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2426A - 전극 구동 장치 및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전극 구동 장치 및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2426A
KR20020082426A KR1020020021531A KR20020021531A KR20020082426A KR 20020082426 A KR20020082426 A KR 20020082426A KR 1020020021531 A KR1020020021531 A KR 1020020021531A KR 20020021531 A KR20020021531 A KR 20020021531A KR 20020082426 A KR20020082426 A KR 200200824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component
electrode
wiring pattern
pattern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1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34673B1 (ko
Inventor
이시야마히사노부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82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24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46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46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6Cell terminals located on one side of the display onl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폭을 작게 할 수 있는 전극 구동 장치 및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전극 구동 장치는, 제1 및 제2 기판(11, 12)과, 사변형 영역(20)내에서 나란히 배열된 제1 및 제2 전극 패턴(21, 22)과, 제1 및 제2 배선 패턴(31, 32)과, 제1 배선 패턴(31)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1 전자부품(40)과, 제2 배선 패턴(32)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2 전자부품(50)을 가진다. 제1 및 제2 전자부품(40, 50)은 사변형 영역(20)의 외측으로부터 제1 변(24)측에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전극 구동 장치 및 전자기기{ELECTRODE DRIVING APPARATUS AND ELECTRONIC EQUIPMENT}
본 발명은 전극 구동 장치 및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도 9는 종래 기술에 관한 액정 표시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액티브 매트릭스 방식의 액정 표시장치(300)에서는 신호 전극(302) 및 주사 전극(304)이 교차하도록 되어 있다. 액정 표시장치(300)는 표시 구동을 하기 위해, 신호 전극(302)에 구동 신호를 공급하는 X 드라이버(소오스 드라이버)(306)와, 주사 전극(304)에 구동 신호를 공급하는 Y 드라이버(게이트 드라이버)(308)를 가지고 있다.
X 드라이버(306)는 최근의 표시 화면의 미세화·컬러화에 따라 회로의 집적도를 향상시킬 필요에서 미세 배선으로 또한 저 전압으로 동작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Y드라이버(308)는 구동 전압이 X 드라이버(306)에 대해 높고, 고 내압인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X 드라이버(306)와 Y 드라이버(308)는 별도의 전자부품으로 구성되어, 별도로 배치되는 경우가 많다. 그 경우, 예컨대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X 드라이버(306)가 액정 패널(310)에서의 제1 변(邊)의 아래쪽에 배치되고, Y 드라이버(308)가 액정 패널(310)에서의 제2 변의 횡 방향으로 배치되는 경우에는 액정 표시장치(300)는 횡 방향 및 종 방향으로 커져 버린다. 특히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위 틀 가장자리 영역(312)이 넓어진 경우에는 휴대 전화에서 요구되는 폭이 작은 액정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없었다. 이러한 문제는 액정 표시장치에 한정되지 않고, 교차하는 전극을 구동할 때에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폭(소위, 특 가장자리)을 작게 할 수 있는 전극 구동 장치 및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1) 본 발명에 관한 전극 구동 장치는, 제1 및 제2 기판과,
상기 제1 및 제2 기판 사이의 사변형 영역내에 나란히 배열된 제1 및 제2 전극 패턴과,
상기 제1 전극 패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사변형 영역의 제1 변에서 외측 방향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제1 배선 패턴과,
상기 제2 전극 패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사변형 영역의 상기 제1 변에 인접하는 제2 변에서 외측 방향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제2 배선 패턴과,
상기 제1 배선 패턴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1 전자부품과,
상기 제2 배선 패턴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2 전자부품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전자부품은 상기 사변형 영역의 외측에서 상기 제1 변의 측에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변의 측에 제1 및 제2 전자부품이 배치되어 있으므로, 제2 변의 측의 스페이스(이 방향의 폭)를 작게 할 수 있다.
(2) 이 전극 구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전극 패턴은 교차하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3) 이 전극 구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변형 영역은 상기 제1 및 제2 기판의 한쪽 외형에 의해 구획된 영역이어도 된다.
(4) 이 전극 구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기판의 한쪽에 부착된 제3 기판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전자부품은 상기 제3 기판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배선 패턴의 각각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3 기판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5) 이 전극 구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변의 양단에 인접하는 두개의 변의 각각이 상기 제2 변이고, 상기 두개의 변의 각각에서 상기 제2 배선 패턴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6) 이 전극 구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자부품은 장방형을 이루고, 긴 변에 따른 방향의 양단부의 각각에 상기 제2 배선 패턴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7) 이 전극 구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두개의 변의 각각에서 형성된 상기 제2 패턴과, 상기 제2 전자부품과, 상기 사변형 영역으로 둘러싸인 영역에 상기 제1 전자부품이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8) 이 전극 구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자부품은 상기 둘러싸인 영역측의 단부에 형성된 접속 단자와, 상기 둘러싸인 영역 외측의 단부에 형성된 외부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접속 단자와 상기 제1 전자부품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 패턴을 더 가지고 있어도 된다.
(9) 이 전극 구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자부품은 상기 외부 단자와 상기 접속 단자 사이를, 신호 및 전원의 적어도 한쪽이 통과하는 경로를 내부에 가져도 된다.
(10) 이 전극 구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경로는 상기 전원으로서 공통 전압 VCOM이 통과하는 것이어도 된다.
(11) 이 전극 구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자부품의 밑을 통과해 상기 제1 전자부품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신호 및 전원의 적어도 한쪽이 통과하는 제3 배선 패턴을 더 가지고 있어도 된다.
(12) 이 전극 구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자부품에는 페이스-다운 실장이 적용되고,
상기 제3 배선 패턴은 상기 제2 전자부품의 범프를 피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13) 이 전극 구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자부품은 전원 회로를 구비하여 구성되어도 된다.
(14) 이 전극 구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사이에 전기 광학 물질이 구비되어 이루어지고, 전기 광학장치를 구성해도 된다.
(15) 이 전극 구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기 광학 물질은 액정으로, 액정장치를 구성해도 된다.
(16) 이 전극 구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은 신호 전극이고,
상기 제1 전자부품은 표시 제어 기능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17) 이 전극 구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상기 제1 전극의 제어신호이어도 된다.
(18) 본 발명에 관한 전자기기는 상기 전극 구동 장치를 가지고 있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전극 구동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도 1의 Ⅱ-Ⅱ선 단면도,
도 3은 도 1의 Ⅲ-Ⅲ선 단면도,
도 4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전극 구동 장치의 변형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전극 구동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전극 구동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실시 형태에 관한 전자기기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실시 형태에 관한 전자기기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종래 기술에 관한 액정 표시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제1 기판 12 : 제2 기판
13 : 제3 기판 14 : 전기 광학 물질
20 : 사변형 영역 21 : 제1 전극 패턴
22 : 제2 전극 패턴 24 : 제1 변
26 : 제2 변 31 : 제1 배선 패턴
32 : 제2 배선 패턴 33 : 제3 배선 패턴
34 : 제4 배선 패턴(접속 패턴)
40 : 제1 전자부품 46 : 둘러싸인 영역
50 : 제2 전자부품 51 : 접속 단자
53 : 외부 단자 56 : 범프
58 : 경로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전극 구동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선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Ⅲ-Ⅲ선 단면도이다.
전극 구동 장치는 제1 기판(11)을 가진다. 제1 기판(11)에 대향하여 제2 기판(12)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및 제2 기판(11, 12)의 적어도 한쪽(한쪽만 또는 양쪽)은 유리 등으로 이루어지는 투명 기판이다. 제1 및 제2 기판(11, 12)은 적어도 표면에서 전기적으로 절연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제1 및 제2 기판(11, 12)의 형상은 도 1에 도시하는 사변형(직사각형을 포함)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기판(11)이 제2 기판(12)보다도 크다.
본 실시 형태에서, 전극 구동 장치는 제3 기판(13)을 가진다. 제3 기판(13)은 제1 기판(11)에 접속되어 있다. 제3 기판(13)으로서 플렉시블 기판(필름)을 사용하여도 된다.
전극 구동 장치는 제1 전극 패턴(21)을 가진다. 도 1에 도시하는 제1 전극 패턴(21)은, 도면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전극으로 이루어진다. 액티브 매트릭스형의 액정장치에서, 제1 전극 패턴(21)은 신호 전극(또는 주사 전극)이다. 전극 구동 장치는 제2 전극 패턴(22)을 가진다. 도 1에 도시하는 제2 전극 패턴(22)은 도면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전극으로 이루어진다. 액티브 매트릭스형의 액정장치에서, 제2 전극 패턴(22)은 주사 전극(또는 신호 전극)이다. 또한, 액티브 매트릭스형 액정장치는 도시하지 않은 화소 전극을 가지고, 주사 전극을 통해 제어되는 능동 소자(예컨대, 트랜지스터)에 의해 신호 전극과 화소 전극의 전기적인 접속이 온·오프된다.
제1 및 제2 전극 패턴(21, 22)은 교차하도록, 예를 들면 매트릭스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 제1 및 제2 전극 패턴(21, 22)은 제1기판(11)에 형성되어 있다. 제1 및 제2 전극 패턴(21, 22)은 사변형 영역(20)내에서 나란히 배열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예에서, 사변형 영역(20)은 사변형의 제2 기판(12)의 외형에 의해 구획되는 영역이다. 제1 및 제2 배선 패턴(21, 22)의 각각의 일부는 제3 기판(13)에도 형성되어 있다.
전극 구동 장치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3 전극 패턴(23)을 가진다. 제3 전극 패턴(23)은 제2 기판(12)에 형성되어 있다. 액티브 매트릭스형의 액정장치에 있어서는, 제3 전극 패턴(23)은 공통 전극이다. 그 경우, 제3 전극 패턴(23)은 제2 기판(12)에서의 제1 기판(11)측의 면에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 전극 구동 장치는 전기 광학장치(액정장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전기장 발광(electroluminescence) 디스플레이 장치 등)로, 제1 및 제2 기판(11, 12) 사이에 전기 광학 물질(액정 ·방전 가스 ·발광 재료 등)(14)이 구비되어 있다. 전기 광학 물질(14)은 도시하지 않은 실링재에 의해 밀봉된다. 전극 구동 장치는 전극 구동 패널이어도 된다. 전극 구동 패널은 전기 광학 패널(액정 패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전기장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 등)이어도 된다.
전극 구동 장치는 제1 배선 패턴(31)을 가진다. 제1 배선 패턴(31)은 복수의 배선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제1 배선 패턴(31)은 제1 전극 패턴(2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이루어진다. 제1 전극 패턴(21)을 구성하는 복수의 전극의 각각에, 제1 배선 패턴(31)을 구성하는 복수의 배선 각각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도 된다. 제1 전극 패턴 및 제1 배선 패턴(21, 31)은 일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제1 배선 패턴(31)은 사변형 영역(20)의 제1 변(24)에서 외측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전극 구동 장치는 제2 배선 패턴(32)을 가진다. 제2 배선 패턴(32)은 복수의 배선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제2 배선 패턴(32)은 제2 전극 패턴(22)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이루어진다. 제2 전극 패턴(22)을 구성하는 복수의 전극 각각에, 제2 배선 패턴(32)을 구성하는 복수의 배선 각각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도 된다. 제2 전극 패턴 및 제2 배선 패턴(22, 32)은 일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제2 배선 패턴(32)은 사변형 영역(20)의 제2 변(26)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변(26)은 제1 변(24)에 인접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변(24)의 양단에 인접하는 두개의 제2 변(26)의 각각에서 제2 배선 패턴(32)이 형성되어 있다.
전극 구동 장치는 제1 및 제2 전자부품(40, 50)을 가진다. 제1 전자부품(40)은 제1 전극 패턴(예컨대 신호 전극)(21)을 구동하고, X 드라이버 또는 소오스 드라이버라고 불러도 된다. 제1 전자부품(40)은 표시 제어 기능을 가지고 있어도 되고, RAM을 내장하고 있어도 된다. 제2 전자부품(50)은 제2 전극 패턴(예를들면, 주사 전극)(22)을 구동하고, Y 드라이버 또는 게이트 드라이버라고 불러도 된다. 제2 전자부품(50)은 전원 회로, 발신 회로 등을 내장하고 있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 제1 및 제2 전자부품(40, 50)은 사변형 영역(20)의 외측으로, 제1 변(24)의 측에 배치되어 있다. 즉, 제1 및 제2 전자부품(40, 50)은 제1변(24)에 대향하고, 제2 변(26)에 대향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예컨대, 제1 변(24)의 측에 제3 기판(13)이 구비되고, 제3 기판(13)에 제1 및 제2 전자부품(40, 50)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배치함으로써, 제2 변(26)의 측의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제1 및 제2 전자부품(40, 50)은 주변장치형 부품으로서, 단부에 복수의 단자가 나란히 배열되어 있다. 제1 및 제2 전자부품(40, 50)의 실장 형태는 TAB(Tape Automated Bonding)이어도 되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 페이스-다운 실장이다. 실장 대상이 되는 기판(도 1의 예에서는 제3 기판(13))이 필름이면 COF(Chip On Film)라고 불리고, 유리이면 COG(Chip On Glass)라고 불린다. 제1 및 제2 전자부품(40, 50)과 기판(도 1의 예에서는 제3 기판(13))에서 TCP(Tape Carrier Package)를 구성하여도 된다.
제1 배선 패턴(31)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도 1의 예에서는 복수)의 제1 단자(41)는 제1 전자부품(40)에 형성되어 있다. 제1 배선 패턴(31)은 제1 전극(21)과 제1 전자부품(40) 사이의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제2 배선 패턴(32)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도 1의 예에서는 복수)의 제2 단자(52)는 제2 전자부품(50)에 형성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제2 전자부품(50)은 장방형을 이루고, 긴 변에 따른 양단부의 각각에 제2 단자(5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2 전자부품(50)에서의 긴 변에 따른 양단부의 각각에 제2 배선 패턴(32)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사변형 영역(20)의 양측(제1 변(24)의 양단에 인접하는두개의 제2 변(26))에서 형성된 제2 배선 패턴(32)과, 제2 전자부품(50)과, 사변형 영역(20)으로 둘러싸인 영역(46)에 제1 전자부품(40)이 배치되어 있다. 영역(46)의 외측에서 제1 전자부품(40)에, 신호(예컨대 제1 전자부품(40)의 제어 신호) 및 전원(GND를 포함)의 적어도 한쪽을 공급하기 위해, 전극 구동 장치는 제3 배선 패턴(33)과 경로(58)를 가진다.
제3 배선 패턴(33)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전자부품(50) 밑을 통과해 제1 전자부품(40)에 형성된 제3 단자(4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3 배선 패턴(33)은 제2 전자부품(50)의 범프(bump)(56)를 피해 형성되어 있다. 즉, 제3 배선 패턴(33)상에는 범프(56)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제3 배선 패턴(33)이 제2 전자부품(50)에 전기적으로 접촉하지 않는다. 또한, 제3 배선 패턴(33)은 제2 전자부품(50)에 물리적으로 접촉하지 않도록 양자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제2 전자부품(50)에서의 능동 소자가 형성된 면이 보호된다. 제3 배선 패턴(33)은 복수의 배선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경로(58)는 제2 전자부품(50)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 제2 전자부품(50)은 상술한 영역(46)의 외측 단부에 복수의 외부 단자(53)를 가진다. 외부 단자(53)는 전극 구동 장치의 외부에 접속하기 위한 단자이다. 외부 단자(53)는 제5 배선 패턴(35)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2 전자부품(50)은, 상술한 영역(46)측의 단부에 복수의 접속 단자(51)를 가진다.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자(53)와, 적어도 하나의 접속 단자(51) 사이에 경로(58)가 형성되어 있다, 경로(58)는 능동 소자를 가지고 있지 않은 배선이다. 경로(58)에 접속된 접속 단자(51)는 제4 배선 패턴(접속 단자 패턴)(34)에 의해 제1 전자부품(40)의 접속 단자(42)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2 전자부품(50)은 제3 전극 패턴(공통 전극)(23)에 인가하는 전압(공통 전압 VCOM)을 생성하여, 출력 단자(54)에서 출력한다. 출력 단자(54)는 제6 배선 패턴(36)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6 배선 패턴(36)은 제3 전극 패턴(2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혹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전자부품(60)은 그 내부에 공통 전압 VCOM이 통과하는 경로(68)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예컨대, 공통 전압 VCOM은 제3 전자부품(70)에서 생성된다. 제3 전자부품(70)은 제2 전자부품(60) 및 제2 배선 패턴(32)의 외측(영역(46)의 외측)에 배치된다. 경로(68)는 제2 전자부품(60)의 전원 전압(예컨대, 1.8V, 3V)보다 높은 전압의 신호를 통과할 수 있도록 고 내압인 회로 레이아웃 또는 배선 레이아웃으로 하여도 된다. 이에 따라, 경로(68)는 공통 전압 VCOM(예컨대, -1.0∼4.0V, 진폭 5V)인 전원도 통과시킬 수 있다. 제3 전자부품(70)에서 생성된 공통 전압 VCOM은 제2 전자부품(60)의 외부 단자(63)에 입력되고, 경로(68)를 통과해, 출력 단자(64)로부터 출력된다. 그리고, 출력 단자(64)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6 배선 패턴(36)을 거쳐 제3 전극 패턴(23)(도 2 참조)에 입력된다.
제6 배선 패턴(36)은 제1 및 제2 변(24, 26)에 의해 형성되는 정점(25)에 혹은 그 부근에 형성되어 있다. 즉, 제6 배선 패턴(36)은 제1 및 제2 배선 패턴(31,32)보다도 정점(25)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제6 배선 패턴(36)은 사변형 영역(20)의 외측 방향에 형성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제6 배선 패턴(36)은 하나의 배선이지만, 복수의 배선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또한, 제6 배선 패턴(33)은 도전부(16)를 통해 제3 전극 패턴(2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1, 2 및 제6 배선 패턴(31, 32, 36)은 제1 기판(11)에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 제1, 2 및 6의 배선 패턴(31, 32, 36)은 제3 기판(13)에도 형성되어 있다. 예컨대, 제1 기판(11)에 형성된 복수의 배선 패턴과, 제3 기판(13)에 형성된 복수의 배선 패턴이 접합되어 제1, 2 및 6의 배선 패턴(31, 32, 36)이 구성되어도 된다. 그 접합에는 금속 접합을 적용하여도 되고, 이방성 도전 재료를 사용하여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전극 구동 장치에 의하면, 사변형 영역(20)의 제2 변(26)측의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이 방향에서의 폭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제2 전자부품(50)이 전원 회로를 내장하고, 필요한 전압을 제1 전자부품(40)에 공급하도록 하면, 제1 전자부품(40)은 전원 회로를 생략하여 소형화가 가능하다.
다음에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전극 구동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외부로부터의 신호 또는 전원은 제5 배선 패턴(35)을 통해 제2 전자부품(50)에 입력된다. 또한, 외부에서의 신호 또는 전원은 제3 배선 패턴(33) 및 경로(58)의 적어도 한쪽을 통해 제1 전자부품(40)에 입력된다. 제2 전자부품(50)에서 필요한 전압이나 신호가 생성되는 경우에는 이것이 제4 배선 패턴(접속 패턴)(34)을 통해 제1 전자부품(40)에 입력된다. 제1 전자부품(40)은 제1 전극 패턴(신호 전극)(21)을 구동하고, 제2 전자부품(50)은 제2 전극 패턴(주사 전극)(22)을 구동한다. 제2 전자부품(50)에서 출력되는 전압(공통 전압 VCOM)은 제3 전극 패턴(23)에 인가된다.
(제2 실시 형태)
도 5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전극 구동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 전자부품(150)의 방향이 제1 실시 형태에서의 제2 전자부품(50)의 방향과 다르다. 즉, 제2 전자부품(150)은 장방형을 이루고, 그 긴 변이 사변형 영역(120)의 제1 변(124)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2 전자부품(60)이 이와 같이 배치되어 있는 것에 따라, 제2 배선 패턴(132)은 제2 전자부품(150)에서의 짧은 변 방향의 양단부(긴 변을 형성하는 단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 이외의 구성 및 효과는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내용이 해당한다.
(제3 실시 형태)
도 6은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전극 구동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 전자부품(250)의 위치가 제1 실시 형태에서의 제2 전자부품(50)의 위치와 다르다. 즉,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사변형 영역(20)과 제2 전자부품(50) 사이에, 제1 전자부품(40)이 배치되어 있지만, 이 위치 관계가 본 실시 형태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제2 전자부품(250)은 제1 전자부품(240)에서 사변형 영역(220)의 제1 변(224)에 따른 방향으로 어긋나 배치되어 있다. 제1 전자부품(240)에서의 제1 변(224)에 대향하는 변(242)과는 반대측의 변(244)의 측을 피해 제2 전자부품(250)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제1 변(224)에 따른 방향으로 제1 및 제2 전자부품(240, 250)의 긴 변이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는데, 그 짧은 변이 연장되도록 배치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도, 제1 및 제2 전자부품(240, 250)은 제1 변(224)측에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제1 변(224)의 측과는 제1 변(224)을 경계로 하여, 제2 변(226)과는 반대측을 의미한다. 따라서, 제1 변(224)의 길이보다 제1 및 제2 전자부품(240, 250)이 배치되는 영역이 길게 되어 있어도 된다. 이는 다른 실시 형태에도 해당한다.
이 이외의 구성 및 효과는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내용이 해당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형태를 제외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어느 하나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전극 구동 장치를 가지는 전자기기로서, 도 7에는 노트북형 퍼스널 컴퓨터(1000)가 도시되고, 도 8에는 휴대 전화(2000)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예를들면, 기능, 방법 및 결과가 동일한 구성, 혹은 목적 및 결과가 동일한 구성)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구성의 본질적이지 않은 부분을 치환한 구성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작용 효과를 가지는 구성 또는 동일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구성에 공지 기술을 부가한 구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변의 측에 제1 및 제2 전자부품이 배치되어 있으므로, 제2 변의 측의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다.

Claims (18)

  1. 제1 및 제2 기판과,
    상기 제1 및 2 기판 사이의 사변형 영역내에 나란히 배열된 제1 및 제2 전극 패턴과,
    상기 제1 전극 패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사변형 영역의 제1 변(邊)에서 외측 방향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제1 배선 패턴과,
    상기 제2 전극 패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사변형 영역의 상기 제1 변에 인접하는 제2 변에서 외측 방향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제2 배선 패턴과,
    상기 제1 배선 패턴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1 전자부품과,
    상기 제2 배선 패턴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2 전자부품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전자부품은 상기 사변형 영역의 외측에서 상기 제1 변의 측에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구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전극 패턴은 교차하도록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구동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변형 영역은 상기 제1 및 제2 기판의 한쪽 외형에 의해 구획된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구동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기판의 한쪽에 부착된 제3 기판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전자부품은 상기 제3 기판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배선 패턴의 각각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3 기판에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구동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변의 양단에 인접하는 2개의 변의 각각이 상기 제2 변이고, 상기 2개의 변의 각각에서 상기 제2 배선 패턴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구동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자부품은 장방형을 이루고, 긴변에 따른 방향의 양단부의 각각에 상기 제2 배선 패턴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구동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변의 각각에서 형성된 상기 제2 패턴과, 상기 제2 전자부품과,상기 사변형 영역으로 둘러싸인 영역에 상기 제1 전자부품이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구동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자부품은 상기 둘러싸인 영역측의 단부에 형성된 접속 단자와,
    상기 둘러싸인 영역 외측의 단부에 형성된 외부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접속 단자와 상기 제1 전자부품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 패턴을 더 가지고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구동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자부품은, 상기 외부 단자와 상기 접속 단자 사이를, 신호 및 전원의 적어도 한쪽이 통과하는 경로를 내부에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구동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는 상기 전원으로서 공통 전압 VCOM이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구동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자부품의 밑을 통과해 상기 제1 전자부품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신호 및 전원의 적어도 한쪽이 통과하는 제3 배선 패턴을 더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구동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자부품에는 페이스-다운 실장이 적용되고,
    상기 제3 배선 패턴은 상기 제2 전자부품의 범프(bump)를 피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구동 장치.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자부품은 전원 회로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구동 장치.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사이에 전기 광학 물질을 제공하여, 전기 광학장치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구동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광학 물질은 액정으로서, 액정장치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구동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은 신호 전극이고,
    상기 제1 전자부품은 표시 제어 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구동 장치.
  1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상기 제1 전극의 제어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구동 장치.
  18. 제14항 기재의 전극 구동 장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KR10-2002-0021531A 2001-04-19 2002-04-19 전극 구동 장치 및 전자기기 KR1005346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120503A JP2002311849A (ja) 2001-04-19 2001-04-19 電極駆動装置及び電子機器
JPJP-P-2001-00120503 2001-04-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2426A true KR20020082426A (ko) 2002-10-31
KR100534673B1 KR100534673B1 (ko) 2005-12-07

Family

ID=18970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1531A KR100534673B1 (ko) 2001-04-19 2002-04-19 전극 구동 장치 및 전자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034813B2 (ko)
JP (1) JP2002311849A (ko)
KR (1) KR100534673B1 (ko)
CN (1) CN1212599C (ko)
TW (1) TWI235869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6153B1 (ko) * 2006-04-04 2008-01-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45551B2 (ja) 2001-04-19 2006-11-1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極駆動装置及び電子機器
JP3835442B2 (ja) * 2003-09-24 2006-10-1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100598032B1 (ko) * 2003-12-03 2006-07-07 삼성전자주식회사 테이프 배선 기판, 그를 이용한 반도체 칩 패키지 및 그를이용한 디스플레이패널 어셈블리
KR20060104088A (ko) * 2005-03-29 2006-10-09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장치의 회로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1513271B1 (ko) * 2008-10-30 2015-04-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JP5063636B2 (ja) * 2009-03-19 2012-10-31 篠田プラズマ株式会社 発光管アレイ型表示サブモジュール及び表示装置
JP5452290B2 (ja) * 2010-03-05 2014-03-26 ラピスセミコンダクタ株式会社 表示パネル
US9164334B2 (en) * 2010-12-27 2015-10-20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JP5796309B2 (ja) * 2011-03-15 2015-10-2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CN104737218B (zh) * 2012-11-16 2017-03-01 夏普株式会社 驱动模块、显示装置和多显示器装置
JP2018128487A (ja) * 2017-02-06 2018-08-1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パネル、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CN107742502B (zh) * 2017-11-30 2019-10-15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显示方法及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166899B (en) * 1984-11-09 1987-12-16 Hitachi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5016986A (en) * 1988-04-12 1991-05-21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device having an improvement in insulating between conductors connected to electronic components
JPH0611721A (ja) * 1992-06-26 1994-01-21 Sharp Corp 液晶パネルの実装構造および実装方法
JPH0634987A (ja) * 1992-07-15 1994-02-10 Seiko Epson Corp 液晶表示装置
JP3285168B2 (ja) 1993-08-06 2002-05-27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の実装構造及び実装方法
JP3556315B2 (ja) * 1995-03-20 2004-08-18 株式会社東芝 表示装置及び半導体素子
FR2746565B1 (fr) * 1996-03-22 1998-05-22 Ela Medical Sa Dispositif de reception de signaux emis par un appareil medical actif implante
JP3276557B2 (ja) 1996-05-23 2002-04-22 三菱電機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H11305681A (ja) * 1998-04-17 1999-11-05 Casio Comput Co Ltd 表示装置
JP3794186B2 (ja) 1999-02-04 2006-07-0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2000259091A (ja) * 1999-03-04 2000-09-22 Casio Comput Co Ltd 表示パネル、フレキシブル配線基板及びそれらを備えた表示装置
JP2000286808A (ja) 1999-03-31 2000-10-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衛星配信システム
JP3769979B2 (ja) * 1999-05-12 2006-04-26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表示パネル及びそれを備えた表示装置
JP2001005403A (ja) 1999-06-18 2001-01-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表示装置
JP2001036080A (ja) 1999-07-26 2001-02-09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1091967A (ja) 1999-09-17 2001-04-06 Seiko Epson Corp 液晶表示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4815081B2 (ja) * 2000-09-21 2011-11-16 シチズン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画像装置
JP3696512B2 (ja) * 2001-02-13 2005-09-21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素子駆動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6153B1 (ko) * 2006-04-04 2008-01-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034813B2 (en) 2006-04-25
CN1381826A (zh) 2002-11-27
KR100534673B1 (ko) 2005-12-07
CN1212599C (zh) 2005-07-27
JP2002311849A (ja) 2002-10-25
US20020167508A1 (en) 2002-11-14
TWI235869B (en) 2005-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3306B1 (ko) 표시 소자 구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
KR100773651B1 (ko) 전기 광학 장치 및 전자기기
US7459779B2 (en) Pad arrangement of driver IC chip for LCD and related circuit pattern structure of TAB package
KR100534673B1 (ko) 전극 구동 장치 및 전자기기
US9263434B2 (en) Array substrate,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798531B1 (ko) 구동 소자 실장 표시 장치
KR100525258B1 (ko) 전자 모듈, 그 제조 방법 및 구동 방법, 및 전자 기기
KR100473614B1 (ko) 전극 구동 장치 및 전자기기
US6831841B2 (en) Flexible substrate,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KR101621559B1 (ko) 액정표시장치
JPH0611721A (ja) 液晶パネルの実装構造および実装方法
US8902394B2 (en) Display device comprising a flexible board including a first wiring portion that is narrower than a second wiring portion and wherein the second wiring portion does not overlap a terminal portion
JP2016224297A (ja) 表示装置
EP1426914B1 (en) Electro-optic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it
JP4595470B2 (ja) チップ・オン・フィルム回路基板及びこのチップ・オン・フィルム回路基板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JP2006243008A (ja) 表示パネル
JP2005301161A (ja) 表示装置
JP2009016578A (ja) フレキシブル配線基板、該フレキシブル配線基板を用いた半導体装置、および該半導体装置を備えた表示装置
KR100471783B1 (ko) 액정표시장치
KR20100007612A (ko) 표시장치
KR20140143605A (ko)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JP2006066674A (ja)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6106132A (ja) 表示駆動回路および表示装置
KR200160829Y1 (ko) 액정표시소자 모듈 구조
JP2003167234A (ja) 液晶表示パネルの駆動用チップ接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