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0782A - 에어클리너를 갖는 엔진을 구비하는 차량 - Google Patents

에어클리너를 갖는 엔진을 구비하는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0782A
KR20030060782A KR20030000238A KR20030000238A KR20030060782A KR 20030060782 A KR20030060782 A KR 20030060782A KR 20030000238 A KR20030000238 A KR 20030000238A KR 20030000238 A KR20030000238 A KR 20030000238A KR 20030060782 A KR20030060782 A KR 200300607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leaner
battery
fuse box
cleaner case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30000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55354B1 (ko
Inventor
오기스노리유키
Original Assignee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607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07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5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5354B1/ko

Links

Abstract

배터리 박스 및 차체 구조에 관계 없이 휴즈 박스의 유지부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한 차량을 제공한다. 또, 비용 삭감을 도모하는 동시에, 휴즈 박스를 한층 확실하게 유지한다.
자동 이륜차는, 에어클리너(20)를 갖는 엔진과, 배터리(26)와, 휴즈 박스(40)를 구비한다. 에어클리너(20)의 에어클리너 케이스(23)의 외면(23a)에는, 휴즈 박스(40)를 유지하는 유지부(41)가, 에어클리너 케이스(23)에 일체 성형되고, 또한 에어클리너 케이스(23)의 외면(23c)에는, 배터리(26)가 수용되는 수용부가 형성된다. 배터리(26)를 에어클리너 케이스(23)에 고정하는 고정 부재(29)에, 휴즈 박스(40)가 유지부(41)로부터 빠지는 것을 저지하는 빠짐 저지부(29d)가 형성된다.

Description

에어클리너를 갖는 엔진을 구비하는 차량{AIR CLEANER FOR VEHICLE ENGINE}
본 발명은 에어클리너를 갖는 엔진과, 배터리와, 배터리와 전장품의 배선의 도중에 설치된 휴즈가 수납된 휴즈 박스를 구비하는 차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 엔진과, 배터리와, 배터리와 전장품의 배선의 도중에 설치된 휴즈가 수납된 휴즈 박스를 구비하는 차량으로서, 일본국 실용신안등록 제 2538698호 공보에 개시된 것이 있다. 이 스쿠터형 차량은 스윙형 엔진을 구비하고, 배터리 및 휴즈 박스가 운전자가 발을 올리는 플로어 스텝부를 구성하는 스텝 보드의 하방에 배치된 배터리 박스에 수납된다. 구체적으로는, 배터리 박스에 일체 성형된 격벽에 의해 2분되는 배터리 박스 내의 한쪽 스페이스에는 배터리가 수납되고, 다른쪽 스페이스에는 휴즈 박스가, 격벽에 일체 성형된 C자형의 쌍을 이루는 휴즈 홀더에 끼워져,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수납된다. 그리고, 배터리 박스를 밀폐하는 개폐 가능한 캡을 벗김으로써 배터리나 휴즈 박스가 출입된다.
그런데, 상기 종래 기술에서는, 휴즈 박스를 유지하는 휴즈 홀더(유지부에상당)는, 플로어 스텝부의 하방의 데드 스페이스에 설치된 배터리 박스에 형성되었으나, 차체 구조에 따라서는 배터리 박스에 휴즈 박스의 수납 스페이스가 형성됨으로써 대형화한 배터리 박스가 설치되는 스페이스를 확보하는 것이 곤란하므로, 휴즈 박스를 배터리 박스 내에 수납하지 않고, 또는 휴즈 박스의 유지부를 배터리 박스에 형성하지 않고, 휴즈 박스를 유지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었다. 또, 배터리 박스가 필요해지는 경우, 부품 점수 및 차량으로의 장착 공정 수가 증가하는 결과, 차량의 조립 공정수가 증가하여 차량의 비용이 높아지는 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배터리 박스 및 차량 구조에 관계없이 휴즈 박스의 유지부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한 차량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또한 배터리의 차량으로의 장착성을 향상시켜, 차량의 조립 공정수를 삭감하여 비용 삭감을 도모하는 동시에, 휴즈 박스를 한층 확실하게 유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인 자동 이륜차의 개략의 좌측면도,
도 2는 도 1의 에어클리너 근방의 확대도,
도 3은 도 2의 에어클리너, 배터리, 내측 및 외측 밴드, 툴 박스의 장착 전의 사시도,
도 4는 도 2의 Ⅳa-Ⅳa선 단면도이며, 일부 Ⅳb-Ⅳb선 단면도,
도 5는 도 2의 에어클리너 케이스의 좌측면도,
도 6은 도 2의 Ⅵ-Ⅵ선 단면도,
도 7은 도 2의 Ⅶ-Ⅶ선 단면도,
도 8은 도 2의 에어클리너의 차체로의 결합 부분을 차체 폭방향에서의 중앙면에서의 단면으로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부 프레임 2 … 헤드 파이프
3 … 메인 프레임 4 … 다운 튜브
5 … 후부 프레임 6 … 시트 레일
7 … 시트 8 … 전륜
9 … 후륜 10 … 전부 포크
11 … 바 핸들 12 … 피벗축
13 … 스윙 아암 14 … 완충기
15 … 출력축 16, 17 … 스프로킷
18 … 체인 19 … 연료 탱크
20 … 에어클리너 21 … 기화기
22 … 배기관 23 … 에어클리너 케이스
23c … 좌면 24 … 입구 덕트
25 … 출구 덕트 26 … 배터리
27 … 수용부 28 … 내측 밴드
29 … 외측 밴드 29d … 빠짐 저지부
30a, 30b … 탄성 부재 31 … 인서트
32 … 너트 33 … 홀더
34 … 박스 본체 35 … 뚜껑
36 … 스테이 37 … 배선
40 … 휴즈 박스 41 … 유지부
42 … 안내부 50 … 스테이
51 … 크로스 멤버 52 … 칼라
53 … 부쉬 54 … 돌출부
55 … 마운트 부재 56 … 지지판
57 … 너트 58 … 스테이
V … 자동 이륜차 F … 차체 프레임
E … 내연 기관 M … 변속기
B1 ∼ B5 … 볼트 H1 ∼ H3 … 구멍
T … 툴 박스 C … 차체 커버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에어클리너를 갖는 엔진과, 배터리와, 이 배터리와 전장품의 배선의 도중에 설치된 휴즈가 수납된 휴즈 박스를 구비하는 차량에 있어서, 상기 에어클리너의 에어클리너 케이스의 외면에는, 상기 휴즈 박스를 유지하는 유지부가, 상기 에어클리너 케이스에 일체 성형된 차량이다.
이것에 의해, 차량의 엔진의 에어클리너 케이스를 이용하여 휴즈 박스의 유지부가 형성되고, 게다가 에어클리너 케이스의 외측에서 휴즈 박스가 유지되므로,휴즈 박스에 의해 에어클리너 케이스의 용적이 감소하지 않는다.
그 결과,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다음 효과가 발휘된다. 즉, 에어클리너 케이스의 외면에는, 휴즈 박스를 유지하는 유지부가 에어클리너 케이스에 일체 성형됨으로써, 차량의 엔진의 에어클리너 케이스를 이용하여 휴즈 박스의 유지부가 형성되므로, 배터리 박스나 차체 구조에 관계 없이, 휴즈 박스의 유지부의 형성이 가능한 차량을 얻을 수 있다. 게다가, 유지부는 에어클리너 케이스의 외측에서 휴즈 박스를 유지하므로, 휴즈 박스가 설치됨으로써 에어클리너 케이스의 용적이 감소하지 않아, 소요 용적을 갖는 에어클리너 케이스를 소형 경량화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차량에 있어서, 상기 에어클리너 케이스의 외면에는, 상기 배터리가 수용되는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배터리를 상기 에어클리너 케이스에 고정하는 고정 부재에는, 상기 휴즈 박스가 상기 유지부로부터 빠지는 것을 저지하는 빠짐 저지부가 형성된 것이다.
이것에 의해, 배터리는 에어클리너를 이용하여, 그 외면에 형성되는 수용부에 수용된다. 또, 수용부에 수용된 배터리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부재를 이용하여, 휴즈 박스가 유지부로부터 빠지는 것이 저지된다.
그 결과,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더해 다음 효과가 발휘된다. 즉, 에어클리너 케이스의 외면에 배터리의 수용부가 형성되고, 배터리를 에어클리너 케이스에 고정하는 고정 부재에, 휴즈 박스가 유지부로부터 빠지는 것을 저지하는 빠짐 저지부가 형성됨으로써, 배터리는 에어클리너 케이스에 수용되어, 배터리를 수용하기 위한 전용 배터리 박스가 불필요해지므로, 부품 점수 및 차체로의 장착 공정수가 삭감되어, 차량의 조립 공정수도 감소함으로써 차량의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또, 수용부에 수용된 배터리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부재를 이용하여, 휴즈 박스가 유지부로부터 빠지는 것이 저지되므로, 휴즈 박스의 빠짐 저지를 위한 부재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어, 이 점에서도 부품 점수가 삭감되기 때문에, 휴즈 박스의 유지부에서의 유지를 한층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인 자동 이륜차(V)의 개략의 좌측면도인 도 1을 참조하면, 자동 이륜차(V)의 차체 프레임(F)은 엔진으로서의 내연 기관(E)이 탑재되는 전부 프레임(1)과, 전부 프레임(1)의 후단부에 고정된 좌우 1쌍의 후부 프레임(5)과, 전단부(6a)가 전부 프레임(1)에 고정되고, 중간부(6c)가 대응하는 좌우의 후부 프레임(5)에 고정된 좌우 1쌍의 시트 레일(6)을 구비한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 "전후좌우"는 자동 이륜차를 기준으로 했을 때의 전후 좌우를 의미한다.
전부 프레임(1)은 상기 전부 프레임(1)의 전단에 위치하는 헤드 파이프(2)와, 헤드 파이프(2)로부터 후방으로 거의 수평으로 이어지는 전부(3a) 및 상기 전부(3a)의 후단의 굴곡부(3c)에서 굴곡하여 하방을 향해 이어지는 후부(3b)로 이루어지는 메인 프레임(3)과, 헤드 파이프(2)로부터 후방 비스듬한 하방으로 이어지는 다운 튜브(4)를 구비한다. 1쌍의 후부 프레임(5)은 메인 프레임(3)의 후부(3b)의하부로부터 후방 비스듬한 상방으로 이어지고, 그 전단부(5a)로부터 좌우 방향(또는 차폭 방향)으로 확대되면서 이어지고, 계속해서 후방으로 거의 평행으로 이어져, 후륜(9)의 상방에서 후단부가 시트 레일(6)의 중간부(6c)에 고정된다. 또, 시트(7)를 지지하는 양 시트 레일(6)은 메인 프레임(3)의 굴곡부(3c)에 고정되는 전단부(6a)로부터 좌우 방향으로 확대되면서 후방으로 이어지고, 계속해서 후방으로 평행하게 시트(7)의 후단부까지 이어진다.
헤드 파이프(2)에는 전륜(8)을 축지지하는 전부 포크(10)가 조향 가능하게 지지되고, 전부 포크(10)의 상단에는 바 핸들(11)이 연결된다. 내연 기관(E)과 변속기(M)가 일체화된 동력 장치가, 메인 프레임(3) 및 다운 튜브(4)에, 복수의 지지 브라켓을 통해 지지된다. 또, 상기 동력 장치의 후부에 설치된 피벗축(12)에는, 후단부에서 후륜(9)을 축지지하는 스윙 아암(13)의 전단부가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리고, 스윙 아암(13)의 후단부와, 후부 프레임(5)의 후단부 및 중간부(6c)에 걸쳐 용접된 스테이(58) 사이에는 완충기(14)가 설치된다.
변속기(M)의 출력축(15)으로부터의 동력은 감속 기구를 통해 후륜(9)으로 전달된다. 차체의 좌측에 배치된 상기 감속 기구는, 출력축(15)에 고정된 구동 스프로킷(16)과, 후륜(9)에 고정된 피동 스프로킷(17)과, 양 스프로킷(16, 17)에 감겨진 무단(無端) 체인(18)으로 구성된다.
상기 동력 장치의 상방에는, 메인 프레임(3)의 전부(3a) 및 1쌍의 시트 레일(6)에 지지되는 연료 탱크(19)가 배치되고, 이 연료 탱크(19)의 후방 비스듬한 하방, 또한 내연 기관(E)의 후방에서, 메인 프레임(3)의 후부(3b)와 양 후부 프레임(5)과 양 시트 레일(6)로 둘러싸인 공간에, 내연 기관(E)의 흡기계에 설치되어, 내연 기관(E)의 연소실로 공급되는 공기를 청정하게 하는 에어클리너(20)가 배치된다. 그리고, 에어 클리너(20)를 통해 대기로부터 취입된 공기는, 기화기(21)에서 연료와 혼합되어 상기 연소실로 유입되고, 연소 후의 배기 가스가 배기관(22)을 거쳐 차체의 우측에 배치된 머플러(도시 생략)로 유출된다.
도 2, 도 3, 도 5를 참조하면, 에어클리너(20)는 모두 합성수지제의 에어클리너 케이스(23), 입구 덕트(24) 및 출구 덕트(25)를 구비한다. 그 내부(23n)(도 4, 도 6 참조)에 필터 엘러먼트가 수납된 에어클리너 케이스(23)에는, 그 후면(23a)에 입구 덕트(24)가 접속되고, 그 우면(23b)에 메인 프레임(3)의 우방에서 전방으로 이어져 기화기(21)(도 1 참조)에 연결되는 출구 덕트(25)가 접속된다.
에어클리너 케이스(23)에서, 출구 덕트(25)가 접속되는 면과는 반대측의, 에어클리너 케이스(23)의 외면인 좌면(23c)에는, 거의 직방체의 배터리(26)를 수용하는 수용부(27)가 형성된다. 수용부(27)는 안쪽벽(27a)과, 전방으로 개방하는 개구부(27b)를 갖는 둘레벽에 의해 둘러싸인 오목부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둘레벽은 하부벽(27c), 상부벽(27d) 및 후부벽(27e)으로 구성된다. 수용부(27)에 수용된 배터리(26)는 안쪽벽(27a), 하부벽(27c), 상부벽(27d) 및 후부벽(27e)에 맞닿고, 이에 의해 배터리(26)의 이동이 규제되는 한편, 배터리(26)의 전부는 개구부(27b)로부터 에어클리너 케이스(23)를 넘어 전방으로 돌출한다(도 2 참조). 이렇게 수용부(27)는 개구부(27b)를 가지므로, 수용부(27)에 대한 배터리(26)의 착탈 방향의 자유도가 커지고, 또 자동 이륜차(V)의 주행시, 전방으로부터의 주행풍이배터리(26)에 닿기 쉬워진다.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하부벽(27c)에 재치된 상태로 수용부(27)에 수용된 배터리(26)는, 안쪽벽(27a) 및 후부벽(27e)에 형성된 수평으로 이어지는 띠형상의 수용홈(27f)에 끼워진 내측 밴드(28)와, 배터리(26)의 외형을 따라 굴곡한 유지부(29h)가 설치되는 동시에, 내측 밴드(28)와 좌우 방향으로 대면하는 외측 밴드(29)에 의해 사이에 끼워져, 양 밴드(28, 29)를 에어클리너 케이스(23)에 고정함으로써, 에어클리너 케이스(23)에 고정된다. 그 때문에, 내측 밴드(28) 및 외측 밴드(29)는 배터리(26)를 에어클리너 케이스(23)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부재를 구성한다. 그리고, 외측 밴드(29)의 유지부(29h)에는 배터리(26)에 맞닿아, 안쪽벽(27a) 및 내측 밴드(28)에 대해 배터리(26)를 가압하는 2개의 탄성 부재(30a)와, 후부벽(27e) 및 내측 밴드(28)에 대해 배터리(26)를 가압하는 1개의 탄성 부재(30b)가 부착된다.
이들 내측 밴드(28) 및 외측 밴드(29)는 띠형상의 금속판을 굽힘 가공함으로써 형성되고, 에어클리너 케이스(23)에 매설된 금속제 인서트(31)에 형성된 나사구멍에 나사 결합되는 볼트(B1)에 의해, 에어클리너 케이스(23)에 대해 체결된다.
즉, 내측 밴드(28)는 수용홈(27f)에 끼워진 후, 그 양단부(28a, 28b) 사이의 2부분의 결합부(28c, 28d)의 삽입통과구멍(H1)에 삽입통과되는 볼트(B1)에 의해, 에어클리너 케이스(23)에 체결된다. 그리고, 배터리(26)가 수용부(27)에 수용된 후, 외측 밴드(29)의 유지부(29h)에 배터리(26)가 끼워지도록, 외측 밴드(29)의 일단부(29b)가, 그 일단부(29a)의 삽입통과구멍(H1) 및 내측 밴드(28)의 일단부(28a)의 삽입통과구멍(H1)에 삽입통과되는 볼트(B1)에 의해, 에어클리너 케이스(23)의 좌면(23c)에서, 내측 밴드(28)와 함께 에어클리너 케이스(23)에 함께 체결된다. 한편, 외측 밴드(29)의 타단부(29b)는 그 삽입통과구멍(H1)에 삽입통과되어, 내측 밴드(28)의 타단부(29b)에 용접된 너트(32)에 나사 결합되는 볼트(B2)에 의해 내측 밴드(28)와 일체로 결합된다. 또한, 배터리(26)를 떼어내는 경우에는, 외측 밴드(29)의 일단부(29a)를 에어클리너 케이스(23) 및 내측 밴드(28)에 체결하고 있는 볼트(B1)와, 볼트(B2)를 떼어내면 된다. 또, 외측 밴드(29)에는 스페어의 복수의 휴즈를 유지하는 홀더(33)가 부착되는 부착부(29c)가, 유지부(29h)에 설치된 1쌍의 절편에 의해 구성된다.
또, 에어클리너 케이스(23)의 하면에는, 에어클리너 케이스(23)의 하방에 배치되어, 공구 등이 수납되는 박스 본체(34)와 뚜껑(35)으로 구성되는 툴 박스(T)가 부착된다. 즉, 하부벽(27c)에 하방으로 개방하여 형성된 걸어맞춤 홈으로 이루어지는 걸어맞춤부(27c1)와, 박스 본체(34)의 상면에 형성되어 걸어맞춤 돌출부로 이루어지는 걸어맞춤부(34a)가, 도브테일(dovetail) 형상으로 형성되어, 양 걸어맞춤부(27c1, 34a)가 걸어맞춰지도록, 에어클리너 케이스(23)의 좌방으로부터 박스 본체(34)가 끼워져, 박스 본체(34)가 에어클리너 케이스(23)에 결합된다. 그리고, 박스 본체(34)의 개구부(34b)를 밀폐하는 뚜껑(35)이, 상기 뚜껑(35)의 삽입통과구멍(H2)과 개구부(34b)를 형성하는 상부 가장자리부(34c)의 삽입통과구멍(H2)에 삽입통과되어, 상기 상부 가장자리부(34c)와 맞닿는 하부벽(27c) 부분에 매설된 인서트(31)의 나사구멍에 나사 결합되는 볼트(B3)에 의해, 툴 박스(34)에 고정된다.이에 의해, 에어클리너 케이스(23)와 툴 박스(T)가 상대이동 불가능하게 일체로 결합된다. 또한, 툴 박스(T)에 수납된 공구를 취출하는 경우에는 볼트(B3)를 빼고 뚜껑(35)을 벗긴다.
그리고,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박스 본체(34)의 하면에는 메인 프레임(3) 및 우측의 후부 프레임(5)에 고정된 스테이(36)에 형성된 끼워맞춤구멍(36a)에 끼워맞춰져, 차체 프레임(F)에 대해 에어클리너(20)를 설정 위치에 장착할 때의 위치결정 부재로서의 비원형의 횡단면 형상을 갖는 기둥 형상의 돌출부(34d)가 형성된다. 그 때문에, 돌출부(34d)가 상기 돌출부(34d)의 상기 횡단면형상에 정합하는 형상의 구멍인 끼워맞춤구멍(36a)에 끼워맞춰지고, 또한 에어클리너(20)가 스테이(36)에 재치된 상태로 에어클리너(20)는 상기 설정 위치를 차지한다.
또, 도 2, 도 5를 참조하면 에어클리너 케이스(23)의 외면인 후면(23a)에서, 배터리(26)의 수용부(27)가 설치된 좌면(23c) 근방에서, 후방 비스듬한 하방을 향하고 있는 경사면 부분에는, 전장품, 예를 들면 등화기, 시동 모터나 점화 장치와 배터리(26)의 배선(37) 도중에 설치된 휴즈가 수납된 휴즈 박스(40)가 유지되는 유지부(41)가 에어클리너 케이스(23)에 일체 성형된다.
도 6을 함께 참조하면, 이 유지부(41)는 원통형상의 휴즈 박스(40)의 외주면에 정합하는 오목형상의 면을 갖는 지지벽(41a)과, 지지벽(41a)으로부터 돌출하여 휴즈 박스(40)의 외주면을 둘레방향으로 부분적으로 둘러싸고, 지지벽(41a)과 공동으로 휴즈 박스(40)를 파지하는 2개의 파지편(41b)과, 지지벽(41a)의 하단에 위치하는 단부(41c)를 갖는다. 유지부(41)에는 각 파지편(41b)과 지지벽(41a)에 의해, 좌방으로 개방하는 개구부(41d)가 형성된다. 그리고, 휴즈 박스(40)는 개구부(41d)로부터 유지부(41)에 삽입될 때, 그 외주면이 파지편(41b)의 내면에 접촉하여, 파지편(41b)을 조금 넓혀, 그 탄성 변형에 의해 발생하는 탄성력을 이용하여 파지된다. 이 때, 휴즈 박스(40)의 바닥부는 유지부(41)의 바닥부를 구성하는 단부(41c)에 맞닿아, 휴즈 박스(40)의 하방으로의 이동이 저지된다.
또한, 유지부(41)에 유지된 휴즈 박스(40)는 외측 밴드(29)에 일체 성형된 빠짐 저지부(29d)에 의해, 유지부(41)로부터의 빠짐이 저지된다. 즉,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측 밴드(29)의 일단부(29a)에는, 외측 밴드(29)가 에어클리너 케이스(23)에 체결되었을 때, 파지편(41b)의 개구부(41d)를 덮도록 이어지는 연장부로 이루어지는 빠짐 저지부(29d)가 형성된다. 그리고, 빠짐 저지부(29d)는 외측 밴드(29)가 에어클리너 케이스(23)에 체결되기 전에 유지부(41)에 유지되어 있는 휴즈 박스(40)에 접촉하여 휴즈 박스(40)를 지지벽(41a)에 압착한다. 또한, 휴즈 교환을 위해 휴즈 박스(40)를 유지부(41)로부터 떼어내는 경우는, 외측 밴드(29)를 벗기고 개구부(41d)를 통해 휴즈 박스(40)를 빼내면 된다.
또, 도 2,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휴즈 박스(40)의 축방향에서의 유지부(41)의 상방 연장 상에는 지지벽(41a)의 벽면보다도 약간 크게 파여진 오목형상의 벽면을 갖는 안내부(42)(도 4도 참조)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안내부(42)를 통해 휴즈 박스(40)가 유지부(41)에 대해 빼고 끼움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배터리(26), 휴즈 박스(40) 및 툴 박스(34)가 부착된에어클리너(20)의 차체 프레임(F)으로의 결합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에어클리너(2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테이(36)와, 메인 프레임(3)의 굴곡부(3c)에 고정된 스테이(50)와, 양 시트 레일(6)에 걸쳐져 그들 시트 레일(6)에 고정된 판형상의 크로스 멤버(51)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는, 스테이(36)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돌출부(34d)가 끼워맞춤구멍(36a)에 끼워맞춰져 결합된다. 또, 도 7을 함께 참조하면, 스테이(50)에는 내측 밴드(28)의 타단부(28d)의 구멍(H3)에 끼워맞춰져, 칼라(52)에 삽입통과되는 볼트(B4)에 의해 스테이(50)에 체결되는 고무재로 이루어지는 부쉬(53)를 통해 결합된다. 이에 의해, 에어클리너(20)가 메인 프레임(3)에 탄성 지지된다.
한편, 에어클리너(20)와 크로스 멤버(51)의 결합은 다음과 같이 하여 행해진다. 도 2, 도 8을 참조하면, 스테이(36)에 재치되어 상기 설정 위치에 있는 에어클리너(20)에 대해, 에어클리너 케이스(23)의 상면(23d)에 일체 성형된 2개의 원기둥형상의 돌출부(54)에 각각 압입되는 원통부(55a)를 갖는 고무재로 이루어지는 마운트 부재(55)는 각 원통부(55a)가 크로스 멤버(51)에 형성된 2개의 구멍(51a)을 삽입통과하도록 하면서 양 돌출부(54)에 압입되어, 지지판(51)의 상면에 재치된다. 이어서, 연료 탱크(19)의 후단부의 플랜지부(19a) 및 상기 플래지부(19a)에 용접된 지지판(56)이 그 각 구멍(19a1, 56a)을 마운트 부재(55)의 구멍(55b)의 둘레가장자리의 원환형상 돌출부(55c)가 삽입통과하도록, 마운트 부재(55)에 겹쳐진다. 그리고, 마운트 부재(55) 및 크로스 멤버(51)의 각 구멍(55b, 51b)에 삽입통과된 볼트(B5)를, 크로스 멤버(51)의 하면에 용접된 너트(57)에 나사 결합시켜 체결함으로써, 마운트 부재(55) 및 연료 탱크(19)가 크로스 멤버(51)에 일체로 결합된다. 이에 의해, 에어클리너(20) 및 연료 탱크(19)가 양 시트 레일(6)에 탄성 지지된다.
또,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어클리너(20)의 좌방에는 연료 탱크의 하부에 용접된 스테이(도시 생략) 및 스테이(58)에 고정되는 차체 커버(C)가 설치되고, 상기 차체 커버(C)에 의해 배터리(26) 및 휴즈 박스(40)의 전체 및 에어클리너(20)의 거의 전체가 덮혀, 물로부터 배터리(26)나 휴즈 박스(40)가 차폐된다.
이어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실시예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에어클리너 케이스(23)의 후면(23a)에는, 휴즈 박스(40)를 유지하는 유지부(41)가 에어클리너 케이스(23)에 일체 성형됨으로써, 자동 이륜차(V)의 내연 기관(E)의 에어클리너 케이스(23)를 이용하여, 휴즈 박스(40)의 유지부(41)가 형성되므로, 차체 구조나 종래의 배터리 박스에 관계 없이, 휴즈 박스(40)의 유지부(41)의 형성이 가능한 자동 이륜차(V)를 얻을 수 있다. 게다가, 유지부(41)는 에어클리너 케이스(23)의 외측에서 휴즈 박스(40)를 유지하므로, 휴즈 박스(40)가 설치됨으로써 에어클리너 케이스(23)의 용적이 감소하지 않으므로, 소요 용적을 갖는 에어클리너 케이스(23)를 소형 경량화할 수 있다.
에어클리너 케이스(23)의 좌면(23c)에 배터리(26)의 수용부(27)가 형성되고, 배터리(26)를 에어클리너 케이스(23)에 고정하는 외측 밴드(29)에, 휴즈 박스(40)가 유지부(41)로부터 빠져나오는 것을 저지하는 빠짐 저지부(29d)가 형성됨으로써, 배터리(26)는 에어클리너 케이스(23)에 수용되어, 배터리(26)를 수용하기 위한 전용 배터리 박스가 불필요해지고, 게다가 에어클리너(20)를 차체 프레임(F)에 장착함으로써 배터리(26)가 차체 프레임(F)에 장착되므로, 부품 점수 및 차체 프레임(F)으로의 장착 공정수가 삭감되어, 자동 이륜차(V)의 조립 공정수도 감소함으로써, 자동 이륜차(V)의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또, 수용부(27)에 수용된 배터리(26)를 고정하기 위한 외측 밴드(29)를 이용하여, 휴즈 박스(40)가 유지부(41)로부터 빠지는 것이 저지되므로, 휴즈 박스(40)의 빠짐 저지를 위한 부재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고, 이 점에서도 부품 점수가 삭감되기 때문에, 휴즈 박스(40)의 유지부(41)에서의 유지를 한층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또, 유지부(41)에 연결되는 안내부(42)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예를 들면 휴즈를 교환하기 위해, 휴즈 박스(40)를 유지부(41)로부터 빼내는 경우에는, 외측 밴드(29)를 에어클리너 케이스(23)에 체결하고 있는 볼트(B1)를 조금 풀어, 빠짐 저지부(29d)에 의한 휴즈 박스(40)의 가압을 해제함으로써, 외측 밴드(29)를 에어클리너 케이스(23)로부터 벗기지 않고, 안내부(42)를 통해 휴즈 박스(40)를 유지부(41)로부터 빼고 끼울 수 있으므로, 그 교환 작업이 용이해진다.
수용부(27)는 개구부(27b)를 가져 수용부(27)에 대한 배터리(26)의 착탈 방향의 자유도가 커지므로, 수용부(27)에 대한 배터리(26)이 출입이 용이해지며, 또 자동 이륜차(V)의 주행시, 전방으로부터의 주행풍이 배터리(26)에 닿기 쉬우므로, 이 주행풍에 의해 배터리(26)의 과도한 온도 상승이 방지된다.
차체 프레임(F)에 대해 에어클리너(20)를 설정 위치에 장착할 때의 위치결정 작용을 하는 돌출부(34d) 및 끼워맞춤구멍(36a)이 형성됨으로써, 돌출부(34d)가 끼워맞춤구멍(36a)에 끼워맞춰져, 에어클리너(20)가 스테이에 재치된 상태로 에어클리너(20)는 상기 설정 위치를 차지하므로, 에어클리너(20)와 차체 프레임(F)의 결합 작업이 용이해진다.
이하, 상술한 실시예의 일부 구성을 변경한 실시예에 대해, 변경한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외측 밴드(29)의 빠짐 저지부(29d)에 의해, 휴즈 박스(40)의 유지부(41)로부터의 빠짐이 저지되었으나, 상기 빠짐 저지부(29d)를 설치하지 않고, 파지편(41b)이 휴즈 박스(40)의 외주면을 둘레방향으로 둘러싸는 범위를 확대함으로써, 개구부(41d)의 폭을 작게 하여, 상기 개구부(41d)로부터의 휴즈 박스(40)의 빠짐을 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경우는 안내부(42)를 통해 유지부(41)에 대한 휴즈 박스(40)의 착탈이 행해지므로, 에어클리너(20)의 수용부(27)로의 배터리(26)의 착탈과는 관계 없이 휴즈 박스(40)를 착탈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휴즈 박스(40)는 빠짐 저지부에 의해 가압되었으나, 휴즈 박스(40)와 빠짐 저지부(29d) 사이에 약간의 간격이 존재하도록 해도 된다. 또, 빠짐 저지부는 외측 밴드(29)에 형성되었으나, 내측 밴드(28)에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파지편(41b)의 수는 2 이외에 1 또는 3 이상이어도 된다. 또한, 차량은 상기 실시예에서는 자동 이륜차였으나, 자동 이륜차 이외의 차량이어도 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에어클리너 케이스의 외면에는, 휴즈 박스를 유지하는 유지부가 에어클리너 케이스에 일체 성형됨으로써, 차량의 엔진의에어클리너 케이스를 이용하여 휴즈 박스의 유지부가 형성되므로, 배터리 박스나 차체 구조에 관계 없이, 휴즈 박스의 유지부의 형성이 가능한 차량을 얻을 수 있다. 게다가, 유지부는 에어클리너 케이스의 외측에서 휴즈 박스를 유지하므로, 휴즈 박스가 설치됨으로써 에어클리너 케이스의 용적이 감소하지 않아, 소요 용적을 갖는 에어클리너 케이스를 소형 경량화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더해, 에어클리너 케이스의 외면에 배터리의 수용부가 형성되고, 배터리를 에어클리너 케이스에 고정하는 고정 부재에, 휴즈 박스가 유지부로부터 빠지는 것을 저지하는 빠짐 저지부가 형성됨으로써, 배터리는 에어클리너 케이스에 수용되어, 배터리를 수용하기 위한 전용 배터리 박스가 불필요해지므로, 부품 점수 및 차체로의 장착 공정수가 삭감되어, 차량의 조립 공정수도 감소함으로써 차량의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또, 수용부에 수용된 배터리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부재를 이용하여, 휴즈 박스가 유지부로부터 빠지는 것이 저지되므로, 휴즈 박스의 빠짐 저지를 위한 부재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어, 이 점에서도 부품 점수가 삭감되며, 휴즈 박스의 유지부에서의 유지를 한층 확실하게 할 수 있다.

Claims (2)

  1. 에어클리너를 갖는 엔진과, 배터리와, 이 배터리와 전장품의 배선의 도중에 설치된 휴즈가 수납된 휴즈 박스를 구비하는 차량에 있어서,
    상기 에어클리너의 에어클리너 케이스의 외면에는, 상기 휴즈 박스를 유지하는 유지부가, 상기 에어클리너 케이스에 일체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클리너를 갖는 엔진을 구비하는 차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클리너 케이스의 외면에는, 상기 배터리가 수용되는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배터리를 상기 에어클리너 케이스에 고정하는 고정 부재에는, 상기 휴즈 박스가 상기 유지부로부터 빠지는 것을 저지하는 빠짐 저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클리너를 갖는 엔진을 구비하는 차량.
KR20030000238A 2002-01-07 2003-01-03 에어클리너를 갖는 엔진을 구비하는 차량 KR1004553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000891A JP4104332B2 (ja) 2002-01-07 2002-01-07 エアクリーナを有するエンジンを備える車両
JPJP-P-2002-00000891 2002-01-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0782A true KR20030060782A (ko) 2003-07-16
KR100455354B1 KR100455354B1 (ko) 2004-11-06

Family

ID=19190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30000238A KR100455354B1 (ko) 2002-01-07 2003-01-03 에어클리너를 갖는 엔진을 구비하는 차량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4104332B2 (ko)
KR (1) KR100455354B1 (ko)
CN (1) CN1298580C (ko)
BR (1) BR0300006B1 (ko)
PE (1) PE20030783A1 (ko)
TW (1) TW55725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12199B2 (ja) * 2009-07-17 2014-02-1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
JP5758574B2 (ja) * 2009-12-29 2015-08-05 川崎重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
JP5514589B2 (ja) * 2010-03-11 2014-06-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
EP2644487A4 (en) * 2010-11-22 2014-06-11 Yamaha Motor Co Ltd TWO WHEEL ELECTRIC VEHICLE
CN102322372A (zh) * 2011-07-29 2012-01-18 力帆实业(集团)股份有限公司 摩托车空滤器与工具盒组合
JP2014031125A (ja) * 2012-08-03 2014-02-20 Yamaha Motor Co Ltd 鞍乗型車両
JP7058092B2 (ja) * 2017-09-11 2022-04-21 カワサキモータース株式会社 鞍乗型車両
JP6924687B2 (ja) * 2017-12-08 2021-08-25 川崎重工業株式会社 鞍乗型車両
CN111746696B (zh) * 2019-03-26 2022-11-22 Tvs电机股份有限公司 用于鞍座型车辆的电池保持器
JP6982041B2 (ja) * 2019-09-30 2021-12-1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型車両
JP7351250B2 (ja) * 2020-03-27 2023-09-27 スズキ株式会社 鞍乗型車両
JP7315626B2 (ja) * 2021-07-09 2023-07-2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装品配置構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44008A (en) * 1974-04-22 1976-03-16 Moore Alvin E Insulated, tube-framed, land-traversing vehicle
JP2690918B2 (ja) * 1987-12-14 1997-12-17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自動二輪車
JP3648814B2 (ja) * 1995-11-01 2005-05-18 井関農機株式会社 作業車
JP2002187586A (ja) * 2000-12-22 2002-07-02 Yamaha Motor Co Ltd 車両用バッテリボックス取付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98580C (zh) 2007-02-07
TW200301735A (en) 2003-07-16
TW557258B (en) 2003-10-11
CN1431113A (zh) 2003-07-23
JP2003200871A (ja) 2003-07-15
BR0300006B1 (pt) 2012-09-18
BR0300006A (pt) 2003-09-09
KR100455354B1 (ko) 2004-11-06
PE20030783A1 (es) 2003-10-29
JP4104332B2 (ja) 2008-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45968B2 (en) Saddle-type electric vehicle
KR100455354B1 (ko) 에어클리너를 갖는 엔진을 구비하는 차량
KR100472329B1 (ko) 자동 이륜차의 시트 록 장치 및 그래브 레일의 부착 구조
US9346421B2 (en) Saddle-type electric vehicle
WO2011024368A1 (ja) 自動二輪車
KR100504615B1 (ko)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의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장착 구조
EP1794047B1 (en) Handle cover apparatus for a motorcycle
CA2924428A1 (en) Motorcycle
US8794366B2 (en) Battery case structure for motorcycle
JP2011070801A (ja) バッテリの固定構造
WO2011111695A1 (ja) 自動二輪車用エンジンのブリーザ装置
JP5849454B2 (ja) ハンドル
JP2019007400A (ja) 鞍乗型車両
JP2009040396A (ja) 鞍乗型車両
KR100370672B1 (ko) 스쿠터형 차량
JP2012046067A (ja) 自動二輪車の電装部品取付構造
EP2017174B1 (en) Straddle type vehicle
JP2015132231A (ja) キャニスタシステム配設構造
JPH0834377A (ja) スクータの電装品取付構造
JP3890898B2 (ja) スクータ型自動二輪車の2次空気供給装置
JP2000345931A (ja) 自動二輪車におけるエアクリーナの吸気構造
JP2003182672A (ja) 自動二輪車の燃料ポンプ取付構造
JP6139592B2 (ja) 鞍乗り型車両
JP6660927B2 (ja) 鞍乗り型車両
CN216684702U (zh) 跨骑型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