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9479A - 액티브매트릭스형 표시장치와, 그 데이터선 절환회로,스위칭부 구동회로, 및 주사선 구동회로 - Google Patents

액티브매트릭스형 표시장치와, 그 데이터선 절환회로,스위칭부 구동회로, 및 주사선 구동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9479A
KR20030029479A KR1020020060183A KR20020060183A KR20030029479A KR 20030029479 A KR20030029479 A KR 20030029479A KR 1020020060183 A KR1020020060183 A KR 1020020060183A KR 20020060183 A KR20020060183 A KR 20020060183A KR 20030029479 A KR20030029479 A KR 200300294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data line
switching
switching unit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01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41059B1 (ko
Inventor
나카노타케토시
니시쿠보케이시
카와구치타카후미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1307943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3114657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307941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3114656A/ja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294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94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1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10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48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n active matrix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04Matrix technologies
    • G09G2300/0408Integration of the drivers onto the display substrat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89Details of voltage level shifters arranged for use in a driving circui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97Special arrangements with multiplexing or demultiplexing of display data in the drivers for data electrodes, in a pre-processing circuitry delivering display data to said drivers or in the matrix panel, e.g. multiplexing plural data signals to one D/A converter or demultiplexing the D/A converter output to multiple colum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8Fault-tolerant or redundant circuits, or circuits in which repair of defects is prepar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데이터선 절환회로를 제공하고, 복수의 데이터선을 집속하여 데이터선 구동회로의 1출력에 접속함으로써, 데이터선 구동회로의 출력수 감소를 도모한 구성의 액티브매트릭스형 표시장치에서는, 데이터선을 선택하기 위한 스위칭부를 구성하는 스위칭소자의 수명이 짧고, 장기신뢰성을 얻기 어렵지만, 본 발명의 데이터선 절환회로에서는 상기 스위칭부를, 서로 병렬로 접속된 복수의 스위칭소자로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스위칭소자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고, 협액자화나 소형화를 저해하지 않고, 장기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액티브매트릭스형 표시장치와, 그 데이터선 절환회로, 스위칭부 구동회로, 및 주사선 구동회로{ACTIVE MATRIX DISPLAY DEVICE AND DATA LINE SWITCHING CIRCUIT, SWITCHING SECTION DRIVE CIRCUIT, AND SCANNING LINE DRIVE CIRCUIT THEREOF}
본 발명은, TFT(Thin Film Transistor) 방식의 액정표시장치 등, 액티브매트릭스형 표시장치에 속하며, 보다 상세하게는, 화상신호인 데이터신호가 인가되는 데이터선이 복수개 집속되고 데이터선 구동회로의 1출력에 접속된 액티브매트릭스형 표시장치, 및 그 데이터선 절환회로, 스위칭부 구동회로, 주사선 구동회로 등에관한 것이다.
액정표시장치는, CRT(Cathode Ray Tube)에 비해 박형화가 가능하고, 소비전력이 작은 등의 이점을 갖고 있다. 이들의 이점에 의해, 최근, 액정표시장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표시장치뿐만 아니라, 퍼스널 컴퓨터 등의 설치형 전자기기의 표시장치에도 용도를 넓혀가고 있다. 특히, 각 화소에 스위칭소자를 제공하여 액정을 구동하는 액티브매트릭스형의 액정표시장치는, 원리적으로 콘트라스트가 높고, 응답속도를 고속으로 할 수 있는 등의 점에서 주목되고 있다.
화소마다 제공되는 상기 스위칭소자로서는, 비선형저항소자나 반도체소자가 사용된다. 특히, 투과형 표시가 가능하고, 또한, 대면적화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는 등의 점에서, 투명한 절연성기판상에 형성된 TFT가 바람직하게 사용되고 있다.
종래, 이와 같은 액티브매트릭스형의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는, 데이터신호가 인가되는 데이터선의 신호입력측에 있어서, 데이터선마다 스위칭부를 제공하고, 상기 스위칭부를 통함으로써, 데이터선을 복수 1조로서 집속하여, 데이터선 구동회로의 1출력에 접속한 구성이 있다. 이에 의하면, 각 스위칭부는 선택적으로 구동되어, 데이터선 구동회로에서 출력되는 데이터신호가, 조를 이루는 각 데이터선으로 분리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는 것은, 데이터선 구동회로의 출력수를 감소시키기 위해서이다. 단순히 계산하여, 데이터선을 2개1조로서 집속함으로써, 데이터선 구동회로의 출력신호선의 수는, 데이터선과 데이터선 구동회로의 출력신호선을 1대1로 접속하는 구성의 반으로 되고, 3개1조로서 집속시키는 경우는 1/3로 된다.
예컨대, 휴대용 전자기기의 표시장치의 1구성예로서, 데이터선을 R(적색) G(녹색) B(청색) 각 색마다 176개씩 제공하는 구성이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데이터선과 데이터선구동회로의 출력신호선을 2개1조로 접속하면, 1대1의 접속에서는 528개 필요한 출력신호선의 수를, 264개에까지 감소시킬 수 있다.
데이터선의 절환선택을 가능하게 하는 상기 스위치부로서는, 액정을 구동하는 스위칭소자와 동일 공정으로 작성가능한 TFT가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도20을 사용하여, 데이터선구동회로의 1출력에 복수의 데이터선이 접속되어 있는 상기 액정표시장치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20은, 상기구성을 갖는 액정표시장치의 등가회로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참조부호 100은 표시패널(액티브매트릭스형 표시패널)로서의 액정패널이다. 특히 도시하지 않지만, 액정패널(100)은, 소정의 거리를 두어 평행하게 대향배치된 매트릭스기판, 대향기판, 및 이들 양 기판 사이에 충전된 액정을 갖는다.
매트릭스기판에는, 복수의 서로 병행인 데이터선(DL1∼DLN), 및 상기 데이터선(DL)에 교차하는 복수의 서로 병행인 게이트선(주사선)(GL1∼GLM)이 제공되고 있다. 각 게이트선(GL)에는, 게이트선 구동회로(200)로부터, 각 게이트선(GL)에 따른 타이밍에서, 게이트신호가 인가된다. 게이트신호는, ON전압(선택전압)과 OFF전압(비선택전압)을 갖는다. 각 데이터선(DL)에는, 데이터선 구동회로(3)로부터, 각 데이터선(DL)에 대응하는 데이터신호(화상신호)가 인가된다.
이들 데이터선(DL)과 게이트선(GL)과의 각 교점에는, 화소전극(도시 안함)과 화소 TFT(11)가 배치되어 있다. 화소전극과, 대향기판측에 제공된 후술하는 대향전극(12)에 의해 액정용량(10)이 형성된다. 액정용량(10)이 표시의 1단위로 되는 화소를 구성한다. 화소 TFT(11)는, 화소전극을 대응하는 데이터선(DL)에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화소전극에의 데이터신호의 기입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화소 TFT(11)에 있어서, 그 게이트전극은 게이트선(GL)에 접속되고, 그 소스전극은 데이터선(DL)에 접속되고, 그 드레인전극은 화소전극에 접속된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화소 TFT(11)의 게이트전극에, 게이트선(GL)을 통해 게이트선 구동회로(200)로부터 ON전압이 인가되는 기간(기입 기간)은, 화소 TFT(11)가 ON상태(저저항의 상태)로 된다. 화소 TFT(11)가, ON상태로 됨으로써, 데이터선 구동회로(3)로부터 데이터선(DL)에 인가된 데이터신호의 전위가 화소전극에도 인가되어, 화소전극의 전위는 데이터선(DL)의 전위와 동일하게 설정된다.
한편, 화소 TFT(11)의 게이트전극에, 게이트선(GL)을 통해 게이트선 구동회로(200)로부터 OFF전압이 인가되는 기간(유지기간)은, 화소 TFT(11)가 OFF상태(고저항의 상태)로 된다. 화소 TFT(11)가 OFF상태로 됨으로써, 화소전극의 전위는 기입시에 인가된 전위로 유지된다.
액정패널(100)을 구성하는 또 하나의 기판인 대향기판에는, 액정용량(10)의 다른 전극으로 되는 대향전극(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대향전극(12)은, 대향기판의 전면에 제공되고, 전 화소에 공통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대향전극(12)에는, 상기 매트릭스기판의 주변에 설치된 공통단자(도시 안함)를 통해, 매트릭스기판 측으로부터 적절한 공통전압이 인가된다.
액정용량(10)에는, 화소전극의 전위와, 대향전극의 전위 사이의 차(전위차)에 상당하는 전압이 인가된다. 액정용량(10)에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함으로써, 액정의 광투과율을 제어하여, 화상의 표시가 가능해진다. 여기까지의 구성은, 가장 기본적인 액티브매트릭스형 액정표시장치의 구성이다.
이 액정패널(100)에 있어서의 주목해야 할 점은, 매트릭스기판 상에 형성된 상기 복수의 데이터선(DL)과, 이들을 구동하는 데이터선 구동회로(3)와의 접속부분에, 데이터선 절환회로(101)가 제공되고 있는 점이다.
데이터선 절환회로(101)는, 후술하는 데이터선 선택 TFT(13)과 데이터선 선택 TFT(13)을 통해 복수의 데이터선(DL)을 1조로서 결선하는 후술하는 입력신호선으로 구성된다. 데이터선 절환회로(101)는, 데이터선 구동회로(3)로부터 출력신호선(D)을 통해 출력되는 데이터신호의 출력 전으로 되는 데이터선(DL)을, 데이터선(DL)이 속하는 조 내로 절환한다.
각 데이터선(DL)에는, 스위칭부를 구성하는 데이터선 선택 TFT(스위칭소자)(13)가 제공되어, 각 데이터선(DL)은, 상기 데이터선 선택 TFT(13)을 통해 복수를 1조로서 1개화되고, 1개화된 상태로 데이터선 구동회로(3)가 대응하는 출력신호선(D)과 접속되어 있다. 이 복수의 데이터선(DL)이 스위칭부인 데이터선 선택 TFT(13)을 통해 결선되어 1개화되어 있는 부분이 입력신호선으로 된다.
이 도면에서는, 데이터선(DL)은 2개1조로 집속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데이터선 구동회로(3)의 출력신호선(D1)에, 제1 조를 이루는 데이터선(DL1)과 데이터선(DL2)이, 데이터선 선택 TFT(13-1a,13-1b)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또한, 출력신호선(D2)에, 제2 조를 이루는 데이터선(DL3)과 데이터선(DL4)이, 데이터선 선택 TFT(13-2a,13-2b)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이하 동일하게 하여, 도면에 있어서는, 데이터선(DL)의 총수 N=10이기 때문에, 이러한 2개 1조의 데이터선군이, 제1∼제5까지의 5조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10개의 데이터선 선택 TFT(13)중, 홀수번째의 데이터선(DL)에 접속된 데이터선 선택 TFT(13-1a, 13-2a, 13-3a, ···)의 a 계통의 것은, 서로의 게이트전극이 게이트선(Ga)에 접속되고, 스위칭부 구동회로(102)로부터 게이트선 (Ga)에 공급되는 데이터선 선택신호에 의해 그 개폐가 제어된다. 한편, 짝수번째의 데이터선(DL)에 접속된 데이터선 선택 TFT(13-1b, 13-2b, 13-3b···)의 b 계통의 것은, 서로의 게이트전극이, 게이트선(Gb)에 접속되고, 스위칭부 구동회로(102)로부터 게이트선(Gb)에 공급되는 데이터선 선택신호에 의해 그 개폐가 제어된다. 데이터선 선택신호도, 게이트신호와 동일하게, 선택전압에 상당하는 ON전압과 비선택전압에 상당하는 OFF전압을 갖는 신호이다.
데이터선 절환회로(101)를 구성하는 데이터선 선택 TFT(13)는, 액정패널(100)을 구성하는 매트릭스기판상에, 화소 TFT(11)와 동일한 공정으로 제조된다.
도21에, 게이트선(Ga,Gb)에 데이터선 선택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칭부 구동회로(102)의 구성을 나타낸다.
스위칭부 구동회로(102)는, 2개의 레벨시프터회로(102a,102b)로 이루어진다.각 레벨시프터회로(102a,102b)에는 각각, 구동제어회로(106)로부터 스위치신호 (SW1,SW2)가 입력된다. 입력된 스위치신호(SW1,SW2)는, 각 레벨시프터 회로(102a,102b)의 제1 입력단자(IN01)에 인가된 ON전압(VDSH), 또는, 제2 입력단자(IN02)에 인가된 OFF전압(VDSL)으로 레벨변환된다. 여기서, ON전압(VDSH)은, 데이터선 선택 TFT(13)을 ON시키는 전압이고, OFF전압(VDSL)은, 데이터선 선택 TFT(13)을 OFF시키는 전압이다.
변환된 출력은, 레벨시프터회로(102a,102b)의 각 출력단자(OUT)로부터, 각 출력단자(OUT)에 접속된 게이트선(Ga,Gb)에, 데이터선 선택신호로서 출력된다.
즉, 레벨시프터회로(102a)에는, 스위치신호(SW1)가 입력되고, 이에 의해, a 계통의 데이터선 선택 TFT(13)를 제어하는 구동신호인 데이터선 선택신호가 생성되어, 출력단자(OUT)로부터 출력된다. 동일하게, 레벨시프터회로(102b)에는, 스위치신호(SW2)가 입력되고, 이에 의해, b 계통의 데이터선 선택 TFT(13)의 구동신호인 데이터선 선택신호가 생성되어, 출력단자(OUT)로부터 출력된다.
도22에, 상기 액정표시장치의 액정패널(100)에 인가되는 구동신호(수직동기신호, 데이터신호, 게이트선(Ga,Gb)에 인가되는 데이터선 선택신호, 게이트선(GL1)∼게이트선(GLM)에 인가되는 게이트신호)의 파형을 나타낸다. 또, 여기서 사용된 화소 TFT(11) 및 데이터선 선택 TFT(13)는, 모두 n 채널 FET와 동일하게, 정전압에서 ON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게이트선(GL)의 총수 M=8로 하였다.
도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는, 게이트선(GL)에선택전압이 인가되는 기간인 1수평기간이, 2개의 페이즈(phase)로 분할된다. 그리고, 게이트선(Ga,Gb)에 인가되는 데이터선 선택신호에 의해, 각 페이즈에 있어서, 데이터선 절환회로(101)의 a 계통 또는 b 계통중, 어느 1계통의 데이터선 선택 TFT(13)가 ON된다. 이에 의해, 각 조의 데이터선(DL)중, ON된 계통의 데이터선 선택 TFT(13)에 접속되어 있는 데이터선(DL)에만 데이터선 구동회로(3)로부터의 데이터신호가 인가되고, 상기 데이터선(DL)에 접속된 화소전극에 데이터신호가 기입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는, 매트릭스기판에 데이터선 절환회로(101)를 제공하여, 상기 데이터선 절환회로(101)에 의해, 데이터선 구동회로(3)의 출력신호선(D)으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신호를, 이에 연결되는 복수의 데이터선(DL)으로 분할함으로써, 데이터선 구동회로(3)의 출력신호선(D)의 개수를 감소시키는 것이 실시된다.
데이터선 구동회로(3)의 1출력에 대하여 1개의 데이터선(DL)이 접속된 1대1의 구성에서는, 표시패널의 고세밀화에 따라 데이터선 구동회로(3)의 출력신호선(D)과 데이터선(DL)과의 접속피치가 좁아진다. 그 때문에, 데이터선 구동회로(3)가 외부에 부착되는 구성에 있어서는, 접속신뢰성이 저하한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출력신호선(D)과 데이터선(DL)과의 접속수가 적어지고, 그 만큼, 접속피치를 넓게 잡을 수 있어, 접속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액정표시장치가, 휴대용 전자기기의 표시장치로서 사용되는 동안, 표시영역의 주위, 즉 액자부가 넓으면, 상품의 디자인 설계에 큰영향을 준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데이터선 구동회로(3)의 출력신호선(D)의 개수가 감소하는 만큼, 데이터선 구동회로(3)의 필요수도 감소하여(도면에서는, 1개이지만, 데이터선(DL)의 수에 따라, 복수 제공됨), 데이터선 구동회로(3)가 액자부에 있어서 점유하는 면적을 작게 할 수 있고, 액자부의 레이아웃이 용이하게 행해지고, 또한, 상품의 디자인 설계의 자유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한 액정표시장치에 대해서는, 예컨대, 일본 공개특허공보의, 특개소 56-92573호 공보(공개일 1981,7,27)나, 특개소 61-223791호 공보(공개일 1986,10,4), 공개특허공보 제92-322216호(공개일 1992,11,12), 공개특허공보 제94-138851호(공개일 1994,5,20), 공개특허공보 제96-234237호(공개일 1996,9,13) 등에 기재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데이터선 구동회로(3)의 1출력을 복수의 데이터선(DL)에서 공용하고, 데이터선 절환회로(101)에 의해 데이터선 구동회로(3)로부터의 신호의 출력 전으로 되는 데이터선(DL)을 절환하는 구성의 액정표시장치에서는, 협액자화가 가능하고, 레이아웃성도 높고, 데이터선(DL)과 데이터선 구동회로(3)와의 접속수를 감소시킬 수 있는 등의 큰 이점을 갖지만, 표시장치로서의 장기신뢰성에 문제가 있다.
이는, 데이터선 절환회로(101)를 구성하는 스위칭부에 기인한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데이터선 절환회로(101)에 있어서의 스위칭부를 구성하는 스위칭소자로서는, 화소 TFT(11)와 동일 공정으로 작성할 수 있는 등의 이점에 의해 TFT가 사용되고 있지만, 화소 TFT(11)의 구동회수에 비해, 데이터선 선택 TFT(13)의 구동회수는 압도적으로 많다.
예컨대, 도20에 있어서, 데이터선(DL1)과 게이트선(GL1) 사이에 제공된 화소 TFT(11-1)와, 상기 데이터선(DL1)에의 데이터신호의 인가를 가능하게 하는 데이터선 선택 TFT(13-1a)에 착안하여 비교하면, 화소 TFT(11-1)가 1수직기간에 1회 ON되는 것에 대하여, 데이터선 선택 TFT(13-1a)는 1수평기간에 1회 ON되는 것으로 된다. 단순히 계산하여, 게이트선(GL)의 총수 M을 220으로 한 경우, 데이터선 선택 TFT(13)의 구동회수는 화소 TFT(11)의 구동회수의 220배에도 달한다.
그 때문에, 통상사이즈의 비정질 TFT(채널부분의 반도체층에 비정질 실리콘을 사용한 TFT)에서는, 화소 TFT(11)로서는 충분하여도, 구동회수가 많은 데이터선 선택 TFT(13)로서 사용한 경우에는, 사용도중에 상기 데이터선 선택 TFT(13)의 스위칭특성이 저하하여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게 되어, 표시장치로서 장기간에 걸쳐 사용하는 데에 있어서 문제가 된다.
또, TFT의 장기신뢰성은, TFT의 채널폭을 크게 함으로써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그러나, 채널폭을 크게 하면, 폭이 넓어지는 만큼, 소비전력이 증가한다. 또한, TFT 사이즈도 대형화하기 때문에, TFT가 제공되는 매트릭스기판을 확대할 필요도 있다. 또한, 기생용량의 증대에 의한 출력신호(화상신호)의 인입의 문제도 발생한다. 따라서, 채널폭을 크게 함으로써, 장기신뢰성을 확보하는 방법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별도의 문제로서, 부품점수가 많다고 하는 문제도 있다.
즉, 상기 구성에서는, 데이터선 구동회로(3) 및 게이트선 구동회로(200) 이외에, 데이터선 절환회로(101)를 구동하기 위한 회로로서, 상기한 스위칭부 구동회로(102)를 별도로 필요로 한다.
데이터선 절환회로(101)에 있어서의 데이터선 선택 TFT(13)는, 화소 TFT(11)와 동일하게, 그 ON전압 및 OFF전압은, 통상의 논리레벨이 아니다. 그 때문에, 도21로 설명한 바와 같이, 게이트선 구동회로(103)와 동일하게, 각 게이트선 (Ga,Gb)마다, 레벨시프터회로(102a,102b)를 제공할 필요가 있어, 스위칭부 구동회로(102)가 설치되어 있다.
그 결과, 데이터선 구동회로(3)의 출력신호선(D)의 개수를 감소시킴으로써, 데이터선 구동회로(3)가 액자부에 차지하는 면적을 작게 하였지만, 별도로 스위칭부 구동회로(102)가 필요하게 되는 만큼, 그 효과를 저해한다. 특히, 액정패널(100)에 대하여, 데이터선 구동회로(3)나 게이트선 구동회로(200) 등을 외부에 부착하는 구성의 경우, 스위칭부 구동회로(102)가 필요해지는 만큼, 부품점수의 증가에 의한 단점이 크다.
또한, 데이터선 구동회로(3)의 1출력을 복수의 데이터선(DL)에 공용하는 상기 액정표시장치에서는, 데이터선 선택 TFT(13)을 스위칭하기 위한 전력이 별도로 필요해지기 때문에, 그 만큼, 소비전력이 증가하는 문제도 갖는다.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데이터선 절환회로를 제공하여 데이터선 구동회로의 출력수를 감소시키는 구성을 채용한 액티브매트릭스형 표시장치에 제공함으로써, 협액자화나 소형화를 저해하지 않고, 장기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액티브매트릭스형 표시패널의 데이터선 절환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데이터선 구동회로의 출력수의 감소에 부가하여, 더욱 협액자화를 가능하게 하고, 또한, 외부부착 부품의 감소, 및 그에 따르는 비용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액티브매트릭스형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3 목적은, 데이터선 구동회로의 출력수를 감소시킬 수 있고, 더욱 협액자화를 가능하게 하고, 또한, 외부부착 부품의 삭감, 및 그에 따르는 비용절감을 도모하면서, 또한, 장기신뢰성도 확보할 수 있는 액티브매트릭스형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제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데이터선 절환회로에 있어서, 주사선, 및 상기 주사선과 교차하는 복수의 데이터선이 형성된 액티브매트릭스형 표시패널의 데이터선 절환회로는, 상기 데이터선의 신호입력측에 데이터선마다 설치된 스위칭부, 및 상기 스위칭부를 통해 복수의 데이터선을 1조로서 결선하는 입력신호선을 포함하고, 상기 조를 이루는 복수의 데이터선의 각 스위칭부가 택일적으로 구동되는 것으로, 입력신호선로부터 입력된 데이터신호를, 조를 이루는 복수의 데이터선으로 분리하여 입력시키고, 또한, 상기 스위칭부가, 서로 병렬로 접속된 복수의 스위칭소자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상기 데이터선 절환회에서는, 스위칭부는 서로 병렬로 접속된 복수의 스위칭소자(이하, 단지 소자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로 구성되기 때문에, 스위칭부를 구성하는 소자중의 1개를 구동함으로써, 입력신호선으로부터 입력된 데이터신호를, 상기 스위칭부가 접속된 데이터선으로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스위칭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소자를 적절히 구동시키는 것으로, 1개의 소자로 구성되어 있던 종래의 스위칭부에 비해 장기신뢰성을 높일 수 있어, 장기신뢰성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복수의 소자로 형성하여 스위칭부의 장기신뢰성을 높이는 구성은, 스위칭부를 어디까지나 1개의 소자로 형성하여 소자사이즈를 크게 함으로써 장기신뢰성을 높이는 구성과 비교하여, 동일한 정도의 장기신뢰성을 얻을 수 있는 경우에 있어서의 1개의 스위칭부의 점유면적을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액티브매트릭스형 표시패널의 협액자화나 소형화를 저해하지 않고, 장기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제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액티브매트릭스형 표시장치는, 주사선, 및 상기 주사선과 교차하는 복수의 데이터선이 형성된 액티브매트릭스형 표시패널, 상기 데이터선의 신호입력측에 데이터선마다 설치된 스위칭부, 및 상기 스위칭부를 통해 복수의 데이터선을 1조로서 결선하는 입력신호선을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조를 이루는 복수의 데이터선의 각 스위칭부가 택일적으로 구동되는 것으로, 입력신호선으로부터 입력된 데이터신호를, 조를 이루는 복수의 데이터선으로 분리하여 입력시키는 데이터선 절환회로, 구동제어회로에서의 구동신호를 기초로, ON전압과 OFF전압을 갖는 데이터선 선택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데이터선 절환회로에 있어서의 스위칭부를 구동하는 스위칭부 구동회로, 상기 복수의 데이터선에 각 데이터선에 따른 데이터신호를 출력하는 데이터선 구동회로, 및 상기 주사선에, 주사선에 따른 타이밍에서 ON전압과 OFF전압을 갖는 주사신호를 출력하는 주사선 구동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칭부 구동회로가, 상기 주사선 구동회로에 탑재되어 있는 구성이다.
상기 액티브매트릭스형 표시장치에서는, 스위칭부 구동회로는, 주사선 구동회로에 탑재되기 때문에, 부품점수를 감소시킬 수 있고, 이에 따른 비용절감과 함께, 액자에 있어서 이들 회로부품의 점유면적이 보다 감소되고, 그 만큼 액자부의 레이아웃성이 양호해져, 협액자화를 진행시킬 수 있다. 또한, 주사선 구동회로나 데이터선 구동회로 등의 구동회로가 외부에 부착되는 구성이어도, 스위칭부 구동회로를 액정패널과 접속시키는 공정이 필요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제조비용의 절감도 가능해진다.
그리고 이 경우, 스위칭부 구동회로도 주사선 구동회로도 레벨시프터회로로 구성되기 때문에, 스위칭부 구동회로를, 게이트선 구동회로 내부에 조입한 것은, 게이트선 구동회로의 제조공정에 대폭적인 변경 등을 따르지 않고 실시되어, 유리하다.
상기 제3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액티브매트릭스형 표시장치는, 상기 구성에 부가하여, 더욱, 상기 주사선 구동회로가, 복수의 ON전압을 설정가능하도록 제공되고, 데이터선 선택신호의 ON전압의 절대치와 주사신호의 ON전압의 절대치가 상이한 구성이다.
스위칭부 구동회로를 주사선 구동회로내에 탑재시키는 것에 있어서, 데이터선 선택신호의 ON전압을, 주사선에 출력되는 주사신호의 ON전압과 동일하게 하는구성도 고려되지만, 주사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화소스위칭소자와, 데이터선 선택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스위칭부는, 기능이 상이하기 때문에, 각각 적절한 ON전압은 서로 상이하다.
따라서, 이와 같이, 데이터선 선택신호의 ON전압의 절대치를, 주사신호의 ON전압의 절대치와는 상이한 값으로서, 데이터선 선택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스위칭부의 기능에 있던 전압치로 함으로써, 스위칭부를 보다 적절히 기능시킬 수 있다.
데이터선 절환회로에 있어서의 스위칭부는, 데이터선 구동회로로부터 공급된 데이터신호를, 접속된 데이터선에도 양호하게 공급할 수 있으면 좋기 때문에, 주사신호의 ON전압 정도로 높게 설정하지 않더라도, 그 기능을 다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선 선택신호의 ON전압의 그 기능에 따른 값으로 함으로써, 데이터선 절환회로에 있어서의 스위칭부의 스위칭특성의 신뢰성을 향상시켜, 스위칭부의 장기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특징, 및 우수한 점은, 이하에 나타낸 기재에 의해 충분히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이점은, 첨부도면을 참조한 다음의 설명으로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의 액티브매트릭스형 액정표시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등가회로도이다.
도2는, 도1의 액티브매트릭스형 표시장치에 구비된, 데이터선 절환회로의 스위칭부를 구동시키는 스위칭부 구동회로의 개략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3은, 도1의 액티브매트릭스형 표시장치의 액정패널에 인가되는 각종구동신호를 나타낸 파형도이다.
도4는, 데이터선이 2개 1조로 집속되는 동시에, 각 데이터선의 스위칭부에 3개의 데이터선 선택 TFT가 구비된, 다른 데이터선 절환회로의 주요부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5는, 데이터선이 3개 1조로 집속되는 동시에, 각 데이터선의 스위칭부에 2개의 데이터선 선택 TFT가 구비된, 또 다른 데이터선 절환회로의 주요부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6은, 도4, 도5의 데이터선 절환회로의 스위칭부를 구동시키는 스위칭부 구동회로의 개략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7은, 도1의 액티브매트릭스형 표시장치의 평면도이고, 액정패널에 있어서의 각 구동회로류의 배치를 나타낸다.
도8은, 본 발명에 의한 그 밖의 실시예의 액티브매트릭스형 액정표시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등가회로도이다.
도9는, 도8의 액티브매트릭스형 표시장치에 구비된, 스위칭부 구동회로를 내장한 게이트선 구동회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10은, 도9의 게이트선 구동회로에 내장된 상기 스위칭부 구동회로의 개략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11은, 도10의 스위칭부 구동회로에 입력되는 제어신호와 상기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선 선택신호의 파형도이다.
도12는, 도8의 액티브매트릭스형 표시장치의 액정패널에 인가되는 각종 구동신호의 파형도이다.
도13은, 도8의 액티브매트릭스형 표시장치에 구비되는, 스위칭부 구동회로를 내장한 게이트선 구동회로의 변형예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14는, 도8의 액티브매트릭스형 표시장치의 평면도이고, 액정패널에 있어서의 각 구동회로류의 배치를 나타낸다.
도15는, 본 발명에 의한 또 다른 실시예의 액티브매트릭스형 액정표시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등가회로도이다.
도16a 및 도16b는 모두, 도15의 액티브매트릭스형 표시장치에 구비될 수 있는, 스위칭부 구동회로를 내장한 게이트선 구동회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17은, 도16b의 게이트선 구동회로에 내장된 상기 스위칭부 구동회로의 개략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18은, 도17의 스위칭부 구동회로에 입력되는 제어신호와 상기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선 선택신호의 파형도이다.
도19는, 도15의 액티브매트릭스형 표시장치의 액정패널에 인가되는 각종구동신호의 파형도이다.
도20은, 종래의 액티브매트릭스형 표시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등가회로도이다.
도21은, 도20의 액티브매트릭스형 표시장치에 구비되는, 스위칭부 구동회로의 개략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22는, 도20의 액티브매트릭스형 표시장치의 액정패널에 인가되는 각종구동신호를 나타낸 파형도이다.
본 발명은, 복수의 데이터선을 집속하여 데이터선 구동회로의 1출력에 접속함으로써, 데이터선 구동회로의 출력수 감소를 도모한 구성의 액티브매트릭스형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구성에 있어서, 데이터선 절환회로에 있어서의 데이터선마다제공된 스위칭부를, 각각 복수의 스위칭소자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스위칭부의 장기신뢰성을 확보하고, 나아가서는, 액정표시장치로서의 장기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데이터선 절환회로에 있어서의 데이터선마다 제공된 스위칭부를 구동하기 위한 스위칭부 구동회로를, 주사선인 게이트선을 구동하는 게이트선 구동회로내에 조입함으로써, 협액자화를 가능하게 하고, 또한, 외부부착 부품의 감소, 및 그에 따른 비용절감을 도모한다.
또한, 스위칭부 구동회로를 게이트선 구동회로내에 조입한 구성에 있어서, 1개의 게이트선 구동회로로부터, 데이터선마다 제공된 스위칭부를 구동하는 데이터선 선택신호와, 화소스위치를 구동하는 게이트신호를 출력함에 있어서, 복수종류의 ON전압을 설정가능하게 하여, 양 신호의 ON전압을 상이하게 함으로써, 데이터선마다 제공된 스위칭부의 장기신뢰성을 확보한다.
부가하여, 데이터선마다 제공된 스위칭부를 구동함에 있어서, 데이터선 선택신호에 있어서의 OFF전압으로부터 ON전압 및 ON전압으로부터 OFF전압으로의 각 전압레벨의 절환을, OFF전압과 ON전압 사이의 전압인 중간전위로 유지되는 기간을 통해 실시함으로써, 스위칭부의 구동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킨다.
또, 이하에 기재하는 실시예에 있어서는, 액티브매트릭스형 표시장치로서 액정을 사용한 액티브매트릭스형 액정표시장치를 예시하지만, 본 발명은 액정에 한정되지 않고, 액티브매트릭스 구동되는 것에 있어서, 화소 또는 버스라인 등에 일단기입된 데이터신호를 유지가능한 메모리성을 갖는 것이면, 액정 이외에도 적용가능하다.
〔실시예 1〕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를, 도1∼도7에 따라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도1은, 본 실시예의 액티브매트릭스형 액정표시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등가회로도이다. 이 도1에 있어서는, 종래 예를 나타낸 상기 도20과 동일한 구성부분은 동일부호로 나타낸다.
즉, 도1에 있어서, 참조부호 1은 표시패널(액티브매트릭스형 표시패널)이고, 특히 도시하지 않지만, 액정패널(1)은, 소정의 거리를 간격으로 평행하게 대향배치된 매트릭스기판, 대향기판, 및 이들 양 기판 사이에 충전된 액정을 갖는다.
매트릭스기판에는, 복수의 서로 병행인 데이터선(DL1∼DLN), 및 상기 데이터선(DL)에 교차하는 복수의 서로 병행인 게이트선(주사선)(GL1∼GLM)이 제공된다. 각 게이트선(GL)에는, 게이트선 구동회로(2)로부터, 각 게이트선(GL)에 따른 타이밍에서, ON전압(선택전압)과 OFF전압(비선택전압)을 갖는 게이트신호가 인가되고, 각 데이터선(DL)에는, 데이터선 구동회로(3)로부터, 각 데이터선(DL)에 대응하는 데이터신호(화상신호)가 인가된다.
이들 데이터선(DL)과 게이트선(GL) 사이의 각 교점에는, 화소전극 (도시 안함)과 화소 TFT(11)가 설치되어 있다. 화소전극과, 대향기판측에 제공된 후술하는 대향전극(12)에 의해 액정용량(10)이 형성된다. 액정용량(10)이 표시의 1단위로 되는 화소를 구성한다. 화소 TFT(11)는, 화소전극을 대응하는 데이터선(DL)에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화소전극에의 데이터신호의 기입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화소 TFT(11)에 있어서, 그 게이트전극은 게이트선(GL)에 접속되고, 그 소스전극은 데이터선(DL)에 접속되고, 그 드레인전극은 화소전극에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화소 TFT(11)의 게이트전극에 게이트선(GL)을 통해 게이트선 구동회로(2)로부터 ON전압이 인가되는 기간(기입 기간)은, 화소 TFT(11)가 ON상태(저저항의 상태)로 된다. 화소 TFT(11)가, ON상태로 되는 것으로, 데이터선 구동회로(3)로부터 데이터선(DL)에 인가된 데이터신호의 전위(전압이라고도 함)가 화소전극에도 인가되어, 화소전극의 전위는 데이터선(DL)의 전위와 동일하게 설정된다.
한편, 화소 TFT(11)의 게이트전극에 게이트선 구동회로(2)로부터 OFF전압이 인가되는 기간(유지기간)은, OFF상태(고저항의 상태)로 된다. 화소 TFT(11)가, OFF상태로 되는 것으로, 화소전극의 전위는 기입시에 인가된 전위로 유지된다.
액정패널(1)을 구성하는 또 하나의 기판인 대향기판에는, 액정용량(10)의 다른 전극으로 되는 대향전극(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대향전극(12)은, 대향기판의 전면에 제공되고, 전화소에 공통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향전극(12)에는, 상기 매트릭스기판의 주변에 설치된 공통단자(도시 안함)를 통해 매트릭스기판 측으로부터 적절한 공통전압이 인가된다.
액정용량(10)에는, 화소전극의 전위와, 대향전극의 전위와의 차(전위차)에 상당하는 전압이 인가된다. 액정용량(10)에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함으로써, 액정의 광투과율을 제어하여, 화상의 표시가 가능해진다.
그리고, 액정패널(1)에 있어서도, 도20의 액정패널(100)과 동일하게, 복수의 데이터선(DL), 여기서는 2개의 데이터선(DL)이 집속되어 1개화되고, 2개1조로 데이터선 구동회로(3)의 1개의 출력신호선(D)에 접속되어 있다. 여기까지의 구성은, 도20의 액정패널(100)과 동일하다.
액정패널(1)과 액정패널(100) 사이의 차이는 데이터선 절환회로(4)에 있다. 데이터선 절환회로(4)는, 데이터선 구동회로(3)로부터의 신호의 출력전으로 되는 데이터선(DL)을, 조를 이루는 데이터선(DL) 사이에서 절환하는 회로이다.
종래의 액정패널(100)에 있어서의 데이터선 절환회로(101)에서는, 각 데이터선(DL)마다 제공되는 스위칭부는, 1개의 데이터선 선택 TFT(13)로 구성되어 있다(도20 참조). 이에 대하여,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의 액정패널(1)의 데이터선 절환회로(4)에서는, 각 데이터선(DL)마다 제공된 스위칭부는, 서로 병렬로 접속된 복수개의 데이터선 선택 TFT(13)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는, 병렬접속이고, 또한, 서로 독립하여 구동가능한 2개의 데이터선 선택 TFT(13)로, 1개의 스위칭부가 구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데이터선 구동회로(3)의 출력신호선(D1)에, 제1 조를 이루는 데이터선(DL1)과 데이터선(DL2)이 접속됨에 있어서, 데이터선(DL1)은, 서로 병렬인 2개의 데이터선 선택 TFT(13-1aα·13-1aβ)를 통해 접속되고, 데이터선(DL2)은 서로 병렬인 2개의 데이터선 선택 TFT(13-1bα·13-1bβ)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또한, 출력신호선(D2)에, 제2 조를 이루는 데이터선(DL3)과 데이터선(DL4)이 접속됨에 있어서, 데이터선(DL2)은, 서로 병렬인 2개의 데이터선 선택 TFT(13-2aα·13-2aβ)를 통해 접속되고, 데이터선(DL4)은 서로 병렬인 2개의 데이터선 선택 TFT(13-2bα·13-2bβ)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이하 동일하게 하여, 도면에 있어서는, 데이터선(DL)의 총수 N=10이기 때문에, 2개1조의 데이터선군이, 제1∼제5까지의 5조 형성함에 있어서, 합계 20개의 데이터선 선택 TFT(13)이 설치되어 있다. 또, 이에 있어서도, 데이터선 절환회로(4)를 구성하는 데이터선 선택 TFT(13)는, 액정패널(1)을 구성하는 매트릭스기판상에 화소 TFT(11)와 동일 공정에서 조입된다.
데이터선 절환회로(4)를 구성하는 이들 20개의 데이터선 선택 TFT(13)중, 홀수번째의 데이터선(DL1, DL3, ···DL9)에 접속된 데이터선 선택 TFT (13-1aα·13-1aβ, 13-2aα·13-2aβ, … 13-5aα·13-5aβ)의 10개가 a 계통이다.
그리고, 이들 10개의 a 계통에 속하는 데이터선 선택 TFT중, α가 첨부된 데이터선 선택 TFT(13-1aα, 13-2aα, ···13-5aα)의 5개가 a(α) 계통이고, 서로의 게이트전극이 게이트선(Gaα)에 접속되어 있고, 스위칭부 구동회로(5)로부터 게이트선(Gaα)에 공급되는 데이터선 선택신호에 의해 그 개폐가 제어된다.
또한, β가 첨부된 데이터선 선택 TFT(13-1aβ, 13-2aβ, ···13-5aβ)의 5개가, a(β) 계통이고, 서로의 게이트전극이 게이트선(Gaβ)에 접속되어 있고, 스위칭부 구동회로(5)로부터 게이트선(Gaβ)에 공급되는 데이터선 선택신호에 의해 그 개폐가 제어된다.
동일하게, 짝수번째의 데이터선(DL2, DL4, ···DL10)에 접속된 데이터선 선택 TFT(13-1bα·13-1bβ, 13-2bα·13-2bβ, . . . 13-5bα·13-5bβ)의 10개가 b 계통이다.
그리고, 이들 10개의 b 계통에 속하는 데이터선 선택 TFT중, α가 첨부된 데이터선 선택 TFT(13-1bα, 13-2bα, ···13-5bα)의 5개가 b(α) 계통이고, 서로의 게이트전극이 게이트선(Gbα)에 접속되고, 스위칭부 구동회로(5)로부터 게이트선(Gbα)에 공급되는 데이터선 선택신호에 의해 그 개폐가 제어된다.
또한, β가 첨부된 데이터선 선택 TFT(13-1bβ, 13-2bβ, ···13-5bβ)의 5개가, b(β) 계통이고, 서로의 게이트전극이 게이트선(Gbβ)에 접속되어 있고, 스위칭부 구동회로(5)로부터 게이트선(Gbβ)에 공급되는 데이터선 선택신호에 의해 그 개폐가 제어된다.
도2에, 게이트선(Gaα∼Gbβ)에 데이터선 선택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칭부 구동회로(5)의 구성을 나타낸다.
스위칭부 구동회로(5)는, 4개의 레벨시프터회로(5a∼5d)로 이루어진다. 각 레벨시프터회로(5a∼5d)에는 각각, 구동제어회로(6)로부터 스위치신호(SW1∼SW4가) 입력된다. 입력된 스위치신호(SW1∼SW4)는, 각 레벨시프터회로(5a∼5d)의 제1 입력단자(IN01)에 인가된 ON전압(VDSH), 또는, 제2 입력단자(IN02)에 인가된 OFF전압(VDSL)으로 레벨변환된다. 여기서, ON전압(VDSH)은, 데이터선 선택 TFT(13)을 ON시키는 전압이고, OFF전압(VDSL)은, 데이터선 선택 TFT(13)을 OFF시키는 전압이다.
변환된 출력은, 레벨시프터회로(5a∼5d)의 각 출력단자(OUT)로부터, 각 출력단자(OUT)에 접속된 게이트선(Gaα∼Gbβ)에, 데이터선 선택신호로서 출력된다.
즉, 레벨시프터회로(5a)에는, 스위치신호(SW1)가 입력되고, 이에 의해, a(α)계통의 데이터선 선택 TFT(13)를 제어하는 구동신호인 데이터선 선택신호가 형성되어, 출력단자(OUT)로부터 출력된다. 동일하게, 레벨시프터회로회로(5b)에는, 스위치신호(SW2)가 입력되고, 이에 의해, a(β)계통의 데이터선 선택 TFT(13)의 구동신호인 데이터선 선택신호가 형성되어, 출력단자(OUT)로부터 출력된다. 이하, 동일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동일한 출력신호선(D)에 접속된 2개의 데이터선(DL)은 동시에 구동되지 않고, 게이트선(GL)에 ON전압이 인가되는 기간(1수평기간)을 2개의 페이즈로 나누어, 각 페이즈에 있어서, 데이터선 절환회로(4)의 a 계통 또는 b 계통 중, 어느 1계통의 데이터선 선택 TFT(13)이 ON된다. 그리고 이 경우, a 계통의 데이터선 선택 TFT(13)는, 각각 a(α)계통과 a(β)계통의 2개씩 구비되고, 또한, b 계통의 데이터선 선택 TFT(13)도, 각각 b(α) 계통과 b(β) 계통의 2개씩 구비된 구성이다. 따라서, a 계통이 선택되는 페이즈에 있어서는, a(α)계통 또는 a(β) 계통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고, 동일하게, b 계통이 선택되는 페이즈에 있어서는, b(α) 계통 또는 b(β) 계통중 어느 하나가 선택된다.
도3에, 상기 액정표시장치의 액정패널(1)에 인가되는 구동신호(수직동기신호, 데이터신호, 게이트선(Gaα∼Gbβ)에 인가되는 데이터선 선택신호,게이트선(GL1)∼게이트선(GLM)에 인가되는 게이트신호)의 파형을 나타낸다. 또, 여기서 사용된 화소 TFT(11) 및 데이터선 선택 TFT(13)은, 모두 n채널 FET로 동일하고, 정전압에서 ON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게이트선(GL)의 총수 M=8로 했다.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는, 1개째의 게이트선(GL1)에 ON전압이 인가될 때, 상기 ON전압의 인가기간인 선택기간(1수평기간에 상당)을 2개의 페이즈로 나누어, 최초의 페이즈에서 데이터선 절환회로(4)의 a(α) 계통의 데이터선 선택 TFT(13)가 ON되고(게이트선(Gaα)에 인가되는 데이터선 선택신호에 의해), 다음 페이즈에서 데이터선 절환회로(4)의 b(α) 계통의 데이터선 선택 TFT(13)가 ON된다(게이트선(Gbα)에 인가되는 데이터선 선택신호에 의해).
그리고, 계속해서 2개째의 게이트선(GL2)에 ON전압이 인가될 때는, 최초의 페이즈에서 데이터선 절환회로(4)의 a(β)계통의 데이터선 선택 TFT(13)이 ON되고(게이트선(Gaβ)에 인가되는 데이터선 선택신호에 의해), 다음 페이즈에서 데이터선 절환회로(4)의 b(β) 계통의 데이터선 선택 TFT(13)가 ON된다(게이트선(Gbβ)에 인가되는 데이터선 선택신호에 의해).
3개째의 게이트선(GL3) 이후는, 이것의 반복으로, 즉, 3개째의 게이트선(GL3)은, 게이트선(GL1)과 동일하게 최초의 페이즈에서 a(α)계통의 데이터선 선택 TFT(13)가 ON되고, 다음 페이즈에서 b(α) 계통의 데이터선 선택 TFT(13)가 ON되며, 4개째의 게이트선(GL4)은, 게이트선(GL2)과 동일하게 최초의 페이즈에서 a(β) 계통의 데이터선 선택 TFT(13)가 ON되고, 다음 페이즈에서 b(β)계통의 데이터선 선택 TFT(13)이 ON된다.
이와 같이, 데이터선 구동회로(3)의 출력신호선(D)과 각 데이터선(DL) 사이에 제공되는 스위칭부의 데이터선 선택 TFT(13)를 서로 병렬로 2개 구비하여 둠으로써, 데이터선 선택 TFT(13)이 구동되는 회수는, 데이터선 선택 TFT(13)가 각 데이터선(DL)에 1개 구비되어 있는 구성의 경우의 1/2로 감소될 수 있다.
그 결과, 데이터선 구동회로(3)의 출력신호선(D)의 수를 감소시켜, 데이터선 구동회로(3)를 소형으로 한 구성에 있어서, 데이터선 선택 TFT(13)의 사이즈를 크게 하지 않고, 데이터선 선택 TFT(13)의 장기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액정표시장치의 장기신뢰성을 얻을 수 있다.
또, 도3에 있어서는, 스위칭부를 구성하는 2계통(α계통과 β계통)의 데이터선 선택 TFT(13)의 구동을, 1수평기간마다 교대로 구동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장기신뢰성은, 2계통의 데이터선 선택 TFT(13) 사이에서 필요한 구동회수를 나누어, 각 데이터선 선택 TFT(13)에 있어서의 구동회수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각 계통에 있어서의 데이터선 선택 TFT(13)의 구동의 순서는 문제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는, 데이터선(DL)을 2개1조로 하고, 1개의 데이터선(DL)에 접속되는 데이터선 선택 TFT(13)의 수도 2개로 하였다. 그러나, 데이터선(DL)을 X개1조(여기서는, X= 2)로 하여 집속함으로써, 데이터선 구동회로(3)의 출력신호선(D)의 개수를 1대1 접속의 경우에 대하여 1/X개에까지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1개의 데이터선(DL)에 접속되는 서로 병렬인 관계에 있는데이터선 선택 TFT(13)도 Y개(여기서는, Y=2) 구비하여 둠으로써, 데이터선 선택 TFT(13)가 구동되는 회수를, 데이터선 선택 TFT(13)이 각 데이터선(DL)마다 1개만 구비되고 있는 경우의 1/Y에까지 감소시킬 수 있다.
도4, 도5에, 변형예로서, 1개화하는 데이터선(DL)의 개수 X를 2로 하고, 1개의 데이터선(DL)에 접속되는 복수개의 데이터선 선택 TFT(13)의 개수 Y를 3으로 한 경우의 데이터선 절환회로(8), 및 X를 3으로 하고, Y를 2로 한 경우의 데이터선 절환회로(9)를 나타낸다. 또, 도4, 도5에 있어서는, 편의상, 데이터선 구동회로(3)에 있어서의 출력신호선(D1)에 의해 구동되는 데이터선(DL)에 관해서만 나타낸다.
도4의 데이터선 절환회로(8)에서는, 데이터선 구동회로(3)의 출력신호선(D1)에 접속된 2개의 데이터선(DL1 ·DL2)중, 데이터선(DL1)의 스위칭부를 구성함으로써, 데이터선 선택 TFT(13-1aα·13-1aβ·13-1aγ)가 구비되고, 데이터선(DL2)의 스위칭부를 구성하는 것으로서, 데이터선 선택 TFT(13-1bα·l3-1bβ·13-1bγ)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도5의 데이터선 절환회로(9)에서는, 데이터선 구동회로(3)의 출력신호선(D1)에 접속된 3개의 데이터선(DL1·DL2·DL3)중, 데이터선(DL1)의 스위칭부를 구성하는 것으로서, 데이터선 선택 TFT(13-1aα·13-1aβ)가 구비되고, 데이터선(DL2)의 스위칭부를 구성하는 것으로서, 데이터선 선택 TFT(13-1bα·13-1bβ)가 구비되고, 데이터선(DL3)의 스위칭부를 구성하는 것으로서, 데이터선 선택 TFT(13-1cα·13-1cβ)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데이터선 절환회로(8·9)의 각 데이터선 선택 TFT(13)을 구동하는 스위칭부 구동회로(5')로서는, 동일한 구성으로 실현된다. 즉, 도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도3에 도시된 4개의 레벨시프터회로(5a∼5d)를 구비한 구성에, 더욱, 2개의 레벨시프터회로(5e·5f)를 추가하여, 합계 6개의 레벨시프터회로(5a∼5f)로 구성하면 좋다. 추가한 2개의 레벨시프터회로(5e·5f)의 구동제어용으로, 구동제어회로(6)로부터는 더욱 스위치신호(SW5·SW6)가 입력된다.
또, 도6에 있어서는, 레벨시프터회로(5a∼5f)의 각 출력단자(OUT)에 접속되는 게이트선으로서, 도5에 나타낸 데이터선 절환회로(9)의 6개의 게이트선(Gaα∼Gcβ)을 나타내고, 괄호기입에 의해, 도4에 나타낸 데이터선 절환회로(8)의 6개의 게이트선(Gaα∼Gbγ)을 나타낸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1개의 데이터선(DL)에 접속되는 서로 병렬인 관계에 있는 복수의 데이터선 선택 TFT(13)은, 서로 독립하여 구동되는 구성으로 하고, 또한, 복수의 데이터선 선택 TFT(13)중의 1개가 택일적으로 구동되는 구성으로 하였다. 그러나, 이는 어디까지나 하나의 실시예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의 범주에는, 1개의 데이터선(DL)에 병렬접속된 복수의 데이터선 선택 TFT(13)가, 모두 동시에 구동되는 구성이나, 1개의 데이터선(DL)에 병렬접속되고, 독립구동가능한 복수의 데이터선 선택 TFT(13)중의 복수의 것을 선택하여 구동시키는 구성 등도 포함된다.
그런데, 도1의 등가회로도에 있어서는, 액정패널(1)의 상대(相對)하지 않은 2변의 측단부에, 데이터선 구동회로(3)와, 게이트선 구동회로(2) 및 스위칭부 구동회로(5)를 제공한 구성을 나타낸다. 물론, 이러한 회로배치로 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본 실시예의 액정표시장치에서는, 실제는, 도7에 나타낸 바와 같이,액정패널(1)에 있어서의 4변중의 1변의 측단부에, 데이터선 구동회로(3), 게이트선 구동회로(2), 및 스위칭부 구동회로(5)(5')가 탑재되어 있다.
도7에서는, 데이터선 구동회로(3)의 1개의 출력신호선(D)에 1개의 데이터선(DL)이 접속되는 구성에서는 2개 필요하던 데이터선 구동회로(3)가, 2개1조로 접속함으로써 1개로 끝나도록 되어, 불필요하게 된 데이터선 구동회로(3)의 배치스페이스에, 게이트선 구동회로(2)와 스위칭부 구동회로(5)(5')가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액정패널(1)의 1변측에 액정패널(1)의 데이터선 구동회로(3)나 게이트선 구동회로(2) 등의 각 구동회로류를 정리하여 탑재시키는 것으로, 표시영역(1a)의 외주부인 액자부를 1변을 제외한 3변에 있어서 좁게 할 수 있어, 액자부에서의 2변의 폭이 넓은 구성에 비해, 상품의 디자인 설계의 자유도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키고, 휴대전화 등의 기기에 보다 바람직한 것으로 된다. 또, 도면에 있어서, 부재번호 7로 나타낸 것은, 클록신호나 스타트 펄스신호 등의 제어신호나, 데이터신호, 전원 전압, 상기한 스위칭부 구동회로(5)(5')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신호(SW1∼SW4) 등을 입력하는 FPC이다.
또한, 도7에서는, 액정패널(1)을 구성하는 한 쌍의 기판중의 데이터선(DL) 등이 형성된 매트릭스기판측에, 데이터선 구동회로(3), 게이트선 구동회로(2), 및 스위칭부 구동회로(5)가 제공된 구성을 채용하고 있고,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액정패널(1)에 대하여 구동회로류를 외부에 부착하는 구성에 비해, 실장스페이스를 보다 콤팩트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협액자화(狹額緣化)를 도모할 수 있다.또, 데이터선 구동회로(3), 게이트선 구동회로(2), 및 스위칭부 구동회로(5)(5')의 적어도 1개를 제공하여도 효과는 있다.
매트릭스기판에 데이터선 구동회로(3)나 게이트선 구동회로(2), 스위칭부 구동회로(5)(5')를 제공하는 구성의 경우, LPS, CG 실리콘 등에 의해 액티브매트릭스 기판상에 직접 조입하는, 소위 드라이버 모노리틱형으로 해도, 또는, 비정질 실리콘의 경우와 같이, 각 구동회로를 LSI로 형성하여, TAB, COG에 의해 매트릭스기판에 설치하는 형태로 해도 좋다.
또, 스위칭부 구동회로(5)(5')를 게이트선 구동회로(2)에 탑재시키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게이트선 구동회로(2)는, 화소 TFT(11)의 게이트선(GL)을 구동시키기 위해, 내부에 레벨시프터회로를 갖는다. 따라서, 데이터선 선택 TFT(13)의 게이트선(Ga∼GLd)을 구동하기 위한 레벨시프터회로로 이루어지는 스위칭부 구동회로(5)(5')는, 게이트선 구동회로(2)내에, 대폭적인 제조공정의 변경 등을 따르지 않고 조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위칭부 구동회로(5)(5')를 게이트선 구동회로(2)내에 조입함으로써, 액자부에 설치해야 할 회로의 개수가 더욱 감소되기 때문에, 액자부에서의 점유면적이 보다 감소되고, 그 만큼 액자부의 레이아웃성이 양호하게 되어, 협액자화를 진행시킬 수 있다. 또한, 게이트선 구동회로(2)나 게이트선 구동회로(3) 등의 구동회로가 외부부착되는 구성이어도, 이에 의해, 스위칭부 구동회로(5)(5')를 액정패널(1)에 접속하는 공정이 필요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제조비용의 절감도 가능해진다.
그리고, 스위칭부 구동회로(5)(5' )를 게이트선 구동회로(2)내에 조입하는 것에 있어서, 데이터선 선택신호의 ON전압(VDSH) 및 OFF전압(VDSL)을, 게이트선(GL)에 공급되는 게이트신호의 ON전압(VGLH) 및 OFF전압(VGLL)과 동일하게 하는 구성도 고려되지만, 데이터선 선택 TFT(13)만의 전원라인을 제공하여, 데이터선 선택신호의 ON전압(VDSH)과 OFF전압(VDSL)을 설정하는 구성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데이터선 선택 TFT(13)의 ON전압(VDSH)을, 화소 TFT(11)의 ON전압(VGLH)보다 낮게 할 수 있고, 구동회수가 많은 데이터선 선택 TFT(13)의 신뢰성향상을, 선택전압을 감소시키는 것으로부터도 도모할 수 있다. 또, 이 점들에 관해서는, 후술하는 실시예 2, 3에 의해 설명한다.
〔실시예 2〕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8∼도14에 따라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도8은, 본 실시예의 액티브매트릭스형 액정표시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등가회로도이고, 종래 예를 나타낸 도20과 동일한 구성부분은 동일부호로 나타낸다.
도8에 나타낸 본 실시예의 액정표시장치와, 도20에 나타낸 종래의 액정표시장치의 제1 차이는, 도20의 액정표시장치에서는, 게이트선(Ga,Gb)에 데이터선 선택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칭부 구동회로(102)가, 게이트선 구동회로(200)와는 별도로 제공되고 있던 것에 대하여, 도8의 액정표시장치에서는, 게이트선(Ga,Gb)에 데이터선 선택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칭부 구동회로는, 게이트선 구동회로(22)내에 탑재되어, 게이트선 구동회로(22)로부터, 데이터선 선택신호가 출력되는 점이다. 이하,상세히 설명한다.
도8에 있어서, 부재번호 100은 표시패널(액티브매트릭스형 표시패널)이고, 특히 도시하지 않지만, 액정패널(100)은, 소정의 거리를 사이를 두어 평행하게 대향배치된 매트릭스기판, 대향기판, 및 이들 양 기판 사이에 충전된 액정을 갖는다.
매트릭스기판에는, 복수의 서로 병행인 데이터선(DL1∼DLN), 상기 데이터선(DL)에 교차하는 복수의 서로 병행인 게이트선(주사선)(GL1∼GLM)이 제공된다. 각 게이트선(GL)에는, 게이트선 구동회로(22)로부터, 각 게이트선(GL)에 따른 타이밍에서, ON전압과 OFF전압을 갖는 게이트신호가 인가되고, 각 데이터선(DL)에는, 데이터선 구동회로(3)로부터, 각 데이터선 DL에 대응하는 데이터신호(화상신호)가 인가된다.
이들 데이터선(DL)과 게이트선(GL) 사이의 각 교점에는, 화소전극(도시 안함)과 화소 TFT(11)가 배치되어 있다. 화소전극과, 대향기판측에 제공된 후술하는 대향전극(12)에 의해 액정용량(10)이 형성된다. 액정용량(10)이 표시의 1단위로 되는 화소를 구성한다. 화소 TFT(11)는, 화소전극을 대응하는 데이터선(DL)에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화소전극에의 데이터신호의 기입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화소 TFT(11)에 있어서, 그 게이트전극은 게이트선(GL)에 접속되고, 그 소스전극은 데이터선(DL)에 접속되고, 그 드레인전극은 화소전극에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화소 TFT(11)의 게이트전극에 게이트선(GL)을 통해 게이트선 구동회로(22)로부터 ON전압이 인가되는 기간(기입 기간)은, 화소 TFT(11)가 ON상태(저저항의 상태)로 된다. 화소 TFT(11)가, ON상태로 됨으로써, 데이터선 구동회로(3)로부터 데이터선(DL)에 인가된 데이터신호의 전위(전압이라고 함)가 화소전극으로 인가되어, 화소전극의 전위는 데이터선(DL)의 전위와 동일하게 설정된다.
한편, 화소 TFT(11)의 게이트전극에 게이트선 구동회로(22)로부터 OFF전압이 인가되는 기간(유지기간)은, OFF상태(고저항의 상태)로 된다. 화소 TFT(11)가, OFF상태로 됨으로써, 화소전극의 전위는 기입시에 인가된 전위로 유지된다.
액정패널(100)을 구성하는 또 하나의 기판인 대향기판에는, 액정용량(10)의 다른 전극으로 되는 대향전극(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대향전극(12)은, 대향기판의 전면에 제공되고, 전화소에 공통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향전극(12)에는, 상기 매트릭스기판의 주변에 설치된 공통단자(도시 안함)를 통해 매트릭스기판 측으로부터 적절한 공통전압이 인가된다.
액정용량(10)에는, 화소전극의 전위와, 대향전극의 전위와의 차(전위차)에 상당하는 전압이 인가되는 것으로 된다. 액정용량(10)에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함으로써, 액정의 광투과율을 제어하여, 화상의 표시가 가능해진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도, 매트릭스기판상에 형성된 상기 복수의 데이터선(DL)과, 이들을 구동하는 데이터선 구동회로(3)와의 접속부분에, 데이터선 절환회로(101)가 제공된다.
데이터선 절환회로(101)는, 데이터선 선택 TFT(13)과 데이터선 선택 TFT(13)을 통해 복수의 데이터선(DL)을 1조로서 결선하는 입력신호선으로 구성되어 있다. 데이터선 절환회로(101)는, 데이터선 구동회로(3)로부터 출력신호선(D)를 통해 출력되는 데이터신호의 출력전으로 되는 데이터선(DL)을, 데이터선(DL)이 속하는 조내에서 절환한다.
각 데이터선(DL)에는, 스위칭부를 구성하는 데이터선선택 TFT(스위칭소자) (13)가 제공되고, 각 데이터선(DL)은, 상기 데이터선 선택 TFT(13)를 통해 복수를 1조로 하여 1개화되고, 1개화된 상태로 데이터선 구동회로(3)의 대응하는 출력신호선(D)과 접속되어 있다. 이 복수의 데이터선(DL)이 스위칭부인 데이터선 선택 TFT(13)을 통해 결선되어 1개화되어 있는 부분이 입력신호선으로 된다.
이 도면에서는, 데이터선(DL)은 2개1조로 집속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데이터선 구동회로(3)의 출력신호선(D1)에, 제1 조를 이루는 데이터선(DL1)과 데이터선(DL2)이, 데이터선 선택 TFT(13-1a·13-1b)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또한, 출력신호선(D2)에, 제2 조를 이루는 데이터선(DL3)과 데이터선(DL4)이, 데이터선 선택 TFT(13-2a·13-2b)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이하 동일하게 하여, 도면에 있어서는, 데이터선(DL)의 총수 N=10이기 때문에, 이러한 2개1조의 데이터선군이, 제1∼제5까지의 5조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10개의 데이터선 선택 TFT(13)중, 홀수번째의 데이터선(DL)에 접속된 데이터선 선택 TFT(13-1a, 13-2a, 13-3a, …)의 a 계통은, 서로의 게이트전극이 게이트선(Ga)에 접속되고, 게이트선(Ga)에 공급되는 데이터선 선택신호에 의해 그 개폐가 제어된다. 한편, 짝수번째의 데이터선(DL)에 접속된 데이터선 선택 TFT(13-1b, 13-2b, 13-3b …)의 b 계통은, 서로의 게이트전극이, 게이트선(Gb)에 접속되고, 게이트선(Gb)에 공급되는 데이터선 선택신호에 의해 그 개폐가 제어된다. 게이트선(Ga,Gb)에 공급되는 데이터선 선택신호도, 주사신호인 게이트신호와동일하게, ON전압과 OFF전압을 갖는 신호이다.
여기서도, 데이터선 절환회로(101)를 구성하는 데이터선 선택 TFT(13)는, 액정패널(100)을 구성하는 매트릭스기판상에, 화소 TFT(11)와 동일 공정에 의해 조입된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는, 데이터선 절환회로(101)의 데이터선 선택 TFT(13)을 구동시키기 위한 데이터선 선택신호는, 게이트선 구동회로(22)로부터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도9에, 게이트선 구동회로(22)의 구성을 나타낸다. 게이트선 구동회로(22)는, 게이트선(GL)에 게이트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시프트 레지스터군(22a), 레벨시프터군(22b), 출력회로(22c)를 포함하고, 이에 부가하여, 데이터선 선택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스위칭부 구동회로(25)를 포함한다.
시프트 레지스터군(22a)은, 액정구동출력의 전송회로에 있어서, 스타트 펄스신호(SP)가 입력되면, 그 1비트의 신호를 클록신호(CK)에 따라서, 시프트 레지스터군(22a)으로부터 레벨시프터군(22b)으로 입력되는 각 출력에도 전송한다.
레벨시프터군(22b)은, 복수의 레벨시프터회로로 이루어지고, 시프트 레지스터군(22a)으로부터 전송된 액정구동출력신호를, 게이트선 구동회로(22)외부로부터 입력된, 화소 TFT(11)의 ON전압(VGLH), 또는 OFF전압인 VGLL로 레벨변환한다.
출력회로(22c)는, 출력버퍼로 구성되고, 레벨시프터군(22b)에 있어서 레벨변환된 액정구동출력을 출력하는 회로이다. 출력회로(22c)로부터, 액정패널(1)에 있어서의 게이트선(GL)을 구동하는 게이트신호가 출력된다.
게이트선 구동회로(22)에는, 화소 TFT(11)의 게이트선(GL)을 구동하기 위해, 내부에 레벨시프터회로가 포함된다. 따라서, 동일하게 레벨시프터회로로 이루어지는 스위칭부 구동회로(25)를, 상기 게이트선 구동회로(22)내부에 조입하는 것은, 게이트선 구동회로(22)의 제조공정에 대폭적인 변경 등을 따르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스위칭부 구동회로(25)가 게이트선 구동회로(22)내에 탑재되어, 부품점수가 감소됨으로써, 액자부에서의 점유면적이 보다 감소되고, 그 만큼 액자부의 레이아웃성이 양호해져, 협액자화를 진행시킬 수 있다. 또한, 게이트선 구동회로(22)나 데이터선 구동회로(3) 등의 구동회로가 외부에 부착된 구성이어도, 스위칭부 구동회로(25)를 액정패널(1)에 접속하는 공정이 필요없게 되기 때문에, 제조비용의 절감도 가능해진다.
그런데, 이와 같이 스위칭부 구동회로(25)를 게이트선 구동회로(22)내에 탑재시키는 것에 있어서, 데이터선 선택 TFT(13)의 ON전압(VDSH) 및 OFF전압(VDSL)을, 화소 TFT(11)의 ON전압(VGLH) 및 OFF전압(VGLL)과 동일하게 하는 구성도 고려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액정표시장치에서는, 도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소 TFT(11)의 ON전압(VGLH) 및 OFF전압(VGLL)과는 별도로, 데이터선 선택 TFT(13)만의 전원라인을 제공하여, 데이터선 선택 TFT(13)의 ON전압(VDSH) 및 OFF전압(VDSL)을 설정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는 것은, 데이터선 선택 TFT(13)을 보다 적절히 기능시키기 위해서이고, 또한, 데이터선 절환회로(101)에 있어서의 데이터선 선택 TFT(13)의 스위칭특성의 신뢰성을 향상시켜, 장기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이다.
화소 TFT(11)와 데이터선 선택 TFT(13)는, 서로 기능이 다르기 때문에, 각각 적절한 ON전압도 다르다. 예컨대, 화소 TFT(11)의 ON전압은, 화소전극에의 충전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는 전압으로 설정되고, 일방의 데이터선 선택 TFT(13)의 ON전압은, 데이터선 구동회로(3)로부터 공급된 데이터신호를, 접속된 데이터선(DL)으로 양호하게 공급할 수 있는 전압으로 설정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게이트선 구동회로(22)를 복수의 ON전압을 설정가능한 구성으로 하여 두고, 화소 TFT(11)와 데이터선 선택 TFT(13) 각각에 있던 ON전압으로 함으로써, 데이터선 선택 TFT(13)를 보다 적절히 기능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보다 바람직한 구성으로서, 화소 TFT(11)와 데이터선 선택 TFT(13)의 각 ON전압(그 절대치)을 다르게 함에 있어서, 데이터선 선택신호의 ON전압을, 주사신호의 ON전압보다 작게 하고 있다. 이에 의해, 데이터선 절환회로(101)에 있어서의 데이터선 선택 TFT(13)의 스위칭특성의 신뢰성을 향상시켜, 장기신뢰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데이터선 절환회로(101)에 있어서의 스위칭부를 구성하는 스위칭소자로서는, 화소 TFT(11)와 동일 공정으로 형성할 수 있는 등의 이점에 의해 TFT가 사용되지만, 화소 TFT(11)의 구동회수에 비해, 데이터선 선택 TFT(13)의 구동회수는 압도적으로 많다. 그 때문에, 통상사이즈의 비정질 TFT(채널부분의 반도체층에 비정질 실리콘을 사용한 TFT)에서는 화소 TFT(11)로서는 충분하여도, 구동회수가 많은데이터선 선택 TFT(13)로서 사용한 경우에는, 사용도중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선 선택 TFT(13)의 스위칭특성의 신뢰성이 저하하여, 표시장치로서 장기간에 걸쳐 사용하는 것에 있어서 문제가 된다.
또, TFT의 장기신뢰성은, TFT의 채널폭을 크게 함으로써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그렇지만, 채널폭을 크게 하면, 폭이 넓게 된 만큼, 소비전력이 증가하고, 또한, TFT 사이즈도 대형화되기 때문에, TFT가 제공되는 매트릭스기판을 확대할 필요도 있고, 또,기생용량의 증가에 의한 출력신호(화상신호)의 인입(引??)의 문제도 발생한다. 그 때문에, 채널폭을 크게 하는 것에 의해, 장기신뢰성을 확보하는 방법은 바람직하지 않다.
본 실시예의 액정표시장치에서는, 이러한 장기신뢰성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서, 데이터선 선택 TFT(13)만의 전원라인을 제공하여, 데이터선 선택 TFT(13)의 ON 전압을, 화소 TFT(11)의 ON 전압보다 낮게 설정하여 낮춤으로써, 구동회수가 많은 데이터선 선택 TFT(13)의 신뢰성향상을 도모하고 있다.
요컨대, 화소 TFT(11)는, 화소전극으로의 충전성을 좋게 하기 위해서, 높은 ON 전압을 필요로 하지만, 데이터선 선택 TFT(13)는, 데이터선 구동회로(3)의 출력신호선(D)으로부터 공급된 데이터신호를, 데이터선(DL)으로도 공급하면 좋기 때문에, 화소 TFT(11)의 ON 전압 정도로 높게 설정하지 않더라도, 그 기능을 달성할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ON 전압의 고저는 절대치이며, 데이터선 선택 TFT(13)의 ON 전압의 절대치를, 화소 TFT(11)의 ON 전압의 절대치보다 작게 하고 있다.
또, 여기서는, 데이터선 선택 TFT(13)에 있어서의 OFF 전압도, 화소 TFT(11)의 OFF 전압과는 별도로 설정하였지만, 이는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요컨대, 데이터선 선택 TFT(13)에 있어서도, 스위칭특성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서는, OFF 전압은 충분히 떨어지게 해둘 필요가 있고, OFF 전압은, 화소 TFT(11)의 OFF 전압과 동일한 정도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도13에 도시된 게이트선 구동회로(22)와 같이, 데이터선 선택 TFT(13)의 OFF 전압을 화소 TFT(11)의 OFF 전압과 동일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구성은, 전원라인을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접속신뢰성이나, 배선 레이아웃에 있어서 유리하다. 또한, 전원라인이 적어지기 때문에, 그 전원 전압을 작성하는 외부 부착 회로도 불필요해져, 코스트 다운을 도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의 액정표시장치에서는,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칭부 구동회로(25)내에 레벨시프터회로(25z)를 제공하여, 데이터선 선택 TFT(13)를 스위칭할 때에, OFF 전압과 ON 전압 사이의 중간전압으로 되는 기간을 설정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도10에, 게이트선 구동회로(22)내에 탑재된 스위칭부 구동회로(25)의 구성을 도시한다.
스위칭부 구동회로(25)는, 출력단자(OUT)가, 게이트선(Ga·Gb)에 접속된 2개의 레벨시프터회로(25a·25b)와, 출력단자(OUT)가 상기 2개의 레벨시프터회로(25a·25b)의 제1 입력단자(IN01)에 접속된 레벨시프터회로(25z)로 이루어진다.
레벨시프터회로(25z)에는, 구동제어회로(26)로부터 제어신호(SSDSIG)가 입력된다. 입력된 제어신호(SSDSIG)는, 데이터선 선택 TFT(13)의 ON 전압 VDSH로 되는 기간을 정하는 신호이며, 레벨시프터회로(25z)의 제1 입력단자(INO1)에 인가된, 데이터선 선택 TFT(13)의 ON 전압 VDSH, 또는, 제2 입력단자(IN02)에 인가된 중간전위로 변환된다. 여기서는, 중간전위는 GND 레벨이다. 변환된 출력은, 레벨시프터 회로(25z)의 출력단자(OUT)로부터, 상기 출력단자(OUT)에 접속된 2개의 레벨시프터회로(25a·25b)의 각 제1 입력단자(IN01)로 입력된다.
레벨시프터회로(25a·25b)에는 각각, 구동제어회로(26)로부터 스위치신호(SW1·SW2)가 입력된다. 입력된 스위치신호(SW1·SW2)는, 각 레벨시프터회로(25a·25b)의 제1 입력단자(IN01)에 인가된, 상기 레벨시프터(25z)로부터의 출력전압(ON 전압 VDSH또는 GND 레벨), 제2 입력단자(IN02)에 인가된 데이터선 선택 TFT(13)의 OFF 전압 VDSL로 레벨변환된다. 변환된 출력은, 레벨시프터 회로(25a·25b)의 각 출력단자(OUT)로부터, 각 출력단자(OUT)에 접속된 게이트선(Ga·Gb)으로, 데이터선 선택신호로서 출력된다.
도11에, 상기 스위칭부 구동회로(25)에 있어서의, 스위치신호(SW1·SW2), 제어신호(SSDSIG), 및 게이트선(Ga·Gb)으로 출력되는 데이터선 선택신호의 파형을 도시한다.
게이트선 Ga로도 출력되는, a 계통의 데이터선 선택 TFT(13)를 제어하는 구동신호인 데이터선 선택신호는, 레벨시프터회로(25a)에 입력되는 스위치신호 SW1과, 레벨시프터(25z)에 입력되는 제어신호(SSDSIG)에 의해, OFF 전압으로부터 ON 전압으로의 절환, 및 ON 전압으로부터 OFF 전압으로의 절환으로, GND 레벨로 되는기간을 갖는 신호로 된다.
마찬가지로, 게이트선 Gb로도 출력되는, b 계통의 데이터선 선택 TFT(13)를 제어하는 구동신호인 데이터선 선택신호는, 레벨시프터회로(25b)에 입력되는 스위치신호 SW2와, 레벨시프터(25z)에 입력되는 제어신호(SSDSIG)에 의해, OFF 전압으로부터 ON 전압으로의 절환, 및 ON 전압으로부터 OFF 전압으로의 절환으로, GND 레벨로 되는 기간을 갖는 신호로 된다.
중간전압으로 되는 기간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구성에서는, OFF 전압으로부터 ON 전압으로의 전압 상승시, 및 ON 전압으로부터 OFF 전압으로의 전압 하강시, 전력공급에 의해 전위를 일시에 상승 또는 하강시키고 있었기 때문에, 중간전압의 기간을 통해 전압레벨이 절환되는 구성에 비하여 전력소비가 크고, 특히, 데이터선 선택 TFT(13)는 구동회수가 많기 때문에, 소비전력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되고 있었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예의 액정표시장치에서는, 전압레벨의 절환시에, 중간전압(여기서는 GND 레벨)으로 되는 기간이 설정되기 때문에, 전압 상승시는 OFF 전압으로부터 GND 레벨까지는 자유방전에 의해 상승하고, GND 레벨로부터 ON 전압까지를, 전력공급하여 상승하면 좋고, 전압 하강시는, ON 전압으로부터 GND 레벨까지는 자유방전에 의해 하강하고, GND 레벨로부터 OFF 전압까지를, 전력공급하여 하강하면 좋기 때문에, 전력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중간전압을 GND 레벨로 하고 있기 때문에, 중간전압에 유입되는 전류에 의한 소비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해져, 가장 효과적으로 소비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요컨대, 중간전압에 유입되는 전류에 의한 전력소비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중간전압을 작성하는 전원의 임피던스가 가능한 한 낮은 것이 요망된다. 그렇지만, 통상의 전원(예컨대 정(正)전원이나 부(負)전원)은, 다른 신호선과 비교하면, 임피던스가 낮지만, 전체 시스템 중에서 가장 임피던스가 낮다는 것은 아니다. 한편, GND는, 회로전원을 작성하는 기준전압이 되기 때문에, 다른 전압에 비해 임피던스가 매우 낮은 부위(일반적으로 전체 시스템 중에서 가장 임피던스가 낮음)가 된다. 이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이, 중간전압으로서 GND 레벨을 채용함으로써, 중간전압에 유입되는 전류에 의한 소비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11에도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선(Ga·Gb)으로 출력되는 데이터선 선택신호는, 동시에 ON 전압으로 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레벨시프터회로(25z)에 입력되는, ON 전압으로 되는 기간을 정하는 1개의 제어신호(SSDSIG)에 의해, 각 레벨시프터회로(25a·25b)의 제1 입력단자(IN01)에 공급하는 전압을, ON 전압 VDSH와 GND 레벨 사이에서 절환하여, a 및 b의 2계통의 데이터선 선택신호를 중간전압으로 되는 기간을 갖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도12에, 상기 액정표시장치의 액정패널(100)에 인가되는 구동신호(수직동기신호, 데이터신호, 게이트선(Ga·Gb)에 인가되는 데이터선 선택신호, 게이트선 GL1∼게이트선 GLM에 인가되는 게이트신호)의 파형을 도시한다. 또, 여기서 사용한 화소 TFT(11) 및 데이터선 선택 TFT(13)는, 모두 n 채널 FET와 같이, 정전압에서 ON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게이트선(GL)의 총 수 M = 8로 하였다.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는, 게이트선(GL)에 ON 전압이 인가되는 기간인 1수평기간이 2개의 페이즈로 분리되어 있고, 각 페이즈에 있어서, 게이트선(Ga·Gb)에 인가되는 중간전압기간을 갖는 데이터선 선택신호에 의해, 데이터선 절환회로(101)의 a 계통 또는 b 계통 중, 어느 1계통의 데이터선 선택 TFT(13)가 ON된다. 이에 의해, 각 조의 데이터선(DL) 중, ON된 계통의 데이터선 선택 TFT(13)에 접속되어 있는 데이터선(DL)에만 데이터선 구동회로(3)로부터의 데이터신호가 인가되고, 상기 데이터선(DL)에 접속된 화소전극에 데이터신호가 기입된다.
또, 본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는, 데이터선 DL2를 2개 1조로 하여 데이터선 구동회로(3)의 1출력에 접속하였지만, 집속되는 데이터선(DL)의 개수는, 2개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중간전압기간을 설정하는 것에 의해, 데이터선 선택 TFT(13)의 스위칭에 필요한 전력소비를 억제하는 구성은, 스위칭부 구동회로(25)가 본 실시예의 액정표시장치와 같이, 게이트선 구동회로(22)내에 탑재된 구성과의 조합에 한정되지 않고, 스위칭부 구동회로(25)를 게이트선 구동회로(22)와는 별도로 제공한 구성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지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그런데, 도8의 등가회로도에 있어서는, 액정패널(100)의 상대하지 않은 2변의 측단부에, 데이터선 구동회로(3)와, 스위칭부 구동회로(25)를 탑재한 게이트선 구동회로(22)를 제공한 구성을 도시하였다. 물론, 이러한 회로배치로 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본 실시예의 액정표시장치에서는, 실제는,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패널(100)에 있어서의 4변 중 1변의 측단부에, 데이터선 구동회로(3)와 게이트선 구동회로(22)가 탑재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14에서는, 데이터선 구동회로(3)의 1개의 출력신호선(D)에 1개의 데이터선(DL)이 접속되는 구성에서는 2개 필요하던 데이터선 구동회로(3)가, 2개 1조로 접속하는 것에 의해 1개로 완료되도록 되고, 불필요하게 된 데이터선 구동회로(3)의 배치 스페이스에, 게이트선 구동회로(22)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액정패널(100)의 1변측에 액정패널(100)의 데이터선 구동회로(3)나 게이트선 구동회로(22) 등의 각 구동회로류를 정리하여 탑재시킴으로써, 표시영역(100a)의 외주부인 액자부를 1변을 제외한 3변에서 좁게 할 수 있고, 액자부에서의 2변이 폭이 넓은 구성에 비해, 상품의 디자인 설계의 자유도를 효과적으로 향상시켜, 휴대전화 등의 기기에 의해 바람직한 것으로 된다. 또, 도면에 있어서, 부재번호 7로 나타낸 부재는, 클록신호나 스타트펄스신호 등의 제어신호나, 데이터신호, 전원 전압, 상술한 스위칭부 구동회로(5)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신호(SW1·SW2), 제어신호(SSDSIG) 등을 입력하는 FPC 이다.
또한, 도14에서는, 액정패널(100)을 구성하는 한 쌍의 기판 중 데이터선(DL) 등이 형성된 매트릭스기판측에, 데이터선 구동회로(3), 게이트선 구동회로(22)가 제공된 구성을 채용하고 있고,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액정패널(100)에 대하여 구동회로류를 외부에 부착하는 구성에 비해, 설치 스페이스를 보다 콤팩트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한층 더 협액자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데이터선 구동회로(3), 게이트선 구동회로(22)의 적어도 1개를 제공하는 것이어도 효과가 있다.
매트릭스기판에 데이터선 구동회로(3)나 게이트선 구동회로(22)를 제공하는 구성의 경우, LPS, CG 실리콘 등에 의해 매트릭스기판상에 직접 조입하는, 소위 드라이버 모노리틱형으로 하더라도, 또는, 비정질 실리콘의 경우와 같이, 각 구동회로를 LSI로 작성하고, TAB, COG에 의해 매트릭스기판에 설치하는 형태로 하더라도 좋다.
〔실시예 3〕
여기서는, 실시예 1에서 설명한, 데이터선 절환회로에 있어서의 스위칭부를, 복수의 스위칭소자로 형성하는 구성과, 실시예 2에서 설명한, 스위칭부 구동회로를 게이트선 구동회로내에 조입함과 동시에, 1개의 게이트선 구동회로에서 복수 종류의 ON 전압을 설정가능하게 하여, 스위칭부를 구동하는 데이터선 선택신호의 ON 전압과, 화소스위치를 구동하는 게이트신호의 ON 전압을 상이하게 한 구성을, 조합한 액티브매트릭스형 표시장치에 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를, 도15∼도19에 기초하여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또, 설명의 편의상, 실시예 1,2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기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15는, 본 실시예의 액티브매트릭스형 액정표시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등가회로도이다.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액정표시장치는, 도8에 도시된 실시예 2의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의 데이터선 절환회로(101)에 대신하여, 도1에 도시된 실시예 1의 액정표시장치에 탑재되어 있는 데이터선 절환회로(4)를 구비한 구성이다. 요컨대, 바꿔 말하면, 도8의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액정패널(100)에 대신하여 도1의 액정패널(1)을 구비한 구성이다. 그리고, 게이트선 구동회로(23)내에는, 스위칭부 구동회로(25)에 대신하여 스위칭부 구동회로(35)가 탑재되어 있다. 스위칭부 구동회로(35)는, 데이터선 절환회로(4)의 스위칭부를 구동하는 스위칭부 구동회로(5)를, 데이터선 선택 TFT(13)만의 전원라인을 가짐과 동시에, 중간전위를 설정가능한 구성으로 한 것이다. 이 이외의 점은, 실시예 2의 액정표시장치와 동일하다.
도16a 및 도16b에, 스위칭부 구동회로(35)를, 데이터선 선택 TFT(13)만의 전원라인을 가짐과 동시에, 중간전위를 설정가능한 구성으로 탑재한 게이트선 구동회로(23)를 2종 도시한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데이터선 선택 TFT(13)에 있어서의 OFF 전압 VDSL과, 화소 TFT(11)의 OFF 전압 VGLL은, 도16a에 도시하는 구성과 같이 별도로 설정하는 것도, 도16b에 도시하는 구성과 같이 동일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액정표시장치에서는, 데이터선 절환회로(4)를 구비한 구성으로 하고, 데이터선 구동회로(3)의 출력신호선(D)과 각 데이터선(DL) 사이에 제공하는 스위칭부를 복수의 데이터선 선택 TFT(13)로 구성함과 동시에, 데이터선 구동회로(23)내에 탑재된 스위칭부 구동회로(35)는, 데이터선 선택 TFT(13)만의 전원라인을 갖는 구성이다.
이에 의해, 실시예 1, 2에서 각각 말한 데이터선 선택 TFT(13)의 장기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상승적으로 발휘되고, 각각의 구성을 독립적으로 구비한 경우에 비해, 보다 효과적으로 데이터선 선택 TFT(13)의 스위칭특성의 장기신뢰성을 확보하여, 액정표시장치로서의 장기신뢰성을 보다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데이터선 선택 TFT(13)만의 전원라인을 갖는 구성에 가하여, 중간전위를 설정가능한 구성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전력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고 하는 효과도 더불어 도모된다.
도17에, 게이트선(Gaα∼Gbβ)에 데이터선 선택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칭부 구동회로(35)의 구성을 도시한다.
스위칭부 구동회로(35)는, 출력단자(OUT)가, 게이트선(Gaα∼Gbβ)에 접속된 4개의 레벨시프터회로(5a∼5d)와, 출력단자(OUT)가 상기 4개의 레벨시프터회로(5a∼5d)의 제1 입력단자(IN01)에 접속된 레벨시프터회로(5z)로 이루어진다.
레벨시프터회로(5z)에는, 구동제어회로(36)로부터 제어신호(SSDSIG)가 입력된다. 입력된 제어신호(SSDSIG)는, 레벨시프터회로(5z)의 제1 입력단자(INO1)에 인가된, 데이터선 선택 TFT(13)의 ON 전압 VDSH, 또는, 제2 입력단자(IN02)에 인가된 중간전위, 여기서는 GND 레벨로 레벨변환된다. 변환된 출력은, 레벨시프터회로(5z)의 출력단자(OUT)로부터, 상기 출력단자(OUT)에 접속된 4개의 레벨시프터회로(5a∼5d)의 각 제1 입력단자(IN01)에 입력된다.
레벨시프터회로(5a∼5d)에는 각각, 구동제어회로(36)로부터 스위치신호(SW1∼SW4)가 입력된다. 입력된 스위치신호(SW1∼SW4)는, 각 레벨시프터회로(5a∼5d)의 제1 입력단자(IN01)에 인가된, 상기 레벨시프터(5z)로부터의 출력전압(ON 전압 VDSH또는 GND 레벨), 제2 입력단자(IN02)에 인가된 데이터선 선택 TFT(13)의 OFF 전압 VDSL로 레벨변환된다. 변환된 출력은, 레벨시프터회로(5a∼5d)의 각 출력단자(OUT)로부터, 각 출력단자(OUT)에 접속된 게이트선(Gaα∼Gbβ)에, 데이터선 선택신호로서 출력된다.
도18에, 상기 스위칭부 구동회로(35)에 있어서의, 스위치신호(SW1∼SW4), 제어신호(SSDSIG), 및 데이터선(DLaα∼DLbβ)에 출력되는 데이터선 선택신호의 파형을 도시한다.
게이트선 Gaα로도 출력되는, a(α) 계통의 데이터선 선택 TFT(13)를 제어하는 구동신호인 데이터선 선택신호는, 레벨시프터회로(5a)에 입력되는 스위치신호 SW1과, 레벨시프터(5z)에 입력되는 제어신호(SSDSIG)에 의해, OFF 전압으로부터 ON 전압으로의 절환, 및 ON 전압으로부터 OFF 전압으로의 절환으로, GND 레벨로 되는 기간을 갖는 신호로 된다.
게이트선 Gbα로 출력되는, b(α) 계통의 데이터선 선택 TFT(13)를 제어하는 구동신호인 데이터선 선택신호는, 레벨시프터회로(5c)에 입력되는 스위치신호 SW3과, 레벨시프터(5z)에 입력되는 제어신호(SSDSIG)에 의해, OFF 전압으로부터 ON 전압으로의 절환, 및 ON 전압으로부터 OFF 전압으로의 절환으로, GND 레벨로 되는 기간을 갖는 신호로 된다.
게이트선 Gaβ로도 출력되는, a(β) 계통의 데이터선 선택 TFT(13)를 제어하는 구동신호인 데이터선 선택신호는, 레벨시프터회로(5b)에 입력되는 스위치신호 SW2와, 레벨시프터(5z)에 입력되는 제어신호(SSDSIG)에 의해, OFF 전압으로부터 ON전압으로의 절환, 및 ON 전압으로부터 OFF 전압으로의 절환으로, GND 레벨로 되는 기간을 갖는 신호로 된다.
게이트선 Gbβ로도 출력되는, b(β) 계통의 데이터선 선택 TFT(13)를 제어하는 구동신호인 데이터선 선택신호는, 레벨시프터회로(5d)에 입력되는 스위치신호 SW4와, 레벨시프터(5z)에 입력되는 제어신호(SSDSIG)에 의해, OFF 전압으로부터 ON 전압으로의 절환, 및 ON 전압으로부터 OFF 전압으로의 절환으로, GND 레벨로 되는 기간을 갖는 신호로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동일의 출력신호선(D)에 접속된 2개의 데이터선(DL)은 동시에 구동되지 않고, 게이트선(GL)에 ON 전압이 인가되는 기간(1수평기간)을 2개의 페이즈로 분리하고, 각 페이즈에 있어서, 데이터선 절환회로(4)의 a 계통 또는 b 계통 중, 어느 1계통의 데이터선 선택 TFT(13)가 ON된다. 그리고 이 경우, a 계통의 데이터선 선택 TFT(13)는, 각각 a(α) 계통과 a(β) 계통의 2개씩 구비되고, 또한, b 계통의 데이터선 선택 TFT(13)도, 각각 b(α) 계통과 b(β) 계통의 2개씩 구비된 구성이기 때문에, a 계통이 선택되는 페이즈에 있어서는, a(α) 계통 또는 a(β) 계통 중 어느 것이 선택되고, 마찬가지로, b 계통이 선택되는 페이즈에 있어서는, b(α) 계통 또는 b(β) 계통 중 어느 것이 선택되는 것으로 된다.
그리고, 도18에도 도시된 바와 같이, 이 경우도, 데이터선(Gaα∼Gbβ)에 출력되는 데이터선 선택신호는, 동시에 ON 전압으로 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레벨시프터회로(5z)에 입력되는, ON 전압으로 되는 기간을 정하는 1개의 제어신호(SSDSIG)에 의해, 각 레벨시프터회로(5a∼5d)의 제1 입력단자(IN0l)에 공급하는 전압을, ON 전압 VDSH와 GND 레벨 사이에서 절환하여, a(α)∼b(β)의 4계통의 데이터선 선택신호를 중간전압으로 되는 기간을 갖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도19에, 상기 액정표시장치의 액정패널(1)에 인가되는 구동신호(수직동기신호, 데이터신호, 게이트선(Gaα∼Gbβ)에 인가되는 데이터선 선택신호, 게이트선 GL1∼게이트선 GLM에 인가되는 게이트신호)의 파형을 도시한다. 또, 여기서 사용한 화소 TFT(11) 및 데이터선 선택 TFT(13)는, 모두 n 채널 FET와 같이, 정전압에서 ON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게이트선(GL)의 총 수 M = 8로 하였다.
또, 도19에 관해서는, 데이터선 선택신호의 ON 전압에 중간전위가 설정되어 있는 것이 상이한 이외는, 실시예 1의 도3과 기본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더 이상의 설명은 하지 않는다.
또한, 실시예 1,2의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나타낸 변형예 등을, 실시예 3의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데이터선 절환회로는, 주사선과, 상기 주사선과 교차하는 복수의 데이터선이 형성된 액티브매트릭스형 표시패널의 데이터선 절환회로이며, 상기 데이터선의 신호입력측에 데이터선마다 설치된 스위칭부와, 상기 스위칭부를 통해 복수의 데이터선을 1조로 하여 결선하는 입력신호선을 포함하고, 상기 조를 이루는 복수의 데이터선의 각 스위칭부가 택일적으로 구동되는 것에 의해, 입력신호선으로부터 입력된 데이터신호를, 조를 이루는 복수의 데이터선으로 분리하여 입력시키고, 또한, 상기 스위칭부가, 서로 병렬로 접속된 복수의 스위칭소자로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이에 의해, 스위칭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소자를 적절히 구동시킴으로써, 1개의 소자로 구성되어 있던 종래의 스위칭부에 비해 장기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장기신뢰성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복수의 소자로 형성하여 스위칭부의 장기신뢰성을 향상시키는 구성은, 스위칭부를 어디까지나 1개의 소자로 형성하여 소자사이즈를 크게 함으로써 장기신뢰성을 향상시키는 구성과 비교하여, 동일한 정도의 장기신뢰성이 얻어지는 경우에 있어서의 1개의 스위칭부의 점유면적을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액티브매트릭스형 표시패널의 협액자화나 소형화를 저해하지 않고, 장기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데이터선 절환회로에 있어서는, 상기 스위칭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스위칭소자는, 서로 독립적으로 구동가능하게 제공되고, 상기 스위칭부가 구동되는 기간에, 선택적으로 구동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서로 병렬로 접속된 복수의 소자로서는, 복수의 소자 모두가 동시에 구동되는 구성도 고려될 수 있다. 이에 있어서는, 복수의 소자 모두를 동시에 구동시켜 놓고, 그 중 1개가 고장난 경우에, 나머지 소자에 의해 상기 스위칭부가 접속된 데이터선으로도 신호를 출력하는 것으로 된다. 그렇지만, 이 경우, 복수의 소자를 구동하기 때문에, 스위칭부의 구동에 필요한 전력이 커진다.
본 발명의 상기 구성에서는, 스위칭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소자는 서로 독립적으로 구동가능하게 제공되어 있고, 스위칭부가 구동되는 기간은, 스위칭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소자중 1개, 또는 몇 개의 소자만이 선택되어 구동되기 때문에, 스위칭부가 선택되어 구동되는 기간에 스위칭부를 구성하는 모든 소자가 구동되는 구성에 비해, 스위칭부의 구동에 필요한 전력을 작게 할 수 있다.
요컨대, 스위칭부를 서로 병렬로 접속된 복수의 소자 구성으로 하고, 복수의 소자를 적절히 구동시켜, 스위칭부의 점유면적을 확대하지 않고, 1개의 소자로 구성되어 있던 종래의 스위칭부보다 그 장기신뢰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소비전력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데이터선 절환회로에 있어서는, 또한, 상기 스위칭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스위칭소자가, 각 스위칭소자 사이에서의 구동 회수가 일치하도록 구동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스위칭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소자를 선택하여 구동하는 경우, 복수의 소자 중 임의의 특정 소자가 우선하여 구동되면, 소자의 사용빈도에 변동이 생겨, 특정한 소자가 다른 소자보다 일찍 고장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상기 구성에서는, 스위칭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소자가, 선택하여 구동됨에 있어서, 각 소자의 구동회수가 일치하도록 구동되기 때문에, 스위칭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소자를 균등하게 사용하여 각 소자의 수명을 일치시켜, 장기신뢰성을 효과적으로 연장시킬 수 있다.
요컨대, 스위칭부를 서로 병렬로 접속된 복수의 소자 구성으로 하고, 복수의 소자를 적절히 구동시켜, 스위칭부의 점유면적을 확대하지 않고, 1개의 소자로 구성되어 있던 종래의 스위칭부보다 그 장기신뢰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소비전력도억제하고, 또한, 복수의 소자를 가장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장기신뢰성을 보다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데이터선 절환회로에 있어서는, 조를 이루는 복수의 데이터선의 각 스위칭부는, 조를 이루는 데이터선의 수를 X, 주사선에 선택전압이 인가되는 1수평기간을 H로 하면, 1개씩 순차로 H/X의 주기로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조를 이루는 복수의 데이터선의 각 스위칭부를, 1개씩 순차로, 1수평기간 H를 집속된 데이터선의 수 X로 나눈 기간인 H/X 주기로 구동시킴으로써, 주사선에 선택전압이 인가되어 ON 되어 있는 기간에, 조를 이루는 데이터선에 각각에 대응하는 데이터신호를 분리하여 입력시킬 수 있어, 화상의 표시가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데이터선 절환회로의 스위칭부 구동회로는, 구동제어회로로부터의 구동신호를 기초로, 상기 액티브매트릭스형 표시패널의 데이터선 절환회로에 있어서의 스위칭부를 택일적으로 구동하여, 입력신호선으로부터 입력된 데이터신호를, 조를 이루는 복수의 데이터선으로 분리하여 입력시키는 스위칭부 구동회로이며, 스위칭부가 구동되는 기간, 스위칭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스위칭소자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는 구성이다.
이러한 스위칭부 구동회로에 의해, 상기 데이터선 절환회로에 있어서의 스위칭부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데이터선 절환회로로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스위칭부를 서로 병렬로 접속된 복수의 소자 구성으로 하고, 복수의 소자를 적절히 구동시켜, 스위칭부의 점유면적을 확대하지 않고, 또한, 소비전력을 증가시키지 않고, 1개의 소자로 구성되어 있던 종래의 스위칭부보다 그 장기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의 데이터선 절환회로의 스위칭부 구동회로에서는, 상기 스위칭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스위칭소자를, 각 스위칭소자 사이에서의 구동회수가 일치하도록 구동시키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스위칭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소자가, 선택하여 구동됨에 있어서, 각 소자의 구동회수가 일치하도록 구동되기 때문에, 스위칭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소자를 균등하게 사용하여 각 소자의 수명을 일치시켜, 장기신뢰성을 보다 한층 효과적으로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의 데이터선 절환회로의 스위칭부 구동회로에서는, 조를 이루는 데이터선의 수를 X, 주사선에 선택전압이 인가되는 1수평기간을 H로 하면, 구동제어회로로부터의 구동신호를 기초로, 조를 이루는 복수의 데이터선의 각 스위칭부를, 1개씩 순차로 H/X의 주기로 구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스위칭부 구동회로에 의해, 상기 데이터선 절환회로에 있어서의 스위칭부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데이터선 절환회로로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주사선에 선택전압이 인가되어 ON 되어 있는 기간에, 조를 이루는 데이터선에 각각에 대응하는 데이터신호를 분리하여 입력시킬 수 있어, 화상의 표시가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데이터선 절환회로의 구동제어회로는, 상기 데이터선 절환회로의 구동신호를 스위칭부 구동회로로도 출력하는 구동제어회로이며, 스위칭부가 구동되는 기간에, 스위칭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스위칭소자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는 것을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구동제어회로에 의해, 상기 데이터선 절환회로에 있어서의 스위칭부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데이터선 절환회로로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스위칭부를 서로 병렬로 접속된 복수의 소자 구성으로 하고, 복수의 소자를 적절히 구동시켜, 스위칭부의 점유면적을 확대하지 않고, 또한, 소비전력을 증가시키지 않고, 1개의 소자로 구성되어 있던 종래의 스위칭부보다 그 장기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의 데이터선 절환회로의 구동제어회로에서는, 상기 스위칭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스위칭소자를, 각 스위칭소자 사이에서의 구동회수가 일치하도록 구동시키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스위칭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소자가, 선택하여 구동됨에 있어서, 각 소자의 구동회수가 일치하도록 구동되기 때문에, 스위칭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소자를 균등하게 사용하여 각 소자의 수명을 일치시켜, 장기신뢰성을 보다 한층 효과적으로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의 데이터선 절환회로의 구동제어회로에서는, 조를 이루는 데이터선의 수를 X, 주사선에 선택전압이 인가되는 1수평기간을 H로 하면, 구동제어회로로부터의 구동신호를 기초로, 조를 이루는 복수의 데이터선의 각 스위칭부를, 1개씩 순차로 H/X의 주기로 구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동제어회로에 의해, 상기 데이터선 절환회로에 있어서의 스위칭부의 구동을, 스위칭부 구동회로를 통해 제어함으로써, 데이터선 절환회로로서 이미설명한 바와 같이, 주사선에 선택전압이 인가되어 ON 되어 있는 기간에, 조를 이루는 데이터선에 각각에 대응하는 데이터신호를 분리하여 입력시킬 수 있어, 화상의 표시가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액티브매트릭스형 표시패널은, 주사선과, 상기 주사선과 교차하는 복수의 데이터선이 형성된 액티브매트릭스형 표시패널이며, 상기 패널내에, 데이터선의 신호입력측에 데이터선마다 설치된 스위칭부 및 상기 스위칭부를 통해 복수의 데이터선을 1조로 하여 결선하는 입력신호선을 구비하고, 상기 스위칭부가 택일적으로 구동되는 것으로, 입력신호선으로부터 입력된 데이터 신호를, 조를 이루는 복수의 데이터선으로 분리하여 입력시키는 데이터선 절환회로가 제공된 액티브매트릭스형 표시패널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가, 서로 병렬로 접속된 복수의 스위칭소자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이러한 액티브매트릭스형 표시패널로 함으로써, 데이터선 절환회로에 있어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스위칭부를 서로 병렬로 접속된 복수의 소자 구성으로 하고, 복수의 소자를 적절히 구동시켜, 1개의 소자로 구성되어 있던 종래의 스위칭부에 비해 그 장기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액티브매트릭스형 표시패널에 있어서는, 상기 스위칭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스위칭소자는, 서로 독립적으로 구동가능하게 제공되고, 상기 스위칭부가 구동되는 기간에 복수의 스위칭소자가 선택되어 구동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액티브매트릭스형 표시패널로 함으로써, 데이터선 절환회로에 있어서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스위칭부를 서로 병렬로 접속된 복수의 소자 구성으로 하고, 복수의 소자를 적절히 구동시켜, 스위칭부의 점유면적을 확대하지 않고, 또한, 소비전력을 증가시키지 않고, 1개의 소자로 구성되어 있던 종래의 스위칭부보다 그 장기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액티브매트릭스형 표시장치는, 상기 구성의 액티브매트릭스형 표시패널과, 상기 복수의 데이터선에 각 데이터선에 따른 데이터신호를 출력하는 데이터선 구동회로와, 상기 주사선에, 주사선에 따른 타이밍으로 선택전압과 비선택전압을 갖는 게이트신호를 출력하는 주사선 구동회로를 구비한 구성이다.
또한, 본 발명의 액티브매트릭스형 표시장치는, 상기 구성의 액티브매트릭스형 표시패널과, 상기 복수의 데이터선에 각 데이터선에 따른 데이터신호를 출력하는 데이터선 구동회로와, 상기 주사선에, 주사선에 따른 타이밍으로 선택전압과 비선택전압을 갖는 게이트신호를 출력하는 주사선 구동회로와, 상기 액티브매트릭스형 표시패널에 있어서의 데이터선 절환회로의, 스위칭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스위칭소자를, 스위칭부가 선택되어 구동되는 기간, 선택하여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구동제어회로와, 상기 구동제어회로로부터의 구동신호를 기초로, 상기 데이터선 절환회로의 복수의 스위칭소자를 구동하는 스위칭부 구동회로를 구비한 구성이다.
이러한 액티브매트릭스형 표시장치로 함으로써, 데이터선 절환회로에 있어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스위칭부를 서로 병렬로 접속된 복수의 소자 구성으로 하고, 복수의 소자를 적절히 구동시켜, 스위칭부의 점유면적을 확대하지 않고, 또한,소비전력을 증가시키지 않고, 1개의 소자로 구성되어 있던 종래의 스위칭부보다 그 장기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의 액티브매트릭스형 표시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스위칭부 구동회로가 상기 주사선 구동회로내에 탑재되어 있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주사선 구동회로에 스위칭부 구동회로를 탑재함으로써, 회로부재의 개수를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그에 따른 비용의 절감과 함께, 액자부에 나타내는 회로부재가 차지하는 면적이 감소되기 때문에, 레이아웃을 하기 쉽게 되어 설계의 자유도가 증가하고, 또한, 보다 한층 협액자화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의 액티브매트릭스형 표시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데이터선 구동회로, 상기 주사선 구동회로, 또는 스위칭부 구동회로 중 적어도 어느 1개가, 패널을 구성하는 기판과 동일기판에 형성하기 어려운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데이터선 구동회로, 상기 주사선 구동회로, 또는 스위칭부 구동회로 중 적어도 1개를 패널의 기판에 조입함으로써, 이들이 외부 부착 구성에 비해, 설치스페이스가 불필요하여지는 만큼, 액자부에 차지하는 면적이 감소하여, 레이아웃을 하기 쉽게 되어 설계의 자유도가 증가하고, 또한, 보다 한층 협액자화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의 액티브매트릭스형 표시장치에 있어서는, 조를 이루는 데이터선의 수를 X, 주사선에 선택전압이 인가되는 1수평기간을 H로 하면, 조를 이루는 복수의 데이터선의 각 스위칭부가, 1개씩 순차로 H/X의 주기로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데이터선 절환회로로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주사선에 선택전압이 인가되어 ON 되어 있는 기간에, 조를 이루는 데이터선에 각각에 대응하는 데이터신호를 분리하여 입력시킬 수 있어, 화상의 표시가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의 액티브매트릭스형 표시장치는, 레이아웃성이 높고, 협액자화를 도모할 수 있기 때문에, 휴대용 전자기기의 표시장치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액티브매트릭스형 표시장치는, 주사선, 및 상기 주사선과 교차하는 복수의 데이터선이 형성된 액티브매트릭스형 표시패널과, 상기 데이터선의 신호입력측에 데이터선마다 설치된 스위칭부 및 상기 스위칭부를 통해 복수의 데이터선을 1조로 하여 결선하는 입력신호선을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조를 이루는 복수의 데이터선의 각 스위칭부가 택일적으로 구동되는 것에 의해, 입력신호선으로부터 입력된 데이터신호를, 조를 이루는 복수의 데이터선으로 분리하여 입력시키는 데이터선 절환회로와, 구동제어회로로부터의 구동신호를 기초로, ON 전압과 OFF 전압을 갖는 데이터선 선택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데이터선 절환회로에 있어서의 스위칭부를 구동하는 스위칭부 구동회로와, 상기 복수의 데이터선에 각 데이터선에 따른 데이터신호를 출력하는 데이터선 구동회로와, 상기 주사선에, 주사선에 따른 타이밍으로 ON 전압과 OFF 전압을 갖는 주사신호를 출력하는 주사선 구동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칭부 구동회로가, 상기 주사선 구동회로에 탑재되어 있는 구성이다.
이에 의해, 스위칭부 구동회로는, 주사선 구동회로에 탑재되기 때문에, 부품점수를 감소시킬 수 있고, 그 결과, 액자부에서의 이들 회로부품의 점유면적이 보다 감소되고, 그 만큼 액자부의 레이아웃성이 양호해져, 협액자화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주사선 구동회로나 데이터선 구동회로 등의 구동회로가 외부에 부착되는 구성이어도, 스위칭부 구동회로를 액정패널과 접속하는 공정이 필요없게 되기 때문에, 제조비용의 절감도 가능해진다.
그리고 이 경우, 스위칭부 구동회로도 주사선 구동회로도 레벨시프터회로로 구성되기 때문에, 스위칭부 구동회로를, 게이트선 구동회로 내부에 조입하는 것은, 게이트선 구동회로의 제조공정에 대폭적인 변경 등을 수반하지 않고 실시할 수 있어, 유리하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액티브매트릭스형 표시장치에 있어서는, 또한, 상기 주사선 구동회로는, 복수의 ON 전압을 설정가능하여, 데이터선 선택신호의 ON 전압의 절대치가, 주사신호의 ON 전압의 절대치와 상이한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스위칭부 구동회로를 주사선 구동회로내에 탑재시킴에 있어서, 데이터선 선택신호의 ON 전압을, 주사선에 출력되는 주사신호의 ON 전압과 동일하게 하는 구성도 고려될 수 있지만, 주사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화소스위칭소자와, 데이터선 선택신호로 구동되는 스위칭부는, 기능이 상이하기 때문에, 각각에 적절한 ON 전압은 서로 상이하다.
예컨대, 화소스위칭소자의 ON 전압은, 화소전극으로의 충전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는 전압으로 설정되고, 한편, 데이터선 절환회로에 있어서의 스위칭부의 ON전압은, 데이터선 구동회로로부터 공급된 데이터신호를, 접속된 데이터선으로 양호하게 공급할 수 있는 전압으로 설정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데이터선 선택신호의 ON 전압의 절대치를, 주사신호의 ON 전압의 절대치와는 상이한 값으로 하여, 데이터선 선택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스위칭부의 기능에 있던 전압치로 함으로써, 스위칭부를 보다 적절히 기능시킬 수 있다.
그리고, 각 ON 전압의 절대치를 상이하게 함에 있어서, 데이터선 선택신호의 ON 전압의 절대치를, 주사신호의 ON 전압의 절대치보다 작게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주사신호의 ON 전압은, 주사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화소스위칭소자의 화소전극으로의 충전성을 좋게 하기 위해서, 높은 ON 전압을 필요로 하지만, 데이터선 절환회로에 있어서의 스위칭부는, 상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선 구동회로로부터 공급된 데이터신호를, 접속된 데이터선으로도 양호하게 공급할 수 있으면 좋기 때문에, 주사신호의 ON 전압정도로 높게 설정하지 않더라도, 그 기능을 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데이터선 선택신호의 ON 전압의 절대치를, 주사신호의 ON 전압의 절대치보다 작게 함으로써, 데이터선 절환회로에 있어서의 스위칭부의 스위칭특성의 신뢰성을 향상시켜, 스위칭부의 장기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액티브매트릭스형 표시장치에 있어서는, 또한, 상기 스위칭부 구동회로는, ON 전압과 OFF 전압 사이의 전압레벨인 중간전압을 설정가능하고, ON 전압과 OFF 전압 사이에서의 전압 레벨의 절환을, 중간전압으로 되는 기간을 통해 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중간전압으로 되는 기간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구성에서는, OFF 전압으로부터 ON 전압으로의 전압 상승시, 및 ON 전압으로부터 OFF 전압으로의 전압 하강시, 전력공급에 의해 전위를 일시에 상승 또는 하강시키고 있었기 때문에, 중간전압의 기간을 통해 전압레벨이 절환되는 구성에 비해 전력소비가 크고, 특히, 데이터선 선택 TFT(13)는 구동회수가 많기 때문에, 소비전력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되고 있었다.
상기 구성에서는, 전압레벨의 절환시에, 중간전압으로 되는 기간이 설정되기 때문에, 전압 상승시는 OFF 전압으로부터 중간전압까지는 자유방전에 의해 상승하고, 중간전압으로부터 ON 전압까지를, 전력공급하여 상승하면 좋고, 전압 하강시는, ON 전압으로부터 중간전압까지는 자유방전에 의해 하강하고, 중간전압으로부터 OFF 전압까지를, 전력공급하여 하강하면 좋기 때문에, 전력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성에 있어서는, 중간전압을 GND 레벨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중간전압에 유입되는 전류에 의한 전력소비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중간전압을 작성하는 전원의 임피던스가 가능한 한 낮은 것이 요망된다. 그렇지만, 통상의 전원(예컨대 정(正)전원이나 부(負)전원)은, 다른 신호선과 비교하면, 임피던스가 낮지만, 전체 시스템 중에서 가장 임피던스가 낮다는 것은 아니다. 한편, GND는, 회로전원을 작성하는 기준전압이 되기 때문에, 다른 전압과 비교하여 임피던스가 대단히 낮은 부위(일반적으로 전체 시스템 중에서 가장 임피던스가 낮음)가 된다. 이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이, 중간전압으로서 GND 레벨을 채용함으로써, 중간전압에 유입되는 전류에 의한 소비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액티브매트릭스형 표시장치 스위칭부 구동회로는, 주사선과 교차하는 복수의 데이터선의 신호입력측에 데이터선마다 설치된 스위칭부와 상기 스위칭부를 통해 복수의 데이터선을 1조로 하여 결선하는 입력신호선을 구비한 데이터선 절환회로의 스위칭부를, ON 전압과 OFF 전압을 갖는 데이터선 선택신호를 출력하여 택일적으로 구동함으로써, 입력신호선으로부터 입력된 데이터신호를, 조를 이루는 복수의 데이터선으로 분리하여 입력시키는 액티브매트릭스형 표시장치의 스위칭부 구동회로에서, ON 전압과 OFF 전압 사이의 전압레벨인 중간전압을 설정가능하고, ON 전압과 OFF 전압 사이에서의 전압레벨의 절환을, 중간전압으로 되는 기간을 통해 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스위칭부 구동회로를 탑재함으로써, 액티브매트릭스형 표시장치로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전압 상승시는 OFF 전압으로부터 중간전압까지는 자유방전에 의해 상승하고, 중간전압으로부터 ON 전압까지를, 전력공급하여 상승하면 좋고, 전압 하강시는, ON 전압으로부터 중간전압까지는 자유방전에 의해 하강하고, 중간전압으로부터 OFF 전압까지를, 전력공급하여 하강하면 좋기 때문에, 전력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성에 있어서도, 중간전압을 GND 레벨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중간전압을 GND 레벨로 함으로써, 액티브매트릭스형 표시장치로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중간전압에 유입되는 전류에 의한 소비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해져, 가장 효율 좋게 전력소비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액티브매트릭스형 표시장치의 주사선 구동회로는, 주사선, 및 상기 주사선과 교차하는 복수의 데이터선이 형성됨과 동시에, 데이터선의 신호입력측에 데이터선마다 설치된 스위칭부와 상기 스위칭부를 통해 복수의 데이터선을 1조로 하여 결선하는 입력신호선을 구비한 데이터선 절환회로가 형성되고, 상기 스위칭부가 택일적으로 구동되는 것에 의해, 입력신호선으로부터 입력된 데이터신호를, 조를 이루는 복수의 데이터선으로 분리하여 입력되는 액티브매트릭스형 표시장치에 구비되는 주사선 구동회로이며, 상기 주사선에, 주사선에 따른 타이밍으로 ON 전압과 OFF 전압을 갖는 주사신호를 출력하는 주사선 구동회로에서, 구동제어회로로부터의 구동신호를 기초로, ON 전압과 OFF 전압을 갖는 데이터선 선택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데이터선 절환회로에 있어서의 스위칭부를 택일적으로 구동하는 스위칭부 구동회로가 탑재되어 있는 구성이다.
이러한 주사선 구동회로로 함으로써, 액티브매트릭스형 표시장치로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부품점수가 감소됨으로써, 액자부에서의 점유면적이 보다 감소되고, 그 만큼 액자부의 레이아웃성이 양호해져, 협액자화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주사선 구동회로나 데이터선 구동회로 등의 구동회로가 외부에 부착되는 구성이어도, 스위칭부 구동회로를 액정패널과 접속하는 공정이 필요없게 되기 때문에, 제조비용의 절감도 가능해진다.
상기한 본 발명의 액티브매트릭스형 표시장치의 주사선 구동회로에서, 또한, 복수의 ON 전압을 설정가능하여, 데이터선 선택신호의 ON 전압의 절대치가, 주사신호의 ON 전압의 절대치와 상이한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주사선 구동회로로 하는 것으로, 액티브매트릭스형 표시장치로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데이터선 선택신호의 ON 전압을, 주사신호의 ON 전압과는 상관없이, 데이터선 선택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스위칭부의 기능에 있던 전압치로 설정하여, 스위칭부를 보다 적절히 기능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 경우도, 각 ON 전압의 절대치를 상이하게 함에 있어서, 데이터선 선택신호의 ON 전압의 절대치를, 주사신호의 ON 전압의 절대치보다 작게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주사선 구동회로로 함으로써, 액티브매트릭스형 표시장치로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데이터선 절환회로에 있어서의 스위칭부의 스위칭특성의 신뢰성을 향상시켜, 스위칭부의 장기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액티브매트릭스형 표시장치의 주사선 구동회로에서는, 또한, 상기 스위칭부 구동회로가, ON 전압과 OFF 전압 사이의 전압레벨인 중간전압을 설정가능하고, ON 전압과 OFF 전압 사이에서의 전압레벨의 절환을, 중간전압으로 되는 기간을 통해 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주사선 구동회로로 함으로써, 액티브매트릭스형 표시장치로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전압 상승시는 OFF 전압으로부터 중간전압까지는 자유방전에 의해 상승하고, 중간전압으로부터 ON 전압까지를, 전력공급하여 상승하면 좋고, 전압하강시는, ON 전압으로부터 중간전압까지는 자유방전에 의해 하강하고, 중간전압으로부터 OFF 전압까지를, 전력공급하여 하강하면 좋기 때문에, 전력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성에 있어서도, 중간전압을 GND 레벨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중간전압을 GND 레벨로 함으로써, 액티브매트릭스형 표시장치로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중간전압에 유입되는 전류에 의한 소비를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해져, 가장 효율 좋게 전력소비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액티브매트릭스형 표시장치의 주사선 구동회로에서는, 주사선, 및 상기 주사선과 교차하는 복수의 데이터선이 형성된 액티브매트릭스형 표시장치에 구비되고, 주사선에 따른 타이밍으로 ON 전압과 OFF 전압을 갖는 주사신호를 출력하는 주사선 구동회로에서, 복수의 ON 전압을 설정가능하여, 주사신호와는 상이한 ON 전압을 갖는 별도의 ON 전압과 OFF 전압으로 이루어지는 신호를 출력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주사선 구동회로로 함으로써, 액티브매트릭스형 표시장치로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데이터선 절환회로를 탑재한 액티브매트릭스형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성을 채용하면, 주사선 구동회로만으로, 데이터선 절환회로에 있어서의 스위칭부를 구동할 수 있다.
따라서, 별도로 스위칭부 구동회로를 제공하는 구성보다, 부품점수가 감소됨으로써, 액자부에서의 회로부품의 점유면적이 보다 감소되고, 그 만큼 액자부의 레이아웃성이 양호해져, 협액자화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주사선 구동회로나 데이터선 구동회로 등의 구동회로가 외부에 부착되는 구성이어도, 스위칭부 구동회로를 액정패널과 접속하는 공정이 필요없게 되기 때문에, 제조비용의 절감도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액티브매트릭스형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은, 주사선과 교차하는 복수의 데이터선마다 스위칭부를 설치하고, 상기 스위칭부를 통해 복수의 데이터선을 집속하여 조를 형성하고, 조를 이루는 복수의 데이터선의 각 스위칭부를 택일적으로 구동함으로써, 입력된 데이터신호를, 조를 이루는 복수의 데이터선으로 분리하여 입력시키는 액티브매트릭스형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이며, 상기 스위칭부를 구동함에 있어서, 주사신호의 ON 전압의 절대치와는 상이한 절대치를 갖는 ON 전압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동방법에 의해 구동함으로써, 액티브매트릭스형 표시장치로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데이터선 선택신호의 ON 전압을, 주사신호의 ON 전압과는 상관없이, 데이터선 선택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스위칭부의 기능에 있던 전압치로 설정하여, 스위칭부를 보다 적절히 기능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 경우도, 각 ON 전압의 절대치를 상이하게 함에 있어서, 데이터선 선택신호의 ON 전압의 절대치를, 주사신호의 ON 전압의 절대치보다 작게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액티브매트릭스형 표시장치로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데이터선 절환회로에 있어서의 스위칭부의 스위칭특성의 신뢰성을 향상시켜, 스위칭부의 장기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액티브매트릭스형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은, 주사선과 교차하는 복수의 데이터선마다 스위칭부를 설치하고, 상기 스위칭부를 통해 복수의 데이터선을 집속하여 조를 형성하고, 조를 이루는 복수의 데이터선의 각 스위칭부를 택일적으로 구동함으로써, 입력된 데이터신호를, 조를 이루는 복수의 데이터선으로 분리하여 입력시키는 액티브매트릭스형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이며, 상기 스위칭부를 구동함에 있어서, ON 전압과 OFF 전압 사이에서의 전압레벨의 절환을, 중간전압으로 되는 기간을 통해 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동방법에 의해 구동함으로써, 액티브매트릭스형 표시장치로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전압 상승시는 OFF 전압으로부터 중간전압까지는 자유방전에 의해 상승하고, 중간전압으로부터 ON 전압까지를, 전력공급하여 상승하면 좋고, 전압 하강시는, ON 전압으로부터 중간전압까지는 자유방전에 의해 하강하고, 중간전압으로부터 OFF 전압까지를, 전력공급하여 하강하면 좋기 때문에, 전력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성에 있어서도, 중간전압을 GND 레벨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중간전압을 GND 레벨로 함으로써, 액티브매트릭스형 표시장치로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중간전압에 유입되는 전류에 의한 소비를 감소시키는 것도 가능해져, 가장 효율 좋게 전력소비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의 액티브매트릭스형 표시장치는, 레이아웃성이 높고, 협액자화를 도모할 수 있기 때문에, 휴대용 전자기기의 표시장치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나타낸 실시예와 구체적인 예들은 어디까지나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상세하게 하는 것이며, 이와 같은 실시예와 구체예에 한정하여 협의로 해석할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정신내에서 첨부된 특허 청구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여러 가지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Claims (40)

  1. 주사선, 및 상기 주사선과 교차하는 복수의 데이터선이 형성된 액티브매트릭스형 표시패널의 데이터선 절환회로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선의 신호입력측에 데이터선마다 설치된 스위칭부, 및 상기 스위칭부를 통해 복수의 데이터선을 1조로서 결선하는 입력신호선을 포함하고,
    상기 조를 이루는 복수의 데이터선의 각 스위칭부가 택일적으로 구동되는 것으로, 입력신호선으로부터 입력된 데이터신호를, 조를 이루는 복수의 데이터선으로 분리하여 입력시키며,
    상기 스위칭부가, 서로 병렬로 접속된 복수의 스위칭소자로 이루어지는, 데이터선 절환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스위칭소자는, 서로 독립하여 구동가능하도록 제공되고, 스위칭부가 구동되는 기간에, 선택적으로 구동되는, 데이터선 절환회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스위칭소자는, 동일 스위칭부에 속하는 스위칭소자 사이에서의 구동회수가 일치하도록 구동되는, 데이터선 절환회로.
  4. 제1항에 있어서, 조를 이루는 복수의 데이터선의 각 스위칭부는, 조를 이루는 데이터선의 수를 X, 주사선에 ON전압이 인가되는 1수평기간을 H로 하면, H/X의 주기로 1개씩 순차로 구동되는, 데이터선 절환회로.
  5. 주사선, 및 상기 주사선과 교차하는 복수의 데이터선이 형성된 액티브매트릭스형 표시패널의 데이터선 절환회로에 있어서의 스위칭부를, 구동제어회로로부터의 구동신호를 기초로 구동하는 스위칭부 구동회로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선 절환회로는, 상기 데이터선의 신호입력측에 데이터선마다 설치된 스위칭부, 및 상기 스위칭부를 통해 복수의 데이터선을 1조로서 결선하는 입력신호선을 구비하고, 상기 조를 이루는 복수의 데이터선의 각 스위칭부가 택일적으로 구동되는 것으로, 입력신호선으로부터 입력된 데이터신호를, 조를 이루는 복수의 데이터선으로 분리하여 입력시키는 동시에, 상기 스위칭부는, 서로 병렬로 접속되고, 또한, 서로 독립하여 구동가능하게 제공된 복수의 스위칭소자로 이루어지고,
    스위칭부를 구동하는 기간에, 대응 스위칭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스위칭소자를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스위칭부 구동회로.
  6. 제5항에 있어서, 스위칭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스위칭소자를, 동일한 스위칭부에 속하는 스위칭소자 사이에서의 구동회수가 일치하도록 구동하는, 스위칭부 구동회로.
  7. 제5항에 있어서, 조를 이루는 데이터선의 수를 X, 주사선에 ON전압이 인가되는 1수평기간을 H로 하면, 조를 이루는 복수의 데이터선의 각 스위칭부를, H/X의 주기로 1개씩 순차로 구동하는, 스위칭부 구동회로.
  8. 주사선, 및 상기 주사선과 교차하는 복수의 데이터선이 형성된 액티브매트릭스형 표시패널의 데이터선 절환회로에 있어서의 스위칭부를 구동하는 스위칭부 구동회로에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구동제어회로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선 절환회로는, 상기 데이터선의 신호입력측에 데이터선마다 설치된 스위칭부, 및 상기 스위칭부를 통해 복수의 데이터선을 1조로서 결선하는 입력신호선을 구비하고, 상기 조를 이루는 복수의 데이터선의 각 스위칭부가 택일적으로 구동되는 것으로, 입력신호선으로부터 입력된 데이터신호를, 조를 이루는 복수의 데이터선으로 분리하여 입력시키는 동시에, 상기 스위칭부는, 서로 병렬에 접속되고, 또한, 서로 독립하여 구동가능하게 제공된 복수의 스위칭소자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위칭부 구동회로에 의해, 스위칭부가 구동되는 기간에, 대응 스위칭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스위칭소자가 선택적으로 구동되도록,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구동제어회로.
  9. 제8항에 있어서, 스위칭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스위칭소자가 선택적으로 구동되는 것에 있어서, 동일한 스위칭부에 속하는 스위칭소자 사이에서의 구동회수가 일치하도록,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구동제어회로.
  10. 제8항에 있어서, 조를 이루는 데이터선의 수를 X, 주사선에 ON전압이 인가되는 1수평기간을 H로 하면, 조를 이루는 복수의 데이터선의 각 스위칭부가, H/X의 주기로 1개씩 순차로 구동되도록,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구동제어회로.
  11. 주사선, 및 상기 주사선과 교차하는 복수의 데이터선이 형성된 액티브매트릭스형 표시패널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선의 신호입력측에 데이터선마다 설치된 스위칭부, 및 상기 스위칭부를 통해 복수의 데이터선을 1조로서 결선하는 입력신호선을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조를 이루는 복수의 데이터선의 각 스위칭부가 택일적으로 구동되는 것으로, 입력신호선으로부터 입력된 데이터신호를, 조를 이루는 복수의 데이터선으로 분리하여 입력시키는 데이터선 절환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선 절환회로에 있어서의 상기 스위칭부가, 서로 병렬로 접속된 복수의 스위칭소자로 이루어지는, 액티브매트릭스형 표시패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스위칭소자는, 서로 독립하여 구동가능하게 제공되고, 스위칭부가 구동되는 기간에, 선택적으로 구동되는 액티브매트릭스형 표시패널.
  13. 주사선, 및 상기 주사선과 교차하는 복수의 데이터선이 형성된 액티브매트릭스형 표시패널;
    상기 데이터선의 신호입력측에 데이터선마다 설치된 스위칭부, 및 상기 스위칭부를 통해 복수의 데이터선을 1조로서 결선하는 입력신호선을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조를 이루는 복수의 데이터선의 각 스위칭부가 택일적으로 구동되는 것으로, 입력신호선으로부터 입력된 데이터신호를, 조를 이루는 복수의 데이터선으로 분리하여 입력시키는 데이터선 절환회로;
    상기 복수의 데이터선에 각 데이터선에 따른 데이터신호를 출력하는 데이터선 구동회로; 및
    상기 주사선에, 주사선에 따른 타이밍에서, ON전압과 OFF전압을 갖는 게이트신호를 출력하는 주사선 구동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선 절환회로에 있어서의 상기 스위칭부가, 서로 병렬로 접속된 복수의 스위칭소자로 이루어지는, 액티브매트릭스형 표시장치.
  14. 주사선, 및 상기 주사선과 교차하는 복수의 데이터선이 형성된 액티브매트릭스형 표시패널;
    상기 데이터선의 신호입력측에 데이터선마다 설치된 스위칭부, 및 상기 스위칭부를 통해 복수의 데이터선을 1조로서 결선하는 입력신호선을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조를 이루는 복수의 데이터선의 각 스위칭부가 택일적으로 구동되는 것으로,입력신호선으로부터 입력된 데이터신호를, 조를 이루는 복수의 데이터선으로 분리하여 입력시키는 데이터선 절환회로;
    상기 데이터선 절환회로의 스위칭부를 구동신호를 기초로 구동하는 스위칭부 구동회로;
    상기 스위칭부 구동회로에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구동제어회로;
    상기 복수의 데이터선에 각 데이터선에 따른 데이터신호를 출력하는 데이터선 구동회로; 및
    상기 주사선에, 주사선에 따른 타이밍에서, ON전압과 OFF전압을 갖는 게이트신호를 출력하는 주사선 구동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선 절환회로에 있어서의 스위칭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스위칭소자는, 서로 독립하여 구동가능하게 제공되는 동시에, 상기 스위칭부 구동회로에 의해, 스위칭부가 구동되는 기간에, 선택적으로 구동되는, 액티브매트릭스형 표시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 구동회로가 상기 주사선 구동회로에 탑재되어 있는, 액티브매트릭스형 표시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선 구동회로가, 복수의 ON전압을 설정가능하도록 제공되고, 데이터선 선택신호의 ON전압의 절대치와 주사신호의 ON전압의 절대치가 상이한, 액티브매트릭스형 표시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데이터선 선택신호의 ON전압의 절대치가, 주사신호의 ON전압의 절대치보다 작은, 액티브매트릭스형 표시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 구동회로는, ON전압과 OFF전압 사이의 전압레벨인 중간전압을 설정가능하도록 제공되고, ON전압과 OFF전압 사이에서의 전압레벨의 절환을, 중간전압으로 되는 기간을 통해 행하는, 액티브매트릭스형 표시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전압이 GND 레벨인, 액티브매트릭스형 표시장치.
  2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선 구동회로, 상기 주사선 구동회로, 또는 스위칭부 구동회로의 적어도 하나가,액티브매트릭스형 표시패널을 구성하는 기판과 동일의 기판상에 형성되는, 액티브매트릭스형 표시장치.
  21.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 구동회로는, 조를 이루는 데이터선의 수를 X, 주사선에 ON전압이 인가되는 1수평기간을 H로 하면, 조를 이루는 복수의 데이터선의 각 스위칭부를, H/X의 주기로 1개씩 순차로 구동시키는, 액티브매트릭스형 표시장치.
  22. 제13항에 있어서, 휴대용 전자기기의 표시장치인, 액티브매트릭스형 표시장치.
  23. 주사선, 및 상기 주사선과 교차하는 복수의 데이터선이 형성된 액티브매트릭스형 표시패널;
    상기 데이터선의 신호입력측에 데이터선마다 설치된 스위칭부, 및 상기 스위칭부를 통해 복수의 데이터선을 1조로서 결선하는 입력신호선을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조를 이루는 복수의 데이터선의 각 스위칭부가 택일적으로 구동되는 것으로, 입력신호선으로부터 입력된 데이터신호를, 조를 이루는 복수의 데이터선으로 분리하여 입력시키는 데이터선 절환회로;
    구동제어회로로부터의 구동신호를 기초로, ON전압과 OFF전압을 갖는 데이터선 선택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데이터선 절환회로에 있어서의 스위칭부를 구동하는 스위칭부 구동회로;
    상기 복수의 데이터선에 각 데이터선에 따른 데이터신호를 출력하는 데이터선 구동회로; 및
    상기 주사선에, 주사선에 따른 타이밍에서 ON전압과 OFF전압을 갖는 주사신호를 출력하는 주사선 구동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칭부 구동회로가, 상기 주사선 구동회로에 탑재되어 있는, 액티브매트릭스형 표시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선 구동회로가, 복수의 ON전압을 설정가능하도록제공되고, 데이터선 선택신호의 ON전압의 절대치와 주사신호의 ON전압의 절대치가 상이한, 액티브매트릭스형 표시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데이터선 선택신호의 ON전압의 절대치가, 주사신호의 ON전압의 절대치보다 작은, 액티브매트릭스형 표시장치.
  26.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 구동회로는, ON전압과 OFF전압 사이의 전압레벨인 중간전압을 설정가능하도록 제공되고, ON전압과 OFF전압 사이에서의 전압레벨의 절환을, 중간전압으로 되는 기간을 통해 행하는, 액티브매트릭스형 표시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전압이 GND 레벨인, 액티브매트릭스형 표시장치.
  28. 주사선과 교차하는 복수의 데이터선의 신호입력측에 데이터선마다 설치된 스위칭부, 및 상기 스위칭부를 통해 복수의 데이터선을 1조로서 결선하는 입력신호선을 구비한 데이터선 절환회로의 스위칭부를, ON전압과 OFF전압을 갖는 데이터선 선택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조를 이루는 복수의 데이터선의 각 스위칭부를 택일적으로 구동시킴으로써, 입력신호선으로부터 입력된 데이터신호를, 조를 이루는 복수의 데이터선으로 분리하여 입력시키고,
    ON전압과 OFF전압 사이의 전압레벨인 중간전압을 설정가능하도록 제공되고, ON전압과 OFF전압 사이에서의 전압 레벨의 절환을, 중간전압으로 되는 기간을 통해행하는, 액티브매트릭스형 표시장치의 스위칭부 구동회로.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전압이 GND 레벨인, 스위칭부 구동회로.
  30. 액티브매트릭스형 표시장치에 형성된, 복수의 데이터선과 교차하는 주사선에, 주사선에 따른 타이밍에서 ON전압과 OFF전압을 갖는 주사신호를 출력하는 액티브매트릭스형 표시장치의 주사선 구동회로에 있어서,
    구동제어회로로부터의 구동신호를 기초로, 데이터선 절환회로의 스위칭부를, ON전압과 OFF전압을 갖는 데이터선 선택신호를 출력하여 구동시키는 스위칭부 구동회로가 탑재되고,
    상기 데이터선 절환회로는, 상기 데이터선의 신호입력측에 데이터선마다 설치된 스위칭부, 및 상기 스위칭부를 통해 복수의 데이터선을 1조로서 결선하는 입력신호선을 구비하여, 상기 조를 이루는 복수의 데이터선의 각 스위칭부가 택일적으로 구동되는 것으로, 입력신호선으로부터 입력된 데이터신호를, 조를 이루는 복수의 데이터선으로 분리하여 입력시키는, 주사선 구동회로.
  31. 제30항에 있어서, 복수의 ON전압이 설정가능하고, 데이터선 선택신호의 ON전압의 절대치와 주사신호의 ON전압의 절대치가 상이한, 주사선 구동회로.
  32. 제31항에 있어서, 데이터선 선택신호의 ON전압의 절대치가, 주사신호의 ON전압의 절대치보다 작은, 주사선 구동회로.
  33.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 구동회로는, ON전압과 OFF전압 사이의 전압레벨인 중간전압을 설정가능하도록 제공되고, ON전압과 OFF전압 사이에서의 전압 레벨의 절환을, 중간전압으로 되는 기간을 통해 행하는, 주사선 구동회로.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전압이 GND 레벨인, 주사선 구동회로.
  35. 주사선, 및 상기 주사선과 교차하는 복수의 데이터선이 형성된 액티브매트릭스형 표시장치에 포함되고, 주사선에 따른 타이밍에서 ON전압과 OFF전압을 갖는 주사신호를 출력하는 주사선 구동회로에 있어서,
    복수의 ON전압을 설정가능하도록 제공되고, 주사신호와는 상이한 ON전압을 갖는 별도의 ON전압과 OFF전압으로 이루어지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주사선 구동회로.
  36. 주사선과 교차하는 복수의 데이터선마다 스위칭부를 설치하여, 상기 스위칭부를 통해 복수의 데이터선을 집속시켜 조를 형성하여, 조를 이루는 복수의 데이터선의 각 스위칭부를 택일적으로 구동시킴으로써, 입력된 데이터신호를, 조를 이루는 복수의 데이터선으로 분리하여 입력시키는 액티브매트릭스형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를 구동함에 있어서, 주사신호의 ON전압의 절대치와는 상이한 절대치를 갖는 ON전압을 사용하는, 액티브매트릭스형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37. 제36항에 있어서, 주사신호의 ON전압의 절대치보다 작은 절대치를 갖는 ON전압을 사용하는, 액티브매트릭스형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38. 주사선과 교차하는 복수의 데이터선마다 스위칭부를 설치하고, 상기 스위칭부를 통해 복수의 데이터선을 집속하여 조를 형성하고, 조를 이루는 복수의 데이터선의 각 스위칭부를 택일적으로 구동시킴으로써, 입력된 데이터신호를, 조를 이루는 복수의 데이터선으로 분리하여 입력시키는 액티브매트릭스형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를 구동함에 있어서, ON전압과 OFF전압 사이에서의 전압레벨의 절환을, 중간전압으로 되는 기간을 통해 행하는, 액티브매트릭스형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전압이 GND 레벨인, 액티브매트릭스형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40. 제23항에 있어서, 휴대용 전자기기의 표시장치인, 액티브매트릭스형 표시장치.
KR1020020060183A 2001-10-03 2002-10-02 액티브매트릭스형 표시장치와, 그 데이터선 절환회로,스위칭부 구동회로, 및 주사선 구동회로 KR1005410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307941 2001-10-03
JP2001307943A JP2003114657A (ja) 2001-10-03 2001-10-03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表示装置、そのスイッチ部駆動回路、及びその走査線駆動回路、並びにその駆動方法
JP2001307941A JP2003114656A (ja) 2001-10-03 2001-10-03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表示パネルのデータ線切換回路、そのスイッチ部駆動回路、その駆動制御回路、及び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表示パネル、並びに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表示装置
JPJP-P-2001-00307943 2001-10-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9479A true KR20030029479A (ko) 2003-04-14
KR100541059B1 KR100541059B1 (ko) 2006-01-10

Family

ID=26623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0183A KR100541059B1 (ko) 2001-10-03 2002-10-02 액티브매트릭스형 표시장치와, 그 데이터선 절환회로,스위칭부 구동회로, 및 주사선 구동회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30063048A1 (ko)
KR (1) KR100541059B1 (ko)
CN (1) CN100410786C (ko)
TW (1) TW578126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5492B1 (ko) * 2005-09-24 2007-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US7683876B2 (en) 2004-09-14 2010-03-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Time division driving method and source driver for flat panel display
KR101147099B1 (ko) * 2005-03-23 2012-05-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Tft 기판의 구동장치 및 방법
KR20210088682A (ko) * 2019-04-02 2021-07-14 구글 엘엘씨 전력 소비 및 속도를 위해 구성 가능한 스위칭을 갖는 디스플레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74533B2 (ja) * 2003-03-06 2008-04-0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KR100553935B1 (ko) * 2003-08-20 2006-02-24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2005250584A (ja) * 2004-03-01 2005-09-15 Sharp Corp 入力装置
JP2005301161A (ja) * 2004-04-15 2005-10-27 Nec Corp 表示装置
WO2006009038A1 (ja) * 2004-07-21 2006-01-26 Sharp Kabushiki Kaisha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表示装置およびそれに用いられる駆動制御回路
JP2006113263A (ja) * 2004-10-14 2006-04-27 Toshiba Matsushita Display Technology Co Ltd 液晶表示装置
JP2006201315A (ja) * 2005-01-18 2006-08-03 Toshiba Matsushita Display Technology Co Ltd 液晶表示装置
TWI383352B (zh) 2007-10-18 2013-01-21 Chunghwa Picture Tubes Ltd 影像顯示裝置的低功率驅動方法與驅動信號產生方法
WO2009066591A1 (ja) * 2007-11-21 2009-05-28 Sharp Kabushiki Kaisha 表示装置及び走査線駆動装置
JP5083245B2 (ja) * 2008-09-30 2012-11-28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画素駆動装置、発光装置、表示装置及び画素駆動装置の接続ユニット接続方法
CN103403786B (zh) 2011-02-25 2016-03-09 夏普株式会社 驱动装置、驱动方法以及显示装置
TWI451176B (zh) * 2011-05-23 2014-09-01 Au Optronics Corp 液晶顯示器及用來對液晶顯示器的像素充放電的方法
WO2016163299A1 (ja) * 2015-04-07 2016-10-13 シャープ株式会社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CN107293266A (zh) * 2017-07-19 2017-10-24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液晶显示面板及装置
US11749222B2 (en) * 2017-08-29 2023-09-05 Sharp Kabushiki Kaisha Active matrix substrate and display device
US11430377B2 (en) * 2018-06-29 2022-08-30 Kyocera Corporation Display device
TWI695205B (zh) * 2018-08-10 2020-06-0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影像感測顯示裝置以及影像處理方法
CN113514673B (zh) * 2021-09-14 2022-01-28 苏州华兴源创科技股份有限公司 触控通道切换电路、装置及检测系统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92573A (en) * 1979-12-26 1981-07-27 Citizen Watch Co Ltd Display panel
JPS61223791A (ja) * 1985-03-29 1986-10-0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アクテイブマトリツクス基板
GB2194663B (en) * 1986-07-18 1990-06-20 Stc Plc Display device
DE3854163T2 (de) * 1987-01-09 1996-04-04 Hitachi Ltd Verfahren und Schaltung zum Abtasten von kapazitiven Belastungen.
KR920007167B1 (ko) * 1987-04-20 1992-08-27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씨세이사구쇼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JPH04322216A (ja) * 1991-04-23 1992-11-12 Hitachi Ltd 液晶表示装置
JPH06138851A (ja) * 1992-10-30 1994-05-20 Nec Corp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液晶ディスプレイ
JP3348494B2 (ja) * 1993-10-27 2002-11-2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分散出力システム
JPH08234237A (ja) * 1995-02-28 1996-09-13 Hitachi Ltd 液晶表示装置
KR100337865B1 (ko) * 1995-09-05 2002-12-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소자의 구동방법
US5959599A (en) * 1995-11-07 1999-09-28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Active matrix type liquid-crystal display unit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JPH10153986A (ja) * 1996-09-25 1998-06-09 Toshiba Corp 表示装置
KR100430091B1 (ko) * 1997-07-10 2004-07-15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JPH1173164A (ja) * 1997-08-29 1999-03-16 Sony Corp 液晶表示装置の駆動回路
US6265889B1 (en) * 1997-09-30 2001-07-24 Kabushiki Kaisha Toshiba Semiconductor test circuit and a method for testing a semiconductor liquid crystal display circuit
JPH11112531A (ja) * 1997-10-02 1999-04-23 Yazaki Corp 送信権譲渡方法及び通信システム
JP3308880B2 (ja) * 1997-11-07 2002-07-29 キヤノン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と投写型液晶表示装置
JPH11327518A (ja) * 1998-03-19 1999-11-26 Sony Corp 液晶表示装置
JP3843658B2 (ja) * 1998-09-22 2006-11-0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の駆動回路及び電気光学装置並びに電子機器
US6407732B1 (en) * 1998-12-21 2002-06-18 Rose Research, L.L.C. Low power drivers for liquid crystal display technologies
JP2001034237A (ja) * 1999-07-21 2001-02-09 Fujitsu Ltd 液晶表示装置
JP4161484B2 (ja) * 1999-10-15 2008-10-0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の駆動回路、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3309839B2 (ja) * 1999-10-21 2002-07-29 日本電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GB9925060D0 (en) * 1999-10-23 1999-12-22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Active matrix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JP2001134245A (ja) * 1999-11-10 2001-05-18 Sony Corp 液晶表示装置
TW554323B (en) * 2000-05-29 2003-09-21 Toshiba Corp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data latching circuit
JP2004264476A (ja) * 2003-02-28 2004-09-24 Sharp Corp 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83876B2 (en) 2004-09-14 2010-03-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Time division driving method and source driver for flat panel display
KR101147099B1 (ko) * 2005-03-23 2012-05-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Tft 기판의 구동장치 및 방법
KR100725492B1 (ko) * 2005-09-24 2007-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KR20210088682A (ko) * 2019-04-02 2021-07-14 구글 엘엘씨 전력 소비 및 속도를 위해 구성 가능한 스위칭을 갖는 디스플레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420387A (zh) 2003-05-28
US20030063048A1 (en) 2003-04-03
KR100541059B1 (ko) 2006-01-10
TW578126B (en) 2004-03-01
CN100410786C (zh) 2008-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1059B1 (ko) 액티브매트릭스형 표시장치와, 그 데이터선 절환회로,스위칭부 구동회로, 및 주사선 구동회로
US20210056925A1 (en) Gate driving circuit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US11308872B2 (en) OLED display panel for minimizing area of internalconnection line part for connecting GIP dirving circuit located in active area and OLE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US7508479B2 (en) Liquid crystal display
US9129576B2 (en) Gate driving waveform control
US8035132B2 (en) Display device and semiconductor device
CN101350179B (zh) 半导体电路和使用该半导体电路的显示装置以及其驱动方法
KR101032945B1 (ko) 시프트 레지스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JP5483517B2 (ja) 液晶表示装置
KR100468562B1 (ko) 고선명 액정 표시 장치
KR101264719B1 (ko) 액정 표시장치
US20060061535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WO2011074316A1 (ja) 走査信号線駆動回路およびそれを備えた表示装置
KR20080111233A (ko)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장치
KR20080076129A (ko)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20080150871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030095356A (ko) 구동 회로, 전기 광학 장치 및 구동 방법
KR20070013013A (ko) 표시 장치
US20040189681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same
KR20070073634A (ko) 시프트 레지스터 회로 및 그것을 구비한 화상표시장치
KR20080011896A (ko) 게이트 온 전압 발생회로와 게이트 오프 전압 발생회로 및이들을 갖는 액정표시장치
KR20140133033A (ko) 스캔 구동부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JP2009064041A (ja) オンガラスシングルチップ液晶表示装置
JPS6337394A (ja) マトリクス表示装置
KR20150059005A (ko) 게이트 구동부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