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0672B1 - 스쿠터형 차량 - Google Patents

스쿠터형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0672B1
KR100370672B1 KR10-2000-0031127A KR20000031127A KR100370672B1 KR 100370672 B1 KR100370672 B1 KR 100370672B1 KR 20000031127 A KR20000031127 A KR 20000031127A KR 100370672 B1 KR100370672 B1 KR 1003706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ator
cover
engine
body frame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1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20960A (ko
Inventor
심무라히로유키
오쿠보다케후미
다카무로마사토
가와메가즈노리
Original Assignee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209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09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06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06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23/00Other protector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61/00Adaptations of engines for driving vehicles or for driving propellers; Combinations of engines with gearing
    • F02B61/02Adaptations of engines for driving vehicles or for driving propellers; Combinations of engines with gearing for driving cy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Transition And Organic Metals Composition Catalysts For Addition Polymerization (AREA)

Abstract

플로어 지지 프레임부를 갖는 차체 프레임이, 시트에 탑승하는 운전자의 발을 얹어야하는 상기 플로어 지지 프레임부를 덮도록 형성되는 스텝 플로어를 구비하는 합성수지제의 차체 커버로 덮여지고, 상기 시트의 아래쪽에서 차체 프레임에 지지되는 수냉식 엔진의 좌우 어느 일측에 라디에이터가 배치되는 스쿠터형 차량에 있어서, 라디에이터를 보호할 때에, 차체 프레임의 중량 증대 및 비용 증대를 회피하는 동시에, 발 부착성의 저하를 방지하고, 또한 범용성을 높인다.
라디에이터(69)가 배치되는 측에서의 스텝 플로어(140)의 일측 내면에 차체 프레임(F)에 맞닿을 수 있는 보강 리브(154)가 돌출설치되고, 라디에이터(69)가 스텝 플로어(140)의 일측 외면보다도 안쪽으로 배치된다.

Description

스쿠터형 차량{Scooter-typed vehicle}
본 발명은 앞바퀴를 조향가능하게 지지하는 헤드 파이프부와, 이 헤드 파이프부로부터 뒤쪽 아래로 연장되는 다운 프레임부와, 이 다운 프레임부의 하단으로부터 뒤쪽으로 연장되는 플로어 지지 프레임부를 갖는 차체 프레임이, 시트에 탑승하는 운전자의 발을 얹어야하는 상기 플로어 지지 프레임부를 덮도록 형성되는 스텝 플로어를 구비하는 합성수지제의 차체 커버로 덮여지고, 상기 시트의 아래쪽에서 차체 프레임에 지지되는 수냉식 엔진의 좌우 어느 일측(一側)에 라디에이터가 배치되는 스쿠터형 차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스쿠터형 차량은 예를 들면 일본 실공평 1-36708호 공보 등을 통해서 이미 알려져 있다.
그런데, 이러한 스쿠터형 차량을 정비 등을 위해 넘어뜨리는 경우가 있지만, 엔진의 좌우 어느 일측에 라디에이터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스쿠터형 차량의 넘어짐에 의해 라디에이터가 지면에 접촉하지 않도록, 종래의 것에서는 차체 프레임의 일부를 라디에이터보다도 바깥쪽으로 돌출시킴으로써, 라디에이터를 보호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차체 프레임의 일부를 라디에이터의 보호부로서 이용하도록 하면, 차체 프레임 전체의 폭이 커지고, 중량 증대 및 비용 증대를 초래할 뿐 아니라, 운전자가 발을 지면에 대기 어렵게 되고, 또 다른 기종으로의 적용이 어렵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라디에이터를 보호할 때, 차체 프레임의 중량 증대 및 비용 증대를 회피하는 동시에, 발 부착성의 저하를 방지하고, 또한 범용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스쿠터형 차량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앞바퀴를 조향가능하게 지지하는 헤드 파이프부와, 이 헤드 파이프부로부터 뒤쪽 아래로 연장되는 다운 프레임부와, 이 다운 프레임부의 하단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플로어 지지 프레임부를 갖는 차체 프레임이, 시트에 탑승하는 운전자의 발을 얹어야하는 상기 플로어 지지 프레임부를 덮도록 형성되는 스텝 플로어를 구비하는 합성수지제의 차체 커버로 덮여지고, 상기 시트의 아래쪽에서 차체 프레임에 지지되는 수냉식 엔진의 좌우 어느 일측에 라디에이터가 배치되는 스쿠터형 차량에 있어서, 상기 라디에이터가 배치되는 측에서의 상기 스텝 플로어의 일측 내면에 상기 차체 프레임에 맞닿을 수 있는 보강 리브가 돌출설치되고, 상기 라디에이터가 상기 스텝 플로어의 일측 외면보다도 안쪽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라디에이터가 배치되는 측으로 스쿠터형 차량을 넘어뜨렸을 때에, 이 라디에이터보다도 먼저 스텝 플로어의 일측 외면이 지면에 접촉하게 되고, 보강 리브의 차체 프레임으로의 부착에 의해, 상기 스텝 플로어의 일측의 강성이 확보되기 때문에, 상기 라디에이터의 지면으로의 접촉을 회피할 수 있다. 따라서, 차체 프레임의 일부를 라디에이터의 보호부로서 이용하는 것이 불필요하게 되고, 차체 프레임의 중량 증대를 회피하여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게 되며, 또 차체 프레임의 폭이 넓어지지 않기 때문에 운전자의 발 부착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차체 커버의 일부를 개조하는 것만으로 다른 기종에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범용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스쿠터형 차량의 측면도,
도 2는 차체 커버, 수납박스 및 연료탱크를 생략한 상태에서의 도 1의 화살표2 방향에서 본 도면,
도 3은 상부 커버를 생략한 상태에서의 도 1의 화살표3 방향에서 본 도면,
도 4는 파워 유닛의 횡단면도,
도 5는 에어 클리너 및 2차 공기용 에어 클리너의 확대 측면도,
도 6은 도 5의 6-6선 단면도,
도 7은 도 5의 7-7선 확대 단면도,
도 8은 차체 프레임으로의 엔진의 요동 지지부를 도시하는 일부 절단 측면도,
도 9는 도 8의 9-9선 단면도,
도 10은 도 2의 10-10선 확대 단면도,
도 11은 도 10의 11-11선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4 : 헤드 파이프부 15 : 다운 프레임부
16 : 플로어 지지 프레임부 69 : 라디에이터
140 : 스텝 플로어 141 : 차체 커버
142 : 시트 154 : 보강리브
E : 엔진 F : 차체 프레임
WF : 앞바퀴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첨부 도면에 도시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설명한다.
도 1∼도 1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도 1은 스쿠터형 차량의 측면도, 도 2는 차체 커버, 수납박스 및 연료 탱크를 생략한 상태에서의 도 1의 화살표2 방향에서 본 도면, 도 3은 상부 커버를 생략한 상태에서의 도 1의 화살표3 방향에서 본 도면, 도 4는 파워 유닛의 횡단면도, 도 5는 에어 클리너 및 2차 공기용 에어 클리너의 확대 측면도, 도 6은 도 5의 6-6선 단면도, 도 7은 도 5의 7-7선 확대 단면도, 도 8은 차체 프레임으로의 엔진의 요동 지지부를 나타내는 일부 절단 측면도, 도 9는 도 8의 9-9선 단면도, 도 10은 도 2의 10-10선 확대 단면도, 도 11은 도 10의 11-11선 단면도이다.
먼저, 도 1에서 스쿠터형 차량의 차체 프레임(F)은 알루미늄 합금 등으로 주조형성되는 전부(前部) 프레임(11)과, 알루미늄 합금 등으로 주조형성되어 전부 프레임(11)의 후단에 체결되는 후부(後部) 프레임(12)과, 금속제의 파이프를 가공하여 구성되어 후부 프레임(12)의 후단에 체결되는 서브 프레임(sub frame, 13)을 구비한다.
전부 프레임(11)이 그 전단에 구비하는 헤드 파이프부(14)에는 앞바퀴(WF)에 걸쳐진 프론트 포크(17)의 방향을 조정할 수 있게 지지된다. 상기 프론트 포크(17)의 하단은 앞바퀴(WF)의 차축(18)보다도 앞쪽으로 배치되어 있고, 이 프론트 포크(17)의 하단에 일단(一端)이 연결되는 링크(19)의 타단(他端)이 상기 차축(18)에 연결되며, 프론트 포크(17)의 상하방향 중간부 및 링크(19)의 중간부 사이에 프론트 쿠션(20)이 설치된다. 또 프론트 포크(17)의 상단에는 조향 핸들(21)이 연결된다.
도 2 및 도 3을 합쳐서 참조하면, 전부 프레임(11)은 헤드 파이프부(14)와, 이 헤드 파이프부(14)로부터 뒤쪽 아래로 연장되는 다운 프레임부(15)와, 이 다운 프레임부(15)의 하단으로부터 뒤쪽으로 연장되는 좌우 한쌍의 플로어 지지 프레임부(16, 16)를 일체로 가지고 주조성형된다. 그리고 후부 프레임(12)은 양 플로어 지지 프레임부(16, 16)의 후단에 체결된다.
뒷바퀴(WR)의 앞쪽으로 배치되는 엔진(E)과, 뒷바퀴(WR)의 왼쪽으로 배치되는 무단변속기(M)로 이루어지는 파워 유닛(P)이 후부 프레임(12)의 전후 방향 중간부에 방진(防振) 링크(22)를 통해서 요동가능하게 지지된다. 엔진(E)은 예를 들면 실린더를 차체 앞쪽을 향하여 거의 수평으로 배치한 수냉식의 단기통 4사이클 엔진이고, 무단변속기(M)는 예를 들면 벨트식의 것이다.
도 4에 있어서, 엔진(E)은 제1 엔진 블록(32) 및 제2 엔진 블록(33)을 구비하고 있고, 제1 엔진 블록(32)은 실린더 블록(321) 및 크랭크 케이스 절반부(322)를 구성하고, 제2 엔진 블록(33)은 크랭크 케이스(29)의 다른 절반부를 구성한다.
제1 엔진 블록(32)의 전단에는 실린더 헤드(34)가 결합되고, 실린더 헤드(34)의 전단에는 헤드 커버(35)가 결합된다. 제1 및 제2 엔진 블록(32, 33)의 우측면에는 발전기 커버(36)가 결합된다.
무단변속기(M)는 서로 결합되는 우측 케이싱(37) 및 좌측 케이싱(38)을 구비하고 있고, 우측 케이싱(37)의 전부 우측면이 제1 및 제2 엔진 블록(32, 33)의 좌측면에 결합된다. 또, 우측 케이싱(37)의 후부 우측면에는 감속기 케이싱(39)이 결합된다.
제1 엔진 블록(32)이 구비하는 실린더(41)의 내부에 슬라이딩 자유롭게 끼워맞추는 피스톤(42)은 커넥팅 로드(43) 및 커넥팅 핀(28)을 통해서 크랭크 샤프트(31)에 연결된다. 실린더 헤드(34)에는 캠 샤프트(44)가 회전자유롭게 지지되어 있고, 실린더 헤드(34)에 설치된 흡기 밸브 및 배기 밸브(도시하지 않음)가 상기 캠 샤프트(44)에 의해서 개폐구동된다. 제1 엔진 블록(32)에 설치된 체인 통로(40) 내에는 타이밍 체인(45)이 수납되고, 이 타이밍 체인(45)이 크랭크 샤프트(31)에 설치된 구동 스프로켓(46)과 캠 샤프트(44)에 설치된 종동 스프로켓(47)에 감겨져 있다. 이것에 의해 캠 샤프트(44)는 크랭크 샤프트(31)의 2회전당 1회전한다.
우측 케이싱(37) 및 좌측 케이싱(38)의 내부에 돌출하는 크랭크 샤프트(31)의 왼쪽 단에는 구동 풀리(54)가 설치된다. 이 구동 풀리(54)는 크랭크 샤프트(31)에 고정된 고정측 풀리 절반체(55)와, 고정측 풀리 절반체(55)에 대해서 접근·이간(離間)가능한 가동측(可動側) 풀리 절반체(56)를 구비하고 있고, 가동측 풀리 절반체(56)는 크랭크 샤프트(31)의 회전수의 증가에 따라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하는 원심 추에 의해서 고정측 풀리 절반체(55)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진다.
우측 케이싱(37)의 후부 및 감속기 케이싱(39) 사이에 지지된 출력축(58)에 설치된 종동 풀리(59)는 출력축(58)에 서로 마주보고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된 고정측 풀리 절반체(60)와, 고정측 풀리 절반체(60)에 대해서 접근·이간가능한 가동측 풀리 절반체(61)를 구비하고 있고, 가동측 풀리 절반체(61)는 스프링(62)으로 고정측 풀리 절반체(60)를 향하여 힘이 가해진다. 또, 고정측 풀리 절반체(60)와 출력축(58)과의 사이에 발진용 클러치(63)가 설치된다. 그리고, 구동 풀리(54) 및 종동 풀리(59) 사이에 무단(無端)형상의 V벨트(64)가 감겨진다.
우측 케이싱(37) 및 감속기 케이싱(39) 사이에는 상기 출력축(58)과 평행한 중간축(65) 및 차축(66)이 지지되어 있고, 출력축(58), 중간축(65) 및 차축(66) 사이에 감속기어 열(列,67)이 설치된다. 그리고, 감속기 케이싱(39)을 관통하여 우측에 돌출하는 차축(66)의 오른쪽 단에 뒷바퀴(WR)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무단변속기(M)에 있어서, 크랭크 샤프트(31)의 회전 동력은 구동 풀리(54)에 전달되고, 이 구동 풀리(54)로부터 V벨트(64), 종동 풀리(59), 발진용 클러치(63) 및 감속기어 열(67)을 통해서 뒷바퀴(WR)로 전달된다.
그리고, 엔진(E)의 저속회전시에는 구동 풀리(54)의 원심 추(57)에 작용하는 원심력이 작기 때문에, 종동 풀리(59)의 스프링(62)에 의해서 고정측 풀리 절반체(60) 및 가동측 풀리 절반체(61) 사이의 홈 폭이 감소하고, 변속비는 LOW가 된다. 이 상태에서 크랭크 샤프트(31)의 회전수가 증가하면, 원심 추(57)에 작용하는 원심력이 증가하고 구동 풀리(54)의 고정측 풀리 절반체(55) 및 가동측 풀리 절반체(56) 사이의 홈 폭이 감소하며, 그에 따라서 종동 풀리(59)의 고정측 풀리 절반체(60) 및 가동측 풀리 절반체(61) 사이의 홈 폭이 증가하기 때문에, 변속비는 LOW로부터 TOP를 향하여 무단(無段)으로 변화한다.
크랭크 샤프트(31)의 우측에 설치된 교류발전기(68)는 발전기 커버(36)에 의해 덮여져 있고, 그 발전기 커버(36)의 우측에 라디에이터(69)가 설치된다. 이 라디에이터(69)에 냉각풍을 공급하기 위해, 크랭크 샤프트(31)의 오른쪽 단에 고정된 냉각 팬(70)이 교류발전기(68) 및 라디에이터(69) 사이에 배치된다. 냉각 팬(70)과, 이 냉각 팬(70)의 바깥쪽으로 배치되는 라디에이터(69)는 발전기 커버(36)에 체결되는 합성수지제의 커버(74)로 덮여지고, 이 커버(74)의 외측면에는 외부로부터 냉각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루버(louver)(75)가 설치된다.
또, 실린더 헤드(34)의 우측면에는 내부에 서모스탯(thermostat, 71)을 수납한 서모스탯 케이스(72)가 결합되어 있고, 캠 샤프트(44)의 오른쪽 단에 설치된 냉각수 펌프(73)가 실린더 헤드(34) 및 서모스탯 케이스(72)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에 수납된다.
다시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파워 유닛(P)의 후부 및 후부 프레임(12) 사이에는 리어(rear) 쿠션 유닛(76)이 설치된다. 또, 엔진(E)으로부터의 배기 가스를 인도하는 배기관(77)이 엔진(E)으로부터 뒷바퀴(WR)의 오른쪽으로 연장되어 있고, 이 배기관(77)은 뒷바퀴(WR)의 오른쪽으로 배치되는 배기 머플러(78)에 접속된다. 또한, 엔진(E)에는 스탠드(79)가 회동가능하게 지지된다.
후부 프레임(12)의 중간부 상면에는 헬멧 등을 수납가능한 수납박스(80)가 상기 엔진(E)의 위쪽으로 배치되도록 하여 지지되어 있고, 서브 프레임(13) 상에는 연료 탱크(81)가 지지된다.
도 5 및 도 6에 있어서, 파워 유닛(P)의 후부에는 엔진(E)의 흡기계에 공급하는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에어 클리너(82)가 뒷바퀴(WR)의 위쪽으로 배치되도록 하여 설치되고, 이 에어 클리너(82)의 전부(前部)에는 엔진(E)의 배기계에 공급하는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2차 공기용 에어 클리너(83)가 부착설치된다.
에어 클리너(82) 및 2차 공기용 에어 클리너(83)는 공통의 클리너 케이스(84)를 구비하는 것으로, 이 클리너 케이스(84)는 합성수지제의 제1 및 제2 케이스 부재(85, 86)가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제1 케이스 부재(85)는 공기(椀)형상의 대(大) 케이스부(85a)와, 대 케이스부(85a)보다도 소형으로 형성되어 대 케이스부(85a)와 동일 방향으로 개방된 공기(주발)형상의 소(小) 케이스부(85b)를 일체로 구비하도록 형성되고, 제2 케이스 부재(86)는 공기형상의 대 케이스부(86a)와, 제1 케이스부재(85)의 소 케이스부(85b)에 끼워맞춰지는 바닥이 있는 통형상의 소 케이스부(86b)와 일체로 구비하도록 형성되고, 제1 및 제2 케이스 부재(85, 86)의 대 케이스부(85a, 86a)는 다수의 나사부재(87…)에 의해 서로 체결된다.
에어 클리너(82)는 제1 케이스 부재(85)의 대 케이스부(85a) 및 제2 케이스 부재(86)의 대 케이스부(86a) 사이에 클리너 엘리먼트(88)를 유지하는 유지부재(89)의 주변부가 클램핑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클리너 엘리먼트(88) 및 유지부재(89)와, 제1 케이스 부재(85)의 대 케이스부(85a)의 사이에는 제1 미정화실(未淨化室, 91)이 형성되고, 클리너 엘리먼트(88) 및 유지부재(89)와, 제2 케이스 부재(86)의 대 케이스부(86a)와의 사이에는 제1 정화실(淨化室, 92)이 형성된다.
도 7에 있어서, 에어 클리너(82)의 뒤쪽 하부에는 제1 미정화실(91)에 외부로부터 공기를 도입하기 위한 흡입 덕트(93)가 설치된다. 이 흡입 덕트(93)는 뒤쪽 위쪽으로 경사져서 제1 미정화실(91) 내에 배치되는 동시에 하단부가 제1 케이스 부재(85)에서의 대 케이스부(85a)에 지지되는 소직경관(94)과, 이 소직경관(94)보다도 대직경으로 하여 상기 대 케이스부(85a)에 일체로 형성되는 대직경관(95)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소직경관(94)의 하단은 대직경관(95)의 상단에 개구되고, 대직경관(95)의 하단은 파워 유닛(P)의 뒤쪽에서 아래쪽을 향하여 개구하고 있다.
또한, 대직경관(95)의 뒤쪽 하부에는 절결(切欠)부(또는 홈부, 96)가 설치되어 있고, 절결부(96)의 상단, 즉 대직경관(94)의 후부 개방단으로부터 상기 소직경관(94)의 하부 개구단까지의 거리(L1)(도 5 참조)는 대직경관(94)의 하부 개방단에서 상기 후부를 제외한 부위로부터 상기 소직경관(94)의 하부 개구단까지의 거리(L2)(도5 참조)보다도 짧게 설정된다.
제2 케이스 부재(86)에서의 대 케이스부(86a)에는 제1 정화실(92)을 통하도록 하여 합성수지제의 제1 흡기관(98)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으며, 제1 흡기관(98)의 중간부에는 공진기(resonator)(99)가 접속된다. 또, 제1 흡기관(98)의 타단은 에어 클리너(82)보다도 앞쪽에서 엔진(E) 및 수납박스(80) 사이에 배치되는 기화기(100)에 접속되고, 기화기(100)에 일단이 접속되는 제2 흡기관(101)의 타단이 실린더 헤드(34)의 흡기 포트에 접속된다. 즉, 에어 클리너(82)의 제1 미정화실(91)로 흡입 덕트(93)로부터 도입된 공기는 클리너 엘리먼트(88)를 제1 정화실(92)측에 통과하여 정화된 후에 기화기(100)에 인도되고, 이 기화기(100)에서 발생하는 혼합기가 상기 흡입 포트에 흡입된다.
또, 제2 케이스 부재(86)의 대 케이스부(86a)에는 제1 정화실(92)에 통하는 부압(負壓) 취출관(102)이 설치되어 있고, 이 부압 취출관(102)은 부압 도관(103)을 통해서 기화기(100)에 접속된다.
또한, 엔진(E)으로부터의 블로우 바이(blow-by) 가스를 인도하는 도관(104)을 접속하기 위한 접속관(105)이 제1 흡입관(98)의 개구단의 근방에서 제1 정화실(92) 내에 통하도록 하고, 제2 케이스 부재(86)의 대 케이스부(86a)에 설치되어 있고, 대 케이스부(86a) 내에는 접속관(105)으로부터 제1 정화실(92) 내에 도입된 블로우 바이 가스가 클리너 엘리먼트(88)에 직접 닿아서 이 클리너 엘리먼트(88)를 오염시켜 버리는 경우가 없도록 접속관(105)의 내측단 개구부 및 클리너 엘리먼트(88)에 끼워지는 장애물판(106)이 고정배치된다.
2차 공기용 에어 클리너(83)는 제1 케이스 부재(85)의 소 케이스부(85b)와, 제2 케이스 부재(86)의 소 케이스부(86b)와, 소 케이스부(85b, 86b)에 각각 돌출설치된 다수의 돌기부(107…, 108…) 사이에 클램핑되어 소 케이스부(85b, 86b) 사이에 배치되는 클리너 엘리먼트(109)를 구비하고, 클리너 엘리먼트(109)와 제1 케이스 부재(85)의 소 케이스부(85b)와의 사이에는 상기 제1 미정화실(91)보다도 소용량인 제2 미정화실(110)이 형성되고, 클리너 엘리먼트(109)와 제2 케이스 부재(86)의 소 케이스부(86b)의 사이에는 상기 제1 정화실(92)보다도 소용량인 제2 정화실(111)이 형성된다. 또, 소케이스부(85b, 86b)는 나사부재(112)로 서로 결합된다.
제2 케이스 부재(86)의 소 케이스부(86b)에는 제2 정화실(111)을 통하는 접속관(113)이 일체로 설치되어 있고, 이 접속관(113)에 일단이 접속되는 제1 공기도관(114)의 타단은 공기량 제어밸브(115)에 접속된다. 이 공기량 제어밸브(115)는 도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린더 헤드(34)에 장착되는 점화 플러그(116)와는 반대측에서 헤드 커버(35)에 장착된다. 또, 헤드 커버(35)에 설치된 리드밸브 등의 역지(逆止)밸브(117)에 공기량 제어밸브(115)가 제2 공기도관(118)을 통해서 접속되어 있고, 2차 공기용 에어 클리너(83)에서 정화된 2차 공기는 공기량 제어밸브(115)에서 공기량이 제어되고, 상기 역지밸브(117)를 통해서 실린더 헤드(34)의 배기 포트(도시하지 않음)에 공급되게 된다.
그런데, 공기량 제어밸브(115)는 엔진(E)의 흡기 부압에 따라서 작동하는 것으로, 공기량 제어밸브(115)에 부압을 인도하는 부압 도관(119)이 제2 흡기관(101)의 중간부에 접속된다.
2차 공기용 에어 클리너(83)의 제2 미정화실(111)에 외부로부터 공기를 도입하기 위한 공기도입관(120)이 제2 미정화실(111)에 내측단을 개구하도록 클리너 엘리먼트(109)를 관통하고, 제2 케이스 부재(86)의 소 케이스부(86b)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으며, 이 공기도입관(120)에 일단이 접속되는 흡입 튜브(121)가 엔진(E)의 차체 프레임(F)으로의 요동 지지축(131)의 근방을 경유하여, 전방측으로 연장된다.
그런데, 엔진(E)은 방진 링크(22)를 통해서 차체 프레임(F)에서의 후부 프레임(12)에 지지되는 것으로, 이 방진 링크(22)의 구조에 대해서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방진 링크(22)는 엔진(E)에 설치되는 좌우 한쌍의 엔진측 브래킷(1231, 1232)과, 각 엔진측 브래킷(1231, 1232)에 일단이 요동가능하게 연결되는 동시에 타단이 후부 프레임(12)에 요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좌우 한쌍의 링크(1241, 1242)와, 양 링크(1241, 1242) 사이를 연결하는 크로스 멤버(125)와, 후부 프레임(12)에 부착하도록 하여 한쪽의 상기 링크(1241)에 설치되는 한쌍의 스토퍼 레버(126, 127)를 구비한다.
엔진측 브래킷(1231, 1232)은 위쪽으로 돌출하도록 하여 엔진(E)에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 엔진측 브래킷(1231, 1232)에는 장착구멍(128, 129)이 같은 축에 설치되고, 각 장착구멍(128, 128)에는 고무 부시(bush, 129, 129)가 압입되고, 양 고무 부시(129, 129) 사이에는 원통형상의 스페이서(spacer, 130)가 끼워진다. 양 고무 부시(129, 129) 및 스페이서(130)에 끼워서 통하게 되는 요동 지지축(131)으로서의 볼트의 양단이 엔진측 브래킷(1231, 1232)에 연결된다.
후부 프레임(12)의 양측에는 지지구멍(132, 132)이 같은 축에 설치되고, 각 지지구멍(132, 132)에는 고무 부시(133, 133)가 압입된다. 그리고, 양 링크(1241,1242)의 다른 단에 설치되어 상기 요동 지지축(131)과 평행한 볼트(134, 134)가 상기 고무 부시(133, 133)를 통해서 후부 프레임(12)의 양측에 요동가능하게 지지된다.
일측의 링크(1241)에서, 요동 지지축(131) 및 볼트(134)의 중심을 연결하는 직선보다도 앞쪽에는 박스형상의 레버 지지부(135)가 설치되고, 이 레버 지지부(135)에 장착되는 스토퍼 레버(126)를 붙이는 접착면(136)이 후부 프레임(12)의 하측면에 형성된다. 또, 상기 링크(1241)에서 요동 지지축(131) 및 볼트(134)의 중심을 연결하는 직선보다도 뒤쪽에는 박스형상의 레버 지지부(137)가 설치되고, 이 레버 지지부(137)에 장착되는 스토퍼 레버(127)를 붙이는 부착면(138)이 후부 프레임(12)의 하측면에 형성된다.
양 링크(1241, 1242)를 연결하는 크로스 멤버(125)는 아래쪽이 열린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양 링크(1241, 1242)보다도 뒤쪽으로 배치되는 상기 기화기(100)와, 엔진(E)의 사이를 접속하는 제2 흡기관(101)을 거치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은 방진 링크(22)에서는, 파워 유닛(P)의 엔진(E)으로부터 요동 지지축(131)에 작용하는 하중은, 고무 부시(129, 129)의 탄성변형에 의해서 흡수되는 동시에, 스토퍼 레버(126, 127)가 부착면(136, 138)에 가압되어 탄성변형에 의해서 흡수되고, 또한 고무 부시(133, 133)의 탄성변형에 의해서도 흡수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 튜브(121)는 상기 방진 링크(22)에서의 요동 지지축(131)의 근방을 경유하여 앞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차체 프레임(F)은 합성수지제의 차체 커버(141)로 덮여지는 것으로, 이 차체 커버(141)는 운전자의 발 앞쪽을 덮는 레그 실드(leg shield, 141a)와, 레그 실드(141a)의 하부에 연결되는 상부 커버(141b)와, 상부 커버(141b)의 아래쪽을 덮고 레그 실드(141a) 및 상부 커버(141b)에 연결되는 하부 커버(141c)와, 상부 커버(141b) 및 하부 커버(141c)에 연결되어 차체 후부를 양측에서 덮는 사이드 커버(141d)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 커버(141b) 및 하부 커버(141c)는 운전자의 발을 얹기 위해, 양 플로어 지지 프레임부(16, 16)를 상하에서 덮도록 형성되는 스텝 플로어(140)를 구성한다.
후부 프레임(12) 상에 지지되는 수납박스(80)의 대부분 및 서브 프레임(13) 상에 지지되는 연료 탱크(81)는 상기 사이드 커버(141d)로 덮여져 있고, 수납박스(80)를 위쪽에서 덮을 수 있는 시트(142)가 엔진(E)의 위쪽에 위치하도록 하여 사이드 커버(141d)의 상부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된다. 또, 연료탱크(81)가 구비하는 연료 주입용 캡(81a)은 사이드 커버(141d)의 상부로부터 위쪽으로 돌출하도록 배치된다.
도 3에 특히 주목하여 보면, 전부 프레임(11)에서의 양 플로어 지지 프레임부(16, 16) 사이에서 상부 커버(141b)의 아래쪽에는 상부를 개방한 상자형상의 박스(143)가 고정배치된다. 이 박스(143) 내의 전부에는 고무밴드(144)로 고정되도록 하여 배터리(145)가 수납된다. 또, 배터리(145)의 좌측에 배치되는 릴레이(146, 147, 148)와, 배터리(145)의 뒤쪽에 배치되는 휴즈(fuze, 149, 150)와, 이들 휴즈(149, 150)의 뒤쪽에 배치되는 레귤레이터(151)와, 배터리(145)의 뒤쪽에서 레귤레이터(151)의 우측에 배치되는 라디에이터 저장 탱크(147)가 박스(143) 내에 수납된다.
그리고, 상기 2차 공기용 에어 클리너(83)에 일단이 접속되어 앞쪽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흡입 튜브(121)의 다른 단은, 스텝 플로어(140)에서의 상부 커버(141b)의 아래쪽까지 연장되어 있고, 상기 박스(143) 내에 개구된다.
그런데, 이 스쿠터형 차량에서는 도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라디에이터(69)가 엔진(E)의 우측에 배치되는 것이지만, 이 스쿠터형 차량의 정비 등을 위해 우측으로 넘어뜨렸을 때에 라디에이터(69)를 보호하기 위해, 이 라디에이터(69) 및 라디에이터(69)를 덮는 커버(74)가 상기 스텝 플로어(140)의 우측 외면보다도 안쪽으로 배치된다.
또한, 스텝 플로어(140)를 상부 커버(141b)와 함께 구성하는 어댑터 커버(141c)의 우측 후부 내면에는 복수, 예를 들면 3개의 보강 리브(154, 154, 154)가 차체 프레임(F)에서의 후부 프레임(12)의 우측면에 부착할 수 있도록 일체로 설치된다. 그리고, 각 보강 리브(154…)는 스쿠터형 차량의 통형상의 상태에서는 후부 프레임(12)의 우측면에 부착하지 않아도 되지만, 스쿠터형 차량을 우측으로 넘어뜨렸을 때에, 스텝 플로어(140)의 우측 내면이 지면에 접촉함으로써 스텝 플로어(140)의 휨에 의해서 후부 프레임(12)의 우측면에 접촉하였을 때에, 상기 커버(74)가 지면에 접촉하지 않는 상태에 있도록, 각 보강 리브(154…)의 후부 프레임(12)측으로의 돌출량이 설정된다.
다음에, 이 실시예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하면, 엔진(E)의 배기계(排氣係, 이 실시예에서는 실린더 헤드(34)의 배기 포트)에 공급되는 2차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2차 공기용 에어 클리너(83)가 파워 유닛(P)에 설치되기 때문에, 차체 프레임(F)으로의 부착 전에 엔진(E)의 배기계로의 2차 공기용 에어 클리너(83)의 접속작업을 행할 수 있어서, 접속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파워 유닛(P)에 설치되기 때문에 2차 공기용 에어 클리너(83)의 용량은 최소한으로 설정해야 하는 것이지만, 2차 공기용 에어 클리너(83)에 외부로부터 공기를 도입하는 흡입 튜브(121)가 2차 공기용 에어 클리너(83)로부터 연장되기 때문에, 이 흡입 튜브(121)에 의해 2차 공기용 에어 클리너(83)의 실질적인 용적을 증대시켜 흡입음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 흡입 튜브(121)는 엔진(E)의 차체 프레임(F)으로의 요동 지지축(131)의 근방을 경유하여, 스텝 플로어(140)에서의 상부 커버(141b)의 아래쪽까지 연장되어 있고, 파워 유닛(P)의 요동에 의해서 흡입 튜브(121)를 굴곡시키는 등의 외력이 이 흡입 튜브(121)에 작용하는 것을 완전히 회피하여, 뒷바퀴(WR)에서 튀어올라온 물이나 흙탕물 등의 악영향을 받기 어려운 위치에 흡입 튜브(121)를 적절히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상부 커버(141b)의 아래쪽에는 배터리(145), 릴레이(146, 147, 148), 휴즈(149, 150) 및 레귤레이터(151) 등의 전장품(電漿品)이나, 라디에이터 저장 탱크(147) 등을 수납하여, 위쪽을 개방한 박스(143)가 배치되어 있고, 흡입 튜브(121)가 이 박스(143) 내에 개구된다. 따라서, 2차 공기용 에어 클리너(83)에서의 흡입음(吸入音)을 보다 한층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는 동시에, 물이나 흙탕물 등의 악영향이 2차 공기용 에어 클리너(83)에 미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 스쿠터형 차량에서는 엔진(E)의 우측에 라디에이터(69)와, 이 라디에이터(69)를 덮는 커버(74)가 배치되는 것이지만, 라디에이터(69)가 배치되는 측에서의 스텝 플로어(140)에서의 어댑터 커버(141c)의 일측 내면, 즉 어댑터 커버(141c)의 우측 내면에 차체 프레임(F)의 후부 프레임(12)에 맞닿을 수 있는 보강 리브(154…)가 돌출설치되어 있고, 라디에이터(69) 및 커버(74)가 스텝 플로어(140)의 우측 외면보다도 안쪽으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정비 등을 위해 스쿠터형 차량의 우측으로 넘어뜨렸을 때에, 라디에이터(69) 및 커버(74)보다도 먼저 스텝 플로어(140)의 우측 외면이 지면에 접촉하게 되고, 보강 리브(154…)의 후부 프레임(12)으로의 접착에 의해, 스텝 플로어(140)의 우측의 강성이 확보되기 때문에, 라디에이터(69) 및 커버(74)의 지면에의 접촉을 회피할 수 있다.
이 결과, 차체 프레임(F)의 일부를 라디에이터(69) 및 커버(74)의 보호부로서 이용하는 것이 불필요하며, 차체 프레임(F) 중량증대를 회피하여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게 되고, 또 차체 프레임(F)의 폭이 넓어지지 않기 때문에, 운전자의 발 부착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차체 커버(141)의 일부를 개조하는 것 만으로 다른 기종에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범용성을 높일 수 있다.
또, 파워 유닛(P)에 클리너 케이스(84)가 설치되는 에어 클리너(82) 내에 외부로부터 공기를 도입하기 위한 흡입 덕트(93)는, 클리너 케이스(84) 내의 제1 미정화실(91)에 상단을 통과시키는 소(小)직경관(94)과, 이 소직경관(94)보다도 대(大)직경으로 형성되어 소직경관(94)의 하단에 상단을 통과시키는 대직경관(95)으로 구성되고, 상기 대직경관(95)의 후부 개방단으로부터 상기 소직경관(94)의 하부 개구단까지의 거리(L1)가 상기 대직경관(95)의 하부 개방단에서 상기 후부를 제외한 부분으로부터 상기 소직경관(94)의 하부 개구단까지의 거리(L2)보다도 짧게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흡입 덕트(93)의 구성에 의하면, 스쿠터형 차량의 주행에 의해 흡입 덕트(93)에서의 대직경관(95)의 앞쪽 벽보다도 뒤쪽으로 부압을 발생시키고, 이 부압을 이용하여 외부의 공기를 흡입 덕트(93)로부터 제1 미정화실(91)에 효과적으로 도입할 수 있다. 즉, 흡입 덕트(93)로의 외부 공기의 흡입 방향을 흡입 덕트(93)의 뒤쪽으로 특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스쿠터형 차량의 주행시에 차체 커버(141)의 뒤쪽에 생기는 부압에 의한 바람의 휩쓸림에 의해, 파워 유닛(P)의 후부에 먼지가 퇴적되고 있다고 해도, 그 먼지를 에어 클리너(82)가 흡입하는 것을 완전히 회피할 수 있다. 또한, 흡입 덕트(93)는 대직경(95)의 일부에 절결부(96)를 설치하는 등의 간단한 고안만으로도 쉽게 만들어지는 형상이기 때문에, 비용 증대를 초래하지 않는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변경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에서는 스텝 플로어(140) 중 어댑터 커버(141c)에 보강 리브(154)가 돌출설치되었지만, 상부 커버(141b)에 보강 리브(154)가 돌출설치되도록 해도 좋다. 또, 라디에이터(69)를 덮는 커버(74)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스쿠터형 차량에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라디에이터가 배치되는 측에 스쿠터형 차량을 넘어뜨렸을 때에, 이 라디에이터보다도 먼저 스텝 플로어의 일측 외면을 지면에 접촉시키도록 하여, 보강 리브의 차체 프레임의 부착에 의해 스텝 플로어의 일측의 강성을 확보하기 때문에, 라디에이터의 지면에의 접촉을 회피할 수 있다. 따라서, 차체 프레임의 일부를 라디에이터의 보호부로 이용하는 것이 불필요하게 되고, 차체 프레임 중량 증대를 회피하여 비용의 저감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운전자의 발 부착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범용성을 높일 수 있다.

Claims (1)

  1. 앞바퀴(WF)를 조향가능하게 지지하는 헤드 파이프부(14)와, 이 헤드 파이프부(14)로부터 뒤쪽 아래로 연장되는 다운 프레임부(15)와, 이 다운 프레임부(15)의 하단으로부터 뒤쪽으로 연장되는 플로어 지지 프레임부(16)를 갖는 차체 프레임(F)이 시트(142)에 탑승하는 운전자의 발을 얹기 위해, 상기 플로어 지지 프레임부(16)를 덮도록 형성되는 스텝 플로어(140)를 구비하는 합성수지제의 차체 커버(141)로 덮여지고, 상기 시트(142)의 아래쪽에서 차체 프레임(F)에 지지되는 수냉식 엔진(E)의 좌우 어느 일측에 라디에이터(69)가 배치되는 스쿠터형 차량에 있어서, 상기 라디에이터(69)가 배치되는 측에서의 상기 스텝 플로어(140)의 일측 내면에 상기 차체 프레임(F)에 맞닿을 수 있는 보강 리브(154)가 돌출설치되고, 상기 라디에이터(69)가 상기 스텝 플로어(140)의 일측 외면보다도 안쪽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쿠터형 차량.
KR10-2000-0031127A 1999-06-07 2000-06-07 스쿠터형 차량 KR1003706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160145 1999-06-07
JP16014599A JP4303361B2 (ja) 1999-06-07 1999-06-07 スクータ型車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0960A KR20010020960A (ko) 2001-03-15
KR100370672B1 true KR100370672B1 (ko) 2003-02-05

Family

ID=15708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1127A KR100370672B1 (ko) 1999-06-07 2000-06-07 스쿠터형 차량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4303361B2 (ko)
KR (1) KR100370672B1 (ko)
CN (1) CN1162297C (ko)
ES (1) ES2162607B1 (ko)
IT (1) IT1320491B1 (ko)
TW (1) TW47776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96508B2 (ja) 2000-12-28 2005-09-2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ラジエータ装置
JP4351021B2 (ja) * 2003-10-20 2009-10-28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スクータ型自動二輪車
JP4596996B2 (ja) * 2005-07-05 2010-12-1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パワーユニットの冷却構造
JP5561074B2 (ja) * 2010-09-30 2014-07-30 スズキ株式会社 電動式車両のスイングアーム
JP6514995B2 (ja) * 2015-08-31 2019-05-15 株式会社シマノ 自転車用ガードおよびこれを備えるドライブユニット
CN106098647B (zh) * 2016-06-20 2018-12-14 绍兴杭铭饰品有限公司 一种多芯片叠堆式集成电路封装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05009B2 (ja) * 1988-01-29 1998-01-26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スクータ型車両の足載せ台
JP3001108B2 (ja) * 1990-08-07 2000-01-24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スクータ型自動二輪車の足載部支持構造
JPH08127377A (ja) * 1994-10-31 1996-05-21 Suzuki Motor Corp スクータ型車両のラジエータ配置構造
JP3423487B2 (ja) * 1995-06-29 2003-07-07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スクータ型自動二輪車のラジエータ配置構造
JPH09202277A (ja) * 1996-01-29 1997-08-05 Suzuki Motor Corp スクータ型車両のバッテリ収納装置
JPH1159537A (ja) * 1997-08-22 1999-03-02 Yamaha Motor Co Ltd スクータ型自動二輪車のフートボード組付け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T1320491B1 (it) 2003-12-10
ITTO20000508A0 (it) 2000-06-01
ITTO20000508A1 (it) 2001-12-01
ES2162607B1 (es) 2002-06-16
ES2162607A1 (es) 2001-12-16
KR20010020960A (ko) 2001-03-15
CN1162297C (zh) 2004-08-18
JP4303361B2 (ja) 2009-07-29
JP2000344167A (ja) 2000-12-12
TW477761B (en) 2002-03-01
CN1276307A (zh) 2000-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04626B1 (ko) 자동 이륜차의 엔진 부착 구조
US7044253B2 (en) Exhaust pipe structure of vehicle with low floor
JP2003176762A (ja) 燃料噴射エンジンの燃料ホース取付構造
KR100370672B1 (ko) 스쿠터형 차량
JP3095974B2 (ja) エンジンのポンプ配置構造
JPH0911961A (ja) スクータ型自動二輪車の車体フレーム
EP0952076B1 (en) Scooter type vehicle
JP4280361B2 (ja) 自動二輪車におけるエアクリーナの吸気構造
KR20030060782A (ko) 에어클리너를 갖는 엔진을 구비하는 차량
EP0758050B1 (en) Starter motor mounting/disposing structure in unit sw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H0911962A (ja) 自動二輪車のステアリング装置
JPH0911957A (ja) スクータ型自動二輪車のラジエータ配置構造
JP4421696B2 (ja) 自動二輪車
JP3594700B2 (ja) 自動二輪車の車体カバー
JP3319674B2 (ja) 自動二輪車の冷却構造
JPH0911959A (ja) 動力ユニットの冷却装置
JPH0911952A (ja) スクータ型自動二輪車の収納装置
JP4682579B2 (ja) 自動二輪車のパワーユニット
JPH0911966A (ja) 自動二輪車の走行風導入構造
EP1366977B1 (en) Exhaust muffler layout structure in motorcycle
JPH07247854A (ja) 一体型パワーユニット
JP3501875B2 (ja) 自動二輪車のスタンド装置
JPH0911944A (ja) 自動二輪車のシート装置
JP3319672B2 (ja) 車両用メインスイッチの取付け構造
KR20000057760A (ko) 스쿠터형 차량의 스윙식 파워 유닛 및 킥 시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0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