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2296A - 타이어 가류기 - Google Patents

타이어 가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2296A
KR20040082296A KR1020040017511A KR20040017511A KR20040082296A KR 20040082296 A KR20040082296 A KR 20040082296A KR 1020040017511 A KR1020040017511 A KR 1020040017511A KR 20040017511 A KR20040017511 A KR 20040017511A KR 20040082296 A KR20040082296 A KR 200400822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rod
tire
raw tire
mold
center po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7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에마사히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Publication of KR200400822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2296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1/00Non-optical adjuncts; Attachment thereof
    • G02C11/02Ornaments, e.g. exchangeabl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1/00Mobile visual advertising
    • G09F21/02Mobile visual advertising by a carrier person or anim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ting, Cooling, Or Curing Plastics Or The Like In General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중심축끼리를 일치시키면서 형 체결된 금형 내에 미가공 타이어를 수용하여 가류 성형하는 것이다. 미가공 타이어를 보유 지지하는 척 기구를 갖고, 척 기구를 수평 이동시켜 미가공 타이어를 형 개방된 금형 사이로 반출입하는 동시에, 척 기구를 승강시켜 미가공 타이어를 하부 금형에 착탈 가능한 로더 장치와, 하부 금형측에 설치되어 중심축과 동심형으로 배치된 끼워 맞춤 부재와, 중심축과 동심이 되도록 척 기구에 설치되어 척 기구의 하강시에 선단부가 끼워 맞춤 부재에 끼워 맞추어지는 가이드 로드를 갖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위치 결정 오차의 발생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동시에, 위치 결정 오차가 용이하게 해소된다.

Description

타이어 가류기 {A TIRE PRESS}
본 발명은, 타이어를 가류 성형하는 타이어 가류기에 관한 것이다.
타이어 가류기는 중심축끼리를 일치시키면서 형 체결된 상부 금형 및 하부 금형 내에 미가공 타이어를 수용하여 가류 성형할 때에, 미가공 타이어가 중심축에 동심형으로 셋트되어 셰이핑되는 것이 가류 성형을 균질하게 행하여 고품질의 가류 완료 타이어를 얻는 면에서 바람직하다.
그래서, 종래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금형(51)과 하부 금형(52)을 형 개방한 후, 로더 기구(55)의 척부(54)로 미가공 타이어(53)를 보유 지지하여 척부(54)를 수평 이동시킴으로써 양 금형(51, 52) 사이로 미가공 타이어(53)를 반입한다. 그리고, 척부(54)를 하강시켜 척부(54)의 근원측에 설치된 삽입 관통 구멍(56)에 가이드 로드(57)를 삽입 관통시킴으로써, 미가공 타이어(53)가 하부 금형(52)의 중심축과 동심형이 되도록 위치 결정하면서 셋트한다. 이 후, 미가공 타이어(53)를 중심 기구에 의해 셰이핑하여 척부(54)를 금형(51, 52) 사이로부터 후퇴시킨 후, 상부 금형(51)을 하강시킴으로써 양 금형(51, 52)의 중심축끼리를 일치시키도록 형 체결하여 금형(51, 52) 내의 미가공 타이어(53)에 대해 가류 성형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예를 들어 일본 실용신안 공개 평7-4012호 공보 참조).
그러나, 상기 종래의 것에서는 삽입 관통 구멍(56) 및 가이드 로드(57)의 위치 관계가 변화하거나, 가이드 로드(57)의 설치 상태(축심 방향)가 변화하였을 때에 미가공 타이어(53)가 중심축에 대해 오차를 포함한 상태에서 위치 결정되게 되지만, 이 경우에 하부 금형(52)의 중심축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설치된 삽입 관통구멍(56)과 가이드 로드(57)에서 간접적으로 미가공 타이어(53)를 중심축에 대해 동심형으로 위치 결정하고 있으므로, 위치 결정 오차의 발생을 오퍼레이터가 알아차리기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다. 이 결과, 불충분한 품질의 가류 성형이 대부분의 미가공 타이어(53)에 대해 행해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타이어 가류기의 조립시나 점검시에 있어서는, 가이드 로드(57)가 중심축에 대해 평행한 것을 확인 및 조정하는 작업과, 이 가이드 로드(57)와 삽입 관통 구멍(56)이 동심형의 위치 관계에 있는 것을 확인 및 조정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에 의해, 타이어 가류기의 조립시나 점검시에 있어서의 작업이 곤란한 동시에 장시간을 필요로 하기 쉬워지는 문제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위치 결정 오차의 발생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동시에, 위치 결정 오차를 용이하게 해소할 수 있는 타이어 가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타이어 가류기의 개략 구성도.
도2의 (a) 내지 도2의 (c)는 타이어 가류기의 동작 과정을 도시하는 설명도로, 도2의 (a)는 타이어 반입 직후의 상태, 도2의 (b)는 타이어 적재 직후의 상태, 도2의 (c)는 센터 포스트를 하강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3은 타이어 가류기의 개략 구성도.
도4는 브레이크 기구의 개략 구성도.
도5의 (a) 내지 도5의 (d)는 타이어 가류기의 동작 과정을 도시하는 설명도로, 도5의 (a)는 타이어 반입 직후의 상태, 도5의 (b)는 끼워 맞춤 직후의 상태, 도5의 (c)는 타이어 적재 직후의 상태, 도5의 (d)는 센터 포스트를 하강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6은 타이어 가류기의 개략 구성도.
도7은 종래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타이어 가류기의 개략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가류기 본체
2 : 로더 장치
3 : 금형 고정부
4 : 금형 승강부
5 : 미가공 타이머
7 : 중심 기구
8 : 블래더
9 : 센터 포스트
12 : 끼워 맞춤 부재
24 : 척 기구
25 : 척 지지판
26 : 브래킷
28 : 가이드 로드
51 : 상부 금형
52 : 하부 금형
53 : 미가공 타이어
54 : 척부
55 : 로더 기구
56 : 삽입 관통 구멍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미가공 타이어가 수용되어 형 체결되고 상부 금형 및 하부 금형으로 이루어지는 금형과, 미가공 타이어를 보유 지지하는 척부와, 상기 척부를 이동시킴으로써 형 개방된 상태의 상기 상부 금형과 상기 하부 금형 사이로 미가공 타이어를 반입시키고 상기 금형에 착좌 가능한 로더 기구와, 상기 가류기의 상기 하부 금형측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 금형의 중심축과 동심형으로 배치된 끼워 맞춤 부재 및 보유 지지되는 미가공 타이어와 동심이 되도록 상기 척부에 설치되는 가이드 로드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이드 로드는 상기 척부의 미가공 타이어 착좌 동작시에 상기 가이드 로드의 선단부가 상기 끼워 맞춤 부재에끼워 맞추어지는 타이어 가류기이다.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예를 들어 가류기 본체의 정기 정검시 등에 있어서는, 가이드 로드 및 끼워 맞춤 부재의 축심과 중심축이 동심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면, 가이드 로드와 끼워 맞춤 부재와의 위치 관계도 동시에 검사할 수 있으므로 검사 작업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이 결과, 위치 결정 오차의 발생을 오퍼레이터가 알아차리기 쉬우므로, 불충분한 품질로 가류 성형이 행해지는 것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타이어 가류기를 조립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가이드 로드 및 끼워 맞춤 부재를 중심축에 동심시키도록 조정하면, 동시에 가이드 로드와 끼워 맞춤 부재와의 위치 관계의 조정도 완료되므로 조립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센터 포스트와, 상기 센터 포스트의 하강에 추종하여 상기 가이드 로드를 진퇴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 로드 지지 기구로 이루어지고, 상기 센터 포스트의 상단부면에 상기 끼워 맞춤 부재가 설치되도록 해도 좋다.
이에 의해, 용이하면서 또한 확실하게 타이어를 금형의 중심축에 동심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구성의 타이어 가류기에 있어서, 또한 블래더로 이루어지고, 상기 센터 포스트는 상기 블래더를 연신 및 축소시키도록 승강하도록 해도 좋다.
이에 의해, 블래더를 구비한 블래더 방식의 타이어 가류기에 있어서도 용이하면서 또한 확실하게 타이어를 금형의 중심축에 동심시킬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로드 지지 기구는 실린더 로드를 상기 가이드 로드로 한 실린더 장치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매우 간단한 구성으로 가이드 로드 지지 기구 및 가이드 로드를 형성할 수 있다.
혹은, 상기 가이드 로드 지지 기구는 상기 가이드 로드가 소정 위치에서 정지 가능한 브레이크 기구를 구비하고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가이드 로드 지지 기구를 실린더 장치로 구성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끼워 맞춤 상태를 유지하는 기능을 발휘시킬 수 있는 데다가, 가이드 로드 지지 기구의 높이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으므로, 타이어 가류기의 전체 높이를 낮은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혹은, 상기 가이드 로드 지지 기구는 상기 가이드 로드가 상기 하부 금형을 향해 압박하는 압박 기구를 갖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끼워 맞춤 상태를 유지하는 기능을 모두 동력원을 필요로 하지 않는 기계적인 구성 요소로 실현할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를 도1 및 도2의 (a) 내지 도2의 (c)를 기초로 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본 실시의 형태에 관한 타이어 가류기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가공 타이어(5)를 가류 성형하는 가류기 본체(1)와, 가류기 본체(1)에 대해 미가공타이어(5)를 반입하는 로더 장치(2)와, 가류 완료 타이어를 반출하는 도시하지 않은 언로더를 갖고 있다. 가류기 본체(1)는 부지면에 설치된 금형 고정부(3)와, 금형 고정부(3)에 대해 승강하는 금형 승강부(4)를 갖고 있다. 금형 고정부(3)는 미가공 타이어(5)의 하측벽 등에 접촉하는 하부 금형(6)과, 하부 금형(6)을 소정 온도로 가열하는 도시하지 않은 하부 가열 기구와, 하부 가열 기구 및 하부 금형(6)의 중심부에 관통 설치된 중심 기구(7)를 갖고 있다.
상기한 중심 기구(7)는 하부 금형(6)에 고정된 도시하지 않은 하부 링 기구를 갖고 있다. 하부 링 기구는 미가공 타이어(5)의 하부 비드부에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블래더(8)의 하부 모서리부를 협지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부 링 기구는 증기나 질소 가스 등의 가압 가열 매체를 공급하는 도시하지 않은 가압 가열 매체 공급 장치에 접속되어 있고, 이 장치로부터의 가압 가열 매체를 블래더(8) 내에 공급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하부 링 기구의 중심부에는 센터 포스트(9)가 상하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기밀 상태로 세워 설치되어 있다. 센터 포스트(9)의 상단부에는 상부 링(10)이 설치되어 있다. 상부 링(10)은 블래더(8)의 상부 모서리부를 협지하고 있다. 또한, 센터 포스트(9)의 상단부면에는 끼워 맞춤 부재(12)가 설치되어 있다. 끼워 맞춤 부재(12)는 상단부에 끼워 맞춤 오목부(12a)를 구비하고 있고, 끼워 맞춤 오목부(12a) 및 끼워 맞춤 부재(12)는 하부 금형(6)의 중심축과 동심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센터 포스트(9)의 하단부에는 센터 포스트(9)를 임의의 높이 위치에승강 가능한 도시하지 않은 포스트 승강 기구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포스트 승강 기구는 미가공 타이어(5)의 반입시 및 가류 완료 타이어의 반출시에 있어서 블래더(8)의 상부 모서리부를 들어 올려 블래더(8)를 미가공 타이어(5)의 타이어 구멍보다도 작은 직경으로 설정하도록 센터 포스트(9)를 상한 위치로 상승시키는 한편, 미가공 타이어(5)의 가류 성형시에 있어서 블래더(8)를 미가공 타이어(5) 내에 삽입하여 타이어 내벽면에 접촉 가능한 직경으로 확대시키도록 센터 포스트(9)를 하강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센터 포스트(9)에 의해 확장 수축되는 블래더(8)는 미가공 타이어(5)의 가류 성형시에 가압 가열 매체가 공급됨으로써 타이어 내벽면을 금형 방향으로 압박하는 것이고, 예를 들어 고온 환경 하에서 변질되기 어려운 저연신성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센터 포스트(9)의 상방에는 금형 승강부(4)와 상부 금형(11)이 설치되어 있다. 상부 금형(11)은 미가공 타이어(5)의 상측벽 등에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금형 승강부(4)를 승강시키는 도시하지 않은 금형 승강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가류기 본체(1)의 측방에는 로더 장치(2)가 배치되어 있다. 로더 장치(2)는 중심축에 대해 평행이 되도록 부지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세워 설치된 수직 프레임(21)과, 수직 프레임(21)에 따라서 수직 방향으로 승강하는 리니어 가이드 등의 승강 기구와, 수직 프레임(21)을 선회 중심으로 하여 수평 방향으로 선회하는 선회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승강 기구 및 선회 기구는 아암 부재(22)의 기단부를 지지하고 있고, 아암 부재(22)를 수직 방향으로 승강 가능 및 수평 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하고 있다.
상기한 아암 부재(22)의 선단부에는 척 기구(23)가 설치되어 있다. 척 기구(23)는 수평 배치된 척 지지판(24)과, 척 지지판(24)의 하면에 설치된 복수의 갈고리 부재(25)를 갖고 있다. 척 지지판(24)은 관통 구멍(24a)을 갖고 있고, 관통 구멍(24a)은 척 기구(23)가 금형(6, 11) 사이로 반입되었을 때에 중심점이 중심축에 대해 일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24a)의 주위에는 상기한 갈고리 부재(25)가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들 갈고리 부재(25)는 중심점(중심축)에 대한 직경 방향에 대해 진퇴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갈고리 부재(25)는 중심점(중심축) 방향으로 이동하였을 때에, 갈고리 부재(25)의 선단부로 이어지는 직경이 미가공 타이어(5)의 구멍 직경보다도 축소되고, 역방향으로 이동하였을 때에, 갈고리 부재(25)의 선단부로 이어지는 직경이 미가공 타이어(5)의 구멍 직경보다도 확대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척 기구(23)는 갈고리 부재(25)의 이동에 의해 미가공 타이어(5)를 착탈 가능하게 보유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척 지지판(24)의 상면에는 관통 구멍(24a)을 걸치는 브래킷(26)이 설치되어 있다. 브래킷(26)은 에어에 의해 작동하는 실린더 장치(27)를 지지하고 있다. 실린더 장치(27)는 실린더 로드를 가이드 로드(28)로 하여 하방을 향해 구비하고 있다. 가이드 로드(28)는 관통 구멍(24a)에 관통되어 있는 동시에, 척 기구(23)가 금형(6, 11) 사이로 반입되었을 때에 축심이 중심축에 대해 동심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 에어 실린더 본체부를 설치함으로써 상부 및 하부 금형의개방 스트로크가 커져 가류기의 높이가 높아지는 경우가 있지만, 실린더 장치(27)의 높이를 낮게 하기 위해 텔리스코픽형의 실린더로 할 수 있다.
또한, 브래킷(26)의 높이는 척 기구(23)를 하강시켜 미가공 타이어(5)를 하부 금형(6)에 장착할 때에, 브래킷(26)이 중심 기구와 간섭하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상기한 브래킷(26)의 높이는 블래더(8)를 축소시키도록 상한 위치까지 상승된 센터 포스트(9)의 길이와 실린더 장치(27)에 인입된 상태에 있어서의 가이드 로드(28)의 돌출 길이와의 합계 길이보다도 길어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실린더 장치(27)에 의한 가이드 로드(28)의 압출력(하강력)은 척 기구(23)의 하강시나 센터 포스트(9)의 하강시 등에 있어서 항상 가이드 로드(28)의 선단부가 끼워 맞춤 오목부(12a)에 끼워 맞추어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로더 장치(2) 및 센터 포스트(9)의 승강력에 대해 충분히 작은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미가공 타이어(5)를 하부 금형(6)에 장착할 때에, 센터 포스트(9)와 척 기구(23)가 간섭하지 않기 위해 충분한 길이의 갈고리 부재로 함으로써, 브래킷(26)을 이용하지 않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타이어 가류기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금형 승강부(4)를 상승시킴으로써, 금형 고정부(3)의 상방에 금형 승강부(4)를 위치시킨다. 이에 의해, 하부 금형(6)과 상부 금형(11)이 형 개방된 상태가 된다. 이 후, 대기 위치에 존재하는 미가류의 미가공 타이어(5)를 로더 장치(2)의 척 기구(23)에 의해 보유 지지하고, 척 기구(23)를 승강 및 선회시킴으로써 미가공 타이어(5)를 금형(6, 11) 사이로 반입한다.
도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가공 타이어(5)의 타이어 구멍을 센터 포스트(9)의 상방에 위치시키고, 또한 중심 기구(7)의 센터 포스트(9)를 상승시킴으로써, 상부 링(10)을 거쳐서 블래더(8)의 상부 모서리부를 들어올려 블래더(8)를 미가공 타이어(5)의 타이어 구멍보다도 작은 직경으로 축소시킨다. 또한, 척 기구(23)측에 있어서는 실린더 장치(27)로부터 가이드 로드(28)를 최대 스트로크량으로 진출시킨다. 그리고, 미가공 타이어(5)를 하부 금형(6)에 적재하기 위해 척 기구(23)와 함께 타이어(5)를 하강시킨다.
이에 의해, 우선 미가공 타이어(5)의 타이어 구멍에 센터 포스트(9) 및 블래더(8)가 삽입 관통된다. 그리고, 이 삽입 관통 도중에 있어서 가이드 로드(28)의 선단부가 끼워 맞춤 부재(12)의 끼워 맞춤 오목부(12a)에 끼워 맞춤된다. 이 때, 가이드 로드(28)와 끼워 맞춤 부재(12)[끼워 맞춤 오목부(12a)]는 중심축에 일치되어 있다. 따라서, 가이드 로드(28)가 끼워 맞춤 오목부(12a)에 끼워 맞추어진 시점에서 척 기구(23) 및 이 척 기구(23)에 보유 지지된 미가공 타이어(5)가 중심축에 일치하도록 강제적으로 조심된다.
또한, 가이드 로드(28)는 실린더 장치(27)에 의한 압출력(하강력)이 로더 장치(2) 및 센터 포스트(9)의 승강력에 대해 충분히 작은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도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더 장치(2)에 의한 척 기구(23)의 하강이 계속되면, 가이드 로드(28)가 센터 포스트(9)의 반력을 받음으로써 가이드 로드(28)가 끼워 맞춤 오목부(12a)에 끼워 맞춘 상태를 유지하면서 실린더 장치(27) 내로 후퇴하여 미가공 타이어(5)가 하부 금형(6)에 적재된다. 이에 의해, 미가공 타이어(5)는 로더 장치(2)에 의해 하부 금형(6)에 장착되기까지의 과정에 있어서 항상 중심축에 대해 동심이 되도록 조심되게 된다.
이 후, 도2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래더(8)를 미가공 타이어(5)의 내벽면에 따라서 전개시키므로 센터 포스트(9)가 하강된다. 이 때, 가이드 로드(28)는 실린더 장치(27)에 의해 압출력(하강력)이 부여되고 있으므로, 센터 포스트(9)의 하강에 동조하여 하강함으로써 끼워 맞춤 오목부(12a)와의 끼워 맞춤 상태를 유지한다. 그 후, 블래더 내에 저압의 가압 가열 매체가 공급되어, 이른바 셰이핑이라 불리우는 미가공 타이어(5)의 성형 및 보유 지지가 행해져 하부 금형(6)으로의 장착이 완료된다. 이 결과, 미가공 타이어(5)는 하부 금형(6)에 장착된 후 센터 포스트(9)가 하강되고, 셰이핑되는 과정에 있어서도 항상 중심축에 대해 동심이 되도록 조심되게 된다. 또한, 이에 의해 생산 운전시에 있어서, 예를 들어 로더 장치가 센터 포스트에 대해 편심된 경우라도, 미가공 타이어(5)는 확실하게 중심축에 대해 동심이 되도록 조심되어 불량 타이어가 생기는 일은 없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미가공 타이어(5)의 하부 금형(6)으로의 장착이 완료되면, 척 기구(23)에 의한 미가공 타이어(5)의 보유 지지가 해제된다. 그리고, 척 기구(23)만이 상승 및 수평 이동되어 금형(6, 11) 사이의 외부로 이동된다. 이 후, 도1의 상부 금형(11)이 하강되어 금형(6, 11)의 형 체결이 행해진다. 이에 의해, 금형(6, 11) 내에 미가공 타이어(5)가 중심축에 동심한 상태에서 정확하게 셋트되므로, 가류 성형을 고품질로 행한 미가공 타이어(5)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하여 가류 완료의 미가공 타이어(5)를 얻게 되면, 상술한 동작과는 반대의 동작에 의해 금형(6, 11)이 형 개방된 후, 블래더(8)가 축소되어 미가공 타이어(5)가 언로더 장치에 의해 보유 지지되어 외부로 반출된다. 이 후, 새로운 미가공 타이어(5)가 반입되어 가류 성형이 반복되게 된다.
또한, 가류기 본체(1)의 정기 점검시 등에 있어서는, 가이드 로드(28) 및 끼워 맞춤 부재(12)의 축심과 중심축이 동심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면, 가이드 로드(28)와 끼워 맞춤 부재(12)의 위치 관계도 동시에 검사할 수 있으므로 검사 작업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타이어 가류기를 조립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가이드 로드(28) 및 끼워 맞춤 부재(12)를 중심축에 동심시키도록 조정하면, 동시에 가이드 로드(28)와 끼워 맞춤 부재(12)의 위치 관계의 조정도 완료되므로 조립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도3 내지 도5의 (d)를 기초로 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타이어 가류기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가공 타이어(5)를 가류 성형하는 가류기 본체(1)와, 가류기 본체(1)에 대해 미가공 타이어(5)를 반입하는 로더 장치(2)를 갖고 있다. 가류기 본체(1)는 중심 기구(7)를 구비한 금형 고정부(3)를 갖고 있다. 중심 기구(7)의 중심부에는 센터 포스트(9)가 상하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기밀 상태로 세워 설치되어 있다. 센터 포스트(9)의 상단부면에는 끼워 맞춤 부재(31)가 설치되어 있다. 끼워맞춤 부재(31)는 상단부에 끼워 맞춤 오목부(31a)를 구비하고 있고, 끼워 맞춤 오목부(31a) 및 끼워 맞춤 부재(31)는 하부 금형(6)의 중심축과 동심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끼워 맞춤 오목부(31a)는 바닥면이 역원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정상부가 중심축에 일치되어 있다. 또한, 끼워 맞춤 부재(31)는 철 등의 자성 재료를 주요 성분으로 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끼워 맞춤 부재(31)의 상방에는 중심축에 일치된 가이드 로드(30)가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 로드(30)는 선단부(30b)가 원뿔 형상의 경사측면(30a)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가이드 로드(30)는 끼워 맞춤 부재(31)의 끼워 맞춤 오목부(31a)에 끼워 맞춤할 때에, 수평 방향에 다소의 오차가 있어도 선단부(30b)의 경사측면(30a)에 따라서 강제적으로 끼워 맞춤 오목부(31a)에 끼워 맞추어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 로드(30)의 선단부(30b)에는 전자석이 매설되어 있고, 전자석은 도시하지 않은 스위치의 스위칭에 의해 자성의 발생과 정지를 스위칭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전자석은 가이드 로드(30)의 선단부(30b)가 끼워 맞춤 오목부(12a)에 끼워 맞춤되었을 때에, 자성을 발생하여 선단부(30b)를 끼워 맞춤 오목부(12a)에 견고하게 접합시키도록 되어 있다. 한편, 가이드 로드(30)의 후단부(상단부)에는 가이드 로드(30)의 로드 직경보다도 큰 직경을 가진 정지부(30c)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가이드 로드(30)는 브래킷(26)에 설치된 가이드 로드 지지 기구(36)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가이드 로드 지지 기구(36)는 센터 포스트(9)의 하강에 추종하여 가이드 로드(30)를 진퇴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또한, 가이드 로드 지지 기구(36)는 가이드 로드(30)의 정지부(30c)에서 접촉하도록 형성됨으로써, 가이드 로드(30)가 척 기구(23)에 대해 하강하는 하한치를 설정하고 있다.
또한, 가이드 로드 지지 기구(36)는 가이드 로드(30)를 소정 위치에서 브레이크력에 의해 정지 가능한 브레이크 기구(32)를 구비하고 있다. 브레이크 기구(32)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 로드(30)를 중심으로 하여 좌우 대칭으로 배치된 브레이크 부재(33, 33)와, 이들 브레이크 부재(33, 33) 사이에 설치되어 가이드 로드(30)에 브레이크 부재(33, 33)를 이반시키도록 압박하는 스프링 부재(34, 34)와, 각 브레이크 부재(33, 33)를 가이드 로드(30) 방향으로 진퇴 이동 가능한 브레이크용 실린더 장치(35, 35)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한 브레이크용 실린더 장치(35, 35)는 도시하지 않은 공기압 회로나 유압 회로 등을 구비한 제어 장치에 접속되어 있다. 제어 장치는 로더 장치(2)나 가류기 본체(1)의 동작과 연동되어 있어, 척 기구(23)를 하강하여 가이드 로드(30)를 끼워 맞춤 오목부(31a)에 끼워 맞추는 기간에 있어서 브레이크력을 발생시키고, 끼워 맞춤 상태가 된 후 미가공 타이어(5)가 하부 금형(6)에 장착되어 센터 포스트(9)가 하강되기까지의 기간에 있어서는 브레이크력을 해제하도록 되어 있다. 그 밖의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타이어 가류기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형 개방된 금형(6, 11) 사이로 미가공 타이어(5)가 반입되면, 중심 기구(7)의 센터 포스트(9)를 상승시킴으로써 상부 링(10)을 거쳐서 블래더(8)의 상부 모서리부를 들어올려블래더(8)를 미가공 타이어(5)의 타이어 구멍보다도 작은 직경으로 축소시킨다. 또한, 척 기구(23)측에 있어서는 가이드 로드 지지 기구(36)의 브레이크 기구(32)에 브레이크력을 발생하게 하여 가이드 로드(30)를 하방으로 연장한 상태에서 고정한다. 그리고, 미가공 타이어(5)를 하부 금형(6)에 적재하기 위해, 척 기구(23)와 함께 미가공 타이어(5)를 하강시킨다.
이에 의해, 우선 미가공 타이어(5)의 타이어 구멍에 센터 포스트(9) 및 블래더(8)가 삽입 관통된다. 그리고, 이 삽입 관통 도중에 있어서, 도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 로드(30)의 선단부(30b)가 끼워 맞춤 부재(31)의 끼워 맞춤 오목부(31a)에 끼워 맞추어진다. 이 때, 가이드 로드(30)와 끼워 맞춤 부재(31)[끼워 맞춤 오목부(31a)]는 중심축에 일치되어 있다. 따라서, 가이드 로드(30)가 끼워 맞춤 오목부(31a)에 끼워 맞춤된 시점에서 척 기구(23) 및 이 척 기구(23)에 보유 지지된 미가공 타이어(5)가 중심축에 일치하도록 강제적으로 조심된다. 또한, 척 기구(23)의 위치 결정 오차 등에 의해 가이드 로드(30)가 중심축으로부터 다소 어긋나 있던 경우라도, 가이드 로드(30) 선단부가 원뿔 형상의 경사측면(30a)에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가이드 로드(30)가 브레이크 기구(32)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므로, 선단부(30b)가 끼워 맞춤 오목부(31a)로 미끄러져 들어가도록 하여 끼워 맞춘다.
가이드 로드(30)가 끼워 맞춤 오목부(31a)에 끼워 맞추어지면, 일단 척 기구(23)의 하강이 정지된다. 그리고, 브레이크 기구(32)의 브레이크력이 해제되어 가이드 로드(3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가이드로드(30)의 선단부(30b)에 매설된 전자석이 작동됨으로써, 선단부(30b)가 끼워 맞춤 부재(12)의 끼워 맞춤 오목부(12a)에 흡착하여 끼워 맞춤 상태가 견고한 것이 된다.
이 후, 도5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더 장치(2)에 의한 척 기구(23)의 하강이 재개된다. 이 결과, 가이드 로드(30)가 센터 포스트(9)의 반력을 받음으로써, 가이드 로드(30)가 끼워 맞춤 오목부(31a)에 끼워 맞추어진 상태를 유지하면서 척 기구(23)만이 하강하여 미가공 타이어(5)가 하부 금형(6)에 적재된다. 이에 의해, 미가공 타이어(5)는 로더 장치(2)에 의해 하부 금형(6)에 장착되기까지의 과정에 있어서 항상 중심축에 대해 동심이 되도록 조심되게 된다.
이 후, 도5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래더(8)를 미가공 타이어(5)의 내벽면에 따라서 전개시키기 위해 센터 포스트(9)가 하강된다. 이 때, 가이드 로드(30)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므로, 자중에 의해 센터 포스트(9)의 하강에 동조하여 하강하여 끼워 맞춤 오목부(12a)와의 끼워 맞춤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자력에 의해 끼워 맞춤 상태를 유지하는 끼워 맞춤력이 발생되고 있는 상태이면, 센터 포스트(9)가 고속으로 하강하여 가이드 로드(30)의 자중만으로는 하강이 지연되게 되어도 확실하게 끼워 맞춤 상태가 유지된다. 이 결과, 미가공 타이어(5)는 하부 금형(6)에 장착된 후 센터 포스트(9)가 하강하고, 셰이핑 완료되기까지의 과정에 있어서도 항상 중심축에 대해 동심이 되도록 조심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미가공 타이어(5)의 하부 금형(6)으로의 장착이 완료되면, 척 기구(23)에 의한 미가공 타이어(5)의 보유 지지가 해제된다. 그리고, 척 기구(23)만이 상승 및 수평 이동되어 금형(6, 11) 사이의 외부로 이동된다. 이후의 동작은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제3 실시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를 도6을 기초로 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타이어 가류기는,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가공 타이어(5)를 가류 성형하는 가류기 본체(1)와, 가류기 본체(1)에 대해 미가공 타이어(5)를 반입하는 로더 장치(2)를 갖고 있다. 가류기 본체(1)는 중심 기구(7)를 구비한 금형 고정부(3)를 갖고 있다. 중심 기구(7)의 중심부에는 센터 포스트(9)가 상하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및 기밀 상태로 세워 설치되어 있다. 센터 포스트(9)의 상단부면에는 끼워 맞춤 부재(41)가 설치되어 있다. 끼워 맞춤 부재(41)는 상단부에 끼워 맞춤 오목부(41a)를 구비하고 있고, 끼워 맞춤 오목부(41a) 및 끼워 맞춤 부재(41)는 하부 금형(6)의 중심축과 동심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끼워 맞춤 오목부(41a)는 바닥면이 역원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정상부가 중심축에 일치되어 있다.
또한, 끼워 맞춤 부재(41)의 상방에는 중심축에 일치된 가이드 로드(40)가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 로드(40)는 선단부(40b)가 원뿔 형상의 경사측면(40a)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가이드 로드(40)는 끼워 맞춤 부재(41)의 끼워 맞춤 오목부(41a)에 끼워 맞출 때에, 수평 방향으로 다소의 오차가 있어도선단부(40b)의 경사측면(40a)에 따라서 강제적으로 끼워 맞춤 오목부(41a)에 끼워 맞추어지도록 되어 있다. 한편, 가이드 로드(40)의 후단부(상단부)는 브래킷(26)에서 정지되도록 형성된 정지부(30c)를 갖고 있다.
상기한 가이드 로드(40)는 브래킷(26)과, 이 브래킷(26)에 설치된 압박 기구(46)로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압박 기구(46)는 2개의 지지 가이드 바아(45, 45)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지지 가이드 바아(45)는 1개 또는 3개 이상이라도 좋다. 이들 지지 가이드 바아(45, 45)는 가이드 로드(40)를 중심으로 하여 브래킷(26)의 상면벽에 좌우 한 쌍으로 배치되어 있다. 각 지지 가이드 바아(45)는 브래킷(26)의 상면벽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상단부가 브래킷(26)의 상면벽에서 정지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들 지지 가이드 바아(45, 45)의 하단부에는 지지판(44)이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지지판(44)은 가이드 로드(40)와 함께 승강하도록 가이드 로드(40)의 측면에 연결되어 있다. 지지판(44)과 브래킷(26)의 상면벽 사이에는 각 지지 가이드 바아(45, 45)에 삽입 관통된 스프링 부재(43, 43)가 개재 장착되어 있다. 그 밖의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타이어 가류기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형 개방된 금형(6, 11) 사이에 미가공 타이어(5)가 반입되면, 중심 기구(7)의 센터 포스트(9)를 상승시킴으로써 상부 링(10)을 거쳐서 블래더(8)의 상부 모서리부를 들어올려 블래더(8)를 미가공 타이어(5)의 타이어 구멍보다도 작은 직경으로 축소시킨다. 그리고, 미가공 타이어(5)를 하부 금형(6)에 적재하기 위해 척 기구(23)와 함께 미가공 타이어(5)를 하강시킨다.
이에 의해, 우선 미가공 타이어(5)의 타이어 구멍에 센터 포스트(9) 및 블래더(8)가 삽입 관통된다. 그리고, 이 삽입 관통 도중에 있어서 가이드 로드(40)의 선단부(40b)가 끼워 맞춤 부재(41)의 끼워 맞춤 오목부(41a)에 끼워 맞추어진다. 이 때, 가이드 로드(40)와 끼워 맞춤 부재(41)[끼워 맞춤 오목부(41a)]는 중심축에 일치되어 있다. 따라서, 가이드 로드(40)가 끼워 맞춤 오목부(41a)에 끼워 맞추어진 시점에서 척 기구(23) 및 이 척 기구(23)에 보유 지지된 미가공 타이어(5)가 중심축에 일치하도록 강제적으로 조심된다. 또한, 척 기구(23)의 위치 결정 오차 등에 의해 가이드 로드(40)가 중심축으로부터 다소 어긋나 있던 경우라도, 가이드 로드(40) 선단부가 원뿔 형상의 경사측면(30a)에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가이드 로드(40)가 압박 기구(46)에 의해 하방으로 압박되고 있으므로, 선단부(40b)가 끼워 맞춤 오목부(31a)로 용이하게 진입한다.
이 후, 로더 장치(2)에 의한 척 기구(23)의 하강이 계속되면, 가이드 로드(40)가 센터 포스트(9)의 반력을 받음으로써 가이드 로드(30)가 끼워 맞춤 오목부(31a)에 끼워 맞추어진 상태를 유지하면서 척 기구(23)만이 하강하고, 미가공 타이어(5)가 하부 금형(6)에 적재된다. 또한, 이 때에 가이드 로드(40)는 가이드 로드(40)의 자중과 압박 기구(46)의 압박력에 의해 끼워 맞춤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된다. 이에 의해, 미가공 타이어(5)는 로더 장치(2)에 의해 하부 금형(6)에 장착되기까지의 과정에 있어서 항상 중심축에 대해 동심이 되도록 조심되게 된다.
이 후, 블래더(8)를 미가공 타이어(5)의 내벽면에 따라서 전개시키기 위해 센터 포스트(9)가 하강된다. 이 때, 가이드 로드(40)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자중에 의해 센터 포스트(9)의 하강에 동조하여 하강함으로써 끼워 맞춤 오목부(12a)와의 끼워 맞춤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압박 기구(46)의 하방향의 압박력에 의해 끼워 맞춤 상태를 유지하는 끼워 맞춤력이 발생되고 있으므로, 센터 포스트(9)가 고속으로 하강하여 가이드 로드(40)의 자중만으로는 하강이 지연되게 되어도 확실하게 끼워 맞춤 상태가 유지된다. 이 결과, 미가공 타이어(5)는 하부 금형(6)에 장착된 후 센터 포스트(9)가 하강하여 셰이핑 완료되기까지의 과정에 있어서도 항상 중심축에 대해 동심이 되도록 조심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하여 미가공 타이어(5)의 하부 금형(6)으로의 장착이 완료되면, 척 기구(23)에 의한 미가공 타이어(5)의 보유 지지가 해제된다. 그리고, 척 기구(23)만이 상승 및 수평 이동되어 금형(6, 11) 사이의 외부로 이동된다. 이후의 동작은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이상과 같이, 제1 실시 형태 내지 제3 실시 형태의 타이어 가류기는 중심축끼리를 일치시키면서 형 체결된 금형(6, 11) 내에 미가공 타이어(5)를 수용하여 셰이핑 가류 성형하는 것이고, 미가공 타이어(5)를 보유 지지하는 척 기구(23)(척부)를 갖고 척 기구(23)를 수평 이동시켜 미가공 타이어(5)를 형 개방된 금형(6, 11) 사이로 반입하는 동시에, 척 기구(23)를 승강시켜 미가공 타이어(5)를 하부 금형(6)에 착좌 가능한 로더 장치(2)(로더 기구)와, 하부 금형(6)측에 설치되어 중심축과 동심형으로 배치된 끼워 맞춤 부재(12, 31, 41)와, 중심축과 동심이 되도록척 기구(23)에 설치되어 척 기구(23)의 하강시에 선단부가 끼워 맞춤 부재(12, 31, 41)에 끼워 맞추어지는 가이드 로드(28, 30, 40)를 가진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가류기 본체(1)의 정기 점검시 등에 있어서는, 가이드 로드(28, 30, 40) 및 끼워 맞춤 부재(12, 31, 41)의 축심과 중심축이 동심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면, 가이드 로드(28, 30, 40)와 끼워 맞춤 부재(12, 31, 41)의 위치 관계도 동시에 검사할 수 있으므로 검사 작업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이 결과, 위치 결정 오차의 발생을 오퍼레이터가 알아차리기 쉬우므로, 불충분한 품질로 가류 성형이 행해지는 것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타이어 가류기를 조립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가이드 로드(28, 30, 40) 및 끼워 맞춤 부재(12, 31, 41)를 중심축에 동심시키도록 조정하면, 동시에 가이드 로드(28, 30, 40)와 끼워 맞춤 부재(12, 31, 41)의 위치 관계 조정도 완료되므로 조립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타이어 가류기는 블래더(8)를 연신 및 축소시키도록 센터 포스트(9)를 승강 가능하게 갖고, 센터 포스트(9)의 상단부면에 끼워 맞춤 부재(12, 31, 41)가 설치된 중심 기구(7)와, 센터 포스트(9)의 하강에 추종하여 가이드 로드(28, 30, 40)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 로드 지지 기구[실린더 장치(27) 및 가이드 로드 지지 기구(36) 및 압박 기구(46) 및 브래킷(26)]를 가진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블래더(8)를 구비한 블래더 방식의 타이어 가류기에 있어서, 용이하게 미가공 타이어(5)를 금형(6, 11)의 중심축에 동심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블래더(8)를 구비한 블래더 방식의 타이어 가류기의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무블래어 방식의 타이어 가류기에 적용해도 좋다.
또한, 끼워 맞춤부는 클램프 장치로 고정 로크, 해제할 수 있는 것으로 구성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가이드 로드(28, 30, 40)와 끼워 맞춤 부재(12, 31, 41)의 끼워 맞춤은 끼워 맞춤 부재(12, 31, 41)에 형성된 끼워 맞춤 오목부(12a, 31a, 41a)에 가이드 로드(28, 30, 40)의 선단부를 끼워 맞추게 하는 구성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도 아니고, 가이드 로드(28, 30, 40)에 끼워 맞춤 오목부를 형성하여 끼워 맞춤 부재(12, 31, 41)에 끼워 맞춤 볼록부를 형성함으로써 끼워 맞추게 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또한, 선단부와 끼워 맞춤 오목부를 끼워 맞추기 쉽게 하기 위해, 가이드 로드 선단부는 원뿔 형상이 아닌 볼록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끼워 맞춤 오목부의 개구부 근방에 모따기를 실시한 것이라도 좋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가이드 로드 지지 기구가 실린더 로드를 가이드 로드(30)로 한 실린더 장치(27)로 이루어져 있다. 이에 의해, 매우 간단한 구성으로 가이드 로드 지지 기구 및 가이드 로드(30)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높이를 최소한으로 하기 위해, 텔리스코픽 실린더로 함으로써 타이어 가류기의 전체 높이를 낮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가이드 로드 지지 기구가 가이드 로드(30)를 소정 위치에서 정지 가능한 브레이크 기구(32)를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가이드 로드 지지 기구를 실린더 장치(27)로 구성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끼워 맞춤 상태를 유지하는 기능을 발휘시킬 수 있는 데다가, 가이드 로드 지지 기구의 높이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으므로 타이어 가류기의 전체 높이를 낮게 할 수 있다. 또한, 브레이크 기구(32)는 바요넷 로크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가이드 로드 지지 기구가 가이드 로드(40)를 하부 금형(6)을 향해 압박하는 압박 기구(46)를 가진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끼워 맞춤 상태를 유지하는 기능을 모두 기계적인 구성 요소로 실현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로드 자체를 가이드 부쉬 등으로 가이드하여 가이드 로드 자체를 기울어지기 어렵게 해도 좋고, 압박 수단으로서의 압축 스프링이 가이드 로드에 권취되는 모습으로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생산 운전시에 있어서, 예를 들어 로더 장치가 중심축(센터 포스트)에 대해 다소 편심한 경우라도 미가공 타이어는 확실하게 중심축에 대해 동심형으로 조심되어 불량 타이어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류기 본체의 정기 점검시 등에 있어서는, 가이드 로드 및 끼워 맞춤 부재의 축심과 중심축이 동심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면, 가이드 로드와 끼워 맞춤 부재와의 위치 관계도 동시에 검사할 수 있으므로 검사 작업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이 결과, 위치 결정 오차의 발생을 오퍼레이터가 알아차리기 쉬워 불충분한 품질로 가류 성형이 행해지는 것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타이어 가류기를 조립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가이드 로드 및 끼워 맞춤 부재를 중심축에 동심시키도록 조정하면, 동시에 가이드 로드와 끼워 맞춤 부재의 위치 관계 조정도 완료되므로 조립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위치 결정 오차의 발생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동시에, 위치 결정 오차를 용이하게 해소할 수 있는 타이어 가류기가 제공된다.

Claims (7)

  1. 미가공 타이어를 가류 성형하는 타이어 가류기이며,
    미가공 타이어가 수용되어 형 체결되고 상부 금형 및 하부 금형으로 이루어지는 금형과, 미가공 타이어를 보유 지지하는 척부와, 상기 척부를 이동시킴으로써 형 개방된 상태의 상기 상부 금형과 상기 하부 금형 사이로 미가공 타이어를 반입시키고 상기 금형에 착좌 가능한 로더 기구와, 상기 가류기의 상기 하부 금형측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 금형의 중심축과 동심형으로 배치된 끼워 맞춤 부재 및 보유 지지되는 미가공 타이어와 동심이 되도록 상기 척부에 설치되는 가이드 로드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이드 로드는 상기 척부의 미가공 타이어 착좌 동작시에 상기 가이드 로드의 선단부가 상기 끼워 맞춤 부재에 끼워 맞추어지는 미가공 타이어를 가류 성형하는 타이어 가류기.
  2. 제1항에 있어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센터 포스트와, 상기 센터 포스트의 하강에 추종하여 상기 가이드 로드를 진퇴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 로드 지지 기구로 이루어지고, 상기 센터 포스트의 상단부면에 상기 끼워 맞춤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미가공 타이어를 가류 성형하는 타이어 가류기.
  3. 제2항에 있어서, 블래더로 이루어지고, 상기 센터 포스트는 상기 블래더를연신 및 축소시키도록 승강하는 미가공 타이어를 가류 성형하는 타이어 가류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로드 지지 기구가 실린더 로드를 상기 가이드 로드로 한 실린더 장치인 미가공 타이어를 가류 성형하는 타이어 가류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로드 지지 기구가 상기 가이드 로드를 소정 위치에서 정지 가능하게 하는 브레이크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미가공 타이어를 가류 성형하는 타이어 가류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로드 지지 기구가 상기 가이드 로드를 상기 하부 금형을 향해 압박하는 압박 기구를 갖고 있는 미가공 타이어를 가류 성형하는 타이어 가류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로드 지지 기구가 상기 가이드 로드를 상기 하부 금형을 향해 압박하는 압박 기구를 갖고 있는 미가공 타이어를 가류 성형하는 타이어 가류기.
KR1020040017511A 2003-03-17 2004-03-16 타이어 가류기 KR2004008229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071450A JP3992634B2 (ja) 2003-03-17 2003-03-17 タイヤ加硫機
JPJP-P-2003-00071450 2003-03-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2296A true KR20040082296A (ko) 2004-09-24

Family

ID=33287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7511A KR20040082296A (ko) 2003-03-17 2004-03-16 타이어 가류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992634B2 (ko)
KR (1) KR20040082296A (ko)
CN (1) CN1530210B (ko)
TW (1) TWI233876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2550B1 (ko) * 2006-03-06 2007-02-15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가류기 로더슈의 그린타이어 수평지지대
KR101332496B1 (ko) * 2011-12-06 2013-11-26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가류기 센터링 확인 장치
CN109016277A (zh) * 2018-10-10 2018-12-18 安徽鼎封橡胶减震技术有限公司 一种顶端连接板脱模工装
KR20230060651A (ko) * 2021-10-28 2023-05-08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가류기 로더 및 언로더 센터링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00550B2 (ja) * 2006-04-26 2011-06-15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タイヤ加硫機
JP4921047B2 (ja) * 2006-06-13 2012-04-18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タイヤ搬送用ローダ及びタイヤ加硫機
JP4933963B2 (ja) * 2007-06-27 2012-05-16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バーチカルローダー
JP5467774B2 (ja) * 2008-03-24 2014-04-09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タイヤ加硫機
CN102189628B (zh) * 2009-07-03 2013-08-28 江苏华瑞重工机械有限公司 装卸胎装置
CN106696144A (zh) * 2015-07-29 2017-05-24 桂林橡胶设计院有限公司 一种轮胎无胶囊硫化工艺
EP3526020B1 (en) * 2016-10-11 2020-11-04 Pirelli Tyre S.p.A.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green tyre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1210B (zh) * 1987-01-10 1991-01-16 上海大中华橡胶厂 制造b型胶囊的装置
IT1220514B (it) * 1988-03-11 1990-06-15 Cima Impianti Spa Macchina per vulcanizzazione di pneumatici con mezzi di prelievo e scarico del pneumatico in lavorazione
CN2064708U (zh) * 1990-04-26 1990-10-31 沈阳市沈矿电器设备厂 胶带补边硫化装置
CN2206198Y (zh) * 1994-07-30 1995-08-30 青岛精达塑料机械有限公司 胶囊中心展开式轮胎硫化机构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2550B1 (ko) * 2006-03-06 2007-02-15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가류기 로더슈의 그린타이어 수평지지대
KR101332496B1 (ko) * 2011-12-06 2013-11-26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가류기 센터링 확인 장치
CN109016277A (zh) * 2018-10-10 2018-12-18 安徽鼎封橡胶减震技术有限公司 一种顶端连接板脱模工装
CN109016277B (zh) * 2018-10-10 2024-01-30 安徽鼎封橡胶减震技术有限公司 一种顶端连接板脱模工装
KR20230060651A (ko) * 2021-10-28 2023-05-08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가류기 로더 및 언로더 센터링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992634B2 (ja) 2007-10-17
CN1530210A (zh) 2004-09-22
JP2004276426A (ja) 2004-10-07
TWI233876B (en) 2005-06-11
CN1530210B (zh) 2010-11-03
TW200422164A (en) 2004-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44359B2 (en) Tire vulcanizing apparatus
KR20040082296A (ko) 타이어 가류기
JP4700550B2 (ja) タイヤ加硫機
CN112243404A (zh) 轮胎加硫机及轮胎加硫方法
JP4134138B2 (ja) タイヤ加硫装置
JPH08309755A (ja) タイヤ加硫装置
US6343917B1 (en) Center mechanism of tire press
KR920009927B1 (ko) 타이어 가황기의 그리인타이어 삽입방법 및 장치
JP3865503B2 (ja) タイヤ加硫装置およびタイヤ加硫装置の金型交換方法並びにタイヤ加硫方法
WO2018146743A1 (ja) タイヤ加硫装置
JP4007714B2 (ja) タイヤ加硫装置およびその金型交換方法
JP4921047B2 (ja) タイヤ搬送用ローダ及びタイヤ加硫機
KR100682550B1 (ko) 가류기 로더슈의 그린타이어 수평지지대
JPH05162140A (ja) タイヤ加硫機のシェーピング方法
US20220388262A1 (en) Device and method for handling tyres and tyre curing press
JPH11300747A (ja) タイヤ加硫装置およびタイヤ加硫装置のモールド交換方法並びにタイヤ加硫方法
CN219379518U (zh) 一种焊接用辅助工装
KR100527051B1 (ko) 그린타이어의 센터링장치
JP4236420B2 (ja) 空気入りタイヤの保持方法および装置
JP2020049815A (ja) タイヤ用ローカバーの装着装置
JP2001269943A (ja) タイヤ加硫機における生タイヤ保持装置
JP2001322132A (ja) タイヤ加硫用コンテナ
JPH07314451A (ja) タイヤ加硫機
JP2000202831A (ja) タイヤ加硫機
JPH08267462A (ja) タイヤ加硫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