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9496A - 자립성 포장봉투, 포장체 및 원반로울 및 그들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자립성 포장봉투, 포장체 및 원반로울 및 그들의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0039496A KR20040039496A KR10-2004-7005494A KR20047005494A KR20040039496A KR 20040039496 A KR20040039496 A KR 20040039496A KR 20047005494 A KR20047005494 A KR 20047005494A KR 20040039496 A KR20040039496 A KR 2004003949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rinkles
- packaging
- bag
- packaging material
- self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9/00—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e.g. liquids or semiliquids, in flat, folded, or tubula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Subdividing filled flexible tubes to form packag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1/00—Bags or like containers made of paper and having structural provision for thickness of contents
- B65D31/06—Bags or like containers made of paper and having structural provision for thickness of contents with rigid end wal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9/00—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e.g. liquids or semiliquids, in flat, folded, or tubula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Subdividing filled flexible tubes to form packages
- B65B9/10—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preformed tubular webs, or in webs formed into tubes around filling nozzles, e.g. extruded tubular webs
- B65B9/20—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preformed tubular webs, or in webs formed into tubes around filling nozzles, e.g. extruded tubular webs the webs being formed into tubes in situ around the filling nozzles
- B65B9/2049—Package shaping devices acting on filled tubes prior to sealing the filling open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008—Standing pouches, i.e. "Standbeute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2150/00—Flexible containers made from sheets or blanks, e.g. from flattened tub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2150/00—Flexible containers made from sheets or blanks, e.g. from flattened tubes
- B31B2150/001—Flexible containers made from sheets or blanks, e.g. from flattened tubes with square or cross botto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2155/00—Flexible containers made from web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2155/00—Flexible containers made from webs
- B31B2155/001—Flexible containers made from webs by folding webs longitudinally
- B31B2155/0012—Flexible containers made from webs by folding webs longitudinally having their openings facing in the direction of move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2160/00—Shape of flexible containers
- B31B2160/20—Shape of flexible containers with structural provision for thickness of cont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2170/00—Construction of flexible containers
- B31B2170/30—Construction of flexible containers having corrugated or pleated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lastic Fillers For Packaging (AREA)
- Bag Frame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띠형상으로 3장이 포개지도록 접어 해당 접은 부분의 내면끼리를 접착하여 이루어지는 주름을 갖는 포장재에 의해, 적어도 전면부와 후면부측이 구성되어, 입체형태 또는 편평형태로 봉투가 제조된 자립성 포장봉투로서, 입체적인 봉투가 열린 상태에서 둘레면부와 동일면을 형성하는 주름이 바닥면부와는 대략 직각이 되어 해당 주름이 바닥면부를 숨기는 형태로 구성한다.
Description
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 평성 11-070947, 일본 특허공개 평성 11-227801, 일본 특허공개 평성 11-310248, 일본 특허공개 평성 11-310276,일본 특허공개 평성 11-349013의 자립형 포장봉투는, 소위 도이팩형태의 포장봉투이고, 전면부의 양측 가장자리와 후면부의 양측 가장자리가 합장형상으로 사이드 히트시일이 실시되고, 입체적으로 봉투가 열린 형태로 하면 2개 접은 바닥 세트가 평면형상으로 전개하여 배 밑바닥형의 바닥면부가 되어, 전면부와 바닥면부의 모서리 및 후면부와 바닥면부의 모서리에 상기 주름을 구비하고 있어 바닥면부를 숨기는 형태이다. 그러나, 도이팩 형태의 포장봉투는, 양측에 사이드 시일이 있고 측면부가 없는 배 밑바닥형의 독특한 형태를 하고 있고, 각이 진 바닥을 갖는 포장봉투와는 명확한 형태상의차이가 있다.
또한, 일본 특허공개 평성 06-286758, 일본 특허공개 2000-153852, 일본 특허공개 2000-272634의 자립형 포장봉투도, 바닥부가 도이팩형태와 동일한 포장봉투이다.
일본 특허공개 2000-185740, 일본 특허공개 2000-229646, 일본 특허공개 2000-309345의 자립형 포장봉투는 봉투가 편평한 상태로 봉투가 제작되어, 전면부와 후면부와 측면부와 바닥면부를 갖고 전면부의 끝단가장자리와 측면부의 끝단가장자리가 합장형상으로 사이드 히트시일이 실시되고, 또한, 후면부의 끝단가장자리와 측면부의 끝단가장자리가 합장형상으로 사이드 히트시일이 실시되고, 입체적으로 봉투가 열린 상태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히트시일의 하부가 바닥면부의 측가장자리에 와서 수평방향으로 늘어나 있다. 이 자립성 포장봉투는 전면부와 바닥면부의 모서리와 후면부와 바닥면부의 모서리에 헴(hem)(접는 선)이나 주름이 없기 때문에, 확실하게 한 바닥면부가 구획되어 있지 않고 외관이 좋지 않아 자립성이 나쁘다.
일본 특허공개 2001-031110의 부정형 용기는 편평한 봉투에 각맨드릴을 돌입하여 각통형상으로 하여 각바닥면을 형성하여 양측에 형성되는 3각형의 귀가장자리를 보텀 시일하여 귀부를 절제하여 이루어지는 포장봉투이고, 측면부의 하단에 수평바깥쪽으로 늘어나는 히트시일부를 할 수 있다. 이 히트시일부는 수평바깥쪽에 플랜지형상으로 늘어나 있고, 스마트한 형태를 저해하는 디자인이 되는 동시에, 채워 진열할 때에 인접한 봉투의 주름과 서로 닿아 방해가 된다.
일본 특허공개 2001-206385의 사이드 거싯의 편평한 바닥봉투는, 전면부와 후면부와 사이드 거싯(side gusset)을 갖는 편평한 봉투로 봉투가 제작되어, 각맨드릴을 돌입하여 각진 통형상로 하여 각진 바닥면을 형성하고 나서 사이드 거싯을 닫도록 T자형으로 편평하게 한 상태로 바닥면 양측가장자리에 히트시일을 실시하여 전면부와 바닥면부의 모서리 및 후면부와 바닥면부의 모서리에 각각 주름을 부착하여 이루어지는 포장봉투이고, 측면부의 하단에 수평바깥쪽으로 늘어나는 히트시일부가 생긴다. 이 히트시일부는 수평바깥쪽에 플랜지형상으로 늘어나 있고, 스마트한 형태를 저해하는 디자인이 되는 동시에, 채워서 진열할 때에 인접한 봉투의 주름과 서로 닿게 되어 방해가 된다.
일본 특허공개 2001-206385의 도 11에 나타내는 종래예의 사이드 거싯의 편평한 바닥봉투는 전면부와 후면부와 사이드 거싯을 갖는 편평한 통의 하부에, 별도의 시트지보다 접어 올려 형성한 바닥면부를 돌입하여 둘레가장자리를 히트시일하여 둘레면부의 하단에 주름을 갖는 형태로 봉투가 제작되어 이루어진다.
이 주름은 접는 합장형상은 아니기 때문에 편평한 통의 끝단가장자리와 바닥면부의 끝단가장자리가 딱 일치하는 경우가 적고, 몇 군데 주름이 발생하는 히트시일이 행하여져, 외관이 예쁜 주름이 되지 않고, 전체둘레 히트시일이 불완전하게 되어 액체용기에는 전혀 적합하지 않다.
다른 한편, 종래의 세로형 봉투제작 충전포장방법은 포장재의 원반로울로부터 포장재를 풀어내어 포머(former)에 걸어 해당 포머의 안쪽으로 통과된 피포장물 충전통을 대략 1번 감도록 통형상으로 구부려서 포장재의 양 끝단가장자리를 합장형상으로 포개거나 또는 봉투를 포개어 붙여 히트시일하여 포장통으로서 피포장물 충전통의 아래쪽으로 수직하강하여 피포장물을 피포장물 충전통을 통과시켜 낙하충전하는 동시에 포장통에 대하여 피포장물의 하측 가장자리와 상측 가장자리에 보텀 히트시일(bottom heat seal)과 탑 히트시일(top heat seal)을 실시하는 것이다.
그리고, 보텀 히트시일과 탑 히트시일을 설치하는 2조 히트시일을 실시할 때에 측면방향 보다 상하일 때에 돌입막대를 돌입하여 보텀 거싯과, 탑 거싯을 붙여서 각진 바닥봉투로 한 세로 필로우 포장체에 제조하는 것이 행하여지고 있다. 또한, 피포장물 충전통을 대략 1번 감은 포장재의 양 끝단 시일을 히트시일하여 포장통으로 하여 사방에 리브를 붙이는 것도 행하여지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세로형 봉투제작 충전포장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각진 바닥이 되는 세로 필로우포장체는 예쁜 각진 바닥을 형성할 수 없다.
또한, 가로형 봉투제작 충전포장방법은 포장재의 원반로울로부터 포장재를 풀어내어 포머에 걸어 각진 터널형상으로 구부려 포장재의 양 끝단 가장자리를 합장형상으로 포개거나 또는 전후에 포개어 히트시일하여 포장통으로 하는 동시에 반입 컨베어에 의해 이송되는 피포장물을 포머내에 소요간격으로 보내 넣어 포장통에 대하여 피포장물과 피포장물의 사이를 2조에 엔드 시일하여, 또한 2조의 히트 시일 사이를 커트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2조 히트 시일을 실시할 때에 엔드 실러의 서로 닫힌 동작에 선행하여 엔드 실러의 포장재 이송방향 양측 가장자리의 높이 중단에 돌입막대를 돌입하여 거싯을 붙여서 거싯부착 가로 필로우 포장체로 제조하는 것이 행하여지고있다.
이러한 종래의 가로형 봉투제작 충전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거싯부착 가로 필로우 포장체는, 예를 들면 피포장품이 렌즈부착 카메라인 것과 같은 경우에 거싯을 붙임으로써 봉투 폭이 넓어지지 않는 포장형태로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 거싯부착 가로 필로우포장체는, 일반적으로는 거싯이 들어간 엔드 시일이 합장형상이고, 엔드 시일이 옆으로 눕혀져 포장체가 90도 회전되어 옆으로 눕혀진 엔드 시일이 바닥면부가 되어 선반에 얹어 놓여지지 않고, 가령 그와 같이 얹어 놓여지는 경우라도, 엔드 시일이 옆으로 눕혀진 바닥면부는 전면측과 후면측에 둥근 모양이 나와 안정한 자립성을 갖지 않고, 타이트한 포장형태를 느끼게 할 수 없다.
[발명의 개시]
본원발명은 상술한 점에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띠형상으로 3장이 포개지도록 접어 해당 접은 부분의 내면끼리를 접착하여 이루어지는 주름을 적어도 전면부와 후면부의 하단 또는 둘레면부의 하단에 구비하여 바닥면부를 숨기고, 주름에 구김살이 발생할 우려가 없이 외관이 예쁜 주름이 얻어지고 특히 주름으로서의 독립한 외관을 나타내지 않고 전면부나 후면부 또는 둘레면부와 1평면을 형성하여 타이트한 포장형태를 느끼게 하여, 주름부분의 완전밀봉이 확보되어 액체용기로서도 이용할 수 있는 자립성 포장봉투 및 포장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즉, 본 발명은 이하와 같다.
(1)봉투의 상하방향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늘어나는 주름으로서 띠형상으로3장이 포개어지도록 접어 해당 접은 부분의 내면끼리를 접착하여 이루어지는 주름을 갖는 포장재의 양 끝단 시일을 밀봉 접속하여 각진 통 또는 각이 둥글게 되어 있는 각진 통으로 하여 전면부와 좌우측면부와 후면부가 형성되어 각진 통의 하부가 접혀서 바닥면부가 구성되어 입체형태로 봉투가 제작된 자립성 포장봉투로서, 상기 주름이, 전면부와 좌우측면부와 후면부의 각각이 동일평면이 되어 하단으로 연장한 위치에 있고, 상기 바닥면부와 주름이면부는 주름이면부의 상단에서 대략 직각이 되어, 해당 주름이 해당 바닥면부를 숨기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성 포장봉투이다.
(2)상기 전면부와 상기 측면부와의 모서리 및 상기 후면부와 상기 측면부와의 모서리에, 합장형상의 히트시일이 실시되어 이루어지는 리브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에 기재된 자립성 포장봉투이다.
(3)봉투의 상하방향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늘어나는 주름으로서, 띠형상으로 3장이 포개어지도록 접어 해당 접은 부분의 내면끼리를 접착하여 이루어지는 주름을 갖는 포장재에 의해, 적어도 전면부와 후면부가 구성되고, 측면부가 되는 사이드 거싯을 양측 또는 한쪽에 구비하여 보텀 히트시일 또는 탑 히트시일이 실시되어 편평한 형태로 봉투가 제작된 자립성 포장봉투로서, 입체적으로 봉투를 열어 피포장품을 수용하여 개구를 닫았을 때에, 적어도 전면부와 바닥면부의 모서리와 후면부와 바닥면부의 모서리에 상기 주름을 구비하여, 상기 주름이 전면부 및 후면부는 동일 평면이 되고, 상기 바닥면부와는 주름이면 상단으로부터 대략 직각이 되고, 또한 전면부 또는 후면부의 방향으로부터 보아 해당 바닥면부를 숨기는 형태로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성 포장봉투이다.
(4)상기 전면부의 양측 가장자리와 상기 후면부의 양측 가장자리에 리브가 형성되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3)에 기재된 자립성 포장봉투이다.
(5)상기 주름을 2조 갖는 포장재에 의해 봉투가 제작되어 있고, 적어도 전면부와 후면부에서, 2조의 주름이 아래가장자리 및 위가장자리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자립성 포장봉투이다.
(6)상기 주름을 3조 갖는 포장재에 의해 봉투가 제작되어 있고, 적어도 전면부와 후면부에서, 3조의 주름이 아래가장자리, 중간정도 및 위가장자리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자립성 포장봉투이다.
(7)상기 (1) 내지 (6)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자립성 포장봉투에 피포장품을 수용하고 닫아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이다.
(8)봉투의 상하방향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늘어나는 주름으로서 띠형상으로 3장이 포개어지도록 접어 해당 접은 부분의 내면끼리를 접착하여 이루어지는 주름을 갖는 포장재에 의해, 해당 포장재를 수평단면이 루프형상이 되도록 구부려 후면부에서 양측 가장자리를 닫고 히트시일하여 편평한 통형상이 되어 보텀 히트시일 또는 탑 히트시일이 실시되어 편평한 형태로 봉투가 제작된 자립성 포장봉투로서, 입체적으로 봉투를 열어 피포장품을 수용하여 개구를 닫았을 때에, 상기 주름이 둘레면부와는 동일곡면이 되고, 상기 바닥면부와 주름이면부는 주름이면부의 상단에서 대략 직각이 되고, 해당 주름이 바닥면부를 숨기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성 포장봉투이다.
(9)봉투의 상하방향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늘어나는 주름으로서 띠형상으로 3장이 포개어지도록 접어 해당 접은 부분의 내면끼리를 접착하여 이루어지는 주름을 갖는 포장재에 의해, 해당 포장재를 수평단면이 편평한 원이 되도록 루프형상으로 구부려 폭방향의 양측 가장자리를 닫고 히트시일하여 통형상이 되어 피포장품을 수용하여 하단에 보텀 히트시일을 실시하는 동시에 상단에 탑 히트시일을 실시하여 이루어지고, 적어도 바닥면부의 둘레가장자리에 상기 주름을 구비하여, 해당 주름은 둘레면부를 연장한 면을 구성하고 있고 상기 바닥면부와는 주름이면 상단보다 대략 직각이 되어, 해당 주름이 해당 바닥면부를 숨기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이다.
또한 본원발명은, 봉투제작기나 필로우포장기에 걸어 주름이 부착된 편평한 봉투나 주름이 부착된 필로우포장체를 연속적으로 양산할 수 있는, 주름을 갖는 포장재의 원반로울 및 주름을 갖는 포장재의 원반로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10)적어도 내면이 히트시일성을 갖고 있는 포장재로 이루어져 연속하는 방향에 대하여 직각방향에 띠형상으로 늘어나는 주름이 소요피치에 형성되어 있는 주름을 갖는 포장재로서, 상기 주름은 내면끼리가 합장형상으로 몇 겹으로 포개져서 히트시일되고, 또한 봉투 제작시에 연속하는 방향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커트되는 각 커트예정위치로부터 포장재를 풀어내는 방향으로 봉투바닥면부의 형성에 필요한 소요 치수 떨어진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을 갖는 포장재의 원반로울이다.
(11)적어도 내면이 히트시일성을 갖고 있는 원반로울을 풀어 내어 간헐주행시키거나 또는 연속주행시켜, 상류측과 하류측에 소정의 빈틈을 설치하여 배치한 슬릿형성 플레이트에 포장재의 외면을 미끄럼 접촉하여 포장재의 간헐주행의 정지시 또는 연속주행의 상대적인 정지시에 주름접음 플레이트를 슬릿형성 플레이트사이의 틈새에 돌입하는 것에 의해 포장재의 내면끼리가 합장형상으로 몇 겹으로 포개지고, 또한 포장재의 연속하는 방향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늘어나는 주름접기를 행하여, 이어서, 상기 주름접음부를 히트시일하여 주름을 형성하고, 이상의 공정을 반복하여 주름을 소요피치에 형성하여, 주름이 상류측에 눕혀진 상태로 감아낸 것을 다시 감아서 주름을 갖는 포장재의 원반로울로 하거나, 또는 주름이 하류측에 눕혀진 상태로 직접 감아 주름을 갖는 포장재의 원반로울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을 갖는 포장재의 원반로울의 제조방법이다.
또한, 본원발명은 세로형 봉투제작 충전포장방법에 있어서, 주름이 바닥면부의 둘레가장자리에 수직 하강하여 바닥면부를 숨겨 안정한 자립성을 갖고 타이트한 포장형태를 느끼게 하는 주름부착 포장체를 연속적으로 양산할 수 있는 주름을 갖는 세로 필로우포장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12)원반로울을 풀어내어, 내면끼리가 합장형상으로 히트시일되어 상류측에 눕혀져서 포장재의 폭방향으로 늘어나는 주름을 소요치수의 배열피치가 되도록 형성하여, 이어서, 해당 주름을 갖는 포장재를 포머에 걸어서 해당 포머의 안쪽으로 통과된 피포장물 충전통을 대략 1번 감도록 통형상으로 구부려 포장재의 양측 가장자리를 접속시일하여 포장통으로 한 것을 피포장물 충전통의 아래쪽으로 수직 하강시키고 있고, 이어서, 피포장물 충전통의 아래쪽에서 포장통의 주름으로부터 소요 거리 떨어진 위치를 2조의 히트실러에 의해서 2조의 히트시일을 실시하는 동시에, 피포장물 충전통내를 통해서 피충전물을 낙하충전하여, 2조의 히트시일사이를 잘라 내는 것에 의해 자립성의 세로 필로우 포장체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을 갖는 세로 필로우 포장체의 제조방법이다.
(13)주름을 갖는 포장재의 원반로울로부터 주름을 갖는 포장재를 풀어내어 포머에 걸어 해당 포머의 안쪽으로 통과된 피포장물 충전통을 대략 1번 감도록 통형상으로 구부려 포장재의 양측 가장자리를 접속시일하여 포장통으로 하여 피포장물 충전통의 아래쪽으로 수직 하강시키고 있고, 이어서, 피포장물 충전통의 아래쪽에서 포장통의 주름으로부터 소요 거리 떨어진 위치를 2조의 히트실러에 의해서 2조의 히트시일을 실시하는 동시에, 피포장물 충전통내를 통해서 피충전물을 낙하충전하여, 2조의 히트시일사이를 잘라 내는 것에 의해 자립성의 세로 필로우 포장체를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을 갖는 세로 필로우 포장체의 제조방법이다.
(14)원반로울의 외면을 상류측과 하류측의 슬릿형성 플레이트에 밀착하여, 포장재의 간헐주행의 정지시에 하류측의 슬릿형성 플레이트와 이에 대응하는 포장재누름 플레이트로 포장재를 고정하고 나서, 주름접음 플레이트를 상류측과 하류측의 슬릿형성 플레이트사이의 틈에 돌입하여 포장재의 상류측을 잡아 당겨서 주름접기를 행하고, 이어서, 상류측의 슬릿형성 플레이트와 이에 대응하는 포장재누름 플레이트로 포장재의 주름시의 상류측의 가장자리를 고정하고 나서 주름접음 플레이트를 후퇴복귀시키고, 이어서, 상류측과 하류측의 슬릿형성 플레이트에 대응하여 설치된 한 쌍의 주름부착용 히트실러를 폐색이동시켜 상기 주름 접은 부분에 주름부착 히트시일을 실시하고, 이어서, 한 쌍의 주름부착용 히트실러를 개방이동 시키는 동시에 상류측과 하류측의 포장재누름 플레이트를 후퇴복귀시켜, 이어서, 원반로울의 다음 간헐주행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2) 또는 (13)에 기재된 주름을 갖는 세로 필로우 포장체의 제조방법이다.
또한 본원발명은 가로 필로우 포장하여 포장이 완료하여 잘라내어진 포장체를 90도 회전시키면, 바닥면부의 둘레가장자리에 주름이 수직 하강하여 바닥면부를 숨겨 안정한 자립성을 갖고 타이트한 포장형태를 느낄 수 있는 주름부착 포장체를 얻을 수 있는 주름을 갖는 가로 필로우 포장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15)포장재의 연속하는 방향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늘어나는 주름으로서, 접은 부분의 내면끼리가 접착되어 옆으로 눕혀진 주름을 갖는 포장재를 포머에 걸어 각진 통형상으로 구부려 포장재의 양 끝단 가장자리를 직접 히트시일 접속하거나 또는 포장재의 양 끝단 가장자리의 안쪽에 통과시키는 띠형상의 눈금부착 테이프에 대하여 히트시일하여 각진 통형상의 포장통으로서 연속이송하는 동시에, 반입 컨베어에 의해 피포장품을 주름과 주름과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포머안쪽에 형성되는 상기 포장통내에 이송 공급하고, 이어서, 포머의 하류측에서 포장통의 피포장품사이에 위치에 2조의 히트실러에 의해 2조의 히트시일을 실시하는 동시에 2조의 히트시일 사이를 잘라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을 갖는 가로 필로우 포장체의 제조방법이다.
[도면의 설명]
도 1(a)은 자립성 포장봉투의 후면 위쪽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b)은, 자립성 포장봉투를 상하반대로 전도시켜 후면 위쪽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c)은 자립성 포장봉투를 제작하기 위한 포장재의 외면측의 정면도이다. 도 1(d)은 포장재의 측면도이다. 도 1(e)은 포장재를 각진 통으로 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f)은 자립성 포장봉투의 좌우의 측면부 중앙을 통과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1(g)은 자립성 포장봉투의 포장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원발명의 제 1 실시의 형태에 이러한 자립성 포장봉투를 복수개 포개어 쌓아 진열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원발명의 제 2 실시의 형태에 이러한 자립성 포장봉투를 나타낸다. 도 3(a)은 자립성 포장봉투의 후면 위쪽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3(b)은 자립성 포장봉투의 포장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원발명의 제 3 실시의 형태에 이러한 자립성 포장봉투를 나타낸다. 도 4(a)는 자립성 포장봉투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4(b)는 도 4(a) 에서의 b-b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4(c)는 자립성 포장봉투를 입체적으로 열었을 때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4(d)는 이 자립성 포장봉투를 봉투를 제작하기 위한 주름을 갖는 포장재의 내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4(e)는 이 자립성 포장봉투를 제작하기 위한 한 쌍의 사이드 거싯을 접어 넣어 형성한 편평한 통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원발명의 제 4 실시의 형태에 이러한 자립성 포장봉투를 나타낸다. 도 5(a)는 자립성 포장봉투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5(b)는 자립성 포장봉투를 입체적으로 열었을 때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5(c)는 도 5(a)에 있어서의 c-c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5(d)는 이 자립성 포장봉투를 봉투를 제작하기 위한 주름을 갖는 포장재의 사시도이다. 도 5(e)는 이 자립성 포장봉투를 제작하기 위한 한 쌍의 사이드 거싯을 접어 넣고 형성한 편평한 통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원발명의 제 5 실시의 형태에 이러한 자립성 포장봉투를 나타낸다. 도 6(a)은 자립성 포장봉투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6(b)은 자립성 포장봉투를 입체적으로 열었을 때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6(c)은 입체적으로 연 자립성 포장봉투의 수평단면도이다.
도 7은 본원발명의 제 6 실시의 형태에 이러한 자립성 포장봉투를 나타낸다. 도 7(a)은 자립성 포장봉투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7(b)은 도 7(a)에 있어서의 b-b 단면도를 나타내고, 도 7(c)은 자립성 포장봉투를 입체적으로 열었을 때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7(d)은 이 자립성 포장봉투를 봉투를 제작하기 위한 주름을 갖는 포장재의 사시도이다. 도 7(e)은 이 자립성 포장봉투를 제작하기 위한 한 쌍의 사이드 거싯을 접어 넣어 형성한 편평한 통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원발명의 제 7 실시의 형태에 이러한 자립성 포장봉투를 나타낸다. 도 8(a)은 자립성 포장봉투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8(b)은 자립성 포장봉투를 입체적으로 열었을 때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8(c)은 도 8(a)에 있어서의 c-c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8(d)은 이 자립성 포장봉투를 제작하기 위한 주름을 갖는포장재의 사시도이다. 도 8(e)은 이 자립성 포장봉투를 제작하기 위한 한 쌍의 사이드 거싯을 접어 넣어 형성하여 리브를 부착한 편평한 통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원발명의 제 8 실시의 형태에 이러한 자립성 포장봉투를 나타낸다. 도 9(b)는 자립성 포장봉투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9(b)는 자립성 포장봉투를 입체적으로 열었을 때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9(c)는, 이 자립성 포장봉투를 제작하기 위한 주름을 갖는 포장재의 사시도이다. 도 9(d)는 이 자립성 포장봉투를 제작하기 위한 한 쌍의 사이드 거싯을 접어 넣어 형성한 편평한 통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원발명의 제 9 실시의 형태에 이러한 자립성 포장봉투를 나타낸다. 도 10(a)은 자립성 포장봉투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10(b)은 자립성 포장봉투를 입체적으로 열었을 때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0(c)은 입체적으로 연 자립성 포장봉투의 수평단면도{도 10(b)에 있어서의 c-c 단면도}이다. 도 10(d)은 자립성 포장봉투를 구성하는 각 웨브(web)의 분해·배치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e)은 사이드 거싯이 들어간 편평한 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원발명의 제 10 실시의 형태에 이러한 자립성 포장봉투를 나타낸다. 도 11(b)은 자립성 포장봉투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11(b)은 자립성 포장봉투를 입체적으로 열었을 때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1(c)은 입체적으로 연 자립성 포장봉투의 수평단면도이다. 도 11(d)은 자립성 포장봉투를 구성하는 각 웨브의 분해·배치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e)은 사이드 거싯이 들어간 편평한 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원발명의 제 11 실시의 형태에 이러한 자립성 포장봉투를 나타낸다. 도 12(a)는 자립성 포장봉투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12(b)는 자립성 포장봉투를 입체적으로 열었을 때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2(c)는 입체적으로 연 자립성 포장봉투의 수평단면도이다. 도 12(d)는 자립성 포장봉투를 구성하는 각 웨브의 분해·배치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e)는 사이드 거싯이 들어간 편평한 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원발명의 제 12 실시의 형태에 이러한 자립성 포장봉투를 나타낸다. 도 13(a)은 자립성 포장봉투의 사시도이다. 도 13(b)은 자립성 포장봉투를 입체적으로 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c)은 자립성 포장봉투를 구성하는 각 웨브의 분해·배치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d)은 자립성 포장봉투를 입체적으로 열어 피포장품을 충전하여 개구를 닫고 포장체로 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e)은 포장체를 6개 모아 6각 기둥형상으로 하여 전시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원발명의 제 13 실시의 형태에 이러한 자립성 포장봉투를 나타낸다. 도 14(a)는 자립성 포장봉투의 사시도이다. 도 14(b)는 자립성 포장봉투를 입체적으로 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c)는 자립성 포장봉투에 피포장품을 넣고 개구를 닫고 포장체로 한 사시도이다. 도 14(d)는 주름부착 포장재의 사시도이다. 도 14(e)는 포장재의 양 가장자리를 접속테이프로 연결하여 편평한 통으로 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원발명의 제 14 실시의 형태에 이러한 자립성 포장봉투를 나타낸다. 도 15(a)는 자립성 포장봉투의 사시도이다. 도 15(b)는 자립성 포장봉투를입체적으로 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c)는 자립성 포장봉투에 피포장품을 넣고 개구를 닫고 포장체로 한 사시도이다. 도 15(d)는 주름을 갖는 포장재의 사시도이다. 도 15(e)는 포장재의 양가장자리를 접속테이프로 연결하여 편평한 통으로 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원발명의 제 15 실시의 형태에 이러한 자립성 포장봉투를 나타낸다. 도 16(b)은 자립성 포장봉투의 사시도이다. 도 16(b)은 자립성 포장봉투를 입체적으로 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c)은 자립성 포장봉투에 피포장품을 넣어 개구를 닫고 포장체로 한 사시도이다. 도 16(d)은 주름을 갖는 포장재의 사시도이다. 도 16(e)은 포장재의 양가장자리를 접속테이프로 연결하여 편평한 통으로 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원발명의 제 16 실시의 형태에 이러한 자립성 포장봉투를 나타낸다. 도 17(a)은 주름을 갖는 포장재의 사시도이다. 도 17(b)은 포장재의 양 가장자리를 접속테이프로 연결하여 타원통으로 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c)은 타원통에 탑 히트시일을 실시하여 이루어지는 자립성 포장봉투의 사시도이다. 도 17(d)은 자립성 포장봉투에 피포장품을 넣고 개구를 닫고 포장체로 한 사시도이다. 도 17(e)은 보텀 거싯이 넣어진 포장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7(f)은 바닥면부가 접힌 포장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원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이러한 주름을 갖는 포장재의 원반로울의 제조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주름을 갖는 포장재의 제조장치의 개략전체사시도이다.
도 19는 본원발명에 이러한 주름을 갖는 포장재의 원반로울의 사시도이다.
도 20은 주름이 눕혀지는 방향으로 접는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1은 도 19에 나타내는 본원발명에 관한 주름을 갖는 포장재를 사용하여 주름이 부착된 편평한 봉투의 봉투단체를 봉투 제작하여 포장하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봉투제작 포장공정도이다.
도 21(a)은 주름을 형성한 포장재의 사시도이다. 도 21(b)은 주름을 갖는 편평한 통으로 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1(c)은 각진 통형상으로 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1(d)은 사이드 거싯을 넣어 가는 상태를 통방향으로 본 도면이다. 도 21(e)은 사이드 거싯이 들어간 편평한 통으로 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1(f)은 사이드 거싯이 들어간 편평한 통의 양측에 리브를 붙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1(g)은 도 21(f)에 있어서의 g-g 단면도이다. 도 21(h)은 상단개구타입의 주름을 갖는 편평한 봉투의 사시도이다. 도 21 (i)은 주름을 갖는 편평한 봉투를 입체적으로 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1(j)은 피포장품을 수용하여 개구를 닫혀 합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2는 본원발명에 관한 주름을 갖는 포장재의 원반로울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것으로, 도 22(a)는 도 21에 나타내는 주름을 갖는 편평한 봉투를 양산할 수 있는 봉투제작장치의 개략의 전체평면도이다. 도 22(b)는 도 22(a)에 있어서의 A-A 단면도이다. 도 22(c)는 도 22(a)에 있어서의 C-C 단면도이다. 도 22(d)는 도 22(a)에 있어서의 E-E 단면도이다.
도 23은 본원발명의 주름을 갖는 포장재의 원반로울을 사용하여 제조되는 필로우 봉투형태의 주름을 갖는 편평한 봉투의 봉투단체로서의 제조공정도이다.
도 23(a)은 주름을 갖는 포장재의 사시도이다. 도 23(b)은 주름을 갖는 포장재로 편평한 통을 형성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3(c)은 보텀 시일을 실시하여 상단개구타입의 주름이 부착된 편평한 봉투로 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3(d)은 주름이 부착된 편평한 봉투의 상부를 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3(e)은 피포장품을 수용하여 개구를 닫고 탑 히트시일을 실시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4는 본원발명의 주름을 갖는 포장재의 원반로울을 사용하여 제조되는 주름을 갖는 편평한 봉투의 봉투단체로서의 제조공정도이다.
도 24(a)는 상단개구타입의 주름을 갖는 편평한 봉투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24(b)는 주름을 갖는 편평한 봉투를 입체적으로 열었을 때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4(c)는 도 24(b)에 있어서의 C-C 단면도이다. 도 24(d)는 주름을 갖는 편평한 봉투를 구성하는 각 포장재의 분해·배치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4(e)는 사이드 거싯이 들어간 주름을 갖는 편평한 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5는 본원발명에 이러한 주름을 갖는 세로 필로우포장체를 제조할 수 있는 세로형 봉투제작 충전포장장치의 개략의 전체사시도를나타낸다.
도 26은 봉투제작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세로형 봉투제작 충전포장장치의 소요개소의 수평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7은 도 25의 세로형 봉투제작 충전포장장치에 의해 제조되는 주름을 갖는 세로 필로우 포장체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8은 본원발명에 관한 주름을 갖는 가로 필로우 포장체를 제조할 수 있는가로형 봉투제작 충전포장장치의 개략의 전체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9는 주름을 갖는 가로 필로우 포장체의 단체에 대한 포장공정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원발명의 제 1 실시의 형태에 이러한 자립성 포장봉투 및 포장체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의 형태는, 상기 (1)에 기재된 자립성 포장봉투 및 (7)에 기재된 포장체에 포함된다.
도 1(a)은 자립성 포장봉투의 후면 위쪽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b)은 자립성 포장봉투를 상하 반대로 전도시켜서 후면 위쪽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이 자립성 포장봉투는 1장의 시트형상의 포장재로부터, 전면부(1)와 우측면부(2)와 좌측면부(3)와 우측면부(2)보다 늘어나는 후면부(4a)와 좌측면부(3)보다 늘어나는 후면부(4b)를 갖는 각진 통형상으로 구부리고, 또한, 후면부(4a, 4b)의 양 끝단 가장자리를 빈틈없이 맞닿게 하여 그 안쪽에 양면 실런트(sealant)필름으로 이루어지는 3층의 접속테이프(5)를 봉하도록 배치하여 히트시일하여 접속하여 각진 통으로부터, 각진 통의 양 측면 하부에 보텀 거싯(6)을 넣어 전후면 하부를 가까이 하여 끝단 가장자리끼리를 합장형상으로 보텀 히트시일(7)을 실시하여 바닥면부(8)를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도 1(c)은 자립성 포장봉투를 제작하기 위한 포장재의 외면측의 평면도이다. 도 1(d)은 포장재의 측면도이다. 도 1(e)은 포장재를 각진 통으로 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f)은 자립성 포장봉투의 좌우의 측면부 중앙을 통과하는종단면도이다.
이 자립성 포장봉투의 특징적인 구성은 도 1(c),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상태의 포장재(F)에, 봉투의 상하방향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늘어나 있고 띠형상으로 3장이 포개어지도록 접어서 해당 접은 부분의 내면끼리를 접착하여 이루어지는 주름(9)을 설치하여, 이어서 도 1(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진 통으로 하여 헴(접는 선이 붙여진 모서리를 말한다)을 붙이고, 이어서 도 1 (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닥면부(8)를 구부려 형성하였을 때에, 주름(9)이 전면부(1)와 바닥면부(8)와의 모서리로부터, 우측면부(2)와 바닥면부(8)와의 모서리로부터, 좌측면부(3)와 바닥면부(8)와의 모서리로부터, 후면부(4a)와 바닥면부(8)와의 모서리, 및 후면부(4b)와 바닥면부(8)와의 모서리로부터 각각 수직 하강하고 있어 바닥면부 (8)를 숨기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는 점이다.
도 1(f)에, 우측면부(2)와 바닥면부(8)와의 모서리로부터, 좌측면부(3)와 바닥면부(8)와의 모서리로부터, 주름(9)이 각각 수직 하강하고 있다.
이 때문에, 주름(9)을 용이하고 또한 양호하게 만들 수 있고, 주름(9)에 주름이 발생할 우려가 없어 외관이 예쁜 주름을 얻을 수 있고, 주름(9)의 위치가 전면부(1)와 우측면부(2)와 좌측면부(3)와 후면부(4a, 4b)의 하단에 있어서 주름(9)이 전면부(1)와 좌측면부(2)와 좌측면부(3)와 후면부(4a, 4b)에 대하여 동일평면을 이루고 독립한 외관을 나타내지 않기 때문에, 타이트한 포장형태를 느끼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주름(9)은 2장의 필름의 끝단 가장자리끼리를 합장 히트시일한 구성이 아니라, 접어 해당 접은 부분의 내면끼리를 접착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음매가 없어 완전밀봉이 확보되어 액체용기로서 적합하다.
자립성 포장봉투를 제작하기 위해서 포장재(F)는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은 적층필름으로 이루어진다.
(1)OPP 20㎛/접착제/LLDPE 20㎛…(외층/내층 : 실런트)
(2)OPP 20㎛/접착제/1축연신 또는 2축연신 HDPE/접착제/LLDPE… (외층/중간층/내층 : 실런트)
(3)OPP 20㎛/접착제/알루미늄박/접착제/LLDPE 20㎛…(외층/중간층/내층 : 실런트)
(4)OPP(실리카 또는 알루미나증착층)/접착제/1축연신 또는 2축연신 HDPE/접착제/LLDPE 20㎛…(외층/중간층/내층 : 실런트)
(5)PET 20㎛/접착제/알루미늄박/접착제/OPP 20㎛/접착제/LLDPE 20㎛…(외층/중간층/중간층/내층 : 실런트)
(6)종이/접착제 LLDPE 50㎛…(외층/내층 : 실런트)
(7)PET 12㎛/접착제/LLDPE 20㎛…(외층/내층 : 실런트)
(8)AL 9㎛/접착제/LLDPE 70㎛…(외층/내층 : 실런트)
(9)PET·SiOx 12㎛/접착제/LLDPE…(외층/내층 : 실런트)
(10)CPP 5㎛·OPP 30㎛ 공압출/접착제/CPP 20㎛…(외층/내층 : 내외면 실런트)
OPP : Oriented polypropylene
LLDPE :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HDPE : High density polyethylene
PET : Polyethylene terephthalate
Al : Aluminum
CPP : Cast polypropylene
상기 LLDPE 및 CPP는 실런트로서 사용된다.
도 1(c)에 있어서, 포장재(F)는 주름(9)의 기초부보다 위쪽부분이 둘레면부, 즉, 전면부와 좌우의 측면부와 좌우의 후면부에 해당하고, 주름(9)의 기초부보다 아래쪽부분이 봉투바닥면부에 해당한다.
주름(9)은 2장 맞춤(2장 접착)으로서 띠형상의 3장을 포갠 부분의 외면끼리는 접착하지 않는다. 그리고, 주름(9)은 아래쪽으로 눕혀져 있다.
주름(9)을 형성하기 위한 포장재(F)를 2장 맞춤으로 하는 접착방법으로서는, 히트시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접착제를 사용한 접착방법이더라도 좋다. 주름(9)을 히트시일에 의해 형성하기 위해서는, 포장재(F)는 적어도 내면이 실런트필름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필요로 한다. 또, 포장재(F)는 실런트필름단체로부터 구성되어 있더라도 좋다.
다음에, 주름(9)의 형성방법이 바람직한 구체예를 설명한다.
직선형상의 빈틈을 갖는 평면판의 위에 내면측이 상면이 되도록 포장재를 얹어 놓고 상기 직선형상의 틈새 바로 위에 대향하는, 도시하지 않는 돌입판(thrusti ng plate)을 포장재에 대하여 돌입하여 적당한 깊이가 되도록 골짜기부분을 접어, 골짜기접음부의 양측의 포장재 상면을 평면판에 밀어붙이고 나서 돌입판을 상승복귀시켜 돌입판의 아래쪽에 구비하는 한쌍의 히트시일바를 닫고 골짜기접음부를 합장시일하여 주름으로서 평면판의 틈새로부터 벗어나 더욱 옆으로 눕혀져서 띠형상의 3장이 포개진 부분으로 한다.
도 1(c)에 나타내는 포장재(F)에 의해 도 1(e)에 나타내는 각진 통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도시하지 않는 각진 통 맨드릴에 포장재(F)를 1번 감고, 네개의 모서리에 헴(세로선의 접은 선)을 붙여서 전면부(1)와 우측면부(2)와 좌측면부(3)와 우측면부(2)보다 늘어나는 후면부(4a)와 좌측면부(3)보다 늘어나는 후면부(4b)를 갖는 각진 통형상으로 구부려지고, 포장재(F)의 양측 가장자리를 빈틈없이 맞닿게 하여, 그 안쪽에 양면 실런트필름으로 이루어지는 3층의 접속테이프(5)를 봉하도록 배치하여 각진 통 맨드릴에 바깥쪽으로부터 히트실러를 눌러 붙여서 양 끝단 가장자리를 접속테이프(5)에 대하여 히트시일하여 각진 통형상으로 한다.
접속테이프(5)를 연신필름의 양면에 실런트필름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3층필름으로 하는 이유는 해당 접속테이프(5)와 우측면부(2)보다 늘어나는 후면부(4a) 및 좌측면부(3)보다 늘어나는 후면부(4b)와의 히트시일의 확보와, 보텀 히트시일 (7)의 확보이다. 또, 실런트필름은 포장재(F)의 내면층의 실런트필름과 동일재료를 선택한다.
각진 바닥을 형성하는 경우, 주름(9)의 상단(기초단)을 각진 통 맨드릴의 하단에 일치시켜, 주름(9)을 각진 통 맨드릴보다 수직 하강하는 상태로 하면, 각진 바닥의 둘레가장자리가 각진 통 맨드릴의 하단에 일치하는 것이 되어, 보텀 거싯 (6)이 들어간 완만하게 경사진 기울어진 형태의 바닥면부(8)를 형성할 수 있다.주름(9)은 한 둘레에 연재 수직하강하는 것이 된다. 주름(9)의 길이는 설계단계에서 대소 자유롭게 취할 수 있다. 기울어진 형태의 바닥면부(8)가 늘어지더라도 주름(9)의 길이를 크게 잡으면 바닥면부(8)가 주름(9)의 안쪽에 보이지 않도록 넣어진다.
도 1(g)은 자립성 포장봉투의 포장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a)에 나타내는 자립성 포장봉투에 피포장품(도시하지 않음)에 충전하여, 도 1(f)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 측면(2, 3)의 상부 중앙을 접어 넣어 탑 거싯(10)을 넣어 전면부(1)와 후면부(4a, 4b)의 상단가장자리를 서로 가까이 하게 하여 탑 히트시일(11)을 실시함으로써, 탑 거싯이 들어간 기울어진 형태의 상면부 (12)를 형성하면, 도 1(g)에 나타내는 자립성 포장봉투의 포장형태가 된다.
도 1 및 도 3에 나타내는 자립성 포장봉투에 관해서, 이하와 같은 변형예로 하더라도 좋다.
주름을 2조 갖는 포장재에 의해 봉투가 제작되어 있고, 적어도, 전면부와 후면부에서 2조의 주름이 아래가장자리 및 위가장자리에 있도록 하더라도 좋다. 또는, 상기 주름을 3조 갖는 포장재에 의해 봉투가 제작되어 있고, 3조의 주름이 적어도, 전면부와 후면부의 아래 가장자리, 중간정도, 및 위 가장자리에 있도록 하더라도 좋다.
이 포장체(P)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개를 포개어 쌓아 진열하고 싶을 때에는, 주름의 길이를 크게 잡는다. 그렇게 하면, 아래쪽의 자립성 포장봉투의 기울어진 형태의 상면부를 위쪽에 포개는 자립성 포장봉투의 주름의 안쪽에숨겨 안정하게 부착되고, 진열선반에 몇 단으로 포개어 쌓을 수 있다.
다음에, 본원발명의 제 2 실시의 형태에 이러한 자립성 포장봉투 및 포장체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의 형태는, 청구항 1, 2에 기재된 자립성 포장봉투 및 청구항 7에 기재된 포장체에 포함된다.
도 3(a)은 자립성 포장봉투의 후면 위쪽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3(b)은 자립성 포장봉투의 포장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 자립성 포장봉투는, 도 1의 자립성 포장봉투와 비교한 경우, 접속테이프 (5)를 사용하지 않는 것, 그리고, 포장재(F)를 후면부(4a, 4b)의 중앙에 합장형상의 세로 히트시일(13)을 형성하여 각진 통에 형성하고 있는 것, 주름(9)의 단면구조와 같이, 내면끼리를 밀착하여 히트시일하여 이루어지는 네개의 리브(14a, 14b, 14c, 14d)를 네 귀퉁이에 형성하고 있는 점이, 도 1(c)에 나타내는 자립성 포장봉투와 상이하다. 다른 구성은 도 1(a)에 나타내는 자립성 포장봉투와 동일하다.
따라서, 주름(9)이 한둘레에 걸쳐 수직 하강하여 바닥면부(8)를 숨기 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주름(9)은 세로 히트시일(13)이 눕혀진 쪽의 가장자리에서 안쪽으로 말려들어간다.
포장은 도 3(b)에 나타내는 자립성 포장봉투에 피포장품(도시하지 않음)을 충전하여,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탑 거싯이 들어간 기울어진 형태의 상면부를 형성한다.
도 1의 자립성 포장봉투 및 도 3의 자립성 포장봉투는 시트형상의 포장재에 주름(9)을 설치하고 나서, 각진 통으로 하여 보텀 거싯이 들어간 바닥면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입체적으로 봉투를 제작하는 자립성 포장봉투이지만, 포장재의 양 끝단 가장자리의 닫음은, 한쪽의 끝단 가장자리의 외면에 다른쪽의 끝단 가장자리의 내면을 밀착하여 접착하는, 소위 봉투 붙임 시일이더라도 좋다. 이 경우, 안쪽에 포개는 주름(9)의 2중의 끝단가장자리중 바깥쪽 부분을 소요형상으로 자르는 동시에, 바깥쪽으로 포개는 주름(9)의 2중의 끝단가장자리중 안쪽부분을 소요형상으로 잘라 서로 포개어 히트시일하면, 해당 닫음에 이러한 양측의 주름(9)이 1장이 된다. 또한, 포장재의 수평방향의 양 끝단 가장자리의 닫음 위치는 후면부 중앙이 아니라, 예를 들면, 우측면과 후면부와의 모서리의 근방이더라도 좋다.
도 1의 자립성 포장봉투 및 도 3의 자립성 포장봉투는, 입체적으로 봉투가 제작되는 것이기 때문에, 적층하여 스톡할 수는 없다. 봉투제작 충전포장기계에 의해, 봉투가 제작되어, 피포장품을 충전하여, 탑 거싯이 들어간 기울어진 형태의 상면부를 형성하는 포장이 행하여진다.
또, 세로형의 봉투제작 충전포장기계에서는 연속하는 포장재에 같은 간격으로 주름을 부착하여 포머와 낙하식의 피포장품 충전용 통과의 사이에 이끌어 각진 통에 구부리고 또한 끝단 가장자리끼리를 센터 시일하여 각진 통을 형성하여 피포장품 충전용 통으로부터 수직 하강하여 보텀 거싯이 들어간 바닥면부를 형성하여 피포장품을 낙하충전하여, 그리고나서, 탑 거싯이 들어간 바닥면부를 형성하여 탑 히트시일을 실시하여 도 1(g)에 나타내는 포장형태가 된다. 또한, 리브를 붙이면도 3(b)에 나타내는 포장형태가 된다.
다음에, 본원발명의 제 3 실시의 형태에 이러한 자립성 포장봉투 및 포장체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의 형태는, 청구항 3에 기재된 자립성 포장봉투 및 청구항 7에 기재된 포장체에 포함된다.
도 4(a)는 자립성 포장봉투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4(b)는 도 4(c)에 있어서의 b-b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4(c)는 자립성 포장봉투를 입체적으로 열었을 때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이 실시의 형태의 자립성 포장봉투는 편평한 봉투로서 봉투가 제작되어, 포장시에 입체적으로 열린다.
이 자립성 포장봉투는 도 1(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시하지 않은 각진 통 맨드릴에 주름(9)을 형성한 포장재(F)를 한번 감고, 전면부(1)와 우측면부(2)와 좌측면부(3)와 우측면부(2)보다 늘어나는 후면부(4a)와 좌측면부(3)보다 늘어나는 후면부(4b)를 갖는 각진 통형상으로 구부려, 포장재(F)의 양 끝단 가장자리를 빈틈없이 맞닿게 하고, 그 안쪽에 양면 실런트필름으로 이루어지는 3층의 접속테이프 (5)를 봉하도록 배치하여 각진 통 맨드릴에 바깥쪽으로부터 히트실러를 눌러 붙이고 양 끝단 가장자리를 접속테이프(5)에 대하여 히트시일하여 각진 통형상으로 한다. 주름(9)을 갖는 포장재(F)를 각진 통형상으로 구부려 끝단 가장자리끼리를 맞닿게 하고 접속테이프(5)를 안쪽에 포개어 히트시일에 의해 닫게 하고, 이어서, 우측면부(2)와 좌측면부(3)를 전면부(1)와 후면부(4a, 4b)와의 사이에 끼워지도록 안쪽으로 2번 접어 1개의 사이드거싯으로서 구비하고 있고, 하단에 보텀 히트시일(7)을 실시하여 이루어지고, 상단이 봉투의 입구가 열리게 되어 있다.
이 자립성 포장봉투의 특징은, 우측면부(2)와 좌측면부(3)를 2번 접은 사이드 거싯은 편평한 형태의 해당 봉투의 하단에 이르고 있고, 편평한 형태일 때의 봉투의 바닥 변보다 사이드 거싯의 구부림폭(h)과 대략 같은 치수 떨어진 위치에 주름(9)을 구비하고 있고, 주름(9)보다 아래쪽 부분이, 입체적으로 봉투가 열어졌을 때에 양쪽에 3각형으로 귀 포켓형상이 되는 보텀 거싯(6)을 형성하여 평면적으로 전개하여 바닥면부(8)가 되어, 주름(9)이 1둘레에 걸쳐 수직 하강하여 바닥면부(8)를 숨기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에 있다.
이 주름부착 사이드 거싯이 부착된 편평한 봉투의 현저한 특징은 주름(9)을 구비한 것이고, 그리고, 주름(9)을 구비한 것에 의해 신규인 3방향 거싯을 갖는 봉투로 되어 있는 점이다.
종래에 있어서, 거싯이라고 하는 것은 안쪽으로 2번 접게 하는 접기를 말한다.
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 소화 59-74065호는 종래의 3방향 거싯을 갖는 편평한 봉투를 나타낸다. 이 편평한 봉투는 사이드 거싯을 갖는 연속하는 편평한 통을 형성하고 나서, 보텀 히트시일을 실시하는 동시에 그 가장자리를 커트하고, 이어서 봉투바닥부를 입체적으로 열어 안쪽으로 2번 접기 위해 반듯이 접어 밑바닥 커트를 형성한다. 이 때문에, 보텀 거싯이 사이드 거싯과 간섭하는 부분의 여러겹으로 포개져서, 봉투를 적층하였을 때에 바닥부측이 현저하게 부피가 커져 수평으로 적층할 수 없게 되는 불합리한 점이 있다.
이 실시의 형태에 이러한 자립성 포장봉투에 있어서는, 주름(9)을 구비하는 것에 의해, 주름(9)보다 아래쪽부분은, 입체적으로 봉투가 열어졌을 때에 평면적으로 전개하여 바닥면부(8)가 될 수 있으므로, 종래의 안쪽으로 접은 타입의 보텀 거싯에 대하여 바깥쪽으로 접는 타입의 보텀 거싯이라 할 수 있고, 주름(9)의 안쪽에 숨는 우위성이 있는 동시에 보텀 거싯과 사이드 거싯을 접어 넣는 포개지는 부분이 여러 겹 접어 넣게 되지 않는 우위성이 있고, 또한, 봉투를 적층했을 때에 바닥부측이 현저하게 부피가 커져, 수평으로 적층할 수 없게 되는 불합리한 점은 없다.
도 4(d)는 이 자립성 포장봉투를 봉투를 제작하기 위한 주름부착 포장재의 내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4(e)는 이 자립성 포장봉투를 제작하기 위한 한 쌍의 사이드 거싯을 접어 넣어 형성한 편평한 통의 사시도이다.
이 자립성 포장봉투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도 4(d)에 나타내는 주름(9)을 형성한 포장재(F){도 1(c)에 나타내는 포장재와 동일}를 사용하여 도 1(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진 통으로 하고 나서 양측면에 한 쌍의 사이드 거싯의 접어 넣기를 하면서 편평하게 하고, 도 4(e)에 나타내는 편평한 통으로 하고 나서,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텀 히트시일(7)을 실시하여 편평한 봉투로 한다.
포장할 때는, 도 4(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체적으로 열어 피포장품(도시하지 않음)을 충전하여, 도 1(g)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탑 거싯이 들어간 기울어진 형태의 상면부(12)를 형성한다.
도 4의 자립성 포장봉투의 도 1의 자립성 포장봉투와의 차이는 3방향 거싯을갖는 편평한 봉투에 봉투가 제작되는 것에 있다.
다음에, 본원발명의 제 4 실시의 형태에 이러한 자립성 포장봉투 및 포장체를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의 형태는, 청구항 3, 4에 기재된 자립성 포장봉투 및 청구항 7에 기재된 포장체에 포함된다.
도 5(a)는 자립성 포장봉투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5(b)는 자립성 포장봉투를 입체적으로 열었을 때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5(c)는 도 5 (a)에 있어서의 c-c 단면도를 나타낸다.
이 자립성 포장봉투도 도 4(a)에 나타내는 자립성 포장봉투와 마찬가지로 편평한 봉투로서 봉투가 제작된다.
이 자립성 포장봉투의 특징적인 구성은 주름(9)을 갖는 동시에 네개의 리브 (14a, 14b, 14c, 14d)를 갖고 있는 점이다.
이 자립성 포장봉투와 도 4(a)에 나타내는 자립성 포장봉투와의 차이점은, 네개의 리브(14a, 14b, 14c, 14d)의 유무이다.
이 자립성 포장봉투와 도 3(a)에 나타내는 자립성 포장봉투와의 차이점은 사이드 거싯이 있어 편평한 봉투로서 봉투가 제작될 것인지, 사이드 거싯이 없어 입체적인 봉투로서 봉투가 제작될 것인지의 차이이다.
이 차이는, 전자는 패키지 메이커로 봉투가 제작되고 적층되어 묶여져서 식품제조회사에 판매되어 봉투공급 충전포장기에 있어서 입체적으로 열려 피포장품을 충전되어 개구가 닫혀져지는 데 대하여, 후자는 식품제조회사에 있어서 봉투제작충전포장기에 의해 시트형상의 포장재로부터 기계가 구부려져서 봉투를 제작되어 그대로 피포장품이 충전되어 개구가 닫혀진다고 하는 차이가 된다.
도 5(d)는 이 자립성 포장봉투를 제작하기 위한 주름부착 포장재의 사시도이다. 이 포장재는, 도 4 (d)에 나타내는 포장재와 동일하다. 도 5 (e)는 이 자립성 포장봉투를 제작하기 위한 한 쌍의 사이드 거싯을 접어 넣어 형성한 편평한 통의 사시도이다.
이 자립성 포장봉투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도 5(d)에 나타내는 주름(9)을 갖는 포장재(F)를 사용하여 도 1(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진 통으로 하고나서 양측면에 한 쌍의 사이드 거싯의 접어 넣기를 하면서 편평하게 하여, 도 5(e)에 나타내는 편평한 통으로서 양측가장자리를 히트시일하여 리브(14a, 14b, 14c, 14d)를 만들고 나서,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텀 히트시일(7)을 실시하여 편평한 봉투로 한다.
포장할 때는,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체적으로 열어 피포장품(도시하지 않는다)을 충전하여, 도 1(g)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탑 거싯이 들어간 기울어진 형태의 상면부(12)를 형성한다. 주름(9)보다 아래쪽 부분은 입체적으로 봉투가 열려졌을 때에 평면적으로 전개하여 바닥면부(8)가 되고, 주름(9)이 한 둘레에 걸쳐 수직 하강하여 바닥면부(8)를 숨긴다. 주름(9)은 둘레면의 연장상단을 형성하여 바닥면부와 둘레면을 명확히 구획하여 타이트한 접어 넣는 느낌을 줄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실시의 형태에 이러한 자립성 포장봉투의 변형예로서, 사이드 거싯이 들어간 편평한 통으로 한 후에, 보텀 히트시일을 실시하지 않고, 반대측의 탑 시일을 실시하여 이루어지는 사이드 거싯부착의 편평한 봉투로 하더라도 좋다.
이 봉투는, 천장과 바닥을 거꾸로 하여 바닥면을 열어 피포장품을 수용하여, 주름으로부터 위쪽부분을 닫고 보텀 히트시일을 실시하여 바닥면부를 형성하여 포장체로 하여, 해당 포장체를 천장과 바닥을 다시 거꾸로 한다. 이 변형예는, 상기 (3), (4)에 기재된 자립성 포장봉투 및 (7)에 기재된 포장체에 포함된다.
다음에, 본원발명의 제 5 실시의 형태에 이러한 자립성 포장봉투를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의 형태는, 상기의 (3), (4)에 기재된 자립성 포장봉투 및 청구항 7에 기재된 포장체에 포함된다.
도 6(a)은 자립성 포장봉투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6(b)은 자립성 포장봉투를 입체적으로 열었을 때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6(c)은 입체적으로 연 자립성 포장봉투의 수평단면도이다.
이 자립성 포장봉투도 도 4(a)에 나타내는 자립성 포장봉투와 마찬가지로 편평한 봉투로서 봉투가 제작된다.
이 자립성 포장봉투의 특징적인 구성은, 주름(9)을 갖고, 주름(9)보다도 아래쪽 부분의 양 귀퉁이가 대략 45도로 절제되어 있고, 네개의 리브(14a, 14b, 14c, 14d)를 갖고 있는 점이다.
이 자립성 포장봉투는, 편평한 봉투의 상태에 있어서, 바닥면부(8)의 양 귀퉁이가 대략 45도에 히트시일하여 3각형의 코너부분이 절제되어 있는 점이 도 5(a)에 나타내는 자립성 포장봉투와 다르다.
이 자립성 포장봉투는, 편평한 봉투의 하부의 3각형의 코너부분이 절제되어 있기 때문에, 입체적으로 열면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닥면부(8)에 3각형의 포켓이 형성되지 않는다.
주름(9)은 둘레면의 연장상단을 형성하여 바닥면부와 둘레면을 명확히 구획하여 타이트한 접어 넣는 느낌을 줄 수 있다.
다음에, 본원발명의 제 6 실시의 형태에 이러한 자립성 포장봉투를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의 형태는, 상기 (4), (5)에 기재된 자립성 포장봉투 및 (7)에 기재의 포장체에 포함된다.
도 7(a)은 자립성 포장봉투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7(c)은 자립성 포장봉투를 입체적으로 열었을 때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7(b)은 도 7(b)에 있어서의 b-b 단면도를 나타낸다.
이 자립성 포장봉투도 도 4(a)에 나타내는 자립성 포장봉투와 마찬가지로 편평한 봉투로서 봉투가 제작된다.
이 자립성 포장봉투는 상부에도 주름(15)이 설치되어 있는 점이 도 4(a)에 나타내는 자립성 포장봉투와 다르다.
도 7(d)은 이 자립성 포장봉투를 제작하기 위한 주름부착 포장재의 사시도이다. 특징적인 구성은, 주름(9)과 주름(15)을 갖고 있는 것이다. 주름(9)과 주름(15)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눕혀져 있다. 도 7(e)은 이 자립성 포장봉투를 제작하기 위한 한 쌍의 사이드 거싯을 접어 넣어 형성한 편평한 통의 사시도이다.
이 자립성 포장봉투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도 7(d)에 나타내는 주름(9)과 주름(15)을 갖는 포장재(F)를 사용하여 도 1(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진 통으로 하고 나서 양측면에 한 쌍의 사이드 거싯의 접어 넣기를 하면서 편평하게 하여, 도 7(e)에 나타내는 편평한 통으로 하고 나서, 도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텀 히트시일(7)을 실시하여 편평한 봉투로 한다.
포장할 때는, 도 7(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체적으로 열어 피포장품(도시하지 않음)을 충전하여, 주름(15)보다 위쪽부분을, 도 1(g)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탑 거싯이 들어간 기울어진 형태의 상면부(12)를 형성한다. 주름(15)은 둘레면의 연장상단을 형성하여 상면부(12)와 둘레면을 명확히 구획하여 타이트한 접어 넣는 느낌을 줄 수 있다.
이 자립성 포장봉투의 변형예로서, 도 6에 나타내는 자립성 포장봉투와 같이 리브(14a, 14b, 14c, 14d)를 설치하더라도 좋고, 또한, 주름(9)보다 아래쪽 부분의 양 귀퉁이를 대략 45도에 히트시일하여 또한 3각형의 코너편을 절제하여, 도 6(b)에 나타내는 자립성 포장봉투의 바닥면부와 동일형태로 하더라도 좋다. 주름(15)을 주름(9)과 같은 방향으로 눕히더라도 좋다.
다음에, 본원발명의 제 7 실시의 형태에 이러한 자립성 포장봉투를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의 형태는, 상기(4), (5)에 기재된 자립성 포장봉투 및 (7)에 기재의포장체에 포함된다.
도 8(a)은 자립성 포장봉투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8(b)은 자립성 포장봉투를 입체적으로 열었을 때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8(c)은 도 8 (a)에서의 c-c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8(d)은 이 자립성 포장봉투를 제작하기 위한 주름부착 포장재의 사시도이다. 도 8(e)는 이 자립성 포장봉투를 제작하기 위한 한 쌍의 사이드 거싯을 접어 넣어 형성하여 리브를 붙인 편평한 통의 사시도이다.
이 자립성 포장봉투도 도 4(a)에 나타내는 자립성 포장봉투와 마찬가지로 편평한 봉투로서 봉투가 제작된다.
이 자립성 포장봉투의 특징적인 구성은 주름(9, 15)을 갖는 동시에 네개의 리브(14a, 14b, 14c, 14d)를 갖고 있는 점이다.
이 자립성 포장봉투와 도 7(a)에 나타내는 자립성 포장봉투와의 차이점은 네개의 리브(14a, 14b, 14c, 14d)의 유무뿐이다.
이 자립성 포장봉투의 변형예로서, 도 6에 나타내는 자립성 포장봉투와 같이 주름(9)보다 아래쪽부분의 양 귀퉁이를 대략 45도에 히트시일하고, 또한 3각형의 코너편을 절제하여, 도 6(b)에 나타내는 자립성 포장봉투의 바닥면부와 동일형태로 하더라도 좋다.
다음에, 본원발명의 제 8 실시의 형태에 이러한 자립성 포장봉투를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의 형태는, 상기 (6)에 기재된 자립성 포장봉투 및 (7)에 기재의 포장체에 포함된다.
도 9(a)는 자립성 포장봉투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9(b)는 자립성 포장봉투를 입체적으로 열었을 때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이 자립성 포장봉투도 도 4(a)에 나타내는 자립성 포장봉투와 마찬가지로 편평한 봉투로서 봉투가 제작된다.
이 자립성 포장봉투는, 하부와 중간정도와 상부에 주름(9, 16, 15)이 설치되어 있는 점이 도 4(a)에 나타내는 자립성 포장봉투와 다르다.
도 9(c)는 이 자립성 포장봉투를 제작하기 위한 주름부착 포장재의 사시도이다. 특징적인 구성은, 주름(9, 16, 15)을 갖고 있는 것이다. 주름(9, 16, 15)은 아래쪽으로 눕혀져 있다. 도 9(d)는 이 자립성 포장봉투를 제작하기 위한 한 쌍의 사이드 거싯을 접어 넣어 형성한 편평한 통의 사시도이다.
이 자립성 포장봉투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도 9(c)에 나타내는 주름(9, 16, 15)을 갖는 포장재(F)를 사용하여 도 1(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진 통으로부터 양측면에 한 쌍의 사이드 거싯의 접어 넣기를 하면서 편평하게 하여, 도 9(d)에 나타내는 편평한 통으로 하고 나서, 도 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텀 히트시일(7)을 실시하여 편평한 봉투로 한다.
포장할 때는, 도 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체적으로 열어 피포장품(도시하지 않음)을 충전하여, 주름(15)보다 위쪽부분을, 도 1(g)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탑 거싯이 들어간 기울어진 형태의 상면부(12)를 형성한다. 주름(9)과 주름(15)은 둘레면의 연장단을 형성하여 바닥면부와 둘레면부 및 상면부와 둘레면부를 명확히 구획하여 타이트한 접어 넣는 느낌을 줄 수 있다.
주름(16)은 포장형태에 강조와 변화를 주는 효과가 있다. 주름(16)에 노치(찢기 쉽게 하기 위한 절개부분)를 설치하면 봉투를 중간정도로부터 찢어 열 수 있다.
이 자립성 포장봉투에 대한 변형예로서, 주름(9)보다 아래쪽부분의 양 귀퉁이를 대략 45도에 히트시일하여 또한 3각형의 코너편을 절제하여, 도 6(b)에 나타내는 자립성 포장봉투의 바닥면부와 동일형태로 하더라도 좋다.
다음에, 본원발명의 제 9 실시의 형태에 이러한 자립성 포장봉투를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의 형태는 상기(4)에 기재된 자립성 포장봉투 및 (7)에 기재의 포장체에 포함된다.
도 10(a)은 자립성 포장봉투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10(b)은 자립성 포장봉투를 입체적으로 열었을 때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0(c)은 입체적으로 연 자립성 포장봉투의 수평단면도[도 10(b)에 있어서의 c-c 단면도]이다. 도 10(d)은 자립성 포장봉투를 구성하는 각 웨브의 분해·배치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e)은 사이드 거싯이 들어간 편평한 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 실시의 형태의 자립성 포장봉투는 편평한 봉투로서 봉투가 제작되어, 포장시에 입체적으로 열린다.
이 자립성 포장봉투는 한 장의 포장재를 구부려 봉투를 제작하는 것이 아니라, 주름(9a)을 형성한 전면부(1)와, 주름(9b)을 형성한 후면부(4)와, 거싯이 구부려진 우측면부(2)와, 거싯이 구부려진 좌측면부(3)의 4장의 포장재를 도 10(a)에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치하여 포개어, 도 10(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합장형상의 사이드시일을 실시하여 리브(14a, 14b, 14c, 14d)를 형성한 사이드 거싯이 들어간 편평한 통으로서, 도 10(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텀 히트시일을 실시함으로써, 봉투가 제작된다.
이 자립성 포장봉투는 우측면부(2)와 좌측면부(3)에 주름이 없어, 접속테이프가 사용되지 않는다.
주름(9a)을 형성한 전면부(1)와, 주름(9b)을 형성한 후면부(4)는 주름(9a)과 주름(9b)이 어긋나지 않도록, 한 장의 포장재에 주름을 부착하고 나서 폭의 반만큼 잘라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자립성 포장봉투에 대하는 변형예로서, 주름(9a, 9b)보다 아래쪽부분의 양 귀퉁이를 대략 45도에 히트시일하여, 또한 3각형의 코너편을 절제하여, 도 6(b)에 나타내는 자립성 포장봉투의 바닥면부와 동일형태로 하더라도 좋다. 또한, 주름(9a, 9b)에 대응하여 우측면부(2)와 좌측면부(3)에 주름을 설치하여 봉투를 제작하더라도 좋다.
다음에, 본원발명의 제 10 실시의 형태에 이러한 자립성 포장봉투를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의 형태는, 상기 (5)에 기재된 자립성 포장봉투 및 (7)에 기재의 포장체에 포함된다.
도 11(a)은 자립성 포장봉투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11(b)은 자립성 포장봉투를 입체적으로 열었을 때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1(c)은 입체적으로 연 자립성 포장봉투의 수평단면도이다. 도 11(d)은 자립성 포장봉투를 구성하는 각 웨브의 분해·배치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e)은 사이드 거싯이 들어간 편평한 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 실시의 형태의 자립성 포장봉투는 편평한 봉투로서 봉투가 제작되어, 포장시에 입체적으로 열린다.
이 자립성 포장봉투는 한 장의 포장재를 구부려 봉투를 제작하는 것이 아니라, 주름(9a, 15a)을 형성한 전면부(1)와, 주름(9b, 15b)을 형성한 후면부(4)와, 거싯이 구부려진 우측면부(2)와, 거싯이 구부려진 좌측면부(3)로 분리되어 있는 포장재를 도 11(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치하여 포개고, 도 11(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합장형상의 사이드시일을 실시하여 리브(14a, 14b, 14c, 14d)를 형성한 사이드 거싯이 들어간 편평한 통으로 하여, 도 1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텀 히트시일을 실시함으로써, 봉투가 제작된다. 주름(9a, 9b)아래쪽으로 눕혀지고, 주름(15a, 15b)은 위쪽으로 눕혀져 있다.
이 자립성 포장봉투와 도 10에 나타내는 자립성 포장봉투와의 차이는 주름 (15a, 15b)의 유무뿐이다.
이 자립성 포장봉투에 대한 변형예로서, 주름(9a, 9b)보다 아래쪽부분의 양 귀퉁이를 대략 45도에 히트시일하여, 또한 3각형의 코너편을 절제하여, 도 6(b)에 나타내는 자립성 포장봉투의 바닥면부와 동일형태로 하더라도 좋다. 또한, 주름 (15a, 15b)에 대응하여 우측면부(2)와 좌측면부(3)에 주름을 설치하여 봉투를 제작하더라도 좋다.
다음에, 본원발명의 제 11 실시의 형태에 이러한 자립성 포장봉투를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의 형태는, 상기 (6)에 기재된 자립성 포장봉투 및 (7)에 기재된 포장체에 포함된다.
도 12(a)는 자립성 포장봉투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12(b)는 자립성 포장봉투를 입체적으로 열었을 때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2(c)는 입체적으로 연 자립성 포장봉투의 수평단면도이다. 도 12(d)는 자립성 포장봉투를 구성하는 각 웨브의 분해·배치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e)는 사이드 거싯이 들어간 편평한 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 실시의 형태의 자립성 포장봉투는 편평한 봉투로서 봉투가 제작되어, 포장시에 입체적으로 열린다.
이 자립성 포장봉투는 한 장의 포장재를 구부려 봉투를 제작하는 것이 아니라, 주름(9a, 16a, 15a)을 형성한 전면부(1)와, 주름(9b, 16b, 15b)을 형성한 후면부(4)와, 거싯이 구부려진 좌측면부(2)와, 거싯이 구부려진 좌측면부(3)로 분리되어 있는 포장재를 도 12(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치하여 포개고, 도 12(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합장형상의 사이드시일을 실시하여 리브(14a, 14b, 14c, 14d)를 형성한 사이드 거싯이 들어간 편평한 통로서, 도 1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텀 히트시일을 실시함으로써, 봉투가 제작된다.
이 자립성 포장봉투와 도 10에 나타내는 자립성 포장봉투와의 차이는 주름 (16a, 16b, 15a, 15b)의 유무뿐이다. 주름(9a, 9b, 16a, 16b, 15a, 15b)은 어느것이나 아래쪽이다.
이 자립성 포장봉투에 대한 변형예로서, 주름(9a, 9b)보다 아래쪽부분의 양 귀퉁이를 대략 45도에 히트시일하여 또한 3각형의 코너편을 절제하여, 도 6(b)에 나타내는 자립성 포장봉투의 바닥면부와 동일형태로 하더라도 좋다. 또한, 주름 (15a, 15b)에 대응하여 우측면부(2)와 좌측면부(3)에 주름을 설치하여 봉투를 제작하더라도 좋다. 주름(16a, 16b, 15a, 15b)을 위쪽으로 하더라도 좋다.
다음에, 본원발명의 제 12 실시의 형태에 이러한 자립성 포장봉투를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의 형태는, 상기 (3)에 기재된 자립성 포장봉투 및 (7)에 기재된 포장체에 포함된다.
도 13(a)은 자립성 포장봉투의 사시도이다. 도 13(b)은 자립성 포장봉투를 입체적으로 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c)은 자립성 포장봉투를 구성하는 각 웨브의 분해·배치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d)은 자립성 포장봉투를 입체적으로 열어 피포장품을 충전하여 개구를 닫고 포장체로 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 실시의 형태의 자립성 포장봉투는 편평한 봉투로서 봉투가 제작되어, 포장시에 3각 기둥형상으로 열린다.
이 자립성 포장봉투는 한 장의 포장재를 구부려 봉투를 제작하는 것이 아니라, 주름(9a, 15a, 16a)을 형성한 전면부(1)와, 주름(9b, 15b, 16b)을 형성한 후면부(4)와, 거싯이 구부려진 측면부(2a)로 분리되어 있는 3장의 포장재를 도 13(c)에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치하여 포개고, 도 1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합장형상의 사이드시일을 실시하여 리브(14a, 14b, 14c)를 형성한 사이드 거싯이 들어간 편평한 통으로 하고, 또한 보텀 히트시일(7)을 실시함으로써, 봉투가 제작된다.
이 자립성 포장봉투와 도 12에 나타내는 자립성 포장봉투와의 차이는, 거싯이 구부려진 측면부가, 한쪽에만 갖거나, 또는 좌우 한 쌍에 갖는 차이이지만, 입체적으로 열었을 때는 이 자립성 포장봉투에 있어서는, 삼각기둥형상이 되어 도 13(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포장체를 6개 모아 육각기둥형상으로 상자로 할 수 있는데 비하여, 도 12에 나타내는 자립성 포장봉투에 있어서는 사각기둥형상이 되어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개어 쌓아 전시할 수 있는 차이가 있다.
본원발명의 제 13 실시의 형태에 이러한 자립성 포장봉투 및 포장체를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의 형태는, 상기 (8)에 기재된 자립성 포장봉투 및 (9)에 기재된 포장체에 포함된다.
도 14(a)는 자립성 포장봉투의 사시도이다. 도 14(b)는 자립성 포장봉투를 입체적으로 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c)는 자립성 포장봉투에 피포장품을 넣어 개구를 닫고 포장체로 한 사시도이다. 도 14(d)는 주름이 붙여진 포장재의 사시도이다. 도 14(e)는 포장재의 양 가장자리를 접속테이프로 연결하여 편평한 통으로 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 실시의 형태의 자립성 포장봉투는 도 1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편평한 봉투로서 봉투가 제작된다.
이 자립성 포장봉투는 도 14(d)에 나타내는 주름(9)이 붙은 포장재(F)를 도 14(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편평한 통형상으로 구부려 폭방향의 양 가장자리를 맞닿게 하여 접속테이프(5)를 이음새의 안쪽에 포개어 히트시일하여 접속하여, 도 1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텀 히트시일(7)을 실시하여 봉투를 제작한다.
포장하기 위해서는, 이 자립성 포장봉투의 상부를 열어 피포장품을 충전하여 탑 히트시일(11)을 실시한다. 봉투에 피포장품을 충전하면, 주름(9)보다 아래쪽부분이 평면전개한다. 보텀 히트시일(7)의 양 끝단부분을 서로 평행하게 되는 삼각형의 귀로 하여 안쪽으로 눕히면, 도 14(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 귀가 반듯이 접힌 바닥면부(8)가 되어 주름(9)의 안쪽에 숨는다. 주름(9)은 둘레면부를 연장한 면을 구성하고 있고 바닥면부(8)는 주름이면상단으로부터 대략 직각이 되어 해당 바닥면부를 숨기는 것이 된다.
또, 도 4(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바닥면부(8)로도 될 수 있다.
본원발명의 제 14 실시형태에 이러한 자립성 포장봉투 및 포장체를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의 형태는 상기 (8)에 기재된 자립성 포장봉투 및 (9)에 기재된 포장체에 포함된다.
도 15(a)는 자립성 포장봉투의 사시도이다. 도 15(b)는 자립성 포장봉투를 입체적으로 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c)는 자립성 포장봉투에 피포장품을 넣어 개구를 닫고 포장체로 한 사시도이다. 도 15(d)는 주름이 붙은 포장재의 사시도이다. 도 15(e)는 포장재의 양 가장자리를 접속테이프로 연결하여 편평한 통으로 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 실시의 형태의 자립성 포장봉투는 도 1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름 (9)이 붙어 있지만 사이드 거싯이 없고, 탑 히트시일(11)이 실시된 편평한 봉투로서 봉투가 제작된다.
이 자립성 포장봉투는 도 15(d)에 나타내는 주름(9)이 붙은 포장재(F)를 도 15(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편평한 통형상으로 구부려 폭방향의 양 가장자리를 맞닿게 하여 접속테이프(5)를 이음새의 안쪽에 포개어 히트시일하여 접속하여, 도 1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탑 히트시일(11)을 실시하여 봉투를 제작한다.
포장하기 위해서는, 이 자립성 포장봉투를 천장과 바닥을 거꾸로 하여 위에 오는 바닥부를 열어 피포장품을 충전하여, 주름(9)보다 아래쪽부분을 편평하게 닫고 보텀 히트시일(7)을 실시하여 바닥면부(8)를 형성하여, 보텀 히트시일(7)의 양 끝단부분의 잉여부분을 서로 평행하게 되는 삼각형의 귀로서 안쪽으로 눕히면, 도 15(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 귀가 접힌 바닥면부(8)가 되어 주름(9)의 안쪽에 숨는다.
본원발명의 제 15 실시의 형태에 이러한 자립성 포장봉투 및 포장체를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의 형태는, 상기 (8)에 기재된 자립성 포장봉투 및 (9)에 기재된 포장체에 포함된다.
도 16(a)은 자립성 포장봉투의 사시도이다. 도 16(b)은 자립성 포장봉투를 입체적으로 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c)은 자립성 포장봉투에 피포장품을 넣어 개구를 닫고 포장체로 한 사시도이다. 도 16(d)은 주름이 붙여진 포장재의 사시도이다. 도 16(e)은 포장재의 양 가장자리를 접속테이프로 연결하여 편평한 통으로 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 실시의 형태의 자립성 포장봉투는, 도 1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편평한 봉투로서 봉투를 제작한다.
이 자립성 포장봉투는 도 16(d)에 나타내는 주름(9, 15)이 붙은 포장재(F)를 도 16(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편평한 통형상으로 구부려 폭방향의 양 가장자리를 후면의 폭중앙에서 맞닿게 하여 접속테이프(5)를 이음새의 안쪽에 포개어 히트시일하여 접속하여 편평한 통을 형성하여, 도 1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텀 히트시일(7)을 실시하여 봉투를 제작한다.
포장하기 위해서는, 이 자립성 포장봉투의 상부를 열어 피포장품을 충전하여 탑 히트시일(11)을 실시하여 상면부(12)를 형성한다. 봉투에 피포장품을 충전하면, 주름(9)보다 아래쪽부분이 평면전개한다. 보텀 히트시일(7)의 양 끝단부분을 서로 평행하게 되는 삼각형의 귀로서 안쪽으로 눕히면, 도 14(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 귀가 접혀진 바닥면부(8)가 되어 주름(9)의 안쪽에 숨는다.
피포장품을 충전하면, 주름(9)보다 아래쪽부분의 바닥면부는, 도 14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후방향으로 잡아당겨져서 양 끝단에 삼각형의 귀가 생겨서 평면전개하고 주름(9)의 안쪽에 숨는다. 주름(9)보다 위쪽부분인 개구를 닫고 탑시일을 실시한 상면부도, 바닥면부와 마찬가지로 처리되는 주름(15)의 안쪽에 숨는다.
이 자립성 포장봉투와 도 14에 나타내는 자립성 포장봉투와의 차이는 주름 (15)의 유무이다. 주름(15)이 있으면, 상면부(12)가 구획형성된다.
본원발명의 제 16 실시의 형태에 이러한 포장체를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의 형태는 청구항 9에 기재된 포장체에 포함된다.
도 17(a)은 주름이 붙은 포장재의 사시도이다. 도 17(b)은 포장재의 양 가장자리를 접속테이프로 연결하여 타원통으로 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c)은 타원통에 탑 히트시일을 실시하여 이루어지는 자립성 포장봉투의 사시도이다. 도 17(d)은 자립성 포장봉투에 피포장품을 넣고 개구를 닫고 포장체로 한 사시도이다.
이 실시의 형태의 자립성포장값은 도 1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긴 원통형상 내지 타원통형상에 입체적으로 연 봉투로서 봉투가 제작된다.
이 자립성 포장봉투는 도 17(a)에 나타내는 주름(9)이 붙은 포장재(F)를 포장재(F)를 도 1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시하지 않은 타원통형상의 맨드릴에 1번 감도록 하여 루프형상으로 구부려 폭방향의 양 가장자리를 맞닿게 하여 접속테이프(5)를 이음새의 안쪽에 포개어 히트시일하여 접속하여 타원통을 형성하여, 도 17(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탑 히트시일(11)을 실시하여 봉투를 제작한다.
포장하기 위해서는, 이 자립성 포장봉투를 천장과 바닥을 거꾸로 하여 위에 오는 바닥부를 열고 피포장품을 충전하여, 주름(9)보다 아래쪽부분을 편평하게 닫고 보텀 히트시일(7)을 실시하여 바닥면부(8)를 형성하여, 보텀 히트시일(7)의 양 끝단부분의 잉여부분을 서로 평행하게 되는 삼각형의 귀로서 안쪽으로 눕히면, 도17(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 귀가 접힌 상면부(8)가 되어 주름(9)의 안쪽에 숨는다.
상기 (9)의 포장체는 보텀 히트시일과 탑 히트시일 중 어느 하나가 먼저 실시되어 있더라도 좋은 봉투로 되어 있고, 피포장품을 충전하고 나서 나머지의 탑 히트시일 또는 보텀 히트시일을 실시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라도 좋다. 상기(9)의 포장체는 필로우 포장기로 포장된 포장체를 포함하는 것이다. 필로우 포장기로 도 17(c)에 나타내는 봉투를 만들 때는 주름(9)이 포머와 낙하충전파이프와의 사이의 빈틈에 걸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주름(9)이 위쪽으로 오도록 하여 봉투의 상하가 거꾸로 되도록 봉투를 제작한다. 그리고, 낙하충전파이프의 아래쪽에서 원통형상으로 한 포장통에 대해서, 아래쪽의 봉투의 보텀 히트시일과 위쪽의 봉투의 탑 히트시일을 동시에 실시하고, 또한 2조 히트시일의 사이를 커트하여, 잘라낸 아래쪽의 봉투를 상하 거꾸로 하여 컨베어상에 얹어 놓고 반송한다. 도 17에 나타내는 봉투 및 포장체는 필로우 포장기로 봉투를 제작하여 충전포장하는 포장체와 대략 동등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필로우 포장기로 봉투를 제작하여 충전포장하는 포장체는 도 17(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텀 거싯을 넣어 성형하더라도 좋다. 이러한 경우는 도 17(f)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바닥면부를 나타내는 것이 된다. 또한 리브를 형성할 수도 있다.
다음에 주름을 갖는 포장재의 원반로울의 제조방법을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주름을 갖는 포장재의 원반로울의 제조방법은, 와인더에 봉투내면이 되는내층이 실런트필름으로 이루어지는 포장재, 예를 들면 OPP와 CPP를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포장재의 원반로울(R1)을 부착하고, 해당 원반로울(R1)로부터 풀어내는 포장재(F1)를, 가이드로울(21)에 걸고 나서 포장재 풀기로울(22)과 프리회전하는 니프롤(23) 사이에 통과하여, 제 1 단차로울(24), 가이드로울(25, 26)에 순서로 걸어, 이어서 주름부착장치(27)를 통과하여 주름(h)을 붙여 주름을 갖는 포장재(F2)로서 주름눕힘수단(28)에 통과하여 주름(h)을 상류로 눕혀 포장재이송로울(29)과 프리회전하는 니프로울(30)에 끼워 눌러지도록 통과하여, 이어서 가이드로울(31), 제 2 단차로울(32), 가이드로울(33, 34) 순서로 걸어, 와인더에 부착한 코어에 주름을 갖는 포장재(F2)를 원반로울(R2)로 감도록 한다.
이 주름을 갖는 포장재의 제조장치는 제 1 단차로울(24)이 상한과 하한의 고저범위내를 왕복 승강하도록 포장재풀기로울(22)이 서브모터(35)에 의해 속도증감구동되어 원반로울(R1)로부터 포장재(F1)를 연속하여 풀어 내도록 되어 있다. 또한, 포장재이송로울(29)이 서브모터(36)에 의해 간헐구동되어 포장재(F1)를 봉투의 길이와 같은 피치가 되도록 간헐이송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 2 단차로울(32)이 상한과 하한의 고저범위내를 왕복승강하도록 코어를 축지하는 와인더의 감기축이 서브모터(37)에 의해 속도증감구동되어 해당 코어에 주름을 갖는 포장재(F2)를 감도록 되어 있다.
주름부착장치(27)는 포장재(F1)의 하면(외면)과 밀착하고 있는 상류측과 하류측의 슬릿형성 플레이트(27a, 27b)와, 슬릿형성 플레이트(27a, 27b)의 하류측에 대응하는 주름부착용 히트실러(27c, 27d)와, 슬릿형성 플레이트(27a, 27b)의 위쪽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포장재(F1)를 슬릿형성 플레이트(27a, 27b)로 눌러 붙이는 포장재누름 플레이트(27e, 27f)와, 슬릿형성 플레이트(27a, 27b)의 슬릿사이에 대응하여 포장재(F)의 위쪽에 설치되어 있어 슬릿에 하강하여 주름접기를 하는 주름접음 플레이트(27g)로 이루어진다.
이 실시의 형태에서는, 주름(h)의 형성은 포장재(F1)의 간헐주행의 정지시에 한다. 최초에 포장재누름 플레이트(27f)를 하강하여 포장재(F1)를 슬릿형성 플레이트(27b)에 눌러 붙여, 이어서, 주름접음 플레이트(27g)를 하강하여, 포장재(F1)를 슬릿형성 플레이트(27a, 27b)의 슬릿사이에 찔러 넣어 주름접기를 행하여, 이어서, 포장재누름 플레이트(27e)를 하강하여 포장재(F1)를 슬릿형성 플레이트(27a)에 눌러붙이고 나서 주름접음 플레이트(27g)를 상승 복귀하고, 이어서, 주름부착용 히트실러(27c, 27d)를 닫고 포장재(F1)의 주름접음 합장부에 히트시일을 실시하여 주름(h)을 형성하고, 이어서, 주름부착용 히트실러(27c, 27d)를 여는 동시에, 포장재누름 플레이트(27e, 27f)를 상승복귀시켜, 포장재(F1)를 주행가능하게 한다.
또, 주름접음 플레이트(27g)를 최초로 하강하여 주름접기를 하여, 이어서, 포장재누름 플레이트(27e, 27f)를 하강하여 포장재(F1)를 눌러 주름접음 플레이트 (27g)를 상승하는 동작순서로 하더라도 실시가 가능하다. 또한, 히트시일에는, 임펄스 히트시일도 포함된다.
또 주름접기를 하는 수단으로서는, 상기한 주름접음 플레이트 이외에 포장재 폭방향에, 다수의 공기분출구가 아래쪽을 향하여 일렬로 나란히 배열된, 공기분출 플레이트를 슬릿부분에 있는 포장재 로울면상에 아래쪽으로 향하여 수직 하강하여,고압공기를 내뿜어 구부려 주름을 형성하는 수단, 또는 슬릿하부에 흡인수단을 설치하여, 슬릿부에 있는 포장재 하면을 흡착유지하여, 슬릿플레이트와 포장재가 형성하는 공간을 감압하여, 포장재를 흡인함에 의해, 구부림 주름을 형성하는 수단도 채용할 수 있다.
주름눕힘수단(28)으로서, 예를 들면 1.5mm∼3.0mm의 빈틈이 있도록 상하 한 쌍에 평판이 설치되어 있고, 주름(h)을 마찰저항으로 상류측으로 눕힐 수 있도록 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외에 예를 들면 서로 접촉하는 한 쌍의 회전프리로울의 사이에 통과하더라도 좋다. 주름눕힘수단(28)이 없더라도, 주름(h)은 반주행방향으로 눕거나, 주름(h)은 주행방향으로 만일 눕혀지면, 그 주름이 있는 부분은 봉투제작에 지장을 초래하는 것이 되기 때문에, 확실히 동일방향에 주름눕힘을 행하기 위해서 주름눕힘수단(28)이 있다.
도 18에 나타내는 주름을 갖는 포장재의 원반로울의 제조방법에 의해, 주름을 갖는 포장재(F2)를 감은 원반로울(R2)은 봉투제작기나 봉투를 제작충전포장기의 언와인더에 걸어 주름을 갖는 포장재(F2)를 풀어낼 때는, 주름(h)이 누워 있는 방향이 풀어내는 방향으로 향하게 되고 포머에 주름(h)이 걸려 버릴 위험이 크다. 그래서, 도 18에 나타내는 주름을 갖는 포장재의 원반로울의 제조방법에 의해, 주름을 갖는 포장재(F2)를 감은 원반로울(R2)은 다시 감기를 하여 주름(h)이 누워 있는 방향을 반대로 풀어내는 방향으로 향하게 할 필요가 있다. 도 19에 나타내는 원반로울(R3)은 도 18에 나타내는 원반로울(R2)의 다시감기를 하여 주름(h)이 누워 있는 방향을 반대로 풀어내는 방향으로 향하게 한 것이다. 특히, 주름(h)이 누워있는 방향이 원반로울의 포장재의 풀어내는 방향과는 반대로 향하고 있는 주름을 갖는 포장재를 부호 F3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원반로울(R3)에 대해서, 주름(h)이 형성되어 있는 위치는 각 커트마크(K)로부터 치수(A)만큼 떨어진 위치이다. 해당 치수(A)는 각진 바닥 봉투로 하여 바닥면부를 형성하기 위해서 필요한 치수이다. 또, 커트마크(K)는 임의구성요소이다.
도 20은 주름이 눕는 방향으로 접은 장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주름(h)을 붙인 주름을 갖는 포장재(F2)를 감기 전에 주름(h)의 방향을 감는 방향으로 접은 주름부착포장재(F3)로 하여 원반로울(R3)로서 감을 수 있고, 다시감기를 할 필요가 없는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낸다.
즉, 주름을 갖는 포장재(F2)를 포장재 포장이송로울(29)과 프리회전하는 니프로울(30) 사이에 통과시킨 후, 원반로울(R3)을 감도록 하여, 가이드로울(38, 39)에 걸어 원반로울(R3)로 감도록 하여, 그리고, 가이드로울(38, 39) 사이에 있어 주름을 갖는 포장재(F2)의 내면측에 근접하는 받침판(40)을 설치하여, 주름(h)이 받침판(40)의 위의 정해진 위치에 왔을 때에 원반로울(R3)의 감기를 간헐정지시켜, 걷어올림판(41)을 받침판(40)의 상면에 따라 포장재의 주행방향에 치수(B)만큼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주름(h)을 걷어 올려 반대측으로 눕혀, 눕힌 주름(h)의 기초부를 예를 들면 80∼100℃로 가열된 히터(42)로 눌러 주름(h)을 반대측으로 눕힌 상태를 자기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주름(h)을 감는 방향으로 향한 주름을 갖는 포장재(F3)로서 감는 것이다. 걷어 올림판(41)은 상승하여 원래위치로 복귀하는 박스모션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주름(h)을 주행방향으로 눕히고 나서 냉각장치로 냉각하여 주름이 일어나지 않게 하여 감도록 하면 한층 좋다.
또, 주름이 눕혀진 방향으로 접은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주름눕힘수단(28)은 불필요하다.
계속해서, 도 21을 참조하여 본원발명의 주름을 갖는 포장재에 의해 봉투를 제작되는 주름이 부착된 편평한 봉투를 봉투단체로서 봉투가 제작되는 공정을 설명한다. 도 21(a)은 주름을 형성한 포장재의 사시도이다. 도 21(b)은 주름이 부착된 편평한 통으로 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1(c)은 각진 통형상으로 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1(d)은 사이드 거싯을 넣어 가는 상태를 나타내는 통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21(e)은 사이드 거싯이 들어간 편평한 통으로 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1(f)은 사이드 거싯이 들어간 편평한 통의 양측에 리브를 붙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1(g)은 도 21(f)에 있어서의 g-g 단면도이다. 도 21(h)은 주름이 부착된 편평한 봉투(P1)의 사시도이다. 도 21(i)은 주름이 부착된 편평한 봉투를 입체적으로 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1(j)은 피포장품을 수용하여 개구를 닫게 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1(h)에 나타내는 주름이 부착된 편평한 봉투(P1)는 도 2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름(h)을 형성한 포장재(F3)를, 도 2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강한 접은 자국(hem)을 붙이지 않은 편평한 통 형상으로 대략 1번 감고 후면부(44)의 폭중앙에서 포장재(F3)의 양 끝단가장자리를 빈틈없이 맞닿게 하여 그 안쪽에 양면실런트필름으로 이루어지는 3층의 접속테이프(T)를 봉하도록 배치하여 포장재(F3)의 양 끝단가장자리를 접속테이프(T) 에 대하여 히트시일하여 헴(hem)이 없는 편평한 통으로서 하고 나서, 도 21(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진 통형상으로 열고, 도 21(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측면부(45)와 좌측면부(46)를 안쪽으로 2번 접어 전면부(43)와 후면부(44)와의 사이에 끼워지는 한 쌍의 사이드 거싯과 이뤄, 도 21(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헴을 부착하여, 사이드 거싯이 들어간 편평한 통으로 하여, 이어서 도 21(f), (g)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4장을 겹친 양측 가장자리에 리브를 붙이고 히트시일을 실시하여 네개의 리브(47a, 47b, 47c, 47d)를 설치하여, 이어서 도 21(h)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단에 보텀 히트시일을 실시하여 이루어지고, 상단이 봉투입구가 열리게 되어 있다.
도 21(h)에 나타내는 주름이 부착된 편평한 봉투(P1)는 입체적으로 열면, 도 21(i)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름(h)보다 아래쪽부분에 관한 것으로, 양측에 삼각형의 포켓형상의 보텀 거싯(49)이 들어가 평면전개하여 바닥면부(50)가 형성되어, 주름(h)이 바닥면부(50)의 둘레가장자리에 수직 하강하고 있고, 또한 주름(h)이 전면부(43)와 우측면부(45)와 좌측면부(46)와 후면부(44)에 대하여 동일평면을 이루고 독립한 외관을 나타내지 않기 때문에 타이트한 포장형태를 느끼게 하여, 주름 (h)이 바닥면부(50)를 숨기고 안정한 자립성 각진 바닥 봉투로 한다.
피포장품을 충전하여, 도 21(j)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탑 거싯이 들어간 기울어진 형태의 상면부를 형성하여 탑 히트시일(11)을 실시한다. 또, 탑 거싯을 넣은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원발명에 관한 주름을 갖는 포장재는,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봉투제작기에 걸어 주름이 부착된 편평한 봉투를 연속적으로 양산할 수 있다. 도 22는 도 21(h)에 나타내는 주름이 부착된 편평한 봉투(P1)를 양산할 수 있는 주름이 부착된 편평한 봉투의 제조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봉투제작장치의 개략의 전체평면도를 나타낸다.
부호 R3은 주름을 갖는 포장재(F3)의 원반로울이다. 부호 54는 포장재풀기로울이고, 도시하지 않은 서브모터에 의해 속도가 증감구동되도록 되어 있고 회전자유자재인 니프로울(nip roll)(55)과 공동하여 원반로울(R3)로부터 주름을 갖는 포장재(F3)를 풀어낸다. 포장재(F3)에 부착되어 있는 주름(h)은 풀어내는 방향 뒤쪽으로 누워 있다(도 19 참조).
부호 56은 어큐뮬레이터(accumulator)이고, 포장재풀기로울(54)에 의해 풀어내어지는 포장재(F3)에 일체로 접속된 2개의 단차로울(56a, 56b)을 얹고 옆에서 봐서 포장재(F3)를 상하로 사행하도록 통과하여 하류측의 포장재(F3)의 꺼냄에 대한 풀기저항을 가볍고 일정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부호 66은 포머, 부호 57a, 57b는 구부림 가이드, 부호 58a, 58b는 필름유도용 롤러, 부호 59는 바형 등붙임 히트실러, 부호 60a, 60b는 프리회전자유자재인 사이드 거싯을 접어 넣은 로울이다. 부호 61은 포장재 끌어넣기로울이고, 상하 한 쌍에 설치되어 있어 사이드 거싯이 들어간 편평한 통부분을 끼워 주름의 배열피치와 같은 간헐이송이 되도록 하류방향으로 잡아 당기게 되고 있다. 부호 62a, 62b는 리브부착용 히트실러이다. 부호 63은 밑바닥 히트실러이고, 상하 한 쌍에 설치되어 사이드 거싯이 들어간 편평한 통부분을 끼워 보텀 히트시일을 실시한다. 부호 64는 포장재 끌어넣기로울이고, 상하 한 쌍에 설치되어 있고 사이드 거싯이 들어간 편평한 통부분을 끼워 주름의 배열피치와 같은 간헐이송이 되도록 상기 포장재 끌어넣기로울(61)과 동기하여 잡아 당기게 되고 있다. 부호 65는 커터이다. 도시하지 않은 접속테이프의 원반로울로부터 풀어내어지는 접속테이프(T)는, 포머 (66)의 위에서 끝단 가장자리끼리를 빈틈없이 합해지는 포장재(F3)의 안쪽으로부터 봉하도록 힘을 들인다.
다음에 주름이 부착된 편평한 봉투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포장재풀기로울(54)이 포장재의 원반로울(R3)로부터 주름을 갖는 포장재(F3)를 풀어내어, 포장재 끌어넣기로울(61, 64)이 봉투높이치수와 주름으로부터 보텀 히트시일까지의 바닥면부를 형성하기 위한 치수(바람직하게는 사이드 거싯의 접어 넣기 치수와 대략 동일치수)와 보텀 히트시일에 필요한 치수와의 합계치수와 같은 길이가 되도록 간헐이송을 한다. 주름을 갖는 포장재(F3)에 형성되어 있는 주름 (h)의 피치는 봉투높이치수와 주름에서 보텀 히트시일까지의 바닥면부를 형성하기 위한 치수와 보텀 히트시일에 필요한 치수와의 합계치수와 같다.
이어서, 주름을 갖는 포장재(F3)를 포머(66)에 의해 편평한 통으로 구부려, 바형 등붙임 히트실러(59)에 의해 접속테이프(T)를 사이에 세워 포장재(F3)의 끝단 가장자리끼리를 히트시일접속한다. 도 22(a)에 있어서의 A-A에서 B-B의 구간에서는 도 2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머(66)가 가로길이인 두께판단면 형상이고 주름을 갖는 포장재(F3)는 도 21(b)에 나타내는 편평한 통형상이 된다. 도 22(a)에있어서의 C-C에서 D-D의 구간에서는 도 22(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머(66)가 'H'를 옆으로 한 단면형상이기 때문에 주름을 갖는 포장재(F3)는 도 21(c)에 나타내는 각진 통형상이 된다. 도 22(a)에 있어서의 E-E에서는 도 22(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머(66)가 'H'를 눕힌 단면형상에서 상하면 사이의 치수가 작아져서 양측에 프리회전자유자재인 사이드 거싯접어넣기로울(60a, 60b)이 들어가 도 21(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이드 거싯이 넣어진다. 도 22(a)에 있어서의 F-F에서는 포장재 끌어넣기 로울(61)에 의해 도 21(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이드 거싯이 들어간 편평한 통에 접어 올린다.
계속해서, 도 22(a)에 있어서의 G-G에서는 리브부착용 히트실러(62a, 62b)에 의해 도 21(f), (g)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4장을 겹친 양측 가장자리에 리브부착 히트시일을 실시하여 이루어지는 네개의 리브(47a, 47b, 47c, 47d)가 설치된다. 도 22(a)에 있어서의 H-H에서는 밑바닥 히트실러 (63)에 의해 도 21(h)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텀 히트시일(48)이 실시된다.
밑바닥 히트실러(63)의 위치는 도 22(a)에서는, 커터(65)의 측으로부터 세어 2번째의 주름(h)으로부터 상류측으로 사이드거싯의 접어 넣은 치수와 대략 동일치수를 확보하여 그 상류측의 위치로 하고 있기 때문에, 각 주름(h)으로부터 상류측으로 상기 사이드 거싯의 접어 넣기 치수와 대략 동일치수를 확보하여 그 상류측에 보텀 히트시일이 실시된다.
도 22(a)에 있어서의 I-I에서는 커터(65)에 의해 보텀 히트시일(48)의 상류측의 가장자리가 커트되고, 도 21(h)에 나타내는 상단 개구타입의 주름이 부착된편평한 봉투(P1)가 잘라내어져, 이상으로 봉투를 제작이 완료된다.
도 22에 나타내는 봉투제작장치에 있어서, 사이드 거싯을 접는 공정과 리브부착히트시일 공정을 생략하면, 도 23(c)에 나타내는 필로우형태의 주름이 부착된 편평한 봉투를 양산·봉투제작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도 22에 나타내는 봉투를 제작장치 중 사이드 거싯 접어넣기 로울(60a, 60b) 및 리브부착용 히트실러 (62a, 62b)가 불필요하게 된다.
그리고, 포머(66)가 하류측이 사각형이고 상류측이 사다리꼴로 넓어지고 있는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도 23(c)에 나타내는 주름이 부착된 편평한 봉투(P2)는 주름(h)을 형성한 포장재(F3)를 도 22에 나타내는 포머(66)에 걸어, 도 2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강한 접은 자국(hem)을 붙이지 않은 편평한 형상으로 대략 1번 감고 후면부의 폭중앙에서 포장재(F)의 양 끝단 가장자리를 빈틈없이 맞닿게 하여 그 안쪽에 양면 실런트필름으로 이루어지는 3층의 접속테이프(T)를 봉하도록 배치하여 바형 등붙임 히트실러(59)에 의해 접속테이프(T)를 통하여 포장재(F3)의 끝단 가장자리끼리를 히트시일 접속하고 헴이 없는 편평한 통으로 하고 나서, 밑바닥 히트실러(63)에 의해 도 23(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단에 보텀 히트시일(48)을 실시하여, 이어서 각 보텀 히트시일의 상류측의 가장자리를 커트하여 상단개구타입의 주름이 부착된 편평한 봉투로서 잘라내면, 상단개구타입의 편평한 봉투로서 제조할 수 있다.
이 경우, 주름(h)으로부터 보텀 히트시일(48)까지의 거리는 정해진다.
포장하기 위해서는, 도 23(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주름이 부착된 편평한 봉투의 상부를 열어 피포장품을 충전하여 도 23(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탑 거싯이 들어 간 기울어진 형태의 상면부를 형성하여 탑 히트시일(51)을 실시한다. 봉투에 피포장품을 충전하면, 주름(h)으로부터 아래쪽부분이 평면전개한다. 도 23(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텀 히트시일(48)의 양 끝단부분을 서로 평행하게 되는 삼각형의 귀로서 안쪽으로 눕히면 양 귀가 접힌 바닥면부(50)가 되어 주름(h)의 안쪽에 숨는다. 주름(h)은 둘레면부를 연장한 면을 구성하고 있고 바닥면부 (50)와는 주름이면상단보다 대략 직각이 되어 해당 바닥면부를 숨기는 것으로 된다.
또, 탑 거싯을 넣은 것은 반드시 필요하지 않다.
이 주름이 부착된 편평한 봉투 및 포장체는 주름(h)이 바닥면부(50)의 둘레가장자리에 수직 하강하고 있고, 또한 주름(h)이 둘레면부의 연장상에 동일평면을 이루고, 주름만이 독립한 외관을 나타내지 않기 때문에 타이트한 포장형태를 느끼게 하여, 주름(h)이 바닥면부(50)를 숨겨 안정한 자립성을 갖는 것으로 된다.
도 24(a)에 나타내는 주름이 부착된 편평한 봉투(P3)의 제조공정을 설명하면, 도 19에 나타내는 주름을 갖는 포장재의 원반로울(R3)보다 주름을 갖는 포장재 (F3)를 풀어내어 반으로 절단하여 상하로 분리되어 수평면내를 주행하는 연속하는 전면용 및 후면용의 주름을 갖는 포장재의 사이에, 폭 절반으로 2번 접어 사이드 거싯이 되는 측면용의 포장재를 끼워, 4장을 겹친 끝단 가장자리에 리브부착 히트시일을 실시하여 편평한 통을 형성하여, 각 주름으로부터 상류측으로 상기 사이드 거싯의 접어 넣기 치수와 대략 동일치수를 확보하고 그 상류측에 보텀 히트시일을실시하여, 이어서 각 보텀 히트시일의 상류측의 가장자리를 커트한다.
이 주름이 부착된 편평한 봉투(P3)는 도 24(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름 (h)을 형성한 포장재(43과 44)를 포개고, 또한, 포장재(43과 44)의 사이에 사이드 거싯, 즉 측면부가 되는 2번 접은 주름이 없는 포장재(45와 46)를 끼우고, 도 24(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4장을 겹친 포장재의 끝단가장자리를 리브부착 히트시일하여 사이드 거싯이 들어간 리브가 부착된 편평한 통으로 하고 나서, 도 2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단에 보텀 히트시일(48)을 실시하여 이루어지고, 상단이 봉투입구가 열리게 되어 있다. 주름(h)으로부터 보텀 히트시일(68)까지의 거리는 사이드 거싯의 접어 넣기 치수와 대략 동일치수이다.
포장하기 위해서는, 도 2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주름이 부착된 편평한 봉투의 상부를 연다. 주름(h)은 봉투의 전면부 하단과 후면부 하단에 구비하고 있고, 전후면방향에서 보았을 때 보텀 히트시일(48)을 숨기게 되고 있다. 도 24(a)에 나타내는 주름이 부착된 편평한 봉투(P3)와 도 21(h)에 나타내는 주름이 부착된 편평한 봉투(P1)와의 차이는 도 24(b)와 도 21(i)와 비교하여 알 수 있듯이, 주름(h)이 전면부 하단과 후면부 하단에 구비하고 있는지, 바닥면부의 사방의 하단에 구비하고 있는지의 차이이다. 주름(h)은 바닥면부(50)와는 주름이 면상단보다 대략 직각이 되어 해당 바닥면부를 숨기는 것으로 된다.
이 주름이 부착된 편평한 봉투는 주름(h)과 전면부(43), 후면부(44)는 동일평면을 이루고, 주름만이 독립한 외관을 나타내지 않기 때문에 타이트한 포장형태를 느끼게 하여, 주름(h)이 바닥면부(50)를 숨겨 안정한 자립성 각진 바닥 봉투가된다.
본원발명의 주름을 갖는 포장재(F3)를 제작하기 위해서, 포장재(F1)는 예를 들면 제 1 실시의 형태의 설명에 있어서 사용된 포장재(F)와 마찬가지의 적층필름 등으로 이루어진다.
주름(h)을 히트시일에 의해 형성하기 위해서, 포장재(F1)의 구성은 상기의 적층필름의 예시로부터 알 수 있듯이 내면이 실런트필름으로 되어 있다. 또, 포장재는 실런트필름단체로 구성되어 있더라도 좋다.
본원발명에 이러한 주름을 갖는 포장재의 원반로울에는, 주름(h)이 보강되어 있는 것이 포함된다. 즉 주름은 내면끼리가 합장형상으로 포개어 접혀져 있는 히트시일되어 이루어지거나, 띠형상 또는 2번 접은 보강재를 상기 2장 접은 합장형상의 사이에 끼우도록 하여 3장 혹은 4장 이상 포개어지고 있는 주름을 포함하는 것이다. 보강재는 양면이 히트시일성을 갖고 있는 보강재는 포장재(F1)에 붙이는 주름(h)과 적층하여 일체화된다.
보강재의 부착방법으로서는, 도 18에 나타내는 주름부착장치(27)의 상류측에서 포장재(F1)의 옆쪽으로부터 보강재의 원반로울로부터 보강재를 풀어내어 포장재 (F1)의 폭에 합쳐 포개어 커트하여, 해당 커트한 보강재를 포장재(F1)에 대하여 포인트시일하고, 그리고, 간헐주행이 행하여지고 다음의, 혹은 몇회 후의 간헐정지시에, 상기 커트한 보강재가 도 18에 나타내는 주름부착장치(27)의 장소에 와서 주름 (h)이 형성될 때에, 포장재(F1)의 합장부에 합장접은 접은 폭에 대략 같은 폭의 보강재가 합장 접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끼워지도록 하거나, 또는 보강재가 합장접은접은 폭의 대략 2배의 폭의 보강재가 포장재(F1)와 일체로 합장접어지도록 한다. 또, 포장재(F1)의 합장부에 포장재(F1)의 간헐정지시간이 길어지지만, 보강재의 원반로울로부터 보강재를 풀어내어 포장재(F1)의 상면에 포장재(F1)의 폭에 합쳐서 포개어 커트하여 포장재(F1)에 대하여 히트시일하는 것을 주름부착장치(27)의 장소에서 하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이다.
보강재를 사용하면, 포장재(F1)의 두께를 작게 하더라도 항좌굴력(抗座屈力)을 낼 수 있어, 안정한 착좌성(着座性)을 낼 수 있다.
보강재에는, 양면 히트시일성을 갖는 단층포장재 및 적층포장재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LDPE, LLDPE, CPP, 양면 히트시일타입 OPP, 양면 히트시일제를 코트한 OPP 혹은 종이, PE/PET/PE, PE/OPP/PE, PE/종이/PE, CPP/PET/CPP, CPP/OPP/ CPP, CPP/종이/CPP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8에 나타내는 주름부착장치(27)를 박스모션기능을 갖게 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도 18에 나타내는 포장재이송로울(29)에 의한 포장재(F1)의 이송을 간헐이송이 아니라 연속이송으로 할 수 있다.
박스모션을 보장하는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면, 상류측 대기위치의 슬릿형성 플레이트(27a, 27b)의 사이의 빈틈에 포장재(F1)의 주름접기개소가 대응하였을 때에, 주름부착장치(27)의 모든 구성요소가 포장재(F1)의 주행에 동기이동하여, 이 동기이동중에 주름접기를 하여 주름이 부착된 히트시일을 행하여, 주름부착종료후는 상류측의 대기위치로 복귀한다.
도 22는 본원발명의 주름을 갖는 포장재를 사용하여 주름이 부착된 편평한봉투를 제조하는 방법의 실시의 형태를 나타내는 것이지만, 본원발명의 주름을 갖는 포장재는, 세로형 봉투제작 충전포장기나 가로형 봉투제작 충전포장기에 걸어 주름부착 필로우 포장체를 제조할 수 있다. 주름은 반대로 푸는 방향으로 누워 풀어지므로, 포머의 지점에서 걸리지 않고 통형상으로 원활히 접어 넣어진다. 세로 필로우 포장체의 경우에는, 천장과 바닥을 거꾸로 하여 주름이 아래로 오도록 한다. 가로 필로우 포장체의 경우에는, 이송방향앞쪽의 엔드히트실러가 위에 오도록 90도 회전하여 바꿔 놓아 주름이 아래로 오도록 한다. 또한, 본원발명의 주름을 갖는 포장재의 원반로울의 제조방법은, 주름을 봉투의 하단만이 아니라, 중단과 상단에도 구비하도록 하는 경우도 포함된다.
본원발명의 주름을 갖는 포장재의 원반로울을 사용하여 봉투제작기나 필로우포장기에 의해 포장봉투나 포장체를 만들 때는, 주름이 봉투제작기나 필로우포장기의 포머에 걸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원반로울로부터 풀어내어지는 주름을 갖는 포장재의 주름이 풀어지는 방향에 반대하는 방향으로 눕혀져 있는 상태에서 포머에 걸어질 필요가 있지만, 도 18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만들어지는 주름을 갖는 포장재의 원반로울과 같이, 원반로울로부터 풀어내어 주름을 갖는 포장재의 주름이 풀어내는 방향을 향하여 눕혀지고 있는 상태인 경우, 주름을 갖는 포장재의 원반로울을 주름이 반대방향이 되도록 다시 감으면 충분하기 때문에, 본원발명의 주름을 갖는 포장재의 원반로울은, 주름이 풀어지는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눕혀져 있는 상태로 감기고 있는 것을 필수구성요건으로는 하지 않는다.
다음에 도 25 및 도 26에 나타내는 세로형 봉투제작 충전포장장치에 대해서설명한다.
포장재의 원반로울(R)로부터 풀어내어지는 포장재(F4)는 가이드로울(71)에 걸어지고 나서 도시하지 않는 서브모터에 의해 속도가 증감구동되는 포장재 풀어내기로울(72)과 회전자유자재인 니프로울(73)에 의해 견인되어 주행되도록 통과되고, 이어서, 단차로울(74)에 걸려지고 나서 가이드로울(75, 76)에 걸려진다.
단차로울(74)은 하류측으로부터의 포장재(F4)의 꺼냄에 대하여 풀기저항을 가볍고 일정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포장재풀기로울(72)은 단차로울(74)이 하한위치로 내려가면 필름의 풀어내는 양을 적게 하고, 또는, 상한 위치에 올라가면 필름의 풀어내는 양을 많게 한다.
이어서, 포장재(F4)는 주름부착장치(77)에 통과되어, 여기서 내면끼리가 합장형상으로 히트시일되어, 주름(h)이 주행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늘어나도록 부착되어, 또한 주름눕힘수단(78)에 주름(h)이 이송방향후방에 눕혀진다.
주름부착장치(77)는 포장재(F4)의 하면(외면)을 밀착하고 있는 상류측과 하류측의 슬릿형성 플레이트(77a, 77b)와, 슬릿형성 플레이트(77a, 77b)의 아래쪽에 대응하는 주름부착용 히트실러(77c, 77d)와, 슬릿형성 플레이트(77a, 77b)의 위쪽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포장재(F4)를 슬릿형성 플레이트(77a, 77b)로 눌러 붙이는 포장재누름 플레이트(77e, 77f)와, 슬릿형성 플레이트(77a, 77b)의 슬릿사이에 대응하여 포장재(F4)의 위쪽에 설치되어 있어 슬릿에 하강하여 주름접기를 하는 주름접음 플레이트(77g)로 이루어진다.
주름(h)의 형성은 포장재(F4)의 간헐주행의 정지시에 한다. 최초에 포장재누름 플레이트(77f)를 하강하여 포장재(F4)를 슬릿형성 플레이트(77b)에 눌러붙이고, 이어서, 주름접음 플레이트(77g)를 하강하여 포장재(F4)를 슬릿형성 플레이트 (77a, 77b)의 슬릿사이에 돌입하여 주름접기를 행하고, 이어서, 포장재누름 플레이트(77e)를 하강하여 포장재(F4)를 슬릿형성플레이트(77a) 눌러 붙이고 나서 주름접음 플레이트(77g)를 상승복귀하여, 이어서, 주름부착용 히트실러(77c, 77d)를 닫고 포장재(F4)의 주름접음 합장부에 히트시일을 실시하여 주름(h)을 형성하여, 이어서, 주름부착용 히트실러(77c, 77d)를 여는 동시에, 포장재누름 플레이트(77e, 77f)를 상승복귀시켜, 포장재(F4)를 주행가능하게 한다.
또, 주름접음 플레이트(77g)를 최초에 강하하여 주름접기를 행하여, 이어서, 포장재누름 플레이트(77e, 77f)에 하강하여 포장재(F4)를 눌러 주름접음 플레이트 (77g)를 상승하는 순서로 하더라도 실시가 가능하다.
주름눕힘수단(78)으로서, 도면에서는 한 쌍의 회전프리로울이 사용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포장재(F4)의 주행을 허가하여 주름(71)을 상류측에 눕히는 빈틈, 예를 들면 1.5mm∼3.0mm의 빈틈이 있도록 상하 한 쌍에 평판이 설치되어 있더라도 좋다.
이어서, 포장재(F4)는 가이드로울(79)에 걸려지고 나서 포머(80)의 도부(禱部:collar portion)(80a)에 걸려지고, 도 2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머(80)의 앞쪽이 열려 있는 단면 C형의 통부(80b)와 그 안쪽을 통과하고 있는 피포장물 충전통(81)과의 빈틈에 통과되어 해당 피포장물 충전통(81)을 대략 1번 감고 포장재 (F4)의 양 끝단가장자리가 피포장물 충전통(81)의 앞쪽에서 맞닿게 하도록 구부려지는 동시에, 양면 실런트필름으로 이루어지는 3층의 접속테이프를 감아서 이루어지는 릴(W)부터 풀어내어지는 해당 접속테이프(T)가 피포장물 충전통(81)의 앞쪽에 통과되어 포장재(F4)의 양 끝단가장자리의 안쪽에 봉해지도록 통과되고, 그리고, 도 2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센터히트시일바(91)가 피포장물 충전통(81)이 받침대로서 포장재(F4)의 양 끝단가장자리와 접속테이프(T)를 눌러 히트시일하는 것에 의해 포장재(F4)의 끝단끼리를 접속시일되어 포장통(H)이 된다.
또, 포장통(H)은 주름(h)이 위쪽방향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포머(10)의 통부(80b)와 피포장물충전(81)과의 빈틈에 통과할 수 있다.
이어서, 포장통(H)은 도 26 (c)-도 26 (d)-도 26 (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포장물 충전통(81)의 단면형상이 변화하는 상태에 따라서 변화한다. 도 26(c)에서는 포장통(H)이 직사각형으로 변화하여, 도 26(d)에서는 포장통(H)이 피포장물 충전통(81)의 양측에 홈을 형성하고 있는 리브(81a)가 있고, 이 홈에 가이드(82, 82)에 의해 눌러 붙여지고, 도 26(e)에서는 피포장물 충전통(81)의 양측의 홈을 형성하고 있는 리브가 없어져 그 만큼, 가이드(82, 82)의 폭이 커지고, 포장통(H)은 가이드(82)와 리브부착히트시일바(83)와의 빈틈을 통과하여 리브형상으로 접혀져서 간헐주행하고, 정지시에 리브부착히트시일바(83, 83)가 눌러지는 것에 의해 히트시일되어 리브(m)가 형성된다. 그리고, 도 26(f)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브(m)가 형성된 포장통(H)은 필름이송장치의 벨트(84, 84)에 의해 견인되어 피포장물 충전통(81)의 아래쪽으로 수직하강하여 간다.
각 주름(h)은 위쪽방향에 부착되어 있다. 주름(h)이 설치되는 피치는, 봉투높이치수와 주름에서 보텀 히트시일까지의 바닥면부를 형성하기 위한 치수(바람직하게는 사이드 거싯의 접어 넣기 치수와 대략 동일치수)와 보텀 히트시일에 필요한 치수와의 합계치수와 같은 길이이다. 필름이송장치는 주름(h)이 설치되는 피치와 같은 길이의 간헐이송을 한다.
이어서,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포장물 충전통(81)의 아래쪽으로 수직 하강하는 포장통(H)은 피포장물 충전통(81)의 하단보다 수직하강하는 4개의 포장통내 4귀퉁이 가이드(85)에 안내되어 직사각형통으로 유지되어, 커트마크위치를 끼워 상하위치로서 좌우측면의 폭중앙을 선단이 2갈래 형상인 한쌍의 바닥거싯형성용 돌입막대(86)에 의해 돌입하여지는 것에 의해, 아래쪽의 이것으로부터 히트시일·커트되어 잘라내어지는 세로 필로우포장체의 탑 히트시일의 안쪽에 접히는 탑 거싯, 및 위쪽의 다음에 세로 필로우포장체(P)가 되는 보텀 히트시일의 안쪽에 접히는 보텀 거싯이 형성된다. 그리고, 포장통(H)은 가로 히트실러(87, 87)에 의해서 2조의 히트시일(탑 히트시일과 보텀 히트시일)이 실시되는 동시에, 한쪽의 가로 히트실러(87)에 조립되어 있는 도시하지 않은 커터에 의해 2조의 히트시일 사이에 커트가 넣어져서 봉투의 잘라냄이 행하여진다.
가로 히트실러(87, 87)에 의해서 포장통(H)에 2조의 히트시일이 행하여지고 있는 동안에, 일정량의 피포장품이 호퍼(90)에 투입되어 피포장물 충전통(81)을 통과하여 낙하하여 가로히트실러(87, 87)의 위에 충전된다. 가로히트실러(87, 87)가 열리면, 필름이송장치의 벨트(84, 84)에 의해 필름이송이 행하여진다. 이상의 포장사이클을 반복한다.
잘라내어지는 세로 필로우포장체(P)는 주름(h)이 상단에 부착되어 있고, 이 때문에, 버큠식 유지·반전수단(88)에 의해 세로 필로우포장체의 양측면이 유지되어, 잘라낸 후에 상하반전되어 주름(h)이 하단에 붙은 상태로 컨베어(89)에 얹어 놓여져서 이송된다.
또, 잘라내어지는 세로 필로우포장체(P)는 상하 반전되어 주름(h)이 하단에 부착된 상태가 되기 때문에, 탑 히트시일과 보텀 히트시일은 포장체에 대해서 생각하면, 통상의 세로형 봉투제작 충전포장방법의 경우와는 역전하는 것이 된다.
도 27은 상기의 세로형 봉투제작 충전포장장치에 의해 제조되는 주름이 부착된 세로 필로우 포장체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이 주름이 부착된 세로 필로우포장체(P)는 주름(h)보다 아래쪽부분에 관한 것으로, 양측에 삼각형의 포켓형상의 보텀 거싯이 들어가 평면전개하여 바닥면부가 형성되어, 주름(h)이 바닥면부의 대략 둘레가장자리에 수직 하강하고 있어, 또한 주름(h)이 전면부와 우측면부와 좌측면부와 후면부에 대하여 동일평면을 이뤄 독립한 외관을 나타내지 않기 때문에 타이트한 포장형태를 느끼게 하여, 주름(h)이 바닥면부를 숨겨 안정한 자립성 각진 바닥봉투가 된다.
주름이 부착된 세로 필로우 포장체에 관한 발명의 주변범위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5에 나타내는 주름이 부착된 세로 필로우포장체를 제조할 수 있는 세로형 봉투제작 충전포장장치에 있어서, 포장통(H)에 리브를 설치하지 않더라도 좋다. 이 경우에는, 피포장물 충전통(81)을 상단으로부터 하단까지 동일지름의 원통으로할 수 있다. 또한, 보텀 거싯과 탑 거싯을 설치할 때는, 피포장물 충전통(81)의 하단에 포장통내 네 귀퉁이 가이드(85)를 설치하지 않더라도 좋다. 또한, 리브를 설치하지 않고, 헴(접는 선이 부착된 모서리선)을 설치하더라도 좋다.
도 25에 나타내는 주름이 부착된 세로 필로우 포장체를 제조할 수 있는 세로형 봉투제작 충전포장장치를 사용하여, 피포장물 충전통(81)의 앞쪽에서의 포장재 (F4)의 양 끝단가장자리의 서로 닫게 함은, 합장형 히트시일이더라도 좋고, 또는 한쪽의 끝단 가장자리의 외면에 다른쪽의 끝단가장자리의 내면을 밀착하여 접착하는, 소위 밀봉한 통부착 시일로 하더라도 좋다.
밀봉한 통부착 시일로 하는 경우는, 안쪽에 포개는 주름(71)의 2중의 끝단 가장자리중 바깥쪽부분을 소요형상에 잘라내는 동시에, 바깥쪽에 포개는 주름(71)의 2중의 끝단가장자리중 안쪽부분을 소요형상으로 잘라내어 서로 포개게 하여 히트시일하면, 해당 닫음은 개소의 양측의 주름(71)이 한 장형상이 된다. 또한, 포장재의 수평방향의 양 끝단가장자리의 닫음 위치는, 후면부 중앙이 아니라, 예를 들면, 우측면과 후면부와의 모서리의 근방이더라도 좋다. 이것들의 변형예는, 도 25에 나타내는 세로형 봉투제작 충전포장장치를 약간 변경하면 실현된다. 또한, 주름(h)을 봉투의 높이의 상단과 높이 중앙에도 설치하더라도 좋다.
도 25에 나타내는 주름첨부 세로 필로우포장체를 제조할 수 있는 세로형 봉투제작 충전포장장치에 장착하는 원반로울(R)은 포장재의 원반로울로부터 포장재를 풀어내어, 내면끼리가 합장형상에 히트시일되어 상류측에 눕혀져서 포장재의 폭방향으로 늘어나는 주름을, 소요치수의 배열피치가 되도록 형성한 주름을 갖는 포장재를 감아내어 이루어지는 원반로울이더라도 좋다. 즉, 본원발명의 주름이 부착된 세로 필로우포장체의 제조방법은, 포장재에 주름을 부착하는 것에 대해서, 아우트라인으로 행하더라도 좋다. 주름부착을 아우트라인으로 하는 경우에는, 통상에서는 주름이 주행방향 뒤쪽에 누워서 감겨지기 때문에, 이 대로의 주름을 갖는 포장재의 원반로울을 세로 필로우포장기에 걸고자 하면, 주름이 주행방향앞쪽으로 향하게 되어 포머에 걸려 버리기 때문에, 주름을 갖는 포장재의 원반로울의 다시감기를 행하거나, 또는 포장재에 주름을 부착한 후에 주름을 주행방향 앞쪽으로 눕히는 장치를 부하하여 이 장치에 통과시키고 나서 감아내도록 한다. 상기(12) 및 (13)의 주름이 부착된 세로 필로우포장체의 제조방법은, 실시의 형태에 나타내는 장치와는 다른 주름부착장치에서 주름부착을 행하더라도 좋고, 주름부착장치는 내면끼리가 합장형상에 히트시일되어 상류측에 눕혀져서 포장재의 폭방향으로 늘어나는 주름을 형성할 수 있으면 충분하다.
주름이 부착된 세로 필로우 포장체를 제작하기 위한 포장재(F4)는 예를 들면 제 1 실시의 형태의 설명에 있어서 사용된 포장재(F4)와 마찬가지의 적층필름 등으로 이루어진다.
주름(71)을 히트시일에 의해 형성하기 위해서, 포장재(F4)의 구성은 상기의 적층필름의 예시로부터 알 수 있듯이 내면이 실런트필름으로 되어 있다. 또, 포장재(F4)는 실런트필름단체로부터 구성되어 있더라도 좋다.
다음에 본원발명의 주름이 부착된 가로 필로우포장체의 제조방법에 대해서 도 2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8은 주름이 부착된 가로 필로우포장체를 제조할 수 있는 반대 필로우 포장체의 가로형 봉투제작 충전포장장치의 개략의 전체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8에 있어서, 원반로울(R1)은 주름을 갖는 포장재의 원반로울이고, 적어도 내면이 히트시일성을 갖고 있는 포장재로 이루어져 연속하는 방향에 대하여 직각방향에 띠형상으로 늘어나는 주름(h1)이 소요피치에 형성되어 있는 주름을 갖는 포장재(F5)로서, 주름(h1)은 내면끼리가 합장형상에 포개어 접혀져서 히트시일되어 풀어내는 방향 상류측에 눕혀지고, 또한 봉투를 제작시에 연속하는 방향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커트되는 각 커트예정 위치로부터 포장재 풀어내는 방향으로 봉투바닥면부의 형성에 필요한 소요치수 떨어진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주름을 갖는 포장재(F5)의 원반로울(R1)은 가이드로울(101)에 걸려지고 나서 도시하지 않은 서브모터에 의해 속도가 증감구동되는 포장재풀어내기 로울(102)과 회전자유자재인 니프로울(103)에 의해 눌러져서 풀어내어지도록 통과되고, 이어서, 가이드로울(104), 단차로울(105), 가이드로울(106), 사행교정로울(107)에 걸려진다.
단차로울(105)은 하류측으로부터의 주름을 갖는 포장재(F5)의 풀어내기에 대하여 풀어내기 저항을 작고 일정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포장재 풀어내기로울 (102)은 단차로울(105)이 하한위치에 내려가면 필름의 풀어내기량을 적게 하고, 또한, 상한 위치에 올라가면 필름의 풀어내기량을 많게 하도록 서브모터에 의해 회전된다.
이어서, 사행교정로울(107)에 걸려진 주름을 갖는 포장재(F5)의 원반로울(R1)은 상면이 열려진 단면 C형의 포머(108)에 대하여 아래쪽으로부터 위에 씌워지도록 걸려지고, 가이드부재(109, 109)의 눌러 넣음에 의해 포머(108)의 입구에서 포머(108)의 내면측에 접혀져서 포머(108)의 내면으로부터 떨어지지 않도록 이행하고 또한 포장재 양 끝단가장자리가 포머(108)의 상면의 슬릿을 안쪽에서 막도록 가로로 걸쳐진 앤빌플레이트(anvil plate)(110)의 상면폭중앙에서 맞닿아지는 동시에, 양면 실런트필름으로 이루어지는 3층의 접속테이프를 감아 이루어지는 릴(W)에서 풀어내어지는 해당 접속테이프(T)가 가이드로울(111, 112, 113, 114, 115)을 통해 앤빌플레이트(110)의 상면에 이끌어져서 맞닿게 하여 빈틈을 봉하도룩 포장재 양 끝단가장자리의 아래받침이 되어, 히트시일로울(116)이 앤빌플레이트(110)를 받침대로 하여 포장재(F5)의 양 끝단가장자리를 접속테이프(T)에 대하여 눌러 히트시일하는 것에 의해 포장재(F5)의 끝단 가장자리끼리가 접속시일되어 포장통(H)이 된다.
또, 주름을 갖는 포장재(F5)는 주름(h1)이 이송방향 뒤쪽으로 누워 있기 때문에, 포머(108)의 입구에서의 접을 때에 걸리지 않고 원활하게 구부려진다. 주름을 갖는 포장재(F5)는 주름(h1)이 이송방향 뒤쪽으로 누워 있는 것은, 바람직한 것이고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주름(h1)이 이송방향앞쪽으로 누워 있더라도 포머 (108)의 입구에서의 접을 때에 걸리지 않고 원활히 구부려지기 때문이다.
주름(h1)이 설치되는 피치는 원칙으로서, 봉투높이치수와 주름으로부터 보텀 히트시일까지의 바닥면부를 형성하기 위한 치수(바람직하게는 사이드 거싯의 접어 넣기 치수와 대략 동일치수)와 보텀 히트시일에 필요한 치수와의 합계치수와 같은길이이다.
포머(108)의 상류측의 반입컨베어(117)는 예를 들면 엔들레스체인(117a)에 일정피치에 부설된 반송손톱(117b)에서 레인테이블(117c)에 얹어 놓고 공급되는 피포장품(A1, A1, …)을 눌러 이동하도록 되어 있고, 포머(108)의 입구로 이송해 넣어 주름(h1)사이의 소요위치에 위치하는 소정피치가 되도록 포머(108)의 안쪽에 형성되는 포장통(H1)내에 이송공급한다.
이어서, 포머(108)의 지점에서 형성되는 포장통(H1)은 포머(108)의 하류측 반부의 아래쪽에 설치된 버큠기능부착 포장재 견인용 벨트 컨베어(118)에 의해 흡인되어 주행되도록 되고 있고, 계속해서, 반송용 셔틀컨베어(119)에 의해 반송되고, 또한, 박스모션타입의 엔드시일 커터장치(120)의 하류측의 반출용 셔틀컨베어 (121)에 의해 반송되도록 되어 있다.
엔드시일커터장치(120)는 히트실러(120a, 120b)가 열린 상태로부터 포장통 (H1)에 대하여 피포장물과 피포장물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포장통(H1)의 이송에 동조하여 이동하면서 서로 근접이동하여 포장통(H1)의 높이 중앙에서 서로 맞물려 2조 히트시일을 계속 행하여 포장통(H1)의 이송에 동조하여 이동하면서 한쪽의 히트실러(120b)에 조립된 커터(120c)가 2조 히트시일의 중앙을 커트하여, 그 후 히트실러(120a, 120b)가 서로 이간하여 상류로 복귀이동하는 박스모션을 하게 되어 있다.
컨베어(119, 121)가 셔틀컨베어구조인 것은 엔드시일커터장치(120)가 박스모션타입이 있는 것에 대응하고 있고, 아래쪽의 히트실러(120a)가 상승해 올 때 빈틈을 비우고 해당 빈틈위치를 히트실러(120a)의 이동에 동조하여 변동하여, 엔드시일·커트가 종료하여 아래쪽의 히트실러(120a)가 하강하면 빈틈을 해소한다. 또, 엔드시일커터장치는 회전히트시일·커터타입이더라도 좋다.
엔드시일커터장치(120)에 부수하여 한 쌍의 거싯형성용 돌입 손톱(122a, 122b)이 설치되어 있다. 해당 한 쌍의 거싯형성용 돌입 손톱(122a, 122b), 상기 2조 히트시일을 실시할 때에 히트실러(120a, 120b)의 서로 닫는 동작에 선행하여 히트실러(120a, 120b)의 포장재 이송방향 양측의 가장자리의 높이중단에 돌입하여 거싯(매치)을 부착한다.
이상의 공정에 의해 포장이 완료한다. 잘라내어진 포장체를 90도 회전시키면, 바닥면부의 둘레가장자리에 주름이 수직 하강하여 바닥면부를 숨겨 안정한 자립성을 갖고 타이트한 포장형태를 느낄 수 있는 주름이 부착된 가로 필로우포장체가 된다. 도 29는 주름이 부착된 가로 필로우포장체의 단체에 관해서의 포장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간략히 설명하면,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면측이 실런트필름인 포장재에, 봉투의 상하방향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늘어나 있고 띠형상으로 3장이 포개어지도록 접어 해당 접은 부분의 내면이 포개진 면을 용융부착하여 이루어지는 외면측에 늘어져 내려가는 주름(h1)을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주름을 갖는 포장재(F5)를 사용한다.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름을 갖는 포장재(F5)를 전면부, 후면부, 우측면부와 좌측면부를 갖는 각진 통형상으로 구부리고, 또한 후면부의 중앙으로 포장재의 양 끝단 가장자리를 맞닿게 하여 그 안쪽에 양면 실런트필름으로 이루어지는 3층의 접속테이프(T)를 봉하도록 배치하여 포장재의 양 끝단 가장자리를 접속테이프(T)에 대하여 히트시일하여 주름이 부착된 각진 통으로 한다. 이어서, 피포장품(도시하지 않음)을 수용하고 나서 (b)에 나타내는 주름(h1)보다 끝단부측 부분(123)의 양측면에 거싯을 넣으면서 보텀 히트시일을 실시하여, 마찬가지로 반대측의 양측면에도 거싯을 넣으면서 탑 히트시일을 실시하면,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텀 히트시일(124)과 탑시일러(125)를 실시하여 이루어지는 주름이 부착된 거싯부착 가로 필로우 포장봉투로서 완성한다.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90도 회전하여 보텀 히트시일(124)을 실시한 면을 바닥면부로 하면, 주름(h1)이 한 둘레에 걸쳐 수직 하강하여 바닥면부와 보텀 히트시일을 숨겨 안정한 자립성을 갖는 포장용 봉투가 된다.
본원발명의 주변범위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실시의 형태는, 반대 필로우타입의 가로형 봉투제작 충전포장을 나타내고 있지만, 바른 필로우 타입의 가로형 봉투제작 충전포장도 포함된다. 또한, 상기 실시의 형태는 미리 주름을 부착한 원반을 사용하고 있거나, 인라인으로 주름을 부착하는 경우도 포함된다. 또한, 상기 실시의 형태는, 포장재의 양 끝단시일의 안쪽에 통과시키는 띠형상의 밀봉테이프에 대하여 히트시일하여 각진 터널형상의 포장통으로 하고 있지만, 포장재의 양측 가장자리가 합장형 히트시일이거나, 또는 한쪽의 끝단 가장자리의 외면에 다른쪽의 끝단 가장자리의 내면을 밀착하여 접착하는, 소위 밀봉한 통부착 시일인 직접 히트시일접속에 의해 각진 터널형상의 포장통으로 하는 경우도 포함된다. 또한, 상기 실시의 형태는 거싯을 부착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지만, 거싯은 부착하지 않더라도, 주름으로부터 아래쪽부분을 주름의 안쪽에 숨기도록 접을 수 있기 때문에, 거싯은 붙이는 것은 필수적이지 않다. 주름폭(포장재가 연속하는 방향의 포개진 접착부분의 길이)이 크건 작건 어느쪽에도 적용할 수 있다. 주름폭이 큰 원반을 사용할 때는, 주름폭의 최대가, 원칙으로서 주름의 기단에서 엔드시일까지의 길이를 측면부의 폭의 절반에 넣어져 이에 따라 줄어들도록 정한다. 그렇게 하여, 주름폭이 큰 원반을 사용하면, 만들어진 가로 필로우 포장체는 주름의 안쪽이 빈 바닥을 올린 상태가 되기 때문에 다단에 쌓아 올려 선반에 전시할 수 있다.
주름을 갖는 포장재(F5)는 제 1 실시의 형태의 설명에 있어서 사용한 포장재 (F)와 같은 적층필름 등으로 이루어진다.
주름(101)을 히트시일에 의해 형성하기 위해서, 포장재(F5)의 구성은, 상기의 적층필름의 예시로부터 알 수 있듯이 내면이 실런트필름으로 되어 있다. 또, 포장재(F5)는 실런트필름단체로부터 구성되어 있더라도 좋다.
본원발명은 띠형상으로 3장이 포개지도록 되접어 해당 접은 부분의 내면끼리를 접착하여 이루어지는 주름을 적어도 전면부와 후면부의 하단 또는 둘레면부의 하단에 구비하여 바닥면부를 숨겨 타이트한 포장형태를 느끼게 하는 자립성 포장봉투, 포장체 및 주름을 갖는 포장재의 원반로울 및 그것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상 설명해 온 바와 같이, 본원발명의 자립성 포장봉투 및 포장체는 띠형상으로 3장이 포개어지도록 접어 해당 접은 부분의 내면끼리를 접착하여 이루어지는 주름을 적어도 전면부와 후면부의 하단 또는 둘레면부의 하단에 구비하여 바닥면부를 숨기도록 한 구성을 갖고, 평면형상의 포장재가 주름을 형성한 후에 봉투를 제작하기 때문에, 주름에 구김살이 발생하는 우려가 없어, 외관이 예쁜 포장봉투를 얻을 수 있고, 주름이 전후면 또는 둘레면부의 연장단 가장자리에 위치하여, 주름만이 독립한 외관을 나타내지 않고 전후면 또는 둘레면부와 1평면을 형성하고 있기때문에 타이트한 포장형태가 생겨, 미관에 뛰어난 포장체를 제조할 수 있고, 또한, 주름에서의 밀봉성이 확보되기 때문에 액체용기로서 바람직한 것이 된다.
본원발명의 주름을 갖는 포장재의 원반로울은 봉투제작기나 필로우포장기에 주름을 갖는 포장재의 원반로울을 걸어 주름을 갖는 편평한 봉투나 주름을 갖는 필로우포장체를 연속적으로 양산할 수 있다. 자세히는, 본원발명의 주름을 갖는 포장재의 원반로울은, 내면끼리가 합장형상에 접착되어 눕혀진 주름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봉투제작기나 필로우포장기의 포머에 주름을 갖지 않는 포장재와 바뀌지 않고 걸 수 있어 양호하게 포장통이 구부려지고, 주름을 갖지 않는 포장재와 변하는 일없이 봉투를 제작되는 것이면서, 주름을 갖는 편평한 봉투나 주름을 갖는 필로우포장체를 연속적으로 양산할 수 있다. 본원발명의 주름을 갖는 포장재의 원반로울은 주름의 길이를 임의의 크기로 할 수 있고, 주름의 길이를 크게 하면 포장체로 하였을 때에 주름으로 둘러싸이는 공간의 길이를 크게 잡을 수 있어, 다수의 포장체를 쌓아 올려서 진열할 수 있다.
또한 본원발명의 주름이 부착된 세로 필로우포장체의 제조방법에 의해서, 주름에 구김살이 발생할 우려가 없어 외관이 예쁜 주름을 얻을 수 있고, 주름부분의 완전밀봉이 확보되기 때문에 액체용기로 하더라도 적합한 주름을 갖는 세로 필로우포장체를 연속적으로 양산할 수 있다.
또한, 주름을 형성하는 것에 있어서 포장재의 하류측이 잡아당겨지지 않기 때문에, 주름과 주름과의 간격치수가 정확하게 되어, 주름이 부착된 세로 필로우 포장체의 제조방법을 실시한 경우에, 포장체가 균일한 크기가 된다.
또한, 주름의 길이(포장재의 주행방향에 따른 주름의 길이)를 원하는 크기로 할 수 있기 때문에, 두껍고 탄력성이 강한 포장재를 사용하여 봉투를 제작하도록 하여 주름의 길이를 크게 하고, 쌓아 올려서 상품을 전시할 수 있는 세로 필로우 포장체를 양산할 수 있다.
또한 본원발명의 주름을 갖는 가로 필로우 포장체의 제조방법은, 주름을 갖는 포장재를 사용하여 가로형 봉투제작 충전포장을 하는 것으로, 주름부분의 완전밀봉이 확보되어 액체용기로 하더라도 적합한 형태의 주름을 갖는 가로 필로우포장체를 연속적으로 양산할 수 있다.
Claims (15)
- 봉투의 상하방향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늘어나는 주름으로서 띠형상으로 3장이 포개어지도록 접어 해당 접은 부분의 내면끼리를 접착하여 이루어지는 주름을 갖는 포장재의 양 끝단 시일을 밀봉 접속하여 각진 통 또는 각이 둥글게 되어 있는 각진 통으로 하여 전면부와 좌우측면부와 후면부가 형성되어 각진 통의 하부가 접혀서 바닥면부가 구성되어 입체형태로 봉투가 제작된 자립성 포장봉투로서, 상기 주름이, 전면부와 좌우측면부와 후면부의 각각이 동일평면이 되어 하단으로 연장한 위치에 있고, 상기 바닥면부와 주름이면부는 주름이면부의 상단에서 대략 직각이 되어, 해당 주름이 해당 바닥면부를 숨기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성 포장봉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와 상기 측면부와의 모서리 및 상기 후면부와 상기 측면부와의 모서리에, 합장형상의 히트시일이 실시되어 이루어지는 리브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성 포장봉투.
- 봉투의 상하방향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늘어나는 주름으로서, 띠형상으로 3장이 포개어지도록 접어 해당 접은 부분의 내면끼리를 접착하여 이루어지는 주름을 갖는 포장재에 의해, 적어도 전면부와 후면부가 구성되고, 측면부가 되는 사이드 거싯을 양측 또는 한쪽에 구비하여 보텀 히트시일 또는 탑 히트시일이 실시되어 편평한 형태로 봉투가 제작된 자립성 포장봉투로서, 입체적으로 봉투를 열어 피포장품을 수용하여 개구를 닫았을 때에, 적어도 전면부와 바닥면부의 모서리와 후면부와 바닥면부의 모서리에 상기 주름을 구비하여, 상기 주름이, 전면부 및 후면부는 동일 평면이 되고, 상기 바닥면부와는 주름이면 상단으로부터 대략 직각이 되고, 또한 전면부 또는 후면부의 방향으로부터 보아 해당 바닥면부를 숨기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성 포장봉투.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의 양측 가장자리와 상기 후면부의 양측 가장자리에 리브가 형성되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성 포장봉투.
-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을 2조 갖는 포장재에 의해 봉투가 제작되어 있고, 적어도 전면부와 후면부에서, 2조의 주름이 아래가장자리 및 위가장자리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성 포장봉투.
-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을 3조 갖는 포장재에 의해 봉투가 제작되어 있고, 적어도 전면부와 후면부에서, 3조의 주름이 아래가장자리, 중간정도 및 위가장자리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성 포장봉투.
-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자립성 포장봉투에 피포장품을 수용하고 닫아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
- 봉투의 상하방향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늘어나는 주름으로서 띠형상으로 3장이 포개어지도록 접어 해당 접은 부분의 내면끼리를 접착하여 이루어지는 주름을 갖는 포장재에 의해, 해당 포장재를 수평단면이 루프형상이 되도록 구부려 후면부에서 양측 가장자리를 닫아 히트시일하여 편평한 통형상이 되어 보텀 히트시일 또는 탑 히트시일이 실시되어 편평한 형태로 봉투가 제작된 자립성 포장봉투로서, 입체적으로 봉투를 열어 피포장품을 수용하여 개구를 닫았을 때에, 상기 주름이 둘레면부와는 동일곡면이 되고, 상기 바닥면부와 주름이면부는 주름 이면부의 상단에서 대략 직각이 되고, 해당 주름이 바닥면부를 숨기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성 포장봉투.
- 봉투의 상하방향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늘어나는 주름으로서 띠형상으로 3장이 포개어지도록 접어 해당 접은 부분의 내면끼리를 접착하여 이루어지는 주름을 갖는 포장재에 의해, 해당 포장재를 수평단면이 편평한 원이 되도록 루프형상으로 구부려 폭방향의 양측 가장자리를 닫고 히트시일하여 통형상이 되어 피포장품을 수용하여 하단에 보텀 히트시일을 실시하는 동시에 상단에 탑 히트시일을 실시하여 이루어지고, 적어도 바닥면부의 둘레가장자리에 상기 주름을 구비하여, 해당 주름은 둘레면부를 연장한 면을 구성하고 있고 상기 바닥면부와는 주름이면 상단보다 대략 직각이 되어, 해당 주름이 해당 바닥면부를 숨기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
- 적어도 내면이 히트시일성을 갖고 있는 포장재로 이루어져 연속하는 방향에 대하여 직각방향에 띠형상으로 늘어나는 주름이 소요피치에 형성되어 있는 주름을 갖는 포장재로서, 상기 주름은 내면끼리가 합장형상으로 몇 겹으로 포개져서 히트시일되고, 또한 봉투 제작시에 연속하는 방향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커트되는 각 커트예정위치로부터 포장재를 풀어내는 방향으로 봉투바닥면부의 형성에 필요한 소요 치수 떨어진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을 갖는 포장재의 원반로울.
- 적어도 내면이 히트시일성을 갖고 있는 원반로울을 풀어내어 간헐주행시키거나 또는 연속주행시켜, 상류측과 하류측에 소정의 빈틈을 설치하여 배치한 슬릿형성 플레이트에 포장재의 외면을 미끄럼 접촉하여 포장재의 간헐주행의 정지시 또는 연속주행의 상대적인 정지시에 주름접음 플레이트를 슬릿형성 플레이트사이의 틈새에 돌입하는 것에 의해 포장재의 내면끼리가 합장형상으로 몇 겹으로 포개지고, 또한 포장재의 연속하는 방향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늘어나는 주름접기를 행하여, 이어서, 상기 주름접음부를 히트시일하여 주름을 형성하고, 이상의 공정을 반복하여 주름을 소요피치에 형성하여, 주름이 상류측에 눕혀진 상태로 감아낸 것을 다시 감아서 주름을 갖는 포장재의 원반로울로 하거나, 또는 주름이 하류측에 눕혀진 상태로 직접 감아 주름을 갖는 포장재의 원반로울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을 갖는 포장재의 원반로울의 제조방법.
- 원반로울을 풀어내어, 내면끼리가 합장형상으로 히트시일되어 상류측에 눕혀져서 포장재의 폭방향으로 늘어나는 주름을 소요치수의 배열피치가 되도록 형성하여, 이어서, 해당 주름을 갖는 포장재를 포머에 걸어서 해당 포머의 안쪽으로 통과된 피포장물 충전통을 대략 1번 감도록 통형상으로 구부려 포장재의 양측 가장자리를 접속시일하여 포장통으로 한 것을 피포장물 충전통의 아래쪽으로 수직 하강시키고 있고, 이어서, 피포장물 충전통의 아래쪽에서 포장통의 주름으로부터 소요 거리 떨어진 위치를 2조의 히트실러에 의해서 2조의 히트시일을 실시하는 동시에, 피포장물 충전통내를 통해서 피충전물을 낙하충전하여, 2조의 히트시일사이를 잘라 내는 것에 의해 자립성의 세로 필로우 포장체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을 갖는 세로 필로우 포장체의 제조방법.
- 주름을 갖는 포장재의 원반로울로부터 주름을 갖는 포장재를 풀어내어 포머에 걸어 해당 포머의 안쪽으로 통과된 피포장물 충전통을 대략 1번 감도록 통형상으로 구부려 포장재의 양측 가장자리를 접속시일하여 포장통으로 하여 피포장물 충전통의 아래쪽으로 수직 하강시키고 있고, 이어서, 피포장물 충전통의 아래쪽에서 포장통의 주름으로부터 소요 거리 떨어진 위치를 2조의 히트실러에 의해서 2조의 히트시일을 실시하는 동시에, 피포장물 충전통내를 통해서 피충전물을 낙하충전하여, 2조의 히트시일사이를 잘라 내는 것에 의해 자립성의 세로 필로우 포장체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을 갖는 세로 필로우 포장체의 제조방법.
-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원반로울의 외면을 상류측과 하류측의 슬릿형성 플레이트에 밀착하여, 포장재의 간헐주행의 정지시에 하류측의 슬릿형성 플레이트와 이에 대응하는 포장재누름 플레이트로 포장재를 고정하고 나서, 주름접음 플레이트를 상류측과 하류측의 슬릿형성 플레이트사이의 틈에 돌입하여 포장재의 상류측을 잡아 당겨서 주름접기를 행하고, 이어서, 상류측의 슬릿형성 플레이트와 이에 대응하는 포장재누름 플레이트로 포장재의 주름시의 상류측의 가장자리를 고정하고 나서 주름접음 플레이트를 후퇴복귀시키고, 이어서, 상류측과 하류측의 슬릿형성 플레이트에 대응하여 설치된 한 쌍의 주름부착용 히트실러를 폐색이동시켜 상기 주름 접은 부분에 주름부착 히트시일을 실시하고, 이어서, 한 쌍의 주름부착용 히트실러를 개방이동 시키는 동시에 상류측과 하류측의 포장재누름 플레이트를 후퇴복귀시켜, 이어서, 원반로울의 다음 간헐주행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을 갖는 세로 필로우 포장체의 제조방법.
- 포장재의 연속하는 방향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늘어나는 주름으로서, 접은 부분의 내면끼리가 접착되어 옆으로 눕혀진 주름을 갖는 포장재를 포머에 걸어 각진 통형상으로 구부려 포장재의 양 끝단 가장자리를 직접 히트시일 접속하거나 또는 포장재의 양 끝단 가장자리의 안쪽에 통과시키는 띠형상의 눈금부착 테이프에 대하여 히트시일하여 각진 통형상의 포장통으로서 연속이송하는 동시에, 반입 컨베어에 의해 피포장품을 주름과 주름과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포머안쪽에 형성되는 상기 포장통내에 이송 공급하고, 이어서, 포머의 하류측에서 포장통의 피포장품사이에 위치에 2조의 히트실러에 의해 2조의 히트시일을 실시하는 동시에 2조의 히트시일 사이를 잘라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을 갖는 가로 필로우 포장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1392280A JP3965297B2 (ja) | 2001-12-25 | 2001-12-25 | 自立性包装袋及び包装体 |
JPJP-P-2001-00392280 | 2001-12-25 | ||
JPJP-P-2002-00017259 | 2002-01-25 | ||
JP2002017259A JP4118568B2 (ja) | 2002-01-25 | 2002-01-25 | ヒダ付き縦ピロー包装体の製造方法 |
JPJP-P-2002-00034407 | 2002-02-12 | ||
JP2002034407A JP4118570B2 (ja) | 2002-02-12 | 2002-02-12 | ヒダ付き包材の原反ロール及びヒダ付き包材の原反ロールの製造方法 |
JPJP-P-2002-00057941 | 2002-03-04 | ||
JP2002057941A JP3891861B2 (ja) | 2002-03-04 | 2002-03-04 | ヒダ付き横ピロー包装体の製造方法 |
PCT/JP2002/013487 WO2003055760A1 (fr) | 2001-12-25 | 2002-12-25 | Sac d'emballage auto-portant, element d'emballage, rouleau de bande et procede de fabrication correspondan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039496A true KR20040039496A (ko) | 2004-05-10 |
KR100616288B1 KR100616288B1 (ko) | 2006-08-28 |
Family
ID=27482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7005494A KR100616288B1 (ko) | 2001-12-25 | 2002-12-25 | 자립성 포장봉투, 포장체 및 원반로울 및 그들의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7156556B2 (ko) |
EP (1) | EP1459995A4 (ko) |
KR (1) | KR100616288B1 (ko) |
CN (1) | CN100352738C (ko) |
AU (1) | AU2002367107B2 (ko) |
CA (1) | CA2460846C (ko) |
WO (1) | WO2003055760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IT1305240B1 (it) * | 1998-06-04 | 2001-04-19 | Burgopack Stampa Trasformazione Imballaggi Spa | Un procedimento per realizzare confezioni a tubo in materialeflessibile, una apparecchiatura per effettuare il procedimento ed una |
DE10342742A1 (de) * | 2003-09-16 | 2005-05-12 | Braun Melsungen Ag | Behälter für Infusionsflüssigkeiten |
US20050244084A1 (en) * | 2004-05-03 | 2005-11-03 | Tilman Paul A | Reclosable stand-up packag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
CA2486631A1 (en) | 2004-11-03 | 2006-05-03 | Patrice Maltais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bales of compressible loose material |
US7275354B2 (en) * | 2005-01-05 | 2007-10-02 | Cmd Corporation | Vertical form, fill and seal packaging system |
US7325379B2 (en) | 2005-01-05 | 2008-02-05 | Cmd Corporation | Pleat adjustment in vertical, form, film and seal packaging system and method |
US7322169B2 (en) * | 2005-01-05 | 2008-01-29 | Cmd Corporation | Vertical, form, fill and seal packaging system |
CA2626671C (en) * | 2005-10-19 | 2013-07-09 | Orihiro Engineering Co., Ltd. | A packaging apparatus having a mechanism for bonding films together |
US10279557B2 (en) | 2006-01-13 | 2019-05-07 | Cmd Corporation |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skirtless seals |
US8029428B2 (en) | 2006-01-13 | 2011-10-04 | Cmd Corporation |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skirtless seals |
US20070295794A1 (en) * | 2006-06-21 | 2007-12-27 | Diamond Packaging | Curvilinear product package |
US20090019817A1 (en) * | 2006-09-14 | 2009-01-22 | Cmd Corporation | Bag Machine And Winder |
US8616768B2 (en) * | 2006-10-27 | 2013-12-31 | Chokoku Plast Corporation | Pleated stand-up packaging pouch, pleated stand-up packaging body, feed roll for pleated stand-up packaging bod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pleated stand-up packaging body |
US8066137B2 (en) * | 2007-08-08 | 2011-11-29 | Clear Lam Packaging, Inc. | Flexible, stackable container including a lid and package body folded from a single sheet of film |
US8231024B2 (en) | 2007-08-08 | 2012-07-31 | Clear Lam Packaging, Inc. | Flexible, stackable container and method and system for manufacturing same |
NL1035429C2 (nl) * | 2008-05-16 | 2009-11-17 | Pmb Uva Internat B V | Inrichting voor het verpakken van producten in een folieverpakking. |
EP2376338A4 (en) * | 2008-11-06 | 2012-12-26 | Clear Lam Packaging Inc | STACKABLE FLEXIBLE CONTAINER AND METHOD AND SYSTEM FOR MANUFACTURING THE SAME |
US9809342B2 (en) | 2009-11-24 | 2017-11-07 |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A. | Device and a method for improved folding of a container |
JP5400585B2 (ja) * | 2009-11-27 | 2014-01-29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吸収性物品の包装体 |
JP4499832B1 (ja) * | 2010-02-05 | 2010-07-07 | トタニ技研工業株式会社 | 製袋機 |
FI8792U1 (fi) * | 2010-04-23 | 2010-07-21 | Matti Koskinen | Juomavalmisteen pakkaus |
ES2646747T3 (es) * | 2010-12-30 | 2017-12-15 | The Hershey Company | Contenedor de película flexible |
US20120298663A1 (en) * | 2011-05-26 | 2012-11-29 | Printpack Illinois, Inc. | Flexible sturdy base container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
CN102248707B (zh) * | 2011-07-11 | 2013-08-28 | 广东中包机械有限公司 | 全自动多功能多制式一体化制袋机的自立装置 |
US8961012B2 (en) * | 2012-10-19 | 2015-02-24 | Peel Plastic Products Limited | Bag with handle |
CA2888741C (en) | 2012-10-26 | 2022-01-04 | James J. Sanfilippo | Flexible packag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
US10207850B2 (en) | 2012-10-26 | 2019-02-19 | Primapak, Llc. | Flexible package and method of making same |
CN102963036B (zh) * | 2012-11-28 | 2014-03-26 | 无锡市铁民印刷机械有限公司 | 一种具有侧面折边的塑料袋的加工方法 |
USD725467S1 (en) | 2013-07-30 | 2015-03-31 | Clear Lam Packaging, Inc. | Package |
USD726535S1 (en) | 2013-07-30 | 2015-04-14 | Clear Lam Packaging, Inc. | Package |
USD715643S1 (en) | 2013-07-30 | 2014-10-21 | Clear Lam Packaging, Inc. | Package |
USD739232S1 (en) | 2013-07-30 | 2015-09-22 | Clear Lam Packaging, Inc. | Film used to make packages |
USD747189S1 (en) | 2013-09-09 | 2016-01-12 | Clear Lam Packaging, Inc. | Package |
JP6219657B2 (ja) * | 2013-10-01 | 2017-10-25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パッケージ及び製造方法 |
USD733549S1 (en) | 2013-10-25 | 2015-07-07 | Clear Lam Packaging, Inc. | Package |
US9840346B2 (en) * | 2013-11-01 | 2017-12-12 | Frito-Lay North America,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 structurally resilient package |
US9902517B2 (en) * | 2013-11-01 | 2018-02-27 | Frito-Lay North America, Inc. | Apparatus and method for a structurally resilient package |
USD777026S1 (en) | 2013-11-12 | 2017-01-24 | Clear Lam Packaging, Inc. | Package |
USD764914S1 (en) | 2013-11-12 | 2016-08-30 | Clear Lam Packaging, Inc. | Package |
USD768479S1 (en) | 2014-01-16 | 2016-10-11 | Clear Lam Packaging, Inc. | Package |
USD761651S1 (en) | 2014-01-28 | 2016-07-19 | Clear Lam Packaging, Inc. | Package |
USD747195S1 (en) | 2014-02-14 | 2016-01-12 | Clear Lam Packaging, Inc. | Film for packaging production |
USD748471S1 (en) | 2014-02-14 | 2016-02-02 | Clear Lam Packaging, Inc. | Film for packaging production |
USD747202S1 (en) | 2014-02-28 | 2016-01-12 | Clear Lam Packaging, Inc. | Film used to make packages |
USD766082S1 (en) | 2014-02-28 | 2016-09-13 | Clear Lam Packaging, Inc. | Package |
USD753995S1 (en) | 2014-03-07 | 2016-04-19 | Clear Lam Packaging, Inc. | Film for packaging production |
USD750477S1 (en) | 2014-03-07 | 2016-03-01 | Clear Lam Packaging, Inc. | Package |
USD740114S1 (en) | 2014-03-07 | 2015-10-06 | Clear Lam Packaging, Inc. | Package |
USD730725S1 (en) | 2014-03-07 | 2015-06-02 | Clear Lam Packaging, Inc. | Package |
USD813663S1 (en) | 2014-03-13 | 2018-03-27 | Primapak, Llc | Package |
USD753996S1 (en) | 2014-03-26 | 2016-04-19 | Clear Lam Packaging, Inc. | Package |
US10994882B2 (en) | 2014-05-19 | 2021-05-04 | Primapak, Llc |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a flexible package |
USD734144S1 (en) | 2014-05-30 | 2015-07-14 | Clear Lam Packaging, Inc. | Package |
USD746673S1 (en) | 2014-06-20 | 2016-01-05 | Clear Lam Packaging, Inc. | Package |
USD747646S1 (en) | 2014-06-20 | 2016-01-19 | Clear Lam Packaging, Inc. | Package |
USD781702S1 (en) | 2014-08-25 | 2017-03-21 | Clear Lam Packaging, Inc. | Material for packaging production |
USD754534S1 (en) | 2014-09-25 | 2016-04-26 | Clear Lam Packaging, Inc. | Package |
USD772069S1 (en) | 2014-09-25 | 2016-11-22 | Clear Lam Packaging, Inc. | Film for making packages |
USD778719S1 (en) | 2014-10-15 | 2017-02-14 | Clear Lam Packaging, Inc. | Package |
USD788582S1 (en) | 2014-10-31 | 2017-06-06 | Clear Lam Packaging, Inc. | Film for packaging production |
USD784127S1 (en) | 2014-10-31 | 2017-04-18 | Clear Lam Packaging, Inc. | Film for packaging production |
USD756219S1 (en) | 2014-10-31 | 2016-05-17 | Clear Lam Packaging, Inc. | Package |
USD787319S1 (en) | 2014-11-17 | 2017-05-23 | Clear Lam Packaging, Inc. | Package |
AU2016233602B2 (en) * | 2015-03-18 | 2020-07-30 | Kellanova | Flat-bottom stand-up bag, vertical form, fill, and seal system and methodology for utilizing the same |
TWI583601B (zh) * | 2015-06-01 | 2017-05-21 | yi-qi Weng | Packaging bags and packaging bags manufacturing methods |
EP3350084B1 (en) | 2015-09-18 | 2024-07-17 | Primapak, LLC |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a flexible package |
US9475248B1 (en) | 2015-10-16 | 2016-10-25 | James Russell | Method of manufacturing a flat bottom pouch |
US20180105296A1 (en) * | 2016-10-14 | 2018-04-19 | Innoflex Incorporated | Method of forming bottom-gusseted package with tape elements |
WO2018135445A1 (ja) * | 2017-01-18 | 2018-07-26 | 株式会社彫刻プラスト | ヒダ付き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ヒダ付き包装体の製造方法 |
JP6925178B2 (ja) * | 2017-06-22 | 2021-08-25 | 株式会社細川洋行 | スパウト付包装袋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内容物入りスパウト付包装袋 |
JP7203553B2 (ja) * | 2018-10-01 | 2023-01-13 | 株式会社細川洋行 | 角底包装袋、包装体、および角底包装袋の製造方法 |
JP7525114B2 (ja) * | 2018-11-06 | 2024-07-30 | 四国化工機株式会社 | 充填包装機、内容物充填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
IT201900004261A1 (it) * | 2019-03-25 | 2020-09-25 | Goglio Spa | Contenitore flessibile autosupportante, metodo e apparato per produrre tale contenitore |
WO2020262614A1 (ja) * | 2019-06-28 | 2020-12-30 | マルハニチロ株式会社 | 冷凍食品入り袋製品 |
CN110712392B (zh) * | 2019-10-28 | 2024-08-13 | 温州张氏包装设备科技有限公司 | 灌装机 |
WO2021210102A1 (ja) * | 2020-04-15 | 2021-10-21 | コアレックス信栄株式会社 | ピロー包装体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
CN113844094A (zh) * | 2021-09-30 | 2021-12-28 | 江苏华港医药包装有限公司 | 印刷膜片分切熔合式包装袋制袋机及制袋工艺 |
CN114619708B (zh) * | 2022-03-14 | 2023-11-24 | 百林科制药装备科技(江苏)有限公司 | 薄膜袋制备方法和薄膜袋 |
Family Cites Families (2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414236A (en) * | 1921-02-25 | 1922-04-25 | Walmsley William Edward | Collapsible box |
US2070747A (en) * | 1933-02-02 | 1937-02-16 | Gerh Arehns Mek Verkst Ab | Receptacle |
US2063645A (en) * | 1933-07-20 | 1936-12-08 | Kartles Ltd | Container or carton |
US2996233A (en) * | 1958-12-23 | 1961-08-15 | Socony Mobil Oil Co Inc | Milk container construction |
JPS4737879Y1 (ko) | 1968-11-02 | 1972-11-16 | ||
FR2215359B1 (ko) * | 1973-01-26 | 1980-03-21 | Doyen Leon | |
JPS5659506U (ko) | 1979-10-13 | 1981-05-21 | ||
FR2617123B1 (fr) * | 1987-06-26 | 1989-12-29 | Newtec Int | Bande avec renfort longitudinal, procede d'emballage et emballage comportant une telle bande, installation et machine pour la mise en oeuvre du procede d'emballage, et dispositif pour la realisation d'une telle bande |
JP3410142B2 (ja) | 1993-03-30 | 2003-05-26 | 株式会社平野屋物産 | 開封容易とした自立可能な合成樹脂製袋 |
US5437406A (en) * | 1993-07-02 | 1995-08-01 | International Paper | Semi-rigid cereal carton |
JPH1143155A (ja) * | 1997-07-23 | 1999-02-16 | Hosokawa Yoko Co Ltd | 液体容器 |
JPH1170947A (ja) | 1997-08-27 | 1999-03-16 | Daiwa Gravure Co Ltd | 液体密封用袋 |
JPH11227801A (ja) | 1998-02-19 | 1999-08-24 | Toppan Printing Co Ltd | 液体用包装容器と液体用包装容器の開封方法 |
JP4127424B2 (ja) | 1998-04-28 | 2008-07-30 | 大日本印刷株式会社 | 自立型包装袋 |
JP3627511B2 (ja) | 1998-04-30 | 2005-03-09 | 凸版印刷株式会社 | 液体用包装容器 |
JPH11349013A (ja) | 1998-06-03 | 1999-12-21 | Toppan Printing Co Ltd | 液体包装容器 |
IL125699A (en) * | 1998-08-07 | 2001-06-14 | Atifon Comprehensive Packaging | Container having stabilized base and its manufacture |
JP4139494B2 (ja) | 1998-11-20 | 2008-08-27 | 大日本印刷株式会社 | 上下ガセット付き液体用パウチ |
JP4139498B2 (ja) | 1998-12-18 | 2008-08-27 | 大日本印刷株式会社 | 自立袋の製造方法 |
JP2000229646A (ja) | 1999-02-12 | 2000-08-22 | Dainippon Printing Co Ltd | 包装用袋 |
JP2000272634A (ja) | 1999-03-19 | 2000-10-03 | Mitsubishi Heavy Ind Ltd | 不定形容器 |
JP3614706B2 (ja) | 1999-04-27 | 2005-01-26 | 株式会社細川洋行 | 液体容器 |
JP2001031110A (ja) | 1999-07-14 | 2001-02-06 | Mitsubishi Heavy Ind Ltd | 不定形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
JP2001206385A (ja) | 1999-10-20 | 2001-07-31 | Dainippon Printing Co Ltd | サイドガセット平底袋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2002
- 2002-12-25 US US10/493,156 patent/US7156556B2/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2-12-25 CA CA002460846A patent/CA2460846C/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2-12-25 CN CNB028233972A patent/CN100352738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2-12-25 KR KR1020047005494A patent/KR100616288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2-12-25 WO PCT/JP2002/013487 patent/WO2003055760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2-12-25 AU AU2002367107A patent/AU2002367107B2/en not_active Ceased
- 2002-12-25 EP EP02790860A patent/EP1459995A4/en not_active Withdraw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1459995A4 (en) | 2010-06-02 |
AU2002367107A1 (en) | 2003-07-15 |
CN1592701A (zh) | 2005-03-09 |
US7156556B2 (en) | 2007-01-02 |
CA2460846A1 (en) | 2003-07-10 |
AU2002367107B2 (en) | 2006-08-10 |
CN100352738C (zh) | 2007-12-05 |
US20050069230A1 (en) | 2005-03-31 |
WO2003055760A1 (fr) | 2003-07-10 |
CA2460846C (en) | 2007-06-05 |
KR100616288B1 (ko) | 2006-08-28 |
EP1459995A1 (en) | 2004-09-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616288B1 (ko) | 자립성 포장봉투, 포장체 및 원반로울 및 그들의 제조방법 | |
EP0936993B1 (en) |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a hermetic recloseable package of flexible material | |
AU2014253782B2 (en) |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inflatable pouches | |
JP3965355B2 (ja) | 包装袋及びその製造方法 | |
WO2008050865A1 (fr) | Sac de conditionnement autoportant plissé, conditionnement autoportant plissé, cylindre maître pour un conditionnement autoportant plissé et procédé de fabrication d'un conditionnement autoportant plissé | |
JPWO2006106932A1 (ja) | 自立型ピローパウチ包装器、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 |
JP4118570B2 (ja) | ヒダ付き包材の原反ロール及びヒダ付き包材の原反ロールの製造方法 | |
US9963270B2 (en) | Pouch with smooth sides | |
JP5174426B2 (ja) | ヒダ付き自立性包装袋、ヒダ付き自立性包装体、ヒダ付き自立性包装体用原反ロール及びヒダ付き自立性包装体の製造方法 | |
JP4118568B2 (ja) | ヒダ付き縦ピロー包装体の製造方法 | |
JP4060077B2 (ja) | ヒダ付き扁平袋の製造方法 | |
JP2003300540A (ja) | ジッパー付きガセット付き扁平袋及びその製造方法 | |
US20120106877A1 (en) | Flexible packaging material and a package formed therewith | |
AU2002211112A1 (en) | Multi-layered bag and method of manufacture | |
JP7117201B2 (ja) | 製品入り外袋、製品入り外袋の巻き取り品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並びに袋体の供給方法 | |
JP2767213B2 (ja) | 包装体 | |
JP3965297B2 (ja) | 自立性包装袋及び包装体 | |
JP2002316367A (ja) | ジッパストリップ取り付け装置及びジッパ付き袋の製袋方法 | |
JPS59187505A (ja) | 吊り下げ部成形包装方法及びその装置 | |
JP2003300263A (ja) | ガセット付き扁平袋の製造方法 | |
JP2668315B2 (ja) | 包装方法および装置 | |
JP3891861B2 (ja) | ヒダ付き横ピロー包装体の製造方法 | |
AU2012381135A1 (en) | Packaging bag with carrying handle | |
JP2964339B1 (ja) | ネット袋の製造方法 | |
JP3094949U (ja) | 包装体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0609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521 Year of fee payment: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