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6197A - 합성수지제 담체용기 - Google Patents

합성수지제 담체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6197A
KR20040066197A KR10-2004-7010135A KR20047010135A KR20040066197A KR 20040066197 A KR20040066197 A KR 20040066197A KR 20047010135 A KR20047010135 A KR 20047010135A KR 20040066197 A KR20040066197 A KR 200400661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enter
ground
cross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0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사키마사아키
이이주카다카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Publication of KR200400661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6197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23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1/0261Bottom construction
    • B65D1/0276Bottom construction having a continuous contact surface, e.g. Champagne-type botto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23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1/0261Bottom construction
    • B65D1/0284Bottom construction having a discontinuous contact surface, e.g. discrete fe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40Details of walls
    • B65D1/42Reinforcing or strengthening parts or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Abstract

접지부에 수축이 생기기 않고, 또한, 수축을 방지하며, 용기의 자립성을 확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경부(3), 몸체부(5) 및 저부(7)로 구성되고, 상기 저부(7)가 접지부(81)를 포함하며, 상기 저부(7)의 중앙에 용기 내부로 돌출하는 중앙 볼록부(77)가 형성되어 있는 횡단면 다각형의 합성수지제 담체용기에 있어서, 상기 중앙 볼록부(77)의 외측부와 저부(7)의 접지부(81) 사이에 중앙 볼록부(77)보다 하위를 차지하고, 접지부(81)보다 상위를 차지하는 단차를 갖고 있는 중앙 볼록부 주저벽(79)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접지부(81)에서 대각선 L 방향에서의 프리폼의 연신량보다도 작은 연신량으로 성형되는 부분에 요함부(85)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제 담체용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합성수지제 담체용기{Synthetic Resin Bottle Container}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합성수지는 프리폼(プリフォ-ム)을 2축연신 블로우 성형함으로써 제작되고, 음료용 병 등의 용기에 넓게 이용되고 있다. 용기의 형상은 용기의 횡단면 형상이 약원형(略圓形), 약정방형(略正方形), 약장방형(略長方形) 등의 다양한 종류가 있다. 용기는 자립하기 위해 접지부가 저부에 평탄부를 포함하는 것이 요구된다.
예컨대, 용기 횡단면이 약장방형인, 도 8 내지 도 10에 나타낸 종래기술의 용기(101)는 구통부(103), 몸체부(105), 몸체부(105)에 연결되어 설치되는 저부(107)로 구성된다. 몸체부(105)는 횡단면이 약장방형이고, 2개의 장변면(151, 152)과 2개의 단변면(153, 154)으로 구성된다. 저부(107)는 저벽(底壁)(171), 저벽(171)의 주연(周緣)인 접지연(接地緣)(175)으로부터 세워진 저주벽(底周壁)(173)으로 구성되고, 저벽(171)의 중앙에는 용기 내부로 돌출하는 중앙 볼록부(177)가형성되어 있다. 상기 중앙 볼록부(177)와 상기 접지연(175) 사이의 저벽이 접지부(181)(接地部, ground contact part)이다. 용기가 자립하도록 상기 접지부(181)는 평탄한 것이 요구된다.
그런데, 용기 횡단면이 약원형인 용기의 경우에는 프리폼이 지름(徑) 방향으로 연신된 용기로 성형된다. 따라서, 프리폼은 지름 방향의 어느 방향에서도 거의 균등하게 연신된 용기로 성형되기 때문에 그 접지부는 지름 방향의 어느 방향에서도 거의 균등하게 성형된다.
그러나, 용기 횡단면이 약정방형, 약장방형 등의 소위 각형용기의 경우, 대각선에서 연신량이 가장 크고, 대각선을 벗어난 부분에서 연신량은 대각선에서의 연신량에 비교하여 작게 된다. 따라서, 연신량이 작은 부분에서는 수축(ヒケ)이 쉽게 생기고, 성형성이 저하되며, 용기의 자립성을 저하시키게 된다.
도 8 내지 도 10에 나타낸 종래기술의 용기의 경우, 대각선 L에서 프리폼의 연신량이 가장 크다. 이에 비해, 저면(底面)의 중심선 M(장변면 151의 장변의 중심을 통과한다)에서 연신량은 가장 작다. 따라서, 접지부에서 중심선 M을 중축으로 한 부분(도 10에서 사선으로 표시한 부분)에서는 수축이 쉽게 생기기 때문에 평탄하지 않게 되며, 용기의 자립성을 저하시키게 된다. 또한, 저면의 중심선 N(단변면 153의 단변의 중심을 통과한다)에서 연신량은 대각선 L에서의 연신량 보다도 작다. 중심선 N을 중축으로 한 부분에서도 대각선 L에서의 부분보다도 수축이 쉽게 생기게 된다.
본 발명은 횡단면 다각형의 합성수지제 담체용기의 저부(底部, bottom part)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저부 중앙부에 용기 내부로 돌출하는 중앙 볼록부(center convex part)가 형성된 횡단면 다각형의 합성수지제 담체용기의 저부 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부를 단면으로 도시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태양 용기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일부를 단면으로 도시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태양 용기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태양의 용기의 저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저부만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일부를 단면으로 도시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태양 용기의 정면도이다.
도 6은 일부를 단면으로 도시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태양 용기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태양의 용기의 저면도이다.
도 8은 일부를 절단하여 도시한 종래기술 용기의 정면도이다.
도 9는 일부를 절단하여 도시한 종래기술 용기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종래기술 용기의 저면도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접지부의 수축을 방지하고, 또한 접지부에 수축이 생겼다고 해도 수축이 담체용기의 자립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구경부, 몸체부 및 저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저부가 접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저부의 중앙에 용기내부로 돌출하는 중앙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는 횡단면 다각형의 합성수지제 담체용기에 있어서, 상기 중앙 볼록부의 외측부와 저부의 접지부 사이에 중앙 볼록부 보다 하위를 차지하고, 접지부 보다 상위를 차지하는 단차를 갖고 있는 중앙 볼록부 주저벽(周底壁, peripheral and bottom walls)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접지부에서 대각선 방향에서의 프리폼의 연신량보다도 작은 연신량으로 성형되는 부분에 요함부(凹陷部, recessed part)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제 담체용기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용기 둘레방향에서 상기 요함부의 길이는 접지부 길이의 20 내지 80%이다.
용기 횡단면이 약장방형인 경우, 몸체부 장변면의 장변의 중심을 통과하는 저면의 중심선을 중축으로 하여 요함부가 형성된다. 또한, 용기 횡단면이 약장방형인 경우, 몸체부 단변면(53)의 단변의 중심을 통과하는 저면의 중심선 N을 중축으로 하여 요함부(86)가 형성되어도 좋다.
용기 횡단면이 약정방형인 경우에는 상대하는 측면의 각면의 중심을 통과하는 저면의 중심선을 중축으로 하여 요함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태양을 첨부한 도 1 내지 도 4에 의해 설명한다. 또한, 도 1은 몸체부 단변면의 단변의 중심을 통과하는 단면으로서 일부를 도시하고 있고, 도 2는 몸체부 장변면의 장변의 중심을 통과하는 단면으로서 일부를 도시하고 있다.
용기(1)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합성수지제이고, 상기 합성 수지제의 프리폼을 2축연신 블로우 성형하여 수득된 것이다. 용기(1)는 구통부(3), 몸체부(5), 몸체부(5)에 연결되어 설치된 저부(7)로 구성된다. 몸체부(5)는 횡단면 장방형이고, 장변면(51, 52)과 단변면(53, 54)으로 구성된다. 저부(7)도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횡단면 장방형이다. 장변면(51, 52) 벽의 각각의 중앙부에는 오목하게 들어간 파넬(凹パネル)(55)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오목하게 들어간 파넬(55)에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4개의 오목리브(凹リブ)(57)가 형성되어 있다. 단변면(53, 54) 벽의 각각의 중앙부에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4개의 오목리브(凹リブ)(59)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오목하게 들어간 파넬(55), 오목리브(57) 및 오목리브(59)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용기(1)는 장방형의 횡단면 형상을 갖지만, 본 발명은 횡단면 형상이 다각형(각의 수가 3 이상)의 용기가 포함되고, 사각형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단, 각수가 많아지게 되면 원형에 근접하게 되므로 각수가 작은 것에 유효하다. 본 발명은 횡단면이 장방형의 용기에 한정되지 않고, 횡단면이 정방형 등 정다각형인 것도 포함한다.
저부(7)는 저벽(71), 저벽(71)의 외부를 두르는 접지연(75)보다 상위로 세워져 있는 주저벽(73)으로 구성된다. 저벽(71)의 중앙에는 용기 내부로 돌출하는 중앙 볼록부(77)가 형성되어 있다. 중앙 볼록부(77)는 반구형상을 갖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중앙 볼록부(77)의 주변에는 중앙 볼록부 주저벽(79)이 형성되어 있다. 중앙 볼록부 주저벽(79)은 저벽(71) 보다도 약간 용기 내부로 오목하게 들어가 있다.
중앙 볼록부 주저벽(79)과 접지연(75) 사이의 저벽(71)이 접지부(81)이고, 용기의 접지면이 된다. 다시 말하면, 중앙 볼록부 주저벽(79)은 중앙 볼록부(77)와 접지부(81) 사이에 형성된다. 그리고, 중앙 볼록부 주저벽(79)은 중앙 볼록부(77) 보다도 하위를 차지하고, 접지부(81)보다 상위를 차지하는 단차를 갖고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용기의 접지부(81)는 몸체부 장변면(51)의 장변의 중심을 통과하는 저면의 중심선 M에 있어서, 폭이 가장 좁다. 즉, 프리폼으로부터 용기를 성형하는 경우에, 용기의 저부에서는 중심선 M에서 연신량이 가장 작고, 접지부(81)에서는 중심선 M 부분에서 수축이 가장 쉽게 생긴다.
도 1 내지 도 3의 실시태양에 있어서는 그 중심선 M을 중축으로 하고, 접지부(81)에 용기 내부로 움푹 들어간 요함부(85)를 설치한다.
이와 같이, 수축이 생기기 쉬운 부분에 요함부(85)를 설치하고, 수축이 생겼다고 해도 수축은 요함부(85)에 생기고 접지부(81)에는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용기의 자립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요함부(85)를 형성했기 때문에 프리폼의 연신 배율이 크게 되고, 수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중앙 볼록부 주저벽(79)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저부가 요철(凹凸)되고, 저부가 충분히 연신된다. 따라서, 저부에 수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중앙 볼록부 주저벽(79)이 리브로서 작용하여 저부를 강화하기 때문에 만일 접지부(81)에 수축이 생겼다고 해도 중앙 볼록부 주저벽(79)에서 수축이 흡수되고, 중앙 볼록부(77)를 비뚤어지지 않은 형상으로 정리한 담체용기를 제공할수 있다. 또한, 내용물을 첨가하기 위해서 담체용기의 저부 전체를 가열해도 중앙 볼록부 주저벽(79)에 의해 열변형을 흡수할 수 있다.
제 1 실시태양에서, 요함부(85)는 장변면(51)의 장변의 중심을 통과하는 저면의 중심선 M을 중축으로 하여 형성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대각선에서의 연신량 보다도 작은 연신량의 방향에서 요함부(85)를 형성하는 것이다. 따라서, 후술하는 제 2 실시태양과 같이, 단변면(53)의 단변의 중심을 통과하는 저면의 중심선 N을 중축으로 하여 형성해도 좋다. 제 1 실시태양 및 제 2 실시태양에서는 용기의 횡단면이 장방형이지만, 용기의 횡단면이 정다각형(정방형)인 경우에는 대각선 방향에서의 연신보다도 연신이 작은 방향으로 요함부(85)를 형성한다. 구체적으로는, 상대하는 측면의 각면의 중심을 통과하는 저면의 중심선을 중축으로 하여 요함부를 형성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요함부(85)가 저벽(71), 주저벽(73)의 모두에 형성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저벽(71)에만 요함부(85)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요함부(85)의 깊이는 0.5 내지 25.0mm이다. 또한, 0.5 내지 5.0mm가 바람직하다.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2.0mm로 되어 있다. 0.5mm 미만이면, 요함부(85)에서 수축을 충분하게 흡수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요함부 깊이가 25.0mm를 초과하는 것을 포함하지만, 25.0mm을 초과해도, 수축 흡수 효과는 변하지 않는다.
요함부(85)는 접지부 길이의 20% 내지 80%의 길이로 형성한다. 즉, 도 4에서, 요함부(85)의 길이 A는 접지부(81) 길이 B의 20 내지 80%이다. 접지부 길이 B의 20% 미만이면, 요함부(85)를 초과하여 접지부(81)에도 수축이 생길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80%를 초과하면 접지면적이 작아져서 용기의 자립성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40 내지 50%가 바람직하다.
도 5 내지 도 7에 나타낸 본 발명의 제 2 실시태양에서는 중심선 M을 중축으로 하여 형성된 요함부(85) 뿐만 아니라, 몸체부 단변면(53)의 단변의 중심을 통과하는 저면의 중심선 N을 포함한 요함부(86)도 형성한 것이다. 중심선 N에서 연신길이도 대각선 L에서의 연신 길이에 비교하여 짧기 때문에 대각선 L에서의 부분에 비교하여 수축이 쉽게 생긴다. 따라서, 중심선 N을 중축으로 하여 요함부(86)를 설치하고 있다. 요함부(86)도 요함부(85)와 동일하게, 깊이는 0.5 내지 25.0mm이고, 접지부 길이의 20% 내지 80%의 길이로 형성한다.
요함부(86)를 형성하는 것 이외에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실시태양과 동일한 구성, 작용, 효과를 갖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 5는 몸체부 단변면의 단변의 중심을 통과하는 단면으로서 일부를 도시하고 있고, 도 6은 몸체부 장변면의 장변의 중심을 통과하는 단면으로서 일부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중앙 볼록부의 주변에 중앙 볼록부 주저벽이 형성되고, 접지부에서 대각선 L 방향에서의 프리폼의 연신량보다도 작은 연신량으로 성형된 부분에 요함부를 갖기 때문에, 수축이 생겼다고 해도 요함부에 생기고, 접지부에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용기의 자립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요함부를 형성하기 때문에, 프리폼의 연신배율이 크게되고, 수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중앙 볼록부 주저벽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저부가 충분하게 연신되고, 저부에서의 수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중앙 볼록부 주저벽이 리브로서 작용하여 저부를 강화하고, 중앙 볼록부를 비뚤어지게 하지 않는다.
용기 둘레방향에서 상기 요함부(85)의 길이를 접지부 길이의 20 내지 80%로 하면, 수축을 충분하게 흡수할 수 있는 것과 동시에, 용기의 자립성도 확보할 수 있다.
용기 횡단면이 약장방형 또는 약정방형의 용기인 경우, 저면 중심선을 중축으로 하여 요함부를 형성하면, 수축이 접지부에 생기지 않고, 용기의 자립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합성수지제 담체용기는 접지부의 수축을 방지하고, 또한 접지부에 수축이 생겼다고 해도 수축이 담체용기의 자립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음료용 병 등의 용기에 바람직하게 이용될 수 있다.

Claims (5)

  1. 구경부(3), 몸체부(5) 및 저부(底部, bottom part)(7)로 구성되고, 상기 저부(7)가 접지부(接地部, ground contact part)(81)를 포함하며, 상기 저부(7)의 중앙에 용기 내부로 돌출하는 중앙 볼록부(center convex part)(77)가 형성되어 있는 횡단면 다각형의 합성수지제 담체용기에 있어서,
    상기 중앙 볼록부(77)의 외측부와 저부(7)의 접지부(81) 사이에 중앙 볼록부(77)보다 하위를 차지하고, 접지부(81)보다 상위를 차지하는 단차를 갖고 있는 중앙 볼록부 주저벽(周底壁, peripheral and bottom walls)(79)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접지부(81)에서 대각선 L 방향에서의 프리폼(プリフォ-ム)의 연신량보다도 작은 연신량으로 성형되는 부분에 요함부(recessed part)(85)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제 담체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용기 둘레방향에서 상기 요함부(85)의 길이가 접지부 길이의 20 내지 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3. 제 2항에 있어서, 용기 횡단면이 약장방형(略長方形)이고, 몸체부 장변면(51)의 장변의 중심을 통과하는 저면(底面)의 중심선 M을 중축으로 하여 요함부(85)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용기 횡단면이 약장방형이고, 몸체부 단변면(53)의 단변의 중심을 통과하는 저면의 중심선 N을 중축으로 하여 요함부(86)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5. 제 2항에 있어서, 용기 횡단면이 약정방형(略正方形)이고, 상대하는 측면의 각면의 중심을 통과하는 저면의 중심선을 중축으로 하여 요함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KR10-2004-7010135A 2001-12-28 2002-12-27 합성수지제 담체용기 KR2004006619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398853A JP2003191928A (ja) 2001-12-28 2001-12-28 合成樹脂製壜体容器
JPJP-P-2001-00398853 2001-12-28
PCT/JP2002/013789 WO2003057571A1 (fr) 2001-12-28 2002-12-27 Conteneur a bouteilles en resine synthetiqu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6197A true KR20040066197A (ko) 2004-07-23

Family

ID=19189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0135A KR20040066197A (ko) 2001-12-28 2002-12-27 합성수지제 담체용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055711B2 (ko)
EP (1) EP1473236B1 (ko)
JP (1) JP2003191928A (ko)
KR (1) KR20040066197A (ko)
CN (1) CN1273350C (ko)
AU (1) AU2002357530B2 (ko)
DE (1) DE60226349T2 (ko)
TW (1) TWI270506B (ko)
WO (1) WO200305757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4425B1 (ko) 2015-09-22 2016-08-01 정순태 내열 음료용기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97061B2 (en) * 2003-08-14 2006-08-29 Graham Packaging Pet Technologies Inc. Plastic container which is hot-fillable and/or having neck finish adapted for receipt of handle
JP4570019B2 (ja) * 2003-11-17 2010-10-2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2軸延伸吹込成形壜
JP4570020B2 (ja) * 2003-11-17 2010-10-2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2軸延伸吹込成形壜
AU2005232967B9 (en) * 2004-04-16 2011-12-01 Yoshino Kogyosho Co., Ltd. Large container having substantially rectangular cross section
JP4553641B2 (ja) * 2004-06-28 2010-09-2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容器
US7464825B2 (en) * 2004-12-01 2008-12-16 Graham Packaging Company, L.P. Pressure resistant base
ITPD20040323A1 (it) * 2004-12-24 2005-03-24 Acqua Minerale S Benedetto Spa Base di bottiglia in materia plastica particolarmente per bevande
JP4618417B2 (ja) * 2004-12-28 2011-01-26 東洋製罐株式会社 樹脂製包装容器
USD647406S1 (en) 2009-06-30 2011-10-25 Ocean Spray Cranberries, Inc. Bottle
US8567624B2 (en) * 2009-06-30 2013-10-29 Ocean Spray Cranberries, Inc. Lightweight, high strength bottle
USD648219S1 (en) 2009-06-30 2011-11-08 Ocean Spray Cranberries, Inc. Bottle
JP5206745B2 (ja) * 2010-07-14 2013-06-1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2軸延伸吹込成形壜
JP5206744B2 (ja) * 2010-07-14 2013-06-1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2軸延伸吹込成形壜
US9242762B2 (en) * 2010-10-26 2016-01-26 Yoshino Kogyosho Co., Ltd. Bottle
US8991628B2 (en) * 2010-11-12 2015-03-31 Graham Packaging Company, L.P. Hot-fill jar base
MX361593B (es) * 2012-06-05 2018-12-10 Sa Des Eaux Minerales Devian Botellas de plastico moldeado por soplado y su proceso de fabricación.
USD727736S1 (en) 2013-03-15 2015-04-28 Ocean Spray Cranberries, Inc. Bottle
WO2015072588A1 (ko) * 2013-11-13 2015-05-21 씨제이제일제당 (주) 강성 및 편의성을 갖는 pet 용기
JP2018104047A (ja) * 2016-12-27 2018-07-05 サントリ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樹脂製容器
JP7095223B2 (ja) * 2017-03-08 2022-07-05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熱可塑性プラスチック製角型ボトル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20936A (en) * 1982-05-20 1985-06-04 Polybottle Blow moulded plastic containers
JP2580131B2 (ja) * 1985-07-30 1997-02-12 株式会社吉野工業所 熱可塑性合成樹脂製の薄肉容器
US5222615A (en) * 1985-07-30 1993-06-29 Yoshino Kogyosho Co., Ltd. Container having support structure in its bottom section
JPH0644806Y2 (ja) * 1989-07-10 1994-11-16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合成樹脂製壜体
FR2717443B1 (fr) * 1994-03-16 1996-04-19 Evian Eaux Min Bouteille moulée en matière plastique.
US5503283A (en) * 1994-11-14 1996-04-02 Graham Packaging Corporation Blow-molded container base structure
JPH08301253A (ja) 1995-04-27 1996-11-19 Hokkai Can Co Ltd 角型容器及びその整列方法
JPH10146879A (ja) 1996-11-15 1998-06-02 Hokkai Can Co Ltd ポリエ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樹脂製ボトルの製造方法
JPH10181734A (ja) * 1996-12-25 1998-07-07 Aokiko Kenkyusho:Kk 薄肉合成樹脂ボトルなどの容器の底部構造
JPH115946A (ja) * 1997-06-17 1999-01-12 Inax Corp 無機塗料の製造方法及び塗膜の形成方法
JPH1159646A (ja) 1997-08-12 1999-03-02 Toyo Seikan Kaisha Ltd 合成樹脂製ボトル
JP3858165B2 (ja) 1999-12-27 2006-12-13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合成樹脂製角形耐熱壜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4425B1 (ko) 2015-09-22 2016-08-01 정순태 내열 음료용기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035082A1 (en) 2005-02-17
TW200301205A (en) 2003-07-01
EP1473236A1 (en) 2004-11-03
DE60226349D1 (de) 2008-06-12
EP1473236A4 (en) 2005-05-25
TWI270506B (en) 2007-01-11
WO2003057571A1 (fr) 2003-07-17
US7055711B2 (en) 2006-06-06
EP1473236B1 (en) 2008-04-30
AU2002357530A1 (en) 2003-07-24
JP2003191928A (ja) 2003-07-09
AU2002357530B2 (en) 2010-03-11
CN1273350C (zh) 2006-09-06
CN1610631A (zh) 2005-04-27
DE60226349T2 (de) 2009-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66197A (ko) 합성수지제 담체용기
AU673721B2 (en) Bottle body made of synthetic resin
CA2445445C (en) Blow-molded bottle
KR970010832B1 (ko) 내부 가압 용기
US5199587A (en) Biaxial-orientation blow-molded bottle-shaped container with axial ribs
KR20080047552A (ko)
KR101826117B1 (ko)
EP3638593B1 (en) Container having a bottom base provided with notches
KR101828253B1 (ko)
KR20040031106A (ko) 보틀형 용기
JP2019189272A (ja) ボトル
JP2008239176A (ja) 2軸延伸ブロー成形ボトル
JP4849313B2 (ja) ラベル付き樹脂製容器
JP2000062743A (ja) 丸型プラスチックボトル
JPH08230855A (ja) 合成樹脂製壜体
JP4993286B2 (ja) 合成樹脂製容器
JP2839012B2 (ja) 合成樹脂製壜体
JP2000079925A (ja) 耐熱及び耐圧性ブロー成形ボトル
JP4317425B2 (ja) 合成樹脂製のブロー成形角形容器
JP2008247409A (ja) 合成樹脂製容器
JP2017214117A (ja) ブロー成形容器
JPH0340729Y2 (ko)
JP2600016Y2 (ja) ポリエステル樹脂製瓶の底部構造及び底型
GB2044211A (en) A thin-walled synthetic resin bottle
JP6566604B2 (ja) 合成樹脂製扁平ボトルの底部形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00118

Effective date: 201203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