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1545A - 반도체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반도체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1545A
KR20030071545A KR10-2003-0012240A KR20030012240A KR20030071545A KR 20030071545 A KR20030071545 A KR 20030071545A KR 20030012240 A KR20030012240 A KR 20030012240A KR 20030071545 A KR20030071545 A KR 200300715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sland
flow control
resin flow
leads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2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23714B1 (ko
Inventor
이또다까히로
Original Assignee
엔이씨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이씨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엔이씨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30071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15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37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37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28Encapsulations, e.g. encapsulating layers, coatings, e.g. for prot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4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H01L23/48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consisting of soldered or bonded constructions
    • H01L23/495Lead-frames or other flat leads
    • H01L23/49541Geometry of the lead-fram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50Assembly of semiconductor devic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the subgroups H01L21/06 - H01L21/326, e.g. sealing of a cap to a base of a container
    • H01L21/56Encapsulations, e.g. encapsulation layers, coatings
    • H01L21/565Moul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4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H01L23/48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consisting of soldered or bonded constructions
    • H01L23/495Lead-frames or other flat leads
    • H01L23/49503Lead-frames or other flat leads characterised by the die pa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4/49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 plurality of wire 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4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5001Core members of the connector
    • H01L2224/4501Shape
    • H01L2224/45012Cross-sectional shape
    • H01L2224/45015Cross-sectional shape being circul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4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5001Core members of the connector
    • H01L2224/45099Material
    • H01L2224/451Material with a principal constituent of the material being a metal or a metalloid, e.g. boron (B), silicon (Si), germanium (Ge), arsenic (As), antimony (Sb), tellurium (Te) and polonium (Po), and alloys thereof
    • H01L2224/45138Material with a principal constituent of the material being a metal or a metalloid, e.g. boron (B), silicon (Si), germanium (Ge), arsenic (As), antimony (Sb), tellurium (Te) and polonium (Po), and alloys thereof the principal constituent melting at a temperature of greater than or equal to 950°C and less than 1550°C
    • H01L2224/45144Gold (Au) as principal constitu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805Shape
    • H01L2224/4809Loop shape
    • H01L2224/48091Arch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81Disposition
    • H01L2224/48151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 H01L2224/48221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 H01L2224/48245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metallic
    • H01L2224/48247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metallic connecting the wire to a bond pad of the it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9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 plurality of wire connectors
    • H01L2224/491Disposition
    • H01L2224/4912Layout
    • H01L2224/49171Fan-out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44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4/4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14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the subject-matter covered by the group, the symbol of which is combined with the symbol of this group, being disclosed without further technical 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79Gold [Au]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5Details of package parts other than the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81Encap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ead Frames For Integrated Circuits (AREA)
  • Structures Or Materials For Encapsulating Or Coating Semiconductor Devices Or Solid Stat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반도체 디바이스는, 아일랜드; 아일랜드상으로 고정된 반도체 펠릿; 아일랜드로 연장된 다수의 내부 리드들; 아일랜드, 반도체 펠릿, 및 내부 리드를 밀봉하는 수지; 및 내부 리드들의 선단들과 아일랜드 사이에 제공되는 수지 유동 제어판들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반도체 디바이스 {SEMICONDUCTOR DEVICE}
본 발명은 반도체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더 많은 핀과 더 작은 반도체 펠릿을 갖는 수지 밀봉형 반도체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디바이스는, 더 많은 핀의 PKG 와 더 작은 반도체 펠릿에 대한 요구로 인하여, 내부 리드의 선단들과 아일랜드 사이에 큰 공간을 갖는다.
도 7 은 반도체 펠릿이 리드 프레임상으로 고정되고 반도체 펠릿의 전극들과 내부 리드의 선단부들이 본딩 와이어에 의해 접속된 상태의 종래 기술 반도체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7A 는 평면도이고 도 7B 는 도 7A 에서 점선으로 나타낸 부분 (210) 을 확대한 확대 평면도이다. 다른 3 개의 행어 리드들과 그 주변부들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도 7 에서, 반도체 펠릿 (2) 을 고정하고 탑재하는 아일랜드 (1) 는 4 개의 행어 리드들 (3) 에 의해서 지지된다. 리드 프레임 (200) 의 내부 리드 (5) 는 아일랜드 방향으로 연장된다. 2점 쇄선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다수의 내부 리드 (5) 가 아일랜드 (1) 의 각각의 변에서 일정한 피치로 배열되고 아일랜드 (1) 을 둘러싼다. 모든 내부 리드 (5) 의 선단부들과 반도체 펠릿 (2; pellet) 의 전극들은 본딩 와이어 (4; bonding wire) 에 의해 접속된다. 2 점 쇄선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배열된 본딩 와이어들 (4) 도 아일랜드 (1; island) 을 둘러싼다.
도 8 은 도 7 의 상태에 있는 어셈블리가 수지 (7) 에 의해 밀봉되는 경우종래 기술의 수지 유동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 은 도 8A 의 E-E 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일반적으로, 수지는 더 큰 충진부로 먼저 충진된다. 도 8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7 의 리드 프레임 형상인 경우에, 수지는 리드 선단들과 아일랜드 (펠릿 탑재부) 사이에 먼저 충진된다. 수지는 이 부분으로 먼저 충진된 후에, 펠릿의 상부/바닥면들로 충진된다. 수지는 펠릿으로 충진되기 전에 주변부로 충진된다. 에어 버블 (20A) 이 칩의 상부면상에 발생된다 (도 8B). 충진완료시에, 보이드 (버블; 20B) 가 에어 버블을 파괴하지 않고 발생된다. 보이드가 존재하는 동안 수지가 경화된다. 반도체 디바이스는 절연성 문제를 갖는다 (도 8C).
종래 기술에서는, 수지가 더 큰 부분에 먼저 충진된다. 도 9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지 (7) 는 몰드 (15) 의 본딩 와이어 (4) 의 바닥면측으로 먼저 충진된다. 충진차 (filling difference) 를 제거하기 위해서, 본딩 와이어 (4) 를 밀도록 수지 (7) 가 본딩 와이어 (4) 를 상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동시, 와이어 변형 (deformation), 즉 본딩 와이어의 바람직하지 않은 이동이 발생한다.
종래 기술에서는, 더 얇은 PKG 를 갖는 더 작은 반도체 펠릿의 상부면과 내부 리드 선단-아일랜드의 수지 충진차가 더 크다. 보이드 (크랙과 갭) 이 쉽게 발생될 수 있다. 긴 와이어에 의한 와이어 변형이 쉽게 발생할 수 있다.
종래 기술에서는, 더 얇은 PKG 로 인하여, 칩과 칩-아일랜드사이의 충진차가 쉽게 발생한다. 이런 관점에서, 와이어 변형이 더 쉽게 발생한다.
일본특개평10-340976호 (이하, 제 1 공지 기술이라고 함) 은 리드프레임의 게이트에 인접한 부분에 있는 제 1 프레임측에 수지 유동을 제어하는 제어판이 제공되어, 보이드/와이어 변형/펠릿 시프트를 감소시키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이 제 1 공지 기술에서는, 경사진 제어판이 리드 프레임의 게이트측에 제공되어 PKG 의 상부와 바닥부 사이의 충진차를 제거한다.
일본특개평 5-152501호 (이하, 제 2 공지 기술이라고 함) 은 이젝트부와 아일랜드부 사이의 공간을 감소시키지 않고 수지를 쉽게 충진하기 위해서 PKG 의 표면의 리세스부 (이젝트부; eject part) 에 대면하는 아일랜드부에 리세스부가 제공되는 기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7 - 9 에 나타낸 종래기술에서, 반도체 펠릿의 상부면과 내부 리드 전단-아일랜드사이의 수지 충진차가 더 크다. 보이드가 쉽게 생성되고, 긴 와이어로 인한 와이어 변형이 쉽게 발생된다. 더 얇은 PKG 로 인하여, 칩과 칩-아일랜드사이의 충진차가 쉽게 발생된다. 이런 관점에서, 와이어 변형이 쉽게 발생한다.
제 1 공지 기술에서는, PKG 의 상부 및 바닥부 사이의 충진차가 일정 범위까지 감소될 수 있는 경우에도, 펠릿부와 내부 리드 선단-아일랜드 사이의 수지 충진차, 및 와이어 상부와 하부사이의 충진차를 감소시키는 것이 불가능하다. 내부 리드가 게이트 근처에 형성되는 유형은 제어판을 제공하는 공간을 획득할 수 없다.
제 2 공지 기술에서는, 아일랜드의 하부측에서의 수지 유동이 향상된다. 반도체 펠릿의 상부면과 내부 리드 선단-아일랜드 사이의 수지 충진차가 크다는 사실로부터 기인하는 문제가 해결될 수 없다.
본 발명의 반도체 디바이스는, 아일랜드; 아일랜드상으로 고정된 반도체 펠릿; 아일랜드로 연장된 다수의 내부 리드들; 아일랜드, 반도체 펠릿, 및 내부 리드들을 밀봉하는 수지; 및 내부 리드의 선단들과 아일랜드 사이에 제공되는 수지 유동 제어판을 갖는다.
도 1 은 반도체 펠릿이 리드 프레임상으로 고정되고, 반도체 펠릿의 전극들과 내부 리드의 선단부들이 본딩 와이어에 의해 접속된 상태인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반도체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1A 는 평면도이고 도 1B 는 도 1A 의 부분 (110) 을 확대시킨 평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리드 프레임의 내부 리드들과 그들의 주변부들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2A 는 평면도이고 도 2B 는 도 2A 의 부분 (120) 을 확대시킨 평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수지 유동 제어판 (플로우 세퍼레이터) 를 나타내는 평면도로서, 도 3A 는 그들의 스루홀이 4 각형인 것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3B 는 그들의 스루홀이 원형인 것을 나타낸 평면도.
도 4A-4C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수지 유동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
도 5 는 도 4A 의 D-D 부분을 확대시킨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반도체 디바이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
도 7 은 반도체 펠릿이 리드 프레임상으로 고정되고 반도체 펠릿의 전극들과내부 리드의 선단부들이 본딩 와이어에 의해 접속된 상태인 종래 기술 반도체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7A 는 평면도이며, 도 7B 는 도 7A 의 부분 (210)을 확대시킨 평면도.
도 8A-8C 는 종래 기술의 수지 유동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
도 9 는 도 8A 의 E-E 부분을 확대시킨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아일랜드 2: 반도체 펠릿
3: 행어 리드 4: 본딩 와이어
5: 내부 리드 6: 전극
7: 밀봉 수지 8: 외부 리드
9: 수지 유동 제어판
11: 수지 유동 제어판들과 아일랜드 사이의 스페이스
12: 수지 유동 제어판과 행어 리드사이의 스페이스
13: 수지 유동 제어판과 내부 리드 사이의 스페이스
15: 몰드 20A: 에어 버블
20B: 보이드 91: 스루홀
92: 제 1 지지부 93: 제 2 지지부
100: 리드 프레임 200: 리드 프레임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상술한 그리고 다른 목적, 특성, 이점이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 1 은 반도체 펠릿이 리드 프레임상으로 고정되고 반도체 펠릿의 전극들과 내부 리드의 선단부들이 본딩 와이어에 의해 접속된 상태인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의 반도체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1A 는 평면도이고 도 1G 는 도 1A 에서 점선으로 나타낸 부분 (110) 을 확대시킨 확대 평면도이다. 다른 3 개의 행어 리드 (hanger leads) 와 그들의 주변부는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리드 프레임의 내부 리드들과 그들의 주변부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2A 는 평면도이며 도 2B 는 도 2A 에서 점선으로 나타낸 부분 (120) 을 확대시킨 확대 평면도이다. 다른 3 개의 행어 리드와 그들의 주변부는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도면에서 반도체 펠릿 (2) 을 고정하고 탑재하는 4각 평면 형상의 아일랜드(1) 의 각부분 (square part) 들은 4 개의 행어 리드 (3) 에 의해서 지지된다. 리드 프레임 (100) 의 내부 리드들 (5) 은 아일랜드 방향으로 연장된다. 2점 쇄선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다수의 내부 리드들 (5) 이 아일랜드 (1) 의 각각의 변에서 일정한 피치로 배열되어 아일랜드 (1) 를 둘러싸고 있다. 대부분의 내부 리드 (5) 의 선단부들과 반도체 펠릿 (2) 의 전극들은 본딩 와이어 (4) 에 의해서 접속된다. 2점 쇄선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배열된 본딩 와이어 (4) 도 아일랜드 (1) 를 둘러싼다.
본 실시형태에서, 4개의 행어 리드 (3) 의 양측에서, 행어 리드 (3) 에 가장 근접한 내부 리드 (5) 가 본딩 와이어 (4) 에 의해 전극에 접속된다. 행어 리드 (3) 에 두 번째로 근접한 내부 리드 (5) 는 본딩 와이어 (4) 에 접속되지 않는 더미 리드 (dummy lead) 이다. 수평 방향의 와이어 변형이 발생할 가능성이 가장 큰 행어 리드 (3) 에 가장 근접한 내부 리드 (5) 는 와이어 변형이 발생할 때 단락 회로 사고를 거의 유발하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에서, 내부 리드 (5) 는 0.10mm 의 리드폭을 갖는 그들의 선단부를 가지며, 0.20mm 의 피치로 배열된다. 행어 리드 (3) 와 내부 리드 (5) 사이의 피치는 0.10 내지 0.20mm 이다.
28μm 의 와이어 직경을 갖는 금선 (gold wire) 로 이루어진 본딩 와이어가 반도체 펠릿의 표면으로부터 약 0.20mm 의 높이에서 루프로 제공되어, 내부 리드의 본딩 부분인 선단부들과 반도체 펠릿의 전극들을 접속시킨다.
도 1 과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지 유동 제어판 (플로우 세퍼레이터; 9) 는 내부 리드 (5) 의 선단들과 아일랜드 (1) 사이에 제공된다. 4 개의 수지 유동 제어판 (9) 은 아일랜드를 둘러싸도록 아일랜드의 변들에서 대면하도록 배치된다.
수지 유동 제어판들 각각은 제 1 지지부 (92) 의 쌍에 의해 아앨랜드 (1) 상에서 지지되고 제 2 지지부 (93) 의 쌍에 의해 행어 리드 (3) 상에서 지지된다.
리드 프레임의 일부를 형성하는 제 1 및 제 2 지지부를 구비하는 수지 유동 제어판 (9) 은 아일랜드 (1), 행어 리드 (3), 내부 리드 (5), 및 외부 리드 (8) (도 6) 으로, 예를들어 0.15mm 의 판두께를 갖는 Cu판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수지 유동 제어판 (9) 과 아일랜드 사이의 스페이스 (11) 는 상부 및 바닥부로 수지를 유입시키는 공간이어야 한다. 아일랜드 방향에서의 사이즈 A 는 본 실시형태에서 0.3mm 이고,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7 mm 이다. 이는 수지 유동 제어판과 행어 리드사이의 스페이스 (12) 에서 유사하다.
아일랜드 방향에서 수지 유동 제어판 (9) 의 사이즈 B 는 본 실시형태에서 1.2mm 이다. 수지 유동 제어판과 내부 리드 사이의 스페이스 (13) 의 평균값이 C 일 경우, B 는 바람직하게는 A+B+C 의 약 절반이다.
도 3 을 참조하여, 수지 유동 제어판 (플로우 세퍼레이터; 9) 에 형성된 스루홀 (91) 을 설명한다. 도 3A 에서, 스루홀 (91) 은 4 각형으로서 장방형이 되는 것으로 나타내진다. 도 3B 에서, 스루홀 (91) 은 원형으로서 타원형을 갖는 것으로 나타내진다.
아일랜드 (1) 의 외변에 수직한 방향에서, 스루홀 (91) 은 H 의 사이즈와 I 의 피치 사이즈를 갖는다. I/H 는 그다지 중요하지 않으며 폭 사이즈 B 에 의해서 결정된다. 도 1 과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H 를 변경시키는 하나의 스루홀이 행어핀 근처에 배열된다.
아일랜드 (1) 의 외변과 평행한 방향의 스루홀 (91) 은 E 의 사이즈와 F 의 피치 사이즈를 갖는다. F/E 는 중요하다. E 가 너무 큰 경우 플로우 세퍼레이터의 효과가 없어진다. E 의 적절한 범위는 0.1 내지 0.7mm 이다. 본 실시형태에서, E 는 0.2mm 이다. F 의 적절한 범위는 0.1 내지 0.5mm 이다. F는 본 실시형태에서 0.2mm 이다. 도 1 과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행어핀 근처에서 H 를 변경시키는 하나의 스루홀을 배열시키는 부분에서는, 스루홀이 다른 부분의 것과 동일한 값의 E 와 F 로 배열된다.
도 4 는 반도체 펠릿 (2) 이 수지 유동 제어판을 갖는 리드 프레임상에 탑재되고, 내부 리드 (5) 의 선단부들과 반도체 플레이트의 전극들이 본딩 와이어 (4) 에 의해 접속되고 10Pa·s 의 점성도를 갖는 에폭시 수지가 몰딩을 위해서 유입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는, 수지 유동 제어판이 내부 리드의 선단과 아일랜드사이에 제공된다. 수지는 팬 형상의 이러한 부분으로 먼저 충진된다 (도 5A). 충진동안 펠릿상에는 에어 버블이 발생하지 않는다 (도 5B). 수지를 경화시키기 위한 수지 충진의 완료후에는, 크랙과 갭 같은 보이드가 발생하지 않는다 (도 5C).
도 4A 의 D-D 를 확대한 단면도인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몰드 (15) 에서, 수지 유동 제어판 (플로우 세퍼레이터; 9) 가 본딩 와이어 (4) 의 하부 방향에 존재한다. 본딩 와이어들의 상부 및 하부 방향 사이의 수지 충진차는 더 작다. 본딩 와이어들의 상부 및 하부 방향에서의 수지 이동이 작아서 와이어 변형을 감소시킨다.
도 6 은 도 1 내지 5 로부터 획득한 반도체 디바이스를 나타낸다. 0.15mm 의 판두께를 갖는 Cu 합금판으로 이루어진 리드 프레임 (100) 은 내부 리드 (5), 아일랜드 (1), 외부 리드 (8), 및 수지 유동 제어판 (9) 들을 갖는다. 아일랜드 (1) 상으로 고정되고 탑재된 반도체 펠릿 (2) 의 전극 (6) 과 내부 리드 (5) 의 선단부가 본딩 와이어에 의해서 접속되며, 외부 리드 (8) 가 도출된다. 폼이 밀봉 수지 (7) 로 밀봉된 후, 리드 프레임의 불필요한 부분이 절단되고 제거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반도체 디바이스가 획득된다.
이상, 특정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이 설명은 본 발명을 한정하도록 해석하려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면 당업자들에게는 개시된 실시형태의 다양한 변경이 명백해질 것이다. 따라서, 첨부되는 청구항은 본 발명의 실제 범위내에 속하는 임의의 변경이나 실시형태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수지 충진을 제어하는 수지 유동 제어판 (플로우 세퍼레이터) 이 리드 프레임 상태에서 내부 리드들의 선단들과 아일랜드사이에 존재한다. 펠릿과 내부 리드-아일랜드 사이의 수지 충진차는 억제될수 있다. 밀봉 수지에서 불리한 보이드가 감소될 수 있다.
수지 유동 제어판의 존재는 본딩 와이어의 상부 및 하부 방향 사이의 충진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불리한 와이어 변형이 감소될 수 있다.

Claims (17)

  1. 아일랜드;
    상기 아일랜드상으로 고정된 반도체 펠릿;
    상기 아일랜드로 연장된 다수의 내부 리드;
    상기 아일랜드, 반도체 펠릿, 및 내부 리드들을 밀봉하는 수지; 및
    상기 내부 리드들의 선단들과 상기 아일랜드 사이에 제공된 수지유동제어판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일랜드는 행어 리드들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수지 유동 제어판들은 상기 아일랜드와 상기 행어 리드들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디바이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유동 제어판들은 상기 아일랜드를 둘러싸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디바이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일랜드는 4 각형이며, 그 4 개의 모서리는 행어 리드들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디바이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유동 제어판들은 상기 아일랜드와 상기 행어 리드들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아일랜드의 외주변들에서 대면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디바이스.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유동 제어판들은 다수의 스루홀이 배열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디바이스.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스루홀들은 4 각형이며, 상기 수지 유동 제어판들은 격자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디바이스.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스루홀들은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디바이스.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리드들의 선단부들과 상기 반도체 펠릿의 전극들을 접속시키는 본딩 와이어가 상기 수지 유동 제어판들상에서 연장하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디바이스.
  10. 아일랜드;
    상기 아일랜드로 연장된 다수의 내부 리드; 및
    상기 내부 리드들의 선단들와 상기 아일랜드사이에 제공된 수지 유동 제어판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디바이스.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일랜드는 행어 리드들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수지 유동 제어판들은 상기 아일랜드와 상기 행어 리드들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아일랜드, 행어 리드들, 및 수지 유동 제어판들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디바이스.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유동 제어판들은 상기 아일랜드를 둘러싸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디바이스.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일랜드는 4 각형이고, 그 4 개의 모서리는 행어 리드들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수지 유동 제어판들은 상기 아일랜드와 상기 행어 리드들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아일랜드, 행어 리드들, 및 수지 유동 제어판들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디바이스.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유동 제어판들은 상기 아일랜드의 외주변들에서 대면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디바이스.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유동 제어판들은 다수의 스루홀이 배열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디바이스.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스루홀들은 4 각형이며, 상기 수지 유동 제어판들은 격자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디바이스.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스루홀들은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디바이스.
KR10-2003-0012240A 2002-02-27 2003-02-27 반도체 디바이스 KR1005237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051418A JP2003258184A (ja) 2002-02-27 2002-02-27 半導体装置およびリードフレーム
JPJP-P-2002-00051418 2002-02-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1545A true KR20030071545A (ko) 2003-09-03
KR100523714B1 KR100523714B1 (ko) 2005-10-26

Family

ID=27750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2240A KR100523714B1 (ko) 2002-02-27 2003-02-27 반도체 디바이스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737735B2 (ko)
JP (1) JP2003258184A (ko)
KR (1) KR100523714B1 (ko)
CN (1) CN1441488A (ko)
TW (1) TW59495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12481B2 (en) * 2001-09-03 2004-11-02 Toyoda Gosei Co., Ltd. LED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08166699A (ja) * 2006-12-04 2008-07-17 Asmo Co Ltd 樹脂封止型半導体装置
JP2008300587A (ja) * 2007-05-31 2008-12-11 Renesas Technology Corp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8148825B2 (en) * 2007-06-05 2012-04-03 Stats Chippac Ltd. Integrated circuit package system with leadfinger
JP5247626B2 (ja) * 2008-08-22 2013-07-24 住友化学株式会社 リードフレーム、樹脂パッケージ、半導体装置及び樹脂パッケージの製造方法
TWI390746B (zh) * 2009-05-07 2013-03-21 Atomic Energy Council 太陽能電池元件
US9196504B2 (en) * 2012-07-03 2015-11-24 Utac Dongguan Ltd. Thermal leadless array package with die attach pad locking feature
JP6845903B1 (ja) * 2019-09-18 2021-03-24 Towa株式会社 成形型、樹脂成形装置及び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52501A (ja) 1991-11-28 1993-06-18 Toshiba Corp 半導体装置
JP2989476B2 (ja) * 1994-06-23 1999-12-13 シャープ株式会社 Tcp半導体装置
JPH10340976A (ja) 1997-04-10 1998-12-22 Nittetsu Semiconductor Kk 樹脂封止型半導体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737735B2 (en) 2004-05-18
CN1441488A (zh) 2003-09-10
TW594954B (en) 2004-06-21
KR100523714B1 (ko) 2005-10-26
TW200304207A (en) 2003-09-16
US20030160308A1 (en) 2003-08-28
JP2003258184A (ja) 2003-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50020B2 (en) Resin-sealed semiconductor device
JPH1131776A (ja) 半導体チップパッケージ
JP4002476B2 (ja) 半導体装置
JP2001326236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5098301B2 (ja) 電力用半導体装置
CN103107142A (zh) 具有盖结构的半导体器件及其制造方法
KR100523714B1 (ko) 반도체 디바이스
JP6092084B2 (ja) 半導体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20040037575A (ko) 사선형 에칭부를 갖는 엠.엘.피(mlp)형 반도체 패키지
JP2010199492A (ja)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633077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07081064A (ja) 半導体装置、基板及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2003110080A (ja) 半導体装置
JP5273265B2 (ja) 電力用半導体装置
US20090039483A1 (en) Heat slug and semiconductor package
JP2005116687A (ja) リードフレーム、半導体装置及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2010010569A (ja) 回路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6132458A (ja) 樹脂封止型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リードフレーム
JPH03161958A (ja) プラスチックピングリッドアレイ型半導体パッケージ構造
CN110310915B (zh) 一种顶出机构及塑封装置
JP4995764B2 (ja) リード支持型半導体パッケージ
JP4476977B2 (ja) 半導体装置
KR20160088746A (ko) 반도체 패키지 및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방법
KR100244721B1 (ko) 반도체패키지
JP2000260929A (ja) 表面実装用薄型パッケー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