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7895A - 유리 균열 방지용 필름상 층 및 플라즈마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유리 균열 방지용 필름상 층 및 플라즈마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7895A
KR20020087895A KR1020020027186A KR20020027186A KR20020087895A KR 20020087895 A KR20020087895 A KR 20020087895A KR 1020020027186 A KR1020020027186 A KR 1020020027186A KR 20020027186 A KR20020027186 A KR 20020027186A KR 20020087895 A KR20020087895 A KR 200200878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film
glass
glass crack
plasma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7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7582B1 (ko
Inventor
모리모토유우이치
미야우치가즈히코
히에다요시히로
아즈미유키코
나카무라도시타카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878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78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75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75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4Manufacture or joining of vessels, leading-in conductors or b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00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 B32B17/10018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comprising only one glass she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7/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 C03C17/28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organic material
    • C03C17/32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organic material with synthetic or natural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7/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 C03C17/34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 C03C17/3405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with at least two coatings of organic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7/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 C03C17/34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 C03C17/42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at least one coating of an organic material and at least one non-metal coa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11/44Optical arrangements or shielding arrangements, e.g. filters, black matrices, light reflecting means or electromagnetic shielding mea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lasma & Fus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Gas-Filled Discharge Tubes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 Surface Treatment Of Gla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0℃에서의 동적 탄성률이 6 × 106Pa 이하인 유리 균열 방지층, 및 상기 유리 균열 방지층의 제 1 면에 적층된 반사 방지 필름을 갖되, 상기 유리 균열 방지용 필름상 층의 다른 제 2 면이 접착면으로서 제공되는 유리 균열 방지용 필름상 층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플라즈마 표시판, 및 유리 균열 방지용 필름상 층내에 포함된 유리 균열 방지층의 접착면을 통해 상기 플라즈마 표시판의 시인측에 직접 부착된 유리 균열 방지용 필름상 층을 갖는 플라즈마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리 균열 방지용 필름상 층 및 플라즈마 표시장치{GLASS CRACK PREVENTION FILM-LIKE LAYER AND PLASMA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유리 균열 방지용 필름상 층 및 상기 유리 균열 방지용 필름상 층을 사용한 플라즈마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의 플라즈마 표시장치는 플라즈마 표시판(31), 스페이서(32), 투명 전면판(33) 및 하우징(34)을 포함한다. 투명 전면판(33)은 두께 약 3㎜의 유리판으로 이루어지고, 스페이서(32)에 의해 형성된 틈(320)을 통해 플라즈마 표시판(31)의 시인측에 배치된다. 하우징(34)은 그 안에 플라즈마 표시판(31), 스페이서(32) 및 투명 전면판(33)을 수용하고 있다. 이런 방식으로 투명 전면판(33)이 틈(320)을 통해 배치되기 때문에, 외부 충격력이 플라즈마 표시판(31)에 직접 작용하는 것을 막고, 또한 플라즈마 표시판(31)의 발생열이 투명 전면판(33)에 전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러나, 틈(320)에 의해 형성되는 공기층과 플라즈마 표시판(31) 사이 및 상기 공기층과 투명 전면판(33) 사이 계면에서의 빛의 굴절에 의해, 화상이 2중으로 비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투명 전면판(33)은, 외부 충격력에 견디도록 약 3㎜의 두께를 가질 필요가 있기 때문에, 중량이 무거워지고 비용이 높아지는 등의 문제도 있다.
한편, 본 출원인은, 일본 특허 공개 제 97-259770 호 공보에서, 플라즈마 표시판, 및 완충성 및 견고한 밀착성을 갖는 내열성의 투명 시이트를 통해 상기 플라즈마 표시판의 시인측에 직접 부착된 투명 보호판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표시장치를 제안한 바 있다. 이 표시장치에서는, 종래 기술에서와 같은 공기층이 시인측에 없기 때문에, 2중 화상의 문제점이 해결될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실현된다.
그러나, 상기 제안에서는, 투명 보호판으로서 두꺼운 경질 유리판 또는 아크릴판을 사용하기 때문에, 투명 보호판을 투명 시이트를 통해 플라즈마 표시판에 부착하기 어렵다. 유리판이 투명 보호판으로서 사용되는 경우, 유리판의 중량 및 비용 면에서의 문제점이 여전히 남아 있다. 게다가, 상기 제안은 내충격성의 면에서도 충분하다고 말할 수 없는데, 내충격성은 무게 3g의 강철구를 1m의 높이로부터 낙하시키는 경우 받게 되는 충격력(약 0.0294J)에 의해 대략적으로 판정된다. 또한, 표시장치를 폐기할 때, 재활용을 위해 투명 보호판 등을 제거하려는 경우에도 쉽게 제거할 수 없다는 문제점도 존재한다.
이러한 상황하에서, 본 발명은 어떠한 공기층의 개입없이 플라즈마 표시판의 시인측에 직접 부착될 수 있고, 2중 화상의 문제점을 해소되는 한편, 필터의 부착이 용이하여 경량화, 박형화 및 저비용화가 이루어져 필터에 의해 플라즈마 표시판의 우수한 유리 균열 방지 효과가 나타나는 유리 균열 방지용 필름상 층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필터가 플라즈마 표시판에 부착된 후 재활용을 위해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유리 균열 방지용 필름상 층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플라즈마 표시판, 및 상기 플라즈마 표시판에 부착된 상기와 같은 필름상 층을 갖는 플라즈마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유리 균열 방지용 필름상 층 및 상기 유리 균열 방지용 필름상 층을 사용한 플라즈마 표시장치의 일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유리 균열 방지용 필름상 층 및 상기 유리 균열 방지용 필름상 층을 사용한 플라즈마 표시장치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종래 기술의 플라즈마 표시장치의 일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유리 균열 방지용 필름상 층
11 - 유리 균열 방지층
11a - 유리 균열 방지층의 제 1 면
11b - 유리 균열 방지층의 제 2 면(접착면)
12 - 반사 방지 필름
13 - 기능성 필름
21 - 플라즈마 표시판
22 - 하우징(housing)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자들은 예의 검토한 결과 하기의 사실을 밝혀냈다. 즉, 제한된 동적 탄성률을 갖는 특정 유리 균열 방지층을 갖는 필름상 필터에서, 유리 균열 방지층의 제 1 면상에 반사 방지 필름이 적층되는 한편, 제 2 면이 접착면으로서 제공된다. 필터는 유리 균열 방지층의 접착면을 통해 직접 플라즈마 표시판에 부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표시장치의 내충격성이 향상되어 유리 균열 방지 효과가 증대된다. 또한, 필터가 표시판에 직접 부착되기 때문에, 공기층으로 인한 2중 화상의 문제점이 해결될 수 있다. 또한, 두꺼운 경질 투명 보호판(예: 유리판 또는 아크릴판)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부착이 용이하여 표시장치의 경량화, 박형화 및 저비용화에 기여한다. 더욱이, 접착면이 제거성을 갖도록 형성되는 경우, 필터는 표시판에 부착된 후에 제거가능하기 때문에 쉽게 제거될 수 있다. 이런 지식을 기초로, 본 발명이 완성되었다.
즉, 본 발명은 20℃에서의 동적 탄성률이 6× 106Pa 이하인 유리 균열 방지층을 갖고, 상기 유리 균열 방지층의 제 1 면에 반사 방지 필름이 적층되는 한편,상기 유리 균열 방지층의 다른 제 2 면이 접착면으로서 제공되는 유리 균열 방지용 필름상 층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전술된 바와 같이 구성되되, 유리 균열 방지층의 두께가 0.5 내지 5㎜인 유리 균열 방지용 필름상 층에 관한 것이다. 또한, 전술된 바와 같이 구성되되, 유리 균열 방지층의 접착면이 제거가능한 유리 균열 방지용 필름상 층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플라즈마 표시판, 및 전술된 바와 같이 구성되고 유리 균열 방지용 필름상 층에 포함된 유리 균열 방지층의 접착면을 통해 상기 플라즈마 표시판의 시인측에 직접 부착된 유리 균열 방지용 필름상 층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양태를 도면을 참고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유리 균열 방지용 필름상 층, 및 상기 필름상 필터를 사용한 플라즈마 표시장치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1에서, 유리 균열 방지용 필름상 층(1)은 유리 균열 방지층(11), 및 상기 유리 균열 방지층(11)의 일면(제 1 면)(11a)에 적층된 반사 방지 필름(12)을 포함하고, 유리 균열 방지층(11)의 다른 일면(제 2 면)(11b)이 접착면으로서 제공된다. 또한, 플라즈마 표시장치(2)는 플라즈마 표시판(21), 및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유리 균열 방지용 필름상 층(1) 및 하우징(22)을 포함한다. 유리 균열 방지용 필름상 층(1)은 유리 균열 방지층(11)의 접착면을 통해 직접 플라즈마 표시판(21)의 시인측에 결합, 즉 유리 균열 방지층(11)의 접착면을 통해 플라즈마 표시판(21)의 시인측에 직접 부착한다. 하우징(22)은 그 안에 플라즈마 표시판(21) 및 유리 균열방지용 필름상 층(1)을 수용한다.
유리 균열 방지용 필름상 층(1)에 있어서, 유리 균열 방지층(11)은 플라즈마 표시판(21)의 시인성을 이용하기에 충분히 양호한 투명성(광투과성)을 가짐과 동시에, 20℃에서의 동적 탄성률이 6 × 106Pa 이하인 것이 필요하고, 바람직하게는 1 × 105Pa 이하(그러나, 일반적으로는 1 × 103Pa 이상임)일 필요가 있다. 유리 균열 방지층(11)이 이러한 동적 탄성률을 가질 경우, 유리 균열 방지층(11)은 외부 충격을 양호하게 흡수 완화시켜 플라즈마 표시판(21)의 유리 균열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유리 균열 방지층(11)의 두께는 0.5 내지 5㎜, 특히 1 내지 3㎜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리 균열 방지층(11)이 0.5㎜보다 얇다면, 그의 충격 완화 능력은 저하된다. 결과적으로, 플라즈마 표시판(21)의 유리 균열 방지 효과가 경감되어 종종 안전성 면에서의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다. 또한, 유리 균열 방지층(11)의 두께가 5㎜를 초과하면, 유리 균열 방지용 필름상 층(1)을 플라즈마 표시판(21)에 결합시키는 작업이 엉망이 되거나, 또는 유리 균열 방지층(11)의 시인성이 저하된다. 결과적으로, 화상의 떨림 또는 선명도의 저하를 종종 야기시킬 수 있다.
유리 균열 방지층(11)은 그 일면(11a)에 반사 방지 필름(12)이 적층되고, 상기 일면(11a)의 반대편의 다른 일면(11b)은 접착면으로서 제공된다. 유리 균열 방지용 필름상 층(1)은 접착면의 접착력을 이용하여 플라즈마 표시판(21)의 시인측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접착력의 정도는 90°박리 접착력으로 0.5N/25㎜폭 이상, 특히 1N/25㎜폭 이상이도록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재활용을 위해, 플라즈마 표시판(21)에 결합된 후, 유리 균열 방지용 필름상 층(1)은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도록 접착면이 제거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제거가능성의 정도는 80℃에서 40일 동안 방치한 후의 90°박리 접착력으로 10N/25㎜폭 이하, 특히 8N/25㎜폭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특성을 갖는 유리 균열 방지층(11)은 상기 접착력을 갖는 감압성 접착제를 사용함으로써 단층 구조로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동적 탄성률을 갖는 여러가지 물질이 감압성 접착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아크릴계 감압성 접착제가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물질이 투명성이 뛰어나고 환경면에서 문제가 없으며, 또한 변성에 의한 물리적 성질의 조정이 용이하기 때문이다.
"아크릴계 감압성 접착제"는 필요시 적합한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는 아크릴계 중합체를 의미한다. 아크릴계 중합체는 주성분으로서 (메트)아크릴릭 알킬 에스테르를 중합화시켜 수득가능하며, 필요시 통상적인 방법으로 물리적 성질(예: 광학 특성, 내열성 등)을 개질시킬 목적으로 공중합가능한 개질제 단량체를 첨가시킬 수 있다. 필요하다면, 아크릴계 중합체는 그의 접착성(제거성) 또는 내열성을 조정할 목적으로 적합한 가교결합 공정을 가할 수 있다.
(메트)아크릴릭 알킬 에스테르로서, 탄소수 1 내지 18, 바람직하게는 4 내지 12의 알킬기를 갖는 직쇄형 또는 분지쇄형 (메트)아크릴릭 알킬 에스테르가 사용된다. (메트)아크릴릭 알킬 에스테르의 구체적인 예로는 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알릴(메트)아크릴레이트가 있다.
개질용 단량체의 예로는 아미드계 단량체(예: (메트)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등), (메트)아크릴릭 아미노알킬계 단량체(예: 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N,N-디메틸 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 비닐계 단량체(예: 비닐 아세테이트 및 스티렌), 및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예: 아크릴로니트릴)가 포함된다.
이들 단량체는 적합한 중합 개시제를 사용하는 적합한 방법, 예컨대 용액 중합법, 유화 중합법, 벌크상 중합법 등에 의해 중합될 수 있다. 수득된 아크릴계 중합체가 전술된 바와 같이 비교적 두꺼운 유리 균열 방지층(11)을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경우, 상기 층내에 거품이 포함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용액 중합법 또는 벌크상 중합법을 채용하여 중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액 중합법에서, 수득된 아크릴계 중합체의 유기 용매 용액을 필요시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와 같은 외부 가교제와 혼합시켜 감압성 접착제를 제조할 수 있다. 이 물질은 세퍼레이터상에 도포 건조시켜 비교적 얇은 물질층을 형성시킨다. 이런 방식으로 형성된 물질층은 적층되어 단층 (단일 물질) 구조를 형성한다. 이런 방식에서, 거품이 포함되지 않는 비교적 두꺼운 유리 균열 방지층(11)을 형성할 수 있다.
벌크상 중합법에서, 상기 단량체에 광중합 개시제를 첨가할 수 있다. 상기 단량체는 방사선(예: 자외선)을 조사하여 부분적으로 중합시킨다. 이렇게 수득된중합체-단량체 혼합물에 광중합 개시제 및 일반적으로는 내부 가교제로서 다작용성 단량체를 첨가한다. 상기 혼합물을 소정의 두께가 형성되도록 세퍼레이터상에 도포한다. 그 다음, 혼합물을 방사선(예: 자외선) 조사하여 완전히 중합시킨다. 이런 방식으로, 거품이 포함되지 않는 비교적 두꺼운 유리 균열 방지층(11)을 단층 구조로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광중합 개시제로는 하기 화합물이 포함된다:
4-(2-하이드록시에톡시)페닐(2-하이드록시-2-프로필)케톤, α-하이드록시-α,α'-디메틸아세토페논, 메톡시아세토페논, 2,2-디에톡시아세토페논, 1-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실페닐케톤 및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폴리노프로판-1과 같은 아세토페논 화합물;
벤조인-에틸 에테르, 벤조인-이소프로필 에테르 및 아니조인-메틸 에테르와 같은 벤조인 에테르 화합물;
2-메틸-2-하이드록시프로피오페논과 같은 α-케톨 화합물;
벤질디메틸케탈과 같은 케탈 화합물;
2-나프탈렌설포닐 클로라이드와 같은 방향족 설포닐 클로라이드 화합물;
1-페논-1,1-프로판디온-2-(o-에톡시카보닐)옥심과 같은 광-활성화 옥심 화합물; 및
벤조페논, 벤조일 벤조에이트 및 3,3'-디메틸-4-메톡시벤조페논과 같은 벤조페논 화합물.
내부 가교제로서 다작용성 단량체의 예로는 헥산디올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 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에폭시(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가 포함된다.
유리 균열 방지층(11)이 감압성 접착제로 이루어진 단층 구조로서 제공되는 경우가 설명되고 있지만, 본 발명은 또한 유리 균열 방지층(11)이 베이스층으로서의 감압성 접착제층 및 제거가능한 다른 접착제층으로 구성된 적층물로 이루어진 다층 구조로서 형성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반사 방지 필름(12)은 상기 베이스층상에 적층되는 반면, 제거가능한 접착제층은 플라즈마 표시판(21)의 시인측에 결합된다.
다르게는, 다른 다층 구조가 하기와 같이 형성될 수 있다. 감압성 접착제의 베이스층은 충격 완화성을 갖는 비감압성 접착제의 베이스층으로 교체되어서, 상기 베이스층의 일면에 접착제층이 적층되고, 다른 일면에는 제거가능한 접착제층이 적층된다. 이 경우, 반사 방지 필름(12)은 접착제층을 통해 유리 균열 방지층(11)의 베이스층의 일면에 적층되고, 유리 균열 방지층(11)의 베이스층의 다른 일면상에 배치된 제거가능한 접착제층은 플라즈마 표시판(21)의 시인측에 결합된다.
이들 각각의 다층 구조에서, 베이스층에 적층된 접착제층 또는 제거가능한 접착제층은 각각 20℃에서의 동적 탄성률이 6 × 106Pa 이하인 상기 나열된 바와 같은 감압성 접착제로 제조된다. 상기 나열된 물질과 동일한 접착성 및 제거성을 갖는 감압성 접착제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이스층이 충격 완화성을 갖는 비감압성 접착제로 이루어진 층으로 구성되는 경우, 그 물질은 20℃에서의 동적 탄성률이 6 × 106Pa 이하인 물질로서, 예컨대 열가소성 우레탄계 엘라스토머, 열가소성 스티렌계 엘라스토머 또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가 비감압성 접착제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들 물질 이외에도, 염화비닐계 수지 또는 아크릴계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들 각각의 다층 구조에서, 베이스층과 이에 적층되는 제거가능한 접착제층의 총 두께가 전술된 바와 같이 0.5 내지 5㎜, 특히 1 내지 3㎜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각 층에서 20℃에서의 동적 탄성률이 6 × 106Pa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다층 구조의 총 동적 탄성률이 6 × 106Pa 이하를 나타내는 한, 임의의 층이 상기범위를 초과하는 동적 탄성률을 나타내는 경우도 적용될 수 있다.
유리 균열 방지용 필름상 층(1)에서, 반사 방지 필름(12)은 일반적으로 단층 구조 또는 다층 구조로서 제공된 유리 균열 방지층(11)의 일면(11a)에 상기 면(11a)의 접착력을 이용하여 적층된다. 상기 필터(1)가 플라즈마 표시판(21)의 시인측에 직접 부착되는 경우, 반사 방지 필름(12)은 외광의 거울 반사(mirror reflection)를 저감시키는 반사 방지 기능을 발휘한다. 이런 방식으로, 반사 방지 필름(12)은 플라즈마 표시장치의 화상 표시가 열화되는 것을 막는다.
이러한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 반사 방지 필름(12)으로서, 두께 0.01 내지0.5㎜, 특히 0.05 내지 0.3㎜의 필름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가시광 반사율이 5% 이하, 특히 4% 이하이도록 반사 방지 처리되고 투명성이 양호한 플라스틱 필름(예: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플라스틱 필름은 헤이즈 값(haze value)이 5% 이하가 되도록 미리 광택 방지 처리할 수 있다.
상기 반사 방지 처리의 예로서, 굴절률이 1.50 미만, 바람직하게는 1.45 이하인 저굴절률층을 형성할 수 있다. 저굴절률층은 유기 물질 또는 무기 물질로 제조될 수 있다. 유기 물질의 예로는 불소-함유 중합체, (메트)아크릴산의 부분 또는 전체-불소화 알킬 에스테르 및 불소-함유 실리콘이 포함된다. 무기 물질의 예로는 MgF2, CaF2및 SiO2이 포함된다. 저굴절률층의 두께는 일반적으로 1㎛ 이하, 특히 0.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반사 방지 처리의 다른 예로서, 굴절률이 1.5 이상, 바람직하게는 1.6 이상인 고굴절률층(또는 고굴절률 광택 방지층)을 형성할 수 있다. 고굴절률층은 유기 물질 또는 무기 물질로 제조될 수 있다. 유기 물질의 예로는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폴리에스테르(메트)아크릴레이트와 같은 물질의 중합 및 경화에 의해 수득되는 물질; 및 실리콘계, 멜라민계, 에폭시계 수지와 같은 가교가능한 수지 물질의 가교 및 경화에 의해 수득되는 물질이 포함된다. 무기 물질의 예로는 산화인듐을 주성분으로 포함하고, 이에 이산화티타늄을 소량 포함하거나, 또는 A12O3, MgO 및 TiO2가 포함된다. 고굴절률층의 두께는 일반적으로 50㎛ 이하, 특히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반사 방지 필름(12)은 필요시 그 자체에 적합한 기능을 부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반사 방지 필름(12) 자체에 전자파 또는 근적외선(800 내지 1,200㎚)을 차폐하는 기능을 부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반사 방지 필름(12) 자체에 색소 물질(예: 염료 또는 안료)을 사용하여 가시광선 영역의 광의 색을 조정하는 기능을 부가할 수 있다. 다르게는, 이러한 기능을 갖는 기능성 필름이 반사 방지 필름(12)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배치되도록 미리 별도로 제작될 수 있다.
도 2는 상기 적층예를 도시하고 있다. 즉, 도 2는, 반사 방지 필름(12)을 유리 균열 방지층(11)의 일면(11a)에 적층하는 경우, 기능성 필름(13)으로서 전자파 및/또는 근적외선의 차폐 기능을 갖는 기능성 필름을 반사 방지 필름(12)과 유리 균열 방지층(11) 사이에 적층시킨 예를 도시하고 있다. 전자파 차폐 기능으로서, 차폐 효과가 10dB 이상, 특히 20dB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근적외선 차폐 기능으로서, 근적외선(800 내지 1,200㎚)의 투과율이 20% 이하, 특히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기능성 필름(13)으로는 공지된 것들이 널리 사용될 수 있되, 그 두께는 본 발명의 효과를 방해하지 않도록 기능성 필름(13)과 반사 방지 필름(12)의 합계 두께가 0.01 내지 0.5㎜, 특히 0.05 내지 0.3㎜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르게는, 기능성 필름(13)은 유리 균열 방지층(11)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플라즈마 표시장치(2)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유리 균열 방지용 필름상 층(1)이, 반사 방지 필름(12)(또는 기능성 필름(13)과 함께)이 적층된 유리 균열 방지층(11)의 일면(11b)(다른 일면(1a)의 반대면)의 접착면을 이용하여, 1 또는2개의 유리판으로 구성된 플라즈마 표시판(21)의 시인측에 직접 부착시켜서, 유리 균열 방지용 필름상 층(1)이 플라즈마 표시판(21)에 부착되도록 한다. 이런 방식으로 필터(1)가 플라즈마 표시판(21)에 부착되는 경우, 상기 표시판(21)으로의 외부 충격이 필터(1)내의 유리 균열 방지층(11)에 의해 흡수 완화된다. 표시판(21)내의 유리는 외부 충격에 의한 유리 균열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필터(1)가 플라즈마 표시판(21)에 직접 부착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형성된 공기층이 없다. 공기층에 의해 야기되는 2중 화상의 문제점이 제거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부착 작업은, 상기 필터(1)가 비교적 얇고 가벼운 반사 방지 필름(12)(또는 기능성 필름(13)과 함께)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표시장치의 경량화, 박형화 및 저비용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또한, 필터(1)에서의 유리 균열 방지층(11)의 다른 일면(11b)으로서 제공된 접착면이 재박리성을 갖는 구성에서, 플라즈마 표시장치가 폐기되는 경우, 상기 필터(1)는 재활용을 위해 제거가능하기 때문에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는 추가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를 통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또한, 하기 설명에서 "부"라는 용어는 "중량부"를 의미한다.
실시예 1
냉각관, 질소 도입관, 온도계, 자외선 조사 장치 및 교반 장치를 구비한 반응 용기에서,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100부 및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광중합 개시제) 0.1부를 넣고, 자외선 조사에 의해 중합 처리하여, 중합률 10중량%의 중합체-단량체 혼합물로부터의 점성 액체를 수득하였다. 이 점성 액체중에,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내부 가교제) 0.2부 및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광중합 개시제) 0.1부를 혼합하여 광중합성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 광중합성 조성물을 두께 50㎛의 폴리에스테르계 세퍼레이터에 도포하고, 질소 분위기하에서 자외선 램프를 사용하여 2,000mj/㎠의 자외선을 조사 광중합시켜서 아크릴계 감압성 접착제의 두께 1㎜의 베이스층을 형성하였다. 이 베이스층을 단층 구조의 유리 균열 방지층으로서 사용하여 두께 0.1㎜의 반사 방지 필름(일본 유지사(NOF Corp.)제 「리어룩 A-1200(ReaLook A-1200)」)을 상기 베이스층의 일면에 결합시켰다. 이로써, 유리 균열 방지용 필름상 층이 제작되었다.
실시예 2
광중합성 조성물의 도포 두께를 변화시켜 아크릴계 감압성 접착제로 이루어진 유리 균열 방지층의 두께가 2㎜이 되도록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유리 균열 방지용 필름상 층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3
광중합성 조성물의 도포 두께를 변화시켜 아크릴계 감압성 접착제로 이루어진 유리 균열 방지층의 두께가 3㎜이 되도록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유리 균열 방지용 필름상 층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4
냉각관, 질소 도입관, 온도계, 자외선 조사 장치 및 교반 장치를 구비한 반응 용기에서, 부틸 아크릴레이트 100부 및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0.1부를 넣고, 자외선 조사에 의해 중합 처리하여 중합률 10중량%의 중합체-단량체 혼합물로부터의 점성 액체를 수득하였다. 이 점성 액체에서,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0.2부 및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0.1부를 혼합하여 광중합성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 광중합성 조성물을 두께 50㎛의 폴리에스테르계 세퍼레이터에 도포하고, 질소 분위기하에서 자외선 램프를 사용하여 2,000mj/㎠의 자외선을 조사 광중합시켜서 아크릴계 감압성 접착제로 이루어진 두께 1㎜의 베이스층을 형성하였다. 이 베이스층의 일면에 두께 0.1㎜의 반사 방지 필름(실시예 1과 동일함)을, 다른 면에 두께 0.025㎜의 제거가능한 접착제층을 결합시켜서, 상기 제거가능한 접착제층 및 상기 베이스층에 의해 2층 구조의 유리 균열 방지층이 구성되었다. 이로써, 유리 균열 방지용 필름상 층이 제작되었다.
감압성 접착제층으로서는, 100:1(중량비)의 이소옥틸 아크릴레이트/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의 단량체 조성을 갖는 아크릴계 중합체를 주성분으로 하고 단독 사용시 20℃에서의 동적 탄성률이 2 × 104Pa인 감압성 접착제층을 제거가능한 접착제층으로서 사용하였다.
실시예 5
냉각관, 질소 도입관, 온도계, 자외선 조사 장치 및 교반 장치를 구비한 반응 용기에서, 이소노닐 아크릴레이트 97부, 아크릴산 3부,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0.1부를 넣고, 자외선 조사에 의해 중합 처리하여 중합률 10중량%의 중합체-단량체 혼합물로부터의 점성 액체를 수득하였다. 상기 점성 액체에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0.2부 및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0.1부를 혼합하여 광중합성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 광중합성 조성물을 두께 50㎛의 폴리에스테르계 세퍼레이터에 도포하고, 질소 분위기하에서 자외선 램프를 사용하여 2,000mj/㎠의 자외선을 조사 광중합시켜서 아크릴계 감압성 접착제로 이루어진 두께 1㎜ 베이스층을 형성하였다. 이 베이스층의 일면에 두께 0.1㎜의 반사 방지 필름(실시예 1과 동일함)을, 다른 면에 두께 0.025㎜의 제거가능한 접착제층(실시예 4와 동일함)을 결합시키고, 이 제거가능한 접착제층 및 상기 베이스층으로 2층 구조의 유리 균열 방지층을 구성하였다. 이로써, 유리 균열 방지용 필름상 층이 제작되었다.
실시예 6
냉각관, 질소 도입관, 온도계, 자외선 조사 장치 및 교반 장치를 구비한 반응 용기에서, 이소옥틸 아크릴레이트 97부, 아크릴산 3부,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0.1부를 넣고, 자외선 조사에 의해 중합 처리하여, 중합률 10중량%의 중합체-단량체 혼합물로부터의 점성 액체를 수득하였다. 상기 점성 액체에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0.2부 및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0.1부를 혼합하여 광중합성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 광중합성 조성물을 두께 50㎛의 폴리에스테르계 세퍼레이터에 도포하고, 질소 분위기하에서 자외선 램프를 사용하여 2,000mj/㎠의 자외선을 조사 광중합시켜서 아크릴계 감압성 접착제로 이루어진 두께 1㎜ 베이스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베이스층을 단층 구조의 유리 균열 방지층으로 하여, 그 일면에 두께 0.1㎜의 반사방지 필름(실시예 1과 동일함)을 결합시켰다. 이로써, 유리 균열 방지용 필름상 층이 제작되었다.
실시예 7
냉각관, 질소 도입관, 온도계, 자외선 조사 장치 및 교반 장치를 구비한 반응 용기에서, 부틸 아크릴레이트 99부, 아크릴산 1부, 하이드록시 부틸아크릴레이트 1부, 아조비스이소부틸로니트릴 0.2부 및 에틸 아세테이트를 넣고, 60℃에서 중합 반응시켜 약 40중량% 농도의 아크릴계 중합체 용액을 수득하였다. 이 용액에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2부를 혼합하여 감압성 접착제를 제조하였다.
이 감압성 접착제를 두께 50㎛의 폴리에스테르계 세퍼레이터에 도포하여 두께 0.05㎜의 접착제층을 형성하였다. 그 다음, 이런 방식으로 수득된 접착제층 20개를 서로 연속으로 결합시켜, 아크릴계 감압성 접착제로 이루어진 두께 1㎜의 베이스층을 형성하였다. 베이스층의 일면에 두께 0.1㎜의 반사 방지 필름(실시예 1과 동일함)을, 다른 면에 두께 0.025㎜의 제거가능한 접착제층(실시예 4와 동일함)을 결합시켜서, 상기 제거가능한 접착제층 및 상기 베이스층으로 2층 구조의 유리 균열 방지층을 구성하였다. 이로써, 유리 균열 방지용 필름상 층이 제작되었다.
실시예 8
냉각관, 질소 도입관, 온도계, 자외선 조사 장치 및 교반 장치를 구비한 반응 용기에서,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100부 및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0.1부를 넣고, 자외선 조사에 의해 중합 처리하여 중합률 10중량%의 중합체-단량체 혼합물로부터의 점성 액체를 수득하였다. 이 점성 액체에, 디옥틸 프탈레이트 35부,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0.2부 및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0.1부를 혼합하여 광중합성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 광중합성 조성물을 두께 50㎛의 폴리에스테르계 세퍼레이터에 도포하고, 질소 분위기하에서 자외선 램프를 사용하여 2,000mj/㎠의 자외선을 조사 광중합시켜서 아크릴계 감압성 접착제로 이루어진 두께 1㎜의 베이스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베이스층을 단층 구조의 유리 균열 방지층으로 사용하여 그 일면에 두께 0.1㎜의 반사 방지 필름(실시예 1과 동일함)을 결합시켜 유리 균열 방지용 필름상 층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9
열가소성 우레탄계 엘라스토머(도요보 캄파니 리미티드(Toyobo Co., Ltd.)제「E3070A」)를 프레스기로 성형하고, 두께 0.95㎜의 비감압성 접착제로부터의 베이스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베이스층의 일면에 두께 0.025㎜의 접착제층을 결합시키고, 이 접착제층을 통해 베이스층상에 두께 0.1㎜의 반사 방지 필름(실시예 1과 동일함)을 결합시켰다. 또한, 상기 베이스층의 다른 면에는 두께 0.025㎜의 제거가능한 접착제층(실시예 4와 동일함)을 결합시켰다.
이런 방식으로, 접착제층, 베이스층 및 제거가능한 접착제층으로, 3층 구조의 유리 균열 방지층을 구성하였다. 이로써, 반사 방지 필름을 유리 균열 방지층상에 적층시킨 구조로서 유리 균열 방지용 필름상 층을 제작하였다.
반사 방지 필름이 적층된 면에 제공된 접착제층으로서는, 100:1(중량비)의 부틸 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의 단량체 조성을 갖는 아크릴계 중합체를 주성분으로하고 단독 사용시 20℃에서의 동적 탄성률이 2 × 105Pa인 감압성 접착제층을 적층하였다.
실시예 10
열가소성 스티렌계 엘라스토머(쿠라레이 캄파니 리키티드(Kuraray Co., Ltd.)제 「SEPTON 2043」)를 감압성 접착제의 두께 0.85㎜의 베이스층내로 프레스기로 성형하였다. 이 베이스층의 일면에 두께 0.025㎜의 접착제층(실시예 9와 동일함)을 결합시켰다. 상기 접착제층을 통해 상기 베이스층상에 두께 0.1㎜의 반사 방지 필름(실시예 1과 동일함)을 결합시켰다. 상기 베이스층의 다른 면에는, 두께 0.025㎜의 제거가능한 접착제층(실시예 4와 동일함)을 결합시켰다.
이런 방식으로, 접착제층 베이스층 및 제거가능한 접착제층으로 3층 구조의 유리 균열 방지층을 구성하였다. 이로써, 반사 방지 필름이 유리 균열 방지층상에 적층된 구조로서 유리 균열 방지용 필름상 층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11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도요보 캄파니 리미티드제 「PELPRENE P-30B」)를 프레스기로 성형하여 두께 0.95㎜의 비감압성 접착제로부터의 베이스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베이스층의 일면에 두께 0.025㎜의 접착제층(실시예 9와 동일함)을 결합시켰다. 접착제층을 통해 상기 베이스층을 두께 0.1㎜의 반사 방지 필름(실시예 1과 동일함)을 결합시켰다. 또한, 상기 베이스층의 다른 면에는 두께 0.025㎜의 제거가능한 접착제층(실시예 4와 동일함)을 결합시켰다.
이런 방식으로, 접착제층 베이스층 및 제거가능한 접착제층으로 3층 구조의 유리 균열 방지층을 구성하였다. 이로써, 반사 방지 필름이 유리 균열 방지층상에 적층된 구조로서 유리 균열 방지용 필름상 층을 제작하였다.
비교예 1
두께 0.1㎜의 반사 방지 필름(실시예 1과 동일함)상에 두께 0.025㎜의 제거가능한 접착제층(실시예 4와 동일함)을 결합시켜 유리 균열 방지용 필름상 층을 제작하였다.
비교예 2
두께 1㎜의 경질 아크릴계 시이트를 베이스층으로서 사용하였다. 베이스층의 일면에 두께 0.025㎜의 접착제층(실시예 9와 동일함)을 결합시켰다. 이 접착제층을 통해 상기 베이스층을 두께 0.1㎜의 반사 방지 필름(실시예 1과 동일함)을 결합시켰다. 또한, 상기 베이스층의 다른 일면에는, 두께 0.025㎜의 제거가능한 접착제층(실시예 4와 동일함)을 결합시켰다.
이런 방식으로, 베이스층으로서 사용된 경질 아크릴계 시이트상에 반사 방지 필름을 적층한 구조로서 유리 균열 방지용 필터를 제작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11 및 비교예 1 및 2에서 수득된 필터내의 유리 균열 방지층을 구성하는 베이스층(비교예 2에서는 경질 아크릴계 시이트)에서, 점탄성 분광계(레오메트릭 사이언티픽 에프 이 리미티드(Rheometric Scientific F. E. Ltd.)제 ARES 장치)를 사용하여 주파수 1Hz에서 온도 분산 측정을 실시함으로써, 20℃에서의 동적 탄성률을 구하였다. 또한, 상기 실시예 1 내지 11 및 비교예 1 및 2에서 수득된 필터에서, 하기의 방법에 의해 내충격성 및 90°박리 접착력(제거성)을 측정하였다. 이들의 결과는 하기 표 1에 제시된 바와 같다.
<내충격성>
금속판상에 두께 1㎜의 실리콘 시이트 및 두께 2.8㎜의 플라즈마 표시용 유리판(아사히 글라스 캄파니(Asahi Glass Company)제「PD200」)을 연속적으로 놓았다. 그 다음, 반사 방지 필름이 적층된 상기 면의 반대편 필터의 접착면을 플라즈마 표시용 유리판에 대해 가압하여 필터를 상기 플라즈마 표시용 유리판에 결합시켰다.
이 필터상에, 지름 50㎜, 무게 510g의 강철구를 높이 10㎝로부터 낙하시켜 상기 플라즈마 표시용 유리판이 깨지는지 여부를 조사하였다. 평가는 깨지지 않는 경우를 "○"로, 깨지는 경우를 ×로 하였다. 강철구를 낙하시켰을 때의 충격 에너지는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제시된 값으로 약 0.5J이었다:
강철구 무게(㎏) × 높이(m)× 9.8(m/s2) = 0.51 × 0.1 × 9.8
<90°박리 접착력>
필터를 25㎜폭 크기로 절단하고, 반사 방지 필름이 적층된 면의 반대편 필터의 접착면(제거가능한 접착면)을 두께 2.8㎜의 플라즈마 표시용 유리판(아사히 글라스 캄파니제 「PD200」)에 결합시켰다. 80℃ 분위기하에서 40일 동안 방치한 후, 플라즈마 표시용 유리판을 취하였다. 플라즈마 표시용 유리판을 추가로 23℃에서 4시간 동안 방치한 후, 필터를 90°방향으로 50㎜/분의 속도로 박리시켰다. 이런 경우의 필터의 접착력을 측정하였다.
20℃에서의 동적 탄성률(Pa) 내충격성 90°박리 접착력(N/25㎜폭)
실시예 1 3 × 104 5.0
실시예 2 3 × 104 6.5
실시예 3 3 × 104 8.0
실시예 4 7 × 104 4.9
실시예 5 5 × 104 5.0
실시예 6 5 × 104 5.1
실시예 7 8 × 104 4.9
실시예 8 1 × 104 4.1
실시예 9 3 × 106 4.9
실시예 10 5 × 106 4.7
실시예 11 7 × 105 4.9
비교예 1 - × 2.5
비교예 2 3 × 106 × 측정 불가능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11에서 수득된 유리 균열 방지용 필름상 층은 필터가 접착면을 통해 유리판에 쉽게 결합되고, 결합 후에 유리판으로부터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고, 또한 베이스층으로서 유리 균열 방지층을 갖지 않는 비교예 1에서 수득된 필름상 필터보다 뛰어난 유리 균열 방지 효과를 가짐을 분명히 확인할 수 있다. 한편, 20℃에서의 동적 탄성률이 본 발명의 범주를 초과하는 경질 아크릴계 시이트를 베이스로서 갖는 비교예 2에서 수득된 필터에서는, 유리 균열 방지 효과가 충분히 얻어질 수 없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20℃에서의 동적 탄성률이 6 × 106Pa 이하인 유리 균열 방지층의 일면에 반사 방지 필름을 적층하고, 유리 균열 방지층의 다른 면을 접착면으로서 제공되는 특정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유리 균열 방지용 필름상 층은 유리 균열 방지층의 접착면을 통해 플라즈마 표시판의 시인측에 직접 부착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표시장치의 내충격성이 향상되고, 플라즈마 표시판의 유리 균열 방지 효과가 증대된다. 더구나, 필터의 직접 부착 때문에, 공기층에 의해 야기되는 2중 화상의 문제점도 제거된다. 또한, 두꺼운 경질 유리판 또는 아크릴판과 같은 임의의 투명 보호판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부착이 용이하고 표시장치의 경량화, 박형화 및 저비용화에도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면은 제거가능한 구성을 취하기 때문에, 유리 균열 방지용 필름상 층은 재활용을 위해 제거될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유리 균열 방지용 필름상 층이 용이하게 제거되고, 상기 필름상 필터를 사용하는 플라즈마 표시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Claims (9)

  1. 20℃에서의 동적 탄성률이 6 × 106Pa 이하인 유리 균열 방지층, 및 상기 유리 균열 방지층의 제 1 면에 적층된 반사 방지 필름을 포함하되, 상기 유리 균열 방지층의 제 2 면이 접착면으로서 제공되는 유리 균열 방지용 필름상 층.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균열 방지층이 0.5 내지 5㎜의 두께를 갖는 유리 균열 방지용 필름상 층.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균열 방지층의 접착면이 제거가능한 유리 균열 방지용 필름상 층.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균열 방지층의 20℃에서의 동적 탄성률이 1 × 105Pa 이하인 유리 균열 방지용 필름상 층.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면의 접착력이 90°박리 접착력으로 0.5N/25㎜폭 이상인 유리 균열 방지용 필름상 층.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균열 방지층이 아크릴계 감압성 접착제로 형성된 유리 균열 방지용 필름상 층.
  7. 플라즈마 표시판, 및 유리 균열 방지용 필름상 층내에 포함된 유리 균열 방지층의 접착면을 통해 상기 플라즈마 표시판의 시인측에 직접 부착된 제 1 항의 유리 균열 방지용 필름상 층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표시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전자파 차폐 기능과 근적외선의 차폐 기능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갖고, 상기 반사 방지 필름 아래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배치된 기능성 필름을 추가로 포함하는 플라즈마 표시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필름이 반사 방지 필름과 유리 균열 방지층 사이에 배치된 플라즈마 표시장치.
KR1020020027186A 2001-05-16 2002-05-16 유리 균열 방지용 필름상 층 및 플라즈마 표시장치 KR1007075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145913 2001-05-16
JP2001145913A JP2002341776A (ja) 2001-05-16 2001-05-16 ガラス割れ防止用フィルム状フィルタとプラズマ表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7895A true KR20020087895A (ko) 2002-11-23
KR100707582B1 KR100707582B1 (ko) 2007-04-13

Family

ID=18991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7186A KR100707582B1 (ko) 2001-05-16 2002-05-16 유리 균열 방지용 필름상 층 및 플라즈마 표시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960875B2 (ko)
EP (1) EP1261011A3 (ko)
JP (1) JP2002341776A (ko)
KR (1) KR100707582B1 (ko)
CN (1) CN1297396C (ko)
TW (1) TWI30372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48704A (ja) * 2001-02-23 2002-09-03 Nitto Denko Corp ガラス割れ防止構造と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US8321235B2 (en) * 2002-11-27 2012-11-2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Validating an electronic transaction
JP4087232B2 (ja) * 2002-12-03 2008-05-21 日東電工株式会社 ガラス割れ防止用透明積層体とその梱包構造
KR100945428B1 (ko) * 2003-02-12 2010-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면필터
JP2005173462A (ja) * 2003-12-15 2005-06-30 Nitto Denko Corp ガラス割れ防止積層体および液晶表示装置
US7208206B2 (en) * 2003-03-10 2007-04-24 Nitto Denko Corporation Glass crack prevention lamin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4339745B2 (ja) * 2003-08-22 2009-10-07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及び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
JP2005213341A (ja) * 2004-01-29 2005-08-11 Lintec Corp 感圧接着性組成物及び感圧接着性光学部材
JP2005221897A (ja) * 2004-02-06 2005-08-18 Fujitsu Hitachi Plasma Display Ltd ディスプレイパネル装置
CN100365444C (zh) * 2004-08-31 2008-01-30 精碟科技股份有限公司 光学滤光片制造方法
JP4807942B2 (ja) * 2004-10-13 2011-11-02 日東電工株式会社 衝撃吸収シート
KR100761160B1 (ko) * 2005-04-19 2007-09-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표시 장치용 필터 및 그의 제조방법, 이를포함하는 플라즈마 표시 장치
KR100615338B1 (ko) * 2005-06-15 2006-08-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41711B1 (ko) 2006-02-03 2007-07-23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EP2824653B1 (en) 2006-07-14 2016-06-29 Dexerials Corporation Resin composition and display apparatus
JP5586821B2 (ja) * 2006-08-01 2014-09-10 日東電工株式会社 衝撃吸収粘着剤および衝撃吸収粘着剤シートならびにその製造方法
JP2008051832A (ja) * 2006-08-22 2008-03-06 Bridgestone Corp 光学フィルタ、これを備えたディスプレイ及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TWI358537B (en) * 2006-10-04 2012-02-21 Corning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of testing a sheet of
US20080095995A1 (en) * 2006-10-18 2008-04-24 Hong Rae Cha Filter and flat panel display device using the filter
EP2133855B1 (en) 2007-04-03 2016-11-23 Dexerials Corporation Method for manufacturing image display
JP4984083B2 (ja) 2007-04-04 2012-07-25 ソニーケミカル&インフォメーションデバイス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5401824B2 (ja) 2007-04-09 2014-01-29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JP2009186957A (ja) 2007-04-09 2009-08-20 Sony Chemical & Information Device Corp 樹脂組成物及び表示装置
EP2144219A4 (en) 2007-04-09 2010-07-07 Sony Chem & Inf Device Corp IMAGE DISPLAY DEVICE
JP5470735B2 (ja) * 2007-04-10 2014-04-16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DE102009007589A1 (de) * 2009-02-05 2010-08-12 Tesa Se Transfer-Haftklebeband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Haftklebebandes
JP2009110026A (ja) * 2009-02-12 2009-05-21 Nitto Denko Corp 液晶パネルのガラス割れ防止粘着剤層
JP2010285548A (ja) * 2009-06-11 2010-12-24 Nitto Denko Corp 光学部材用粘着テープ
US20120086323A1 (en) * 2010-10-11 2012-04-12 Polymer Vision B.V. Display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display
JP6096410B2 (ja) * 2010-12-13 2017-03-15 コーニング精密素材株式会社Corning Precision Materials Co., Ltd. 平板ディスプレイ及びその製造方法
TWI461503B (zh) * 2011-03-23 2014-11-21 Lg Chemical Ltd 光學膜用之壓敏性黏著組成物
JP2011180612A (ja) * 2011-05-16 2011-09-15 Hitachi Chem Co Ltd 保護部材、それを用いた保護部材積層体及びディスプレイ装置
US9725357B2 (en) 2012-10-12 2017-08-08 Corning Incorporated Glass articles having films with moderate adhesion and retained strength
EP3872047A1 (en) 2012-10-12 2021-09-01 Corning Incorporated Articles having retained strength
WO2015057555A1 (en) * 2013-10-14 2015-04-23 Corning Incorporated Glass articles having films with moderate adhesion and retained strength
CN107075079B (zh) 2014-10-27 2020-05-08 Ctech胶粘剂有限责任公司 使用紫外固化型压敏型粘合剂(psa)的装配方法或分阶段的psa系统
JPWO2020050099A1 (ja) * 2018-09-06 2021-08-26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セットおよび光学積層体
TWI705536B (zh) 2018-11-16 2020-09-21 欣興電子股份有限公司 載板結構及其製作方法
JP7366552B2 (ja) * 2019-02-06 2023-10-23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層付き反射防止フィルム、自発光型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85693A (en) * 1983-02-25 1986-04-29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olymer-bound ultraviolet stabilizer coating compositions containing cross linkers
JPH08283045A (ja) * 1995-04-13 1996-10-29 Nippon Oil & Fats Co Ltd 飛散防止反射防止性ガラス
JP3445436B2 (ja) 1996-03-21 2003-09-08 日東電工株式会社 プラズマ表示装置
CN2250927Y (zh) 1996-05-30 1997-04-02 董毅 安全防爆啤酒瓶
EP0886295B1 (en) * 1997-06-19 2003-08-20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Front panel for plasma display
US6090473A (en) 1997-06-24 2000-07-18 Bridgestone Corporation Electromagnetic-wave shielding and light transmitting plate
US6103640A (en) 1997-09-12 2000-08-15 Bridgestone Corporation Electromagnetic-wave shielding and light transmitting plate
US6255778B1 (en) * 1997-10-13 2001-07-03 Bridgestone Corporation Plasma display panel having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material attached to front surface of display
JP4627815B2 (ja) * 1997-11-05 2011-02-09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粘着フィルム
US6150754A (en) * 1997-12-22 2000-11-21 Bridgestone Corporation Electromagnetic-wave shielding and light transmitting plate and display panel
JP2000265133A (ja) 1999-03-11 2000-09-26 Tomoegawa Paper Co Ltd 電子ディスプレイ用貼着フィルム
JPH11305004A (ja) * 1998-04-22 1999-11-05 Mitsui Chem Inc 静電防止層を持つ光学フィルター
JP2000067765A (ja) * 1998-08-14 2000-03-03 Asahi Glass Co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用保護板とその製造方法
JP3898357B2 (ja) * 1998-09-28 2007-03-28 日東電工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用フィルター
JP2000105312A (ja) * 1998-09-30 2000-04-11 Nitto Denko Corp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用フィルター
JP2000156182A (ja) * 1998-11-20 2000-06-06 Fujitsu General Ltd Pdpのフィルタ装置
JP2000294980A (ja) * 1999-04-06 2000-10-20 Nippon Sheet Glass Co Ltd 透光性電磁波フィル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1026757A (ja) * 1999-04-28 2001-01-30 Bridgestone Corp 光学機能部材一体型表示装置用接着剤組成物、接着剤フィルム、接着剤フィルム積層体、光学機能部材一体型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6469440B1 (en) * 1999-05-28 2002-10-22 Bridgestone Corporation Electromagnetic-wave shielding and light transmitting plate and panel laminated plate
JP3693870B2 (ja) * 1999-11-30 2005-09-14 リンテック株式会社 アンテナシート
JP2001175185A (ja) * 1999-12-14 2001-06-29 Bridgestone Corp 電磁波シールド性光透過窓材及び表示装置
JP2001194524A (ja) * 2000-01-13 2001-07-19 Fuji Photo Film Co Ltd 光学フィルター、これを用いた前面板及び画像表示装置
JP3560532B2 (ja) * 2000-05-02 2004-09-02 株式会社巴川製紙所 ディスプレイ用帯電防止フィルム
JP3557154B2 (ja) * 2000-06-02 2004-08-25 三洋電機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2175020A (ja) * 2000-09-29 2002-06-21 Fuji Photo Film Co Ltd 光学フィルターおよび画像表示装置
CN1331664C (zh) * 2001-03-15 2007-08-15 三井化学株式会社 层合体及使用该层合体的显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261011A3 (en) 2008-05-14
TWI303726B (en) 2008-12-01
KR100707582B1 (ko) 2007-04-13
US6960875B2 (en) 2005-11-01
EP1261011A2 (en) 2002-11-27
JP2002341776A (ja) 2002-11-29
CN1386629A (zh) 2002-12-25
US20030006704A1 (en) 2003-01-09
CN1297396C (zh) 2007-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7582B1 (ko) 유리 균열 방지용 필름상 층 및 플라즈마 표시장치
KR100748801B1 (ko) 유리 균열 방지 적층체 및 액정 표시 장치
US6548177B2 (en) Transparent shock-absorbing laminate and flat panel display using the same
KR20030038463A (ko) 유리 파쇄 방지용 필름상 필터 및 플라즈마 표시 장치
WO2010044229A1 (ja) 透明粘着シート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100722342B1 (ko) 투명 겔 점착제, 투명 겔 점착 시트 및 디스플레이용 광학필터
JP2005173462A (ja) ガラス割れ防止積層体および液晶表示装置
KR20070095418A (ko) 반사방지필름
JP2004271935A (ja) 粘着剤付き光学フィルムと液晶表示装置
JP2001266759A (ja) 衝撃緩和積層体及びそれを用いた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装置と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9102619A (ja) 透明接着テープ
JP2006349736A (ja) 光学フィルター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7204342A1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これを用いた合わせガラス
JP2009110026A (ja) 液晶パネルのガラス割れ防止粘着剤層
JP5060058B2 (ja) 情報表示面の保護シート及び保護シートの製造方法
JP6655239B2 (ja) 透明積層体、及びそれを用いた保護具
WO2015019529A1 (ja) 透明積層体、及びそれを用いた保護具
JP4087239B2 (ja) ガラス割れ防止用フィルム状フィルタとプラズマ表示装置
JP7229006B2 (ja) 画像表示パネル、画像表示装置および粘着剤層付き光学フィルム
JP4351450B2 (ja)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04281839A (ja) 光学積層フィルタ
JP2004058376A (ja) ガラス割れ防止用透明積層体
WO2021065731A1 (ja) 表面保護フィルム付き封止調光素子
JP4001776B2 (ja) ガラス割れ防止用透明積層体
JP4691356B2 (ja) 画像表示装置用の視野角規制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