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3102A - 반도체 발광소자, 화상표시장치 및 조명장치와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발광소자, 화상표시장치 및 조명장치와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3102A
KR20040043102A KR10-2003-7007079A KR20037007079A KR20040043102A KR 20040043102 A KR20040043102 A KR 20040043102A KR 20037007079 A KR20037007079 A KR 20037007079A KR 20040043102 A KR20040043102 A KR 200400431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crystal
light emitting
electrode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7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06722B1 (ko
Inventor
오오하타토요하루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43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31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67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67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36Semiconductor device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electrodes
    • H01L33/38Semiconductor device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electrodes with a particular 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2Not covered by any one of groups H01L24/00, H01L24/00 and H01L2224/00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33/00Details relating to devices covered by the group H01L33/00 but not provided for in its subgroups
    • H01L2933/0008Processes
    • H01L2933/0016Processes relating to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02Semiconductor device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 H01L33/20Semiconductor device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with a particular shape, e.g. curved or truncated substrate
    • H01L33/24Semiconductor device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with a particular shape, e.g. curved or truncated substrate of the light emitting region, e.g. non-planar jun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6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emiconductor body, e.g. lead-frames, wire-bonds or solder balls

Abstract

경사결정면의 중턱부에 전극을 형성함으로써, 해당 소자의 하측의 광 추출면으로부터의 광 추출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반도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이다. 또한, 발생한 빛을 효율적으로 전반사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전극이 형성되는 경사결정면의 중턱부는 경사결정면의 다른 영역과 비교하여 결정성이 양호하므로, 결정성이 양호한 영역에만 전류를 주입할 수 있고, 광 추출 효율과 발광효율이 동시에 높여짐으로써 입력전류에 대하여 광 추출 효율이 높은 반도체 발광소자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반도체 발광소자를 배열하여 이루어진 화상표시장치, 조명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입력전류에 대하여 높은 발광효율을 갖는 발광소자가 장치 기판에 배치되고, 각 소자에의 전류밀도를 감소할 수 있음과 동시에 고품질의 화상을 표시할 수 있는 화상표시장치와 휘도가 큰 조명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반도체 발광소자, 화상표시장치 및 조명장치와 그 제조방법{SEMICONDUCTOR LIGHT-EMITTING DEVICE, IMAGE DISPLAY, ILLUMINATO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반도체 발광소자로서, 지금까지는 사파이어 기판상의 전체면에 저온 결정 성장층, Si를 도핑한 GaN으로 이루어진 n측 콘택층을 형성하고, 그 위에 Si가 도핑된 GaN으로 이루어진 n측 클래드층, Si를 도핑한 InGaN으로 이루어진 활성층, Mg을 도핑한 AlGaN으로 이루어진 p측 클래드층과 Mg를 도핑한 GaN으로 된 p측 콘택층 등을 적층한 소자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고 시판되고 있는 제품으로서, 450nm 내지 530nm를 포함하는 청색, 녹색 LED(Light Emitting Diode)가 양산되고 있다.
반도체 발광소자의 휘도를 상승시키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의 방법이 행해지고 있다. 크게 나누어, 소자 자체의 입력전류에 대한 발광효율을 높이는 방법과, 발생한 빛을 효율적으로 소자 외부로 추출함으로써, 광 추출 효율을 높이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전자는, 결정층을 구성하는 재료, 결정구조, 결정 성장성의 좋고 나쁨, 이들 결정층의 조합 및 제조프로세스에 힘입은 바가 크다. 후자는, 소자의 구조와 그 소자를 장치 기판에 탑재하였을 때의 구조에 의한 빛의 반사를 검토하여, 그 발생한 빛을 감쇠시키지 않고서 빠짐 없이 소자 외부로 추출하는 곳이 중요하게 된다.
입력전류에 대한 소자 자체의 광 추출 효율을 높이는 방법에서는, 특히, 기판 주표면에 대하여 경사진 경사결정면을 갖는 소자에 있어서, 제 1 도전형층, 활성층 및 제 2 도전형층으로 이루어진 발광영역을 전부 또는 일부의 S면 상에 형성할 수 있다. 대략 육각뿔대 형상일 경우에는, 기판 주표면에 평행한 상면상에도 제 1 도전형층, 활성층 및 제 2 도전형층을 형성할 수 있다. 평행평판형 반도체 발광소자에서는, 다중반사에 의해 빛이 감쇠하여 가지만, 경사진 S면을 이용하여 발광시킴으로써, 발생한 빛은 다중반사의 영향을 피하여 광 추출면으로부터 해당 소자의 외부로 추출된다. 또한, 다른 예로서, S 면으로 구성되는 결정면의 일부가 제 1 도전형층으로서 기능하는 구조이어도 되고, 기판에 대하여 면이 수직이 아닌 쪽이 광 추출 효율이 개선되게 된다.
또한, 경사진 결정면을 갖는 반도체 발광소자에서는, 경사 결정면의 결정성의 장점을 이용하여 발광효율을 높일 수 있다. 특히, 결정성이 좋은 S면에만 전류를 주입하면, S면은 In의 인출도 좋고 결정성도 좋기 때문에 발광효율을 높게 할 수 있다. 또한, 활성층의 실질적인 S면에 평행한 면내에 연장하는 면적은, 해당 활성층을 기판 또는 하지 성장층의 주표면에 투영한 경우의 면적보다 크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활성층의 면적을 크게 함으로써, 발광영역의 실질적인 면적을 크게 할 수 있어, 그 만큼 전류밀도를 감소할 수 있다. 또한, 활성층의 면적을 크게 잡음으로써 휘도 포화의 감소에 도움이 되고, 이에 따라 발광효율을 높일 수 있다.
그런데, 상술한 것과 같은 기판 주표면에 대하여 경사진 경사 결정면을 갖는 반도체 발광소자에서는, 육각뿔 형상의 결정층을 고려한 경우, 특히 S면의 정점근처의 부분이 스텝의 상태가 나빠져, 정점부는 발광효율이 낮게 되어 있다. 이것은, 육각뿔 형상의 소자에서는, 각 면의 대략 중심부분을 중심으로 정점측, 측변좌측, 측변우측, 저면측에 4 부분으로 구분되고, 특히 정점측 부분은 가장 스텝의 상태가 기복이 생겨 있어, 정상부근이 되면, 이상성장이 발생하기 쉬워지기 때문이다. 이에 대하여, 측변측의 2부분은 모두 스텝이 대략 직선형이고, 또한 스텝이 밀집되어 있어 매우 양호한 성장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저면에 가까운 부분은 약간 기복이 생기는 스텝상태로, 경사 결정면의 측변측과 비교하여, 결정의 성장상태는 뒤떨어져 있다.
여기서, 경사 결정층의 스텝상태가 양호하지 않은 영역에 p측 전극을 형성하면, 스텝상태가 양호한 영역에 전류를 주입한 경우와 비교하여, 발광효율이 저하하여 버린다. 따라서, 스텝의 상태가 기복이 생겨 있는 정상부 근방이나, 스텝의 상태가 약간 기복이 생기는 저면에 가까운 영역을 피하여 전극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경사결정면에 전극을 형성한 경우, 전극이 소자의 광 추출면에 대하여 경사져 있게 됨으로써 발생한 빛의 다중반사를 억제할 수 있다. 다중반사가 억제됨으로써 빛의 감쇠가 억제되고, 또한, 전극에 의해서 반사된 빛을 해당 소자의 저면에 설치된 광 추출면으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그러나, 해당 소자의 정상부 근방과 저면 근방의 경사결정면에 전극이 형성되어 있지 않으면, 발광영역에서 발생된 빛 중 전극에 의해서 광 추출 방향으로 반사되지 않은 빛의 비율이 높아진다. 또한, 경사결정면에 형성되는 전극에 의해서 반사되는 빛 중, 광 추출면에 대한 입사각이 크기 때문에 광 추출면에서 전반사되어, 소자 외부로 추출할 수 없는 광도 있다. 이 결과, 결정성이 양호한 영역에만 전극을 형성하여 발광효율이 높아졌다고 하여도, 광 추출 효율을 높일 수 없고, 결정성이 양호한 영역만을 발광영역으로 하는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없게 된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술한 기술적인 과제를 감안하여, 발광효율을 더 높여, 동시에 광 추출 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는 반도체 발광소자와 그 제조방법, 및 그 반도체 발광소자를 배열하여 형성된 화상표시장치, 조명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경사진 경사결정면의 중턱부에 전극이 형성된 반도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경사결정면의 중턱부에 형성되는 전극은, 그 전극으로부터전류주입되는 결정층에서 발생하는 빛을 그 전극이 형성되지 않은 경사결정면의 표면에 의해서 효율적으로 전반사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그 결과, 해당 소자의 하측의 광 추출면으로부터의 광 추출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발생된 빛을 효율적으로 전반사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전극이 형성되는 경사결정면의 중턱부는 경사결정면의 다른 영역과 비교하여 결정성이 양호하므로, 결정성이 양호한 영역에만 전류를 주입할 수 있어, 발광효율을 높일 수 있다. 광 추출 효율과 발광효율을 동시에 높일 수 있음으로써 입력전류에 대하여 광 추출 효율이 높은 반도체 발광소자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반도체 발광소자를 배열한 화상표시장치, 조명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입력전류에 대하여 높은 발광효율을 갖는 발광소자가 장치기판에 배치되어, 각 소자에의 전류밀도를 감소할 수 있음과 동시에 고품질의 화상을 표시할 수 있는 화상표시장치와 휘도가 큰 조명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발광소자를 다수 배치한 화상표시장치 및 조명장치에서는, 소비전력의 감소에도 관계되어, 그 효과는 절대적이다.
본 발명은, 결정 성장층의 상측에 제 1 도전형층, 활성층 및 제 2 도전형층으로 이루어진 결정층이 설치된 이중 헤테로 구조를 갖고, 상기 결정층이 기판 주표면에 대하여 경사진 경사결정면을 갖는 반도체 발광소자에 관한 것으로, 높은 발광효율을 갖는 반도체 발광소자와 그 제조방법, 및 그 반도체 발광소자를 배열한 화상표시장치, 조명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발광소자의 구조를 간략화하여 나타낸 간략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발광소자의 전극구조를 나타낸 구조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발광소자의 전극구조를 나타낸 주요부 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발광소자의 전극구조를 나타낸 구조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발광소자의 전극구조를 나타낸 주요부 단면도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의 화상표시장치의 제조공정에서의 반도체 발광소자의 구조단면도가 도 6a이고, 구조평면도가 도 6b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의 화상표시장치의 제조공정에서의 소자 전사공정을 나타낸 공정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의 화상표시장치의 제조공정에서의 소자 전사 후의 소자의 보유상태를 나타낸 공정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의 화상표시장치의 제조공정에서의 수지형성소자를 형성하는 공정을 나타낸 공정단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의 화상표시장치의 제조공정에서의 흡착구멍과 수지형성소자의 위치 정렬을 하는 공정을 나타낸 공정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의 화상표시장치의 제조공정에서의 수지형성소자를 장치 기판에 고착하는 공정을 나타낸 공정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의 화상표시장치의 제조공정에서의 수지형성소자를 장치기판에 배열하는 공정을 나타낸 공정단면도 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의 화상표시장치의 제조공정에서의 배선을 형성하는 공정을 나타낸 공정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우선, 본 발명의 기판 주표면에 대하여 경사진 경사 결정층의 구조에 관해서 서술하고, 이어서 경사결정면에 형성하는 전극의 형성위치에 관해서 설명한다. 다음에, 전극구조에 관해서 순차로 설명한 후, 본 발명의 경사결정면의 중턱부에 형성된 전극을 갖는 반도체 발광소자를 배열한 화상표시장치, 조명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결정층을 성장시킬 때에 사용되는 기판은, 여러 가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지만, 특히 기판의 주표면에 대하여 경사진 경사결정면을 갖는 결정층을 형성하는 경우에 발췌한 것을 예시하면, 사파이어(Al2O3, A면, R면, C면을 포함한다.), SiC(6H, 4H, 3C를 포함한다.), GaN, Si, ZnS, ZnO, AlN, LiMgO, GaAs, MgAl2O4, InAlGaN 등으로 이루어진 기판으로, 바람직하게는 이 재료들로 이루어진 육방정계 기판 또는 입방정계 기판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육방정계 기판이다. 예를 들면, 사파이어 기판을 사용하는 경우에서는, 질화갈륨(GaN)계 화합물 반도체 재료를 성장시키는 경우에 많이 이용되고 있는 C면을 주표면으로 한 사파이어 기판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의 기판 주표면인 C면은, 5 내지 6도의 범위로 경사진면방위를 포함하는 것이다. 기판 자체는 제품으로서의 발광소자에는 포함되지 않은 구조이고, 제조 도중에 소자 부분을 보유시키기 위해서 사용되고, 완성 전에 떼어 내는 구조이다. 기판의 재료는 사파이어 기판 이외에서도 광 투과성을 가지고 있으면 좋고, 예를 들면, 질화갈륨 기판, 유리기판, 투명 수지기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전사 등에 의해서 결정성장한 기판과 실장되는 기판을 별개로 할 수도 있다.
기판 주표면에 대하여 경사진 경사 결정층을 형성하기 전에, 하지성장층을 기판 상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하지성장층은, 예를 들면 질화갈륨층 또는 질화알루미늄층으로 이루어지고, 하지성장층은 저온 결정 성장층과 고온 결정성장층의 조합 혹은 결정 성장층과 결정종으로서 기능하는 결정종층과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구조이어도 된다.
기판 주표면에 대하여 경사진 경사결정면인 결정층은 제 1 도전형층, 활성층 및 제 2 도전형층으로 이루어진 발광영역을 형성 가능한 재료층이어도 되고,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그 중에서도 섬유아연석형 결정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결정층으로서는, 예를 들면 III족계 화합물반도체나 BeMgZnCdS계 화합물반도체, BeMgZnCdO계 화합물반도체를 사용할 수 있고, 또한 바람직하게는 질화인듐(InN)계 화합물반도체, 질화인듐갈륨(InGaN)계 화합물반도체, 질화알루미늄갈륨(AlGaN)계 화합물반도체를 형성할 수 있고, 특히 질화갈륨계 화합물반도체 등의 질화물반도체 등이 바람직하다. 또한, 경사결정면은, S면과 (11-22)면에 대하여 각각 5 내지 6도의 범위로 경사진 면방위를 포함하는 것이다.
제 1 도전형층은 p 형 또는 n 형 클래드층이고, 제 2 도전형층은 그 반대의 도전형이다. 예를 들면, S면을 구성하는 결정층을 실리콘 도핑한 질화갈륨계 화합물반도체층으로 구성한 경우에서는, n 형 클래드층을 실리콘 도핑한 질화갈륨계 화합물반도체층으로 구성하고, 그 위에 InGaN 층을 활성층으로서 형성하고, 또한 그 위에 p형 클래드층으로서 마그네슘 도핑한 질화갈륨계 화합물반도체층을 형성하여 이중 헤테로 구조를 얻을 수 있다. 활성층인 InGaN층을 AlGaN층으로 삽입한 구조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활성층은, 단일의 벌크 활성층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단일 양자우물(SQW)구조, 2중 양자우물(DQW), 다중양자우물(MQW)구조 등의 양자우물구조로 형성하여도 된다. 양자우물구조에는, 필요에 따라서 양자우물을 분리하기 위한 장벽층이 병용된다. 활성층을 InGaN층으로 한 경우에는, 특히 제조공정상으로도 제조하기 쉬운 구조로 되어, 소자의 발광특성을 좋게 할 수 있다. 또한, 이 InGaN층은, 질소원자가 이탈하기 어려운 구조인 S면 상에서의 성장에서는 특히 결정화하기 쉽고 아울러, 결정성도 좋아져, 발광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선택성장을 사용하여 결정성장을 하는데는, 결정종층이 없으면 결정 성장층으로부터 형성해야 하지만, 결정 성장층으로부터 선택성장을 행한 경우, 성장이 저해된 성장을 하지 않더라도 좋은 부분에 성장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결정종층을 사용함으로써, 선택성 좋게 결정을 성장시킬 수 있게 된다.
구체적인 선택 성장법으로서는, 그와 같은 선택성장은 하지성장층의 일부를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것을 이용하여 행하여지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상기 하지성장층상에 또는 상기 하지성장층 형성전에 형성된 마스크층의 개구된 부분을 이용하여 행하여진다. 예를 들면, 상기 하지성장층이 결정 성장층과 결정종층으로 이루어진 경우, 결정 성장층상의 결정종층을 점재하는 10㎛ 지름정도의 소영역으로 세분화하여, 각각의 부분으로부터의 결정성장에 의해서 S면 등을 갖는 결정층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세분화된 결정종층은, 발광소자로서 분리하기 위한 마진을 예상하여 이격되도록 배열할 수 있어, 개개의 소영역으로서는, 원 형상, 정방형상, 육각형상, 삼각형상, 직사각형상, 마름모꼴 및 이것들의 변형 형상 등의 형상으로 할 수 있다. 하지성장층 위에 마스크층을 형성하고, 그 마스크층을 선택적으로 개구하여 창문영역을 형성하는 것으로도 선택성장이 가능하다. 마스크층은, 예를 들면, 산화실리콘층 혹은 질화실리콘층으로도 구성할 수 있다. 대략 육각뿔대형상이나 대략 육각뿔형상이 직선형으로 연장된 형상인 경우, 일방향을 길이방향으로 하도록 한 각뿔대나 각뿔 형상은 마스크층의 창문영역을 띠형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선택 성장 마스크를 사용하여 선택 성장하는 경우에 있어서, 선택 마스크 개구부 위만큼 성장할 때는 횡방향 성장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마이크로 채널 에피택시를 사용하여 횡방향 성장시켜 창문영역보다 확대된 형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마이크로 채널 에피택시를 사용하여 횡방향성장한 쪽이 관통전위를 피하기 쉬워져, 전위가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횡방향 성장에 의해 발광영역도 증대하여 더욱 전류가 균일화하고, 전류 집중을 회피하며, 전류밀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결정층은 기판의 주표면에 대하여 경사진 경사결정면을 갖지만, 특히, 결정층은 S 면 또는 해당 S 면에 실질적으로 등가인 면이 대략 육각뿔형상의 경사면을 각각 구성하는 구조이어도 되고, 또는, S 면 또는 해당 S 면에 실질적으로 등가인 면이 대략 육각뿔대 형상의 경사면을 각각 구성함과 아울러, C 면 또는 해당 C 면에 실질적으로 등가인 면이 상기 대략 육각뿔대 형상의 상평면부를 구성하는 구조, 소위 대략 육각뿔대 형상이어도 된다. 이들의 대략 육각뿔 형상이나 대략 육각뿔대 형상은, 정확히 육각뿔일 필요는 없고, 그 중의 몇 개의 면이 소실한 것도 포함한다. 바람직한 일례에 있어서는, 경사결정면은 6면으로 대략 대칭이 되도록 배치된다. 대략 대칭이란, 완전히 대칭형상으로 되어 있는 경우 외에, 다소 대칭형상으로부터 어긋나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결정층의 결정면간의 능선은 반드시 직선이 아니어도 된다. 또한, 대략 육각뿔 형상이나 대략 육각뿔대 형상은 직선형으로 연장된 형상이어도 된다.
이들 제 1 도전형층, 활성층 및 제 2 도전형층은, 기판의 주표면에 대하여 경사진 경사결정면에 평행한 면내로 연장되지만, 이러한 면내로의 연장은 경사결정면이 형성되어 있는 곳에서 계속하여 결정 성장시키면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결정층이 대략 육각뿔 형상이나 대략 육각뿔대 형상으로 되어, 각 경사결정면이 S 면으로 되는 경우에는, 제 1 도전형층, 활성층 및 제 2 도전형층으로 이루어진 발광영역을 전부 또는 일부의 S면 상에 형성할 수 있다. 대략 육각뿔대 형상일 경우에는, 기판 주표면에 평행한 상면상에도 제 1 도전형층, 활성층 및 제 2 도전형층을 형성할 수 있다. 경사진 S 면을 이용하여 발광시킴으로써, 평행평판으로는 다중반사에 의해 빛이 감쇠하여 가지만, 경사진 면이 있으면 빛은 다중반사의 영향을 피하여 반도체 밖으로 나갈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기판에 대하여 수직한 면이 아닌 쪽이 광 추출 효율이 개선되게 된다. 제 1 도전형층 즉, 클래드층은 S 면을 구성하는 결정층과 동일한 재료로 동일 도전형으로 할 수 있어, S 면을 구성하는 결정층을 형성한 후, 연속적으로 농도를 조정하면서 형성할 수도 있고, 또한 다른 예로서, S 면을 구성하는 결정층의 일부가 제 1 도전형층으로서 기능하는 구조이어도 된다.
상기한 반도체 발광소자에서는, 경사진 경사결정면의 결정성의 장점을 이용하여, 발광효율을 높일 수 있다. 특히, 결정성이 좋은 S 면에만 전류를 주입하면, S 면은 In의 인출도 좋고 결정성도 좋기 때문에 발광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활성층의 실질적인 S 면에 평행한 면내로 연장하는 면적은, 그 활성층을 기판 또는상기 하지성장층의 주표면에 투영한 경우의 면적보다 크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활성층의 면적을 크게 함으로써, 소자가 발광하는 면적이 커져, 그 만큼 전류밀도를 감소할 수 있다. 또한, 활성층의 면적을 크게 잡음으로써, 휘도 포화의 감소에 도움이 되고, 이에 따라 발광효율을 올릴 수 있다.
우선, 선택성장에 의해서 형성되는 대략 육각뿔 형상에 있어서, 결정성이 양호한 영역에 전극을 형성하여 발광영역으로 하고, 또한, 이것으로부터 발생하는 빛을 발광영역에 형성되는 전극 및 전극이 형성되지 않은 경사결정면에서 효율적으로 반사하여, 상기 광을 광 추출면으로 안내하기 위한 전극의 형성위치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결정성장 기판 상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개구부로부터 선택성장에 의해서 형성되어, 외형이 대략 육각뿔 형상의 반도체 발광소자의 구조를 간략화한 간략 단면도이다. 점 A는 그 소자의 정상으로, 도 1은 점 A를 포함하고 그 소자의 저면에 대하여 수직한 면에서 그 소자를 절단하였을 때의 단면을 나타낸다. 그 소자는 기판 상에 결정 성장층(1)을 형성하고, 그 위에 경사 결정층(2)을 형성한다. 경사 결정층(2)은 기판 주표면에 대하여 경사진 경사결정면을 갖는 제 1 도전형층이 형성되어, 그 경사진 결정층상에 활성층을 형성한다. 또한, 그 위에, 제 2 도전형층을 형성하고, 제 2 도전형층의 중턱부에 전극(3a, 3b)이 형성되어 있다. 활성층의 발광영역에서 발생한 빛은, 해당 육각뿔 형상의 반도체 발광소자의 저면을 광 추출면으로 하여서, 소자 외부로 추출된다. 여기서는, 제 2 도전형층, 활성층 및 제 2 도전형층으로 이루어진 다층구조는 표시하지 않고, 경사 결정층을 성장시키는결정 성장층(1), 저면에 포함되는 저변 BC, 발광영역(4a, 4b), 상기 경사결정면의 최표면 및 경사진 경사결정면의 최표면의 중턱부에 형성된 전극(3a, 3b)을 나타낸다. 또한, 발광영역(4a, 4b)은, 경사결정면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활성층에 전극(3a, 3b)이 투영된 영역으로, 전극(3a, 3b)으로부터 전류가 주입되는 실질적인 발광영역이다.
이하, 도 1을 사용하여 전극(3a, 3b)의 형성위치에 관해서 설명한다. 우선, 해당 소자의 대략 육각뿔 형상 부분의 저변의 양단을 점 B, 점 C로 하고, 해당 소자의 정상인 정점을 점 A로 한다. 경사 결정층은, 경사 결정층의 성장 개시면에 포함되는 변 BC의 중심으로부터 횡방향에 대하여 대칭으로 넓어지면서, 높이 방향으로 성장한다. 변 AB와 변 AC의 길이는 대략 같고, 또한 각 ABC과 각 ACB는 같다. 따라서, 삼각형 ABC는, 각 ABC와 각 ACB가 동일한 이등변 삼각형이다. 여기서, 각 ABC의 각도를 θ라고 정의한다. 또한, 결정 성장층(1)은, 도시하지 않은 기판 상에 형성된 결정층으로, 경사 결정층(2)과 같은 재료계로 형성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GaN계 재료이다.
또한, 점 B로부터 변 AB를 연장하여, 연장된 직선과 결정 성장층(1)의 하측의 면과의 교점을 점 P로 한다. 점 B를 통하여 결정 성장층(1)의 상측면과 수직한 직선과 결정 성장층(1)의 하측면과의 교점을 점 Q로 한다. 다음에, 변 AC를 포함하는 경사 결정면상에 형성한 전극의 하측의 전극단을 점 D로 한다. 또한, 점 D로부터 변 BC에 평행한 직선을 연장하여, 변 AB와의 교점을 점 E로 한다. 다음에, 점 E로부터 변 BD에 평행한 직선을 연장하여, 변 AC와의 교점을 점 R로 한다. 이상과같이 하여 각 점을 위치 결정한 후, 점 D, F를 양단으로 하고, 변 AC를 포함하는 경사결정면에 전극(3a)이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점 E, G를 양단으로 하여, 변 AB를 포함하는 경사결정면에 전극(3b)이 형성된다.
여기서, 빛을 그 소자로부터 외부로 효율적으로 추출하기 위해서는, 그 소자의 광 추출 효율과 발광효율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 요컨대, 경사결정면에 형성되는 전극은, 양 효율을 가미하여 가장 효율적으로 해당 소자의 외부에 빛을 추출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광 추출 효율과 발광효율을 높이기 위한 조건에 관해서 설명한다.
먼저, 경사진 경사결정면의 중턱부에 전극을 형성한 경우에, 광 추출 효율을 높이는 조건에 관해서 설명한다. 광 추출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발광영역에서 발생한 빛을 전극 및 경사결정면과 외부와의 경계에서 반사하여, 광을 광 추출면으로 유도하는 것이 필요하다. 도 1에서는, 모식적으로 전극(3a, 3b)이 형성되어 있는 경사결정면의 최표면과, 활성층의 실질적인 발광영역(4a, 4b)을 일치시켜 표시하고 있다. 여기서는, 발광영역(4a)에서 발생하는 빛 중 광 추출면을 향하여 직접 입사하는 빛(이하, 직접 입사광이라고 표기함)과, 다중반사되는 빛 중 전극 또는 경사결정면에서 1회 반사되고 나서 광 추출면에 입사하는 빛(이하, 간접 입사광이라고 표기함)을 대상으로 설명한다.
직접 입사광은, 활성층으로 이루어진 발광영역(4a)으로부터 변 BC로 직접 향하는 빛으로, 전극이나 경사결정면에서 반사되지 않은 빛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발광영역(4a)이 변 BC에 대해 경사짐으로써, 발광영역이 변 BC에 평행한 경우와 비교하여 실질적인 발광영역의 면적을 크게 할 수 있어, 보다 많은 빛을 변 BC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우선, 발광영역(4a)에서 발생하는 빛 중 변 AC와 마주 보는 변 AB 상의 변 EB를 포함하는 경사결정면을 향하는 빛에 관해서 설명한다. 변 EB 상에 전극이 형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발광영역(4a)에서 발생한 빛 중 변 EB를 향하는 빛은 전극에 의한 반사를 받지 않는다. 따라서, 발광영역(4a)에서 발생한 빛이 전극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사결정면에서 거의 투과하지 않고 전반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발광영역(4a)에서 발생하는 빛으로 변 EB를 향하는 빛 중, 점 B를 향하여, 변 EB와 이루는 각이 가장 큰 것은, 점 D 근방의 발광영역(4a)에서 발생하는 빛으로, 변 EB와 이루는 각이 각 DBE 이다. 이때, 각 DBE가 점 D 근방에서 발생하는 빛이 변 EB에서 전반사될 때의 임계각이면, 발광영역(4a)에서 발생하는 빛 중 점 B를 향하는 빛은, 모두 점 B에서 전반사 되게 된다.
그런데, 본 실시예에서는 삼각형 ABC의 대략 전체와 결정 성장층(1)이, GaN계의 대략 동일한 재료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굴절율 등의 광학특성은 대략 같고, 변 EB와 각 DBE를 이루어 점 B에 입사하는 빛은, 변 BP와 각 QBP을 이뤄 전반사된다. 여기서, 점 B에서 빛이 전반사될 때, 입사각인 각 DBE와 반사각인 각 QBP는 같다(∠DBE=∠QBP). 한편, 맞꼭지각은 같으므로, ∠QBP=90°-θ의 관계가 있다. 따라서, 발광영역(4a)에서 발생하는 빛이 점 B에서 전반사될 때는, ∠DBE=∠QBP=90°-θ의 관계식이 성립하게 된다. 이 때문에, 전극(3a)의 하단인 점 D의 위치를 결정하는 각 DBC는, ∠DBC=∠ABC-∠DBE=θ-(90°-θ)=2θ-90°로 된다.
다음에, 전극(3a)의 상단인 점 F 근방의 발광영역(4a)에서 발생하는 빛이, 변 EB에서 전반사되는 조건에 관해서 설명한다. 점 F 근방의 발광영역(4a)에서 발생하여 변 EB를 향하는 빛 중, 변 EB와 가장 큰 입사각을 이루는 것은, 점 E를 향하는 빛이다. 따라서, 각 FEA가 전반사의 임계각이면 점 F 근방의 발광영역(4a)에서 발생하는 빛으로 변 EB를 향하는 빛은, 변 EB에서 전부 전반사되어 광 추출면을 향하게 된다. 그런데, 변 FE와 변 DB는 평행하고, 각 DBE는 변 AB를 포함하는 경사결정면에서 전반사되었을 때의 임계각이기 때문에, 각 DBE와 각 FEG은 같다(∠DBE=∠FEG). 따라서, 점 F 근방의 발광영역(4a)에서 발생하는 빛으로 점 E를 향하는 빛은 점 E에서 전반사되어, 변 EB 상의 모든 점에서 전반사되게 된다.
상술한 점 D, F의 위치에 전극(3a)의 양단을 설정함에 의해 발광영역(4a)의 양단 근방에서 발생하는 빛으로 변 EB를 향하는 빛은, 변 EB에서 효과적으로 전반사된다. 또한, 발광영역(4a) 양단 사이의 발광영역에서 발생하는 빛으로 변 EB를 향하는 빛은, 그 대부분이 변 EB에서 전반사되어, 광 추출면을 향하게 된다. 발광영역(4a)에서 발생하는 빛으로 전극(3b)을 향하는 빛은, 전극(3b)에서 반사된다. 여기서, 전극(3b)에서 효율적으로 빛을 반사하기 위해서는, 빛의 투과를 억제하는 재료, 막두께 및 전극구조 등을 검토해야 하지만, 이 점에 관해서는 후술하는 실시예에서 설명한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것처럼, 전극(3a, 3b)의 상측에서 해당 소자의 정상부를 포함하는 영역에 광 반사막을 형성하지 않은 구조에서는, 정상부를 포함하는 영역에서 해당 소자의 외부로 투과하는 빛이 소정의 정도의 비율로 존재한다. 발광영역에서 발생한 빛의 일부를 광 추출면으로부터 유도하게 된다. 따라서, 전극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정상부를 포함하는 영역에 광 반사막을 형성함으로써, 광 투과를 억제하여, 광 추출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 광 반사막의 구조에 관해서는, 후술하는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발광효율을 높이기 위한 조건에 관해서 설명한다. 발광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경사진 경사 결정층 중 해당 소자의 정상근방 또는 해당 소자의 저면 근방의 결정성이 나쁜 영역을 피하여 전극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요컨대, 결정성이 양호한 경사결정면의 중턱부에 전극을 형성하고, 전극의 하단을 가능한 한 경사결정면의 상측에 설정하고, 전극의 상단을 가능한 한 경사결정면의 하측에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정성이 양호한 영역에만 전류를 주입하여, 발광시킴으로써, 발광효율을 높일 수 있다. 그러나, 경사결정면상에서 결정성이 양호한 영역인 경사결정면의 중턱부와, 이 중턱부와 비교하여 결정성이 뒤떨어지는 영역인 해당 소자의 정상부 근방과 저면 근방의 경사결정면을 명확히 구별하여 전극을 형성하는 것은 곤란하다.
여기서, 활성층으로 이루어진 발광영역(4a)의 발광영역에서 발생하는 빛 중, 일부의 빛은 변 EB를 포함하는 경사결정면에서 전반사되지 않고서 투과해버려, 광 추출면으로부터 추출할 수 없는 광도 있지만, 상술한 결정성이 양호한 영역만을 발광영역으로 하여서 발광효율을 높이는 효과와, 발생된 빛의 대부분을 광 추출면으로부터 추출할 수 있는 효과에 따라서, 소자에의 입력전류에 대하여 효율적으로 광 추출면으로부터 빛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결정성이 양호한 영역만을 발광영역으로 하고, 더욱 효율적으로 소자외부로 추출하기 위해서는 경사결정면에 형성된 전극의 상측에서 정점을 포함하는 영역 전체에 광 투과성을 갖는 전류블록층을 형성하고, 그 위에 광 반사막이 되는 금속박막을 형성함으로써, 소자의 정상근방으로부터 소자 외부로 나가는 빛을 광 추출면의 방향으로 반사하여, 광 추출면으로부터 빛을 소자 외부로 추출할 수 있다. 또한, 결정성이 나쁜 영역에 형성되는 전류블록층이나 발생한 빛을 효율적으로 반사하는 금속박막층 등을 조합하는 것에 의해서도, 해당 소자에의 입력전류에 대해 효율적으로 광 추출면으로부터 빛을 추출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전극형성위치에 형성되는 전극의 구조에 관해서 순차로 설명한 후, 본 발명의 경사결정면의 중턱부에 전극이 형성된 반도체 발광소자를 복수로 배열한 화상표시장치 및 조명장치에 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반도체 발광소자의 경사결정면의 중턱부에 형성되어, 결정층에 전류를 주입하기 위한 전극은, 상술한 2θ-90°의 각도로 결정되는 전극위치에 형성된다.
[제 1 실시예]
도 2는 대략 육각뿔 형상으로 결정성장시켜 형성된 경사결정면을 갖고, 그 중턱부에 전극이 형성된 본 발명의 반도체 발광소자의 일 형태를 나타낸 구조단면도이다. 입력전류에 대하여 발생한 빛을 효율적으로 소자 외부로 추출하기 위한 전극(10)과 이 전극(10)의 해당 소자의 정상측에 전류블록층(11)이 형성되어 있다. 전극(10)이 형성되는 경사결정면의 중턱부는, 결정성이 양호한 영역이다. 전류블록층(11)은, 해당 소자의 저면 근방을 제외한 경사결정면상과 전극(10) 및 해당 소자의 정상근방에 형성되어 있다. 전류블록층(11)은 정상부의 결정층에의 전류주입을 억제한다.
다음에, 도 3을 사용하여 전극의 구조에 관해서 설명한다. 경사결정면을 형성하는 제 2 도전형 반도체층(14)인 제 2 클래드층은, 마그네슘이 도핑된 p형 GaN층이고, GaN층 위에는 결정층에 형성되어 있는 활성층(12)에서 발생하는 빛의 침입 길이 또는 그 이하의 두께를 갖는 콘택 금속층(15)이 형성되고, 또한 그 소요 두께를 갖는 콘택 금속층(15)이 형성된 후에 전극층(16)이 형성된다. 콘택 금속층(15)은, 그 두께가 활성층(12)에서 발생한 빛의 침입길이 또는 그 이하의 두께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경사결정면과의 오믹접촉을 꾀하면서 전극층에서의 반사율을 높게 할 수 있어, 광 투과형 기판측에의 반사강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제 2 도전형 반도체층 상에 전극층을 형성함으로써, 그 제 2 도전형 반도체층측을 향한 빛은 기판측으로 반사되어, 콘택 금속층(15)의 두께를 발생한 빛의 침입 또는 그 이하의 두께로 얇게 함으로써, 오믹 접촉을 꾀하면서 전극층에서의 반사율을 높게 할 수 있어, 소자 전체로서의 발광효율을 높일 수 있다.
전극구조에 관해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전극(10)은 콘택 금속층(15)과 전극층(16)이 적층된 다층구조로 되어 있다. 제 2 도전형 반도체층(14)인 p형 GaN 층으로 이루어진 클래드층의 최표면에는, 전극(10)의 제 1 층으로서, p측 전극층(16)과 제 2 도전형 반도체층(14)인 GaN 층의 오믹접촉을 꾀하는 콘택 금속층(15)인 니켈층이 형성되어 있다. 이 니켈로 구성된 콘택 금속층(15)의 막두께는, 활성층에서발생하는 빛의 침입길이 또는 그 이하의 두께로 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일례로서 막두께가 약 10nm로 되어 있다. 이 니켈로 구성된 콘택 금속층(15)상에는 p측 전극층(16)이 형성되어 있다. p측 전극층(16)은, 예를 들면, 알루미늄, 은으로 이루어진 박막이고, 니켈로 구성된 콘택 금속층(15)을 투과한 빛은 p측 전극층(16)의 계면에서 반사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p측 전극층(16)은, 예를 들면 알루미늄, 은으로 이루어진 박막이지만, 이들의 알루미늄 및 은 위에 금이나 백금 등의 금속층을 적층한 구조이어도 된다. 본 실시예의 콘택 금속층(15) 및 전극층(16)의 막두께는 발생하는 빛에 따라서 막두께를 변화하며 형성할 수 있다.
콘택 금속층(15) 및 전극층(16)은, 증착법, 도금법 등으로 형성되어, 그 막두께 등을 바꿀 수 있다. 빛이 금속표면에서 반사하는 경우, 에너지를 갖는 전자파로서의 광은, 금속표면으로부터도 침입길이라고 칭해지는 길이만큼 금속표면으로부터 침입하여, 이버네센트(evanescent)파라고 불리는 전자파가 존재한다. 이 금속의 복소 굴절율과 입사각에 따른 에너지의 흡수가 그 이버네센트파에 대하여 생겨, 그 이외의 에너지의 광이 반사광으로서 외부에 반사된다. 한편, 오믹 콘택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매우 얇은 막이어도 충분하고, 니켈로 구성된 콘택 금속층(15)의 막두께는, 활성층(12)에서 발생하는 빛의 침입길이 또는 그 이하의 두께로 함으로써, 전극(10)에 의한 반사효율을 높일 수 있다.
전류블록층(11)은, 전극(10)의 상단으로부터 소자의 정점을 포함하는 정상부와 저면 근방의 경사결정면에 형성함으로써, 결정성이 나쁜 영역에의 전류주입을 억제하고 있다. 전류블록층(11)은, SiO2등 절연성을 갖는 막을 형성한 후, 저면 근방의 부분을 식각하여 형성된다. 또한, 전류블록층(11)은 절연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될 뿐만 아니라, 제 2 도전형 반도체층(14)인 제 2 클래드층을 형성하는 결정층의 표면과 전위장벽을 형성하여, 전류가 주입되기 어려운 재료로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예를 들면, Ag, Al과 같은 빛을 반사하는 금속재료의 박막이어도 된다. 빛을 반사하는 재료를 사용한 경우, 전류가 주입되지 않은 영역에 광 반사막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전극(10)만으로 빛을 반사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광 추출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제 2 실시예]
도 4는 대략 육각뿔 형상으로 결정성장시켜 형성된 경사결정면을 갖고, 그 중턱부에 전극이 형성된 반도체 발광소자의 일 형태를 나타낸 구조단면도이다. 입력전류에 대하여 발생한 빛을 효율적으로 소자 외부에 추출하기 위한 전극(20)과, 이 전극(20)의 상측의 그 소자의 정상을 포함하는 영역에 전류블록층이 형성되어 있다. 전류블록층은, 절연층(21)과 금속박막층(22)의 다층구조를 갖고 있다.
전극(20)은, 전극의 아래의 결정층에 형성되어 있는 활성층(12)에서 발생하는 빛의 침입길이 또는 그 이하의 두께를 갖는 콘택 금속층(15)이 소요 두께로 형성된 후, 그 위에 전극층(16)이 형성된다. 따라서, 콘택 금속층(15)은, 그 두께가 활성층(12)에서 발생한 빛의 침입길이 또는 그 이하의 두께로 되어 있으므로, 오믹 접촉을 꾀하면서 전극층(16)에서의 반사율을 높게 할 수 있어, 광 투과형 기판측에의 반사강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제 2 도전형 반도체층(14) 상에 전극층(16)을 형성함으로써, 그 제 2 도전형 반도체층(14)측을 향한 빛은 기판측으로 반사된다. 전극층(16)과 제 2 도전형 반도체층(14) 사이에 콘택 금속층(15)을 형성함으로써 소자 전체의 발광효율을 높일 수 있다.
p측 전극(20)과 GaN층으로 이루어진 제 2 도전형 반도체층(14)의 오믹접촉을 꾀하는 콘택 금속층(15)은, 니켈로 형성되어 있다. 니켈로 구성된 콘택 금속층(15)의 막두께는, 활성층에서 발생하는 빛의 침입길이 또는 그 이하의 두께로 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일례로서 막두께가 약 10nm로 되어 있다. 이 니켈로 구성된 콘택 금속층(15)상에는 전극층(16)이 형성되어 있다. 전극층(16)은, 예를 들면, 알루미늄, 은으로 이루어진 박막이고, 니켈로 구성된 콘택 금속층(15)을 투과한 빛은 전극층(16)의 계면에서 반사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전극층(16)은, 예를 들면, 알루미늄, 은으로 이루어진 박막이지만, 이것들의 알루미늄 및 은 위에 금이나 백금 등의 금속층을 적층한 구조이어도 된다. 본 실시예의 콘택 금속층(15) 및 전극층(16)의 막두께는 발생하는 빛에 따라서 막두께를 변화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p측 전극(20)의 상측의 경사결정면에서, 그 소자의 정상을 포함하는 영역에 전류블록층을 형성한다. 전류블록층은, 절연층(21)과 금속박막층(22)으로 이루어져, 활성층(12)으로부터 발생한 빛을 효율적으로 반사할 수 있고, 광 추출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때, 절연층(21)을 제 1 층으로 함으로써, 결정성이 나쁜 영역에 전류가 거의 주입되는 경우가 없고, 전극(20)의 하측의 결정성이 양호한 영역에만 전류가 주입된다. 절연층(21)은, 광 투과성을 갖는 절연성 재료로 형성되어도 되고, 예를 들면 SiO2와 같이 투명한 절연재료를 막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절연층(21) 위에 형성되는 금속박막층(22)은, Ag 및 Al과 같이 반사율이 높은 금속을막형으로 형성함으로써 형성된다.
[제 3 실시예]
도 5는 대략 육각뿔 형상으로 결정성장시켜 형성된 경사결정면의 중턱부에 전극을 형성한 형태를 나타낸 구조단면도이다. 입력전류에 대하여 발생한 빛을 효율적으로 소자 외부에 추출하기 위한 전극과, 상기 전극의 상측의 경사결정면에서 해당 소자의 정상을 포함하는 영역에 절연막과 금속박막의 다층구조로 이루어진 전류블록층이 형성되어 있다.
그 발광소자의 정상 근방에 절연층(26)을 형성한 후, 절연층(26)의 위에 p측 전극(25)을 형성한다. p측 전극(25)은, 절연층(26)이 형성된 영역으로부터 더 아래측의 경사 결정면에도 동시에 형성되어, 결정성이 양호한 경사결정면의 중턱부에 형성되게 된다. 또한, 먼저 형성된 절연층(26)이 전류블록층이 되어, 그 소자의 정상부 근방의 결정성이 나쁜 영역으로의 전류주입이 억제된다. 따라서, p측 전극(25)이 제 2 클래드층(14)과 직접 접합되는 결정성이 양호한 영역만을 발광영역으로 할 수 있으므로, 입력전류에 대한 발광효율을 높일 수 있다.
절연층(26)의 하단은, 경사진 경사결정면의 결정성이 양호한 영역과, 그 표면에 스텝형상을 갖고 경사결정면의 중턱부와 비교하여 결정성이 떨어지는 해당 소자의 정상 근방의 영역과의 경계부근에 위치하고 있다. p측 전극(25)의 하단은, 경사진 경사결정면의 결정성이 양호한 영역과, 그 표면에 스텝형상을 갖고 경사결정면의 중턱부와 비교하여 결정성이 뒤떨어지는 해당 소자의 저면 근방의 경사결정면의 영역과의 경계부근에 위치하고 있다. 절연층(26)의 하단, 요컨대 p측 전극(25)이 제 2 클래드층(14)과 접합되는 영역의 상단과, p측 전극(25)의 하단은, 활성층(12)에서 발생한 빛이 p측 전극(25)의 하측의 전극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사결정면에서 효율적으로 전반사되는 위치에 설정된다.
절연층(26)은, 광 투과성을 갖는 절연재료이어도 되고, 예를 들면 SiO2등의 투명한 절연재료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p측 전극(25)은, 콘택 금속층(15)과 전극층(16)으로 이루어져, 전극층(16)과 GaN층(14)의 오믹접촉을 꾀하는 콘택 금속층(15)인 니켈층이 제 1 층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 니켈로 구성된 콘택 금속층(15)의 막두께는, 활성층에서 발생하는 빛의 침입길이 또는 그 이하의 두께로 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일례로서 막두께가 약 10nm으로 되어 있다. p측 전극층(16)은, 예를 들면, 알루미늄, 은으로 이루어진 박막으로, 콘택 금속층(15)인 니켈층을 투과한 빛은 전극층(16)의 계면에서 반사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전극층(16)은, 예를 들면, 알루미늄, 은으로 이루어진 박막이지만, 이것들의 알루미늄 및 은 위에 금이나 백금 등의 금속층을 적층한 구조이어도 된다. 또한, 콘택 금속층(15)을 Ni로서 설명하였지만, Pd, Co 또는 Sb 등으로 구성할 수도 있고, 이것들의 합금으로 하여도 된다. 또한, 광 투과성을 갖는 절연층(26)상에도 p측 전극(25)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활성층(12)에서 발생하는 빛 중 절연층(26)을 투과하여 절연층(26)상의 p측 전극(25)에 도달하는 빛을 효율적으로 반사할 수 있고, 광 추출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외형이 대략 육각뿔 형상의 경사결정면의 중턱부에 전극(25)을 형성하고 있지만, 외형이 대략 육각뿔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고, 경사 결정층을 갖는 발광소자이면 그 중턱부에 전극(25)을 형성함으로써 발광효율을 높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는, 외형이 대략 육각뿔대 형상의 발광소자에도 적용한다.
또한, 발광다이오드 이외의 반도체 레이저나 그 밖의 반도체 발광소자 등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반도체 발광소자의 발광파장을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지만, 예를 들자면, 청색발광의 경우에, p측 전극층(16)은 Ag 또는 Al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4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외형이 대략 육각뿔 형상인 경사진 경사결정면의 중턱부에 전극이 형성된 반도체 발광소자를 복수로 배열한 화상표시장치 및 조명장치에 관해서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내지 제 3 실시예에서 설명한 입력전류에 대한 광 추출 효율이 높은 반도체 발광소자를 배열하여, 주사 가능하게 배열함으로써, S 면을 이용하여 전극 면적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적은 발광부의 총면적으로 디스플레이를 작성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전류로부터 광으로의 변환효율이 양호한 화상표시장치 및 조명장치를 제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특히 제 3 실시예에서 설명한 전극구조를 갖는 반도체 발광소자를 배열하여 된 화상표시장치의 제조방법에 관해서 설명한다.
먼저, 그 구조에 관해서 설명한다. 상기 발광소자의 단면구조도가 도 6a를, 평면 구조도를 도 6b에 나타낸다. GaN계 반도체층으로 이루어진 하지성장층(31)상에 선택 성장된 육각뿔 형상의 GaN층(3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지성장층(31)상에는, 도시하지 않은 절연막이 존재하고, 육각뿔 형상의 GaN층(32)은 그 절연막을 개구한 부분에 MOCVD법 등에 의해서 형성된다. 이 GaN층(32)은, 성장시에 사용되는 사파이어 기판의 주표면을 C면으로 한 경우에 S 면(1-101면)으로 덮인 피라미드형 성장층으로, 실리콘을 도핑시킨 영역이다. 이 GaN층(32)의 경사진 S 면을 덮도록 활성층인 InGaN층(33)이 형성되어 있고, 그 외측에 마그네슘이 도핑된 GaN층(34)이 형성된다. 이 마그네슘이 도핑된 GaN층(34)은 클래드층으로서 기능한다.
이 발광다이오드에는, p측 전극(35)과 n측 전극(36)이 형성된다. p측 전극(35)은 마그네슘이 도핑된 GaN층(34)상에 Ni/Pt/Au 또는 Ni(Pd)/Pt/Au 등의 금속재료를 증착하여 형성된다. p측 전극(35)을 형성하기 전에 광 투과성을 갖는 절연층(30)을 해당 소자의 정상 근방에 형성해 둔다. 절연층(30)은, 예를 들면, SiO2등의 투명한 절연재료로 형성할 수 있다. p측 전극(35)의 형성위치는, 먼저 설명한 것처럼, 저면에 대하여 2θ-90°의 각도로 결정되는 위치이다. p측 전극하의 활성층에서 발생한 빛은 p측 전극(35) 및 경사결정면의 표면에서 효율적으로 전반사되어 소자 외부에 추출된다. n측 전극(36)은, 상술한 도시하지 않은 절연막을 개구한 부분에서 Ti/Al/Pt/Au 등의 금속재료를 증착하여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하지성장층(31)의 이면측에 광 추출면을 피하여 n측 전극을 형성하여, n측 전극(36)의 형성은 하지성장층(31)의 표면에는 불필요해진다.
이러한 구조의 GaN계 발광다이오드는, 청색발광도 가능한 소자로, 특히 레이저 제거에 의해서 비교적 간단히 사파이어 기판으로부터 박리할 수 있어, 레이저광을 선택적으로 조사함으로써 선택적인 박리가 실현된다. 이때, 본 실시예의 발광다이오드에서는, 발생된 빛이 GaN층(32)으로부터 하지성장층(31)을 통하여 하측으로부터 소자 외부로 추출되는지, 또는 p측 전극(35) 또는 경사결정면의 표면에서 효율적으로 전반사되어 GaN층(32)으로부터 하지성장층(31)을 통하여 하측으로부터 소자 외부로 추출된다. 또한, GaN계의 발광다이오드로서는, 평판 상이나 띠 형상으로 활성층이 형성되는 구조이어도 되고, 상단부에 C 면이 형성된 각뿔 구조의 것이어도 된다. 또한, 다른 질화물계 발광소자 또는 화합물 반도체소자 등이어도 된다.
다음에, 발광소자를 형성하는 기판으로부터 발광소자를 분리하여, 수지층에서 피복하는 공정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7에 나타낸 것처럼, 제 1 기판(41)의 주표면 상에는 복수의 발광다이오드(42)가 매트릭스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발광다이오드(42)의 크기는, 약 20㎛ 정도로 할 수 있다. 제 1 기판(41)은, 발광다이오드(42)를 형성하는 결정층을 성장시키는 기판이다. 제 1 기판(41)은 기판에 대하여 경사진 경사결정면을 갖는 결정층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제 1 기판(41)은, 광 투과성을 갖는 사파이어 기판으로, 발광다이오드(42)에 조사하는 레이저광의 파장에 대하여 투과율이 높은 재료가 사용된다. 또한, 제 1 기판(41)은, 질화갈륨(GaN)계 화합물반도체의 재료를 성장시키는 경우에 많이 이용되고 있는 C 면을 주표면으로 하고 있다. 이 C 면은, 5 내지 6도의 범위로 경사진 면방위를 포함한다. 발광다이오드(42)에는, p 전극 등까지는 형성되어 있지만, 최종적인 배선은 아직 주어지지 않고, 소자간 분리 홈(42g)이 형성되어 있고, 개개의 발광다이오드(42)는 분리할 수 있는 상태에 있다. 이 홈(42g)은, 예를 들면, 반응성 이온식각으로 형성한다. 이러한 제 1 기판(41)을 일시 보유용 부재(43)에 마주 보게 하여, 선택적인 전사를 한다.
일시 보유용 부재(43)의 제 1 기판(41)을 향하는 면에는 박리층(44)과 접착제층(45)이 2층으로 되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일시 보유용 부재(43)의 예로서는, 유리기판, 석영 유리기판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일시 보유용 부재(43) 상의 박리층(44)의 예로서는, 불소수지, 실리콘수지, 수용성 접착제(예를 들면, 폴리비닐알코올: PVA), 폴리이미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일례로서는, 일시 보유용 부재(43)로서 석영 유리 기판을 사용하여, 박리층(44)으로서 폴리이미드막을 약 1㎛ 내지 3㎛의 막두께로 형성 후, 접착제층(45)인 UV 경화형 접착제를 약 20㎛ 두께로 도포한다.
일시 보유용 부재(43)의 접착제층(45)은, 경화된 영역(45s)과 미경화영역(45y)이 혼재하도록 조정되고, 미경화영역(45y)에 선택전사에 따른 발광다이오드(42)가 위치하도록 위치 정렬된다. 경화된 영역(45s)과 미경화영역(45y)이 혼재하도록 한 조정은, 예를 들면 UV 경화형 접착제를 노광기에 의해 선택적으로 200㎛ 피치로 UV 노광하고, 광다이오드(42)를 전사하는 곳은 미경화로, 그 이외는 경화시켜 놓은 상태로 하면 된다. 이러한 얼라인먼트 후, 전사대상위치의 발광다이오드(42)를 제 1 기판(41)으로부터 레이저 제거를 이용하여 박리한다. GaN계 발광다이오드(42)는, 사파이어와의 계면에서 금속의 Ga와 질소로 분해하여서, 비교적 간단히 박리할 수 있다. 조사할 레이저광으로서는, 엑시머 레이저광, 고조파 YAG 레이저광 등이 사용된다.
이 레이저 제거를 이용한 박리에 의해서, 선택조사에 관계된 발광다이오드 (42)는, GaN층과 제 1 기판(41)의 계면에서 분리하여, 반대측의 접착제층(45)에 p 전극을 푹 찌르도록 하여 전사된다. 레이저광이 조사되지 않은 영역의 다른 발광다이오드(42)에 관해서는, 대응하는 접착제층(45)의 부분이 경화된 영역(45s)이고, 레이저광도 조사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일시 보유용 부재(43)측에 전사되는 경우는 없다. 이때, 도 7에서는 하나의 발광다이오드(42)만이 선택적으로 레이저광을 조사되어 있지만, n 피치분 만큼 이격된 영역에서도 마찬가지로 발광다이오드(42)는 레이저광이 조사된다. 이러한 선택적인 전사에 따라서는, 발광다이오드(42)는, 제 1 기판(41)에 배열되어 있을 때보다도 이격되어 일시 보유용 부재(43)상에 배열된다.
발광다이오드(42)는, 일시 보유용 부재(43)의 접착제(45)로 보유된 상태에서 발광다이오드(42)의 이면이 n 전극측(캐소드전극측)으로 되어 있고, 발광다이오드 (42)의 이면은 수지(접착제)가 없도록 제거되어, 세정되어 있으므로, 도 8에 나타낸 것처럼, 전극 패드(46)를 형성하면, 전극 패드(46)는 발광다이오드(42)의 이면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접착제층(45)의 세정예로서는, 산소플라즈마로 접착제용 수지를 식각하여, UV 오존 조사에 의해 세정한다. 또한, 레이저광으로 GaN계 발광다이오드를 사파이어 기판으로 이루어진 제 1 기판(41)으로부터 박리하였을 때에는, 그 박리면에 Ga가 석출되어 있기 때문에, 그 Ga를 식각하는 것이 필요하고, NaOH 수용액 또는 희초산으로 행하게 된다. 그 후, 전극패드(46)를 패터닝한다. 이때의 캐소드측의 전극패드는 약 60㎛ 각으로 할 수 있다. 전극패드(46)로서는, 투명전극(ITO, ZnO계등) 또는 Al/Cu 등의 재료를 사용한다. 투명전극의 경우는, 발광다이오드의 이면을 크게 덮어도 발광을 차단하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패터닝 정밀도를 거칠게 하여, 큰 전극형성을 할 수 있어, 패터닝 프로세스가 용이해진다.
다음에, 제 1 일시 보유용 부재(43)로부터 제 2 일시 보유용 부재(47)로 발광다이오드(42)를 전사하는 공정을 설명한다. 발광다이오드(42)의 전사처인 제 2 일시 보유용 부재(47)상에는 박리층(48)과 전사되는 발광다이오드(42)와 박리층 (48)이 형성된다. 박리층(48)은, 예를 들면, 불소수지, 실리콘수지, 수용성 접착제 (예를 들면, PVA), 폴리이미드 등의 광 투과성을 갖는 수지를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제 2 일시 보유용 부재(47)는, 일례로서 유리기판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박리층(48)을 형성한 일시 보유용 부재 47에 일시 보유용 부재 43을 마주 보게 하여, 접착제층(45)을 박리층(48)에 밀착시킨다. 이 상태대로, 일시 보유 부재(43)와 박리층(44)을 분리하기 위해서, 박리층(44)이 형성되어 있는 면의 반대측에서 일시 보유부재(43)에 엑시머 레이저광을 조사한다. 이때, 일시 보유 부재(43)에 대하여, 박리층(44)이 형성되어 있는 면의 이면으로부터 엑시머 레이저광을 조사한다. 일시 보유 부재(43)는 유리기판이므로, 엑시머 레이저광이 일시 보유 부재(43)에서 거의 흡수되지 않고, 박리층(44)과 일시 보유 부재(43)와의 계면근방에 조사되어, 레이저 제거가 발생된다. 그 결과, 박리층(44)과 일시 보유 부재(43)의 접착력이 저하하여, 일시 보유 부재(43)만이 발광다이오드(42)를 포함하고 박리층(44)을 최상부의 층으로 하는 구조의 부분으로부터 분리된다. 이에 따라, 각 발광다이오드(42)는, 제 2 일시 보유 부재(47)측에 전사된다.
이때, 박리층(44)은 충분한 막두께를 갖기 때문에, 일시 보유 부재(43)를 투과하여 온 엑시머 레이저광의 에너지를 전부 흡수한다. 따라서, 박리층(44) 하측의 층에 엑시머 레이저광이 도달하는 경우는 없고, 접착제층(45) 또는 박리층(48)에 변질은 발생하지 않는다.
도 9는 일시 보유용 부재(43)로부터 발광다이오드(42)를 제 2 일시 보유용 부재(47)에 전사하고, 애노드전극(p 전극)측의 비아(via) 홀(50)을 형성한 후, 애노드측 전극패드(49)를 형성하고, 수지로 이루어진 접착제층(45)을 다이싱(dicing)한 상태를 보이고 있다. 이 다이싱 결과, 소자 분리 홈(51)이 형성되어, 발광다이오드(42)는 소자마다 구분되게 되어, 일시 보유용 부재(47)에 접착된 상태의 수지형성소자가 필요로 하는 형상을 이룬다. 소자 분리 홈(51)은, 매트릭스형의 각 발광다이오드(42)를 분리하기 위해서, 평면 패턴으로서는 종횡으로 연장된 복수의 평행선으로 이루어진다. 소자 분리 홈(51)의 바닥부에서는 제 2 일시 보유용 부재(47)의 표면이 향한다.
발광다이오드(42)의 애노드측 전극패드(49)를 형성하고, 소자 분리 홈(51)을 형성하는 공정을 더 자세히 설명한다. 이 프로세스의 일례로서, 제 2 일시 보유용 부재(47)의 표면을 산소 플라즈마로 발광다이오드(42)의 표면이 노출할 때까지 식각한다. 우선, 비아 홀(50)의 형성은, 엑시머 레이저광, 고조파 YAG 레이저광, 탄산 가스 레이저광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비아 홀은, 예를 들면 약 3∼7㎛의 지름이 개구된다. 애노드측 전극패드는 Ni/Pt/Au 등으로 형성한다. 다이싱 프로세스는, 통상의 블레이드를 사용한 다이싱, 20㎛ 이하의 폭이 좁은 절삭깊이가 필요할때에는 레이저광을 사용한 레이저에 의해 가공을 한다. 레이저광으로서는, 엑시머 레이저광, 고조파 YAG 레이저광, 탄산 가스 레이저광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절삭깊이 폭은, 화상표시장치의 화소내의 수지로 이루어진 접착제층(45)으로 덮인 발광다이오드(42)의 크기에 의존한다. 일례로서, 엑시머 레이저로 폭이 약 40㎛인 홈 가공을 하여, 소자를 분리하고, 수지 형성 소자가 필요로 하는 형상을 이룬다.
다음에, 발광다이오드(42)를 내부에 형성한 수지형성소자를 제 2 일시 보유용 부재(47)로부터 박리함과 동시에 박리층(48)에 요철을 형성하는 공정을 설명한다. 우선, 도 10에 나타낸 것처럼, 수지형성소자를 제 2 일시 보유용 기판(47)으로부터 분리하여, 이동 설치하기 위한 흡착구멍(55)에 위치 정렬한다. 흡착구멍(55)은, 화상표시장치의 화소 피치로 매트릭스형으로 개구되어 있어, 다수개의 수지형성소자를 일괄적으로 흡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때의 개구경은, 예를 들면, 약 ψ100㎛로 600㎛ 피치의 매트릭스에 개구되고, 일괄적으로 약 300 개를 흡착할 수 있다. 이때의 흡착구멍(55)의 부재는, 예를 들면, Ni 전주에 의해 제조한 것, 또는 SUS 등의 금속판(52)을 식각으로 구멍 가공한 것이 사용되고 있다.
다음에, 흡착구멍(55)에 위치 정렬된 수지형성소자와 제 2 일시 보유용 부재(47)의 계면 근방을 향하여 에너지빔을 조사한다. 에너지빔은, 제 2 일시 보유 부재(47)에 대하여 수지형성소자가 접착되어 있는 면의 반대측으로부터 조사한다. 이때, 제 2 일시 보유 부재(47)는, 광 투과성을 갖는 유리기판이므로, 제 2 일시 보유 부재(47)에 의해서 에너지빔은 거의 흡수되는 것이 없이, 수지형성소자와 유지 부재(47)의 계면 근방의 박리층(48)에 조사된다. 에너지빔이 조사된 박리층(48)은, 레이저 제거에 의해서, 일시 보유 부재(47)와의 접착력이 저하한다. 에너지빔으로서 엑시머 레이저광을 사용하였지만, 그 외에도 YAG 레이저광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다음에, 수지형성소자와 유지 부재(47)의 접착력이 저하한 상태에서, 흡착구멍(55)에 연결되는 흡착 쳄버(54)를 부압(負壓)으로 제어함으로써 발광다이오드 (42)의 흡착이 가능해져, 기계적 수단을 사용하여 발광다이오드(42)가 제 2 일시 보유용 부재(47)로부터 박리된다.
도 11은 수지형성소자를 화상표시장치를 구성하는 장치기판인 제 2 기판(60)에 전사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 2 기판에는, 유리기판 등과 같은 광 투과성을 갖는 재료를 사용한다. 제 2 기판(60)에 수지형성소자를 장착할 때, 제 2 기판 (60)에 미리 접착제층(56)을 도포해 두고, 발광다이오드(42)를 장착하는 접착제층 (56)의 영역을 경화시켜, 발광다이오드(42)를 제 2 기판(60)에 고착하여 배열시킨다. 이 장착시에는, 흡착장치(53)의 흡착척(54)이 정의 압력이 높은 상태, 요컨대, 흡착구멍(55)으로부터 수지형성소자를 이탈시키는 방향의 힘이 수지형성소자에 작용하여, 흡착장치(53)와 발광다이오드(42)의 흡착에 의한 결합상태는 해방된다. 여기서, 접착제층(56)은, 열경화성 접착제, 열가소성 접착제 등으로 구성된다. 발광다이오드(42)가 배치된 위치는, 일시 보유용 부재(43, 47)상에서의 배열로부터도 이격된다. 그때, 접착제층(56)의 수지를 경화시키는 에너지(레이저광 73)는, 제 2 기판(60)의 이면으로부터 공급된다.
제 2 기판(60)의 이면으로부터 레이저광(73)을 조사하여, 전사하는 수지형성소자(발광다이오드(42) 및 접착제층(45))에 대응하는 부분의 접착제층(56)만을 가열한다. 이에 따라, 접착제층(56)이 열가소성접착제일 경우에는, 그 부분의 접착제층(56)이 연화된 후, 냉각 경화함으로써 수지형성 칩이 제 2 기판(60)상에 고착된다. 마찬가지로, 접착제층(56)이 열경화성 접착제일 경우에도, 레이저광(73)이 조사된 부분의 접착제층(56)만이 경화하여, 수지형성소자가 제 2 기판(60)상에 고착된다.
또한, 제 2 기판(60)상에 섀도우 마스크로서도 기능하는 전극층(57)을 배치하고, 이 전극층(57)을 레이저광(73)을 조사하여 가열하고, 간접적으로 접착제층 (56)을 가열하도록 하여도 된다. 특히, 전극층(57)의 화면측의 표면, 즉 해당 화상표시장치를 보는 사람이 있는 측의 면에 블랙크롬층(58)을 형성하면, 화상의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블랙크롬층(58)에서의 에너지 흡수율을 높게 하여, 선택적으로 조사되는 레이저광(73)에 의해서 접착제층(56)을 효율적으로 가열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2는 발광다이오드(42, 61, 62)를 각각 내포하는 수지형성소자를 제 2 기판(60)에 배열시켜 절연층(59)을 도포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또는 도 11에서 사용한 흡착장치(53)를 그대로 사용하여, 제 2 기판(60)에 실장하는 위치를 비키어 놓았을 뿐, 수지형성소자를 소정의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절연층(59)으로서는, 투명 에폭시 접착제, UV 경화형 접착제, 폴리이미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3은 배선형성공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절연층(59)에 개구부(65, 66, 67, 68, 69, 70)를 형성하고, 발광다이오드(42, 61, 62)의 애노드, 캐소드의 전극패드와 제 2 기판(60)의 배선용 전극층(57)을 접속하는 배선(63, 64, 71)을 형성한 도면이다. 이때에 형성하는 개구부, 즉 비아 홀은 발광다이오드(42, 61, 62)의 전극패드(46, 49)의 면적을 크게 하였기 때문에, 비아 홀 형상은 크고, 비아 홀의 위치정밀도도 각 발광다이오드에 직접 형성하는 비아 홀과 비교하여 거친 정밀도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비아 홀은 약 60㎛ 각의 전극패드(46, 49)에 대하여, 약 ψ 20㎛의 것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비아 홀의 깊이는, 배선기판과 접속한 것, 애노드전극과 접속한 것, 캐소드전극과 접속하지만 3종류의 깊이가 있기 때문에, 레이저 펄스 수로 제어하여, 최적의 깊이를 개구한다. 그 후, 보호층을 배선 상에 형성하여, 화소표시장치의 패널은 완성된다. 이때의 보호층은, 절연층(59)과 투명 에폭시 접착제 등과 마찬가지의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이 보호층은, 가열경화하여 배선을 완전히 덮는다. 이 후, 패널 단부의 배선으로부터 드라이버 IC를 접속하여 구동패널을 제조하게 된다. 이상의 공정에 따라서, 각 소자에의 입력전류에 대한 광 추출 효율이 높은 소자가 배열되어, 고품위의 화질을 갖는 화상표시장치가 완성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반도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광 추출효율과 발광효율을 동시에 높인 반도체 발광소자를 형성할 수 있고, 또한, 본 발명의 반도체 발광소자를 배열한 화상표시장치, 조명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각 소자에의 전류밀도를 감소할 수 있음과 동시에 고품질의 화상을 표시할 수 있는화상표시장치와 휘도가 큰 조명장치를 제공하고, 특히, 발광소자를 다수 배치한 화상표시장치 및 조명장치에서는, 소비전력의 감소에도 관계가 있다.

Claims (29)

  1. 결정 성장층의 상측에 제 1 도전형층, 활성층 및 제 2 도전형층으로 이루어진 결정층이 설치되고, 상기 결정층이 기판 주표면에 대하여 경사진 경사결정면을 갖는 반도체 발광소자에 있어서, 상기 경사결정면의 중턱부에 전극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발광소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p측 전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발광소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결정면의 능선과, 상기 경사결정면의 능선상의 제 1 점을 포함하고 상기기판 주표면에 평행한 제 1 평면과, 상기 경사결정면의 능선상의 제 2 점을 포함하고 상기 기판 주표면에 평행한 제 2 평면으로 둘러싸인 상기 경사결정면상의 영역에 상기 전극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발광소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주표면과 상기 경사결정면으로 형성되는 각을 θ로 하고, 상기 제 1 점은 상기 경사결정면의 저변과 2θ-90°의 각을 이루는 제 1 직선이 상기 능선의 한쪽 능선과 교차하는 점으로 하고, 상기 제 2 점은 상기 제 1 평면과 2θ-90°의 각을 이루는 제 2 직선이 상기 한쪽의 능선과 교차하는 점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발광소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장선은, 상기 저변과 상기 능선의 다른쪽 능선과의 교점을 시점으로 하고, 상기 제 2 연장선은 상기 제 1 평면과 상기 다른쪽 능선과의 교점을 시점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발광소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는, 상기 경사결정면에 절연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발광소자.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은, 상기 경사결정면의 종단부 부근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발광소자.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은,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의 저면 근방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발광소자.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종단부는, 상기 경사결정면으로 둘러싸인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발광소자.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성장층은, 섬유아연석형 결정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발광소자.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성장층은, 질화물 반도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발광소자.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층은, 하지성장층을 개재하고 상기 기판 상에 선택성장에 의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발광소자.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성장은, 상기 하지성장층을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것을 이용하여 행하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발광소자.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성장은, 선택적으로 형성된 마스크층의 개구부를 이용하여 행하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발광소자.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층은, 상기 마스크층의 개구부보다도 횡방향으로 넓어져 선택 성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발광소자.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주표면은, 대략 C 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발광소자.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결정면은, S 면 및 (11-22)면 중 적어도 한쪽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발광소자.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결정면에 주로 전류가 주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발광소자.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층은, InGaN을 사용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발광소자.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결정면은, 6면에서 거의 대칭이 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발광소자.
  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층은, 그 결정층의 기판 주표면측의 반대측의 대략 중심부에 C 면으로 이루어진 평탄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발광소자.
  22. 기판 상에 그 기판의 주표면에 대하여 경사진 경사결정면을 갖는 결정층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결정면에 평행한 면내로 연장하는 제 1 도전형층, 활성층 및 제 2 도전형층을 상기 결정층에 형성하여 이루어진 반도체 발광소자가 정렬되고, 신호에 따라서 각 소자가 발광하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진 화상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경사결정면의 중턱부에 전극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p측 전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24. 기판 상에 그 기판의 주표면에 대하여 경사진 경사결정면을 갖는 결정층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결정면에 평행한 면내로 연장하는 제 1 도전형층, 활성층 및 제 2 도전형층을 상기 결정층에 형성하여 이루어진 반도체 발광소자가 정렬되고, 신호에 따라서 각 소자가 발광하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진 조명장치에 있어서, 상기 경사결정면의 중턱부에 전극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p측 전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26. 기판 상에 개구부를 갖는 마스크층 또는 결정종층을 형성하고, 그 마스크층의 개구부 또는 상기 결정종층으로부터 그 기판의 주표면에 대하여 경사진 경사결정면을 갖는 결정층을 선택적으로 형성하고, 상기 경사결정면에 평행한 면내로 연장하는 제 1 도전형층, 활성층 및 제 2 도전형층을 상기 결정층에 형성하는 반도체 발광소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경사결정면의 중턱부에 전극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발광소자의 제조방법.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p측 전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발광소자의 제조방법.
  28.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주표면은, C 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발광소자의 제조방법.
  29.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상에 복수의 반도체 발광소자를 형성한 후, 각 반도체 발광소자마다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발광소자의 제조방법.
KR1020037007079A 2001-10-10 2002-09-25 반도체 발광소자, 화상표시장치 및 조명장치와 그 제조방법 KR1009067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312207 2001-10-10
JP2001312207A JP3988429B2 (ja) 2001-10-10 2001-10-10 半導体発光素子、画像表示装置及び照明装置とその製造方法
PCT/JP2002/009898 WO2003034509A1 (en) 2001-10-10 2002-09-25 Semiconductor light-emitting device, image display, illuminato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3102A true KR20040043102A (ko) 2004-05-22
KR100906722B1 KR100906722B1 (ko) 2009-07-07

Family

ID=19130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7079A KR100906722B1 (ko) 2001-10-10 2002-09-25 반도체 발광소자, 화상표시장치 및 조명장치와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6963086B2 (ko)
EP (1) EP1435667A4 (ko)
JP (1) JP3988429B2 (ko)
KR (1) KR100906722B1 (ko)
CN (1) CN100416867C (ko)
TW (1) TW564556B (ko)
WO (1) WO200303450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9769B1 (ko) * 2005-12-28 2006-11-27 삼성전기주식회사 반도체 발광 다이오드 및 그 제조 방법
US8344401B2 (en) 2009-03-16 2013-01-01 Lg Innotek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and light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15335B2 (ja) * 2002-01-18 2006-08-30 ソニー株式会社 半導体発光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982309B1 (ko) 2003-11-26 2010-09-17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발광각도가 넓은 발광다이오드
EP1695378A4 (en) * 2003-12-05 2010-08-25 Showa Denko Kk METHOD FOR PRODUCING A SEMICONDUCTOR CHIP AND SEMICONDUCTOR CHIP
JP5005164B2 (ja) * 2004-03-03 2012-08-22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イースト 発光素子,発光型表示装置及び照明装置
JP2005317676A (ja) * 2004-04-27 2005-11-10 Sony Corp 半導体発光素子、半導体発光装置及び半導体発光素子の製造方法
EP2410582B1 (en) * 2005-05-24 2019-09-04 LG Electronics Inc. Nano rod type light emitting diode and method for fabricating a nano rod type light emitting diode
TWI288979B (en) * 2006-02-23 2007-10-21 Arima Optoelectronics Corp Light emitting diode bonded with metal diffus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WO2010095531A1 (ja) * 2009-02-18 2010-08-26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半導体発光ダイオード
JP2013093412A (ja) * 2011-10-25 2013-05-16 Showa Denko Kk 発光ダイオード、発光ダイオードの製造方法、発光ダイオードランプ及び照明装置
KR101286210B1 (ko) * 2012-03-12 2013-07-15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발광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JP6322197B2 (ja) 2012-10-26 2018-05-09 グロ アーベーGlo Ab ナノワイヤサイズの光電構造及びその選択された部分を改質させる方法。
KR101898680B1 (ko) 2012-11-05 2018-09-13 삼성전자주식회사 나노구조 발광 소자
US20140183579A1 (en) * 2013-01-02 2014-07-03 Japan Science And Technology Agency Miscut semipolar optoelectronic device
KR101554032B1 (ko) 2013-01-29 2015-09-18 삼성전자주식회사 나노구조 반도체 발광소자
US9099573B2 (en) * 2013-10-31 2015-08-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Nano-structur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KR102255214B1 (ko) 2014-11-13 2021-05-24 삼성전자주식회사 발광 소자
KR102608419B1 (ko) * 2016-07-12 2023-12-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102486391B1 (ko) 2017-11-09 2023-01-09 삼성전자주식회사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
US10796971B2 (en) 2018-08-13 2020-10-06 X Display Company Technology Limited Pressure-activated electrical interconnection with additive repair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32033A (en) * 1986-09-26 1990-06-05 Canon Kabushiki Kaisha Semiconductor laser having a lateral p-n junction utilizing inclined surfa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JPH07105562B2 (ja) * 1988-07-01 1995-11-13 シャープ株式会社 横接合ストライプ型半導体レーザ素子の製造方法
JP2954743B2 (ja) 1991-05-30 1999-09-27 京セラ株式会社 半導体発光装置の製造方法
JPH058958A (ja) 1991-07-09 1993-01-19 Hitachi Ltd エレベータ乗り場呼び装置
JP2545800Y2 (ja) * 1991-07-16 1997-08-27 三洋電機株式会社 発光ダイオード装置
JPH05160515A (ja) 1991-12-04 1993-06-25 Eastman Kodak Japan Kk 量子井戸型レーザダイオード
JP2598855B2 (ja) 1992-07-03 1997-04-09 株式会社エイ・ティ・アール光電波通信研究所 半導体発光素子
JPH0645648A (ja) 1992-07-24 1994-02-18 Omron Corp 上面出射型半導体発光素子、ならびに当該発光素子を用いた光学検知装置、光学的情報処理装置及び発光装置。
JP2824371B2 (ja) 1992-12-16 1998-11-11 シャープ株式会社 発光ダイオード
JP3150011B2 (ja) 1993-07-20 2001-03-26 シャープ株式会社 半導体発光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145234B2 (ja) 1993-08-10 2001-03-12 シャープ株式会社 スーパールミネッセントダイオード素子の製造方法
JPH08102551A (ja) 1994-09-30 1996-04-16 Kyocera Corp 半導体発光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992881A (ja) 1995-09-21 1997-04-04 Toshiba Corp 化合物半導体装置
JPH09129974A (ja) 1995-10-27 1997-05-16 Hitachi Ltd 半導体レーザ素子
JP3298390B2 (ja) 1995-12-11 2002-07-02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窒化物半導体多色発光素子の製造方法
JP2830814B2 (ja) 1996-01-19 1998-12-02 日本電気株式会社 窒化ガリウム系化合物半導体の結晶成長方法、及び半導体レーザの製造方法
JP3270704B2 (ja) 1997-03-10 2002-04-02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半導体微小構造体の製造方法
JP3139445B2 (ja) 1997-03-13 2001-02-26 日本電気株式会社 GaN系半導体の成長方法およびGaN系半導体膜
JP3863962B2 (ja) 1997-03-25 2006-12-27 シャープ株式会社 窒化物系iii−v族化合物半導体発光素子とその製造方法
JPH10265297A (ja) 1997-03-26 1998-10-06 Shiro Sakai GaNバルク単結晶の製造方法
US6229160B1 (en) 1997-06-03 2001-05-08 Lumileds Lighting, U.S., Llc Light extraction from a semiconductor light-emitting device via chip shaping
JP3517091B2 (ja) * 1997-07-04 2004-04-05 東芝電子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窒化ガリウム系半導体発光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FR2769924B1 (fr) * 1997-10-20 2000-03-10 Centre Nat Rech Scient Procede de realisation d'une couche epitaxiale de nitrure de gallium, couche epitaxiale de nitrure de gallium et composant optoelectronique muni d'une telle couche
JPH11238687A (ja) 1998-02-20 1999-08-31 Ricoh Co Ltd 半導体基板および半導体発光素子
JP4083866B2 (ja) * 1998-04-28 2008-04-30 シャープ株式会社 半導体レーザ素子
JP3196833B2 (ja) 1998-06-23 2001-08-06 日本電気株式会社 Iii−v族化合物半導体の成長方法及びこの方法を用いた半導体発光素子の製造方法
JP2000150391A (ja) 1998-11-11 2000-05-30 Shiro Sakai 集束イオンビームのマスク加工による結晶の選択成長法
US6235850B1 (en) * 1998-12-11 2001-05-22 3M Immovative Properties Company Epoxy/acrylic terpolymer self-fixturing adhesive
JP3874971B2 (ja) 1999-08-30 2007-01-31 ローム株式会社 発光ダイオードチップの製造方法
JP4449113B2 (ja) 1999-09-10 2010-04-14 ソニー株式会社 2次元表示装置
JP2001094212A (ja) * 1999-09-24 2001-04-06 Sanyo Electric Co Ltd 半導体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906654B2 (ja) * 2000-07-18 2007-04-18 ソニー株式会社 半導体発光素子及び半導体発光装置
JP3882539B2 (ja) * 2000-07-18 2007-02-21 ソニー株式会社 半導体発光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画像表示装置
JP2004288799A (ja) * 2003-03-20 2004-10-14 Sony Corp 半導体発光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集積型半導体発光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画像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照明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9769B1 (ko) * 2005-12-28 2006-11-27 삼성전기주식회사 반도체 발광 다이오드 및 그 제조 방법
US8344401B2 (en) 2009-03-16 2013-01-01 Lg Innotek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and light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564556B (en) 2003-12-01
JP3988429B2 (ja) 2007-10-10
US6963086B2 (en) 2005-11-08
CN1476641A (zh) 2004-02-18
EP1435667A4 (en) 2007-04-18
JP2003124512A (ja) 2003-04-25
KR100906722B1 (ko) 2009-07-07
US7459728B2 (en) 2008-12-02
US20040051110A1 (en) 2004-03-18
WO2003034509A1 (en) 2003-04-24
CN100416867C (zh) 2008-09-03
US20050200794A1 (en) 2005-09-15
EP1435667A1 (en) 2004-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6722B1 (ko) 반도체 발광소자, 화상표시장치 및 조명장치와 그 제조방법
JP4857596B2 (ja) 発光素子の製造方法
US20170084789A1 (en) Light emitting diode having vertical topology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4055405B2 (ja) 電子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US7687810B2 (en) Robust LED structure for substrate lift-off
KR101373276B1 (ko) 발광 소자의 배선 형성 방법, 발광 소자 실장 기판,디스플레이, 백라이트, 조명 장치 및 전자기기
KR100967841B1 (ko) 질화갈륨계 화합물 반도체 발광소자
US20060043402A1 (en) Light emitting device and light emitting element
JP2003031841A (ja) 半導体発光素子、画像表示装置、照明装置及び半導体発光素子の製造方法
WO2011030789A1 (ja) 発光装置
JP4734770B2 (ja) 樹脂形成素子の製造方法、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照明装置の製造方法
US6969627B2 (en) Light-emitting diode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JP2009218495A (ja) 半導体発光素子および半導体発光装置
KR20070005984A (ko) 발광 다이오드 제조방법
KR100958590B1 (ko) 광추출 효율을 높인 발광다이오드 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3078170A (ja) 回路素子の検査方法及びその検査構造、回路素子内蔵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電気回路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60127623A (ko) 패턴된 기판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발광 다이오드의제조 방법
KR100675268B1 (ko) 다수의 발광 셀이 어레이된 플립칩 구조의 반도체 발광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JP4126913B2 (ja) 半導体発光素子、画像表示装置、照明装置及びこれらの製造方法
KR20100061134A (ko)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