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06907A - 광경화형도전성 조성물 및 그것을 사용하여 전극형성한플라즈마디스플레이 패널 - Google Patents

광경화형도전성 조성물 및 그것을 사용하여 전극형성한플라즈마디스플레이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6907A
KR20030006907A KR1020017009531A KR20017009531A KR20030006907A KR 20030006907 A KR20030006907 A KR 20030006907A KR 1020017009531 A KR1020017009531 A KR 1020017009531A KR 20017009531 A KR20017009531 A KR 20017009531A KR 20030006907 A KR20030006907 A KR 200300069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composition
carboxyl group
group
double bo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9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14604B1 (ko
Inventor
후쿠시마카즈노부
토카이히로유키
타카기고우이치
후루하시타다시
Original Assignee
타이요 잉크 메뉴펙츄어링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요 잉크 메뉴펙츄어링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타이요 잉크 메뉴펙츄어링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30006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69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4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46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90/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aliphatic unsaturated end or side groups
    • C08F290/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aliphatic unsaturated end or side group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unsaturated end groups
    • C08F290/06Polymers provided for in subclass C08G
    • C08F290/061Polyesters; Polycarbonat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27Non-macromolecular photopolymerisable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e.g. ethyle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44Polymerisation in the presence of compounding ingredients, e.g. plasticisers, dyestuffs, fill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46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C08F2/48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by ultraviolet or visible light
    • C08F2/50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by ultraviolet or visible light with sensitis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90/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aliphatic unsaturated end or side groups
    • C08F290/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aliphatic unsaturated end or side group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unsaturated end groups
    • C08F290/06Polymers provided for in subclass C08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90/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aliphatic unsaturated end or side groups
    • C08F290/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aliphatic unsaturated end or side group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unsaturated end groups
    • C08F290/06Polymers provided for in subclass C08G
    • C08F290/062Poly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8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05Production of optical devices or components in so far as characterised by the lithographic processes or materials used therefor
    • G03F7/0007Filters, e.g. additive colour filters; Components for display devi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047Photosensitive materials characterised by additives for obtaining a metallic or ceramic pattern, e.g. by fi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02Manufacture of electrodes or electrode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4Methyl esters, e.g. m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2/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carboxyl radical and containing at least one other carboxyl radical in the molecule;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 C08F222/10Esters
    • C08F222/1006Esters of polyhydric alcohols or polyhydric phenols
    • C08F222/105Esters of polyhydric alcohols or polyhydric phenols of pentaalcoho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27Non-macromolecular photopolymerisable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e.g. ethylenic compounds
    • G03F7/032Non-macromolecular photopolymerisable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e.g. ethylenic compounds with binders
    • G03F7/033Non-macromolecular photopolymerisable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e.g. ethylenic compounds with binders the binders being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vinyl polym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38Macromolecular compounds which are rendered insoluble or differentially wettable
    • G03F7/0388Macromolecular compounds which are rendered insoluble or differentially wettable with ethylenic or acetylenic bands in the side chains of the photopolym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17/00Gas-filled discharge tubes
    • H01J2217/38Cold-cathode tubes
    • H01J2217/49Display panels, e.g. not making use of alternating current
    • H01J2217/492Details
    • H01J2217/49207Electrod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Gas-Filled Discharge Tubes (AREA)
  • Materials For Photolithograph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Conductive Materials (AREA)
  • Macromonomer-Based Addition Polym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 경화형도전성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기본적인 형태는, (A)상대적인 표면적이 20㎡/g보다 큰 흑색도전성미립자, (B)유기바인더, (C)광중합성모노머 및 (D)광중합개시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또한 제2 실시예에서는 상기 각 성분과 더불어, (E)무기미립자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광 경화형도전성 조성물은 전면 유리기판 (1)의 투명전극 (3a, 3b)에 적용되어지며, 소정의 패턴에 의해 노광되고, 현상되고 소성되어진다. 그로 인해, 버스 전극 (4a, 4b)의 하층 (흑색층) 전극 회로를 형성하는 것이다. 그 조성물은 PDP의 전면 기판에 전극을 형성하는데 있어서 충분한 도전성과 동시에 흑색도를 만족시키는 하층 (흑색층) 전극 회로를 형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광경화형도전성 조성물 및 그것을 사용하여 전극형성한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PHOTO-CURABLE ELECTRICALLY CONDUCTIVE COMPOSITION AND PLASMA DISPLAY PANEL HAVING ELECTRODE FORMED BY USE OF THE SAME}
PDP는 플라즈마방전에 의한 발광을 이용하여 영상이나 정보의 표시를 하는 평면디스플레이이며, 패널구조, 구동방법에 의해서 DC형과 AC형으로 분류된다. PDP에 의한 컬러표시의 원리는, 리브(격벽)에 의해서 이간된 전면유리기판과 배면유리기판에 형성된 대향하는 양전극사이의 셀공간(방전공간)내에서 플라즈마방전을 일으키고, 각 셀공간내에 봉입되어 있는 He, Xe 등의 가스의 방전에 의해 발생하는 자외선으로 배면유리 기판내면에 형성된 형광체를 여기하고, 3원색의 가시광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각 셀공간은, DC형 PDP에서는 격자형상의 리브에 의해 구획되며, 한편 AC형 PDP에서는 기판면에 평행되게 배열 설치된 리브에 의해 구획되지만 어느것에 있어서나 셀공간의 구획은, 리브에 의해 이루어져 있다.
이하,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간단히 설명한다.
도1은, 풀 컬러표시의 3전극구조의 면방전방식 PDP의 구조예를 부분적으로 나타낸다. 전면유리기판1의 하면에는, 방전을 위한 투명전극(3a) 또는 (3b)와 이 투명전극의 라인저항을 내리기 위한 버스전극(4a) 또는 (4b)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표시전극2a, 2b가 소정의 페이스트로 다수배열 설치되어 있다. 이것들의 표시전극2a,2b의 위에는, 전하를 축적하기 위한 투명유전체층 (저융점유리)이 인쇄, 소성에 의해서 형성되며, 그 위에 보호층(Mg0)6이 증착되어 있다.
보호층(6)은, 표시전극의 보호, 방전상태의 유지등의 역할을 하고 있다.
한편, 배면유리기판11의 위에는, 방전공간을 구획하는 스트라이크형상의 리브(격벽)12와 각 방전공간내에 배치된 어드레스전극(데이터전극)13이 소정의 핏치로 다수열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각 방전공간의 내면에는, 빨강(14a),파랑(1(4b)),초록(14c)의 3색의 형광체막이 규칙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풀 컬러 표시에 있어서는, 상기한 바와같이 빨강, 파랑, 초록의 3원색의 형광체막14a, 1(4b), 14c에서 하나의 화소가 구성된다.
상기 PDP에서는, 한 쌍의 표시전극2a와 2b의 사이에 교류의 펄스전압을 인가하고,동일기판상의 전극사이에서 방전시키기 때문에 면방전방식」이라고 부르고 있다. 또한 방전에 의해 발생한 자외선은 배면기판(11)의 형광체막(14a,1(4b),14c)을 여기하여 발생한 가시광을 전면기판1의 투명전극(3a), 3b를 투과시켜 보는 구조로 되어있다(반사형).
상기 버스전극(4a,4b)의 형성은, 종래에는 투명전극상에 Cr-Cu-Cr의 3층을증착이나 스퍼터링에 의해 막을 형성한 후, 포토리소그래피법으로 패터닝되어 왔다.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공정수가 많고 고비용이 되기 때문에, 최근에는, 은페이스트등의 도전성 페이스트를 스크린 인쇄한 후, 소성하는 방법, 혹은 150μ m이하의 선폭으로 하기 위해서는, 감광성 도전성 페이스트를 도포하여, 패턴마스크를 통해서 노광한 후, 현상하고 소성하는 방법이 행하여지고 있다.
이렇게 하여 버스전극(4a,4b)가 형성되는 PDP의 전면기판에 있어서는, 근래, 화면의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버스전극을 형성할 때에, 표시측이 되는 하층(투명전극(3a,3b)과 접촉하는 층)에 도전성이 뒤떨어지는 흑색도전성 페이스트를 인쇄하고, 그 위에 도전성이 좋은 은페이스트의 백색층을 인쇄하여, 흑백 2층구조의 전극을 형성하는 것이 행하여지고 있다. 이 경우, 흑색도전성 페이스트로서는, 은분말과 내열성 흑색안료를 배합한 수지조성물이 쓰이고 있다. 그 때문에, 이러한 흑색도전성 페이스트로서는, 도전성과 검기(이후,흑색도라 함)의 밸런스를 맞추면서 조성물에 대한 은분말과 흑색안료의 배합량을 조정해야 하고, 도전성과 검기를 동시에 만족할 수 있는 전극을 얻을 수 없다고 하는 것이 실정이였다. 즉, 도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조성물에 은가루를 대부분 배합하면, 은 색조 때문에 선명한 흑색의 도전성피막을 얻을 수 없다. 한편, 선명한 흑색을 얻기 위해서 흑색안료를 많이 배합하면, 소망의 도전성의 피막을 얻을 수 없다.
그래서 본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이 안고있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행해진 것으로, 그 주된 목적은, 도전성 조성물이 건조, 노광, 현상, 소성의 각 공정으로부터 기판에 대한 우수한 밀착성, 해상성, 소성성을 손상하지 않고, 소성후에있어서 충분한 도전성과 흑색도를 동시에 만족하는 도전성피막을 형성할 수 있는 광 경화형의 도전성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러한 광 경화형의 도전성 조성물로부터 형성한 고정세(高精細)의 전극회로, 특히 전면기판에 형성되는 백흑 2층의 버스전극에 있어서 충분한 층간도전성(투명전극과 버스전극 백색층과의 층간도통) 과 흑색도를 동시에 만족할 수 있는 하층(흑색층)전극회로를 형성한 전면기판을 갖추는 PDP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이하, PDP라 약칭한다)의 전면기판에 세밀한 전극회로를 형성하는 데 유용한 알칼리현상형 또한 광경화형의 도전성 조성물 및 그것을 사용하여 전극, 특히 버스전극의 하층(흑색층)을 형성한 전면기판을 갖추는 PDP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면방전방식의 AC형 PDP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분해 사시도이다.
도 2a∼도 2e는, 본발명의 광 경화형도전성 조성물을 사용하여 PDP의 버스전극을 형성하는 방법의 일례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단면도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발명에 의하면 광 경화형도전성 조성물이 제공되며, 그 기본적인 제1 태양은,(A)비표면적이 20m2/g보다 큰 흑색도전성미립자,(B)유기바인더,(C)광중합성모노머 및 (D)광중합개시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또한 제2 태양은, 상기 각 성분과 더불어,(E)무기미립자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흑색도전성미립자(A)로서는, 루테늄산화물, 루테늄화합물, 동-크롬계 흑색복합산화물 및 동-철계 흑색복합산화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미립자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러한 본발명의 광 경화형도전성 조성물은, 페이스트형태라도 좋으며, 또한 미리 필름형상으로 제막한 드라이 필름 형태이더라도 좋다.
더욱이 본발명에 의하면, 이러한 광 경화형도전성 조성물의 소성물로부터 전극회로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전면기판을 갖추는 PDP가 제공된다.
이들의 화합물 중에서도 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다.
(식중,R1, R2및 R5는 각각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며, R3는 탄소수1∼12의 지방족탄화수소를 나타내며, R4
상기(3)의 카르복실기 함유 감광성 수지는,(c)분자중에 글리시딜기와 불포화2중결합을 갖는 화합물과 상기(b)불포화2중결합을 갖는 화합물의 공중합체의 에폭시기에, 충분한 광 경화심도가 얻어질 정도로까지 광 경화성을 향상시키는 비율로, 상기(a)불포화 카르본산의 카르복실기를 반응시키고, 이 불포화 카르본산의 불포화2중결합을 측쇄에 도입하는 동시에, 상기 부가반응으로 생성한 2급의 수산기에 (d)다염기산무수물을 에스테르화반응하여, 측쇄에 카르복실기를 도입한 수지이다.
상기 분자중에 글리시딜기와 불포화2중결합을 함유하는 화합물(c)의 구체예로서는, 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 α-메틸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나, 상기 식(1)∼(4)으로 나타내는 화합물등을 들수있다. 이들의 화합물은, 단독 또는 2종이상을 조합시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다염기산무수물(d)의 구체예로서는, 무수호박산, 무수 말레인산, 무수아디핀산, 무수프탈산, 테트라히드로무수프탈산, 헥사히드로무수프탈산, 메틸헥사히드로무수프탈산, 무수이타콘산, 메틸 및 메틸렌테트라히드로무수프탈산, 무수트리멜리트산, 무수필로멜리트산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다염기산무수물은, 단독 또는 2종이상을 조합시켜 사용할 수가 있디.
상기(4)의 카르복실기 함유감광성수지는,(e)불포화2중결합을 갖는 산무수물과 상기 (b)불포화2중결합을 갖는 화합물의 공중합체의 산무수물기의 일부에, 충분한 광 경화심도가 얻어질 정도로까지 광 경화성을 향상시키는비율로, (f)수산기와 불포화2중결합을 갖는 화합물의 수산기를 반응하여 하프 에스테르로 하여, 이 화합물(f)의 불포화2중결합을 측쇄에 도입한 수지이다.
상기 불포화2중결합을 갖는 산무수물(e)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무수말레인산, 무수이타콘산, 더욱이 무수필로멜리트산과 2-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등의 히드록시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류등의 수산기를 갖는 불포화화합물과의 부분반응생성물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산무수물은, 단독 또는 2종이상을 조합시켜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산무수물의 중에서도, 폴리머를 안정시켜 합성할 수 있는 무수 말레인산이 바람직하다.
수산기와 불포화2중결합을 갖는 화합물(f)의 구체예로서는, 2-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2-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등의 히드록시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류;(메트)아크릴레이트에 카플로락톤을 반응시킨 모노머,(메트)아크릴레이트에 폴리카플로락톤올리고머를 반응시킨 매크로 모노머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화합물은, 단독 또는 2종이상을 조합시켜 사용할 수가 있다.
상기 했던것 같은 카르복실기함유감광성수지(2)∼(4)는, 광 경화성, 소성성이 뛰어남과 동시에, 후술하는 안정제의 효과를 손상하지 않고, 조성물의 보존안정성에 기여한다.
상기(5)의 카르복실기함유감광성수지는,(g)에폭시화합물의 에폭시기에, 충분한 광 경화심도가 얻어질 정도로까지 광 경화성을 향상시키는 비율로,(h)불포화 모노 카르본산의 카르복실기를 반응시켜, 예를 들면 에폭시 아크릴레이트를 생성시킴과 동시에, 상기 부가반응으로 생성한 2급의 수산기에 상기 (d)다염기산무수물을 에스테르화반응시켜, 측쇄에 카르복실기를 도입한 수지이다. 이러한 카르복실기함유감광성수지는, 광 경화성이 뛰어남과 동시에, 백본 폴리머의 에폭시아크릴레이트는 소수(疏水)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이 수지를 함유하는 광 경화형도전성 조성물을 사용하는 경우, 에폭시 아크릴레이트의 소수성이 유리하게 이용되며, 광 경화하기 어려운 패턴심부의 내현상성이 향상한다. 그 결과, 현상및 노광공정에서의 조건설정을 여유있게 할 수 있고, 양산시의 가공수율을 향상할 수 있음과 동시에, 소성후의 패턴 에지의 컬발생을 대폭 저감할 수 있고, 고아스펙트비, 고세밀한 전극회로를 형성할 수 있다.
또, 소성시의 열에 의해 해중합(depolymerization)하기 쉬운 아크릴계공중합수지를 상기 카르복실기 함유감광성 수지와 혼합하고, 그것에 의하여 도전성 조성물의 소결온도를 낮추고, 또한, 사용하는 모든수지중의 2중결합농도를 조정할 수도 있다.
상기 에폭시화합물(g)로서는, 이른바 에폭시수지를 사용할 수 있지만, 대표적인 예로서는, 비스페놀 A형, 물첨가 비스페놀A형, 비스페놀F형, 비스페놀S형, 페놀 노보락형, 크레졸노보락형,비스페놀A의 노보락형,비페놀형(biphenol), (P13 위에서 4라인)비크실레놀형,N-글리시딜형등의 공지관용의 에폭시화합물이나, 시판품으로서 바람직한 것으로서는 다이셀사제 EHP-3150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에폭시화합물은, 단독 또는 2종이상을 조합시켜 사용할 수 있다.
불포화 모노 카르본산(h)의 구체예로서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크로톤산, 말레인산,푸마르산,이타콘산,계피산,α-시아노계피산,β-스티릴아크릴산,β-푸르푸릴 아크릴산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불포화 모노 카르본산은, 단독 또는 2종이상을 조합시켜 사용할 수가 있다.
상기 에폭시화합물(g)과 불포화 모노 카르본산(h)의 반응은, 에폭시기의 당량수/카르복실기의 당량수가 0.8∼1.2, 바람직하게는 0.9∼1.05이 되는 비율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폭시기의 당량수/카르복실기의 당량수가 0.8미만에서는, 불포화 모노 카르본산이 남기 때문에 악취의 문제가 있다. 한편, 상기 당량수가 1.2를 넘은 경우, 에폭시기가 대부분 남기 때문에, 다염기산무수물을 반응시키는 단계에서 젤화하기 쉽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생성한 2급의 수산기에 대한 다염기산무수물의 반응비율은,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수지의 산가가 바람직하게는 30∼160mgKOH/g의 범위내로 되도록 조정한다. 일반적으로는, 에폭시화합물과 불포화 모노 카르본산의 반응으로 생성하는 수산기1당량에 대해, 다염기산무수물의 당량이 0.3이상, 바람직하게는 0.5이상이다.
상기 (6)의 카르복실기함유수지는, 상기 (b)불포화2중결합을 가지며, 수산기나 산성기를 가지지 않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치환 또는 비치환 스티렌등의 화합물과 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를 주쇄로 하는 공중합체의 글리시딜기로,(i)1분자중에 하나의 카르복실기를 가지며, 에틸렌성불포화결합을 가지지 않는 유기산을 반응시키고, 생성한 2급의 수산기로 상기 (d)다염기산무수물을 부가반응하여 얻어지는 수지이다. 이 수지에 있어서의 카르복실기의 도입은, 상기 공중합체의 팬던트의 글리시딜기에 유기산을 반응시킴으로써 생성하며, 또한 주쇄근방에 위치하는 2급의 수산기에, 다염기산무수물을 부가반응하여 행하여지는 것이기 때문에, 카르복실기는 측쇄의 주쇄근방부위에 결합해 있으며, 주쇄와 측쇄의입체적장해에 의해 염기성의 도전성입자와의 접촉이 제어된다. 그 결과, 도전성입자와 같이 이러한 알칼리가용성의 카르복실기함유수지를 함유하는 조성물은, 우수한 보존안정성을 나타내며, 보존중에 점도의 변화나 겔화를 거의 발생시키는 일은 없다.
상기 1분자중에 하나의 카르복실기를 가지며, 에틸렌성불포화2중결합을 가지지 않는 유기산(i)으로서는, 초산, 프로피온산, n-부티르산(butyric acid), 이소-부티르산, n-디메틸부티르산, 에틸부티르산, 헥산,2-메틸펜탄산, 2-에틸 펜탄산, 헵탄산,2-메틸헵탄산, 라우르산, 스테아린산, n-헵타데칸산등, 탄소수2∼17의 알킬 카르본산, 혹은 치환 또는 비치환 안식향산,(R),(S) -2-페닐프로피온산,(R)-페닐이소프로피온산, 2-페닐부티르산, 4-페닐부티르산등의 방향족기 함유 알킬 카르본산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유기산은, 단독 또는 2종이상을 조합시켜 사용할 수 있다.
상기(7)의 카르복실기함유수지는, (j)수산기함유 폴리머에 산성도가 비교적 약한 상기 (d)다염기산무수물을 반응하여 카르복실기를 도입한 수지이다. 이러한 카르복실기함유수지는, 친수성기(카르복실기 및 수산기)를 갖기 때문에, 기판에 대한 양호한 습식성을 나타내며, 또한 고온에 있어서 용이하게 열분해한다. 또한, 이 수지를 함유하는 도전성 조성물은, 건조, 노광, 현상, 소성의 각 공정에서 기판에 대한 안정된 밀착성이나 양호한 보존안정성을 나타내며,더구나 소성성도 우수하다.
한편, 상기 (8)의 카르복실기함유감광성수지는, 상기 카르복실기함유수지(7)의 카르복실기에, 충분한 광 경화심도가 얻어질 정도로까지 광 경화성을 향상시키는 비율로, 상기(c)글리시딜기와 불포화2중결합을 갖는 화합물의 에폭시기를 반응시키고, 이 화합물(c)의 불포화2중결합을 측쇄에 도입한 수지이다. 이러한 카르복실기함유감광성수지는, 광 경화성이 뛰어나며, 다량의 도전성분말과 같이 배합하여 도전성 조성물을 구성하더라도, 충분한 광 경화심도를 나타낸다. 또한, 소성성이 뛰어남과 동시에, 후술하는 안정제의 효과를 손상하는 일은 없고, 조성물의 보존안정성 향상에 기여한다.
상기 수산기함유 폴리머(j)로서는, 올레핀계수산기함유 폴리머, 아크릴계 폴리올,고무계 폴리올, 폴리비닐아세탈, 스티렌 알릴 알콜계수지, 셀룰로오스 및 그 유도체등을 사용할 수 있다.
올레핀계수산기함유 폴리머로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타디엔등을 주쇄로 하며, 주쇄 또는 측쇄에 수산기를 갖는 수지를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알릴알콜과 에틸렌 또는 부타디엔의 공중합물등을 사용할 수 있다.
아크릴계폴리올의 구체예로서는,미쓰비시레이온(주)제품의
LR2507,LR2516,LR257,LR989,LR2536, LR532, LR598, LR566, LR286, LR511, LR2528등을 들 수 있다. 고무계 폴리올의 구체예 로서는, 미쓰이석유화학(주)제의 유니스톨P901,쿠라레(주)제의 쿠라프렌LIR-506, TL-20, TH-1 TH-21,TH-31, 쿠라폴P-510,쿠라폴P-15610,쿠라폴P-5010,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스티렌 알릴알콜수지의 구체예 로서는, 몬산트 (주)제의 RJ100, RJ101,아코케미칼(주)제의 SAA100, SAA101등을 들 수 있다.
폴리비닐아세탈로서는, 폴리비닐부티랄,폴리비닐아세탈, 폴리비닐포르말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 구체예 로서는, 세키스이화학공업(주)제의 에스렉크 BMS, 에스렉크 BLS, 에스렉크 BHS, 에스렉크 BLSH, 에스렉크 BMSH 등을 들 수 있다.
셀룰로오스및 그 유도체로서는, 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의 수산기의 일부를 에스테르화한 아세틸 셀룰로오스, 니트로셀룰로오스를 비롯하여, 프로피온산, 부티르산, 인산, 황산, 프탈산등의 산의 셀룰로오스 에스테르를 들수있다. 또한 산을 혼합한 혼합 에스테르도 사용할 수 있다. 흔히, 셀룰로오스의 수산기의 일부를 에테르화한 메틸셀룰로오스, 에틸 셀룰로오스, 벤질 셀룰로오스, 카복시 메틸셀룰로오스등의 셀룰로오스 에테르도 사용할 수 있다.
사용하는 수산기함유 폴리머(j)로서는, 상기 이외의 어떠한 폴리머도 사용가능하지만, 수산기값이 50∼250 (KOH)mg/g의 것이 바람직하다.
또, 신에츠화학공업(주)제의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사크시네이트,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헥사히드로프탈레이트,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탈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헥사히드록시 프탈레이트등은,그대로 카르복실기함유수지(7)로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했던것 같은 카르복실기함유감광성수지 및 카르복실기함유수지는,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하여도 좋지만, 어느 경우라도 이들은 합계로 조성물 전량의 10∼80중량%의 비율로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성물에 대한 이들의 폴리머의 배합량이 상기 범위보다도 너무 적을 경우, 형성하는 피막중의 상기 수지의 분포가불균일하게 되기 쉽고, 충분한 광 경화성및 광 경화심도가 얻기 어렵고, 선택적노광, 현상에 의한 패터닝이 곤란해진다. 한편, 상기 범위보다도 너무 많으면, 소성시의 패턴 치우침이나 선폭 수축을 일으키기 쉽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상기 카르복실기함유감광성수지및 카르복실기함유수지로서는, 각각 중량평균분자량1,000∼100,000,바람직하게는 5,000∼50,000,및 산가20∼150 mgKOH/g, 바람직하게는 40∼120mgKOH/g을 가지며,또한,카르복실기함유감광성수지의 경우, 그 2중결합당량이 350∼2,000,바람직하게는 400∼1,500의 것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수지의 분자량이 1,000보다 낮은 경우, 현상시의 도전성피막의 밀착성에 악영향을 끼치는 한편, 100,000보다도 높은 경우, 현상불량을 일으키기 쉽기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산가가 20 mgKOH/g보다 낮은 경우, 알칼리수용액에 대한 용해성이 불충분하고 현상불량을 일으키기 쉽고, 한편, 150mgKOH/g보다 높은 경우, 현상시에 도전성피막의 밀착성의 열화나 광 경화부(노광부)의 용해가 생기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흔히, 카르복실기함유감광성수지의 경우, 감광성수지의 2중결합당량이 350보다도 작으면, 소성시에 잔여물이 남기 쉬우며, 한편, 2,000보다도 크면, 현상시의 작업여유도가 좁고, 또한 광 경화시에 고노광량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발명에 있어서 광중합성 모노머(C)는, 조성물의 광 경화성의 촉진 및 현상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용한다. 광중합성 모노머(C)로서는, 예를 들면,2-히드록시 에틸 아크릴레이트,2-히드록시 프로필 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폴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폴리우레탄 디아크릴레이트,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트리메틸올프로판에틸렌옥사이드변성트리아크릴레이트,트리메틸올프로판프로필렌옥사이드변성트리아크릴레이트,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아크릴레이트,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랄레이트 및 상기 아크릴레이트에 해당하는 각 메타크릴레이트류; 프탈산, 아디핀산, 말레인산,이타콘산, 호박산, 트리멜리트산,테레프탈산등의 다염기산과 히드록시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와의 모노-, 디, 트리 또는 그 이상의 폴리에스테르등을 들 수 있지만, 특별히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이들 광중합성 모노머는, 단독 또는 2종이상을 조합시켜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의 광중합성 모노머의 중에서도,1분자중 2개이상의 아크릴로일기 또는 메타크릴로일기를 갖는 다관능 모노머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광중합성 모노머(C)의 조성물중의 배합량은, 상기 유기 바인더(카르복실기 함유감광성수지 및 /또는 카르복실기함유수지)(B)100중량부당20∼100중량부가 적당하다. 광중합성 모노머(C)의 배합량이 상기 범위보다도 적은 경우, 조성물이 충분한 광 경화성이 얻기 어려워지며, 한편, 상기 범위를 넘어 다량이 되면, 피막의 심부와 비교하여 표면부의 광 경화가 빨라지기 때문에 경화얼룩을 일으키기쉽다.
상기 광중합개시제(D)의 구체예 로서는,벤조인, 벤조인메틸에테르, 벤조인에틸에테르, 벤조인이소프로필에테르의 벤조인과 벤조인알킬에테르류;아세트페논,2,2-디메톡시-2-페닐아세트페논,2,2-디에톡시-2-페닐아세트페논,1,1-디클로로아세트페논등의 아세트페논류; 2-메틸1-[4- (메틸티오)페닐] -2-모르포리노프로판-1-온,2-벤질-2-디메틸아미노-1- (4-모르포리노페닐)-부타논-1등의 아미노아세트페논류;2-메틸안트라키논,2-에틸 안트라 키논,2-t-부틸안트라키논,1-클로로안트라키논등의 안트라 키논류;2,4-디메틸티옥산톤,2,4-티에틸티옥산톤,2-클로로티옥산톤,2,4-디이소프로필티옥산톤등의 티옥산톤류;아세트페논디메틸케탈,벤질티메틸케탈등의 케탈류;벤조페논등의 벤조페논류; 또는 키산톤류;(2,6-티메톡시벤조일)-2,4,4-펜틸호스핀옥사이드,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페닐포스핀옥사이드,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 에틸-2,4,6-트리메틸벤조일페닐포스피네이트등의 포스핀옥사이드류; 각종 퍼 옥사이드류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공지관용의 광중합개시제는, 단독 또는 2종이상을 조합시켜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의 광중합개시제(D)의 조성물중의 배합량은, 상기 유기바인더(카르복실기함유감광성수지및/또는 카르복실기함유수지) (B)100중량부당 1∼30중량부가 적당하며, 바람직하게는, 5∼20중량부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광중합개시제(D)는, N,N-디메틸아미노 안식향산에틸 에스테르, N,N-디메틸아미노안식향산 이소아밀 에스테르, 펜틸-4-디메틸아미노벤조에이트,트리에틸 아민,트리에탄올아민등의 3급아민류같은 광증가감제의 1종 혹은 2종이상과 조합시켜 사용할 수 있다.
더욱이,보다 깊은 광 경화심도가 요구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서, 가시영역에서 라디칼중합을 시작하는 치바스페샬티 케미칼스사제 이루가큐어784등의 티타노센계 광중합개시제, 로이코염료등을 경화조제로서 조합시켜 사용할 수 있다.
본발명의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서 연화점 400∼600℃의 유리분말, 도전성분말, 내열성 흑색안료, 실리카분말등의 무기미립자(E)를 배합할 수가 있다.
유리분말은, 소성후의 도체회로의 밀착성향상을 위해,도전성 미립자(A)100중량부당 200중량부이하, 바람직하게는 150중량부이하의 비율로 첨가할 수 있다. 유리분말로서는, 유리전이점(Tg)300∼500℃, 유리연화점(Ts)400∼600℃의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해상도 면에서는, 평균입경20μm이하, 바람직하게는 5μm이하의 유리분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저융점유리분말을 광경화형도전성 조성물에 첨가함으로써, 노광·현상후의 피막은 600℃ 이하로 용이하게 소성가능하며, 특히 PDP의 전극형성에 유용하다. 단지, 본발명의 조성물로서는 연소성이 양호한 유기 바인더가 쓰이고, 유리분말이 용융되기 전에 탈바인더가 완료하도록 조성되고 있지만, 유리분말의 연화점이 400℃보다 낮으면 , 이보다도 낮은 온도에서 용융이 생겨 유기 바인더를 감싸기쉽고,잔존하는 유기 바인더가 분해함으로써 조성물중에 기포가 생기기 쉽기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저융점유리분말로서는, 산화납, 산화 비스무트, 산화아연, 또는 산화 리튬을 주성분으로 하는 유리분말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산화납을 주성분으로 하는 유리분말의 바람직한 예로서는, 산화물기준의 중량%로 PbO가 48∼82%, B2O3가 0.5∼22%, SiO2가 3∼32%, A12O3가 0∼12%, BaO가 0∼10%, ZnO가 0∼15%, TiO2가 O∼2. 5%, Bi2O3가 0∼25%의 조성을 가지며, 연화점이 420∼590℃인 비결정성프릿트를 들 수 있다.
산화 아연을 주성분으로 하는 유리분말의 바람직한 예로서는, 산화물기준의 중량%로 Bi2O3가 35∼88%, B2O3가 5∼30%,SiO2가 0∼20%, A12O3가 0∼5%, BaO가 1∼25%, ZnO가 1∼20%의 조성을 가지며, 연화점이 420∼590℃인 비결정성프릿트를 들 수 있다.
산화아연을 주성분으로 하는 유리분말의 바람직한 예로서는, 산화물기준의 중량%로 ZnO가 25∼60%, K2O가 2∼15%, B2O3가 25∼45%, SiO2가 1∼7%, A12O3가 0∼l0%, BaO가 0∼20%, Mg0가 0∼10%의 조성을 가지며, 연화점이 420∼590℃ 인 비결정성프릿트를 들 수 있다.
산화 아연을 주성분으로 하는 유리분말의 바람직한 예로서는, 산화물기준의 중량%로 Li2O 1∼13%, Bi2O3O∼30%, B2O31∼50%, SiO21∼50%, A12O31∼40%, BaO 1∼20%, ZnO 1∼25%의 조성을 가지며, 연화점이 420∼590℃인 비결정성프릿트를 들 수 있다.
도전성분말로서는, 비저항치가 1× 103Ω·cm 이하의 도전성분말이라면 폭넓게 사용할 수 있으며, 은(Ag),금(Au), 니켈(Ni), 동(Cu),알루미늄(Al),주석(Sn),납(Pb),아연(Zn),철(Fe),백금(Pt),이리듐(Ir),오스뮴(Os)라듐(Pd),로듐(Rh),루테늄(Ru),텅스텐(W), 몰리브덴(Mo)등의 단체와 그 합금외에,산화주석(SnO2),산화 인듐(In2O3), ITO (IndiumTinOxide)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도전성분말은, 단독 또는 두 가지이상의 혼합가루로서 도전성미립자(A)와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도전성분말의 형상은 구(球)형상,플레이크형상, 덴드라이트형상등 여러가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지만, 조성물의 광특성, 조성물중에서의 분산성을 고려하면 구형상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평균입경으로서는, 해상도의 점에서 20μm 이하의 것, 바람직하게는 5μm 이하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전성금속가루의 산화방지, 조성물내에서의 분산성향상, 현상성의 안정화를 위해, 특히 Ag, Ni, A1에 관해서는 지방산에 의한 처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방산으로서는, 올레인산,리놀산, 리놀렌산, 스테아린산등을 들수있다.
도전성분말의 조성물중의 배합량은, 상기 유기 바인더(B)100중량부당 100중량부 이하로 되는 비율이 적당하다. 100중량부를 넘어 다량으로 배합하면, 광의 투과를 손상하여, 조성물이 충분한 광 경화성을 얻기 어렵게 된다. 또한, 흑색을 띠지 않은 도전성분말을 첨가한 경우에는, 충분한 검기를 만족할 수 있는 흑색층전극용의 도전성 조성물을 얻을 수 없게 되기때문이다.
광 경화형도전성 조성물에 다량의 도전성분말이나 저융점유리분말을 배합한 경우, 일반적으로, 얻어지는 조성물의 보존안정성이 나빠져, 또한 겔화나 유동성의 저하에 의해 도포작업성이 나빠지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본발명의 조성물로서는, 조성물의 보존안정성향상을 위해, 도전성분말이나 유리의 성분인 금속 혹은산화물분말과의 착체화 혹은 염형성등의 효과가 있는 화합물을, 안정제로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정제로서는, 무기산, 유기산, 인산화합물(무기인산, 유기인산)등의 산을 들수있다. 이러한 안정제는, 상기의 유리분말이나 도전성분말100중량부당 0.1∼10중량부의 비율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기산으로서는, 초산, 황산, 염산, 붕산등을 들수있다.
유기산으로서는, 개미산, 초산, 아세트초산, 구연산, 이소구연산,아니스산,프로피온산, 부티르산, 이소부티르산, 길초산, 이소길초산,아젤라산,카프론산, 이소카프론산, 에난트산,카프릴산, 페아르곤산, 운데칸산, 라우르산, 트리데칸산,미리스틴산, 팔미트산, 스테아린산, 아라킨산,베헨산, 슈우산,말론산, 에틸 말론산, 호박산, 글루탈산, 아디핀산, 피메린산, 피루빈산, 피페로닐산, 피로멜리트산,스베린산, 아젤라산, 세바신산, 말레인산, 푸마르산, 프탈산,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타르타르산,레블린산, 젖산, 안식향산, 이소프로필 안식향산, 살리실산, 이소카프론산,크로톤산, 이소크로톤산,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티그린산, 에틸 아크릴산, 에틸리덴프로피온산, 디메틸 아크릴산, 시트로넬산, 운데센산,운데칸산, 올레인산, 엘라이드산, 에루크산, 브라시드(brassidic acid)산, 페닐초산, 계피산, 메틸계피산, 나프토산, 아비에트산, 아세틸렌디카르본산, 아트롤락틴산, 이타콘산, 클로튼산,소르빈산, 바닐린산, 팔미트산, 히드록시계피산, 히드록시나프토산,히드록시부티르산, 비페닐디카르본산, 페닐계피산, 페닐초산, 페닐프로피온산,페녹시초산,프로피온산, 헥산, 헵탄산, 베라트르(veratric acid)산, 벤질산,옥살로호박산, 옥살로초산, 옥탄산, 갈산(gallic acid), 만델산, 메사콘산, 메틸말론산, 멜리트산, 라우르산, 리시놀산, 리놀산, 사과산 등을 들 수 있다.
무기인산으로서는, 인산, 아인산, 차아인산, 오르토인산, 이인산, 트리폴리인산, 포스폰산, 등을 들 수 있다.
유기인산으로서는, 인산메틸, 인산에틸, 인산 프로필, 인산부틸, 인산페닐, 인산디메틸, 인산디에틸, 인산디부틸,인산디프로필, 인산디페닐, 인산 이소프로필, 인산디이소프로필,인산 n-부틸, 아인산메틸 , 아인산에틸, 아인산 프로필, 아인산부틸, 아인산페닐, 아인산디메틸, 아인산디에틸, 아인산디부틸, 아인산디프로필, 아인산디페닐, 아인산 이소프로필, 아인산디이소프로필, 아인산 n-부틸-2-에틸 헥실,히드록시에틸리렌디포스폰,아데노신3인산, 아데노신인산, 모노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엑시드포스페이트,모노(2-아크릴로일옥시에틸)엑시드포스페이트,디(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엑시드포스페이트,디(2-아크릴로일옥시에틸)엑시드포스페이트,에틸디에틸포스포노아세테이트,에틸엑시드포스페이트,부틸엑시드포스페이트, 부틸피로포스페이트,부톡시에틸엑시드포스페이트,2-에틸헥실엑시드포스페이트,올레일엑시드포스페이트, 테트라코실엑시드포스페이트,디에틸글리콜엑시드포스페이트,(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엑시드포스페이트 등을 들 수 있다.
그 밖의 산으로서, 벤젠 술폰산, 톨루엔술폰산,나프탈린술폰산, 에탄술폰산,나프톨술폰산,타우린, 메타닐산, 술파닐산,나프틸아민술폰산, 술포안식향산, 술파민산등의 술폰산계의 산도 사용할 수 있다.
이상으로 열거한 바와 같은 안정제는, 단독 또는 2종이상을 조합시켜 사용할 수 있다.
내열성흑색안료로서는, 내열성이 뛰어난 무기안료를 널리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Cr,Co, Ni, Fe, Mn 등의 산화물, 복합산화물이 이들과 단독 또는 2종이상을 조합시켜 사용할 수 있다.
실리카분말로서는, 특히 합성 비정질 실리카 미세분말이 바람직하고, 그 구체예 로서는,일본아에로딜(주)제의 AEROSIL (등록상표)50, 130,200,200V,200CF, 200FAD,300,300CF,380,OX50,TT600, MOX80,MOX170,일본 실리카공업(주)제의 Nipsil(등록상표) AQ, AQ-S, VN3, LP, L300, N-300 A, ER-R, ER, RS-150,ES, NS, NS-T, NS-P, NS-KR, NS-K, NA, KQ, KM,DS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실리카분말은, 단독 또는 2종이상을 조합시켜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의 실리카분말의 중에서도, 일차 입자덩어리가 5∼50nm, 비표면적이 50∼500m2/g의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시라놀기를 갖는 합성 비정질 실리카 미세분말을, 상기한 것과 같은 카르복실기를 갖는 수지와 흑색도전성분말을 조합시켜 함유하는 광 경화형도전성 조성물에 첨가하면, 건조, 노광, 현상, 소성의 각 공정에 있어서 기판에 대하여 안정된 밀착성을 나타냄과 동시에, 버스전극제작의 소성공정에 있어서, 기판과 흑층과의 사이 및 흑색층과 백색층과의 사이의 박리나 컬(curl)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이와같은 작용을 나타내는 이유는 아직 충분히 밝혀지고 있지는 않지만, 소성전에 있어서는, 합성 비정질 실리카표면의 시라놀기의 수소원자와, 기판으로서 사용되는 유리기판이나 수지의 카르복실기의 산소원자와의 수소결합이나, 시라놀기의 전기적으로 음성인 산소원자와 도전성분말의 전기적으로 양성인 금속 사이의 클롱력에 의해, 기판과의 밀착성이 우수한 치밀한 도포막이 형성되며, 소성후에 있어서는, 합성 비정질 실리카 미립자가 유리기판과 도전성입자와의 사이의 빈틈 및 도전성입자사이의 빈틈에 들어가고 그들의 접착강도를 증대시키고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본발명에 있어서는, 조성물을 희석함으로써 페이스트화하고, 용이한 도포공정을 가능케 하며, 이어서 건조시켜 막을 형성하고, 접촉노광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적당량의 유기용제를 배합할 수가 있다. 유기용제의 구체예 로서는, 메틸에틸케톤,시클로헥사논등의 케톤류; 톨루엔,크실렌, 테트라메틸벤젠등의 방향족탄화수소류; 셀로솔브, 메틸셀로소르브, 카르비톨,메틸카르비톨,부틸카르비톨,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디프로필렌리콜모노에틸에테르, 트리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등의 글리콜 에테르류; 초산에틸, 초산부틸, 셀로솔브아세테이트,부틸셀로솔브아세테이트,카르비톨아세테이트,부틸카르비톨아세테이트,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등의 초산 에스테르류;에탄올,프로판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등의 알콜류; 옥탄, 데칸등의 지방족탄화수소; 석유 에테르, 석유 나프타, 물첨가 석유나프타, 솔벤트나프타등의 석유계용제를 들수있다. 이들의 유기용제는, 단독 또는 2종이상을 조합시켜 사용할 수 있다.
본발명의 광 경화형도전성 조성물은, 더욱이 필요에 따라서,실리콘계, 아크릴계등의 소포(消泡)·레벨링제, 피막의 밀착성향상을 위한 실란커플링제 등의 다른 첨가제를 배합할 수도 있다. 또한 또, 필요에 따라서, 도전성금속가루의 산화를 방지하기 위한 공지관용의 산화방지제나, 보존시의 열적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열중합금지제, 소성시에 있어서의 기판과의 결합성분으로서의 금속산화물, 규소산화물, 붕소산화물등의 미립자를 첨가할 수도 있다.
본발명의 광 경화형도전성 조성물은, 미리 필름형상으로 성막되어 있는 경우에는 기판상에 라미네이트하면 되지만,페이스트형상조성물의 경우, 스크린인쇄법, 바코터,블레이드코터등 적당한 도포방법으로 기판, 예를 들면 PDP의 전면기판이 되는 유리기판에 도포하여, 이어서 손가락으로 만져 건조함을 느낄 수 있기 위해서 열풍순환식건조화로,원적외선 건조로등으로 예를들면 약60∼120℃에서 5∼40정도건조시켜 유기용제를 증발시켜, 끈적임이 없는 도포막을 얻는다. 그 후,이 도포막에 대하여 선택적노광, 현상 및 소성을 행하여 소정의 패턴의 전극회로를 형성한다.
노광공정으로서는, 소정의 노광패턴을 갖는 네가티브 마스크를 사용한 접촉노광및 비접촉노광이 가능하지만, 해상도의 면에서는 접촉노광이 바람직하다. 노광광원으로서는, 할로겐 램프, 고압수은등, 레이저광, 메탈 할라이드 램프,백램프, 무전극 램프등이 사용된다. 노광량으로서는 50∼1000mJ/cm2정도가 바람직하다.
현상공정으로서는 스프레이법,침지법등이 쓰인다.
현상액으로서는,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규산나트륨등의 금속 알칼리수용액이나, 모노에탄올 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타놀아민등의 아민수용액, 특히 약1.5중량% 이하의 농도의 희알칼리수용액이 바람직하게 사용되지만, 조성물중의 카르복실기함유수지의 카르복실기가 비누화되어, 미경화부(미노광부)가 제거되면 좋으며, 상기와 같은 현상액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현상후에 불필요한 현상액의 제거를 위해, 수세나 산을 중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성공정에 있어서는, 현상후의 기판을 공기중 또는 질소분위기하에서 약400∼600℃의 가열처리를 하여, 소망의 도체패턴을 형성한다. 또, 이 때의 승온온도는, 15℃/분 이하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버스전극의 형성에 있어서는, 우선, 도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미리 스퍼터링,이온 플레이팅, 화학증착, 전착(電着)등의 종래 공지의 적당한 수단에 의해 ITO,SnO2등에 의해 투명전극(3)이 형성된 앞면유리기판(1)에, 상기 했던것과 같은 흑색 도전성 미립자를 포함하는 광 경화형도전성 조성물을 도포, 건조하여 끈적임이 없는 흑색도전성하층(20)을 형성한다. 이어서, 도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조성물중의 흑색도전성미립자가 Ag, Au, Al, Pt, Pd 등의 상기한 도전성분말로 바꿔 놓은 이외는 상기 광경화형 도전성 조성물과 마찬가지의 조성물을 도포, 건조하여 끈적임이 없는의 백색계도전성상층(21)을 형성한다. 그 후, 도2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층(21)에 소정의 노광패턴을 갖는 포토마스크(22)를 포개어, 노광한다. 이어서, 알칼리수용액에 의해 현상하고 비노광부분을 제거하여, 도2D에 나타내는 바와같은 소정의 전극패턴을 형성한다. 그 후, 소성함으로써,, 도2E에 나타낸 바와 같이, 투명전극(3)의 위에 하층(흑색)전극(20a)과 상층(백색계)전극(21a)으로 이루어지는 버스전극(4)이 형성된다.
또,흑색계도전성 조성물과 백색계도전성 조성물이 미리 필름형상으로 성막된 드라이필름을 사용하는 경우, 전면유리기판상에 열압착하여 순차 라미네이트한 후, 노광, 현상 및 소성의 각 공정을 하면 좋다. 또한, 전면유리기판상에 상기한 광 경화형도전성 조성물을 도포, 건조, 노광, 현상,소성의 각공정을 행하고 하층(흑색)전극을 형성한 후, 백색계도전성 조성물을 도포, 건조, 노광, 현상, 소성의 각 공정을 행하여 상층(백색계)전극을 형성하는 방법을 채용할 수도 있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 및 비교예를 게시하여 본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발명이 하기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은 물론이다. 또, 이하에 있어서「부」및 「%」라고 하는 것은, 특별히 지장이 없는 한 모두 중량기준이다.
[합성예1]
온도계, 교반기, 적하깔때기, 및 환류냉각기를 갖춘 플라스크에, 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 메타 크릴산을 0.76:0.24의 mol비로 준비하고, 용매로서 디프로필렌 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촉매로서 아조비스이소부틸니트릴을 넣어, 질소분위기하, 80℃에서 2∼6시간 교반하여, 수지용액을 얻었다.
이 수지용액을 냉각하여, 중합금지제로서 메틸하이드로키논, 촉매로서 테트라부틸 포스포늄브로미드를 사용하고,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를, 95∼105℃에서 16시간의 조건으로, 상기 수지의 카르복실기1mol에 대해 0.12 mol의 비율의 부가 mol비로 부가반응시켜, 냉각후 취득, 유기 바인더A를 생성했다.
이 수지 A는, 중량평균분자량이 약10,000,산가가 59mgKOH/g, 2중결합당량이 950였다. 또, 얻어진 공중합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의 측정은, (주)시마즈제작소제 펌프 LC-6AD와 쇼와전공(주)제 컬럼 Shodex (등록상표) KF-804, KF-803, KF-802를 3개 연결한 고속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측정했다.
[합성예2]
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 메타크릴산의 조합비를 mol비로 0.87:0.13로 하여,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를 부가반응시키지 않은 것 이외는, 상기 합성예1와 같이 하여 유기 바인더 B를 생성했다.
이 수지 B는, 중량평균분자량이 약10,000,산가가 74mgKOH/g였다.
이렇게하여 얻어진 유기 바인더 A또는 B를 사용하여, 이하에 나타내는 조성비로써 배합하며, 교반기에 의해 교반후, 3개의 롤밀에 의해 연육(練肉)하여 페이스트화를 행하였다.
또, 저융점유리분말로서는,PbO 60%, B2O320%, SiO215%, A12O35%의 조성, 및 열팽창계수α300= 70×10-7/℃, 유리 전이점445℃를 가지며, 분쇄하여 평균입경1.6μm으로 한 유리 프릿트를 사용했다.
상층(백)용도전성페이스트;
유기 바인더 A 100.0부
펜타에리트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50.0부
2-벤질-2-디메틸아미노-1-(4-모르포리노페닐) 부탄-1-온 5.0부
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80.0부
은가루 450.0부
저융점유리분말 22.0부
인산 에스테르 1.0부
하층(흑)용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예1]
유기 바인더 A 100.0부
펜타에리트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50.0부
2-벤질-2-디메틸아미노-1-(4-모르포리노페닐) 부탄-1-온 5.0부
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80.0부
산화루테늄(RuO2,비표면적50.5m2/g) 20.0부
[조성물예 2]
유기바인더 A 100.0부
펜타에리트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50.0부
2-벤질-2-디메틸아미노-1-(4-모르포리노페닐) 부탄-1-온 5.0부
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80.0부
산화루테늄(RuO2,비표면적35.0m2/g) 20.0부
[조성물예3]
유기 바인더 A 100.0부
펜타에리트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50.0부
2-벤질-2-디메틸아미노-1-(4-모르포리노페닐) 부탄-1-온 5.0부
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80.0부
산화루테늄(RuO2,비표면적20.5m2/g) 20.0부
[조성물예4]
유기 바인더 B 100.0부
펜타에리트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50.0부
2-벤질-2-디메틸아미노-1-(4-모르포리노페닐) 부탄-1-온 5.0부
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80.0부
산화루테늄(RuO2,비표면적비표면적50.5m2/g) 20.0부
[조성물예5]
유기 바인더 A 100.0부
펜타에리트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50.0부
2-벤질-2-디메틸아미노-1-(4-모르포리노페닐) 부탄-1-온 5.0부
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80.0부
산화루테늄(RuO2,비표면적50.5m2/g) 20.0부
합성비정질실리카 미세분말(일본 아에로딜(주)제 AEROSIL200;
1차입자의 평균입자지름 12nm BET법에 의한 비표면적 200±25m2/g)10.0부
저융점유리 분말 20.0부
인산 에스테르 1.0부
[조성물예6]
유기 바인더 A 100.0부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50.0부
2-벤질-2-디메틸아미노-1-(4-모르포리노페닐) 부탄-1-온 5.0부
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80.0부
동-철계흑색복합산화물(CuO-Fe2O3-Mn2O3,비표면적28.4m2/g)
차아인산 20.0부
[비교조성물예1]
유기 바인더 A 100.0부
펜타에리트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50.0부
2-벤질-2-디메틸아미노-1-(4-모르포리노페닐) 부탄-1-온 5.0부
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80.0부
산화루테늄(RuO2,비표면적17.0m2/g)
[비교조성물예2]
유기 바인더 A 100.0부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50.0부
2-벤질-2-디메틸아미노-1-(4-모르포리노페닐)부탄-1-온 5.0부
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80.0부
산화 루테늄(RuO2,비표면적3.5m2/g) 20.0부
[비교조성물예3]
유기 바인더 A l00.0부
펜타에리트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50.0부
2-벤질-2-디메틸아미노-1-(4-모르포리노페닐)부탄-1-온 5.0부
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80.0부
은가루 l00.0부
내열성흑색안료 l00.0부
합성 비정질 실리카 미세분말(일본아에로딜(주)제,AEROSIL200;
일차입자의 평균입경12nm,BET법에 의한 비표면적200±25m2/g) 10.0부
저융점유리분말 20.0부
인산 에스테르 1.0부
[비교조성물예4]
유기 바인더 A 100.0부
펜타에리트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50.0부
2-벤질-2-티메틸아미노-1-(4-모르포리노페닐)부탄-1-온 5.0부
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80.0부
동-철계흑색복합산화물(CuO-Fe2O3-Mn2O3,비표면적6.7m2/g)20.0부
차아인산 1.0부
이렇게하여 얻어진 조성물예1 ∼ 6 및 비교조성물예1∼4의 각 페이스트에 대해, 흑색도와 층간도통성을 평가했다. 그 평가방법은 이하와 같다.
흑색도:
유리기판상에, 평가용페이스트(하층용도전성페이스트)를 300 메쉬의 폴리 에스테르 스크린을 사용하여 전면에 도포하고, 이어서, 열풍순환식건조화로로써 90℃에서 20분간 건조하여 지촉 건조성이 양호한 피막을 형성했다. 이어서,이 피막상에,상층(백색)용도전성페이스트를 200메쉬의 폴리에스테르 스크린을 사용하여 전면에 도포하고, 이어서, 열풍순환식건조화로로써 90℃에서 20분간 건조하여 손으로 만져보아 건조성이 양호한 2층의 피막을 형성했다. 그 후, 광원을 메탈 할라이드 램프로 하여, 조성물상의 적산광량이 500mJ/cm2가 되도록 전면노광한 후, 액온30℃의 1wt% Na2CO3수용액을 사용하여 현상을 하고, 수세했다. 마지막으로 공기분위기하에서 5℃/분으로 승온하여, 550℃에서 30분간 소성하여 기판을 제작했다. 이렇게 해서 얻어진 소성피막에 대해 색채색차계(色彩色差計)(미놀타카메라(주)제, CR-221)를 사용하여 L* a* b* 표색계의 값을 JIS-Z-8729에 따라서 측정하고, 명도를 나타내는 지수인 L* 값을 흑색도의 지표로서 평가했다. 이 L* 값이 작을수록 흑색도가 우수하다.
층간도통성:
100μm 폭의 전극을 형성한 유리기판상에 평가용 페이스트(하층용도전성 페이스트)를 300메쉬의 폴리에스테르 스크린을 사용하여 전면에 도포하여, 열풍순환식건조화로를 사용하여, 90℃에서 20분간건조하여 지촉 건조성이 양호한 피막을 형성했다. 이어서, 이 피막상에 상층(백색)용도전성 페이스트를 200 메쉬의 폴리에스테르 스크린을 사용하여 전면에 도포하고, 이어서, 열풍순환식건조화로로써 90℃에서 20분간 건조하여 지촉 건조성이 양호한 2층의 피막을 형성했다. 그 후, 상기100μm 폭의 전극과 직교하도록 라인폭100μm가 되는 네거필름을 사용하고, 광원을 메탈 할라이드 램프로 하여, 조성물상의 적산광량이 500mJ/cm2가 되도록 노광한 후, 액온30℃의 1wt% Na2CO3수용액을 사용하여 현상을 행하고, 수세했다. 마지막으로 공기분위기하에서 5℃/분으로 승온하고,550℃에서 30분간 소성하여 기판을 제작했다. 이렇게 해서 얻어진 흑백 2층전극의 백층과 상기 100μm 폭의 전극과의 사이의 층간저항을 측정하고, 그 저항치를 흑색층의 저항치로서 그 층간도전성을 평가하였다.
이들의 평가결과를 표1에 나타낸다.
특성 조성물예 비교조성물예
1 2 3 4 5 6 1 2 3 4
흑색도(L*값) 5.2. 5.9 6.7 5.3 5.4 5.3 9.6 14.1 12.5 12.4
저항(Ω) 0.38 0.42 0.45 0.35 0.37 0.52 0.57 0.82 1.7 1.3
표1에 나타내는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같이, 본발명의 조성물에 관한 페이스트는, 비교조성물의 페이스트에 비교하여 흑색도 및 층간도통성 모두 뛰어난 도전성피막이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상기 평가용 페이스트에 대해, 현상후의 라인 형상, 소성후의 라인형상, 밀착성을 평가했지만, 어느것이나 문제는 없었다. 이들의 평가방법은, 유리기판상에 형성한 2층피막을, 라인/스페이스= 50/100μm가 되는 네거필름을 사용하여 패턴대로 노광하고, 이어서, 액온이 30℃의 1wt% Na2CO3수용액으로써 현상을 행하고, 수세하고, 그 후, 소성하여 패턴소성 기판을 작성하여 평가하는 것 이외는, 상기 흑색도의 평가방법과 마찬가지이다. 그 평가기준은, 현상후의 라인형상에 관해서는, 현상까지 종료한 패턴을 현미경으로 관찰하고, 라인에 불규칙한 격차가 없고, 꼬여 등이 없는 지 어떤지로 평가하여, 소성후의 라인형상에 관해서는, 소성까지 종료한 패턴을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라인에 불규칙한 격차가 없고, 꼬임등이 없는지 어떤지로 평가했다. 밀착성은, 셀로테이프 필링을 하여, 패턴 박리의 유무를 평가했다.
본발명의 광경화형도전성 조성물에 의하면, 건조, 노광, 현상, 소성의 각 공정에서 기판에 대한 뛰어 난 밀착성, 해상성, 소성성을 손상하는 일없이, 소성후에 있어서 충분한 층간도전성 및 검기를 동시에 만족할 수 있는 PDP의 버스전극의 흑색층을 형성할 수가 있다.

Claims (14)

  1. (A)비표면적이 20m2/g보다 큰 흑색도전성미립자, (B)유기 바인더, (C)광중합성 모노머 및 (D)광중합시작제를 함유하는 광경화형도전성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더욱이(E)무기미립자를 함유하는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흑색도전성미립자(A)가, 루테늄산화물, 루테늄화합물, 동-크롬계흑색복합산화물 및 동-철계흑색복합산화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미립자인 조성물.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흑색도전성 미립자(A)을, 유기 바인더(B)100중량부당 0.1∼100중량부를 함유하는 조성물.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바인더(B)는,카르복실기를 가지며, 중량평균분자량이1,000∼100,000 산가가 20∼150 mgKOH/g의 수지인 조성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가,
    (i)불포화 카르복실산과, 불포화2중결합을 갖는 화합물을 공중합시킴으로써 얻어지는 카르복실기함유수지,
    (ii)불포화2중결합을 갖는 화합물과 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의 글리시딜기에, 1분자중에 하나의 카르복실기를 가지며, 에틸렌성 불포화결합을 가지지 않는 유기산을 반응시켜, 생성한 2급의 수산기에 다염기산무수물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카르복실기함유수지, 및
    (iii)수산기함유 폴리머에 다염기산무수물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카르복실기함유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카르복실기함유수지인 조성물.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바인더(B)가, 카르복실기와 에틸렌성불포화2중결합을 더불어 가지고,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100,000 산가가 20∼150mgKOH/g,이중결합당량이 350∼2,000의 감광성 수지인 조성물.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가,
    (i)불포화 카르복실산과, 불포화2중결합을 갖는 화합물의 공중합체에 에틸렌성불포화기를 팬던트로서 부가시킴으로써 얻어지는 카르복실기함유감광성수지,
    (ii)글리시딜기와 불포화2중결합을 갖는 화합물과, 불포화2중결합을 갖는 화합물의 공중합체에 불포화 카르복실산을 반응시켜 생성한 2급의 수산기에 다염기산무수물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카르복실기함유감광성수지,
    (iii)불포화2중결합을 갖는 산무수물과, 불포화2중결합을 갖는 화합물의 공중합체에, 수산기와 불포화2중결합을 갖는 화합물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카르복실기함유감광성수지,
    (iv)에폭시화합물과 불포화 모노 카르복실산을 반응시켜, 생성한 2급의 수산기에 다염기산무수물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카르복실기함유감광성수지,
    (v)수산기함유 폴리머에 다염기산무수물을 반응하여 얻어지는 카르복실기함유수지에, 글리시딜기와 불포화2중결합을 갖는 화합물을 더욱 반응시켜 얻어지는 카르복실기함유감광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카르복실기함유감광성수지인 조성물.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미립자(E)는, 연화점400∼600℃의 유리분말, 도전성분말, 내열성흑색안료, 및 실리카분말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분말인 조성물.
  10. 제 9 항에 있어서,
    더욱이 안정제로서 무기산, 유기산 및 인산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산을 함유하는 조성물.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광중합성 모노머(C)를, 유기 바인더(B) 100중량부당 20∼100중량부 함유하는 조성물.
  1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광중합개시제(D)를, 유기 바인더(B) 100중량부당 1∼30중량부 함유하는 조성물.
  1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필름형상으로 성형되어 있는 조성물.
  14. 제 1 항 또는 제 2 항의 광경화형 도전성 조성물의 소성물로부터 전극회로가 형성되는 전면기판을 구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20017009531A 1999-01-29 2000-01-21 광경화형 도전성 조성물 및 그것을 사용하여 전극형성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146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2131899A JP3479463B2 (ja) 1999-01-29 1999-01-29 光硬化型導電性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て電極形成した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JP-P-1999-00021318 1999-01-29
PCT/JP2000/000297 WO2000045224A1 (fr) 1999-01-29 2000-01-21 Composition photodurcissable electroconductrice et ecran a plasma presentant des electrodes formees par son utilis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6907A true KR20030006907A (ko) 2003-01-23
KR100614604B1 KR100614604B1 (ko) 2006-08-23

Family

ID=12051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9531A KR100614604B1 (ko) 1999-01-29 2000-01-21 광경화형 도전성 조성물 및 그것을 사용하여 전극형성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555594B1 (ko)
EP (1) EP1168079A4 (ko)
JP (1) JP3479463B2 (ko)
KR (1) KR100614604B1 (ko)
WO (1) WO200004522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8563B1 (ko) * 2002-07-31 2006-03-13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미세 도전성 분말 분산용 알칼리 가용성의 네가형 고점도포토레지스트 조성물
KR101046974B1 (ko) * 2004-06-24 2011-07-0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감광성 페이스트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pdp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pdp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42009B2 (ja) * 1999-07-12 2006-02-01 太陽インキ製造株式会社 アルカリ現像型光硬化性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て得られる焼成物パターン
US6869751B1 (en) * 1999-10-19 2005-03-2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ethod of manufacturing metal electrode
GB2360292B (en) 2000-03-15 2002-04-03 Murata Manufacturing Co Photosensitive thick film composition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MY130468A (en) * 2000-05-23 2007-06-29 Toray Industries Paste, displays member, and process for production of display member
JP4778665B2 (ja) 2000-08-30 2011-09-2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2002202599A (ja) * 2000-12-28 2002-07-19 Taiyo Ink Mfg Ltd 複合パターン層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399787B1 (ko) * 2001-05-04 2003-09-2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기판과 이 기판의 제조방법 및 이 기판을 가지는 플라즈마표시장치
KR20020088208A (ko) * 2001-05-18 2002-11-27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표시장치용 감광성 페이스트 조성물
JP2003031134A (ja) * 2001-07-18 2003-01-31 Nec Kagoshima Ltd カラー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3100208A (ja) * 2001-09-26 2003-04-04 Taiyo Ink Mfg Ltd 電極パターンの形成方法および該電極パターンを形成した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US20030124461A1 (en) * 2001-10-12 2003-07-03 Suess Terry R. Aqueous developable photoimageable thick film compositions for making photoimageable black electrodes
WO2003040246A1 (fr) * 2001-11-08 2003-05-15 Toray Industries, Inc. Pate noire, ecran a plasma et procede pour le produire
US6787239B2 (en) * 2001-11-30 2004-09-0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Electrode material, dielectric material and plasma display panel using them
JP3986312B2 (ja) * 2001-12-20 2007-10-03 太陽インキ製造株式会社 黒色ペースト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て黒色パターンを形成した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KR100559539B1 (ko) * 2002-07-19 2006-03-10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부재패턴의 제조방법, 배선구조체의 제조방법, 전자원의 제조방법 및 화상표시장치의 제조방법
US6987358B2 (en) * 2002-08-08 2006-01-17 Asahi Glass Company, Limited Glass for covering electrodes, colored powder for covering electrodes and plasma display device
TWI299877B (en) * 2003-01-29 2008-08-11 Chunghwa Picture Tubes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bus electrodes of plasma display panel
JP4214005B2 (ja) * 2003-06-17 2009-01-28 太陽インキ製造株式会社 光硬化性樹脂組成物及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用前面基板
DE10327517A1 (de) * 2003-06-17 2005-01-13 Ht Troplast Ag Ionenleitende thermoplastische Zusammensetzungen für elektrochrome Verglasungen
CN100530498C (zh) * 2003-11-26 2009-08-19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等离子显示面板
KR100819867B1 (ko) * 2003-12-16 2008-04-07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JP2004190037A (ja) * 2004-01-21 2004-07-08 Taiyo Ink Mfg Ltd 光硬化性樹脂組成物
KR100570750B1 (ko) * 2004-01-29 2006-04-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감광성 도전 조성물
KR20050122498A (ko) * 2004-06-24 2005-12-2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감광성 페이스트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pdp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pdp
JP4506383B2 (ja) * 2004-09-28 2010-07-21 昭栄化学工業株式会社 焼成型導体ペース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積層電子部品
JPWO2006038621A1 (ja) * 2004-10-07 2008-05-1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KR100667931B1 (ko) * 2004-11-15 2007-01-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45784B1 (ko) * 2004-12-07 2006-1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927611B1 (ko) * 2005-01-05 2009-11-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감광성 페이스트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pdp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pdp
KR100927610B1 (ko) 2005-01-05 2009-11-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감광성 페이스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US7569165B2 (en) * 2005-03-09 2009-08-04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Black conductive compositions, black electrodes, and methods of forming thereof
US7384577B2 (en) 2005-03-09 2008-06-10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Black conductive thick film compositions, black electrodes, and methods of forming thereof
US7381353B2 (en) * 2005-03-09 2008-06-03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Black conductive thick film compositions, black electrodes, and methods of forming thereof
US7326370B2 (en) 2005-03-09 2008-02-05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Black conductive thick film compositions, black electrodes, and methods of forming thereof
US20060235107A1 (en) * 2005-04-15 2006-10-1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 of reusing flexible mold and microstructure precursor composition
JP4644878B2 (ja) * 2005-06-08 2011-03-09 Dowa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黒色電極およ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2007019069A (ja) * 2005-07-05 2007-01-25 Toyo Aluminium Kk ペースト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太陽電池素子
EP1754722B1 (en) * 2005-08-17 2009-10-07 LG Electronics Inc. Black paste composite, upper plate of plasma display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by using the same
JP4849851B2 (ja) * 2005-09-16 2012-01-11 太陽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光硬化性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て黒色パターンを形成した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4770516B2 (ja) * 2006-02-28 2011-09-1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KR100871075B1 (ko) * 2006-04-18 2008-11-28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인쇄용 페이스트 조성물
US7678296B2 (en) 2006-05-04 2010-03-16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Black conductive thick film compositions, black electrodes, and methods of forming thereof
US8123986B2 (en) 2006-06-29 2012-02-28 Lg Electronics Inc. Paste, method of manufacturing plasma display panel using the paste and plasma display apparatus
KR100814045B1 (ko) * 2006-06-29 2008-03-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극 형성용 페이스트, 그를 이용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패널 제조 방법 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US7608784B2 (en) 2006-07-13 2009-10-27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hotosensitive conductive paste for electrode formation and electrode
US7655864B2 (en) 2006-07-13 2010-02-02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hotosensitive conductive paste for electrode formation and electrode
KR100829667B1 (ko) 2006-09-07 2008-05-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극용 페이스트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플라즈마디스플레이 패널의 상판구조 및 그 제조방법
JP4591478B2 (ja) * 2007-05-28 2010-12-0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5303127B2 (ja) 2007-08-03 2013-10-02 イー・アイ・デュポン・ドウ・ヌムール・アンド・カンパニー 黒色バス電極用導電組成物およ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前面板
US20090039781A1 (en) * 2007-08-08 2009-02-12 E. I. Dupont De Nemours And Company Electrode paste for plasma display panel and black bus electrode for plasma display panel
US7648655B2 (en) 2007-10-30 2010-01-19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Conductive composition for black bus electrode, and front panel of plasma display panel
US8193707B2 (en) 2007-11-06 2012-06-05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Conductive composition for black bus electrode, and front panel of plasma display panel
KR20090125393A (ko) * 2008-06-02 2009-12-07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흑색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전자파차폐용 필터 및 표시 장치
US8564140B2 (en) 2008-09-26 2013-10-22 Alpha Metals, Inc. Mono-acid hybrid conductive composition and method
US20100167032A1 (en) * 2008-12-29 2010-07-01 E.I.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Front electrode for pdp
KR20110066431A (ko) * 2009-12-11 2011-06-17 제일모직주식회사 전극 형성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전극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JP6166526B2 (ja) * 2011-12-09 2017-07-19 株式会社日本触媒 硬化性樹脂組成物及びその用途
WO2014097825A1 (ja) * 2012-12-18 2014-06-26 横浜ゴム株式会社 紫外線硬化型樹脂組成物および積層体
CN107250075A (zh) 2015-02-04 2017-10-13 E.I.内穆尔杜邦公司 导电糊料组合物和用其制成的半导体装置
CN104974752B (zh) * 2015-08-07 2017-03-2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白光荧光材料及其制备方法与应用
JP6814237B2 (ja) * 2018-03-23 2021-01-13 株式会社ノリタケカンパニーリミテド 感光性組成物とその利用
JP7300619B2 (ja) * 2019-01-11 2023-06-30 太陽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積層構造体、ドライフィルム、その硬化物および電子部品
KR20230157391A (ko) 2021-03-11 2023-11-16 가부시키가이샤 노리타케 캄파니 리미티드 감광성 조성물과 그의 이용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90401A (ja) 1991-03-19 1992-10-15 Tdk Corp 抵抗体ペース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厚膜抵抗体
JP3151049B2 (ja) * 1991-11-29 2001-04-03 旭化成株式会社 薄膜状光重合性導電ペースト組成物積層体
JP3207070B2 (ja) 1995-02-13 2001-09-10 田中貴金属工業株式会社 二酸化ルテニウム粉末の製造方法
JPH107982A (ja) 1996-06-21 1998-01-13 Sumitomo Chem Co Ltd 光硬化性塗料組成物および表面に遮光性薄膜を有する基板を製造する方法
JPH1039503A (ja) 1996-07-23 1998-02-13 Mitsubishi Chem Corp カラーレジスト組成物
US5851732A (en) 1997-03-06 1998-12-22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lasma display panel device fabrication utilizing black electrode between substrate and conductor electrode
JP3520720B2 (ja) * 1997-05-27 2004-04-19 東レ株式会社 感光性導電ペーストおよ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用電極の製造方法
JP3947287B2 (ja) 1997-12-27 2007-07-1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感光性導体ペーストおよびこれを用いた転写シート
JPH11246638A (ja) * 1998-03-02 1999-09-14 Taiyo Ink Mfg Ltd 感光性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て得られる焼成物パターン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8563B1 (ko) * 2002-07-31 2006-03-13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미세 도전성 분말 분산용 알칼리 가용성의 네가형 고점도포토레지스트 조성물
KR101046974B1 (ko) * 2004-06-24 2011-07-0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감광성 페이스트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pdp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pd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0221671A (ja) 2000-08-11
EP1168079A4 (en) 2002-07-03
WO2000045224A1 (fr) 2000-08-03
EP1168079A1 (en) 2002-01-02
KR100614604B1 (ko) 2006-08-23
JP3479463B2 (ja) 2003-12-15
US6555594B1 (en) 2003-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4604B1 (ko) 광경화형 도전성 조성물 및 그것을 사용하여 전극형성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JP4369103B2 (ja) 感光性導電ペースト及びそれを用いて電極形成した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3541125B2 (ja) アルカリ現像型光硬化性導電性ペースト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て電極形成した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KR100931139B1 (ko) 내열성 흑색 안료 슬러리 및 이를 이용한 광경화성 조성물의 제조 방법
JP3538408B2 (ja) 光硬化性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て電極形成した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4987858B2 (ja) 二層構造のバス電極形成に用いられる光硬化性導電性ペースト、及び光硬化性黒色ペースト並びに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3538387B2 (ja) 光硬化性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て電極形成した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4849851B2 (ja) 光硬化性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て黒色パターンを形成した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2004063247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製造方法
JP3771916B2 (ja) アルカリ現像型光硬化性導電性ペースト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て電極形成した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3548146B2 (ja) 光硬化性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て黒色パターンを形成した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4214005B2 (ja) 光硬化性樹脂組成物及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用前面基板
JP2000330269A (ja) 感光性ペースト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て焼成物パターンを形成したパネル
JP2004190037A (ja) 光硬化性樹脂組成物
JP2004053628A (ja) 光硬化性黒色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て形成したバス電極
KR20130019379A (ko) 광경화성 조성물
JP3858005B2 (ja) 光硬化性樹脂組成物及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用前面基板
JP2006337707A (ja) 感光性ペースト及びそれを用いて形成した焼成物パターン
JP5732222B2 (ja) 感光性樹脂組成物
JP3939687B2 (ja) アルカリ現像型光硬化性導電性ペースト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て電極形成した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KR100785539B1 (ko) 감광성 페이스트 및 이것을 사용하여 얻어지는 소성물 패턴
JP2006030853A (ja) 感光性ペースト及びそれを用いて形成した焼成物パターン
KR100836449B1 (ko) 광경화성 조성물 및 그것을 이용하여 흑색 패턴을 형성한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1357309B1 (ko) 감광성 수지 조성물
JP2006120568A (ja) バス電極およびその形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