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8463A - 유리 파쇄 방지용 필름상 필터 및 플라즈마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유리 파쇄 방지용 필름상 필터 및 플라즈마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8463A
KR20030038463A KR1020020068430A KR20020068430A KR20030038463A KR 20030038463 A KR20030038463 A KR 20030038463A KR 1020020068430 A KR1020020068430 A KR 1020020068430A KR 20020068430 A KR20020068430 A KR 20020068430A KR 20030038463 A KR20030038463 A KR 200300384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filter
film
plasma display
orga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8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47918B1 (ko
Inventor
아즈미유키코
히에다요시히로
모리모토유이치
호소카와도시츠구
미야우치가즈히코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384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84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79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79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11/44Optical arrangements or shielding arrangements, e.g. filters, black matrices, light reflecting means or electromagnetic shield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00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 B32B17/10018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comprising only one glass she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5/00Details relating to vessels or to leading-in conductors common to two or more basic types of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5/02Vessels; Containers; Shields associated therewith; Vacuum locks
    • H01J5/03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mitigating effects of implosion of vessels or contain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11/00Plasma display panels with alternate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C-PDPs
    • H01J22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22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2211/44Optical arrangements or shielding arrangements, e.g. filters or lenses
    • H01J2211/442Light reflecting means; Anti-reflection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5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including a second componen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particles
    • Y10T428/259Silicic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6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the element or component having a specified physical dimen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855Of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09Next to second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Adhesive Tapes (AREA)
  • Gas-Filled Discharge Tubes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플라즈마 표시판의 화면에 직접 장착되어 공기 층에 의한 이중 반사 문제가 없고, 그 장착이 용이하고 경량화, 박형화, 저비용화에 기여하고, 유리 파쇄 방지 효과가 큰 유리 파쇄 방지용 필름상 필터, 및 이를 장착한 플라즈마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투명한 유기 고분자 물질과 유기화된 층상 클레이 광물과의 복합재료로 구성된 유리 파쇄 방지층(11)의 한면(11a)에 반사 방지 필름(12)이 적층되어 있고, 다른 면(1lb)이 접착면인 유리 파쇄 방지용 필름상 필터(1)를 구성하고, 이 필름상 필터(1)를 플라즈마 표시판(21)의 화면에 상기 유리 파쇄 방지층(11)의 접착면을 통해 직접 장착하여 플라즈마 표시장치(2)를 구성한다.

Description

유리 파쇄 방지용 필름상 필터 및 플라즈마 표시 장치{GLASS-BREAK PREVENTING FILM LIKE FILTER AND PLASMA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유리 파쇄 방지용 필름상 필터, 및 이를 장착한 플라즈마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플라즈마 표시 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라즈마 표시판(3l)의 화면에 이격자(32)에 의한 공간이 있도록 형성되고, 두께가 약 3mm 정도인 유리판인 투명한 앞판(33)을 배치하여 케이스(34) 내에 수용한 것이다. 이와 같이, 공간(320)에 의해 투명한 앞판(33)이 있도록 배치함으로써, 외부 충격력이 플라즈마 표시판(3l)을 직접 공격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플라즈마 표시판(31)에서 발생하는 열이 투명한 앞판(33)에 전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러나, 공간(320)에 의해서 형성되는 공기층과 플라즈마 표시판(31) 및 투명한 앞판(33)사이의 계면에서의 빛의 굴절에 의해 영상이 이중으로 반사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투명한 앞판(33)은 외부 충격력에 견디도록 약 3mm의 두께를 갖기 때문에 중량이 무거워지고 비용이 높아지는 다른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대하여, 본 출원인은 이미 일본 특허 공개 제 97-259770 호 공보에서 플라즈마 표시판의 화면에 완충성과 밀착성을 갖는 내열성 투명 시트를 통해 투명보호판을 직접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표시 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이 표시 장치에 의하면, 화면에 공기 층이 없기 때문에 이중 영상 문제를 피할 수 있다는 뛰어난 효과가 나타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기 제안에서는 투명 보호판으로서 경질의 두꺼운 유리판 또는 아크릴판을 사용하기 때문에, 이 판을 투명 시트를 통해 플라즈마 표시판에 장착하는 조작이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유리판에는 여전히 중량이나 비용 문제가 남아 있었다. 또한, 내충격성의 면에서도 충분하다고는 말할 수 없고, 단지 3g의 강철구를 1mm의 높이에서 낙하했을 때의 충격력(약 0.0294 J)으로 내충격성을 결정하고 있을 뿐이다. 또한, 표시 장치의 폐기시, 재활용을 위해 투명한 보호판을 제거하려 해도, 제거가 용이하지 않다.
이런 상황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플라즈마 표시판의 화면에 직접 장착함으로써 공기 층이 제거되어 이중 반사 문제가 없고, 더구나 그 장착이 용이하고 경량화, 박형화 그리고 저가화에 기여할 수 있고, 플라즈마 표시판의 유리 파쇄 방지 효과가 큰 유리 파쇄 방지용 필름상 필터를 제공하는 것, 재활용 측면에서 플라즈마 표시판에 접착된 후에 쉽게 제거될 수 있는 상기 유리 파쇄 방지용 필름상 필터를 제공하는 것, 그리고, 이들 필름상 필터가 장착된 플라즈마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유리 파쇄 방지용 필름상 필터와 이를 장착한 플라즈마 표시 장치의 한 예의 단면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유리 파쇄 방지용 필름상 필터와 이를 장착한 플라즈마 표시 장치의 다른 예의 단면을 나타낸다.
도 3은 관련 기술의 한 예의 단면을 나타낸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유리 파쇄 방지용 필름상 필터
11: 유리 파쇄 방지층
11a: 한 면
1lb: 다른 면(접착면)
12: 반사 방지 필름
13: 기능성 필름
2: 플라즈마 표시 장치
21: 플라즈마 표시판
22: 케이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자들은 열심히 연구하여, 투명한 유기 고분자 물질과 유기화된 층상 클레이 광물과의 복합재료로 구성되는 특정한 유리 파쇄 방지층의 한 면에 반사 방지 필름이 적층되어 있고 다른 면이 접착면인 필름상 필터를 사용하면, 상기 접착면을 이용해 플라즈마 표시판에 직접 장착될 수 있고, 이에 의해 표시 장치의 내충격성이 향상되어 유리 파쇄 방지 효과가 증대되고, 또한 직접 장착되기 때문에, 공기 층에 의한 이중 반사 문제가 없고, 더구나 경질의 두꺼운 유리판 또는 아크릴판 등의 투명한 보호판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장착이 용이하고, 표시 장치의 경량화, 박형화 그리고 저비용화에 공헌할 수 있고, 더욱 상기 접착면이 제거될 수 있어 장착 후 제거가 가능하다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즉, 본 발명은 투명한 유기 고분자 물질과 유기화된 층상 클레이 광물과의 복합재료로 구성되는 유리 파쇄 방지층의 한 면에 반사 방지 필름이 적층되어 있고, 다른 면측이 접착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파쇄 방지용 필름상 필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유기 고분자 물질이 6X106Pa 이하의 20℃에서의 동적 저장 전단 탄성율을 갖는 상기 구성의 유리 파쇄 방지용 필름상 필터; 유리 파쇄 방지층의 두께가 0.1 내지 5mm인 상기 구성의 유리 파쇄 방지용 필름상 필터; 유리 파쇄 방지층의 접착면이 제거될 수 있는 상기 구성의 유리 파쇄 방지용 필름상 필터; 그리고, 전체 광선 투과율이 80% 이상인 상기 구성의 유리 파쇄 방지용 필름상필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플라즈마 표시판의 화면에 유리 파쇄 방지용 필름상 필터를 유리 파쇄 방지층의 접착면을 통해 직접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바람직한 양태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할 것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각 양태에 대해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유리 파쇄 방지용 필름상 필터와 이를 장착한 플라즈마 표시 장치의 한 예를 나타낸다.
도면에서, 유리 파쇄 방지용 필름상 필터(1)는 유리 파쇄 방지층(11)의 한면(11a)에 반사 방지 필름(12)이 적층되어 있고, 다른 면(1lb)이 접착면인 구성을 포함한다. 또한, 플라즈마 표시장치(2)는 플라즈마 표시판(21)의 화면에 유리 파쇄 방지용 필름상 필터(1)를 유리 파쇄 방지층(11)의 접착면을 이용하여 직접 붙여, 즉, 유리 파쇄 방지층(11)의 접착면을 통해 직접 장착하여, 이것을 케이스(22)내에 수용한 구성을 포함한다.
유리 파쇄 방지용 필름상 필터(1)에 있어서, 유리 파쇄 방지층(11)은 투명한 유기 고분자 물질과 유기화된 층상 클레이 광물과의 복합재료로 이루어지고, 이것은 물론 플라즈마 표시판(21)의 가시성을 저해하지 않고, 양호한 투명성(광투과성)을 구비하고 있는 것은 물론, 외부 충격을 양호하게 흡수 완화하여 플라즈마 표시판(21)의 유리 파쇄를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상기 복합재료에서, 투명한 유기 고분자 물질은 필름 성형 가공이 가능한 투명한 유기 고분자 수지 또는 고무이고, 또한 유기화된 층상 클레이 광물을 분산시킬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한 물질은 6X106Pa 이하(실용적 측면에서는 1X105내지 1X103Pa)의 20℃에서의 동적 저장 전단 탄성율을 갖는 것이다. 이러한 동적 저장 전단 탄성율을 갖는 유기 고분자 물질을 사용하고 이것과 유기화된 층상 클레이 광물과의 복합재료를 포함하는 유리 파쇄 방지층(11)을 형성하면, 외부 충격을 특히 양호하게 흡수 완화하여, 플라즈마 표시판(21)의 유리 파쇄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런 유기 고분자 물질로서는, 폴리우레탄계, 폴리에스테르계, 아크릴계등의 수지나, 천연고무 또는 부틸 고무 등의 고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내열성, 내습성, 투명성, 가공성, 유기화된 층상 클레이 물질과의 친화성의 면에서 아크릴계 수지가 특히 유용하다.
유기화된 층상 클레이 광물의 경우, 유기화된 층상 클레이 광물은 층상 클레이 광물을 유기화 처리하여 유기 고분자 물질과의 친화성을 개선한 것으로, 보통은, 층상 클레이 광물의 교환성 무기 이온을 유기 오늄 이온으로 이온 교환하여 수득된다. 층상 클레이 광물에는 몬트모릴로나이트, 사포나이트 또는 헥토라이트, 버미큘라이트, 할로일사이트 또는 팽윤성 운모가 포함된다. 층상 클레이 광물의 양이온 교환량은 층간에 삽입되는 유기 고분자 물질과의 친화성의 면에서 50 내지200meq/100g의 범위로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온 교환에 사용되는 유기 오늄에는 암모늄 이온, 피리디늄 이온, 설포늄 이온 또는 포스포늄 이온이 포함되고, 특히 유기 암모늄 이온이 바람직하다. 이 유기 암모늄 이온으로서는 유기 아민, 예를 들면 도데실아민, 테트라데실아민, 헥사데실아민 또는 옥타데실아민을 염산 등에 의해 양이온화한 알킬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또는 4차 암모늄 염, 예를 들면 테트라알킬암모늄 염이 포함된다.
유기화된 층상 클레이 광물은 층상 클레이 광물의 나트륨이나 마그네슘 등의 교환성 무기 이온을 유기 오늄으로 이온 교환하여 형성되지만, 이 때, 층상 클레이 광물의 양이온 교환량과 당량인 유기 오늄 이온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온 교환할 때의 용매로는 층상 클레이 광물의 분산성의 면에서 물, 알코올 등의 양성자성 용매가 바람직하다.
이렇게 수득된 유기화된 층상 클레이 광물은 층상 클레이 광물의 주성분인 실리케이트 층의 층간에 유기 오늄 이온이 삽입되어 이온 상호작용으로 실리케이트 표면에 흡착하는, 소위, 삽입체 구조를 갖는다. 이 구조에 의해, 유기 고분자 물질을 그 층간에 불러들이기 쉽게 된다. 이 삽입 구조는 광각 또는 협각의 X선 산란 분석으로 층간 거리의 확장을 측정하거나, 열 중량 분석으로 유기물 함량을 정량화하여 추적될 수 있다.
이러한 삽입체 구조를 갖는 유기화된 층상 클레이 광물에 있어서, 유기 오늄 이온의 함유량은 보통 20 내지 7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기 오늄 이온의 함유량이 20중량% 미만이면 층간의 극성이 지나치게 높아서 유기 고분자 물질을 불러 들이기 어렵게 되고, 또한 70중량%을 초과하면 복합재료중에 유기 오늄 이온이 다량으로 존재하게 되어 내열성이 저하된다.
유기 고분자 물질과 유기화된 층상 클레이 광물과의 복합재료는, ① 유기 고분자 물질과 유기화된 층상 클레이 광물을 용융 혼련기, 예를 들면 1축 또는 2축 압출기, 2체 롤 또는 혼련기에서 용융 혼련하는 방법, ② 유기 고분자 물질과 유기화된 층상 클레이 광물 두 성분 모두에 대해 양호한 친화성을 갖는 유기 용매 중에 상기 두 성분을 분산 혼합한 후, 유기 용매만을 제거하는 방법, 또는 ③ 유기화된 층상 클레이 광물의 층간에 유기 고분자 물질 형성용의 단량체나 중합 개시제 등의 일부를 삽입하여, 이 삽입 상태대로 열이나 빛 등의 작용에 의해 중합 반응시켜, 유기 고분자 물질과 상기 클레이 광물과의 복합재료를 얻는 방법 등에 의해 조제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상기 ③의 방법이 복합재료중에 유기화된 층상 클레이 광물의 분산성이 양호하여 투명성이 뛰어난 복합재료를 수득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아래에서, 상기 ③의 방법에 의해 유기 고분자 물질인 아크릴계 수지와 유기화된 층상 클레이 광물과의 복합재료를 조제하는 방법에 관해서 설명한다.
이 방법에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계 단량체, 중합 개시제, 유기화된 층상 클레이 광물 및 유기용매로 구성되는 혼합물에 미리 외부 작용을 가하여, 유기화된 층상클레이 광물의 층간에 상기 단량체와 중합 개시제의 일부를 유기 용매와 동시에 삽입하고, 용매를 제거한 후, 중합 반응을 수행한다. 이 방법에서는 상기 클레이 광물의 층간에 생성된 아크릴계 수지에 의해 상기 클레이 광물의 층간 분리가 일어나, 아크릴계 수지와 상기 클레이 광물의 복합체로 구성되고 높은 투명성을 유지하는 복합재료가 수득된다.
아크릴계 수지 단량체는 메타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를 주성분으로 하고, 필요에 따라 이와 공중합되는 모노에틸렌 불포화 단량체와 함께 사용된다. 상기 메타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로서는 비 3차 알킬 알콜의 일작용성 불포화 (메타) 아크릴레이트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는 알킬기의 탄소수가 2 내지 l4인 것에서 선택된다. 구체적으로는,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아밀(메타)아크릴레이트, n-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 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메타)아크릴레이트, 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도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고, 이것중 1종 또는 2종 이상이 사용된다.
이 (메타)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와 공중합가능한 모노에틸렌 불포화 단량체는 상기 (메타)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와의 공중합에 의해 작용기나 극성기의 도입에 의한 내열성이나 접착성의 고양 또는 개선을 위해 사용된다. 구체적으로는, 아크릴산, 이타콘산, 설포프로필 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알킬 아크릴레이트, 시아노알킬 아크릴레이트, 아크릴 아미드, 치환된 아크릴 아미드, N-비닐 카프롤락탐, 아크릴로니트릴, 2-메톡시 에틸 아크릴레이트, 아크릴산 글리콜, 비닐 아세테이트, N,N-디메틸아미노에틸 아크릴레이트 또는 N-비닐피롤리돈을 들 수 있다.
상기 (메타)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와 이와 공중합가능한 모노에틸렌 불포화 단량체의 사용 비율은 주성분인 (메타)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가 70 내지 100중량%, 바람직하게는 85 내지 100중량%이고, 이와 공중합가능한 모노에틸렌 불포화 단량체가 30 내지 0중량%,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0중량%이다. 이러한 범위 내에서는 접착성이나 내열성이 잘 균형잡힐 수 있다.
유기화된 층상 클레이 광물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아크릴계 단량체 100중량부당 보통 10 내지 150중량부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중합 반응으로 생성하는 아크릴산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유기화된 층상 클레이 광물이 통상 10 내지 150중량부로 생성되어, 투명성 및 유리 파쇄 방지효과가 큰 복합재료를 수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유기화된 층상 클레이 광물이 작으면 유리 파쇄 방지 효과가 부족하고, 많으면 투명성이 낮아진다.
중합 개시제에는 광중합 개시제나 열중합 개시제가 있다.
광중합 개시제는 빛에 의해 라디칼을 발생하는 개시제이며, 구체적으로는 벤조인 에테르, 예를 들면 벤조인 메틸 에테르 또는 벤조인 이소프로필 에테르; 치환된 벤조인 에테르, 예를 들면 아니조인 메틸 에테르; 치환된 아세토페논, 예를 들면 2,2-디에톡시 아세토페논 또는 2??2??디에톡시-2-페논아세토페논; 치환된 α-케톨, 예를 들면, 2-메틸-2-하이드록시프로피오페논, 방향족 설포닐 클로라이드, 예를 들면 2-나프탈렌설포닐 클로라이드 또는 광활성 옥심, 예를 들면 1-페논-1,1-프로판디온-2-(o-에톡시-카보닐)이다.
열중합 개시제는 열에 의해 라디칼을 발생하는 개시제이며, 구체적으로는 아조 화합물, 예를 들면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또는 유기 과산화물이고, 유기 과산화물을 사용하는 경우, 접착력과 응집력이 개선된다. 이러한 유기 과산화물로서는 벤조일 퍼옥사이드, 쿠멘 하이드로퍼옥사이드 또는 라우로일 퍼옥사이드 등이있다.
이들의 중합 개시제의 사용량은 아크릴계 단량체 l00중량부당 O.005 내지 5중량부의 범위 내에서, 그 종류 따라서 적절하게 선택된다. 광중합 개시제는 통상 0.005 내지 1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5중량부이다. 이보다 작으면 광중합 후에 미반응된 단량체가 대부분 남아서, 접착 경계에서 거품이 발생되기 쉽고, 과다하면 광중합물중에 이 광중합 개시제가 남아서 황화되기 쉽다. 열중합 개시제는 이런 이유에 의해 보통 0.0l 내지 5중량부, 특히 0.05 내지 3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기 용매는 아크릴계 단량체 및 중합 개시제를 용해시켜, 이들이 유기화된 층상 클레이 광물의 층간에 삽입되기 쉽게 하고, 또한, 이 삽입 후에는 중합반응 전에 감압이나 가열등에 의해 제거된다. 삽입 촉진 작용에 의해, 상기 클레이 광물을 상당히 많이 사용하는 경우에도, 이는 중합반응에 의해 생성된 아크릴계 수지에 상기 클레이 광물이 양호하게 분산되어, 투명성과 유리 파쇄 방지 효과가 우수하게 양립하는 복합재료의 제조가 가능해지는 것이다.
이러한 유기용매로서는 유기화된 층상 클레이 광물을 습윤 팽윤시키는 능력과 아크릴계 단량체를 용해시키는 능력을 갖고 감압이나 가열 등에 의해 용이하게 제거가능한 것이면 그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대표적으로 톨루엔, 크실렌, 아세톤, 메틸 에틸 케톤, 에틸 아세테이트, 메탄올 또는 에탄올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톨루엔이나 에틸 아세테이트 등이 바람직하다. 유기 용매의 사용량은 유기화된 층상 클레이 광물의 사용량 등에 따라서 적절히 결정될 수 있지만, 보통은 유기화된 층상 클레이 광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50 내지 1,O00중량부가 되는 비율로 이용된다.
이러한 아크릴계 단량체, 중합 개시제, 유기화된 층상 클레이 광물 및 유기용매로 구성되는 혼합물에 대하여 외적 작용을 가하여, 상기 클레이 광물의 층간에 상기 단량체, 중합 개시제 및 유기 용매의 일부를 삽입하고, 외적 작용으로서는 전단적 외적 작용 또는 진동적 외적 작용이 바람직하다. 전단적 외적 작용에는 상기 혼합물로 구성되는 분산액에 대하여 높은 전단력을 부여하는 방법, 예를 들면 콜로이드 밀, 균질화기 또는 분산기를 이용하여 분산하는 방법이 있다. 또한, 진동적 외적 작용에는 매우 강한 초음파 균질화기를 이용하여 분산 액체를 진동처리하는 방법이 있다.
또한, 이들 이외의 외적 작용으로, 열 또는 압력 외적 작용이 추가될 수 있다. 열 외적 작용에는 분산액을 단량체 또는 유기 용매의 등점을 초과하지 않는 온도로 가열 처리하는 방법이 포함된다. 압력 외적 작용에는 상기 분산액을 오토클레이브중에 넣어 1 내지 5Kg/cm2정도가 압력을 가하는 방법이나,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매질로서 고압 처리하는 방법이 포함된다.
이와 같이 유기화된 층상 클레이 광물의 층간에 아크릴계 단량체, 중합 개시제 및 유기 용매의 일부를 삽입하면 유기화된 층상 클레이 광물의 층간 거리가 확대되어, 이 층간의 거리가 보통 100Å이상이 된다. 이러한 층간 거리의 확대는 광각 또는 협각의 X선 산란 분석에 의해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또한, 분산액의 투명성의 향상(즉, 삽입 전의 불투명한 상태로부터 투명 상태로의 변화)에 의해, 또한 분산액의 점도의 증대 현상 등에 의해 간접적, 정성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기화된 층상 클레이 광물의 층간에 아크릴계 단량체, 중합 개시제 및 유기 용매의 일부를 삽입한 후, 용매를 제거하여 중합 반응을 수행한다. 유기 용매는 가열건조, 감압건조, 분무건조 등에 의해 제거되고, 이에 의해 혼합물중의 유기용매를 거의 제거할 수 있다. 중합 후의 복합재료중에 유기용매가 남아있으면 사용 시 용매의 휘발에 기인한 부식이나 오손, 투명성의 저하 등의 문제가 생기기 쉬우므로, 될 수 있는 한,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유기 용매를 제거하기 전에, 혼합물 중에 복합재료의 응집력 등을 높히고 전단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필요에 따라, 분자내에 (메타) 아크릴레이트 기를 2개 또는 그 이상 갖는 다작용성 (메타)아크릴레이트를 첨가할 수 있다. 이러한 다작용성 (메타)아크릴레이트로서는 트리메틸올 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 (메타) 아크릴레이트, 1,2-에틸렌 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1,6-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다.
이러한 다작용성 (메타)아크릴레이트의 사용량은 아크릴계 단량체 100중량부 당 통상적으로 0.02 내지 5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3중량부의 범위내에서 이작용성인 경우는 좀 많게, 삼작용성 이상의 경우는 더 적은 것이 바람직하다. 너무 적어지면 광중합후에 가교결합도가 낮아져서 상기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없고, 또한 너무 많아지면 유리 파쇄 효과가 감소되기 쉽다.
중합반응은 중합 개시제의 종류에 따라 자외선 등의 광중합법 또는 열중합법에 의해 수행된다. 복합재료 시트의 가공성 등의 측면에서, 광중합법이 특히 바람직하다. 광중합법의 경우, 질소 기체 등의 불활성가스로 치환된, 산소가 없는 대기, 또는 자외선 투과성 필름에 의한 피복으로 공기를 차단한 상태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중합법에서, 자외선은 파장범위가 약 180 내지 460nM의 전자기선이지만, 이보다 장파장 또는 단파장의 전자기선도 충분하다. 자외선원으로는 수은 아크, 탄소 아크, 저압 수은 램프, 중·고압 수은 램프, 금속 할라이드 램프 등의 조사 장치가 포함된다. 자외선의 강도는 피조사체까지의 거리 또는 전압의 조절에 의해 적절히 설정될 수 있고, 통상 0.1 내지 7mW/cm2가 조사 시간(생산성)과의 균형의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중합시키면, 아크릴계 단량체 중합의 진행과 동시에 유기화된 층상 클레이 광물의 층간에 삽입된 아크릴계 단량체의 중합도 동시에 진행되고, 층상 클레이 광물의 층간 거리가 더욱 확대되어 층의 박리가 촉진된다. 그 결과, 생성된 아크릴계 수지와 여기에 분산된 유기화된 층상 클레이 광물로 구성되고, 그 층간에 아크릴계 수지의 일부가 삽입되어 층간 분리를 일으켜, 층간의 거리가 100Å 이상이 되는 복합재료가 얻어진다.
즉, 이 복합재료는 아크릴계 수지 중에 상기 클레이 광물이 nm 크기의 곱고 가는 조각으로 양호하게 분산된 것이기 때문에, 상기 클레이 광물의 보강 작용에의해 유리 파쇄 방지 효과가 우수하다. 또한 높은 수준의 투명성을 유지하고, 특히 상기 클레이 광물은 몬트모릴로나이트, 사포나이트 또는 헥토나이트 등의 작은 크기에서 특히 우수한 투명성을 유지한다.
복합재료에 추가하여, 상기 아크릴계 수지 및 유기화된 층상 클레이 물질 외에, 상기 특성을 손상하지 않는 한, 필요에 의해, 접착제, 노화방지제, 착색제 등의 각종 첨가제를 첨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복합 재료에서 무기 성분의 함유량은 3 내지 25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무기 성분이란 유기화된 층상 클레이 광물의 무기 성분(보통, 층상 클레이 광물의 80 내지 30중량%)을 가리키지만, 층상 클레이 광물이외의 무기 성분을 첨가하는 경우에는 이 무기 성분도 포함된다. 이 무기 성분의 함유량이 작으면, 유리 파쇄 방지 효과가 부족하고, 또한 과다하면 투명성이 낮아진다. 또한, 상기 무기 성분의 함유량은 열중량 분석에 의해 구할 수 있다.
유리 파쇄 방지층(11)은 상기 복합재료를 적합한 수단으로 시트화한 것이다. 시트화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상기 방법에 의해 용매제거 및 중합반응을 제거성 지지체상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아크릴계 단량체에 유기화된 층상 클레이 광물 및 중합 개시제를 유기 용매와 동시에 혼합하고, 여기에 외적 작용을 부가하고, 유기화된 층상 클레이 광물의 층간에 아크릴계 단량체, 중합체 개시제 및 유기 용매의 일부를 삽입하고, 이 혼합물을 박리성 지지체 상에 도포한 후 용매를 제거하여 중합 반응시킴으로써 시트화할 수가 있다.
상기 제거성 지지체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필름 등의 플라스틱 필름의 표면에 실리콘처리로서 이형처리된 것들이 사용된다. 제거성 지지체는 표면 평활성이 양호한 것이 요구된다. 표면 평활성이 나쁘면, 이 위에 제공되는 복합재료로 구성되는 시트의 표면 상태가 나빠져, 헤이즈 값이 상승하여, 빛의 산란에 의해 투명성이 낮아질 우려가 있다. 표면 평활도로서 중심선 평균 높이인 Ra가 약 0.2μm 이하이고, 최대 높이인 Rmax가 0.6μ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리 파쇄 방지층(11)의 두께는 O.1 내지 5mm, 특히 바람직하게는 O.5 내지3mm이다. O.lmm 미만이면 충격 완화력이 낮아져서, 플라즈마 표시판의 유리 파쇄 방지 효과가 손상되고, 안전성 등의 점에서 문제가 생기기 쉽다. 5mm를 초과하면, 플라즈마 표시판으로의 장착 작업이 손상되거나, 가시성이 낮아져, 영상이 흔들리고 명도가 감소된다.
또한, 이 유리 파쇄 방지층(11)이 반사 방지 필름(12)이 적층된 한면(11a)과 접착면인 반대면(다른 면(1lb))을 갖고 있어, 그 접착성을 이용하여 유리 파쇄 방지층(11)이 플라즈마 표시판(21)의 화면에 용이하게 접착된다. 여기에서, 접착도는 90° 박리접착력에서 0.5N/25mm 폭 이상, 바람직하게는 1N/25mm 폭 이상이다. 또한, 재활용 때문에, 붙인 후에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제거성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재박리도는 80℃에서 40일 방치한 후에 90°박리접착력으로 10 N/25mm 폭 이하, 바람직하게는 8N/25mm 폭 이하이다.
이러한 특성을 갖춘 유리 파쇄 방지층(11)은 예를 들면 상기 방법에서의 아크릴계 단량체의 조성을 선택하여 상기 접착력을 나타내는 아크릴계 수지를 생성시킴으로써 이 아크릴계 수지와 유기화된 층상 클레이 광물과의 복합재료를 단층 구성으로서 형성할 수가 있다. 또한, 이 단층 구성의 이외에 상기와 같은 복합재료로 구성되는 층을 기본 층으로 하고 여기에 제거성을 갖는 다른 접착제층을 적층한 다층 구성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기본 층에 반사 방지 필름(12)이 적층되고, 제거성 접착제층이 플라즈마 표시판(21)의 화면에 붙여진다.
유리 파쇄 방지용 필름상 필터(l)에서, 반사 방지 필름(l2)은 상기 한 단층 구성 또는 다층 구성의 유리 파쇄 방지층(1)의 한면(11a)에 보통 그 접착성을 이용하여 적층되고, 상기 필터(1)를 플라즈마 표시판(21)의 화면에 직접 장착하면, 필터는 외부 광을 감소시키는 반사 방지 기능을 발휘하여 플라즈마 표시 장치의 영상 표시의 악화를 방지한다.
이러한 효과를 발휘하는 반사 방지 필름(12)은 두께가 0.0l 내지 0.5mm의 범위, 특히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3 mm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통상적으로, 투명성이 양호한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같은 플라스틱 필름에서 가시광 반사율이 5% 이하, 바람직하게는 4%이하이도록 반사 방지 처리된 것이 사용된다. 또한, 헤이즈 값이 5% 미만이도록 광택 방지처리된 반사 방지 필름도 가능하다.
상기 반사 방지 처리로서 굴절율이 1.50 미만, 바람직하게는 1.45 이하의 낮은 굴절율 층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유기 물질로서 불소함유 중합체 또는 (메타)아크릴산의 부분 또는 완전 불소화 알킬 에스테르, 또는 불소 함유 실리콘 등을 들 수 있고, 또한 무기 물질로서는 MgF2, CaF2, SiO2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저 굴절율 층의 두께는 보통 1μm이하, 바람직하게는 0.5μm 이하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별도의 반사 방지 처리로서, 굴절율이 1.5 이상, 바람직하게는 1.6 이상인 고 굴절율층(또는 고굴절율의 광택 차단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유기 물질로는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중합 경화시킨 것이나, 실리콘계, 멜라민계, 에폭시계의 가교성 수지 원료를 가교 경화시킨 것 등을 들 수 있고, 또한 무기 물질로는 산화 인듐을 주성분으로 하여 여기에 이산화티타늄 등을 소량 포함한 것이나, Al2O3, MgO, TiO2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층의 두께는 보통 50μm이하, 바람직하게는 10μm 이하이다.
상기 반사 방지 필름(12)에는 필요에 의해 이 필름(12) 자체에 전자기파 또는 근적외선(800 내지 1,200nm)을 차단하는 기능이 첨가될 수 있고, 염료나 안료 등의 착색제를 통해 가시 광역에서의 색 조정 기능을 부가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기능을 갖는 기능성 필름을 독립적으로 제작하여 반사 방지 필름(12)에 인접하게 적층할 수 있다.
도 2는 상기 적층의 예를 보여준다. 유리 파쇄 방지층(11)의 한면(11a)에 반사 방지 필름(12)을 적층하는 경우, 유리 파쇄 방지 층(11)과 반사 방지 필름(12) 사이에 전자기파 및/또는 근적외선에 대한 차단 효과를 갖는 기능성 필름(12)이 적층된다. 전자파 차단 기능으로서의 차단 효과는 10 dB이상, 바람직하게는 20dB, 근적외선 차단 기능으로서 근적외선 투과율은 20%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이다.
전자파 차단 기능을 갖는 기능성 필름의 일부는 금속 박막 및 투명성 박막과의 다층 적층체, 섬유에 무전해 도금된 금속 메쉬, 패턴화된 금속 메쉬 등의 표면 저항치가 5Ω/□이하인 것이 있다. 또, 전자파 차단 층은 플라즈마 표시 장치 본체와의 어스 접속이 필요하고, 이 접속은 금속 페이스트, 전도성 테이프 등, 본체에 어스 접속할 수 있는 방법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근적외선 차단 기능을 갖는 기능성 필름에는 색소에 의한 선택 흡수를 이용한 것, 금속 박막과 투명성 박막과의 다층 적층체, 또는 인산계 아크릴수지가 포함된다.
이러한 기능성 필름(13)의 두께는 본 발명의 효과를 방해하지 않도록, 반사 방지 필름(12)과의 총 두께가 0.01 내지 0.5mm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0.3mm의 범위이다.
또, 기능성 필름으로서는 상기 전자기파 및/또는 근적외선 차단 기능의 이외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의 색재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플라즈마 표시 장치 봉입 가스의 Ne 발광을 선택적으로 흡수하고, 또한 유리 파쇄 방지재의 투과색이 뉴트럴 그레이 또는 뉴트럴 블루가 되도록 색보정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것 등도 사용할 수가 있다.
유리 파쇄 방지용 필름상 필터(1)는 이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고, 그 유리 파쇄 방지층(1l)이 기술한 대로 높은 투명성을 유지하기 때문에 이 유리 파쇄 방지층(11)과 반사 방지 필름(12)(또는 이것과 기능성필름(13))의 필터 전체로서 전체 광선 투과율이 80%이상,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인 높은 수준의 투명성을 나타낸다.
플라즈마 표시 장치(2)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유리 파쇄 방지용 필름상 필터(1)가 그 유리 파쇄 방지층(11)에 반사 방지 필름(12)(또는 이것과 기능성필름(13))이 적층된 한면(11a)과는 반대면(다른 면(11b))의 접착면을 이용하여 1장 유리 또는 2장 유리로 구성되는 플라즈마 표시판(21)의 화면에 직접 붙여지고 장착된다.
이와 같이, 상기 필터(1)를 상기 표시판(21)에 장착하면, 상기 표시판(21)으로의 외부 충격이 상기 필터(1)의 유리 파쇄 방지층(11)으로 흡수 완화되고, 이에 의해 상기 표시판(21)의 외부 충격에 의한 유리 파쇄가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이는 유리 파쇄 방지층(11)을 구성하는 투명한 유기 고분자 물질과 유기화된 층상 클레이 광물과의 계면에 외부 충격 에너지가 분산되고, 접착 파괴 또는 결합 파괴에 요구되는 에너지로서 흩어지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더군다나, 상기 필터(1)가 플라즈마 표시판(21)에 직접 장착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은 공기층이 없어, 이것에 기인한 이중 반사 문제가 없어지고, 또한, 상기 필터(1)가 비교적 얇아서 경량의 반사 방지 필름(12)(또는 이것과 기능성 필름(13))을 적층한 구성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장착 작업이 용이하고, 표시 장치의 경량화, 박형화, 저비용화에 크게 공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1)의 유리 파쇄 방지층(11)의 다른 면(11b)의 접착면이 제거성을 갖는 구조로 만들어져, 플라즈마 표시 장치의 폐기시, 제거가 가능하고 용이하게 제거된다.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를 기재하고,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할 것이다. 다음의 "부"는 "중량부"를 의미한다.
실시예 1
<유기화된 층상 클레이 광물의 제조>
사포나이트계 층상 클레이 광물(양이온 교환 용량 90meq/100g) 20g을 400g의 증류수중에 진탕하고 분산시켰다. 하기 화학식 1의 폴리옥시프로필렌 기를 갖는 4차 암모늄 염 47.3g, 물 100g, 에탄올 100g을 균일하게 혼합하고, 이것을 상기 층상 클레이 광물의 분산액에 가하여, 30℃에서 1시간동안 진탕했다:
상기 식에서,
R1내지 R3은 메틸 기이고,
n은 25이다.
그런 다음, 분산액의 온도를 80℃로 증가시키고, 침전된 고체를 여과했다. 동결건조하여 수분을 건조시켜, 왁스상의 유기화된 층상 클레이 광물을 수득하였다.
이렇게 수득한 유기화된 층상 클레이 광물의 층간 거리는 X선 산란 분석시 42Å였다. 또한, 유기화된 층상 클레이 광물중의 유기 암모늄 이온의 함유량은 열중량 분석 결과 60중량%였다.
<유리 파쇄 방지용 필름상 필터의 제조>
상기 유기 층상 클레이 광물 33.6g, 아크릴산 2-에틸 헥실 에스테르 80g, 광중합 개시제로서 l-하이드록시 사이클로헥실 페닐 케톤(시바 스페셜 코포레이션(Chiba Special Corporation)의 이르가큐어(IRGACURE) 184) 0.2g 및 유기 용매로서 톨루엔 350 g을 쓰리-원(three-one) 모터로 2시간 혼합하여 분산액을 만들었다.
이 분산액에 초음파 분산기(일본 정밀 기기(Nihon Siki Corporation))에 의해, 500W의 조사 강도로 약 3분간 처리하여 외적 작용을 가했다.
X선 산란 분석 결과, 유기화 층상 클레이 광물의 42Å의 피크는 소실하고 있고, 100Å를 초과하는 저각쪽의 넓게 퍼지는 피크가 관찰되었다. 이로부터 유기화된 층상 클레이 광물의 층간에 아크릴계 단량체, 광중합 개시제 및 유기 용매의 일부가 삽입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외적 작용이 부가된 투명한 분산액에 단량체 100부당 트리메틸올 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0.2부를 가교결합제로서 첨가하고, 균일하게 용해시켰다. 이것을 제거성 지지체로서 두께가 50μm인 실리콘 이형 처리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필름(이하, 이형처리된 PET 필름으로 언급한다; 중심선 평균 높이 Ra가 0.06μm이고, 최대 높이 Rmax가 0.3μm이다)상에 도포하여, 건조기 속에서 유기 용매를 증발시키기 위해 용매 제거 처리하였다. 그런 다음, 상기 도포면을 상기 언급된 바와 유사한 이형처리 PET 필름으로 피복하고, 광 강도가 5mW/cm2인 고압 수은 램프로 900 mJ/cm2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광중합하였다.
이리 하여, 제거성 지지체 상에 아크릴계 수지(20℃에서의 동적 저장 전단 탄성율: 3.0 x 104)와 이것에 분산된 유기화된 층상 클레이 광물을 함유하고, 또한 상기 클레이 광물의 층간에 상기 수지의 일부가 삽입되어 층간 분리를 일으킨 투명한 복합재료로 구성되고, 두께가 0.8mm인 기본층을 생성한다. X선 산란 분석에 의해, 광중합 전의 분산액을 통해 관찰된 저각에서의 넓은 피크는 한층 더 감소하여, 유기화된 층상 클레이 광물의 층간 분리가 보다 진행되고, 층간의 거리가 100Å를 크게 초과한 것을 확인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기본 층을 단층 구성의 유리 파쇄 방지층으로 하고, 그 한 면에 0.lmm의 두께에서 반사 방지율이 4% 이하인 반사 방지 처리를 실시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일본 유지사(Nippon Oils)의 "리얼룩(Reallook)AS-1200")을 붙여서 유리 파쇄 방지용 필름상 필터를 제작했다.
실시예 2
유기화 층상 클레이 광물의 사용양을 9.6g으로, 톨루엔의 사용양을 50g으로 변화시킨 점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유리 파쇄 방지용 필름상 필터를 제작했다.
실시예 3
유기화된 층상 클레이 광물의 사용양을 64g으로, 톨루엔의 사용양을 280g으로 변화시킨 점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유리 파쇄 방지용 필름상 필터를 제작했다.
실시예 4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유기화된 층상 클레이 광물 20g, 아크릴산 이소노닐 에스테르 80g, 실시예 1과 유사한 광중합 개시제 0.2g 및 유기 용매로서 톨루엔 150g을, 쓰리-원 모터로 2시간 혼합하여 분산액을 만들었다. 이 분산액에, 실시예 1과 동일한 초음파 분산기로 500W의 조사 강도로 약 3 분간 처리하여, 외적 작용을 가했다.
X선 산란 분석 결과, 유기화된 층상 클레이 광물의 42Å피크는 소실하고 있고, 100Å를 초과하는 저각 쪽에 넓게 퍼지는 피크가 관찰되었다. 이로부터, 유기화된 층상 클레이 광물의 층간에 아크릴계 단량체, 광중합 개시제 및 유기 용매의 일부가 삽입되어 있는 것을 확인했다.
이와 같이 외적 작용이 가해진 분산액에 상기 단량체 100부당 실시예 1과 같은 가교 결합제 0.2부를 가하고, 균일하게 용해시켰다. 이 분산액을 실시예 1과 동일한 이형처리 PET 필름으로 구성되는 제거성 지지체 상에 도포하고, 건조기 속에서 유기 용매를 증발시켜 용매 제거 처리했다. 그런 다음, 상기 도포면을 상기 언급된 것과 유사한 이형처리 PET 필름으로 피복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광중합시켰다.
이리하여, 제거성 지지체 상에 아크릴계 수지(20℃에서의 동적 저장 전단 탄성율: 8.9×103)와 이것에 분산된 유기화된 층상 클레이 광물을 함유하고, 또한 상기 클레이 광물의 층간에 상기 수지의 일부가 삽입되어 층간 분리를 일으킨 투명한 복합재료로 구성되고, 두께가 0.8mm인 기본 층을 제작했다. X선 산란 분석에 의해 광중합 전의 분산액에서 관찰한 저각쪽의 넓은 피크는 한층 더 감소하여, 유기화된 층상 클레이 광물의 층간 분리가 더욱 진행되어, 층간의 거리가 100Å을 크게 초과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기본 층의 한 면에 두께가 0.1mm인 반사 방지 필름(실시예 1과 동일한 것)을 다른 면에 두께가 0.025 mm의 제거성 접착제층을 붙여 합쳤다. 이 제거성 접착제층과 상기 언급된 기본 층의 2층 구성의 유리 파쇄 방지층을 구성하여 유리 파쇄 방지용 필름상 필터를 제작했다.
또, 상기 제거성 접착제 층은 단량체 조성이 아크릴산 이소옥틸 에스테르/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 100/1(중량비)인 아크릴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한 접착성 층이고, 이런 접착체 층은 단독으로 20℃에서의 동적 저장 전단 탄성율이 2×104Pa인 것을 사용했다.
비교예 1
두께가 O.lmm의 반사 방지 필름(실시예 1과 동일한 것)을 사용하고, 이것에 두께가 0·025 mm의 제거성 접착제 층(실시예 4와 동일한 것)을 붙여 합쳐서, 유리 파쇄 방지용 필름상 필터를 제작했다.
비교예 2
두께가 1mm인 경질 아크릴판을 기본 층으로 하고, 그 한 면에 두께가 0.025 mm인 접착제 층(열가소성 우레탄계 엘라스토머(토요 스피닝 캄파니 리미티드(Toyo Spinning C., Ltd)의 "E3070A"를 프레스기로 성형한 것)을 붙여 합치고, 이 접착제 층을 통해 두께가 O.lmm인 반사 방지 필름(실시예 1과 동일한 것)을 붙여 합쳤다. 또한, 기본 층의 다른 면에는, 두께가 0.025mm인 제거성 접착제층(실시예 4와 동일한 것)을 붙여 합쳤다.
이리 하여, 경질 아크릴판을 기본 층으로 하고 여기에 반사 방지 필름이 적층된 구성의 유리 파쇄 방지용 필터를 제작했다.
비교예 3
냉각관, 질소 도입관, 온도계, 자외선 조사 장치 및 교반 장치를 구비한 반응 용기에 아크릴산 2-에틸 헥실 에스테르 100부, 2,2-디메톡시-2-페닐 아세토페논 0.1부를 넣어, 자외선 조사 장치에 의해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단량체의 10%를 중합시켜 점조도가 있는 액체를 수득하였다. 이 점조도가 있는 액체에 실시예 1과 동일한 가교결합제 0.2부와 상기와 동일한 광중합 개시제 0.1부를 가하고, 이들을 균일하게 용해하고 혼합했다.
그런 다음, 이 혼합물을 실시예 1과 동일한 이형처리 PET 필름으로 구성되는 제거성 지지체 상에 도포한 후, 2,000mJ/cm2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광중합시켜 접착성 아크릴계 수지의 두께가 0.8mm인 기본 층을 제작했다. 이 기본 층을 단층 구성의 유리 파쇄 방지층으로서 그 한 면에 두께가 O.lmm인 반사 방지 필름(실시예 1과동일한 것)을 붙여 합쳐서 유리 파쇄 방지용 필름상 필터를 제작했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2, 3에서, 유리 파쇄 방지층을 구성하는 기본 층(비교예 2에서는 경질 아크릴판)에 관하여 하기의 방법으로 20℃에서의 동적 저장 전단 탄성율을 기본 층중의 무기 성분의 함유량으로 측정하였다. 이들 결과는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다.
<동적 저장 전단 탄성율>
점탄성 분광계(레오메트릭-사이언티픽 인코포레이티드(Leometric-Scientific Inc.)의 ARES 장치)로 주파수 1Hz에서 온도 분산 측정하여 20℃에서의 동적 저장 전단 탄성율을 구했다.
<무기 성분 함유량>
기본 층을 소정량(10mg) 칭량하여 열중량 분석계(세이코전자(Seiko Electronics)의 "TGA")로 실온 내지 900℃의 온도 범위내의 중량 변화를 관찰했다. 600℃이상에서는 중량 변화가 실질적으로 없어 이 때의 잔류 중량을 무기 성분 중량으로 하여 초기 중량에 대한 비율(중량%)을 구했다.
20℃에서의 동적 저장 전단 탄성(Pa) 무기 성분 함량(중량%)
실시예 1 1.8X106 12.0
실시예 2 2.0X105 4.0
실시예 3 7.0X106 19.0
실시예 4 7.1X105 8.1
비교예 2 3.0X108 0
비교예 3 3.0X104 0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3의 각 필터에 대해 하기의 방법으로 내충격성, 90°박리접착력(제거성) 및 전체 광의 투과율을 측정했다. 결과는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다.
<내충격성>
금속판 상에 두께가 1mm인 실리콘 시트와 두께가 2.8mm인 플라즈마 표시용 유리판(아사히 글래스 캄파니 리미티드(Asahi G1ass Co. Ltd.)의 "PD200")을 이 순서대로 탑재하고, 이 위에 필터를 그 반사 방지 필름이 적층된 면과 반대 면의 접착층(제거성 접착층)에 눌러서 붙였다.
이 필터 상에 직경이 50mm이고 중량이 510g인 강철구를 20cm의 높이에서 떨어뜨려, 플라즈마 표시용 유리판의 파쇄 또는 비파쇄를 평가하였다. 평가에서는 파쇄되지 않은 경우를 0, 파쇄된 경우를 ×로 했다. 또한, 강철구를 낙하시켰을 때의 충격 에너지는 강철구 무게(Kg)× 높이(m)× 9.8(m/s2)= 0.5l× 0.2× 9.8로서 측정되어 약 1.0J이었다.
<90°박리 접착력>
필터를 25mm 폭으로 절단하고, 반사 방지 필름 적층 면과는 반대 면의 접착면(제거성 접착면)을 두께가 2.8mm인 플라즈마 표시용 유리판(아사히 글라스 캄파니 리미티드의 "PD200")에 붙여 합쳤다. 이것을 80℃의 대기중에 40일간 방치한 후 23℃에서 4시간 방치후, 필터를 90°의 방향으로 50mm/분의 속도로 박리하여, 그 때의 접착력을 측정했다.
<전체 광선 투과율>
필터의 반사 방지 필름 적층면과는 반대인 접착면(제거성 접착면)을 슬라이드 유리에 붙여 합친 후, 전체 광선 투과율을 반사·투과율계(무라카미 색채 기술 연구소(Murakami color Technique Institute)의 "HRl00형")로 측정했다.
내충격성 90°분리시 접착 강도(N/폭 25mm) 전체 광선 투과율(%)
실시예 1 1.2 92.0
실시예 2 3.8 92.8
실시예 3 0.7 90.5
실시예 4 2.0 91.0
비교예 1 × 2.5 93.7
비교예 2 × 측정 불가능 93.5
비교예 3 × 5.0 93.1
상기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4의 유리 파쇄 방지용 필름상 필터에 의하면 그 접착면을 이용하여 유리판에 용이하게 붙일 수 있으면서, 붙인 후의 제거도 용이하고, 또한 유리 파쇄 방지층(이의 기본 층)을 갖지 않는 비교예 1의 필름상 필터와 비교하였을 때 뛰어난 유리 파쇄 방지 효과가 수득된다.
이와 반대로, 20℃에서의 동적 저장 전단 탄성율이 본 발명의 범위 이외인 경질 아크릴판을 기본 층으로 사용한 비교예 2의 필터에서는 유리 파쇄 방지 효과가 수득되지 않는다. 또한, 유리 파쇄 방지층 중에 유기화된 층상 클레이 광물을 포함하지 않은 비교예 3의 필터에서는 또한 충분한 유리 파쇄 방지 효과가 수득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투명한 유기 고분자 물질과 유기화된 층상 클레이 광물과의 복합재료로 구성되는 유리 파쇄 방지층의 한 면에 반사 방지 필름이 적층되어 있고 다른 면이 접착면인 특정 구성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접착면을 이용하여 플라즈마 표시판의 화면에 직접 장착할 수 있고, 이에 의해 표시 장치의 내충격성이 향상되고, 플라즈마 표시판의 유리 파쇄 방지 효과가 증대하고, 직접 장착하기 때문에 공기 층에 의한 이중 반사 문제가 없고, 또한 경질의 두꺼운 유리판이나 아크릴판 등의 투명 보호판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장착이 용이하고 표시 장치의 경량화, 박형화, 저비용화에도 공헌할 수 있고, 상기 접착면이 제거성을 갖는 구성을 사용함으로써, 재활용시 제거가 가능하고, 용이하게 탈착될 수 있는 유리 파쇄 방지용 필름상 필터 및 이를 장착한 플라즈마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6)

  1. 반사 방지 필름; 및
    투명한 유기 고분자 물질과 유기화된 층상 클레이 광물과의 복합 재료로 구성되고, 한 면에는 반사 방지 필름이 적층되고 다른 면은 접착 면인 유리 파쇄 방지층을 포함하는, 유리 파쇄 방지용 필름상 필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유기 고분자 물질이 6X106Pa 이하의 20℃에서의 동적 저장 전단 탄성율을 갖는 유리 파쇄 방지용 필름상 필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유리 파쇄 방지층의 두께가 0.1 내지 5 mm인 유리 파쇄 방지용 필름상 필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유리 파쇄 방지층의 접착면이 제거될 수 있는 유리 파쇄 방지용 필름상 필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전체 광선의 투과율이 80% 이상인 유리 파쇄 방지용 필름상 필터.
  6. 플라즈마 표시판의 화면에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의 유리 파쇄 방지용
    필름상 필터가 유리 파쇄 방지층의 접착면을 통해 직접 장착되어 있는 플라즈마 표시 장치.
KR1020020068430A 2001-11-07 2002-11-06 유리 파쇄 방지용 필름상 필터 및 플라즈마 표시 장치 KR1008479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341501A JP2003140559A (ja) 2001-11-07 2001-11-07 ガラス割れ防止用フィルム状フィルタとプラズマ表示装置
JPJP-P-2001-00341501 2001-11-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8463A true KR20030038463A (ko) 2003-05-16
KR100847918B1 KR100847918B1 (ko) 2008-07-22

Family

ID=19155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8430A KR100847918B1 (ko) 2001-11-07 2002-11-06 유리 파쇄 방지용 필름상 필터 및 플라즈마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214422B2 (ko)
EP (1) EP1310973B1 (ko)
JP (1) JP2003140559A (ko)
KR (1) KR1008479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59256A (ja) * 2003-02-05 2004-09-16 Nitto Denko Corp 透明積層体、ペン入力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方法
JP2005173462A (ja) * 2003-12-15 2005-06-30 Nitto Denko Corp ガラス割れ防止積層体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4583749B2 (ja) * 2003-11-26 2010-11-17 日東電工株式会社 感圧性接着シート
JP4807942B2 (ja) * 2004-10-13 2011-11-02 日東電工株式会社 衝撃吸収シート
JP4732792B2 (ja) * 2005-05-10 2011-07-27 日東電工株式会社 水分散型アクリル系粘着剤組成物と粘着シート
JPWO2007069495A1 (ja) * 2005-12-16 2009-05-21 コニカミノルタエムジー株式会社 電磁波遮蔽材料、電磁波遮蔽材料の製造方法及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用電磁波遮蔽材料
US8854595B2 (en) 2008-03-03 2014-10-07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Constricted convection cooling system for an electronic display
US8767165B2 (en) * 2007-11-16 2014-07-01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Isolated gas cooling system for an electronic display
US8773633B2 (en) 2008-03-03 2014-07-08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Expanded heat sink for electronic displays
US8654302B2 (en) 2008-03-03 2014-02-18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Heat exchanger for an electronic display
US8351014B2 (en) 2008-03-03 2013-01-08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Heat exchanger for back to back electronic displays
US8497972B2 (en) 2009-11-13 2013-07-30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Thermal plate with optional cooling loop in electronic display
US8274622B2 (en) * 2008-03-03 2012-09-25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System for using constricted convection with closed loop plenum as the convection plate
US9173325B2 (en) 2008-03-26 2015-10-27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Heat exchanger for back to back electronic displays
US8693185B2 (en) 2008-03-26 2014-04-08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method for maintaining a consistent temperature gradient across an electronic display
US8749749B2 (en) 2008-12-18 2014-06-10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System for cooling an electronic image assembly with manifolds and ambient gas
US10827656B2 (en) 2008-12-18 2020-11-03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System for cooling an electronic image assembly with circulating gas and ambient gas
JP2009110026A (ja) * 2009-02-12 2009-05-21 Nitto Denko Corp 液晶パネルのガラス割れ防止粘着剤層
KR20110059244A (ko) * 2009-11-27 2011-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라즈마 패널 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CN103135154B (zh) * 2011-12-02 2016-09-14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滤光片及使用该滤光片之镜头模组
CA2820253C (en) * 2012-08-08 2020-10-27 Shrenik Shah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impact safety
ES2790406T3 (es) 2012-10-16 2020-10-27 Mri Inc Conjunto de enfriamiento de bandeja posterior para pantalla electrónica
US10524384B2 (en) 2013-03-15 2019-12-31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Cooling assembly for an electronic display
US9648790B2 (en) 2013-03-15 2017-05-09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Heat exchanger assembly for an electronic display
KR101894027B1 (ko) 2013-07-08 2018-08-31 매뉴팩처링 리소시스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 전자 디스플레이용 8자 모양의 폐쇄형 루프 냉각 시스템
KR102379046B1 (ko) 2014-03-11 2022-03-25 매뉴팩처링 리소시스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 전자 디스플레이 후면 커버 및 장착 브래킷
JP6305564B2 (ja) 2014-04-30 2018-04-04 マニュファクチャリング・リソーシズ・インターナショナル・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背合わせの電子ディスプレイ・アセンブリ
US9723765B2 (en) 2015-02-17 2017-08-01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Perimeter ventilation system for electronic display
US10820445B2 (en) 2016-03-04 2020-10-27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Cooling system for double sided display assembly
EP3616481A4 (en) 2017-04-27 2020-12-23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DISPLAY CURVING
US10485113B2 (en) 2017-04-27 2019-11-19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Field serviceable and replaceable display
US10559965B2 (en) 2017-09-21 2020-02-11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Display assembly having multiple charging ports
US10602626B2 (en) 2018-07-30 2020-03-24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Housing assembly for an integrated display unit
US11096317B2 (en) 2019-02-26 2021-08-17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Display assembly with loopback cooling
US10795413B1 (en) 2019-04-03 2020-10-06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Electronic display assembly with a channel for ambient air in an access panel
US11477923B2 (en) 2020-10-02 2022-10-18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Field customizable airflow system for a communications box
US11470749B2 (en) 2020-10-23 2022-10-11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Forced air cooling for display assemblies using centrifugal fans
US11778757B2 (en) 2020-10-23 2023-10-03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Display assemblies incorporating electric vehicle charging equipment
US11966263B2 (en) 2021-07-28 2024-04-23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Display assemblies for providing compressive forces at electronic display layers
US11744054B2 (en) 2021-08-23 2023-08-29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Fan unit for providing improved airflow within display assemblies
US11762231B2 (en) 2021-08-23 2023-09-19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Display assemblies inducing turbulent flow
US11919393B2 (en) 2021-08-23 2024-03-05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Display assemblies inducing relatively turbulent flow and integrating electric vehicle charging equipment
US11968813B2 (en) 2021-11-23 2024-04-23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Display assembly with divided interior spac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49517U (ko) * 1979-09-25 1981-05-01
JP3445436B2 (ja) 1996-03-21 2003-09-08 日東電工株式会社 プラズマ表示装置
US5952095A (en) 1996-12-06 1999-09-14 Amcol International Corporation Intercalates and exfoliates formed with long chain (C10 +) monomeric organic intercalant compounds; and composite materials containing same
US6541557B1 (en) * 1999-03-23 2003-04-01 Kabushiki Kaisha Toyota Chuo Kenkyusho Resin composite material
JP3849070B2 (ja) * 1999-06-30 2006-11-22 株式会社日立プラズマパテントライセンシング 平面型表示装置
DE60015289T2 (de) * 1999-08-26 2006-02-02 Asahi Glass Co., Ltd. Phasenverschieber und damit ausgestatteter Optik-Kopf
JP4894079B2 (ja) * 2000-01-28 2012-03-07 住友化学株式会社 光学用プラスチックス基板
US6548177B2 (en) 2000-03-15 2003-04-15 Nitto Denko Corporation Transparent shock-absorbing laminate and flat panel display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310973A3 (en) 2005-08-24
US7214422B2 (en) 2007-05-08
EP1310973A2 (en) 2003-05-14
US20030104210A1 (en) 2003-06-05
KR100847918B1 (ko) 2008-07-22
JP2003140559A (ja) 2003-05-16
EP1310973B1 (en) 2007-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38463A (ko) 유리 파쇄 방지용 필름상 필터 및 플라즈마 표시 장치
KR100707582B1 (ko) 유리 균열 방지용 필름상 층 및 플라즈마 표시장치
TWI452106B (zh) 拉伸可撕下膠帶
KR100657090B1 (ko) 투명한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 및 그의 감압성 접착제 시이트
JP5066535B2 (ja) 光学積層フィルム
JP2005186584A (ja)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JP2007298667A (ja) 光学フィルタ
WO2017204342A1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これを用いた合わせガラス
JP2004058376A (ja) ガラス割れ防止用透明積層体
KR20160080549A (ko) 광경화성 점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비산방지필름
JP4001776B2 (ja) ガラス割れ防止用透明積層体
KR20200102885A (ko) 점착 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학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JP2020040869A (ja) 合わせガラスの中間膜用樹脂組成物、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合わせガラスの中間膜用フィルム材、合わせガラス、合わせガラスの製造方法、画像表示装置、耐衝撃部材用樹脂組成物、耐衝撃膜及び耐衝撃膜用フィルム材
WO2018079720A1 (ja) 合わせガラス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合わせガラスの中間膜用光硬化性樹脂組成物
JP2004191702A (ja) ガラス割れ防止用フィルム状フィルタとプラズマ表示装置
KR20090003843A (ko) 투명 점착제 조성물, 투명 점착시트, pdp용 광학 필터및 점착시트 제조방법
JP6083463B2 (ja) 導電性積層体、気泡または亀裂発生低減シート、および気泡または亀裂発生低減方法
JP2019053206A (ja) 光学用積層体および表示装置
JP7380993B2 (ja) 積層体
WO2019069373A1 (ja) 合わせガラスの中間膜に用いられる樹脂膜、合わせガラスの中間膜用フィルム材、合わせガラス及び合わせガラスの製造方法
JP2006126628A (ja) リバーシブル型光学用部材
WO2022137832A1 (ja) 光学フィルム
JP5874556B2 (ja) 導電性積層体、気泡または亀裂発生低減シート、および気泡または亀裂発生低減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