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5988A - 청소될 표면에 대면하도록 구성된 노즐 설비 - Google Patents

청소될 표면에 대면하도록 구성된 노즐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5988A
KR20220035988A KR1020227008144A KR20227008144A KR20220035988A KR 20220035988 A KR20220035988 A KR 20220035988A KR 1020227008144 A KR1020227008144 A KR 1020227008144A KR 20227008144 A KR20227008144 A KR 20227008144A KR 20220035988 A KR20220035988 A KR 202200359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body
nozzle
suction
mopping
clea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8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2853B1 (ko
Inventor
마티스 헨드릭쿠스 루베르스
욘네 스테만
레네 루이크스
브린트 로기에르 데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케 필립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케 필립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케 필립스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220035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59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2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28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28Floor-scrubbing machines, moto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 A47L9/066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with tilting, floating or similarly arranged brushes, combs, lips or pa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36Parts or details of the surface trea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36Parts or details of the surface treating tools
    • A47L11/4044Vacuuming or pick-up tools; Squeege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8Means for supplying cleaning or surface treating agents
    • A47L11/4083Liquid supply reservoirs; Preparation of the agents, e.g. mix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94Accessori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conventional vacuum-clean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72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 A47L9/0673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with removable brushes, combs, lips or pa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 A47L9/0686Nozzles with cleaning cloths, e.g. using disposal fabrics for covering the nozz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청소될 표면(102)에 대면하도록 구성된 노즐 설비(7)는 서로에 대해 일정 거리에 위치된 제1 흡입 몸체(11) 및 제2 흡입 몸체(12)를 포함한다. 노즐 설비(7)는 표면(102) 상에서의 노즐 설비(7)의 정상적인 작동 배향에서 제1 흡입 몸체(11) 및 제2 흡입 몸체(12)를 표면(102)에 대해 상이한 전체 레벨들에 두도록 구성된 레벨 설정 메커니즘(40)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노즐 설비(7)의 청소 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표면(102) 및 노즐 설비(7)의 내부 공기 도관(24, 25) 중 하나에 대해 제1 흡입 몸체(11) 및 제2 흡입 몸체(12) 중 적어도 하나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폐쇄하기 위한 흡입 향상 메커니즘(50)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청소될 표면에 대면하도록 구성된 노즐 설비
본 발명은 청소될 표면에 대면하도록 구성된 노즐 설비(nozzle arrangement)에 관한 것으로, 노즐 설비는 서로에 대해 일정 거리에 위치된 제1 흡입 몸체 및 제2 흡입 몸체를 포함하고, 제1 흡입 몸체 및 제2 흡입 몸체 둘 모두는 청소될 표면으로부터 먼지 및 오물을 흡입하게 작동되도록 구성되며, 제1 흡입 몸체 및 제2 흡입 몸체 둘 모두는 제1 흡입 몸체 및 제2 흡입 몸체의 위치에서 저압(underpressure)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메커니즘에 연결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청소 기구(cleaning appliance)에 관한 것으로, 청소 기구는 언급된 바와 같은 노즐 설비, 청소 기구의 사용자가 청소될 표면에 대한 노즐 설비의 위치를 제어하게 하기 위해 노즐 설비에 연결가능한 핸들, 및 노즐 설비의 제1 흡입 몸체 및 제2 흡입 몸체의 위치에서 저압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경질 바닥의 청소는 전통적으로, 우선적으로 바닥이 진공청소 동작을 받게 하고, 후속적으로 바닥이 걸레질 동작을 받게 함으로써 행해진다. 진공청소 동작의 결과로서, 먼지 및 입자가 바닥으로부터 제거되는 반면, 걸레질 동작은 바닥으로부터 얼룩을 제거하도록 의도된다. 오늘날, 한꺼번에 진공청소 및 걸레질을 하도록 설계된 청소 기구가 입수가능하다. 일반적으로, 그러한 청소 기구는 청소될 표면에 대면하도록 구성된 노즐 설비, 및 청소 기구의 사용자가 표면에 대한 노즐 설비의 위치를 제어하게 하기 위해 노즐 설비에 연결가능한 핸들을 포함한다. 그러한 청소 기구가 진공청소 동작을 수행하게 할 목적을 위해, 청소 기구에는 진공 메커니즘이 갖춰지는데, 진공 메커니즘은 노즐 설비의 위치에서, 특히 표면으로부터 먼지 및 오물을 흡입하게 작동되도록 구성되고 진공 메커니즘에 연결가능한 노즐 설비의 적어도 하나의 흡입 몸체의 위치에서, 저압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그러한 청소 기구가 걸레질 동작을 수행하게 할 목적을 위해, 노즐 설비에는 걸레질 조립체가 갖춰진다.
실제적인 경우에, 노즐 설비의 걸레질 조립체는 습윤되도록 구성된 걸레질 요소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걸레 홀더(mop holder)를 포함하는데, 여기서 통상적으로 천 조각이 걸레질 요소로서 사용된다. 걸레질 조립체는 또한 걸레질 요소를 습윤시키기 위해 걸레질 요소에 공급될 액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액체 탱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경우, 걸레 홀더 및 액체 탱크는 통합될 수 있다.
청소될 표면 상에서 진공청소 동작 및 걸레질 동작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청소 기구 분야에서의 주요 문제들 중 하나는 걸레질 요소를 가능한 한 깨끗하게 유지하는 것이 요구된다는 것이다. 이를 고려하여, 노즐 설비에 2개의 흡입 몸체가 제공된다면 유리하다. 사실은, 사용자가 청소 기구를 교번적으로 밀고 당겨 사용자로부터 멀리 그리고 사용자를 향해 교번적으로 이동시키는 양방향 방식으로 청소 기구가 사용될 수 있고 사용될 것이라는 것이다. 걸레 홀더가 2개의 흡입 몸체 사이에 개재되도록 노즐 설비가 설계될 때, 노즐 설비의 이동 방향에 관계없이 걸레질 요소의 전방에 흡입 몸체가 항상 존재하는 것이 달성될 수 있다. 그러나, 걸레질 요소의 후방에 흡입 몸체가 항상 존재하는 것이 또한 달성되는데, 이는 습윤된 표면 상에 줄무늬가 나타나게 한다. 흡입 몸체들이 후행(trailing) 위치에 있을 때마다의 습윤된 표면에 대한 노출의 결과로서 흡입 몸체들이 다소 습윤되기 때문에 흡입 몸체들이 더러워지는 것이 또한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것에서 다루어진 문제점들, 즉 한꺼번에 진공청소 및 걸레질하도록 설계된 청소 기구의 분야에서 일어나는 문제점, 및 걸레질 요소의 전방에 흡입 몸체가 항상 있을 수 있도록 청소 기구의 노즐 설비에서 2개의 흡입 몸체들을 갖는 개념과 연관된 문제점을 완화시키는 것이다.
전술한 것을 고려하여, 본 발명은 청소될 표면에 대면하도록 구성된 노즐 설비로서, i) 서로에 대해 일정 거리에 위치된 제1 흡입 몸체 및 제2 흡입 몸체로서, 제1 흡입 몸체 및 제2 흡입 몸체 둘 모두는 청소될 표면으로부터 먼지 및 오물을 흡입하게 작동되도록 구성되며, 제1 흡입 몸체 및 제2 흡입 몸체 둘 모두는 제1 흡입 몸체 및 제2 흡입 몸체의 위치에서 저압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메커니즘에 연결가능한, 상기 제1 흡입 몸체 및 상기 제2 흡입 몸체; 및 ii) 표면 상에서의 노즐 설비의 정상적인 작동 배향에서 제1 흡입 몸체 및 제2 흡입 몸체를 청소될 표면에 대해 상이한 전체 레벨들에 두도록 구성된 레벨 설정 메커니즘(level setting mechanism)을 포함하는, 노즐 설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청소 기구로서, 앞 단락에서 한정된 바와 같은 노즐 설비, 청소 기구의 사용자가 청소될 표면에 대한 노즐 설비의 위치를 제어하게 하기 위해 노즐 설비에 연결가능한 핸들, 및 노즐 설비의 제1 흡입 몸체 및 제2 흡입 몸체의 위치에서 저압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청소 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술한 것에서 다루어진 문제점은 노즐 설비의 설계에 대해 조정이 이루어질 때, 특히 표면 상에서의 노즐 설비의 정상적인 작동 배향에서 제1 흡입 몸체 및 제2 흡입 몸체를 청소될 표면에 대해 상이한 전체 레벨들에 두도록 구성된 레벨 설정 메커니즘이 노즐 설비에 갖춰질 때 완화된다. 레벨 설정 메커니즘의 존재에 기초하여, 흡입 몸체들 각각의 전체 레벨을 적합한 방식으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한데, 여기서 흡입 몸체들 각각은 흡입 몸체가 선행(leading) 위치에 있는 시간 동안 표면에 대해 낮은 전체 레벨(흡입 몸체가 표면과 접촉하는 레벨일 수 있음)로 두어지고, 흡입 몸체들 각각은 흡입 몸체가 후행 위치에 있는 시간 동안 표면에 대해 더 높은 전체 레벨로 두어진다. 이러한 것이 행해질 수 있는 방식들의 예들이 하기에 제공된다. 노즐 설비에 레벨 설정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흡입 몸체들이 선행 위치와 후행 위치로 여전히 교번적으로 두어질지라도 흡입 몸체들이 오염되고 청소 성능을 감소시킬 위험 없이, 노즐 설비가 2개의 반대 방향들로 이동되기에 적합한 방향성 유형의 것일 수 있다는 것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노즐 설비의 실용적인 실시예에서, 레벨 설정 메커니즘은, 제1 흡입 몸체가 선행 위치에 있고 제2 흡입 몸체가 후행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노즐 설비가 노즐 설비의 이동과 관련된 힘을 받을 때 제1 흡입 몸체를 청소될 표면에 대해 더 낮은 전체 레벨에 두고 제2 흡입 몸체를 표면에 대해 더 높은 전체 레벨에 두도록, 그리고 제2 흡입 몸체가 선행 위치에 있고 제1 흡입 몸체가 후행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노즐 설비가 노즐 설비의 이동과 관련된 힘을 받을 때 제2 흡입 몸체를 청소될 표면에 대해 더 낮은 전체 레벨에 두고 제1 흡입 몸체를 표면에 대해 더 높은 전체 레벨에 두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실시예에서, 레벨 설정 메커니즘은 사용자에 의해 노즐 설비에 가해질 수 있는 바와 같은 미는 힘 또는 당기는 힘에 응답하도록 구성되며, 선행 위치에 있는 흡입 몸체만이 표면에 대해 더 낮은 전체 레벨에 있고 다른 흡입 몸체가 표면에 대해 더 높은 전체 레벨에 있도록 흡입 몸체들의 레벨들을 설정하도록 구성된다.
레벨 설정 메커니즘이 제1 흡입 몸체와 제2 흡입 몸체를 상호연결하는 요소를 포함하고, 이 요소가 노즐 설비에서 이동가능하게 배열된다면 실용적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레벨 설정 메커니즘은 복잡한 (전자) 제어 구성요소에 대한 필요성 없이 기계적 방식으로 흡입 몸체들의 적절한 레벨들을 설정하게 된다. 예를 들어, 레벨 설정 메커니즘은 노즐 설비에서 기울임 축(tilting axis)을 중심으로 기울어질 수 있는, 제1 흡입 몸체와 제2 흡입 몸체의 캐리어를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서 제1 흡입 몸체는 기울임 축의 일 측에 있는 일정 위치에서 캐리어에 연결되고 제2 흡입 몸체는 기울임 축의 다른 측에 있는 일정 위치에서 캐리어에 연결되어, 청소될 표면 상에서의 노즐 설비의 정상적인 작동 배향에서, 캐리어가 기울어짐에 따라 제1 흡입 몸체와 제2 흡입 몸체가 표면에 대해 반대 방향들로 이동하도록 한다. 그러한 캐리어는, 노즐 설비가 청소될 표면을 따라 이동될 때 노즐 설비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에 따라 캐리어의 적절한 기울어진 배향이 설정되는 방식으로, 노즐 설비에 배열될 수 있다. 노즐 설비 상의 힘의 인가 지점과 표면과의 접촉 영역 사이의 레벨에 기울임 축이 있다고 가정하면, 인가 지점에 작용하는 힘과 표면과의 접촉 영역에서 작용하는 마찰력의 조합은 기울임 축을 중심으로 하는 캐리어의 기울어짐 이동을 야기하도록 작용하는 토크를 캐리어가 받게 한다. 인가 지점에 작용하는 힘의 방향이 변화될 때, 토크의 방향이 변화되고, 제1 설정 위치로부터 제2 설정 위치로의 캐리어의 기울어짐 이동이 실제로 일어난다. 제1 설정 위치 및 제2 설정 위치는 표면과 접촉하는 관련 흡입 몸체에 의해 결정될 수 있거나, 노즐 설비 내의 적합한 멈춤부 등에 의해 미리 결정될 수 있다.
종래의 노즐 설비와 관련하여 전술한 것에서 이미 설명된 것과 일치하게, 이는 본 발명에 따른 노즐 설비가 표면을 따라 이동될 때 청소될 표면 상에 걸레질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걸레질 조립체를 노즐 설비가 포함하고, 여기서 제1 흡입 몸체 및 제2 흡입 몸체가 걸레질 조립체의 양측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특히, 그 경우에, 걸레질 조립체가 습윤되도록 구성된 걸레질 요소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걸레 홀더를 포함하고, 걸레질 요소가 걸레 홀더에 부착가능하고 이로부터 분리가능하다면 유리하다.
제1 흡입 몸체, 제2 흡입 몸체 및 걸레질 조립체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는 노즐 설비에서 공동으로(jointly) 이동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1 흡입 몸체와 제2 흡입 몸체를 상호연결하는 레벨 설정 메커니즘의 상기 언급된 이동가능 요소와 걸레 홀더가 통합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청소될 표면 위에서 걸레질 요소를 지지하는 걸레 홀더의 기울어짐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걸레질 요소의 볼록한 윤곽을 실현하도록 걸레 홀더가 설계된다면 실용적인데, 여기서 제1 흡입 몸체, 제2 흡입 몸체, 및 걸레질 요소를 지지하는 걸레 홀더의 일체형 전체의 기울임 축은 표면과의 걸레질 요소의 접촉 위치에 있다.
추가 가능성에 따르면, 걸레질 조립체는 걸레질 요소를 습윤시키기 위해 걸레질 요소에 공급될 액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액체 탱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걸레 홀더 및 액체 탱크가 통합될 수 있는데, 여기서 액체 탱크는 걸레질 요소를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걸레질 요소에 공급될 액체의 예는 물, 및 비누와 같은 세척제와 물의 혼합물이다. 걸레질 조립체가 노즐 설비에서 제거가능하게 배열된다면 유리한데, 그 이유는 이러한 것이 걸레질 조립체의 구성요소들의 용이한 세척 및/또는 사용자에 의한 액체 탱크의 용이한 충전을 허용하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하여, 걸레질 조립체를 노즐 설비 내의 지지체에 부착하고 이로부터 걸레질 조립체를 분리하는 임의의 적합한 방식이 선택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한다. 예를 들어, 자석 연결이 이용될 수 있는데, 여기서 걸레질 조립체 및 지지체 중 적어도 하나에 적어도 하나의 자석이 갖춰질 수 있어, 연결이 예를 들어 2개의 상호작용하는 자석들, 또는 자석과 금속판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걸레질 조립체 및 지지체 중 하나는 원통형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고, 걸레질 조립체 및 지지체 중 다른 하나는 원통형 특징부를 수용하기 위한 탄성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서 원통형 특징부가 탄성 특징부 내로 스냅(snap)되자마자 걸레질 조립체와 지지체 사이의 충분히 강한 연결이 확립된다.
제1 흡입 몸체 및 제2 흡입 몸체가 임의의 적합한 설계의 것일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한다. 예를 들어, 흡입 몸체들이, 표면 상에서의 노즐 설비의 정상적인 작동 배향에서 청소될 표면에 대면하는 측에서 개방 흡입 영역을 갖는 채널처럼 설계된 대체로 세장형인 외양의 것이라면 실용적일 수 있다. 소정의 진공 발생 용량을 가정하면, 흡입 몸체들에 의해 한정되는 흡입 영역들의 크기가 증가할 때 진공청소 기능의 유효성이 감소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를 고려하여, 청소될 표면 및 노즐 설비의 내부 공기 도관 중 하나에 대해 제1 흡입 몸체 및 제2 흡입 몸체 중 적어도 하나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폐쇄하기 위한 흡입 향상 메커니즘(suction enhancing mechanism)을 노즐 설비가 더 포함할 때 특히 유리하다. 이는 특히, 후행 위치에 있고 따라서 표면에 대해 높은 전체 레벨에 있는 흡입 몸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폐쇄하는 것을 허용한다. 따라서, 노즐 설비가 사용 동안에 교번적으로 전방으로 밀리고 후방으로 당겨지는 것으로 가정하면, 선행 위치와 후행 위치 사이에서 전환하는 연속적인 과정과 조화되어 흡입 몸체들이 교번적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폐쇄되고 완전히 개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말하면, 흡입 향상 메커니즘은 노즐 설비를 이동시키기 위해 노즐 설비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과 관련하여 제1 흡입 몸체 및 제2 흡입 몸체 중 적어도 하나의 개방/폐쇄 상태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흡입 몸체들에 의해 한정되는 흡입 영역들의 크기를 유리한 방식으로 제어하기 위해, 제1 흡입 몸체가 선행 위치에 있고 제2 흡입 몸체가 후행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노즐 설비가 노즐 설비의 이동과 관련된 힘을 받을 때 제1 흡입 몸체를 개방된 상태로 남겨두면서 제2 흡입 몸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폐쇄하도록, 그리고 제2 흡입 몸체가 선행 위치에 있고 제1 흡입 몸체가 후행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노즐 설비가 노즐 설비의 이동과 관련된 힘을 받을 때 제2 흡입 몸체를 개방된 상태로 남겨두면서 제1 흡입 몸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폐쇄하도록 흡입 향상 메커니즘이 구성된다면 실용적이다.
흡입 향상 메커니즘이 레벨 설정 메커니즘에 의해 제어되도록 배열된다면 특히 실용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입 향상 메커니즘이 흡입 몸체들에 의해 한정되는 흡입 영역들의 크기를 제어하는 방식은 노즐 설비에서의 레벨 설정 메커니즘의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의 위치와 직접 관련될 수 있다. 임의의 경우에, 레벨 설정 메커니즘처럼, 흡입 향상 메커니즘은 기계적 방식으로 기능할 수 있고, 복잡한 (전자) 제어 구성요소들 없이 행해질 수 있다.
전술한 것에서 한정된 바와 같은 흡입 향상 메커니즘을 갖는 개념이 전술한 것에서 한정된 바와 같은 레벨 설정 메커니즘을 갖는 개념과 독립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청소될 표면에 대면하도록 구성된 노즐 설비로서, i) 서로에 대해 일정 거리에 위치된 제1 흡입 몸체 및 제2 흡입 몸체로서, 제1 흡입 몸체 및 제2 흡입 몸체 둘 모두는 청소될 표면으로부터 먼지 및 오물을 흡입하게 작동되도록 구성되며, 제1 흡입 몸체 및 제2 흡입 몸체 둘 모두는 제1 흡입 몸체 및 제2 흡입 몸체의 위치에서 저압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메커니즘에 연결가능한, 상기 제1 흡입 몸체 및 상기 제2 흡입 몸체; 및 ii) 청소될 표면 및 노즐 설비의 내부 공기 도관 중 하나에 대해 제1 흡입 몸체 및 제2 흡입 몸체 중 적어도 하나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폐쇄하기 위한 흡입 향상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노즐 설비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것에서 언급된 바와 같은 선택사양들, 특히 제1 흡입 몸체가 선행 위치에 있고 제2 흡입 몸체가 후행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노즐 설비가 노즐 설비의 이동과 관련된 힘을 받을 때 제1 흡입 몸체를 개방된 상태로 남겨두면서 제2 흡입 몸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폐쇄하도록, 그리고 제2 흡입 몸체가 선행 위치에 있고 제1 흡입 몸체가 후행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노즐 설비가 노즐 설비의 이동과 관련된 힘을 받을 때 제2 흡입 몸체를 개방된 상태로 남겨두면서 제1 흡입 몸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폐쇄하도록 흡입 향상 메커니즘이 구성된다는 선택사양이 동등하게 적용가능하다.
동등하게 적용가능한 다른 선택사양은, 노즐 설비가 표면을 따라 이동될 때 청소될 표면 상에 걸레질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걸레질 조립체를 노즐 설비가 포함하고 제1 흡입 몸체 및 제2 흡입 몸체가 걸레질 조립체의 양측에 위치된다는 선택사양이다. 설명된 바와 같이, 이러한 선택사양과 관련하여, 이는 걸레질 조립체가 습윤되도록 구성된 걸레질 요소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걸레 홀더를 포함하고 걸레질 요소가 걸레 홀더에 부착가능하고 이로부터 분리가능하도록 하는 것일 수 있으며, 이는 또한 걸레질 조립체가 걸레질 요소를 습윤시키기 위해 걸레질 요소에 공급될 액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액체 탱크를 포함하고 선택적으로 걸레 홀더 및 액체 탱크가 통합되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설명된 바와 같이, 걸레질 조립체는 노즐 설비에서 제거가능하게 배열될 수 있는데, 여기서 걸레질 조립체 및 지지체 중 적어도 하나에서 적어도 하나의 자석을 포함하는 자석 연결을 통해 걸레질 조립체가 노즐 설비 내의 지지체에 부착가능하고 이로부터 분리가능하다면 실용적일 수 있으며, 이는 다른 부착 및 분리 메커니즘들이 또한 실행가능하다는 사실을 변경하지 않는다. 제1 흡입 몸체 및 제2 흡입 몸체가 임의의 적합한 설계의 것일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한다.
또한, 흡입 향상 메커니즘을 포함하지만 레벨 설정 메커니즘을 반드시 포함하는 것은 아닌 노즐 설비와 관련하여, 흡입 몸체들이, 표면 상에서의 노즐 설비의 정상적인 작동 배향에서 청소될 표면에 대면하는 측에서 개방 흡입 영역을 갖는 채널처럼 설계된 대체로 세장형인 외양의 것이라면 실용적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청소 기구로서, 노즐 설비, 게다가 청소 기구의 사용자가 청소될 표면에 대한 노즐 설비의 위치를 제어하게 하기 위해 노즐 설비에 연결가능한 핸들, 및 노즐 설비의 제1 흡입 몸체 및 제2 흡입 몸체의 위치에서 저압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진공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청소 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전술된 및 다른 태양들은 청소될 표면에 대면하도록 구성되고 청소 기구에서의 사용을 위해 의도된 노즐 설비의 실용적인 실시예들의 하기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지고 이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은 이제 도면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며, 여기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동일한 도면 부호로 지시된다.
도 1은 전방 방향으로 이동된 때,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노즐 설비, 핸들 및 진공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청소 기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후방 방향으로 이동된 때, 도 1의 청소 기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노즐 설비, 및 노즐 설비에 연결된 청소 기구의 핸들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
도 4는 청소 기구에 사용된 때,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노즐 설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
도 5는 도 4의 노즐 설비에 포함된 자석 연결부의 구성요소들의 확대도.
도 6은 노즐 설비에 존재하는 도관 시스템, 및 노즐 설비의 2개의 흡입 몸체 사이에 위치된 걸레질 요소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노즐 설비, 및 노즐 설비에 연결된 청소 기구의 핸들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
도 8은 도 7의 노즐 설비의 밸브 설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노즐 설비에 존재하는 바와 같은 도관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노즐 설비의 걸레질 설비를 또한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노즐 설비, 및 노즐 설비에 연결된 청소 기구의 핸들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노즐 설비, 및 노즐 설비에 연결된 청소 기구의 핸들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노즐 설비(1)를 포함하는 청소 기구(100)를 도시한다. 청소 기구(100)는 청소 기구(100)의 사용자가 청소될 표면(102)에 대한 노즐 설비(1)의 위치를 제어하게 하기 위해 노즐 설비(1)에 연결가능한 핸들(101)을 더 포함한다. 특히, 사용자는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청소 기구(100)를 밀어 청소 기구(100)가 전방 방향, 즉 사용자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할 수 있는데, 여기서 사용자에 의해 가해지는 미는 힘이 핸들(101)을 통해 노즐 설비(1)로 전달되며, 사용자는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청소 기구(100)를 당겨 청소 기구(100)가 후방 방향, 즉 사용자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할 수 있는데, 여기서 사용자에 의해 가해지는 당기는 힘이 핸들(101)을 통해 노즐 설비(1)로 전달된다. 본 발명에 따른 청소 기구(100)에 의해 청소될 표면(102)의 실제적인 예는 타일 바닥과 같은 경질 바닥이다. 핸들(101)과 노즐 설비(1) 사이의 연결은 임의의 적합한 유형의 것일 수 있는데, 여기서 연결이 서로에 대한 핸들(101)과 노즐 설비(1)의 힌지식 이동을 허용한다면, 그리고 또한 연결이 노즐 설비(1)와 핸들(101)의 용이한 분리 및 부착을 허용한다면 실용적이다.
청소 기구(100)는 작동 동안 한꺼번에 진공청소 및 걸레질하도록 설계된다. 표면(102)이 진공청소 동작을 받게 할 목적을 위해, 청소 기구(100)에는 노즐 설비(1)의 위치에서, 특히 노즐 설비의 제1 흡입 몸체(11)와 제2 흡입 몸체(12)의 위치에서, 저압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진공 메커니즘(20)이 갖춰진다. 진공 메커니즘(20)은 도 1 및 도 2에서 점선 방식으로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임의의 적합한 유형의 진공 발생기(21) 및 진공 발생기(21)로부터 흡입 몸체 (11, 12)로 연장되는 임의의 적합한 유형의 도관 시스템(22)을 포함할 수 있다. 흡입 몸체(11, 12)들은 서로에 대해 일정 거리에 배열되며, 표면(102) 상에서의 노즐 설비(1)의 도시된 정상적인 작동 배향에서 표면(102)에 대면하는 측에서 개방 흡입 영역(13)을 갖는 세장형 채널로서 설계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전방 방향이 뒤쪽으로부터 앞쪽으로의 방향이고 후방 방향이 앞쪽으로부터 뒤쪽으로의 방향이라고 가정하면, 제1 흡입 몸체(11)가 앞쪽 위치에 있고 제2 흡입 몸체(12)가 뒤쪽 위치에 있다.
표면(102)이 걸레질 동작을 받게 할 목적을 위해, 노즐 설비(1)에는 걸레질 조립체(30)가 갖춰지는데, 여기서 제1 흡입 몸체(11)와 제2 흡입 몸체(12)는 걸레질 조립체(30)의 양측에 위치된다. 걸레질 조립체(30)는 천 조각과 같은 걸레질 요소(32)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걸레 홀더(31)를 포함한다. 걸레질 요소(32)는 실제로 표면(102)과 접촉하도록 의도되고, 습윤된 상태에서 사용되도록 의도된다. 걸레질 요소(32)가 걸레 홀더(31)에 부착 가능하고 이로부터 분리가능하다면 실용적이다. 걸레질 요소(32)를 습윤된 상태로 두고 걸레질 요소(32)를 청소 동작 전체에 걸쳐 습윤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걸레질 요소(32)에 공급될 액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액체 탱크(33)를 걸레질 조립체(30)가 포함한다면 또한 실용적이다. 도시된 예에서, 걸레 홀더(31) 및 액체 탱크(33)는 통합된다. 결과적으로, 도시된 예에서, 액체 탱크(33)는 걸레질 요소(32)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1 실시예에서, 노즐 설비(1)는 표면(102) 상에서의 노즐 설비(1)의 정상적인 작동 배향에서 제1 흡입 몸체(11) 및 제2 흡입 몸체(12)를 표면(102)에 대해 상이한 전체 레벨들에 두도록 구성된 레벨 설정 메커니즘(40)을 포함한다. 특히, 레벨 설정 메커니즘(40)은 청소 기구(100)가 전방 방향으로 이동될 때(이 경우에,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 흡입 몸체(11)는 선행 위치에 있고 제2 흡입 몸체(12)는 후행 위치에 있음) 제1 흡입 몸체(11)를 표면(102)에 대해 더 낮은 전체 레벨에 두고 제2 흡입 몸체(12)를 표면(102)에 대해 더 높은 전체 레벨에 두며, 청소 기구(100)가 후방 방향으로 이동될 때(이 경우에,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2 흡입 몸체(12)는 선행 위치에 있고 제1 흡입 몸체(11)는 후행 위치에 있음) 제2 흡입 몸체(12)를 표면(102)에 대해 더 낮은 전체 레벨에 두고 제1 흡입 몸체(11)를 표면(102)에 대해 더 높은 전체 레벨에 두도록 구성된다. 레벨 설정 메커니즘(40)은 청소 기구(100)가 상이한 방향들로 이동될 때 노즐 설비(1)에 가해지는 힘에 응답하기 위한 임의의 적합한 방식으로 설계될 수 있어서, 전방 이동과 연관된 힘이 레벨 설정 메커니즘(40)으로 하여금 제1 흡입 몸체(11)를 상대적으로 낮은 전체 레벨로 그리고 제2 흡입 몸체(12)를 상대적으로 높은 전체 레벨로 두게 하고, 후방 이동과 연관된 힘이 레벨 설정 메커니즘(40)으로 하여금 제2 흡입 몸체(12)를 상대적으로 낮은 전체 레벨로 그리고 제1 흡입 몸체(11)를 상대적으로 높은 전체 레벨로 두게 한다.
전술한 것으로부터, 레벨 설정 메커니즘(40)의 기능이, 선행 위치에 있는 흡입 몸체(11, 12)가 표면(102)에 근접하게 또는 심지어 표면(102) 상에 위치되는 것 및 후행 위치에 있는 흡입 몸체(11, 12)가 표면(102)으로부터 일정 거리에 있는 것을 보장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는 결론에 이른다. 청소 기구(100)의 이동이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또는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전환될 때, 전환하는 몸체(11, 12)들의 위치가 또한 전환되고, 레벨 설정 메커니즘(40)은 상대적으로 낮은 전체 레벨에 있었던 전환하는 몸체(11, 12)를 상대적으로 높은 전체 레벨로 들어올리고, 상대적으로 높은 전체 레벨에 있던 전환하는 몸체(11, 12)를 상대적으로 낮은 전체 레벨로 낮추도록 작용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후행하는 흡입 몸체(11, 12)가 표면(102)의 습윤된 영역을 따라 이동하는 상황이 회피되며, 이는 우수한 청소 결과의 달성에 기여하는데, 여기서 줄무늬 생성이 방지되고, 흡입 몸체(11, 12)들이 가능한 한 깨끗하게 유지될 수 있으며, 표면(102)에 대해 효과적인 전체 레벨에 있는 흡입 몸체(11, 12), 즉 선행 위치에 있는 흡입 몸체(11, 12)가 항상 존재한다는 사실로 인해 진공청소 동작이 효과적으로 유지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예에서, 레벨 설정 메커니즘(40)은 노즐 설비(1)에서 기울임 축(42)을 중심으로 기울어질 수 있는, 제1 흡입 몸체(11)와 제2 흡입 몸체(12)의 캐리어(41)를 포함하는데, 여기서 제1 흡입 몸체(11)는 기울임 축(42)의 일 측에 있는 일정 위치에서 캐리어(41)에 연결되고 제2 흡입 몸체(12)는 기울임 축(42)의 다른 측에 있는 일정 위치에서 캐리어(41)에 연결되어, 표면(102) 상에서의 노즐 설비(1)의 정상적인 작동 배향에서, 캐리어(41)가 기울어짐에 따라 제1 흡입 몸체(11)와 제2 흡입 몸체(12)가 표면(102)에 대해 반대 방향들로 이동하도록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청소 기구(100)가 이동되는 방향이 전환될 때 하나의 설정 위치로부터 다른 설정 위치로 기울어지도록 이루어지는 일종의 시소(seesaw) 구성이 얻어진다. 사실은, 기울임 축(42)이 한편으로는 노즐 설비(1) 상의 힘의 인가 지점(43)으로부터 일정 거리에 그리고 또한 걸레질 요소(32)의 위치에서 표면(102)과의 접촉 영역으로부터 일정 거리에 있어, 캐리어(41)가 인가 지점(43)에서 작용하는 힘과 표면(102)과의 접촉 영역에서 작용하는 마찰력의 조합으로부터 발생하는 토크를 받게 되도록 하고, 이동 방향이 변함에 따라 이러한 토크가 캐리어(41)로 하여금 설정 위치들 사이에서 기울어지게 한다는 것이다. 캐리어(41)는, 예를 들어 흡입 몸체(11, 12)들이 일부가 되는 노즐 설비(1)의 하우징 부분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것에서 언급된 노즐 설비(1) 상에서의 힘의 인가 지점(43)에 관하여, 이러한 지점(43)이 노즐 설비(1)가 청소 기구(100)에 사용될 때 노즐 설비(1)가 핸들(101)에 연결되는 위치에 통상적으로 존재한다는 것에 유의한다. 핸들(101)과 노즐 설비(1) 사이의 연결이 서로에 대한 핸들(101)과 노즐 설비(1)의 힌지식 이동을 허용하는 유형의 것이라고 가정하면, 이러한 지점(43)이 다른 기울임 축에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기울어짐 설비가 핀-인-홀(pin-in-hole) 구성을 통해 매우 잘 실현될 수 있는데, 이것이 가요성 요소를 포함하는 구성과 같은 다른 구성이 또한 가능하다는 사실을 변경하지 않는다는 것에 유의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노즐 설비(2)를 도시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1 흡입 몸체(11), 제2 흡입 몸체(12), 및 걸레질 조립체(30)의 구성요소들은 노즐 설비(2)에서 공동으로 이동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실시예에서, 걸레 홀더(31)는 걸레질 요소(32)의 볼록한 윤곽을 실현하도록 설계되는데, 이는 표면(102) 위에서의 걸레질 조립체(30)의 구성요소들의 기울어짐 이동을 용이하게 한다.
도 4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노즐 설비(3)를 도시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걸레질 조립체(30)는 노즐 설비(3)에서 제거가능하게 배열되는데, 여기서 걸레질 조립체(30)는 자석 연결을 통해 노즐 설비(3) 내의 지지체(34)에 부착가능하고 이로부터 분리가능하다. 도시된 예에서, 지지체(34)에는 자석(35)이 갖춰지고, 걸레질 조립체(30)에는 금속판(36)이 갖춰진다. 걸레질 조립체(30)가 노즐 설비에서 제거가능하게 배열되는 유리한 경우에 다른 유형의 연결이 또한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은 자석 연결의 이점은, 이러한 것이, 특히 도 5의 자석 연결의 구성요소들의 확대도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지지체(34) 내의 자석(35)이 원주를 갖는 원통처럼 형상화된다면(이 경우에, 자석(35)의 중심 길이방향 축이 기울임 축(42)을 한정할 수 있음), 캐리어(41)의 기울어짐 설비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도 6은 청소 기구(100)의 진공 메커니즘(20)의 도관 시스템(22)의 일부인 노즐 설비에 존재하는 바와 같은 도관 시스템(22a)을 도시하고, 또한 노즐 설비의 2개의 흡입 몸체(11, 12) 사이에 위치된 걸레질 요소(32)를 도시한다. 진공 메커니즘의 총 개방 흡입 영역이 클수록, 주어진 공기 유동에서 흡입 성능이 더 낮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은 모든 가능한 상황 하에서 가능한 한 높은 흡입 성능을 얻기 위해 표면(102) 및 노즐 설비의 내부 공기 도관 중 하나에 대해 흡입 몸체(11, 12)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폐쇄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유리하게는, 이 수단은 흡입 몸체(11, 12)가 진공청소 동작에서 필요하지 않거나 최대 흡입 용량과 비교하여 더 적은 정도로 필요하게 되는 시간 동안 흡입 몸체(11, 12)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폐쇄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흡입 몸체(11, 12)의 폐쇄를 실현하는 것은 흡입 몸체(11, 12)의 개방 흡입 영역(13)의 레벨에서 또는 도관 시스템(22a) 내에서 더 깊은 임의의 다른 적합한 레벨에서 행해질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표면(102) 및 노즐 설비의 내부 공기 도관 중 하나에 대해 제1 흡입 몸체(11) 및 제2 흡입 몸체(12) 중 적어도 하나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폐쇄하기 위한 흡입 향상 메커니즘(50)에 관한 다양한 선택사양이 설명될 것인데, 여기서 전방 이동의 경우에 제1 흡입 몸체(11)를 개방된 상태로 남겨두면서 제2 흡입 몸체(12)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폐쇄하고, 후방 이동의 경우에 제2 흡입 몸체(12)를 개방된 상태로 남겨두면서 제1 흡입 몸체(11)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폐쇄하도록 흡입 향상 메커니즘(50)이 구성된다면 특히 유리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한다. 레벨 설정 메커니즘(40)의 기능과 관련하여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노즐 설비의 전방 또는 후방 이동과 연관된 힘은 노즐 설비에서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의 이동을 유발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힘에 응답하여 기계적 방식으로 작용하는 흡입 향상 메커니즘(50)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
노즐 설비에 레벨 설정 메커니즘(40) 및 흡입 향상 메커니즘(50) 둘 모두가 갖춰질 수 있지만, 이것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라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레벨 설정 메커니즘(40)이 존재하고 흡입 향상 메커니즘(50)이 생략된 노즐 설비의 일 실시예뿐만 아니라 흡입 향상 메커니즘(50)이 존재하고 레벨 설정 메커니즘(40)이 생략된 노즐 설비의 일 실시예를 갖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노즐 설비에 레벨 설정 메커니즘(40) 및 흡입 향상 메커니즘(50) 둘 모두가 갖춰진 경우, 이는 흡입 향상 메커니즘(50)이 레벨 설정 메커니즘(40)에 의해 제어되게 배열되도록 하는 것일 수 있는데, 여기서 이는 특히 흡입 향상 메커니즘(50)의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의 이동이 레벨 설정 메커니즘(40)의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의 이동에 의해 미리 결정된 방식으로 야기되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노즐 설비(4)를 도시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흡입 향상 메커니즘(50)은 도 8에 별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 유형의 밸브 설비(60)를 포함한다. 밸브 설비(60)는 밸브 몸체(63)가 내부에서 활주가능하게 배열되는 중앙 공간(62)을 갖는 채널 몸체(61)를 포함한다. 채널 몸체(61)는 중앙 공간(62)과 연통하는 3개의 채널(64, 65, 66)을 더 갖는데, 채널(64, 65, 66)들 중 제1 채널(64)은 도관 시스템(22a)의 공통 도관(23)에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채널(64, 65, 66)들 중 제2 채널(65)은 제1 흡입 몸체(11)로 연장되는 도관 시스템(22a)의 도관(24)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채널(64, 65, 66)들 중 제3 채널(66)은 제2 흡입 몸체(12)로 연장되는 도관 시스템(22a)의 도관(25)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흡입 향상 메커니즘(50)은, 노즐 설비(4) 상에 가해지는 미는 힘이 밸브 몸체(63)로 하여금 제1 채널(64)에 대해 제3 채널(66)을 폐쇄하면서 제1 채널(64)에 대해 제2 채널(65)을 개방하도록 위치되게 하여, 제2 흡입 몸체(12)가 개방되지 않는 동안 제1 흡입 몸체(11)가 개방되도록 하고; 노즐 설비(4)에 가해지는 당기는 힘이 밸브 몸체(63)로 하여금 제1 채널(64)에 대해 제2 채널(65)을 폐쇄하면서 제1 채널(64)에 대해 제3 채널(66)을 개방하도록 위치되게 하여, 제1 흡입 몸체(11)가 개방되지 않는 동안 제2 흡입 몸체(12)가 개방되도록 설계된다. 완벽성을 위해, 도 8은 밸브 몸체(63)의 첫번째 언급된 위치를 도시한다는 것에 유의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노즐 설비(5)의 구성요소들, 특히 도관 시스템(22a) 및 걸레질 조립체(30)를 도시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걸레질 조립체(30)는 노즐 설비(5) 내에 활주가능하게 배열되어, 표면(102)에 대한 마찰의 영향 하에서, 노즐 설비(5)가 전방 방향 및 후방 방향으로 교번적으로 이동될 때 걸레질 조립체(30)가 노즐 설비(5) 내에서 앞뒤로 활주하도록 하며, 그 결과 걸레질 조립체(30)는 후행 위치에 있는 흡입 몸체(11, 12)를 표면(102)에 대해 폐쇄하도록 기능한다. 흡입 몸체(11, 12) 중 관련된 흡입 몸체의 폐쇄는, 걸레 홀더(31) 및 그 위에 배열된 걸레질 요소(32)의 일부분이 액체 탱크(33)의 양측에서 액체 탱크(33)로부터 옆으로 돌출하고 흡입 몸체(11, 12)와 표면(102) 사이에서 활주하도록 하는 치수로 된 때, 쉽게 그리고 직접적으로 행해질 수 있다. 도 9는 제2 흡입 몸체(12)가 후행 위치에 있고, 결과적으로 걸레질 조립체(30)가 제2 흡입 몸체(12)를 폐쇄하는 위치에 있는 상황을 예시한다. 제1 흡입 몸체(11)의 위치에서의 만곡된 화살표에 의해, 이러한 상황에서 제1 흡입 몸체(11)를 통한 공기의 유동이 가능하게 된다는 것이 표시된다. 또한, 제2 흡입 몸체(12)의 위치에서의 x 표시된 화살표에 의해, 이러한 상황에서 제2 흡입 몸체(12)를 통한 공기의 유동이 불가능하게 된다는 것이 표시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노즐 설비(6)를 도시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노즐 설비(6)는 제1 흡입 몸체(11)와 제2 흡입 몸체(12)의 기울어짐가능 캐리어(41)를 포함하는 레벨 설정 메커니즘(40)을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실시예에서, 걸레질 조립체(30)는 노즐 설비(6)에 고정적으로 배열되고, 노즐 설비(6)가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될 때 캐리어(41)는 걸레질 조립체(30) 위에서 하나의 설정 위치로부터 다른 설정 위치로 기울어진다. 제1 흡입 몸체(11)와 제2 흡입 몸체(12) 각각의 개방 흡입 영역(13)의 위치에서, 셔터 요소(51)가 배열되는데, 이 셔터 요소(51)는 흡입 몸체(11, 12)가 표면(102)에 대해 상대적으로 낮은 전체 레벨에 있을 때 흡입 몸체(11, 12)의 위치에서 노즐 설비(6)를 표면(102) 상에서 지지하도록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휠(14)에 의해 흡입 몸체(11, 12)를 표면(102)에 대해 개방된 상태로 남겨두기 위한 위치로 눌러지도록, 그리고 흡입 몸체(11, 12)가 표면(102)에 대해 상대적으로 높은 전체 레벨에 있을 때 흡입 몸체(11, 12)를 표면(102)에 대해 폐쇄하기 위한 디폴트 위치에 있도록 배열된다. 따라서, 표면(102)을 향해 이동되는 흡입 몸체(11, 12)는 적어도 하나의 휠(14)이 표면(102)과 닿는 순간으로부터 개방되고, 흡입 몸체(11, 12)가 표면(102)으로부터 멀리 이동하도록 되어 표면(102)과 적어도 하나의 휠(14) 사이의 접촉이 상실될 때 다시 폐쇄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모든 상황 하에서, 선행 위치에 있는 흡입 몸체(11, 12)만이 표면(102)에 대해 개방되는 반면, 다른 흡입 몸체(11, 12), 즉 후행 위치에 있는 흡입 몸체(11, 12)가 표면(102)에 대해 폐쇄된다는 것이 달성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노즐 설비(6)와 매우 유사한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노즐 설비(7)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노즐 설비(6)에 대한 차이는, 셔터 요소(51)가 휠(14)의 영향 하에 이동되는 것이 아니라 걸레질 조립체(30)와의 접촉이 이루어지는지 여부의 영향 하에 이동된다는 사실에 있다. 셔터 요소(51)들은 통상 상태에서 흡입 몸체(11, 12)들을 폐쇄하는 위치에 있는데, 여기서 이것이 스프링 또는 다른 적합한 편의(biasing) 수단의 영향 하에 언급된 바와 같은 위치를 향해 셔터 요소(51)들을 편의시킴으로써 실현된다면 실용적이다. 또한, 셔터 요소(51)들은, 흡입 몸체(11, 12)들 중 하나가 상대적으로 낮은 전체 레벨로부터 상대적으로 높은 전체 레벨로 상승되게 하고 흡입 몸체(11, 12)들 중 다른 하나가 상대적으로 높은 전체 레벨로부터 상대적으로 낮은 전체 레벨로 낮아지게 하는 레벨 설정 메커니즘(40)에서의 이동이 또한, 흡입 몸체(11, 12)들 중 하나의 셔터 요소(51)가 걸레질 조립체(30)와의 접촉을 상실하게 하여, 표면(102)에 대해 흡입 몸체(11, 12)를 개방하는 위치로부터 표면(102)에 대해 흡입 몸체(11, 12)를 폐쇄하는 위치로 이동되게 하며; 흡입 몸체(11, 12)들 중 다른 하나의 셔터 요소(51)가 걸레질 조립체(30)와 접촉하게 하여, 표면(102)에 대해 흡입 몸체(11, 12)를 폐쇄하는 위치로부터 표면(102)에 대해 흡입 몸체(11, 12)를 개방하는 위치로 이동되게 하도록 배열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모든 상황 하에서, 선행 위치에 있는 흡입 몸체(11, 12)만이 표면(102)에 대해 개방되는 반면, 다른 흡입 몸체(11, 12), 즉 후행 위치에 있는 흡입 몸체(11, 12)가 표면(102)에 대해 폐쇄된다는 것이 달성된다. 걸레질 조립체(30)에 셔터 요소(51)와 맞물리기 위한 림(rim), 국소 돌기 또는 다른 유형의 한정된 요소(들)와 같은 어떤 것이 제공된다면 실용적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말하면, 노즐 설비가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유형의 것인 경우에, 흡입 향상 메커니즘(50)은 흡입 몸체(11, 12)들을 개방하는 위치와 이들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폐쇄하는 위치 사이에서 이동되도록 구성된 셔터 요소(51)들을 포함하는데, 여기서 셔터 요소(51)들의 위치의 변화는 레벨 설정 메커니즘(40)에서의 이동에 의해 야기된다. 셔터 요소(51)들이 노즐 설비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와의 접촉의 영향 하에 이동하게 활성화되도록 배열된다면 실용적인데, 여기서 이는 노즐 설비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와의 접촉이 상실될 때 셔터 요소(51)들을 디폴트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편의 수단이 적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일 수 있으며, 이 디폴트 위치는 어떠한 것이라도 주어진 실시예에서 적절하다면 흡입 몸체(11, 12)를 개방하기 위한 위치 및 흡입 몸체(11, 12)를 폐쇄하는 위치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주가 전술한 것에서 논의된 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한정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범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그의 몇몇 개정 및 수정이 가능하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본 발명이 청구범위 또는 그의 등가물의 범주 내에 속하는 한 모든 그러한 개정 및 수정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해석되는 것이 의도된다. 본 발명은 도면 및 설명에서 상세히 예시되고 기술되었지만, 그러한 예시 및 설명은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단지 예증이거나 예시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은 개략적인데, 여기서 본 발명을 이해하기 위해 요구되지 않는 상세 사항은 생략되었을 수 있고, 반드시 축척대로 도시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변형들이 도면, 설명 및 첨부된 청구범위의 연구로부터 청구된 발명을 실시하는 데 있어서 당업자에 의해 이해되고 달성될 수 있다. 청구범위에서, 단어 "포함하는"은 다른 단계들 또는 요소들을 배제하지 않으며, 단수 형태(부정 관사 "a" 또는 "an")는 복수를 배제하지 않는다. 청구범위에서의 임의의 도면 부호는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 실시예에 대해 또는 이와 관련하여 논의된 요소 및 태양은, 달리 명백하게 기재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의 요소 및 태양과 적합하게 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소정의 수단들이 상호 상이한 종속항에서 언급된다는 단순한 사실은 이들 수단의 조합이 유리하게 사용될 수 없음을 나타내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포함하다" 및 "구비하다"는 용어 "~로 이루어지다"를 망라하는 것으로서 당업자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용어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는 일 실시예에 관하여 "~로 이루어지다"를 의미할 수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적어도 한정된 종(species) 및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다른 종을 함유하다/갖는다/갖춘다"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주목할 만한 태양들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청소될 표면(102)에 대면하도록 구성된 노즐 설비(1, 2, 3, 4, 5, 6, 7)는 서로에 대해 일정 거리에 위치된 제1 흡입 몸체(11) 및 제2 흡입 몸체(12)를 포함한다. 제1 흡입 몸체(11) 및 제2 흡입 몸체(12) 둘 모두는 청소될 표면(102)으로부터 먼지 및 오물을 흡입하게 작동되도록 구성된다. 노즐 설비(1, 2, 3, 4, 5, 6, 7)는 표면(102) 상에서의 노즐 설비(1, 2, 3, 4, 5, 6, 7)의 정상적인 작동 배향에서 제1 흡입 몸체(11) 및 제2 흡입 몸체(12)를 청소될 표면(102)에 대해 상이한 전체 레벨들에 두도록 구성된 레벨 설정 메커니즘(40)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노즐 설비(1, 2, 3, 4, 5, 6, 7)의 청소 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청소될 표면(102) 및 노즐 설비(1, 2, 3, 4, 5, 6, 7)의 내부 공기 도관(23, 24, 25) 중 하나에 대해 제1 흡입 몸체(11) 및 제2 흡입 몸체(12) 중 적어도 하나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폐쇄하기 위한 흡입 향상 메커니즘(50)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15)

  1. 청소될 표면(102)에 대면하도록 구성된 노즐 설비(nozzle arrangement)(1, 2, 3, 4, 5, 6, 7)로서,
    - 서로에 대해 일정 거리에 위치된 제1 흡입 몸체(11) 및 제2 흡입 몸체(12)로서, 상기 제1 흡입 몸체(11) 및 상기 제2 흡입 몸체(12) 둘 모두는 상기 청소될 표면(102)으로부터 먼지 및 오물을 흡입하게 작동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흡입 몸체(11) 및 상기 제2 흡입 몸체(12) 둘 모두는 상기 제1 흡입 몸체(11) 및 상기 제2 흡입 몸체(12)의 위치에서 저압(underpressure)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진공 메커니즘(20)에 연결가능한, 상기 제1 흡입 몸체(11) 및 상기 제2 흡입 몸체(12); 및
    - 상기 표면(102) 상에서의 상기 노즐 설비(1, 2, 3, 4, 5, 6, 7)의 정상적인 작동 배향에서 상기 제1 흡입 몸체(11) 및 상기 제2 흡입 몸체(12)를 상기 청소될 표면(102)에 대해 상이한 전체 레벨들에 두도록 구성된 레벨 설정 메커니즘(level setting mechanism)(40)
    을 포함하는, 노즐 설비(1, 2, 3, 4, 5, 6, 7).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 설정 메커니즘(40)은, 상기 제1 흡입 몸체(11)가 선행(leading) 위치에 있고 상기 제2 흡입 몸체(12)가 후행(trailing)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노즐 설비(1, 2, 3, 4, 5, 6, 7)가 상기 노즐 설비(1, 2, 3, 4, 5, 6, 7)의 이동과 관련된 힘을 받을 때 상기 제1 흡입 몸체(11)를 상기 청소될 표면(102)에 대해 더 낮은 전체 레벨에 두고 상기 제2 흡입 몸체(12)를 상기 표면(102)에 대해 더 높은 전체 레벨에 두도록, 그리고 상기 제2 흡입 몸체(12)가 선행 위치에 있고 상기 제1 흡입 몸체(11)가 후행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노즐 설비(1, 2, 3, 4, 5, 6, 7)가 상기 노즐 설비(1, 2, 3, 4, 5, 6, 7)의 이동과 관련된 힘을 받을 때 상기 제2 흡입 몸체(12)를 상기 청소될 표면(102)에 대해 더 낮은 전체 레벨에 두고 상기 제1 흡입 몸체(11)를 상기 표면(102)에 대해 더 높은 전체 레벨에 두도록 구성되는, 노즐 설비(1, 2, 3, 4, 5, 6, 7).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 설정 메커니즘(40)은 상기 제1 흡입 몸체(11)와 상기 제2 흡입 몸체(12)를 상호연결하는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요소는 상기 노즐 설비(1, 2, 3, 4, 5, 6, 7)에서 이동가능하게 배열되는, 노즐 설비 (1, 2, 3, 4, 5, 6, 7).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 설정 메커니즘(40)은 상기 노즐 설비(1, 2, 3, 4, 5, 6, 7)에서 기울임 축(tilting axis)(42)을 중심으로 기울어질 수 있는, 상기 제1 흡입 몸체(11)와 상기 제2 흡입 몸체(12)의 캐리어(41)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흡입 몸체(11)는 상기 기울임 축(42)의 일 측에 있는 일정 위치에서 상기 캐리어(41)에 연결되고 상기 제2 흡입 몸체(12)는 상기 기울임 축(42)의 다른 측에 있는 일정 위치에서 상기 캐리어(41)에 연결되어, 상기 청소될 표면(102) 상에서의 상기 노즐 설비(1, 2, 3, 4, 5, 6, 7)의 정상적인 작동 배향에서, 상기 캐리어(41)가 기울어짐에 따라 상기 제1 흡입 몸체(11)와 상기 제2 흡입 몸체(12)가 상기 표면(102)에 대해 반대 방향들로 이동하도록 하는, 노즐 설비 (1, 2, 3, 4, 5, 6, 7).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설비(1, 2, 3, 4, 5, 6, 7)가 상기 표면(102)을 따라 이동될 때 상기 청소될 표면(102) 상에서 걸레질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걸레질 조립체(mopping assembly)(3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흡입 몸체(11) 및 상기 제2 흡입 몸체(12)는 상기 걸레질 조립체(30)의 양측에 위치되는, 노즐 설비(1, 2, 3, 4, 5, 6, 7).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걸레질 조립체(30)는 습윤되도록 구성된 걸레질 요소(32)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걸레 홀더(mop holder)(31)를 포함하고, 상기 걸레질 요소(32)는 상기 걸레 홀더(31)에 부착가능하고 이로부터 분리가능한, 노즐 설비 (1, 2, 3, 4, 5, 6, 7).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흡입 몸체(11), 상기 제2 흡입 몸체(12) 및 상기 걸레질 조립체(30)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는 상기 노즐 설비(2)에서 공동으로(jointly) 이동가능한, 노즐 설비(2).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걸레질 조립체(30)는 상기 걸레질 요소(32)를 습윤시키기 위해 상기 걸레질 요소(32)에 공급될 액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액체 탱크(33)를 포함하는, 노즐 설비 (1, 2, 3, 4, 5, 6, 7).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걸레 홀더(31) 및 상기 액체 탱크(33)는 통합된, 노즐 설비(1, 2, 3, 4, 5, 6, 7).
  10. 제5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걸레질 조립체(30)는 상기 노즐 설비(1, 2, 3, 4, 5, 6, 7)에서 제거가능하게 배열되는, 노즐 설비(1, 2, 3, 4, 5, 6, 7).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걸레질 조립체(30)는 자석 연결을 통해 상기 노즐 설비(1, 2, 3, 4, 5, 6, 7) 내의 지지체(34)에 부착가능하고 이로부터 분리가능하며, 상기 걸레질 조립체(30) 및 상기 지지체(34)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적어도 하나의 자석(35)이 갖춰지는, 노즐 설비(1, 2, 3, 4, 5, 6, 7).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될 표면(102) 및 상기 노즐 설비(1, 2, 3, 4, 5, 6, 7)의 내부 공기 도관(23, 24, 25) 중 하나에 대해 상기 제1 흡입 몸체(11) 및 상기 제2 흡입 몸체(12) 중 적어도 하나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폐쇄하기 위한 흡입 향상 메커니즘(suction enhancing mechanism)(50)을 포함하는, 노즐 설비(1, 2, 3, 4, 5, 6, 7).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향상 메커니즘(50)은, 상기 제1 흡입 몸체(11)가 선행 위치에 있고 상기 제2 흡입 몸체(12)가 후행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노즐 설비(1, 2, 3, 4, 5, 6, 7)가 상기 노즐 설비(1, 2, 3, 4, 5, 6, 7)의 이동과 관련된 힘을 받을 때 상기 제1 흡입 몸체(11)를 개방된 상태로 남겨두면서 상기 제2 흡입 몸체(12)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폐쇄하도록, 그리고 상기 제2 흡입 몸체(12)가 선행 위치에 있고 상기 제1 흡입 몸체(11)가 후행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노즐 설비(1, 2, 3, 4, 5, 6, 7)가 상기 노즐 설비(1, 2, 3, 4, 5, 6, 7)의 이동과 관련된 힘을 받을 때 상기 제2 흡입 몸체(12)를 개방된 상태로 남겨두면서 상기 제1 흡입 몸체(11)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폐쇄하도록 구성되는, 노즐 설비(1, 2, 3, 4, 5, 6, 7).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향상 메커니즘(50)은 상기 레벨 설정 메커니즘(40)에 의해 제어되도록 배열되는, 노즐 설비(1, 2, 3, 4, 5, 6, 7).
  15. 청소 기구(cleaning appliance)(100)로서,
    -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노즐 설비(1, 2, 3, 4, 5, 6, 7);
    - 상기 청소 기구(100)의 사용자가 청소될 표면(102)에 대한 상기 노즐 설비(1, 2, 3, 4, 5, 6, 7)의 위치를 제어하게 하기 위해 상기 노즐 설비(1, 2, 3, 4, 5, 6, 7)에 연결가능한 핸들(101); 및
    - 상기 노즐 설비(1, 2, 3, 4, 5, 6, 7)의 상기 제1 흡입 몸체(11)와 상기 제2 흡입 몸체(12)의 위치에서 저압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진공 메커니즘(20)
    을 포함하는, 청소 기구(100).
KR1020227008144A 2020-04-20 2021-04-09 청소될 표면에 대면하도록 구성된 노즐 설비 KR1025528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0170322.0 2020-04-20
EP20170322.0A EP3900599A1 (en) 2020-04-20 2020-04-20 Nozzle arrangement configured to face a surface to be cleaned
PCT/EP2021/059335 WO2021213819A1 (en) 2020-04-20 2021-04-09 Nozzle arrangement configured to face a surface to be cleane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5988A true KR20220035988A (ko) 2022-03-22
KR102552853B1 KR102552853B1 (ko) 2023-07-10

Family

ID=70333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8144A KR102552853B1 (ko) 2020-04-20 2021-04-09 청소될 표면에 대면하도록 구성된 노즐 설비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30023793A1 (ko)
EP (2) EP3900599A1 (ko)
JP (1) JP2022536873A (ko)
KR (1) KR102552853B1 (ko)
CN (2) CN113520234A (ko)
BR (1) BR112022004231A2 (ko)
PL (1) PL3993683T3 (ko)
WO (1) WO2021213819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41912A (ja) * 1998-05-28 2000-02-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掃除機
JP2001327442A (ja) * 2000-05-25 2001-11-27 Amano Corp 床面洗浄清掃機
KR20020077404A (ko) * 2000-01-29 2002-10-11 알프레드 캐르혀 게엠베하 운트 컴파니 바닥 청소기용 헤드
KR20050088903A (ko) * 2004-03-01 2005-09-07 알데스 아에로리끄 진공 청소기용 노즐
KR20140086592A (ko) * 2012-12-28 2014-07-08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방충망용 청소기
KR102024465B1 (ko) * 2018-04-11 2019-09-23 이미나 회전형 청소기용 걸레판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9005Y2 (ko) * 1985-08-08 1988-05-27
KR960004684Y1 (ko) * 1992-08-12 1996-06-04 윤종룡 진공청소기의 회전식 물걸레기능을 갖는 흡입구체
WO2008028763A1 (de) * 2006-09-05 2008-03-13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Bodendüse für hartböden
EP2453778B1 (en) * 2009-07-16 2015-04-29 Dyson Technology Limited A surface treating head
GB2504676B (en) * 2012-08-03 2014-11-26 Dyson Technology Ltd A floor tool for a vacuum cleaning appliance
JP6524404B2 (ja) * 2014-07-04 2019-06-05 株式会社 徳武製作所 スチームクリーナーヘッド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41912A (ja) * 1998-05-28 2000-02-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掃除機
KR20020077404A (ko) * 2000-01-29 2002-10-11 알프레드 캐르혀 게엠베하 운트 컴파니 바닥 청소기용 헤드
JP2001327442A (ja) * 2000-05-25 2001-11-27 Amano Corp 床面洗浄清掃機
KR20050088903A (ko) * 2004-03-01 2005-09-07 알데스 아에로리끄 진공 청소기용 노즐
KR20140086592A (ko) * 2012-12-28 2014-07-08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방충망용 청소기
KR102024465B1 (ko) * 2018-04-11 2019-09-23 이미나 회전형 청소기용 걸레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93683A1 (en) 2022-05-11
EP3900599A1 (en) 2021-10-27
US20230023793A1 (en) 2023-01-26
BR112022004231A2 (pt) 2022-10-25
CN113520234A (zh) 2021-10-22
PL3993683T3 (pl) 2024-01-03
KR102552853B1 (ko) 2023-07-10
WO2021213819A1 (en) 2021-10-28
JP2022536873A (ja) 2022-08-19
EP3993683B1 (en) 2023-07-26
CN215937237U (zh) 2022-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96177B2 (en) Extraction with temporary suction interrupt
KR101369227B1 (ko) 진공청소기용 흡입브러시
US7039985B2 (en) Removable hose and tool caddy
US7617563B2 (en) Liquid distribution system for a cleaning machine
EP2966230B1 (en) Nozzle device and sanitary washing device using same
CN103188981A (zh) 用于将抽吸式清洗机从地面清洗切换到软管清洗的转换机构
CN109843133A (zh) 机器人吸尘器
GB2077093A (en) Suction nozzle and wand assembly
KR20220035988A (ko) 청소될 표면에 대면하도록 구성된 노즐 설비
CN105682525B (zh) 包括可移除手柄组件的真空吸尘器
GB2067890A (en) Floor and carpet cleaning apparatus
KR20140096589A (ko) 취수구 은폐형 정수기
RU2802510C2 (ru) Насад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выполненное с возможностью обращения к поверхности, подлежащей очистке, и чистящий аппарат, содержащий такое устройство
KR100618646B1 (ko) 물을 이용한 청소기 및 물청소용 브러시
CN217659639U (zh) 一种地拖装置以及洗地机
JP3611747B2 (ja) 便器洗浄給水装置
CN215584014U (zh) 吸尘器吸嘴以及包括其的家用吸尘器
CN220655534U (zh) 一种洗碗机清洗臂的排渣装置
CN217285620U (zh) 清洁头及清洁设备
CA2782881C (en) Inlet for vacuum cleaning apparatus
KR0136312B1 (ko) 진공청소기의 흡입력조절장치
KR0137434Y1 (ko) 업 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손잡이 높이 자동조절장치
JP2002325712A (ja) 床磨き機用洗浄液飛散防止装置
CN117915816A (zh) 在吸嘴装置中设定至少一个工作构件的位置
CN113622160A (zh) 一种洗衣机预清洗结构及洗衣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