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9393A - 엘리베이터 제어 전송 시스템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제어 전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9393A
KR20040019393A KR10-2004-7001898A KR20047001898A KR20040019393A KR 20040019393 A KR20040019393 A KR 20040019393A KR 20047001898 A KR20047001898 A KR 20047001898A KR 20040019393 A KR20040019393 A KR 200400193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information
control
transmission system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1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42449B1 (ko
Inventor
스미가츠히로
요코오도모나오
이자와히로타카
Original Assignee
도시바 엘리베이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시바 엘리베이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시바 엘리베이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193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93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24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24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15Control system configuration and the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02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 B66B1/06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15Control system configuration and the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46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53Procedure or protocol for the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전송 접속 장치(11)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정보를 주기적으로 시리얼 전송하는 제어 전송계 및 엘리베이터의 표시 설정 정보를 시리얼 전송하는 정보 전송계에 접속되고, 전송 제어 회로(14)는 제어 정보와 표시 정보를 교환해서 제어 전송계 및 정보 전송계에 전송한다. 정보 전송계에 전송하는 경우에는 정보 전송 인터페이스 회로(15)를 통해서 표시 설정 정보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제어 전송계 및 정보 전송계의 전송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정보 처리 장치의 부담을 경감시킨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제어 전송 시스템{ELEVATOR CONTROL TRANSMISSION SYSTEM}
엘리베이터의 제어 처리 정보를 주기적으로 시리얼 전송하여, 엘리베이터 제어를 행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전송 시스템에서는, 마스터국에서 어드레스 정보를 보내고 그 어드레스에 대응한 슬레이브국이 데이터 입출력에 응답하고 있다. 그리고, 어드레스 정보가 바르게 받아들여진 경우에, 판독 데이터 전송 응답이나 데이터 기록 처리를 행하고 있다.
이러한 엘리베이터 제어 전송 시스템에서는 마이크로 컴퓨터가 사용되고, 자국방향으로의 전송이 행하여졌는지 여부의 판단은 마이크로 컴퓨터 프로그램 중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행해지고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제어 전송 시스템은 기타 널리 이용되고 있는 전송 계통과 고정된 형태로서 접속되고, 각종 제어 처리 정보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마이크로 컴퓨터를 사용한 시스템의 경우, 어느 일정 이상의 응답 성능을 얻으려고 한 경우에는, 고가의 성능이 높은 마이크로 컴퓨터를 사용할 필요가 있다. 한편, 시스템 가격을 억제할 수 있는 저렴한 마이크로 컴퓨터를 사용한경우에는 응답 성능이 악화되고, 시스템의 규모나 기능 등에 제약이 생겨버린다.
또한, 정보 교환을 하는 에리어의 판단을 행하기 위한 데이터가 마이크로 컴퓨터의 프로그램 중에 포함되어 버리므로, 에리어 내용을 바꾸는 경우는 프로그램 데이터 중에서 변경 위치를 발견해 내어 수정하고 대응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전송 내용이 변경될 때마다 프로그램을 작성할 필요가 있고, 수많은 프로그램을 관리해 갈 필요가 있다. 또, 다른 전송 계통과 접속할 때에는, 접속 데이터의 배열 변경 작업이나 전송 계통의 종류 변경에 많은 수고가 들고 시간 및 인력이 필요하였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염가로 응답 속도가 빠르고, 어드레스 데이터의 변경이 용이하고 많은 종류의 전송국에 대해서 대응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제어 전송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제어 처리 정보나 표시 설정 정보의 전송(傳送)을 행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전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제어 전송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전송 접속 장치의 상세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전송 제어 회로의 상세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CPU 인터페이스 회로의 상세 블록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시리얼 전송 인터페이스 회로의 상세 블록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전송 데이터의 흐름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전송 설정 테이블의 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제어 정보 처리 장치의 전송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전송 제어 회로에서 행해지는 전송 동작을 나타내는 타임 차트.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시리얼 전송 인터페이스 회로의 시리얼 통신 동작을 나타내는 타임 차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제어 전송 시스템은,
엘리베이터의 제어 처리 정보를 주기적으로 시리얼 전송하는 제어 전송계와,
엘리베이터의 표시 설정 정보를 시리얼 전송하는 정보 전송(傳送)계와,
제어 전송계 및 정보 전송계에 접속되고 제어 처리 정보와 표시 설정 정보를 교환하여 제어 전송계 및 정보 전송계로 전송(轉送)하는 전송 접속 장치를 구비하고,
전송 접속 장치는, 제어 전송계에 접속되어 제어 처리 정보를 전송하는 동시에 제어 처리 정보와 표시 설정 정보를 교환하는 전송 제어 회로와,
정보 전송계에 접속되어 표시 설정 정보를 전송하는 정보 전송 인터페이스 회로와,
제어 전송계 및 상기 정보 전송계의 전송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정보 처리 장치를 구비한다.
이것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제어 전송 시스템에서는, 전송 접속 장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처리 정보를 주기적으로 시리얼 전송하는 제어 전송계 및 엘리베이터의 표시 설정 정보를 시리얼 전송하는 정보 전송계에 접속되고, 전송 제어 회로는 제어 처리 정보와 표시 설정 정보를 교환하여 제어 전송계 및 정보 전송계로 전송한다. 정보 전송계로 전송하는 경우에는 정보 전송 인터페이스 회로를 통해서 표시 설정 정보를 전송한다. 이것에 의해, 제어 전송계 및 정보 전송계의 전송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정보 처리 장치의 부담을 경감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제어 전송 시스템에서는, 전송 접속 장치는 제어 처리 정보와 표시 설정 정보의 전송 교환 내용이 저장된 전송 설정 테이블을 갖고, 제어 정보 처리 장치에 접속되는 설정 툴에 의해 전송 설정 테이블을 재기입할 수 있게 한다.
이것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제어 전송 시스템에서는, 전술한 발명의 작용에 덧붙여, 제어 정보 처리 장치에 접속되는 설정 툴에 의해 전송 설정 테이블의 내용을 재기입함으로써, 제어 처리 정보와 표시 설정 정보의 전송 교환 내용을 변경한다. 이것에 의해, 시스템 요소의 변경 시의 정보 내용의 변경 처리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제어 전송 시스템에서는, 전송 제어 회로는 제어 처리 정보와 표시 설정 정보의 정보 교환 처리 시에 자동적으로 정보의 판독 기록을 행한다.
이것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제어 전송 시스템에서는, 전술한 작용에 덧붙여, 정보 교환 처리 시에 전송 제어 회로에서 자동적으로 정보의 판독 및 기록을 행하고, 제어 정보 처리 장치를 통해서 전송 처리를 행하게 함이 없이, 전송 동작 처리를 고속으로 행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제어 전송 시스템에서는, 전송 제어 회로는 정보 교환의 데이터 전송 처리와 동시에 데이터 변화 발생 유무의 판별 처리를 행하고, 변화가 있던 정보를 선별하고 변화 유무 정보를 추가하여 정보 기록을 행한다.
이것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제어 전송 시스템에서는, 전술한 작용에 덧붙여, 전송 제어 회로는 정보 교환의 데이터 전송 처리와 동시에 데이터 변화 발생 유무의 판별 처리를 행하고, 변화가 있던 정보를 선별하고 변화 유무 정보를 추가하여 정보의 기록을 행한다. 이것에 의해, 정보 전송계 상으로 보내야 할 데이터의 판별 처리를 고속으로 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제어 전송 시스템에서는, 전송 제어 회로는 변화 유무 정보로서 직전의 변화 발생 데이터 위치 정보를 이용한다.
이것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제어 전송 시스템에서는, 전술한 작용에 덧붙여, 전송 제어 회로는 변화 유무 정보로서 직전의 변화 발생 데이터 위치 정보를 이용한다. 이것에 의해, 정보 전송계 상으로 보내야 할 데이터의 판별 처리를 더욱 고속으로 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제어 전송 시스템에서는, 전송 제어 회로는 제어 전송계와의 인터페이스부와, 정보 전송계에 접속된 상기 정보 전송 인터페이스 회로와의 인터페이스부가 분리하여 구성되고, 또한 시리얼 전송로를 통해서 접속된다.
이것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제어 전송 시스템에서는, 전술한 작용에 덧붙여, 전송 제어 회로는 정보 전송계에 접속된 정보 전송 인터페이스 회로와의 인터페이스부가 제어 전송계와의 인터페이스부와 분리하여 설치되고, 분리한 정보 전송 인터페이스 회로를 변경함으로써, 많은 종류의 전송로와의 사이에서의 정보 교환을 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제어 전송 시스템에서는, 전송 제어 회로는, 정보 전송 인터페이스 회로와의 인터페이스부의 시리얼 전송 주파수를 분주(分周) 회수 및 데이터 처리 회수에 따라 보정한다.
이것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제어 전송 시스템에서는, 전술한 작용에 덧붙여, 시리얼 전송 주파수를 보정할 수 있으므로, 전송 제어 회로는 고속도인 시리얼 전송 처리에서 정보 전송 인터페이스 회로와 접속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제어 전송 시스템은, 전송 제어 회로는 시리얼 송수신의 발생 개수가 기준 개수로 되었을 때 제어 정보 처리 장치에 대해서 인터럽트를 발생시켜, 시리얼 송수신을 종료한다.
이것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제어 전송 시스템에서는, 전술한 작용에 덧붙여, 전송 제어 회로는 시리얼 송수신의 발생 개수가 기준 개수로 되었을 때 제어 정보 처리 장치에 대해서 인터럽트를 발생시켜, 시리얼 송수신을 종료한다. 이것에 의해, 전송 제어 회로는 최적의 응답성으로 시리얼 전송 처리에서 정보 전송 인터페이스 회로와 접속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제어 전송 시스템에서는, 전송 접속 장치는 제어 정보 처리 장치의 제어 동작 프로그램이 저장된 플래시 ROM을 변경할 때에는, 전송 제어 회로의 기능을 변경하고, 플래시 ROM의 기록 처리 내용을 포함한 ROM 기능으로서 작용하게 하여, 플래시 ROM의 내용을 변경한다.
이것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제어 전송 시스템에서는, 전술한 작용에 덧붙여, 제어 정보 처리 장치의 제어 동작 프로그램이 저장된 플래시 ROM을 변경할 때에는, 전송 제어 회로의 기능을 변경하고, 플래시 ROM의 기록 처리 내용을 포함한 ROM 기능으로서 작용하게 함으로써, 별도의 기록 처리용 ROM을 설치하지 않고, 플래시 ROM의 내용을 변경할 수 있고, 시스템 동작 기능의 변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제어 전송 시스템에서는, 제어 정보 처리 장치는 제어 전송계의 내용 갱신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상(異常 )발생으로 판단하여, 정보 전송계 상의 데이터를 초기화하고, 이상 상태인 것을 통지한다.
이것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제어 전송 시스템에서는, 전술한 작용에 덧붙여, 제어 정보 처리 장치는 인터럽트 신호를 감시하고 인터럽트 신호가소정 시간 계속해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어 전송계의 이상 발생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정보 전송계 상의 데이터를 초기화하고 이상 상태인 것을 정보 전송계에 통지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제어 전송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도면을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제어 전송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전송 접속 장치(11)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처리 정보를 주기적으로 시리얼 전송하는 제어 전송계(12) 및 엘리베이터의 표시 설정 정보를 시리얼 전송하는 정보 전송계(13)에 접속되어 있다. 전송 접속 장치(11)는 제어 전송계(12)에 접속되어 제어 처리 정보를 전송하는 동시에 제어 처리 정보와 표시 설정 정보를 교환해서 제어 전송계(12) 및 정보 전송계(13)로 전송하는 전송 제어 회로(14)와, 정보 전송계(13)에 접속되어 표시 설정 정보를 전송하는 정보 전송 인터페이스 회로(15)와, 제어 전송계(12) 및 정보 전송계(13)의 전송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정보 처리 장치(16)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어 전송계(12) 및 정보 전송계(13)는 LAN(Local Area Network)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전송 접속 장치(11)는 제어 전송계(12)와 정보 전송계(13)에 접속되고, 전송 제어 회로(14), 정보 전송 인터페이스 회로(15), 제어 정보 처리 장치(16)로 구성되어 있고, 제어 전송계(12) 및 정보 전송계(13) 쌍방의 LAN 상에 흐르는 제어 처리 정보와 표시 설정 정보를 교환한다. 제어 전송계(12)에는 몇 개의 제어반(17)이 접속되어 있고, 엘리베이터의 제어 처리 정보를 전송 접속 장치(11)로 전달하고, 설정 정보를 전송 접속 장치(11)로부터 수취한다. 이 제어반(17)은 각 층에 설치되는, 이른바 세 방향 프레임으로 설치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정보 전송계(13)에는 표시 서버 및 감시용 PC(18), 영상 콘트롤러 (19), 화상 분배기(20), 표시 장치(21), 표시기(22)가 접속되어 있다. 표시 서버및 감시용 PC(18)는 전송 접속 장치(11)로부터 보내져 오는 표시 설정 정보를 수취하여 시스템 동작 내용의 감시 표시를 행한다. 영상 콘트롤러(19)에서는 표시 서버 및 감시용 PC(18)에서 표시 메시지 작성 데이터를 수취하고,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여 화상 분배기(20)로 보낸다. 화상 분배기(20)에서는 복수 개의 표시 장치(21)에 대해 영상 데이터를 전달한다. 즉, 표시 장치(21)는 표시 서버 및 감시용 PC(18)에서 작성한 공통 표시 데이터를 영상 콘트롤러(19) 및 화상 분배기(20)를 경유하여 수취하고, 엘리베이터 운전 상황 메시지와 중합하여 표시기(22)로 보낸다. 표시 장치(21)에 표시되는 구체적인 표시 정보는 현재의 케이지 위치, 케이지의 상/하 방향성, 동화상이고, 손님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제공된다. 또한, 긴급 시에는, 긴급시용의 표시, 예를 들면 지진의 발생, 거기에 따른 조치를 표시한다.
전송 접속 장치(11)는 2 종류의 사용 방식을 갖고 있고, 첫 번째 종류의 사용 방식에서는 전송 접속 장치(11)에서 정보 전송계(13)의 표시 서버 및 감시용 PC(18)에 표시 설정 정보를 송신하고 시스템 동작 내용의 감시 표시를 행한다. 또 표시 설정 정보의 변경 입력을 접수하고, 정보 전송계(13)에 대하여 표시 설정 정보로서 송출한다. 그리고, 전송 접속 장치(11)는 이 정보를 수취하여 제어 전송계(12)로 전달한다.
두 번째 종류의 전송 접속 장치(11)의 사용 방식에서는, 제어반(17)에서 전송 접속 장치(11)로 보내져 온 제어 처리 정보를 정보 전송계(13)로 송출하고, 정보 전송계(13)에 접속되어 있는 표시 장치(21)에 표시 설정 정보로서 전달한다.표시 장치(21)는 엘리베이터 홀이나 엘리베이터 케이지 내부에 설치되어 있고, 부근에 놓여진 표시기(22)에 대해서 수취한 표시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표시 정보를 작성하고, 엘리베이터 운전 상황 메시지를 출력한다.
도 2는 전송 접속 장치(11)의 상세 블록 구성도이다. 전송 접속 장치(11)는 전송 제어 회로(14), 정보 전송 인터페이스 회로(15), 제어 정보 처리 장치(16)를 갖고, 또한, 제어 회로 동작 설정 ROM(24), RAM(25), 플래시 ROM(26), EEPROM(27), 시리얼 인터페이스(RS485 IF)(28), 시리얼 인터페이스(RS232C IF(29)), 셀렉트 회로(30), 입출력 포트(31)를 갖고 있다.
제어 회로 동작 설정 ROM(24)에는 전송 제어 회로(14)의 기능이 설정되고, 전송 제어 회로(14) 내부의 전송 제어 데이터도 초기화 가능하다. RAM(25)은 전송 데이터 등을 보관하는데 사용된다. 플래시 ROM(26)에는 제어 정보 처리 장치(16)의 제어 동작 프로그램이 보관된다. EEPROM(27)에는 전송 설정 테이블이 보관된다. 시리얼 인터페이스(RS485 IF)(28)에서는 전송 제어 회로(14)에서의 제어 전송 신호(a)와 외부의 제어 전송계(12)의 신호를 신호 변환한다. 시리얼 인터페이스 (RS232C IF)(29)는 제어 정보 처리 장치(16)와 설정 툴 사이에서 정보 통신하는데 사용된다. 셀렉트 회로(30)에서는 제어 정보 처리 장치(16)에서 나오는 어드레스 신호를 기초로 셀렉트 신호를 만들어 낸다. 입출력 포트(31)에서는 스위치 정보 입력이나 LED 표시 등을 행하고 셀렉트 회로(30)를 통해서 제어 정보 처리 장치(16)에 데이터를 주고받는다. 그리고 입출력 포트(31)에서의 스위치 입력에 따라 셀렉트 회로(30)는 셀렉트 신호의 어드레스 할당을 변화시킨다.
전송 제어 회로(14), 제어 정보 처리 장치(16), RAM(25), 플래시 ROM(26), EEPROM(27), 셀렉트 회로(30), 입출력 포트(31)는 버스(32)에 접속되고, 버스 신호(d)에 의해 송수신이 행해진다.
정보 전송 인터페이스 회로(15)는 시리얼 포트를 가진 정보 전송 처리 CPU(33)와, 정보 LAN 전송 제어 프로그램을 가진 ROM(34), 정보 LAN 전송 정보를 보관하는 정보 전송 처리 RAM(35), 정보 전송계(13)와 전송 처리를 행하는 정보 LAN 접속 회로(36)로 구성된다.
제어 정보 처리 장치(16)는 전송 동작, 데이터 전송 동작, 전송 동작 설정의 입출력을 제어하는데 사용되고, 내부에 DMA 콘트롤러나 인터럽트 콘트롤러를 갖고, 제어 전송 처리 제어 신호(b)에 의해 전송 제어 회로(14)와의 사이에서 협조해서 제어 정보 전송 동작 제어를 행한다.
정보 전송 인터페이스 회로(15)는 정보 전송계와 접속되고, 정보 전송계와 데이터의 입출력을 행하고, 제어 정보 처리 장치(16)와의 사이에서는 전송 제어 회로(14)에 있는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SIO : Serial Input Output)를 통해서 시리얼 접속 신호(c)에 의해 입출력을 행한다.
전송 제어 회로(14)는 제어 전송계와의 데이터 입출력 제어를 행하고 제어 전송 신호(a)를 입출력한다. 그리고 정보 전송 인터페이스 회로(15)와 시리얼 접속 신호(c)를 경유하여 시리얼 전송을 통신한다.
도 3은 전송 제어 회로(14)의 상세 블록 구성도이다. 전송 제어 회로(14)는 CPU 인터페이스 회로(38),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39), 제어 전송 인터페이스회로(40), RAM 처리 회로(41)로 구성된다.
CPU 인터페이스 회로(38)에서는 버스 신호(d)와 제어 전송 처리 제어 신호(b)를 이용해 제어 정보 처리 장치(16)와의 사이에서의 인터페이스를 행한다. CPU 인터페이스 회로(38) 내부에는 정보 전송계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및 배치된 정보 전송 데이터(D1)를 갖는다. CPU 인터페이스 회로(38)에서는 제어 전송 회로 동작 신호(e)를 이용해 제어 전송 인터페이스 회로(40)와 접속된다. 또한, CPU 인터페이스 회로(38)는 RAM 정보 입출력 동작 신호(f)를 이용하여 RAM 처리 회로(41)와 접속된다. 또한, CPU 인터페이스 회로(38)는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39)와 시리얼 통신 동작 신호(g)를 이용해 접속된다.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39)에서는 정보 전송 인터페이스 회로(15)와 시리얼 접속 신호(c)를 경유한 정보 전달을 행한다. 제어 정보 처리 장치(16)와의 사이에서는 CPU 인터페이스 회로(38)를 경유하여 정보 교환을 행한다. 또 제어 전송 인터페이스 회로(40)에서는 CPU 인터페이스 회로(38)에서 전달되는 제어 전송 회로 동작 신호(e)를 이용해서 제어 전송계(12)와의 사이에서 주기적 정보 전달을 행하는 제어 전송 신호(a)의 입출력 신호 제어 처리를 행한다. 그리고 RAM 처리 회로(41)에 있는 제어 전송 설정 데이터(D2) 및 제어 전송 데이터(D3)의 판독이나 변경을 제어 전송 RAM 정보 입출력 동작 신호(h)를 사용하여 행한다.
RAM 처리 회로(41)에서는 CPU 인터페이스 회로(38) 및 제어 전송 인터페이스 회로(40)의 쌍방으로부터의 액세스 기능을 갖는다. 내부의 제어 전송 설정 데이터(D2) 및 제어 전송 데이터(D3)의 입출력 처리를 RAM 정보 입출력 동작 신호(f)및 제어 전송 RAM 정보 입출력 동작 신호(h)를 이용해 행한다.
도 4는 CPU 인터페이스 회로(38)의 상세 블록 구성도이다. CPU 인터페이스 회로(38)는 액세스 제어 회로(43), 레지스터(44), 전송 제어 회로(45)로 구성되고, 정보 전송 데이터(D1) 및 전송 설정 데이터(D4)를 가지고 있다.
액세스 제어 회로(43)는 버스 신호(d) 및 제어 전송 처리 제어 신호(b)를 이용해 제어 정보 처리 장치(16)와 데이터의 입출력 처리를 행한다. 제어 전송 처리 제어 신호(b)는 판독 기록 요구 신호, 인터럽트 요구 신호, 판독 기록 종료 신호, DMA 요구 신호, DMA 응답 신호 등으로 구성된다. 액세스 제어 회로(43)로부터는 레지스터(44)에 대해 레지스터 입출력 처리 신호(i)가 부여되고, 데이터의 판독 기록이 행해진다. 여기서, DMA란 Direct Memory Access를 의미한다.
그리고, 액세스 제어 회로(43)에서는 전송 제어 회로(45)에 대해 전송 처리 제어 신호(j)를 부여하여 데이터 전송 동작의 개시, 데이터 입출력 제어, 데이터 전송 동작 종료의 검출을 행한다. 또한, 액세스 제어 회로(43)에서는 정보 전송 데이터(D1)에 대해 정보 전송 데이터 판독 기록 신호(k)를 부여하여 데이터 입출력 제어를 행한다. 또한, 액세스 제어 회로(43)에서는 전송 설정 데이터(D4)에 대해 정보 전송 설정 데이터 판독 기록 신호(m)를 부여해 데이터 입출력 제어를 행한다.
또한, 제어 정보 처리 장치(16)에서 부여되는 버스 신호(d) 중의 어드레스 신호 값에 따라,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39), RAM 처리 회로(41), 제어 전송 인터페이스 회로(40)에 대해, RAM 정보 입출력 동작 신호(f), 시리얼 통신 동작 신호 (g), 제어 전송 회로 동작 신호(e)를 건네주어 동작 정보의 교환을 행한다.
전송 제어 회로(45)에서는 액세스 제어 회로(43)로부터 전송 처리 제어 신호 (j)를 수취하여 전송 동작을 개시한다. 전송 설정 데이터(D4)에서 전송 설정 동작 판독 신호(n)로서 판독하여, 데이터 내용에 따라 정보 전송 데이터(D1)와 RAM 처리 회로(41) 내의 제어 전송 데이터(D3) 사이에서의 전송 처리를 행한다. 전송 제어 회로(45)와 정보 전송 데이터(D1)는 전송용 정보 입출력 신호(p)로 접속된다.
레지스터(44)에는 제어 전송 제어 정보/스테이터스, 전송 처리 제어 정보/스테이터스, 시리얼 전송 제어 정보/스테이터스 등이 입력되어 제어 정보 처리 장치(16)에서의 처리에서 사용된다.
도 5는 시리얼 전송 인터페이스 회로(39)의 상세 블록 구성도이다. 시리얼 인터페이스 회로(39)는 송신 제어 회로(46), 송신 클록 분주 회로(47), 송신 카운터(48), 송신 버퍼(49), 수신 제어 회로(50), 수신 클록 분주 회로(51), 수신 카운터(52), 수신 버퍼(53)로 구성된다.
송신 제어 회로(46)는 시리얼 통신 동작 신호(g)를 통해 CPU 인터페이스 회로(38)와 접속되고, 시리얼 송신의 개시 처리나 종료 상황 통지를 행한다. 또한, 송신 제어 회로(46)는, 송신 클록 분주 회로(47)와는 송신 클록 타이밍 신호(q)를 통해서 접속되고, 송신 카운터(48)와는 송신 카운터 정보 신호(r)를 통해서 접속되고, 송신 버퍼(49)와는 송신 버퍼 제어 신호(s)를 통해서 접속된다. 또한, 송신 제어 회로(46)는 시리얼 접속 신호(c) 상에 송신 데이터를 송출한다.
송신 클록 분주 회로(47)는 시리얼 통신 동작 신호(g)에 포함되는 클록 분주
신호 및 분주 보완 신호에 의거해 송신 클록을 작성하여 송신 제어 회로(46)로 전달한다. 송신 카운터(48)에서는 송신 처리 수를 카운트하고, 시리얼 통신 동작 신호(g)에 포함되는 송신 카운트와 비교 데이터의 비교에 의거해 송신 처리 종료 데이터를 송신 제어 회로(46)에 전달한다. 또한, 송신 처리 카운트 수(t)를 송신 버퍼(49)에 주고받는 데이터의 취출 위치로서 사용한다. 송신 버퍼(49)에서는 송신 카운터(48)에서의 송신 처리 카운트 수(t)를 기초로 송신 제어 회로(46)에 대해 송신 데이터를 부여해 시리얼 전송을 행하게 한다.
수신 제어 회로(50)는 시리얼 통신 동작 신호(g)를 통해 CPU 인터페이스 회로(38)와 접속되고, 시리얼 수신의 개시 처리나 종료 상황 통지를 행한다. 또한, 시리얼 접속 신호(c) 상의 수신 데이터를 수취하여, 수신 데이터 작성 처리를 행한다.
또한, 수신 제어 회로(50)는, 수신 클록 분주 회로(51)와는 수신 클록 타이밍 신호(u)를 통해서 접속되고, 수신 카운터(52)와는 수신 카운터 정보 신호(v)를 통해서 접속되고, 수신 버퍼(53)와는 수신 버퍼 제어 신호(w)를 통해서 접속된다.
수신 클록 분주 회로(51)는 시리얼 통신 동작 신호(g)에 포함되는 클록 분주 신호 및 분주 보완 신호에 의거해 수신 클록을 작성하여 수신 제어 회로(50)로 전달한다. 수신 카운터(52)에서는 수신 처리 수를 카운트하고, 시리얼 통신 동작 신호(9)에 포함되는 송신 카운트와 비교 데이터의 비교에 의거해 수신 처리 수 데이터를 수신 제어 회로에 전달한다. 또 수신 처리 카운트 수(x)를 수신 버퍼(53)에 주고받는 데이터의 기록 위치로서 사용한다. 수신 버퍼(53)에서는 수신 제어 회로(50)에서 수신 데이터를 수취하고, 수신 카운터(52)에서의 수신 처리 카운트수(x)를 기초로 버퍼 내부에 기입한다. 그리고 시리얼 통신 동작 신호(g)를 경유하여 CPU 인터페이스 회로(38)로 건네진다.
다음에, 동작을 설명한다. 도 6은 전송 데이터 흐름의 설명도이다. 전송 접속 장치(11)는 제어 전송계(12)와 정보 전송계(13) 쌍방의 LAN 상에 흐르는 제어 전송 데이터(제어 처리 정보 : 예를 들면 이상 시의 지령, VIP(Very Important Person)용 지령 등)와 정보 전송 데이터(표시 설정 정보 : 예를 들면 케이지 위치 정보, 케이지 이동 정보(상/하 방향) 등)를 교환한다. 제어 전송계(12)에 접속된 몇 개의 제어반(17)은 엘리베이터의 제어 처리 정보를 전송 접속 장치(11)에 전달하는 동시에 설정 정보를 전송 접속 장치(11)로부터 수취한다.
전송 접속 장치(11)는 전술한 바와 같이 2 종류의 사용 방식을 갖고 있고, 제어 전송 데이터의 내용이 정보 전송 데이터의 제어 동작 정보로서 전송되고, 정보 전송계(13)를 통해서 표시 서버 및 감시용 PC(18)에 보내진다. 그리고, 표시 서버 및 감시용 PC(18)에서 설정 정보의 변경 입력을 접수하고, 전송 접속 장치(11)에서는 이 정보를 받아, 제어 설정을 제어 전송계(12)를 통해서 제어반(17)에 전달한다. 또한, 제어반(17)에서 전송 접속 장치(11)로 보내져 온 제어 전송 데이터에 포함되는 표시 데이터를 정보 전송 데이터의 표시 데이터에 전송하고, 또한 정보 전송계(13)로 송출하여, 이것을 정보 전송계(13)에 접속되어 있는 표시 장치(21)에 표시한다.
도 7은 EEPROM(27)에 저장된 전송 설정 테이블의 설명도이다. 이 전송 설정 테이블은 1~m의 복수 개의 테이블로 구성되어 있고, 각 테이블은 처리 종별(種別),제어 전송 어드레스, 정보 전송 어드레스, 전송 개수로 구성되어 있다. 처리 종별로서는 「제어→정보」, 「정보→제어」, 「처리 종료」가 있다.
도 8은 전송 접속 장치(11)의 제어 정보 처리 장치(16)에서의 전송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전원 ON의 시스템 동작 개시 후에 제어 정보 처리 장치(16)는 설정 초기화 처리를 행하여 EEPROM(27)에 포함된 전송 설정 테이블 내용을 전송 제어 회로(14) 내의 전송 설정 데이터(D4)에 기록한다(S1). 상기 전송 설정 테이블 내용은 시리얼 인터페이스(RS232C IF)에 접속되는 설정 툴을 이용해 변경 가능하고, 전송 동작의 변경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다음에, 제어 정보 처리 장치(16)는 CPU 인터페이스 회로(38) 내의 레지스터(44)에 포함되는 인터럽트 마스크 설정에 대해서, 제어 전송 주기 인터럽트나 전송 동작 완료 인터럽트의 허가를 부여한다(S2). 그리고, 제어 전송의 1 주기가 완료하는지를 기다린다. 제어 전송의 1 주기가 완료된 시점에서 전송 동작 인터럽트가 발생하므로, 인터럽트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3).
인터럽트가 있는 경우에는 제어 전송의 1주기가 완료했다고 판단하고, 제어 정보 처리 장치(16)는 전송 제어 회로(14)에 대해 데이터 전송 개시 지령을 부여한다(S4). 구체적으로는 전송 설정 테이블의 동작 개시 어드레스를 CPU 인터페이스 회로(38) 내의 레지스터(44)에 기입하는 것이 된다. 이것을 받아 전송 제어 회로(14) 내의 전송 제어 회로(45)가 동작하고 전송 처리가 행해진다. 전송 처리가 종료되었을 때에는 전송 종료 인터럽트가 발생하므로, 인터럽트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5).
인터럽트가 있는 경우에는 전송 종료라고 판단하고, 접속 상대의 기기 타입을 판정한다(S6). 접속 상대의 기기가 표시 서버 및 감시용 PC(18)인 경우는, 정보 전송 인터페이스 회로(15)로 건네어 정보 전송계(13)를 경유하여 송신한다(S7). 이 경우, 상태 변화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태 변화가 있는 경우는 변화하고 있는 데이터만을 정보 전송 인터페이스 회로(15)로 건네어 정보 전송계(13)를 경유하여 송신한다. 또한, 정보 전송계(13)로부터 수취하고 있는 정보 전송 데이터의 수신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S8), 정보 전송 데이터의 수신이 있는 경우에는, 설정 데이터에 관해서는 정보 전송 데이터(D1)를 갱신해 둔다(S9).
한편, 스텝 S6의 판정에서 접속 상대의 기기가 표시 장치(21)인 경우는, 제어 정보 처리 장치(16)는 정보 전송 데이터(D1)를 판독하여 내용 확인을 행하고, 정보 전송 인터페이스 회로(15)로 건네어 정보 전송계(13)를 경유해 송신한다(S10).
도 9는 전송 제어 회로(14)에서 행해지는 전송 동작을 나타내는 타임 차트이다. 제어 정보 처리 장치(16)는 전송 제어 회로(14)의 CPU 인터페이스 회로(38)에서의 전송 제어 회로(45)에 대해 전송 개시 지령을 내고, 전송 종료 인터럽트의 발생을 기다린다. 전송 제어 회로(45)에서는 전송 설정 데이터(D4)를 판독하여, 전송 종별, 제어 어드레스, 정보 어드레스, 전송 회수를 얻는다.
전송 종별이「제어→정보」의 경우는 제어 전송 데이터(D3)로부터 지정된 제어 어드레스 값에 따라 데이터를 판독하고, 정보 어드레스 값이 나타내는 정보 전송 데이터(D1)에 보관해 둔다. 이와 동시에 전회(前回)까지의 정보 전송데이터(D1) 값과 비교하고, 상태 변화 발생인지를 검지한 경우는 발생 어드레스 값을 보관한다. CPU 인터페이스 회로(38)에서는 1회의 전송 종료마다 제어 정보 처리 장치(16)에 대해 DMA 요구 신호(DREQ 신호: Direct memory Access Request 신호)를 출력하고, 이것을 받은 제어 정보 처리 장치(16) 내부의 DMA 회로에서는 요구 접수 신호(DACK 신호: Direct Memory Access Acknowledge 신호)를 돌려주고, 버스 신호(d) 상에 CPU 인터페이스 회로(38)가 내는 정보를 RAM(25)에 보관한다. 이 때 CPU 인터페이스 회로(38)에서는 갱신된 정보 전송 데이터와 전회의 상태 변화 발생 데이터 어드레스 값(상태 변화가 없는 경우는 특별한 상태 변화 없음 데이터)을 출력한다. 이 동작을 지정 회수만큼 실시한다.
마지막으로 발생한 상태 변화 발생 어드레스 값은 CPU 인터페이스 회로(38) 내부의 레지스터(44)에 반영되고, 제어 정보 처리 장치(16)는 이 값을 기초로 하여 상태 변화가 발생한 어드레스를 더듬어 찾아가 고속으로 데이터를 편집할 수 있다. 전송 종별이「정보→제어」인 경우는 정보 어드레스 값이 나타내는 정보 전송 데이터(D1)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고, 지정된 제어 어드레스 값에 따라 제어 전송 데이터(D3)에 보관해 둔다. 이것을 지정 회수만큼 실시한다. 전송 종별이「종료」로 된 시점에서 CPU 인터페이스 회로(38)로부터 전송 종료 인터럽트가 제어 정보 처리 장치(16)로 보내진다.
이러한 방식을 취하고 있기 때문에, 전송 처리 실시 중에는 제어 정보 처리 장치(16)는 다른 처리를 실행할 수 있고 효율이 좋은 전송 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
도 10은 시리얼 전송 인터페이스 회로(39)의 시리얼 통신 동작을 나타내는타임 차트이며, 도 1O의 (a)는 송신시 타임 차트, 도 1O의 (b)는 수신시 타임 차트이다. 우선, 송신시 타임 차트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10의 (a)에서, 제어 정보 처리 장치(16)는 송신 개시에 앞서 송신 버퍼(49)에 데이터를 기록한다. 기록 완료 시에 송신 개시 지령을 송신 제어 회로(46)에 송신 데이터 개수와 함께 보낸다. 송신 제어 회로(46)에서는 송신 카운터에 송신 데이터 개수를 보내는 동시에 송신 처리를 개시한다. 송신 버퍼(49)에서 송신 카운터(48)가 나타내는 어드레스 위치의 데이터를 판독하고 패러렐 시리얼 변환을 송신 클록 분주 회로(47)로부터 보내져 오는 송신 주기에 따라 실시하고, 시리얼 접속 신호(c)로 보낸다.
송신 주기는 클록 분주값을 이용해 기본 클록에서 만들어내지만, 분주 보정 데이터를 이용해 더욱 필요로 하는 클록 값에 가까운 값이 된다. 분부 보정은 시리얼 데이터 처리 개수 위치에 따라 분주 회수를 변경하는(클록 분주 값에 1을 더하여 분주하는) 방식으로 행하여진다.
송신 카운터에서는 하나의 데이터가 보내질 때마다 송신 카운트 값이 증가하여 설정되어 있던 송신 회수값과의 비교를 행한다. 이 값이 송신 회수 값에 이른 시점에서 송신 종료 인터럽트가 발생하고 전송 처리가 종료된다. 제어 정보 처리 장치(16)에서는 인터럽트 신호를 수취하여 종료 처리를 행한다.
다음에, 수신시 타임 차트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10의 (b)에서, 제어 정보 처리 장치(16)는 수신 허가 신호를 수신 제어 회로(50)로 수신 요구 데이터 개수와 함께 보낸다. 수신 제어 회로(50)에서는 수신 클록 분주 회로(51)에서 보내져 오는 수신 주기에 따라 시리얼 접속 신호(c)의 수신 처리를 실시하고, 시리얼 패러렐변환을 행하여 수신 버퍼(53)로 보내는 동시에 수신 카운터(52)를 하나 늘린다.
수신 버퍼(53)에서는 수신 카운터(52)가 나타내는 어드레스 위치에 수신 데이터를 기록한다. 이 때, 수신 요구 데이터 개수는 수신 카운터(52)의 내부에서 수신 카운터 개수와 비교된다. 이 값이 수신 회수 값에 이른 시점에서 수신 인터럽트가 발생한다. 제어 정보 처리 장치(16)에서는 인터럽트 신호를 받아 데이터 판독 처리를 행한다. 수신 버퍼(53)로부터 데이터가 판독될 때마다 수신 카운트 수는 줄게 된다. 제어 정보 처리 장치(16)는 CPU 인터페이스 회로(38) 내부의 레지스터(44)에 반영되는 수신 카운터 값이 0이 될 때까지 데이터를 판독한다.
이러한 수신 방식을 취함으로써 제어 정보 처리 장치(16)에서의 시리얼 수신 동작이 수신 데이터를 복수 개 연속하여 처리함으로써 효율 좋게 실시된다.
전술한 것처럼 제어 회로 동작 설정 ROM(24)의 내용에 따라 전송 제어 회로(14)의 기능이 설정되므로, 전송 제어 회로(14) 내부의 전송 제어 데이터도 초기화 가능하다. 또한, 시리얼 인터페이스(RS232C IF)(29)는 제어 정보 처리 장치(16)와 설정 툴 사이에서 정보 통신하는데 사용되고, 플래시 ROM(26)에는 제어 정보 처리 장치(16)의 제어 동작 프로그램이 보관된다. 또한, 입출력 포트(31)에서의 스위치 입력에 따라 셀렉트 회로(30)는 셀렉트 신호의 어드레스 할당을 변화시킨다.
통상은, 제어 정보 처리 장치(16)는 플래시 ROM(26)의 어드레스 에리어에서 초기 동작을 개시하지만, 플래시 ROM(26)의 설정 동작 시에는 전송 제어 회로(14)내부의 전송 제어 데이터 내용을 프로그램 데이터로 하여, 셀렉트 회로(30)는 셀렉트 신호의 어드레스 할당을 변화시켜 초기 동작을 행한다. 이 때, 제어 정보 처리 장치(16)는 시리얼 인터페이스(RS232C IF)(29)를 통해서, 설정 툴과의 사이에서 정보 통신하고, 플래시 ROM(26)용의 제어 처리 프로그램 내용을 얻어 기록 처리를 행한다. 이 때, 제어 회로 동작 설정 ROM(24)의 내용에는 플래시 ROM의 재기입용 프로그램 데이터가 입력되어 전송 제어 회로(14)의 기능이 설정되고, 전송 제어 회로(14) 내부의 전송 제어 데이터도 초기화된다.
이 방식에 의해 플래시 ROM(26)의 내용을 변경하기 위해서 별도의 ROM 소자 등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져, 회로 규모의 축소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도 8의 제어 정보 처리 장치(16)의 전송 동작 플로차트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 정보 처리 장치(16)는 제어 전송계로부터의 전송 주기 종료 인터럽트를 감시하여, 전송 처리를 행하고 있다. 게다가, 이 인터럽트가 통상 시간의 3 배를 넘는 등의 일정 기간을 넘겨도 발생하지 않는 경우는 제어 전송계(12)가 이상(異常)으로 간주하고, 정보 전송계(13)에 대해서 이상 데이터를 송출하여 전송 이상 발생임을 전달한다.
이러한 기능을 가짐으로써, 상위의 표시 서버 및 감시용 PC(18)에서, 제어 전송계(12)에서 발생하고 있는 이상 상태를 판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어 전송계 상의 제어 처리 정보와 정보 전송계 상의 정보 표시 설정 정보를 전송 제어 회로(14)의 전송 제어 회로(45)를 이용해 교환하고, 그 정보 교환 처리 시에 자동적으로 정보의 판독 기록을 행하므로, 제어 정보 처리 장치(16)를 통해서 전송 처리를 행 함이 없이, 전송 동작 처리를 고속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정보 교환하기 위한 전송 설정 테이블을 내부에 가지므로, 이 전송 설정 테이블을 재기입함으로써, 시스템 요소 변경 시의 정보 내용의 변경 처리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전송 처리와 동시에 데이터 변화 발생 유무의 판별 처리를 행하고, 변화가 있는 정보를 선별하여 정보 기록을 행하므로, 정보 전송계 상에 보내야 할 데이터의 판별 처리를 고속으로 행할 수 있다. 정보 전송계와의 인터페이스부와 제어 전송계와의 인터페이스부가 분리되고, 또한 시리얼 전송로를 통해서 접속하고 있으므로, 분리한 정보 전송계 인터페이스부를 변경함으로써, 다종류의 전송로와의 사이에서 정보 교환을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시리얼 전송 주파수를 분주 회수나 데이터 처리 회수에 따라 보정할 수 있으므로, 시리얼 송수신을 실시하는 전송 제어 회로를 이용함으로써, 고속도의 시리얼 전송 처리에서 정보 전송계 인터페이스부와 접속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전송 제어 회로의 기능을 변경하고, 플래시 ROM의 기록 처리 내용을 포함한 ROM 기능으로서 작용하게 함으로써, 별도의 기록 처리용 ROM을 설치하지 않고 플래시 ROM의 내용을 변경할 수 있고, 시스템 동작 기능의 변경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정보 처리 장치는 제어 전송계의 내용 갱신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상 발생으로 판단할 수 있으므로, 정보 전송계 상의 데이터를 초기화하여 이상 상태인 것을 통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전송 처리의 개시 위치를 지정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지만, 항상 테이블의 선두에서부터 사용하는 방식을 취해도 좋다. 또한, 「제어→정보」의 전송 동작에서는 모든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태 변화가 있던 데이터만 어드레스 데이터를 부가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지만, 상태 변화가 발생한 데이터만을 송출하는 방식으로 해도 좋다.
또한, 이상의 설명에서의 엘리베이터 제어 전송 시스템은 단일의 엘리베이터 케이지를 제어하는 시스템에도 적용할 수 있고, 또 복수의 케이지를 제어하는 그룹 시스템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시리얼 전송 회로의 분주 값 보정 방식으로 분주 값 데이터에 1 을 가산한 값을 이용해 보정하고 있지만, 1 을 줄인 값으로 보정하는 방식을 이용해도 좋다. 또한, 설정하는 분주 값으로서 수신 데이터 샘플 주기(수신 클록 값의 8 배 등)의 값을 사용하고, 그 샘플 주기에 대한 보정을 더 하는 방식을 취해도 좋다.
또한, 데이터 송신 처리에서는 설정된 전송 데이터 개수에 이르렀을 때 송신 종료 인터럽트를 발생시킨다고 하고 있지만, 그 개수에 도달하기 전에 인터럽트를 발생시켜, 인터럽트 처리 시간에 필요로 되는 시간을 앞당겨 전송 종료 처리를 행하게 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정보 전송계의 제어 처리 정보와 정보 전송계 상의 표시 설정 정보를 전송 제어 회로를 이용해 교환하므로, 복잡한 구성을 취하지 않고, 제어 정보 처리 장치의 부담이 경감되고 시스템 전송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정보 교환하기 위한 전송 설정 테이블을 내부에 가지므로, 이 전송 설정 테이블을 재기입함으로써, 시스템 요소 변경시의 정보 내용의 변경 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정보 교환 처리 시에 전송 제어 회로에 의해 자동적으로 정보가 판독 기록을 행하므로, 제어 정보 처리 장치를 통해서 전송 처리하지 않고, 전송 동작 처리를 고속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데이터 전송 처리와 동시에 데이터 변화 발생 유무의 판별 처리를 행하여 변화가 있던 정보를 선별해서 정보 기록을 행하기 때문에, 정보 전송계 상에 보내야 할 데이터의 판별 처리를 고속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변화 유무 정보로서 직전의 변화 발생 데이터 위치 정보를 사용하므로, 정보 전송계 상에 보내야 할 데이터의 판별 처리를 더욱 더 고속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정보 전송계와의 인터페이스부와 제어 전송계와의 인터페이스부를 분리하고, 또한 시리얼 전송로를 통해서 접속하고 있으므로, 분리한 정보 전송계 인터페이스부를 변경함으로써, 많은 종류의 전송로와의 사이에서 정보 교환을 행할 수가 있고, 고장 시의 동작 백업 구성을 용이하게 취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시리얼 전송 주파수를 분주 회수 및 데이터 처리 회수에 따라 보정하는 데이터를 설정할 수 있게 하고, 시리얼 송수신을 실시하는 전송 제어 회로를 사용하므로, 고속도의 시리얼 전송 처리에서 정보 전송계 인터페이스부와 접속할 수 있게 되고, 각종 콘트롤러 기능을 동일한 전송 제어 회로로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시리얼 송수신의 발생 개수(나머지 개수)의 수에 따라 제어 정보 처리 장치에 대해서 인터럽트를 발생하고, 기준 개수를 변경할 수 있게 하고 있는 전송 제어 회로를 사용함으로써, 적절한 응답성으로 시리얼 전송 처리에서 정보 전송계 인터페이스부와 접속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전송 제어 회로의 기능을 변경하고, 플래시 ROM의 기록 처리 내용을 포함한 ROM 기능으로서 작용하게 함으로써, 별도의 기록 처리용 ROM을 설치하지 않고, 플래시 ROM의 내용을 변경할 수 있고, 시스템 동작 기능의 변경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어, 다른 계통간의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어 전송계의 내용 갱신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상 발생으로 판단하고, 정보 전송계 상의 데이터를 초기화하여 이상 상태인 것을 통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시스템 전송 효율을 높이고, 또한 복잡한 구성을 취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Claims (12)

  1. 엘리베이터의 제어 처리 정보를 주기적으로 시리얼 전송하는 제어 전송계와,
    엘리베이터의 표시 설정 정보를 시리얼 전송하는 정보 전송계와,
    상기 제어 전송계 및 상기 정보 전송계에 접속되고 상기 제어 처리 정보와 상기 표시 설정 정보를 교환하여 상기 제어 전송계 및 상기 정보 전송계로 전송하는 전송 접속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전송 접속 장치는,
    (a) 상기 제어 전송계에 접속되어 제어 처리 정보를 전송하는 동시에 상기 제어 처리 정보와 상기 표시 설정 정보를 교환하는 전송 제어 회로와,
    (b) 상기 정보 전송계에 접속되어 표시 설정 정보를 전송하는 정보 전송 인터페이스 회로와,
    (c) 상기 제어 전송계 및 상기 정보 전송계의 전송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정보 처리 장치
    를 구비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전송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접속 장치는, 상기 제어 처리 정보와 상기 표시 설정 정보의 전송 교환 내용이 저장된 전송 설정 테이블을 갖고, 상기 제어 정보 처리 장치에 접속되는 설정 툴에 의해 상기 전송 설정 테이블을 재기입 가능하게 하는 것을 엘리베이터 제어 전송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제어 회로는, 상기 제어 처리 정보와 상기 표시 설정 정보의 정보 교환 처리 시에 자동적으로 정보의 판독 기록을 행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전송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제어 회로는, 정보 교환의 데이터 전송 처리와 동시에 데이터 변화 발생 유무의 판별 처리를 행하고, 변화가 있던 정보를 선별하여 변화 유무 정보를 추가해서 정보의 기록을 행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전송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제어 회로는, 변화 유무 정보로서 직전의 변화 발생 데이터 위치 정보를 이용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전송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제어 회로는, 제어 전송계와의 인터페이스부와, 정보 전송계에 접속된 상기 정보 전송 인터페이스 회로와의 인터페이스부가 분리하여 구성되고, 또한 시리얼 전송로를 통하여 접속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전송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제어 회로는, 상기 정보 전송 인터페이스 회로와의 인터페이스부의 시리얼 전송 주파수를 분주(分周) 회수 및 데이터 처리 회수에 따라 보정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전송 시스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제어 회로는, 시리얼 송수신의 발생 개수가 기준 개수가 되었을 때 제어 정보 처리 장치에 대해서 인터럽트를 발생시키고, 시리얼 송수신을 종료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전송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제어 회로는, 전송 데이터를 전송할 때, 전송 데이터가 미리 설정된 개수에 이르렀을 때에, 상기 제어 정보 처리 장치에 송신 종료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시키는 엘리베이터 제어 전송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제어 회로는, 전송 데이터를 전송할 때, 전송 데이터가 미리 설정된 개수에 이르기 전에, 상기 제어 정보 처리 장치에 송신 종료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시키는 엘리베이터 제어 전송 시스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접속 장치는, 상기 제어 정보 처리 장치의 제어 동작 프로그램이 저장된 플래시 ROM의 변경을 할 때에는, 상기 전송 제어 회로의 기능을 변경하고, 상기 플래시 ROM의 기록 처리 내용을 포함한 ROM 기능으로서 작용하게 하여, 상기 플래시 ROM의 내용을 변경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전송 시스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 처리 장치는, 제어 전송계의 내용 갱신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상 발생으로 판단하고, 정보 전송계 상의 데이터를 초기화하여, 이상 상태인 것을 통지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전송 시스템.
KR1020047001898A 2002-05-16 2003-05-16 엘리베이터 제어 전송 시스템 KR1005424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141858 2002-05-16
JP2002141858A JP2003335470A (ja) 2002-05-16 2002-05-16 エレベータ制御伝送システム
PCT/JP2003/006091 WO2003097504A1 (fr) 2002-05-16 2003-05-16 Systeme de transmission de commande d'ascenseu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9393A true KR20040019393A (ko) 2004-03-05
KR100542449B1 KR100542449B1 (ko) 2006-01-11

Family

ID=29544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1898A KR100542449B1 (ko) 2002-05-16 2003-05-16 엘리베이터 제어 전송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2003335470A (ko)
KR (1) KR100542449B1 (ko)
CN (1) CN100450908C (ko)
TW (1) TW200307641A (ko)
WO (1) WO20030975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26587B2 (ja) * 2005-09-21 2011-07-20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制御システム
JP4956090B2 (ja) * 2006-08-24 2012-06-20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制御情報伝送システム
JP5733843B2 (ja) * 2013-07-08 2015-06-10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制御信号の入出力インタフェース装置
JP5976871B1 (ja) * 2015-03-30 2016-08-24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無線伝送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36282A (ja) * 1985-08-08 1987-02-17 株式会社東芝 エレベ−タの制御装置
JPH0662263B2 (ja) * 1985-11-15 1994-08-17 株式会社東芝 群管理エレベ−タの信号伝送制御方法
JPH0238279A (ja) * 1988-07-26 1990-02-07 Toshiba Corp データ伝送制御装置
JPH03272985A (ja) * 1990-03-20 1991-12-04 Hitachi Ltd エレベータ制御システム及びその情報伝送方法
JPH07125941A (ja) * 1993-11-05 1995-05-16 Hitachi Ltd エレベータ制御システム
JP3265964B2 (ja) * 1996-01-08 2002-03-18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の信号伝送装置
US5914957A (en) * 1996-12-19 1999-06-22 Otis Elevator Company Automatic node configuration with identical nodes
JPH1188359A (ja) * 1997-09-11 1999-03-30 Hitachi Ltd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JP2001010772A (ja) * 1999-06-28 2001-01-16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KR100731251B1 (ko) * 1999-12-14 2007-06-25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엘리베이터 디스플레이 시스템
JP4803865B2 (ja) * 2000-05-29 2011-10-26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群管理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2002053276A (ja) * 2000-08-08 2002-02-19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統合監視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3335470A (ja) 2003-11-25
CN1652991A (zh) 2005-08-10
KR100542449B1 (ko) 2006-01-11
CN100450908C (zh) 2009-01-14
WO2003097504A1 (fr) 2003-11-27
TW200307641A (en) 2003-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83869A (en) Interrupt structure for network interface circuit
EP0291966A1 (en) Control method of a robot system and apparatus for realizing the same
US20020141438A1 (en) Data communication controller and method
US20020144038A1 (en) Data communication prioritization method and bus controller
KR100542449B1 (ko) 엘리베이터 제어 전송 시스템
KR100246906B1 (ko)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의 네트워크 시스템
EP1255375A1 (en) Plural station memory data sharing system
JPS6251016B2 (ko)
JPH05257852A (ja) プロセスデータ処理システムおよび処理方法
JP2740031B2 (ja) データ受信装置
JPS6244808A (ja) Nc加工機械群の制御方法
JPS62238940A (ja) 空気調和機のリモコン
JP2507540B2 (ja) Lapd処理方法
JP3505540B2 (ja) データ転送装置
JP2500006Y2 (ja)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ラ・システム
JP2000040055A (ja) マルチバスマスタ制御方法および制御装置
JPH09179793A (ja) エラー通知方式
JPH0231533A (ja) データ伝送システム
JP2517665B2 (ja) 操作パネルにおける動作制御装置への信号送信方法
JPH01235436A (ja) データバス制御装置
JPH04102951A (ja) データ転送制御方式
JPS61101898A (ja) 自火報システムのデ−タ伝送方式
JP2004120043A (ja) エレベータ制御伝送システム
JPH03250852A (ja) センタncu装置
JPH01232852A (ja) 通信制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1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