, 숙련된 패널리스트를 대상으로 관능평가를 실시하여 향의 강도정도를 점수로서 최저 1점에서 5점까지 부여하게 하고, 이를 3회 이상 반복 실시하여 그 평균값을 하기 표 9에 나타내었다. 이때, 잔향 평가기준은 비교예 1의 섬유유연제 조성물에 대한 잔향효과를 유연점수로 부여하였으며, 평가기준은 하기 표 5와 같다.
구분 매우우수 (◎) 우수 (○) 보통 (△) 불량 (×)
잔향강도 점수 4.5 이상 3.5~4.5 2.5~3.5 2.5 미만
(흡수성 시험)
표준 면포를 위사, 경사로 구분하여 2×15 ㎝의 크기로 절단한 후, 상기 유연효과 시험과 동일하게 유연처리하고, 20 ℃, 65 % RH 조건에서 24 시간 컨디셔닝(conditioning)시킨 다음, 시료포를 클램프와 추를 이용하여 수직으로 매달아 놓고, 수용성의 청색염료를 0.1%로 희석시킨 수용액 중에 시험포의 말단을 동시에 담궈 청색염료의 상승 높이를 20 분 후에 측정하고, 이것을 3 회 이상 반복하여 그 평균값을 하기 표 9에 나타내었다. 이때, 흡수효과의 평가기준은 하기 표 6과 같다.
구분 매우우수 (◎) 우수 (○) 보통 (△) 불량 (×)
흡수높이 (㎜) 100 이상 70~100 40~70 40 미만
(정전기 방지성 시험 - 마찰대전압 측정법)
KS K-0950의 염색 견뢰도 시험용 백 면포, 백 폴리에스테르포, 나일론 포(한국의류시험 연구원 제조)를 각각 4×6 ㎝의 크기로 절단하고, 상기 유연효과 시험과 동일하게 유연처리하고, 20 ℃, 40 % RH 조건에서 24 시간 컨디셔닝(conditioning)시킨 다음, 시료포를 일본 다이에이 카가쿠(Daiei Kagaku)사 제조 회전 정전 시험기(rotary static tester)를 이용하여 KS K-0555B의 시험방법으로 60 초 동안 600 rpm으로 회전 마찰시켜 발생된 대전압을 측정하고, 3 회 이상 반복 시험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9에 나타내었다. 이때, 평가기준은 하기 표 7과 같다.
구분 매우우수 (◎) 우수 (○) 보통 (△) 불량 (×)
면포 100 V 미만 100~300 V 300~500 V 500 V 이상
폴리에스테르포 800 V 미만 800~1200 V 1200~1800 V 1800 V 이상
나일론포 800 V 미만 800~1200 V 1200~1800 V 1800 V 이상
(정전기 방지성 시험 - 반감기 측정법)
상기 유연효과 시험과 동일하게 유연처리한 면타올을 탈수하고, 20 ℃, 40% RH의 조건에서 24 시간 동안 컨디셔닝(conditioning)시킨 다음, KS K-0555A 시험 방법을 응용하여, 스위스 로쓰쉴드(Rothschild)사 제조 정전 볼트미터(static voltmeter) 기기를 이용하여 초기 전압 150 V를 인가한 후 전압이 반으로 떨어지는 시간으로 정전압 누설속도를 측정하고, 3 회 이상 반복하여 평가하여 그 평균값을 하기 표 9에 나타내었다. 이때, 평가기준은 하기 표 8과 같다.
구분 매우우수 (◎) 우수 (○) 보통 (△) 불량 (×)
누설속도 (sec) 10 이하 10~102 102~103 103이상
구분 실시예 비교예
1 2 3 4 1 2 3 4
항균효과-Ⅰ × × × ×
항균효과-Ⅱ × × × ×
잔향효과
유연효과
흡수성
정전기 방지성 마찰대전압
반감기
상기 표 9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라 평균직경이 0.1 내지 500 ㎚인 은을 함유하는 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하는 실시예 1 내지 4의 섬유유연제 조성물이 비교예 1 내지 4와 비교하여 항균효과, 잔향효과, 유연효과, 흡수성, 및 전기 방지성(마찰대전압, 반감기)이 모두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섬유유연제 조성물은 의류의 세탁, 건조, 착용시에 의류에 번식할 수 있는 미생물의 생장과 증식을 억제 또는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시에 섬유의 불쾌취, 특히 하절기나 우천시와 같은 고습도하에서의 의류 건조 또는 착용시 불쾌취를 제거할 수 있는 항균 및 소취 효과가 우수하다. 또한, 각종 피부 상재균, 의류에 번식하는 미생물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각종 피부트러블 등을 예방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8)

  1. 평균직경이 0.1 내지 500 ㎚인 은을 함유하는 마이크로 캡슐 0.0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섬유유연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캡슐이 a) 마이크로 캡슐 벽재 물질이 용해되어 있는 수용액에 유화제를 가하여 유화시키는 단계; b) 상기 유화액에 가교제를 가하여 유화액 중에 용해된 마이크로 캡슐 벽재 물질을 가교 및 축합반응시켜 마이크로 캡슐을 제조하는 단계; 및 c) 상기 제조된 마이크로 캡슐에 평균입경이 0.1 내지 500 ㎚인 은을 함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되는 섬유유연제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캡슐에 담지되는 은이 마이크로 캡슐 100 중량부에 대항 0.001 내지 99 중량부로 포함되는 섬유유연제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유연제 조성물이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로 양이온 제4급 암모늄염, 및 유화제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또는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섬유유연제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인 양이온 제4급 암모늄염이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디알킬 디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dialkyl dimethyl ammonium chloride),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디알킬 이미다졸리늄 염(dialkyl imidazolinium salt),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디알킬아미도 쿼터너리 암모늄 염(dialkylamido quaternary ammonium salt), 및 에스테르 쿼트 형(ester quat type)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섬유유연제 조성물:
    [화학식 1]
    [화학식 2]
    [화학식 3]
    상기 화학식 1 내지 3의 식에서,
    R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8 내지 20의 알킬 또는 알케닐이다.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탄소수 10 내지 20의 폴리옥시에틸렌(2 내지 200 몰) 알킬, 알케닐에스테르, 또는 알킬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2 내지 40 몰) 알킬, 알케닐에스테르, 또는 하이드록시 지방산에스테르, 솔비탄 지방산 알킬에스테르 및 이의 에틸렌옥사이드(15 내지 40 몰) 부가물, 폴리옥시에틸렌(1 내지 30 몰) 알킬 또는 알케닐아미드, 폴리옥시에틸렌(1 내지 50 몰) 알킬 또는 알케닐아민, 및 글리세릴 모노알킬 및 알케닐에스테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섬유유연제 조성물.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성 계면활성제가 탄소수 8 내지 22의 알킬디메틸베타인, 알킬디메틸하이드록시에틸, 알킬디메틸하이드록시프로필 베타인, 및 알킬디메틸하이드록시프로필 레시틴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섬유유연제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유연제 조성물이 탄소수 8 미만의 저급알코올 또는 글리콜류, 적어도 탄소수 14의 고급알코올류, 요소, 염화마그네슘, 염화나트륨, 염화칼슘, 및 질산나트륨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유기 또는 무기 분산안정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섬유유연제 조성물.
KR1020030020092A 2003-03-31 2003-03-31 섬유유연제 조성물 KR2004008541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0092A KR20040085417A (ko) 2003-03-31 2003-03-31 섬유유연제 조성물
JP2004074940A JP2004300660A (ja) 2003-03-31 2004-03-16 繊維柔軟剤組成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0092A KR20040085417A (ko) 2003-03-31 2003-03-31 섬유유연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5417A true KR20040085417A (ko) 2004-10-08

Family

ID=33411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0092A KR20040085417A (ko) 2003-03-31 2003-03-31 섬유유연제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4300660A (ko)
KR (1) KR2004008541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0670A (ko) * 2004-08-25 2006-05-19 동양나노테크 주식회사 은나노를 함유하는 세제조성물
US11214759B2 (en) 2017-09-15 2022-01-04 Lg Chem, Ltd. Polymerizable composition, polymer capsule and fabric softener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L212578B1 (pl) * 2006-12-30 2012-10-31 Nanoco Spolka Z Ograniczona Odpowiedzialnoscia Kompozycja do plukania tkanin
JP5703052B2 (ja) * 2011-02-10 2015-04-15 ライオン株式会社 カプセル粒子含有繊維処理剤の製造方法
PL224478B1 (pl) * 2013-06-03 2016-12-30 Eko Styl Spółka Z Ograniczoną Odpowiedzialnością Sposób apreturowania tkanin w procesie ich prania
WO2015197745A2 (en) * 2014-06-27 2015-12-30 Firmenich Sa Process for preparing antimicrobial microcapsules
EP3611245B1 (en) 2018-08-14 2021-03-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iquid fabric treatment compositions comprising brightener
EP3611247B1 (en) 2018-08-14 2021-03-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abric treatment compositions comprising benefit agent capsules
EP3848442A1 (en) 2018-08-14 2021-07-1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abric treatment compositions comprising benefit agent capsules
CN114317140A (zh) * 2022-01-24 2022-04-12 广州立白企业集团有限公司 一种增香柔顺洗涤剂组合物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30963A (ja) * 1982-08-16 1984-02-18 センカ株式会社 殺菌性繊維
JPH0723581B2 (ja) * 1988-08-24 1995-03-15 花王株式会社 衣料用柔軟仕上剤
DE3930410A1 (de) * 1989-09-12 1991-03-14 Bayer Ag Silicon-emulsionen
JPH06315621A (ja) * 1993-04-30 1994-11-15 Lion Corp 水中油型エマルジョンの製造方法
JPH0775732A (ja) * 1993-06-18 1995-03-20 Nippon Kayaku Co Ltd マイクロカプセル、一液型硬化性樹脂組成物及びその硬化物
JP2700523B2 (ja) * 1993-07-19 1998-01-21 憲司 中村 抗菌粉粒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DE19502514A1 (de) * 1994-02-03 1995-08-10 Sandoz Ag Textilveredlungsmittel
DE4439570A1 (de) * 1994-11-05 1996-05-09 Henkel Kgaa Wäschenachbehandlungsmittel
JPH09190254A (ja) * 1996-01-11 1997-07-22 Fujitsu Ltd 電子機器
JPH11169724A (ja) * 1997-12-17 1999-06-29 San Techno:Kk 抗菌作用を有する複合粒子材料
JP2000144189A (ja) * 1998-11-12 2000-05-26 Kao Corp 生地臭改善剤
JP4256552B2 (ja) * 1999-12-28 2009-04-22 ライオン株式会社 液体柔軟剤組成物
JP2001269573A (ja) * 2000-03-24 2001-10-02 Titan Kogyo Kk 光触媒粒子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用途
JP2001299409A (ja) * 2000-04-18 2001-10-30 Dainippon Printing Co Ltd 靴の中敷き
JP2004522010A (ja) * 2000-05-24 2004-07-22 ザ、プロクター、エンド、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悪臭制御剤を含んでなる布地柔軟剤組成物
JP2002155296A (ja) * 2000-11-22 2002-05-28 Kao Corp 住居用液体洗浄剤組成物
JP4467821B2 (ja) * 2001-03-08 2010-05-26 花王株式会社 柔軟剤組成物
JP3676270B2 (ja) * 2001-04-11 2005-07-27 花王株式会社 柔軟剤組成物
CN1622853A (zh) * 2001-12-27 2005-06-01 宝力科莱株式会社 含银纳米粒子的功能性微胶囊的制备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0670A (ko) * 2004-08-25 2006-05-19 동양나노테크 주식회사 은나노를 함유하는 세제조성물
US11214759B2 (en) 2017-09-15 2022-01-04 Lg Chem, Ltd. Polymerizable composition, polymer capsule and fabric softener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4300660A (ja) 2004-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2901068C2 (de) Desodorierender, poröser Gebrauchsgegenstand zur Berührung mit menschlicher Haut oder Haar
KR20040085417A (ko) 섬유유연제 조성물
JP6331507B2 (ja) 消臭システム、消臭剤及び消臭性繊維製品
KR102204710B1 (ko) 섬유제품용 액체 처리제 조성물
CN101081305B (zh) 液体除臭剂
GB2363382A (en) Acrylic synthetic fiber, use thereof, and process for producing acrylic synthetic fiber
KR100828023B1 (ko) 섬유유연제 조성물
JP2001146681A (ja) 繊維製品防臭処理剤
JP7199867B2 (ja) 繊維製品用賦香剤組成物。
KR20050090217A (ko) 섬유유연제 조성물
KR20080087499A (ko) 항균 및 소취 효과를 구비한 섬유 유연제 조성물
JP3721311B2 (ja) 機能化繊維材料とその製造方法
KR100411730B1 (ko) 섬유유연제 조성물
KR20030050969A (ko) 섬유유연제 조성물
KR20080026731A (ko) 저온 활성이 가능한 시트형 섬유 유연제 조성물
JP3493602B2 (ja) 機能化繊維材料及び繊維材料の処理方法
JP2015071852A (ja) ポリウレタン繊維
JP2000328469A (ja) 機能性ナイロン系繊維製品の製造法
KR102596547B1 (ko) 건조기 시트 제조방법
KR920009260B1 (ko) 대전방지성 및 항균방취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장섬유 부직포의 제조방법
JPH11107163A (ja) 繊維処理剤、繊維または繊維素材生地、および衛生用品表面材
JP2001192970A (ja) 柔軟剤およびそれを担持してなる繊維処理材
KR20050073079A (ko) 섬유유연제 조성물
KR20100111775A (ko) 원적외선 방사용 섬유유연제 조성물
KR100580067B1 (ko) 섬유처리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