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96847A - 초음파 장해물 검출장치 및 그의 조립방법 - Google Patents

초음파 장해물 검출장치 및 그의 조립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96847A
KR20020096847A KR1020020007870A KR20020007870A KR20020096847A KR 20020096847 A KR20020096847 A KR 20020096847A KR 1020020007870 A KR1020020007870 A KR 1020020007870A KR 20020007870 A KR20020007870 A KR 20020007870A KR 20020096847 A KR20020096847 A KR 200200968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cap
sensor case
case
leaf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7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55888B1 (ko
Inventor
니시모토유키오
후쿠다아끼하루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96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68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58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58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004Mounting transducers, e.g. provided with mechanical moving or orienting devi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5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5/00
    • G01S7/521Construction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4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ombined with, or convertible into, other devices or objects, e.g. bumpers combined with road brushes, bumpers convertible into beds
    • B60R19/483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ombined with, or convertible into, other devices or objects, e.g. bumpers combined with road brushes, bumpers convertible into beds with obstacle sensors of electric or electronic typ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5/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 G01S15/88Son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5/93Son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 G01S15/931Son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of land veh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5/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 G01S15/88Son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5/93Son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 G01S15/931Son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of land vehicles
    • G01S2015/937Son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of land vehicles sensor installation details
    • G01S2015/938Son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of land vehicles sensor installation details in the bumper are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Measurement Of Velocity Or Position Using Acoustic Or Ultrasonic Waves (AREA)
  • Transducers For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하나의 판스프링에 의해, 센서케이스와 캡을 쉽게 일체화할 수 있는 동시에, 차량의 범퍼등에 대한 조립고정기능을 발휘시킬 수가 있게 한다.
초음파센서(24)가 감착된 센서부착동부(21)를 일체로 갖는 센서케이스(20)에 캡(30)을 피감시키고 그 센서케이스(20)의 외측에 판스프링을 끼워서 이 판스프링 (40)을 캡(30)에 계합시켜 그 판스프링(40)으로 센서케이스(20)와 캡(30)의 양자를 끌어들여서 일체화 하였다.

Description

초음파 장해물 검출장치 및 그의 조립방법{ULTRASONIC OBSTACLE DETECTOR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본 발명은, 자동차의 범퍼등에 부착되는 초음파 장해물 검출장치 및 이 조립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6은 종래의 초음파 장해물 검출장치를 표시하는 측면도, 도 17은 도 16의 정면도, 도 18은 도 17의 A-A선을 따른 화살표방향 단면도, 도 19는 도 16의 후단면도, 도 20은 도 16의 분해측면도, 도 21은 도 20중의 케이스뚜껑을 연상태의 평면도이다.
도면에서, 1은 센서케이스, 2는 센서케이스(1)의 케이스뚜껑이고, 이 케이스뚜껑 2는 상기 센서케이스(1)의 개방단의 한측연부에 연결설치되어 있다. 3은 상기 센서케이스(1)의 개방단의 타측연부를 따라 그 케이스 외벽부에 일체로 형성된 계합클로, 4는 상기 케이스뚜껑(2)의 자유단측에 설치되어 상기 계합클로(3)에 끼워져 계합시키는 계합공 5는 상기 센서케이스(1)의 전단부에 탄성의 센서홀더(6)를 통해서 외주가 부분적으로 끼워진 초음파센서이고, 이 초음파센서(5)는 상기 케이스뚜껑(2)을 닫음으로 해서 그 케이스뚜껑(2)과 상기 센서케이스(1)로 협압보존되도록 되어 있다.
도 18 및 도 20에서, 7은 상기 초음파센서(5)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서 상기 센서케이스(1)내에 수납된 회로기판, 8은 회로기판(7)에 접속되어 외부로 도출된 커넥터리드선이고, 이 커넥터리드선(8)의 외부도출단에는 도 16에 표시한 바와 같이 외부접속용 커넥터(9)가 접속되어 있다. 10은 상기 케이스뚜껑(2)을 닫은 상태의 상기 센서케이스(1)의 전단부에 끼워서 계합된 캡이고 이 캡(10)은 상기 센서홀더(6)의 전단부 외주를 덮고 상기 초음파센서(5)를 보존하는 것으로 전단에 외향의 프랜지(10a)를 일체로 가지고 있다.
11은 상기 센서케이스(1)에 조립된 판스프링이고, 이 판스프링(11)은 상기 센서케이스(1)의 후단면에 돌출설치된 돌기(1a)에 압입하기 위한 부착공(11a)(도 19참조)을 갖는 좌판부(11b)와, 이 좌판부(11b)로부터 상기 센서케이스(1) 및 게이스뚜껑(2)의 외벽을 따라 상기 캡(10)의 외향프랜지(10a) 근방까지 뻗는 다수(도면에서는 4개)의 암편(11c)으로 되고, 그 암편(11c)의 선단측에는, 차량의 범퍼에 설치된 센서부착공(도시않음)의 공연부를 상기 캡의 외향프랜지(10a)와의 사이에서 잡아주는 굴곡부(11d)가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각 암편(11c)은, 그의 중간부가 상기 센세케이스(1) 및 케이스뚜껑(2)의 각각의 외벽부에 계합시키도록 되어 있고, 그 계합부를 부호(11e)로 표시한다.
다음 조립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케이스뚜껑(2)을 열고 초음파센서(5)가 끼워진 센서홀더(6)를 센세케이스(1)의 선단부에 감합시키는 동시에, 상기 초음파센서(5)에 리드선으로 전기적으로 접속된 회로기판(7)을 상기 초음파센서(5)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상기 센서(1)내에 수납세트하고 상기 회로기판(7)에 접속된 커넥터리드선(8)을 외부로 도출시킨 상태에서 케이스뚜껑(2)을 닫고, 이 케이스뚜껑(2)의 계합공(4)을 센서케이스(1)의 계합클로(3)에 끼워 계합시킴으로써, 센서케이스(1)와 케이스뚜껑(2)으로 센서홀더(6)를 통해 초음파센서(5)를 잡고 있다.
계속해, 케이스뚜껑(2)을 포함하는 센서케이스(1)의 전단부에 센서홀더(6)의 외주연부를 통해서 캡(10)을 압입계함시킴으로써 그 캡(10)에서 초음파센서(5)를 보존한다. 그후 센서케이스(1)의 후단의 돌기(1a)에 판스프링(11)의 좌판부(11b)의 부착공(11a)을 압입하는 동시에 그 판스프링(11)의 각 암편(11c)의 중간계합부 (11e)를 센세케이스(1) 및 케이스뚜껑(2)의 외벽부에 계합시킨다.
이상에서, 초음파 장해물 검출장치가 조립되고 그 조립후에 케이스뚜껑(2)에 설치된 몰드용 개구부(2a)(도 21참조)로부터 주입중천시킴으로써, 초음파 장해물 검출장치가 완성된다. 이 초음파 장해물 검출장치를 차량의 범퍼에 부착할때에는 상기 범퍼에 설치된 센서부착공에 대해 케이스뚜껑(2)을 포함하는 센서케이스(1)를 후단부측에서 커넥터리드선(8)과 함께 삽입한다. 이 삽입시에는 상기 센서부착공의 공연부에서 상기 암편(11c)의 굴곡부(11d)측이 내측으로 탄성변형되게 된다. 그리고 캡(10)의 외향프랜지(10a)가 범퍼의 전면에 당접해서 상기 굴곡부(11d)가 상기 센서부착공을 통과하면, 그 굴곡부(11d)가 탄성복원함으로써 그 굴곡부(11d)와 캡(10)이 외향프랜지(10a)와의 사이에서 범퍼의 센서부착공의 공연부가 끼워진다. 이로써, 차량의 범퍼에 차량용 장해물 검출장치를 부착세트하게 한다.
종래의 초음파 장해물 검출장치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케이스뚜껑(2)을 열고 센서케이스의 선단측 내부에 대해, 초음파센서(5)가 감착된 센서홀더(6)를 끼운후, 상기 케이스뚜껑(2)을 닫고, 이 케이스뚜껑(2)의 계합공(4)을 상기 센서케이스(1)의 계합클로(3)에 끼워 계합시키지 않으면, 초음파센서(5)를 센서케이스(1)에 조립할 수가 없고, 또 범퍼의 전면에 당접시킬 목적만의 캡(10)을 센서홀더(6)의 전방에서 이 센서홀더(6)의 외주연부에 접촉시키면서 센서케이스(1) 및 케이스뚜껑(2)의 외벽부에 압입계합시켜야 하며, 이 때문에 작업공수가 많고, 초음파센서(5) 및 캡(10)의 조립이 번잡해져 작업효율이 나쁘다는 과제가 있었다.
또, 판스프링(11)에서도, 차량의 범퍼에 대한 초음파 장해물 검출장치의 부착기능만을 가지고 있고, 또 상기 판스프링(11)은 센서케이스(1)에의 조립부착때에, 그 좌판부(11b)의 부착공(11a)을 센서케이스(1)의 후단의 돌기(1a)에 축방향에서 압입하고, 또 각 암편(11c)의 중간계합부(11e)를 센서케이스(1) 및 케이스뚜껑 (2)의 외벽부에 계합시켜야 하며, 이 때문에 판스프링(11)의 부착에도 손이 많이가 작업효율이 점점 나빠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센서홀더(6) 및 회로기판(7)과 캡(10)과 판스프링(11)에서는 센서케이스(1)에 대한 부착방향이 각각 다르므로, 이점에서도 이들 부품부착에 손이 많이가서 작업효율이 나쁘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된것으로, 하나의 판스프링에 의해 센서케이스와 캡을 쉽게 일체화할 수가 있는 동시에, 차량의 범퍼에 대한 부착고정기능을 발휘시킬 수 있는 초음파 장해물 검출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판스프링의 형상이 심플화하고, 그 판스프링을 센서케이스와 캡에 걸쳐 쉽게 부착시킬 수가 있는 초음파 장해물 검출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한다.
또, 본 발명은, 판스프링을 센서케이스 및 캡에 대해 안정성 좋고, 또 견고하게 부착할 수 있는 초음파 장해물 검출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캡을 센서케이스에의 피감위치에서 쉽게 또 확실하게 위치결정할 수가 있는 초음파 장해물 검출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센서케이스와 캡의 상호내부에 몰드수지를 쉽게 주입할 수가 있는 초음파 장해물 검출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별부품의 커넥터리드선 부착외부접속용 커넥터를 생략할 수가 있어 작업성의 향상 및 코스트저감을 도모할 수 있는 초음파 장해물 검출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범퍼등의 센서부착부에 깊이가 없는 차량에도 부착가능한 초음파 장해물 검출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실고무등의 별부품을 필요로 하지 않고 커넥터단자 삽입부의 방수성을 확보할 수 있고 재료비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는 초음파 장해물 검출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커넥터단자 삽입부의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초음파 장해물 검출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회로기판에의 커넥터단자를 납땜할때에 센서케이스가 열영향을 받기 힘들고, 또 납땜의 열이 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초음파 장해물 검출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회로기판에 커넥터단자를 납땜할때의 열영향을 외부접속용 커넥터가 받기 힘든 초음파 장해물 검출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장치구성부품의 부착방향을 한방향으로 해서 작업성을 개선할 수 있는 초음파 장해물 검출장치의 조립방법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초음파 장해물 검출장치는 외향프랜지를 갖는 센서부착동부가 앞부분에 일체로 형성되어, 그 센서부착동부에 초음파센서를 감착한 센서케이스와, 상기 초음파센서에 전기적으로 접속해서 상기 센서케이스에 수납된 회로기판과, 상기 센서케이스의 개구부에 피감한 캡과, 상기 센서케이스 외측에 끼워져 상기 캡에 계합하고 그 센서케이스와 캡의 양자에 끌어들여 일체적으로 고정하는 판스프링을 구비하고 상기 판스프링에는 상기 센서부착동부의 외향프랜지와의 사이에 상기 센서부착부의 공부주벽을 끼고 있는 탄성계합편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초음파 장해물 검출장치의 판스프링은, 양측에 각편부를 소유하고 센서케이스의 외측에 끼워지는 대략 U자형상의 스프링동부와 상기 각편부의 각각에 설치된 계합공과 상기 각편부의 각각에서 전방으로 뻗어 상대방향으로 탄성변형가능한 암상의 탄성계합편부와 이들의 탄성계합편부의 선단측에 굴곡형성되어 센서케이스의 센서부착동부의 외향프랜지와의 사이에서 차량의 센서부착부의 공부주벽을 끼고 있는 굴곡계합부를 소유하고 캡의 양측 외벽부에는 상기 각편부의 계합공을 끼워 계합시키기 위한 계합클로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초음파 장해물 검출장치의 판스프링은 양측의 각편부의 상호간에서 스프링동부에서 전방으로 뻗는 중간편부와, 이 중간편부에 설치된 계합공을 소유하고, 센서케이스의 외벽부에는 상기 계합공을 끼워 계합시키기 위한 계합돌기가 일체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초음파 장해물 검출장치는 센서케이스의 개구단부와 캡과의 접합면부에 凹凸감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초음파 장해물 검출장치는 센서케이스와 캡의 상호내부에 몰드가 충전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초음파 장해물 검출장치는 캡에 몰드수지주입용의 개구부를 설치한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초음파 장해물 검출장치는 외부접속용 커넥터를 캡에 대해 초음파센서의 축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일체로 설치된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초음파 장해물 검출장치의 외부접속용 커넥터는 커넥터단자를 캡에서 인출한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초음파 장해물 검출장치의 커넥터단자는 캡에 설치된 단자차입공에 끼워지고, 그 차입에 의해 상기 커넥터단자와 상기 단자차입공의 쐐기계합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초음파 장해물 검출장치는 캡의 내부벽에 단자차입공의 주위를 둘러싼 凹홈을 설치한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초음파 장해물 검출장치의 커넥터단자는 회로기판에 실장하는 근원부에 열차단공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초음파 장해물 검출장치의 조립방법은, 센서케이스에 피감될 캡에 설치된 단자차입공에 커넥터단자를 끼워넣는 제1공정과, 그 단자차입후에 회로기판을 단자에 차입하고 납땜으로 상기 센서케이스내에 수납시키면서 이 센서케이스를 상기 캡에 대해 상기 단자차입방향에 피감시키는 제2의 공정과, 그 피감후에 판스프링을 상기 센서케이스에 대해 상기 단자차입방향으로 끼워서 상기 캡에 계합시키는 제3의 공정으로 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초음파 장해물 검출장치의 측면도.
도 2는 도 1의 일부절결배면도.
도 3은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1의 평면도.
도 5는 도 4의 정면도.
도 6은 도 5의 저면도.
도 7은 도 1의 초음파 장해물 검출장치를 좌우역방향으로 한 단면도.
도 8은 (a)는 도 7의 C-C선에 따른 단면도, (b)는 (a)의 일부확대단면도.
도 9는 도 1의 D-D선에 따른 확대단면도.
도 10은 도 2의 B부 확대도.
도 11은 수지몰드전의 초음파 장해물 검출장치의 조립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단면도.
도 13은 수지몰드시의 설명을 하기 위한 종단면도.
도 14는 수지몰드시의 설명을 하기 위한 횡단면도.
도 15는 수지몰드시의 설명을 하기 위한 외부접속용 커넥터부분의 종단면도.
도 16은 종래의 초음파 장해물 검출장치를 표시하는 측면도.
도 17은 도 16의 정면도.
도 18은 도 17의 A-A선을 따른 화살표방향 단면도.
도 19는 도 16의 후단면도.
도 20는 도 16의 분해측면도.
도 21은 도 20중의 케이스뚜껑을 연상태의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센서케이스, 21 : 센서부착동부,
22 : 외향프랜지, 23 : 리브,
24 : 초음파센서, 25 : 센서홀더,
26 : 리드선, 27 : 회로기판,
28 : 계합돌기, 29 : 감합홈,
30 : 캡, 31 : 외부접속용 커넥터,
32 : 단자차입공, 33 : 커넥터단자,
33a : 폭광부위, 33b : 열차단공,
33c : 쐐기상클로부, 34 : 凹홈,
35 : 개구부, 36 : 계합클로,
40 : 판스프링, 41 : 스프링동부,
42 : 각편부, 43 : 계합공,
44 : 탄성계합편부, 45 : 굴곡부,
46 : 중간편부, 47 : 계합공.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한 형태를 설명한다.
실시의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초음파 장해물 검출장치의 측면도, 도 2는 도 1의 일부절결배면도, 도 3은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1의 평면도, 도 5는 도 4의 정면도, 도 6은 도 6의 저면도, 도 7은 도 1의 초음파 장해물 검출장치를 좌우를 역으로 한 단면도, 도 8은 도 7의 C-C선에 따른 단면도, 도 9는 도 1의 D-D선에 따른 확대단면도, 도 10은 도 2의 B부 확대도이다.
도면에서, 20은 단면이 대략 凹상으로 형성된 경질수지제의 센서케이스, 21은 센서케이스(20)의 선단부에 일체형성된 센서부착동부이고, 이 센서부착동부(21)는 정면원형의 센서수납 凹부를 형성하고 있고, 그 센서부착동부(21)의 전단개구 주연부에는 외향프랜지(2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23은 상기 센서부착동부(21)의 외주벽부에 주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일체형성된 다수의 리브, 24는 상기 센서부착동부(21)내에 센서홀더(25)(도 3 및 도 7참조)를 통해서 감착된 초음파센서, 26은 그 초음파센서(24)에 접속된 리드선, 27은 그 리드선(26)에 의해 상기 초음파센서(24)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회로기판이고, 이 회로기판(27)이 상기 센서케이스(20)내에 수납되도록 되어 있다.
도 3 및 도 7, 도 8에서, 28은 상기 센서케이스(20)의 배벽부에서 부착동부 (21) 근방에 일체로 형성된 판스프링계합용 계합돌기, 29는 센서케이스(20)의 개구단부에 형성된 감합홈이고, 이 감합홈(29)은 후술하는 캡(30)의 개구측 연부를 감합시키기 위한 것이다.
30은 상기 센서케이스(20)의 개구단부에 피감하는 캡이고, 이 캡(30)은 도 3에 표시한 바와 같이 대략 접시상태로 형성되고, 이 연부가 센서케이스(20)의 상기 감합홈(29)에 감합됨으로써 센서케이스(20)에 대한 캡(30)의 피감위치가 위치결정되도록 되어 있다. 31은 캡(30)한쪽으로 기울어지게 일체형성된 외부접속용 커넥터이고, 이 외부접속용 커넥터(31)는, 상기 캡(30)에 대해 초음파센서(24)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외부접속용 커넥터(31)를 포함하는 캡(30)의 전체형상은 측면이 대략 L자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도 8에서, 32는 캡(30)과 외부접속용 커넥터(31)와의 경계벽부에 설치된 단자차입공, 33은 단자차입공(32)에 차입해서 삽입된 한쌍의 커넥터단자, 33a는 그 커넥터단자(33)의 회로기판(27)측이 되는 근원측에 형성된 광폭부위, 33b는 그 광폭부위(33a)에 설치된 열차단공이다. 여기서 상기 커넥터단자(33)에서의 상기 단자차입공(32)의 삽입부에는 도 8(b)에 표시한 바와 같이 쐐기상클로부(33c)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커넥터단자(33)는 단자차입공(32)에 일단 삽입하면 빠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
34는 상기 캡(30)의 외부접속용 커넥터(31)의 속면에서의 단자차입공(32)의 주위에 형성된 凹홈이고, 이 凹홈(34)은 몰드고이는 곳으로, 커넥터단자(33)의 접촉부분에 몰드수지가 도달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35는 캡(30)에 설치된 몰드수지주입용의 개구부, 36은 캡(30)의 양측벽부에 일체로 형성된 판스프링계통의 계합클로이다.
40은 센서케이스(20)와 캡(30)을 합체상태로 일체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판스프링이고, 이 판스프링(40)은 양측에 각편부(42)를 갖는 스프링동부(41)와 상기 각편부(42)의 각각에 설치되어서 상기 캡(30)의 계합클로(36)에 끼워서 계합시키기 위한 계합공(43)과, 상기 각편부(42)의 각각에서 전방으로 뻗어서 상대방향으로 탄성변형가능한 암상태의 2개의 탄성계합편부(44)와 이들의 탄성계합편부(44)의 선단측에 굴곡형성된 굴곡부(45)와, 상기 스프링동부(41)의 중간부에 설치되어 전방으로 뻗은 중간편부(46)와 이 중간편부(46)에 설치되어 상기 센서케이스(20)의 계합돌기(28)에 계합시키는 계합공(47)을 갖는 일체 판스프링구조로 되어 있다.
다음 조립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커넥터단자(33)를 캡(30)의 단자차입공(32)에 끼워 삽입한다.(제1의 공정). 이 삽입에 의해 커넥터단자(33)의 쐐기상클로부(33c)가 단자차입공(32)내에 계지하고, 커넥터단자(33)가 견고하게 고정된다. 계속해 회로기판(27)을 상기커넥터단자(33)에 끼워 납땜을 하고 센서케이스(20)내에 수납시키면서 이 센서케이스(20)를 상기 캡(30)에 대해 상기 커넥터단자(33)의 차입방향으로 피감시킨다(제2의 공정). 이 경우, 캡(30)의 개방단연부에 센서케이스(20)의 감합홈(29)을 감합시킴으로써, 센서케이스(20)에 대한 캡(30)의 피감위치가 용이하고 또 정확하게 위치결정된다. 이 상태에서, 판스프링(40)을 센서케이스(20)에 대해 이 센서케이스 (20)의 외측에서 상기 커넥터단자(33)의 차입방향으로 끼움으로써 판스프링(40)의 중간편부(46)의 계합공(47)을 센서케이스(20)의 계합돌기(28)에 끼우는 동시에 각편부(42)의 계합공(43)을 캡(30)의 계합클로(36)에 끼워 계합시킨다(제3의 공정). 이 경우, 센서케이스(20)에 끼워진 판스프링(40)의 각편부(42)측을 강하게 압압하면, 이 각편부(42)의 계합공(43)이 캡(30)의 계합클로(36)에 필연적으로 끼워넣는 계합이 된다.
그후, 캡(30)의 개구부(35)에서 센서케이스(20)와 캡(30)의 상호내부에 몰드수지가 충전된다. 이 경우, 회로기판(27)상에는 커넥터단자(33)의 폭광부위(33a)에 의해 벽이 만들어짐에 따라, 공기빠짐이 좋고, 몰드수지가 회로기판(27)의 위쪽으로 원활하게 돌아든다. 또 상기 폭광부위(33a)의 열차단공(33b)에 의해 열이 차단되므로, 커넥터단자(33)에 회로기판(27)을 납땜할때 외부접속용 커넥터(31)가 열로 녹는일이 없어진다. 또, 외부접속용 커넥터(31)의 안쪽의 단자차입공(32)주위에 둘러쌓인 凹홈(34)에 의해 커넥터단자(33)의 접촉부분에 몰드수지가 부착하는 일도 없다.
이상과 같이해서 조립된 초음파 장해물 검출장치는, 캡(30)을 포함하는 센서케이스(20)를 후단측에서 차량의 범퍼의 센서부착공에 끼워넣는다. 이 경우, 센서부착공을 판스프링(40)의 굴곡부(45)가 통과할때까지는 판스프링(40)의 탄성계합편부(44)가 센서케이스(20)의 센서부착동부(21)측에 탄성변형하나, 센서케이스(20)의 상기 굴곡부(45)가 차량의 센서부착공을 통과하면 상기 탄성계합편부(44)가 탄성복원함으로써, 그 탄성계합편부(44)의 굴곡부(45)와 센서케이스(20)의 외향프랜지 (22)에 의해 차량의 센서부착공의 공주벽부가 끼워진다.
이로써, 차량의 범퍼에 대한 초음파 장해물 검출장치의 부착이 종료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초음파센서가 감착된 센서부착동부를 일체로 갖는 센서케이스에 캡을 피감한 상태에서 상기 센서케이스의 외측에 판스프링을 끼워 이 판스프링을 상기 캡에 계합시킴으로써, 그 판스프링으로 센서케이스와 캡의 양자를 끼고 일체화하는 동시에 상기 판스프링에는 상기 센서부착동부의 외향프랜지와의 사이에서 차량의 센서부착공의 공주연부를 끼고 있는 탄성계합편부를 일체형성하도록 구성하였으므로, 하나의 판스프링에 의해 센서케이스와 캡을 쉽게 일체화할 수 있는 동시에, 차량의 범퍼에 대한 조립부착 고정기능을 발휘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양측에 각편부를 갖고 센서케이스의 외측에 끼워지는 대략 U자형상의 스프링동부와, 상기 각편부의 각각에 설치된 계합공과 상기 각편부의 각각에서 전방으로 뻗어 상대방향으로 탄성변형가능한 암상태의 탄성계합편부와,이들의 탄성계합편부의 선단측에 굴곡형성되어 센서케이스의 센서부착동부의 외향프랜지와의 사이에서 차량의 센서부착부의 공부주벽을 끼고 있는 굴곡계합부를 소유하고, 캡의 양측의 벽부에는 상기 각편부의 계합공을 끼워넣어 계합시키기 위한 계합클로가 설치된 판스프링을 형성하도록 구성하였으므로, 판스프링이 심플한 동시에 그 판스프링의 양측 각편부에서 센서케이스를 포용하도록 이 센서케이스에 상기 판스프링을 끼워서 압압하는 것만으로, 판스프링의 양측 각편부의 계합공을 캡의 계합클로에 대해 쉽고, 확실하게 계합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판스프링 중간부에 스프링동부에서 전방으로 뻗는 중간편부를 형성하고, 이 중간편부에 설치한 계합공을 센서케이스의 외벽에 일체형성된 계합돌기에 끼워 계합시키도록 구성하였으므로, 판스프링을 센서케이스와 캡의 양자에 걸쳐 안전상태를 부착할 수 있는 동시에 그 부착강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센서케이스와 캡의 접합면부에 凹凸감합부를 형성하도록 구성하였으므로, 센서케이스에 대한 캡의 피감위치를 쉽고 정확하게 위치결정할 수 있고, 이 때문에 판스프링의 부착작업도 쉽게 실시할 수 있고 작업성이 향상되는 동시에, 센서케이스와 캡의 부착강도를 한층 증대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센서케이스와 캡과의 상호내부에는 몰드수지를 충전하도록 구성하였으므로 방수성이 얻어진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캡에는 몰드수지주입용의 개구부를 두도록 구성하였으므로, 센서케이스와 캡과 판스프링의 부착으로 일체화한 후 몰드수지를 쉽게 주입할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캡에는 외부접속용 커넥터를 일체로 설치하도록 구성하였으므로 커넥터리드선 부착외부접속용 커넥터가 불필요하게 되고 부품수가 감소해서 코스트저감이 도모되는 동시에 조립부착 작업성이 향상된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외부접속용 커넥터를 캡에 대해 초음파센서의 축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일체형성하도록 구성하였으므로 센서부착스페이스가 좁은 차량이라도 부착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캡에 실장된 커넥터단자를 캡에서 끌어내는듯 구성하였으므로 센서케이스와 캡의 상호내부에 충전된 몰드수지로 커넥터단자 삽입부의 방수성이 얻어지는 동시에 몰드수지가 커넥터단자의 접촉부분에 미치는 일도 없고, 이 때문에 실고무의 다른 부품을 불필요화할 수 있어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캡에 설치된 단자차입공과, 여기에 삽입된 커넥터단자와 쐐기계합하도록 구성하였으므로 커넥터단자와 캡을 견고하게 일체화할 수 있는 동시에 그 커넥터단자에 삽입해서 납땜되는 회로기판을 안정성 좋게 보존할 수가 있고, 이 때문에 센서케이스와 캡 및 판스프링의 부착작업성이 향상된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외부접속용 커넥터의 구석면에는 단자삽입공의 주위를 둘러싼 凹홈을 설치하도록 구성하였으므로 몰드시의 수지가 상기 凹홈에 담겨져, 이 몰드수지가 커넥터단자의 접촉부분까지 부착하는 일이 없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커넥터단자에서 회로기판에 실장하는 근원부에 열차단공을 설치하도록 구성하였으므로 커넥터단자에 회로기판을 납땜할때의 열을 상기 열차단공에서 차단할 수가 있고 이 때문에 이 열영향을 외부접속용 커넥터가 받는 위험성이 없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커넥터단자와 회로기판과 센서케이스와 판스프링을 이 순서로 캡에 대해 순차로 동일방향으로 조립하는 방법으로 하였으므로, 이들의 조립을 효율좋게 할 수가 있고 작업성을 개선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차량의 범퍼에 부착되어 초음파로 장해물을 검출하는 초음파 장해물 검출장치에서, 외향프랜지를 갖는 센서부착동(胴)부가 전부에 일체형성되고, 그 센서부착동부에 초음파센서를 감착한 센서케이스와, 상기 초음파센서에 전기적으로 접속해서 상기 센서케이스에 수납한 회로기판과, 상기 센서케이스의 개구부에 피감한 캡과, 상기 센서케이스의 외측에 끼워져 상기 캡에 계합하고, 그 센서케이스와 캡의 양자를 수용해서 일체적으로 고정하는 판스프링을 구비하고, 상기 판스프링에는 상기 센서부착동부의 외향프랜지와의 사이에서 상기 센서부착부의 구멍부주벽을 끼고 있는 탄성계합편부가 일체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장해물 검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판스프링은 양측에 각편부를 소유해서 센서케이스이 외측에 끼워지는 대략 U자형상의 스프링동부와, 상기 각편부의 각각에 설치된 계합공과, 상기 각편부의 각각에서 전방으로 뻗어 상대방향으로 탄성변형가능한 암상태의 탄성계합편부와, 이들의 탄성계합편부의 선단측에 굴곡형성되어 센서케이스의 센서부착동부의 외향프랜지와의 사이에서 차량의 센서부착부의 공부주벽을 끼운 굴곡계합부를 소유하고, 캡의 양측 외벽부에는, 상기 각편부의 계합공을 끼워 계합시키기 위한 계합클로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장해물 검출장치.
  3. 센서케이스에 피감시킬 캡에 설치된 단자차입공에 커넥터단자를 삽입하는 제1의 공정과, 그 단자삽입후에 회로기판을 단자에 삽입납땜해서 상기 센서케이스내에 수납시키면서 이 센서케이스를 상기 캡에 대해 상기 단자삽입방향으로 피감시키는 제2의 공정과, 그 피감후에 판스프링을 상기 센서케이스에 대해 상기 단자삽입방향으로 끼워서 상기 캡에 계합시키는 제3의 공정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장해물 검출장치의 조립방법.
KR10-2002-0007870A 2001-06-19 2002-02-14 초음파 장해물 검출장치 및 그의 조립방법 KR1004558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185101 2001-06-19
JP2001185101A JP4251790B2 (ja) 2001-06-19 2001-06-19 超音波障害物検出装置およびその組立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6847A true KR20020096847A (ko) 2002-12-31
KR100455888B1 KR100455888B1 (ko) 2004-11-06

Family

ID=19024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7870A KR100455888B1 (ko) 2001-06-19 2002-02-14 초음파 장해물 검출장치 및 그의 조립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759950B2 (ko)
JP (1) JP4251790B2 (ko)
KR (1) KR100455888B1 (ko)
DE (1) DE10203387B4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90231A (ko) * 2012-02-03 2013-08-1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센서 조립체 및 이의 조립 방법
KR20150001041A (ko) 2013-06-26 2015-01-0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초음파 센서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11450A (ko) 2014-07-22 2016-02-0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감지센서
KR20160012744A (ko) 2014-07-25 2016-02-0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감지센서
KR20160024186A (ko) 2014-08-25 2016-03-0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초음파센서조립체
KR20160136096A (ko) 2015-05-19 2016-11-2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감지센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61599A1 (en) * 2002-08-05 2004-04-01 Shih-Hsiung Li Sensor and anchoring device
DE10314862A1 (de) * 2003-04-02 2004-10-14 Bayerische Motoren Werke Ag Sensoranordnung einer Einparkhilfe
JP2004325169A (ja) * 2003-04-23 2004-11-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流体の流れ計測装置
ITMO20040005A1 (it) * 2004-01-13 2004-04-13 Meta System Spa Gruppo di rilevamento di ostacoli nelle vicinanze di veicoli
DE502005000318D1 (de) * 2004-03-17 2007-03-08 Plastal Gmbh Sensorhalter mit Haltebügel an einem Stossfänger
DE102005011953A1 (de) * 2004-03-17 2006-03-23 Dynamit Nobel Kunststoff Gmbh Sensorhalter mit Haltebügel an einem Stoßfänger
DE102004037257A1 (de) * 2004-07-31 2006-02-16 Robert Bosch Gmbh Einbauvorrichtung für einen Sensor
JP4581545B2 (ja) * 2004-08-02 2010-11-17 株式会社デンソー 超音波センサの取付け構造
JP4839587B2 (ja) * 2004-08-02 2011-12-21 株式会社デンソー 超音波センサの取付け構造
KR100577893B1 (ko) 2004-11-25 2006-05-10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후방 감지센서의 설치구조
DE102005009620A1 (de) * 2005-02-23 2006-08-31 Valeo Schalter Und Sensoren Gmbh Ultraschallsensor
JP4483672B2 (ja) * 2005-04-15 2010-06-16 株式会社デンソー 超音波センサの取付け構造
JP4468262B2 (ja) * 2005-08-01 2010-05-26 株式会社日本自動車部品総合研究所 障害物検知装置
JP2007114182A (ja) * 2005-09-22 2007-05-10 Denso Corp 超音波センサの取付け構造
JP2007155675A (ja) * 2005-12-08 2007-06-21 Denso Corp 超音波センサ
DE102007008744B4 (de) 2006-03-15 2012-10-31 Denso Corporation Ultraschallsensor
JP4742924B2 (ja) * 2006-03-15 2011-08-10 株式会社デンソー 超音波センサ
JP4893322B2 (ja) * 2006-03-23 2012-03-07 株式会社デンソー 超音波センサ
JP4720587B2 (ja) * 2006-04-10 2011-07-13 株式会社デンソー 超音波センサ
JP4605116B2 (ja) * 2006-07-24 2011-01-05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センサの支持構造
DE202008003306U1 (de) * 2008-03-08 2008-09-18 Wabco Gmbh Vorrichtung zur Anordnung von Umfeldsensoren in einem Fahrzeug
JP5386910B2 (ja) * 2008-09-26 2014-01-15 株式会社デンソー 電子回路装置
DE102009033737A1 (de) * 2009-07-17 2011-01-27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Vorrichtung zur Anordnung von Sensoren für eine elektronische Betätigung einer Klappe eines Kraftfahrzeugs
JP4941792B2 (ja) * 2010-03-30 2012-05-30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距離センサ及びその取付け構造
US8439425B2 (en) 2010-04-21 2013-05-14 Honda Motor Co., Ltd. Sensor housing
JP5607990B2 (ja) * 2010-05-14 2014-10-1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超音波センサ
US9488459B2 (en) * 2011-07-01 2016-11-08 Borgwarner Inc. Position sensor module
US9278659B2 (en) * 2014-04-22 2016-03-0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Bumper component with embedded sensor
DE102015212599B3 (de) * 2015-07-06 2016-06-23 Robert Bosch Gmbh Ultraschallsensorvorrichtung zur Anordnung an einem Verkleidungsbauteil eines Fahrzeugs
JP6848831B2 (ja) * 2017-11-28 2021-03-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センサー搭載構造
DE102022128118A1 (de) 2022-10-25 2024-04-25 Baumer Electric Ag Sensoreinheit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25294B1 (ko) * 1971-03-16 1979-08-27
JPS61125784A (ja) 1985-09-06 1986-06-13 日東精工株式会社 産業用ロボツト
JPH07318659A (ja) * 1994-05-25 1995-12-0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超音波センサ
JP3264109B2 (ja) * 1994-10-21 2002-03-11 三菱電機株式会社 障害物検知装置
JP3114617B2 (ja) * 1996-05-20 2000-12-04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超音波センサ
JPH1026664A (ja) * 1996-07-10 1998-01-2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駐車場用超音波センサ
JPH10123235A (ja) * 1996-10-15 1998-05-15 Denso Corp 超音波センサ及び車両用障害物検出装置
US5844471A (en) * 1997-06-13 1998-12-01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Heated vehicle exterior object sensor
JP3935245B2 (ja) * 1997-08-12 2007-06-20 ダイセル化学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用ガス発生器及びエアバッグ装置
DE19835782A1 (de) * 1997-08-23 1999-04-01 Itt Mfg Enterprises Inc Ultrschallwandler mit in Wandlerlängsrichtung angeordneter Platine für eine elektrische Schaltung
US6089106A (en) * 1998-09-04 2000-07-18 Breed Automotive Technology, Inc. Force sensor assembly
JP2000121739A (ja) * 1998-10-16 2000-04-28 Murata Mfg Co Ltd 超音波センサ、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613449B2 (ja) * 1999-06-25 2005-01-26 株式会社デンソー 超音波センサ
JP3798194B2 (ja) * 1999-08-03 2006-07-19 矢崎総業株式会社 回路遮断装置
JP2001215143A (ja) * 2000-02-02 2001-08-10 Ricoh Elemex Corp 超音波計測装置
US6457545B1 (en) * 2000-06-05 2002-10-01 Delta Systems, Inc. Hall effect seat switch
JP2002112392A (ja) * 2000-10-04 2002-04-12 Murata Mfg Co Ltd 超音波センサ、およびこれを用いる電子機器
JP4352611B2 (ja) * 2000-12-25 2009-10-28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超音波検出装置
US6431594B1 (en) * 2001-01-05 2002-08-13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Air bag inflator with mechanism for deactivation of second stage and autoignitio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90231A (ko) * 2012-02-03 2013-08-1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센서 조립체 및 이의 조립 방법
KR20150001041A (ko) 2013-06-26 2015-01-0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초음파 센서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11450A (ko) 2014-07-22 2016-02-0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감지센서
KR20160012744A (ko) 2014-07-25 2016-02-0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감지센서
KR20160024186A (ko) 2014-08-25 2016-03-0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초음파센서조립체
KR20160136096A (ko) 2015-05-19 2016-11-2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감지센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251790B2 (ja) 2009-04-08
KR100455888B1 (ko) 2004-11-06
DE10203387B4 (de) 2004-03-04
US20020190850A1 (en) 2002-12-19
DE10203387A1 (de) 2003-01-16
US6759950B2 (en) 2004-07-06
JP2003009270A (ja) 2003-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96847A (ko) 초음파 장해물 검출장치 및 그의 조립방법
US9954303B2 (en) Waterproof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20140120763A1 (en) Connector
KR101463132B1 (ko)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JP6634420B2 (ja) 機器直付用シールドコネクタ
JP2000021486A (ja) コネクタ
EP2466693B1 (en) Water-proof connector and method of assembly of water-proof connector
US7066772B2 (en) Plug connector
EP0935316B1 (en) A connector for a circuit board
JP6922838B2 (ja) コネクタ
CN113228423A (zh) 基板用连接器及机器
CN112640223B (zh) 连接器
US6689957B2 (en) Liquid-blocking connector
JPH09120868A (ja) 燃焼室センサコネクタ
JP2000097955A (ja) センサ装置
JP3060363B2 (ja) 樹脂充填コネクタの電線保護構造
JP2005228644A (ja) コネクタ
KR200479351Y1 (ko) 커넥터
JP4138524B2 (ja) センサ装置
KR100804263B1 (ko) 방수용커넥터
JPH09199188A (ja) ターミナルキャップ
JP3265952B2 (ja) 防水コネクタ
JP6768739B2 (ja) 防水コネクタ及び防水コネクタ構造
JP7279614B2 (ja) コネクタ
US20230119180A1 (en)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