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4615B1 -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의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장착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의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장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4615B1
KR100504615B1 KR10-2003-0010027A KR20030010027A KR100504615B1 KR 100504615 B1 KR100504615 B1 KR 100504615B1 KR 20030010027 A KR20030010027 A KR 20030010027A KR 100504615 B1 KR100504615 B1 KR 1005046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wl
combination lamp
rear combination
lamp
bul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0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9832A (ko
Inventor
요쿠라야스후미
사이토겐이치
히라키다가즈히로
하야시가오루
Original Assignee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698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98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4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46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6/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on cycles;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
    • B62J6/04Rear ligh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32Holders or supports for basins
    • E03C1/322Holders or supports for basins connected to the wall only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4Wash-basins connected to the waste-pi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가 그 후부를 리어 카울의 후단으로부터 뒤쪽을 향하여 리어 카울 내에 배치되는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 외관 상품성의 저하를 회피하면서, 테일 램프용 및 윙커용 벌브의 교환 작업을 용이하게 한다.
렌즈(47)를 장착한 상태에서 테일 램프용 벌브 및 윙커용 벌브를 교환 가능하게 한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41)의 하부 및 리어 휀더(38) 사이에 이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41)의 리어 카울(38) 내로의 삽입 조작에 따른 걸어 맞춤 및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41)의 리어 카울(38)로부터 뒤쪽으로의 인출 조작에 따른 걸어 맞춤 해제를 전환하는 걸어 맞춤 기구(80)가 설치되고,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41)의 상부에 설치되는 스테이(51)가 리어 카울(38)의 개구(55) 내에서 위쪽으로 향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동시에 위쪽으로부터의 풀림 조작을 가능하게 한 체결부재(74)로 차체 프레임(F)에 체결된다.

Description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의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장착 구조{REAR COMBINATION LAMP MOUNTING STRUCTURE FOR MOTORCYCLE}
본 발명은, 승차용 시트로 폐쇄 가능한 개구부를 갖고 차체 프레임의 후부를 덮는 리어 카울 내에, 테일 램프용 벌브 및 한 쌍의 윙커용 벌브를 갖는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가 이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후부를 상기 리어 카울의 후단으로부터 뒤쪽으로 향하여 배치되는 자동 이륜차에 관한 것으로, 특히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장착 구조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가 이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후부를 리어 카울의 후단으로부터 뒤쪽을 향하여 리어 카울 내에 배치되는 구조가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 2000-280947호 공보 등에서 이미 알려져 있다.
상기 종래 기술에서는,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가 리어 카울과 함께 차체 프레임에 함께 체결되어 있고, 테일 램프용 벌브 및 윙커용 벌브를 교환할 때에는, 리어 카울과 함께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를 차체 프레임으로부터 분리할 필요가 있고, 유지 보수 작업이 번잡하게 된다. 그와 같은 번잡함을 해소하기 위해서,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베이스를 차체 프레임에 고정하는 동시에, 렌즈를 착탈 가능하게 하여 상기 베이스에 장착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지만, 장착 비스 등이 렌즈의 외면을 향하여 배치되게 되어 외관 상품성의 저하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외관 상품성이 저하하는 것을 회피하면서, 테일 램프용 벌브 및 윙커용 벌브의 교환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한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의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장착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차체 프레임의 후부에, 승차용 시트로 폐쇄 가능한 개구부를 상부에 갖고 차체 프레임의 후부를 덮는 리어 카울과, 리어 카울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후륜을 위쪽에서 덮는 리어 휀더가 장착되고, 테일 램프용 벌브 및 한 쌍의 윙커용 벌브를 갖는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가, 이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후부를 상기 리어 카울의 후단으로부터 뒤쪽을 향하여 상기 리어 카울의 후부 내에 배치되는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 리어 카울 내로부터 이탈시킨 상태에서는 렌즈를 장착한 상태로 상기 테일 램프용 벌브 및 한 쌍의 윙커용 벌브를 교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하부 및 상기 리어 휀더 사이에, 상기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상기 리어 카울 내로의 삽입 조작에 따른 걸어 맞춤 및 상기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상기 리어 카울로부터 뒤쪽으로의 인출 조작에 따른 걸어 맞춤 해제를 전환하여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를 리어 휀더에 걸어 맞추는 걸어 맞춤 기구가 설치되고,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상부에 설치되는 스테이가 상기 리어 카울의 개구부 내에서 위쪽을 향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동시에, 위쪽으로부터의 풀림 조작을 가능하게 한 체결부재로 상기 차체 프레임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상부에 설치된 스테이의 차체 프레임으로의 체결을, 승차용 시트에 의한 폐쇄상 상태를 해제한 상태의 리어 카울의 개구부로부터의 체결부재의 풀림 조작에 의해서 해제하고,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를 리어 카울로부터 뒤쪽으로 인출하도록 조작함으로써 걸어 맞춤 기구의 걸어 맞춤을 해제하고,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하부를 리어 휀더로부터 이탈시키고,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전체를 리어 카울로부터 뒤쪽으로 인출하는 것이 가능하며, 리어 카울로부터 인출한 상태에서의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로부터는 렌즈를 장착한 상태로 테일 램프용 벌브 및 한 쌍의 윙커용 벌브를 교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장착에 있어서는, 상기 인출 조작과는 역의 조작을 행하면 된다. 따라서, 렌즈 외면에 유지 보수용의 부재가 배치되는 것을 회피하여 외관 상품성의 향상을 도모하면서,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전체의 분리 및 장착을 용이하게 하고, 테일 램프용 벌브 및 윙커용 벌브의 교환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리어 카울은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를 양측에서 덮는 좌우 한 쌍의 사이드 카울과, 내측으로부터의 체결 및 체결 해제를 가능하게 하여 상기 양 사이드 카울에 체결되어 상기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를 위쪽에서 덮는 센터 카울로 이루어지며, 상기 차체 프레임의 후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를 덮는 리어 카울의 일부가 손상되었을 때에 리어 카울 전체를 교환하지 않아도 되며, 또한 양 사이드 카울에 센터 카울을 체결하는 부분이 리어 카울의 외면에 나타나지 않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이것에 의해서도 외관 상품성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첨부의 도면에 도시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도 1은 자동 이륜차의 측면도, 도 2는 도 1의 2화살표 방향에서 본 확대도, 도 3은 도 2의 3-3선 단면도, 도 4는 도 2의 4-4선 단면도, 도 5는 좌측 사이드 카울을 생략한 상태에서의 자동 이륜차의 후부 사시도, 도 6은 분리 상태의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및 리어 카울의 평면도, 도 7은 도 6의 7-7선 확대 단면도이다.
먼저 도 1에 있어서, 이 자동 이륜차의 차체 프레임(F)은 프론트 포크(11)를 조향 가능하게 지지하는 헤드 파이프(12)와, 헤드 파이프(12)로부터 뒤쪽 아래로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메인 프레임(13)과, 양 메인 프레임(13)의 후단에 연결 설치되어 상하로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중간 프레임(14)과, 양 중간 프레임(14)의 상부로부터 뒤쪽 위로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시트 레일(15)과, 양 중간 프레임(14)의 중간부로부터 뒤쪽 위로 연장되어 시트 레일(15)의 중간부에 결합되는 리어 스테이(16)를 구비한다.
프론트 포크(11)의 하단에는 전륜(WF)이 회전 가능하게 축 지지되고, 프론트 포크(11)의 상단에는 바 핸들(17)이 연결되고, 전륜(WF)의 위쪽을 덮는 프론트 휀더(18)가 프론트 포크(11)에 지지된다.
엔진(E) 및 변속기(M)를 포함하여 메인 프레임(13)의 아래쪽에 배치되는 파워 유닛(P)이 메인 프레임(13) 및 중간 프레임(14)에 지지되도록 하여 차체 프레임(F)에 매달린다.
중간 프레임(14)에는 지지축(19)이 설치되어 있고, 이 지지축(19)의 양단부에 좌우 한 쌍의 리어 포크(20)의 전단부가 상하로 요동가능하게 지지되고, 양 리어 포크(20)의 후단 사이에 후륜(WR)이 축 지지된다. 파워 유닛(P)의 출력은 무단형상의 체인(21)을 갖는 동력 전달 수단(22)을 통해서 후륜(WR)에 전달되는 것으로, 이 동력 전달 수단(22)은 자동 이륜차의 진행 방향 전방을 향한 상태로 파워 유닛(P)의 좌측에 배치된다. 또 체인(21)을 위쪽에서 덮는 체인 커버(23)가 좌측의 리어 포크(20)에 지지되고, 중간 프레임(14)의 상부 및 리어 포크(20) 사이에는 리어 쿠션 유닛(24)이 각각 설치된다.
엔진(E)의 위쪽에는 메인 프레임(13)으로 지지되는 연료 탱크(25)가 배치되고, 이 연료 탱크(25)의 뒤쪽에는 탑승자를 탑승시키기 위한 메인 시트(26)가 중간 프레임(14) 및 시트 레일(15)로 지지되도록 하여 배치되고, 동승자를 태우기 위한 승차용 시트로서의 필리온 시트(27)가 메인 시트(26)의 뒤쪽에 배치된다.
메인 시트(26)의 전방 아래쪽에는 에어클리너(28)가 배치되어 있고, 이 에어클리너(28)는 연료 탱크(25)의 아래쪽에 배치된 기화기(29)를 통해서 엔진(E)에서의 실린더 헤드(30)의 흡기 포트에 접속된다. 또 엔진(E)의 전방에는 라디에이터(31)가 배치되고, 실린더 헤드(30)의 배치 포트에 연결되는 배기관(32)은 엔진(E)의 아래쪽을 지나서 후륜(WR)의 우측으로 연장되고, 후륜(WR)의 우측에 배치된 배기 머플러(33)에 접속된다.
차체 프레임(F)에서의 헤드 파이프(12)의 전방은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프론트 카울(34)로 덮여진다. 또, 메인 프레임(13)의 전방부, 라디에이터(31), 파워 유닛(P)의 전방부 및 하방부가 프론트 카울(34)에 연결되는 합성 수지제의 하부 사이드 카울(35)로 양측에서 덮여진다.
차체 프레임(F)의 후부에는 이 차체 프레임(F)의 후부를 덮는 리어 카울(38)과, 리어 카울(38)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후륜(WR)을 위쪽에서 덮는 리어 휀더(39)가 장착된다. 또 리어 휀더(39)에는 도시하지 않는 번호판을 장착하기 위한 좌우 한 쌍의 플레이트 장착부(40)가 설치된다.
또, 리어 카울(38) 내에는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41)가 이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41)의 후부를 리어 카울(38)의 후단에서 뒤쪽으로 향하도록 하여 배치된다.
도 2 내지 도 4를 함께 참조하여 보면,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41)는 합성 수지제의 베이스(42)에 좌우 한 쌍의 테일 램프용 벌브(43)와, 그들 테일 램프용 벌브(43)에 개별적으로 대응한 내측 렌즈(44)와, 좌우 한 쌍의 윙커용 벌브(45)와, 그들 윙커용 벌브(45)에 개별적으로 대응한 내측 렌즈(46)와, 상기 각 내측 렌즈(44, 46)를 공통으로 덮는 외측 렌즈(47)와, 합성 수지제의 커버(48)가 장착되는 동시에, 상기 커버(48)에 라이센스용 벌브(49)가 장착되고, 커버(48) 및 베이스(42) 사이에 라이센스용 렌즈(50)가 장착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베이스(42)는 그 폭 방향 중앙부에 배치되어 상하로 연장되는 격벽부(42a)와, 이 격벽부(42a)의 좌우 양측에 배치되어 자동 이륜차의 뒤쪽측으로 열린 사발 형상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내면이 미러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제1 반사경부(42a)와 양 제1 반사경부(42b)의 또한 외측에 배치되어 자동 이륜차의 뒤쪽측으로 열린 사발 형상으로 각각 형성되는 동시에, 내면이 미러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제2 반사경부(42c)를 일체로 구비한다.
이 베이스(42)의 폭 방향 중앙부의 전면 상부에는, 앞쪽으로 연장되는 스테이(51)가 일체로 연결 설치된다. 또 스테이(51)의 양측에서 베이스(42)의 전면 상부에는 베이스(42) 및 외측 렌즈(47) 사이의 공간 내를 통하도록 하여 전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호흡관(52)이 일체로 연결 설치된다.
테일 램프용 벌브(43)는 제1 반사경부(42b) 내를 향하도록 하여 베이스(42)에 전방측에서 장착되고, 윙커용 벌브(45)는 제2 반사경부(42c) 내에 각각 향하도록 하여 베이스(42)에 전방측에서 장착된다.
외측 렌즈(47)의 외주 가장자리는 주위 방향 다수 개소를 탄발적으로 걸어 맞추도록 하여 베이스(42)의 외주 가장자리에 시일재(68)를 끼워서 뒤쪽측에서 장착되고, 이것에 의해 각 내측 렌즈(44, 46)가 외측 렌즈(47)로 공통으로 덮여지게 된다.
커버(48)는 베이스(42)의 하부에 전방측에서 체결되는 것으로, 이 커버(48)의 폭방향 중앙부에는, 자동 이륜차의 뒤쪽측으로 열린 사발 형상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내면이 미러면에 형성되는 제3 반사경부(48a)가 설치된다. 그리고 라이센스용 벌브(49)는 제3 반사경부(48a) 내를 향하도록 하여 커버(48)에 전방측에서 장착된다. 또 제3 반사경부(48a)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커버(48) 및 베이스(42)의 하부 사이에는 렌즈용 개구부(54)가 형성되어 있고, 제3 반사경부(48a)에서 반사되는 라이센스용 벌브(49)의 광을 리어 휀더(38)의 번호판 위로 인도하도록 하여 상기 렌즈용 개구부(54)에 배치되는 라이센스용 렌즈(50)의 주위 가장자리부가 커버(48) 및 베이스(42)로 지지된다.
도 5 내지 도 7을 또한 함께 참조하여 보면, 리어 카울(38)은 차체 프레임(F)의 후부, 즉 시트 레일(15) 및 리어 스테이(16)의 후부를 덮어서 시트 레일(15)에 장착되는 것으로, 이 리어 카울(38)의 상부에는 필리온 시트(27)로 폐쇄가능한 개구부(55)가 설치되고, 폐쇄 상태에 있는 필리온 시트(27)는 리어 카울(38)로 지지된다. 또한 시트 레일(15)의 후부 사이에는 개구부(55)에 상단 개방부를 향하도록 한 수납상자(56)가 설치되고, 필리온 시트(27)를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수납상자(56)에는 개구부(55)로부터의 화물의 출입이 가능하다.
리어 카울(38)은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41)를 양측에서 덮는 좌우 한 쌍의 사이드 카울(57, 57)과, 양 사이드 카울(57, 57)의 상부에 체결되어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41)를 위쪽에서 덮는 센터 카울(58)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개구부(55)는 양 사이드 카울(57, 57) 및 센터 카울(58)의 상단부에 의해서 형성된다.
도 7에 특히 주목하여 보면, 양 사이드 카울(57, 57)의 내측 가장자리부에는, 센터 카울(58)의 양측의 아래쪽에 배치되는 지지판부(57a, 57a)가 각각 일체로 설치되고, 각 지지판부(57a)의 전후에 간격을 둔 2개소에는 삽입 통과 구멍(59)이 각각 설치된다. 또 센터 카울(58)의 양측에는 상기 삽입 통과 구멍(59)의 주위에서 지지판부(57a)의 상면에 접하는 부착면(60a)과, 부착면(60a)을 지지판부(57a)의 상면에 부착시킨 상태에서는 지지판부(57a)의 하면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하지 않도록 하여 삽입 통과 구멍(59)에 삽입되는 원통부(60b)를 각각 갖는 보스(60)가 상기 각 삽입 통과 구멍(59)에 대응하여 일체로 설치된다. 또한 삽입 통과 구멍(59)에 원통부(60b)를 삽입하고, 부착면(60a)을 지지판부(57a)의 상면에 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보스(60)에는 지지판부(57a)의 하면에 걸어 맞추는 확대 직경 헤드부(84a)를 갖는 나사 부재(84)가 나사식으로 결합되는 것으로, 센터 카울(58)은 내측으로부터의 체결 및 체결 해제를 가능하게 하여 양 사이드 카울(57, 57)의 내측부에 체결되게 된다.
시트 레일(15)의 후부에는 그들 시트 레일(15)로부터 상승하는 평판상의 브래킷판(61, 61)이 고착되어 있고, 양 브래킷판(61, 61) 사이는 지지판(62)으로 연결된다.
브래킷판(61)의 외면에는, 각각 한 쌍씩의 원통형상의 지지통(63, 63)이 고착되고, 각 지지통(63, 63)에 대응한 위치에서 브래킷판(61)의 내면에는 용접 너트(64, 64)가 고착된다.
한쪽, 리어 카울(38)에서의 양 사이드 카울(57, 57)에는 내측으로 오목하게 패인 오목부(65, 65)가, 그들 오목부(65, 65)의 폐색단 내면을 상기 지지통(63, 63)의 외단에 부착시키도록 하여 형성된다. 또한 양 오목부(65, 65)의 폐색단 외면에는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글러브 레일(66)의 양단의 장착부(66a, 66a)가 부착된다. 그리고, 상기 양 장착부(66a)에 확대 직경 헤드부(67a)를 걸어 맞추는 볼트(6765 장착부(66a), 오목부(65)의 폐색단, 지지통(63a 브래킷판(61)에 삽입 통과되어 상기 용접 너트(64)에 나사식으로 결합된다. 즉, 양 사이드 카울(57, 57)이 글러브 레일(66)과 함께 상기 브래킷판(61)에 체결된다.
지지판(62)은 거의 수평으로 연장되는 제1 판부(62a)와, 제1 판부(62a)의 전단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제2 판부(62b)를 갖고 횡단면 대략 L자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지지판(62)의 폭방향 중앙부에는 필리온 시트(27)에 설치된 훅(68)의 삽입 탈락을 가능하게 한 삽입 탈락 구멍(69)이 제1 및 제2 판부(62a, 62b) 사이에 걸쳐서 형성된다.
또 지지판(62)에서의 제2 판부(62b)의 배면측에는 상기 삽입 탈락 구멍(69)으로부터 삽입되어 온 훅(68)을 잡은 상태와, 그 잡기를 해제하는 상태를 좌측의 사이드 카울(57)의 측면에 설치된 키 구멍(71)(도 1 참조)으로의 정규 키의 삽입 및 회전 조작에 의해서 시트 로크 기구(70)가 설치된다.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41)에서의 베이스(42)의 상부에 연결 설치되는 스테이(51)는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41)의 부착 상태에서는 개구부(55)의 후부에 전단이 도달하도록 앞쪽으로 연장 설치되어 있고, 이 스테이(51)의 전부에는 개구부(55) 내에서 지지판(62)의 제1 판부(62a) 상에 부착되는 마운트 고무(72)가 장착된다. 이 마운트 고무(72)에는 상기 제1 지지판부(62a)와는 반대측에서 마운트 고무(72)에 부착되는 플랜지(73a)를 갖는 슬리브(73)가 삽입된다. 또 제1 판부(62a)에는 상기 슬리브(73)에 삽입 통과되는 체결부재로서의 볼트(74)를 삽입 통과시키는 삽입 통과 구멍(75)이 설치되고, 이 볼트(74)를 나사식으로 결합시키는 용접 너트(76)가 제1 판부(62a)의 하면에 고착된다.
즉,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41)의 상부에 설치되는 스테이(51)는 리어 카울(38)의 개구부(55) 내에서 위쪽을 향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동시에, 위쪽으로부터의 풀림 조작을 가능하게 한 볼트(74)로 차체 프레임(F)에 체결되게 된다. 또한 리어 카울(38)에서의 센터 카울(58)의 전단에는 상기 볼트(74)의 조임 및 풀림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반원상의 절결(77)이 개구부(55)의 일부를 구성하도록 하여 형성된다.
시트 레일(15)의 후부에는 이 시트 레일(15)로부터 아래쪽으로 수직되는 브래킷(78)이 고착되어 있고, 그들 브래킷(78)에 리어 휀더(39)가 볼트(79)에 의해 체결된다.
이 리어 휀더(39)에는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41)에서의 커버(48)의 양측에 대향하는 걸림 벽(39a)이 설치되어 있고,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41)에서의 커버(48)는 리어 휀더(39)의 걸림 벽(39a)에 좌우 한 쌍의 걸어 맞춤 기구(80)를 통해서 걸거나 벗기는 것이 가능하게 걸어 맞춘다.
걸어 맞춤 기구(80)는 커버(48)의 좌우 양측에 각각 장착되는 탄성재료의 그로멧(grommet)(81)과, 이 그로멧(81)에 걸거나 벗기는 것이 가능하게 걸어 맞추도록 하여 커버(48)에 설치된 걸어 맞춤부(82)로 구성된다.
걸어 맞춤부(82)는 각 그로멧(81)의 후단에 부착할 수 있는 부착면(82a)과, 이 부착면(82a)이 그로멧(81)의 후단에 부착된 상태에서 그로멧(81)의 전단에 걸어 맞추도록 하여 부착면(82a)으로부터 돌출하는 걸어 맞춤 클로(claw)(82b)를 일체로 구비하는 것이다. 걸어 맞춤 클로(82b)는 차체 프레임(F)의 전후를 따른 방향으로의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41)로의 외력의 작용에 의해서, 그로멧(81) 내를 둘러싸면서 이동할 수 있는 것으로,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41)의 리어 카울(38) 내로의 삽입 조작에 따라서 그로멧(81)의 전단에 걸어 맞추고, 걸어 맞춤 상태에서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41)의 리어 카울(38)로부터 뒤쪽으로의 인출 조작에 따라서 그로멧(81)의 전단과의 걸어 맞춤을 해제한다. 따라서, 스테이(51)의 차체 프레임(F)으로의 체결을 해제한 상태에서는 도 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41)를 리어 카울(38)로부터 뒤쪽으로 이탈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런데,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41)는 이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41)의 상부에 연결되는 스테이(51)의 전부가 차체 프레임(F)에 체결되고,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41)의 하부의 좌우 2개소가 걸어 맞춤 기구(80)에 의해 리어 휀더(39)에 걸어 맞춰짐으로써 차체에 지지되는 것이지만,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41)의 후부가 상하로 진동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서, 리어 카울(38)에서의 센터 카울(58)의 폭방향 중앙부 내면에는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41)의 베이스(42)에서의 중앙부 상면을 향해서 돌출하는 돌기부(85)가 일체로 부착되고, 이 돌기부(85)에 장착되는 탄성 부재(86)가 상기 베이스(42)의 중앙부 상면에 탄발적으로 부착된다.
다음에 이 실시예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하면,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41)의 상부에 설치되는 스테이(51)가 리어 카울(38)의 개구부(55) 내에서 위쪽으로 향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동시에 위쪽으로부터의 풀림 조작을 가능하게 한 볼트(74)로 차체 프레임(F)에 체결되고, 차체 프레임(F)에 장착되는 리어 휀더(39) 및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41)의 하부 사이에는 이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41)의 리어 카울(38) 내로의 삽입 조작에 따른 걸어 맞춤 및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41)의 리어 카울(38)로부터 뒤쪽으로의 인출 조작에 따른 걸어 맞춤 해제를 전환하여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41)를 리어 휀더(39)에 걸어 맞추는 한 쌍의 걸어 맞춤 기구(80)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41)의 상부에 설치된 스테이(51)의 차체 프레임(F)으로의 체결을 필리온 시트(27)에 의한 폐쇄형상 상태를 해제한 상태의 리어 카울(38)의 개구부(55)로부터의 볼트(74)의 풀림 조작에 의해서 해제하고,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41)를 리어 카울(38)로부터 뒤쪽으로 인출하도록 조작함으로써 걸어 맞춤 기구(80)의 걸어 맞춤을 해제하고,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41)의 하부를 리어 휀더(39)로부터 이탈시키고,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41) 전체를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리어 카울(38)로부터 뒤쪽으로 인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41)는 리어 카울(38) 내로부터 이탈시킨 상태에서는 내측 렌즈(44, 46) 및 외측 렌즈(47)를 장착한 상태에서 테일 램프용 벌브(43) 및 윙커용 벌브(45)를 교환하는 것이 가능한 동시에, 라이센스용 렌즈(50)를 장착한 상태로 라이센스용 벌브(49)를 교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41)의 장착에 있어서는, 상기 인출 조작과는 역의 조작을 행함으로써,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41)를 차체에 부착할 수 있다.
이 결과, 외측 렌즈(47)의 외면에 유지 보수용의 부재가 배치되는 것을 회피하여 외관 상품성의 향상을 도모하면서,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41) 전체의 분리 및 장착을 용이하게 하여, 테일 램프용 벌브(4344커용 벌브(45) 및 라이센스용 벌브(49)의 교환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리어 카울(38)은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41)를 양측에서 덮는 좌우 한 쌍의 사이드 카울(57, 57)과, 양 사이드 카울(57, 57)에 체결되어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41)를 위쪽에서 덮는 센터 카울(58)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41)를 덮는 리어 카울(38)의 일부가 손상되었을 때에, 리어 카울(38) 전체를 교환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센터 카울(58)은 내측으로부터의 체결 및 체결 해제를 가능하게 하여 양 사이드 카울(57, 57)에 체결되는 것이기 때문에, 양 사이드 카울(57, 57)에 센터 카울(58)을 체결하는 부분이 리어 카울(38)의 외면에 나타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서도 외관 상품성의 형상에 기여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을 이탈하지 않고 다양한 설계 변경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외관 상품성의 향상을 도모하면서,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전체의 분리 및 장착을 용이하게 하여, 테일 램프용 벌브 및 윙커용 벌브의 교환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를 덮는 리어 카울의 일부가 손상되었을 때에 리어 카울 전체를 교환하지 않아도 되며, 또한 외관 상품성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자동 이륜차의 측면도,
도 2는 도 1의 2화살표 방향에서 본 확대도,
도 3은 도 2의 3-3선 단면도,
도 4는 도 2의 4-4선 단면도,
도 5는 좌측 사이드 카울을 생략한 상태에서의 자동 이륜차의 후부 사시도,
도 6은 분리 상태의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및 리어 카울의 평면도,
도 7은 도 6의 7-7선 확대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7 : 승차용 시트로서의 필리온 시트 38 : 리어 카울
39 : 리어 휀더 41 :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43 : 테일 램프용 벌브 44, 46 : 내측 렌즈
45 : 윙커용 벌브 47 : 외측 렌즈
51 : 스테이 55 : 개구부
57 : 사이드 카울 58 : 센터 카울
74 : 체결부재로서의 볼트 80 : 걸어 맞춤 기구
F : 차체 프레임 WR : 후륜

Claims (2)

  1.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41)의 후부를 리어 카울(38)의 후단으로부터 뒤쪽을 향하여 상기 리어 카울(38)의 후부 내에 배치되는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
    렌즈(44, 46, 47)를 장착한 상태에서 테일 램프용 벌브(43) 및 한 쌍의 윙커용 벌브(45)를 교환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41)의 하부 및 리어 휀더(38) 사이에, 상기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41)의 리어 카울(38) 안쪽으로의 삽입 조작에 따른 걸어 맞춤, 또는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41)의 상기 리어 카울(38)로부터 뒤쪽으로의 인출 조작에 따른 걸어 맞춤 해제를 전환하는 걸어 맞춤 기구(80)가 설치되고,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41)의 상부에 설치되는 스테이(51)가 리어 카울(38)의 개구부(55) 내에서 위쪽을 향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동시에, 위쪽으로부터의 풀림 조작을 가능하게 한 체결부재(74)로 차체 프레임(F)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의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장착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상기 리어 카울(38)은,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41)를 양측에서 덮는 좌우 한 쌍의 사이드 카울(57)과, 상기 양 사이드 카울(57)에 체결되어 상기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41)를 위쪽에서 덮는 센터 카울(58)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의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장착 구조.
KR10-2003-0010027A 2002-02-20 2003-02-18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의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장착 구조 KR1005046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043253 2002-02-20
JP2002043253A JP4104344B2 (ja) 2002-02-20 2002-02-20 自動二輪車におけるリヤコンビネーションランプ取付け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9832A KR20030069832A (ko) 2003-08-27
KR100504615B1 true KR100504615B1 (ko) 2005-08-03

Family

ID=27783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0027A KR100504615B1 (ko) 2002-02-20 2003-02-18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의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장착 구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4104344B2 (ko)
KR (1) KR100504615B1 (ko)
CN (1) CN1228208C (ko)
BR (1) BRPI0300382B8 (ko)
TW (1) TW58704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7619B1 (ko) 2009-08-31 2013-10-16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자동 이륜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50263B2 (ja) * 2003-01-22 2008-09-17 川崎重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後部構造
JP3937409B2 (ja) * 2003-09-25 2007-06-27 川崎重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物品収納装置
CN100519316C (zh) * 2003-12-31 2009-07-29 雅马哈发动机株式会社 机动二轮车之方向灯/尾灯的组合构造
JP4513464B2 (ja) * 2004-08-31 2010-07-28 スズ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リヤフェンダ
JP4689437B2 (ja) * 2005-10-31 2011-05-2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灯火器取付構造
JP4914625B2 (ja) * 2006-03-10 2012-04-1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テールライト取付構造及びこのテールライト取付構造を適用した車両
JP2007269143A (ja) * 2006-03-31 2007-10-18 Yamaha Motor Co Ltd 車両用テールランプ装置及び該テールランプ装置を備えた自動二輪車
CN101628600B (zh) * 2006-04-28 2012-02-01 雅马哈发动机株式会社 摩托车
CN101439743B (zh) * 2007-11-23 2012-06-13 光阳工业股份有限公司 摩托车后灯组合结构
JP2009214618A (ja) * 2008-03-07 2009-09-24 Yamaha Motor Co Ltd 鞍乗型車両
JP2009214619A (ja) * 2008-03-07 2009-09-24 Yamaha Motor Co Ltd 鞍乗型車両
JP5239087B2 (ja) 2009-03-31 2013-07-1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り型車両
JP5320195B2 (ja) * 2009-07-14 2013-10-2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
TWI391265B (zh) * 2010-07-23 2013-04-01 Kwang Yang Motor Co Backlight combination for vehicles
CN102679278A (zh) * 2011-08-31 2012-09-19 无锡同捷汽车设计有限公司 一种新型汽车后组合灯安装结构
CN104340304B (zh) * 2013-07-29 2017-09-19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机动二轮车用的后组合灯
JP6025764B2 (ja) * 2013-07-29 2016-11-1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用のリアコンビネーションランプ
JP6462193B2 (ja) * 2015-09-30 2019-01-3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用のリアコンビネーションライト構造
JP6902380B2 (ja) * 2017-03-31 2021-07-1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り型車両のシートキャッチ取付構造
JP6905546B2 (ja) * 2018-05-30 2021-07-2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り型車両
JP6937793B2 (ja) * 2019-04-05 2021-09-2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り型車両の後部構造
JP2022030389A (ja) 2020-08-07 2022-02-18 スズキ株式会社 リアコンビネーションランプの保護構造
WO2023027155A1 (ja) * 2021-08-26 2023-03-0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ライトユニットの支持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7619B1 (ko) 2009-08-31 2013-10-16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자동 이륜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587041B (en) 2004-05-11
JP4104344B2 (ja) 2008-06-18
CN1228208C (zh) 2005-11-23
TW200303277A (en) 2003-09-01
CN1439562A (zh) 2003-09-03
KR20030069832A (ko) 2003-08-27
BR0300382A (pt) 2004-06-08
JP2003237656A (ja) 2003-08-27
BRPI0300382B8 (pt) 2016-05-17
BR0300382B1 (pt) 2013-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04615B1 (ko)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의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장착 구조
EP1245442B1 (en) Vehicle rear structure
US6318743B1 (en) Motorcycle
JP5624780B2 (ja) エアクリーナ装置
EP1245481B1 (en) Seat attachment structure for scooter type vehicles
US8051938B2 (en) Seat mounting structure for motorcycle, and motorcycle incorporating same
JP4875514B2 (ja) 自動二輪車の前部車体カバー構造
US20070068201A1 (en) Guard structure for vehicle seat lock
JP5205168B2 (ja) 車体前部支持構造
EP1794047B1 (en) Handle cover apparatus for a motorcycle
JP2010083358A (ja) 鞍乗型車両
JP6029448B2 (ja) 鞍乗型車両
JP4078341B2 (ja) 自動二輪車における車体カバー構造
JP2006096233A (ja) 自動二輪車における車体カバー構造
JP4104332B2 (ja) エアクリーナを有するエンジンを備える車両
JP2002211468A (ja) スクータ型自動二輪車のフレーム構造
JP4720482B2 (ja) 自動二輪車のフレームカバー
JPH1016851A (ja) 小型車両の車体カバー構造
US20080197647A1 (en) Front portion structure of vehicle
EP3628577B1 (en) Saddled vehicle
WO2012086626A1 (ja) 自動二輪車の前部構造
JP4050510B2 (ja) 自動二輪車の燃料ポンプ取付構造
JP6066344B2 (ja) 自動二輪車の後部構造
JP3847067B2 (ja) 自動2輪車用リヤカウル構造
CN112550535B (zh) 鞍乘型车辆的内罩紧固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