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7404A - 바닥 청소기용 헤드 - Google Patents

바닥 청소기용 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7404A
KR20020077404A KR1020027009754A KR20027009754A KR20020077404A KR 20020077404 A KR20020077404 A KR 20020077404A KR 1020027009754 A KR1020027009754 A KR 1020027009754A KR 20027009754 A KR20027009754 A KR 20027009754A KR 20020077404 A KR20020077404 A KR 200200774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suction housing
head
cleaner head
floor clea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9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테테크울리케
에르벨귄터
디엘랄프
Original Assignee
알프레드 캐르혀 게엠베하 운트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레드 캐르혀 게엠베하 운트 컴파니 filed Critical 알프레드 캐르혀 게엠베하 운트 컴파니
Publication of KR200200774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740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29Floor-scrubb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taking-up dirty liquid
    • A47L11/30Floor-scrubb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taking-up dirty liquid by su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36Parts or details of the surface treating tools
    • A47L11/4044Vacuuming or pick-up tools; Squeege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63Driving means; Transmission means therefor
    • A47L11/4069Driving or transmission means for the clean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77Skirts or splash guar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8Means for supplying cleaning or surface treating agents
    • A47L11/4088Supply pumps; Spraying devices; Supply condui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 A47L9/060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rigidly anchored brushes, combs, lips or pads
    • A47L9/0613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rigidly anchored brushes, combs, lips or pads with means specially adapted for picking up threads, hair or the like, e.g. brushes, combs, lint pickers or bristles pa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 A47L9/0673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with removable brushes, combs, lips or p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세척제 공급부와 연결될 수 있고 증기상태 또는 액상의 세척제를 청소할 바닥에 살포하는 적어도 하나의 노즐과, 살포된 세척제와 먼지를 흡출하도록 청소기 헤드의 전진 방향에 대하여 전측 및 후측의 흡입구들을 구비하고, 상기 흡입구들을 흡입장치에 연결가능하고, 청소기 헤드의 전진 이동에 따라 바닥 표면에서 상승되고 하강될 수 있고 흡입구과 관련하여 연결된 전측 및 후측의 걸레질용 립(lip)들을 구비하는 바닥 청소기용 헤드에 관한 것으로, 흡입 통로가 흡입구로 개방되고 청소기 헤드의 전진 방향에 반대방향으로 지지수단에 대하여 변위될 수 있는 흡입 하우징과, 그 흡입하우징을 고정하기 위한 지지수단 및 상기 흡입 하우징의 변위 동작을 걸레질용 립들의 상승 및 하강 동작으로 변환시키는 기어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바닥 청소기용 헤드{CLEANING HEAD FOR A FLOOR-CLEANING DEVICE}
이러한 청소 작용을 하는 헤드는 소위 스프레이 분리장치에서 사용되며, 바닥 청소기에서 액상 또는 증기상태의 세척제가 청소할 바닥에 뿌려지고 그것에 의해 바닥에서 분리된 먼지와 함께 세척제를 흡입관을 통한 흡입에 의해 닦아내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에, 걸레질용 립(lip)들이 제공되어 청소할 바닥 표면에서 세척제를 닦아내게 된다. 그러한 청소기 헤드는 WO 94/06343호에서 공지되어 있다.
국제 공개공보 WO 97/15224호에는 전후측의 걸레질용 립들이 청소작용을 하는 헤드의 전진 이동에 따라 바닥 표면에서 상승 및 하강하게 된 청소기 헤드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청소기 헤드의 전진하는 방향에서 볼 때, 전측의걸레질용 립을 상승시키고 후측의 걸레질용 립을 하강시키도록 함으로써, 청소기 헤드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걸레질용 립들 사이에서의 바닥 표면의 먼지나 때가 전측의 걸레질용 립에 의해 그 앞쪽으로 밀려나가지 않고 흡취될 수 있게 되어 있다. 더욱이, 두 개의 걸레질용 립들중 하나만 상승하게 함으로써 청소기 헤드와 바닥 표면 사이에서 마찰력이 감소되고 결과적으로 청소기 헤드를 다루는 것이 쉬워진다.
걸레질용 립들을 상승 및 하강시키기 위하여, WO 97/15224호에는 두개의 회동 레버들을 구비한 회동기구가 개시되어 있으며, 그 레버들의 자유단부들에는 바닥 표면에서 작용하는 슬라이드 블럭에 의해 회동될 수 있는 걸레질용 립들이 유지되고 있다. 그러나, 슬라이드 블럭에 의해서 청소기 헤드와 바닥표면 사이의 마찰력이 감소되는데, 걸레질용 립들중 하나가 상승됨으로써 얻어지는 마찰력의 감소는 슬라이드 블럭의 마찰에 의해 다시 상당히 상실된다.
WO 98/12956호는 걸레질용 립들을 구비한 다른 청소기용 헤드를 개시하고 있으며, 그 립들은 청소기용 헤드의 전진 운동에 따라 상승 및 하강될 수 있지만, 작동을 위한 톱니가 형성된 기어장치가 복잡한 구조로 되어 있고 기능 장애가 발생되기 쉬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바닥 청소기용의 청소작용을 하는 헤드에 관한 것으로, 그러한 청소기 헤드는 청소할 바닥 표면에 증기상태 또는 액상의 세척제를 뿌리고 세척제 공급부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노즐과, 뿌려진 세척제와 먼지를 닦아내도록 청소 헤드의 전진 운동에 대하여 전후측 흡입구를 구비하고, 상기 흡입구들은 흡입관을 통해 흡입장치에 연결되고, 흡입구들에는 전후측의 걸레질용 립들이 청소기 헤드의 전진 방향에 따라 바닥 표면에서 상승 및 하강되도록 제공되어 있다.
도 1은 청소 헤드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선 2-2에 의한 청소 헤드의 길이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청소 헤드의 전진 이동중의, 도 1의 선 3-3에 따라 취한 청소헤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청소 헤드의 후퇴중의, 도 3에서와 같은 청소 헤드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루기 쉽고 기능장애가 발생되지 않는 상술한 형태의 청소기용 헤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용 헤드는 흡입 통로가흡입구로 개방된 흡입 하우징과, 그 흡입하우징을 고정하기 위한 지지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흡입 하우징은 청소기 헤드의 전진 방향에 반대방향으로 지지수단에 대하여 작동될 수 있고, 흡입 하우징의 변위 동작을 걸레질용 립의 상승 및 하강 동작으로 변환시키는 기어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라 지지수단과, 그 지지수단에 대하여 변위가능하게 흡입 하우징의 적어도 두개의 부분으로 형성된 청소기 헤드가 제공된다. 흡입 하우징의 상대적 작동을 걸레질용 립들의 상승 및 하강 동작으로 변환하는 기어장치가 제공된다. 흡입하우징의 변위 작동은 거레질용 립들을 상승 및 하강시키는데 사용되며, 청소할 바닥 표면에 작용하는 부가적인 슬라이드 블럭이 제공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 헤드는 바닥 표면에 대하여 낮은 정도의 마찰력을 갖게 되어 청소 작업을 쉽게 할 수 있게 한다.
상기 기어장치는 흡입 하우징의 변위 작동에 따라 청소기의 전진 방향에 직각으로 향한 수평의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회동수단을 포함한다. 걸레질용 립들은 따라서 회동가능한 회동수단을 통해 상승 및 하강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회동수단은 자유단부에서 걸레질용 립들을 유지시키는 두개의 회동 아암들을 구비한 회동가능한 로커(rocker)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기어장치는 자유단부에 걸레질용 립들을 유지하고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두개의 로커들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은 걸레질용 립들이 견고하게 고정되어서 립들의 기능장애가 발생되지 않게 함과 아울러, 두개의 걸레질용 립들중 하나가 상승하면 동시에 다른 립은 하강하는 식으로 양호하게 가이드되도록한다.
회동수단을 작동시키기 위하여, 회동수단과 연결되어 흡입하우징의 변위 동작에 따라 회동수단을 회동시키는 구동수단이 제공된다.
상기한 구성의 경우에, 회동수단은 흡입 하우징에 장착되고, 상기 구동수단은 지지수단에 장착된 회동 핀을 포함하고 흡입하우징에 대하여 변위될 수 있다. 흡입하우징이 지지수단에 대하여 변위됨에 따라, 흡입 하우징에서의 회동수단의 지지위치에 대하여 회동 핀이 동작하게 된다. 이러한 형태의 배치구조로 흡입하우징의 상대적 작동이 회동수단의 지지 위치에 대응하여 회동 핀이 동작함으로써 회동수단이 회동운동을 실행하도록 구동된다.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 헤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회동수단을 흡입 하우징에 장작되게 하고, 구동수단이 흡입 하우징에 대하여 변위가능하고 지지수단에 장착되는 회동 핀을 포함하게 할 수 있다. 흡입 하우징이 지지수단에 대하여 변위됨으로써 회동수단이 회동되도록 흡입하우징에서 회동수단의 지지위치에 대하여 회동 핀이 이동하게 된다.
지지수단에서 회동 핀을 장착하는 대신에, 변형예로서 구동수단은 흡입하우징에서 유지되고 지지수단에 대하여 변위될 수 있는 회동 핀을 포함하고, 회동수단이 지지수단에 장착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배치구조에서는 흡입 하우징의 상대적 운동을 확실하게 하여 회동수단의 지지 위치에 대응하여 회동 핀이 이동하게 됨으로써 회동수단이 회동운동을 수행하도록 구동되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 헤드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서로에 평행하게 배치하고각 경우에 회동되게 회동수단을 유지하는 두 개의 회동 핀들이 제공되며, 흡입 하우징의 변위 운동에 따라 회동수단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회동 핀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 회동수단을 고정하기 위하여 두 개의 회동 핀을 사용함으로써 회동수단이 특히 신뢰할 수 있으며 기계적으로 장착될 수 있게 고정되어 청소기 헤드의 기능 장애가 방지된다.
더욱이, 청소기 헤드를 다루는 것을 단순화하기 위하여,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게 흡입 하우징이 지지수단에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설계의 경우에, 흡입 하우징이 지지수단에 대하여 변위 운동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진 방향에 대하여 가로 방향으로 바람직하게 배향된 수평의 회동 축을 중심으로 부가적으로 회동될 수 있다. 이것은 흡입 하우징에 대한 지지수단의 경사도를 변경시킬 수 있게 하며, 예를들어 바닥이 불균일한 경우에, 흡입하우징이 지지수단에서의 대응 운동이 필요하지 않게 되어 결과적으로 청소기 헤드의 작동이 단순화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흡입 하우징 위로 측방으로 결합하는 지지하두징을 형성하는 지지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들어 지지수단을 사실상 U자형의 형상을 갖도록 하고 그 자유 다리들 사이에 흡입하우징을 수용하게 할 수 있다. 지지 수단을 흡입 하우징의 길이방향의 양측면에서 맞물리는 지지 브라켓으로 구성함으로써 흡입 하우징을 양측에서 고정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전진 방향에 대한 가로방향에서의 모멘트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청소기 헤드를 튼튼하게 하고 기능 장애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지지수단이 U자형상으로 된 경우에, 흡입 하우징을 연결하는 관형의 연결부재가 두 개의 자유다리부들을 서로 연결하는 가로부재에 배치되는 잇점이 있다. 관형의 연결부재는 가요성의 연결 벨로우즈를 통해 흡입 하우징의 흡입구과 연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 헤드의 특히 바람직한 구조로서, 청소기 헤드의 전진 이동에 따라, 전진 방향에 가로방향으로 배향된 수평의 회동 축을 중심으로 걸레질용 립들이 회동하도록 유지되게 하는 것이다. 이 경우에, 걸레질용 립들은 상승 및 하강 운동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청소기 헤드의 전진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회동운동을 하게 됨으로써, 걸레질용 립들의 걸레질 작용이 향상되어서 청소한 바닥 표면에 청소용 유체가 남지 않게 된다.
청소기 헤드는 걸레질용 립들이 변위가능하게 유지되어 청소기 헤드의 전진 방향에 가로방향으로 배향된 수평의 회동 축을 중심으로 회동되게 하는 가이드 트랙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 트랙의 구성으로 걸레질용 립들이 신뢰성있게 고정되는 한편, 회동운동이 걸레질용 립들의 상승 및 하강 운동에 연결되게 양호한 가이드를 제공한다.
또한 걸레질용 립들이 제 1 관절부에 의해 회동수단에, 그리고 제 2 관절부에 의해 가이드 트랙에서 이동될 수 있게 유지되는 슬라이드부재에 관절식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가이드 트랙은 수평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걸레질용 립이 회동운동하는 회동수단에 의해 바닥 표면의 방향으로 하강할 때, 슬라이드부재에서의 관절식 연결에 의해서 동시에 수평에 대하여 경사지게된다.
걸레질용 립들은 흡입구속에서 회동될 수 있게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것은 립들이 흡입구속에서 경사짐으로써 유동 가이드요소으로서 작용하게 하기 때문이며, 이때 청소기 헤드에 연결된 흡입장치에 의해 발생되는 흡입력이 청소기의 전진 방향에서 볼 수 있듯이 걸레질용 립들의 바로 앞쪽에서 발생되게 하여 바닥 표면에 사용된 세척제를 흡입하는 걸레질용 립들의 걸레질 작용이 향상된다.
청소기 헤드는 그 저면측에 매트형 또는 부직포형의 청소커버를 구비하며, 그 청소커버 지지수단에서 유지된다. 흡입하우징이 판형의 지지수단을 수용하고 그 지지수단은 흡입하우징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유동 통로를 이루는 유동 가이드요소에 분리가능하게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지지수단에서 유지되는 청소용 커버링을 세척하기 위하여 흡입 하우징으로부터 지지수단을 제거할 수 있게 한다. 필요하면, 또한 상기 유동 가이드 요소도 흡입하우징에서 분리되게 하여 전체의 청소기 헤드를 쉽게 세척할 수 있게 할 수도 있다. 상기 유동 가이드 요소와 흡입하우징의 연결은 지지수단이 유동 가이드요소로부터 분리된 다음에만 분리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유동 가이드요소가 부정확하게 제거되는 것을 방지하게 한다.
지지수단과 유동 가이드요소가 적어도 하나의 조정가능한 신속 연결부재에 의해 흡입하우징에 유지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경우 상기 신속 연결부재는 제 1 위치에서는 지지수단을 분리시켜 지지수단이 흡입하우징에서 분리되게 하고, 제 2 위치에서는 유동 가이드요소를 분리시킨다.
상기 신속 연결부재는 예를들어 바닥 표면에서 먼쪽으로 향한 흡입 하우징의 상면부에 배치되는 회전가능한 밀폐부재를 구비하는 총검 체결방식의 체결구 형태로 될 수 있으며, 그 밀폐부재는 기본적인 또는 밀폐위치에서 지지수단과 유동 가이드요소를 흡입 하우징에 고정하고 제 1 회전위치에서는 지지수단만을 분리시키는 한편 제 2 회전위치에서는 지지수단의 분리와 함께 유동 가이드요소도 분리시킨다. 밀폐부재용 지지수단은 스토퍼 형태로 이루어져서 지지수단이 흡입 하우징에서 분리되면 밀폐부재가 제 1 회전위치로 부터 제 2 회전위치로 회전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청소기 헤드를 청소기에의 분리 및 장착을 용이하게 함과 아울러 비숙련자라 할지라도 쉽게 분리 및 장착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전체적으로 부호 10으로 표시된 청소 헤드는 두개의 다리부(14)와 그 다리부들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18)를 구비하고 사실상 U자형으로 된브라켓(12)과, 상기 브라켓(12)의 두개의 다리부(14,16)들 사이에 배치된 입방체형의 흡입 하우징(2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흡입 하우징은 전측 벽(22)과, 그 전측벽에 평행하게 배치된 후측 벽(23), 두개의 측벽(24,25), 및 공통의 상부 벽(26)을 포함한다. 상기 흡입 하우징(20)은 바닥 표면(28)을 향한 방향으로 개방된 캡을 이룬다.
상기 상부 벽(26)은 수평에 대하여 경사진 연통구멍(30)을 가지며, 그 연통구멍에는 흡입관(31)이 고정된다. 상기 흡입관은 구부릴 수 있는 벨로우즈(bellows) 형태로서 흡입관 연결구(32)에 연결되고, 그 흡입관은 브라켓(12)의 연결부(18)에 고정되며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흡입장치에 청소 헤드(10)를 연결하기 위한 흡입관을 연결할 수 있게 이미 공지된 방식으로 구성된다.
유동 가이드용의 캡(37)이 두개의 잠금구(34,35)들에 의해 흡입 하우징(20)속에서 제거가능하게 유지된다. 상기 유동 가이드 캡은 바닥 표면(28)에 평행한 수평의 커버(39)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로부터 전측 유동 가이드면(40)과 후측 유동 가이드면(41)이 바닥표면(28)으로 향해 수평에서 하방으로 확산되는 형상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유동 가이드 캡(37)은 지지프레임(43)을 포함하며, 그 지지프레임은 전측과 후측의 유동 가이드면(40,41)들 사이의 거의 전체 면적을 점유하고 있으며, 바닥면(28)을 향한 지지프레임의 저면은 예를들어, 매트 또는 부직포와 같은 것으로 이루어진 청소용 커버(44)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43)은 유동 가이드 캡(37)과 같은 방식으로 흡입 하우징(20)의 상부벽에서 지지된다. 이를 위하여, 잠금구(34,35)들이 유동 가이드 캡(37)의 커버(39)에 형성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은) 관통 구멍을 통해 맞물려서 지지프레임(43)이 커버(39)에 기계적으로 고정된다. 상기 잠금구(34,35)들은 회전가능하게 형성되며, 잠금위치에서는 유동 가이드 캡(37)과 지지프레임(43)을 흡입 하우징(20)속에 고정시키는 반면, 제 1 회전위치에서는 지지프레임(43)이 유동 가이드 캡(37)과 흡입 하우징(20)에서 분리될 수 있게 한다. 제 2 회전 위치는 잠금구(34,35)들을 위해 부가적으로 제공되며, 이 제 2 회전위치에서도 유동 가이드 캡(37)이 흡입 하우징(20)에서 제거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프레임(43)은 잠금구(34,35)들용 스토퍼로서 작용하게 되어서 지지프레임(43)이 흡입 하우징(20)에서 제거된 경우에만 상기 잠금구들이 제 2 회전위치로 회전할 수 있게 한다. 이것은 잠금구들이 폐쇄위치에서 부정확하게 제 2 위치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로써 비숙련자들일지라도 흡입 하우징(20)을 장착 및 제거할 수 있게 되므로, 청소용 커버(44)가 지지된 채로 지지프레임(43)을 흡입 하우징에서 제거하거나 유동 가이드 캡(37)을 제거하여 흡입 하우징을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게 된다.
흡입 하우징(20)의 전측 벽(22)과 함께, 전측의 유동 가이드면(40)은 청소기 헤드(10)의 저면에서 전측의 흡입구(48)으로 개방된 전측 흡입 통로(46)를 형성한다. 마찬가지로, 후측 벽(23)과 함께 후측의 유동 가이드면(41)은 청소기 헤드(10)의 저면에서 후측의 흡입구(52)으로 개방된 후측의 흡입 통로(50)를 형성한다. 상기 두 개의 흡입 통로(46,50)들은 유동 방향으로 공통의 흡입 통로(54)로 개방되어있으며, 상기 흡입 통로는 유동 가이드 캡(37)의 커버(39)와 흡입 하우징의 상부 벽(26)에 의해 형성되고 연통구멍(30)을 통해 가요성의 흡입관(31)과 연결된다. 상기 흡입구(48,52)들로부터 시작하여 전측 흡입 통로(46)와 후측 흡입 통로(50)를 거쳐 공통의 흡입 통로(54)가 흡입관(31)의 방향으로 먼지와 쓰레기등의 흡입된 흡입물 흐름의 유동로가 형성된다.
저면에서 지지프레임(43)을 향하여 커버(39)가 다수의 노즐(56)을 구비하고, 그 노즐들은 유동 가이드 캡(37)의 전체 폭에 걸쳐 분포되어 있으며 커버(39)에 형성된 전달 통로(57)를 거쳐 연결구(58)에 연결되고, 그 연결구는 전달관(59)에의 연결을 위해 흡입 하우징(20)의 후측 벽(23)에 배치된다. 전달관(59)과 노즐(56)을 통하여 증기 상태 또는 액상의 세척제를 격자형 지지프레임(43)과 청소용 커버(44)로 공급한다. 세척제는 청소용 커버(44)속에 침투하여 분배되어 바닥표면(28)을 청소한다. 세척제, 특히 증기 상태의 세척제의 작용에 의해 바닥 표면(28)에서 떨어진 먼지는 바닥 표면으로부터 흡입 통로(46,50)를 통해 흡입될 수 있게 된다.
바닥 표면(28)에 적용된 세척제가 다시 흡입 통로(46,50)를 통해 확실하게 흡입되게 하기 위하여, 각각의 흡입통로에는 전측 걸레용 립(lip:62)과 후측 걸레용 립(64)들이 지지되며, 그 립들은 도 3과 도 4에서 화살표 66으로 표시된 전진 방향에 대하여 가로방향으로 배향되고 바닥 표면에 대하여 상승 및 하강될 수 있게 배치된 수평방향의 회동 축을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사이 걸레용 립(62,64)들은 각각 러버 립(63)(65)들을 포함하며, 상기 러버 립들은 바닥 표면(28)에서 접촉하여 작용하며 플라스틱 재료 또는 금속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한 유지용 레일(68)에 잠금방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전측의 걸레용 립(62)과 후측의 걸레용 립(64)들을 흡입 하우징(20)의 측벽(24,25)들에 확고하게 고정하기 위하여, 동일한 형상의 요동부재(70,71)들이 각각 제공된다. 사이 로커(70,71)들 각각에는 두개의 회동 아암(72,73)들이 형성되고, 그 아암들은 서로 일체로 연결되어 있으며 각각의 자유단부에는 걸레용 립(62,64)이 하나씩 관절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로커(70,71)들은 각각의 측벽(24,25)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흡입 하우징(20)은 상측 회동 핀(75)과 하측 회동 핀(77)들에 의해 지지 브라켓(12)에 고정되고, 상기 상측 및 하측 회동 핀들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두 개의 회동 핀(75,77)들은 흡입 하우징의 측벽(24) 또는 측벽(25)과, 지지브라켓(12)의 자유 다리부(14,16)의 이중 벽구조로 된 부분의, 상기 측벽에 평행하게 연장된 내측벽(80)을 관통하여 장착된다. 상측의 회동 핀(75)은 흡입 하우징(20)의 측벽(24) 또는 측벽(25)에 고정되고 내측벽(80)의 절결부(82)를 관통하여 장착되어서 내측벽(8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하측의 회동 핀(77)은 내측벽(80)에 고정되고 흡입 하우징(20)의 측벽(24) 또는 측벽(25)에 길다란 구멍(84)을 통하여 장착된다. 흡입 하우징(20)의 내측으로부터 먼쪽의 단부 영역에서, 두 개의 회동 핀(75,77)들이 관절형 아암(86)을 통해 관절식으로 서로 연결된다. 상기 로커(70,71)들은 대응하는 관통구멍(88)을 통해 상측의 회동 핀(75)에 고정되는 한편, 수직으로 연장된 슬로트(90)가 하측의 회동 핀(77)을 고정하도록 제공되고, 하측의 회동 핀(77)은 흡입 하우징(20)의 내측을 향한 단부 영역에 의해 상기 슬로트를 관통하여 장착된다.
지지브라켓(12)이 청소 헤드(10)의 사용중에 전진 방향(66)으로 바닥 표면(28)을 따라 이동될 때, 청소용 커버(44)가 바닥 표면(28)에 놓이기 때문에, 흡입 하우징(20)은 청소기의 전진 방향에 반대로 작용하는 마찰력을 받게 된다. 그 결과, 상측 회동 핀(75)이 지지브라켓(12)의 내측 벽(80)의 절결부(82)속에서 전진 방향(66)에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흡입 하우징(20)이 지지브라켓(12)에 대하여 전진 방향(66)에 반대로 이동된다. 두 개의 로커(70,71)들 각각은 상측 회동 핀(75)에서 이동되지 않게 유지되고 하측의 회동 핀(77)과 맞물려 있으며, 상기 하측의 회동 핀은 슬로트(90)를 통해 지지브라켓(12)의 내측벽(80)에 고정되어 있어서, 흡입하우징의 상대적인 운동의 결과 두 개의 로커(70,71)들이 상측 회동 핀(75)의 수평의 길이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며, 상기 길이방향의 축은 청소기의 전진 방향(66)에 횡방향으로 배치되고, 이 경우 청소기의 전진 방향(66)에 일직선으로 정렬된 회동 아암의 자유단부가 상승되고, 청소기의 전진 방향에 반대방향으로 향한 아암의 대응된 단부는 하강된다.
관절형 아암(86)을 통하여 서로 연결된 두 개의 회동 핀(75,77)들을 통해서, 흡입 하우징(20)은 청소기의 전진 방향(66)에 반대로 움직이게 지지브라켓에서 유지된다. 이 경우에, 하측 회동 핀(77)은 흡입 하우징(20)이 회동되는 회동 축의 기능을 하게 되는데 그것은 상측 회동 핀(75)이 지지브라켓(12)의 절결부(82)에서 자유로이 움직일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걸레 립(62,64)들이 상승 및 하강운동을 함과 더불어 각각의 흡입통로(46,50)들 속에서 회동운동을 할 수 있도록, 측벽(24,25)들 각각에서 인접한 유동 가이드면(40 또는 41)에 평행하게 배치된 두개의 가이드 트랙(92,94)들에 상기 걸레 립들이 배치된다. 상기 두개의 가이드 트랙(92,94)들에서 각각 움직일 수 있게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슬라이드요소가 유지되고, 그 슬라이드요소에 걸레 립(62,64)들이 관절방식으로 연결된다. 그래서 걸레 립(62,64)들은 각각의 가이드 트랙(92,94)들에서 가이드되고, 상기 가이드 트랙(92,94)들이 수직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걸레 립(62,64)들이 상승 및 하강 운동과 더불어 회동 운동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그러한 회동 운동은 청소기의 전진 방향에 대하여 걸레 립(62,64)들이 각각의 흡입구(48,52)의 후측 경계부에 위치되게 함으로써, 흡입구(48,52)들에서의 전체 흡입력이 각각의 걸레 립(62,64)들의 바로 앞쪽에서 전개될 수 있게 된다. 이 결과 바닥 표면(28)에 도포된 세척제가 바닥 표면에 남아 있지 않을 정도로 걸레 립(62,64)에 의한 걸레질 작용이 향상된다.

Claims (17)

  1. 세척제 공급부와 연결될 수 있고 증기상태 또는 액상의 세척제를 청소할 바닥에 살포하는 적어도 하나의 노즐과, 살포된 세척제와 먼지를 흡출하도록 청소기 헤드의 전진 방향에 대하여 전측 및 후측의 흡입구들을 구비하고, 상기 흡입구들을 흡입관을 통하여 흡입장치에 연결가능하고, 청소기 헤드의 전진 이동에 따라 바닥 표면에서 상승되고 하강될 수 있고 흡입구과 관련하여 연결된 전측 및 후측의 걸레질용 립(lip)들을 구비한 바닥 청소기용 헤드에 있어서, 흡입 통로(46,50)가 흡입구(48,52)로 개방되고 청소기 헤드(10)의 전진 방향에 반대방향(66)으로 지지수단(12)에 대하여 변위될 수 있는 흡입 하우징(20)과, 그 흡입하우징(20)을 고정하기 위한 지지수단(12) 및 상기 흡입 하우징(20)의 변위 동작을 걸레질용 립(62,64)들의 상승 및 하강 동작으로 변환시키는 기어장치(70,71,75,77)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청소기용 헤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장치는 흡입하우징(20)의 변위 동작에 따라 수평의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회동수단(70,7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청소기용 헤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수단은 두개의 회동 아암(72,73)들을 구비한 회동가능한 로커(rocker:70,71)로 구성되고 그 로커의 자유단부에는 걸레질용립(62,64)들을 유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청소기용 헤드.
  4. 제 2항 또는 3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장치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두개의 로커(70,71)를 구비하고, 그 로커의 자유단부에는 걸레질용 립(62,64)들을 유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청소기용 헤드.
  5. 제 2항 내지 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수단(70,71)은 흡입하우징(20)의 변위작동에 따라 회동수단을 회동시키는 구동수단(77)과 맞물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청소기용 헤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수단(70,71)은 흡입하우징(20)에 장착되고, 구동수단은 흡입하우징(20)에 대하여 변위가능하고 지지수단(12)에 장착된 회동 핀(7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청소기용 헤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수단(70,71)은 지지수단(12)에서 유지되고, 구동수단은 지지수단(12)에 대하여 변위될 수 있고 흡입하우징(20)에 장착된 회동핀(7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청소기용 헤드.
  8. 제 2항 내지 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두개의 회동핀(72,74)들을 포함하고, 회동수단(70,71)이 상기 회동핀에서 이동가능하게 유지되고, 흡입 하우징(20)의 변위 동작에 따라 회동수단(70,71)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회동핀(77)의 위치를 변경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청소기용 헤드.
  9. 전기한 항들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하우징(20)은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게 지지수단(12)에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청소기용 헤드.
  10. 전기한 항들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흡입하우징(20) 위에서 측방으로 맞물리는 지지브라켓(12)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청소기용 헤드.
  11. 전기한 항들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걸레질용 립(62,64)들은 청소기 헤드(10)의 전진 작동에 따라 수평의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청소기용 헤드.
  12. 전기한 항들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걸레질용 립들이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게 하고 그리고 걸레질용 립들을 변위가능하게 유지하는 가이드 트랙(92,9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청소기용 헤드.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걸레질용 립(62,64)들은 제 1관절부에 의해 회동수단(70,71)에 관절식으로 연결되고, 가이드 트랙에서 변위가능하게 유지되는 슬라이드부재에 제 2 관절부재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청소기용 헤드.
  14. 제 11항 내지 1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걸레질용 립(62,64)들은 흡입구(48,52)에서 회동될 수 있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청소기용 헤드.
  15. 전기한 항들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하우징(20)은 청소용 커버(44)를 고정하는 판상의 지지부재(43)를 수용하며, 상기 지지부재(43)는 유동 가이드요소(37)에 분리가능하게 유지되고, 상기 유동 가이드요소는 흡입하우징(20)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유동 통로(46,50)와 경계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청소기용 헤드.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가이드요소(37)와 흡입하우징(20) 사이의 연결은, 지지부재(43)가 유동 가이드 요소(37)에서 분리된 때 분리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청소기용 헤드.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43)와 유동 가이드요소(37)는 적어도 하나의 조정가능한 신속 연결부재(34,35)에 의해 흡입하우징(20)에 유지되고, 상기 신속 연결부재(34,35)는 제 1 위치에서 흡입하우징(20)에서 지지부재(43)가 분리된다음에야 비로소 지지부재를 분리시키도록 되고, 제 2 위치에서는 유동 가이드요소(37)를 분리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청소기용 헤드.
KR1020027009754A 2000-01-29 2001-01-10 바닥 청소기용 헤드 KR2002007740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003883A DE10003883C1 (de) 2000-01-29 2000-01-29 Reinigungskopf für ein Bodenreinigungsgerät
DE10003883.2 2000-01-29
PCT/EP2001/000218 WO2001054555A1 (de) 2000-01-29 2001-01-10 Reinigungskopf für ein bodenreinigungsgerä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7404A true KR20020077404A (ko) 2002-10-11

Family

ID=7629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9754A KR20020077404A (ko) 2000-01-29 2001-01-10 바닥 청소기용 헤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1250079B1 (ko)
JP (1) JP2003525079A (ko)
KR (1) KR20020077404A (ko)
AT (1) ATE339148T1 (ko)
AU (1) AU2001223735A1 (ko)
DE (1) DE10003883C1 (ko)
WO (1) WO2001054555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6480B1 (ko) * 2004-07-05 2006-07-03 주식회사 한울로보틱스 청소용 로봇의 흡입구 조립체
KR101521181B1 (ko) * 2013-12-06 2015-05-18 김진규 청소 헤드
WO2016167390A1 (ko) * 2015-04-16 2016-10-20 김진규 청소기 헤드
KR20220035988A (ko) * 2020-04-20 2022-03-22 코닌클리케 필립스 엔.브이. 청소될 표면에 대면하도록 구성된 노즐 설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23966B1 (fr) * 2001-04-25 2004-07-09 Aldes Aeraulique Embout pour aspirateur
GB0225618D0 (en) * 2002-11-02 2002-12-11 Grey Nicholas G Surface cleaning apparatus
DE10324260B4 (de) * 2003-05-28 2008-01-03 Wessel-Werk Gmbh Staubsaugerdüse für Glattböden
GB2405576A (en) * 2003-09-03 2005-03-09 Richards Morphy N I Ltd Apparatus for floor cleaning with alternative cleaning devices
DE102006061194A1 (de) * 2006-12-22 2008-06-26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Bodendüse für Hartböden
DE102006061207A1 (de) * 2006-12-22 2008-06-26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Bodendüse für Hartböden
DE102006061209B4 (de) * 2006-12-22 2009-04-02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Bodendüse für Hartböden
WO2008028763A1 (de) 2006-09-05 2008-03-13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Bodendüse für hartböden
DE102006061191A1 (de) * 2006-12-22 2008-06-26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Bodendüse für Hartböden
DE102006061204A1 (de) * 2006-12-22 2008-06-26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Bodendüse für Hartböden
DE102006061202B4 (de) * 2006-12-22 2008-11-27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Bodendüse für Hartböden
WO2008028749A1 (de) * 2006-09-05 2008-03-13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Bodendüse für hartböden
DE102006061195B4 (de) * 2006-12-22 2011-03-31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Bodendüse für Hartböden
WO2008028760A1 (de) 2006-09-05 2008-03-13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Bodendüse für hartböden
DE102006061193B3 (de) * 2006-12-22 2008-04-17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Bodendüse für Hartböden
DE102006061205B3 (de) * 2006-12-22 2008-04-17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Bodendüse für Hartböden
RU2436491C2 (ru) 2006-12-21 2011-12-20 Конинклейке Филипс Электроникс Н.В. Чистящая насадка и способ чистки пылесосом
DE102008014755B4 (de) * 2008-03-18 2013-09-26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Staubsaugerdüse
US8528161B2 (en) 2009-08-07 2013-09-10 Euro-Pro Operating Llc Cleaning appliance having multiple functions
US8627543B2 (en) * 2010-03-12 2014-01-14 Euro-Pro Operating Llc Cleaning appliance having multiple functions
IT1399439B1 (it) * 2010-03-15 2013-04-19 Crosio Apparecchiatura aspirapolvere con spazzole mobili
GB2496663B (en) * 2011-11-18 2014-07-30 Dyson Technology Ltd A cleaner head
GB201213842D0 (en) * 2012-08-03 2012-09-19 Dyson Technology Ltd A floor tool for a vacuum cleaning appliance
DE202012103979U1 (de) 2012-10-17 2014-02-06 Wessel-Werk Gmbh Reinigungskopf für ein Reinigungsgerät zur Nassreinigung von Bodenflächen
CN105163639B (zh) 2013-03-20 2018-06-05 伊莱克斯公司 真空吸尘器吸嘴
JP6524404B2 (ja) * 2014-07-04 2019-06-05 株式会社 徳武製作所 スチームクリーナーヘッド
CN104706277B (zh) * 2015-02-04 2017-08-25 苏州德莱电器有限公司 表面清洁设备的地面清洁头
FR3047161B1 (fr) * 2016-02-02 2018-01-26 Seb S.A. Nettoyeur vapeur
KR101616533B1 (ko) 2016-02-05 2016-05-04 양종현 진공 청소기용 흡입 장치
KR102448087B1 (ko) * 2017-01-19 2022-09-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KR101935946B1 (ko) * 2017-01-19 2019-0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EP3366182A1 (en) * 2017-02-27 2018-08-29 Koninklijke Philips N.V. Cleaning device
CN109276199B (zh) * 2018-12-07 2024-04-30 赵靓 一种拖把
DE102020111965A1 (de) 2020-05-04 2021-11-04 Alfred Kärcher SE & Co. KG Flächenreinigungskopf
EP3981312B1 (de) * 2020-10-06 2023-08-16 VERMOP Salmon GmbH Reinigungsvorrichtung
CN113017468A (zh) * 2021-03-23 2021-06-25 安徽持家汉家居工艺品有限公司 一种基于智能家具用清洁设备及其使用方法
CN114129099A (zh) * 2021-12-31 2022-03-04 苏州威摩尔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洗地机的地刷及洗地机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017072U1 (de) * 1980-06-27 1982-09-02 Alfred Kärcher GmbH & Co, 7057 Winnenden Reinigungskopf zur reinigung von planen flaechen
DE3518544C1 (de) * 1985-05-23 1986-09-04 Alfred Kärcher GmbH & Co, 7057 Winnenden Saugfuß für ein Naßreinigungsgerät für textile Bodenbeläge
AU4978493A (en) * 1992-09-15 1994-04-12 Vax Limited Cleaning head
SE505115C2 (sv) * 1995-10-27 1997-06-30 Electrolux Ab Dammsugarmunstycke innefattande ett borstmunstycke och förfarande för att åstadkomma sugning utefter borstmunstyckets, i rörelseriktningen sett, främre kant
IT1285161B1 (it) * 1996-09-27 1998-06-03 Vip International S R L Gruppo pulitore a bascula centrale per macchine di lavaggio a vapore e asciugatura dei pavimenti
WO1998027856A1 (en) * 1996-12-20 1998-07-02 Sjoegreen Joergen Double acting floor washing devic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6480B1 (ko) * 2004-07-05 2006-07-03 주식회사 한울로보틱스 청소용 로봇의 흡입구 조립체
KR101521181B1 (ko) * 2013-12-06 2015-05-18 김진규 청소 헤드
WO2016167390A1 (ko) * 2015-04-16 2016-10-20 김진규 청소기 헤드
KR20220035988A (ko) * 2020-04-20 2022-03-22 코닌클리케 필립스 엔.브이. 청소될 표면에 대면하도록 구성된 노즐 설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250079A1 (de) 2002-10-23
ATE339148T1 (de) 2006-10-15
AU2001223735A1 (en) 2001-08-07
JP2003525079A (ja) 2003-08-26
WO2001054555A1 (de) 2001-08-02
DE10003883C1 (de) 2001-08-30
EP1250079B1 (de) 2006-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77404A (ko) 바닥 청소기용 헤드
KR101021161B1 (ko) 진공 청소기 등의 표면 처리 기기용 바닥 공구
US7797792B2 (en) Hard floor cleaner
KR960004684Y1 (ko) 진공청소기의 회전식 물걸레기능을 갖는 흡입구체
US20040148732A1 (en) Endpiece for a vacuum cleaner
JPH0761304B2 (ja) スクラバ
JP3568837B2 (ja) 床面洗浄清掃機
PL190935B1 (pl) Zespół głowicy czyszczącej do odkurzacza i odkurzacz
US5398373A (en) Combination vacuum cleaner and water extractor power foot
CN210810819U (zh) 用于湿式表面清洁设备的地面吸嘴
JP4514652B2 (ja) 電気掃除機用吸込具
KR200408333Y1 (ko) 물흡입 청소기의 흡입유닛
KR19990007962A (ko) 표면수세용 진공청소기 부착장치
KR100429415B1 (ko) 진공 청소기 노즐
KR200441936Y1 (ko) 진공스팀청소기용 헤드
US9999329B2 (en) Aspiration nozzle of vacuum cleaner and vacuum cleaner having same
JP2006006464A (ja) スキージ
JPH1052386A (ja) 払掃機能を備えた真空掃除機用吸込み具
CN220369934U (zh) 清洁装置
CN219982792U (zh) 清洁装置
JP4060834B2 (ja) 電気掃除機用吸込具とそ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JP3869310B2 (ja) 電気掃除機用吸込具とそ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KR200426129Y1 (ko) 탈/부착 가능한 크리닝부를 갖는 청소로봇
KR960004691Y1 (ko) 걸레기능을 갖는 진공청소기의 세척수 공급장치
KR20100106047A (ko) 유리창 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