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06976A - 용기 홀더 - Google Patents

용기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6976A
KR20030006976A KR1020020030318A KR20020030318A KR20030006976A KR 20030006976 A KR20030006976 A KR 20030006976A KR 1020020030318 A KR1020020030318 A KR 1020020030318A KR 20020030318 A KR20020030318 A KR 20020030318A KR 20030006976 A KR20030006976 A KR 200300069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boss
guide
container holder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0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68128B1 (ko
Inventor
산본마츠도오루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030006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69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81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81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과제) 덮개체의 부드러운 동작을 얻을 수 있는 용기 홀더를 얻는다.
(해결수단) 덮개체(16)에 형성된 갈고리 형상의 축판(40)에는 보스(42)가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이 보스(42)의 선단부에는 가요성 부재에 의해서 성형된 완충부재(72)가 끼워져 있다. 이것에 의해서, 상기 보스(42)가 본체(12)에 형성된 가이드부(34) 내를 이동할 때에 완충부재(72)에 의해서 슬라이드 저항이 부여되기 때문에, 덮개체(16)가 개폐될 때의 운동 에너지가 감쇠됨으로써 덮개체(16)가 본체(12)와 맞닿을 때의 충격이 완화된다. 또, 완충부재(72)의 폭을 가이드부(34)의 내측 폭보다도 크게 함으로써, 보스(42)와 가이드부(34)와의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였다 하더라도 완충부재(72)에 의해서 상기 간극을 메울 수 있기 때문에, 덮개체(16)는 요동되는 일이 없어 부드러운 동작을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용기 홀더{Container holder}
본 발명은 용기를 유지하는 상자체에 대해서, 이 상자체의 개구부를 폐쇄하는 덮개체가 개폐 가능하게 부착된 용기 홀더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센터 콘솔에 설치되는 종래의 용기 홀더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106)와 덮개체(10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106)의 외측면에는 가이드부(108)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가이드부(108)는 제 1 가이드 영역(110)과 제 2 가이드 영역(112)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덮개체(100)의 양 단부에는 갈고리 형상의 축판(114)이 연속되게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이 축판(114)에는 보스(116,118)가 내측을 향해서 돌출형성되어 있다.
또, 축판(114)에는 토션 스프링(120)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토션 스프링(120)에 의한 탄지력에 의해서 덮개체(100)를 자동적으로 개방 혹은 폐쇄시키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본체(106)의 외측에서 보스(116,118)를 가이드부(108)에 걸어맞추면, 보스(116)가 제 1 가이드 영역(110) 내를 이동하고 보스(118)가 제 2 가이드 영역(112) 내를 이동하게 됨으로써 덮개체(100)가 개방 혹은 폐쇄된다.
여기서, 제 1 및 제 2 가이드 영역(110,112) 내에는 보스(116,118)가 각각 걸어맞춰지게 되는데, 본체(106)의 치수 분산에 의해서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가이드 영역(110)과 보스(116)와의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또한, 제 2 가이드 영역(112)과 보스(118)의 관계에 대해서는 제 1 가이드 영역(110)과 보스(116)의 관계와 동일하므로 그 도시를 생략한다).
이 경우, 덮개체(100)를 개방 혹은 폐쇄시킬 때에 덮개체(100)가 요동하게 됨으로써 부드러운 동작을 얻을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실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덮개체의 부드러운 동작을 얻을 수 있는 용기 홀더를 제공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용기 홀더를 센터 콘솔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용기 홀더에 설치된 누름판을 세운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용기 홀더에 설치된 누름판을 쓰러뜨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용기 홀더를 센터 콘솔의 부착 오목부에 고정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5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용기 홀더의 덮개체를 개방 또는 폐쇄시킬 때의 이동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6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용기 홀더의 덮개체를 개방 또는 폐쇄시킬 때의 이동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7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용기 홀더의 덮개체의 축판에 형성된 보스 및 완충부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용기 홀더의 본체에 형성된 가이드부 내에, 덮개체의 보스에 끼워진 완충부재가 걸어맞춰져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9는 종래의 용기 홀더의 덮개체를 개방 또는 폐쇄시킬 때의 이동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0은 종래의 용기 홀더의 본체에 형성된 가이드부 내에 덮개체의 보스가 걸어맞춰져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용기 홀더12 - 본체(상자체)
16 - 덮개체34 - 가이드부
36 - 제 1 가이드영역(가이드부)38 - 제 2 가이드영역(가이드부)
40 - 축판(축부)42 - 보스(축부)
44 - 보스(축부)46 - 변곡부
48 - 토션 스프링(탄지수단)72 - 완충부재(가요성 부재)
84 - 돌출부(돌출벽)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용기를 유지하는 상자체에 그 개구부를 폐쇄하는 덮개체가 개폐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상기 덮개체의 양 단부에는 축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축부는 상자체에 형성된 가이드부에 의해서 안내되며, 이것에 의해서 덮개체가 개폐된다.
그리고, 가이드부 또는 축부에 완충부재를 설치하여 덮개체의 개폐시에 슬라이드 저항을 부여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덮개체가 개폐될 때의 운동 에너지가 감쇠됨으로써, 덮개체가 본체와 맞닿을 때의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축부의 단부에 완충부재를 설치하여 가이드부 내를 슬라이드시킴으로써 덮개체의 개폐시에 슬라이드 저항을 부여하도록 하여도 되고, 또 가이드부 내에 잔주름을 형성하거나 코팅 등을 하여 가이드부 내의 표면마찰계수를 높임으로써, 덮개체의 개폐시에 슬라이드 저항을 부여하도록 하여도 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용기를 유지하는 상자체에 그 개구부를 폐쇄하는 덮개체가 개폐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상기 상자체의 양 단부에는 축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축부를 따라서 덮개체에 형성된 가이드부가 안내되며, 이것에 의해서 덮개체가 개폐된다. 그리고, 가이드부 또는 축부에 완충부재를 설치하여 덮개체의 개폐시에 슬라이드 저항을 부여하도록 하고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완충부재가 축부에 설치된 가요성 부재이고, 이 가요성 부재의 폭을 가이드부의 내측 폭보다도 크게 하고 있다.
따라서, 축부 또는 가이드부의 치수 분산에 의해서 축부와 가이드부와의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였다 하더라도, 가이드부 또는 축부에 설치된 완충부재에 의해서 상기 분산을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덮개체가 개방 혹은 폐쇄될 때에 덮개체가 요동되는 일이 없어 부드러운 동작을 얻을 수 있다. 또, 가이드부의 바닥면 뿐만 아니라 측벽에 대해서도 완충부재가 슬라이드하기 때문에, 완충부재에 의한 슬라이드 저항을 안정시킬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가요성 부재의 축방향 단부와 슬라이드하는 돌출벽을 가이드부의 바닥면에 연이어 형성하고 있다.
가이드부의 바닥면 및 측벽의 전면에 걸쳐서 가요성 부재를 슬라이드시키면, 슬라이드 저항이 너무 커지게 되어 덮개체의 개방 혹은 폐쇄시에 오히려 문제점이 발생할 경우도 있기 때문에, 가이드부의 바닥면에 가요성 부재의 축방향 단부와 슬라이드하는 돌출벽을 연이어 형성하여 가요성 부재를 가이드부의 측벽 및 돌출벽에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적당한 슬라이드 저항을 저항을 부여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탄지수단에 의해서 덮개체를 회전시키는 모멘트가 발생한다. 한편, 가이드부에는 탄지수단에 의해서 발생하는 모멘트의 방향을 변경하는 변곡부를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축부가 변곡부를 통과할 때, 탄지수단에 의한 탄지력에 의해서 덮개체가 자동적으로 개방 혹은 폐쇄된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용기 홀더의 개요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8에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용기 홀더(10)가 도시되어 있다. 용기 홀더(10)는 차량의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설치된 센터 콘솔(18)에 배치되어 있으며, 센터 콘솔(18)에 오목하게 형성된 부착 오목부(20) 내에 수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부착 오목부(20)에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턱부(22)가 형성되어 있다. 이 단턱부(22)에는 위치결정구멍(22A)이 형성되어 있으며, 용기 홀더(10)를 구성하는 본체(12)의 플랜지부(24)에 형성된 돌기부(26)가 상기 위치결정구멍(22a)에 삽입됨으로써 본체(12)의 위치가 결정된다.
또,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부착 오목부(20)의 양 측부에는 피걸어맞춤부(20A)가 형성되어 있으며, 본체(12)의 양 측부에 형성된 탄성편(28)이 걸어맞춤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탄성편(28)이 피걸어맞춤부(20A)에 걸어맞춰진 상태에서 용기 홀더(10)가 부착 오목부(20)에 고정된다.
용기 홀더(10)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12)와 덮개체(16)로 구성되어 있으며, 덮개체(16)는 본체(12)에 개폐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한편, 본체(12)에는 덮개체(16)에 의해서 개폐되는 유지부(14)가 형성되어 있으며, 페트병 등과 같이 외경치수가 큰 용기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본체(12)의 내측면의 길이방향 중앙에는, 내측을 향해서 산(山)형상으로 돌출된 받이부(30,32)가 서로 대향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이 받이부(30,32)에 의해서 유지부(14) 내에서 유지되는 용기가 옆으로 쓰러지지 않도록 지지된다.
또한, 본체(12)의 내측면의 폭방향으로는 받이부(32)의 높이에 맞춰서 재치대(60)가 형성되어 있으며, 덮개체(16)측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된 누름판(58)을 쓰러뜨리면, 상기 재치대(60)에 누름판(58)이 얹어놓여지고, 이 상태에서 누름판(58)과 본체(12)의 바닥면이 평행하게 됨으로써, 유지부(14) 내에서 유지되는 용기의 측면이 지지부(59)에 의해서 지지된다.
상기 지지부(59)는 받이부(32)보다도 내측으로 더 돌출되게 되어 있으며, 따라서 페트병 등과 같이 외경치수가 큰 용기의 경우에는 받이부(30,32)만에 의해서 지지되고, 외경치수가 작은 용기의 경우에는 누름판(58)을 쓰러뜨린 상태에서 받이부(30)와 지지부(59)에 의해서 지지된다.
한편,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12)의 외측면에는 가이드부(34)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가이드부(34)는 대략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일단부(36A)에서 굴곡부(37)까지의 제 1 가이드 영역(36)과, 굴곡부(37)에서 타단부(38A)까지의 제 2 가이드 영역(38)으로 크게 구분된다.
또, 도 2, 도 3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체(16)의 양 단부에는 갈고리형상의 축판(40)이 연속되게 돌출형성되어 있다. 상기 축판(40)의 선단부(40A) 및 굴곡부(40B)에는 각각 보스(42,44)가 내측을 향해서 돌출형성되어 있다. 이들 보스(42,44)의 선단부에는 가요성 부재에 의해서 성형된 완충부재(72)가 각각 끼워져 있다.
상기 완충부재(72)는 그 폭을 가이드부(34)의 내측 폭보다도 크게 하고 있기때문에, 축판(40)을 본체(12)의 외측에 배치하고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스(42)를 제 1 가이드 영역(36) 내로 삽입하면{또한, 보스(44)에 대해서는 보스 (42)와 동일하므로 그 도시를 생략한다}, 완충부재(72)의 주연부가 내측으로 휘어진 상태로 제 1 가이드 영역(36) 내에 수용되게 된다(이것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따라서, 완충부재(72)가 끼워진 보스(42,44)가 가이드부(34)를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됨으로써, 즉 보스(42)가 제 1 가이드 영역(36) 내를 이동하고, 보스(44)가 제 2 가이드 영역(38) 내를 이동하게 됨으로써 덮개체(16)가 회전 가능하게 되며, 이 결과 유지부(14)를 개폐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6에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체(16)의 폐쇄상태에서는 보스(42)가 제 1 가이드 영역(36)의 P점에 위치하고 있으며, 덮개체(16)를 개방시킬 때에는 보스(42)를 중심으로 하여 보스(44)가 제 2 가이드 영역(38)을 따라서 Q점에서 R점으로 이동함으로써, 덮개체(16)의 후방측을 본체(12)의 하측으로 끌어내린다(점선으로 나타낸다).
이와 같이 덮개체(16)가 소정 각도 개방되면, 보스(42)가 제 1 가이드 영역(36)을 따라서 P점에서 Q점을 향해서 이동한다. 상기 보스(42)의 이동과 함께 보스(44)가 제 2 가이드 영역(38)을 따라서 R점에서 S점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1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체(16)가 본체(12)의 배면에 수납된다. 이와 같이 덮개체(16)를 소정 각도 개방시킨 후에 축판(40)의 회전중심을 변경함으로써 덮개체(16)를 본체(12)의 배면에 수납시킬 수 있기 때문에, 개방된 덮개체(16)가 방해되는 일이 없다.
또, 보스(42,44)가 각각 다른 가이드 영역(36,38)을 이동함에 의해서 회전중심을 서서히 변경하여 가는 것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덮개체(16)의 동작을 부드럽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가이드 영역(38)은 그 중간 부분에서 원호의 중심이 반전되는 완만한 요철부로 되어 있으며, 그 정상부가 되는 부분이 변곡부(46)가 된다. 상기 보스(44)가 이 변곡부(46)를 타고 넘으면, 후술하는 토션 스프링(48)이 축판(40)을 압압함에 의해서 발생하는 덮개체(16)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멘트의 방향이 바뀌게 된다. 따라서, 보스(44)가 변곡부(46)를 통과할 때, 토션 스프링(48)에 의한 탄지력에 의해서 덮개체(16)가 자동적으로 개방 혹은 폐쇄된다.
한편,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12)의 외측면에는 보스(50)가 돌출되어 있으며, 이 보스(50)에 토션 스프링(48)의 일단부가 걸림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토션 스프링(48)의 일단부에는 보스(50)의 외경치수보다도 약간 큰 내경치수를 가지는 환형상부(48A)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보스(50)의 선단부에는 유지편(50A)이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이 유지편(50A)에 환형상부(48A)가 걸려 유지되도록 이 환형상부(48A)를 보스(50)에 삽입함으로써, 환형상부(48A)를 보스(50)에 걸어 고정할 수 있다.
또한, 토션 스프링(48)의 타단부에는 갈고리부(48B)가 형성되어 있으며, 축판(40)에 있어서의 선단부(40A)와 굴곡부(40B)의 사이에 형성된 슬릿(52)에 걸림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갈고리부(48B)는 토션 스프링(48)의 탄지력에 의해서 슬릿(52)의 내측으로 눌려 붙여지기 때문에, 슬릿(52)에서 빠지는 일이 없다.
이와 같이 토션 스프링(48)의 일단부를 본체(12)에 걸어 고정하고 그 타단부를 축판(40)에 걸어 붙여서 토션 스프링(48)이 축판(40)을 압압하도록 함으로써, 덮개체(16)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멘트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본체(12)의 전방측은 후방측보다도 일단(一段) 낮게 형성되어 있으며, 이것에 수반되어 플랜지부(24)의 전방측이 후방측보다도 일단 낮게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부(24)의 후방측은 제 1 가이드 영역(36)의 형상을 따라서 완만한 곡선을 이루고 있으며, 전방측과 단차를 이루는 부분이 맞닿음면(68)으로 되어 있다.
한편, 덮개체(16)의 축지지부(56)는 그 후방측에서 전방측을 향해서 완만하게 경사진 경사면(70)을 가지고 있으며, 덮개체(16)를 폐쇄하였을 때에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사면(70)이 맞닿음면(68)에 맞닿도록 함으로써, 덮개체(16)가 폐쇄된 상태에서 덮개체(16)가 어긋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 도 1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체(16)의 상면에는 그 길이방향의 중앙부에 완만한 볼록부(16A)가 형성되어 있으며, 외주벽의 길이가 길게 되어 있다. 이 외주벽에는 걸림부(17)가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손가락을 걸어서 폐쇄된 덮개체(16)를 쉽게 개방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한편,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12)의 플랜지부(24)에는 쿠션재 수납부(63)가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이 쿠션재 수납부(63)에는 쿠션재(64)가 수납되어 있다. 이 쿠션재(64)는 토션 스프링(48)에 의해서 발생하는 모멘트에 의해서 덮개체(16)가 폐쇄될 때, 덮개체(16)의 이면이 본체(12)에 맞닿을 때의 충격을 흡수함과 아울러, 폐쇄된 상태에서는 덮개체(16)의 내주벽에 맞닿아서 덮개체(16)가 어긋나지 않도록 하고 있다.
계속해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용기 홀더(10)의 요부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완충부재(72)는 대략 우산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우산부(74)와 자루부(76)로 구성되어 있다. 우산부(74)는 대략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바닥면에는 환형상의 오목부(72A)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서 우산부(74)의 주연부는 그 두께가 얇아져서 쉽게 휘어지도록 되어 있다. 또, 바닥면의 중심부로부터는 자루부(76)가 수하(垂下)되어 있으며, 이 자루부(76)에는 환형상의 걸어맞춤부(76A)가 볼록하게 형성되어 있다.
한편, 축판(40)에 형성된 보스(42){또한, 보스(44)에 대해서는 보스(42)와 동일하므로 그 도시를 생략한다}에는 중공부(78)가 형성되어 있으며, 축방향의 중앙부 부근에는 최소 지름으로 된 축경부(80)가 형성되어 있다. 이 축경부(80)를 중심으로 하여 보스(42)의 축방향으로는 테이퍼면(80A,80B)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완충부재(72)의 자루부(76)를 보스(42)의 중공부(78) 내로 압입하면, 이 자루부(76)에 형성된 걸어맞춤부(76A)가 탄성변형되면서 축경부(80)를 통과하고, 그 후 걸어맞춤부(76A)가 탄성복원되어 축경부(80)에 걸어맞취짐으로써 완충부재(72)가 보스(42)에 장착된다. 이와 같이 완충부재(72)를 보스(42) 내로 압입하는 조작만에 의해서 간단하게 완충부재(72)를 보스(42)에 장착시킬 수 있다.
또, 보스(42)의 선단부에는 외측 지름이 작은 단턱부(82)가 형성되어 있다. 이 단턱부(82)의 선단부는 우산부(74)에 형성된 오목부(72A) 내에 수용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우산부(74)의 주연부는 보스(42)의 외주면에서 약간 돌출된 상태로선단부에 맞닿는다.
또한, 단턱부(82)의 폭은 오목부(72A)의 폭보다도 작게 되어 있기 때문에, 단턱부(82)와 오목부(72A)와의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된다. 따라서, 우산부(74)의 주연부를 압압하면, 주연부는 용이하게 축소된다.
한편, 본체(12)에 형성된 제 1 가이드 영역(36){또한, 제 2 가이드 영역(38)에 대해서는 제 1 가이드 영역(36)과 동일하므로 그 도시를 생략한다}의 바닥면에는, 제 1 가이드 영역(36)의 폭방향의 중앙부에 제 1 가이드 영역(36)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돌출부(84)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부(84)는 제 1 가이드 영역(36) 내에 수용되는 보스(42)에 끼워진 완충부재(72)의 우산부(74)의 상면과 맞닿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덮개체(16)의 개폐동작과 함께 완충부재(72)의 우산부(74)의 상면이 돌출부(84)와 맞닿은 상태로 슬라이드함으로써 덮개체(16)의 개폐시에 슬라이드 저항이 부여된다. 이 결과, 토션 스프링(48)에 의해서 발생하는 모멘트에 의해서 덮개체(16)가 개폐될 때에 그 운동 에너지가 감쇠되기 때문에 덮개체(16)가 본체(12)와 맞닿을 때의 충격이 완화된다.
또, 보스(42)와 제 1 가이드 영역(36)과의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였다 하더라도, 보스(42,44)에 끼워진 완충부재(72)의 우산부(74)의 주연부에 의해서 상기 간극을 메울수 있기 때문에, 덮개체(16)가 개방 혹은 폐쇄될 때에 덮개체(16)가 요동되는 일이 없어 부드러운 동작을 얻을 수 있다.
한편, 완충부재(72)의 우산부(74)의 폭을 제 1 가이드 영역(36)의 내측 폭보다도 크게 함으로써, 제 1 가이드 영역(36) 내로 우산부(74)를 수납할 때에, 우산부(74)의 주연부가 축소되면서 제 1 가이드 영역(36)의 측벽에 맞닿게 된다. 따라서, 제 1 가이드 영역(36)의 돌출부(84)뿐만 아니라 측벽에 대해서도 완충부재(72)가 슬라이드하기 때문에, 완충부재(72)에 의한 슬라이드 저항을 안정시킬 수 있다.
또, 가이드부(34)의 바닥면 및 측벽의 전면에 걸쳐서 완충부재(72)를 슬라이드시키면, 슬라이드 저항이 너무 커지게 되어 덮개체(16)의 개폐시에 오히려 문제점이 발생할 경우도 있기 때문에, 완충부재(72)를 가이드부(34)의 측벽 및 돌출부(84)에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적당한 슬라이드 저항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완충부재(72)를 보스(42,44)의 선단부에 끼워 장착하였으나,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보스(42,44)에 완충부재(72)를 일체로 성형하여도 된다. 또, 덮개체(16)의 개폐시에 슬라이드 저항을 부여할 수만 있으면 되기 때문에, 예를 들면, 가이드부(34) 내에 잔주름을 형성하거나 코팅 등을 하여 가이드부(34) 내의 표면마찰계수를 높임으로써, 보스(42,44)가 이동할 때에 슬라이드 저항을 부여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 덮개체(16)측에 보스(42,44)를 형성하고 본체(12)측에 가이드부(34)를 형성하였으나,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덮개체측에 가이드부를 형성하고 본체측에 보스를 형성하여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축판(40)에 2개의 보스(42,44)를 형성하고, 각각 제 1 및 제 2 가이드 영역(36,38)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하였으나, 보스는 1개만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 제 1 및 제 2 가이드 영역(36,38)을 연속되게 형성하였으나, 덮개체(16)를 개방시킬 때에 축판(40)의 회전중심을 변경하여 덮개체(16)가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면 되기 때문에, 제 1 및 제 2 가이드 영역(36,38)을 반드시 연속되게 형성할 필요는 없다.
이상과 같이, 청구항 1 및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덮개체가 개폐될 때의 그 운동 에너지가 감쇠되기 때문에, 덮개체가 본체에 맞닿을 때의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축부 또는 가이드부의 치수 분산에 의해서 축부와 가이드부와의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였다 하더라도, 가이드부 또는 축부에 설치된 완충부재에 의해서 상기 분산을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덮개체가 개방 혹은 폐쇄될 때에 덮개체가 요동되는 일이 없어 부드러운 동작을 얻을 수 있다. 또, 가이드부의 바닥면 뿐만 아니라 측벽에 대해서도 완충부재가 슬라이드하기 때문에, 완충부재에 의한 슬라이드 저항을 안정시킬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가이드부의 바닥면 및 측벽의 전면에 걸쳐서 완충부재를 슬라이드시키면, 슬라이드 저항이 너무 커지게 되어 덮개체의 개방 혹은 폐쇄시에 오히려 문제점이 발생할 경우도 있기 때문에, 완충부재를 가이드부의 측벽 및 돌출부에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적당한 슬라이드 저항을 얻을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축부가 변곡부를 통과할 때, 탄지수단에 의한 탄지력에 의해서 덮개체가 자동적으로 개방 혹은 폐쇄된다.

Claims (5)

  1. 용기를 유지하는 상자체와, 상기 상자체의 개구부를 폐쇄하는 개폐 가능한 덮개체를 구비한 용기 홀더에 있어서,
    상기 덮개체의 양 단부에 형성된 축부와,
    상기 상자체에 형성되며, 상기 축부를 안내하여 상기 덮개체를 개폐시키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 또는 상기 축부에 설치되며, 상기 덮개체의 개폐시에 슬라이드 저항을 부여하는 완충부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홀더.
  2. 용기를 유지하는 상자체와, 상기 상자체의 개구부를 폐쇄하는 개폐 가능한 덮개체를 구비한 용기 홀더에 있어서,
    상기 상자체의 양 단부에 형성된 축부와,
    상기 덮개체에 형성되며, 상기 축부를 따라서 상기 덮개체를 개폐시키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 또는 상기 축부에 설치되며, 상기 덮개체의 개폐시에 슬라이드 저항을 부여하는 완충부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홀더.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가 상기 축부에 설치된 가요성 부재이고,
    상기 가요성 부재의 폭을 상기 가이드부의 내측 폭보다도 크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홀더.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부재의 축방향 단부와 슬라이드하는 돌출벽을 상기 가이드부의 바닥면에 연이어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홀더.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체를 회전시키는 모멘트를 발생시키는 탄지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가이드부에 상기 탄지수단에 의해서 발생하는 모멘트의 방향을 변경하는 변곡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홀더.
KR10-2002-0030318A 2001-07-13 2002-05-30 용기 홀더 KR1004681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213318 2001-07-13
JP2001213318A JP4762447B2 (ja) 2001-07-13 2001-07-13 容器ホルダ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6976A true KR20030006976A (ko) 2003-01-23
KR100468128B1 KR100468128B1 (ko) 2005-01-27

Family

ID=19048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0318A KR100468128B1 (ko) 2001-07-13 2002-05-30 용기 홀더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715727B2 (ko)
JP (1) JP4762447B2 (ko)
KR (1) KR1004681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53770B2 (ja) * 2001-10-11 2007-08-08 株式会社ニフコ 開閉部材の制動機構、これを備えた容器ホルダー及び自動車用扉
JP4049046B2 (ja) 2003-07-30 2008-02-20 豊田合成株式会社 収容装置の開閉機構
JP4519565B2 (ja) * 2004-08-05 2010-08-04 株式会社ニフコ 小物入れ
JP4064384B2 (ja) 2004-08-23 2008-03-1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容器保持構造
CN100418808C (zh) * 2004-12-29 2008-09-17 丰田合成株式会社 储藏装置
US7510158B1 (en) 2005-02-11 2009-03-31 Summit Polymers, Inc. Multi-chamber vehicular beverage container holder with common actuator
KR100645186B1 (ko) * 2005-07-07 2006-11-1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센터 어퍼 트레이
JP4672486B2 (ja) * 2005-08-25 2011-04-20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車両用収納装置のリッド開閉機構
JP5096724B2 (ja) * 2006-02-28 2012-12-1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室内収納ケース
US7731254B2 (en) * 2008-01-09 2010-06-08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Motor vehicle center console assembly having a container assembly with a flush door
JP5139125B2 (ja) * 2008-03-07 2013-02-06 株式会社ニフコ カップホルダ
JP2012046090A (ja) * 2010-08-27 2012-03-08 Nifco Inc カップホルダ
US8517447B2 (en) 2011-07-26 2013-08-27 Nissan North America, Inc. Vehicle storage compartment assembly
US8641120B2 (en) 2011-11-29 2014-02-04 Nissan North America, Inc. Vehicle storage compartment assembly
US8430440B1 (en) 2011-12-16 2013-04-3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onsole door that pivots and stows
JP5976624B2 (ja) * 2013-11-18 2016-08-23 トヨタ紡織株式会社 ホルダ部材
US11235908B2 (en) * 2017-01-30 2022-02-01 Mantis Product Development Corp. Compact container
USD1039339S1 (en) 2022-10-06 2024-08-20 Mantis Product Development Corporation Cooler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91958A (en) * 1977-09-07 1978-05-30 Technical Development Company Filler cap assembly
JPH0350775U (ko) * 1989-09-25 1991-05-17
GB9108626D0 (en) * 1991-04-23 1991-06-12 Rover Group A motor vehicle interior fitting
US5116099A (en) * 1991-05-14 1992-05-26 Lear Seating Corporation Mechanical latch locking a cover of pivoting armrest assembly
JP2594955Y2 (ja) * 1993-03-15 1999-05-24 株式会社ニフコ 車両用の小物収納装置
JP3485338B2 (ja) * 1993-09-29 2004-01-13 株式会社ニフコ 回転ダンパー
JP3055403B2 (ja) * 1994-09-30 2000-06-26 豊田合成株式会社 箱形カップホルダ
JP3290551B2 (ja) * 1994-12-02 2002-06-10 株式会社ニフコ 蓋体開閉支持機構およびカップホルダ
DE4443521C1 (de) * 1994-12-07 1996-01-04 Daimler Benz Ag Abdeckbarer Behälter für Fahrzeuge
JPH08184237A (ja) * 1994-12-28 1996-07-16 Nifco Inc 回動蓋のロック機構
JP3053540B2 (ja) * 1995-02-01 2000-06-1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カップホルダ
JPH08310309A (ja) * 1995-05-18 1996-11-26 Nippon Plast Co Ltd 車両用収納装置
JP3314903B2 (ja) * 1995-07-04 2002-08-19 株式会社ニフコ 車両用小物収納装置
KR970074222A (ko) * 1996-05-27 1997-12-10 양재신 자동차용 컵 홀더 커버 개폐장치
JPH10278654A (ja) * 1997-03-31 1998-10-20 Nifco Inc 飲料容器の保持装置
JPH1142964A (ja) * 1997-07-28 1999-02-16 Nifco Inc 車載用の小物収納装置
JPH11151136A (ja) * 1997-11-20 1999-06-08 Kojima Press Co Ltd シートバックのアシストグリップ装置
JPH11286233A (ja) * 1998-04-02 1999-10-19 Hino Motors Ltd 飲料容器保持装置
JP2000185587A (ja) * 1998-12-22 2000-07-04 Nifco Inc 車両用カップホルダー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30010786A1 (en) 2003-01-16
JP4762447B2 (ja) 2011-08-31
KR100468128B1 (ko) 2005-01-27
US6715727B2 (en) 2004-04-06
JP2003025893A (ja) 2003-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8128B1 (ko) 용기 홀더
JP4440714B2 (ja) 容器保持ユニット及びカップホルダ装置
US7866504B2 (en) Storage apparatus
US7520482B2 (en) Cup holder for vehicles
US8006706B2 (en) Vanity case
KR101182555B1 (ko) 컵 홀더
KR20090096367A (ko) 컵 홀더
WO2016178325A1 (ja) 容器保持具
JP4015501B2 (ja) カップホルダ装置
KR100448725B1 (ko) 용기 홀더
US20070199864A1 (en) Storage structure for vehicle cabin interior
KR100969054B1 (ko) 자동차용 컵홀더
KR100219445B1 (ko) 차량용 컵홀더 장치
JP4364988B2 (ja) カップホルダー
JP2013095244A (ja) 回動体装置及び収納装置
KR100250918B1 (ko) 차량적재용 소품수납장치
JP3641530B2 (ja) 乗り物用カップホルダー
KR100397828B1 (ko) 승강기구
KR100352186B1 (ko) 차량용 컵홀더장치
JP3240976U (ja) 化粧品容器
JPH0532361Y2 (ko)
JP3049378B2 (ja) 車両用収納装置
KR100756952B1 (ko) 차량용 컵 홀더
KR20050042741A (ko) 도어개폐기구 및 장치
JP4033057B2 (ja) 収容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1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