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2555B1 - 컵 홀더 - Google Patents

컵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2555B1
KR101182555B1 KR1020110037868A KR20110037868A KR101182555B1 KR 101182555 B1 KR101182555 B1 KR 101182555B1 KR 1020110037868 A KR1020110037868 A KR 1020110037868A KR 20110037868 A KR20110037868 A KR 20110037868A KR 101182555 B1 KR101182555 B1 KR 1011825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tray
guide groove
lead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7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8587A (ko
Inventor
나오히로 시마지리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1101185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85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25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25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storable or foldable in a non-use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과제) 부착공간을 작게 할 수 있음과 아울러 컵의 유지성능을 향상할 수 있는 컵 홀더를 얻는다.
(해결수단) 리드(30)의 열림 각도가 소정의 각도 보다 커지게 되면, 홀더 본체(64)의 홀더 핀(81)이 트레이(20)에 형성된 트레이 가이드 홈(22)의 원호형상부(22A)에서 경사부(22B)를 따라서 이동한다. 또, 리드(30)의 리드 핀(84)은 홀더 본체(64)의 리드 가이드 홈(86)을 따라서 전방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리드(30)의 전개에 수반하여, 홀더 본체(64)는 지지부(64A)를 수평으로 유지한 채로 홀더 베이스(6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드한다. 이 결과, 용기의 외주부를 지지하는 홀더 본체(64)의 지지부(64A)의 높이를 높은 위치로 설정할 수 있고, 또한, 트레이(20)의 전후 방향 공간을 짧게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Description

컵 홀더{CUP HOLDER}
본 발명은, 자동차 등의 차량의 실내에 설치되어, 컵이나 캔 등의 용기를 유지하는 컵 홀더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러한 종류의 컵 홀더로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것이 알려져 있다. 이 컵 홀더에서는, 용기를 올려놓는 트레이와 용기의 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트레이와 지지부재는, 병행하는 수납위치와 이간(離間)하는 전개(展開)위치의 사이에서 회동할 수 있도록 축지지되어 있다. 또, 지지부재에 설치된 회동 가능한 스토퍼 아암은, 지지부재가 상기 수납위치에 유지되어 있을 때에는, 지지부재와 함께 트레이 측에 병행하여 접혀져 있고, 지지부재가 상기 전개위치에 유지되어 있을 때에는, 지지부재와 교차해서 트레이에 대하여 기립하게 되어 있다. 또, 스토퍼 아암을 탄지(탄성지지)수단을 통해서 기립 방향으로 탄지시킴으로써, 경사 상측으로 튕겨 오른 상태에서 전개된 지지부재가 쓰러지는 것을 스토퍼 아암에 의해 방지하게 되어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국 특허공개 평10-217824호 공보
그러나, 이러한 컵 홀더에서는, 전개위치에서 용기를 확실히 유지하기 위하여, 지지부재의 선단에 형성된 용기 유지부를 가능한 한 상측으로 이동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지지부재의 전체 길이를 길게 설정할 필요가 있으므로, 컵 홀더의 부착공간이 커진다.
본 발명은 상기 사실을 고려하여, 부착공간을 작게 할 수 있음과 아울러 용기의 유지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컵 홀더를 얻는 것을 과제로 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컵 홀더는, 용기를 올려놓는 트레이와, 상기 트레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트레이를 덮는 수납위치와 상기 트레이를 개방하는 전개(展開)위치의 사이에서 회전하는 리드와, 상기 리드를 상기 수납위치에서 상기 전개위치를 향하여 회전시키기 위한 탄지(탄성지지)수단과, 상기 트레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트레이에 수납되는 수납위치와 상기 트레이로부터 돌출되는 전개위치의 사이에서 회전하는 홀더 베이스와, 상기 홀더 베이스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부착된 홀더 본체와, 상기 리드가 상기 탄지수단에 의해 상기 수납위치에서 상기 전개위치로 이동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홀더 본체를 상기 홀더 베이스와 함께 회전시키고, 소정의 회전 각도에 도달하면, 상기 홀더 본체를 상기 홀더 베이스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는 홀더 이동수단을 가진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컵 홀더에서는, 리드가 탄지수단에 의해 수납위치에서 전개위치로 이동한다. 이때, 홀더 이동수단에 의해, 홀더 본체가 홀더 베이스와 함께 트레이에 수납되는 수납위치에서 트레이로부터 돌출하는 전개위치로 회전한다. 그리고, 이 회전이 소정의 회전 각도에 도달하면, 홀더 본체가 홀더 베이스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드한다. 따라서, 수납위치에서는 홀더 본체와 홀더 베이스의 전체 길이를 짧게 할 수 있고, 홀더 본체와 홀더 베이스를 수납하는 트레이를 소형화할 수 있으므로, 컵 홀더의 부착공간을 작게 할 수 있다. 또, 전개위치에서는 홀더 본체와 홀더 베이스의 전체 길이를 길게 할 수 있으므로, 홀더 본체에 의해 용기의 상측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용기의 유지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컵 홀더에 있어서, 상기 홀더 이동수단은, 상기 트레이의 측벽부에 형성되며 상기 리드의 회전 방향을 따르는 원호형상부와 이 원호형상부의 전개(展開)측 단부에서 상기 트레이의 개구측으로 연장되는 경사부를 가지는 홀더 가이드 홈과, 상기 홀더 본체에 형성되며 상기 홀더 가이드 홈에 이동 가능하게 걸어맞춰진 홀더 핀과, 상기 홀더 본체의 측벽부에 형성된 리드 가이드 홈과, 상기 리드에 형성되며 상기 리드 가이드 홈에 이동 가능하게 걸어맞춰진 리드 핀을 구비하고, 상기 리드가 상기 탄지수단의 탄지력에 의해 상기 수납위치에서 상기 전개위치로 이동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리드 핀과 상기 리드 가이드 홈의 걸어맞춤에 의해, 상기 홀더 본체와 상기 홀더 베이스가 상기 리드와 함께 상기 소정의 회전 각도까지 회전함과 아울러, 상기 홀더 본체의 회전에 의해 상기 홀더 핀이 상기 홀더 가이드 홈의 원호형상부를 따라서 이동하고, 그 후, 상기 홀더 가이드 홈의 상기 경사부를 따라서 이동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홀더 본체가 상기 홀더 베이스로부터 멀어져서 상기 용기를 지지하는 전개위치로 슬라이드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의 컵 홀더에서는, 리드가 탄지수단의 탄지력에 의해 수납위치에서 전개위치로 이동한다. 이때, 리드에 형성된 리드 핀과 홀더 본체의 측벽부에 형성된 리드 가이드 홈이 걸어맞춰진 것에 의하여, 홀더 본체와 홀더 베이스가 리드와 함께 소정의 회전 각도까지 회전한다. 또, 홀더 본체의 회전에 의해, 홀더 본체에 형성된 홀더 핀이 트레이의 측벽부에 형성된 홀더 가이드 홈의 원호형상부를 따라서 이동하고, 그 후, 트레이의 개구 측으로 연장되는 경사부를 따라서 이동한다. 이 이동에 의하여 홀더 본체가 홀더 베이스로부터 멀어져서 용기를 지지하는 전개위치로 슬라이드한다. 따라서, 간단한 구성에 의해, 수납위치에서는 홀더 본체와 홀더 베이스의 전체 길이를 짧게 할 수 있고, 홀더 본체와 홀더 베이스를 수납하는 트레이를 소형화할 수 있으므로, 컵 홀더의 부착공간을 작게 할 수 있다. 또, 전개위치에서는 홀더 본체와 홀더 베이스의 전체 길이를 길게 할 수 있고, 홀더 본체에 의해 용기의 상측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용기의 유지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3,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컵 홀더에 있어서, 상기 리드의 회전을 제동하기 위한 댐퍼가 형성되어 있다.
청구항 3,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의 컵 홀더에서는, 리드가 탄지수단의 탄지력에 의해 수납위치에서 전개위치로 이동할 때에, 댐퍼에 의해 리드의 회전이 제동된다. 따라서, 리드, 홀더 베이스 및 홀더 본체의 이동속도를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컵 홀더에 있어서, 상기 홀더 베이스와 상기 홀더 본체 중 어느 일측에 형성된 직선형상의 가이드 홈과, 상기 홀더 베이스와 상기 홀더 본체 중 타측에 형성된 상기 가이드 홈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걸어맞춰지는 직선형상의 가이드 돌기를 가진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의 컵 홀더에서는, 홀더 본체가 홀더 베이스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드할 때에, 홀더 베이스와 홀더 본체 중 어느 일측에 형성된 직선형상의 가이드 홈과, 홀더 베이스와 홀더 본체 중 타측에 형성된 직선형상의 가이드 돌기가 서로 걸어맞춰지게 되어 있다. 따라서, 홀더 본체가 홀더 베이스에 대하여 소정의 슬라이드 방향으로 확실하게 이동한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5에 기재된 컵 홀더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홈과 상기 가이드 돌기의 걸어맞춤 방향이 상기 홀더 본체의 폭 방향과 상하 방향으로 되어 있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의 컵 홀더에서는, 홀더 본체와 홀더 베이스 중 일측에 형성된 가이드 홈과 홀더 본체와 홀더 베이스의 타측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의 걸어맞춤 방향이 홀더 본체의 폭 방향과 상하 방향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홀더 베이스에 의한 홀더 본체의 지지 강성(强性)이 향상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본 발명의 컵 홀더는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졌으므로, 부착공간을 작게 할 수 있음과 아울러 용기의 유지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본 발명의 컵 홀더는 간단한 구성에 의해 부착공간을 작게 할 수 있음과 아울러 용기의 유지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3, 청구항 4에 기재된 본 발명의 컵 홀더는 리드, 홀더 베이스 및 홀더 본체의 이동속도를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본 발명의 컵 홀더는 홀더 본체를 홀더 베이스에 대하여 소정의 방향으로 확실하게 슬라이드시킬 수 있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본 발명의 컵 홀더는 홀더 베이스에 의한 홀더 본체의 지지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컵 홀더를 나타내는 차량의 좌측 후방에서 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컵 홀더를 나타내는 차량의 좌측 후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컵 홀더를 나타내는 차량의 우측 전방에서 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컵 홀더를 나타내는 차량의 우측 후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컵 홀더의 수납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컵 홀더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컵 홀더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컵 홀더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컵 홀더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컵 홀더의 전개(展開)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컵 홀더가 채용된 자동차의 내부를 나타내는 차량의 좌측 후방에서 본 사시도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컵 홀더에 대하여 도 1 ~ 도 11에 따라 설명한다. 또한 도면 중 화살표(FR)는 차량의 전방 방향을, 화살표(UP)는 차량의 상측 방향을, 화살표(W)는 차량의 폭 방향을 나타낸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컵 홀더(10)는, 자동차의 센터 콘솔(12)의 하측에 있어서, 시프트 레버(14)의 전방에 형성된 부착부(16)에 배치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컵 홀더(10)의 트레이(20)는, 상측에 개구부(20A)를 구비한 직사각형 상자형상으로 되어 있고, 트레이(20)의 저부에는 컵이나 캔 등의 용기의 저부를 지지하는 평면형상의 용기 지지부(20B)가 좌우 1쌍 형성되어 있다.
도 2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레이(20)의 양 측벽부(20C,20D)의 전부(前部)에는 각각 축받이부(20E,20F)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트레이(20)의 저부에는 각 축받이부(20E,20F)와 대향하는 부위에 각각 축받이부(20G,20H)가 상측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 트레이(20)의 양 측벽부(20C,20D)에는 홀더 이동수단으로서의 트레이 가이드 홈(22)이 형성되어 있다. 이 트레이 가이드 홈(22)들은, 각 축받이부(20E,20F)에 형성된 구멍(26,46)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형상으로 형성된 원호형상부(22A)와, 이 원호형상부(22A)의 상측 단부{전개(展開)측 단부}에서 원호형상부(22A)의 반경 방향 외측(트레이(20)의 개구부(20A) 측)으로 연장되는 경사부(22B)를 가지고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컵 홀더(10)의 리드(30)는 트레이(20)의 개구부(20A)를 폐색하는 직사각형의 상측 벽부(30A)를 가지고 있다.
도 2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드(30)가 전개(展開)위치에 있는 상태(전개상태)에 있어서의, 상측 벽부(30A)의 폭 방향 양 단부의 하부가 되는 부위에는 각각 축 형성부(30B,30C)가 차량의 후방을 향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 리드(30)의 전개상태에 있어서의, 상측 벽부(30A)의 상단 가장자리부에는 차량의 후방을 향하여 용기 지지부(30D)가 형성되어 있고, 이 용기 지지부(30D)에는 용기의 외주부를 지지하는 반원형상의 오목부(31)가 폭 방향을 따라 좌우 1쌍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드(30)에 있어서의 일측의 축 형성부(30B)의 중앙에는 리드(30)의 내측을 향하여 축(32)이 돌출되어 있고, 이 축(32)이 트레이(20)의 축받이부(20G)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드(30)의 축 형성부(30B)의 중앙에는 리드(30)의 외측을 향하여 원주형상의 볼록부(34)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 볼록부(34)의 단면(34A)의 중앙에는 리드(30)의 외측을 향하여 축(36)이 돌출되어 있고, 이 축(36)이 트레이(20)의 축받이부(20E)의 구멍(26)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리드(30)의 볼록부(34)의 외주부에는 탄지(탄성지지)수단으로서의 코일 스프링(38)이 설치되어 있고, 이 코일 스프링(38)의 일측의 단부(38A)는 리드(30)의 축 형성부(30B)에 형성된 홈(40)에 삽입되어 있다. 또,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38)의 타측의 단부(38B)는 트레이(20)의 축받이부(20E)에 걸어맞춰져 있고, 코일 스프링(38)이 리드(30)를 수납위치에서 전개위치를 향한 방향(도 3의 화살표(A) 방향)으로 탄지하고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드(30)의 타측의 축 형성부(30C)의 중앙에는 리드(30)의 내측을 향하여 축(42)이 돌출되어 있고, 이 축(42)이 트레이(20)의 축받이부(20H)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드(30)의 축 형성부(30C)의 중앙에는 리드(30)의 외측을 향하여 축(44)이 돌출되어 있고, 이 축(44)이 트레이(20)의 축받이부(20F)의 구멍(46)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트레이(20)의 축받이부(20F)의 외측면에는 댐퍼(48)가 비스(50)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또,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레이(20)의 축받이부(20F)에는 원형의 개구부(47)가 형성되어 있고, 이 개구부(47)에 댐퍼(48)의 기어(48A)(도 4 참조)가 삽입되어 있다. 한편,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드(30)의 축 형성부(30C)의 외측면에는 축(44)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를 따라 기어부(50)가 형성되어 있고, 이 기어부(50)가 댐퍼(48)의 기어(48A)에 맞물려 있다. 따라서, 리드(30)가 열릴 때에, 코일 스프링(38)에 의한 전개 방향으로의 탄지력을 댐퍼(48)에 의해 완충시켜서 리드(30)의 회전이 제동되게 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드(30)의 축 형성부(30B)의 외측면에는 축(36)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를 따라 푸쉬 오픈 홈(52)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레이(20)의 측벽부(20D)의 전단(前端) 하부에는 로크 아암(54)의 전단부(54A)가 고정되어 있고, 로크 아암(54)의 후단부(54B)에는 트레이(20)의 벽면을 향하여 로크 핀(56)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 로크 핀(56)은 트레이(20)의 측벽부(20D)에 형성된 개구부(58)를 관통하여 리드(30)의 푸쉬 오픈 홈(52)에 삽입되어 있다.
따라서, 리드(30)를 열 때, 리드(30)를 하측{도 5의 화살표(B) 방향}으로 누르는 것에 의하여, 푸쉬 오픈 홈(52)에 형성된 로크부(52A)와 로크 핀(56)의 걸어맞춤이 해제되고, 리드(30)가 코일 스프링(38)의 탄지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수납위치(도 5의 위치)에서 전개위치(도 10의 위치)로 이동하게 되어 있다. 한편, 리드(30)를 닫을 때에는, 리드(30)를 코일 스프링(38)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전개위치에서 수납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로크 핀(56)이 푸쉬 오픈 홈(52)을 따라서 이동해서 로크부(52A)에 걸어맞춰짐으로써, 리드(30)를 수납위치에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로크 핀(56)과 푸쉬 오픈 홈(52)의 걸어맞춤 구조에 대해서는 주지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레이(20)의 내부에는 홀더(60)가 설치되어 있고, 이 홀더(60)는 홀더 베이스(62)와 홀더 본체(64)를 구비하고 있다. 또, 홀더 베이스(62)는, 용기 통과용 반원형상의 오목부(66)가 폭 방향을 따라 좌우 1쌍 형성된 기부(基部)(62A), 이 기부(62A)의 폭 방향 양단에서 하측을 향하여 형성된 측벽부(62B,62C), 및 기부(62A)의 폭 방향 중앙에서 하측을 향하여 형성된 중앙 벽부(62D)를 구비하고 있다.
홀더 베이스(62)의 측벽부(62B,62C)의 각 전단부에는 관통구멍(68,70)이 형성되어 있다. 또, 홀더 베이스(62)의 측벽부(62B)의 관통구멍(68)에는 리드(30)의 축 형성부(30B)의 축(32)이 관통되어 있고, 홀더 베이스(62)의 측벽부(62C)의 관통구멍(70)에는 리드(30)의 축 형성부(30C)의 축(42)이 관통되어 있다. 따라서, 홀더 베이스(62)는 축(32) 및 축(42)을 중심으로 리드(30)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홀더(60)의 수납상태에 있어서, 홀더 베이스(62)의 측벽부(62B,62C)의 각 외측면의 하부가 되는 부위에는 전후 방향을 따라 직선형상의 가이드 홈(72)이 형성되어 있고, 중앙 벽부(62D)의 상면이 되는 부위에는 전후 방향을 따라 직선형상의 가이드 홈(73)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홀더 본체(64)는, 용기 지지용 반원형상의 오목부(74)가 폭 방향을 따라 좌우 1쌍 형성된 지지부(64A), 이 지지부(64A)의 폭 방향 양단에 형성된 측벽부(64B,64C), 및 지지부(64A)의 폭 방향 중앙에 형성된 중앙 벽부(64D)를 구비하고 있다. 또, 홀더(60)의 수납상태(도 5의 상태)에 있어서, 홀더 본체(64)의 측벽부(64B,64C)의 각 내측면의 하부가 되는 부위에는 전후 방향을 따라 직선형상의 가이드 돌기(80)가 형성되어 있고, 이 가이드 돌기(80)들은 홀더 베이스(62)의 가이드 홈(72)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또한 홀더(60)의 수납상태에 있어서, 중앙 벽부(64D)의 하면이 되는 부위에는 전후 방향을 따라 직선형상의 가이드 돌기(79)가 형성되어 있고, 이 가이드 돌기(79)는 홀더 베이스(62)의 가이드 홈(73)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따라서, 홀더 본체(64)를 홀더 베이스(62)에 대하여 소정의 슬라이드 방향으로 확실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홀더 본체(64)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80,79)와 홀더 베이스(62)에 형성된 가이드 홈(72,73)의 걸어맞춤 방향이, 홀더 본체(64)의 폭 방향과 상하 방향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홀더 베이스(62)에 의한 홀더 본체(64)의 지지 강성(强性)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홀더 본체(64)의 측벽부(64B,64C)에는, 홀더(60)의 전개상태에 있어서 후단 하부가 되는 부위에, 홀더 이동수단으로서의 홀더 핀(81)이 외측을 향하여 각각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 이 홀더 핀(81)들은 트레이(20)의 양 측벽부(20C,20D)에 형성된 홀더 가이드 홈(22)에 이동 가능하게 걸어맞춰져 있다.
리드(30)의 전개상태에 있어서, 리드(30)의 축 형성부(30B,30C)의 후부 상단이 되는 부위에는 홀더 이동수단으로서의 리드 핀(84)이 벽면을 향하여 각각 돌출 형성되어 있다. 한편, 홀더 본체(64)의 측벽부(64B,64C)의 외측면에는, 홀더(60)의 전개상태에 있어서 하단 가장자리부가 되는 부위를 따라 홀더 이동수단으로서의 직선형상의 리드 가이드 홈(86)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 이 리드 가이드 홈(86)들에는 리드(30)의 리드 핀(84)이 이동 가능하게 걸어맞춰져 있다.
따라서, 리드(30)가 코일 스프링(38)의 탄지력에 의해 수납위치에서 전개위치로 이동하는 것에 따라, 리드(30)의 리드 핀(84)과 홀더 본체(64)의 리드 가이드 홈(86)이 걸어맞춰진 것에 의하여, 홀더(60)가 리드(30)와 함께 수납위치에서 전개위치로 회전하게 되어 있다. 또, 홀더(60)의 회전에 의해 홀더 핀(81)이 홀더 가이드 홈(22)의 원호형상부(22A)를 따라서 이동하고, 그 후, 홀더 핀(81)이 홀더 가이드 홈(22)의 경사부(22B)를 따라서 이동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홀더(60)가 리드(30)와 함께 회전하여 리드(30)의 회전 각도가 소정의 각도에 도달하면, 홀더 본체(64)가 홀더 베이스(62)로부터 멀어져서 용기를 지지하는 전개위치 방향(회전의 반경 외측 방향)으로 슬라이드하게 되어 있다.
또, 홀더 본체(64)가 홀더 베이스(62)에 대하여 슬라이드할 때, 홀더 본체(64)의 가이드 돌기(80)가 홀더 베이스(62)의 가이드 홈(72)에 대하여 슬라이드함과 아울러, 홀더 본체(64)의 가이드 돌기(79)가 홀더 베이스(62)의 가이드 홈(73)에 대하여 슬라이드하게 되어 있다.
홀더 본체(64)의 각 오목부(74)의 중앙부에는 각각 용기를 지지하는 서포트(90)가 코일 스프링(92)을 개재하여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또, 코일 스프링(92)은 서포트(90)를 대략 수평의 용기 유지위치 방향을 향하여 탄지하고 있고, 용기가 없는 경우에는 서포트(90)가 홀더 본체(64)의 오목부(74)에 형성된 스토퍼(도시 생략)에 맞닿는 것에 의해 용기 유지위치에 유지되어 있다. 따라서,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96)를 트레이(20)의 용기 지지부(20B)에 올려놓았을 경우에는, 서포트(90)가 용기(96)의 크기에 따라 코일 스프링(92)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하측{도 10의 화살표(G) 방향}으로 회전하고, 용기(96)의 외주부(96A)를 리드(30)의 용기 지지부(30D)의 오목부(31)와의 사이에서 끼워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작용?효과)
이어서,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컵 홀더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드(30)의 수납위치에서는 리드(30)가 트레이(20)의 개구부(20A)를 폐색하고 있다.이 수납상태에서는 도 4에 나타낸 로크 아암(54)과 푸쉬 오픈 홈(52)의 로크부(52A)가 걸어맞춰지는 것에 의하여, 리드(30)가 코일 스프링(38)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수납위치에 유지되어 있다. 또, 리드(30)가 수납위치에 있을 때 홀더(60)는, 홀더 베이스(62)와 홀더 본체(64)가 슬라이드 방향(차량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 단축된 상태로 트레이(20) 내에 수납되어 있다.
또한 홀더 본체(64)의 홀더 핀(81)은 트레이(20)에 형성된 트레이 가이드 홈(22)의 원호형상부(22A)의 하단부 근방에 있고, 리드(30)의 리드 핀(84)은 홀더 본체(64)의 리드 가이드 홈(86)의 후단부(하단부)에 있다.
이어서, 탑승자가 컵 홀더(10)를 사용하기 위해 리드(30)를 하측{도 5의 화살표(B) 방향}으로 누르는 것에 의하여, 도 4에 나타낸 푸쉬 오픈 홈(52)의 로크부(52A)와 로크 핀(56)의 걸어맞춤이 해제된다. 따라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드(30)가 코일 스프링(38)의 탄지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수납위치에서 전개위치의 방향{도 6의 화살표(A)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홀더 본체(64)의 홀더 핀(81)은 트레이(20)에 형성된 트레이 가이드 홈(22)의 원호형상부(22A)를 따라서 전개 방향{도 6의 화살표(C)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리드(30)의 리드 핀(84)은 홀더 본체(64)의 리드 가이드 홈(86)의 후단부에 있다.
이어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드(30)의 회전 각도(θ)(열림 각도)가 소정의 각도(θ1)가 되면, 홀더 본체(64)의 홀더 핀(81)은 트레이(20)에 형성된 트레이 가이드 홈(22)의 원호형상부(22A)의 상단부에 도달한다. 또한 리드(30)의 리드 핀(84)은 홀더 본체(64)의 리드 가이드 홈(86)의 후단부에 있다.
이어서,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드(30)의 회전 각도(θ)가 소정의 각도(θ1)보다 커지게 되면, 홀더 본체(64)의 홀더 핀(81)은 트레이(20)에 형성된 트레이 가이드 홈(22)의 경사부(22B)를 따라서 트레이(20)의 외측{도 8 및 도 9의 화살표(D)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리드(30)의 리드 핀(84)은 홀더 본체(64)의 리드 가이드 홈(86)을 따라서 전방{도 8의 화살표(E) 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홀더 본체(64)는 홀더 베이스(62)에 대하여, 지지부(64A)를 수평으로 유지한 채로 홀더 베이스(62)로부터 멀어져서, 용기를 지지하는 전개위치 방향{도 8의 화살표(F) 방향}으로 슬라이드한다. 이때, 도 2 및 도 4에 나타낸 홀더 본체(64)의 가이드 돌기(80)가 홀더 베이스(62)의 가이드 홈(72)에 대하여 슬라이드함과 아울러, 홀더 본체(64)의 가이드 돌기(79)가 홀더 베이스(62)의 가이드 홈(73)에 대하여 슬라이드한다.
이어서,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드(30)가 전개위치{리드(30)의 회전 각도(θ)가 약 90°}에 도달하면, 홀더 본체(64)의 홀더 핀(81)이 트레이(20)에 형성된 트레이 가이드 홈(22)의 경사부(22B)의 상단부에 도달한다. 따라서, 홀더 본체(64)의 슬라이드가 정지하고 용기(96)를 지지하는 전개위치가 된다. 이때, 리드(30)의 리드 핀(84)은 홀더 본체(64)의 리드 가이드 홈(86)의 전단부에 도달하여 리드(30)도 전개위치가 된다. 이 결과, 리드(30) 및 홀더(60)의 회전이 정지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컵 홀더(10)에서는 리드(30)가 전개할 때에, 홀더(60)가 리드(30)와 함께 전개 방향으로 회전하고, 그 후, 리드(30)의 회전 각도(θ)가 소정의 각도(θ1)에 도달하면, 홀더 본체(64)가 홀더 베이스(6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드한다(돌출된다). 따라서,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홀더 본체(64)의 지지부(64A)의 높이(H1)를 높은 위치로 설정할 수 있다{환언하면, 트레이(20)의 용기 지지부(20B)에 올려놓은 용기(96)의 외주부(96A)를 지지하는 서포트(90)가 형성된 위치를 높은 위치로 설정할 수 있다}. 또, 도 5에 나타낸 수납상태에서는, 홀더 베이스(62)와 홀더 본체(64)가 슬라이드 방향에 대하여 단축된 상태에서 트레이(20) 내에 수납되어 있으므로, 트레이(20)의 전후 방향 공간(L1)을 짧게 할 수 있다.
이 결과, 본 실시형태의 컵 홀더(10)에서는, 간단한 구성에 의해 센터 콘솔(12)에 대한 컵 홀더(10)의 부착공간을 작게 할 수 있음과 아울러, 용기(96)의 유지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컵 홀더(10)의 공간 효율 증대에 의해, 컵 홀더(10) 배치위치 주변의 의장 디자인의 자유도가 증가한다.
또, 본 실시형태의 컵 홀더(10)에서는, 리드(30)가 코일 스프링(38)의 탄지력에 의해 수납위치에서 전개위치로 이동할 때에, 댐퍼(48)에 의해 리드(30)의 회전이 제동된다. 따라서, 리드(30), 홀더 베이스(62) 및 홀더 본체(64)의 각 이동속도를 억제할 수 있다. 이 결과, 부품 수를 억제한 구성으로 고급감을 연출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컵 홀더(10)에서는, 홀더 본체(64)가 홀더 베이스(6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드할 때에, 홀더 본체(64)에 형성된 직선형상의 가이드 돌기(80,79)가 홀더 베이스(62)에 형성된 직선형상의 가이드 홈(72,73)에 걸어맞춰져 있다. 따라서, 홀더 본체(64)를 홀더 베이스(62)에 대하여 슬라이드 방향으로 확실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컵 홀더(10)에서는, 홀더 본체(64)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80,79)와 홀더 베이스(62)에 형성된 가이드 홈(72,73)의 걸어맞춤 방향이, 홀더 본체(64)의 폭 방향과 상하 방향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홀더 베이스(62)에 의한 홀더 본체(64)의 지지 강성을 향상할 수 있다.
(그 외의 실시형태)
이상에 있어서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 안에서 다른 여러 가지 실시형태가 가능한 것은 당업자에 있어서 자명하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리드(30)를 수납위치에서 전개위치를 향하여 회전시키기 위한 탄지수단으로서 코일 스프링(38)을 사용했지만, 코일 스프링(38)을 대신하여 판 스프링 등의 다른 탄지수단을 사용하여도 좋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홀더 베이스(62) 측에 가이드 홈(72,73)을 형성하고 홀더 본체(64) 측에 가이드 돌기(80,79)를 형성하였지만, 이것을 대신하여, 홀더 베이스(62) 측에 가이드 돌기를 형성하고 홀더 본체(64) 측에 가이드 홈을 형성하여도 좋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홀더 이동수단으로서 트레이(20) 측에 가이드 홈(22)을 형성하고 홀더 본체(64) 측에 핀(81)을 형성하였지만, 이것을 대신하여, 트레이(20) 측에 핀을 형성하고 홀더 본체(64) 측에 가이드 홈을 형성하여도 좋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홀더 이동수단으로서 리드(30) 측에 핀(84)을 형성하고 홀더 본체(64)에 가이드 홈(86)을 형성하였지만, 이것을 대신하여, 리드(30) 측에 가이드 홈을 형성하고 홀더 본체(64) 측에 핀을 형성하여도 좋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홀더 이동수단을, 트레이 가이드 홈(22), 홀더 핀(81), 리드 핀(84) 및 리드 가이드 홈(86)으로 구성하였지만, 홀더 이동수단은 상기 실시형태로 한정되지 않으며, 리드(30)가 코일 스프링(38)에 의해 수납위치에서 전개위치로 이동함으로써, 홀더 본체(64)를 홀더 베이스(62)와 함께 회전시키고, 소정의 회전 각도에 도달하면, 홀더 본체(64)를 홀더 베이스(6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는 다른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또, 본 발명의 컵 홀더는, 자동차의 센터 콘솔(12) 이외의 다른 부위에 부착하여도 좋고, 부착 방향도 상기 실시형태의 방향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10 - 컵 홀더 20 - 트레이
22 - 트레이 가이드 홈(홀더 이동수단) 22A - 원호형상부
22B - 경사부 30 - 리드
38 - 코일 스프링(탄지수단) 48 - 댐퍼
60 - 홀더 62 - 홀더 베이스
64 - 홀더 본체 72 - 가이드 홈
73 - 가이드 홈 79 - 가이드 돌기
80 - 가이드 돌기 81 - 홀더 핀(홀더 이동수단)
84 - 리드 핀(홀더 이동수단)
86 - 리드 가이드 홈(홀더 이동수단)

Claims (6)

  1. 용기를 올려놓는 트레이와,
    상기 트레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트레이를 덮는 수납위치와 상기 트레이를 개방하는 전개(展開)위치의 사이에서 회전하는 리드와,
    상기 리드를 상기 수납위치에서 상기 전개위치를 향하여 회전시키기 위한 탄지(탄성지지)수단과,
    상기 트레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트레이에 수납되는 수납위치와 상기 트레이로부터 돌출되는 전개위치의 사이에서 회전하는 홀더 베이스와,
    상기 홀더 베이스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부착된 홀더 본체와,
    상기 리드가 상기 탄지수단에 의해 상기 수납위치에서 상기 전개위치로 이동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홀더 본체를 상기 홀더 베이스와 함께 회전시키고, 소정의 회전 각도에 도달하면, 상기 홀더 본체를 상기 홀더 베이스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는 홀더 이동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을 하는 컵 홀더.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홀더 이동수단은, 상기 트레이의 측벽부에 형성되며 상기 리드의 회전 방향을 따르는 원호형상부와 이 원호형상부의 전개(展開)측 단부에서 상기 트레이의 개구측으로 연장되는 경사부를 가지는 홀더 가이드 홈과, 상기 홀더 본체에 형성되며 상기 홀더 가이드 홈에 이동 가능하게 걸어맞춰진 홀더 핀과, 상기 홀더 본체의 측벽부에 형성된 리드 가이드 홈과, 상기 리드에 형성되며 상기 리드 가이드 홈에 이동 가능하게 걸어맞춰진 리드 핀을 구비하고,
    상기 리드가 상기 탄지수단의 탄지력에 의해 상기 수납위치에서 상기 전개위치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리드 핀과 상기 리드 가이드 홈이 걸어맞춰진 것에 의하여 상기 홀더 본체와 상기 홀더 베이스가 상기 리드와 함께 상기 소정의 회전 각도까지 회전함과 아울러, 상기 홀더 본체의 회전에 의해 상기 홀더 핀이 상기 홀더 가이드 홈의 원호형상부를 따라서 이동하고, 그 후, 상기 홀더 가이드 홈의 상기 경사부를 따라서 이동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홀더 본체가 상기 홀더 베이스로부터 멀어져서 상기 용기를 지지하는 전개위치로 슬라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홀더.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드의 회전을 제동하기 위한 댐퍼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홀더.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리드의 회전을 제동하기 위한 댐퍼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홀더.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 베이스와 상기 홀더 본체 중 어느 일측에 형성된 직선형상의 가이드 홈과, 상기 홀더 베이스와 상기 홀더 본체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홈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걸어맞춰지는 직선형상의 가이드 돌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홀더.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홈과 상기 가이드 돌기의 걸어맞춤 방향이 상기 홀더 본체의 폭 방향과 상하 방향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홀더.
KR1020110037868A 2010-04-23 2011-04-22 컵 홀더 KR1011825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099665 2010-04-23
JP2010099665A JP5453160B2 (ja) 2010-04-23 2010-04-23 カップホルダ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8587A KR20110118587A (ko) 2011-10-31
KR101182555B1 true KR101182555B1 (ko) 2012-09-12

Family

ID=44814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7868A KR101182555B1 (ko) 2010-04-23 2011-04-22 컵 홀더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10259906A1 (ko)
JP (1) JP5453160B2 (ko)
KR (1) KR1011825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07625B2 (ja) * 2009-05-15 2013-10-02 株式会社ニフコ 容器支持装置
JP2012046090A (ja) * 2010-08-27 2012-03-08 Nifco Inc カップホルダ
US8474772B2 (en) * 2011-09-22 2013-07-0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Telescoping cup holder
JP5840536B2 (ja) * 2012-03-02 2016-01-06 トヨタ紡織株式会社 カップホルダ装置
DE102012208278A1 (de) * 2012-05-16 2013-11-21 Bos Gmbh & Co. Kg Aufnahmevorrichtung für wenigstens ein Flaschen- oder Becherbehältnis in einem Fahrzeuginnenraum
CN103407396B (zh) * 2013-07-29 2016-01-27 天津博信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汽车座椅扶手杯托安装结构
GB2509585A (en) * 2013-11-06 2014-07-09 Daimler Ag Storage compartment for an interior of a motor vehicle
US9561746B2 (en) 2015-02-05 2017-02-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ombined cup holder and storage bi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12078A (ja) 2000-07-03 2002-01-15 Nifco Inc 昇降機構
JP2002187474A (ja) 2000-12-22 2002-07-02 Piolax Inc カップホルダー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83707A (en) * 1984-09-18 1986-04-22 Assembled Components Company, Inc. Storage holder for a container
US5297709A (en) * 1992-04-03 1994-03-29 Prince Corporation Container holder
JPH05338502A (ja) * 1992-06-09 1993-12-21 Toyoda Gosei Co Ltd 自動車用電話機格納装置
DE4224700A1 (de) * 1992-07-25 1994-01-27 Euwe Eugen Wexler Gmbh Haltevorrichtung für Getränkebehälter
US5618018A (en) * 1995-06-07 1997-04-08 Manchester Plastics Cup holder for confined spaces
JPH10278653A (ja) * 1997-03-31 1998-10-20 Piolax Inc カップホルダー
US5845888A (en) * 1997-07-17 1998-12-08 Prince Corporation Retractable container holder
US6065729A (en) * 1998-01-28 2000-05-23 Prince Corporation Slide-out container holder
US6799705B1 (en) * 1999-11-01 2004-10-05 Jarek Lutoslawski Cup holder closure and release apparatus
DE10037058A1 (de) * 2000-07-29 2002-02-07 Fischer Artur Werke Gmbh Haltevorrichtung für einen Getränkebehälter
JP2002137677A (ja) * 2000-11-02 2002-05-14 Nifco Inc 乗物用カップホルダー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12078A (ja) 2000-07-03 2002-01-15 Nifco Inc 昇降機構
JP2002187474A (ja) 2000-12-22 2002-07-02 Piolax Inc カップホルダ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259906A1 (en) 2011-10-27
KR20110118587A (ko) 2011-10-31
JP5453160B2 (ja) 2014-03-26
JP2011230525A (ja) 2011-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2555B1 (ko) 컵 홀더
KR101081198B1 (ko) 컵 홀더
CN107128226B (zh) 可折叠隐藏的盘桌
KR101144383B1 (ko) 차량의 컵 홀더
JP3647540B2 (ja) カップホルダ装置
US20060038101A1 (en) Cup holder assembly with sliding partial ring
KR100468128B1 (ko) 용기 홀더
JP4015501B2 (ja) カップホルダ装置
JP5890185B2 (ja) 車両用コンソールボックス
JP2010000823A (ja) カップホルダー
JP6445452B2 (ja) 容器ホルダ
JP5013166B2 (ja) 容器ホルダ装置
JP5775433B2 (ja) 車両用テーブル装置
JP5671886B2 (ja) 車両用容器ホルダ
KR100600131B1 (ko) 자동차용 컵홀더
JP2009143507A (ja) 車両用収納装置
JP5809821B2 (ja) 車両用飲料容器ホルダ
JP2003267116A (ja) 車両用カップホルダ
JP6077974B2 (ja) カップホルダ
JP2019119241A (ja) 車両用収容装置
KR100756952B1 (ko) 차량용 컵 홀더
KR102335393B1 (ko) 차량용 가변식 히든 컵홀더
KR102370494B1 (ko) 차량용 암레스트의 컵홀더 장치
KR101439443B1 (ko) 차량용 컵 홀더
JP2007326509A (ja) カップホルダ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