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5201A - 자동 판매기의 상품 수납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판매기의 상품 수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5201A
KR20020075201A KR1020010082186A KR20010082186A KR20020075201A KR 20020075201 A KR20020075201 A KR 20020075201A KR 1020010082186 A KR1020010082186 A KR 1020010082186A KR 20010082186 A KR20010082186 A KR 20010082186A KR 20020075201 A KR20020075201 A KR 200200752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age
plate
passage width
width setting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2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52666B1 (ko
Inventor
니시야마다까시
Original Assignee
후지 덴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 덴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 덴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75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52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26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26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3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the magazines are of zig-zag form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0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 G07F11/1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two or more magazines having a common delivery chut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nding Machines For Individual Product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통로폭 설정판에 의해 설정되는 상품 통로의 통로폭을 적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그 결과, 상품 통로 내의 상품 막힘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 판매기의 상품 수납 장치를 제공한다.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품 통로(3) 내에 복수의 상품(S)을 겹쳐 쌓은 상태로 수납하는 자동 판매기의 상품 수납 장치(1)로서, 서로 소정 간격을 두고 대향하는 좌우 측판(2, 2)과, 이들 좌우 측판(2, 2) 사이에 서로 전후 방향으로 대향하여 설치되고, 좌우 측판과 함께 상품 통로(3)를 구획하는 전후의 가이드판(4)과,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상품 통로(3) 내에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좌우 측판(2, 2)의 한쪽과의 사이에서, 상품 통로(3)의 좌우 방향의 폭을 설정하기 위한 통로폭 설정판(5)과,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통로폭 설정판(5)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끼워 맞춤으로써, 통로폭 설정판(5)을 잠그는 상부 잠금부재(16) 및 하부 잠금부재(4)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자동 판매기의 상품 수납 장치{PRODUCTS STORAGE DEVICE OF VENDING MACHINE}
본 발명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품 통로 내에 복수의 상품을 겹쳐 쌓은 상태로 수납하는 자동 판매기의 상품 수납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품 통로의 좌우 방향의 폭을 설정 변경 가능한 상품 수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캔 상품이나 병 상품, 나아가서는 페트병 상품 등을 판매하는 음료용 자동 판매기의 상품 수납 장치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상품 수납 컬럼을 가지고 있다. 각 상품 수납 컬럼은, 좌우의 측판과, 양 측판 사이에 설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다수, 병설된 전후의 원호형의 가이드판과, 양 측판 사이에서 이동이 자유롭게 설치되며, 수납해야 할 상품의 사이즈에 따라, 상품 통로의 좌우 방향의 폭(이하 「통로폭」이라 칭함)을 설정하기 위한 통로폭 설정판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 통로폭 설정판과 이것에 대향하는 한쪽의 측판(이하 「통로 측판」이라 칭함) 사이에, 상항 방향으로 연장되는 서펜타인식의 상품 통로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렇게 형성된 상품 통로 내에, 옆으로 쓰러진 자세의 상품이 겹쳐 쌓인 상태로 수납된다.
이러한 상품 수납 장치로서, 예를 들면, 본 출원인이 이미 제안한 특허 공개 평8-87666호 공보에 기재된 것이 알려져 있다. 이 상품 수납 장치의 상품 수납 컬럼은, 좌우 측판의 상부 사이에 걸쳐진 수평한 지지축과, 이 지지축에 매달린 상기 통로폭 설정판과, 이 통로폭 설정판과 다른 쪽 측판(이하 「링크 측판」이라 칭함) 사이에 설치되고, 통로폭 설정판을 지지축에 따라 좌우 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시키기 위한 평행 링크 기구를 가지고 있다. 이 평행 링크 기구는, 통로폭 설정판을 구성요소의 하나로 하고 있으며, 서로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통로폭 설정판에 각각 일단부가 회전 운동이 자유롭게 지지된 상하 한쌍의 평행 링크와, 링크 측판에, 이것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가 자유롭게 부착되는 동시에, 평행 링크의 각각의 타단부를 회전 운동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상태로 연결하는 연결 링크로 구성되어 있다. 또, 평행 링크의 각각은, 통로폭 설정판으로부터 링크 측판을 향해 앞처짐으로 경사진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품 통로의 통로폭을 넓히기 위해서, 통로폭 설정판을 링크 측판을 향해 이동시키면, 링크 측판의 연결 링크가 하방으로 슬라이드하면서, 평행 링크의 경사 각도가 커진다. 역으로, 통로폭 설정판을 상기와 역방항으로 이동시키면, 연결 링크가 상방으로 슬라이드하면서, 평행 링크의 경사 각도가 완만해지고, 이에 따라, 상품 통로의 통로폭이 좁아진다.
또, 상기한 바와 같은 통로폭 설정판은, 통상, 그 상단부가 상품 투입구에 면해 있고, 상품을 로딩하는 오퍼레이터가, 로딩에 앞서서, 그 상품 사이즈에 맞춰서 통로폭 설정판의 상단부를 조작함으로써, 통로폭 설정판이 소정 위치에 세트된 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품 투입구와 상품 통로의 상단부 사이에는, 전후 좌우로 연장되는 탑 플레이트가 배치되어 있고, 이 탑 플레이트를 따라서, 통로폭 설정판의 상단부가 상품 투입구 부근까지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탑 플레이트에는, 서로 소정 간격을 두고 좌우 방향으로 병설된 복수의 슬릿이 형성되는 한편, 통로폭 설정판의 상품 투입구 부근까지 연장된 상단부의 하부에는, 탑 플레이트의 각 슬릿에 상방으로 찔러 넣음이 가능한 잠금용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 통로폭 설정판은, 이것을 매다는 상기 지지축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약간 가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통로폭 설정판을 세트하는 경우에는, 통로폭 설정판을 약간 들어올린 상태에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잠금용 볼록부를, 수납해야 할 상품의 사이즈에 따른 소정의 슬릿에 상방으로 찔러 넣도록, 통로폭 설정판을 내린다.이것에 의해, 통로폭 설정판은, 좌우 방향의 이동이 저지된 상태로 잠겨지고, 상품 사이즈에 따른 적정한 위치에 세트된다. 또한, 상품의 교체 등으로 상품 사이즈가 변하여, 상품 통로의 통로폭을 변경해야만 하는 경우에는, 통로폭 설정판을 약간 들어올리는 것에 의해, 잠금용 볼록부를 슬릿에서 빼내고, 그 후, 상기와 마찬가지로, 교체 후의 상품 사이즈에 맞는 적정한 슬릿에 잠금용 볼록부를 찔러 넣는 것으로, 통로폭 설정판이 적절한 위치에 세트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 통로폭 설정판은, 소정의 위치에 세트된 상태에서는, 상단부만이 잠겨지고, 하단부가 자유단이 되어 있기 때문에, 상품 통로에 수납된 다수의 상품이 통로폭 설정판 쪽으로 치우친 경우에는, 통로폭 설정판의 하부가 링크 측판을 향해 휠 우려가 있다. 특히, 예를 들면, 열차 내에 설치된 자동 판매기에서는, 열차의 가속시나, 감속시에, 상품 통로 내의 상품의 탄성력이 통로폭 설정판에 작용하는 것에 의해, 통로폭 설정판의 상기와 같은 휨이 더 한층 커지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통로폭 설정판의 하부가 링크 측판을 향해 휘면, 상품 통로의 하부의 통로폭이 확대되고, 상품 통로 내의 상품과 통로폭 설정판의 하부 사이에 큰 스페이스가 생겨 버린다. 이 경우에는, 그 스페이스에, 상품 통로 내의 상품이나 그 일부가 밀고 들어가는 것에 의해, 상품의 자세가 흐트러지기 쉬워지고, 이에 따라, 상품 통로 내에서 상품 막힘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통로폭 설정판에 의해 설정되는 상품 통로의 통로폭을 적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그 결과,상품 통로 내의 상품 막힘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 판매기의 상품 수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자동 판매기의 상품 수납 장치를 도시하고 있으며, (a)는 그 정면도, (b)는 측단면도.
도2는 도1의 상품 수납 장치에 있어서, 전방측 가이드판을 제거한 상태의 통로폭 설정판을 도시하는 정면도와, A-A선으로 절단한 부분을 확대해서 도시하는 단면도.
도3은 통로폭 설정판의 주위를 도시하고 있으며, (a)는 그 사시도, (b)는 통로폭 설정판의 하단부를 확대해서 도시하는 사시도.
도4는 링크 측판에 링크를 부착한 상태의 부착 부분을 확대해서 도시하고 있으며, (a)는 정면도, (b)는 우측면도.
도5는 단부를 굴곡시킨 상태의 링크와, 굴곡시키기 전의 상태의 링크를 비교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4(a)에 상당하는 설명도이고, (a)는 굴곡시킨 링크, (b)는 굴곡시키기 전의 링크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상품 수납 장치
2: 측판
2a: 링크 측판(다른 쪽 측판)
2b: 통로 측판(한쪽 측판)
3: 상품 통로
4: 가이드판(가이드재)
5: 통로폭 설정판
11: 잠금용 개구부
12: 오목부
12a: 오목부의 좌측면(측판 평행면)
12b: 오목부의 우측면(경사면)
15: 상부 잠금부(상부 돌출부)
16: 탑 플레이트(상부 잠금부재)
17: 슬릿
18: 하부 잠금부(하부 돌출부)
S: 상품
본 발명에 관계되는 자동 판매기의 상품 수납 장치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품 통로 내에 복수의 상품을 겹쳐 쌓은 상태로 수납하는 자동 판매기의 상품 수납 장치로서,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향하는 좌우의 측판과, 이들 좌우의 측판 사이에 서로 전후 방향으로 대향하여 설치되고, 좌우의 측판과 함께 상품 통로를 구획하는 전후의 가이드재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상품 통로 내에 좌우 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설치되며, 좌우 측판의 한쪽과의 사이에서, 상품 통로의 좌우 방향의 폭을 설정하기 위한 통로폭 설정판과, 좌우 방향으로 이동한 통로폭 설정판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끼워 맞춤으로써, 통로폭 설정판을 잠그는 상부 잠금부재 및 하부 잠금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통로폭 설정판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이 통로폭 설정판과 한쪽 측판 사이의 거리, 즉 상품 통로의 좌우 방향의 폭을, 수납해야 할 상품의 사이즈에 맞는 소정 위치에 세트한다. 이 경우, 통로폭 설정판은, 그 상부 및 하부에 상부 잠금부재 및 하부 잠금부재가 각각 끼워 맞춤하는 것에 의해, 세트된 소정의 위치에 잠겨진다. 이와 같이, 통로폭 설정판은, 상하 2개소에서 잠겨지기 때문에, 상품 통로에 수납된 상품에 의해서, 다른 쪽 측판을 향해서 눌리더라도, 상품 통로의 통로폭을 확대하는 방향으로의 휨이 제어되는 것으로, 통로폭을 적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상품 통로의 통로폭이 넓어지는 것에 의한 상품 자세의 흐트러짐이 생기지 않고, 상품 통로 내의 상품 막힘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통로폭 설정판은, 상부 잠금부재 및 하부 잠금부재에 각각 끼워 맞춤이 가능한 상하의 돌출부를 가지는 동시에, 좌우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여유를 가지고 이동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고, 상부 잠금부재는, 서로 간격을 두고 좌우 방향으로 늘어선 상태로 형성되며, 상부 돌출부가 선택적으로 끼워 맞춤하는 복수의 슬릿을 가지고, 하부 잠금부재는, 복수의 슬릿에 각각 대응하는 좌우 방향의 위치에 형성되고, 상부 돌출부가 복수의 슬릿 중 하나에 끼워 맞춤에 따라, 그것에 대응하는 하나의 하부 돌출부가 끼워 맞춤하는 복수의 오목부를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따르면, 여유를 가진 통로폭 설정판을, 좌우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통로폭 설정판의 상부 돌출부를 복수의 슬릿 중 하나에 끼워 맞춤시킴으로써, 그 끼워 맞춤한 슬릿에 대응하는 오목부에, 하부 돌출부를 자동적으로 끼워 맞춤시킬 수 있다. 따라서, 통로폭 설정판에 의한 상품 통로의 통로폭의 설정 시에, 상부 돌출부를 상부 잠금부재의 슬릿에 끼워 맞춤시키는 것만으로, 하부 돌출부를 하부 잠금부재의 오목부에 끼워 맞춤시킬 수 있고, 상품 통로의 통로폭의 설정 작업을, 용이하면서도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또, 이 경우, 하부 잠금부재가 가이드재의 하부에서 구성되는 동시에, 복수의 오목부가 가이드재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따르면, 기존의 가이드재의 하부를 하부 잠금부재로서 이용하여, 가이드재에 복수의 오목부를 직접 형성함으로써, 하부 잠금부재를 별도 설치할 필요가 없어, 제조 비용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복수의 오목부의 각각은, 한쪽 측판에서 먼 쪽에 형성되고, 한쪽 측판과 평행한 측판 평행면과, 한쪽의 측판에 가까운 쪽에 형성되고, 개구부를 향해 측판 평행면과의 사이의 폭이 점차 커지도록 경사지는 경사면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따르면, 각 오목부는, 개구부를 향하여, 상기 측판 평행면과 경사면 사이의 폭이 점차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통로폭 설정판의 상부 돌출부를 슬릿에 끼워 맞춤시킬 때에, 하부 돌출부를 경사면으로 안내하면서, 오목부에 원활하면서도 확실하게 끼워 맞춤시킬 수 있다. 또, 각 오목부가, 상기와 같은 측판 평행면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상품 통로에 수납된 상품에 의해서, 통로폭 설정판이 다른 쪽 측판을 향해서 눌리더라도, 그 누름력으로 하부 돌출부가 오목부에서 빠져 나가는 방향으로 통로폭 설정판이 이동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통로폭 설정판의 하부 잠금부를, 안정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자동 판매기의 상품 수납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이 상품 수납 장치(1)를 구비한 자동 판매기는, 캔 상품이나 병 상품, 나아가서는 페트병 상품 등, 단면이 거의 원형인 상품(S)을, 상품 수납 장치(1)에 수납하여, 판매하는 것이다. 또한, 도1은 일부의 상품 수납 장치(1)를 도시하고 있으며, 실제의 자동 판매기에서는, 도시한 상품 수납 장치(1)가 복수, 좌우 방향 및 전후 방향으로 늘어서 배치되어 있다.
상품 수납 장치(1)는, 좌우의 측판(2, 2)과, 측판(2, 2) 사이에 설치되고, 측판(2, 2)과 함께 상품 통로(3)를 구획하는 다수의 전후의 가이드판[(4, 4) 가이드재]과, 상품 통로(3) 내에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설치된 통로폭 설정판(5)과, 이 통로폭 설정판(5)을 좌우 방향으로 평행하게 이동시키기 위한 평행 링크 기구(6) 등을 구비하고 있다. 또, 이 상품 수납 장치(1)의 하단부에는, 서로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대향하도록 배치된 상품 배출 기구(7) 및 안 길이 설정판(8)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 요소 중, 측판(2) 이외의 것은, 전후에 2열로 설치되고, 거의 전후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전방측의 것을 대표해서 설명한다.
좌우의 측판(2, 2)은, 판매해야 할 상품 중 가장 높이가 높은 상품(예를 들면, 500㎖의 페트병 상품)을 수납 가능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하여, 상하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측판(2, 2)의 서로 동일한 복수의 소정 위치에는, 전후의 가이드판(4)을 부착하기 위한 복수의 부착 구멍(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고, 상하 방향으로 지그재그형으로 배열되어 있다.
각 가이드판(4)은, 금속판을 프레스 가공한 것으로, 외측에 볼록한 원호형을 가지는 동시에, 그 표면에는 상품 통로(3) 내에 냉기나 난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다수의 슬릿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판(4)은, 그 상단부에 일체로 형성한 컬부(4a)의 양 단부를, 측판(2, 2)의 부착 구멍에 각각 끼워 맞춤시킴으로써, 측판(2, 2)에 회전 운동이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또, 가이드판(4)의 하단부는, 상품 통로(3) 안쪽을 항해 볼록한 원호형으로 형성되고, 바로 하측의 가이드판(4)의 컬부(4a)에 내측으로 맞닿아 있다. 이상의 구성에 따라, 측판(2, 2) 및 전후의 가이드판(4, 4)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사행하면서 연장되는, 이른바 서펜타인식 상품 통로(3)가 구획되어 있다. 또, 상품 통로(3)의 상단은, 전면으로 개구하는 상품 투입구(3a)에 연이어 통하고 있으며, 상품(S)은, 이 상품 투입구(3a)에서 옆으로 쓰러진 자세로 투입되고, 상품 통로(3) 내에 겹쳐 쌓인 상태로 수납된다.
또, 최하위의 가이드판(4, 하부 잠금부재)에는, 통로폭 설정판(5)의 후술하는 하부 잠금부(18)가 끼워 맞춤하는 잠금용 개구부(11)가 형성되어 있다. 이 잠금용 개구부(11)는,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면서 가로가 길게 형성되어 있고, 그 하단부에는, 후술하는 탑 플레이트(16)의 복수의 슬릿(17)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오목부(12, 본 실시 형태에서는 4개)가, 서로 소정 간격을 두고, 좌우 방항으로 늘어선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도1 및 도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오목부(12) 내의 좌측면(12a, 측판 평행면)은, 연직면이 되어 있고, 한편, 우단 이외의 오목부(12) 내의 우측면(12b, 경사면)은, 우 상승으로 경사져 있다. 즉, 각 오목부 (12)는, 정면 형상이 거의 「レ」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단의 개구부를 향해서, 좌측면(12a)과 우측면(12b) 사이의 좌우 방향의 폭이 점차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통로폭 설정판(5)은, 수납해야 할 상품(S)의 사이즈에 맞춰서, 우측의 측판 (2)에 의해, 상품 통로(3)의 통로폭을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좌우의 측판(2, 2)을 각각, 적절하게, 「링크 측판(2a)」및「통로측판(2b)」이라고 호칭한다. 이 통로폭 설정판(5)은, 상품 통로(3)를 그대로 모방하는 사행 형상을 가지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상품 투입구(3a)에서 상품 배출 기구(7)와 안 길이 설정판(8) 사이에 걸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전후의 가이드 판(4, 4)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또, 통로폭 설정판(5)의 사행 형상의 외주부에는, 조임 가공이 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그 외주부가 링크 측판(2a) 쪽으로 약간 돌출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통로폭 설정판(5)의 표리 방향 [도1(a)의 좌우 방향]의 강성이, 원 재료인 금속판의 그것보다도 높아져 있다.
도1 내지 도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로폭 설정판(5)의 상단부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품 투입구(3a)에 면하는 조작부(5a)가 설치되어 있다. 이 조작부(5a)의 후방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구멍(13)이 형성되어 있고, 이 긴 구멍(13)에, 링크 측판(2a)과 통로 측판(2b) 사이의 상부에 수평으로 걸친 지지축(14)이 헐겁게 끼워져 있다. 즉, 통로폭 설정판(5)은, 긴 구멍(13)을 통해, 지지축(14)에 매달려 있고, 긴 구멍(13)의 길이 만큼,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여유를 가지는 동시에, 지지축(14)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되어 있다. 또, 조작부(5a)의 하면에는, 하방으로 돌출한 상부 잠금부(15, 상부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상부 잠금부(15)가, 상품 투입구(3a)의 하면을 구성하고 또한 투입된 상품(S)을 전동시키면서 상품 통로(3)로 안내하기 위한 탑 플레이트(16, 상부 잠금부재)에 잠겨지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 탑 플레이트(16)에는, 도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슬릿(17, 본 실시 형태에서는 4개)이, 서로소정 간격을 두고, 좌우 방향으로 늘어선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슬릿(17) 중 하나에, 상부 잠금부(15)가 선택적으로 위에서 찔러 넣어짐으로써, 통로폭 설정판(5)은, 좌우 방향의 이동이 저지된 상태로 잠겨진다. 또한, 조작부(5a)의 전단부에는, 오퍼레이터가 통로폭 설정판(5)을 조작할 때에, 자신의 손가락을 걸기 위한 조작 구멍(5b)이 형성되어 있다.
또, 통로폭 설정판(5)의 하단에는, 상기 잠금용 개구부(11)에 대향하는 위치에, 이것에 끼워 맞춤하는 하부 잠금부(18, 하부 돌출부)가 설치되어 있다. 이 하부 잠금부(18)는, 잠금용 개구부(11)를 통해, 최하위의 가이드판(4)보다도 약간 전방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부 잠금부(15)가 찔러 넣어진 탑 플레이트 (16)의 슬릿(17)에 대향하는 잠금용 개구부(11)의 오목부(12)에 끼워 맞춤한다.
또한, 통로폭 설정판(5)을 매다는 지지축(14)에는, 로딩 시에 상품(S)이 부적정한 자세로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소정 형상의 보틀 가이드(19)가, 관통 구멍을 가지는 부착 구멍(19a)을 통해, 좌우 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이 부착부(19a)는, 역U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보틀 가이드(19)가 지지축 (14)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함으로써, 통로폭 설정판(5)의 상단부에 걸거나 벗김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품 통로(3)의 통로폭을 설정하는 경우에, 부착부(19a)를 끼워 맞춤시킨 상태로, 통로폭 설정판(5)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이에 따라, 보틀 가이드(19)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평행 링크 기구(6)는, 서로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각각의 상단부가 링크 측판(2a)에 회전 운동이 자유롭게 지지된상하 한쌍의 평행한 링크[21, 21(상부 링크 및 하부 링크)]와, 이들 링크(21, 21)의 각각의 하단부를 회전 운동이 자유롭게 지지된 상태로 연결하는 동시에, 상기 통로폭 설정판(5)에, 이것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가 자유롭게 부착된 연결판(22)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상부 링크(21) 및 하부 링크(21)는 구성이 동일하기 때문에,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부 링크(21)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하부 링크(21, 21)를 지지하는 링크 측판(2a)은, 평행 링크 기구(6)의 구성 요소의 하나가 되어 있고, 이 링크 측판(2a)에는, 서로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하부 링크(21, 21)의 상단부를 각각 지지하는 상하의 지지부(23, 23)가 형성되어 있다. 각 지지부(23)는, 도4에 확대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세로가 긴 직사각형의 개구부(24)를 형성할 때에, 그 상단부를 좌우로 베어냄으로써, 외방으로 돌출하도록 골곡 형성된, 서로 대향하는 좌우 한쌍의 굴곡부(25, 25)를 가지고 있다. 이들 굴곡부(25, 25)에는, 링크(21)를 회전 운동이 자유롭게 지지하기 위한 지지 구멍(25a, 25a)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이들 지지 구멍(25a, 25a)에, 링크(21) 상단부의 좌우 양단부가 헐겁게 끼워진 상태로 끼워 맞춤되어 있다.
한편, 상하부 링크(21, 21)를 연결하는 연결판(22)은, 도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늘고 긴 직사각형상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소정 형상의 부착판(26)을 통해, 통로폭 설정판(5)의 좌측면에 부착되어 있다. 부착판(26)은, 링크 측판(2a) 쪽에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고, 연결판(22)의 대부분을 덮은 상태로, 통로폭 설정판(5)에 용접 등으로 고정되어 있다. 또, 부착판(26)에는, 서로 대향하고, 상하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는 좌우 한쌍의 슬릿(26a, 26a)이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슬릿(26a, 26a)에, 연결판(22)이 끼워 맞춤되어 있다. 즉, 연결판(22)의 상하 단부의 좌우 양측에는, 부착판(26)의 슬릿(26a, 26a)을 통해 외방으로 돌출하고, 링크 측판(2a) 쪽으로 굴곡된 서로 대향하는 좌우 한쌍의 굴곡부(27, 27)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굴곡부(27, 27)에는, 상기 링크 측판(2a)의 굴곡부(25)와 마찬가지로, 링크(21)의 하단부의 좌우 양단부를 회전 운동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지지 구멍(27a, 27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각 링크(21)는, 가늘고 긴 직사각형상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상하 양단부가 점대칭으로, 소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2 및 도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링크(21)의 상하 단부는 각각, 평면 형상이 T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도4(b)의 좌우 방향의 길이가, 링크(21)의 본체 부분의 폭보다도 길고, 또한, 굴곡부[(25, 25), (27, 27)] 사이보다도 약간 긴 회전 운동부[(31, 31) 도4에서는 상단부의 회전 운동부만 도시]를 가지고 있다. 이들 회전 운동부(31, 31)의 좌우 양단부가, 링크 측판(2a)의 굴곡부(25, 25)의 지지 구멍(25a) 및 연결판(22)의 굴곡부(27)의 지지 구멍(27a)에,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로 회전 운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또, 도2 및 도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링크(21)의 상하 단부에는 각각, 좌우 어느 한쪽에, 링크(21)를 링크 측판(2a) 및 연결판(22)에 부착할 때의 릴리프로서 이용하는 절취부(32, 32)가 형성되는 동시에, 이들 절취부(32, 32) 부분에서, 링크(21)의 상하 단부가 각각 소정 각도로 굴곡되어 있다. 각 절취부(32)의 폭(W)은, 굴곡부(25)의 지지 구멍(25a)과 개구부(24)의 거리(d1, 도4 참조), 및굴곡부(27)의 지지 구멍(27a)과 굴곡부(27)의 좌측단의 거리(d2, 도2 참조)보다도 약간 크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링크(21)의 상단부를 좌측판(2)의 지지부(23)에 부착하는 경우에는 우선, 링크(21)를 거의 수평한 자세로 한 상태에서[도5(a)의 2점 쇄선 참조], 회전 운동부(31)의 절취부(32) 측의 단부를, 개구부(24)측에서 굴곡부(25)의 지지 구멍(25a)에 삽입한다. 이 경우, 절취부(32)를, 지지 구멍(25a)의 가장자리의 릴리프로서 이용하는 것으로, 회전 운동부(31)의 양단부를, 지지 구멍(25a, 25a)에 간단하게 삽입할 수 있다. 또한, 링크(21)의 하단부에 대해서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하단부의 절취부를 이용하여, 연결판(22)의 굴곡부(27, 27)에 부착한다.
상기와 같은 링크(21)는, 금속판을 소정 형상으로 프레스 가공하는 동시에, 양단부를 굴곡가공하는 것으로 제작할 수 있다. 또, 상기한 바와 같이, 링크(21)의 양단부를 소정 각도로 굴곡시킴으로써, 상품 통로(3)의 통로폭을 설정할 때에, 통로폭 설정판(5)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더라도, 링크(21)가 링크 측판(2a)이나 연결판(22)으로부터 벗겨져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5(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하 단부가 소정 각도로 굴곡된 링크(21)는, 거의 90도의 가동 각도를 가지고, 수평에 가까운 위치[동도(a)의 2점 쇄선으로 도시하는 위치]까지 회전 운동하지 않는 한, 굴곡부(25)로부터 벗겨지는 경우는 없다. 이에 대하여, 도5(b)에 도시하는 링크(21A), 즉, 링크(21)의 단부를 골곡시키기 전 상태의 링크(21A)는, 상기 링크(21)에 대하여, 가동 각도가 작고, 수직인 자세에서 약 45도 정도 회전 운동하면[동도(b)의 2점 쇄선으로 도시하는 위치], 굴곡부(25)로부터벗겨져 버릴 우려가 있다. 따라서, 링크(21)의 상하 단부를, 상기와 같이 굴곡시킴으로써, 링크(21)의 회전 운동 범위를 크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쉽게 벗겨지기 않게 할 수 있다. 덧붙여서, 종래 일반적으로 제작되고 있는 링크와 달리, 링크의 양단부를 컬형으로 가공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그 만큼, 링크(21)를 값싸게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에, 통로폭 설정판(5)에 의한 상품 통로(3)의 통로폭의 설정 방법에 대해 간단히 설명한다. 우선, 통로폭 설정판(5)을, 그 조작부(5a)를 붙잡으면서 약간 들어올리고, 통로폭 설정판(5)의 상부 잠금부(15)를, 찔러 넣어져 있던 탑 플레이트(16)의 슬릿(17)에서 뽑아낸다. 이것에 의해, 통로폭 설정판(5)의 하부 잠금부 (18)는, 잠금용 개구부(11)의 끼워 맞춤되어 있던 오목부(12)에서 상방으로 빠진다. 이에 따라, 통로폭 설정판(5)은, 상하의 잠금이 해제되는 것에 의해, 지지축 (14)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이 상태를 유지하면서, 통로폭 설정판(5)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수납해야 할 상품(S)의 사이즈에 맞는 슬릿(17)에, 상부 잠금부(15)를 상방에서 찔러 넣도록, 통로폭 설정판(5)을 내린다. 이에 따라, 통로폭 설정판(5)의 하부 잠금부(18)는, 상부 잠금부(15)가 찔러 넣어진 슬릿(17)에 대응하는 오목부(12)에, 오목부(12) 내의 경사진 우측면 (12b)으로 안내되면서, 자동적으로 끼워 맞춤한다. 이것에 의해, 통로폭 설정판 (5)은, 상품 사이즈에 따른 적정한 위치에 세트되고, 그 위치에서, 좌우 방향의 이동이 저지된 상태로 잠겨진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상품 수납 장치(1)에 의하면, 상품사이즈에 따른 적정한 위치에 세트된 통로폭 설정판(5)은, 그 상부 및 하부의 상하 2개소에서 잠겨지기 때문에, 상품 통로(3)에 수납된 상품(S)에 의해, 링크 측판(2a)을 향해 눌리더라도, 상품 통로(3)의 통로폭을 확대하는 방향으로의 휨이 억제되는 것에 의해, 통로폭을 적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상품 통로(3)의 통로폭이 넓어지는 것에 의한 상품(S)자세의 흐트러짐이 발생하지 않고, 상품 통 로(3) 내의 상품 막힘을 방지할 수 있다.
또, 통로폭 설정판(5)의 하부 잠금부(18)가 끼워 맞춤하는 잠금용 개구부(11)의 각 오목부(12)는, 탑 플레이트(16)의 슬릿(17)에 대응하여 형성되고, 또한, 상방을 향해 좌우 방향의 폭이 점차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품 통로(3)의 통로폭 설정 시에, 일단 들어올린 통로폭 설정판(5)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킨 후에 내리고, 상부 잠금부(15)를 슬릿(17)에 상방으로 찔러 넣는 것만으로, 하부 잠금부(18)를 그 슬릿(17)에 대응하는 오목부(12)에, 원활하면서도 확실하게 끼워 맞춤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통로폭 설정판(5)에 의한 상품 통로(3)의 통로폭의 설정 작업을 용이하면서도 신속하게 행할 수 있는 동시에, 그 설정 완료 확인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통로폭 설정판(5)의 잠금을 안정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 오목부(12) 내의 좌측면(12a)이 연직면이 되어 있기 때문에, 상품 통로(3) 내의 상품(S)에 의해, 통로폭 설정판(5)이 링크 측판(2a)을 향해 눌리더라도, 그 누름력으로 하부 잠금부(18)가 오목부(12)로부터 빠져 나오는 방향, 즉 상방으로 통로폭 설정판(5)이 이동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고, 통로폭 설정판(5)의 하부 잠금을 더 한층 안정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더욱이, 통로폭 설정판(5)의 하부 잠금부(18)에 끼워 맞춤하는 오목부(12)는, 기존의 가이드판(4)이 직접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하부 잠금부(18)를 잠금하기 위한 것을 별도 설치할 필요가 없어, 제조 비용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설명한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실시 형태에서는, 통로폭 설정판(5)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구멍(13)을 형성하고, 이것에 지지축(14)을 헐겁게 끼우는 것으로, 통로폭 설정판(5)에 상하 방향의 여유를 가지게 하였으나, 긴 구멍(13)을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하는 것으로, 통로폭 설정판(5)에 전후 방향의 여유를 가지게 하는 동시에, 통로폭 설정판(5)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잠그도록 해도 좋다. 또, 평행 링크 기구(6)의 연결판(22)을 통로폭 설정판(5)에 부착하였으나, 연결판(22)의 링크 측판(2a)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가 자유롭게 부착되는 동시에, 상하부 링크(21, 21)를 각각, 통로폭 설정판(5)에 직접 회전 운동이 자유롭게 지지하도록 해도 좋다. 또, 실시 형태에서 도시한 상품 수납 장치(1)의 세부구성 등은, 어디까지나 예시이고, 본 발명의 취지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동 판매기의 상품 수납 장치는, 통로폭 설정판에 의해 설정되는 상품 통로의 통로폭을 적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그 결과, 상품 통로 내의 상품 막힘을 방지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가진다.

Claims (4)

  1.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품 통로 내에 복수의 상품을 겹쳐 쌓은 상태로 수납하는 자동 판매기의 상품 수납 장치로서,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향하는 좌우 측판과,
    이들 좌우 측판 사이에 서로 전후 방향으로 대향하여 설치되고, 해당 좌우 측판과 함께 상기 상품 통로를 구획하는 전후의 가이드재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상기 상품 통로 내에 좌우 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설치되고, 상기 좌우 측판의 한쪽과의 사이에서, 상기 상품 통로의 좌우 방향의 폭을 설정하기 위한 통로폭 설정판과,
    좌우 방향으로 이동한 상기 통로폭 설정판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끼워 맞춤으로써, 해당 통로폭 설정판을 잠그는 상부 잠금부재 및 하부 잠금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판매기의 상품 수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폭 설정판은, 상기 상부 잠금부재 및 상기 하부 잠금부재에 각각 끼워 맞춤이 가능한 상하의 돌출부를 가지는 동시에, 좌우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여유를 가지고 이동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 잠금부재는, 서로 간격을 두고 좌우 방향으로 늘어선 상태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 돌출부가 선택적으로 끼워 맞추어지는 복수의 슬릿을 가지고,
    상기 하부 잠금부재는, 상기 복수의 슬릿에 각각 대응하는 좌우 방향의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상부 돌출부가 상기 복수의 슬릿 중 하나에 끼워 맞추어지는 것에 따라, 그것에 대응하는 하나에 상기 하부 돌출부가 끼워 맞추어지는 복수의 오목부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판매기의 상품 수납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잠금부재가 상기 가이드재의 하부로 구성되는 동시에, 상기 복수의 오목부가 상기 가이드재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판매기의 상품 수납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오목부의 각각은, 상기 한쪽 측판에서 먼 쪽에 형성되고, 해당 한쪽 측판과 평행한 측판 평행면과, 상기 한쪽 측판에 가까운 쪽에 형성되고, 개구부를 향해서 상기 측판 평행면과의 사이의 폭이 점차 커지도록 경사지는 경사면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판매기의 상품 수납 장치.
KR10-2001-0082186A 2001-03-22 2001-12-21 자동 판매기의 상품 수납 장치 KR1004526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083188A JP4395690B2 (ja) 2001-03-22 2001-03-22 自動販売機の商品収納装置
JPJP-P-2001-00083188 2001-03-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5201A true KR20020075201A (ko) 2002-10-04
KR100452666B1 KR100452666B1 (ko) 2004-10-14

Family

ID=18939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2186A KR100452666B1 (ko) 2001-03-22 2001-12-21 자동 판매기의 상품 수납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395690B2 (ko)
KR (1) KR100452666B1 (ko)
CN (1) CN1149519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351873C (zh) * 2003-05-20 2007-11-28 富士电机株式会社 自动售货机的商品收纳架及商品导板
ES2315863T3 (es) * 2004-05-05 2009-04-01 Nestec S.A. Armario de distribucion de capsulas para el suministro de maquinas para la preparacion de bebidas o bien otros preparados alimenticios.
JP4960012B2 (ja) * 2006-05-24 2012-06-27 サンデン株式会社 自動販売機の商品収納コラム
JP5141574B2 (ja) * 2009-01-23 2013-02-13 富士電機リテイ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自動販売機の直積式商品収納ラック
JP5810567B2 (ja) * 2011-03-16 2015-11-11 富士電機株式会社 自動販売機の商品収納ラック
JP5720336B2 (ja) * 2011-03-16 2015-05-20 富士電機株式会社 自動販売機
JP5736869B2 (ja) * 2011-03-16 2015-06-17 富士電機株式会社 自動販売機
JP5742397B2 (ja) * 2011-04-05 2015-07-01 富士電機株式会社 自動販売機
CN103295327A (zh) * 2012-03-05 2013-09-11 富士电机株式会社 自动售货机的商品收纳装置
CN110322626A (zh) * 2018-03-30 2019-10-11 富士电机株式会社 自动售货机的商品收纳装置
CN110349339A (zh) * 2018-04-02 2019-10-18 富士电机株式会社 自动售货机的商品收纳装置
CN110555949A (zh) * 2018-06-01 2019-12-10 富士电机株式会社 自动售货机的商品收纳装置
CN112330880A (zh) * 2020-11-09 2021-02-05 威海新北洋数码科技有限公司 货斗和自动售货机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6242Y1 (ko) * 1989-03-18 1991-08-19 양태수 손잡이 겸용 자물쇠 뭉치
JP3198813B2 (ja) * 1994-08-10 2001-08-13 富士電機株式会社 自動販売機のサーペンタイン式商品ラック
JP3514937B2 (ja) * 1997-03-04 2004-04-05 富士電機リテイ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自動販売機のサーペンタイン式商品収納ラック
JP4500899B2 (ja) * 1998-09-21 2010-07-14 サンデン株式会社 自動販売機の商品収納コラム
JP3956577B2 (ja) * 2000-04-28 2007-08-08 富士電機リテイ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自動販売機の商品収納棚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77014A (zh) 2002-10-30
CN1149519C (zh) 2004-05-12
KR100452666B1 (ko) 2004-10-14
JP4395690B2 (ja) 2010-01-13
JP2002279515A (ja) 2002-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2666B1 (ko) 자동 판매기의 상품 수납 장치
EP1299019B1 (en) Support arrangement for goods
JP2012194797A (ja) 自動販売機の商品収納ラック
CN102682526A (zh) 自动售货机
JP4407324B2 (ja) 自動販売機の商品収納装置
JP4380369B2 (ja) 自動販売機の商品収納装置
JP4232661B2 (ja) 自動販売機の商品収納装置
CN102682528A (zh) 自动售货机的商品搬出装置
JP2000004998A (ja) 商品陳列ユニット
JP2005301325A (ja) 自動販売機の商品収納装置
JP4407323B2 (ja) 自動販売機の商品収納装置
JP2003256926A (ja) 自動販売機の商品収納装置
JP2001312770A (ja) 自動販売機の商品収納棚
JP2001312768A (ja) 自動販売機の商品収納棚
JP3922880B2 (ja) 冷蔵庫の棚装置
JP5487878B2 (ja) 自動販売機の商品収納棚
JPH0973270A (ja) 広告表示具
JP7295649B2 (ja) 真空包装装置
JP2001312769A (ja) 自動販売機の商品収納棚
KR0184662B1 (ko) 자동 판매기
JP2005208929A (ja) 自動販売機の収納搬送通路幅変更装置
KR970006654B1 (ko) 자동판매기의 상품수납선반
JPS6245271Y2 (ko)
JP2001084448A (ja) 自動販売機の商品投入幅調整装置
JP2022049816A (ja) スパイラル型物品搬出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2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