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90860A - 탈모장치 - Google Patents

탈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90860A
KR20020090860A KR1020020024936A KR20020024936A KR20020090860A KR 20020090860 A KR20020090860 A KR 20020090860A KR 1020020024936 A KR1020020024936 A KR 1020020024936A KR 20020024936 A KR20020024936 A KR 20020024936A KR 20020090860 A KR20020090860 A KR 200200908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rotating cylinder
hair loss
hair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4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86752B1 (ko
Inventor
이노우에토모유키
스에요시히데카즈
Original Assignee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908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08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67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67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6/00Hair-singe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superfluous hair, e.g. tweez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6/00Hair-singe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superfluous hair, e.g. tweezers
    • A45D26/0023Hair-singe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superfluous hair, e.g. tweezers with rotating clamping elements
    • A45D26/0033Hair-singe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superfluous hair, e.g. tweezers with rotating clamping elements with rollers

Landscapes

  • Massaging Devices (AREA)
  • Hair Curling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Brush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회전구동되는 원통모양의 회전 실린더(4)에 개폐구동되는 탈모용 클릭(383)(412)을 설치하여, 상기 클릭에 의해 협지한 털을 회전 실린더의 회전에 의해 뽑는 탈모장치에 있어서, 회전 실린더의 외부 노출면을 덮는 플레이트(32)를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플레이트에 회전 실린더의 회전방향에 평행한 방향의 장공(32a)을 형성하여, 피부에 회전 실린더나 탈모용 클릭이 접촉하게 되는 것을 플레이트로 막는 동시에, 플레이트에 형성된 장공으로부터 털을 도입하여 잡아뽑게 되어 있으므로, 피부를 상하게 하는 경우 없이 짧은 털의 탈모가 가능하다.

Description

탈모장치{EPILATING DEVICE}
본 발명은, 미용 등의 목적을 위해 체모를 제거하는데 사용되는 탈모장치에 관한 것이다.
회전구동되는 부재에 털의 협지부재를 설치하여, 협지한 털을 회전운동에 의해 뽑는 탈모장치가 특개평2-29208호 공보나 특개평2-215406호 공보, 또 특개평3-30706호 공보에 의해 공지되어 있다.
이와 같은 탈모장치에 있어서는, 회전부재나 털의 협지부재가 직접 피부에 접촉하면 피부를 상하게 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상기 종래예에서는, 털의 협지부재를 구비한 회전부재를 덮는 피부보호부재를 설치하는 동시에, 피부보호부재에 설치한 구멍을 통하여 털을 회전부재 쪽으로 유도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예에서의 상기 구멍은, 회전부재인 탈모 롤러의 축방향으로 연장시킨 것이거나 물결 형상의 것이었기 때문에, 탈모장치를 피부를 따라 움직여서 탈모할 때, 구멍의 측벽은 진행방향에 대하여 각도를 가지므로 피부를 긁히게 할 우려가 높고, 피부면 위를 이동시키는 것에 대하여 저항하는 힘이 커서 사용하기가 불편하다. 또한, 피부에 가하는 힘도 커지게 되므로 피부를 손상시킨다고 하는 문제도 가지고 있다.
또한, 피부보호부재가 피부와 탈모롤러 사이에 위치하므로 피부보호부재의 두께가 문제가 된다. 강도를 유지하기 위해서 두껍게 하면 짧은 털을 협지하여 뽑을 수 없고, 얇게 하면 강도를 유지하기 어렵게 된다.
또한, 상기 종래예에서는, 쌍을 이루는 탈모롤러를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시켜서 털을 협지하게 되어 있지만, 털을 협지하는 개소(箇所)가 피부면으로부터 떨어져 있기 때문에 더 짧은 털은 뽑을 수 없게 되어 있다.
또한, 탈모롤러의 길이방향 전장(全長)의 영역에서 털을 협지하여 잡아뽑을 수 있게 되어 있기 때문에, 다수의 털을 동시에 뽑게 되는 경우가 있으며, 이로 인해 자극이 대단히 크고 고통스럽게 된다. 더욱이, 한 쌍의 롤러가 필요하기 때문에, 피부와 접촉시키는 부분이 아무래도 크게 되어 겨드랑이와 같은 좁은 개소의 털을 뽑는 것이 곤란해진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점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은, 탈모에 있어서 짧은 털이더라도 효율적으로 뽑을 수 있는 동시에 피부를 상하지 않게 하는 탈모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 케이싱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 케이싱 내 부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초대 블록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모블록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모블록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실린더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실린더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실린더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실린더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실린더 표면의 전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실린더와 플레이트와 빗의 개략 전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모블록의 저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초대 블록의 평면도이다.
도 21은 탈모블록의 진동운동을 나타내는 것으로, (a)는 탈모헤드의 평면도이고, (b)는 기초대 블록의 평면도이다.
도 22는 탈모블록의 진동운동을 나타내는 것으로, (a)는 탈모헤드의 평면도이고, (b)는 기초대 블록의 평면도이다.
도 23은 탈모블록의 진동운동을 나타내는 것으로, (a)는 탈모헤드의 평면도이고, (b)는 기초대 블록의 평면도이다.
도 24는 다른 예에 따른 탈모헤드의 단면도이다.
※ 도면부호의 설명
1... 본체 하우징
2... 탈모헤드
4... 회전 실린더
32... 플레이트
32a.. 장공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관한 탈모장치는, 회전구동되는 원통모양의 회전 실린더에 개폐구동되는 탈모용 클릭을 설치하여, 상기 클릭에 의해 협지한 털을 회전 실린더의 회전에 의해 뽑는 탈모장치에 있어서, 회전 실린더의 외부 노출면을 덮는 플레이트를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플레이트에 회전 실린더의 회전방향에 평행한 방향의 장공(長孔)이 상기 클릭의 털 파지 위치에 대향되게 형성되어 있는 것에 특징을 가지고 있다. 피부에 회전 실린더나 탈모용 클릭이 접촉하게 되는 것을 플레이트로 방지하는 동시에, 플레이트에 형성된 장공으로부터 털을 유도하여 뽑을 수 있도록 한 것이고, 더욱이 장공이 회전 실린더의 회전방향에평행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털을 효율적으로 도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공의 양측벽이 피부에서의 털의 근원을 눌러 부쳐서, 털이 피부에 메워져 있는 부분을 짜 내어 장공 내로 유도함으로써 탈모용 클릭에 의해 협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짧은 털도 확실하게 탈모할 수 있다.
또한, 회전 실린더 위에 설치된 복수의 탈모용 클릭이 회전 실린더의 회전축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고, 플레이트에 설치된 장공은 상기 클릭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상기 축방향으로 나란히 있으면, 어떤 장공에 들어간 털도 탈모할 수가 있기 때문에 효율 높은 탈모를 할 수 있다.
더욱이, 회전 실린더 위에 설치된 탈모용 클릭이 회전 실린더의 축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로드에 의해서 개폐되는 것이면, 회전 실린더의 외주(外周)에서 털을 협지할 수가 있기 때문에, 피부면에 보다 가까운 위치에서 털을 협지할 수 있어, 보다 짧은 털을 탈모할 수가 있다.
또한, 회전 실린더 위에 설치된 탈모용 클릭의 외주 테두리가 회전 실린더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면, 확실히 짧은 털을 협지하기 쉽게 되어 짧은 털의 탈모효율을 높일 수 있다.
더욱이, 탈모용 클릭의 외주 테두리가 플레이트에 탄성 접촉하고 있으면 더욱 짧은 털의 탈모효율이 높게 된다.
또한, 플레이트가 회전 실린더의 외주면에 따른 곡면을 갖고 있으면, 다리나 팔같은 비교적 평면으로서 면적이 큰 부위만이 아니라, 겨드랑이 등과 같이 우묵하게 들어간 부위를 탈모할 때도 사용하기 편리하게 된다. 또한, 곡면을 갖는 것으로, 탈모를 위해 피부를 따라 탈모장치를 움직일 때, 앞쪽이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털의 장공으로의 도입 효율도 양호해진다.
특히, 플레이트의 곡면이 회전 실린더의 반경 이상의 곡율반경이면, 플레이트에 대하여 회전 실린더를 내접시킬 수 있기 때문에 짧은 털의 탈모성능을 높일 수 있다.
더욱이, 플레이트의 곡면 중심과 회전 실린더의 회전중심이 일치하고 있으면, 회전 실린더 외주에서 탈모 클릭이 플레이트 내면에 근접 내지 접촉하고 있는 상태를 큰 회전범위에서 확보할 수가 있어, 짧은 털을 탈모하기 위한 유효각도가 크므로 탈모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를 금속의 박판으로 형성해 놓으면, 플레이트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의 두께 및 플레이트에 형성된 장공의 폭은, 플레이트 외면을 피부면에 밀어 부쳤을 때에 내면쪽으로 피부가 돌출되지 않는 값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플레이트에 형성된 장공의 폭은 플레이트 판두께의 2∼5배이면, 특히 전술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의 장공에서, 탈모 조작시에 피부에 따라 움직이는 방향의 선단(先端)쪽 일단(一端)의 폭이 넓게 되어 있으면, 구멍 안으로의 털의 도입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에 형성된 장공의 단면 형상이 플레이트 외면쪽으로부터 내면쪽을 향해 폭이 좁게 되어 있으면, 플레이트를 피부에 밀어 부친 때에, 피부가 구멍 내부에 들어가기 쉬워져 피부를 플레이트 내면 가까이까지 밀어넣을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가 그 외면쪽에 회전 실린더의 회전축 방향으로 빗살모양 돌기가 나란히 서는 빗(comb)을 구비하고 있으면, 빗에 의해서 털이 나뉘어지기 때문에 장공에 털이 도입되기 쉬워진다.
더욱이, 빗의 빗살모양 돌기의 피치를 플레이트의 장공 간격과 일치시켜 놓으면, 빗에 의한 털의 나뉨 효과가 보다 유효하게 된다.
더욱이, 빗의 빗살모양 돌기는 회전 실린더의 축방향에서 플레이트의 장공 사이의 위치에 있으면, 빗에 의해 나뉘어진 털이 장공에 도입되기 쉬워진다.
또한, 빗의 빗살모양 돌기 선단과 플레이트의 곡면 정부(頂部)와의 사이가 회전 실린더의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목 공간으로 되어 있으면, 긴 털이 오목 공간에서 세워지기 때문에, 플레이트에 설치된 장공으로 도입되기 쉬워져, 긴 털에 있어서도 높은 탈모성능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 외면측의 표면에 요철을 설치해 놓음으로써, 피부에 따라 움직일 때, 피부면과 플레이트 표면과의 접촉면적을 적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부드럽게(smooth) 움직일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를 회전 실린더의 회전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진동시키게 하더라도 상기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때, 플레이트의 진동방향이 플레이트가 피부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이면, 보다 쉽게 움직일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를 유지하는 동시에 회전 실린더를 둘러싸고 있는 헤드 프레임의 착탈이 자유로우면, 내부에 들어간 털을 제거하는 것이 용이하게 되어 청결한 탈모장치로 할 수 있다.
또한, 회전 실린더를 피부면과 직교하는 방향의 축 주위로 요동시키는 진동기구를 구비하고 있으면, 겨드랑이 같이 피부가 부드러운 부위의 탈모를 할 때도, 회전 실린더에서의 요동축 위에 위치하는 부분의 존재에 의해 피부가 함께 움직이기 어렵게 되고, 이 때문에 탈모효율을 좋게 할 수 있다. 또한, 일정한 주기(周期) 이동이면, 피부와의 마찰저항도 작게 할 수가 있어, 사용하기 편리할 수 있다.
또한, 요동축은 회전 실린더의 유효 폭의 중앙에 위치시켜 놓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보다 피부가 움직이기 어렵게 되어 탈모효율을 높이고 사용의 편리성을 좋게 할 수 있다.
또한, 평행 병렬로 배치된 복수의 회전 실린더를 구비한 것에서는 중앙에 요동축을 위치시켜 놓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회전 실린더와 이 회전 실린더로의 회전동력 전달용의 기어를 유지하고 있는 탈모헤드 전체를 축 주위로 요동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진동구조를 간단히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구동원으로부터 탈모헤드에 이르는 회전동력 전달부재 중에, 요동축과 동일 축의 페이스 기어(face gear)를 설치하면, 회전 실린더로의 회전동력전달과 진동구조의 양립이 간단해진다.
그리고, 상기 페이스 기어에 요동 구동용의 편심캠을 설치함으로써, 진동을위한 요동 구동도 간단히 행할 수 있다.
또한, 편심캠과 걸어맞춰져 편심캠의 회전에 의해 요동하는 링크 아암을, 요동축 주위에 회전이 자유롭게 되어 있는 탈모헤드에 연결하여 진동기구로 해놓으면, 진동 요동시 피부로의 밀어부침에 의한 밀어부침 부하를 작게 할 수가 있고, 회전수가 내려 가는 경우도 없기 때문에 탈모효율이 좋게 할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는 탈모헤드의 피부면 쪽에 위치하여 탈모헤드와 함께 요동함으로써, 플레이트의 장공에 도입한 털이 절단되는 경우가 없어지기 때문에 뽑다 남은 것이 없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탈모헤드에 회전 실린더의 축방향과 직교하고 또한 피부면과 평행한 방향의 빠짐 방지용 축이 삽입되어 있으면, 탈모헤드의 조립이 간단해진다.
(실시예)
이하, 도면에 나타내는 일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하면, 도시예의 탈모장치는, 도 3∼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사이즈로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구동원인 모터(3)를 내장하고 있는 본체 케이싱(1) 상에 회전 실린더(4)를 구비한 탈모헤드(2)를 설치한 것으로, 회전 실린더(4)에는 개폐하여 털을 협지하는 복수의 클릭(411)(383)으로 구성된 탈모 수단이 설치되어 있어, 회전 실린더(4)의 축 주위 회전과 함께 탈모 수단이 털을 협지하여 뽑게 되어 있다.
앞면에 스위치(S)가 배치되어 있는 본체 케이싱(1)은,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후 2개로 나뉘어진 반쪽 케이싱(7)(7)을 나사(7n)에 의해 접합한것으로, 상단 개구부는 모터(3)나 구동전달수단을 유지하여 본체 케이싱(1) 내에 수용된 기초대(8)의 윗면부에 의해 닫혀져 있고, 본체 케이싱(1)의 하단에는 급전용 플라스틱(9)을 구비하고 있다. 또, 본체 케이싱(1)에 전원인 전지를 내장한 것이라도 좋다.
윗면부에 후크 연결부(10)를 구비하고 있는 상기 기초대(8)는, 모터내장용 기초대(12)와 이것의 옆쪽 개구부에 나사(131n)로 고정되는 커버(13)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모터내장용 기초대(12) 하부의 모터내장부(12a)에 아래쪽으로부터 모터(3)가 끼워넣어져 있다. 그리고 커버(13)에 의해 옆쪽 개구부가 덮어진 모터내장용 기초대(12)의 상부 내의 공간(16)에는 기어(18), 기어(19)가 수용되어 있고, 반쪽 케이싱(7)(7) 내의 돌기(7d)(7e) 사이에 모터내장용 기초대(12)의 지지틀(25)이 끼워짐으로써 본체 케이싱(1)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기초대(8)에 축(18j)에 의해 설치된 기어(18)는 페이스 치차(181)와 소 치차(180)로 이루어지며, 축(19j)에 의해 축 지지되어 기초대(8)의 윗면부에 면하고 있는 기어(19)는 상기 소 치차(180)와 맞물려 있다. 모터내장부(12a)에 장착된 모터(3)의 출력축(3a)은, 모터내장용 기초대(12)의 구멍(12b)을 통하여 공간(16) 내에 위치하지만, 이 부분에 고착된 피니언(17)이 상기 페이스 치차(181)에 맞물려 있기 때문에, 모터(3)의 회전은 피니언(17) 및 기어(18)를 통해 기어(19)에 전달되고, 이 기어(19)를 통해 후술하는 탈모헤드(2)의 회전 실린더(4)의 구동 등이 이루어진다.
기초대(8) 윗면의 후크 연결부(10)는, 모터내장용 기초대(12)의 윗면부 중앙부에 설치한 터널용 돌부(10a)와, 한 쌍의 슬라이드틀(26)(26)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터널 통로를 가지고 있는 터널용 돌부(10a)의 표면부에는 구멍(15b)이 설치되어 있다.
평면에서 볼 때 직사각형을 이루는 각 슬라이드틀(26)은, 그 바깥쪽 편부로부터 바깥쪽을 향하여 조작부(26a)가 돌출되게 설치되고, 안쪽 편부의 내면에 지지 후크(261b)가 돌출되게 설치되며, 안쪽 편부의 위쪽에 스톱퍼용 돌부(26b)가 위쪽을 향하여 돌출된 것으로, 터널용 돌부(10a)의 터널 통로 내에 슬라이드가 자유롭게 끼워지는 동시에 스톱퍼용 돌부(26b)가 구멍(15b) 내에 슬라이드가 자유롭게 걸어맞춰지는 것에 의해 터널용 돌부(10a)에 장착된다. 스톱퍼용 돌부(26b)가 구멍(15b)의 둘레에 걸려드는 것에 의해 빠지는 것이 방지된 한 쌍의 슬라이드틀(26)(26) 사이에는, 터널 통로 내에서 스프링(26d)이 끼워져 설치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26d)에 의해서 양 슬라이드틀(26)(26)은 바깥쪽을 향하여 탄성력을 받는다. 그리고, 양 슬라이드틀(26)의 조작부(26a)는 본체 케이싱(1)에 형성된 구멍(7f)을 통해 본체 케이싱(1)의 바깥쪽으로 돌출된다.
다음, 기초대 블록(15)과 탈모블록(24)으로 이루어지는 탈모헤드(2)에 관해서 설명하면, 탈모블록(24)은,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모 수단을 구비한 회전 실린더(4)와, 이 회전 실린더(4)를 지지하는 실린더 설치용 기초대(27) 및 실린더 커버(28)와, 캠(29), 유지 스프링(301)(302), 헤드 프레임(31), 베이스(300), 그리고 플레이트(32)로 이루어진다.
실린더 설치용 기초대(27)와 그 일단부에 설치되는 실린더 커버(28)는, 각각으로부터 위쪽을 향해 돌출된 돌출 지지부(27a)(28a)에 형성되어 있는 축 공부(孔部)(28b)에 의해서 회전 실린더(4)에 삽입되어 있는 축(4b)의 양단부가 지지됨으로써 회전 실린더(4)가 그 축 주위로 회전이 자유롭게 유지되는 것으로, 여기서는 2개의 회전 실린더(4)가 평행 병렬로 유지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상기 돌출 지지부(27a)(28a)에는 각각 다각 구멍모양을 한 캠 삽입구멍(27c)(28c)과, 캠 삽입구멍(27c)(28c)의 상하 테두리부에 위치하는 축지지홈(27d)(28d)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롤러형의 캠(29)이 각각 캠 삽입구멍(27c)(28c)에 끼워 넣어지는 동시에, 각 캠(29)에 삽입된 롤러축(29a)의 상하 양단부가 축 지지홈(27d)(28d)에 끼워 넣어져, 캠(29)이 수평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또, 캠(29)의 일부는 캠 삽입구멍(27c)(28c)에서 안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돌출 지지부(27a)(28a)의 바깥쪽에는 유지 스프링(301)(302)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유지 스프링(301)(302)은, 각각 형성된 구멍(301a)(302a)으로 삽입되는 나사(301n)(302n)에 의해 실린더 설치용 기초대(27)와 실린더 커버(28)에 고정된 것으로, 그 상부에는 구멍부(301b)(302b)가 구비되어 있고, 이 구멍부(301b)(302)의 상하 테두리부에서 상기 롤러축(29a)의 상하 양단을 탄성적으로 누르고 있다. 구멍부(301b)(302b)는 캠(29)에 대응되는 것으로, 캠(29)이 유지 스프링(301)(302)에 접촉하는 경우가 없게 되어 있다.
회전 실린더(4)는 도 12∼도 15, 특히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대략 원통부재(41)(42)를 축방향으로 연결함으로써 형성된 것으로, 그 외주면에는주(周) 방향으로 복수 개소(도시예에서는 60°의 간격을 배치하여 6 개소)의 오목부(4a)를 구비하며, 각 오목부(4a) 내에 개폐로드(38a)(38b)(38c)(38d)(38e)(38f)가 조립되어 있다. 또한, 한쪽 원통부재(42)의 옆쪽 단부에는 기어(42g)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다른쪽 원통부재(41)의 옆쪽 면부(面部)에 설치된 복수의 구멍(41a)에 각각 개폐로드(38a)(38b)(38c)(38d)(38e)(38f)의 레버부(381)가 회전 실린더(4)의 중앙쪽으로부터 삽입되어 있다.
개폐로드(38a)(38b)(38c)(38d)(38e)(38f)는 그 레버부(381)와 반대쪽에, 원주모양의 돌기(382)를 가지고 있으며, 이 돌기(382)에 복귀 스프링(43)이 걸어맞춰져 있다. 그리고, 원통부재(42)의 원주방향으로 설치된 오목부(4a)의 회전축 부근에 설치된 오목부(42a)에, 복귀 스프링(43)과 걸어맞춰진 개폐로드(38a)(38b)(38c) (38d)(38e)(38f)가 설치된다. 이 때, 개폐로드(38a)(38b)(38c)(38d)(38e)(38f)가 원통부재(42)의 방향으로 이동한 때, 개폐로드(38a)(38b)(38c)(38d)(38e)(38f)는 복귀 스프링(43)의 반력에 의해 다른쪽 원통부재(41) 쪽으로 탄성력을 받는다.
또한, 원통부재(42)의 원통부재(41) 쪽 벽면(42b)에는 털 협지용의 클릭(421)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클릭(421)과 함께 움직여 털을 협지하는 클릭(383)은, 상기 개폐로드(38a)(38b)(38c)(38d)(38e)(38f)의 원통부재(42) 쪽 끝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 클릭(421)(383)은 원통부재(42)나 개폐로드(38a)(38b)(38c)(38d)(38e)(38f)와는 별도 부품으로서 구성되어 있더라도 좋다.
그리고, 양 원통부재(41)(42)는, 원통부재(42) 회전중심부에 설치한 육각 형상의 볼록부(42c)는 원통부재(41) 중앙의 육각 형상의 구멍(41b)에 삽입되고, 복수개의 빠짐 방지핀(44)을 고리 구멍(41c)(42d)에 대하여 압입함으로써 연결된다. 또, 빠짐 방지핀(44)은, 개폐로드(38a)(38b)(38c)(38d)(38e)(38f)의 원통부재(41)(42)와 동일한 외형 형상을 가지는 부분(384)에 형성된 구멍(385)으로 삽입 통과됨으로써, 개폐로드(38a)(38b)(38c)(38d)(38e)(38f)의 슬라이드 가이드로서도 기능한다.
여기서, 회전 실린더(4)의 주방향으로 나란히 있는 오목부(4a)는, 회전축 방향에서 등간격으로 어긋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 실린더(4)를 원주방향으로 전개할 때,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릭(383)(421)에 의한 털의 파지 위치도 회전축 방향에서 등간격으로 어긋나 있으며, 이 때문에, 겨냥한 털이 용이하게 빠질 뿐만 아니라, 빠지다 남은 것이 적어 탈모효율이 높게 되어 있다.
상기 회전 실린더(4)를 축(4b)을 매개로 지지하는 실린더 설치용 기초대(27)와 실린더 커버(28)에는, 더욱이 복수개의 구동전달 치차(20W)(20W)(21W)(22W)가 배치되어 있다. 축(22j)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베이스(300)의 아래면에 일부를 드러내는 치차(22W)는, 축(21j)에 의해 지지된 중간 치차(21W)와 맞물리며, 더욱이 축(20j)(20j)에 의해 지지된 치차(20W)(20W)는, 함께 중간 치차(21W)와 맞물리는 동시에, 각 회전 실린더(4)의 단부에 설치된 치차(42g)와 맞물린다. 치차(22W)의 회전이 중간 치차(21W) 및 치차(20W)를 통해 각 회전 실린더(4)(4)에 전달되어, 양 회전 실린더(4)(4)는 서로 같은 방향으로 회전한다.
또, 2개의 회전 실린더(4)(4)는 동일한 것이지만, 이 2개를 축방향으로 반대방향이 되도록 함으로써, 2개의 회전 실린더(4)(4)에서의 털의 파지 위치(클릭(383)(421)의 위치)가 축방향으로 중복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축방향에 서 등간격이 되도록 함으로써, 뽑다 남은 것이 더욱 적게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헤드 프레임(31)은, 상기 회전 실린더(4)의 상부가 면하게 되는 개구부(31c)를 구비하는 것으로, 이 개구부(31c)에는, 2개의 회전 실린더(4)(4) 사이에 위치하는 창살(311)을 구비하고 있는 동시에,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창살(311)의 외면쪽(피부와의 접촉 측)에 회전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311a)을 구비하고 있으며, 더욱이 홈(311a)의 기구(器具)의 진행방향쪽(도 4 중의 아래쪽) 홈 폭이 넓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헤드 프레임(31) 개구부(31c)의 테두리부에는 헤드 프레임(31)의 외면으로부터 일단(一段)으로 움푹 패인 개소(31d)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31c)의 전후방향까지 연장된 상기 오목부(31d)에는 고리형의 돌부(31e)가 형성되어 있다.
또, 창살(311)의 아래쪽으로는, 플레이트 누름부(99)가 배치된다. 이 플레이트 누름부(99)는 두께가 얇으며 세장(細長) 형상으로 된 것으로서, 길이방향의 양단에 돌부(99a)를 구비하며, 표면에는 플레이트 누름용의 가느다란 홈(99b)이 구비되어 있다.
플레이트(32)는 회전 실린더(4)의 외경과 거의 가까운 곡면을 가지는 단면 아치형의 것으로서, 상기 곡면부에는 회전 실린더(4)의 회전방향으로 기다란 복수의 장공(32a)이 구비되어 있다. 또, 이 장공(32a)은, 회전 실린더(4)의 클릭(383)(421)의 털의 파지 위치에 대향시켜서 외면측에 설치되어 있어,장공(32a)을 통하여 털을 파지하는 클릭(383)(421)이 보일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 플레이트(32)의 일단에는 고리 구멍(32b)이 구비되며, 고리 구멍(32b)의 상부에서 장공(32a)의 단부 가까이 구멍(32c)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플레이트(32)의 타단은 돌부(32d)를 가지고 있다.
2개의 회전 실린더(4)(4)에 대응되는 2개의 플레이트(32)(32)가 헤드 프레임(31)의 창살(311)에 대하여 일단의 돌부(32d)를 마주 대한 상태에서, 돌부(32d)를 창살(311)의 아래쪽으로 넣어, 타단쪽의 고리 구멍(32e)을 상기 고리모양의 돌부(31e)에 설치함으로써, 헤드 프레임(31)에 대하여 위치 결정되고 고정된다. 이 때, 플레이트(32)(32)는 그 주연부(周緣部)가 오목 개소(31d)에 위치하여, 플레이트(32)의 이동이 규제된다.
또, 플레이트(32)의 장공(32a)의 단부 가까이 설치된 구멍(32c)에는, 빗(97)이 장착된다. 표면쪽에 빗살모양의 돌기(97a)가 구비되고, 탄성부재에 의해 형성된 상기 빗(97)은, 그 이면(裏面)에 형성되어 있는 부착용 돌기(97b)를 상기 구멍(32c)에 삽입하여 플레이트(32)의 뒷편으로부터 부착용 돌기(97b)를 변형시킴으로써 플레이트(32)에 고정되어 있다.
헤드 프레임(31)에 한 쌍의 플레이트(32)(32)를 상기한 바와 같이 설치하면, 창살(311)의 아래쪽에서, 2개의 플레이트(32)(32)의 돌부(32d)(32d)가 겹친다. 여기에, 헤드 프레임(31)의 아래쪽으로부터 상기 플레이트 누름부(99)를 넣고, 가느다란 홈(99b)에 의해 겹친 플레이트(32)의 돌부(32d)를 끼워서 고정한다.
상기 베이스(300)는, 그 좌우에 형성된 구멍(300b)에 삽입한 나사(31b)를 헤드 프레임(31)의 아래쪽 안쪽 좌우에 설치한 나사보스(31a)에 돌려 넣음으로써 헤드 프레임(31)에 고정된다. 이 때, 상기 플레이트 누름부(99)의 길이방향 양단의 돌부(99a)는, 실린더 설치용 기초대(27)와 실린더 커버(28)에 설치된 위쪽으로 향하는 플레이트 누름 설치홈(270)(280)에 따라 위치 결정된다.
플레이트 누름부(99) 양단의 돌부(99a)의 하부에 스프링을 설치해 놓으면, 플레이트 누름부(99)는 실린더 설치용 기초대(27)와 실린더 커버(28)에 위쪽으로 향해서 설치된 플레이트 누름 설치홈(270)(280)에 따라 탄성력을 받을 수 있다.
기초대 블록(15)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래면에 후크(11)(11)를 구비한 기초대 본체(15a)와, 나사(15n)에서 기초대 본체(15a)의 측면에 연결되는 기초대 커버(15b)와, 이들을 내장하는 기초대 블록 커버(155)와, 기초대 본체(15a) 및 기초대 커버(15b)에 설치되는 기어(15c)(150) 및 링크핀(98)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사(15n)에서 연결된 기초대 본체(15a)와 기초대 커버(15b)에 의해서 양단이 지지되어 있는 축(105j)에 의해 유지된 상기 기어(15c)는 소 기어(15d)를 일체로 구비하고 있다. 기어(150)는 축(15f)에 의해서 수평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는 것으로, 편심캠(15g)과, 하향 페이스 기어(15e)와 상향 페이스 기어(15h)를 구비하고 있고, 페이스 기어(15e)가 상기 소 기어(15d)에 맞물려 있다.
대략 세장(細長) 부채형상을 한 링크핀(98)은, 그 일단의 폭이 넓은쪽에 세장의 구멍(98a)을, 타단쪽에 요동핀(98b)을 구비한 것으로, 중간부의 구멍(98c)에 상기 축(15f)과 평행한 핀(99j)이 삽입되고, 상기 핀(99j)을 중심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기어(150)의 편심캠(15g)이 구멍(98a) 내에 위치하여, 편심캠(15g)의 회전에 따라 링크핀(98)은 핀(99j)을 중심으로 요동한다.
나사(155n)로 기초대 본체(15a)와 기초대 커버(15b)에 기초대 블록 커버(155)를 고정함으로써 조립된 기초대 블록(15)의 표면쪽에 탈모블록(24)이 설치된다. 즉, 탈모블록(24)의 베이스(300) 아래면 쪽에 돌출되어 있는 리브(27A)(27B)가 기초대 블록(15)의 윗면 오목부 내에 끼워지는 동시에, 기초대 블록(15)의 윗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축(15f)의 상단이 실린더 커버(28) 아래면의 구멍(27f)에 삽입되어 페이스 기어(15h)가 치차(22W)에 맞물려진다. 더욱이, 상기 링크핀(98)의 요동핀(98b)을 베이스(300)에 형성된 장공(27C)에 걸리게 하여, 양단부가 기초대 본체(15a)와 기초대 커버(15b)에 지지되는 축(15j)을 상기 리브(27A)(27B)에 설치한 구멍(27Ab)(27Bb)에 각각 헐겁게 삽입함으로써, 기초대 블록(15)에 탈모블록(24)을 연결하는 동시에, 축(15f)을 중심으로 탈모블록(24)을 작은 각도 내에서 회동이 자유롭게 한다. 축(15f)을 중심으로 한 탈모블록(2)의 회동을 가능하게 하면서 기초대 블록(15)으로의 탈모블록(2)의 조립 부착이 축(15j)의 삽입에 의해 간단히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탈모블록(24)과 기초대 블록(15)으로 이루어지는 탈모헤드(2)는, 그 아래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한 쌍의 후크(11)(11)를 본체 케이싱(1)에서의 조작부(26a)를 누른 상태에서 각각 양 슬라이드틀(26)(26)의 직사각형 모양을 한 개구 내에 끼워 넣고, 이 상태에서 조작부(26a)의 압압(押壓)을 해제하여 스프링(26d)의 스프링력에 의해 양 슬라이드틀(26)을 외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지지후크(261b)를 상기 후크(11)에 걸어맞추는 것에 의해, 본체 케이싱(1)에 설치된다. 이 때, 본체케이싱(1) 쪽의 치차(19)가 기어(15c)와 맞물리기 때문에, 모터(3)의 회전은 회전 실린더(4)까지 전달되게 된다. 탈모헤드(2)를 떼어낼 경우에는, 상기와 반대로 조작부(26a)를 누름으로써 지지후크(261b)를 후크(11)로부터 빼낼 수 있기 때문에, 이 상태에서 탈모헤드(2)를 떼어 놓기 좋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도시예의 탈모장치에 있어서, 탈모헤드(2)를 본체 케이싱(1)에 설치한 상태에서 모터(3)를 구동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기어(18)와 치차(19)를 통해 기어(15c)에 회전이 전달되고, 더욱이 기어(15c)의 회전이 기어(150)와 치차(22W)(21W)(20W)를 통해 회전 실린더(4)에 설치된 기어(42g)에 전달되어 회전 실린더(4)가 회전한다.
회전 실린더(4)가 회전하여,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29)의 위치에 온 개폐로드(38a)(38b)(38c)(38d)(38e)(38f)는 캠(29)에 의해 눌려져 복귀 스프링(43)에 대항하여 안쪽으로 들어가고, 개폐로드(38a)(38b)(38c)(38d)(38e)(38f)의 클릭(383)은 클릭(421)에 접촉하여, 그 사이에 털이 있으면 이것을 협지한다. 그리고, 회전 실린더(24)의 회전에 의해, 클릭(383)(421)에 의해 협지되어 있는 털이 있으면 이 털은 뽑힌다. 회전 실린더(4)의 회전에 의해 다음 개폐로드가 캠(29)의 장소에 이르러 캠(29)에 의해 눌려지면, 그 로드의 클릭(421) 및 이것과 쌍을 이루는 클릭(383)에 의해 털이 협지되고, 회전 실린더(4)의 회전에 의해 털이 뽑힌다. 개폐로드(38a)(38b)(38c)(38d)(38e)(38f)에 대한 캠(29)에 의한 압압력이 해제되면, 복귀 스프링(43)의 스프링력에 의해 개폐로드(38a)(38b)(38c)(38d)(38e) (38f)는 소정의 위치까지 되돌아가기 때문에 클릭(383)(421) 사이는 열리고, 다음 털의협지를 위해 준비된다.
여기서, 회전 실린더(4)는, 클릭(421)(383)의 개폐가 회전축에 평행해지는 개폐로드(38a)(38b)(38c)(38d)(38e)(38f)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털의 협지를 회전 실린더(4)의 최 외주부에서 행할 수 있게 되이어서, 짧은 털도 클릭(383)(421)에 의해 용이하게 협지하여 뽑을 수 있다.
그리고, 회전 실린더(4) 위에 위치하는 플레이트(32)는 피부와 회전 실린더(4)가 직접 접촉하는 것을 막기 때문에, 탈모장치 사용시에 피부에 대한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32)가 설치되어 있다고는 해도, 플레이트(32)에는 회전 실린더(4)의 회전방향에 평행한 장공(32a)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요컨대 탈모장치를 피부에 따라 움직이면서 탈모를 할 때의 움직이는 방향과 장공(32a)의 길이 방향이 일치하고 있어, 털을 장공(32a)에 도입하기 쉽게 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장공(32a)의 양측 테두리가 털의 근원을 누름으로써 짧은 털도 짜내어져 피부면으로부터의 길이가 길어지기 때문에 클릭(383)(421)에 의해 확실하게 잡아 뽑을 수 있다.
또한,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실린더(4)에 설치한 클릭(383)(421)의 열(列) 간격과, 플레이트(32)에 형성된 장공(32)의 간격이 일치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회전축 방향으로 절반씩 어긋나 있기 때문에, 플레이트(32)의 장공(32a)의 위치를 통과한 털은, 반드시 회전 실린더(4)의 클릭(383)(421) 사이를 통과하게 되어 클릭(383)(421) 사이로의 털의 도입을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털의 협지편인 클릭(383)(421)의 외주 테두리를 회전 실린더(4)의 외주면보다 조금 돌출시켜서 플레이트(32) 내면에 더욱 접근시켜 놓으면, 피부면과 클릭(383)(421)과의 사이 거리를 작게 할 수가 있기때문에 짧은 털의 탈모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32) 내면과 클릭(383)(421)의 외주 테두리를 탄성 접촉시켜 놓으면, 항상 플레이트(32)의 안쪽과 클릭(383)(421)과의 거리는 제로여서, 보다 탈모효율을 높게 할 수 있다. 이 때, 클릭(383)(421)이 회전 실린더(4)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면, 회전 실린더(4)의 외주면이 플레이트(32) 내면에 접촉하지 않아, 미끄럼 저항을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플레이트(32)가 열(熱)을 가지는 경우도 없다.
더욱이, 회전 실린더(4)의 회전에 따라 복수의 클릭(383)(421)이 차례로 플레이트(32) 내면에 접촉하기 때문에, 플레이트(32)는 회전 실린더(4)의 회전축과 직교하는 방향, 즉 피부에 접근하거나 떨어지는 방향으로 진동하게 되며, 이와 같은 진동은 플레이트(32)가 피부에 딱 달라붙어 탈모를 위해 피부에 따라 탈모장치를 움직이는 것을 저해하게 되는 사태의 발생을 막는다.
더욱이, 플레이트(32)에 가지게 한 곡면의 중심을 회전 실린더(4)의 중심에 일치시켜 놓으면, 플레이트(32)와 클릭(383)(421)이 접촉하고 있는 구간, 또는 가장 근접하고 있는 구간의 거리(회전 실린더(4)의 원주방향 거리)를 길게 잡을 수 있기 때문에 더욱 탈모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32)가 지나치게 두꺼우면, 클릭(383)(421)과 피부면과의 거리가 커져버리기 때문에, 플레이트(32)의 두께는 될 수 있는 한 얇은 편이 바람직하지만, 회전 실린더(4)의 회전방향으로 장공(32a)이 설치되어 있는 관계상, 장공(32a) 사이에 생기는 가느다란 창살의 강도가 지나치게 낮아지면 안된다. 이 때문에, 플레이트(32)는 얇으면서도 강도를 가지는 소재, 요컨대 강도가 있는 금속 박판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플레이트(82)에 형성된 장공(32a)의 폭과 플레이트(32)의 판두께는, 탈모장치를 피부에 밀어 부쳤을 때에 장공(32a)에 의하여 피부가 조여지라도, 플레이트(32)의 내면 부근에 이르기는 하지만 내면보다 안쪽으로 돌출되는 경우가 없도록 설정해 놓는다. 이 경우, 장공(32a)의 폭을 플레이트(32) 판두께의 2∼5배로 해놓으면 바람직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더욱이,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공(32a)의 진행방향 쪽의 단부를 확대해 놓으면, 이 확대부에 의해 털이 장공(32a)에 도입되어 오기 때문에 긴 털이라도 클릭(383)(421) 사이로 유도하여 잡아뽑을 수 있다.
또한,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공(32a)의 단면형상을 피부면 쪽이 넓고, 플레이트(32) 내면쪽을 향해서 좁아지도록 해놓으면, 플레이트(32)를 피부에 닿게 한 때, 피부가 장공(32a) 사이로 쉽게 들어가게 되므로 장공(32a)의 양측 테두리에 의한 짧은 털의 짜내는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더욱이,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실린더(4)의 회전축 방향으로 신장하는 방향에 빗살모양 돌기(97a)가 나란히 형성되는 빗(97)을 설치하는 동시에, 빗살모양 돌기(97a)의 피치를 장공(32a)의 피치와 일치시켜 놓고, 더욱이 장공(32a)의 앞쪽이 개방된 상태가 되도록, 장공(32a) 사이 창살의 연장선 위에 빗살모양 돌기(97a)를 위치시켜 놓음으로써, 빗(97)의 돌기(97a)에 의해 나뉘어진 털이 플레이트(32)의 장공(32a)에 도입되기 쉬워진다. 더욱이, 빗(97)의 빗살모양 돌기(97a) 선단과 플레이트(32) 곡면의 정부(頂部) 사이가 회전 실린더(4)의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목 공간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긴 털을 세울 수 있는 동시에 세운 털을 장공(32a) 내에 유도하여 탈모할 수 있는 것이다.
또, 플레이트(32)의 표면이 매끈매끈하면, 겨드랑이 등의 부위에서 사용하는 경우에 피부에 플레이트(32)가 달라붙어 움직이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플레이트(32)의 표면에는 미세한 요철을 형성해 놓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레이트(32)가 피부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진동하도록 해놓더라도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 탈모장치에서는, 모터(3)의 구동에 의해 회전 실린더(4)의 회전과 탈모수단인 클릭(383)(421)의 개폐가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기초대 블록(15)에 설치된 링크핀(98)에 의해, 도 21∼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모블록(24)이 주기적인 진동 동작을 하게 되어 있다.
즉, 모터(3)로부터 회전 실린더(4)에 이르는 회전동력 전달경로 중에 있는 기초대 블록(15) 중의 기어(150)는, 그 회전시, 편심캠(15g)에 의해서 링크핀(98)에 주기적인 요동운동을 주는 것으로, 기초대 블록(15) 중앙축(15f)을 중심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되어 있는 탈모블록(24)은, 링크핀(98)의 돌부(98a)가 베이스(300)의 장공(27C)에 걸어맞춰져 있기 때문에, 탈모블록(24)도 주기적으로 요동운동을한다.
탈모블록(24)이 이와 같은 진동운동을 하기 때문에, 겨드랑이 등 피부가 부드러운 부위라도 탈모장치를 피부에 따라 움직일 때 피부가 함께 움직이기 어렵고, 따라서 털의 도입이 잘 되므로 탈모효율이 높아지는 것이다. 또한, 항상 일정한 주기 이동이기 때문에, 피부와의 마찰저항도 작게 할 수가 있고 사용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또, 기초대 블록(15)으로부터 회전 실린더(4)로의 회전동력전달은, 축(15f)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페이스 기어(15g)에 치차(22W)가 맞물리는 것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진동운동이 회전력 전달에 지장을 가져오는 경우는 없다.
도 24는 탈모블록(24)에서의 헤드 프레임(31)을 착탈을 자유롭게 하는 것으로, 헤드 프레임(31) 내에 들어간 털 찌꺼기 등을 청소하기 쉽도록 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는 착탈을 자유롭게 하기 위해서, 베이스 프레임(300)에 형성된 오목부에 하단부를 걸어맞춘 누름 버튼(281)의 상단에 블록(281a)를 설치하고, 양 측단에 누름 버튼(281)을 외부에 드러나게 절취부를 구비한 헤드 프레임(31)의 내면에 상기 후크(281a)가 걸어맞춰져 있다. 복귀 스프링(280)에 대항하여 누름 버튼(281)을 압입하고 누름 버튼를 그 하단쪽을 지점으로 하여 기울게 함으로써 후크(281a)의 헤드 프레임(31)에 대한 걸어맞춤을 해제하면 헤드 프레임(31)을 떼어낼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회전 실린더의 외부 노출면을 덮는 플레이트를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플레이트에 회전 실린더의 회전방향에평행한 방향의 장공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탈모시 피부에 대하여 보다 높은 안전성을 플레이트에 의해 확보할 수가 있고, 더욱이 회전 실린더의 회전방향에 평행한 장공이 플레이트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털을 효율적으로 도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공의 양 측벽이 피부에서의 털의 근원을 눌러붙여 털의 피부에 메워진 부분을 짜내어 장공 내에 유도함으로써, 탈모용 클릭에 의해 협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짧은 털도 확실하게 탈모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회전 실린더 위에 설치된 복수의 탈모용 클릭이 회전 실린더의 회전축 방향에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고, 플레이트에 형성된 장공은 상기 클릭의 간격과 동일 간격으로 상기 축방향에 나란히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어떤 장공에 들어간 털도 탈모할 수가 있어 효율이 높은 탈모를 할 수 있다.
더욱이,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회전 실린더 위에 설치된 탈모용 클릭이, 회전 실린더의 축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로드에 의해서 개폐되기 때문에, 회전 실린더의 외주에서, 요컨대 피부면에 보다 가까운 위치에서 털을 협지할 수 있어, 보다 짧은 털을 탈모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회전 실린더 위에 설치된 탈모용 클릭의 외주 테두리가 회전 실린더의 외주면로부터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확실히 짧은 털을 협지하기 쉬워져 짧은 털의 탈모효율을 높일 수 있다.
더욱이,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탈모용 클릭의 외주 테두리가 플레이트에 탄성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더욱 짧은 털의 탈모효율이 높아지게 된다.
또한,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플레이트가 회전 실린더의 외주면에 따른 곡면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다리나 팔과 같은 비교적 평면으로 면적이 큰 부위만이 아니라 겨등랑이 등과 같이 우묵하게 들어가 있거나 하는 부위의 탈모를 할 때에도 사용하기 좋으며, 또한 탈모를 위해 피부에 따라 탈모장치를 움직일 때, 앞쪽이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털의 장공으로의 도입 효율도 양호해진다.
더욱이,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플레이트의 곡면이 회전 실린더의 반경 이상의 곡률 반경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플레이트에 대하여 회전 실린더를 내접시킬 수 있어 짧은 털의 탈모성능을 높일 수 있다.
더욱이,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플레이트의 곡면 중심과 회전 실린더의 회전 중심이 일치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 실린더 외주에서 탈모클릭이 플레이트 내면에 근접 내지 접촉되어 있는 상태를 큰 회전범위에서 확보할 수 있어, 짧은 털을 탈모하기 위한 유효각도가 커서 탈모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플레이트가 금속의 박판으로 형성되어있기 때문에, 두께를 얇게 한 채로 플레이트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청구항 10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플레이트의 두께 및 플레이트에 형성된 장공의 폭은, 플레이트 외면을 피부면에 밀어부쳤을 때에 내면쪽으로 피부가 돌출되지 않는 값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대단히 짧은 털이라도 피부를 상하게 하는 경우 없이 클릭으로 협지하여 뽑을 수 있다.
더욱이, 청구항 11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플레이트에 형성된 장공의 폭이 플레이트 판 두께의 2∼5배이기 때문에, 전술한 효과를 확실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청구항 12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플레이트의 장공에서의 탈모조작시에 피부에 따라 움직이는 방향의 선단측 일단의 폭이 넓게 되어 있기 때문에, 구멍내로의 털의 도입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청구항 13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플레이트에 형성된 장공의 단면 형상이, 플레이트 외면쪽으로부터 내면쪽을 향해서 폭이 좁게 되어 있기 때문에, 플레이트를 피부에 밀어 부친 때, 피부가 구멍 내로 들어가기 쉬으므로 피부를 플레이트 내면 가까이까지 넣어 짧은 털을 협지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14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플레이트는 그 외면 쪽에 회전 실린더의 회전축 방향으로 빗살모양 돌기가 나란히 서는 빗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빗에 의해서 털이 나뉘어질 수 있어 장공으로의 털의 도입효율을 높일 수 있다.
더욱이, 청구항 15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빗의 빗살모양 돌기의 피치를 플레이트의 장공의 간격과 일치되어 있기 때문에, 빗에 의한 털의 나뉨 효과가 보다 유효하게 된다.
더욱이, 청구항 16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빗의 빗살모양 돌기가 회전 실린더의 축방향에서 플레이트의 장공 사이의 위치에 있기 때문에, 빗에 의해 나뉘어진 털이 장공에 도입되기 쉬워진다.
또한, 청구항 17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빗의 빗살모양 돌기 선단과 플레이트 곡면의 정부 사이가 회전 실린더의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목 공간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긴 털을 오목 공간에서 세울 수가 있어 긴 털에 있어서도 높은 탈모성능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18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플레이트의 외면 쪽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피부에 따라 움직일 때, 피부면과 플레이트 표면과의 접촉면적이 작게 되어 부드럽게 움직일 수 있다.
또한, 청구항 19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플레이트를 회전 실린더의 회전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진동시키기 때문에, 특히, 청구항 20에 기재된 발명과 같이, 플레이트의 진동방향을 플레이트가 피부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하고 있으면, 피부에 따라 움직일 때에 부드럽게 움직일 수 있다.
또한, 청구항 21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플레이트를 유지하는 동시에 회전 실린더를 둘러싸고 있는 헤드 프레임이 착탈이 자유롭기 때문에, 내부에 들어간 털을 제거하는 것이 용이해져 청결한 탈모장치로 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22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회전 실린더를 피부면과 직교하는 방향의 축 주위로 요동시키는 진동기구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겨드랑이 같이 피부가 부드러운 부위를 탈모할 때도, 회전 실린더에서의 요동축 위에 위치하는 부분의 존재에 의해 피부가 함께 움직이기 어렵게 되고, 이 때문에 탈모효율을 좋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정한 주기 이동이면 피부와의 마찰저항도 작게 할 수가 있어 사용을 편리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청구항 23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요동축을 회전 실린더의 유효폭의 중앙에 위치시키고 있기 때문에, 보다 피부가 움직이기 어렵게 되며 탈모효율을 높이고 사용을 편리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청구항 24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평행 병렬로 배치된 복수의 회전 실린더를 구비한 것에 있어서, 그 중앙에 요동축을 위치시키고 있기 때문에, 복수의 탈모요소를 설치하였다고 해도 피부가 움직이기 어렵게 된다든지 하는 경우는 없다.
또한, 청구항 25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회전 실린더와 이 회전 실린더로의 회전동력 전달용의 기어를 유지하고 있는 탈모헤드 전체가 축 주위로 요동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진동구조를 간단히 얻을 수 있다.
또한, 청구항 26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구동원으로부터 탈모헤드에 이르는 회전동력 전달부재 중에 요동축과 동일 축의 페이스 기어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 실린더로의 회전동력전달과 진동구조의 양립이 간단해진다.
또한, 청구항 27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상기 페이스 기어에 요동 구동용의 편심캠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진동을 위한 요동 구동도 간단히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청구항 28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편심캠과 걸어맞춰져 편심캠의 회전에 의해 요동하는 링크 아암을 요동축 주위로 회전이 자유롭게 되어 있는 탈모헤드에 연결하여 진동기구로 하고 있기 때문에, 진동 요동시의 피부로의 눌러부침에 의한 눌러부침 부하를 작게 할 수 있고, 회전수가 내려 가는 경우도 없기 때문에 탈모효율이 좋은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29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플레이트가 탈모헤드의 피부면 쪽에 위치하여 탈모헤드와 함께 요동하기 때문에, 플레이트의 장공에 도입한 털을 끊어버리는 경우가 없어, 뽑다 남은 것이 없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30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탈모헤드에 회전 실린더의 축방향과 직교하고 또한 피부면과 평행한 방향의 빠짐 방지용 축이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탈모헤드의 조립 부착이 간단해진다.

Claims (30)

  1. 회전구동되는 원통모양의 회전 실린더에 개폐구동되는 탈모용 클릭을 설치하여, 상기 클릭에 의해 협지한 털을 회전 실린더의 회전으로 뽑는 탈모장치에 있어서,
    회전 실린더의 외부 노출면을 덮는 플레이트를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플레이트에 회전 실린더의 회전방향에 평행한 방향의 장공이 상기 클릭의 털의 파지위치에 대향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회전 실린더 위에 설치된 복수의 탈모용 클릭이 회전 실린더의 회전축 방향에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고, 플레이트에 형성된 장공은 상기 클릭의 간격과 동일 간격으로 상기 축방향에 나란히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회전 실린더 위에 설치된 탈모용 클릭은, 회전 실린더의 축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로드에 의해서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회전 실린더 위에 설치된 탈모용 클릭은 그 외주 테두리가 회전 실린더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탈모용 클릭의 외주 테두리가 플레이트에 탄성 접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플레이트는 회전 실린더의 외주면에 따른 곡면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플레이트의 곡면은 회전 실린더의 반경 이상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플레이트의 곡면의 중심과 회전 실린더의 회전중심이 일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플레이트는 금속의 박판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플레이트의 두께 및 플레이트에 형성된 장공의 폭은, 플레이트 외면을 피부면에 밀어 부쳤을 때에 내면쪽으로 피부가 돌출되지 않는 값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플레이트에 형성된 장공의 폭은 플레이트 판두께의 2∼5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플레이트에 형성된 장공은 탈모 조작시에 피부에 따라 움직이는 방향의 선단측 일단의 폭이 넓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플레이트에 형성된 장공은 그 단면 형상이 플레이트 외면쪽에서 내면쪽을 향해 폭이 좁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플레이트는 그 외면쪽에 회전 실린더의 회전축 방향으로 빗살모양 돌기가 나란히 형성되는 빗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빗의 빗살모양 돌기의 피치가 플레이트의 장공의 간격과 일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빗의 빗살모양 돌기는 회전 실린더의 축방향에서 플레이트의 장공 사이의 위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빗의 빗살모양 돌기 선단과 플레이트의 곡면의 정부 사이가 회전 실린더의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목 공간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플레이트는 그 외면쪽 표면에 요철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장치.
  19. 제1항에 있어서,
    플레이트를 회전 실린더의 회전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진동시키는 진동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플레이트의 진동방향은 플레이트가 피부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장치.
  21. 제1항에 있어서,
    플레이트를 유지하는 동시에 회전 실린더를 둘러싸고 있는 헤드 프레임이 착탈이 자유로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장치.
  22. 제1항에 있어서,
    회전 실린더를 피부면과 직교하는 방향의 축 주위로 요동시키는 진동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요동축은 회전 실린더의 유효 폭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장치.
  24. 제22항에 있어서,
    평행 병렬로 배치된 복수의 회전 실린더의 중앙에 요동축이 위치하고 있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장치.
  25. 제22항에 있어서,
    회전 실린더와 이 회전 실린더로의 회전동력 전달용 기어를 유지하고 있는 탈모헤드 전체가 축 주위로 요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구동원으로부터 탈모헤드에 이르는 회전동력 전달부재 중에, 요동축과 동일 축의 페이스 기어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페이스 기어에 요동 구동용의 편심캠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편심캠과 걸어맞춰져 편심캠의 회전에 의해 요동하는 링크 아암이, 요동축 주위로 회전이 자유롭게 되어 있는 탈모헤드에 연결되어 진동기구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장치.
  29. 제25항에 있어서,
    플레이트는 탈모헤드의 피부면 쪽에 위치하여 탈모헤드와 함께 요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장치.
  30. 제25항에 있어서,
    탈모헤드에는, 회전 실린더의 축방향과 직교하고 또한 피부면과 평행한 방향의 빠짐 방지용 축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장치.
KR10-2002-0024936A 2001-05-28 2002-05-07 탈모장치 KR1004867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158305 2001-05-28
JP2001158305 2001-05-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0860A true KR20020090860A (ko) 2002-12-05
KR100486752B1 KR100486752B1 (ko) 2005-05-03

Family

ID=19002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4936A KR100486752B1 (ko) 2001-05-28 2002-05-07 탈모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966915B2 (ko)
EP (1) EP1262117B1 (ko)
KR (1) KR100486752B1 (ko)
CN (1) CN1243495C (ko)
AT (1) ATE325554T1 (ko)
DE (1) DE60211248T2 (ko)
ES (1) ES2260352T3 (ko)
TW (1) TW55720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18749A1 (de) * 2003-04-25 2004-11-18 Braun Gmbh Epilationskopf für ein Epilationsgerät
DE102004013755A1 (de) * 2004-03-20 2005-10-06 Braun Gmbh Epilationsgerät
JP2006175072A (ja) 2004-12-22 2006-07-0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脱毛装置
JP4265666B2 (ja) * 2007-02-23 2009-05-20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脱毛装置
JP2011004969A (ja) * 2009-06-25 2011-01-13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美容装置
ES2571877T3 (es) 2012-01-31 2016-05-27 Babyliss Faco Sprl Depiladora con dos cabezales
CN104223727B (zh) * 2014-07-01 2017-06-16 世菱武贸易(深圳)有限公司 脱毛器及脱毛器的使用方法
CN105851187A (zh) * 2016-06-15 2016-08-17 黑龙江省农业科学院畜牧研究所 屠宰猪酮体余毛拔除机
CN106689312A (zh) * 2016-12-01 2017-05-24 重庆广恒食品开发有限公司 一种用于清除猪毛的装置
CN110200391A (zh) * 2019-06-18 2019-09-06 金炳杰 拔毛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9514A (en) * 1885-06-09 Assigistoe op one-half to f
FR2556939B1 (fr) * 1983-12-22 1987-10-23 Jean Alazet Appareil a epiler
ATA28788A (de) 1988-02-10 1989-12-15 Katschnig Helmut Bremskeil
AT392031B (de) 1989-02-10 1991-01-10 Philips Nv Epilationsapparat
AT392575B (de) 1989-06-12 1991-04-25 Philips Nv Epilationsapparat
NL9002770A (nl) 1990-12-17 1992-07-16 Philips Nv Werkwijze voor het epileren.
DE69229072T2 (de) * 1991-02-20 1999-08-2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Enthaarungsvorrichtung
FR2690819A1 (fr) 1992-05-05 1993-11-12 Brain Base Dev Ltd Appareil à épiler à rouleaux tournants.
JPH0638830A (ja) * 1992-07-28 1994-02-1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脱毛装置
JP3098971B2 (ja) * 1996-05-15 2000-10-16 松下電工株式会社 脱毛装置
ES2177814T3 (es) * 1996-08-06 2002-12-16 Braun Gmbh Cilindro giratorio para un aparato depilador.
TW443921B (en) * 1998-04-15 2001-07-0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Depilator
US6123713A (en) * 1998-07-09 2000-09-26 K.I.S. Ltd Hair removal device with vibrating assembly
JP2000158305A (ja) 1998-11-30 2000-06-13 Kawasaki Steel Corp 鋼板の研削方法
JP3849345B2 (ja) 1999-04-23 2006-11-22 松下電工株式会社 脱毛装置
JP3925071B2 (ja) * 2000-10-26 2007-06-06 松下電工株式会社 脱毛装置
JP2002159327A (ja) * 2000-11-27 2002-06-0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脱毛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211248D1 (de) 2006-06-14
CN1387809A (zh) 2003-01-01
EP1262117A3 (en) 2004-03-03
US20030009856A1 (en) 2003-01-16
ES2260352T3 (es) 2006-11-01
EP1262117A2 (en) 2002-12-04
US6966915B2 (en) 2005-11-22
ATE325554T1 (de) 2006-06-15
EP1262117B1 (en) 2006-05-10
DE60211248T2 (de) 2007-04-26
TW557208B (en) 2003-10-11
CN1243495C (zh) 2006-03-01
KR100486752B1 (ko) 2005-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25071B2 (ja) 脱毛装置
JP2992356B2 (ja) 脱毛装置
KR100486752B1 (ko) 탈모장치
EP0622033B1 (en) Depilation device
JPH09308521A (ja) 脱毛器具
KR100452584B1 (ko) 탈모장치
KR100670878B1 (ko) 제모 기구
US6287190B1 (en) Hand-held epilating device
JP3925131B2 (ja) 脱毛装置
JPH07313243A (ja) 除毛装置
JP2003047521A (ja) 脱毛装置
JP3931621B2 (ja) 除毛装置
JP3885481B2 (ja) 脱毛装置
JPH09121930A (ja) 脱毛装置
JP3925072B2 (ja) 脱毛装置
JP2001204540A (ja) 脱毛装置
JP3885488B2 (ja) 脱毛装置
JP2001037532A (ja) 脱毛装置
JP2000125922A (ja) 脱毛装置
JP3598676B2 (ja) 脱毛装置
JPH07289349A (ja) 脱毛装置
JPH04348704A (ja) 脱毛装置
JP2001269216A (ja) 脱毛装置
JP3157885B2 (ja) 脱毛装置
JPH0556812A (ja) 脱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