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93076A - 카트리지 및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카트리지 및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93076A
KR20030093076A KR1020020041871A KR20020041871A KR20030093076A KR 20030093076 A KR20030093076 A KR 20030093076A KR 1020020041871 A KR1020020041871 A KR 1020020041871A KR 20020041871 A KR20020041871 A KR 20020041871A KR 20030093076 A KR20030093076 A KR 200300930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ridge
developing
developer
deflection
ca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1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72889B1 (ko
Inventor
요시노야스후미
이소베히로노부
야마구찌고지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930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30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28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28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67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process cartridge to the apparatus, electrical connectors, power supply
    • G03G21/1871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process cartridge to the apparatus, electrical connectors, power supply associated with a positioning func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42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apparatus
    • G03G21/1647Mechanical connection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6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 G03G21/167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for the developer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1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2215/0167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sing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 G03G2215/0174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sing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plural rotations of recording member to produce multicoloured copy
    • G03G2215/0177Rotating set of developing uni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5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 G03G2221/166Electrical connecto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8Cartridge systems
    • G03G2221/183Process cartridge
    • G03G2221/1892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Develop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Col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를 착탈식으로 장착가능한 카트리지에 관한 것으로, 상기 카트리지는 카트리지 프레임, 전자사진 광 전도성 부재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부재, 카트리지가 장치의 주조립체에 장착될 때 카트리지를 안내하기 위해 현상 부재의 종방향 일단부측에서 카트리지 프레임의 외향으로 돌출하도록 제공되는 제1 안내부, 카트리지가 장치의 주조립체에 장착될 때 카트리지를 안내하기 위해 현상 부재의 종방향 타단부측에서 카트리지 프레임의 외향으로 돌출하도록 제공되는 제2 안내부, 및 카트리지가 장치의 주조립체에 장착될 때 장치의 주조립체로부터 현상 부재에 인가되는 현상 편향을 수용하기 위한 제1 안내부 상에 노출되도록 제공된 현상 편향 접촉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카트리지 및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카트리지 및 이에 착탈식으로 장착가능한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자사진 감광성 부재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시각화된 화상(토너 화상)으로 현상하기 위한 현상 수단, 복수의 카트리지형 현상 장치(현상 카트리지)가 로터리에 반송되는 로터리형 현상 장치, 이러한 현상 장치에 착탈식으로 장착가능한 현상 카트리지, 및 이러한 현상 장치가 제공되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적합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은 컬러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특히 적합하다.
여기서,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프로세스를 통해 기록 재료 상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이다. 예컨대, 전자사진 복사기, 전자사진 프린터(LED 프린터, 레이저 비임 프린터), 전자사진 프린터형 팩스기, 전자사진 프린터형 워드 프로세서 등이 있다.
전자사진 감광성 부재 상에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부재와 현상제(토너)를 수용하기 위한 토너 수용부가 카트리지 프레임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현상 카트리지형)의 주조립체에 착탈식으로 장착가능한 카트리지로 단일화된다는 것은 공지된 바이다.
또한, 프로세스 카트리지형에서 전자사진 감광성 부재와 전자사진 감광성 부재에 작용할 수 있는 프로세스 수단이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에 착탈식으로 장착가능한 카트리지로 단일화된다는 것은 공지된다.
이러한 카트리지형에 의하면, 장치의 유지보수 작동이 서비스맨없이 사용자에 의해 사실상 수행될 수 있기 때문에 작동성은 현저하게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카트리지형은 화상 형성 장치에 널리 사용된다.
카트리지는 감광성 드럼 상에 형성된 잠상에 토너를 인가하기 위한 현상 수단을 내장한다. 현상 수단은 감광성 드럼으로 토너를 급송하기 위한 현상 부재로서 기능하는 현상 롤러, 현상 롤러 상에 토너를 공급하기 위한 현상제 인가 부재로서 기능하는 토너 공급 롤러, 현상 롤러 상의 현상제량을 조절하기 위한 현상제량 조절 부재로서 기능하는 현상 블레이드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부재는 토너를 수용하여 현상 장치 프레임 상에 지지되는 토너 프레임과 단일화되어, 카트리지 프레임이 구성된다.
전자사진형을 통해 화상을 형성하는 장치에 있어서, 대전 장치에 의해 균일하게 대전되는 감광성 드럼은 정전 잠상을 형성하도록 빛에 선택적으로 노출되고, 정전 잠상은 현상 수단에 의해 토너로 시각화된다. 그런 후, 토너 화상은 기록 재료 상에 전사된다.
소정의 편향 전압을 토너에 인가하기 위해서, 현상 롤러에는 소정의 편향 전입이 공급되어야 한다.
따라서, 카트리지의 종방향 단부면에 제공된 현상 편향 전기 접촉부와 카트리지의 바닥면에 제공된 현상 편향 접촉부는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에 제공된 현상 편향 접촉부와 접촉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기술의 추가 개발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카트리지의 장착 및 장착해제 작동이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와 관련된 카트리지 및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카트리지가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에 제대로 장착될 때 주조립체와 카트리지의 전기 접촉부 사이의 전기 접속이 확실히 성립되는 카트리지 및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카트리지가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에 장착될 때 카트리지의 전기 접촉부와 장치의 주조립체의 전기 접촉부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 정확성이 향상되는 카트리지 및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카트리지가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에 장착될 때 카트리지의 접촉부와 장치의 주조립체의 접촉부 사이의 접촉 압력이 향상되는 카트리지 및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카트리지가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에 장착될 때 전기 접촉부가 카트리지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부 상에 제공되는 카트리지 및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 목적 및 다른 목적, 특성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취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이후 기술을 고려함으로써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의 현상 편향 접촉부와 카트리지의 현상 편향 접촉부 사이의 거리가 작동성을 향상시키면서 일정한 접촉 압력을 보장하도록 일정하게 유지되는 카트리지 및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 목적 및 다른 목적, 특성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취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이후 기술을 고려함으로써 명백해질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사진형의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의 단면도.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컬러 화상 형성 장치에 장착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주요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현상 카트리지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현상 카트리지의 사시도.
도5는 도4의 현상 카트리지의 구동측의 측면도.
도6은 감광성 드럼측에서 바라본 도4의 현상 카트리지의 전방도.
도7은 도4의 현상 카트리지의 하부도.
도8은 도4의 현상 카트리지의 측부 커버의 장착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9는 현상 카트리지의 측부 커버의 표면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10은 도4의 현상 카트리지의 측부 커버의 배면측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1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주조립체의 로터리 상의 현상 카트리지의 장착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12는 로터리 디스크의 현상 카트리지 장착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13은 로터리 상의 현상 카트리지의 장착의 일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14는 현상 카트리지를 구동하기 위한 기어 구동 트랜스미션을 도시하는 도면.
도15는 현상 카트리지를 구동하기 위한 기어와 현상 위치로 이동하는 현상 카트리지 사이의 결합을 도시하는 도면.
도16은 현상 위치에 놓인 현상 카트리지를 구동하기 위한 기어의 결합의 일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17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현상 카트리지와 주조립체 장치의 전기 접촉부들 사이의 접속을 도시하기 위해 비구동측에서의 로터리의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18은 제1 실시예에 따라 현상 카트리지와 로터리 사이에서 종방향으로의 위치설정과 주조립체 장치와 현상 카트리지의 전기 접촉부 사이의 전기 접속을 도시하도록 비구동측에서의 로터리의 부재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
도19는 제1 실시예에 따라 현상 카트리지와 로터리 사이에서 종방향으로의 위치설정과 주조립체 장치와 현상 카트리지의 전기 접촉부 사이의 전기 접속을 도시하도록 비구동측에서의 로터리의 부재를 도시하는 부분 사시도.
도20은 제2 실시예에 따른 현상 카트리지의 사시도.
도21은 현상 카트리지의 측부 커버의 표면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22는 도20의 현상 카트리지의 측부 커버의 배면측을 도시하는 전방도.
도23은 제2 실시예에 따라 현상 카트리지와 로터리 사이에서 종방향으로의 위치설정과 주조립체 장치와 현상 카트리지의 전기 접촉부 사이의 전기 접속을 도시하도록 비구동측 로터리의 부재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24는 도3에 의한 현상 카트리지의 부분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광 전도성 드럼
4 : 현상 카트리지
5 : 프로세스 카트리지
20: 광 전도성 드럼 유닛
40 : 로터리
305 : 현상 롤러
310 : 측부 커버
이후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지와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될 것이다.
[실시예 1]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전자사진 컬러 화상 형성 장치, 특히 컬러 레이저 비임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본 발명의 실시예의 이후의 기술에 있어서, "전방측"은 기록 매체(전사 매체)가 전사 스테이션에서 고정 스테이션으로 이송되는 방향에 관해서 장치의 상류면(도1의 우측)을 의미한다. "좌측 또는 우측"은 장치의 전방측에서 바라본 좌측 및 우측을 의미한다. 또한, "길이방향"은 기록 매체의 표면에 평행하고 기록 매체가 이송되는 방향에 수직인(대체로 수직인) 방향을 의미한다.
(전자사진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의 일반 구조)
먼저, 도1 및 도2에 의하면, 전자사진 컬러 화상 형성 장치(A)의 일반 구조가 기술될 것이다.
실시예에 있어서, 컬러 레이저 비임 프린터(A)는 화상 형성 장치(A)의 주조립체에 제거가능하게 장착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5)를 포함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5)는 황색 현상 장치(4Y), 마젠타색 현상 장치(4M), 시안색 현상 장치(4C), 및 흑색 현상 장치(4BK)인 4개의 현상 카트리지(4), 광 전도성 드럼 유닛(20), 및 중간 전사 부재 유닛(21)을 포함한다.
도1에 의하면, 화상 형성 장치 주조립체에 있어서, (이후로 "광 전도성 드럼"으로 지칭될) 화상 보유 부재는 대전 장치(2)에 의해 균일하게 대전되고, 잠상은 노출 수단(3)으로부터 화상 형성 데이터에 따른 광화상을 투사시킴으로써 균일하게 대전된 광 전도성 드럼 상에 형성된다. 잠상은 현상 장치(4A)를 구성하는 현상 카트리지(4)에 의해 (이후로 "토너 화상"으로 지칭될) 시각화된 화상으로 변환된다. 그런 후, 토너 화상은 전사 장치를 구성하는 제1 전사 수단(5j)에 의해 중간 전사 매체(5a) 상에 전사된다.
다음, 중간 전사 매체 부재(5a) 상의 토너 화상은 제2 전사 수단(11)에 의해 토너 화상의 형성과 동시에 이송 수단에 의해 이송되는 전사 매체 상에 전사된다. 그런 후, 전사 매체는 가압 롤러(8a)와 가열 롤러(8b)를 갖는 고정 수단(8)으로 이송된다. 고정 수단(8)에, 전사 매체 상의 토너 화상은 전사 매체에 고정된다. 그런 후, 전사 매체는 분배부(10) 내로 토출된다.
도2에 의하여 추가로 기술하기 위해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 광 전도성 드럼(1), 중간 전사 벨트(5a), 및 폐토너 상자(216)는 일체형 프로세스 카트리지(5)를 함께 구성한다. 즉, 프로세스 카트리지(5)는 2개의 유닛, 광 전도성 드럼(1)을 포함하는 광 전도성 드럼 유닛(20)과 중간 전사 벨트(5a)와 폐토너 상자(216)를 포함하는 중간 전사 매체 유닛(21)으로 구성된다.
중간 전사 벨트 유닛(21)은 광 전도성 드럼(1)으로부터 중간 전사 벨트(5a) 상에 화상을 전사한 후에 전사 매체 상에 화상을 전사하기 위한 수단(중간 전사 수단)과 폐토너를 회수 및 저장하기 위한 수단(폐토너 회수/저장 수단)을 가진다.
중간 전사 벨트(5a)는 신장되어 2개의 롤러, 구동 롤러(240 및 종동 롤러(241) 주위에 현수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5)에는 중간 전사 벨트(5a)가 전사 롤러(5j)와 광 전도성 드럼(1)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광 전도성 드럼(1)에 대향된 제1 전사 롤러(5j)가 제공된다.
소정의 편향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중간 전사 벨트(5a)에 남아있는 잔류 토너 입자에서 잔류 전하를 제거하기 위한 세척 대전 롤러부(223)는 중간 전사 벨트(5a)와 개재된 상태로 구동 롤러(240)와 대향한다.
세척 대전 롤러(5f)에는, 잔류 토너 입자에서 잔류 전하를 제거하도록 소정의 편향 전압이 인가된다. 그런 후, 잔류 토너 입자는 전술된 바와 같이 광 전도성 드럼(1) 상에 다시 정전 전사되고, 폐토너 상자(216)에 축적되도록 세척 블레이드(6)에 의해 제거(회수)된다.
다음, 도1 및 도2에 다시 의하면, 전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화상 형성 장치의 화상 형성 프로세스가 보다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
광 전도성 드럼(1)은 중간 전사 벨트(5a)의 회전과 동시에 도1의 화살표의 방향(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된다. 광 전도성 드럼(1)의 주연면은 소정의 대전 편향 전압을 대전 장치로서의 대전 롤러(2)에 인가함으로써 균일하게 대전된다. 그런 후, 광 전도성 드럼(1)의 주연면은 노출 수단(3)에 의해 노출되고; 예컨대 의도된 화상의 황색 성분의 광화상에 노출된다. 그 결과, 의도된 화상의 황색 성분에 대응하는 정전 잠상은 광 전도성 드럼(1)의 주연면 상에 형성된다.
노출 수단(3)은 광 전도성 드럼(1) 상에 광화상을 투사시킴으로써 광 전도성 드럼(1)의 주연면을 외부 장치 등으로부터 판독된 화상 형성 데이터에 따른 광화상에서 노출시키는 수단이다. 이에는 레이저 다이오드, 다각 미러, 스캐너 모터, 초점 렌즈 및 편향 미러등이 있다.
화상 신호가 외부 장치 등으로부터 노출 수단(3)에 제공됨에 따라, 레이저 다이오드는 화상 신호에 따른 화상 형성광으로서 빛을 방출하고, 빛은 스캐너 모터에 의해 고속으로 회전되는 다각 미러를 향해 투사된다. 투사된 빛은 다각 미러 에 의해 편향되어 초점 렌즈를 통과하고, 편향 미러에 의해 편향되고, 광 전도성드럼(1)의 주연면을 선택적으로 노출한다. 그 결과, 정전 잠상은 광 전도성 드럼(1) 상에 형성된다.
광 전도성 드럼(1) 상의 정전 잠상은 본 실시예에서 소위 로터리형 현상 장치(A)인 현상 카트리지(4)에 의해 소정의 색상의 토너 화상으로 변환된다. 현상 장치(A)는 4개의 현상 장치, 즉 황색 현상 장치(4Y), 마젠타색 현상 장치(4M), 시안색 현상 장치(4C), 및 흑색 현상 장치(4BK), 및 소정의 현상 장치가 광 전도성 드럼(1)에 대향하는 현상 위치로 4개의 현상 장치가 이동되도록 장착되는 로터리(40)를 포함한다.
즉,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정전 잠상의 형성과 동시에, 현상 장치(4A)의 소정의 카트리지, 예컨대 황색 현상 장치(4Y)는 황색 토너를 정전 잠상에 부착함으로써 소정의 편향이 정전 잠상을 현상하도록 인가되는 현상 위치로 로터리(40)의 회전에 의해 이동된다.
도3에 의하면, 현상 카트리지(4)는 토너 용기로서 토너 저장부(302)와 광 전도성 드럼(1)에 대향된 현상부(301)로 대략 나누어질 수 있다. 토너 저장부(302)와 현상부(301)는 카트리지 프레임(300)에 의해 단일화된다.
토너 저장부(302)는 소정 색상의 토너로 충전된다. 교반 수단(303)이 회전됨에 따라, 토너 저장부(302)의 소정 토너량은 현상부(301)로 이송된다. 현상부(301)에 있어서, 스펀지 토너 공급 롤러(304)가 회전됨에 따라, 토너는 현상 롤러(305)의 주연면에 공급되고, 토너 입자는 현상 블레이드(332)와 현상 롤러(305)에 대항하여 문질러지면서, 현상 롤러(305) 상의 토너층 두께는 현상 블레이드(332)에 의한 한개의 얇은 판 형태의 소정치로 감소됨으로써, 전기 대전된다. 현상 롤러(305) 상의 얇은 토너층은 소정의 현상 편향이 광 전도성 드럼(1) 상의 정전 잠상을 토너 화상 또는 시각화된 화상으로 현상하도록 인가되는 현상부(301)로 현상 롤러(305)의 회전에 의해 이송된다.
잔류 토너 입자, 즉 광 전도성 드럼(1) 상의 잠상의 시각화에 기여하지 않고 현상 롤러(305)의 주연면 상에 남아있는 토너 입자는 토너 공급 롤러(304)에 의해 벗겨지지만, 토너의 새로운 공급물은 광 전도성 드럼(1) 상에 연속으로 형성된 잠상의 현상을 위해 토너 공급 롤러(304)에 의해 현상 롤러(305)의 주연면에 공급된다.
도1 및 도2에 다시 의하면, 현상 후에, 광 전도성 드럼(1) 상의 토너 화상, 예컨대 황색 토너는 광 전도성 드럼(1)에 대항하여 중간 전사 벨트(5a)를 가압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수단을 구성하는 제1 전사 수단으로서의 제1 전사 롤러(5j)에 극성이 토너의 극성과 반대인 편향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중간 전사 벨트(5a) 상에 전사(제1 전사)된다.
황색 토너 화상의 전술된 제1 전사가 완료됨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 마젠타색 현상 장치(4M)인 다음 현상 장치는 로터리(40)의 회전에 의해 마젠타색 현상 장치(4M)가 광 전도성 드럼(1)에 대향된 현상부로 이동되고 중간 전사 벨트(5a) 상에 마젠타색의 토너 화상을 전사한다. 전술된 프로세스는 시안색 성분 및 흑색 성분에 대해서 또한 반복된다. 그 결과, 4색 토너 화상은 중간 전사 벨트(5a) 상에 층을 이루며 배치된다.
그 사이에, 제2 전사 수단으로서의 제2 전사 롤러(11)는 중간 전사 벨트(5a)와 비접촉 상태로 유지되고, 세척 대전 롤러(5f)는 중간 전사 벨트(5a)와 접촉하지 않은 위치에 유지된다.
색상이 상이한 4색 토너 화상이 중간 전사 벨트(5a) 상에 배치됨에 따라, 제2 전사 롤러(11)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전사 벨트(5a)에 대항하여 가압된다. 또한, 중간 전사 벨트(5a)에 대항한 제2 전사 롤러(11)의 가압과 동시에, 이송 수단으로서 정합 롤러쌍(7) 주위의 소정의 위치에 대기중인 전사 매체는 중간 전사 벨트(5a)와 제2 전사 롤러(11) 사이의 닙부 내로 전달되도록 해체된다.
정합 롤러쌍(7)의 인접한 상류측 상에는, 상류 정합 센서(14)가 배치되어, 전사 매체의 선단부가 검출되면 정합 롤러쌍(7)을 회전식으로 구동하기 위한 힘을 차단함으로써 전사 매체를 대기 상태로 유지한다.
제2 전사 롤러(11)에, 극성이 토너의 극성과 반대인 편향 전압이 인가되고, 중간 전사 벨트(5a) 상의 토너 화상은 전사 매체가 전술된 닙부 내로 이송됨에 따라 전사 매체의 표면 상에 동시에 모두 전사(제2 전사)된다.
토너 화상의 전사(제2 전사) 후에, 전사 매체는 운반 벨트 유닛(12)에 의해 토너 화상이 고정되는 고정 장치(8)에 이송된다. 그런 후, 전사 매체는 시트 토출 롤러쌍(13)에 의해 시트 토출 안내부(15)를 따라 이송되고 시트 토출 롤러쌍(9)에 의해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의 상부에서 분배 트레이(10) 내로 토출되어, 화상 형성을 종결한다.
그 사이에, 제2 전사의 완료 후에, 세척 대전 롤러(5f)는 중간 전사벨트(5a)에 대항하여 가압되고, 소정의 편향 전압은 세척 대전 롤러(5f)에 인가되어, 중간 전사 벨트(5a)의 표면에서 전하와 중간 전사 벨트(5a) 상에 남아있는 토너 입자(제2 잔류 토너 입자)를 제거한다.
전하의 제거 후에, 잔류 토너 입자는 제1 전사 닙부에서 중간 전사 벨트(5a)로부터 광 전도성 드럼(1) 상에 다시 정전 전사되고, 즉 중간 전사 벨트(5a)의 표면은 세척된다.
광 전도성 드럼(1) 상에 다시 전사된 후에, 제2 전사 잔류 토너 입자는 광 전도성 드럼(1)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 블레이드(6)에 의해 제거(회수)된다. 회수된 전사 잔류 토너 입자는 (도시되지 않은) 이송로를 통해 폐토너로서 전달되어, 페토너 상자에 축적된다.
(로터리, 현상 카트리지, 및 현상 장치)
다음, 도4 내지 도13에 의하면, 현상 카트리지(4)와 현상 장치(A)가 기술될 것이다.
전술된 바와 같이, 황색, 마젠타색, 시안색, 및 흑색 토너가 각각 저장되는 현상 카트리지(4), 즉 황색 현상 장치(4Y), 마젠타색 현상 장치(4M), 시안색 현상 장치(4C), 및 흑색 현상 장치(4BK)는 현상 장치(4A)의 로터리(40)에서 소정의 위치에 배치된다.
이제, 로터리(40)에 현상 카트리지(4)를 위치시키기 위한 방법이 기술될 것이다.
도11 내지 도13에 의하면, 로터리(40)는 중심축(51)에 대해서 한 쌍의 로터리 디스크[400(400A, 400B)]가 하나씩 단독으로 고정되는 길이방향 단부로 회전한다.
각 로터리 디스크(400(400A, 400B)]는 4개의 홈을 가지며, 각각은 현상 카트리지(4)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부(400b), 길이방향 단부에 의해 현상 카트리지(4)를 포획하기 위한 부분을 구성하는 카트리지 포획/안내부(400h), 현상 카트리지 위치설정부 뿐만 아니라 베어링으로 기능하고 현상 카트리지가 그 축선에 대해 피봇 이동하는 위치설정 보스 보유부(400d), 및 그 피봇 방향에 관해서 소정 위치에 현상 카트리지(4)를 잠그기 위한 V형 현상 카트리지 포획부를 포함한다.
한편, 도4 및 도5에 의하면, 각 현상 카트리지(4)의 좌우 단부면에는 대응 단부면으로부터 수직으로 돌출하는 제1 및 제2 안내부가 각각 제공된다. 제1 및 제2 안내부의 각각은 그 위치가 현상 부재(305, 현상 롤러)와 대응하는 원통형 위치설정 보스(310c)와 평탄 안내 리브(310b)를 가진다. 보스(310c)는 로터리 디스크[400(400A, 400B)]의 홈의 보스 보유부(400d) 및 보스 포획/안내부(400h)와 결합하지만, 안내 리브(310b)는 로터리 디스크[400(400A, 400B)]의 홈의 안내부(400b)에 끼워진다.
또한, 현상 카트리지(4)에는 로터리 디스크[400(400A, 400B)]의 돌출부 포획부(400e)에 끼워지는 돌출부(310m)가 제공되어, 현상 카트리지(4)의 피봇 이동을 제어하고, 즉 그 피봇 방향에 관해서 소정의 위치에 현상 카트리지(4)를 잠근다. 안내 리브(310b)에, 현상 편향 인가 전극(311A)이 부착된다. 장치 주조립체의 현상 편향 인가 접점(410; 도17)에 전기 접속된 현상 편향 인가 전극(311A)의접점(311)은 현상 카트리지의 길이방향 단부면, 보다 구체적으로, 적어도 안내 리브(310b)의 상면, 즉 현상 카트리지의 길이방향에 수직인 표면에서 노출된다.
도1에 의하면, 로터리 디스크[400(400A, 400B)]의 홈의 카트리지 홈부(400b) 내에는, 도면의 시계반대방향으로 현상 카트리지(4)를 회전시키는 방향으로 현상 카트리지(4)를 가압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스프링(53)이 제공된다. 이 스프링(53)은 안내 리브(310b) 아래에 위치된 압력 포획부(310k)와 접촉된다. 현상 카트리지(4)는 스프링(53)의 탄성에 의해 발생되는 힘과 이후에 기술될 현상 롤러(305)를 회전식으로 구동하도록 인가된 힘에 의해 발생되는 모멘트에 의해 보스(310c)에 대해 회전하는 방향으로 가압 상태로 유지된다. 그 결과, 현상 카트리지(4)의 돌출부(310m)는 로터리 디스크[400(400A, 400B)]의 돌출부 포획부(400e)와 접촉 상태를 신뢰성있게 유지한다.
또한, 도7, 도11, 도18 등에 의하면, 본 실시예에 있어서, 현상 카트리지(4)에는 현상 카트리지(4)가 제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잠금부(300g)가 제공된다. 이 잠금부(300g)는 현상 카트리지(4)의 길이방향으로의 위치설정 보스(310c)의 긴 관통 구멍(310q)에서 이동할 수 있어서, 현상 카트리지(4)의 외향 방향으로 가압 상태를 유지한다. 잠금부(300g)는 현상 카트리지(4)의 조작부(H) 상에 위치한 버튼(310p)이 조작부(H) 내로 가압됨에 따라 현상 카트리지(4) 내로 수축한다.
따라서, 로터리(40) 내에 현상 카트리지(4)를 장착할 때, 잠금부(300g)는 로터리 디스크[400,(400A, 400B)]의 카트리지 포획/안내부(400h)의 잠금 구멍(400g) 내에 끼워져서, 로터리에 잠겨진 현상 카트리지(4)를 보유한다.
이 잠금 기구의 구비로, 현상 카트리지(4)는 로터리가 회전될 때 로터리(40)에서 분리되지 않게 된다. 장지 주조립체로부터 현상 카트리지(4)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현상 카트리지(4)의 상부면의 중심에 위치된 조작부(H)를 보유하면서 버튼(310p)을 조작부(H) 내로 누르는 것만이 필요하다. 버튼(310p)을 조작부(H) 내로 가압한 상태로, 현상 카트리지(4)는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터리(40)로부터 상향으로 당겨질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현상 카트리지(4)는 스프링(53), 잠금부(300g) 등이 제공되는 로터리(40)의 좌우 로터리 디스크[400(400A, 400B)]에 의해 제거가능하게 보유되고, 즉 현상 카트리지(4)는 사용자에 의해 장치 주조립체, 보다 구체적으로, 로터리(40) 내에 장착 또는 이로부터 장착해제될 수 있다.
(로터리와 현상 카트리지를 구동하는 구조)
다음, 도14 내지 도17에 의하면, 로터리(40)와 현상 카트리지(4)를 구동하기 위한 구조 장치가 기술될 것이다. 로터리(40)의 길이방향 단부 각각에는, 로터리 지지판(450)이 부착되고, 중심축(51)은 로터리 디스크(400)와 로터리 디스크 지지판(450)을 통과하고, 즉 로터리 디스크(400)와 중심축(51)은 로터리 지지판(450)에 의해 회전식으로 지지된다.
도11 및 도14에 의하면, 로터리 디스크[400(400A, 400B)] 각각의 주연부는 로터리 디스크의 일체로 형성된 부품인 기어(308)를 구성한다. 도시되지 않지만, 이 기어(308)는 로터리(40)의 각 길이방향 단부에 위치된 종동 기어와 맞물린다. 로터리(40)의 길이방향 단부의 각각에 있는 2개의 종동 기어는 회전축과 연결되어로터리 디스크(400) 중 하나, 예컨대 디스크(400A)가 회전함에 따라, 다른 하나 또는 디스크(400B)가 동일한 위상으로 또한 회전될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로터리 디스크(400B)의 기어(308)인 로터리 디스크(400) 중 하나의 기어(308)에, (도시되지 않은) 회전 구동 모터가 연결된다.
전술된 구동 기구의 구비로, 로터리 디스크[400(400A, 400B)]가 회전되거나 또는 현상 롤러가 구동될 때 로터리 디스크[400(400A, 400B)] 중 하나가 비틀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본 실시예에서 로터리 디스크(400B)측 상의 로터리 지지판(450)인 로터리 지지판(450)중 하나에는 도14 및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기어(55(55a, 55b, 55c, 55d, 55e)가 제공된다. 현상 카트리지(4)의 구동력 입력 기어(30)는 기어(55e) 또는 로터리 지지판(450)에 부착된 복수의 기어(55, 구동력 전달 기어 트레인)의 최하류 기어와 맞물리고, 현상 롤러(305), 코팅 롤러(304), 교반 부재(303) 등을 구동한다.
본 실시예에서, 구동력 입력 기어(307)는 현상 카트리지(4)가 로터리 디스크(400)의 회전에 의해 소정 각도로 선회 이동됨에 따라 회전 지지판(450)의 단부 기어(55e)와 결합된다.
여기서, 도15에 의하면, 로터리 지지판(450)에 부착된 단부 기어(55e)는 현상 카트리지(4)가 화살표(R)에 의해 지시되는 방향으로 로터리(40)의 회전에 의해 현상 위치로 선회 이동함에 따라 현상 카트리지(4)의 구동력 입력 기어(307)와 맞물린다.
현상 카트리지(4)의 구동력 입력 기어(307)가 로터리 지지판(450)의 단부 기어(55e)에서 구동력을 수용함에 따라, 도16의 화살표에 의해 지시된 방향으로 구동력 입력 기어(307)와 단부 기어(55e) 사이의 맞물림에 의해 생성된 힘(F)을 받기 쉽다. 그 결과, 현상 카트리지(4)는 로터리 디스크(400)의 홈의 보스 보유부(400d)에 보유된 현상 카트리지(4)의 위치설정 보스(310c)에 대해 현상 카트리지(4)를 회전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이러한 시계반대방향 모멘트를 받기 쉽다. 현상 카트리지(4)가 이 회전 모멘트를 받기 쉬운 상태로, 현상 카트리지(4)의 돌출부(310m)는 로터리 디스크(400)의 V형 돌출부 포획 리세스(400e)에 가압된 상태로 유지되어, 현상 카트리지(4)가 로터리(40)의 소정 위치로부터 제거되게 되는 것을 방지한다. 부수적으로, 구동력 입력 기어(307)와 단부 기어(55e) 사이의 맞물림으로 인한 이 힘(F)은 로터리 내에 한정된 폐쇄 시스템의 일부를 구성하여, 현상 카트리지(4)에 의해 광 전도성 드럼(1)에 인가된 압력(W, 도15)에 매우 작은 영향을 미친다.
로터리 디스크(400)에 대한 현상 카트리지의 위치설정에 대한 전술은 로터리 디스크(400A, 400B) 모두에 적용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있어서, 로터리 디스크(400B)의 구조는 로터리 디스크(400B)의 구조와 상이하게 제조된다.
즉, 본 실시예에 있어서, 로터리 디스크(400B)측 상의 현상 카트리지(4)의 위치설정 보스(310c)의 크기(보다 구체적으로, 직경)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터리 디스크(400B)의 홈의 위치설정 보스 보유부(400d)보다 작게 제조되어, 이들사이에 유격을 제공한다. 또한, 위치설정 보스(310c)에는 보스 보유부(400d)에서 결합하는 리브(310s)가 제공된다.
전술된 구조 장치의 구비로, 로터리 디스크(400A)측 상에서, 현상 카트리지(4)의 위치설정 보스(310c)는 로터리 디스크(400A)의 위치설정 보스 보유부(400d)에 정확히 끼워지고, 현상 카트리지(4)의 돌출부(310m)는 로터리 디스크(400A)의 V형 돌출부 포획 리세스(400e)에 끼워지고, 고정밀도로 현상 카트리지(4)를 위치시킨다.
이에 비해, 로터리 디스크(400B)측 상에서, 현상 카트리지(4)의 위치설정 보스(310c)는 로터리 디스크(400B)의 위치설정 보스 보유부(400d)에 헐겁게 끼워진다. 그러나, 구동력이 현상 위치로의 현상 카트리지(4)의 이동에 의해 현상 카트리지(4)에 전달되기 시작함에 따라, 현상 카트리지(4)는 화살표에 의해 지시되는 방향으로 가압된다. 그 결과, 현상 카트리지(4)의 돌출부(310m)는 로터리 디스크(400A)의 V형 돌출부 포획 리세스(400e) 내로 끼워진다. 또한, 위치설정 보스(310c)의 일부인 리브(310s)는 보스 보유부(400d) 내로 끼워진다. 따라서 현상 카트리지(4)는 소정의 위치에 정확하게 배치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현상 카트리지(4)는 로터리(40)에 대해 정확히 위치되어, 현상 위치로 이동됨으로써 장치 주조립체에 대해 정확히 위치된다.
(화상 형성 장치 내로의 현상 카트리지의 장착 방법)
다음에는 본 발명의 특징인 현상 카트리지(4)의 안내 리브(310b)와 현상 편향 인가 접점의 구조가 기술될 것이다.
도4 내지 도10에 의하면, 본 실시예에 있어서, 현상 카트리지(4)의 각 길이방향 단부에서의 현상 카트리지의 단부면은 현상 카트리지(4)의 주조립체에서 분리가능한 측부 커버[310(310A, 310B)]의 외향 대향면이다. 도8은 측부 커버(310A), 즉 좌측의 측부 커버가 현상 카트리지 주조립체에서 분리되는 현상 카트리지(4)를 도시한다.
도8 내지 도10에 의하면, 측부 커버(310A)는 현상 카트리지 주조립체의 위치설정 구멍(300c)과 보스(300d)를 측부 커버(310)의 위치설정 보스(310d1)와 긴 구멍(310d2)과 각각 정렬하여, 나사(330, 331)를 측부 커버(310A)의 구멍(310e, 310f)에 관통시킨 후, 나사(330, 331)를 현상 카트리지 주조립체 내로 나사 고정시킴으로써 현상 카트리지 주조립체에 부착된다. 측부 커버(310b)에 대해서도, 커버는 측부 커버(310A)와 동일한 방식으로 나사를 사용하여 현상 카트리지 주조립체에 부착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현상 카트리지(4)의 경우에 있어서, 현상 카트리지 주조립체의 길이방향 단부에 부착된 측부 커버[310(310A, 310B)]에는 현상 카트리지(4)를 위치시키기 위한 위치설정 보스(310c)와 현상 카트리지(4)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 리브(310b)가 각각 제공된다. 현상 카트리지(4)는 위치설정 보스(310c)와 안내 리브(310b)가 로터리 디스크[400(400A, 400B)]의 홈의 위치설정 보스 포획부(400h), 위치설정 보스 보유부(400d), 카트리지 안내부(400b) 등에 결합됨에 따라 로터리 디스크(40)와 소정의 관계로, 즉 화상 형성 장치 주조립체에 대해 배치된다.
현상 카트리지(4)의 측부 커버(310A)측 상에, 현상 편향 인가 전극(311A)에는 안내 리브(310b)의 상부면, 즉 현상 카트리지(4)의 길이방향에 수직인 표면에 노출된 현상 편향 인가 접점(311)이 제공된다. 이후에 상세히 기술될 현상 편향 인가 접점(311)은 현상 카트리지(4)가 현상 위치로 이동됨에 따라 현상 편향 인가 접점(410, 도19)에 전기 접속되게 된다.
도10에 의하면, 본 실시예에 있어서, 현상 편향 인가 접점(311)을 포함하는 현상 편향 인가 전극(311A)은 측부 커버(310A)가 현상 카트리지 주조립체에 부착됨에 따라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 카트리지(4)의 현상 부재(305, 현상 롤러)와 현상제 코팅 부재(304, 토너 공급 롤러)에 전기 접속되도록 현상화되어, 현상 편향과 코팅 부재 편향을 현상 롤러(305)와 토너 공급 롤러(304)에 각각 인가한다.
현상 편향 접점(311)은 안내 리브(310b)에서 노출되기 때문에, 접점은 현상 카트리지(4)가 로터리(40) 내로 삽입됨에 따라 로터리(40), 즉 장치 주조립체 내로 직접 배치된다. 또한, 안내 리브(310b)는 현상 카트리지(4)의 일부로 현상 카트리지(4)를 안내하도록 로터리 디스크(400)의 홈의 카트리지 홈부(400b) 내로 끼워지고, 접점(311)은 안내 리브(310b)에서 노출된다. 따라서 접점(311)은 안내 리브(310b)가 홈의 카트리지 안내부(400b)에 의해 안내됨에 따라 홈의 카트리지 홈부(400b)에 의해 안내되어, 현상 편향이 화상 형성 장치 주조립체로부터 접점(311)을 통해 현상 카트리지(4)에 인가될 수 있도록 접점(311)이 설정된다는 것을 보장한다.
또한, 도4 및 도18에 의하면, 현상 카트리지(4)는 그 길이방향에 관해서 현상 카트리지의 주조립체를 위치시키도록 화상 형성 장치 주조립체의 현상 편향 인가 전극부와 접촉되게 배치되는 제1 돌출부(310h)와, 제1 돌출부(310h)가 화상 형성 장치 주조립체의 현상 편향 인가 전극부과 접촉되게 배치되도록 현상 카트리지(4)가 이동되는 방향에 대향된 방향으로의 현상 카트리지의 이동을 조절하기 위한 제2 돌출부(310a)를 가진다. 이 구조 장치 및 그 기능은 이후에 보다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
다음, 도11 및 도12에 의하면, 로터리(40)와 로터리 디스크[400(400A, 400B)]가 추가로 기술될 것이다.
도11은 현상 카트리지(4)가 로터리(40) 내에 삽입되는 방법을 도시하고, 도12는 로터리 디스크(400A) 또는 로터리가 구동되지 않는 측부상의 로터리 디스크(400)의 부재를 도시한다.
도12에 의하면, 비구동측상의 로터리 디스크(400A)에는 4개의 홈이 제공되며, 각각은 현상 카트리지(4)를 장치 주조립체의 현상 편향 접점(410)과 접촉하게 배치하기 위한 부분(400h), 현상 카트리지(4)의 위치설정 보스(310c)를 보유하기 위한 위치설정 보스 보유부(400d), 제1 돌출부(310h)가 화상 형성 장치 주조립체의 현상 편향 인가 전극부와 접촉되게 배치되도록 현상 카트리지(4)가 이동되는 방향에 대향된 방향으로의 현상 카트리지(4)의 이동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부(400a), 장치 주조립체측 상의 현상 편향 인가 접점(410)이 현상 카트리지(4)와 접촉되게 배치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한 구멍(400c), 및 현상 카트리지(4)의 잠금부(300g)가 배치되는 잠금 구멍(400g)을 포함한다.
도11에 의하면, 현상 카트리지(4)는 현상 카트리지(4)의 각 단부면 상의 안내부(310b)가 로터리(40)의 홈의 대응 안내부(400b)와 정렬된 상태로 로터리(50)에 삽입되게 된다. 삽입 후에, 로터리(40)는 로터리(40)의 지지판(450)에 부착되고 도17에 도시된 접점(410)이 현상 카트리지(4)와 접촉하는 위치로 현상 카트리지(4)가 이동되도록 회전되게 된다.
도15는 현상 카트리지(4)중 하나가 소정의 위치, 즉 현상 위치에 있고, 그 내부에서 잠겨진 로터리의 상태를 도시한다.
이 상태에 있어서, 현상 카트리지(4)의 제1 돌출부(310h)는 로터리(40)의 카트리지 포획부(400h)와 접촉하게 되어, 도18 및 도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 주조립체의 현상 편향 인가 접점(410)과 현상 카트리지(4) 사이의 거리를 고정한다.
즉, 현상 카트리지(4)가 현상 위치로 이동됨에 따라, 장치 주조립체측 상의 구동 기어(55c)는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 카트리지(4)의 구동력 입력 기어(307)와 맞물린다. 그 결과, 구동력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력 입력 기어(307)로부터 구동력 입력 기어(307)와 일체인 아이들러 기어(307a)를 통해 현상 롤러 구동 기어(305a)에 전달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구동력 입력 기어(307), 아이들러 기어(307a), 및 현상 롤러 구동 기어(305a)는 헬리컬 기어로, 구동력 입력 기어(307)가 구동됨에 따라 힘이 좌측 방향, 즉 현상 카트리지(4)의 길이방향에 관해 도4 및 도11의 좌측 방향으로 현상 롤러(305)와 현상 카트리지(4)에 인가되도록 구성 및 배열된다. 따라서 구동력 입력 기어(307)가 구동됨에 따라, 현상 카트리지(4)의 제1 돌출부(310h)는도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터리(40)의 카트리지 포획부(400h)와 접촉하게 된다.
한편, 반대 방향(도4 및 도11의 우측 방향)으로의 현상 카트리지(4)의 길이방향 이동은 도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 주조립체의 로터리 디스크(400)의 홈인 조절부(400a)의 단부면과 현상 카트리지(4)에 부착된 제2 돌출부의 단부면 사이의 접촉에 의해 조절된다.
즉, 현상 카트리지(4)에는 현상 카트리지(4)의 전술된 좌측 이동을 조절하기 위한 제1 돌출부(310h)가 제공될 뿐만 아니라 반대 방향 또는 우측 방향으로의 현상 카트리지(4)의 이동을 조절하기 위한 제2 돌출부(310a)가 제공된다. 따라서 현상 카트리지(4)의 돌출부(310h)가 구동력, 구동 조건 등의 변동으로 인해 로터리(40)의 카트리지 포획부(400h)와 접촉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도, 현상 카트리지(4)의 현상 편향 인가 접점(311)과 화상 형성 장치 주조립체의 현상 편향 인가 접점(410) 사이의 거리의 변화는 최소화된다.
더욱 상세히 기술하면,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 주조립체의 현상 편향 인가 접점(410)은 코일 스프링의 형태로, 도17 및 도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터리(40)의 지지판(450)에 부착된다. 현상 카트리지(4)가 소정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현상 카트리지(4)의 현상 편향 인가 접점(311)은 화상 형성 장치 주조립체의 현상 편향 인가 접점(410)과 접촉하게 된다.
현상 카트리지(4)의 현상 편향 인가 접점(311)은 비구동측 상에서 안내 리브(310b)에 부착되고, 제1 위치설정 돌출부(310h), 보스(310c), 및 안내 리브(310b)는 단일 요소의 일체품이다. 현상 카트리지(4)의 길이방향에 관해 현상카트리지(4)를 위치시키기 위한 제1 돌출부(310h)와 현상 편향 인가 접점(311) 사이의 거리 변동량은 요소 공차를 규명할 수 있는 단일 요소의 위치 편차 범위에 존재한다.
또한, 현상 카트리지(4)의 현상 편향 인가 접점(311)과 화상 형성 장치 주조립체의 현상 편향 인가 접점(410) 사이의 위치 관계에 관해서, 2개의 현상 편향 이가 접점(410, 311)은 로터리(40)의 로터리 디스크(400)의 구멍(400c)을 통해 상호 연결된다.
따라서, 현상 카트리지(4)의 현상 편향 인가 접점(311)과 화상 형성 장치 주조립체의 현상 편향 인가 접점(410) 사이의 위치 관계는 소수의 성분에 의해 결정되어 복수의 요소의 공차의 부가에서 초래된 에러량을 최소화한다. 즉, 전술된 구성 장치는 2개의 현상 편향 인가 접점(410, 311) 사이의 위치 관계의 변경을 최소화하고, 현상 편향이 신뢰성있게 인가된다는 것을 보장한다.
또한, 비구동측, 즉 구동력 입력 기어(307)가 제공되는 구동력 입력부에서 먼 측부 상의 로터리 디스크(400A)는 현상 카트리지(4)의 길이방향에 관해서 화상 형성 장치 주조립체 또는 로터리(40)에 대해 현상 카트리지(4)의 위치를 고정하는 데에 사용될 뿐만 아니라 현상 편향을 인가하는 데에도 사용된다. 따라서 현상 카트리지의 현상 편향 인가 접점(311)과 화상 형성 장치 주조립체의 현상 편향 인가 접점(410) 사이의 위치 관계는 현상 카트리지(4)의 폭방향(길이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현상 카트리지(4)의 위치 편차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을 것이다, 즉 현상 카트리지(4)의 현상 편향 인가 접점(311)과 화상 형성 장치 주조립체의 현상 편향인가 접점(410)의 위치는 안정되게 유지될 것이며, 현상 편향이 신뢰성있게 인가된다는 것을 보장한다.
다음, 도9에 의하면, 로터리 현상 장치(4A)를 구비한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는 표면(310i, 310j)보다 그 상부면이 높게 위치된 안내 리브(310b)에 접점(311)이 부착되고 로터리(40)의 회전 중에 현상 카트리지(4)의 수지부가 현상 카트리지(4)의 현상 편향 인가 접점(311)의 통로에 진입하지 않거나 현상 편향 인가 접점(311)과 동일한 높이에 있지 않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편향 전압은 현상 카트리지(4)의 수지부를 손상시키지 않고 인가될 수 있다. 또한, 도18에 의하면, 안내 리브(310b)의 단부면은 현상 카트리지(4)의 길이방향에 관해 현상 카트리지(4)를 조절하기 위한 돌출부(310h)의 단부면으로부터 현상 카트리지(4)의 내향 방향으로 거리(E)만큼 들어가 있다.
또한, 안내 리브(310b)의 소정의 표면에만 현상 편향 인가 접점(311)이 부착되는 상승부가 제공되어야 하고; 표면(310i, 310j)에는 현상 편향 인가 접점(311)이 부착되는 상승부가 제공될 필요가 없어서, 공간 효율성을 향상시킨다. 즉, 표면(310i, 310j)은 현상 카트리지(4)를 삽입할 때 현상 카트리지(4)를 상승시키는 부분을 가지지 않고, 현상 카트리지(4)를 원활하게 삽입되므로, 현상 카트리지(4)가 사용자에 의해 장착 및 장착해제되는 효율성을 향상시킨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 현상 카트리지(4)에는 그 길이방향에 관하여 로터리(40)에 대해 현상 카트리지(4)를 위치시키기 위한 제1 돌출부(310h)와, 제1 돌출부가에 대향된 방향으로 현상 카트리지(4)의 이동을 조절하기 위한 제2 돌출부(310a)가 제공되지만, 화상 형성 장치 주조립체의 로터리(40)에는 카트리지 포획부(400h)와 카트리지 포획부(400h)에서 멀리 이동시키는 방향으로의 현상 카트리지(4)의 이동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부(400a)가 제공된다. 따라서 현상 카트리지(4)의 현상 편향 인가 접점(311)과 장치 주조립체의 현상 편향 인가 접점(410) 사이의 거리는 대체로 일정하게 유지되어, 현상 편향이 신뢰성있게 인가된다는 것을 보장한다.
또한, 그 길이방향에 관한 현상 카트리지(4)의 위치는 로터리 디스크(400A), 즉 구동력 입력부에서 먼 현상 카트리지(4)의 비구동측 상의 로터리 디스크(400)에 의해 고정될 뿐만 아니라, 현상 편향은 로터리 디스크(400A)를 통해 인가된다. 따라서 현상 카트리지(4)의 현상 편향 인가 접점(311)과 화상 형성 장치 주조립체의 현상 편향 인가 접점(410) 사이의 위치 관계는 그 폭방향에 관한 현상 카트리지(4)의 위치 편차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을 것이며, 현상 편향이 신뢰성있게 인가된다는 것을 보장한다.
또한, 현상 카트리지측상의 현상 편향 인가 접점(311)은 현상 카트리지(4)의 안내 리브(310b)에 부착되어, 현상 편향 인가 접점(311)에 인접한 현상 카트리지(4)의 수지부가 로터리(40)의 회전 중에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현상 편향 인가 접점(311)이 현상 카트리지(4)의 표면(310j, 310j)에 대해 상승될 필요가 없고; 즉 안내 리브(310b)에만 현상 편향 인가 접점(311)이 부착되는 상승부가 제공되어, 공간 효율성의 향상에 기여한다. 또한, 표면(310i, 310j) 상의 상승부의 부재는 표면(310i, 310j)이 현상 카트리지(4)의 삽입 중에 현상카트리지(4)를 상승시키는 부분을 가지지 않고, 현상 카트리지(4)가 원활하게 삽입되므로, 현상 카트리지(4)가 사용자에 의해 장착 및 장착해제될 수 있는 효율성을 향상시킨다.
[실시예 2]
도20 내지 도23은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현상 카트리지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의 현상 카트리지(4)의 일반 구조는 복수의 현상 편향 인가 전극(311A, 312A)이 현상 카트리지(4)의 측면중 하나 상에서 안내 리브(310b)에 부착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1 실시예의 현상 카트리지(4)의 구성과 유사하다. 따라서 구조 장치와 기능면에서 제1 실시예의 요소와 유사한 본 실시예의 요소는 제1 실시예의 대응 요소에 주어진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가 주어지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원에서 생략될 것이다.
즉, 본 실시예에서, 현상 카트리지(4)가 구동되는 측부, 즉 측부 커버(310A)측 상의 현상 카트리지(4)의 단면에는 그 길이방향에 관해서 현상 카트리지의 주조립체를 위치시키기 위한 제1 돌출부(310h), 위치설정 보스 보유부(310c), 제1 돌출부(310h)에 대향된 방향으로의 현상 카트리지(4)의 이동을 조절하기 위한 제2 돌출부(310a), 및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현상 카트리지(4)를 삽입할 때 현상 카트리지(4)를 소정의 위치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 리브(310b)가 제공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 복수의 현상 편향 인가 전극(311A, 312A)은 안내 리브(310b)에 부착되고, 즉 적어도 현상 편향 인가 접점(311, 312)은 안내 리브(310b)의 단부면,즉 현상 카트리지(4)의 길이방향에 수직인 안내 리브(310b)의 표면에서 노출된다.
이 현상 편향 인가 접점(311, 312)은 현상 카트리지(4)가 현상 위치로 이동됨에 따라 장치 주조립체의 현상 편향 인가 접점(410, 411, 도23)에 전기 접속되게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현상 편향 인가 접점(311)을 포함한 현상 편향 인가 전극(311A)은 도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부 커버(310A)가 현상 카트리지 주조립체에 부착됨에 따라 현상 카트리지(4)의 현상제 코팅 부재(304, 토너 공급 롤러)와 현상 부재(305, 현상 롤러)에 전기 접속되도록 구성 및 배치되어, 현상 편향과 코팅 부재 편향을 현상 롤러(305)와 토너 공급 롤러(304)에 각각 인가할 수 있게 한다. 현상 편향 인가 접점(312)을 포함한 현상 편향 인가 전극(312A)은 도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부 커버(310A)가 현상 카트리지 주조립체에 부착됨에 따라 현상 카트리지(4)의 현상제량 조절 부재(332, 현상 블레이드)에 전기 접속되도록 구성 및 배치되어,현상량 조절 편향 전압을 현상 블레이드(332)에 인가할 수 있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 현상 카트리지(4)가 구동되는 측면 상에서의 현상 카트리지(4)의 단부판, 즉 측부 커버(310B)의 구조는 도5에 도시된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현상 카트리지(4)가 로터리(40)에서 소정의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서, 안내 리브(310b)의 길이는 현상 카트리지(4)의 반경과 대체로 동일하게 제조된다. 즉, 안내 리브(310b)는 복수의 전기 접점이 제공되기에 충분히 길고, 복수의 전기 접점을 부착할 수 있게 하여 안내 리브(310b)로부터의 그 높이가 동일하게 되어, 현상 카트리지측 상의 전기 접점과 장치 주조립체측의 전기 접점 사이의 전촉 압력이 안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보장한다.
현상 카트리지(4)를 로터리(40) 내로 삽입하기 위한 작동에 관해서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다음, 로터리(40)의 소정의 위치의 현상 카트리지(4)의 단면도인 도15에 의하면, 상기 현상 카트리지(4)가 화상 형성 장치 주조립체에 의해 구동됨에 따라, 현상 카트리지(4)의 제1 돌출부(310h)는 로터리(40)의 카트리지 포획부(400h)와 접촉하게 되어, 현상 카트리지(4)와 장치 주조립체의 현상 편향 인가 접점(410, 411) 사이의 소정의 거리를 보장한다. 현상 카트리지(4)의 길이방향에 관해 대향된 방향으로의 현상 카트리지(4)의 이동은 현상 카트리지(4)에 부착된 제2 돌출부(310a)의 단부면이 장치 주조립체의 로터리 디스크(400)의 홈인 조절부(400a)의 단부면과 접촉하게 됨에 따라 조절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도, 대향된 방향으로의 현상 카트리지(4)의 이동을 조절하기 위한 부분, 즉 조절부(400a)가 제공된다. 따라서, 현상 카트리지(4)의 돌출부(310h)가 구동력, 구동 조건 등의 변동으로 인해 로터리(40)의 카트리지 포획부(400h)와 접촉 상태로 유지되어도, 현상 카트리지(4)의 현상 편향 인가 접점(311, 312)과 화상 형성 장치 주조립체의 현상 편향 인가 접점(410) 사이의 거리 변동은 최소화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 주조립체의 2개의 현상 편향 인가 접점(410, 411)은 코일 스프링 형태로, 로터리(40)의 지지판(450)에 부착된다.
화상 형성 장치 주조립체의 2개의 현상 편향 인가 접점(410, 411)으로, 현상 카트리지(4)의 현상 편향 인가 접점(311, 312)은 각각 전기 접속된다.
현상 카트리지(4)의 현상 편향 인가 접점(311, 312)은 그 상부면을 상호 평탄하게 하면서 비구동측 상에서 안내 리브(310b)에 부착된다. 따라서 현상 편향 인가 접점(311)과 현상 카트리지(4)의 위치설정 돌출부(310h) 사이와, 현상 편향 인가 접점(312)과 현상 카트리지(4)의 위치설정 돌출부(310h) 사이의 거리 변동은 단일 요소의 공차를 규명할 수 있는 단일 요소의 위치 편차 범위 내에 존재한다.
또한, 현상 카트리지(4)의 현상 편향 인가 접점(311)과 화상 형성 장치 주조립체의 현상 편향 인가 접점(410) 사이와, 현상 카트리지(4)의 현상 편향 인가 접점(312)과 화상 형성 장치 주조립체의 현상 편향 인가 접점(411) 사이의 위치 관계에 대해서, 화상 형성 장치 주조립체의 2개의 현상 편향 인가 접점(410)과 현상 편향 인가 접점(410)은 로터리(40)의 로터리 디스크(400)의 구멍(400c)응 통해 현상 카트리지(4)의 2개의 현상 편향 인가 접점(311, 312)에 각각 접속된다.
따라서 현상 카트리지(4)의 현상 편향 인가 접점(311)과 화상 형성 장치 주조립체의 현상 편향 인가 접점(410) 사이와, 현상 카트리지(4)의 현상 편향 인가 접점(312)과 화상 형성 장치 주조립체의 현상 편향 인가 접점(411) 사이의 위치 관계는 소수의 요소에 의해 결정되어, 복수의 요소의 공차의 부가로부터 초래되는 에러량을 최소화한다. 즉, 전술된 구조 장치는 현상 카트리지(4)의 현상 편향 인가 접점(311, 312)과 화상 형성 장치 주조립체의 현상 편향 인가 접점(410, 411) 사이의 위치 관계의 변화를 각각 최소화하여, 현상 편향이 신뢰성있게 인가된다는 것을보장한다.
또한, 로터리 디스크(400A), 즉 구동력 압력 기어(306)가 제공되는 구동력 입력부에서 먼 비구동측 상의 로터리 디스크(400)는 현상 카트리지(4)의 길이방향에 관해서 화상 형성 장치 주조립체 또는 로터리(40)에 대해 현상 카트리지(4)의 위치를 고정하는 데에 사용될 뿐만 아니라 현상 편향을 인가하는 데에도 사용된다. 따라서 현상 카트리지(4)의 현상 편향 인가 접점(311)과 화상 형성 장치 주조립체의 현상 편향 인가 접점(410) 사이와, 현상 카트리지(4)의 현상 편향 인가 접점(312)과 화상 형성 장치 주조립체의 현상 편향 인가 접점(411) 사이의 위치 관계는 현상 카트리지(4)를 구동하도록 인가된 힘에 의해 유발되는 현상 카트리지(4)의 폭방향(길이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의 현상 카트리지(4)의 위치 편차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을 것이고, 즉 현상 카트리지(4)의 현상 편향 인가 접점(311, 312)의 위치와 화상 형성 장치 주조립체의 현상 편향 인가 접점(410, 411)의 위치는 안정하게 유지될 것이며, 현상 편향이 신뢰성있게 인가된다는 것을 보장한다.
현상 편향 접점(311, 312)에 인접한 현상 카트리지(4)의 수지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현상 카트리지(4)의 현상 편향 인가 접점(311, 312)은 표면 (310i, 310j)으로부터 다소 돌출한 현상 카트리지(4)의 일부에 부착되어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 현상 카트리지(4)의 현상 편향 인가 접점(311, 312)은 표면 (310i, 310j)으로부터 다소 돌출한 안내 리브(310b)에 부착되어, 현상 카트리지(4)의 표면(310i, 310j)에 현상 편향 인가 접점(311, 312)의 부착에 기여한 돌출부를 제공할 필요가 없어서, 공간 효율에 기여하게 된다. 즉, 본 실시예의 표면(310i,310j)은 현상 카트리지(4)를 삽입할 때 현상 카트리지(4)를 상승시키는 부분을 가지지 않아서, 현상 카트리지(4)를 원활하게 삽입함으로써, 현상 카트리지(4)가 사용자에 의해 장착 및 장착해제되는 효율성을 향상시킨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현상 카트리지(4)에는 위치설정 리브가 제공되지만, 화상 형성 장치 주조립체의 로터리에는 현상 카트리지(4)의 길이방향에 관해서 현상 카트리지(4)를 위치시키기 위한 홈이 제공된다. 따라서 현상 카트리지(4)의 현상 편향 인가 접점(311)과 장치 주조립체의 현상 편향 안가 접점(410) 사이와, 현상 카트리지(4)의 현상 편향 인가 접점(312)과 장치 주조립체의 현상 편향 안가 접점(411) 사이의 거리는 대체로 일정하게 유지되어, 현상 편향이 신뢰성있게 인가된다는 것을 보장한다.
또한, 그 길이방향에 관한 현상 카트리지(4)의 위치설정은 구동력 입력 입력부에서 먼 현상 카트리지(4)의 비구동측 상에 고정될 뿐만 아니라 현상 편향을 비구동측 상에 인가된다. 따라서 현상 카트리지(4)의 현상 편향 인가 접점(311, 312)과 화상 형성 장치 주조립체의 현상 편향 인가 접점(411, 412) 사이의 위치 관계는 그 폭방향에 관해 현상 카트리지(4)의 위치 편차에 의해 각각 영향을 받지 않을 것이며, 현상 편향이 신뢰성있게 인가된다는 것을 보장한다. 또한, 복수의 현상 편향 접점은 그 상부면이 상호 평탄한 상태로 안내 리브(310b)에 부착될 수 있고, 복수의 접점(311, 312)에 인가된 소정 압력량을 유지할 수 있게 하여, 현상 편향이 신뢰성있게 인가된다는 것을 보장한다.
또한, 접점(311, 312)은 현상 카트리지(4)의 안내 리브(310b)에 부착되어,현상 카트리지(4)의 수지부가 로터리(40)의 회전 중에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표면(310i, 310j)에 이로부터 다소 돌출한 부분을 제공할 필요를 제거하고, 공간 효율성에 기여한다. 즉, 본 실시예의 표면(310i, 310j)은 현상 카트리지(4)를 삽입할 때 현상 카트리지(4)를 상승시키는 현상 돌출 접점 등을 가지지 않아서, 현상 카트리지(4)를 원활하게 삽입하므로, 현상 카트리지(4)가 사용자에 의해 장착 또는 장착해제되는 효율을 향상시킨다.
전술된 제1 및 제2 실시예의 전술 및 도4 및 도20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현상 카트리지(4)에는 일제 부품으로서 위치 돌출부(310h)와 안내 리브(310b)를 포함한 위치설정 리브와, 그 위치가 위치설정 리브의 이론적 연장선과 일치하는 현상 카트리지(4)의 길이방향에 관해 현상 카트리지(4)의 이동을 조절하기 위한 돌출부(310a)가 제공되고, 즉 위치설정부(310h), 안내부(310b), 및 현상 카트리지(4)의 길이방향에 관해 현상 카트리지(4)의 이동을 조절하기 위한 돌출부(310a)는 일직선 상에 배열된다.
따라서 위치설정부(310h), 현상 카트리지(4)의 전기 접점이 부착되는 안내 리브(310b), 및 현상 카트리지(4)의 길이방향에 관해 현상 카트리지(4)의 이동을 조절하기 위한 돌출부(310a)는 고도로 정밀한 위치일 수 있고, 화상 형성 장치의 전기 접점을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으므로, 현상 카트리지(4)를 편향하여 신뢰성있게 공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도4 및 도20에 도시된 카트리지 포획부(310h)를 갖는 위치설정부(310c)는 카트리지(4)의 축선에 수직인 방향으로 피봇 이동한다. 따라서, 로터리(40) 내로의 카트리지(4)의 장착 후에 현상 위치 내로의 카트리지(4)의 이동 중에, 접점(311, 312)은 화상 형성 장치 주조립체 내에 고정된 접점(410, 411) 상에 가압되지 않고 편향 공급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40)의 이 이동 중에, 안내 리브(310b)의 압력 포획부(310k)는 로터리(40)에 부착된 스프링(53)의 탄성에 의해 생성된 힘과 회전 구동하는 현상 롤러(305)에 인가된 힘에 의해 생성된 회전 모멘트에 영향을 받게 됨으로써, 돌출부 포획 리세스(400e)의 표면상에 돌출부(310m)를 가압한다. 그 결과, 카트리지(4)는 그 현상 자세를 복원하고, 이와 동시에, 안내 리브(310b) 상의 접점(311, 312)은 편향 공급 위치에 안착한다.
접점(311, 312)은 안내 리브(310b) 상에 있고, 그 경로가 접점(311, 312)의 경로와 일치하는 위치설정 돌출부(310c)는 현상 카트리지(4)의 피봇 중심을 구성한다. 또한, 카트리지(4)가 전술된 상태에 있을 때, 안내 리브(310b)의 압력 포획부(310k)는 스프링(53)의 탄성에 의해 생성된 힘을 포획하고, 현상 카트리지(4)는 현상 롤러(305)를 회전 구동하도록 인가된 힘에 의해 생성된 회전 모멘트를 포획한다. 따라서, 현상 위치로의 현상 카트리지(4)의 이동 후에도, 접점(311, 312)은 정확하게 위치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 보장된다.
또한, 카트리지(4)는 피봇 이동가능하여, 현상 카트리지(4)가 현상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 현상 카트리지(4) 상의 접점(311, 312)이 장치 주조립체측 상의 접점(410, 411)으로부터 멀리 유지되게 한다. 따라서 접점들 사이의 강한 마찰에 의해 유발되는 접점(311, 312)과 접점(410, 4111)의 깎임(shaving)은 최소화될 수 있다.
[실시예 3]
도2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전술된 제1 및 제2 실시예에 있어서, 길이방향에 관해서 현상 카트리지(4)의 단부면으로부터 돌출한 제1 안내부, 제1 돌출부(310h), 위치설정 보스부(310c) 및 안내 리브(310b)는 단일 요소의 일체품이였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안내 리브(310b)는 제1 안내 리브(310b1)와 제2 안내 리브(310b2)를 포함한다. 제1 안내 리브(310b1)는 제1 돌출부(310h)는 물론 제2 안내 리브(310b2)와 분리된다. 그러나, 제1 돌출부(310h), 제1 안내 리브(310b1), 및 제2 안내 리브(310b2)는 수직으로 정렬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현상 카트리지(4)의 구조는 제1 및 제2 실시예의 구조와 동일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현상 편향 인가 접점(311, 312)은 제1 및 제2 안내 리브(310b1, 310b2)에 각각 부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현상 카트리지를 채용하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는 제1 및 제2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것과 동일한 작동 효과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부수적으로, 이전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현상 카트리지(4)가 화상 형성 장치 주조립체에서 나타난 요소로서 로터리(40) 내에 장착된 경우를 참조하여 기술되었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작용예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컨대, 본 발명은 그 주조립체가 상부와, 이로부터 개폐될 수 있는 하부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적용가능하다. 현상 카트리지(4)를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에 장착할 때, 현상 카트리지(4)는 상부가 하부로부터 개방된 상태로 상부에 장착된 후, 상부는 하부 상에서 폐쇄된다. 상부가 폐쇄됨에 따라, 카트리지(4)는 화상 형성 장치 주조립체의 화상 형성 위치 내로 이동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화상 형성 장치의 구조 장치는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위치로 이동됨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 주조립체의 하부에 부착된 현상 편향 접점이 카트리지측 상의 현상 편향 접점과 접촉하게 되고, 하부에 부착된 현상제량 조절 편향 접점이 카트리지측 상의 현상제량 조절 편향 접점과 접촉하게 되기만 하면 된다. 또한, 이 경우의 화상 형성 위치는 전술된 현상 위치와 동일하다.
본 발명은 그 주조립체가 이로부터 당겨질 수 있는 서랍부를 포함한 화상 형성 장치에 또한 적용가능하다. 이 경우에, 서랍부와 주조립체는 본 발명이 적용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의 상기 일예의 주조립체의 상부 및 하부와 동일하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카트리지는 현상 카트리지를 참조로 기술되었다. 그러나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적용예에 제한되지 않으려 한다. 예컨대, 본 발명은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또한 적용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적용예는 현상 부재,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부재에 의해 사용된 현상제를 저장하기 위한 현상제 저장부, 및 하우징 또는 상기 요소가 일체로 배치되어 장치 주조립체 내로 제거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카트리지를 포함한 상기 실시예의 현상 카트리지와 같으 이러한 현상 카트리지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현상 카트리지는 현상제 저장부를 가질 필요가 없고, 또는 상기 나열된 것 이외에 다른 요소를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전자사진 광 전도성 부재와 전술된 현상 부재가 일체로 배치되어 화상 형성 장치 주조립체에 제거가능하게 장착되는 카트리지, 또는 전자사진 광 전도성 부재, 현상 부재, 및 대전 부재 또는 세척 부재가 일체로 배치되어 화상 형성 장치 주조립체에 제거가능하게 장착가능한 카트리지를 의미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화상 형성 장치 주조립체측 상의 현상 편향 인가 접점(지점)과 카트리지측 상의 현상 편향 인가 접점(지점) 사이의 거리가 정확하게 설정되고 설정을 정확하게 유지하여 접점들 사이의 접촉 압력이 소정의 수준으로 설정되어 소정의 수준에 유지되는 것을 보장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화상 형성 장치의 작동성과 화상 형성 장치가 사용자에 의해 작동가능한 효율성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은 본원에 개시된 구성을 참조하여 기술되었지만, 설명된 세부사항에 한정되지 않고, 이 적용예는 이러한 변경 또는 변화를 포함하려 하며 다음 청구항의 범위 또는 개선점의 목적 내에서 이루어지려 한다.

Claims (19)

  1.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를 착탈식으로 장착가능한 카트리지이며,
    카트리지 프레임과,
    전자사진 감광성 부재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부재와,
    상기 카트리지가 장치의 주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카트리지를 안내하기 위해 상기 현상 부재의 종방향 일단부측에서 상기 카트리지 프레임의 외향으로 돌출하도록 제공되는 제1 안내부와,
    상기 카트리지가 장치의 주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카트리지를 안내하기 위해 상기 현상 부재의 종방향 타단부측에서 상기 카트리지 프레임의 외향으로 돌출하도록 제공되는 제2 안내부와,
    상기 카트리지가 장치의 주조립체에 장착될 때 장치의 주조립체로부터 상기 현상 부재에 인가되는 현상 편향을 수용하기 위해 상기 제1 안내부 상에 노출되도록 제공된 현상 편향 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내부는 상기 카트리지가 장치의 주조립체에 장착될 때 장치의 주조립체에 대해 위치되는 위치설정부와, 상기 현상 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이 장치의 주조립체로부터 상기 카트리지에 전달될 때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카트리지에 가해진 가압력에 의해 상기 위치설정부에 대해 회전될 때 장치의 주조립체에 접촉되도록 위치될 부분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3. 제2항에 있어서, 위치될 상기 부분은 상기 현상 부재의 종방향 일단부 및 타단부의 각각에서 상기 카트리지 프레임의 하부면 상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설정부는 상기 장치가 장치의 주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부 위치를 취하는 상기 제1 안내부의 일단부측에 배치되고, 가압력 수용부는 상기 장치가 장치의 주조립체에 장착될 때 하부 위치를 취하는 상기 제1 안내부의 타단부측에 배치되고, 상기 현상 편향 접촉부는 상기 위치설정부와 상기 가압력 수용부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현상 부재의 표면상에 현상제를 인가하기 위한 현상제 인가 부재를 가지고, 상기 카트리지는 장치의 주조립체에 장착되고, 상기 현상 편향 접촉부는 장치의 주조립체로부터 상기 현상제 인가 부재에 인가될 인가 부재 편향을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현상 부재의 표면상에 배치된 현상제량을조절하기 위한 현상제량 조절 부재를 더 포함하고, 현상제량 조절 부재 전기 접촉부는 카트리지가 장치의 주조립체에 장착될 때 장치의 주조립체로부터 상기 현상제량 조절 부재에 인가되는 현상제량 조절 부재 편향을 수용하기 위해 상기 카트리지가 장치의 주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현상 편향 접촉부 아래의 위치를 취하는 부분에서 상기 제1 안내부 상에 노출되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내부는 수지 재료로 제조되고, 상기 위치설정부와 상기 가압력 수용부는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내부는 평판형부와, 상기 평판형부의 단부에 아치부를 가지고, 상기 가압력 수용부는 상기 평판형부 상에 제공되고, 상기 위치설정부는 상기 아치부 상에 제공되고, 상기 현상 편향 접촉부는 상기 평판형부에 장착되고, 상기 현상 편향 접촉부와 상기 현상제량 조절 부재 전기 접촉부는 상기 현상 부재의 종방향 단부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장치의 주조립체로부터 상기 현상 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수용하기 위한 구동력 수용부를 가지고, 상기 구동력 수용부는 상기 현상 부재의 종방향 타단부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력 수용부는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카트리지의 종방향 일단부를 향해 상기 카트리지를 가압하도록 장치의 주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장치의 주조립체에 제공된 헬리컬 기어와 맞물림 결합을 통해 회전되는 헬리컬 기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안내부는 평판형부와, 상기 평판형부의 단부에 아치부를 가지고, 상기 카트리지가 장치의 주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아치부는 장치 주조립체에 대략 위치되고, 상기 제1 안내부의 아치부는 상기 제2 안내부의 아치부보다 정확하게 장치 주조립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현상제 수용부에 흑색 현상제를 수용하기 위한 흑색 현상 카트리지, 상기 현상제 수용부에 황색 현상제를 수용하기 위한 황색 현상 카트리지, 상기 현상제 수용부에 마젠타색 현상제를 수용하기 위한 마젠타색 현상 카트리지, 또는 상기 현상제 수용부에 시안색 현상제를 수용하기 위한 시안색 현상 카트리지이고, 상기 흑색 현상 카트리지, 상기 황색 현상 카트리지, 상기 마젠타색 현상 카트리지, 및 상기 시안색 현상 카트리지는 장치의 주조립체인 회전식 로터리에 착탈식으로 장착가능하고, 상기 로터리가 소정의 위치로 회전할 때, 상기 카트리지는 통상의 주조립체 현상 편향 전기 접촉부에 전기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13.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전자사진 감광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14. 카트리지가 착탈식으로 장착가능한 주조립체를 갖고 기록 재료 상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이며,
    i) 카트리지 프레임, 전자사진 감광성 부재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부재, 상기 카트리지가 장치의 주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카트리지를 안내하기 위해 상기 현상 부재의 종방향 일단부측에서 상기 카트리지 프레임의 외향으로 돌출하도록 제공되는 제1 안내부, 상기 카트리지가 장치의 주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카트리지를 안내하기 위해 상기 현상 부재의 종방향 타단부측에서 상기 카트리지 프레임의 외향으로 돌출하도록 제공되는 제2 안내부, 및 상기 카트리지가 장치의 주조립체에 장착될 때 장치의 주조립체로부터 상기 현상 부재에 인가되는 현상 편향을 수용하기 위해 상기 제1 안내부 상에 노출되도록 제공된 현상 편향 접촉부를 포함한, 카트리지를 착탈식으로 장착하기 위한 카트리지 장착부와,
    ii) 기록 재료를 급송하기 위한 급송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회전식 로터리에 제공되고, 상기 로터리는 상기 현상제 수용부에 흑색 현상제를 수용하는 흑색 현상 카트리지를 장착하기 위한 제1 장착부, 상기 현상제 수용부에 황색 현상제를 수용하는 황색 현상 카트리지를 장착하기 위한 제2 장착부, 상기 현상제 수용부에 마젠타색 현상제를 수용하는 마젠타색 현상 카트리지를 장착하기 위한 제3 장착부, 및 상기 현상제 수용부에 시안색 현상제를 수용하는 시안색 현상 카트리지를 장착하기 위한 제4 장착부를 가지고, 상기 로터리는 장치의 주조립체에 제공된 전자사진 감광성 부재에 대향된 혀상 위치로 현상 카트리지를 순차적으로 배치시키도록 회전가능하고, 상기 로터리에는 주조립체 현상 편향 접촉부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16.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에 착탈식으로 장착가능한 카트리지이며,
    카트리지 프레임, 전자사진 감광성 부재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부재, 상기 카트리지가 장치의 주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카트리지를 안내하기 위해 상기 현상 부재의 종방향 일단부측에서 상기 카트리지 프레임의 외향으로 돌출하도록 제공되는 제1 안내부, 상기 카트리지가 장치의 주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카트리지를 안내하기 위해 상기 현상 부재의 종방향 타단부측에서 상기 카트리지 프레임의 외향으로 돌출하도록 제공되는 제2 안내부, 및 상기 카트리지가 장치의 주조립체에 장착될 때 장치의 주조립체로부터 상기 현상 부재에 인가되는 현상 편향을 수용하기 위해 상기 제1 안내부 상에 노출되도록 제공된 현상 편향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안내부는 상기 카트리지가 장치의 주조립체에 장착될 때 장치의 주조립체에 대해 위치되려는 위치설정부와, 상기 현상 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이 장치의 주조립체로부터 상기 카트리지에 전달될 때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카트리지에 가해진 가압력에 의해 상기 위치설정부에 대해 회전될 때 장치의 주조립체에 접촉되도록 위치될 부분을 가지고,
    위치될 상기 부분은 상기 현상 부재의 종방향 일단부 및 타단부의 각각에서 상기 카트리지 프레임의 하부면 상에 제공되고,
    상기 위치설정부는 상기 장치가 장치의 주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부 위치를 취하는 상기 제1 안내부의 일단부측에 배치되고, 가압력 수용부는 상기 장치가 장치의 주조립체에 장착될 때 하부 위치를 취하는 상기 제1 안내부의 타단부측에 배치되고, 상기 현상 편향 접촉부는 상기 위치설정부와 상기 가압력 수용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현상 부재의 표면상에 현상제를 인가하기 위한 현상제 인가 부재를 가지고, 상기 카트리지는 장치의 주조립체에 장착되고, 상기 현상 편향 접촉부는 장치의 주조립체로부터 상기 현상제 인가 부재에 인가될 인가 부재 편향을 수용하고,
    상기 카트리지는 현상 부재의 표면상에 배치된 현상제량을 조절하기 위한 현상제량 조절 부재를 더 포함하고, 현상제량 조절 부재 전기 접촉부는 카트리지가 장치의 주조립체에 장착될 때 장치의 주조립체로부터 상기 현상제량 조절 부재에 인가되는 현상제량 조절 부재 편향을 수용하기 위해 상기 카트리지가 장치의 주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현상 편향 접촉부 아래의 위치를 취하는 부분에서 상기 제1안내부 상에 노출되도록 제공되고,
    상기 카트리지는 장치의 주조립체로부터 상기 현상 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수용하기 위한 구동력 수용부를 가지고, 상기 구동력 수용부는 상기 현상 부재의 종방향 타단부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내부는 평판형부와, 상기 평판형부의 단부에 아치부를 가지고, 상기 가압력 수용부는 상기 평판형부 상에 제공되고, 상기 위치설정부는 상기 아치부 상에 제공되고, 상기 현상 편향 접촉부는 상기 평판형부에 장착되고, 상기 현상 편향 접촉부와 상기 현상제량 조절 부재 전기 접촉부는 상기 현상 부재의 종방향 단부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안내부는 평판형부와, 상기 평판형부의 단부에 아치부를 가지고, 상기 카트리지가 장치의 주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아치부는 장치의 주조립체에 대강 위치되고, 상기 제1 안내부의 아치부는 상기 제2 안내부의 아치부보다 정확하게 장치의 주조립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19. 카트리지가 착탈식으로 장착가능한 주조립체를 갖는 기록 재료 상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이며,
    i) 카트리지 프레임, 전자사진 감광성 부재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부재, 상기 카트리지가 장치의 주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카트리지를 안내하기 위해 상기 현상 부재의 종방향 일단부측에서 상기 카트리지 프레임의 외향으로 돌출하도록 제공되는 제1 안내부, 상기 카트리지가 장치의 주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카트리지를 안내하기 위해 상기 현상 부재의 종방향 타단부측에서 상기 카트리지 프레임의 외향으로 돌출하도록 제공되는 제2 안내부, 및 상기 카트리지가 장치의 주조립체에 장착될 때 장치의 주조립체로부터 상기 현상 부재에 인가되도록 현상 편향을 수용하기 위해 상기 제1 안내부 상에 노출되도록 제공된 현상 편향 접촉부를 포함한, 카트리지를 착탈식으로 장착하기 위한 카트리지 장착부와,
    ii) 기록 재료를 급송하기 위한 급송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안내부는 상기 카트리지가 장치의 주조립체에 장착될 때 장치의 주조립체에 대해 위치되려는 위치설정부와, 상기 현상 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이 장치의 주조립체로부터 상기 카트리지에 전달될 때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카트리지에 가해진 가압력에 의해 상기 위치설정부에 대해 회전될 때 장치의 주조립체에 접촉되도록 위치될 부분을 가지고,
    위치될 상기 부분은 상기 현상 부재의 종방향 일단부 및 타단부의 각각에서 상기 카트리지 프레임의 하부면 상에 제공되고,
    상기 위치설정부는 상기 장치가 장치의 주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부 위치를 취하는 상기 제1 안내부의 일단부측에 배치되고, 가압력 수용부는 상기 장치가 장치의 주조립체에 장착될 때 하부 위치를 취하는 상기 제1 안내부의 타단부측에 배치되고, 상기 현상 편향 접촉부는 상기 위치설정부와 상기 가압력 수용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현상 부재의 표면상에 현상제를 인가하기 위한 현상제 인가 부재를 가지고, 상기 카트리지는 장치의 주조립체에 장착되고, 상기 현상 편향 접촉부는 장치의 주조립체로부터 상기 현상제 인가 부재에 인가될 인가 부재 편향을 수용하고,
    상기 카트리지는 현상 부재의 표면상에 배치된 현상제량을 조절하기 위한 현상제량 조절 부재를 더 포함하고, 현상제량 조절 부재 전기 접촉부는 카트리지가 장치의 주조립체에 장착될 때 장치의 주조립체로부터 상기 현상제량 조절 부재에 인가되는 현상제량 조절 부재 편향을 수용하기 위해 상기 카트리지가 장치의 주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현상 편향 접촉부 아래의 위치를 취하는 부분에서 상기 제1 안내부 상에 노출되도록 제공되고,
    상기 카트리지는 장치의 주조립체로부터 상기 현상 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수용하기 위한 구동력 수용부를 가지고, 상기 구동력 수용부는 상기 현상 부재의 종방향 타단부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KR10-2002-0041871A 2002-05-31 2002-07-18 카트리지 및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KR1004728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160744A JP3684209B2 (ja) 2002-05-31 2002-05-31 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JP-P-2002-00160744 2002-05-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3076A true KR20030093076A (ko) 2003-12-06
KR100472889B1 KR100472889B1 (ko) 2005-03-10

Family

ID=29417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1871A KR100472889B1 (ko) 2002-05-31 2002-07-18 카트리지 및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782219B2 (ko)
EP (3) EP2136262A1 (ko)
JP (1) JP3684209B2 (ko)
KR (1) KR100472889B1 (ko)
CN (1) CN1316320C (ko)
DE (1) DE60234161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97295B2 (ja) * 2002-08-09 2006-07-1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着脱部材、現像器、プロセス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3809412B2 (ja) * 2002-09-30 2006-08-16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110143B2 (ja) * 2004-01-30 2008-07-02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に着脱可能なユニット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05221832A (ja) * 2004-02-06 2005-08-18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
JP4378299B2 (ja) * 2004-02-20 2009-12-02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069884B2 (ja) * 2004-03-08 2008-04-0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5258344A (ja) * 2004-03-15 2005-09-22 Brother Ind Ltd 現像カートリッジ、像担持体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CN100440072C (zh) * 2004-07-30 2008-12-03 佳能株式会社 处理盒和电摄影成像设备
JP4886182B2 (ja) 2004-09-27 2012-02-29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040636B2 (ja) * 2005-03-24 2008-01-30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736568B2 (ja) * 2005-06-29 2011-07-2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現像カートリッジ
JP2007148286A (ja) * 2005-11-30 2007-06-14 Brother Ind Ltd 現像カートリッジ、像担持体保持ユニット、プロセスユニット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871614B2 (ja) * 2006-03-03 2012-02-08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241865B2 (ja) 2006-12-08 2009-03-18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7929881B2 (en) * 2006-12-11 2011-04-19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8435709B2 (en) * 2007-03-19 2013-05-07 Ricoh Company, Ltd. Toner for developing latent electrostatic image,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method
JP5121573B2 (ja) * 2008-05-27 2013-01-16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4701266B2 (ja) * 2008-05-27 2011-06-15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5127567B2 (ja) * 2008-05-27 2013-01-23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11123348A (ja) * 2009-12-11 2011-06-23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分解方法
CN102269956B (zh) * 2010-06-07 2013-03-13 泰金宝电通股份有限公司 碳粉匣转换装置
JP5653124B2 (ja) * 2010-08-17 2015-01-14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ラー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WO2013008955A1 (ja) 2011-07-14 2013-01-17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収納容器、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13029733A (ja) * 2011-07-29 2013-02-07 Canon Inc カバー部材およびカートリッジ
JP5808233B2 (ja) 2011-11-29 2015-11-10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収納ユニット、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5911275B2 (ja) 2011-11-29 2016-04-27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収納ユニット、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8948650B2 (en) 2011-12-30 2015-02-03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cartridge having a shutter lock mechanism
US9031451B2 (en) 2011-12-30 2015-05-12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cartridge having a shutter lock mechanism
US8867966B2 (en) * 2011-12-30 2014-10-21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cartridge for use in an image forming device
US8867970B2 (en) * 2011-12-30 2014-10-21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cartridges having positional control features
US9104135B2 (en) 2011-12-30 2015-08-11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cartridge having positional control features
JP6053404B2 (ja) 2012-06-15 2016-12-27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収納ユニット、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8938179B2 (en) 2012-06-25 2015-01-20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cartridge for an image forming device having a retainer assembly having positioning features for processing circuitry
US8879953B2 (en) 2012-06-25 2014-11-04 Lexmark International, Inc. Retainer assembly having positioning features for processing circuitry used within an image forming device supply item
JP5693678B2 (ja) 2012-09-10 2015-04-01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収納容器、現像剤収納ユニット、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
JP6066841B2 (ja) 2012-09-10 2017-01-25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5980061B2 (ja) 2012-09-11 2016-08-31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収納容器、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6116254B2 (ja) 2013-01-11 2017-04-19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収納ユニット、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
JP6202820B2 (ja) 2013-01-11 2017-09-27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収納ユニット、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8879964B1 (en) 2013-05-16 2014-11-04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cartridge having an angled exit port surface
US9261851B2 (en) 2013-11-20 2016-02-16 Lexmark International, Inc. Positional control features of a replaceable unit for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JP6381222B2 (ja) 2014-02-18 2018-08-29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収納ユニ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9477177B2 (en) 2014-09-02 2016-10-25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cartridge having a shutter lock mechanism
GB2552915B (en) 2015-02-27 2021-03-31 Canon Kk Drum unit, cartridge and coupling member
JP6873604B2 (ja) 2015-06-05 2021-05-19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9477178B1 (en) 2015-08-13 2016-10-25 Lexmark International, Inc. System for determining the open or closed state of a toner cartridge shutter
US9360797B1 (en) 2015-08-13 2016-06-07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cartridge having a movable projection for providing installation feedback to an image forming device
US9551974B1 (en) 2015-09-15 2017-01-24 Lexmark International, Inc. Positioning features for electrical connectors of replaceable units of an image forming device
US9360834B1 (en) 2015-09-15 2016-06-07 Lexmark International, Inc. Replaceable unit for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having positioning features for electrical contacts
US9563169B1 (en) 2015-12-14 2017-02-07 Lexmark International, Inc. Replaceable unit for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having a retractable electrical connector
US9983541B2 (en) 2016-01-18 2018-05-29 Lexmark International, Inc. Positioning features for electrical contacts of a replaceable unit of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WO2017142099A1 (en) 2016-02-18 2017-08-24 Canon Kabushiki Kaisha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10073410B1 (en) 2017-05-11 2018-09-11 Lexmark International, Inc. Imaging unit having positioning features for electrical contacts for use in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US9989917B1 (en) * 2017-05-17 2018-06-05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cartridge with positional control features
JP7354565B2 (ja) * 2019-03-26 2023-10-0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ドラムカートリッジおよび現像カートリッジ
US10698363B1 (en) 2019-04-12 2020-06-30 Lexmark International, Inc. Electrical connection for an imaging unit of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US10649399B1 (en) 2019-04-12 2020-05-12 Lexmark Internatioanl, Inc. Replaceable unit for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having a magnetic sensor
US10761476B1 (en) 2019-04-12 2020-09-01 Lexmark International, Inc. Replaceable unit for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having a movable electrical connector
US10649389B1 (en) 2019-04-12 2020-05-12 Lexmark International, Inc. Electrical connectors of a replaceable unit of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US10884353B2 (en) 2019-05-07 2021-01-05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cartridge electrical contacts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85293B2 (ja) * 1987-12-25 1998-08-13 日本電気株式会社 時分割多重化伝送路におけるhdlcデータフレーム送受信方式
JP2909970B2 (ja) 1988-12-19 1999-06-23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H0333872A (ja) * 1989-06-30 1991-02-14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H03134674A (ja) * 1989-10-20 1991-06-07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US5331373A (en) 1992-03-13 1994-07-19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process cartridge mountable within it and method for attaching photosensitive drum to process cartridge
JP3352155B2 (ja) 1992-06-30 2002-12-03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3259985B2 (ja) 1992-09-04 2002-02-25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3869868B2 (ja) * 1994-04-27 2007-01-17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3337859B2 (ja) 1994-04-26 2002-10-28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3530625B2 (ja) * 1995-04-26 2004-05-2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3402860B2 (ja) 1995-07-31 2003-05-06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5950049A (en) 1996-03-05 1999-09-07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ing cartridge
US6072969A (en) 1996-03-05 2000-06-06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ing cartridge
JP3869901B2 (ja) 1996-03-05 2007-01-17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6226478B1 (en) 1996-03-21 2001-05-01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having drive mount for photosensitive drum
JP3466831B2 (ja) 1996-08-29 2003-11-17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416485B2 (ja) * 1996-09-30 2003-06-16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H10133450A (ja) * 1996-11-05 1998-05-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H10222041A (ja) * 1996-12-03 1998-08-21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H10228223A (ja) * 1997-02-14 1998-08-25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KR100310126B1 (ko) * 1997-06-06 2002-02-19 이토가 미찌야 감광체드럼이통합된회전형현상유니트
JPH1173015A (ja) 1997-07-03 1999-03-16 Canon Inc 現像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0066564A (ja) * 1998-08-21 2000-03-03 Canon Inc 現像ユニット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658202B2 (ja) 1998-08-31 2005-06-08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の組み立て方法
US6311026B1 (en) 1998-11-13 2001-10-30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mounting of the process cartridge to main body of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rocess cartridge and developer cartridge including positioning portion
JP3679635B2 (ja) * 1998-11-13 2005-08-03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0194248A (ja) 1998-12-28 2000-07-14 Canon Inc プロセスカ―トリッジ及び帯電ユニット及び現像ユニット
JP2000284557A (ja) 1999-03-29 2000-10-13 Canon Inc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6336012B1 (en) * 1999-04-30 2002-01-01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ing device, process cartridge and electric energy supply part to developing roll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782219B2 (en) 2004-08-24
JP2004004371A (ja) 2004-01-08
US20030223775A1 (en) 2003-12-04
EP2157486B1 (en) 2013-10-02
CN1316320C (zh) 2007-05-16
DE60234161D1 (de) 2009-12-10
EP1367458B1 (en) 2009-10-28
EP2136262A1 (en) 2009-12-23
EP2157486A1 (en) 2010-02-24
KR100472889B1 (ko) 2005-03-10
CN1462911A (zh) 2003-12-24
JP3684209B2 (ja) 2005-08-17
EP1367458A1 (en) 2003-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2889B1 (ko) 카트리지 및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KR100516086B1 (ko) 현상 카트리지, 측면 커버 장착 방법 및 전자 사진 화상형성 장치
US6681088B2 (en) Process cartridg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separating mechanism for separating developing member from photosensitive drum
KR100463623B1 (ko)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US7894733B2 (en)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7346293B2 (en) Process cartridge having light guides and memory member,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to which such cartridge is mountable
US6343192B1 (en) Developing device frame,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5452056A (en) Image forming apparatus, process cartridge mountable within it and method for attaching photosensitive drum to process cartridge
JP3352155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7194220B2 (en) Process cartridge having cartridge electrical contact connected to a cartridge memory element and connectable to a main assembly electrical contac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to which such cartridge is mountable
US6226476B1 (en) Developing device holder having antenna contact mounting unit
US790399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683953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developer supply container removably mountable in image forming apparatus
KR20030063132A (ko)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KR100270222B1 (ko) 현상 장치 및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KR101298649B1 (ko) 현상기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JP2023026759A (ja) カートリッジの再生産方法、カートリッジの再生産システム、及びカートリッジ
JP2003076144A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