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8725B1 - 용기 홀더 - Google Patents
용기 홀더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448725B1 KR100448725B1 KR10-2001-0054831A KR20010054831A KR100448725B1 KR 100448725 B1 KR100448725 B1 KR 100448725B1 KR 20010054831 A KR20010054831 A KR 20010054831A KR 100448725 B1 KR100448725 B1 KR 10044872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d
- pin
- guide
- box
- shaft plat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과제) 본체의 내측면에 가이드구멍을 형성하지 않더라도 본체에 덮개체가 개폐 가능하게 부착되는 용기 홀더를 얻는다.
(해결수단) 본체(12)의 외측면에는 제 1 가이드부(36)와 제 2 가이드부(38)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덮개체(16)의 양 단부에는 갈고리형상의 축판(40)이 연이어 돌출되어 있으며, 이 축판(40)의 선단부(40A) 및 굴곡부(40B)에는 핀(42,44)이 내측을 향해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체(12)의 외측에서 핀(42,44)을 가이드 오목부(34)에 걸어맞추면, 핀(42)이 제 1 가이드부(36) 내를 이동하게 되고, 핀(44)이 제 2 가이드부(38) 내를 이동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서, 덮개체(16)가 용기를 유지하는 유지부를 개폐시킨다. 이와 같이, 본체(12)의 외측면에 가이드 오목부(34)를 형성하고, 본체(12)의 외측에서 핀(42,44)을 가이드 오목부(34)에 걸어맞추는 구성으로 하면, 본체(12)의 내측면에 가이드구멍을 형성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미관이 손상되는 일이 없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용기를 유지하는 상자체에 대해서, 이 상자체의 개구부를 폐쇄하는 덮개체가 개폐 가능하게 부착된 용기 홀더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센터 콘솔에 설치되는 종래의 용기 홀더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106)와 덮개체(100)로 구성되어 있다. 덮개체(100)의 양 단부에는 1쌍의 축지지부(100A)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축지지부(100A)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서 금속 샤프트(102,104)가 각각 고착되어 있다.
한편, 본체(106)에는 용기를 유지하기 위한 유지부(108)가 형성되어 있으며, 덮개체(100)는 이 유지부(108)를 개폐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본체(106)의 내측면에는 가이드구멍(110)(예를 들면, 오목홈 또는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금속 샤프트(102,104)는 이 가이드구멍(110)에 끼워져서 가이드구멍(110)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금속 샤프트(102,104)의 선단부에는 암 부재(112)가 부착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본체(106)의 외측에 배치된다. 이 암 부재(112)에는 금속 샤프트(102)가 끼워지는 절결부(112A)와, 금속 샤프트(104)가 축지지되는 축지지부(112B)와, 암 부재(112)의 회전중심이 되는 중심축부(112C)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덮개체(100)를 개방시키면, 금속 샤프트(102,104)는 중심축부(112C)를 중심으로 하여 가이드구멍(110)을 따라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가이드구멍(110)에는 이 가이드구멍(110)에서 분기되는 원호형상의 분기구멍(110A)이 형성되어 있으며, 덮개체(100)를 폐쇄한 상태에서는 금속 샤프트(104)가 가이드구멍(110)의 일측 단부에 위치하고, 금속 샤프트(102)가 분기구멍(110A)의 일측 단부에 위치한다.
덮개체(100)를 개방할 때에는, 금속 샤프트(104)를 중심으로 하여 금속 샤프트(102)가 암 부재(112)의 절결부(112A)를 따라서 이동함과 동시에 분기구멍(110A)을 따라서 회전하여 가이드구멍(110)에 도달한다. 그리고, 중심축부(112C)를 중심으로 하여 금속 샤프트(102)가 금속 샤프트(104)와 함께 가이드구멍(110)을 따라서 이동한다.
이와 같이, 덮개체(100)를 개방할 때의 회전중심을 이동 도중에 변경함에 의해서 덮개체(100)를 본체(106)의 배면에 수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덮개체(100)를 개방하였을 때에 이 덮개체(100)가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였다.
그러나, 본체(106)의 유지부(108)에는 가이드구멍(110) 및 금속 샤프트(102, 104)가 노출되어 있어 미관이 손상된다. 또, 가이드구멍(110)을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하는 금속 샤프트(102,104)의 슬라이드 이동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가이드구멍(110)에 그리스를 도포하고 있는데, 이 그리스가 본체(106)의 내측면에 부착되어 더러워지는 경우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실을 고려하여, 본체의 내측면에 가이드구멍을 형성하지 않더라도 본체에 덮개체가 개폐 가능하게 부착되는 용기 홀더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용기 홀더를 센터 콘솔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용기 홀더에 설치된 클램퍼를 세운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용기 홀더에 설치된 클램퍼를 쓰러뜨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용기 홀더를 센터 콘솔의 부착 오목부에 고정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5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용기 홀더의 덮개체를 개방 또는 폐쇄시킬 때의 이동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6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용기 홀더의 덮개체를 개방 또는 패쇄시킬 때의 이동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7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용기 홀더의 덮개체에 설치된 클램퍼를 나타내는 개략 도면으로서, (A)는 클램퍼를 쓰러뜨린 상태의 평면도, (B)는 클램퍼를 세운 상태의 평면도
도 8은 종래의 용기 홀더를 나타내는 사시도
*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용기 홀더 12 - 본체(상자체)
16 - 덮개체 34 - 가이드 오목부(오목부)
36 - 가이드부(제 1 가이드부) 38 - 가이드부(제 2 가이드부)
40 - 축판 42 - 핀(걸어맞춤돌기)
44 - 핀(걸어맞춤돌기) 46 - 변곡부(變曲部)
48 - 토션 스프링(탄지수단) 52 - 슬릿(피걸림부)
58 - 클램퍼 62 - 수납돌기
본 발명에서는, 용기를 유지하는 상자체에는 개구부를 폐쇄하는 덮개체가 개폐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 덮개체의 양 단부에는 축판이 연이어 돌출되어 있고, 이 축판에는 걸어맞춤돌기가 내측을 향해서 돌출되어 있다. 한편, 상자체의 외측면에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자체의 외측에서 걸어맞춤돌기를 오목부에 회전 가능하게 걸어맞춘다.
이와 같이, 상자체의 외측면에 오목부를 형성하고, 상자체의 외측에서 걸어맞춤돌기를 오목부에 걸어맞추도록 하였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본체의 내측면에 가이드구멍을 형성하지 않아도 되므로 미관이 손상되는 일이 없다. 또, 오목부 내에 걸어맞춤돌기의 슬라이드 이동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그리스를 도포하더라도 상자체의 내측면이 더러워지는 일이 없다.
상기 걸어맞춤돌기가 축판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서 형성된 2개의 핀이다. 한편, 오목부는 제 1 가이드부와 제 2 가이드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 1 가이드부는 일측 핀이 종단에 위치할 때에 이 일측 핀을 중심으로 하여 덮개체를 회전 가능하게 하고, 덮개체가 소정 각도 개방되면, 일측 핀을 상자체의 하측으로 안내한다. 이것에 대해서, 제 2 가이드부는 일측 핀을 중심으로 한 덮개체의 회전동작에 수반되어 타측 핀을 상자체의 하측으로 안내하고, 일측 핀의 제 1 가이드부를 따른 이동에 수반되어 타측 핀을 상자의 하측으로 더 안내하여 덮개체를 상자체의 배면에 수납한다.
이와 같이, 덮개체를 소정 각도 개방시킨 후에 축판의 회전중심을 변경하여 덮개체를 상자체의 배면에 수납할 수 있도록 하였기 때문에, 개방된 덮개체가 방해가 되는 일이 없다.
그리고, 탄지수단으로 축판을 압압함에 의해서 덮개체를 회전시키는 모멘트를 발생시킨다. 한편, 제 2 가이드부에는 변곡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 핀이 정상부를 타고 넘으면 탄지수단에 의해서 발생하는 모멘트의 방향을 변경한다.
따라서, 타측 핀이 변곡부를 통과할 때, 탄지수단에 의한 모멘트에 의해서 덮개체가 자동적으로 개방 혹은 폐쇄된다.
상기에서 탄지수단이 토션 스프링이고, 이 토션 스프링의 일단부는 상자체의 외측면에 고정되어 있고, 타단부는 축판에 형성된 슬릿에 걸려 있다. 이와 같이, 토션 스프링의 타단부를 슬릿에 걸어 붙이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부착이 용이하다.
또, 축판과 걸어맞춤돌기를 일체로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종래에 비해 부품수가 적어지게 됨으로써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덮개체의 이면에는 클램퍼가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으며, 이 클램퍼를 쓰러뜨리면, 상자체에 유지된 용기의 측면이 지지된다. 또, 클램퍼를 세우면, 수납돌기의 정상부를 타고 넘어서 덮개체의 이면에 맞닿은 상태로 고정된다.
이와 같이, 클램퍼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수납돌기에 의해서 클램퍼가 덮개체의 이면에 맞닿은 상태로 고정되기 때문에, 차량의 진동에 의해서 클램퍼가 진동하는 일이 없다. 또, 클램퍼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 등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부품수를 삭감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형태)
도 1 및 도 6에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용기 홀더(10)를 나타내고 있다. 용기 홀더(10)는 차량의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설치된 센터 콘솔(18)에 배치되며, 센터 콘솔(18)에 오목하게 형성된 부착 오목부(20) 내에 수납 가능하게 되어있다.
상기 부착 오목부(20)에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턱부(22)가 형성되어 있다. 이 단턱부(22)에는 위치결정구멍(22A)이 형성되어 있으며, 용기 홀더(10)를 구성하는 본체(12)의 플랜지부(24)에 형성된 돌기부(26)가 상기 위치결정구멍(22A)에 삽입됨으로써 본체(12)의 위치가 결정된다.
또,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부착 오목부(20)의 양 측부에는 피걸어맞춤부(20A)가 형성되어 있으며, 본체(12)의 양 측부에 형성된 탄성편(28)이 걸어맞춤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탄성편(28)이 피걸어맞춤부(20a)에 걸어맞춰진 상태에서 용기 홀더(10)가 부착 오목부(20)에 고정된다.
용기 홀더(1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12)와 덮개체(16)로 구성되어 있으며, 본체(12)에는 유지부(14)가 형성되어 페트병 등과 같이 외경치수가 큰 용기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본체(12)에 덮개체(16)가 부착되어 유지부(14)를 개폐 가능하게 하고 있다.
본체(12)의 내측면의 길이방향 중앙에는, 내측을 향해서 산(山)형상으로 돌출된 받이부(30,32)가 서로 대향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이 받이부(30,32)에 의해서 용기가 옆으로 쓰러지지 않도록 지지된다.
한편,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12)의 외측면에는 가이드 오목부(34)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가이드 오목부(34)는 대략 '〈'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일단부(36A)에서 굴곡부(37)까지의 제 1 가이드부(36)와, 굴곡부(37)에서 타단부(38A)까지의 제 2 가이드부(38)로 크게 구분된다.
또,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체(16)의 양 단부에는 갈고리형상의 축판(40)이 연이어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이 축판(40)의 선단부(40A) 및 굴곡부(40B)에는 각각 핀(42,44)이 내측을 향해서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양 축판(40)을 벌리면서 본체(12)의 외측에서 핀(42,44)을 가이드 오목부(34)에 걸어맞춤으로써 핀(42,44)이 가이드 오목부(34)를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되며, 구체적으로는 핀(42)이 제 1 가이드부(36) 내를 이동하고, 핀(44)이 제 2 가이드부(38) 내를 이동하게 됨으로써 덮개체(16)가 유지부(14)를 개폐시킨다.
이와 같이, 본체(12)의 외측면에 가이드 오목부(34)를 형성하고, 본체(12)의 외측에서 핀(42,44)을 가이드 오목부(34)에 걸어맞추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본체의 내측면에 가이드구멍을 형성하지 않아도 되므로 미관이 손상되는 일이 없다.
또, 가이드 오목부(34) 내에 핀(42,44)의 슬라이드 이동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그리스를 도포하더라도 본체(12)의 내측면이 더러워지는 일이 없다. 또한, 축판(40)과 핀(42,44)을 일체로 성형함으로써, 종래에 비해 부품수가 적어지게 되어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한편, 도 6의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체(16)의 폐쇄상태에서는 핀(42)이 제 1 가이드부(36)의 P점에 위치하고 있으며, 덮개체(16)를 개방시킬 때에는 핀(42)을 중심으로 하여 핀(44)이 제 2 가이드부(38)를 따라서 Q점에서 R점으로 이동함으로써, 덮개체(16)의 후방측을 본체(12)의 하측으로 끌어내린다(점선으로 나타낸다).
이와 같이, 덮개체(16)가 소정 각도 개방되면, 핀(42)은 제 1 가이드부(36)를 따라서 P점에서 Q점을 향해서 이동한다. 이 핀(42)의 이동과 함께 핀(44)이 제 2 가이드부(38)를 따라서 R점에서 S점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1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체(16)가 본체(12)의 배면에 수납된다. 이와 같이, 덮개체(16)를 소정 각도 개방시킨 후에 축판(40)의 회전중심을 변경함으로써 덮개체(16)를 본체(12)의 배면에 수납할 수 있기 때문에, 개방된 덮개체(16)가 방해되는 일이 없다.
또, 핀(42,44)이 각각 다른 가이드부(36,38)를 이동함에 의해서 회전중심을 서서히 변경하여 가는 것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덮개체(16)의 동작이 종래보다도 부드러워진다.
여기서, 제 2 가이드부(38)는, 그 중간 부분이 원호의 중심이 반전되는 완만한 요철부로 되어 있으며, 그 정상부가 되는 부분이 변곡부(46)가 된다. 핀(44)이 이 변곡부(46)를 타고 넘으면, 후술하는 탄지수단으로서의 토션 스프링(48)이 축판(40)을 압압함에 의해서 발생하는 덮개체(16)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멘트의 방향이 바뀌게 된다. 따라서, 핀(44)이 변곡부(46)를 통과할 때, 토션 스프링(48)에 의한 탄지력에 의해서 덮개체(16)가 자동적으로 개방 혹은 폐쇄된다.
한편,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12)의 외측면에는 보스(50)가 돌출되어 있으며, 이 보스(50)에 토션 스프링(48)의 일단부가 걸림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토션 스프링(48)의 일단부에는 보스(50)의 외경치수보다도 약간 큰 내경치수를 가지는 환형상부(48A)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보스(50)의 선단부에는 유지편(50A)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이 유지편(50A)에 환형상부(48A)가 걸려 유지되도록 이 환형상부(48A)를 보스(50)에 삽입함으로써, 환형상부(48A)를 보스(50)에 걸어 고정할 수 있다.
또한, 토션 스프링(48)의 타단부에는 갈고리부(48B)가 형성되어 있으며, 축판(40)에 있어서의 선단부(40A)와 굴곡부(40B)의 사이에 형성된 슬릿(52)(피걸림부)에 걸림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때, 상기 갈고리부(48B)는 토션 스프링(48)의 탄지력에 의해서 슬릿(52)의 내측으로 눌려 붙여지기 때문에, 슬릿(52)에서 빠지는 일이 없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유지편(50A)에 환형상부(48A)가 걸려 유지되도록 환형상부(48A)를 보스(50)에 삽입하여 걸어 고정한 후, 갈고리부(48B)를 슬릿(52)에 걸어 붙이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서 토션 스프링(48)이 축판(40)과 본체(12)에 부착되기 때문에, 토션 스프링(48)의 부착이 용이하다.
여기서, 본체(12)의 외측면에는 가이드 오목부(34)의 R지점(도 6 참조)에서 보스(50)를 향해서 리브(54)가 형성되어 있으며, 축판(40)의 이동에 의해서 신축되는 토션 스프링(48)의 갈고리부(48B)가 슬릿(52)에서 빠지지 않도록 방지하고 있다.
또, 토션 스프링(48)의 갈고리부(48B)를 슬릿(52)에 걸어 붙인 상태에 있어서, 리브(54)의 선단부와 토션 스프링(48)과의 사이에는 간격이 형성되어 있으며, 축판(40)이 이동할 때에 토션 스프링(48)과 리브(54)가 접촉되어 이음(異音)을 발생시키는 일이 없도록 하고 있다.
한편, 도 2, 도 3 및 도 7의 (A),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체(16)의 이면에는 그 길이방향에 1쌍의 축지지부(56)가 형성되어 있다. 이 축지지부(56)에 클램퍼(58)의 양 단부에서 돌출된 핀(58A)이 축지지됨으로써, 클램퍼(58)가 덮개체 (16)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부착된다. 이 클램퍼(58)의 자유단 측에는 2개의 원호형상의 지지부(59)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한 바와 같이 받이부(30,32)에 의해서 용기가 옆으로 쓰러지지 않게 지지되는데, 받이부(32)의 높이는 받이부(30)의 높이보다도 낮게 되어 있다. 또, 본체(12)의 내측면의 폭방향으로 상기 받이부(32)의 높이에 맞춰서 놓임대(60)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클램퍼(58)를 쓰러뜨리면, 상기 받이부(32) 및 놓임대(60)에 클램퍼(58)가 얹어 놓여지게 되며, 이 상태에서는 클램퍼(58)가 본체(12)의 바닥면과 평행하게 되어 유지부(14)에 유지된 용기의 측면이 지지부(59)에 의해서 지지된다.
상기 지지부(59)는 받이부(32)보다도 내측으로 더 돌출되게 되어 있으며, 페트병 등과 같이 외경치수가 큰 용기를 수용할 경우에는 받이부(30,32)에 의해서 지지하고, 외경치수가 작은 용기를 수용할 경우에는, 클램퍼(58)를 쓰러뜨린 상태에서, 받이부(30)와 지지부(59)에 의해서 지지한다.
한편, 덮개체(16)의 양 축지지부(56)에는 산(山)형상의 수납돌기(62)가 대향되게 형성되어 있다. 수납돌기(62)의 정상부(62A)끼리의 이간거리는 클램퍼(58)의 길이보다도 약간 짧게 되어 있다.
또, 클램퍼(58)의 양 단부의 이면에는 모따기부(58B)가 형성되어 있으며, 클램퍼(58)가 수납돌기(62)의 정상부(62A)를 타고 넘었을 때, 모따기부(58B)가 수납돌기(62)의 경사면(62B)에 맞닿게 되어 있다.
따라서, 클램퍼(58)를 세워서 덮개체(16)의 이면에 맞닿게 할 때에는, 클램퍼(58)의 측면이 수납돌기(62)와 슬라이드 접촉하면서 정상부(62A)를 통과할 때, 축지지부(56)를 외측으로 눌러 넓히면서 정상부(62A)를 타고 넘게 된다.
이 때, 넓혀졌던 축지지부(56)가 탄성복원되어 클램퍼(58)를 양측에서 지지함과 아울러, 수납돌기(62)에 의해서 클램퍼(58)는 덮개체(16)의 이면에 맞닿은 상태로 고정되게 된다{도 7의 (B) 참조}.
따라서, 클램퍼(58)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수납돌기(62)에 의해서 클램퍼(58)가 덮개체(16)의 이면에 맞닿은 상태로 고정되기 때문에, 차량의 진동에 의해서 클램퍼(58)가 진동하는 일이 없다. 또, 클램퍼(58)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 등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부품수를 절감할 수 있다.
또, 클램퍼(58)가 수납돌기(62)의 정상부(62A)를 타고 넘기 전의 상태에서는, 클램퍼(58)는 수납돌기(62)에 의해서 쓰러뜨리는 방향으로 탄지되게 된다. 따라서, 용기의 외경치수가 상기한 받이부(30,32)에 의해서 지지 가능한 크기와 상기한 지지부(59)와 받이부(30)에 의해서 지지 가능한 크기의 중간 사이즈라 하더라도, 클램퍼(58)의 지지부(59)의 하측 가장자리부를 용기에 맞닿게 함으로써 용기를 축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지지 가능한 용기의 허용범위가 넓어지게 된다.
한편, 도 1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체(16)의 상면에는 그 길이방향의 중앙부에 완만한 볼록부(16A)가 형성되어 있으며, 외주벽의 길이가 길게 되어있다. 이 외주벽에는 걸림부(17)가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손가락을 걸어서 폐쇄된 덮개체(16)를 쉽게 개방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한편,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12)의 플랜지부(24)에는 쿠션재 수납부(63)가 돌출되어 있으며, 이 쿠션재 수납부(63)에는 쿠션재(64)가 수납되어 있다.
이 쿠션재(64)는 토션 스프링(48)에 의해서 발생하는 모멘트에 의해서 덮개체(16)가 폐쇄될 때, 덮개체(16)의 이면이 본체(12)에 맞닿을 때의 충격을 흡수함과 아울러, 폐쇄된 상태에서는 덮개체(16)의 내주벽에 맞닿아서 덮개체(16)가 어긋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 상기 축판(40)의 굴곡부(40B)에는 스폰지재(66)가 부착되어 있으며, 덮개체(16)가 폐쇄될 때에 이 스폰지재(66)가 플랜지부(24)에 맞닿게 됨으로써 덮개체(16)가 폐쇄될 때의 충격이 흡수된다.
이와 같이, 스폰지재(66)를 통해서 축판(40)이 플랜지부(24)에 맞닿도록 함으로써, 덮개체(16)가 폐쇄될 때에 핀(44)이 Q지점에서 제 2 가이드부(38)의 측벽에 충돌할 때의 충격을 완화하고 있다.
또한, 본체(12)의 배면에도 스폰지재(도시생략)가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덮개체(16)가 개방될 때에, 이 스폰지재에 의해서 덮개체(16)가 본체(12)의 배면에 맞닿을 때의 충격이 흡수된다.
이와 같이, 스폰지재(66) 및 쿠션재(64)를 부착함에 의해서 본체(12)와 덮개체(16) 혹은 축판(40)과 본체(12)가 맞닿을 때의 충격음도 흡수된다.
여기서, 본체(12)의 전방측은 후방측보다도 일단(一段) 낮게 형성되어 있으며, 이것에 수반되어 플랜지부(24)의 전방측이 후방측보다도 일단 낮게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부(24)의 후방측은 제 1 가이드부(36)의 형상을 따라서 완만한 곡선을 이루고 있으며, 전방측과 단차를 이루는 부분이 맞닿음면(68)으로 되어 있다.
한편, 덮개체(16)의 축지지부(56)는 그 후방에서 전방에 걸쳐서 완만하게 경사진 경사면(70)을 가지고 있으며, 덮개체(16)를 폐쇄하였을 때에,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사면(70)이 맞닿음면(68)에 맞닿도록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서, 덮개체(16)가 폐쇄된 상태에서 덮개체(16)가 어긋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축판(40)에 핀(42,44)을 형성하고, 이것을 각각 제 1 가이드부(36)와 제 2 가이드부(38)를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하였으나, 본체의 외측면을 관통하는 가이드구멍을 형성하지 않는 구성이면 되기 때문에, 반드시 핀이 가이드부를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할 필요는 없으며, 따라서 핀은 1개이어도 되고, 또 이 핀이 본체의 외측면에 형성된 오목부에 회전 가능하게 걸어맞춰지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가이드부(36)와 제 2 가이드부(38)를 연이어 형성한 구성으로 하였으나, 덮개체(16)를 개방시킬 때에 축판(40)의 회전중심을 변경하여 덮개체(16)가 방해가 되지 않게 할 수만 있으면 되기 때문에, 반드시 제 1 가이드부(36)와 제 2 가이드부(38)를 연이어 형성할 필요는 없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피걸림부로서 축판(40)에 있어서의 선단부(40A)와 굴곡부(40B)의 사이에 슬릿(52)을 형성하였으나, 토션 스프링(48)의 부착이 용이하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슬릿(52) 대신에 축판에 구멍을 형성하여도 된다. 또, 축판에 핀 등을 형성하여 토션 스프링을 걸도록 하여도 된다. 단, 이 경우에는 갈고리부의 형상도 걸어 붙이기 쉽도록 변경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용기를 유지하는 유지부에 가이드구멍을 형성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미관이 손상되는 일이 없다. 또, 오목부 내에 걸어맞춤돌기의 슬라이드 이동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그리스를 도포하더라도 상자체의 내측면이 더러워지는 일이 없다.
또한, 덮개체를 소정 각도 개방시킨 후에 축판의 회전중심을 변경하여 덮개체를 상자체의 배면에 수납할 수 있도록 하였기 때문에, 개방된 덮개체가 방해가 되는 일이 없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타측 핀이 변곡부를 통과할 때, 탄지수단에 의한 모멘트에 의해서 덮개체가 자동적으로 개방 혹은 폐쇄된다. 또, 토션 스프링의 타단부를 슬릿에 걸어 붙이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부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종래에 비해 부품수가 적어지게 되어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클램퍼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수납돌기에 의해서 클램퍼가 덮개체의 이면에 맞닿은 상태로 고정되기 때문에, 차량의 진동에 의해서 클램퍼가 진동하는 일이 없다. 또, 클램퍼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 등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부품수를 삭감할 수 있다.
Claims (6)
- 삭제
- 용기를 유지하는 상자체와, 상기 상자체의 개구부를 폐쇄하는 개폐 가능한 덮개체와,상기 상자체의 외측면에 형성된 오목부와,상기 덮개체의 양 단부에서 연이어 돌출된 축판과,상기 축판에서 내측을 향해서 돌출되며, 상기 상자체의 외측에서 상기 오목부에 회동 가능하게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돌기를 가지는 것에 있어서,상기 걸어맞춤돌기는 상기 축판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서 형성된 2개의 핀이고,상기 오목부는, 일측 핀이 종단에 위치할 때에 상기 일측 핀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덮개체를 회전 가능하게 하고, 덮개체가 소정 각도 개방되면, 일측 핀을 상기 상자체의 하측으로 안내하는 제 1 가이드부와;상기 일측 핀을 중심으로 한 상기 덮개체의 회전동작에 수반되어 타측 핀을 상기 상자체의 하측으로 안내하고, 일측 핀의 제 1 가이드부를 따른 이동에 수반되어 타측 핀을 상자체의 하측으로 더 안내하여, 덮개체를 상기 상자체의 배면에 수납하는 제 2 가이드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홀더.
- 청구항 2에 있어서,상기 축판을 압압하여 상기 덮개체를 회전시키는 모멘트를 발생시키는 탄지수단과,상기 제 2 가이드부에 형성되며, 상기 타측 핀이 정상부를 타고 넘으면 상기 탄지수단에 의해서 발생하는 모멘트의 방향을 변경시키는 변곡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홀더.
- 청구항 3에 있어서,상기 탄지수단이 토션 스프링이고,상기 토션 스프링의 일단부가 상기 상자체의 외측면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축판에 형성된 피걸림부에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홀더.
- 청구항 2에 있어서,상기 축판과 상기 걸어맞춤돌기가 일체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홀더.
-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덮개체의 이면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며, 쓰러뜨렸을 때에 상기 상자체에 유지된 용기의 측면을 지지하는 클램퍼와,세웠을 때에 정상부를 타고 넘은 상기 클램퍼를 상기 덮개체의 이면에 맞닿게 한 상태로 고정시키는 수납돌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0-00282613 | 2000-09-18 | ||
JP2000282613A JP4375891B2 (ja) | 2000-09-18 | 2000-09-18 | 容器ホルダー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021992A KR20020021992A (ko) | 2002-03-23 |
KR100448725B1 true KR100448725B1 (ko) | 2004-09-13 |
Family
ID=18767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1-0054831A KR100448725B1 (ko) | 2000-09-18 | 2001-09-06 | 용기 홀더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EP (1) | EP1190896A2 (ko) |
JP (1) | JP4375891B2 (ko) |
KR (1) | KR100448725B1 (ko) |
TW (1) | TWI235716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375891B2 (ja) * | 2000-09-18 | 2009-12-02 | 株式会社ニフコ | 容器ホルダー |
JP4519565B2 (ja) * | 2004-08-05 | 2010-08-04 | 株式会社ニフコ | 小物入れ |
JP4711133B2 (ja) * | 2006-03-30 | 2011-06-29 | 豊田合成株式会社 | 容器ホルダ装置 |
JP4942634B2 (ja) * | 2007-12-25 | 2012-05-30 | 株式会社ニフコ | 可動体の動作制御装置、およびリッド装置 |
JP5292837B2 (ja) * | 2008-02-05 | 2013-09-18 |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 鍵盤蓋の開閉装置 |
JP5009217B2 (ja) * | 2008-04-08 | 2012-08-22 | 株式会社ニフコ | 蓋体の開閉機構及び車両用小物入れ |
JP2011000918A (ja) * | 2009-06-17 | 2011-01-06 | Meiwa Kogyo Kk | 車両用内装装置 |
JP5769123B2 (ja) * | 2010-03-11 | 2015-08-26 |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 鍵盤楽器 |
JP5617516B2 (ja) * | 2010-10-14 | 2014-11-05 | 日産自動車株式会社 | カップホルダ |
CN102079264B (zh) * | 2010-12-31 | 2013-04-24 | 宁波帅特龙车辆部件有限公司 | 车用烟灰盒 |
JP6280751B2 (ja) * | 2014-01-21 | 2018-02-14 | 株式会社ニフコ | 支持装置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156138A (ja) * | 1992-11-19 | 1994-06-03 | Toyoda Gosei Co Ltd | 容器ホルダ装置 |
JPH0880766A (ja) * | 1994-09-14 | 1996-03-26 | Nissan Motor Co Ltd | 自動変速機のロックアップ制御装置 |
JPH0880776A (ja) * | 1994-09-14 | 1996-03-26 | Nissan Motor Co Ltd | カップホルダ装置 |
JPH0899576A (ja) * | 1994-09-30 | 1996-04-16 | Toyoda Gosei Co Ltd | 箱形カップホルダ |
JPH08156698A (ja) * | 1994-12-02 | 1996-06-18 | Nifco Inc | 蓋体開閉支持機構およびカップホルダ |
KR20010001251U (ko) * | 1999-06-26 | 2001-01-15 | 정몽규 | 자동차의 플로워 콘솔 부설 드링크 홀더 |
EP1190896A2 (de) * | 2000-09-18 | 2002-03-27 | Nifco Inc. | Dosenhalter für Fahrzeuge |
-
2000
- 2000-09-18 JP JP2000282613A patent/JP4375891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1
- 2001-08-17 TW TW090120196A patent/TWI235716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1-09-06 KR KR10-2001-0054831A patent/KR100448725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1-09-12 EP EP01121892A patent/EP1190896A2/de not_active Withdrawn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156138A (ja) * | 1992-11-19 | 1994-06-03 | Toyoda Gosei Co Ltd | 容器ホルダ装置 |
JPH0880766A (ja) * | 1994-09-14 | 1996-03-26 | Nissan Motor Co Ltd | 自動変速機のロックアップ制御装置 |
JPH0880776A (ja) * | 1994-09-14 | 1996-03-26 | Nissan Motor Co Ltd | カップホルダ装置 |
JPH0899576A (ja) * | 1994-09-30 | 1996-04-16 | Toyoda Gosei Co Ltd | 箱形カップホルダ |
JPH08156698A (ja) * | 1994-12-02 | 1996-06-18 | Nifco Inc | 蓋体開閉支持機構およびカップホルダ |
KR20010001251U (ko) * | 1999-06-26 | 2001-01-15 | 정몽규 | 자동차의 플로워 콘솔 부설 드링크 홀더 |
EP1190896A2 (de) * | 2000-09-18 | 2002-03-27 | Nifco Inc. | Dosenhalter für Fahrzeug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TWI235716B (en) | 2005-07-11 |
EP1190896A2 (de) | 2002-03-27 |
KR20020021992A (ko) | 2002-03-23 |
JP4375891B2 (ja) | 2009-12-02 |
JP2002087168A (ja) | 2002-03-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448725B1 (ko) | 용기 홀더 | |
KR100468128B1 (ko) | 용기 홀더 | |
US6883680B2 (en) | Lid opening device | |
JPH07228182A (ja) | 飲料容器等を保持する装置 | |
JP3887615B2 (ja) | 飲料容器のためのホルダ | |
US7866504B2 (en) | Storage apparatus | |
KR200488080Y1 (ko) | 자동차용 컵홀더 | |
KR20040012443A (ko) | 덮개체 개폐기구 및 차량용 수납장치 | |
JP3647540B2 (ja) | カップホルダ装置 | |
KR100456473B1 (ko) | 자동차에 설치된 안경 케이스 | |
US5454617A (en) | Mounting device for a swingably mounted sun visor for motor vehicles | |
KR100969054B1 (ko) | 자동차용 컵홀더 | |
US20090195009A1 (en) | Article Storage Device for Vehicle | |
JP4364988B2 (ja) | カップホルダー | |
JP3641530B2 (ja) | 乗り物用カップホルダー | |
KR100600131B1 (ko) | 자동차용 컵홀더 | |
JP3646542B2 (ja) | 乗物用カップホルダ装置 | |
JP3146986B2 (ja) | カップ保持装置 | |
KR200163553Y1 (ko) | 차량용 안경 보관장치 | |
KR100427214B1 (ko) | 차량의 센터콘솔 | |
JP3640812B2 (ja) | 乗物用カップホルダ装置 | |
JPH06219203A (ja) | 自動車用容器支持装置 | |
JP2002187474A (ja) | カップホルダー | |
KR100405891B1 (ko) | 자동차용 컵홀더 | |
KR20210149525A (ko) | 차량용 암레스트의 컵홀더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905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902 Year of fee payment: 10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