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7828B1 - 승강기구 - Google Patents

승강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7828B1
KR100397828B1 KR10-2001-0035391A KR20010035391A KR100397828B1 KR 100397828 B1 KR100397828 B1 KR 100397828B1 KR 20010035391 A KR20010035391 A KR 20010035391A KR 100397828 B1 KR100397828 B1 KR 1003978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member
container
lid
support member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5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03284A (ko
Inventor
아사미고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0200032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32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78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78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storable or foldable in a non-use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과제) 덮개체의 개폐동작에 따라서 승강체를 승강시키는 승강기구에 있어서, 승강체를 안정하게 승강시킴과 아울러 상승된 승강체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해결수단) 덮개체(2)를 개방함에 의해서, 기단부가 수용체(1) 내에 회동가능하게 부착된 암부재(41)의 자유단부 측이 탄지에 의해서 상측으로 회동함과 아울러 기단부가 상기 암부재(41)의 자유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자유단부 측이 상기 암부재(41)의 기단측으로 되접혀지도록 배치된 승강체(3)의 자유단부 측이 탄지에 의해서 암부재(41)에 대해서 전개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상기 승강체(3)가 상승하여 수용체(1)의 상면 개구부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승강기구{Lif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덮개체의 개폐동작에 따라서 승강체를 승강시키는 승강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덮개체의 개폐동작에 따라서 승강체를 안정하게 승강시킴과 아울러, 상승된 상기 승강체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승강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자동차에 내장된 센터 콘솔 등에 컵 홀더나 소물함(小物函) 등의 용기를 설정하고 있다. 이와 같은 용기에는, 설치공간을 용이하게 확보하기 위해서, 유지대상물인 컵 등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사용상태에서는 용기본체의 상측에 위치시키고, 불사용상태에서는 용기본체 내에 수용하도록 한 것이 있다.
이 경우, 수용위치와 사용위치의 사이에서 지지부재를 승강시킬 필요가 있는데, 이와 같은 지지부재를 승강시키는 종래의 승강기구로서는 도 4에 나타낸 것이 개시되어 있다(일본국 특개평9-71172호 공보).
이 승강기구(10)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컵 등의 용기(C)가 놓여지는 저부(底部)지지부재(11)에 제 1 회전축(111)을 형성하여 이 제 1 회전축(111)에 연결판(12)의 일단을 회동가능하게 축지지하고, 저부지지부재(11)의 상면을 개폐하는 덮개체(13)의 이면에 형성된 돌출편(13a)에 이 덮개체(13)의 하단면을 따라서 연장되는 수평홈과 덮개체(13)의 하단면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수직홈으로 이루어지는 대략 L자 형상의 안내홈(131)을 형성하고, 연결판(12)의 타단에 형성된 제 2 회전축(121)에 컵 등의 외주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14)의 일단을 회동가능하게 축지지함과 아울러 타단에 돌출형성된 이동축(141)을 상기 안내홈(131)에 삽입하고, 연결판(12)이 제 1 회전축(111)을 중심으로 저부지지부재(11)의 상측을 향해서(도 4에 있어서의 시계방향) 회동하도록 도시하지 않은 비틀림 스프링으로 탄지하고, 지지부재(14)가 제 2 회전축(121)을 중심으로 저부지지부재(11)의 상측을 향해서(도 4에 있어서의 시계반대방향) 회동하도록 도시하지 않은 비틀림 스프링으로 탄지한 상태로 되어 있다.
상기 승강기구(10)에 의한 지지부재(14)의 승강동작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다. 덮개체(13)로 저부지지부재(11)의 상면을 폐색한 폐쇄상태에서는 덮개체(13)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절결부가 돌조부(11a)에 걸어맞춰짐으로써 도 4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폐쇄상태가 유지된다. 이 경우, 지지부재(14)가 비틀림 스프링의 탄지력에 저항하면서 덮개체(13)의 이면에 맞닿게 되고, 연결판(12)이 비틀림 스프링의 탄지력에 저항하면서 지지부재(14)의 이면(14a)에 맞닿게 되며, 이동축(141)이 안내홈(131)의 수평홈의 일단에 위치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상기 폐쇄상태에서 돌조부(11a)와 절결부의 걸어맞춤상태를 해제하면, 연결판(12)이 비틀림 스프링의 탄지력에 의해서 제 1 회전축(111)을 중심으로저부지지부재(11)의 상측을 향해서(도 4에 있어서의 시계방향) 회동하고, 또 지지부재(14)가 비틀림 스프링의 탄지력에 의해서 제 2 회전축(121)을 중심으로 저부지지부재(11)의 상측을 향해서(도 4에 있어서의 시계반대방향) 회동함에 따라서 덮개체(13)가 개방방향으로 회동하고, 동시에 이동축(141)이 안내홈(131)을 따라서 그 타단에 맞닿을 때까지 이동함으로써, 도 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부지지부재(11)의 상면이 개방된다.
또, 덮개체(13)를 개방상태에서 폐쇄상태로 할 경우에는, 덮개체(13)를 폐쇄방향으로 회동시킴에 의해서, 지지부재(14)가 비틀림 스프링의 탄지력에 저항하면서 제 2 회전축(121)을 중심으로 저부지지부재(11) 측을 향해서(도 4에 있어서의 시계방향) 회동함과 동시에 이동축(141)이 안내홈(131)의 수직홈에서 수평홈으로 진입함으로써 지지부재(14)의 이면(14a)과 연결판(12)의 상단면이 맞닿게 되고, 이 지지부재(14)의 압압력에 의해서 연결판(12)이 비틀림 스프링의 탄지력에 저항하면서 제 1 회전축(111)을 중심으로 저부지지부재(11) 측을 향해서(도 4에 있어서의 시계반대방향) 회동함과 동시에 이동체(141)가 안내홈(131)의 수평홈을 따라서 이동하여 그 일단에 맞닿음으로써 저부지지부재(11)의 상면이 덮개체(13)에 의해서 폐색된다.
이와 같이, 상기 승강기구(10)는 컵 등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지지부재(14)를 수용위치와 사용위치의 사이에서 승강시킴에 의해서 불사용시에 있어서의 용기의 사이즈를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용기의 설치공간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으며, 또 덮개체(13)의 개폐동작에 따라서 지지부재(14)를 승강시킴으로써 컵의 지지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승강기구(10)는, 지지부재(14)에 형성된 이동축(141)이 덮개체(13)의 돌출편(13a)에 형성된 안내홈(131)에 끼워맞춰짐에 의해서 지지부재(14)와 덮개체(13)가 이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즉 저부지지부재(11) 및 덮개체(13)에 대한 지지부재(14)의 사용위치가 고정되기 때문에, 저부지지부재(11)나 덮개체(13)의 진동이 지지부재(14)에 직접 전달되기 쉽다. 따라서, 자동차에 있어서의 진동하기 쉬운 장소에 용기를 설정한 경우에는, 자동차 주행시에 있어서의 약간의 진동에 의해서도 유지대상물인 컵 등이 진동하게 됨으로써 컵에 수용된 음료가 넘칠 우려가 있었다. 또, 연결판(12)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회동운동하기 때문에, 연결판(12) 및 지지부재(14)의 회동운동시에 저부지지부재(11)와 연결판(12)과의 사이나 연결판(12)과 지지부재(14)와의 사이에 사용자의 손가락 등이 끼일 우려가 있었다. 또한, 비틀림 스프링의 탄지력에 의해서 덮개체가 세차게 개방상태까지 회동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와 충돌하거나 혹은 덮개체가 파손될 우려가 있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승강기구에서는 승강체(지지부재)를 덮개체의 개폐동작에 따라서 안정하게 승강시키고 또 상승된 승강체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덮개체의 개폐동작에 따라서 승강체를 승강시키는 승강기구에 있어서, 승강체를 안정하게 승강시킴과 아울러, 상승된 승강체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승강기구에 의해서 지지부재를 용기본체에 부착한 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상기 용기를 나타낸 것으로서, (A)는 덮개체를 폐색한 폐쇄상태의 단면도, (B)는 덮개체를 개방한 개방상태의 단면도
도 3은 상기 용기를 나타낸 것으로서, (A)∼(E)는 상기 승강기구에 의해서 지지부재가 승강하는 상태를 순차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종래의 승강기구를 나타낸 것으로서, (A)는 덮개체가 폐쇄된 폐쇄상태의 단면도, (B)는 덮개체가 개방된 개방상태의 단면도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용기본체(수용체) 2 - 덮개체
21 - 걸림부재 211 - 걸림돌기
3 - 지지부재(승강체) 3b - 돌편
31 - 가이드홈 4 - 승강기구
41 - 암부재 411 - 제 1 회전축
412 - 제 2 회전축 413 - 슬라이드축
42 - 제 1 탄지수단 43 - 제 2 탄지수단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플랩(flap)형상으로 개폐되는 덮개체를 가지는 수용체에 격납된 승강체를 상기 덮개체의 개폐동작에 연동하여 승강시키는 승강기구로서, 기단부가 상기 수용체 내에 회동가능하게 부착되고, 자유단부 측이 상측으로 탄지된 암부재와, 기단부가 상기 암부재의 자유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자유단부 측이 상기 암부재의 기단측으로 되접혀지도록 배치됨과 아울러 이 자유단부 측이 상기 암부재에 대해서 전개방향으로 탄지된 승강체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덮개체를 개방함에 의해서, 상기 암부재의 자유단부 측이 상기 탄지에 의해서 상측으로 회동함과 아울러 상기 승강체의 자유단부 측이 상기 탄지에 의해서 암부재에 대해서 전개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상기 승강체가 상승하여 상기 수용체의 상면 개구부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고, 또 이 상태에서 상기 덮개체를 폐쇄함에 의해서, 상기 덮개체에 압압되어 상기 암부재의 자유단부 측이 상기 탄지에 저항하면서 하측으로 회동함과 아울러 상기 승강체의 자유단부 측이 상기 탄지에 저항하면서 되접혀지는 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상기 승강체가 상기 수용체 내에 격납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구를 제공한다.
상기 승강기구는, 상기 수용체의 상면 개구부를 플랩형상으로 개폐하는 덮개체를 개방하면, 상기 암부재의 자유단부 측이 상기 탄지에 의해서 상측으로 회동함과 아울러 상기 승강체의 자유단부 측이 상기 탄지에 의해서 암부재에 대해서 전개방향으로 회동함에 의해서 상기 승강체가 상승하여 수용체의 상면 개구부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덮개체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승강체와 상기 덮개체가 이간된 상태로 유지되고, 또 이 상태에서 상기 덮개체를 폐쇄하면, 상기 덮개체에 압압되어 상기 암부재의 자유단부 측이 상기 탄지에 저항하면서 하측으로 회동함과 아울러 상기 승강체의 자유단부 측이 상기 탄지에 저항하면서 되접혀지는 방향으로 회동함에 의해서 상기 승강체가 상기 수용체 내에 격납되는 것이다.
상기 승강기구에 의하면, 상기 덮개체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는, 수용체의 상면 개구부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상기 승강체와 상기 덮개체가 이간된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예를 들면 덮개체에 충격이나 진동이 가해진 경우에도 이것이 승강체에 직접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승강체가 수용체의 상면 개구부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또, 승강체가 암부재를 통해서 수용체에 회동가능하게 부착됨과 아울러 암부재의 자유단부 측이 상측으로 탄지되고 또한 승강체의 자유단부 측이 상기 암부재에 대해서 전개방향으로 탄지되어 있으며, 이것에 의해서 승강체가 수용체에 대해서 요동가능하게 지지되기 때문에, 수용체에서 승강체로 가해지는 충격이나 진동이 완화됨으로써 승강체의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자동차에 있어서의 차재 내장용의 소물함, 컵 홀더 등과 같이 외부로부터 진동을 받기 쉬운 용기에 컵 등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승강체로 하여 승강시킴으로써, 지지부재에 지지되는 컵 등의 유지대상물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승강기구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로서, 상기 승강체의 하면에 1쌍의 돌편을 돌출형성하여 이들 돌편 사이에 암부재 수용부를 형성하고, 상기 암부재 수용부 내에 상기 암부재를 배치한 승강기구를 제공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암부재가 승강체의 하면에 돌출형성된 1쌍의 돌편에 의해서 형성되는 암부재 수용부 내에 배치되고, 이 암부재 수용부 내에서 회동운동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암부재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종래의 경우에서와 같이 암부재와 수용체 또는 승강체와의 사이에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가 끼인다고 하는 사태를 회피할 수 있으며, 따라서 안정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 상기 암부재 수용부를 구성하는 돌편 또는 암부재 중 어느 일측에 슬라이드축을 돌출형성함과 아울러 타측에 상기 슬라이드축이 끼워지는 가이드홈을 형성하고, 상기 승강체의 승강운동에 연동하여 상기 슬라이드축이 상기 가이드홈 내를 슬라이드 이동하되, 상기 가이드홈에 있어서의 상단 또는 하단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승시의 승강체가 소정 각도로 유지되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슬라이드축이 가이드홈에 있어서의 상단 또는 하단에 위치한 상태(즉, 슬라이드축이 암부재에 형성되고 가이드홈이 돌편에 형성된 경우에는 슬라이드축이 가이드홈의 하단에 위치한 상태, 또는 슬라이드축이 돌편에 형성되고 가이드홈이 암부재에 형성된 경우에는 슬라이드축이 가이드홈의 상단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승시의 승강체가 소정의 자세로 유지되기 때문에, 암부재 및 승강체에 가해지는 탄지력에 의해서 승강체가 세차게 상승하여 이 승강체가 사용자의 신체와 충돌하거나 이 승강체 또는 암부재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체의 상면 개구부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상기 승강체와 개방방향으로 회동하는 상기 덮개체가 서로 걸려서 상기 덮개체의 개방방향으로의 회동동작을 정지시키는 걸림부재를 구비하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개방방향으로 회동하는 덮개체와 이 덮개체의 회동동작에 연동하여 수용체의 상측으로 상승하는 승강체가 걸림부재에 의해서 서로 걸려서 덮개체의 개방방향으로의 회동동작이 정지되기 때문에, 암부재 및 승강체에 가해지는 탄지력에 의한 승강체의 압압력에 의해서 덮개체가 완전히 개방되는 상태까지 세차게 회동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덮개체가 손상되거나 덮개체가 사용자의 신체 등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승강기구(4)를 가지는 용기를 나타낸 것이다. 이 용기는 자동차에 내장된 센터 콘솔 등에 설정되는 것으로서, 컵 등을 수용하는 용기본체(1)와, 용기본체(1)에 회동가능하게 축지지된 덮개체(2)와, 컵 등의 유지대상물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지지부재(승강체)(3)와, 지지부재(3)를 승강시키는 승강기구(4)를 구비한다.
용기본체(1)는 그 폭방향을 따라서 형성되어 컵 등을 수용하는 1쌍의 컵 수용부(1a)와, 후술하는 덮개체(2)의 걸어맞춤돌기(2a)와 걸어맞춰져서 덮개체(2)가 용기본체(1)의 상면을 폐색한 폐쇄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걸어맞춤부재(1b)를 구비한다.
덮개체(2)는 용기본체(1)의 상면을 폐색한 폐쇄상태와 용기본체(1)의 상면을개방한 개방상태의 사이에서 회동가능하도록 용기본체(1)에 축지지되어 있으며, 선단부의 폭방향 중앙부의 이면에 형성된 걸어맞춤돌기(2a)와, 기단부의 폭방향 중앙부의 이면에 덮개체(2)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1쌍의 걸림부재(21)를 구비한다.
걸림부재(21)는 덮개체(2)의 개방방향으로의 회동동작시에 지지부재(3)의 상단 가장자리부와 맞닿고, 이 상단 가장자리부가 덮개체(2)의 회동동작에 따라서 그 일단부에서 타단부에 걸쳐서 슬라이드 이동하여 타단부에 형성된 걸림돌기(211)에 걸림으로써 덮개체(2)의 개방방향으로의 회동동작을 정지시키는 것이다.
지지부재(3)는 유지대상물인 컵 등의 외주면을 지지하기 위한 대략 원형의 지지구멍(3a)을 폭방향 양 단부에 가짐과 아울러, 폭방향 중앙부에 양 지지구멍(3a)의 구멍가장자리부의 이면에서 하측으로 돌출형성된 1쌍의 돌편(3b)을 구비하며, 이 양 돌편(3b) 사이에 암부재 수용부(3c)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승강기구(4)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일단부가 용기본체(1)에 회동가능하게 축지지되고 타단부 측이 상기 암부재 수용부(3c) 내에 배치된 암부재(41)와, 지지부재(3)의 돌편(3b)에 형성된 가이드홈(31)과, 암부재(41)가 용기본체(1)의 상측을 향해서(도 2에 있어서의 시계방향) 회동하도록 탄지하는 제 1 탄지수단(42)과, 지지부재(3)가 용기본체(1)의 상측을 향해서(도 2에 있어서의 시계반대방향) 회동하도록 탄지하는 제 2 탄지수단(43)으로 구성된다.
암부재(41)는 그 일단부 측의 상면이 단면 대략 삼각형상으로 돌출됨과 아울러 타단부 측이 상측으로 약간 굴곡된 형상의 판형상체로 형성되며, 일단부의 폭방향 양 단면에서 평판형상의 판형상부(41a)가 상측을 향해서 돌출형성됨과 아울러, 이 양 판형상부(41a)의 선단부의 양 측면에 용기본체(1)에 회동가능하게 축지지되는 제 1 회전축(411)이 형성되고, 타단부의 양 측면에 지지부재(3)가 축지지되는 제 2 회전축(412)이 형성되고, 삼각형상의 돌출부의 상부 양 측면에 가이드홈(31)에 끼워지는 슬라이드축(413)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홈(31)은 암부재(41)의 제 2 회전축(412)을 중심으로 한 슬라이드축(413)의 회동궤적을 따라서 지지부재(3)의 돌편(3b)에 원호형상으로 형성되며, 슬라이드축(413)이 끼워지도록 되어 있다.
제 1 탄지수단(42)은, 예를 들면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되며, 그 일단부가 용기본체(1)에 고정됨과 아울러 타단부가 암부재(41)에 고정됨으로써 암부재(41)가 제 1 회전축(411)을 중심으로 용기본체(1)의 상측을 향해서(도 2에 있어서의 시계방향) 회동하도록 탄지된다. 또, 제 2 탄지수단(43)은, 예를 들면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되며, 그 일단부가 암부재(41)에 고정됨과 아울러 타단부가 지지부재(3)에 고정됨으로써 지지부재(3)가 제 2 회전축(412)을 중심으로 용기본체(1)의 상측을 향해서(도 2에 있어서의 시계반대방향) 회동하도록 탄지된다.
본 실시예의 승강기구(4)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암부재(41)가 제 1 회전축(411)에 의해서 용기본체(1)에 회동가능하게 축지지됨과 아울러 지지부재(3)가 암부재(41)의 제 2 회전축(412)에 회동가능하게 축지지되고, 암부재(41)의 슬라이드축(413)이 지지부재(3)의 돌편(3b)에 형성된 가이드홈(31)에 끼워지고, 제 1 탄지수단(42)의 일단부가 용기본체(1)에 고정됨과 아울러 타단부가 암부재(41)에고정됨으로써 암부재(41)가 제 1 회전축(411)을 중심으로 용기본체(1)의 상측을 향해서(도 2에 있어서의 시계방향) 회동하도록 탄지되고, 제 2 탄지수단(43)의 일단부가 암부재(41)에 고정됨과 아울러 타단부가 지지부재(3)에 고정됨으로써 지지부재(3)가 제 2 회전축(412)을 중심으로 용기본체(1)의 상측을 향해서(도 2에 있어서의 시계반대방향) 회동하도록 탄지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승강기구(4)는, 암부재(41)가 제 1 탄지수단(42)의 탄지력에 저항하면서 제 1 회전축(411)을 중심으로 하한선까지 회동시킨 위치에 놓여짐과 아울러 암부재(41)의 슬라이드축(413)이 가이드홈(31)의 상단에 위치하고, 동시에 지지부재(3)가 제 2 탄지수단(43)의 탄지력에 저항하면서 제 2 회전축(412)을 중심으로 하한선까지 회동시킨 위치에 놓여지는 수용위치{도 2의 (A) 참조}와, 암부재(41)가 제 1 탄지수단(42)의 탄지력에 의해서 제 1 회전축(411)을 중심으로 상한선까지 회동시킨 위치에 놓여짐과 아울러 암부재(41)의 슬라이드축(413)이 가이드홈(31)의 하단에 위치하고, 동시에 지지부재(3)가 제 2 탄지수단(43)의 탄지력에 의해서 제 2 회전축(412)을 중심으로 상한선까지 회동시킨 위치에 놓여지는 사용위치{도 2의 (B) 참조}와의 사이에서 승강체인 지지부재(3)를 승강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승강기구(4)에 의해서 용기본체(1)에 지지부재(3)를 부착한 용기는, 덮개체(2)가 용기본체(1)의 상면을 폐색한 폐쇄위치에서는, 도 3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부재(3)가 덮개체(2)의 이면에 형성된 걸림부재(21)와 맞닿은 상태로 상기한 수용위치에 위치함과 아울러, 덮개체(2)의 걸어맞춤돌기(2a)가 용기본체(1)의 걸어맞춤부재(1b)에 걸어맞춰짐으로써 폐쇄상태가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걸어맞춤돌기(2a)와 걸어맞춤부재(1b)의 걸어맞춤을 해제하면, 도 3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부재(3)가 제 2 탄지수단(43)의 탄지력에 의해서 제 2 회전축(412)을 중심으로 용기본체(1)의 상측을 향해서(도 3에 있어서의 시계반대방향) 회동하고, 이것에 따라서 슬라이드축(413)이 가이드홈(31)의 하단을 향해서 이동한다. 또, 암부재(41)는 제 1 탄지수단(42)의 탄지력에 의해서 제 1 회전축(411)을 중심으로 용기본체(1)의 상측을 향해서(도 3에 있어서의 시계방향) 회동하고, 이것에 따라서 지지부재(3)가 제 1 회전축(411)을 중심으로 용기본체(1)의 상측을 향해서(도 3에 있어서의 시계방향) 회동한다. 그리고, 덮개체(2)는 제 1 및 제 2 회전축(411,412)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지지부재(3)에 압압되어 개방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경우, 지지부재(3)의 상단 가장자리부는 덮개체(2)의 이면에 형성된 걸림부재(21)와 맞닿은 상태를 유지하면서, 제 1 회전축(411)을 중심으로 한 지지부재(3)의 회동동작에 따라서 상기 걸림부재(21)를 따라서 미끄러지듯이 슬리이드 이동한다.
그리고, 도 3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드축(413)이 가이드홈(31)의 하단에 도달하면, 제 2 회전축(412)을 중심으로 한 지지부재(3)의 회동동작이 정지되고, 또 지지부재(3)가 제 1 회전축(411)을 중심으로 상한선까지 회동한 위치에 놓이게 되면, 도 3의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부재(3)의 상단 가장자리부가 걸림부재(21)의 걸림돌기(211)에 걸림으로써 암부재(41) 및 지지부재(3)의 제 1 회전축(411)을 중심으로 한 회동동작이 정지된다. 이것에 의해서, 제 1 및 제 2 탄지수단(42,43)의 탄지력에 의한 지지부재(3)의 압압력에 의해서 덮개체(2)가 세차게 개방상태까지 회동하여 지지부재(3)가 사용자의 신체 등에 충돌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덮개체(2)를 개방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지지부재(3)의 상단 가장자리부와 걸림부재(21)의 걸림돌기(211)의 걸림상태가 해제되어 지지부재(3)와 덮개체(2)가 이간됨으로써 덮개체(2)만이 개방방향으로 회동하게 되어 도 3의 (E)에 나타내는 용기본체(1)의 상면 개구부가 개방된 개방상태가 되며, 또 암부재(41)가 도시하지 않은 회동규제체에 의해서 회동동작이 규제됨으로써 지지부재(3)가 유지대상물인 컵 등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사용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이 경우, 암부재(41)가 제 1 탄지수단(42)에 의해서 탄지된 상태에서 제 1 회전축(411)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용기본체(1)에 축지지됨과 아울러, 지지부재(3)가 제 2 탄지수단(43)에 의해서 탄지된 상태에서 암부재(41)에 형성된 제 2 회전축(412)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암부재(41)에 축지지되어 있으며, 이것에 의해서 지지부재(3)는 용기본체(1)에 대해서 요동가능한 상태로 사용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자동차 주행시에 용기본체(1)로부터 가해지는 진동이 제 1 및 제 2 탄지수단(42,43)에 의해서 흡수됨으로써 지지부재(3)의 진동이 완화된다. 따라서, 지지부재(3)에 의해서 컵 등의 용기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컵 등의 용기에서 음료 등이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용기를 컵 홀더로서 사용할 때에는, 덮개체(2)와 지지부재(3)가 이간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덮개체(2)의 진동이 지지부재(3)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덮개체(2)와 지지부재(3)가 직접 연결된 종래의 경우와 같이 자동차 주행시에 덮개체(2)의 진동 등이 지지부재(3)에 직접 전달되어 유지대상물인 컵 등에서 음료 등이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암부재(41)에 슬라이드축(413)을 돌출형성함과 아울러 지지부재(3)의 돌편(3b)에 슬라이드축(413)이 끼워지는 가이드홈(31)을 형성하되, 상기 슬라이드축(413)이 가이드홈(31)의 하단에 위치한 상태에서 지지부재(3)가 소정 각도로 유지되도록 하였기 때문에, 지지부재(3)가 사용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소정의 자세로 유지되며, 따라서 암부재(41) 및 지지부재(3)에 가해지는 탄지력에 의한 지지부재(3)의 압압력에 의해서 지지부재(3)가 세차게 상승하여 사용자의 신체와 충돌하거나 이 지지부재(3) 또는 암부재(41)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방상태에서 덮개체(2)를 폐쇄방향으로 회동시키면, 도 3의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체(2)의 이면에 형성된 걸림부재(21)와 지지부재(3)의 상단 가장자리부가 맞닿게 되고, 도 3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부재(3) 및 암부재(41)가 걸림부재(21)를 통해서 눌려지는 압압력에 의해서 제 1 탄지수단(42)의 탄지력에 저항하면서 제 1 회전축(411)을 중심으로 용기본체(1)의 하측을 향해서(도 3에 있어서의 시계반대방향) 회동하게 된다.
이 경우, 덮개체(2)의 회동동작에 따라서 걸림부재(21)가 지지부재(3)의 상단 가장자리부와 맞닿은 상태를 유지하면서 지지부재(3)의 상단 가장자리부를 따라서 미끄러지듯이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써, 지지부재(3)는 제 1 회전축(411)을 중심으로 용기본체(1)의 하측을 향해서 원활하게 회동하게 된다. 또한, 덮개체(2)가 회동을 계속하면, 도 3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부재(3)가 제 2 탄지수단(43)의 탄지력에 저항하면서 제 2 회전축(412)을 중심으로 용기본체(1)의 하측을 향해서 회동동작을 계속하고, 이것에 따라서 슬라이드축(413)이 지지부재(3)의 가이드홈(31)의 상단을 향해서 이동한다. 그리고, 슬라이드축(413)이 가이드홈(31)의 상단에 맞닿으면, 제 2 회전축(412)을 중심으로 한 지지부재(3)의 용기본체(1)의 하측을 향한 회동동작이 정지됨으로써, 도 3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체(2)가 용기본체(1)의 상면을 폐색한 폐쇄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본 승강기구(4)에 의하면, 컵 등의 유지대상물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지지부재(3) 및 지지부재(3)를 지지하는 암부재(41)를 압축 코일 스프링 등의 탄지수단(42,43)을 이용하여 용기본체(1)의 상측으로 탄지하고 있기 때문에, 덮개체(2)의 걸어맞춤돌기(2a)와 용기본체(1)의 걸어맞춤부재(1b)의 걸어맞춤을 해제하면, 제 1 및 제 2 탄지수단(42,43)의 탄지력에 의해서 지지부재(3)가 덮개체(2)를 개방방향으로 압압함으로써 덮개체(2)가 개방방향으로 회동운동하게 된다. 따라서, 걸어맞춤돌기(2a)와 걸어맞춤부재(1b)의 걸어맞춤을 해제한다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서 덮개체(2)를 개방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
또, 지지부재(3)를 암부재(41)를 통해서 용기본체(1)에 회동가능하게 축지지함과 아울러 제 1 및 제 2 탄지수단(42,43)에 의해서 용기본체(1)의 상측으로 탄지함으로써 지지부재(3)를 용기본체(1)에 대해서 요동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용기본체(1)의 진동이 지지부재(3)에 직접 전달되어 자동차 주행시에 있어서의 진동 등에 의해서 유지대상물인 컵 등에서 음료가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덮개체(2)가 완전한 개방된 상태에서는 덮개체(2)와 지지부재(3)가 서로 이간되어 각각 독립적으로 유지되기 때문에, 덮개체(2)의 진동이 지지부재(3)에 직접 가해져서 컵 등에서 음료가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승강기구는 상기한 실시예의 승강기구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절히 변경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지지부재(3)를 용기본체(1)에 지지하는 암부재(41)는, 지지부재(3)를 용기본체(1)에 대해서 회동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상기한 실시예에서의 구성에 한정하지 않고 그 형상을 임의의 형상으로 하여도 된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 1 및 제 2 탄지수단(42,43)으로서 압축 코일 스프링을 이용하였으나, 암부재(41) 및 지지부재(3)가 제 1 및 제 2 회전축(411,412)을 중심으로 용기본체(1)의 상측으로 회동하도록 탄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적절히 변경하여도 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 1 회전축(411), 제 2 회전축(412) 및 슬라이드축(413)이 각각 암부재(41)에 형성되어 있으나, 제 1 회전축(411)이 용기본체(1)에, 제 2 회전축(412)이 지지부재(3)에, 슬라이드축(413)이 지지부재(3)의 돌편(3b)에 각각 형성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이 경우, 제 2 회전축(412)을 중심으로 한 지지부재(3)의 회동운동에 따른 슬라이드축(413)의 회동궤적을 따라서 가이드홈(31)을 암부재(41)의 삼각형상의 돌출부에 형성함으로써, 슬라이드축(413)이 가이드홈(31)의 상단에 위치한 상태에서 지지부재(3)를 소정의 자세로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승강기구는, 상기한 실시예와 같이 유지대상물인 컵 등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덮개체의 개폐조작에 따라서 승강시키는 용기를 구성할 때에 매우 적합하게 채용되며, 특히 자동차의 내장품으로서 설정되는 컵 홀더 등의 용기에 최적한 것이나, 설치공간을 작게 할 필요가 있는 용기라면, 그 용도는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승강기구에 의하면, 컵 등의 물품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덮개체의 개폐동작에 따라서 안정하게 승강시킴과 아울러, 이 지지부재에 의해서 물품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Claims (5)

  1. 플랩형상으로 개폐되는 덮개체를 가지는 수용체에 격납된 승강체를 상기 덮개체의 개폐동작에 연동하여 승강시키는 승강기구로서,
    기단부가 상기 수용체 내에 회동가능하게 부착되고, 자유단부 측이 상측으로 탄지된 암부재와,
    기단부가 상기 암부재의 자유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자유단부 측이 상기 암부재의 기단측으로 되접혀지도록 배치됨과 아울러 이 자유단부 측이 상기 암부재에 대해서 전개방향으로 탄지된 승강체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덮개체를 개방함에 의해서, 상기 암부재의 자유단부 측이 상기 탄지에 의해서 상측으로 회동함과 아울러 상기 승강체의 자유단부 측이 상기 탄지에 의해서 암부재에 대해서 전개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상기 승강체가 상승하여 상기 수용체의 상면 개구부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고, 또 이 상태에서 상기 덮개체를 폐쇄함에 의해서, 상기 덮개체에 압압되어 상기 암부재의 자유단부 측이 상기 탄지에 저항하면서 하측으로 회동함과 아울러 상기 승강체의 자유단부 측이 상기 탄지에 저항하면서 되접혀지는 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상기 승강체가 상기 수용체 내에 격납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강체의 하면에 1쌍의 돌편을 돌출형성하여 이들 돌편 사이에 암부재 수용부를 형성하고, 상기 암부재 수용부 내에 상기 암부재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암부재 수용부를 구성하는 돌편 또는 암부재 중 어느 일측에 슬라이드축을 돌출형성함과 아울러 타측에 상기 슬라이드축이 끼워지는 가이드홈을 형성하고,
    상기 승강체의 승강운동에 연동하여 상기 슬라이드축이 상기 가이드홈 내를 슬라이드 이동하되, 상기 가이드홈에 있어서의 상단 또는 하단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승시의 승강체가 소정 각도로 유지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구.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체의 상면 개구부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상기 승강체와 개방방향으로 회동하는 상기 덮개체가 서로 걸려서 상기 덮개체의 개방방향으로의 회동동작을 정지시키는 걸림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구.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체가 소물함, 컵 홀더 등의 차재 내장용 용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구.
KR10-2001-0035391A 2000-07-03 2001-06-21 승강기구 KR1003978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201151A JP2002012078A (ja) 2000-07-03 2000-07-03 昇降機構
JP2000-201151 2000-07-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3284A KR20020003284A (ko) 2002-01-12
KR100397828B1 true KR100397828B1 (ko) 2003-09-19

Family

ID=18698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5391A KR100397828B1 (ko) 2000-07-03 2001-06-21 승강기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2012078A (ko)
KR (1) KR100397828B1 (ko)
TW (1) TW55853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53160B2 (ja) 2010-04-23 2014-03-26 株式会社ニフコ カップホルダー
CN105882486B (zh) * 2016-04-08 2018-10-19 浙江吉利汽车研究院有限公司 一种按压式盖板
CN111532211B (zh) * 2020-06-19 2020-11-13 上海延锋金桥汽车饰件系统有限公司 一种汽车内饰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2012078A (ja) 2002-01-15
KR20020003284A (ko) 2002-01-12
TW558531B (en) 2003-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81343B2 (en) Container holding structure for vehicle
US7520482B2 (en) Cup holder for vehicles
KR101223374B1 (ko) 컵 홀더
US20120104011A1 (en) Cup holder
JPH08244514A (ja) 飲料容器のための保持装置
KR100196259B1 (ko) 2개의 음료수 용기 홀더 장치
US6796591B2 (en) Glove compartment and cup holder device for automobile
KR100397828B1 (ko) 승강기구
KR20030006976A (ko) 용기 홀더
JP3538379B2 (ja) 自動車において使用される飲み物容器用のホルダ
KR100445177B1 (ko) 자동차의 컵 홀더
JP4001854B2 (ja) 車両用テーブル装置
JP4407375B2 (ja) カップホルダ
JP4159427B2 (ja) ウイング扉の係止装置
JP3215904B2 (ja) 自動車用小物収納装置
KR20090052044A (ko) 컵 홀더
JP2004299430A (ja) カップホルダ
JP3641191B2 (ja) 車両用収納装置
US7513554B2 (en) Cup holder
JP2558018Y2 (ja) 車両用テーブル装置
KR100410480B1 (ko) 차량용 이중 폴딩 테일게이트
KR20050115005A (ko) 자동차용 리어 시트백의 테이블 구조
JP2024071020A (ja) 車両用内装品
JP6701530B2 (ja) カップホルダ
JPS61143239A (ja) ダンプカ−の煽戸開閉装置の安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