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1591A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1591A
KR20030011591A KR1020020043134A KR20020043134A KR20030011591A KR 20030011591 A KR20030011591 A KR 20030011591A KR 1020020043134 A KR1020020043134 A KR 1020020043134A KR 20020043134 A KR20020043134 A KR 20020043134A KR 20030011591 A KR20030011591 A KR 200300115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male
holder
female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3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25032B1 (ko
Inventor
츠야마오사무
Original Assignee
이치코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1222237A external-priority patent/JP405190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222236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3036912A/ja
Application filed by 이치코 고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치코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115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15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50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50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6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 B60R1/07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6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 B60R1/07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 B60R1/07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for adjusting the mirror relative to its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8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by resilient locking means on the contact members; by locking means on resilient contact members
    • H01R13/43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by resilient locking means on the contact members; by locking means on resilient contact members by stamped-out resilient tongue snapping behind shoulder in base or ca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42Comblike retainer for condu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53Electrical connectors with latch rod to be retainingly received by opening of mating conn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수홀더 중 외측으로 돌출된 수터미널의 터미널 접속부와의 부착부에, 암홀더의 삽입구멍에 끼워맞추는 끼워맞춤부를 설치하고 있다.
이 결과, 수터미널의 터미널 접속부 중 외측에 노출된 부분에 물이나 진애가 부착되기 어려워지므로, 방수효과 및 방진효과가 우수하다. 또, 수홀더의 끼워맞춤부가 암홀더의 삽입구멍내를 끼워맞추므로, 수터미널과 암터미널을 덜거덕거림없이 확실하게 끼워넣을 수가 있어 전기적 접속이 확실하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도전체 상호간의 접속, 예를 들면 하니스 상호간의 접속, 하니스와 전기기기간의 접속, 하니스와 프린트 회로기판간의 접속에 사용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이런 종류의 커넥터로서는, 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 5,724,200 등이 있다.이 커넥터는, 자동차용 리모트 컨트롤식 미러장치의 파워유닛과, 전원측의 하니스의 접속에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상기 커넥터에 있어서는, 방수효과 및 방진효과가 우수한 것과, 전기적 접속이 확실한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은, 방수효과 및 방진효과가 우수하고, 또, 전기적 접속이 확실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위해서, 수홀더 중, 외측에 돌출된 수터미널의 터미널 접속부와의 부착부분에, 암홀더의 삽입구멍에 끼워맞추는 끼워맞춤부를 설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결과, 본 발명은, 수홀더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수터미널의 터미널 접속부 중, 수홀더와의 부착부로부터 암홀더의 삽입구멍 속에 위치하는 부분이 끼워맞춤부에 의해 씌워져있다. 이것에 의해, 수터미널의 터미널 접속부 중 외측에 노출된 부분이 종래의 커넥터의 것과 비교하여 매우 적으므로, 물이나 진애가 부착되기어려워진다. 이 때문에, 수터미널의 노출부분에 부착된 물이나 진애가 수터미널과 암터미널의 접속부분에 침입하는 것이 매우 희박해져, 전기적으로 바람직한 것이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방수효과 및 방진효과가 우수하다.
또, 본 발명은, 수홀더의 끼워맞춤부가 암홀더의 삽입구멍내를 끼워맞추므로, 이 끼워맞춤부와 삽입구멍과의 끼워맞춤에 의해, 수터미널과 암터미널을 덜거덕거림없이 확실하게 끼워넣을 수가 있다. 따라서, 수터미널과 암터미널의 전기적접속이 확실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커넥터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로서,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커넥터가 사용되고 있는 도어미러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있어서의 Ⅱ-Ⅱ선 단면도이다,
도 3a는 자동차용 리모트 컨트롤식 미러장치의 스프링, 미러홀더베이스, 파워유닛의 제 1하우징의 분해사시도,
도 3b는 자동차용 리모트 컨트롤식 미러장치의 파워유닛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b에 있어서의 Ⅳ화살표방향에서 본 암커넥터(파워유닛)와 수커넥터와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4의 일부를 확대한 분해사시도,
도 6은 암커넥터와 수커넥터가 접속된 상태의 도 5에 있어서의 Ⅵ-Ⅵ선 단면에 대응하는 단면도,
도 7은 도 6에 있어서의 Ⅶ-Ⅶ선 단면도,
도 8은 암커넥터와 수커넥터가 접속되기 전의 상태의 도 5에 있어서의 Ⅵ-Ⅵ선 단면에 대응하는 단면도,
도 9는 도 8에 있어서의 Ⅸ-Ⅸ선 단면도,
도 10은 암커넥터와 수커넥터가 접속된 상태의 도 5에 있어서의 Ⅹ-Ⅹ선 단면에 대응하는 단면도,
도 11은 암커넥터와 수커넥터가 접속되기 전의 상태의 도 5에 있어서의 Ⅹ-Ⅹ선 단면에 대응하는 단면도,
도 12는 커넥터홀더에 수터미널을 가유지시키기 전의 상태의 도 5에 있어서의 Ⅵ-Ⅵ선 단면에 대응하는 단면도,
도 13은 도 12에 있어서의 ⅩⅢ-ⅩⅢ선 단면도,
도 14는 수터미널을 가유지시킨 커넥터 홀더에 커넥터 커버를 커버하기 전의 상태의 도 5에 있어서의 Ⅵ-Ⅵ선 단면에 대응하는 단면도,
도 15는 도 14에 있어서의 ⅩⅤ-ⅩⅤ선 단면도,
도 16은 수터미널이 수홀더에 유지된 상태의 도 5에 있어서의 Ⅵ-Ⅵ선 단면에 대응하는 단면도,
도 17은 도 16에 있어서의 ⅩⅦ-ⅩⅦ선 단면도,
도 18은 커넥터 홀더에 커넥터 커버를 커버하기 전의 상태의 도 5에 있어서의 Ⅹ-Ⅹ선 단면에 대응하는 단면도,
도 19는 커넥터 홀더에 커넥터 커버를 커버한 상태의 도 5에 있어서의 Ⅹ-Ⅹ선 단면에 대응하는 단면도,
도 20은 수터미널이 커넥터홀더에 가유지된 상태의 도 5에 있어서의 ⅩⅩ화살표방향에서 본 정면도,
도 21은 도 5에 있어서의 ⅩⅩ화살표방향에서 본 커넥터홀더의 사시도,
도 22는 도 5에 있어서의 ⅩⅩ화살표방향에서 본 커넥터커버의 정면도,
도 23은 도 5에 있어서의 ⅩⅩ화살표방향에서 본 커넥터커버의 사시도,
도 24는 수터미널이 수커넥터에 유지된 상태의 도 5에 있어서의 ⅩⅩ화살표방향에서 본 정면도,
도 25는 수커넥터의 도 5에 있어서의 ⅩⅩ화살표방향에서 본 사시도,
도 26a는 수터미널을 도시한 정면도,
도 26b는 도 26a에 있어서의 B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
도 26c는 크랭크부가 없는 수터미널을 도시한 정면도,
도 27a는 수터미널이 커넥터홀더에 가유지된 상태의 도 5에 있어서의 ⅩⅩⅦ화살표방향에서 본 배면도,
도 27b는 크랭크부가 없는 수터미널이 커넥터홀더에 가유지된 상태의 도 5에 있어서의 ⅩⅩⅦ화살표방향에서 본 배면도,
도 28은 3개의 수터미널이 커넥터홀더에 가유지된 상태의 도 5에 있어서의 ⅩⅩⅦ화살표방향에서 본 배면도.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커넥터의 실시형태의 1종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커넥터는, 자동차용 리모트 컨트롤식 미러장치의 파워유닛과 전원측의 하니스와의 접속에 사용되는 예를 나타낸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실시형태 중, 「좌우」 또는 「좌우방향」이란, 자동차용 리모트 컨트롤식 미러장치를 자동차에 장비한 상태에 있어서, 수직축 둘레의 「좌우」 또는 「좌우방향」을 말한다. 또, 이 실시형태 중, 「상하」또는 「상하방향」이란, 자동차용 리모트 컨트롤식 미러장치를 자동차에 장비한 상태에 있어서, 수평축둘레의 「상하」또는 「상하방향」을 말한다.
우선, 자동차용 리모트 컨트롤식 미러장치에 관하여 도 1, 도 2, 도 3a,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자동차용 리모트 컨트롤식 미러장치는, 이른바, 도어미러장치(1)이다. 이 도어미러장치(1)는, 자동차의 도어(2)에 고정된 베이스(3)와, 이 베이스(3)에 경동가능하게 장비된 미러어셈블리(4)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자동차용 리모트 컨트롤식 미러장치로서는, 상기 도어미러장치(1)이외에, 펜더미러장치, 백미러장치 등이 있다.
상기 미러어셈블리(4)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러하우징(5)과, 이 미러하우징(5)에 스크류(6)등에 의해 부착된 유닛 브래킷(7)과, 이 유닛 브래킷(7)에스크류(8)등에 의해 부착된 파워유닛(9)과, 이 파워유닛(9)에 경동가능하게 부착된 미러유닛(1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미러유닛(10)은, 동일하게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러보디(11)와, 이 미러보디(11)를 유지하는 미러홀더(12)와, 이 미러홀더(12)의 중앙부에 조립된 미러홀더 베이스(1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미러홀더 베이스(13)에는,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용 볼오목부(14A) 및 상하용 볼오목부(14B)와, 피벗기구(15)와, 가이드기구(16)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미러홀더(12)와 상기 미러홀더 베이스(13)는, 각각 별개의 구조물로서, 상기 미러홀더(12)의 중앙부에 상기 미러홀더 베이스(13)를 조립하여 일체 구조를 이루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미러홀더(12)와 상기 미러홀더 베이스(13)를 일체의 구조물로서 구성하여도 좋다.
한편, 상기 파워유닛(9)은, 도 2, 도 3a,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하우징(17) 및 제 2하우징(18)을 구비한다. 이 제 1하우징(17)에는, 피벗기구(15)와, 가이드기구(16)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 파워유닛(9)의 제 1하우징(17)에는, 상기 미러홀더 베이스(13)가 스프링(19), 상기 피벗기구(15), 상기 가이드기구(16)를 통하여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경동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프링(19)은, 십자형상의 것을 일체로 형성한 것이어도 좋고, 일자형상의 것을 2개 조합하여 십자형상으로 형성한 것이라도 좋다.
또, 상기 제 1하우징(17)에는, 원형의 좌우용 개구(20A) 및 상하용 개구(20B)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 좌우용 개구(20A)의 테두리 및 상하용개구(20B)의 테두리에는, 원링형상의 좌우용 패킹(21A) 및 상하용 패킹(21B)이 각각 부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1하우징(17) 및 제 2하우징(18)내에는, 좌우용 모터(22A) 및 상하용 모터(22B)가 각각 내장되어 있다. 이 좌우용 모터(22A) 및 상하용 모터(22B)에는, 감속기구 및 진퇴기구를 통하여 좌우용 진퇴로드(23a) 및 상하용 진퇴로드(23b)가 연결되어 있다. 이 좌우용 진퇴로드(23a) 및 상하용 진퇴로드(23b)는, 상기 제 1하우징(17) 및 제 2하우징(18)에 대해서 회전가능하게 또한 진퇴가능하게 장비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좌우용 패킹(21A) 및 상하용 패킹(21B)에 의해 수밀하게 유지되어 있다.
상기 감속기구는, 상기 좌우용 모터(22A) 및 상하용 모터(22B)의 회전축에 부착한 좌우용 웜(24A) 및 상하용 웜(24B)과, 상기 좌우용 웜(24A)및 상하용 웜(24B)에 맞물리는 좌우용 헤리컬기어(25A) 및 상하용 헤리컬기어(25B)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좌우용 헤리컬기어(25A) 및 상하용 헤리컬기어(25B)는, 상기 제 1하우징(17) 및 제 2하우징(18)에, 회전가능하게 또한 상기 좌우용 진퇴로드(23a) 및 상하용 진퇴로드(23b)의 진퇴방향으로 이동이 불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상기 좌우용 헤리컬기어(25A) 및 상하용 헤리컬기어(25B)는 중공형상을 이룬다. 상기 좌우용 헤리컬기어(25A) 및 상하용 헤리컬기어(25B)의 중공부 중에는, 상기 좌우용 진퇴로드(23a) 및 상하용 진퇴로드(23b)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또, 상기 좌우용 헤리컬기어(25A) 및 상하용 헤리컬기어(25B)에는, 복수개, 이 예에서는 4개의 좌우용 투시구멍(26a) 및 상하용 투시구멍(26b)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진퇴기구는, 상기 제 2하우징(18)에 설치한 좌우용 암나사(27a) 및 상하용 암나사(27b)와, 상기 좌우용 진퇴로드(23a) 및 상하용 진퇴로드(23b)의 기단에 설치한 수나사의 좌우용 탄성 걸어맞춤 클로(28A) 및 상하용 탄성 걸어맞춤 클로(28B)와, 좌우용 스프링(29A) 및 상하용 스프링(29B)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좌우용 탄성 걸어맞춤 클로(28A)및 상하용 탄성 걸어맞춤 클로(28B)는 자신의 탄성작용과 상기 좌우용 스프링(29A) 및 상하용 스프링(29B)의 스프링 작용에 의해, 상기 좌우용 투시구멍(26a) 및 상하용 투시구멍(26b)을 통과하여 상기 좌우용 암나사(27a)및 상하용 암나사(27b)에 상시 탄성 걸어맞춤한다. 또한 상기 좌우용 탄성 걸어맞춤 클로(28A) 및 상하용 탄성 걸어맞춤 클로(28B)와 상기 좌우용 투시구멍(26a) 및 상하용 투시구멍(26b)의 테두리와의 맞닿음에 의해, 상기 좌우용 진퇴로드(23a) 및 상하용 진퇴로드(23b)와 상기 좌우용 헤리컬기어(25A)및 상하용 헤리컬 기어(25B)는, 동기하여 회전하게 된다.
상기 좌우용 진퇴로드(23a) 및 상하용 진퇴로드(23b)의 선단부에는, 좌우용 볼부(30A) 및 상하용 볼부(30B)가 각각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이 좌우용 진퇴로드(23a)의 좌우용 볼부(30A) 및 상하용 진퇴로드(23b)의 상하용 볼부(30B)와, 상기 미러홀더 베이스(13)의 좌우용 볼오목부(14A) 및 상하용 볼오목부(14B)는, 상호 끼어맞춤한다. 이것에 의해, 상기 미러유닛(10)은, 상기 파워유닛(9)에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경동가능하게 부착되게 된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커넥터를 통하여, 상기 파워유닛(9)측과 전원측의 하니스(31)는,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좌우용 모터(22A) 및 상하용 모터(22B)는, 급전가능상태가 된다. 여기서, 자동차의 운전석으로부터 리모트 컨트롤에 의해, 좌우용 모터(22A) 또는 상하용 모터(22B)에 급전된다. 그러면, 좌우용 모터(22A)가 구동하여 좌우용 진퇴로드(23a)가 진퇴하고, 그것에 수반하여, 미러홀더 베이스(13)를 통하여 미러유닛(10)이 파워유닛(9)에 대해서 피벗기구(15)의 중심을 통과하는 수직축(도시생략)둘레로 좌우로 경동한다. 또는, 상하용 모터(22B)가 구동하여 상하용 진퇴로드(23b)가 진퇴하고, 그것에 수반하여, 미러홀더 베이스(13)를 통하여 미러유닛(10)이 파워유닛(9)에 대해서 피벗기구(15)의 중심을 통과하는 수평축(도시생략)둘레로 상하로 경동한다.
다음에,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커넥터에 관하여, 도 4∼도 2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커넥터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암커넥터(파워유닛(9))와, 2개의 수커넥터(32A,32B)를 구비한다. 이 암커넥터와 2개의 수커넥터(32A,32B)를 접속함으로써, 자동차용 리모트 컨트롤식 미러장치의 파워유닛(9)과 전원측의 하니스(31)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하, 암커넥터에 관하여 설명한다. 암커넥터는, 이 예에서는, 자동차용 리모트 컨트롤식 미러장치의 파워유닛(9)이다. 이 암커넥터(파워유닛(9))는, 도 6∼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좌우용 모터(22A) 및 상하용 모터(22B)에 각각 내장된 2개의 암터미널(33)과 총 4개의 상기 암터미널(33)이 유지되는 절연성의 암홀더로서의 상기 제 1하우징(17) 및 제 2하우징(18)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암터미널(33)은, 전기기기로서의 상기 좌우용 모터(22A) 및 상하용 모터(22B)에 각각 접속된 전기기기 접속부(도시생략)와, 상기 수커넥터(32A, 32B)의 수터미널(34)이 접속하는 터미널 접속부(도시생략)로 구성되어 있다.
암홀더로서의 상기 제 2하우징(18)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4개의 삽입구멍(35)이 상기 4개의 암터미널(33)에 대응하여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제 2하우징(18)에는, 좌우용 끼워맞춤부(36a) 및 상하용 끼워맞춤부(36b)가, 2개의 상기 삽입구멍(35)을 둘러싸도록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어서, 수커넥터(32A,32B)에 관하여 설명한다. 좌우용 수커넥터(32A) 및 상하용 수커넥터(32B)는, 도 4∼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수터미널(34,34)과, 상기 2개의 수터미널(34,34)이 각각 유지되는 절연성의 수홀더(37)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수홀더(37)에는, 상기 암홀더(제2하우징(18))의 좌우용 끼워맞춤부(36a)및 상하용 끼워맞춤부(36b)에 끼워맞추는 제 1끼워맞춤부(38)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2개의 수터미널(34,34)은, 도 26a,도 2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니스(31)가 접속된 하니스접속부(39)와, 상기 수홀더(37)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여 상기 암터미널(33)과 접속하는 터미널 접속부(4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하니스 접속부(39)와, 상기 터미널 접속부(40)는, 거의 직각으로 구부러져 있다. 상기 터미널 접속부(40)에는, 일부를 잘라세워서 빠짐방지부(41)가 설치되어 있다. 이 빠짐방지부(41)는, 상기 수터미널(34)이 상기 수홀더(37)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수터미널(34)에 있어서, 상기 하니스 접속부(39)와 상기 터미널 접속부(40)사이에는, 크랭크부(341)가 설치되어 있다. 이 크랭크부(341)에 의해, 상기 하니스 접속부(39)의 중심축(O2-O2)과 상기 터미널 접속부(40)의 중심축(O1-O1)이 거의 합치하므로, 상기 하니스 접속부(39)의 배면과 상기 빠짐방지부(41)의 배면은, 거의 동일면이 된다.
도 6∼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홀더(37) 중, 수터미널(34)의 터미널 접속부(40)와의 부착부에는, 상기 삽입구멍(35)중에 끼워맞춤하는 제2끼워맞춤부(42)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 2끼워맞춤부(42)의 하부 외측면과 상기 삽입구멍(35)의 하부 내측면에는, 수터미널(34)의 터미널 접속부(40)를 상기 삽입구멍(35)내에 삽입하여 상기 암터미널(33)에 끼워넣는 방향, 즉, 삽입방향(A)(도면중, 화살표방향)으로 감에 따라서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면(43,44)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삽입구멍(35)은, 상기 제 2끼워맞춤부(42)가 끼워맞추는 크기로서, 암커넥터(파워유닛(9))측의 전기기기(좌우용 모터(22A)및 상하용 모터(22B)의 테스트를 하기위한 테스트용 터미널(도시생략)을 삽입하기위한 삽입구멍을 겸용하는 것이다.
상기 수홀더(37)는, 별개의 커넥터홀더(371)와, 커넥터 커버(37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커넥터홀더(371)는, 도 12∼도 21, 도 24,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구조를 이룬다. 상기 커넥터홀더(371)에는, 2개의 가유지용 투시구멍(45)이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커넥터홀더(371)에는, 2개의 가유지용 오목부(46)가, 상기 가유지용 투시구멍(45)에 대해서 거의 직교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유지용 투시구멍(45)의 내측면에는, 빠짐방지 단차부(47)가 설치되어 있다. 게다가 또, 상기 커넥터홀더(371)의 양측의 중앙에는, 상기 커넥터 커버(372)와 끼워맞추는 제 3끼워맞춤부(48)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커넥터 커버(372)는, 도 12∼도 19, 도 22∼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커넥터홀더(371)를 커버하는 커버구조를 이룬다. 즉, 상기 커넥터 커버(372)는 일면(하면)측이 개구하고, 또한 다른면(상면)측이 폐색하고, 2중의 기립벽, 즉, 내측의 기립벽(49)과 외측의 기립벽(50)을 가지는 구조를 이룬다.
상기 내측의 기립벽(49)의 높이와 상기 외측의 기립벽(50)의 일부의 높이는, 거의 동일한 높이이다. 그리고, 상기 외측의 기립벽(50)의 다른 부분(ㄷ자형상을 이룬다)의 높이는, 상기 내측의 기립벽(49) 및 상기 외측의 기립벽(50)의 일부의 높이보다도 높다. 이 외측의 기립벽(50)의 높은 부분은, 가이드수단으로서의 가이드 볼록부(51)를 겸용하는 것이다.
상기 외측의 기립벽(50)은, 상기 암홀더(제2하우징(18))의 좌우용 끼워맞춤부(36a) 및 상하용 끼워맞춤부(36b)에 끼워맞추는 상기 제 1끼워맞춤부(38)를 겸용한다. 상기 2중의 기립벽(49,50)에는, 하니스(31) 인출용의 절결부(52)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내측의 기립벽(49) 양측의 중앙에는, 상기 커넥터홀더(37) 제 3끼워맞춤부(48)에 끼워맞추는 끼워맞춤부로서의 란스형상의 탄성 끼워맞춤부(53)가 설치되어 있다.
도 12∼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커넥터홀더(371)의 가유지용 투시구멍(45)중에 상기 수터미널(34)의 터미널 접속부(40)를 삽입방향(A)으로 끼워넣고, 상기 수터미널(34)의 터미널 접속부(40)의 일부를 상기 커넥터홀더(371)의 가유지용 투시구멍(45)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시킨다. 또, 상기 수터미널(34)의 빠짐방지부(41)를 상기 커넥터홀더(371)의 빠짐방지 단차부(47)에 고정한다. 그것과 동시에, 상기 커넥터홀더(371)의 가유지용 오목부(46)중에 상기 수터미널(34)의 하니스 접속부(39) 및 하니스(31)를 수납한다. 이 결과, 상기 수터미널(34)의 터미널 접속부(40)의 일부가 상기 커넥터홀더(371)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상기 수터미널(34)이 상기 커넥터 홀더(371)에 가유지되게 된다.
도 14∼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터미널(34)을 가유지한 상기 커넥터홀더(371)에 상기 커넥터 커버(372)를 삽입방향(A)으로 끼워맞추어 커버한다. 즉, 상기 커넥터홀더(371) 및 수터미널(34)을 상기 커넥터 커버(372)의 내측의 기립벽(49) 중에 수납한다. 또, 상기 하니스(31)를 상기 커넥터 커버(372)의 절결부(52)로부터 상기 수홀더(37)로부터 외측으로 인출한다. 또한, 상기 커넥터홀더(371)의 제 3끼워맞춤부(48)에 상기 커넥터 커버(372)의 탄성 끼워맞춤부(53)를 탄성 끼워맞춤시킨다. 이 때, 제 3끼워맞춤부(48) 및 탄성 끼워맞춤부(53)는, 도 18 중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휜다. 이 결과, 상기 수터미널(34)의 터미널 접속부(40)의 일부가 상기 커넥터홀더(371)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상기 수터미널(34)이 상기 커넥터홀더(371)와 상기 커넥터 커버(372) (수홀더(37))에 본유지되게 된다.
상기 2개의 수터미널(34,34)이 유지된 상기 수홀더(37)의 외형은, 도 27a에도시한 바와 같이, 커넥터의 방수구조상, 중심축(O-O)에 대해서 대칭인 형상을 이룬다. 또, 상기 수홀더(37)에 유지된 상기 2개의 수터미널(34,34)의 터미널 접속부(40,40)의 중심축(O1-O1)의 사이(W)는, 소정의 치수로 정해져 있다. 또한, 상기 수홀더(37)에 유지된 상기 2개의 수터미널(34,34)의 터미널 접속부(40,40)의 중심축(O1-O1)은, 상기 수홀더(37)의 중심축(O-O)에 대해서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수홀더(37)의 중앙부와 암홀더(제 2하우징(18))의 중앙부에는, 상기 수홀더(37)와 상기 암홀더(제2하우징(18))를 상호 착탈가능하게 로크하는 로크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즉, 도 5, 도 10,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암홀더(제2하우징(18))의 좌우용 끼워맞춤부(36a)및 상하용 끼워맞춤부(36b)의 중앙부에는, 작은 사각형의 개구(54)가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개구(54)의 주위에는, 기립벽(55)이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암홀더측의 로크기구는, 상기 기립벽(55) 및 상기 개구(54)의 내측면에는 일체로 설치된 한쌍의 걸어맞춤 단차부(56)로 이루어진다. 한편, 도 10, 도 11, 도 18,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홀더(37)측의 로크기구는, 상기 커넥터홀더(371)의 중앙부에 일체로 설치된 한쌍의 란스형상의 탄성 걸어맞춤 클로(57)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홀더(37)와 상기 암홀더(제 2하우징(18))에는, 상기 로크기구(탄성걸어맞춤 클로(57)와 걸어맞춤 단차부(56))의 로크해제시에, 상기 커넥터홀더(371)의 제 3끼워맞춤부(48)와 상기 커넥터 커버(372)의 탄성 끼워맞춤부(53)의 끼워맞춤상태를 유지하는 유지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암홀더(제2하우징(18))의 좌우용 끼워맞춤부(36a) 및 상하용 끼워맞춤부(36b)는, 내측의 기립벽(58)과 외측의 기립벽(59)의 2중의 기립벽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2중의 기립벽(58,59)에는, 하니스(31) 인출용의 절결부(60)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외측의 기립벽(59)의 높이는, 상기 내측의 기립벽(58)의 높이보다도 높다. 그리고, 상기 암홀더(제 2하우징(18))측의 내측의 기립벽(58), 외측의 기립벽(59) 및 상기 수홀더(37)측의 외측의 기립벽(50)이, 상기 유지기구를 겸용하는 것이다.
상기 로크기구의 탄성걸어맞춤 클로(57) 및 걸어맞춤 단차부(56)와, 상기 수터미널(34) 및 상기 암터미널(33)을 둘러싸는 상기 수홀더(37)의 2중의 기립벽(49,50) 및 상기 암홀더(제 2하우징(18))의 2중의 기립벽(58,59)은, 방수벽을 겸용하는 것이다. 또, 상기 개구(54)를 둘러싸는 기립벽(55)은, 마찬가지로, 방수벽을 겸용하는 것이다.
상기 수홀더(37)와 상기 암홀더(제 2하우징(18))에는, 상기 수터미널(34)을 상기 암터미널(33)에 끼워넣기전에 상호 걸어맞춤하고, 또한, 상기 수터미널(34)을 상기 암터미널(33)에 끼워넣을 때의 가이드를 이루는 가이드 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수단은, 상기 수홀더(37)의 외측의 기립벽(50)중 높게 한 부분의 상기 가이드 볼록부(51)와, 상기 암홀더(제 2하우징(18))의 좌우용 끼워맞춤부(36a) 및 상하용 끼워맞춤부(36b)의 내측의 기립벽(58)과 외측의 기립벽(59)간의 홈 중 깊게 한 부분의 가이드 오목부(61)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수단으로서의 가이드 볼록부(51) 및 가이드 오목부(61)는, 상기로크기구의 탄성걸어맞춤 클로(57) 및 걸어맞춤 단차부(56)와, 상기 수터미널(34) 및 상기 암터미널(33)을 둘러싸는 상기 외측의 기립벽(50) 및 상기 2중의 기립벽(58,59)의 일부로 이루어지는 것이기때문에, 상기와 같이, 방수벽을 겸용하는 것이다
도 5, 도 6,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홀더(37)측의 외측의 기립벽(50)의 양측의 중앙부와, 상기 암홀더(제2하우징(18))측의 외측의 기립벽(59)의 양측의 중앙부에는, 상호 끼워맞춤하는 끼워맞춤 볼록부(62)와, 끼워맞춤 오목부(63)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도 3b, 도 7,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 2하우징(18)의 내측에는, 상기 좌우용 모터(22A) 및 상하용 모터(22B) 중, 상기 좌우용 웜(24A) 및 상하용 웜(24B)의 축방향에 대해서 좌우를 위치결정하는 위치결정 볼록부(64)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위치결정 볼록부(64)는, 상기 내측의 기립벽(58)과 상기 외측의 기립벽(59)간의 홈의 바닥부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커넥터는,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이하, 그 작용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용 수커넥터(32A) 및 상하용 수커넥터(32B)의 수홀더(37,37)의 제 1끼워맞춤부(38,38)를, 암커넥터(파워유닛(9))의 암홀더(제2하우징(18))의 좌우용 끼워맞춤부(36a) 및 상하용 끼워맞춤부(36b)에 화살표 A방향으로 끼워맞춤시킨다.
그러면, 도 8,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 가이드볼록부(51)와 가이드오목부(61)가 상호 걸어맞춤한다. 이것과 동시에, 수터미널(34)의 터미널 접속부(40)가 암홀더(제2하우징(18))의 삽입구멍(35) 중에 화살표 A방향으로 삽입한다.
다음에 가이드 볼록부(51)와 가이드 오목부(61)의 상호 걸어맞춤의 가이드작용에 의해서 가이드되면서, 도 6,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터미널(34)의 터미널 접속부(40)가 좌우용 모터(22A) 및 상하용 모터(22B)의 암터미널(33)에 직접 끼워넣어진다. 이것과 동시에, 수홀더(37)의 제 2끼워맞춤부(42)가 암홀더)(제2하우징(18))의 삽입구멍(35) 중에 끼워맞춤한다. 또, 제 2끼워맞춤부(42)의 테이퍼면(43)과 삽입구멍(35)의 테이퍼면(44)이 마찬가지로 끼워맞춤한다.
한편, 도 10,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크기구의 탄성걸어맞춤 클로(57)가 일단 휘고 동시에 탄성복귀하여 걸어맞춤 단차부(56)에 탄성걸어맞춤한다.
이것에 의해 도 6, 도 7,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용 수커넥터(32A) 및 상하용 수커넥터(32B)의 수홀더(37,37)의 제 1끼워맞춤부(38,38)와, 암커넥터(파워유닛(9))의 암홀더(제2하우징(18))의 좌우용 끼워맞춤부(36a) 및 상하용 끼워맞춤부(36b)가 상호 끼워맞춤한다. 이 때, 수홀더(37)측의 끼워맞춤 볼록부(62)와, 암홀더(제2하우징(18))측의 끼워맞춤 오목부(63)가 상호 끼워맞춤한다.
즉, 수홀더(37)측의 2중의 기립벽(49,50)과, 암홀더(제2하우징(18))측의 2중의 기립벽(58,59)이 상호 또한 서로 엇갈려서 끼워맞춤한다. 또, 하니스(31)가 수홀더(37)측의 절결부(52) 및 암홀더(제2하우징(18))측의 절결부(60)를 거쳐서 외측으로 인출된다. 또한, 수터미널(34)과 암터미널(33)이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이결과, 상기 좌우용 모터(22A) 및 상하용 모터(22B)는, 급전가능상태가 된다.
여기서, 자동차의 운전석으로부터 리모트 컨트롤에 의해, 좌우용 모터(20A) 또는 상하용 모터(20B)에 급전하면, 상기와 같이, 미러유닛(10)이 파워유닛(9)에 대해서, 좌우로 또는 상하로 경동한다.
다음에, 좌우용 수커넥터(32A) 및 상하용 수커넥터(32B)의 수홀더(37,37)의 제 1끼워맞춤부(38,38)를, 암커넥터(파워유닛(9))의 암홀더(제2하우징(18))의 좌우용 끼워맞춤부(36a) 및 상하용 끼워맞춤부(36b)로부터, 화살표A와 역방향으로 빼낸다. 그러면,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크기구의 탄성걸어맞춤 클로(57)가 휘어서 걸어맞춤 단차부(56)와의 탄성걸어맞춤상태에서 벗겨진다. 이것에 의해, 좌우용 수커넥터(32A)및 상하용 수커넥터(32B)의 수홀더(37,37)의 제 1끼워맞춤부(38,38)를, 암커넥터(파워유닛(9))의 암홀더(제2하우징(18))의 좌우용 끼워맞춤부(36a) 및 상하용 끼워맞춤부(36b)로부터, 빼낼 수가 있다. 또한, 상기의 빼낼 때에는, 수홀더(37)측의 끼워맞춤 볼록부(62)에 공구 등(도시생략)을 걸어서 빼낸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커넥터는,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므로, 이하의 효과를 달성할 수가 있다.
즉,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커넥터는, 수터미널(34)의 터미널 접속부(40)중, 수홀더(37)(커넥터 홀더(371))와의 부착부로부터 삽입구멍(35)중에 위치하는 부분이 제 2끼워맞춤부(42)에 의해 씌워져 있다. 이것에 의해, 수터미널(37)의 터미널 접속부(40) 중 노출된 부분이 종래의 커넥터와 비교하여 매우 적으므로, 물이나 진애가 부착되기 어려워진다. 이 때문에, 수터미널(34)의 노출부분에 부착된 물이나 진애가 수터미널(34)과 암터미널(33)과의 접속부분에 침입하는 것이 매우 희박해져, 전기적으로 바람직한 것이 된다. 이와 같이,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커넥터는, 방수효과 및 방진효과가 우수하다.
또,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커넥터는, 제 2끼워맞춤부(42)가 삽입구멍(35) 내를 끼워맞춤하므로, 이 제 2끼워맞춤부(42)와 삽입구멍(35)의 끼워맞춤에 의해, 수터미널(34)과 암터미널(33)을 덜거덕거림없이 확실하게 끼워넣을 수가 있다. 따라서, 수터미널(34)과 암터미널(33)의 전기적 접속이 확실하다.
또,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커넥터는, 제 2끼워맞춤부(42)의 외측면과 삽입구멍(35)의 내측면에는, 수터미널(34)의 돌출부의 터미널 접속부(40)의 삽입방향(A)으로 감에 따라서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면(43,44)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결과,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커넥터는, 제 2끼워맞춤부(42)와 삽입구멍(35)의 끼워맞춤이 더욱 확실해진다. 이 때문에, 수터미널(34)과 암터미널(33)을 더욱 덜거덕거림없이 확실하게 끼워넣어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가 있다. 게다가, 물이나 진애가 제 2끼워맞춤부(42)와 삽입구멍(35)의 확고한 끼워맞춤을 거쳐서 암홀더(제 2하우징(18))내에 침입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어, 방수효과 및 방진효과가 더욱 향상한다.
또,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커넥터는, 삽입구멍(35)이 암커넥터(파워유닛(9))측의 전기기기(좌우용 모터(22A), 상하용 모터(22B))의 테스트를 하기위한 테스트용 터미널(도시생략)을 삽입하기위한 삽입구멍을 겸한다. 이결과,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커넥터는, 암홀더(제2하우징(18))에 설치하는 삽입구멍(35)의 수를 줄일 수가 있다. 그만큼, 방수효과 및 방진효과가 더욱 향상된다.
또,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커넥터는, 수터미널(34)을 커넥터홀더(371)에 가유지하고나서, 그 수터미널(34)을 커넥터홀더(371) 및 커넥터커버(372)에 본 유지하는 것이다. 이 때문에, 수터미널(34)과 수홀더(37)의 유지조립을 확실히 할 수 있고, 또한, 수터미널(34)과 수홀더(37)의 유지조립작업의 안정화가 도모된다.
또,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커넥터는, 수홀더(37)와 암홀더(제2하우징(18))에, 로크기구로서의 탄성걸어맞춤 클로(57)와 걸어맞춤 단차부(56)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 로크해제시에, 커넥터홀더(371)의 제 3끼워맞춤부(48)와 커넥터 커버(372)의 탄성 끼워맞춤부(53)의 끼워맞춤상태를 유지하는 유지기구(암홀더(제2하우징(18))측의 내측의 기립벽(58), 외측의 기립벽(59) 및 수홀더(37)측의 외측의 기립벽(50)이 설치되어 있다.
이 결과,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커넥터는, 수홀더(37)가 별개의 커넥터홀더(371)와 커넥터 커버(372)로 구성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수홀더(37)와 암홀더(제2하우징(18))의 로크상태를 해제할 때에, 수홀더(37)의 커넥터홀더(371)와 커넥터 커버(372)가 분리되는 일이 없다.
즉,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호 탄성 끼워맞춤하는 커넥터홀더(371)의 제 3끼워맞춤부(48)와 커넥터 커버(372)의 탄성 끼워맞춤부(53)의 주위는, 유지기구(상호 까워맞춤하는 암홀더(제2하우징(18))측의 내측의 기립벽(58), 외측의 기립벽(59) 및 수홀더(37)측의 외측의 기립벽(50))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이 때문에, 로크기구의 탄성 걸어맞춤 클로(57)가 휘어서 걸어맞춤 단차부(56)로부터 벗겨질 때에, 탄성 끼워맞춤부(53)가 외측으로 벌어지려고 하여도, 유지기구에 의해서 그 탄성 끼워맞춤부(53)의 외측으로의 벌어짐이 억제되고 있다.
따라서, 수홀더(37)를 암홀더(제2하우징(18))로부터 확실하게 빼낼 수가 있다. 게다가 수홀더(37)를 암홀더(제2하우징(18)으로부터 빼낼 때에, 수홀더(37)의 커넥터홀더(371)와 커넥터 커버(372)가 간단하게 분리되지 않으므로, 수홀더(37)의 커넥터홀더(371) 및 커넥터 커버(372)의 품질이 안정된다.
또,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커넥터는, 로크기구로서의 탄성 걸어맞춤 클로(57) 및 걸어맞춤 단차부(56)의 주위에 방수벽(수홀더(37)측의 2중의 기립벽(49,50), 암홀더(제2하우징(18))측의 2중의 기립벽(58,59) 및 기립벽(55))을 설치하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수홀더(37) 및 암홀더(제2하우징(18))에, 로크기구의 탄성 걸어맞춤 클로(57) 및 걸어맞춤 단차부(56)가 설치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로크기구의 탄성 걸어맞춤 클로(57) 및 걸어맞춤 단차부(56)에 대한 방수효과가 있다.
또,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커넥터는, 마찬가지로, 수터미널(34) 및 암터미널(33)의 주위에 방수벽(수홀더(37)측의 2중의 기립벽(47,48), 암홀더(제2하우징(18))측의 2중의 기립벽(58,59) 및 기립벽(55))을 설치하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수터미널(34) 및 암터미널(33)에 대한 방수효과가 있다.
또,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커넥터는, 수터미널(34)을 암터미널(33)에 끼워넣을 때에 가이드수단의 가이드 볼록부(51) 및 가이드 오목부(61)가 가이드한다. 이것에 의해,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커넥터는, 수터미널(34) 및 암터미널(33)에대한 부담을 작게 할 수가 있어, 수터미널(34) 및 암터미널(33)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커넥터는, 방수벽과 가이드수단이 겸용된다. 즉, 수홀더(37)측의 외측의 기립벽(50)이 방수벽과 가이드 볼록부(51)를 겸용한다. 또, 암홀더(제2하우징(18))측의 내측의 기립벽(58)과 외측의 기립벽(59)이 방수벽을 이루고, 또한 그 사이의 홈이 가이드 오목부(61)를 이룬다. 이것에 의해 구조가 간단해진다.
특히,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커넥터는, 하니스(31)가 수홀더(37)측의 2중의 기립벽(49,50)의 절결부(52) 및 암홀더(제2하우징(18))측의 2중의 기립벽(58,59)의 절결부(60)를 거쳐서 외측으로 인출된다. 이 결과,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커넥터는, 하니스(31)를 수홀더(37) 및 암홀더(제2하우징(18))로부터 인출하는 부분에 대한 방수효과가 있다.
또,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커넥터는, 제 2하우징(18)의 내측에 위치결정 볼록부(64)가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커넥터는, 좌우용 모터(22A) 및 상하용 모터(22B)를, 좌우용 웜(24A) 및 상하용 웜(24B)의 축방향에 대해서 좌우의 흔들림없이 위치결정할 수가 있다.
또한, 좌우용 웜(24A) 및 상하용 웜(24B)를 좌우용 헤리컬기어(25A) 및 상하용 헤리컬기어(25B)의 맞물림에 의해, 좌우용 모터(22A) 및 상하용 모터(22B)는,좌우용 웜(24A)및 상하용 웜(24B)의 축방향의 덜거덕거림이 억제되고 있다.
또, 위치결정 볼록부(64)는, 암홀더(제2하우징(18))측의 내측의 기립벽(58)과 외측의 기립벽(59)간의 홈의 바닥부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구조가 간단하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커넥터의 수터미널(34)은, 도 2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니스 접속부(39)의 중심축(O2-O2)과 터미널 접속부(40)의 중심축(O1-O1)이 거의 합치하는 것이기때문에, 수터미널(34)의 소형화가 도모된다.
즉, 도 2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니스 접속부(39)의 중심축(O2-O2)과 터미널 접속부(40)의 중심축(O1-O1)이 합치하지않는 구조의 수터미널(340)의 경우, 하니스 접속부(39)의 중심축(O2-O2)과 터미널 접속부(40)의 중심축(O1-O1)간에 편위량(W1)이 있다. 이 때문에 빠짐방지부(41)의 배면이 하니스 접속부(39)의 배면보다도 외측으로 돌출하고 있다. 이것에 대해서,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커넥터의 수터미널(34)은, 도 2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니스 접속부(39)의 중심축(O2-O2)과 터미널 접속부(40)의 중심축(O1-O1)간의 펀위량이 거의 0이다. 이 때문에 빠짐방지부(41)의 배면과 하니스 접속부(39)의 배면은, 동일면이 된다. 이것에 의해,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커넥터의 수터미널(34)은, 상기의 수터미널(340)과 비교하여, 소형화가 도모된다.
또, 도 27a,도 2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의 3조건을 가지는 커넥터 (2개의 수터미널(34,34)의 터미널 접속부(40,40)의 중심축(O1-O1)의 사이(W)가 소정의 치수로 정해져 있는 조건과, 2개의 수터미널(34,34)의 터미널 접속부(40,40)의 중심축(O1-O1)이 수홀더(37,370)의 중심축(O-O)에 대해서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는 조건과, 방수구조상 수홀더(37,370)의 외형이 중심축(O-O)에 대해서 대칭인 형상을 이루는 조건을 가지는 커넥터)에 있어서,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커넥터의 수터미널(34)을 유지하는 수홀더(37)는, 상기의 수터미널(340)을 유지하는 절연성의 수홀더(370)와 비교하여, 소형화가 도모된다.
즉, 도 2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의 수터미널(340)은, 하니스 접속부(39)의 중심축(O2-O2)과 터미널 접속부(40)의 중심축(O1-O1)간에 편위량(W1)이 있다. 이것에 대해서, 도 2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커넥터의 수터미널(34)은, 하니스 접속부(39)의 중심축(O2-O2)과 터미널 접속부(40)의 중심축(O1-O1)간의 편위량이 거의 0이다. 이것에 의해,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커넥터의 2개의 수터미널(34,34)을 유지하는 수홀더(37)의 폭(W2)은, 상기의 2개의 수터미널(340,340)을 유지하는 수홀더(370)의 폭(W3)보다도, 상기 편위량(W1)의 2배 작아도 된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커넥터의 2개의 수터미널(34,34)은, 공통화가 도모된다.
즉, 상기의 2개의 수터미널(340,340) 중 우측의 수터미널(340)을 좌우 반대로 배치한 경우에는, 상기의 2개의 수터미널(340,340)을 유지하는 수홀더(370)의 폭(W3)을,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커넥터의 2개의 수터미널(34,34)을 유지하는 수홀더(37)의 폭(W2)정도로 작게 할 수가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 있어서는, 수홀더의 좌측에 배치하는 좌측 전용의 수터미널과, 수홀더의 우측에 배치하는 우측 전용의 수터미널이 각각 필요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커넥터의 수터미널(34)은, 하니스접속부(39)의 중심축(O2-O2)과 터미널 접속부(40)의 중심축(O1-O1)이 거의 합치함으로써, 하니스(31)가 접속된 2개의 수터미널(34,34)의 공통화가 도모된다.
게다가, 2개의 수터미널(34,34)의 공통화가 도모됨으로써, 좌측전용의 수터미널 및 우측전용의 수터미널을 각각 필요로 하는 것과 비교한 경우, 부품 점수가 반감되어, 부품관리가 간편화된다. 또, 하니스(31,31)가 접속된 2개의 수터미널(34,34)을 유지하는 수홀더(37)의 소형화가 도모된다. 이 때문에 수홀더(37)와 끼워맞춤하는 암홀더로서의 파워유닛(9)의 하우징(17,18)도 소형화할 수가 있다. 게다가, 수홀더(37)를 파워유닛(9)의 하우징(17,18)에 끼워맞춤하는 위치에 관하여, 설계의 자유도가 증가한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자동차용 리모트 컨트롤식 미러장치의 파워유닛(9), 즉, 2피스 타입의 커넥터에 사용한 예를 나타낸다. 그러나, 본 발명의 커넥터는, 자동차용 리모트 컨트롤식 미러장치의 파워유닛(9)이외의 것, 예를 들면, 1피스 타입의 커넥터, 또는 3피스이상의 타입의 커넥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수터미널(34)에 크랭크부(341)를 설치한 예를 나타낸다. 그러나, 본 발명의 커넥터는, 하니스를 접속하는 암터미널에 크랭크부를 설치한 커넥터에 관해서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수홀더(37)에 2개의 수터미널(34,34)을 유지하는 예에 관하여 설명하는 것이다. 그런데, 본 발명은, 수홀더에 1개의 수터미널,또는 3개이상의 수터미널을 유지하는 것이라도 좋다. 예를들면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홀더(37a)에 3개의 수터미널(34A,34A,34A)을 균등(폭 W4)하게 배치유지시킨 것이라도좋다.
본 발명에 따라, 수터미널의 터미널 접속부 중 외측에 노출된 부분에 물이나 진애가 부착되기 어려워지므로, 방수효과 및 방진효과가 우수하다. 또, 수홀더의 끼워맞춤부가 암홀더의 삽입구멍내를 끼워맞추므로, 수터미널과 암터미널을 덜거덕거림없이 확실하게 끼워넣을 수가 있어, 전기적 접속이 확실하다.

Claims (16)

  1. 도전체 상호간의 접속에 사용되는 커넥터에 있어서,
    암커넥터와 수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암커넥터는 터미널 접속부를 가지는 암터미널과, 상기 터미널 접속부가 내부에 수납된 상태로 상기 암터미널이 유지되고 또한 삽입구멍이 설치되어 있는 절연성의 암홀더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수커넥터는 상기 삽입구멍 속에 삽입하여 상기 암터미널의 터미널 접속부에 접속하는 터미널 접속부를 가지는 수터미널과, 상기 터미널 접속부가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상기 수터미널이 유지되는 절연성의 수홀더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수홀더 중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수터미널의 터미널 접속부와의 부착부에는, 상기 삽입구멍에 끼워맞춤하는 끼워맞춤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끼워맞춤부의 외측면과 상기 삽입구멍의 내측면에는, 상기 삽입방향으로 감에 따라서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암터미널은 전기기기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삽입구멍은 상기 전기기기의 테스트를 행하기 위한 테스트용 터미널이 삽입되기 위한 삽입구멍을 겸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도전체 상호간의 접속에 사용되는 커넥터에 있어서,
    암커넥터와 수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암커넥터는 터미널 접속부을 가지는 암터미널과, 상기 터미널 접속부가 내부에 수납된 상태로 상기 암터미널이 유지되고, 또한 삽입구멍이 설치되어 있는 절연성의 암홀더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수커넥터는 상기 삽입구멍 속에 삽입하여 상기 암터미널의 터미널 접속부에 접속하는 터미널 접속부를 가지는 수터미널과, 상기 수터미널을 상기 삽입방향으로 끼워넣어 상기 터미널 접속부가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가유지하는 절연성의 수홀더로서의 커넥터홀더와, 상기 커넥터홀더에 상기 삽입방향으로 끼워맞추어 커버하여 상기 수터미널을 상기 커넥터홀더와 함께 본유지시키는 절연성의 수홀더로서의 커넥터 커버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상기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수홀더와 상기 암홀더에는 상기 수홀더와 상기 암홀더를 상호 착탈가능하게 로크하는 로크기구와, 상기 로크기구의 로크해제시에 상기 커넥터 홀더와 상기 커넥터 커버와의 끼워맞춤상태를 유지하는 유지기구가 각각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도전체 상호간의 접속에 사용되는 커넥터에 있어서,
    암커넥터와 수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암커넥터는 터미널 접속부를 가지는 암터미널과, 상기 암터미널이 유지되는 절연성의 암홀더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수커넥터는 상기 암터미널의 터미널 접속부에 접속하는 터미널 접속부을 가지는 수터미널과, 상기 수터미널이 유지되는 절연성의 수홀더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수홀더의 중앙부와 상기 암홀더의 중앙부에는, 상기 수홀더와 상기 암홀더를 상호 착탈가능하게 로크하는 로크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수홀더의 주변부와 상기 암홀더의 주변부에는, 상기 로크기구를 둘러싸는 방수벽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벽은 상기 수터미널의 터미널 접속부가 상기 암터미널의 터미널 접속부에 접속하기 전에 상호 걸어맞춤하고, 또한 상기 수터미널의 터미널 접속부가 상기 암터미널의 터미널 접속부에 접속할 때의 가이드를 이루는 가이드수단을 겸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9. 도전체 상호간의 접속에 사용되는 커넥터에 있어서,
    암커넥터와 수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암커넥터는 터미널 접속부를 가지는 암터미널과, 상기 암터미널이 유지되는 절연성의 암홀더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수커넥터는 상기 암터미널의 터미널 접속부에 접속하는 터미널 접속부를 가지는 수터미널과, 상기 수터미널이 유지되는 절연성의 수홀더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수홀더와 상기 암홀더에는 상기 수터미널의 터미널 접속부가 상기 암터미널의 터미널 접속부에 접속하기 전에 상호 걸어맞춤하고, 또한 상기 수터미널의 터미널 접속부가 상기 암터미널의 터미널 접속부에 접속할 때의 가이드를 이루는 가이드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수단은 상기 수터미널 및 암터미널을 둘러싸는 방수벽을 겸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1. 자동차용 리모트 컨트롤식 미러장치의 파워유닛과 전원측의 하니스와의 접속에 사용되는 커넥터에 있어서,
    암커넥터와 수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암커넥터는 자동차용 리모트 컨트롤식 미러장치의 파워유닛으로서, 모터에 내장된 2개의 암터미널과, 상기 2개의 암터미널이 각각 유지되는 절연성의 암홀더로서의 상기 파워유닛의 하우징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수커넥터는 2개의 수터미널과, 상기 2개의 수터미널이 각각 유지되는절연성의 수홀더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2개의 수터미널은 상기 하니스가 각각 접속된 하니스 접속부와, 상기 2개의 암터미널에 각각 접속하여 상기 모터가 급전가능 상태가 되는 터미널 접속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2. 암커넥터에 접속하여 도전체 상호간을 접속하는 수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암커넥터의 암터미널에 삽입하여 접속하는 터미널 접속부를 가지는 수터미널과,
    상기 수터미널을 상기 삽입방향으로 끼워넣어 상기 터미널 접속부가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가유지하는 절연성의 수홀더로서의 커넥터홀더와,
    상기 커넥터홀더에 상기 삽입방향으로 끼워맞추어 커버하여 상기 수터미널을 상기 커넥터홀더와 함께 본유지시키는 절연성의 수홀더로서의 커넥터커버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커넥터.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수홀더에는 상기 수홀더와 상기 암커넥터의 암홀더를 상호 착탈가능하게 로크하는 로크기구와 상기 로크기구의 로크해제시에, 상기 커넥터홀더와 상기 커넥터 커버와의 끼워맞춤상태를 유지하는 유지기구가 각각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커넥터.
  14. 제 1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터미널 및/또는 상기암터미널은 하니스가 접속된 하니스 접속부와 다른 쪽의 터미널에 접속하는 터미널 접속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니스 접속부의 중심축과 상기 터미널 접속부의 중심축이 거의 합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5. 도전체 상호간의 접속에 사용되는 커넥터에 있어서,
    하니스가 접속된 하니스 접속부와 다른쪽의 터미널에 접속하는 터미널 접속부를 구비한 터미널과,
    상기 터미널이 유지되는 절연성의 홀더를 구비하고,
    상기 터미널은 상기 하니스 접속부의 중심축과 상기 터미널 접속부의 중심축이 거의 합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터미널의 터미널 접속부의 중심축의 사이는 소정의 치수로 정해져 있고, 상기 복수개의 터미널의 터미널 접속부의 중심축은 상기 홀더의 중심축에 대해서 대칭으로 또는 균등하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홀더의 외형은 중심축에 대해서 대칭인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020043134A 2001-07-23 2002-07-23 커넥터 KR1007250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222237A JP4051902B2 (ja) 2001-07-23 2001-07-23 コネクタの構造
JPJP-P-2001-00222236 2001-07-23
JPJP-P-2001-00222237 2001-07-23
JP2001222236A JP2003036912A (ja) 2001-07-23 2001-07-23 ターミナルの構造およびコネクタにおけるターミナルの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1591A true KR20030011591A (ko) 2003-02-11
KR100725032B1 KR100725032B1 (ko) 2007-06-07

Family

ID=26619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3134A KR100725032B1 (ko) 2001-07-23 2002-07-23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902438B2 (ko)
EP (1) EP1279556B1 (ko)
KR (1) KR100725032B1 (ko)
CN (1) CN1300899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PD20040085U1 (it) * 2004-11-26 2005-02-26 Inarca Spa Gruppo di connessione per cavi elettrici del tipo per la connessione a connettori con terminali a spina cilindrica
JP4579021B2 (ja) * 2005-03-23 2010-11-1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4081532B2 (ja) * 2005-04-05 2008-04-30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中継コネクタ
EP1775799B1 (de) * 2005-08-12 2008-04-09 AMPHENOL-TUCHEL ELECTRONICS GmbH Steckverbinder für pyrotechnische Anwendungen
JP4680833B2 (ja) 2006-05-23 2011-05-11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コネクタ及び鏡面角度調整装置
BRPI0821695A2 (pt) * 2007-12-27 2019-09-24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 Ltd conector de relé, estrutura de instalação de conector de relé e chassi, estrutura de instalação de conector de relé e fonte de energia, estrutura de instalação de tubo de descarga e fonte de energia para o conector de relé, dispositivo de iluminação para o dispositivo monitor de vídeo, dispositivo monitor de vídeo e receptor de televisão
JP4971412B2 (ja) * 2009-12-10 2012-07-1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プラグ電気コネクタ
FR2956527B1 (fr) * 2010-02-15 2012-09-21 Tyco Electronics France Sas Connecteur electrique comprenant une protuberance ou une poche de guidage avec un element de fixation flexible.
JP5886562B2 (ja) * 2011-08-01 2016-03-16 株式会社石▲崎▼本店 電動ミラー装置用のアクチュエータ、コネクタアッセンブリ及びコネクタ
CN106953461B (zh) * 2012-06-26 2019-08-30 株式会社电装 电动机驱动器
US9685730B2 (en) 2014-09-12 2017-06-20 Steelcase Inc. Floor power distribution system
JP6496696B2 (ja) * 2016-09-26 2019-04-03 矢崎総業株式会社 防水コネクタ
JP6897632B2 (ja) * 2018-05-24 2021-07-07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コネクターホルダー
DE202019100579U1 (de) * 2019-01-31 2019-02-25 Mci (Mirror Controls International) Netherlands B.V. Sichteinstellmechanismus
CN112864682A (zh) * 2021-01-14 2021-05-28 张军锋 一种煤气检测自动断电插座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94777A (en) * 1929-01-08 1931-03-03 Kliegl Bros Universal Electric Plug switch
US1978076A (en) * 1931-11-02 1934-10-23 Int Communications Lab Inc Multiple plug and receptacle
US2906986A (en) * 1954-04-23 1959-09-29 Edward J Schaefer Cable connector
US3636495A (en) * 1970-04-09 1972-01-18 Jack A Frost Floor plug
US5207603A (en) * 1992-06-02 1993-05-04 Molex Incorporated Dual thickness blade type electrical terminal
KR970005585Y1 (ko) * 1994-05-13 1997-06-07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와이퍼 모터의 전원 접속장치
JP3069263B2 (ja) 1995-01-18 2000-07-24 株式会社村上開明堂 電動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ミラーにおける駆動ユニットとハーネスとの接続構造
JPH09213407A (ja) * 1996-01-31 1997-08-15 Canon Inc コネクタ及びユニット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0091012A (ja) * 1998-09-09 2000-03-31 Harness Syst Tech Res Ltd コネクタ及びその端子ならびにコネクタの取付構造
CN1218444C (zh) * 2000-06-08 2005-09-07 行田电线株式会社 插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99370A (zh) 2003-02-26
US20030017724A1 (en) 2003-01-23
US6902438B2 (en) 2005-06-07
EP1279556A2 (en) 2003-01-29
EP1279556B1 (en) 2012-03-07
EP1279556A3 (en) 2009-04-29
KR100725032B1 (ko) 2007-06-07
CN1300899C (zh) 2007-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5032B1 (ko) 커넥터
JP4895213B2 (ja) 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組立体
EP1701414B1 (en) Electrical connector
US7591679B2 (en) Connector and mirror angle adjustment device
US5743755A (en) Connector system
JP2004095346A (ja) コネクタ組立体及びそれに使用するコネクタ
EP3349310B1 (en) Cover member, cover unit and connector
CN110311248A (zh) 连接器
JP7153037B2 (ja) ワイヤハーネス
JP7140906B2 (ja) アームレストおよびアームレスト付きシート
JP4051902B2 (ja) コネクタの構造
US6095831A (en) Electrical connector mating structure
JPH01294383A (ja) コネクタハウジング
JP2008300330A (ja) コネクタ
JP4193908B2 (ja) コネクタの構造
EP1638809B1 (en) Unit holder for electrical equipment, for example for a lamp assembly
JP4193909B2 (ja) コネクタの構造
JP3353813B2 (ja) コネクタ嵌合構造
CN114665326A (zh) 第一连接器、第二连接器以及连接器组合
JP3687468B2 (ja) コネクタ
JP3276311B2 (ja) コネクタの嵌脱構造
JP4372933B2 (ja) 電気コネクタの端子係止構造
GB2164505A (en) Waterproof electrical connector
JP2875470B2 (ja) コネクタ連結構造
JP2002050426A (ja) シールド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