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6047A - 유리창 청소기 - Google Patents

유리창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6047A
KR20100106047A KR1020090024473A KR20090024473A KR20100106047A KR 20100106047 A KR20100106047 A KR 20100106047A KR 1020090024473 A KR1020090024473 A KR 1020090024473A KR 20090024473 A KR20090024473 A KR 20090024473A KR 20100106047 A KR20100106047 A KR 201001060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per
main body
wiper member
window
glass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4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대곤 남
Original Assignee
대곤 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곤 남 filed Critical 대곤 남
Priority to KR10200900244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06047A/ko
Publication of KR201001060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60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00Cleaning windows
    • A47L1/06Hand imp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4Wipes; Absorbent members, e.g. swabs or sponges
    • B08B1/143Wipes

Landscapes

  • Surface Treatment Of Gla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리창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리창 표면에 흡착되어서 세정부를 통해 유리창 표면을 세정한 다음, 와이퍼 부재를 통해 세정과정 중에 생성된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특히 세정부가 마련된 본체의 전반부와 후반부에 각각 설치된 와이퍼 부재가 진행방향에 따라 유리창 표면에 선택적으로 밀착되어서, 유리창의 세정과정에서 유리창 표면에 묻은 물기와 이물질을 안정되게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한 유리창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유리창, 세정부, 본체, 와이퍼 부재, 회전, 슬롯공

Description

유리창 청소기{APPARATUS FOR CLEANING GLASS}
본 발명은 유리창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리창 표면에 흡착되어서 세정부를 통해 유리창 표면을 세정한 다음, 와이퍼 부재를 통해 세정과정 중에 생성된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특히 세정부가 마련된 본체의 전반부와 후반부에 각각 설치된 와이퍼 부재가 진행방향에 따라 유리창 표면에 선택적으로 밀착되어서, 유리창의 세정과정에서 유리창 표면에 묻은 물기와 이물질을 안정되게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한 유리창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주로 아파트를 포함한 일반 가정집이나 사무용 대형건물의 외벽에는 모두 유리창으로 구성된 여닫는 창문이 달려 있어, 상기 유리창이 비가 오거나 바람이 불어 더러워져 있을 때에는 주부들이나 또는 건물의 사무실 사용자가 걸레나 또는 물로 항상 청소하고 있으나, 이는 유리창의 안쪽에만 해당하는 것으로 바깥쪽은 대부분 청소를 하지 못하고 있거나 유리창 전문 청소업체에게 일임하게 되어, 미관상 보기에 좋지 않은 상태로 방치하거나 적지 않은 청소비용의 부담을 안고 있었다.
또한, 아파트의 경우 고층에서 물을 뿌려 청소를 하게 되면 하층으로 물이 튀어 하층의 유리창이 더러워지거나, 하층의 유리창문이 열려져 있을 경우 댁내로 청소물이 유입되어 고층과 하층 주민 사이에 잦은 분쟁을 유발하였다.
한편, 최근에는 본체에 유리창 표면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정부와, 상기 세정부를 통해 생성된 이물질 및 물기를 제거하는 와이퍼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유리창 청소기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유리창 청소기는 세정부의 후방에 와이퍼 부재가 마련된 형태로, 전진과정에서는 이물질 및 물기의 제거가 가능하나, 후진과정에서는 와이퍼 부재가 먼저 전진하게 되므로 세정부를 통한 유리창 표면의 세정과정 중에 생성된 이물질 및 물기의 제거는 불가능하다.
즉, 종래 유리창 청소기는 단방향으로만 유리창의 청소가 가능한 한계성을 갖게 되어 유리창 청소에 따른 작업효율이 현저히 낮아지는 문제점을 갖게 되었다.
그리고, 양방향 작업을 구현하기 위해 단순히 세정부의 전방과 후방에 와이퍼 부재를 각각 설치하면, 청소기가 이동되는 과정에 양편에 설치된 와이퍼 부재가 모두 유리창 표면에 밀착되므로, 본체의 이동성이 떨어지고 또 세정액이 묻지 아니한 유리창 표면에 와이퍼 부재가 밀착된 상태로 이동되므로 와이퍼 부재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야기되기도 한다.
특히, 종래 유리창 청소기를 유리창에 세정부 및 와이퍼 부재를 안정되게 고정할 수 있는 전용의 구조가 마련되지 아니하여 원거리에 위치된 유리창 표면을 청소하고자 본체에 길이가 긴 손잡이 봉을 설치할 경우, 세정부 및 와이퍼의 하중에 의해 모멘트가 과도하게 증가되어 작업자의 육체적 피로가 가중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기도 하였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유리창 표면에 흡착되어서 세정부를 통해 유리창 표면을 세정한 다음, 와이퍼 부재를 통해 세정과정 중에 생성된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특히 세정부가 마련된 본체의 전반부와 후반부에 각각 설치된 와이퍼 부재가 진행방향에 따라 유리창 표면에 선택적으로 밀착되어서, 유리창의 세정과정에서 유리창 표면에 묻은 물기와 이물질을 안정되게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한 유리창 청소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안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창 청소기는,
유리창의 표면에 밀착되어, 바닥면에 설치된 세정부를 통해 유리창의 표면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세정부에 의해 유리창 표면에서 제거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와이퍼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유리창 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슬롯공이 형성된 고정 브라켓이 형성되고, 이 고정 브라켓에는 슬롯공이 형성된 와이퍼 몸체의 중심이 가이드핀을 통해 고정되며, 상기 와이퍼 몸체의 선단에는 제 1 와이퍼 부재가 설치되고, 와이퍼 몸체의 후단에는 제 2 와이퍼 부재가 설치되는 한편, 상기 와이퍼 몸체에는 본체 및 와이퍼 부재들의 전진 또는 후진에 따른 작용력을 제공하는 손잡이 봉이 형성되어서,
상기 본체를 유리창의 표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작업자가 손잡이 봉을 밀어 서 본체를 전진시키면, 상기 와이퍼 몸체는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 1 와이퍼 부재는 유리창의 표면에서 이격된 상태를, 제 2 와이퍼 부재는 유리창의 표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여서, 제 2 와이퍼 부재는 세정부를 통한 유리창 표면의 세정과정 중에 생성된 이물질과 물기를 제거되고,
작업자가 손잡이 봉을 당겨서 본체를 후진시키면 상기 와이퍼 몸체는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 2 와이퍼 부재는 유리창의 표면에서 이격된 상태를, 제 1 와이퍼 부재는 유리창의 표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여, 제 1 와이퍼 부재는 세정부를 통한 유리창 표면의 세정과정 중에 생성된 이 물질과 물기를 제거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드핀이 관통하는 본체에 형성된 고정 브라켓, 또는 와이퍼 몸체의 중심에는 양가장자리가 높고 중앙부가 낮은 형상의 '∨'형의 슬롯공이 택일하여 형성되고, 이 '∨' 슬롯공을 통해 양단에 제 1 와이퍼 부재와 제 2 와이퍼 부재가 택일하여 고정한 와이퍼 몸체가 가이드핀을 통해 설치되어서,
작업자가 손잡이 봉을 밀어 와이퍼 몸체를 고정한 가이드핀을 전진시키게 되면 상기 가이드핀은 '∨'형의 슬롯공의 전측에 위치된 상태로 고정되어, 와이퍼 몸체 및 손잡이 봉은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유리창 표면과 낮은 경사각을 형성하여서 제 2 와이퍼 부재는 유리창 표면에 밀착되고,
작업자가 손잡이 봉을 당겨 가이드핀을 후진시키게 되면 상기 가이드핀은 '∨'형의 슬롯공의 후측에 위치된 상태로 고정되어, 와이퍼 몸체 및 손잡이 봉은 정방향으로 회전되어 유리창 표면과 높은 경사각을 형성하여서 제 1 와이퍼 부재는 유리창 표면에 밀착되도록 구성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세정부가 형성된 본체의 바닥면에는 진공 흡착부재가 설치되어, 상기 본체는 진공 흡착부재에 의해 유리창의 표면에 밀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본체에는 배수구를 통해 유리창의 표면에 세정용액을 공급하는 세정액 저장조가 설치되어서, 상기 세정부를 통해 유리창 표면의 세정과정 중에 세정액 저장조에 저장된 세정액이 배수구를 통해 유리창의 표면에 공급되어서, 세정액에 의한 유리창 표면의 세정이 보다 안정되게 구현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와이퍼 몸체를 고정한 고정 브라켓은 본체의 상방향으로 편심지게 형성되어서, 작업자가 손잡이 봉을 밀거나 당겨 본체를 전진 또는 후진시키면 상기 세정부가 마련된 본체와 와이퍼 몸체에 형성된 제 1 와이퍼 부재 및 제 2 와이퍼 부재는, 작용력을 편심지게 제공받아 진행방향과 경사각을 이루며 전진 또는 후진하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유리창 표면에 흡착되어서 세정부를 통해 유리창 표면을 세정한 다음, 와이퍼 부재를 통해 세정과정 중에 생성된 이물질과 물기를 제거하도록 구성된 유리창 청소기를 제안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본체의 전방에 제 1 와이퍼 부재를 설치하고 본체의 후방에 제 2 와이퍼 부재를 설치하여, 본체의 진행방향에 따라 이들 중 어느 하나의 와이퍼 부재가 유리창의 표면에 선택적으로 밀착되도록 구성되어서, 본체를 전진 및 후퇴 즉, 양방향 이동을 통해 유리창을 청소할 수 있어 유리창 청소에 따른 작업의 효율이 배가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작업자가 단순히 손잡이 봉을 밀거나 당기는 과정을 통해 와이퍼 몸체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유리창 표면에 제 1 와이퍼 부재 또는 제 2 와이퍼 부재가 택일하여 밀착되므로, 향상된 사용상의 편리와 조작의 용이성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유리창 청소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유리창 청소기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상태 및 조립 상태를 각각 보여주는 것이고,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유리창 청소기를 통한 유리창의 청소상태를 순차적으로 측면 작용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유리창 청소기의 평면 구성을 보여주이고, 도 6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유리창 청소기를 통한 유리창의 청소상태를 보여주는 평면 작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유리창 청소기(1)는, 도 1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유리창(100)의 표면에 밀착되어, 바닥면에 설치된 세정부(11)를 통해 유리창(100)의 표면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 설치된 세정부(11)를 통한 유리창 표면의 세정과정에서 생성된 이물질 및 수분을 제거하는 와이퍼 몸체(2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유리창 표면 에 밀착된 본체(10)가 작업자로부터 제공되는 작용력에 의해 전후로 이동하면서, 세정부(11)를 통해 유리창 표면에 묻은 이물질을 세정하는 공정과; 와이퍼 몸체(20)를 통해 상기 세정공정에서 생성된 이물질 및 물기를 제거하는 공정이 순차적으로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세정부(11)가 형성된 본체(10)의 바닥면에는 진공 흡착부재(12)가 설치되어, 도 3과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는 진공 흡착부재(12)에 의해 유리창(100)의 표면에 밀착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일예로, 본체(10)의 바닥면의 정중간에 하나의 진공 흡착부재(12)를 배설하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 복수의 진공 흡착부재를 배설하여 유리창 표면과 본체 사이에 형성되는 진공 흡착력을 향상시켜 본체가 유리창의 표면에 보다 안정되게 밀착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에는 바닥면과 연통된 배수구(13a)를 통해 청소를 요하는 유리창(100)의 표면에 세정액을 공급하는 세정액 저장조(13)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세정액 저장조(13)를 마련하면, 도 3과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바닥면에 설치된 세정부(13)를 통해 유리창(100) 표면의 세정하는 과정에 세정액 저장조(13)에 저장된 세정액이 배수구(13a)를 통해 유리창(100)의 표면에 연속하여 공급되어, 세정액에 의한 유리창 표면의 세정이 보다 안정되게 구현될 수 있고, 또 상기 세정액에 의해 진공 흡착부재(12)와 유리창(100) 표면 사이의 기밀이 보다 안정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유리창 청소기(1)를 구현함에 있어, 상기 본 체(10)의 전방과 후방에 제 1 와이퍼 부재(21)와 제 2 와이퍼 부재(22)를 택일하여 설치하여, 본체(10)의 진행방향에 따라 본체(10)의 전방에 설치된 제 1 와이퍼 부재(21)와 본체(10)의 후방에 설치된 제 2 와이퍼 부재(22)가 유리창(100) 표면에 택일하여 밀착되어서, 상기 유리창(100) 표면에 밀착되는 제 1 와이퍼 부재(21) 또는 제 2 와이퍼 부재(22)에 의해 유리창(100)의 세정과정 중에 생성된 이물질 및 물기의 신속한 제거가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즉, 세정부(11)가 마련된 본체(10)가 전진할 경우에는 본체(10)의 후방에 설치된 제 2 와이퍼 부재(22)가 유리창(100) 표면에 밀착되어 유리창(100)의 세정과정 중에 생성된 이물질 및 물기를 제거하고, 또 세정부(11)가 마련된 본체(10)가 후진할 경우에는 본체(10)의 전방에 설치된 제 1 와이퍼 부재(21)가 유리창(100) 표면에 밀착되어 유리창의 세정과정 중에 생성된 이물질 및 물기를 제거하도록 구성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에 슬롯공(14)이 형성된 고정 브라켓(14)을 형성하고 이 고정 브라켓(14)에, 이 고정 브라켓(14)에는 슬롯공(20a)이 형성된 와이퍼 몸체(20)의 중심을 가이드핀(24)을 통해 고정하고 있다.
상기 가이드핀(24)을 통해 본체(10)에 고정되는 와이퍼 몸체(20)의 전방에는 제 1 와이퍼 부재(21)가, 후방에 제 2 와이퍼 부재(22)에는 설치되며, 상기 와이퍼 몸체(20)의 중심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이드핀(24)을 통해 본체(10)와 회동구조를 이룬다.
도면을 보면 상기 와이퍼 몸체(20)의 전방과 후방에는 본체(10)의 진행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제 1 와이퍼 부재(21)와 제 2 와이퍼 부재(22)가 각각 배설되고, 또 와이퍼 몸체(20)에는 연결부(25)가 후방으로 형성되어 작업자는 본체(10)의 전진 또는 후진에 따른 작용력을 원격으로 제공하는 수단인 손잡이 봉(23)을 연결부(25)를 통해 와이퍼 몸체(20)에 고정하도록 하고 있다.
물론, 상기 와이퍼 몸체와 손잡이 봉을 단일몸체로 구성하여도 무방하나, 운송이나 보관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손잡이 봉과 와이퍼 몸체를 이원화되게 제작하고, 사용시 이들 와이퍼 몸체와 손잡이 봉을 조립을 통해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하여, 상기 와이퍼 몸체(20)를 도 3a과 같이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 1 와이퍼 부재(21)가 선택적으로 유리창(100)의 표면에 밀착되고, 또 도 3b와 같이 상기 와이퍼 몸체(20)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 2 와이퍼 부재(22)가 선택적으로 유리창(100)의 표면에 밀착되므로, 작업자는 본체(10)를 전진시키기 위해 손잡이 봉(23)을 미는 과정에 유리창(100) 표면과 손잡이 봉(23) 사이의 각도를 낮게 설정하여 제 2 와이퍼 부재(22)를 유리창(100)의 표면에 밀착시키고, 또 본체(10)를 후진시키기 위해 손잡이 봉(23)을 당기는 과정에 유리창(100) 표면과 손잡이 봉(23) 사이의 각도를 높게 설정하여 제 1 와이퍼 부재(21)가 유리창(100) 표면에 밀착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본체(10)의 전방에 제 1 와이퍼 부재(21)를 설치하고 본체(10)의 후방에 제 2 와이퍼 부재(22)를 설치하여, 본체(10)의 진행방향에 따라 이들 중 어 느 하나의 와이퍼 부재(21, 22)가 유리창(100)의 표면에 선택적으로 밀착되도록 구성하면, 작업자는 본체(10)를 전진 및 후퇴 즉, 양방향 이동시켜 유리창(100)을 청소할 수 있어 유리창 청소에 따른 작업의 효율이 배가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10)의 진행방향에 따라 요구되는 제 1 와이퍼 부재(21)와 제 2 와이퍼 부재(22)가 마련된 와이퍼 몸체(20)의 정역회전이, 작업자가 손잡이 봉(23)을 통해 임의 설정할 필요없이 작업자가 단순히 손잡이 봉(23)을 밀면 와이퍼 몸체(20)가 정방향으로 일정각 회전되어 유리창(100)의 표면에 제 2 와이퍼 부재(22)가 밀착되고, 또 작업자가 단순히 손잡이 봉(23)을 당기면 와이퍼 몸체(20)가 역방향으로 일정각 회전되어 유리창 표면에 제 1 와이퍼 부재(21)가 밀착되도록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본체(10)에 형성된 고정 브라켓(14)에 통상의 슬롯공인 정원형 슬롯공을 형성하지 아니하고, 양가장자리가 높고 중앙부가 낮은 형상의 '∨'형의 슬롯공(14a)을 형성하고, 이 '∨'형의 슬롯공(14a)에 전방과 후방에 제 1 와이퍼 부재(21)와 제 2 와이퍼 부재(22)가 택일하여 고정된 와이퍼 몸체(20)를 가이드핀(24)을 통해 설치하고 있다.
도면을 보면 상기 와이퍼 몸체(20)를 고정 브라켓(14)의 '∨'형 슬롯공(14a)에 고정하는 가이드핀(24)은 일지점에서 자체적인 회동이 가능한 원형도 가능하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 일지점에서 자체적인 회동은 불가능하고 '∨'형 슬롯공(14a) 내에서 전진 또는 후진을 포함하는 이송에 의해서 서서히 회전하여 각도가 변화되는 단면이 사각을 포함하는 다각으로 이루어진 가이드핀(24)을 채택하고 있 다.
따라서, 작업자가 도 4a와 같이 손잡이 봉(23)을 밀면 상기 가이드핀(24)은 '∨'형의 슬롯공(14)의 전측에 위치된 상태로 규합하여 고정되므로, 결과적으로 가이드핀(24)에 고정된 와이퍼 몸체(20) 및 손잡이 봉(23)은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유리창(100) 표면과 낮은 경사각을 형성하여서 제 2 와이퍼 부재(22)를 유리창(100) 표면에 밀착시키게 된다.
그리고, 작업자가 도 4b와 같이 손잡이 봉(23)을 당기면 상기 가이드핀(24)은 '∨'형의 슬롯공(14)의 후측에 위치된 상태로 규합하여 고정되므로, 결과적으로 가이드핀(24)에 고정된 와이퍼 몸체(20) 및 손잡이 봉(23)은 정방향으로 회전되어 유리창(100) 표면과 높은 경사각을 형성하여서 제 1 와이퍼 부재(22)를 유리창(100) 표면에 밀착시키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유리창 청소기(1)는 작업자가 단순히 손잡이 봉(23)을 밀거나 당기는 과정을 통해 와이퍼 몸체(20)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유리창(100) 표면에 제 1 와이퍼 부재(21) 또는 제 2 와이퍼 부재(22)가 택일하여 밀착되므로, 향상된 사용상의 편리와 조작의 용이성을 갖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 5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에 고정 브라켓(14)을 상방향으로 편심지게 설치하고, 이 고정 브라켓(14)에 양단에 제 1 와이퍼 부재(21)와 제 2 와이퍼 부재(22)가 설치된 와이퍼 몸체(20)를 가이드핀(24)을 통해 고정하여, 작용 힘점이 상향 편심지게 형성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작업자가 본체(10)를 전진시키고자 손잡이 봉(23)을 밀게 되면,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작용 힘점인 고정 브라켓(14)을 중심으로 마찰력이 상대적으로 적은 본체(10)의 상부는 먼저 전진하고, 상대적으로 마찰력이 큰 하부는 서서히 전진하게 되므로, 본체(10) 및 제 1 와이퍼 부재(21)와 제 2 와이퍼 부재(22)는 전체적으로 경사진 형태로 전진한다.
따라서, 유리창(100) 표면의 세정과정 중에 발생된 이물질 및 물기는 자중에 의해 하강하면서 시차를 두어 진행되는 제 2 와이퍼 부재(22)의 하부를 통해 안정되게 제거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작업자가 본체(10)를 후진시키고자 손잡이 봉(23)을 당기게 되면, 작용 힘점인 고정 브라켓(14)을 중심으로 마찰력이 상대적으로 적은 본체(10)의 상부는 먼저 후진하고, 상대적으로 마찰력이 큰 하부는 서서히 후진하게 되므로, 본체(10) 및 제 1 와이퍼 부재(21)와 제 2 와이퍼 부재(22)는 전체적으로 경사진 형태로 이동된다.
따라서, 유리창 표면의 세정과정 중에 발생된 이물질 및 물기는 자중에 의해 하강하면서 시차를 두어 진행되는 제 1 와이퍼 부재(21)의 하부를 통해 안정되게 제거될 수 있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유리창 청소기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상태 및 조립 상태를 각각 보여주는 것이고,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유리창 청소기를 통한 유리창의 청소상태를 순차적으로 측면 작용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유리창 청소기의 평면 구성을 보여주이고,
도 6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유리창 청소기를 통한 유리창의 청소상태를 보여주는 평면 작용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유리창 청소기
10. 본체 11. 세정부
12. 진공 흡착부재 13. 세정액 저장조
13a. 배수구 14. 고정 브라켓
14a. '∨'형 슬롯공
20. 와이퍼 몸체 20a. 슬롯공
21. 제 1 와이퍼 부재
22. 제 2 와이퍼 부재 23. 손잡이 봉
24. 가이드핀 25. 연결부
100. 유리창

Claims (4)

  1. 유리창의 표면에 밀착되어, 바닥면에 설치된 세정부를 통해 유리창의 표면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세정부에 의해 유리창 표면에서 제거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와이퍼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유리창 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슬롯공이 형성된 고정 브라켓이 형성되고, 이 고정 브라켓에는 슬롯공이 형성된 와이퍼 몸체의 중심이 가이드핀을 통해 고정되며, 상기 와이퍼 몸체의 선단에는 제 1 와이퍼 부재가 설치되고, 와이퍼 몸체의 후단에는 제 2 와이퍼 부재가 설치되는 한편, 상기 와이퍼 몸체에는 본체 및 와이퍼 부재들의 전진 또는 후진에 따른 작용력을 제공하는 손잡이 봉이 형성되어서,
    상기 본체를 유리창의 표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작업자가 손잡이 봉을 밀어서 본체를 전진시키면, 상기 와이퍼 몸체는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 1 와이퍼 부재는 유리창의 표면에서 이격된 상태를, 제 2 와이퍼 부재는 유리창의 표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여서, 제 2 와이퍼 부재는 세정부를 통한 유리창 표면의 세정과정 중에 생성된 이물질과 물기를 제거되고,
    작업자가 손잡이 봉을 당겨서 본체를 후진시키면 상기 와이퍼 몸체는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 2 와이퍼 부재는 유리창의 표면에서 이격된 상태를, 제 1 와이퍼 부재는 유리창의 표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여, 제 1 와이퍼 부재는 세정부를 통한 유리창 표면의 세정과정 중에 생성된 이 물질과 물기를 제거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창 청소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핀이 관통하는 본체에 형성된 고정 브라켓, 또는 와이퍼 몸체의 중심에는 양가장자리가 높고 중앙부가 낮은 형상의 '∨'형의 슬롯공이 택일하여 형성되고, 이 '∨' 슬롯공을 통해 양단에 제 1 와이퍼 부재와 제 2 와이퍼 부재가 택일하여 고정한 와이퍼 몸체가 가이드핀을 통해 설치되어서,
    작업자가 손잡이 봉을 밀어 와이퍼 몸체를 고정한 가이드핀을 전진시키게 되면 상기 가이드핀은 '∨'형의 슬롯공의 전측에 위치된 상태로 고정되어, 와이퍼 몸체 및 손잡이 봉은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유리창 표면과 낮은 경사각을 형성하여서 제 2 와이퍼 부재는 유리창 표면에 밀착되고,
    작업자가 손잡이 봉을 당겨 가이드핀을 후진시키게 되면 상기 가이드핀은 '∨'형의 슬롯공의 후측에 위치된 상태로 고정되어, 와이퍼 몸체 및 손잡이 봉은 정방향으로 회전되어 유리창 표면과 높은 경사각을 형성하여서 제 1 와이퍼 부재는 유리창 표면에 밀착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창 청소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부가 형성된 본체의 바닥면에는 진공 흡착부재가 설치되어, 상기 본체는 진공 흡착부재에 의해 유리창의 표면에 밀착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창 청소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 몸체를 고정한 고정 브라켓은 본체의 상방향으로 편심지게 형성되어서, 작업자가 손잡이 봉을 밀거나 당겨 본체를 전진 또는 후진시키면 상기 세정부가 마련된 본체와 와이퍼 몸체에 형성된 제 1 와이퍼 부재 및 제 2 와이퍼 부재는, 작용력을 편심지게 제공받아 진행방향과 경사각을 이루며 전진 또는 후진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창 청소기.
KR1020090024473A 2009-03-23 2009-03-23 유리창 청소기 KR201001060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4473A KR20100106047A (ko) 2009-03-23 2009-03-23 유리창 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4473A KR20100106047A (ko) 2009-03-23 2009-03-23 유리창 청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6047A true KR20100106047A (ko) 2010-10-01

Family

ID=43128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4473A KR20100106047A (ko) 2009-03-23 2009-03-23 유리창 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0604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91366A1 (ko) * 2012-06-18 2013-12-27 Park Myeongdeok 진공청소기용 흡입유닛
KR101469090B1 (ko) * 2013-06-28 2014-12-04 (주) 재성 자동차용 세차도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91366A1 (ko) * 2012-06-18 2013-12-27 Park Myeongdeok 진공청소기용 흡입유닛
KR101469090B1 (ko) * 2013-06-28 2014-12-04 (주) 재성 자동차용 세차도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71431B2 (en) Floor cleaning apparatus and method of cleaning a floor
CN107854077B (zh) 清洗挤水两用拖把桶
JP3186168U (ja) 電動掃除洗浄装置
RU2602049C1 (ru) Устройство очистки пола
WO2023138122A1 (zh) 一种表面清洁装置
JP2018075169A (ja) 床面洗浄機用スキージ装置
CN206261547U (zh) 可调节的玻璃清洁器
KR20100106047A (ko) 유리창 청소기
CN105934184A (zh) 用于表面清洁装置的清洁头
KR101183116B1 (ko) 유리창 청소기구
KR100747410B1 (ko) 공동주택의 발코니창문 자동세척장치
KR20060087305A (ko) 청소기능이 있는 공동주택의 발코니 창문
CN202086415U (zh) 玻璃清洗器
KR20140033983A (ko) 안정하게 탈부착되는 고무 블레이드를 구비한 유리창 청소기구
CN203841650U (zh) 一种平板拖清洗桶
CN204133371U (zh) 充电杆式吸尘器及应用于充电杆式吸尘器的风道结构
CN110495827B (zh) 一种具有蓄水功能的自动洗拖把的机器
KR200416215Y1 (ko) 물걸레 청소기
JP4984939B2 (ja) 電気掃除機用吸込具と電気掃除機
KR200426129Y1 (ko) 탈/부착 가능한 크리닝부를 갖는 청소로봇
JPH0570451U (ja) ダストクリーニング機能を備えた床面洗浄機
CN219021047U (zh) 一种用于清洁设备的拖布升降机构及清洁设备
CN100551318C (zh) 电动吸尘器
CN211256806U (zh) 一种桥梁护栏清洗装置
US8099814B1 (en) Device for cleaning and scrubb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