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6533B1 - 진공 청소기용 흡입 장치 - Google Patents

진공 청소기용 흡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6533B1
KR101616533B1 KR1020160015030A KR20160015030A KR101616533B1 KR 101616533 B1 KR101616533 B1 KR 101616533B1 KR 1020160015030 A KR1020160015030 A KR 1020160015030A KR 20160015030 A KR20160015030 A KR 20160015030A KR 101616533 B1 KR101616533 B1 KR 1016165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slider
main body
rotating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5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종현
Original Assignee
양종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종현 filed Critical 양종현
Priority to KR10201600150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65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65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65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9Carrying-vehicles; Arrangements of trollies or wheels; Means for avoiding mechanical obsta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진공 청소기용 흡입 장치가 개시된다. 진공 청소기용 흡입 장치는, 저면에는 흡입 기류가 흡입되는 흡입구가 형성된 흡입 본체와, 흡입 본체의 내부에 구동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부분은 흡입 본체의 외부로 돌출되어 바닥면에 회전 접촉되는 회전 휠과, 회전 휠에 회전 접촉되어 회전 휠의 회전 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 접촉되는 서브 휠과, 서브 휠의 회전 구동력을 전달받아 흡입 본체의 내부에서 이동되는 슬라이더와, 슬라이더의 일측에 링크 연결되어 흡입 본체의 내부에서 상승 또는 하강되며 일부분이 흡입구의 일측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흡입 본체의 외부로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제1 승강체와, 슬라이더의 타측에 링크 연결되어 흡입 본체의 내부에서 상승 또는 하강되며 일부분이 흡입구의 타측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흡입 본체의 외부로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제2 승강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진공 청소기용 흡입 장치{SUCTION APPARATUS FOR VACUUM CLEANER}
본 발명은 이물질의 흡입 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진공 청소기용 흡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먼지나 이물질을 제거를 위해 여러 종류의 진공 청소기들이 사용되고 있다.
진공청소기는 마루 바닥, 장판, 나무 소재 바닥 또는 대리석 등과 같은 딱딱한 바닥에서 먼지나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을 흡입하여 제거하기 위해 사용한다.
한편, 이불, 베개 및 침대 매트리스 등의 침구류나 카페트 등에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하는 청소기의 종류(예컨대, 핸디형 침구류 청소기)도 있다.
이러한 진공 청소기는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팬에서 발생하는 흡인력에 의해 공기와 함께 먼지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를 공기로부터 분리한 후 집진하여 청소가 수행되도록 하는 기기이다.
진공 청소기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팬모터를 포함한 업라이트 본체와, 업라이트 본체의 전방측에 배치되어 바닥면으로부터 공기와 함께 먼지를 흡입하는 흡입 본체와, 사용자가 잡아 진공 청소기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핸들을 포함한다.
한편, 흡입 본체의 저면에는 이물질이 흡입되는 흡입구가 형성되는데, 이 흡입구의 근접 위치에는 패드가 돌출된다.
따라서, 이물질의 흡입을 위한 흡입 본체의 이동 과정에서 이물질이 패드에 걸림 작용되어 흡입 본체의 흡입구로 용이하게 흡입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10-2015-0053353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진공 청소기의 작동 과정에서 이물질의 진공 흡입 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한 진공 청소기용 흡입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저면에는 흡입 기류가 흡입되는 흡입구가 형성된 흡입 본체와, 흡입 본체의 내부에 구동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부분은 흡입 본체의 외부로 돌출되어 바닥면에 회전 접촉되는 회전 휠과, 회전 휠에 회전 접촉되어 회전 휠의 회전 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 접촉되는 서브 휠과, 서브 휠의 회전 구동력을 전달받아 흡입 본체의 내부에서 이동되는 슬라이더와, 슬라이더의 일측에 링크 연결되어 흡입 본체의 내부에서 상승 또는 하강되며 일부분이 흡입구의 일측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흡입 본체의 외부로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제1 승강체와, 슬라이더의 타측에 링크 연결되어 흡입 본체의 내부에서 상승 또는 하강되며 일부분이 흡입구의 타측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흡입 본체의 외부로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제2 승강체를 포함한다.
제1 승강체와 슬라이더는 제1 회전 링크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제1 회전 링크는, 슬라이더의 일측에 일단에 연결되어 슬라이더의 이동 구동력을 흡입 본체의 높이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전달하여 제1 승강체가 상승 또는 하강되도록 할 수 있다.
제2 승강체와 슬라이더는 제2 회전 링크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제2 회전 링크는, 슬라이더의 타측에 일단에 연결되어 슬라이더의 이동 구동력을 흡입 본체의 높이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전달하여 제2 승강체가 상승 또는 하강되도록 할 수 있다.
제1 승강체와 제2 승강체는 흡입 본체의 내부에서 상승 또는 하강 작동이 서로간에 교번 작동될 수 있다.
제1 승강체는 흡입 본체의 전방측에 설치되고, 제2 승강체는 제1 승강체와의 사이에 흡입구를 두고 흡입 본체의 후방측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승강체는, 흡입 본체가 전방 방향으로 이동하여 회전 휠이 제1 방향으로 회전시에 흡입 본체의 내부에서 상승 작동되고, 흡입 본체가 후방 방향으로 이동하여 회전 휠이 제1 방향의 역방향인 제2 방향으로 회전시에 흡입 본체의 내부에서 하강 작동될 수 있다.
제2 승강체는, 흡입 본체가 전방 방향으로 이동하여 회전 휠이 제1 방향으로 회전시에 흡입 본체의 내부에서 하강 작동되고, 흡입 본체가 후방 방향으로 이동하여 회전 휠이 제1 방향의 역방향인 제2 방향으로 회전시에 흡입 본체의 내부에서 상승 작동될 수 있다.
제1 승강체는, 제1 회전 링크의 타단에 연결되어 제1 회전 링크의 회전력에 의해 흡입 본체의 내부에서 상승 또는 하강되는 제1 승강 바디와, 제1 승강 바디의 저면에 돌출되어 흡입 본체 저면의 외부로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제1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승강체는, 제2 회전 링크의 타단에 연결되어 제2 회전 링크의 회전력에 의해 흡입 본체의 내부에서 상승 또는 하강되는 제2 승강 바디와, 제2 승강 바디의 저면에 돌출되어 흡입 본체 저면의 외부로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제2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더는 상기 흡입구 방향으로 굴곡된 라운드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진공 청소기의 흡입 본체의 전후방향의 이동 과정에서 제1 패드 및 제2 패드의 승강 작동이 이루어지는 바, 청소 진행 방향의 전방으로 이물질이 흡입구 방향으로 용이하게 유입되고, 청소 진행 방향의 후방에서는 이물질이 걸림 작용되어 이물질의 흡입 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용 흡입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진공 청소기용 흡입 장치의 흡입 본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진공 청소기용 흡입 장치의 흡입 본체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제1 패드가 상승되고 제2 패드가 하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진공 청소기용 흡입 장치의 흡입 본체가 후방으로 이동하여 제1 패드가 하강되고 제2 패드가 상승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용 흡입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진공 청소기용 흡입 장치의 흡입 본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저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진공 청소기용 흡입 장치의 흡입 본체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제1 패드가 상승되고 제2 패드가 하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진공 청소기용 흡입 장치의 흡입 본체가 후방으로 이동하여 제1 패드가 하강되고 제2 패드가 상승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용 흡입 장치(100)는, 저면에는 흡입 기류가 흡입되는 흡입구(11)가 형성된 흡입 본체(10)와, 흡입 본체(1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부분은 흡입 본체(10)의 외부로 돌출되어 바닥면에 회전 접촉되는 회전 휠(13)과, 회전 휠(13)에 회전 접촉되어 회전 휠(13)의 회전 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 접촉되는 서브 휠(20)과, 서브 휠(20)의 회전 구동력을 전달받아 흡입 본체(10)의 내부에서 이동되는 슬라이더(30)와, 슬라이더(30)의 일측에 링크 연결되어 흡입 본체(10)의 내부에서 상승 또는 하강되며 일부분이 흡입구의 일측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흡입 본체(10)의 외부로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제1 승강체(50)와, 슬라이더(30)의 타측에 링크 연결되어 흡입 본체(10)의 내부에서 상승 또는 하강되며, 일부분이 흡입구(11)의 타측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흡입 본체(10)의 외부로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제2 승강체(7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진공 청소기는 청소기 본체에 흡입 라인으로 연결되는 착찰 가능한 흡입 본체(10)가 설치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따라서, 진공 청소기는 청소기 본체에서 발생되는 진공 흡입력이 흡입 라인을 통해 흡입 본체(10)에 전달되어 바닥면에 위치한 이물질을 진공 흡입할 수 있다.
흡입 본체(10)는 저면에 이물질이 흡입되는 흡입구(11)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흡입구(11)와 연통되는 설치 공간(1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흡입 본체(10)의 내부에는 진공 청소기의 청소 과정에서 흡입 본체(10)가 바닥면의 원활한 이동을 위한 회전 휠(13)이 설치될 수 있다.
회전 휠(13)은 일부분이 흡입 본체(10)의 외부로 돌출되어 바닥면에 접촉된 상태로 회전될 수 있다. 회전 휠(13)은 흡입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는 구동축(15)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 휠(13)에는 서브 휠(20)이 회전 접촉될 수 있다.
서브 휠(20)은 회전 휠(13)에 회전 접촉되는 바, 회전 휠(13)의 회전 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서브 휠(20)은 흡입 본체(10)의 내부에 회전축(2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브 휠(20)이 설치되는 것은 회전 휠(13)의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회전 휠(13)의 회전 구동력을 후술하는 슬라이더(30)에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슬라이더(30)를 설명하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슬라이더(30)는 흡입 본체(10)의 내부에서 흡입 본체(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슬라이더(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장공 형상의 슬라이더 홈(31)이 형성된다.
이러한 슬라이더 홈(31)에는 서브 휠(20)의 회전축(21)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슬라이더(30)는 서브 휠(20)의 회전 구동력이 직선 구동력 전환된 구동력에 의해 흡입 본체(10)의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슬라이더(30)는 흡입구(11) 방향으로 굴곡된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슬라이더(30)가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은, 슬라이더(30)의 이동 과정에서 후술하는 제1 승강체(50)와 제2 승강체(70)를 선택적으로 가압하여 보다 용이하게 승강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서브 휠(20)은 회전 휠(13)의 표면에 접촉된 상태로 설치되는 바, 회전 휠(13)의 표면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진공 청소기의 작동 과정에서 흡입 본체(10)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면, 회전 휠(13)은 흡입 본체(10)의 진행 방향의 전방 방향인 제1 방향(A)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서브 휠(20)은 회전 휠(13)의 표면에 접촉된 상태로 흡입 본체(10)의 전방인 제1 방향(A)으로 이동되는 바, 서브 휠(20)의 회전축(21)이 슬라이더 홈(31)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서브 휠(20)의 회전축(21)은 슬라이더 홈(31)의 일측을 가압하여 슬라이더(30)가 흡입 본체(10)의 전방인 제1 방향(A)으로 일정 거리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슬라이더(30)는 제1 회전 링크(40)를 제1 방향(A)으로 일정 각도 회전시켜 제1 승강체(50)가 흡입 본체(10)의 내부에서 상승되도록 하고, 제2 회전 링크(60)를 제1 방향(A)로 일정 각도 회전시켜 제2 승강체(70)가 흡입 본체(10)의 내부에서 하강되도록 할 수 있다.
다음, 진공 청소기의 작동 과정에서 흡입 본체(10)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면, 회전 휠(13)은 흡입 본체(10)의 진행 방향의 후방 방향인 제2 방향(B)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서브 휠(20)은 흡입 본체(10)의 후방인 제2 방향(B)으로 이동되는 바, 서브 휠(20)의 회전축(21)이 슬라이더 홈(31)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서브 휠(20)의 회전축(21)은 슬라이더 홈(31)의 타측을 가압하여 슬라이더(30)가 흡입 본체(10)의 전방인 제2 방향(B)으로 일정 거리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슬라이더(30)는 제1 회전 링크(40)를 제2 방향(B)으로 일정 각도 회전시켜 제1 승강체(50)가 흡입 본체(10)의 내부에서 하가되도록 하고, 제2 회전 링크(60)를 제2 방향(B)으로 일정 각도 회전시켜 제2 승강체(70)가 흡입 본체(10)의 내부에서 상승되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슬라이더(30)는 서브 휠(20)이 회전 휠(13)의 표면을 따라 이동되는 바, 슬라이더(30)는 제1 방향(A) 또는 제2 방향(B)을 따라 선택적으로 이동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흡입 본체(10)의 전후방향의 이동 과정에서 제1 패드(53) 및 제2 패드(73)의 승강 작동이 이루어지는 바, 청소 진행 방향의 전방으로 이물질이 흡입구(11) 방향으로 용이하게 유입되고 청소 진행 방향의 후방에서는 이물질이 걸림 작용되어 이물질의 흡입 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슬라이더(30)의 일측에는 제1 회전 링크(40)가 연결될 수 있다.
제1 회전 링크(40)는 슬라이더(30)의 일측의 이격된 위치에서 길이 방향의 중앙 부분이 흡입 본체(1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회전 링크(40)의 일단은 슬라이더(3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러한 제1 회전 링크(40)의 타단에는 제1 승강체(50)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슬라이더(30)의 이동 구동력은 제1 회전 링크(40)를 통해 제1 승강체(50)에 전달되는 바, 제1 승강체(50)의 상승 또는 하강 작동이 슬라이더(30)의 이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승강체(50)는, 흡입 본체(10)가 전방 방향으로 이동하여 회전 휠(13)이 제1 방향으로 회전시에 흡입 본체(10)의 내부에서 상승 작동된다.
그리고, 제1 승강체(50)는 흡입 본체(10)가 후방 방향으로 이동하여 회전 휠(13)이 제1 방향의 역방향인 제2 방향으로 회전시에 흡입 본체(10)의 내부에서 하강 작동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승강체(50)는, 제1 회전 링크(40)의 타단에 연결되어 제1 회전 링크(40)의 회전력에 의해 흡입 본체(10)의 내부에서 상승 또는 하강되는 제1 승강 바디(51)와, 제1 승강 바디(51)의 저면에 돌출되어 흡입 본체(10) 저면의 외부로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제1 패드(5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승강 바디(51)는 흡입 본체(10)의 높이 방향을 따라 긴 길이를 갖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측은 제1 회전 링크(40)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승강 바디(51)의 하측에는 제1 패드(53)가 돌출된다.
제1 패드(53)는 일측은 제1 승강 바디(51)의 하측에 연결되고 타측은 흡입 본체(10)의 저면 방향으로 돌출되는 바, 제1 승강 바디(51)의 상승 또는 하강 작동에 의해 흡입 본체(10)의 외부로 선택적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1 패드(53)는 본 실시예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흡입 본체(10)가 제1 방향으로 전진하는 경우 흡입 본체(10)의 내부에 위치되고, 흡입 본체(10)가 제2 방향으로 후진하는 경우 흡입 본체(10)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패드(53)가 흡입 본체(10)의 외부로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것은, 진공 청소기용 흡입 장치(100)의 후진 작동시에 이물질이 제1 패드(53)에 이동 제한되어 흡입구(11)를 통해 용이하게 진공 흡입 제거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슬라이더(30)의 타측에는 제2 회전 링크(60)가 연결될 수 있다.
제2 회전 링크(60)는 슬라이더(30)의 타측의 이격된 위치에서 길이 방향의 중앙 부분이 흡입 본체(1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회전 링크(60)의 일단은 슬라이더(30)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러한 제2 회전 링크(60)의 타단에는 제2 승강체(70)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슬라이더(30)의 이동 구동력은 제2 회전 링크(60)를 통해 제2 승강체(70)에 전달되는 바, 제2 승강체(70)의 상승 또는 하강 작동이 슬라이더(30)의 이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2 승강체(70)는, 흡입 본체(10)가 전방 방향으로 이동하여 회전 휠(13)이 제1 방향(A)으로 회전시에 흡입 본체(10)의 내부에서 하강 작동된다.
그리고, 제2 승강체(70)는 흡입 본체(10)가 후방 방향으로 이동하여 회전 휠(13)이 제1 방향의 역방향인 제2 방향으로 회전시에 흡입 본체(10)의 내부에서 상승 작동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승강체(70)는, 제2 회전 링크(60)의 타단에 연결되어 제2 회전 링크(60)의 회전력에 의해 흡입 본체(10)의 내부에서 상승 또는 하강되는 제2 승강 바디(71)와, 제2 승강 바디(71)의 저면에 돌출되어 흡입 본체(10) 저면의 외부로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제2 패드(7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승강 바디(71)는 흡입 본체(10)의 높이 방향을 따라 긴 길이를 갖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측은 제2 회전 링크(60)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승강 바디(71)의 하측에는 제2 패드(73)가 돌출된다.
제2 패드(73)는 일측은 제2 승강 바디(71)의 하측에 연결되고 타측은 흡입 본체(10)의 저면 방향으로 돌출되는 바, 제2 승강 바디(71)의 상승 또는 하강 작동에 의해 흡입 본체(10)의 외부로 선택적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 패드(73)는 본 실시예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흡입 본체(10)가 제1 방향으로 전진하는 경우 흡입 본체(10)의 외부로 돌출되고, 흡입 본체(10)가 제2 방향으로 후진하는 경우 흡입 본체(10)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패드(73)가 흡입 본체(10)의 외부로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것은, 진공 청소기용 흡입 장치(100)의 전진 작동시에 이물질이 제2 패드(73)에 이동 제한되어 흡입구(11)를 통해 용이하게 진공 흡입 제거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진공 청소기용 흡입 장치(100)의 전방향인 제1 방향 이동시에 제1 패드(53)는 흡입 본체(10)의 내부에 위치되고 제2 패드(73)는 흡입 본체(10)의 외부로 돌출된다.
그리고 진공 청소기용 흡입 장치(100)의 후방향인 제2 방향 이동시에 제1 패드(53)는 흡입 본체(10)의 외부로 돌출되고 제2 패드(73)는 흡입 본체(10)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진공 청소기용 흡입 장치(100)의 제1 방향 이동시에 바닥면의 이물질은 제2 패드(73)에 걸림 작용되어 흡입구(11)로 진공 흡입되고, 진공 청소기용 흡입 장치(100)의 제2 방향 이동시에 바닥면의 이물질은 제1 패드(53)에 걸림 작용되어 흡입구(11)로 진공 흡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패드(53) 및 제2 패드(73)는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바, 진공 청소기용 흡입 장치(100)의 이동 과정에서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진공 흡입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진공 청소기용 흡입 장치의 작용을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 청소기의 작동 과정에서 흡입 본체(10)를 청소 진행 방향의 전방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회전 휠(13)은 흡입 본체(10)의 진행 방향의 전방 방향인 제1 방향(A)으로 회전된다. 이에 따라, 슬라이더(30)는 회전 휠(13)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흡입 본체(10)의 전방으로 일정 거리 이동된다.
이때, 슬라이더(30)는 제1 회전 링크(40)를 제1 방향(A)으로 일정 각도 회전시켜 제1 승강체(50)가 흡입 본체(10)의 내부에서 상승되도록 하고, 제2 회전 링크(60)를 제1 방향(A)으로 일정 각도 회전시켜 제2 승강체(70)가 흡입 본체(10)의 내부에서 하강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흡입 본체(10)를 청소 진행 방향의 전방으로 이동되는 경우, 제1 패드(53)는 흡입 본체(10)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상승되고, 제2 패드(73)는 흡입 본체(10)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하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바닥면의 이물질은 제1 패드(53)에 간섭되지 않고 제2 패드(73)에 걸림 작용이 이루어지는 바, 흡입구(11)를 통해 용이하게 진공 흡입되어 제거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 청소기의 작동 과정에서 흡입 본체(10)를 후방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회전 휠(13)은 흡입 본체(10)의 진행 방향의 전방 방향인 제2 방향(B)으로 회전된다. 이에 따라, 슬라이더(30)는 회전 휠(13)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흡입 본체(10)의 전방으로 일정 거리 이동된다.
이때, 슬라이더(30)는 제2 회전 링크(60)를 제2 방향(B)으로 일정 각도 회전시켜 제2 승강체(70)가 흡입 본체(10)의 내부에서 상승되도록 하고, 제1 회전 링크(40)를 제2 방향(B)으로 일정 각도 회전시켜 제1 승강체(50)가 흡입 본체(10)의 내부에서 하강되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진공 청소기용 흡입 장치(100)는 흡입 본체(10)의 전후방향의 이동 과정에서 제1 패드(53) 및 제2 패드(73)의 승강 작동이 이루어지는 바, 청소 진행 방향의 전방으로 이물질이 흡입구(11) 방향으로 용이하게 유입되고 청소 진행 방향의 후방에서는 이물질이 걸림 작용되어 이물질의 흡입 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흡입 본체 11...흡입구
12...설치 공간 13...회전 휠
20...서브 휠 21...회전축
30...슬라이더 31...슬라이더 홈
40...제1 회전 링크 50...제1 승강체
51...제1 승강 바디 53...제1 패드
60...제2 회전 링크 70...제2 승강체
71...제2 승강 바디 73...제2 패드

Claims (12)

  1. 저면에는 흡입 기류가 흡입되는 흡입구가 형성된 흡입 본체;
    상기 흡입 본체의 내부에 구동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부분은 상기 흡입 본체의 외부로 돌출되어 바닥면에 회전 접촉되는 회전 휠;
    상기 회전 휠에 회전 접촉되어 상기 회전 휠의 회전 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 접촉되는 서브 휠:
    상기 서브 휠의 회전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흡입 본체의 내부에서 이동되는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의 일측에 링크 연결되어 상기 흡입 본체의 내부에서 상승 또는 하강되며, 일부분이 상기 흡입구의 일측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흡입 본체의 외부로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제1 승강체; 및
    상기 슬라이더의 타측에 링크 연결되어 상기 흡입 본체의 내부에서 상승 또는 하강되며, 일부분이 상기 흡입구의 타측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흡입 본체의 외부로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제2 승강체;
    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용 흡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승강체와 상기 슬라이더는 제1 회전 링크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제1 회전 링크는,
    상기 슬라이더의 일측에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 구동력을 상기 흡입 본체의 높이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전달하여 상기 제1 승강체가 상승 또는 하강되도록 하는, 진공 청소기용 흡입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승강체와 상기 슬라이더는 제2 회전 링크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제2 회전 링크는,
    상기 슬라이더의 타측에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 구동력을 상기 흡입 본체의 높이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전달하여 상기 제2 승강체가 상승 또는 하강되도록 하는, 진공 청소기용 흡입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승강체와 상기 제2 승강체는 상기 흡입 본체의 내부에서 상승 또는 하강 작동이 서로간에 교번 작동되는, 진공 청소기용 흡입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승강체는 상기 흡입 본체의 전방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2 승강체는 상기 제1 승강체와의 사이에 상기 흡입구를 두고 상기 흡입 본체의 후방측에 설치되는, 진공 청소기용 흡입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승강체는,
    상기 흡입 본체가 전방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회전 휠이 제1 방향으로 회전시에 상기 흡입 본체의 내부에서 상승 작동되고,
    상기 흡입 본체가 후방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회전 휠이 제1 방향의 역방향인 제2 방향으로 회전시에 상기 흡입 본체의 내부에서 하강 작동되는, 진공 청소기용 흡입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승강체는,
    상기 흡입 본체가 전방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회전 휠이 제1 방향으로 회전시에 상기 흡입 본체의 내부에서 하강 작동되고,
    상기 흡입 본체가 후방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회전 휠이 제1 방향의 역방향인 제2 방향으로 회전시에 상기 흡입 본체의 내부에서 상승 작동되는, 진공 청소기용 흡입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승강체는,
    상기 제1 회전 링크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1 회전 링크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흡입 본체의 내부에서 상승 또는 하강되는 제1 승강 바디; 및
    상기 제1 승강 바디의 저면에 돌출되어 상기 흡입 본체 저면의 외부로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제1 패드;
    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용 흡입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승강체는,
    상기 제2 회전 링크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2 회전 링크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흡입 본체의 내부에서 상승 또는 하강되는 제2 승강 바디; 및
    상기 제2 승강 바디의 저면에 돌출되어 상기 흡입 본체 저면의 외부로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제2 패드;
    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용 흡입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흡입구 방향으로 굴곡된 라운드 형상인, 진공 청소기용 흡입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에는 장공 형상의 슬라이더 홈이 형성되고,
    상기 서브 휠의 회전축은 상기 슬라이더 홈에 삽입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진공 청소기용 흡입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휠은 상기 회전 휠의 회전 방향의 역방향으로 상기 회전 휠의 표면에 접촉된 상태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진공 청소기용 흡입 장치.
KR1020160015030A 2016-02-05 2016-02-05 진공 청소기용 흡입 장치 KR1016165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5030A KR101616533B1 (ko) 2016-02-05 2016-02-05 진공 청소기용 흡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5030A KR101616533B1 (ko) 2016-02-05 2016-02-05 진공 청소기용 흡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6533B1 true KR101616533B1 (ko) 2016-05-04

Family

ID=56022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5030A KR101616533B1 (ko) 2016-02-05 2016-02-05 진공 청소기용 흡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653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25079A (ja) 2000-01-29 2003-08-26 アルフレッド ケルハー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ウント コンパニー 床掃除機用のクリーニングヘッド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25079A (ja) 2000-01-29 2003-08-26 アルフレッド ケルハー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ウント コンパニー 床掃除機用のクリーニングヘッ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8095B1 (ko) 진공 청소기 등의 표면 처리 기기용 바닥 공구
JP5221218B2 (ja) 真空掃除機用吸引ブラシ
JP5156500B2 (ja) 真空掃除機用の吸引ブラシ
KR101525597B1 (ko) 노즐조립체 및 이를 가지는 진공청소기
KR100478650B1 (ko) 컨버터블 진공청소기
CN106388702B (zh) 吸尘器和用于运行吸尘器的方法
KR101616533B1 (ko) 진공 청소기용 흡입 장치
KR102020783B1 (ko) 로봇 청소기
KR102015320B1 (ko) 청소기
WO2019205992A1 (zh) 地刷装置和具有其的清洁设备
KR101411742B1 (ko) 로봇 청소기
JP6800048B2 (ja) 電気掃除機の寝具用吸込口体
KR20060038797A (ko) 로봇 청소기
KR101003601B1 (ko) 진공 청소기
KR200441936Y1 (ko) 진공스팀청소기용 헤드
KR20080043641A (ko) 로봇청소기
JP3229631B2 (ja) 電気掃除機の吸込口
KR200479158Y1 (ko) 진공청소기 흡입헤드 조립체
CN117915816A (zh) 在吸嘴装置中设定至少一个工作构件的位置
KR100953267B1 (ko) 진공 청소기
JP5736019B2 (ja) 吸込ヘッド及び電気掃除機
KR101268129B1 (ko)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의 흡입 노즐
KR19990014613U (ko) 청소기의 흡입구체
JPH052786U (ja) マツトクリーナ
JP2017012686A (ja) 吸込口体および電気掃除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